KR101917089B1 - 펀치 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표 입출금 장치 - Google Patents

펀치 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표 입출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089B1
KR101917089B1 KR1020170055461A KR20170055461A KR101917089B1 KR 101917089 B1 KR101917089 B1 KR 101917089B1 KR 1020170055461 A KR1020170055461 A KR 1020170055461A KR 20170055461 A KR20170055461 A KR 20170055461A KR 101917089 B1 KR101917089 B1 KR 10191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medium
shaft
uni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134A (ko
Inventor
안병만
양승우
최영정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주)명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주)명성이엔지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5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08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9Depositing devices
    • G07D11/0096Accepting paper currency or other valuables in containers, e.g. in code-marked envelop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08Acoustic wa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2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with colour-mixing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은 구동원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샤프트부, 상기 제1 샤프트가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펀치 돌기가 구비되어 회전 시 매체를 천공하는 펀치 롤러, 상기 제2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펀치 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 롤러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상태를 검지하는 위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펀치 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표 입출금 장치{PUNCH ROLLER MODULE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CHECKS}
본 발명은 펀치 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표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로서, 고객이 카드나 통장 등을 사용하여 수표 및 현금을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수표를 입금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다시 말해, 수표 입출금 장치에는 수표의 표면에 인쇄된 자성 잉크를 판독하기 위한 자기잉크문자 판독기(MICR: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가 구비되어 수표의 일련번호, 액면 등 입금/출금되는 수표의 정보를 판독하며, 수표 입출금 장치에서는 상기 자기잉크문자 판독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수표를 저장하거나 반출시킨다.
종래의 수표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수표를 입금하는 경우, 입금된 수표는 자기잉크문자 판독기를 거쳐 수표 정보가 독출된 후 별도의 카세트 박스에 저장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입금 수표의 관리를 위한 추가 카세트 박스 및 노동력이 요구되었다.
이에, 수표 정보가 독출된 수표를 별도의 카세트 박스에 저장하지 않고 반출시킬 수 있는 수표 입출금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수표 정보가 독출된 수표를 반출하되, 상기 수표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수표 입출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은 구동원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샤프트부, 상기 제1 샤프트가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펀치 돌기가 구비되어 회전 시 매체를 천공하는 펀치 롤러, 상기 제2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펀치 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 롤러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상태를 검지하는 위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에서 상기 펀치 롤러는 상기 제1 샤프트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펀치 돌기가 형성된 펀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에서 상기 펀치부의 중심에서 상기 펀치 돌기가 형성된 일측까지의 거리는 상기 펀치부의 중심에서 상기 펀치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에서 상기 지지 롤러는, 상기 제2 샤프트가 삽입되는 내륜 및 상기 내륜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탄성체로 구비되는 외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에서 상기 위치 센서부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테두리 중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홈이 형성된 차광부 및 광신호를 발송하는 발광 센서와 상기 발광부에서 발송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 센서가 구비된 광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센서에서 발송된 광신호는 상기 차광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수광 센서에 도달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표 입출금 장치는 매체 유출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매체 유입출입구를 통해 유출입되는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동한 상기 매체의 정보를 판독하는 이미지 판독부 및 상기 이미지 판독부를 통과한 반출 대상 매체를 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표 입출금 장치에서 상기 펀치 롤러 모듈은 상기 이송부의 최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표 입출금 장치에서 상기 매체가 유입되는 이송라인과 상기 매체가 반출되는 이송라인은 동일한 라인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표 입출금 장치에서 상기 펀치 롤러 모듈의 상기 구동원은 상기 이미지 판독부의 상기 매체 판독 결과에 따라 구동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표 입출금 장치는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매체의 이매 여부를 감지하는 초음파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표 입출금 장치는 상기 초음파 모듈을 통과한 상기 매체를 정렬시키는 매체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표 입출금 장치는 수표 정보가 독출된 수표를 반출할 수 있으며, 수표 반출 시 수표를 천공함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표 입출금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볼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의 개략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에 의해 천공된 매체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표 입출금 장치(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표 입출금 장치(1)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수표의 입출금 과 같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표 입출금 장치(1)는 매체 유출입구(11)가 형성된 본체(10),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20), 매체의 이매 여부를 감지하는 초음파 모듈(30), 매체를 정렬시키는 매체 정렬부(40), 매체의 정보를 판독하는 이미지 판독부(50) 및 매체를 천공하는 펀치 롤러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표 입출금 장치(1)에 유출입되는 매체는 수표, 지폐, 티켓 등 다양한 매체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매체는 '수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체(10)는 수표 입출금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체(10)의 일측에는 수표의 유출입을 위한 매체 유출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매체 유출입구(11)를 통해 매체를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다.
수표 입출금 장치(1)의 본체(10) 내부에는 이송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20)는 매체 유출입구(11)를 통해 유출입되는 매체의 이송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20)는 매체의 이송라인 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벨트, 롤러 등 다양한 부재를 통칭하는 의미에 해당함을 밝혀두며, 상기 이송부(20)를 구성하는 부재들은 구조적, 설계적 필요에 따라 배치위치, 사용되는 개수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20)의 구성은 자명한 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부(20)의 최전단에는 펀치 롤러 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펀치 롤러 모듈(100)은 매체의 천공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펀치 롤러 모듈(100)의 상세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전단'은 도 1을 기준으로 이송부(20)에서 매체 유출입구(11)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단'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펀치 롤러 모듈(100)의 후단에는 초음파 모듈(30)이 구비될 수 있다. 초음파 모듈(30)은 이송되는 매체의 이매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초음파 모듈(30)의 후단에는 매체를 정렬시키는 매체 정렬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매체 정렬부(40)는 이송되는 매체의 단부를 정렬시킴으로써, 이미지 판독부(50)에서 매체의 이미지 판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매체 정렬부(40)는 복수 개의 롤러, 정렬 가이드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판독부(50)에서는 매체의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판독부(50)는 자기잉크문자 판독기(MICR: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로 구비되어 수표의 일련번호, 액면가 등 수표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판독부(50)에서 정상 수표로 확인이 된 경우 매체는 다시 매체 유출입구(11) 측으로 이송되어 반출될 수 있다. 이때, 수표가 유입되는 이송라인과 반출되는 이송라인은 동일한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표는 반출 되기 전, 펀치 롤러 모듈(100)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다만, 수표가 정상 수표로 확인되지 않거나 파손 등 기타 이유로 반출대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수표는 펀치 롤러 모듈(100)에 의해 천공되지 않은 상태로 반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펀치 롤러 모듈은 이미지 판독부(50)에서의 매체 판독 결과에 따라 구동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펀치 롤러 모듈(100)은 이송부(20)의 최전단에 배치되어 매체를 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펀치 롤러 모듈(100)은 매체 유출입구(11)의 후단에 배치되어 반출 대상 매체가 매체 유출입구(11)로 반출되기 직전에 매체를 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천공된 매체가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매체 걸림(jam)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반출 대상 매체가 천공된 상태로 이송부(20)를 따라, 수표 입출금 장치(1) 내부를 이동하는 경우 매체 걸림(jam)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100)은 이송부(20)의 최전단, 다시 말해, 매체 유출입구(11)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표 입출금 장치(1)는 정보 판독이 완료된 수표를 별도의 카세트 박스에 저장하지 않고, 천공을 하여 반출함으로써, 수표 저장에 따른 인력 낭비와, 수표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100)은 샤프트부(110), 펀치 롤러(120), 지지 롤러(130) 및 위치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부(110)는 구동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샤프트(111)와 상기 제1 샤프트(111)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샤프트(111)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제1 샤프트(111)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샤프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부(110)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은 제어부(60, 도 1 참조)에 의해 구동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부(60)는 수표 입출금 장치(1)의 이미지 판독부(50)의 매체 판독 결과, 매체가 정상권으로 판독된 경우 구동원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샤프트(111)에는 펀치 롤러(120)가 연결될 수 있다. 펀치 롤러(120)는 매체의 천공을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샤프트(111)가 펀치 롤러(12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펀치 롤러(120)는 제1 샤프트(111)가 삽입되는 중공(121a)이 형성된 결합부(121) 및 상기 결합부(121)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는 펀치 돌기(125)가 형성된 펀치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1)는 제1 샤프트(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121)에는 관통공(121b)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121b)에 대응하여 제1 샤프트(111)의 외주면에는 삽입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121c)는 상기 관통홀(121b)과 삽입홀에 체결될 수 있다.
결합부(121)의 외주면에는 펀치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펀치부(123)는 결합부(121)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펀치부(12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펀치 돌기(125)가 구비될 수 있다. 펀치 돌기(125)는 펀치 롤러(120) 회전 시 매체에 천공을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용이한 천공 작업을 위해, 펀치부(123)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펀치 돌기(125)는 원뿔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펀치 돌기(125)는 전체적으로 문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펀치부(123)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펀치 돌기(125)는 각각 기 설정된 문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펀치부(123)에 구비되는 펀치 돌기(125)는 각각 별개의 문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펀치부(123) 외주면에는 각각 'V', 'O', 'I', 'D' 형상으로 펀치 돌기(12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의 천공이 완료된 후에 매체에는 상기 문자열에 대응하게 'VOID' 글자 형상으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펀치부(123)는 비대칭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펀치부(123)는 중심에서 펀치 돌기(125)가 형성된 일측까지의 거리(L1)가 중심에서 펀치 돌기(125)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 까지의 거리(L2)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펀치부(123)는 펀치 돌기(125)가 형성된 일측은 곡면으로 구비되고, 펀치 돌기(125)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은 평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펀치부(123)의 타측이 지지 롤러(130)와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즉, 매체에 대한 천공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매체는 펀치 롤러(120)와 지지 롤러(13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매체의 천공이 불필요한 경우, 펀치 롤러(120)와 지지 롤러(130)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때, 매체는 펀치 롤러(120)와 지지 롤러(130) 사이에 형성된 간극(L3)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다만, 제1 샤프트(111)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하여 매체를 통과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제1 샤프트(111)를 별도의 링크부재에 연결하여 매체의 천공 작업이 필요한 경우 하강시켜 천공 작업을 수행하고, 천공 작업이 불필요한 경우 상승시켜 매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샤프트(112)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롤러(13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지지 롤러(130)는 펀치 롤러(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롤러(130)는 펀치 롤러(120)의 펀치부(123)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천공 작업 수행 시 매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롤러(130)는 제2 샤프트(112)가 삽입되는 내륜(131) 및 내륜(13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탄성체로 구비되어 매체의 천공 시 매체의 저면을 지지하는 외륜(1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륜(132)은 스폰지(sponge)로 구비될 수 있다.
외륜(132)은 탄성체로 구비되기 때문에 매체의 천공 시 펀칭 돌기(125)에 대응하여 외주면이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매체의 천공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위치 센서부(140)는 제1 샤프트(111)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제1 샤프트(11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부(140)는 제1 샤프트(11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1 샤프트(111)와 같이 회전하고, 테두리 중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홈(141a)이 형성된 차광부(141) 및 광신호를 발송하는 발광 센서(142a)와 상기 발광부에서 발송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 센서(142b)가 구비된 광 센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센서(142a)와 수광 센서(142b) 사이에는 차광부(141)의 테두리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광부(141)의 회전 상태에 따라 발광 센서(142a)에서 발송된 광신호는 수광 센서(142b)에 도달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광부(141)의 절개홈(141a)이 발광 센서(142a)와 수광 센서(142b)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발광 센서(142a)에서 발송된 광신호는 절개홈(141a)을 통과하여 수광 센서(142b)에 도달할 수 있지만, 차광부(141)의 그 외 부분이 발광 센서(142a)와 수광 센서(142b)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광신호는 차단되어 수광 센서(142b)에 도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위치 센서부(140)는 광신호가 수광 센서(142b)에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독하여 제1 샤프트(111)의 회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신호가 수광센서에(142b)에 수신된 후, 수신되지 않다가 재차 수광 센서(142b)에 수신되면 위치 센서부(140)는 제1 샤프트(111)의 1회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치 롤러 모듈(100)은 제어부(60)의 신호에 따라 매체에 천공 작업을 수행하여, 입금 처리가 완료된 수표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6a, 6b, 6c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수표 입출금 장치(1)에서 매체의 천공 작업이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수표를 매체 유출입구(11)에 주입하면 수표는 이송부(20)를 따라 초음파 모듈(30), 매체 정렬부(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이미지 판독부(50)에 공급된다. 이미지 판독부(50)에선 수표의 정보를 독출한 후 관련 정보를 제어부(6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60)에선 상기 이미지 판독부(5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표 입금 작업을 진행한다. 수표 입금 작업이 완료되면, 수표는 다시 이송부(20)를 따라 매체 유출입구(11)측으로 이송된다. 매체가 펀치 롤러 모듈(100)로 유입되면, 제어부(60)는 구동원을 구동시키게 되며 이에 의해 제1 샤프트(111)는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매체(M)가 펀치 롤러(120)와 지지롤러(130) 사이를 통과하면서 펀치 돌기(125)에 의해 천공 작업이 수행된다. 이어서, 천공 작업이 완료된 매체는 매체 유출입구(111)를 통해 반출될 수 있으며, 이때, 매체에는 펀치 돌기(125) 형상에 대응하여 홀(h)이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금융 자동화 기기 10: 본체
20: 이송부 30: 초음파 모듈
40: 매체 정렬부 50: 이미지 판독부
100: 펀치 롤러 모듈 110: 샤프트부
120: 펀치 롤러 130: 지지 롤러
140: 위치 센서부

Claims (11)

  1. 구동원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샤프트부;
    상기 제1 샤프트가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펀치 돌기가 구비되어 회전 시 매체를 천공하는 펀치 롤러;
    상기 제2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펀치 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 롤러;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상태를 검지하는 위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 롤러는
    상기 제1 샤프트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펀치 돌기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펀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펀치부의 중심에서 상기 펀치 돌기가 형성된 일측까지의 거리는 상기 펀치부의 중심에서 상기 펀치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구비되는 펀치 롤러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는,
    상기 제2 샤프트가 삽입되는 내륜; 및
    상기 내륜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탄성체로 구비되는 외륜;을 포함하는 펀치 롤러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부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테두리 중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홈이 형성된 차광부; 및
    광신호를 발송하는 발광 센서와 상기 발광 센서에서 발송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 센서가 구비된 광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센서에서 발송된 광신호는 상기 차광부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수광 센서에 도달하거나 차단되는 펀치 롤러 모듈.
  6. 매체 유출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매체 유출입구를 통해 유출입되는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동한 상기 매체의 정보를 판독하는 이미지 판독부; 및
    상기 이미지 판독부를 통과한 반출 대상 매체를 천공하는 제1 항, 제4 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한 항의 펀치 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롤러 모듈은 상기 이송부의 최전단에 배치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가 유입되는 이송라인과 상기 매체가 반출되는 이송라인은 동일한 라인으로 구비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롤러 모듈의 상기 구동원은 상기 이미지 판독부의 상기 매체 판독 결과에 따라 구동여부가 결정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매체의 이매 여부를 감지하는 초음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모듈을 통과한 상기 매체를 정렬시키는 매체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0170055461A 2017-04-28 2017-04-28 펀치 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표 입출금 장치 KR101917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461A KR101917089B1 (ko) 2017-04-28 2017-04-28 펀치 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표 입출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461A KR101917089B1 (ko) 2017-04-28 2017-04-28 펀치 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표 입출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34A KR20180121134A (ko) 2018-11-07
KR101917089B1 true KR101917089B1 (ko) 2019-01-29

Family

ID=6436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461A KR101917089B1 (ko) 2017-04-28 2017-04-28 펀치 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표 입출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0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8255A1 (en) 2005-12-16 2007-06-21 Ncr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check depositing terminal and an apparatus therefor
JP2013091315A (ja) 2011-10-26 2013-05-16 Heiderberger Druckmaschinen Ag 輪転式エンボスユニットを用いて製品をエンボス加工する方法
US20130336086A1 (en) * 2012-06-15 2013-12-19 Ncr Corporation Item valid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861A (ko) * 2005-02-11 2006-08-17 주식회사 태진하이텍 상품권배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8255A1 (en) 2005-12-16 2007-06-21 Ncr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check depositing terminal and an apparatus therefor
JP2013091315A (ja) 2011-10-26 2013-05-16 Heiderberger Druckmaschinen Ag 輪転式エンボスユニットを用いて製品をエンボス加工する方法
US20130336086A1 (en) * 2012-06-15 2013-12-19 Ncr Corporation Item valid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34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8828A2 (en) Method of operating a check depositing terminal and an apparatus therefor
ES2391624T3 (es) Alimentador de un conjunto de documentos con cartucho retirable
JP4941526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パトロール券
KR101917089B1 (ko) 펀치 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표 입출금 장치
CN102050346A (zh) 运送方向切换装置以及纸片类运送装置
KR101140491B1 (ko)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022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CN103514635A (zh) 物品验证
KR100613889B1 (ko)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JP5794758B2 (ja) 券類発行機
US10860902B2 (en) Movable card for cleaning printed media transpor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A3135886C (en) Card for cleaning printed media transpor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307796B2 (en) Card for cleaning printed media transpor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16009697A1 (ja) 自動取引装置
JP2010049401A (ja) カードリーダライタ
KR101793333B1 (ko) 매체 감지장치 및 금융 기기
JP2013023308A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扱装置
KR101881024B1 (ko) 수표 입금 장치 및 그의 수표 입금 방법
KR101652182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RU21893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толщины банкноты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банковского автомата рециклирования валюты
US11410003B2 (en) Movable card with handle for cleaning printed media transpor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1105443A (ja) 紙葉類排出装置
JP2010055337A (ja) 清掃部材及び媒体処理装置
JP5148087B2 (ja) 紙幣処理機
KR101853024B1 (ko) 금융 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