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889B1 -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889B1
KR100613889B1 KR1020040116761A KR20040116761A KR100613889B1 KR 100613889 B1 KR100613889 B1 KR 100613889B1 KR 1020040116761 A KR1020040116761 A KR 1020040116761A KR 20040116761 A KR20040116761 A KR 20040116761A KR 100613889 B1 KR100613889 B1 KR 100613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recognition
recognition device
head
recogn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085A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to KR102004011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88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53Recognition of characters printed with magnetic in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표입출금장치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입금한 수표의 정보를 인식하는 수표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표를 좌우 양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수표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그 구성은 수표입출금장치에 설치되어 입금된 수표의 정보를 인식하는 수표인식장치에 있어서, 수표의 상,하면을 가이드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어 수표에 인쇄된 자기잉크를 자화하는 자석부와; 상기 받침대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자화된 자기잉크의 정보를 인식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수표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이송롤러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2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헤드부, 이송부, 이송롤러, 지지롤러, 탄성부재

Description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BOTH-WAY READABLE MICR FOR CHECK}
도 1은 본 발명의 수표인식장치가 구비된 수표입출금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표인식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수표인식장치 21a,b : 받침대
22a,b : 자석부 23a,b : 헤드부
24 : 제1 이송부 25 : 제2 이송부
26a,b : 지지롤러 260 : 중심축
27 : 탄성부재 28 : 아이들롤러
본 발명은 수표입출금장치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입금한 수표의 정보를 인식하는 수표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각 은행에서는 자동 입출금 장치나 통장 정리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무인 자동화기기를 설치 및 운용하여, 업무효율의 향상 및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특히, 수표입출금장치는 사용자가 은행의 창구를 통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표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통상의 수표에는 앞면의 일측에 자기잉크(magnetic ink)로 고유의 정보가 인쇄되어 있으며, 수표입출금장치의 내부에는 수표의 정보를 인식하여 정보가 불분명한 수표 및 위조지폐를 구분하는 수표인식장치(Magnetic Ink Character Reader)가 구비되어 있다.
수표인식장치에는 수표에 인쇄된 자기잉크를 자화하는 자석부와, 자화된 자기잉크의 정보를 인식하는 헤드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투입한 수표는 수표인식장치로 이송되며, 자석부와 헤드부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정상입금 또는 입금거부의 여부가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표인식장치에는 자석부 및 헤드부가 일측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표를 항상 일방향으로만 투입해야 인식이 가능하였다. 즉, 사용자가 수표를 반대방향으로 투입하는 경우에는 인식이 불가능하여 입금이 거부됨으로써, 투입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수표인식장치에는 수표를 지지하여 헤드부에 밀착시키는 지지롤러가 설치되며, 수표가 상기 헤드부와 지지롤러의 사이를 지나갈 수 있도록 이송하는 이송롤러가 상,하측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송롤러가 헤드부와 나란히 설치되거나, 전방 또는 후방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수표를 밀거나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이송하였으므로, 수표가 상기 헤드부와 지지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슬립(slip)이 발생되거나 경로를 이탈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표를 좌우 양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수표인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수표의 이송시 이송롤러를 이용하여 전,후 양측에서 동시에 밀고 당김으로써, 수표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수표인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표를 헤드부에 밀착시켜 인식과정에서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표인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수표입출금장치에 설치되어 입금된 수표의 정보를 인식하는 수표인식장치에 있어서, 수표의 상,하면을 가이드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어 수표에 인쇄된 자기잉크를 자화하는 자석부와; 상기 받침대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자화된 자기잉크의 정보를 인식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수표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이송롤러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2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헤드부의 대향측에는 각각 지지롤러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수표를 상기 헤드부의 인식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지지롤러는 중심축의 양측이 각각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제1,2 이송부에는 이송롤러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수표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아이들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표인식장치가 구비된 수표입출금장치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표입출금장치에는 사용자가 수표를 투입하거나 방출된 수표를 수취하는 도어부(10)와, 사용자가 입금한 수표의 자기정보를 인식하는 수표인식장치(20)와, 상기 수표인식장치를 거쳐 정상적으로 입금된 수표에 정보를 인자하는 인자부(30)와, 상기 인자부를 거친 수표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저장부(40)와, 입금이 결정된 수표를 저장하는 입금박스(5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어부(10)에 투입된 수표는 다수개의 롤러(미부호)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이송되어 수표인식장치(20)에 도달한다. 수표인식장치(20)는 수표상에 자기잉크로 인쇄된 문자를 인식하며, 정상으로 판별된 수표만이 인쇄부(30)로 이송되고 나머지는 외부로 반출된다. 인쇄부(30)를 거쳐 입금자의 정보가 인쇄된 수표는 임시저장부(40)로 이송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어부(100)로 이송하여 반환하거나 입금박스(50)로 이송하여 입금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표인식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표인식장치는 수표의 상,하면을 가이드하는 받침대(21a)(21b)와, 상기 받침대(21a)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이송된 수표에 인쇄된 자기잉크를 자화하는 자석부(22a,22b)와, 상기 자석부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자화된 자기잉크의 정보를 인식하는 헤드부(23a,23b)와, 상기 헤드부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수표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이송롤러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2 이송부(24)(25)로 구성된다.
이때, 자석부(22a,22b) 및 헤드부(23a,23b)는 받침대(21a)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수표를 좌,우 양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표를 반대방향으로 투입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입금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받침대(21a)(21b)의 사이로 유입된 수표가 헤드부(23a,23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2 이송부(24)(25)가 그 수표를 전,후 양측에서 동시에 밀고 당김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슬립(slip)이나 경로이탈 등이 발생된 우려가 없다.
헤드부(23a,23b)의 대향측에 각각 지지롤러(26a,26b)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수표를 상기 헤드부의 인식면에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수표가 굴곡된 경우에도 밀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인식과정에서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롤러(26a,26b)의 양측에 탄성부재(27)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롤러의 중심축(260)을 헤드부(23a,23b)측으로 탄성지지하면, 수표의 밀착성을 더욱 향 상시킬 수 있다.
제1,2 이송부(24)(25)는 상부 받침대(21a)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송부는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두개의 이송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한개의 이송롤러로 구성된다.
또한, 하부 받침대(21b)의 하측에는 제1,2 이송부(24)(25)의 이송롤러와 밀착되어 수표를 이송하는 아이들롤러(28)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표를 좌,우 양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사용자가 수표를 뒤집어서 투입하지 않는 한 모두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수표의 이송시 이송롤러를 이용하여 전,후 양측에서 동시에 밀고 당김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슬립(slip)이나 경로이탈 등이 발생된 우려없이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롤러를 구비하여 수표를 헤드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인식과정에서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4)

  1. 수표입출금장치에 설치되어 입금된 수표의 정보를 인식하는 수표인식장치에 있어서,
    수표의 상,하면을 가이드하는 받침대(21a)(21b)와;
    상기 받침대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수표에 인쇄된 자기잉크를 자화하는 자석부(22a,22b)와;
    상기 받침대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자화된 자기잉크의 정보를 인식하는 헤드부(23a,23b)와;
    상기 헤드부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수표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이송롤러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2 이송부(24)(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3a,23b)의 대향측에는 각각 지지롤러(26a,26b)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수표를 상기 헤드부의 인식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26a,26b)는 중심축(260)의 양측이 각각 탄성부재(27)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이송부(24)(25)에는 이송롤러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수표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아이들롤러(2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KR1020040116761A 2004-12-30 2004-12-30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KR100613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761A KR100613889B1 (ko) 2004-12-30 2004-12-30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761A KR100613889B1 (ko) 2004-12-30 2004-12-30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085A KR20060078085A (ko) 2006-07-05
KR100613889B1 true KR100613889B1 (ko) 2006-08-21

Family

ID=3717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761A KR100613889B1 (ko) 2004-12-30 2004-12-30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8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865B1 (ko) 2008-04-07 2010-04-12 한국조폐공사 수표의 소속 및 레이블의 바뀜을 방지하는 검사장치
KR101056668B1 (ko) 2006-12-08 2011-08-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입출금장치의 수표문자인식방법
KR101112445B1 (ko) * 2008-09-25 2012-02-1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 인식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529B1 (ko) * 2008-09-09 2013-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번들 수표 입금기
JP2011026080A (ja) * 2009-07-27 2011-02-10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媒体搬送装置および紙幣取扱装置
KR101640984B1 (ko) * 2014-06-30 2016-07-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감지장치 및 금융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07A (ja) * 1993-07-16 1995-02-03 Omron Corp 小切手処理装置
KR19980019379U (ko) * 1996-10-01 1998-07-15 라종국 수표입출금장치
JP2000099803A (ja) 1998-09-18 2000-04-07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JP2001283401A (ja) 2000-03-30 2001-10-12 Seiko Epson Corp 磁気読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07A (ja) * 1993-07-16 1995-02-03 Omron Corp 小切手処理装置
KR19980019379U (ko) * 1996-10-01 1998-07-15 라종국 수표입출금장치
JP2000099803A (ja) 1998-09-18 2000-04-07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JP2001283401A (ja) 2000-03-30 2001-10-12 Seiko Epson Corp 磁気読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処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68B1 (ko) 2006-12-08 2011-08-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입출금장치의 수표문자인식방법
KR100951865B1 (ko) 2008-04-07 2010-04-12 한국조폐공사 수표의 소속 및 레이블의 바뀜을 방지하는 검사장치
KR101112445B1 (ko) * 2008-09-25 2012-02-1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 인식 장치 및 방법
US8363920B2 (en) 2008-09-25 2013-01-29 Nautilus Hyosung Inc. Cheque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085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3453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закций
JP2009113941A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0613889B1 (ko)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KR101112445B1 (ko) 수표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10086006A (ja) 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の照合方法。
KR100980075B1 (ko)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KR20120078770A (ko) 지폐저장장치
KR20090093701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CN102050346A (zh) 运送方向切换装置以及纸片类运送装置
CN211283015U (zh) 一种薄片类介质输送机构及现金循环处理设备
KR101354514B1 (ko)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US20150353310A1 (en) Paper medium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said paper medium
KR101056668B1 (ko) 수표입출금장치의 수표문자인식방법
KR10150833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KR200374272Y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US9047726B2 (en) Method for separating a stack of value documents
KR101019409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지폐가압장치
KR101252683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시스템
KR20070122007A (ko)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수납인입부 반송장치
KR20140084742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기구
CN213211153U (zh) 出入钞装置和现金循环处理设备
KR200452066Y1 (ko) 수표입금기의 수표 정렬장치
KR102004729B1 (ko) 금융기기
KR10262387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입금지폐 처리 방법
JP2007286920A (ja) 紙葉類処理システム、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