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975B1 -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975B1
KR900001975B1 KR1019840004670A KR840004670A KR900001975B1 KR 900001975 B1 KR900001975 B1 KR 900001975B1 KR 1019840004670 A KR1019840004670 A KR 1019840004670A KR 840004670 A KR840004670 A KR 840004670A KR 900001975 B1 KR900001975 B1 KR 900001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temporary storage
withdrawal
bi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063A (ko
Inventor
아끼라 타쓰하라
사토투 타까마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1019840004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975B1/ko
Publication of KR86000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지폐 입출금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써, 제1도는 자동지폐입출금 장치를 일부절결한 사시도.
제2a 및 b도는 입출금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제3도 내지 제6도는 지폐의 취입 : 취출장치를 각각 상이한 동작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
제7도는 일시 집적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8도는 집적, 취출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9도는 취출기구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분리기구 및 집적, 취출장치를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
제12도 내지 제15도는 집적, 취출장치를 각각 상이한 동작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
제16도는 동작을 제어하는 블록다이어 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17도는 내부 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8도는 원격 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9도는 입금처리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0도는 입금반환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1도는 출금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2도는 회수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3a, b, c 및 d도는 장전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제24도는 장전시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5도는 장전시의 저어널의 인자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6도는 장전시 및 장전반환시의 반환 처리에 있어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7도는 보충장전시의 저어널의 인자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8a 및 b도는 정사(精査)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제29도는 정사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30도는 정사시의 저어널의 인자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1a, b 및 c도는 일부 정사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제32도는 일부 정사시의 저어널의 인자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출금장치 2 : 본체
3 : 조작반부 4 : 통장삽입구
5 : 카아드 삽입부 6 : 전표 발행구
7 : 입출금구(통화취급구) 8 : 조작버튼
9 : 조작부 10 : CRT표시부
11 : 카아드/전표처리 유니트 12 : 입출금 기구
13 : 내부모니터 장치 14 : 유니트 본체
15 : 지폐 취입, 취출장치 16, 17, 18, 19 : 금고카세트
20, 21, 22, 23 : 지폐수납부 28, 29, 30, 31 : 분리기구
32, 33, 34, 35 : 지폐일시보관부 36 : 감사부
37 : 표리반전부 38 : 일시 집적부
40a∼40u : 지폐통과 검지기 41a∼41i :지폐유무 검지기
42 : 공배검지기 43 : 공배예비검지기
44 : 만배검지기 45 : 만배예비검지
50 : 도어체 51 : 지폐일시수납실
52 : 가이드판 53, 54 : 반송벨트
57 : 취입로울러 66 : 반송벨트
69 : 스프링 71 : 아암
76 : 가이드판 80 : 지폐일시 집적실
86 : 팔랑개비 91 : 스토퍼
100 : 팔랑개비 112 : 취출구
150 : 주체어부
본 발명은 자동지폐 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은행내부의 한쪽 구석에 설치되어 자동지폐 입출금을 처리하는 자동지폐 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자동지폐 거래장치로 입출금장치가 실용화되어 좋은 성과를 올리고 있다. 이와 같은 입출금장치는 ATM(Automated Teller Machine)으로서 은행내부의 한쪽구석에 설치된다. 이 ATM은 카아드, 통장등의 매체를 사용해서 자동적으로 현금(지폐)을 인출(출금), 또는 예입(입금)등의 거래를 고객 자신의 조작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ATM은 은행창구의 영업종료후에도 시간을 연장해서 가동시킬 수가 있고, 또 백화점, 슈퍼마켓등의 상점내에 설치하여 무인판매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으므로 앞으로 많은 설치대수의 증가가 예상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입출금장치의 운용효율화는 인원의 효율화, 합리화와 함께 은행등의 금융기관에서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입출금장치에 있어서는 지폐수납부로부터 일단 취출된 지폐를 다시 원래의 지폐수납부로 수납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해 출금거래시 지폐를 지폐수납부로부터 꺼낸후에 그 거래가 속행불능인 경우 이미 꺼낸 지폐는 계원이 처리해야만 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장치의 운용이 번잡해지고 또한, 지폐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기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는 상기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금거래의 성사여부를 문의하는 호스트 컴퓨터와의 교신처리가 종료되고 거래성립이 판명되었을 때 비로서 출급지폐의 취출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은 출금거래의 처리시간이 길어지고 지폐의 이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연구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금거래의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지폐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지폐 입출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출금거래개시시, 거래지정에 따라 지폐수납부로부터 통화를 취출하는 출금동작과 호스트컴퓨터와의 교신을 동시에 개시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한 특징적인 예에 따르면, 호스트컴퓨터와 교신함으로써 거래처리를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자동지폐 입출금장치에 있어서, 거래대상의 지폐가 수납되는 수납수단과, 이 수납수단의 통화를 통화취출구에 대응해서 설치된 일시집적부로 반응하는 반송수단과, 출금거래개시시 상기 수납수단으로부터 거래지정에 따라 지폐를 취출하는 출금동작과 상기 호스트컴퓨터와의 교신을 병행해서 실시하는 수단과, 상기 거래지정에 따라 취출된 수단을 일시집적부에 집적하는 수단과, 거래성립시 상기 일시집적부의 지폐를 상기 통화취출구로부터 방출하는 출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입출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자동지폐 입출금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자동지폐 입출금장치로서의 지폐자동 순환식의 입출금장치(1)를 도시한다. 이 출금장치(1)는 본체(2)를 구비하고, 본체(2)의 접객면측에 조작반부(3)가 형성된다. 조작반부(3)의 수직반부(3a)에는 통장 삽입구(4), 카이드 삽입구(5), 및 전표발생구(6)가 설치되고, 또 조작반부(3)의 수평조작반부(3b)에는 입금구와 출금구를 겸용하는 입출금구(통화취급구, 7), 복수의 조작버튼(8) …을 가진 조작부(9), 및 안내표시부, 즉 CRT표시부(10)가 설치된다.
또, 본체(2)내에는 통장삽입구(4)로부터 삽입된 통장을 받아 그 자기(磁氣)정보의 판독 및 기록을 하는 동시에, 거래내용의 인자를 하는 통장판독/인자장치(도시생략), 및 카아드 삽입구(5)로부터 삽입된 자기 카아드의 취급과 전표 발행구(6)에 대한 전표발행 및 저어널의 사본 작성을 실시하는 카아드/전표처리 유니트(11)가 설치된다. 또, 본체(2)내에는 망각한 지폐의 입금반환, 망각회수, 장전 및 정사기능을 하는 입출금기구(12), 및 내부모니터 장치(13)가 수용된다.
다음에 제2A도 및 제2B도를 참조하여 입출금기구(1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중 참조번호(14)는 입출금기구(12)의 유니트본체를 나타낸다. 이 유니트본체(14)내의 앞쪽(접객면 방향)상부에는 입출금구(7)에 대응해서 지폐취입, 취출장치(15)가 설치된다. 또, 유니트 본체(14)내의 뒤쪽(반접객면 방향)에는 아래에서 위로 제1, 제2, 제3, 제4의 금고카세트(16, 17, 18, 19)가 배치된다. 이들 제1 내지 제4의 금고 카세트(16, 17, 18, 19)는 입출금장치(1)의 본체(2)에 설치된 뒤쪽 도어(2a)를 개방함으로써 각각 본체(2)의 뒤쪽으로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유니트본체(14)내의 앞뒤방향(도면중 좌우방향)을 따라 거의 중앙부에는, 각 지폐수납부(20, 21, 22, 23)의 취출구에 각각 대향해서, 제1, 제2, 제3, 제4의 집적, 취출장치(24, 25, 26, 27)가 배치된다. 각 지폐수납부(20, 21, 22, 23)에는 현재의 거래와 전회까지의 거래를 분리구분하는 구분수단으로서의 분리기구(28, 29, 30, 31)가 각각 설치된다. 각 분리기구(28, 29, 30, 31)와 각 집적, 취출장치(24, 25, 26, 27) 사이에는 지폐 일시보관부(32, 33, 34, 35)가 각각 형성된다.
또, 유니트본체(14)내의 앞쪽의 상하방향에 따르는 거의 중앙부에는 감사부(36)가 배치된다. 이 감사부(36)의 하방에는 표리반전부(37), 앞쪽에는 일시 집적부(38)가 설치된다.
또, 유니트본체(14)내에는 지폐반솔로 R가 형성되어 통화, 예를들면 지폐 A를 각부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지폐 반송로 R는 지폐 A를 지폐 취입, 취출장치(15)로부터 감사부(36)를 통하여 감사부(36)와 일시집적부(38)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의 분기부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1과 ; 지폐 A를 제1의 분기부로 부터 R1의 감사부(36)에의 입구부분에 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2와 ; 제1의 분기부로부터 일시집적부(38)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3와 ; 일시집적부(38)로부터 지폐 취입, 취출장치(15)가지 반송하는 제3의 반송수단인 반송로 R4와 ; 반송로 R2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1의 집적, 취출장치(24)의 앞쪽하방에 위치하는 제2의 분기부로부터 지폐수납부(20)의 하방에 배치된 배제권 집적부(49)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5와 ; 반송로 R2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1의 집적, 취출장치(24)의 앞쪽상방에 위치되는 제3의 분기부로부터 제1의 집적, 취출장치(24)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6과 ; 반송로 R2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2의 집적, 취출장치(25)의 앞쪽상방에 위치하는 제4의 분기부로부터 제2의 집적, 취출장치(25)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7과 ; 반송로 R2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3의 집적, 취출장치의 앞쪽상방에 위치하는 제5의 분기부로부터 제3의 집적, 취출장치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8과 ; 제1의 집적, 취출장치(24)로부터 반송로 R2의 제1의 집적, 취출장치(24)의 앞쪽에 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9와 ; 제2의 집적, 취출장치(25)로부터 반송로 R2의 제2의 집적, 취출장치(25)의 앞쪽에 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10과 ; 제3의 집적, 취출장치(26)로부터 반송로 R2의 제3의 집적, 취출장치(26)의 앞쪽에 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11과 ; 반송로 R2에 규정되어 감사부(36)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6의 분기부로부터, 반송로 R2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2의 분기부의 앞쪽에 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고, 이곳으로 반송되는 지폐를 180°뒤집는 반송로 R12와 ; 반송로 R1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4의 집적, 취출장치(27)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7의 분기부로부터 제4의 집적, 취출장치(27)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13과 ; 제4의 집적, 취출장치(27)로부터 반송로 R2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4의 집적, 취출장치(27)의 앞쪽 하방에 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14와 ; 반송로 R3의 도중에 규정된 제8의 분기부로부터 반송로 R1의 도중에 규정된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R15를 구비한다.
또, 제1내지 제8의 분기부에는 제1내지 제8의 배분게이트(39a, 39c, 39d, 39f, 39b, 39h)가 각각 배치되며, 각 배분게이트는 각 분기부에 도달한 지폐를 계속되는 2개의 반송로의 어느 한쪽으로 유도하도록 제어한다. 각 배분게이트(39a) 내지 (39h)는 도시를 생략한 회전형 솔레노이드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된다.
또, 지폐반송로 R의 도중에는, 각 장소에 지폐통과 검지기(40a) 내지 (40u)가 배치되며, 그리고 지폐 A…가 집적되는 각 집적 장소에는, 지폐유무검지기(잔류체크센터)(41a) 내지 (41i)가 각각 배치된다. 지폐통과검지기(40a) 내지(40a) 및 지폐유무검지기(41a) 내지 (41i)는 각각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공지의 구성이다.
또, 각 지폐수납부(20, 21, 22, 23)에는 각각 만배검지기(44), 만배예비검지기(45), 공배검지기(42) 및 공배예비검지기(43)가 설치된다. 각 검지기(42, 43, 44, 45)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고, 후기하는 압판(98)에 고정된 이동체(99)에 의하여 온-오프되어 각 검출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해서 입출금구(7) 및 이 입출금구(7)에 대향해서 배치된 지폐취입, 취출장치(15)를 설명한다. 지폐취입, 취출장치(15)는 취입기구(15a)와 취출기구(15b)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중 참조번호(50)은 입출금구(7)를 개폐하는 도어체(50)를 나타낸다. 이 도어체(50)의 손잡이(50a)는 수평조작반부(3b)의 상면에서 함몰된 위치에 설정되고, 핸드백 등의 고객의 소지품으로 도어체(50)의 개폐동작이 저해당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도어체(50)에 의해서 개폐되는 입출금구(7)의 하방에는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납하는 지폐일시수납실(51)이 형성된다. 이 지폐일시수납실(51)의 저부에는 가이드판(52)이 설치되며, 또 양극면부에는 취입기구(15a)가 설치된다. 이 취입기구(15a)는 제1의 반송벨트(53) 및 취출기구(15b)에 설치된 제2의 반송벨트(54)의 상호 대향면부에 의하여 각각 규정된다.
또, 취입기구(15a)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제1의 반송벨트(53)의 상하에는 풀리(55, 56)에 가설되며, 하방에 위치하는 풀리(55)와 동축상태로 취입로울러(57)가 설치된다. 이 취입로울러(57)는 풀리(55)에 가설된 제1의 반송벨트(53)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풀리(55)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 취입로울러(57)이 하단부는 복수매 취입방지 수단인 역전브레이크벨트(58)와 접촉상태로 된다.
한편, 상기 제2의 반송벨트(54)와 네스트(nest)상태로 백업체(59)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백업체(59)는 리니어 베어링(60)을 거쳐서 수평으로 뻗어나온 가이드 샤프트(61)에 장착된다. 이 백업체(59)는 도시를 생략한 백업체 작동기구에 의하여, 가이드 샤프트(61)를 안내로 하여 지폐일시 수납실(51)내의 지폐 A를 제1의 반송벨트(53)에 압압하기도 하고, 지폐일시수납실(51)로부터 후퇴하기 위해 제2의 반송벨트(54)보다도 도면에서 좌측하방위치로 이동된다.
또, 취출기구(15b)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취입로울러(57)에 대향해서 제3의 반송벨트(62)가 가설된 풀리(도시생략)가 배치된다. 이 풀리와 일체로 풀리(63)가 설치된다. 한편, 이 풀리(63)의 상방에는 풀리(64)가 설치된다. 이 제3의 반송벨트(62)와 지폐일시수납실(51)의 저부에 배치된 풀리(65)에 가설된 제4의 반송벨트(66)와의 상호 대향부에 의하여, 지폐반송로 R의 일시집적부(38)로부터 지폐일시수납실(51)에 지폐 A…를 반출하는 제3의 반송수단인 반송로 R4가 형성도된다.
또, 풀리(64)는 아암(71)의 자유단부에 장착된다. 이 아암(71)은 기단부를 하측에 풀리(63)이 지축(68)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69)에 의하여 지폐일시 수납실(51)에서 후퇴하여 스토퍼(70)에 당접하는 위치를 향해서 가압된다.
이 아암(71)은 아암작동기구(72)에 의한 스프링(69)의 가압력에 반발하여 지축(68)을 지점으로 회전이동하여 지폐일시 수납실(51)내에 들어갈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플런저형 솔레노이드(73)의 플런저(73a)에 일단을 연결시키고, 중도부를 가이드풀리(74)에 가설하고, 타단부를 아암(71)의 기단부에 연결시킨 스프링(75)이 연결된다. 이 스프링(75)은 스프링(69)보다 강한 가압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플런저형 솔레노이드(73)가 여자되면, 플런저(73a)가 당겨져셔 아암(71)은 스프링(69)의 가압력에 반발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지폐일시수납실(51)내에 들어간다.
또, 취입로울러(57)의 회전에 의하여 1장씩 취입된 지폐 A는 가이드판(76)에 의해서 안내되어 지폐 반송로 R의 반송로 R1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송벨트(77), (78)간에 이송된다. 또, 반송벨트(77)가 가설된 종동 로울러는 역전브레이크밸브(58)가 가설된 풀 리가 장치된 축에 대해 회전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지폐일시수납실(51)내에는 이곳의 지폐 A…이 유무를 검지하는 2개의 지폐유무검지기(41a) 및 (41b)가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방의 지폐유무검지기(41a)는, 최대크기의 지폐가 지폐일시수납실(51)내에 정확히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그 지폐 A의 상단부와 검지기(41b)의 광측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도록 위치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수광소자는 발공소자로 부터 빛을 받아 "명(明)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 하방의 지폐유무검지기(41a)는 지폐 A의 상단부를 출금동작이나 입금반환동작시에 있어서, 입출금구(7)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했을 때, 지폐 A의 하단부와 검지기(41a)의 광측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도록 위치설정된다. 이 상태로 수광소자는 발광소자로부터 빛을 받아 "명"의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입금시의 지폐의 취입동작을 설명한다. 고객이 입금을 지시하면, 도어체(50)는 도시를 생략한 모우터에 의하여 도면에서 우측으로 당겨져서 제3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입출금구(7)를 개방한다. 이때 백업체(59)는 제3도에 도시와 같이 지폐일시수납실(51)에서 후퇴된 위치에 있으므로 고객은 입출금구(7)로부터 지폐일시수납실(51)에 금종(돈의 종류가 다름)이나 표리가 혼합된 지폐다발 A…를 세운 상태로 일괄투입이 가능하다. 투입후 지폐 투입종료의 신호로서 고객은 도어체 손잡이(50a)를 통하여 도어체(50)를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해서 입출금구(7)를 폐쇄한다. 이 폐쇄종료를 도시를 생략한 검지기가 검지하여 지폐의 취입동작으로 들어간다.
우선 제4도의 도시와 같이 도면에서 우측의 제1의 반송벨트(53)가 화살표의 표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주행한다. 이 주행에 따라서 원주의 일부에 고마찰 계수의 고무가 부착된 취입로울러(57)도 회전을 시작한다. 한편, 동시에 백업체(59)가 도시를 생략한 백업체 작동기구에 의하여 도면중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지폐다발 A는 우측으로 압압되어 취입로울러(57)와 제1의 반송벨트(53)에 압착된다. 이때 백업체(59)는 도시를 생략한 스프링을 중간에 넣어서 지폐다발을 압착하는 구성을 취한다. 따라서 지폐다발 A…의 두께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폐다발을 압착할 수 있는 동시에 백업작동기구에 무리한 작용을 주는 일이 없다.
취입로울러(57)의 회전에 따라 이것에 접촉하는 지폐 A가 취입된다. 이때 지폐 A의 취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역전 브레이크벨트(58)에 의하여 2장째 이후의 지폐 A의 취입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지폐일시수납실(51)내의 지폐 A…는 차례로 1장씩 취입되어 반송벨트(77) 및 (78) 사이에서 규정되는 반송로 R1으로 이송된다.
다음에, 제5도를 참조해서 입출금구(7)로 되돌아온 반환지폐 A의 지폐일시수납실(51)에 대한 주고받기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입출금구(7)는 도어체(50)에 의하여 폐쇄된다. 백업체(59)는 도면중 좌측방향으로 이동해서 지폐일시수납실(51)로부터 후퇴한다. 이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반송벨트(62) 및 (66) 사이에 형성되는 제3의 반송수단인 반송로 R4를 거쳐서 일괄적으로 이송되는 지폐다발 A의 선단이 제2의 반송벨트(54)와 제1의 반송벨트(53)와의 상호 대향면 사이에서 규제되는 지폐일시수납실(51)내에 침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지폐 A의 지폐일시수납실(51)에 대하여 주고 받기가 완료된 후 입금시의 배제 지폐와 같이 재차 지폐의 독취(讀取)가 필요한 것은 도어체(50)를 폐쇄한 채로 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 취입동작을 재차 반복한다.
또, 입금시의 자동반환지폐, 출금시의 지불지폐와 같이 재차 독취를 하지 않고 고객에게 직접 반환, 지불을 하여 발취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제6도의 도시와 같이 백업체(59)는 도면중 좌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된다. 지폐 A의 반송동작을 한번 정지한 상태에서 플런저형 솔레노이드(73)를 여자시켜서 제2의 반송벨트(54)가 가설된 풀리(64)가 장치된 아암(71)을 지축(68)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다. 그리고 지폐일시수납(51)내의 지폐다발 A…를 제1의 반송벨트(53)와 제2의 반송벨트(54)로 협지한다.
그후, 도어체(50)를 도시한 생략한 모우터에 의해 이동시켜 입출금구(7)를 개방한다. 이 개방동작후 좌측의 제2의 반송벨트(54)는 통상의 반응속도 1/10로 속도를 감속시킨 느린 반응속도로 화살표의 도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주행시킨다. 한편, 동시에 우측의 제1의 반송벨트(53)도 동일하게 감속해서 화살표의 표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지폐다발 A…를 상방으로 내보낸다. 여기에서 하방의 지폐 유무검지기(41a)가 "명"신호를 출력하면 양반송벨트(53), (5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때, 지폐다발 A…는 절반이상 입출금구(7)에서 돌출한 상태로 정지하고 있다. 이로인해 고객은 쉽게 이 지폐다발 A…를 꺼낼 수 있다.
또, 스프링(75)의 가압력에 의하여 확실히 협지되고 있으므로 낙하되거나 바람으로 날리는 일이 없다.
한편, 고객의 지폐다발 A…를 발취한 사실이 상방의 지폐유무검지기(41b)가 "명"신호를 출력하므로써 검지되면 도어체(50)에 의하여 입출금구(7)가 폐쇄된다. 한편, 이 타이밍으로 플린저형 솔레노이드(73)가 소자되어서 아암(71)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또, 좌측에 위치하고 있던 백업체(59)가 제3도에서 도시하는 위치에 복귀되어 다음의 스탭으로 진행된다.
만약, 소정의 시간이 지나도 지폐유무검지기(41b)가 "명"신호를 출력하지 아니할때는 고객이 지폐 A…의 발취를 잊어버린 것으로 판단하여 회수동작이 실행된다. 우선 제1 및 제2의 반송벨트(53) 및 (54)는 지폐A…를 협지한 채로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통상의 반송속도의 1/10의 저속도로 주행한다. 이 주행을 상방의 지폐유무검지기(416)가 "명"신호를 출력할때까지 실시된다. "명"신호 가출력되는 것은 모든 지폐 A가 완전히 지폐일시수납실(51)내로 취입된 것을 뜻한다. 따라서, 플린저형솔레노이드(73)의 여자를 해제하여 제2의 반송벨트(54)가 가설된 풀리(64)가 장치된 아암(71)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도어체(50)에 의하여 입출금구(7)를 폐쇄한다.
제4도를 참조하면, 잊어버린 지폐는 상기한 통상의 입금취입의 일련의 동작에 의하여, 한 장씩 차례로 취입된다.
다음에, 제7도를 참조하여 일시 집적부(38)를 설명한다. 이 일시 집적부(38)는 집적기구(38a)와 취출기구(38b)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80)는 지폐일시접적실을 나타낸다. 이 지폐일시접적실(80)의 저부에는 가이드판(81)이 설치되며, 또, 양측면부는 집적기구(38a) 및 취출기구(38b)의 반송벨트(82), 제3의 반송벨트(62)의 연장부(62a)의 상호 대향면부에 의하여 각각 규정된다. 또, 지폐일시접적실(80)의 상방에 배치된 풀리(83) 및 도시를 생략한 풀리에 가설된 반송벨트(84)와, 반송벨트(85)와의 상호 대향부에 의하여 지폐반송로 R의 반송로 R3가 형성된다. 이 반송로 R3를 거쳐서 제8의 분기부에 설치된 배분 게이트(39h, 제2A도에 도시)에 의하여 배분된 지폐 A는 지폐일시접적실(80)로 유도된다.
또, 반송로 R3의 종단하방에는 팔랑개비(86)가 설치된다. 반송벨트(84),(85)로 협지되어 차례로 1장씩 반송되어 온 지폐 A의 선단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팔랑개비(86)의 날개사이에 들어간다. 이어서, 반송벨트(84)에 의하여 선단이 가이드되면서 하방으로 안내되어 반송벨트(82)에 당접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그러면 그 선단이 팔랑개비(86)에서 빠져나온다. 이때 지폐 A의 후단측(상단측)은 팔랑개비(86)의 날개(86a)와 반송벨트(84)와의 사이에서 협지된다. 이로인해 지폐 A는 반송벨트(82)를 따라 하방으로 반송되어 지폐 A의 후단이 반송벨트(84)에서 벗어난 위치에 도달하면, 다음의 날개(86a)에 의해서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튀어 나온다. 그리고, 반송벨트(82)와의 사이에 충분한 극간을 형성한 상태로 지폐 A는 지폐일시접적실(80)내에 집적된다. 후속의 지폐 A는 이 집적된 지폐 A와 반송벨트(82)와의 사이에 침입하여 상기와 같은 처리로 지폐일시집적실(80)내에 집적된다.
한편, 팔랑개비(86)으로부터 지폐 A를 벗어나게 하는 가이드가 되는 반송벨브(82)는 팔랑개비(86)의 주측(86b)의 근방에 위치하는 풀리(87)와 가이드판(81)의 하방에 위치하는 풀리(88)에 가설된다. 또, 상측의 풀리(87)는 하측의 풀리(88)의 지축(89)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아암(92)의 자유단측에 장착되어 있고, 이 아암(92)은 스프링(90)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91)에 당접하고, 지폐일시 집적실(80)에서 후퇴하는 위치까지 가압된다. 이 아암(92)은 상기의 지폐취입, 취출장치(15)의 아암작동기구(72)(제3도 내지 제6도 참조)와 동일한 아암작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지축(89)을 중심으로 스프링(90)의 가압력에 반발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그리고, 아암(92)이 이와 같이 회전이동함으로써 제7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지폐일시 집적실(80)내의 지폐 A…는 반송벨트(62)의 연장부(62a)에 압접하게 된다.
또, 반송벨트(82)는 도시를 생략한 구동기구를 통하여 반송벨트(62)와 같은 속도로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지폐일시 집적실(80)내의 지폐 A…는 일괄해서 지폐반송로 R의 반송로 R4내로 이송된다.
또, 지폐일시 집적실(80)내의 지폐 …의 유무는 지폐유무검지기(41c)의 "암(暗)", "명(明)" 신호에 의하여 각각 검지된다.
또, 표리반전부(37)는 반송로 R12에 있어서 지폐 A를 협지반송하는 반송벨트의 반송방향에 따라 180°방향전환된 부분에서 규정되는데, 이것은 공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8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4의 접적취출장치(24, 25, 26, 27) 및 칸막이 수단으로서의 분리기구(28, 29, 30, 31)를 설명한다. 이들은 모두 동일 구성을 이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제1의 집적, 취출장치(24) 및 제1의 분리기구(28)만을 설명하고, 다른 설명을 생략한다. 제8도의 도면에서 참조번호(100)는 한쌍의 집적용 팔랑개비를 도시한다. 양 팔랑개비(100)는 한쌍의 프레임(101)에 각각 장치된 한쌍의 축받이(102, 제10도)를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횡적으로 가설된 공통의 샤프트(103)에 장착된다. 또 샤프트(103)는 펄스모우터(104)를 구동원으로 하는 동력전달계(105)를 거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또, 집적용 팔랑개비(100)의 외측에는 외주부가 팔랑개비(100)의 외주부와 일부 겹친상태로 취출기구로서의 한쌍의 회전체(106)가 형성된다. 각 회전체(106)는 팔랑개비(100)가 장치된 샤프트(103)와 평행으로 횡적으로 가설된 중공 샤프트(107)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된다. 또 각 회전체(106)는 도시를 생략한 구동기구를 거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각 회전체(106)는 제9도의 도시와 같이 외주의 일부가 고무등의 고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 각 회전체(106)의 외측면도에는 각도 θ(실시예에서는 45°)의 범위로 복수의 흡착공(106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샤프트(107)에는 중공부를 거쳐서 도시를 생략한 진공원과 연통된 통공(107a)이 형성된다. 흡착공(106a)은 소정의 타이밍마다 이 통공(107a)에 대향되므로써 가장 많이 여기에 접촉하는 지폐 A를 차례로 흡착하도록 구성된다.
또, 이 취출기구로서 회전체(106) 및 팔랑개비(100)가 가동체(108)에 무리없이 설치된다. 이 가동체(108)는 제10도와 같이 지축(109)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지축(109)은 펄스 모우터(110)를 구동원으로 하는 동력전달계(111)에 연결되고, 이 동력전달계(111)를 거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가동체(108)는 제11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집적위치와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취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편위가 가능하다. 그리고 팔랑개비(100)에 의한 집적동작시 가동체(108)는 집적위치로 이동되어 가동체(108)의 일부가 팔랑개비(100)와 교차하여 지폐 A를 팔랑개비(100)에서 벗어나게 하는 가이드부(108a)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다른부분이 지폐수납부(20)의 취출구(112)를 폐쇄하는 스토퍼부(108b)로서의 기능도 한다. 또, 회전체(106)에 의한 지폐A…의 취출시 가동체(108)는 일정각도만큼 회전이동함으로써 집적위치로부터 취출위치로 이동되어 가이드부(108a)가 지폐 A를 취출방향(아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가로방향)에서 압압지지하고 동시에, 스토퍼부(108b)가 취출구로부터 후퇴하게 된다.
또, 취출구(112)에는 회전체(106)에 의하여 흡착취출되는 지폐 A에 부수하여 취출되려고 하는 2장째 이후의 지폐 A…를 분리하는 2장갑이 방지로울러(113)가 설치된다.
또, 제8도는 도시와 같이 팔랑개비(100)의 상방부위에는 반송로 R의 반송로 R2로부터 분기한 R6의 종단이 인접된다. 배분게이트(39d)를 통해 배분된 지폐 A는 반송로 R6을 거쳐 팔랑개비(100)로 인도된다. 또, 팔랑개비(100)의 하방부위에는 종단부를 반송로 R2에 합류시킨 반송로 R9가 형성된다. 취출기구로서의 회전체(106)를 통해 취출된 지폐 A는 반송로 R9를 거쳐 반송로 R2로 이송된다.
반송로 R2는 복수의 가이드로울러(114)에 설치된 반송벨트(115)와, 이 반송벨트(115)에 그 일부가 접촉하도록 가이드로울러(116)에 설치된 복수(4개)의 반송벨트(117)와의 상호 대향면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 반송로 R6는 반송벨트(117)와 이 반송벨트(117)의 상면부에 일부가 접촉하도록 가이드로울러(118)에 설치된 반송벨트(119)와의 상호대향면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 최하단에 위치하는 반송로 R5는 반송벨트(119)와, 이 반송벨트(119)의 하면부에 그 일부가 접속하도록 설치된 반송벨트(120)와의 상호 대향면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다음에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칸막이 수단으로서의 분리기구(28, 29, 30, 31)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들 분리기구(28)∼(31)는 동일구성을 이루고 있다. 즉, 제2의 지폐수납부(23) 및 제1의 지폐수납부(21,22) 그리고 지폐수납부(20)에는 각각 받침대(130)가 설치된다. 이 받침대(130)위에는 이위에 집적된 지폐A…를 에워싸는 상태로 장방형틀체 모양의 가동체(131)가 설치된다. 이 가동체(131)는 도시를 생략한 리니어베어링을 거쳐서 가이드로드(128), (129)에 의하여 지폐다발 A…의 집적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지지된다. 이 가동체(131)이 상하 양수평틀체(131a, 131b)에는 복수의 돌출부(132a)…, (133a)…을 가진 플랩퍼(132, 133)가 지축(134, 135)을 지점으로 하여 각각 회전이동 가능하게 정착된다.
또 이들 플랩퍼(132, 133)에는 펄스 모우터(136)의 구동력이 링크기구(137)를 거쳐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돌출부(132a)…, (133a)…는 지폐 A…이 집적영역에 대하여 삽입, 제거가 가능하도록 이동된다.
또, 제11도의 도시와 같이 한쪽의 가이드 로드(129)의 일단부의 근방에는, VR형태의 펄스모우터(138)의 구동축에 장치된 구동풀리(139)가, 또 다른 단부의 근방에는 종동풀리(140)가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가동체(131)에는 이들 풀리(139), (140)에 가설된 타이밍 벨트(141)의 중도부가 연결된다. 통상 이 가동체(131)를 정상정치 위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2B도의 도시와 같이 초기 위치검지기(142) 및 전진위치용 검지기(143)가 각각 형성된다. 이들 검지기(142), (143)가 설치된 위치에서 가동체(131)가 각각 정지된다. 또, 가동체(131)가 전진위치로 전진해도 각 플립퍼(132), (133)의 돌출부 (132a)…, (133a)…는 집적, 취출장치(24), (25), (26), 및 (27)에 당접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한다.
또, 도면에서 참조번호(144)는, 지폐일시 보관부(32)의 양측단면을 형성하며, 도시를 생략한 수단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지폐 A의 길이방향의 정위(위치정돈)를 하는 정위가이드판을 표시한다.
또, 제8도의 지폐의 지폐일시보관부(32)에 대한 집적상태를 도시한다. 제12도는 집적, 취출장치(24) 및 분리기구(28)의 입금취입의 상태, 제13도는 입금반환의 상태, 제14도는 출금시의 상태, 그리고 제15도는 출금후 대기시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즉 지폐일시보관부(32)에 대한 집적시에는, 가동체(108)는 제8도의 도시와 같이 좌측으로 회전이동하고, 가이드부(108a)는 팔랑개비(100)와 무리없이 배치되는 동시에 스토퍼부(108b)는 지폐취출부(112)를 폐쇄한다. 또, 분리기구(28)의 각 플랩퍼(132), (133)의 돌출부(132a), (133a)는 이미 지폐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선두의 1장을 파지하고 있다. 지폐일시보관부(32)에 집적된 지폐를 지폐수납부(20)로 취입할 시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제12도의 도시와 같이, 돌출부(132a), (133a)는 지폐를 파지하는 위치로부터 파지하지 않는 위치까지 일단 외측으로 회전이동된다. 이와 같이 지폐일시보관부(32)에 집적된 지폐는 이미 지폐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던 지폐와 합쳐진다. 그후 돌출부(132a), (133a)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지폐의 선두의 1장을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입출금이 불성립되거나 고객이 입금을 승인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13도의 도시와 같이 돌출부(132a)(133a)는 지폐를 파지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동시에, 가동체(108a)는 우측으로 회전이동되어, 가이드부(108a)가 지폐일시보관부(32)에 집적된 입금지폐의 선두의 1장에 맞물리는 동시에, 스토퍼부(108b)가 지폐취출구(112)로부터 이동되어서 이것을 개방한다. 그후, 회전체(106)의 회전에 의하여 일시보관부(32)에 집적된 입금지폐는 1장씩 취출된다. 또 이미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었던 지폐는 돌출부(132a), (133a)에 의하여 입금지폐와는 격리되어 있으므로 회전체(106)에 의하여 취출될 염려는 없다.
또, 출금시에는 제12도의 상태에서 제14도의 상태로 돌출부(132a), (133a)는 지폐를 파지하는 위치에서 파지하지 않는 위치로 회전이동하는 동시에, 가동체(108)는 우측으로 회전이동된다. 그후 회전체(106)의 회전에 의하여 지폐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는 1장씩 취출된다. 또, 소정의 매수의 출금동작을 완료하면, 제14도의 상태로부터 제15도의 상태로 돌출부(132a), (133a)는 지폐의 선두의 1장에 걸어 맞추는 대기상태로 세트된다. 이 대기상태는 입출금장치(10)에 아무런 동작이 지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집적, 취출장치(24) 및 분리기구(28)가 취하는 상태이다.
제16도는 입출금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블록선도를 나타낸다. 즉 주 제어부(150)는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억장치(152)는, 예를 들면 ROM(리드. 온리. 메모리)로 구성되며, 제어프로그램등이 기억되어 있다. 입출금기구 제어부(151)는 주 제어부(150)로부터의 신호와 감사제어부(15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입출금기구(12)를 제어한다. 감사제어부(155)는 감사부(36)를 제어한다. 조작반부· 내부모니터장치 제어부(153)는 조작반부(3) 및 내부모니터장치(13)를 제어한다. 카아드·전표처리 제어장치(154)는 카아드, 전표처리 유니트(11)를 제어한다. 통장 판독인자 제어부(156)는 통장삽입구(4)로부터 삽입된 통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하는 동시에 통장 및 저어널의 거래내용을 기록하는 통장판독 인자장치(157)의 제어를 실시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주 제어부(150)는 입출금기구(12)내의 각 검지기로부터의 신호 및 감사부(36)로부터의 감사신호에 따라 제1지폐수납부(21, 22) 및 제2지폐수납부(23)에의 수납매수를 계산하거나, 금종(권종)마다의 수납매수, 장진배수, 정사매수 등을 계수한다. 또, 주 제어부(150)는 원격모니터 입출력제어부(159)를 통하여 입출금기구(1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원격모니터 장치(175)를 제어한다. 또 주 제어부(150)는 통신제어부(158)에 의하여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로서 기능하는 중앙처리 장치(도시생략)와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모니터장치(13)는 제17도의 도시와 같이 동작진행 상태 코우드 표시부(161), 리세트 버튼(162), 장전버튼(160), 보충버튼(163), 금종마다의 거래매수를 표시하거나 또는 제2의 액면권, 제3의 액면권의 각각의 장전매수 또는 정사매수를 표시하는 매수표시부(164), 수납버튼(166), 합산버튼(168), 조회버튼(169), 반환버튼(167), 제1의 지폐수납부증 지폐수납부(22)의 니어엔드(near end)를 점멸로 표시하고, 엔드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기(171), 지폐수납부(20)의 니드엔드를 점멸로 표시하고 엔드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기(172), 회수/장전을 표시하는 표시기(174) 및 텐킹, 금종키이로 구성되는 키이 보오드(173)등을 구비한다.
원격 모니터(175)는 제18도의 도시와 같이 구성된다. 즉, 제1의 지폐수납중 지폐수납부(22)의 니어엔드를 점멸로 표시하고 엔드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기(178), 제1의 지폐수납중 지폐수납부(21)의 니어엔드를 점멸로 표시하고, 엔드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기(179) 지폐수납부(20)의 니어엔드를 점멸로 표시하고 엔드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기(180), 과목, 동작스텝, 동작상태 코오드를 표시하거나,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의 각각의 장전매수 또는 정사매수를 표시하는 표시부(177), 및 매수버튼(176)등을 구비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입출금장치(1)에 있어서, 주 제어부(150)에 의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이용객(고객)은 CRT표시부(10)에 표시되는 "카아드 또는 통장을 삽입해 주십시오"라는 조작안내를 보고, 예를 들면 카아드를 카아드 삽입구(5)에 삽입한다. 그러면, 이 카아드의 자기 스트라이프상의 데이터가 도시를 생략한 판독부에 의하여 판독되어 주 제어부(150)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는 카아드의 정당성을 체크한다. 그리고, 카아드가 정당한 경우 주 제어부(150)는 CRT표시부(10)에 「비밀번호를 넣어주십시오.라는 조작안내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용객이 비밀번호를 조작버튼(8)에 의하여 투입하면, 주 제어부(150)는 카아드로부터 판독한 비밀번호와 조작버튼(8)에 의하여 입력한 비밀번호와 일치했을 경우 또는 관련성이 미리 규정된 규칙을 만족할 때, 주 제어부(150) CRT표시부(10)에서 "거래종목을 선택하시요"라고 안내하는 동시에, "입금, 출금, 대체불입, 잔고조회"의 거래 종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지시를 표시한다.
그리고, 거래 종목의 선택에 있어서, 입금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이 투입되면, 주 제어부(150)는 입금접수상태가 되어 입출금기구(12)에 입금지령을 출력한다. 이로인해, 입출금기구(12)는 입출금구(7)의 도어체(50)를 개방한다. 이어서, 이용객이 지폐다발 A를 금종표리 혼합으로 일괄해서 또 세운 상태로 지폐일시수납실(51)에 투입한 후, 도어체(50)를 닫는다. 도시를 생략한 검지기가 도어체(50)가 닫힌 것을 검지한다. 또, 검지기(41a), (41b)의 검지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가 지폐일시수납실(51)에 정확히 지폐가 입금된 것으로 판정한다. 그후 지폐 A는 취입로울러(57)를 통해서 한 장씩 취입된다. 이 취입된 지폐 A는 제19도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반송로 R1으로 반송된다. 이때, 지폐 A는 지폐통과검지기(40a)에 의하여 취입검지가 실시되어, 그 검지 신호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가 취입매수를 계수한다. 또, 지폐 A가 감사부(36)를 통과할 때 "반송방향을 따르는 길이",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따르는 길이", "자기패턴매칭", "투과광의 색분해" 및 "반사광에 의한 미세부분의 분할매칭"등의 검지가 실시된다. 이들 검지에 의하여 "권종판별", "진위판별", "전송판별", 및 "표리판별"이 실시되고, 그 결과가 주 제어부(150)에 공급된다. 이들 판별결과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는 그 검사결과를 도시를 생략한 카운터로 계수한다. 또, 주 제어부(150)는 진위판별에 의하여 지폐 A가 "위"가 되었을 때, 즉 두장 잡이하거나 파손되어서 올바른 지폐로서의 인식이 안되었을 때 입출금기구(12)에 배제신호를 출력한다. 이 배제신호에 의하여 지폐 A의 선단이 지폐통과검지기(40b)에 도달했을 때, 제1의 배분게이트(39a)가 우측으로 회전이동되어 반송로 R2가 닫혀진다. 따라서 제19도에 굵은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A는 반송로 R3로 반송되어서 일시집적부(38)에 일시집적된다.
한편, 진위판별에서 "진"으로 판별되고, 또 표리판별에서 "리"로 판별된 제1의 액면권의 경우, 주 제어부(150)는 입출금기구(12)에 그 취지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출력에 의하여 배분게이트(39a), (39b)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 반송로 R3가 닫히는 동시에 R2가 제6의 분기부에서 닫힌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의 액면권은 배분게이트(39a), (39b)에서 배분되어, 반송로 R2의 전반을 지나서 반송로 R12즉, 표리반전부(37)에 반송된다. 이 표리반전부(37)에서 이면이 표면으로 반전된 제1의 액면권은 재차, 반송로 R2로 이송된다. 또, 지폐가 제1의 액면권인 경우, 배분게이트(39c) 및 (39d)가 우측 및 좌측으로 회전이동된다. 이와같이 제1의 액면권은 배분 게이트(39d)에서 배분되어 반송로 R6로 반송되어, 제1의 집적, 취출장치(24)에 의하여 제8도의 도시와 같이 지폐 일시보관부(32)에 집적된다.
이때 각 지폐수납부(20, 21, 22)에서는 분리기구(28, 29, 30)가 제8도의 도시와 같이 입금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또한 상하 양쪽의 플랩퍼(132), (133)의 돌출부(132a)…, (133a)…가 지폐 A를 압착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집적, 취출장치(24, 25, 26)의 앞쪽에 지폐 일시보관부(32, 33, 34)가 형성된다. 이 상태가 가동체(108)는 지축(109)를 중심으로 펄스 모우터(110)에 의하여 구동되어 좌측으로 이동한다. 팔랑개비(100)에 안내된 지폐 A는 가동체(108)의 가이드부(108b)에 충돌하므로써 팔랑개비(100)에서 벗어난다. 이때 그 원주상의 일부가 고마찰체로 형성되고, 또 구멍이 뚫린 회전체(10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또 회전체(108)의 스토퍼부(108b)가 지폐취출구(112)를 폐쇄한다. 따라서 팔랑개비(100)에서 벗어난 지폐 A는 한장 한장 하방으로 정위집적된다. 또 지폐 A의 길이방향으로 정위는 도시를 생략한 수단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정위가 이드판(144)에 의하여 지폐 A가 팔랑개비(100)로부터 벗어져서 집적된다.
한편, 제2의 액면권, 제3의 액면권의 경우에는 배분게이트(39e), (39f)가 각각 좌측으로 회전이동하며, 제2 및 제3의 액면권은 각각 지폐일시보관부(33) 및 (34)에 집적된다. 그리고, 지폐가 진위판별에에서 "진"으로 판별되고, 그 표리 판별에서 "표"로 판별된 경우 배분 게이트(39b)는 좌측으로 회전이동해서 반송로 R12를 닫아서 지폐는 표리반전부(37)를 거치지 않고 금종마다에 대응하는 지폐일시보관부(32, 33, 34)에 각각 집적된다. 집적시 통과검지기(40m), (40n), (40o)이 검지 신호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는 제1, 제2 및 제3의 액면권 각각의 집적 매수를 도시를 생략한 카운터를 통해서 계수한다.
한편, 검지기(41a) 및 (41b)에 의하여 지폐일시수납실(31)의 지폐가 없음이 정지되면 취입로울러(57)의 회전은 정지되고, 입금지폐의 취입처리가 완료된다.
다음에, 일시집적부(38)에 배제권이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암(92)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배제권이 제7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반송벨트(82) 및 (62)에 협지되어, 제19도에서 굵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3의 반송수단인 반송로 R4를 거쳐서 일괄해서 지폐일시 수납실(51)까지 반송된다. 이와같이 지폐일시수납실(51)에 반환되어 집적된 배제권은 재차 취입반송되어 상기한 입금처리가 실시된다.
이와 같이하여 투입된 전지폐가 집적된후 계수가 조회된다. 즉, 감사부(36)에서의 제1의 액면권의 감별매수, 제2의 액면권의 감별매수 및 제3의 액면권의 감별매수와 각 액면에 대응하는 지폐일시보관부(32) 내지 (34)에 대한 방송로 R6, R7및 R8상에 있는 통과 검지기(40m), (40n) 및(40o)에 의한 각각의 계수매수가 주 제어부(150)에서 조회되어 2중의 체크로서 계수의 보증이 실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계수가 조회된 후, 주 제어부(150)는 권종별 매수와 함께 입금액을 조작반부(3)의 CRT표시부(10)에 표시시키고, 고객에게 투입금액 및 권종별 매수의 확인을 재촉한다. 고객이 확인버튼을 누르면 호스트 컴퓨터로서의 중앙처리장치와 온라인 교신이 실행된다. 그 결과 받아드림이 "가(可)"가 되면,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하는 펄스 모우터(136)가 구동되어서 플랩퍼(132), (133)는 회전되어서 상하방향으로 개방된다. 그 결과 각 지폐수납부(20, 21, 22)의 백업체(145)를 통하여, 각 지폐수납부(20, 21, 22)에 수납되는 지폐군 A는 압압 스프링(146)에 압압되어 전진하여 지폐일시보관부(32, 33, 34)의 지폐 A와 합쳐져서 정지한다. 그후 펄스 모우터(138)가 구동되어서 분리기구(28, 29, 30)가 전진된다. 그리고, 펄스모우터(136)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서 , 플랩터(132), (133)에서 지폐 A가 집적된다(제12도 참조).
이와 같은 취입동작에 의하여, 각 지폐일시집적부(32, 33, 34)의 지폐는 각 지폐수납부(20, 21, 22)에 각각 수납된다. 이와 같은 입금처리 동작에 있어서의 지폐의 흐름은 제19도에 있어서 굵은 실선 및 굵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실시된다.
고객에 의한 투입금액 확인시에 불승인 버튼을 눌렀을때, 또는 온라인 교신이 아직 받아들여지지 않고 불가(不可)로 되었을 경우, 주 제어부(150)는 입금지폐의 반환상태가 되어, 입출금기구(12)에 반환지령을 출력한다. 이 반환지령에 의하여, 지폐일시보관부(34, 33, 32)에 집적된 지폐 A가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 제1의 액면권 지폐의 순으로 취출동작시 실시되어 지폐일시집적부(38)에 일괄해서 집적된다. 즉, 각 분리기구(28, 29, 30)를 수평방향으로 구동하는 각 R형 펄스모우터(136)의 여자가 절단된다. 따라서 모우터(126)에 의한 위치 유지력이 해체되어 상하 양쪽의 플랩퍼(132) 및 (133)는 백업체(145)에 의하여 집적지폐 A와 같은 압압스프링(146)의 힘으로 압압된다. 이와 같이 지폐일시보관부(32, 33, 34)의 각 지폐 A … 팔랑개비(100)를 향해서 입력집적된다. 다음에 가동체(108)를 우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킴으로써 지폐일시보관부(32, 33, 34)의 지폐 A는 플랩퍼(132), (133)의 돌출부(132a)…, (133a)와 가동체(108)의 사이에서 협지된다(제13도 참조)
다음에 도시를 생략한 진공펌프를 구동시키고, 또 회전체(10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다. 여기에서 회전체(106)의 흡착공(106a)…과 진공실과 연통하는 중공샤프트(107)의 통공(107a)(회전체의 회전이동방향으로 약 40°개방되어 있음)과 마주한 곳에서 지폐 A를 흡인, 취출를 개시한다. 취출 개시후 회전체(106)가 45°회전이동 지점에서 회전체(106)의 흡착공(106a)의 흡인이 중지되고 지폐 A의 선단이 회전체(106)와 반송벨트(119)의 사이에 끌려들어간다. 이와 같이 지폐가 지폐일시보관부(32, 33, 34)에서 취출된다.
또, 지폐 A에 걸쳐잡이방지 동작은 중심이 공동으로 진공실에 연결되고 지폐 A에 마주한 측에 개구부가 있는 2장잡이 방지 로울러(113)에서 지폐 A를 흡착하므로써 실시된다. 제 2장잡이 방지로울러(113)에 의한 지폐 A의 흡착은 취출종료후 지폐 A의 하단이 플랩퍼(113)로 지지될 때까지 속행된다. 따라서, 지폐 A의 취출구(112)로부터의 낙하는 방지된다. 각 지폐수납부의 취출동작의 종료타이밍은 분리기구(28, 29, 30)를 일단 후퇴시키고 지폐유무검지기(41e, 41f, 41g)가 "명"신호를 출력했을 때에 종료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20도에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과같이 각 지폐일시보관부(32), (33) 및 (34)로부터 취출된 입금지폐는 한장씩 반송로 R2의 후반부분, 반송로 R1의 후반부분, 그리고 반송로 R3를 차례로 통과하여 일시집적부(38)에 반송된다. 일시집적부(38)에 입금지폐가 일시집적 되었을때는 제7도의 도시와 같이 그 지폐 A는 지폐일시수납실(51)까지 일괄방송된다. 그후 지폐일시수납실(51)의 지폐 A는 모두 상기한 지폐방출기구에 의하여 입출금구(7)로부터 돌출되어 고객은 입금지폐를 발취하는 것을 재촉한다. 이때 주 제어부(150)는 CRT표시부(10)에 "입금지폐를 반환합니다"라는 표시를 한다. 이와 같은 입금반환처리 동작에서의 지폐의 흐름은 제20도에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다.
자동 반환동작에 있어서는 입금지폐는 어떠한 조건에서도 일시집적부(38)에 일시집적되어 일괄적으로 지폐일시수납실(51)까지 반송된후, 제6도에 도시하는 지폐방출기구에 의하여 고객에게 반환된다. 즉, 반환지폐의 감사에 대해서는 감사부(36)는 일체 관여하지 않는다. 감사부(36)는 반환지폐에 대해서도 입금시와 동일하게 감사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굳이 감별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입금시의 계수와 반환시의 계수가 불일치가 되었을 경우의 복구수단이 대단히 복잡해지는 동시에 반환시의 지폐의 추출동작시에 발생된 겹쳐잡이등으로 계수조회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입출금기구(12)의 각부의 배치에 따라 재시도에 의한 복구수단도 기구구성상 가능하다.
다음에 거래종목의 선택시, 출금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이 투입되면 주 제어부(150)는 "금액을 버튼으로 누르고 마지막에 종료버튼을 눌러주십시요"라는 안내글씨를 CRT표시부(10)에 표시하게 한다. 이어서 이용객은 안내에 따라 조작버튼(8)에 의하여 금액을 투입한다. 이 금액의 투입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는 "금액이 맞았으면 확인버튼 또는 환전버튼을, 안맞으면 정정버튼을 눌러주십시요"라는 안내글씨를 CRT표시부(10)에 표시한다. 이 버튼은 누름으로서, 주 제어부(150)는 "교신중입니다. 잠시 기다려 주십시요"라는 안내글씨를 CRT표시부(10)에 표시하게 한다. 이때 주 제어부(150)는 중앙처리장치와 온라인 교신을 실시하는 동시에, 입출금기구(12)에 출금지령을 출력한다. 이 출력에 의하여 입출금기구(12)는 설정금액에 대응하는 지폐를 제1의 지폐수납부(21, 22)로부터 출력하여 입시집적부(38)에 집적시킨다. 즉, 우선 제1의 지폐수납부(22, 21)의 각각의 분리기구(30), (29)의 플랩퍼(132), (133)는 펄스모우터(136)가 동작함으로써 열린다. 다음에 펄스모우터(110)가 동작되어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가동체(108)가 회전이동한다. 이와같이 하여 제14도의 도시와 같이 취출용의 회전체(106)와 지폐 A와의 사이에 극간이 0.5∼1.5mm 형성된다.
우선, 지폐수납부(22)로부터 지폐 A를 취출하기 위하여, 진공펌프가 동작되어 중공샤프트(107)내의 진공도가 높아진다. 다음에 반송로 R11를 형성하는 반송벨트(119)를 회전시키고, 취출기구로서의 회전체(106)가 회전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취출이 시작된다. 이와 같이 취출된 지폐는 배분 게이트(39f), (39g), (39h)에서 차례로 배분되어 제21도에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로 R2의 후반, 반송로 R1의 후반, 반송로 R3를 거쳐서 반송되어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된다. 이때, 지폐수납부(22)로부터 취출된 제3의 액면권은 지폐통과 검지기(40r)에 의하여 취출검지가 실시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가 취출매수를 계수한다. 또, 지폐수납부(21)로부터 취출된 제2의 액면권은 지폐통과검지기(40q)에 의하여 취출검지가 실시되어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가 취출매수를 계수한다. 또, 그 취출된 지폐가 감사부(36)를 통과할 때 "권종판별"등이 실시되고, 그 결과가 주 제어부(150)에 공급된다. 이로인해 주 제어부(150)는 그 감사결과를 도시를 생략한 카운터에서 계수한다. 또,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되는 지폐는 지폐통과 검지기(40f)에 의하여 집적검지가 실시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가 집적매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지폐통과검지기(40r), (40q)에 의한 취출매수가 설정매수가 되었을 때, 주 제어부(150)는 대응되는 제1의 지폐수납부(22, 21)로부터 지폐의 취출을 종료시킨다. 또, 주 제어부(150)는 감사결과에 따른 제2의 액면권과 제1의 액면권의 가산배수와, 지폐통과검지기(40f)에 의한 집적매수가 일치하는냐에 따라 매수조회가 실시된다.
상기와 같이 취출한 지폐 A는 감사부(36)를 통과하고, "권종판별"을 받아 간 액면에 대응한 제1의 지폐수납부(22, 21)에서 취출된 권종이라는 것이 재확인된다. 이 "권종판별"에 대해서는 통상 재감사할 필요는 없으나 부족분을 계원이 세트할때 세트미스가 아주 없다고 할 수 없으므로 재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정손판별"에 대해서는 입금시의 운용모드에 의하여 정손에 의한 배분이 필요한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즉, 입금에서 "진"지폐로서 권종판정이 가능하면 어떠한 오염, 파손 또는 셀로판지로 보수한 지폐라도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이들 손권(손상된 지폐)를 출금용으로 제1의 지폐수납부(21, 22)에 수납하도록 운용모드를 선택해도, 또는 출금부적합으로서 지폐수납부(20)에 수납하도록 운용모드를 선택해도 좋다. 전자에 있어서는 출금시의 정손판정이 필요하고 후자에서는 특별한 정손판정은 필요없다.
어떻든 고객에 지출되는 지폐는 손권을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정손판별을 실시할 때, 손권은 재사용에 부적당한 지폐를 뜻하고, 배제지폐로서 지폐수납부(20)에 안내되고 집적/수납된다. 즉, 배제권이 발생하였을 경우, 배분게이트(39a)는 좌측으로 회전이동되어서 반송로 R3를 닫고, 또 배분게이트 표리반전부(37)를 통과하지 않고, 제21도에서 굵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배제권은 반송로 R2, R6를 거쳐서 지폐수납부(20)에 집적/수납된다. 또 배제권은 제21도에서 굵은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로 R2, R5를 거쳐서 배제권집적부(49)로 전환하여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출금처리 동작에서의 지폐의 흐름은 제21도의 도시와 같다.
이와같이 배제권이 발생했을때에는 지정 매수분의 보충을 실시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의 액면권의 추가 취출이 실시된다.
그후,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된 지출지폐는, 제7도에 도시하는 기구에 의하여 일괄해서 송출되는 지폐일시수납실(51)에 직접된다. 그후, 주 제어부는 중앙처리 장치와 온라인 교신하여 그 결과 거래 "허가"로 표시되면, 제6도에 도시하는 지폐방출기구에 의하여 지폐 A는 아암(71)으로 협지되어 들어올려진다. 이와 같이 출금지폐는 고객에게 지불되어 발취될 것을 대기한다.
또, 온라인 교신끝에 거래 "불가"로 표시되었을 경우, 지폐일시수납실(51)에 집적된 출금지폐는, 입금시의 처리와 같이 1장씩 취입감별되어서 원래의 제1의 지폐수납부(21,22)에 액면별로 수납된다. 이와 같이 교신에 들어가는 동시에, 즉 거래의 허가/불허가의 선택이 나오기 전에 지폐의 취출을 개시하는 "병행동작"을 채용하므로써 한거래에 대한 처리시간의 대표적인 단축이 가능하고 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거래 "불가"로 표시가 나와도 취출된 지폐는 원래의 수납부로 반환할 수 있으므로 문제는 없다.
다음에, 지폐를 제6도에서 도시하는 지폐 방출 기구로 들어올려서 고객의 발취를 대기하는 출금지폐를 방출할 때, 입금자동 반환된 지폐를 방출할 때, 및 입금동작에서 발생한 배제권을 방출할 때, 망각지폐 회수동작에 대해서는, 제22도에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망각지폐는 고객이 미리 설정한 소정의 조작시간 내에 지폐를 발취하지 않아서 발생한다. 제6도에 도시하는 방출기구에 있어서, 제1의 반송벨트(53)와 제2의 반송벨트(54)에 협지되어 압출된 지폐다발 A는 도시를 생략한 구동원에 의하여 화살표와 반대방향으로 반송되어서, 지폐일시수납실(51)내로 되돌아간다. 지폐유무검지기(41b)가 "명"신호, 지폐검출기(41a)가 "암"신호를 각각 출력하게 되었을때는 지폐를 완전히 되끌어 들여서 지폐수납실(51)에 취입된다.
이 타이밍으로 플러저형 솔레노이드(73)의 여자는 해제되고 제2의 반송벨트(54)가 가설된 풀리(64)에 장치된 아암(71)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자동적으로 도어체(50)는 닫히고 입출금구(7)는 폐쇄된다. 그후, 제4도에 도시하는 상기한 통상의 입금취입의 일련의 동작에 의하여 이 지폐다발 A를 1장씩 반송로 R1에 차례로 취입하게 된다. 이때 배분게이트(39g)는 좌측으로 회전이동되어서 반송로 R1를 제7의 분기부에서 폐쇄하는 동시에, 반송로 R13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1장씩 취입된 지폐는 제22도에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로 R1의 전반 및 반송로 R13을 통해서(제4도의 반송수단 R1, R13) 제2의 지폐수납부(23)의 지폐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다. 그리고 모든 회수처리가 완료된 후, 회수지폐는 지폐일시보관부(35)로부터 제12도의 도시와 같이 수납된다.
이와 같이, 회수처리는 제2의 지폐수납부(23)가 만배될때까지 계속되는 운용모드에서는 회수 거래와 회수된 지폐의 대응을 취하지 않는 운영모드와 양자의 대응을 취하는 운용모드가 가능하다.
대응을 취하는 운영모드에서는, 첫번째의 회수 거래의 회수지폐는 제2의 지폐수납부(23)속에 수납하고, 두번째의 회수 거래의 회수지폐는 분리기구(31)에서 제2의 지폐수납부(23)로부터 구획되는 지폐 일시보관부(35)에, 또 세번째의 회수거래의 회수지폐는 지폐일시수납실(51)내에 정지시키는 운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회수처리가 두 번째까지는 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 가능하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회수지폐는 감사부(36)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취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배분게이트(39g)를 우측으로 회전이동 해놓으므로써 회수지폐는 반송로 R1를 모두 통과하여 감사부(36)에서 감별하여 계수되고 그후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되어 일괄해서 지폐일시수납실(51)에 돌려보내고 나서 재차 취입하여 이번에는 배분게이트(39g)를 좌측으로 회전이동해 놓으므로써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넣는 일도 기구 구성상 가능하다.
또, 회수지폐는 입금과 같이 감사계수하여 액면별로 지폐수납부(20, 21, 22)에 배분수납 할 수도 있다.
다음 지폐장전 처리에 대해서는 제23도 (A), (B)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와 제24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계원은 아침 일찍이 그날 하루동안에 필요한 만원지폐, 천원지폐를 혼합하여 제4의 금고카세트(19)의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하고, 입출금기구(12)에 세트한다.
그리고, 계원은 내부모니터 장치(13)의 장전버튼(160)을 누른다(ST1), 이 장전버튼(160)를 누름으로써 주 제어부(150)는 감지기(41e), (41f), (41g), (41b) 및 (40a)∼(40u)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지폐일시보관부(32), (33), (34), 일시집적부(38), 지폐일시수납실(51) 및 각 반송로 R1∼R15에 지폐가 남아있지 않은가를 체크한다(ST2). 남아있으면 그 사실을 내부모니터장치(13)의 동작진행상태 코오드 표시부(161)에 에러코우드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3).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이 지폐수납부(20), (21), (22)로부터 지폐를 발취한다(ST4). 이때, 보충버튼(163)이 눌려지면(ST22), 후기하는 보충장전이 실시된다. 이때 주 제어부(150)는 CRT표시부(10)에 "장전중이므로 잠시 기다려 주십시요"라는 표시를 나타낸다.
이어서, 주 제어부(150)는 검지기(41h)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지폐의 유무를 체크한다(ST5). 지폐가 없으면 그것을 내부 모니터 장치(13)의 동작상태 코우드 표시부(161)에 에러코우드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6).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이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을 혼합하여 제4금고 카세트(19)의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한다(ST7). 이때 장전버튼(160)이 눌려져 있으므로, 도중 보충의 여부에 대한 판단(ST8)은 아니오(NO)로 되어 다음 스텝(ST9A)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장전용 지폐가 있고, 모든 장소에 지폐의 잔류가 없을 경우 주 제어부(150)는 지폐수납부(23)의 지폐를 상기한 출금시의 취출동작과 동일하게 차례로 1장씩 취출한다(ST9A). 취출된 지폐는 반송로 R14및 반송로 R1의 후반으로 반송되어 감사부(36)를 통과한다. 그러면 감사부(36)는 지폐를 감별하고, 그 감별결과를 주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이로 인해 주 제어부(150)는 제2의 액면권의 매수와 제3의 액면권과의 매수를 계수하는 동시에 진위를 판별한다. 따라서 감사부(36)를 통과한 지폐는 입금처리시와 동일하게 진권이 각각의 액면에 대응되는 일시보관부(34), (33)에 집적된다(ST9C). 즉, 배분게이트(39a)는 좌측으로 회전이동하고, 감사부(36)를 통과한 진권은 제24도에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로 R2를 거쳐 대응되는 제1의 지폐수납부(21, 22)를 향해서 반송된다. 한편, 배제권의 경우에는 배분게이트(39a)는 우측으로 회전축 이동하고, 감사부(36)를 통과한 배제권은 반송로 R3을 통하여 일시집적부(38)에 반송된다(ST9D).
그리고, 지폐일시보관부(34, 33)의 어느 하나가 만배인 100장에 도달했을 때, 또는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지폐가 없을때(ST9E), 제2의 지폐수납부(23)의 지폐취출은 일단 정지되고(SR9F), 지폐일시보관부(33, 34)에 각각 집적된 지폐는 각각 제1의 지폐수납부(21, 22)에 수납된다(ST10). 이 수납동작이 완료되면, 아직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지폐가 남아 있을 경우 계속해서 제2의 지폐수납부(23)의 지폐취출이 개시된다. 지폐일시보관부(33, 34)가 100매에 도달했을 때, 일단 취출동작이 중지하고 100매의 집적지폐를 대응되는 수납부에 수납시킨다. 이 동작은 취출지폐가 제2의 지폐수납부(23)에서 없어질때까지, 즉 제2의 지폐수납부(23)의 지폐없음이 공배검지기(42)로 검지되고, 또 검지기(41h) "명"신호를 출력할때까지 실시된다(ST11). 마지막의 지폐가 반송되고, 또 지폐일시보관부(33, 34)에 집적된후, 주 제어부(150)는 각 반송부 R1내지 R15에 지폐의 잔류가 없음을 검지기(41a)…에 의하여 검지하고 각부를 정지시킨다. 이때 주 제어부(150)는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되는 배제권을 제24도에서 굵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일괄적으로 지폐일시수납실(51)에 반송시킨다(제7도 참조). 이어서 지폐일시수납실(51)의 지폐는 상기한 회수동작과 같이 1장씩 취출되어 제2의 지폐수납부(23)의 지폐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 후, 지폐잔류 없음의 검지에 의하여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된다(ST12).
이와같이 일련의 장전동작이 완료되면 주 제어부(150)는 카아드· 전표처리 유니트(11)내의 도시를 생략한 인자부에 의하여 저어널 JA상에 지폐장전내용, 즉 제25도의 도시와 같이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의 각 권종별의 매수 및 합계금액을 인자한 것을 발행시키는 동시에, 내부 모니터 장치(13)의 매수표시부(164)에서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의 각 권종별의 매수를 표시한다(ST13). 또, 주 제어부(150)는 배제권이 있어 반환되는 경우, 회수/장전표시기(174)로 계원에게 알린다.
이 통보에 의하여 계원은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반환된 지폐를 제4금고카세트(19)에서 발취하여 매수를 계수한다. 계원은 이 매수와 저어널의 인자내용, 내부모니터장치(13)의 표시내용을 기초로 하여 자신의 최초로 세트한 각 권종매수, 금액을 조회하여 확인한다. 확인이 되면 계원은 내부모니터장치(13)의 수납버튼(116)을 누른다(ST14A). 이러하여 지폐일시보관부(33, 34)에 집적되는 최후의 지폐를 제2의 지폐수납부(21, 22)에 수납하여(ST14B), 장전처리를 완료한다.
계원의 세트단계에서의 지폐과부족 또는 계원의 계산미스등으로 조회확인이 취해지지 않을 경우, 계원은 내부 모니터장치(13)의 반환버튼(167)을 누른다(ST15A). 이 버튼이 눌러지며, 제1 및 제2의 지폐수납부(22, 23) 및 각 지폐일시보관부(34, 33)에 있는 장전된 지폐모드가 출금시의 취출동작과 동일한 처리로 1장씩 취출되어 제26도에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반송로 R10, 및 R11, 반송로 R2의 후반, 반송로 R1의 후반을 통해서 감사부(36)에 반송된다. 여기에서 배분게이트(39a, 39h, 39g)는 우측, 좌측으로 각각 미리 회전이동된다. 따라서, 감사부(36)를 통과한 지폐는 배분게이트(39a)의 방향을 따라 반송로 R3를 통과하고, 또 배분게이트(39h)의 방향을 따라 반송로 R15로 들어간다.
그후 반송로 R15로부터 반송로 R1을 통하여 지폐가 반송되어, 배분게이트(39g)의 방향을 따라 반송로 R13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하여 제2의 지폐수납부(23)의 지폐일시보관부(35)의 회수된 장전지폐는 집적되어 그후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된다. 이 수납동작도 장전시와 동일하게 100매 마다의 간헐적인 동작을 반복하여, 제1의 지폐수납부(21, 22) 및 대응하는 지폐일시보관부(34, 33)가 비고 또는 반송로에서 지폐가 없어질때가지 계속되어(ST15B), 장전반환동작이 완료된다. 장전시의 반환처리의 지폐의 흐름은 제26도의 도시와 같다.
이어서 지폐의 보충장전에 대해서는 제23a도와 제23c도, 제23d도에 도시하는 플루우차트와 제24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1의 지폐수납부(21, 22)의 수납지폐가 적어져서 니어엔드(near end)의 경보가 나왔을 경우, 계원은 내부 모니터장치(13)의 보충버튼(163)을 누르는 동시에 키이보우드(173)에 의하여 금종별로 보충장전매수를 설정한다(ST22). 이때 주 제어부(150)는 그 보충장전매수를 금종별로 도시를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한다. 또, 주 제어부(150)는 CRT표시부(10)에 "장전중이므로 잠시 기다려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한다.
이어서 주 제어부(50)는 검지기(41h)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장전용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지폐의 유무를 체크한다(ST5). 지폐가 없으면 그 사실을 내부모니터장치(13)의 동작상태 코우드 표시부(161)에 에러코드 표시를 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장전지폐없음을 회수/장전의 표시기(174)로 통보한다(ST6).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이 제2 및 제3액면권을 혼합해서 제4금고카세트(19)의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한다(ST7).
그후, 보충버튼(163)이 눌러져 있으므로, 도중보충의 여부에 대한 판단(ST8)은 예(YES)로 판단되어 다음 스텝(ST16A)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회수지폐가 있을때는 그것을 제거한 후 장전지폐가 수납된다.
그리고, 보충 장전용 지폐가 있을 경우 주 제어부(150)는 배분게이트(39a)를 우측으로, 배분게이트(39h)를 우측으로, 그리고 배분게이트(39g)를 하방으로 회전이동시킨다. 이로인해 제2의 지폐수납(23)의 지폐는 상기한 출금시의 취출동작과 동일하게 차례로 1장씩 취출되어 반송로 R6에 의해서 감사부(36)로 반송된다. 그러면 감사부(36)는 지폐를 감별하여 그 감별결과를 주 제어부(150)에 출력한다(ST16B). 이로 인해 주 제어부(150)에는 제2의 액면권의 매수와 제3의 액면권의 매수를 계수한다. 감사부(36)을 통과한 지폐는 입금처리시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배제권이 일시집적부(38)에 수납된다(ST16D). 그리고 제3 및 제2의 액면권이 각각의 지폐일시보관부(34, 33)에 집적된다(ST16C).
이때, 주 제어부(150)는 제3 및 제2의 액면권의 각각의 감별배수와 지정매수가 일치하느냐의 여부를 체크한다(ST16E).
그리고 제3의 액면권 또는 제2의 액면권의 매수의 어느 한쪽이 일치된 후에 그 일치 지폐와 동일한 액면의 지폐가 감사부(36)를 통과했을 때 그 지폐는 배제권으로서 일시 집적부(38)에 집적된다. 한편, 제3 및 제2의 액면권의 감별매수가 다같이 설정매수와 일치했을때, 그 일치했을때의 지폐가 반송되어서, 대응되는 일시보관부(33) 또는 (34)에 집적된 후에 주 제어부(150)는 반송로 R의 각부에 지폐가 잔류하지 않는 것을 검지기(40a)…에 의하여 검지하고 각부를 정지시킨다. 이때 주 제어부(150)는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되는 배제권을 제24도에서 굵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일괄해서 지폐일시수납실(51)에 반송한다(제7도 참조). 이어서, 지폐일시수납실(51)의 지폐는 상기한 회수동작과 같이, 1매씩 취출되어 제2의 지폐수납부(23), 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 후, 지폐잔류 없음의 검지에 의하여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일련의 보충장전동작이 완료되면 주 제어부(150)는 카드·전표처리 유니트(11)내의 도시를 생략한 인자부에 의하여 저어널 JB상에 지폐장전 내용, 즉 제27도의 도시와 같이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 각 권종별의 매수를 인자한 것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내부모니터장치(13)의 매수표시부(164)에서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의 각권종별의 매수를 표시한다(ST13). 또, 주 제어부(150)는 배제권이 있어 반환되는 경우 회수/장전표시기(174)로 표시하고, 그것을 계원에게 알린다. 이로 인해 계원은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반환된 지폐는 제4금고 카세트(19)에서 발취하여 매수를 계수한다. 계원은 이 매수와 저어널 JB의 인자내용과 내부 모우터장치(13)의 표시내용을 기초로 하여 자신이 최초에 세트한 각권종매수, 금액을 조회하여 확인한다(ST14A). 이 확인이 실시되었을때 계원은 내부모니터장치(13)의 수납버튼(166)을 누른다(ST14B).
이와 같이, 일시보관부(33), (34)에 집적되는 최후의 지폐는 제1의 지폐수납부(21, 22)에 수납되어(ST14C) 장전처리가 완료된다. 이때 주 제어부(150)는 제3 및 제1의 지폐수납부(22, 21)에 있어서의 수납매수를 보충장전된 매수만 가산한다.
계원은 세트단계에서의 지폐의 과부족 또는 계원의 계산미스 등으로 조회확인이 안되는 경우는, 계원은 내부모니터 장치(13)의 반환버튼(167)을 누른다(ST15A). 이 버튼이 눌러지면, 제1의 지폐수납부(21, 22) 및 각 일시보관부(34), (33)에 있는 보충장전된 지폐의 전부가 출금시의 취출동작과 동일한 처리로 1장씩 취출되어, 제26도에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반송로 R10또는 R11및 반송로 R2의 후반 및 반송로 R1의 후반을 통해서 감사부(36)에 반송된다. 여기에서 배분게이트(39a), (39b), (39g)는 우측 및 좌측으로 각각 미리 회전이동된다. 따라서, 감사부(36)를 통과한 지폐는 배분게이트(39a)의 방향에 따라 반송로 R3를 통과하여, 또 배분게이트(39h)의 방향에 따라 반송로 R15에 들어간다. 그후, 반송로 R15로부터 반송로 R1를 통하여 지폐가 반송되어 배분게이트(39g)의 방향을 따라 반송로 R13으로 들어간다.
이와같이 해서 제2의 지폐수납부(23)의 일시보관부(35)에 회수된 보충장전지폐는 집적되고, 그후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된다. 이 동작도 장전시와 동일하게 100매별로 간헐적인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제1의 지폐수납부(22, 21) 및 대응되는 일시보관부(34), (33)로부터 보충장전한 매수의 지폐가 취출되고, 또 반송로로부터 지폐가 없어질때까지 계속되어 완료된다.
이와같이 보충장전의 반환처리가 지폐의 흐름은 제26도의 도시와 같다.
상기와 같이, 제1의 수납부(22, 21)에 수납된 지폐가 적어져서, 예를 들면 니어엔드(near end) 상태가 되었을 때에 소정매수의 보충장전을 할 수 있다. 이 보충장전에 의하여 영업시간 종료에 가까운 경우에, 남은 짧은 영업시간내에 필요한 매수분만 보충장전을 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장전에 의한 시간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한 실시예에서는 장전처리 및 보충장전 처리가 출금용지폐로서 사용되는 제2의 액면권과 제3의 액면권과의 양지폐에 대해서만 실시되었다. 그러나 어느 한쪽의 지폐의 처리로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장전처리 및 보충장전처리는 각 권종 100매별로 간헐적인 동작에 의하여 집적, 수납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처리도중 지폐가 취출부, 반송부, 집적부등에서 정체되었을 경우에도, 그때까지 수납된 지폐는 계수보증된다. 따라서, 제1의 지폐수납부(22, 21)에 들어간 지폐는 그대로 두고, 일시보관부(34), (33) 및 반송, 취출중의 지폐만 제거하여 리세트한 후 장전버튼(160)을 누름으로써 속행된다. 이와 같이 사고발생시에 계원의 보수처리가 간단하다.
또, 전장전 및 보충장전은 가능하다. 또한, 정권인 지폐를 세트하는 것은 은행에서 일반화 되어 있다.
그런, 표리·정손 혼합의 경우에도 대응하도록 입금시와 같이 "권종판별""표리판별"쩡손판별" 및 "전위판별"의 전기능이 활용되고 있다.
제4금고 카세트(19)를 사용한 보충장전의 경우, 고객 대기상태에서 보충버튼(163)의 누름이 유효해지고 고객이 조작중에는 아무리 보충버튼을 눌러도 유효가 되지 않는다. 보충 장전처리가 개시되면 CRT표시부(10)에 그 뜻이 표시되고, 완료하면 자동적으로 복구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서는 이 보충장전중에도 입금거래 이외의 거래를 실행하기도 하고, 입출금거래 선택에 있어서도 카아드 통장의 매체를 받아들이는 데까지 실행하는 일도 가능하다. 전장전시는 지폐의 매수가 많이 처리시간이 길어지므로 계원이 취급하여 개시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 조작반부(3)로부터의 보충장전을 제24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계원은 입출금장치(1)가 대기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나서 본체(2)의 전면의 접객부에 설치된 계원 키이스위치에 계원키이를 삽입해서 회전이동시킨다. 이 회전이동에 의하여, 계원키이스위치가 온된다. 그러면 주 제어부(150)는 계원모드로 변경되는 동시에, CRT표시부(10)에 "처리를 지정해 주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한다. 이 안내에 의하여 계원이 조작버튼(8)으로 보충장전을 선택한다. 그러면 주 제어부(150)는 보충장전 지폐접수상태가 되고, 입출금기구(12)에 입금지령을 출력하는 동시에, CRT표시부(10)에 "보충장전 지폐 접수상태가 되고, 입출금 기구(12)에 입금지령을 출력하는 동시에, CRT표시부(10)에 "보충장전을 하는 지폐를 입출금구로부터 투입해 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입출금기구(12)는 입출금구(7)의 도어체(50)를 연다. 이어서 계원이 지폐다발을 A를 일괄적으로 입위상태로 지폐 일시 수납실(51)에 투입한 후 도어체(50)를 닫는다.
이후 상기한 입금동작과 동일하게 동작함으로써 지폐일시수납실(51)로 부터의 지폐가 1장씩 취출되어 감사부(36)를 거쳐서 대응하는 금종의 일시보관부(33), (34)에 집적된다. 그리고, 집적동작이 완료되면 주 제어부(150)는 CRT표시부에서 각 일시보관부에 집적된 각 금종별의 매수를 표시하는 동시에 "수납", "반환"의 양 버튼을 표시/지정한다. 또 이때 주 제어부(150)는 상기한 제2의 지폐수납부(23)를 사용한 보충장전 처리와 동일하게 제27도에 도시하는 제3 및 제2의 액면권의 각 권종별의 매수를 인자한 저어널 JB을 발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계원은 보충장전 내용을 확인하여 일치했을 때 수납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을 누른다. 그러면 일시 보관부(33), (34)의 지폐가 제1의 지폐수납부(21), (22)에 수납된다. 이때 계원 모드로 보충장전처리(입금처리)만이 실시되고, 거래의 온라인 교신은 금지된다. 이 결과, 주 제어부(150)는 누계의 매수 데이터를 입금처리의 내용으로 갱신시킨다. 또 반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이 눌러지면, 입금반환처리와 동일한 동작에 의하여 입출금구(7)에 투입한 지폐가 모두 입출금구(7)에 반환된다.
다음에 하루 거래의 정산을 실시하는 정사처리에 대하여 제28A도 및 제28B도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와 제29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계원은 하루의 거래의 종료시, 또는 다음날 아침, 첫째로 정사용의 금고카세트를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세트한다(ST31).
그리고, 계원은 내부모니터장치(13)의 합산버튼(168)을 누른다(ST32). 이 합산버튼(168)의 누름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는 정상상태가 되고, 입출금기구(12)에 정사지령을 출력한다. 이때 주 제어부(150)는 검지기(41h)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제2의 지폐수납부(23)내에 지폐가 잔류하고 있느냐의 여부를 체크한다(ST33A). 잔류가 없으면 그뜻을 내부 모니터장치(13)의 동작 진행상태 코우드표시부(161)에 제1의 에터코우드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34A).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확인버튼을 누른다(ST35A).
한편, 잔류지폐가 있으면, 주 제어부(150)는 그 잔류지폐의 매수가 기억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ST33B). 이 결과 잔류지폐의 매수가 기억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뜻을 내부모니터 장치(13)의 동작진행 상태 코우드 표시부(161)에 제2의 에터코우드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34B).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확인버튼을 누른다(ST35A).
또, 잔류지폐의 매수가 기억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뜻을 내부모니터장치(13)의 동작진행상태 코우드 표시부(16)에 제3의 에러코우드로 표시하여 경보를 발생시킨다(ST34C).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일단 정사용의 금고 카세트를 제2의 지폐수납부(23)로부터 취출하여 잔류지폐를 발휘하고 빈정사용의 금고 카세트를 재차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세트한다(ST35B).
주 제어부(150)는 확인버튼의 누름 또는 정사용의 금고 카세트의 재세트에 의하여 출금처리와 동일하게 지폐를 지폐수납부(20), (21), (22)로부터 취출하여 일시보관부(34)에 집적시킨다. 즉, 우선 지폐수납부(22)의 분리기구(30)이 플랩퍼(132), (133)가 펄스 모우터(136)의 동작에 의하여 열린다. 다음에 펄스 모두터(110)가 동작되어 시계방향으로 가동체(108)가 회전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취출용의 회전체(106)와 지폐 A의 사이에 간극이 0.5∼1.5mm 발생한다(제14도 참조).
이어서, 지폐수납부(22)로부터 지폐 A를 취출하기 위하여 진공펌프가 동작되어서 중공 샤프트(107)내의 진공도가 높여져셔 다음에 반송로 R11을 형성하는 반송벨트(119)가 주행되어 취출기구로서의 회전체(106)의 회전이 개시되므로써 취출이 시작된다. 이와 같이 하여 취출된 지폐는 배분게이트(39f), (39a), (39h), (39g)에서 배분되어 제29도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로 R2의 후반, 반송로 R1의 후반, 반송로 R3, R15, 반송로 R1의 전반 및 반송로 R13을 거쳐서 반송되고 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다. 이때 지폐수납부(22)로부터 취출된 지폐는 지폐통과 검지기(40r)에 의하여 취출검지가 실시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가 취출매수를 계수한다. 또, 취출된 지폐가 감사부(36)를 통과할때에 "권종판별"등이 실시된다. 그 결과가 주 제어부(150)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주 제어부(!50)는 그 감사결과를 도시를 생략한 카운터로 계수한다. 다시 일시보관부(34)에 집적되는 지폐는 지폐통과 검지기(40l)에 의하여 집적검지가 실시되고 그 검지 신호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가 집적매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지폐통과검지기(40l)에 의한 검지매수가 100매가 되었을 때 주 제어부(150)는 지폐수납부(22)로부터 지폐의 취출을 일단 정지시키고, 100매가 된 지폐를 일시보관부(35)로부터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시킨다. 이 수납동작이 완료되면, 계속해서 지폐수납부(22)의 지폐취출을 개시한다. 또 일시 보관부(35)에 대한 집적매수가 100매에 도달했을 때 일단 취출동작을 정지하고 100매의 집적지폐를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한다. 이 동작은 제3의 액면권이 없어질때까지 즉 지폐수납부(22)의 지폐가 없어졌음이 공배검지기(42)에서 검지되고, 또 검지기(41g)가 "명"이 될 때까지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일시보관부(35)에 대한 집적매수가 100매에 도달하지 못한 지폐는 이 단계에서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된다. 또, 지폐수납부(21, 20)의 각 지폐도 상기 지폐수납부(22)로부터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되도록 구성된다(ST36).
정사도중에 제2의 지폐수납부(23)가 만배가 되었을때(ST37A), 주 제어부(150)는 카아드 전표처리 유니트(11)내의 도시를 생략한 인쇄부에 의하여 저어널 상에 지폐정사 내용의 도중 경과를 프린트한 것을 발행(ST38)하는 동시에 장전용 금고의 교환을 표시하는 동작 진행상태 코우드를 내부모니터장치(13)의 표시부(161) 및 원격모니터(175)의 표시부(177)에서 표시하고(ST39A), 계원에 의한 금고의 교환을 기다린다(ST39B), 저어널 JC의 도중까지의 지폐정사 내용은 제30도의 도시와 같이 제1내지 제3의 액면권의 각 권종별의 매수와 지폐수납부(22), (21), (20)의 수납매수가 기록된다(ST38). 계원은 이 저어널 Jc를 받는 동시에 제2의 지폐수납부(23)를 빈 카세트로 교환한다(ST39B). 그리고 재차 확인버튼을 누름으로써(ST32) 다시 정사가 실시된다. 또 지폐수납부(22), (21), (20)의 지폐없음이 공배검지기(42)에서 검지되고, 또 검지기(41g), (41f), (41e)가 "명"신호를 출력할때까지 정사를 실시한다(ST37B). 그리고 마지막 지폐가 반송되어, 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 후, 주 제어부(150)는 반송로 R의 각부에 지폐의 잔류가 없음을 검지기(40a)…에 의하여 검지되고, 각 부를 정지시킨다(ST37C). 이때, 주 제어부(150)는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된 제1 내지 제3의 액면권의 각각의 매수를 내부 모니터장치(13)의 매수표시부(164)에 표시한다. 또 동시에 주 제어부(150)는 카아드 전표처리 유니트(11)내의 도시를 생략한 인쇄부에 의하여 저어널 상에 모든 정사매수, 즉 제30도의 도시와 같은 각 권종별의 매수를 프린트시킨다(ST40), 계원은 저어널의 내용과 제4금고 카세트(19)를 꺼내어 그 내용과 함께 조회한다(ST41).
여기에서, 정사시에 발생한 배제권은 배분게이트(39a), (39b)에 의하여 일시집적부(38)에 일시집적된다. 이 배제권은, 일시보관부(35)로부터 정사한 지폐가 모두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된 후 일괄적으로 지폐일시수납실(51)로 되돌아온다. 이 배제권은 그후 차례로 1장씩 취출되고, 반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다. 이때 정사된 각 지폐는 바로 제2의 지폐수납부(23)로 들어가고, 감사를 못했던 배세지폐와는 분리기구(31)에서 분리된다. 이로 인해 양자는 구별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주 제어부(150)는 출금시의 배제권 집적부(49)에서의 집적매수가 "0"일 때 지폐수납부(20), (21), (22)에 대한 장전매수로부터 출금매수를 빼고, 이 결과에 입금매수를 더하여 이 가산결과로부터 정사시의 정사매수를 뺀 매수를 거절 매수로 하여 산출한다. 한편, 배제권 집적부(49)의 집적매수"0"이외일 때 상기 산출된 거절매수를 배제권 집적부(49)의 집적매수와 일시 집적부(38)에 대한 거절매수를 가한 것으로 산출한다. 이 결과 정산시 저어널에는 제30도의 도시와 같이 각 금종별의 장전매수, 도중장전매수, 장전매수의 합계, 입금매수, 출금매수, 정사매수, 제2의 지폐수납부(23)의 수납매수, 일시보관부(35)의 집적매수가 프린트된다.
또 정사중에 정체등의 사고가 발생되었을때는 입출금기구는 긴급정지된다. 한편, 100매별로 수납되어 구분이 되어 있는 제2의 지폐수납부(23)로 들어간 지폐에 대해서는 그 시점에서 저어널 출력에 의하여 그 내용이 표시된다. 따라서 수납된 지폐에 대해서는 재차 정사를 다시 할 필요는 없다. 즉, 일시 보관부(35)의 집적중의 지폐 및 취출반송중의 지폐만을 대상으로 정사를 계속하면 된다.
다음에, 입출금의 운용도중에 일부 정사에 대하여 제31A 내지 제31C도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와 제29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계원은 제1의 지폐수납부(21, 22)로부터 소정의 매수만 지폐를 취출하고자 할 때는 일부정사용의 금고카세트를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세트한다(ST51). 그리고, 계원은 내부모니터장치(13)의 조회버튼(169)을 누른다(ST52A). 동시에 키이보오드(173)에 의하여 금종별의 일부 정사 매수를 설정한다(ST52B). 이때 주 제어부(150)는 그 정사매수를 금종별로 도시를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한다. 또 주 제어부(150)는 동작상태가 대기상태 또는 입출금처리중이 아님을 체크하고, 또한 상기 소매수의 일부 정사를 실시해도 제3 및 제2의 액면권의 엔드(end) 또는 니어엔드(near end) 상태가 안되는가를 도시를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매수 데이터를 사용해서 판단한다(ST53). 상기 조건이 만족이 안될 때, 주 제어부(150)는 일부 정사를 처리를 중단하고, 만족되었을 때 주 제어부(150)는 입출금기구(12)에 소정매수의 일부 정사지령을 부여한다. 또, 이때 주 제어부(150)는 CRT표시부(10)에 "정사중이므로 잠시 기다려 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한다.
이어서, 주 제어부(150)는 검지기(41a)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정사용의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지폐가 있나 없나를 체크하고(ST54A), 지폐가 없으면 그 뜻을 내부모니터장치(13)의 동작 진행 상태코우드표시부(161)에 제1의 에러코우드를 표시시키고(ST54B), 경보를 발생케한다.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확인버튼을 누른다(ST56).
한편, 잔류지폐가 있으면 주 제어부(150)는 그 잔류지폐의 매수가 기억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ST55A). 이 결과, 잔류 지폐의 매수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뜻을 내부모니터장치(13)의 동작 진행 상태코우드표시부(161)에 제2의 에러코우드를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55B).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확인버튼을 누른다(ST556).
또, 잔류지폐의 매수가 기억되어 있지 아니할 경우에는, 그 뜻을 내부모니터장치(13)의 동작진행 상태 코우드 표시부(161)에 제3의 에러코우드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55C).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일단 정사용의 금고 카세트를 제2의 지폐수납부(23)로부터 취출하고 잔류지폐를 발취하여 일부 정사용의 금고카세트를 재차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세트한다(ST55D).
주 제어부(150)는 확인버튼의 누름 또는 정사용의 금고 카세트의 재세트에 의하여 출금 처리와 동일하게 제3의 액면권을 지폐수납부(22)로부터 취출하여 일시보관부(35)에 집적시킨다(ST57). 즉, 우선 지폐수납부(22)의 분리기구(30)의 플랩퍼(132), (133)가 펄스 모우터(136)의 동작에 의하여 열린다.
다음에 펄스모우터(110)가 동작되어서 시계방향으로 가동제(108)가 회전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면 취출용의 회전체(106)가 지폐 A와의 간극이 0.5∼1.5mm 형성된다(제14도 참조). 이어서, 지폐수납부(22)로부터 제3의 액면권을 취출하기 위하여, 진공펌프가 작동되어 중공샤프트(107)내의 진공도가 높아진다. 다음에 반송로 R11로 형성하는 반송벨트(119)가 주행되고, 취출기구로서의 회전체(106)의 회전이 개시되므로써 취출이 시작된다(ST57). 이와 같이 하여 취출된 제3의 액면권은 배분게이트(39f), (39a), (39h), (39g)에서 배분되어 반송로 R2의 후반, 반송로 R1의 후반, 반송로 R3, 반송로 R15, 반송로 R1의 전반 및 반송로 R13을 통하여 반송되어 일시 보관부(35)에 집적된다. 이때 지폐수납부(22)로부터 취출된 지폐는 지폐통과 검지기(40r)에 의하여 취출검지가 실행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가 취출매수를 계수한다. 또 취출된 지폐가 감사부(36)를 통과할 때 "권중판별"등이 실시되고 그 결과가 주 제어부(150)에 공급된다. 이로인해, 주 제어부(150)는 그 감사결과를 도시를 생략한 카운터로 계수한다. 또, 일시보관부(34)에 집적되는 지폐는 지폐통과검지기(40l)에 의하여 집적 검지가 실행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 제어부(150)가 집적매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지폐통과검지기(401)에 의한 제3의 액면권의 집적매수가 설정매수와 일치했을때(ST58), 주 제어부(15)는 지폐수납부(21)로부터 제2의 액면권의 지폐취출을 개시한다(ST59). 그리고, 일시보관부(35)까지 반송된 제2의 액면권의 매수가 설정매수에 도달했다고 주 제어부(150)가 판단했을때(ST60), 지폐의 수납부(21)로부터의 취출동작을 정지하고, 일시보관부(35)로부터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지폐를 수납한다(ST61). 이때, 주 제어부(150)는 내부 모니터장치(13)의 매수표시부(164)에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된 제3 및 제2의 액면권의 매수를 표시한다. 또, 이때 주 제어부(150)는 카아드· 전표처리유니트(11)내의 도시를 생략한 인쇄부에 의하여 제32도의 도시와 같이 저어널 JD상에 일부정사내용을 즉 제3 및 제2의 액면권의 정사매수가 기록된다(ST62). 계원은 저어널의 내용과 금고카세트(19)의 집적내용으로 조회를 실시한다(ST63). 또, 조회버튼(169)이 눌러져도 장치가 대기상태 또는 입출금기구(12)가 동작중이거나, 또 제3 및 제2의 액면권이 상기 설정매수의 정사를 실행했을 경우 제3, 제2의 액면권의 어느 하나가 엔드(end), 니어엔드(near end)상태가 되면, 조회데이터로서 누계데이터를 프린트하는 동시에 일부정사 불능의 뜻을 프린트한 저어널을 발행한다.
또, 어떤 액면의 금고가 만배가 되었을 때, 그 금고로부터 소정 매수의 일부정사를 상기와 동일한 동작으로 실시해도 좋다. 이와 같이하여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만배가 된 금고로부터 지폐를 수납하므로써 만배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고, 계속해서 입금거래를 접수할 수가 있다.
다음에 조직반부(3)로부터 일부정사를 제21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계원은 장치가 대기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나서, 전면의 접객부에 설치된 계원키이 스위치에 계원키이를 삽입하여 회전이동시킴으로써 계원키이 스위치를 온한다. 그러면, 주 제어부(150)는 입출금기구(12)를 계원모드로 변경하는 동시에, CRT표시부(10)에 "처리를 지정해 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한다. 이 안내에 의하여 계원이 조작버튼(8)으로 부정사를 선택한다. 그러면 주 제어부(150)는 CRT표시부(10)에 "정사를 하는 금종과 매수를 투입해 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한다. 또, 주 제어부(150)는 이 안내와 같이 CRT표시부(10)에 제3 및 제2의 액면권이 수납매수를 표시한다. 계원은 이 표시에 의하여 필요한 지폐의 취출의 가능여부를 판단한다. 가능하다고 판단을 했을때는 조작버튼(8)으로 필요한 권종의 매수를 지정한다. 주 제어부(150)는 CRT표시부(10)에서 지정된 금종과 매수를 표시하는 동시에, "표시내용을 확인하고 확인버튼 또는 정정버튼을 눌러 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한다. 이 안내에 의하여 게원이 확인버튼을 누르면 주 제어부(150)는 입출금기구(12)에 출금지령을 출력한다. 이로인해, 입출금기구(12)가 상기한 출금동작과 동일한 작동을 함으로써 지정된 매수의 지폐가 지폐수납부(22, 23)로부터 취출되고 감별되어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되고, 그후 일괄적으로 지폐수납실(51)에 수납된다. 이어서 입출금구(7)의 도어체(50)가 열리고 상기한 방출기구에 의하여 지폐다발 A가 들어올려서 계원의 발취를 대기한다. 이 경우에 계원모드로 출금처리가 실시되고 거래의 온라인 교신은 금지된다. 이때 주 제어부(150)는 누계의 매수데이터를 출금처리의 내용으로 갱신하는 동시에 카아드 전표처리의 유니트(11)내의 인쇄부에서 계원모드에 의한 출금처리내용을 저어널에 프린트시킨다.
따라서, 입출금구(7)로부터 취출된 지폐를 지폐가 적어진 다른 자동 입출금장치의 입출금구에 투입하고, 상기한 입출금구로부터 보충장전을 실시하므로써 복수의 자동입출금 장치군에서의 거래 지폐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한 실시예에서는 접객면의 계원리세트키를 사용해서 계원모드를 선택하고 키이보오드에 의하여 정사매수를 지정하는 것이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카아드 또는 통장등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계원모드의 지시, 권종, 지정매수를 기억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 조작버튼에 의하여 취출매수를 지정을 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취출모드시에 취출매수가 100매이고 결정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매수 지정이 안되어 있을때는 100매의 정사가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Claims (5)

  1. 호스트컴퓨터와 교신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입출금처리를 행하는 자동지폐 입출금장치(1)에 있어서, 입출금구(7)를 갖는 본체(2)와 ; 상기 본체(2)내에 설치된 지폐를 수납하는 제1의 지폐수납부(21, 22)와 ;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납하는 지폐일시수납실(51)과 ; 상기 제1의 지폐수납부(21, 22)에서 상기 지폐일시수납실(51)로 지폐를 반송하는 제1의 반송수단(R10, R11, R2, R1, 38, R4)과 ; 출금거래를 선택하는 조작부(9)와 ; 상기 조작부(9)에 의해 출금거래가 선택되었을때 상기 제1의 지폐수납부(21,22)에서 상기 지폐일시수납실(51)로 지폐를 반송하도록 상기 제1의 반송수단에 지시하는 동시에, 병행해서 출금거래가 성립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호스트컴퓨터와의 교신을 하는 주 제어부(150)와 ; 상기 주 제어부(150)가 호스트 컴퓨터와 교신하여 출금거래가 성립되는 것을 확인되었을때 상기 지폐일시수납일(51)에 집적되어있는 지폐를 입출금구(7)로 꺼내는 지폐취입 취출장치(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송수단(R10, R11, R2, R1, 38, R4)은 상기 제1의 지폐수납부(21, 22)의 지폐를 꺼내서 반송하는 제2의 반송수단(R10, R11, R2, R1, R3)과 ; 상기 제2의 반송수단(R10, R11, R2, R1, R3)에 의해 반송되어온 지폐를 집적하는 일시집적부(38)와 ; 상기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된 지폐를 상기 지폐일시수납실(51)로 반송하는 제3의 반송수단(R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회수지폐를 수납하는 제2의 지폐수납부(23) ; 거래가 성립하여 고객이 집는 것을 잊어버린 지폐를 반송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폐일시수납실(51)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를 상기 제2의 지폐수납부(23)에 반송하는 제4의 반송수단(R1, R13)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취입 취출장치(15)는 상기 지폐일시 수납실(51)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를 입출금구(7)로 반송하는 반송벨트(53, 54)와, 상기 입출금구(7)를 개폐하여 거래가 성립된 것이 확인되었을 때, 입출금구(7)를 열며, 거래가 성립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 입출금구(7)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도어체(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입출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반송수단(R1, R13)은 상기 주 제어부에 의해 거래가 성립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 도어체(50)에 의해 입출금구(17)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지폐일시수납실(51)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를 상기 제2의 지폐수납부(23)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KR1019840004670A 1984-08-04 1984-08-04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KR900001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670A KR900001975B1 (ko) 1984-08-04 1984-08-04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670A KR900001975B1 (ko) 1984-08-04 1984-08-04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063A KR860002063A (ko) 1986-03-26
KR900001975B1 true KR900001975B1 (ko) 1990-03-30

Family

ID=1923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670A KR900001975B1 (ko) 1984-08-04 1984-08-04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72B1 (ko) * 2006-06-20 2009-01-07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처리 시스템
KR101229727B1 (ko) * 2011-09-07 2013-02-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72B1 (ko) * 2006-06-20 2009-01-07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처리 시스템
KR101229727B1 (ko) * 2011-09-07 2013-02-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063A (ko) 1986-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2332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US4980543A (en) Multiple denominator bank note depositor/dispenser with automatic loading to and from storage section
KR890001801B1 (ko) 지엽류 취출장치
GB2135493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GB2166898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JP4370656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900001975B1 (ko)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JPH036794A (ja) 紙弊入出金装置
JP2001331843A (ja) 紙幣入出金装置
KR890001939B1 (ko) 자동지폐 입출금 장치
JPS59153287A (ja) 自動取引装置
JP2918317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890001941B1 (ko) 자동 지폐 입출금 장치
JPH11195159A (ja) 紙幣入出金装置
JP261431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854885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H0570197B2 (ko)
KR890001940B1 (ko)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JP2615197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3044664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3157075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577810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96832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995261B2 (ja) 自動取引機集中処理システム
JP2598519B2 (ja) 現金入出金装置の一括収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3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