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40B1 -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40B1
KR890001940B1 KR1019840004439A KR840004439A KR890001940B1 KR 890001940 B1 KR890001940 B1 KR 890001940B1 KR 1019840004439 A KR1019840004439 A KR 1019840004439A KR 840004439 A KR840004439 A KR 840004439A KR 890001940 B1 KR890001940 B1 KR 89000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conveying
bill
storing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397A (ko
Inventor
미노루 시로세
테루히꼬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101984000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940B1/ko
Publication of KR86000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지폐 입출금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자동지폐 입출금장치를 일부절결한 사시도.
제2도는 입출금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제3도-제6도는 지폐의 취입·취출장치를 각각 상이한 동작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
제7도는 일시집적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8도는 집적·취출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9도는 취출기구를 도시하는 일부단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분리기구 및 집적·취출장치를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
제12도-제15도는 집적·취출장치를 각각 상이한 동작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
제16도는 동작을 제어하는 블록다이어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17도는 내부 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8도는 원격 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9도는 입금처리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0도는 입금반환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1도는 출금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2도는 회수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측면도.
제23도는 장전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아트.
제24도는 장전시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5도는 장전시의 저어널의 인자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6도는 장전시 및 장전반환시의 반환처리에 있어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7도는 보충 장전시의 저어널의 인자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8도는 정사(精査)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아트.
제29도는 정사시의 지폐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30도는 정사시의 저어널의 인자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1도는 일부 정사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아트.
제32도는 일부 정사시의 저어널의 인자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출금장치 2 : 본체
3 : 조작반부 4 : 통장삽입구
5 : 카아드 삽입구 6 : 전표발행구
7 : 입출금구(통화취급구) 8 : 조작버튼
9 : 조작부 10 : CRT표시부
11 : 카아드/전표처리 유니트 12 : 입출금기구
13 : 내부 모니터장치 14 : 유니트 본체
15 : 지폐취입·취출장치 16, 17, 18, 19 : 금고카세트
20, 21, 22, 23 ; 지폐수납부 28, 29, 30, 31 : 분리기구
32, 33, 34, 35 : 일시보관부 36 : 감사부
37 : 표리 반전부 38 : 일시집적부
40a~40u : 지폐통과검지기 41a~41i : 지폐유무검지기
42 : 공배검지기 43 : 공배예비 검지기
44 : 만배검지기 45 : 반배예비 검지기
50 : 도어체 51 : 지폐수납실
52 : 가이드판 53 : 반송벨트
55 : 취입로울러 55 : 풀리
66 : 반송벨트 69 : 스프링
71 : 아암 76 : 가이드판
80 : 지폐일시집적실 86 : 팔랑개비
91 : 스토퍼 100 : 팔랑개비
112 : 취출구 120 : 반송벨트
본 발명은 자동지폐 입출금 장치, 특히 예를 들면 은행의 기계화 코오너등에 설치되어 지폐를 입출금시키는 자동지폐 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지폐 거래장치로서 입출금장치가 많이 실용화되고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와같은 입출금장치는 자동화 계산기(Automated Teller Machine : ATM)로서 은행의 기계화 코오너에 설치되어 있다.
이 ATM은 카아드나 통장등의 매체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현금(지폐)의 인출(출금), 또는 예입(입금)등의 거래를 고객 자신의 조작으로 할 수 있도록 구상하고 있다.
이 ATM은 은행창구의 영업종료 후에도 시간연장하여 가동할 수 있고 또 백화점, 슈우퍼마아켓등의 점포내에 설치하여 무인운용할 수도 있는바 앞으로 그 설치대수의 증가가 예측된다.
이와같은 배경에 있어서, 입출금장치의 운용자금의 효율화는 인원의 효율화 및 합리화와 같이 은행등의 금융기관에서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입출금자치로는 정사(精査)를 할때, 각 입출금고의 지폐를 일단 입출금구에서 출금하여 이 지폐를 입출금장치와는 별도의 장소에 설치한 정사지폐수납고에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인해 정사처리 속도가 현저히 늦고 또한 긴 반송로를 통과해야하고 장해가 발생하기 위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입출금고의 지폐를 직접 정사지폐수납고에 수납하는 방법이 고려되나 이경우, 반송계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입금용과 출금용의 반송로가 별도가 되고, 그 감사부가 별도로 필요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고려하여 연구된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정사시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통화의 감사부가 1개로 되는 자동입출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사시에 지폐삽입구에 지폐를 돌려보내는 일 없이 제1의 수납부의 지폐를 제2의 수납부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한 양상에 의하면 지폐삽입구에 삽입된 지폐를 반소하는 반송로와 이 반송로에 설치된 반송되는 지폐를 감사하는 감사부와 상기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상기 감사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제1의 수납부에 입금수단과, 상기 제1의 수납부의 수납지폐를 취출하여 상기 감사부를 개재하여 방출하는 출금수단과, 정사지성시, 상기 제1의 수납부로부터 수납지폐를 취출하여 상기 감사부를 개재하여 정사지폐수납용의 제2의 수납부에 수납하는 수납수단과 이 수납시의 감사결과를 출력함으로써 정산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출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자동지폐입출금장치의 1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자동지폐 입출금장치로서의 지폐자동 순환식의 입출금장치(1)를 도시한다. 이 입출금장지(1)는 본체(2)를 구비하고 본체(2)의 접객면측에 조작반부(3)가 형성된다. 조작반부(3)의 수직반부(3a)에는 통장삽입구(4), 카아드삽입구(5), 및 전표발행구(6)가, 또 조작반부(3)의 수평조작반부(3b)에는 입금구와 출금구를 겸용하는 입출금구(통화취급구)(7), 복수의조작버튼(8)...을 가진 조작부(9), 및 안내표시부, 즉 CRT 표시부(10)가 설치된다.
또, 본체(2)내에는 통장삽입구(4)로부터 삽입된 통장을 받아 그 정보의 판독 및 기록을 하는 동시에 거래내용의 이자를 하는 통장판독/인자장치(도시생략), 및 카아드삽입구(5)로부터 삽입된 자기카아드의 취급과 전표발행구(6)에 대한 전표 발행 및 저어널의 사본작성을 실시하는 카아드/전표처리 유니트(11)가 설치된다.
또 본체(2)내에는 망각한 지폐의 입금반환, 망각회수, 장전 및 정사기능을 구비한 입출금기구(12) 및 내부모니터장치(13)가 수납된다.
다음에 제2a도 및 제2b도를 참조하여 입출금기구(1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중 참조번호(14)는 입출금기구(12)의 유니트본체를 나타낸다. 이 유니트 본체(14)내의 앞쪽(접객면 방향) 상부에는 입출금구(7)에 대응해서 지폐취입·취출장치(15)가 설치된다. 또 유니트 본체(14)내의 뒤쪽(반접객면 방향)에는 아래에서 위로 제1, 제2, 제3, 제4의 금고카세트(17), (17), (18), (19)가 배치된다. 이들 제1 내지 제4의 금고카세트(16)~(19)는 출금부적합지폐수납부로서의 제1의 액면권(50달러지폐, 10파운드지폐, 50마르크지폐)/베제지폐를 수납하는 제1의 수납부(20, , 제2의액면권(10달러지폐, 5파운드지폐, 10마르크지폐)를 수납하는수납부(21), 제3의 액면권(100달러지폐, 20파운드지폐, 100마프크지폐)을 수납하는 수납부(22) 및 회수/장전지폐를 수납하는 제4의 수납부(회수고/장전고)(제1의 수납부(23)를 각각 구성한다. 또 제1~제4의 금고카세트(16)(17)(18(19)는 입출금장치(1)의 본체(2)에 설치된 뒤쪽도어(2a)를 개방하므로써 각각 본체(2)의 뒤쪽으로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유니트 본체(14)내의 전후방향(도면중 좌우방향)을 따라 거의 중앙부에는 각 지폐수납부(20)(21)(22)(23)의 취출구에 각각 대향해서 제1, 제2, 제3, 제4의 집적, 취출장치(24), (25), (26), (27)가 배설된다.
각 지폐수납부(20), (21), (22), (23)에는 현재의 거래와 전회까지의 거래를 분리구분하는 구분수단으로서의 분리기구(28)(29)(30)(31)가 각각 설치된다. 각 분리기구(28)(29)(30(31)와 각 집적·취출장치(24)(25)(26)(27)사이에 일시보관부(32)(33)(34)(35)가 각각 형성된다.
또, 유니트 본체(14)내의 앞쪽의 상하방향에 따르는 거의 중앙부에는 감사부(36)가 배치된다. 이 감사부(36)의 하방에는 표리반전부(37), 앞쪽에는 일시집적부(38)가 설치된다.
또, 유니트 본체(14)내에는 지폐반송로 R가 형성되어 통화, 예를 들면 지폐 A를 각부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측 지폐반송로 R는 지폐 A를 지폐 취입·취출장치(15)로 부터 감사부(36)를 통하여 감사부(36)와 일시집적부(38)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의 분기부까지 반송하는 제1의 반송로부 R1과 제폐 A를 제1의 분기로부터 제1의 반송로부 R1의 감사부(36)에의 입구부분에 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는제2의 반송로부 R1와, 제1의 분기부로부터 일시집적부(38)까지 반송하는 제3의 반송로부 R3과, 일시집적부(38)로부터 지폐취입·취출장치(15)까지 반송하는 제4의 반송로부 R4와, 제2의 반송로부 R2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1의 집적·취출장치(24)의앞쪽 하방에 위치하는 제2의 분기부로부터 제1의 수납부(20)의 하방에 배설된 배제권 집적부(49)가지 반송하는 제5의 반송로부 R5와, 제2의 반송로부 R2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1의 집적·취출장치(24)의 앞쪽 상방에 위치되는 제3의 분기부로부터 제1의 집적 취출장치(24)까지 반송하는 제6의 반송로부 R6과, 제2의 반송로부 R2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2의 집적·취출장치(25)의 앞쪽 상방에 위치하는 제4의 분기부로부터 제2의 집적·취출장치(25)까지 반송하는 제7의 반송로부 R7과, 제2의 반송로부 R2의 도중에 규제되어 제3의 집적·취출장치의 앞쪽 상방에 위치하는 제5의 분기부로부터 제3의 집적·취출장치까지 반송하는 제8의 반송로부 R8과, 제1의 집적·취출장치(24)로부터 제2의 반송로부 R2의 제1의 집적·취출장치(24)의 앞쪽에 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제9의 반송로부 R9와, 제2의집적·취출장치(25)로부터 제2의 반송로부 R2의 제2의 집적·취출장치(25)의 앞쪽에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제10의 반송로부 R10과, 제3의 집적·취출장치(26)로부터 제2의 반송로부 R2의 제3의 집적·취출장치(26)의 앞쪽에 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제11의 반송로부 R11과, 제2의 반송로부 R2에 규정되어 감사부(36)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6의 분기부로부터 제2의 반송로부 R2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2의 분기부의 앞쪽에 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고, 이곳으로 반송되는 지폐를 180°뒤집는 제12의 반송로부 R12와, 제1의 반송로부 R1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49 집적·취출장치(27)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7의 분기부로부터 제4의 집적·취출장치(27)가지 반송하는 제13의 반송로부 R13과, 제4의 집적·취출장치(27)로부터 제2의 반송로부 R2의 도중에 규정되어 제4의 집적·취출장치(27)의 앞쪽 하방에 위치하는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제14의 반송로부 R14와, 제3의 반송로부 R3의 도중에 규정된 제8의 분기부로부터 제1의 반송로부 R1의 도중에 규정된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제15의 반송로부 R15를 구비한다.
또, 제1내지 제8의 분기부에는 제1 내지 제8의 배분 게이트(39a)(39c)(39d)(39e)(39f)(39b)(39g)(39h)가 각각 배설되고 각 배분 게이트는 각 분기부에 도달한 지폐를 계속되는 2개의 반송로부의 어느 한쪽으로 유도하도록 제어된다. 각 배분 게이트(39a)~(39h)는 도시를 생략한 회정형 솔레노이드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된다.
또, 지폐반송로 R의 도중에는 각 장소에 지폐통과 검지기(40a)~(40u)가, 그리고 제폐 A...가 집적되는 각집적장소에는 지폐유무 검지기 (잔류 첵 센서)(41a)~(41i)가 각각 배치된다. 지폐통과 검지기(40a)~(40u) 및 지폐 유무검지기(41a)~(41i)는 각각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공지의 구성이다.
또, 각 지폐수납부(20)(21)(22)(23)에는 각각 반매검지기(44), 반매예비검지기(45), 공배검지기(42) 및 공배예비검지기(43)가 설치된다. 각 검지기(42)(43)(44)(45)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고, 후기하는 합판(98)에 고정된 이동체(99)에 의하여 온-오프되어 각 검출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해서 입출금구(7) 및 이 입출금구(7)에 대향해서 배치된 지폐 취입·취출장치(15)를 설명한다. 또 이 지폐 취입·취출장치(15)는 취입기구(15a)와 취출기구(15b)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중 참조부호(50)은 입출금구(7)를 개폐한 도어체를 나타낸다. 이 도어체(50)의 손잡이(50a)는 수평조작반(3b)의 상면에서 함몰된 위치에 설정되고, 핸드백등의 고객의 소지품으로 도어체(50)의 개폐동작이 저해당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도어체(50)에 의해서 개폐되는 입출금구(7)의 하방에는 지폐수납실(51)이 형성된다. 이 지폐수납실(51)은 저부를 가이드판(52)에 의하여, 또 양측면부를 취입기구(15a)에 설치된 제1의 반송벨트(53) 및 취출기구(15b)에 성치된 제2의 반송벨트(54)의 상호 대향면부에 의하여 각각 규정된다.
또, 취입기구(15a)는 다음가 같이 구성된다. 즉, 제1의 반송벨트(53)가 상하에 배설된 풀리(55)(56)에 가설된다. 하방에 위치하는 풀리(55)와 동축상태로 취입로울러(57)가 설치된다. 이 취입로울러(57)는 풀리(55)에 가설된 제1의 반송벨트(53)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풀리(55)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 취입로울러(57)의 하단부는 복수매 취입방지수단인 역전부레이크벨트(58)와 접촉상태에 있다.
한편, 상기 제2의 반송벨트(54)와 네스트상태로 백업체(59)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백업체(59)는 리니어 베어링(60)을 거쳐서 수평으로 연출하는 가이드 샤프트(61)에 장착된다. 이 백업체(59)는 도시를 생략한 백업체 작동기구에 의하여 가이드 샤프트(61)를 안내로하여 지폐수납실(51)내의 지폐 A를 제1의 반송벨트(53)에 압압하기도 하고, 지폐수납실(51)로부터 퇴피하기 위해 제2의 반송벨트(54)보다도 도면에서 좌측하방 위치로 이동된다.
또, 취출기구(15b)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취입로울러(57)에 대향해서 제3의 반송벨트(62)가 가설된 풀리(도시생략)가 배설된다. 이 풀리와 일체로 풀리(63)가 장착된다. 한편 이 풀리(63)의 상방에는 풀리(64)가 설치된다. 제2의 반송벨트(54)는 풀리(63) 및 풀리(64)에 가설된다.
이 제3의 반송벨트(62)와 지폐수납실(51)의 저부에 배치된 풀리(65)에 가설된 제4의 반송벨트(66)와의 상호 대향부에 의하여 지폐반송로 R의 일시집적부(38)로부터 지폐수납부(51)에 지폐 A...를 반출하는 제4의 반송로부 R4가 형성된다.
또, 풀리(64)는 아암(71)의 자유단부에 장착된다.
이 아암(71)은 기단부를 하측의 풀리(63)의 지축(68)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자재로 지지되고 스프링(69)에 의하여 상시 지폐수납실(51)에서 퇴피하여 스토퍼(70)에 당접하는 위치를 향해서 부세된다.
이 아암(71)은 아암자동기구(72)에 의해서 스프링(69)의 부세력에 반발하여 지축(68)을 지접으로 회동하여 지폐수납실(51)내에 들어갈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플런저형 솔레노이드(73)의 플런저(37a)에 일단을 연결시키고 중도부를 가이드 풀리(74)에 가설하고 타단부를 아암(71)의 가단부에 연결시킨 스프링(75)이 연결된다. 이 스프링(75)은 스프링(69)보다 강한 부세력을 가지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솔레노이드(73)가 여자되면 플런저(73a)가 당겨져서 아암(71)은 스프링(69)의 부세력에 반발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지폐수납실(51)내에 들어간다.
또, 취입로울러(57)의 회전에 의하여 1장씩 취입된 지폐 A는 가이드판(76)에 의해서 안내되어 지폐반송로 R의 제1의 반송로부 R1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송벨트(77), (78)간에 이송된다. 또 반송벨트(77)가 가설된 종동로울러는 역전 브레이크벨트(58)가 가설된 풀리가 장치된 축에 대하여 회동자재로 장착된다.
지폐수납실(51)내에는 이곳의 지폐 A...의 유무를 검지하는 2개의 지폐유무검지기(41a), (41b)가 상하고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방의 지폐유무검지기(41b)는 최대 크기의 지폐가 지폐수납실(51)내에 정확히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그 지폐 A의 상단부와 검지기(41b)의 광축과의 사이에 있는 간격을 두도록 위치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수광소자는 발광소자로부터 빛을 받아 "명"(明)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 하방의 지폐유무검지기(41a)는 지폐 A의 상단부를 출금동작시나 입금반환 동작시에 있어서 입출금구(7)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했을때 지폐 A의하단부와 검지기(41a)의 광축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도록 위치 설정된다. 이 상태로 수광소자는 발광소자로부터 빛을 받아 "명"의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입금시의 지페의취입동작을 설명한다.
고객이 입금을 지시하면 도어체(50)는 도시를 생략한 모우터에 의하여 도면에서 우측으로 당겨져서 제3도의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입출금구(7)를 개방한다. 이때 백업체(59)는 제3도에 도시와 같이 지페수납실(51)에서 퇴피된 위치에 있으므로 고객은 입출금구(7)로부터 지폐수납실(51)에 금종이나 표리가 혼합된 지폐다발 A...를 새운 상태로 일괄투입이 가능하다. 투입후 지폐투입종료의 신호로서 고객은 손잡이(50a)를 개재하여 도어체(50)를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해서 입출금구(7)를 폐쇄한다.이 폐쇄 종료를 도시를 생략한 검지기가 검지하여 지폐의 취입동작으로 들어간다.
즉, 우선 제4도의 도시와 같이 도면에서 우측의 제1의 반송벨트(53)가 화살표의 표시와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주행한다. 이 주행에 따라서 원주의 일부에 고마찰계수의 고무가 소부된 투입로울러(57)도 회전을 시작한다. 한편 동시에 백업체(59)가 도시를 생략한 백업체 작동기구에 의하여 도면중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하여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지폐다발 A는 우측으로 압압될어 취입로울러(57)와 제1의 반송벨트(53)에 압착된다.
이때 백업체(59)는 (도시를 생략한)스프링을 중간에 넣어서 지폐다발을 압착하는 구성을 취한다. 다라서 지폐다발 A...의 두께에 좌우되지 않고 확실히 지폐다발을 압착할 수 있는 동시에 백업작동기구에 무리한 작용을 주는 일어었다.
취입로울러(57)의 회전에 따라 이것에 접촉하는 지폐 A가 취입된다. 이때 지폐 A의 취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역전브레이크벨트(58)에 의하여 2장째 이후의 지폐 A의 취입의 저지된다. 이와같이 지폐수납실(51)내의 지폐 A...는 차례로 1장씩 취입되어 반송벨트(77)(78)사이에서 규정되는 제1의 반송로부 R1로 이송된다.
다음에 제5도를 참조해서 입출금구(7)로 되돌아온 반환지폐 A의 지폐수납실(51)에 대한 주고받기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입출금구(7)는 도어체(50)에 의하여 폐쇄된다. 백업체(59)는 도면중 좌측방향으로 이동해서 지폐수납실(51)로부터 퇴피한다.
이와같이 하방으로 반송벨트(62) 및 (66)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4의 반송로부 R4를 거쳐서 일괄적으로 이송되는 지폐다발 A의 선단이 제2의 반송벨트(54)와 제1의 반송벨트(53)와의 상호 대향면 사이에 규제되는 지폐수납실(51)내에 침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지폐 A의 지폐수납실(51)에 대하여 주고받기가 완료된 후, 입금시의 베제지폐와 같이 재차 지폐의 독취(讀取)가 필요한 것은 도어체(50)를 페쇄한 채로 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 취입동작을 재차 반복한다.
또, 입금시의 자동반환지폐, 출금시의 지불지폐와같이 재차 독취를 하지 않고 고객에게 직접 반환, 지불을 하여 발취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제6도의 도시와 같이 백업체(59)는 도면중 좌측방향으로 이동된 그대로의 상태로 한다.
지폐 A의 반송동작을 한번 정지한 상태에서 플런저형 솔레노이드(73)를 여자시켜서 제2의 반송벨트(54)가 가설된 풀리(64)가 장치된 아암(71)을 지축(68)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지폐수납실(51)내의 지폐다발 A...를 제1의 반송벨트(53)와 제2의 반송벨트(54)로 협지한다.
그후, 도어체(50)를 (도시를 생략한)모우터에 의해 이동시켜 입출금구(7)를 개방한다. 이 개방동작후, 좌측의 제2의 반송벨트(54)는 동상의 반송속도의 1/10로 속도를 감속시킨 느린 반송속도로 화살표의 도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주행시킨다.
한편 도시에 우측의 제1의 반송벨트(53)도 동일하게 감속해서 화살표의 표시와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지폐다발 A...를 상방으로 내보낸다. 여기에서 하방의 지폐유무검지기(41a)과 "명"신호를 출력하면 양반송벨트(53)(5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때, 지폐다발 A...는 절반이상 입출금구(7)에서 돌출한 상태로 정지하고 있다. 이로 이해 고객은 쉽게 이 지폐다발 A...를 꺼낼수 있다.
또, 스프링(75)의 부세력에 의하여 확실히 협지되고 있으므로 낙하되거나 바람으로 날리는 일이 없다.
한편, 고객이 지폐다발 A...를 발취한 사실을 알리는 상방의 지폐유무검지기(41b)가 "명"신호를 출력하므로써 검지되면 도어체(50)에 의하여 입축금구(7)가 폐쇄된다. 한편, 이 타이밍으로 솔레노이드(73)가 소자되어서 아암(71)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또 좌측에 위치하고 있던 백업체(59)가 제3도에서 도시하는 위치에 복귀되어 다음의 스텝으로 진행된다.
만약, 소정의 시간이 지나도 지폐유무검지기(41b)가 "명" 신호를 출력하지 아니할때는 고객이 지폐 A...의 발취를 엊어버린 것으로 판단하여 회수동작이 실행된다. 우선 제1 및 제2의 반송벨트(53)(54)는 지폐 A...를 협지한 채로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통상의 반송속도의 1/10의 저속도로 주행한다.이 주행은 상방의 지폐유무검지기(41b)가 "명"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실시된다. "명"신호가 출력되는 것은 모든 지폐 A가 완전히 지폐수납실(51)내로 취입된 것을 뜻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73)의 여자를 해제하여 제2의 반송벨트(54)가 가설된 풀리(64)가 장치된 아암(71)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도어체(50)에 의하여 입출금구(7)를 폐쇄한다.
그후, 제4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통상의 입금취입의 일련의 동작에 의하여 이 잊어버린 지폐는 한장씩 차례로 취입된다.
다음에 제7도를 참조하여 일시집적부(38)를 설명한다. 이 일시집적부(38)는 집적기구(38a)와 취출기구(38b)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80)는 지폐일시집적실을 나타낸다.
이 지폐일시집적실(80)은 저부를 가이드판(81)에 의하여, 또 양측면부를 집적기구(38a) 및 취출기구(38b)의 반송벨트(83) 및 (62)의 연장부(62a)의 상호대향면부에 의하여 각각 규정된다.또, 지폐일시집적실(80)의 상방에 배치된 풀리(83) 및 도시를 행략한 풀리에 가설된 반송벨트(84)와 반솔벨트(85)와의 상호 대향부에 의하여 지폐반송로 R의 제3의 반송로부 R3이 형성된다. 이 제3의 반송로부 R3를 거쳐서 제8의 분기부에 설치된 배분 게이트(39h)(제2A도 도시)에 의하여 배분된 지폐 A는 지폐일시집적실(80)로 유도된다.
또, 제3의 반송로부 R3의 종단 하방에는 팔랑개비(86)가 설치된다. 반송벨트(84)(85)로 협지되어 차례로 1장씩 반송되어 온 졔폐 A의 선단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팔랑개비(86)의 날개(86a)(86a)사이에 들어간다. 이어서 반송벨트(84)에 의하여 선단이 가이드되면서 하방으로 안내되어 벨트(82)를 따라 하방으로 반송되어 지폐 A의 후단이 반송벨트(84)에서 벗어난 위치에 도달하면 다음의 날개(86a)에 의해서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튀어나온다. 그리고 반송벨트(82)와의 사이에 충분한 극간을 형성한 상태로 지폐 A는 지폐일시집적실(80)네에 집적된다.후속의 지폐 A는 이 집적된 지폐 A와 반송벨트(82)와의 사이에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로 지폐일시집적실(80)내에 집적된다.
한편 팔랑개비(86)으로부터 지폐 A를 벗어나게 하는 가이드가 되는 반송벨트(82)는 팔랑개비(86)의 주축(86b)의 근방에 위치하는 풀리(87)와 가이드판(81)의 하방에 위치하는 풀리(88)게 가설된다. 또 상측의 풀리(87)는 하측의 풀리(88)의 지축(89)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자재로 지지되니 아암(92)의 자유단측에 장착되는 이 아암(92)는 스프링(90)에 의하여 상시 스토퍼(91)에 당접되고 지폐일시집적실(80)에서 퇴피하는 위치까지 부세된다. 이 아암(92)는 상기의 지폐취입·취출장치(15)의 아암작동기구(72)(제3도~제6도 참조)와 동일한 아암작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서 지축(89)을 중심으로 스프링(90)의 부세력에 반발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아암(92)이 이와같이 회동함으로서 제7도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지폐일시집적실(80)내의 지페 A...는 반송벨트(62)의 연장부(62a)에 압접하게 된다.
또, 반송벨트(82)는 (도시를 생략한) 구동계를 개재하여 반송벨트(62)와 같은 속도로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지폐일시집적실(80)내의 지폐 A...는 알괄해서 지폐반송로 R의 제4의 반송로부 R4내로 이송된다.
또, 지폐일시집적실(80)내의 지폐 A...의 유무는 지폐유무검지기(41C)의 "암(暗)", "명(明)"에 의하여 각각 검지된다.
또, 표리반전부(37)는 제12의 반송로부 R12에 있어서 지폐 A를 협지반송하는 반송벨트의 반송방향을 따라 180°방향전환된 부분에서 규제되는데, 이것은 공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8도~제11도를 참조하여 제1~제4의 집적·취출장치(24)(25)(26)(27)및 간막이 수단으로서의 분리기구(28)(29)(30)(31)를 설명한다. 이들은 모두 동일구성을 이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제1의 집적·취출장치(24) 및 제1의 분리기구(28)만을 설명하고, 다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100)는 한쌍의 집적용 팔량개비를 도시한다.
양팔랑개비(100)는 한쌍의 프레임(101)에 각각 장치된 한쌍의 축받이(102)(제10도)를 거쳐서 회전자재로 횡적으로 가설된 공통의 샤프트(103)에 장착된다. 또 샤프트(103)는 펄스 모우터(104)를 구동원으로 하는 동력전달계(105)를 거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또, 집적용 팔랑개비(100)의 외측에는 외주부가 팔랑개비(100)의 외주부와 일부 겹친상태로 취출기구로서의 한쌍의 회전체(106)가 형성된다. 각 회전체)106)는 팔랑개비(100)가 장치된 샤프트(103)와 평행으로 횡적으로 가살된 중공샤프트(107)에 회전자재로 장치된다. 또 각 회전체(106)는 (도시를 생략한) 구동계를 거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각 회전체(106)는 제9도의 도시와같이 외주의 일부가 고무등의 고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또 각회전체(106)의 회측면에는 각도 θ(실시예에서는 45°)의 범위로 복수의 흡착공(106a)이 형성된다.그리고 샤프트(107)에는 중공부를 거쳐서(도시를 생략한) 진공원가 연통된 통공(107a)이 형성된다. 흡착공(106)은 이 통공(107)에 소정의 타이밍마다 대향되므로써 가장 많이 여기에 접촉하는 지페 A를 차례로 흡착하도록 구성된다.
또, 이 취출기구로서의 회전체(106) 및 팔랑개비(100)와 네스트 상태로 가동체(108)가 설치된다. 이 가동체(108)는 제10도와 같이 지축(109)을 거쳐서 회전자재로 장착된다. 이 지축(109)는 펄스모우터(110)를 구동원으로 하는 동력전달게(111)에 연결되고 이 동력전달계를 거져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와같이 가동체(108)는 제11도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집적위치와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취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편위가 가능하다. 그리고 팔랑개비(100)에 의한 집적동작시에는 가동체(108)는 집적위치에 이동되어 가동체(108)의 일부가 팔랑개비(100)와 교차하여 지폐 A를 팔랑개비(100)에서 벗어나게 하는 가이드부(108a)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다른부분의 제1의 수나부(20)의 취출구(112)를 폐색하는 스토퍼부(108b)로서 기능한다. 또 회전체(106)에 의한 지폐 A...의 취출시에는 가동체(108)는 일정각도만큼 회동함으로써 집적회위치로부터 취출위치로 이동되어 가이드부(108a)가 지폐A를 추출방향(아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가로 방향)에서 압압지지하는 동시에 스토퍼부(108b)가 취출구로부터 퇴피된다.
또, 취출구(112)에는 회전체(106)에 의하여 흡착 취출되는 지폐 A에 복수하여 취출되려고 하는 2장째 이후의 지폐 A...를 분리하는 2장잡이 방지로울러(113)가 설치된다.
또, 제8도의도시와 같이 팔랑개비(100)의 상방부위에는 반송로 R의 제2의 반송로부 R2로부터 분기한 제6의 반송로부 R6의 종단이 인접된다. 배분 게이트(39d)를 통해 배분된 지폐 A는 제 6의 반송로부 R6을 거쳐 팔랑개비(100)으로 인도된다. 또 팔랑개비(100)의 하방부위에는 종단부를 제2의 반송로부 R2에 합류시킨 제9의 반송로부 R9가 형성된다. 취출기구로서의 회전체(106)를 통해 추출된 지폐 A는 제9의 반송로부 R9를 거쳐 제2의 반송로부 R2로 이송된다. 제2의 반송로부 R2는 복수의 가이드 로울러(114)...에 가설함으로써 설치된 반송벨트(115)와 이 반송벨트(115)에 그 일부가 접촉하도록 가이드 로울러(116)...에 가설함으로써 설치된 복수(4개)의 반송벨트(117)와의 상호대향면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 제6의 반송로부 R6는 반송벨트(117)와 이 반송벨트(117)의 상면부에 일부가 접촉하도록 가이드 로울러(118)에 가설함으로써 설치된 반송벨트(119)와의 상호대향면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5의 반송로부 R5는 반송벨트(119)와 이 반송벨트(119)의 하면부에 그 일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된 반송벨트(120)와의 상호대향면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다음에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간막이수단으로서의 분리기구(28)(29)(30)(31)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들 분리기구(28)~(31)는 동일구성을 이루고 있다. 즉, 제4의 수납부(23), 제3의 수납부(22), 제2의 수납부(21) 및 제1의 수납부(20)에는 각각 수대(受臺)(130)가 설치된다. 이 수대(130)가 설치된다. 이 수대(130)위에는 이와같이 집적된 지폐군 A...를 에워싸는 상태로 장방형틀 체모양의 가동체(131)가 설치된다. 이 가동체(13)는 도시를 생략한 리니어 베어링을 거쳐서 가이드로드(128)(129)에 의하여 지폐 A...의 집적방향을 따라 왕복자재로 지지된다. 이 가동체(131)의 상하 양수평틀체부(131a), (131b)에는 복수의 돌편(132a)..., (133a)...을 가진 플랩퍼(132), (133)가 지축(134)(135)를 지접으로 하여 각각 회동자재로 장착된다.
또, 이들 플랩퍼(132)(133)에는 펄스모우터(136)의 구동력이 링크기구(137)를 거쳐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돌편(132a)..., (133a)...가 지폐 A...의 집적영역에 삽탈이 가능하도록 이동된다.
또, 제11도의 도시와같이 한쪽의 가이드로드(120)의 일단부의 근방에는 VR 라이프의 펄스모우터(138)의 구동축에 장치된 구동풀리(139)가, 또 타단부의 근방에는 종동풀리(140)가 각각 배설된다. 그리고 가동체(131)에는 이들 풀리(139)(140)에 가설된 타이밍벨트(141)의 중도부가 연결된다. 통상상태에서는 이 가동체(11)를 정상정지위치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2도 B의 도시와 같이 초기위치 검지기(142) 및 전진위치용 검지기(143)가 각각 형성된다. 이들검지지(142)(143)가 설치된 위치에서 가동체(131)는 각각 정지된다. 또 가동체(131)가 전진위치로 전진해도 각 플래퍼(132)(133)의 돌편(132a)..., (133a)...이 집적·취출장치(24)(25)(26) 및 (27)에 당접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된다.
또, 도면에서 참조번호(144)는 지폐일시집적실(32)의 양측단면을 규정하고 도시를 생략한 수단에 의하여 이동자재로 배설되고 지폐 A의 길이방향의 정위(위치정돈)를 하는 정위가이드판을 표시한다.
또, 제8도는 지폐의 지폐일시보관부((3)에 대한 집적상태를 도시한다. 제12도는 집적·취출장치(24) 및 분리기구(28)의 입금 취입시의 상태, 제13도는 입금반환시의 상태, 제14도는 출금시의 상태, 그리고 제15도는 출금후의 대기시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즉 지폐의 일시보관부(3)에 대한 집적시에는 가동체(108)는 제8도의 도시와 같이 좌측으로 회동하고 가이드부(108a)는 팔랑개비(100)와 네스트상태로 구성되는 동시에 스토퍼부(108b)는 지폐취출구(112)를 폐색하고 있다.
또, 분리기구(28)의 각 플래퍼(132)(1330의 돌편(132a)(133a)은 이미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선두의 1장을 계지하고 있다. 일시보관부(32)에 집적된 지폐의 수납부(20)에의 취입시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제12도의도시와 같이 돌편(132a)(133a)은 지폐를 계지하는 위치로부터 계지하지 않는 위치까지 일단 외방으로 회동된다. 이와같이 일시보관부(32)에 집적된 지폐는 이미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던 지폐에 합체된다. 그후 돌편(132a)(133a)은 전방으로 이동되어 지폐의 선두의 1장을 계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입출금이 불성립되거나 고객이 입금을 승인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13도의 도시와 같이 돌편(132a)(133a)은 지폐를 계지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동시에 가동체(108a)는 우측으로 회동되어 가이드부(108a)가 일시보관부(32)에 집적된 입금지폐의 선두의 1장에 계합되는 동시에 소토퍼부(108b)가 지폐취출구(112)로부터 이동되어서 이것을 개방한다. 그후 회전체(106)의 회전에 의하여 일시보관부(32)에 집적된 입금지폐는 1장씩 취출된다. 또 이미 수납부(20)에 수납되어 있었던 지폐는 돌편(132a)(133a)에 의하여 입금지폐와는 격리되어 있으므로 회전체(106)에 의하여 취출될 염려는 없다.
또, 출금시에는 제12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제14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돌편(132a)(133a)은 지폐를 계지하는 위치에서 계지하는 않는 위치로 회동되는 동시에 가동체(108)는 우측으로 회동된다. 그후 회전체(106)의 회전에 의하여 수납부(20)에 수납되어있는 지폐는 1장식 취출된다. 또 소정의 매수의 츨금동작이 완료하면 제14도의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15도의 상태로 돌편(132a)(133a)은 지폐의 선두의 1장에 계합하는 대기상태로 세트된다.이 대기상태는 입출금장치(1)에 아무런 동작이 지시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집적·취출장치(24) 및 분리기구(28)가 취하는 상태이다.
제16도는 입출금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블럭선도를 도시한다. 즉 주제어부(150)는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기억부(152)는 예를 들면 ROM(리이드 온리 메모리)로 구성되고 제어프로그램등이 기억되어 있다. 입출금기구제어부(151)는 주제어부(150)로부터의 신호와 감사제어부(15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입출금기구(12)를 제어하는 것이다. 감사제어부(155)는 감사부(36)를 제어한다. 조작반부·내부모니터장치 제어부(153)는 조작반부(3) 및 내부모니터장치(13)를 제어한다. 카아드·전표처리제어장치(154)는 카아드·전표처리유니트(11)를 제어한다. 통장판독인자 제어부(156)는 통장삽입구(4)로부터 삽입된 통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하는 동시에 통장 및 저어널에 거래내용을 기록하는 통장판독인자장치(157)의 제어를 실시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주제어부(150)는 입출금기구(12)내의 각 검지기로부터의 신호 및 감사부(36)로부터의 감사신호에 따라 각 수납부(21)(22)(23)에의 수납매수를 계산하거나 금종(권종)마다의 수납매수, 장진매수, 정사매수 등을 계수하는 것이다. 또 주제어부(150)는 원격모니터 입출력제어부(159)를 개재하여 이 입출금기구(12)와는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원격모니터 장치(175)를 제어한다. 또 주제어부(150)는 통신제어부(158)에 의하여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로서 기능하는(도시를 생략한)중앙처리장치와 데이터전송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모니터장치(13)는 제17도의 도시와 같이 동작진행상태 코우드 표시부(161), 리세트버튼(162), 장전버튼(160), 보충버튼(163), 금종마다의 거래매수를 표시하거나 또는 제2의 액면권, 제3의 액면권의 각각의 장전매수 또는 정사매수를 표시하는 매수표시부(164), 수납버튼(166), 합산버튼(168), 조회버튼(169), 반환버튼(167), 제3의 수납부(22)의 니어 엔드를(near end) 점멸로 표시하고 엔드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기(170), 제2의 수납부(21)의 니어 엔드를 점멸로 표시하고 앤드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가(171), 제1의 수납부(20)의 니어 엔드를 점멸로 표시하고 엔드를 잠등으로 표시하는 표시기(172), 회수/장전을 표시하는 표시기(174) 및 텐키이, 금종키이로 구성되는 키이보오드(173)등을 구비한다.
원격 모니터(175)는 제18도의 도시와같이 구성된다. 즉 제3의 수납부(22)의 니어 엔드를 점멸로 표시하고 엔드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기(178), 제2의 수납부(21)의 니어 엔드를 점멸로 표시하는 표시하고 엔드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기(179), 제1의 수납부(20)의 니어 엔드를 점멸로 표시하고 엔드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표시기(180), 과목, 동작스텝, 동작상태 코오드를 표시하거나, 제3의 액변권, 제3의 액면권의 각각의 장전매수 또는 정사매수를 표시하는 표시부(177), 및 매수버튼(176)등을 구비한다.
다음에, 이와같은 구성의 입출금장치(1)에 있어서 주제어부(150)에 의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이용객(고객)은 CRT 표시부(10)에 표시되는 "카아드 또는 통장을 삽입해주십시요"라는 조작안내를 보고, 예를 들면 카아드를 카아드 삽입구(5)에 삽입한다. 그러면 그 카아드의 자기 스트라이프상의 데이터가 도시를 생략한 판독부에 의하여 판독되어 주제어부(150)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하여 주제어부(150)는 카아드의 정당성을 체크한다.그리고 카아드가 정당한 경우 주제어부(150)는 CRT 표시부(10)에서 "비밀번호를 투입해 주시요"라는 조작안내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용객이 비밀번호를 조작버튼(8)에 의하여 투입하면 주제어부(150)는 카아드로부터 판독한 비밀번호와 조작버튼(8)에 의하여 입력한 비밀번호와의 일치 또는 관련성의 체크를 실시한다. 일치했을 경우 또는 관련성이 미리 류정된 규칙을 만족할때 주제어부(150)는 CRT 표시부(10)에서 "거래종목을 선택하시요"라고 안내하는 동시에 "입금, 출금, 대체불입, 잔고조회"의 거래종목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지시를 표시한다.
그리고, 거래종목의 선택에 있어서 입금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이 투입되면 주제어부(150)는 입금접수상태가 되어 입금기구(12)에 입금지령을 출력한다. 이로 인해 입출금기구(12)는 입출금구(7)의 도어체(50)를 개방한다. 이어서 이용객이 지폐다발 A를 금종표리 혼합으로 일괄해서 또 세윤상태로 지폐수납실(51)에 투입한 후 도어체(50)를 닫는다. 도시를 생략한 검지기가 도어체(50)가 닫힌 것을 검지한다. 또 검지기(41a)(41b)의 검지에 의하여 주제어부(150)가 지폐수납실(51)에 정확히 지폐가 입금된 것으로 판정한다.
그후 지폐 A는 취입로울러(57)를 통해서 한장씩 취입된다.이 취입된 지폐 A는 제19도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제1의 반송로부 R1을 반송한다. 이때 지폐 A는 지폐통과검지기(40a)에 의하여 취입검지가 실시되어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제어부(150)가 취입매수를 게수한다. 또 지폐 A가 감사부(36)를 통과할때 "반송방향을 따르는 길이",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따르는 길이", "자기패턴 매칭", "투과광의 색분해", "반사광에 의한 미세부분의 분할 매칭"등의 검지가 실시된다. 이들 검지에 의하여 "권종판별", "진위판별", "정손판별", "표리판별"이 실시되고 그 결과가 주제어부(50)에 공급된다. 이들 판별결과에 의하여 주제어부(150)는 그 감사결과를 도시를 생략한 카운터로 계수한다. 또 주제어부(150)는 진위판별에 의하여 지폐 A가 "위"가 되었을때 즉, 두장잡이하거나 지나치게 스큐하거나 파손되어서 올바른 졔로서 인식이 안되었을때 입출금기구(12)에 배제신호를 출력한다. 이 배제신호에 의항여 지폐 A의 선단이 지폐통과검지기(40b)에 도달했을때 제1의 배분 게이트(39a)가 우측으로 회동되어 제2의 반송로부 R2가 닫혀진다. 따라서 제19도에 굵은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폐 A는 제3의 반송로부 R3가 반송되어서 일시집적부(38)에 일시접직된다.
한편, 진위판별에서 "진"으로 판별되고, 또 표리 판별에서 "표"로 판별된 제1의 액면권의 경우 주제어부(150)는 입출금기구(12)에 그 취지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출력에 의하여 배분 게이트(38a)(39b)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3의 반송로부 R3이 닫힌느 동시에 제2의 반송로부 R2가 제6의 분기부에서 닫힌다.
이와같이하여 제1의 액면권은 배분 게이트(39a)(39b)에서 배분되어 제2의 반송로부 R2의 전반을 지나서 제12의 반송로부 R12, 즉 표리반전부(37)에 반송된다. 이 표리반전부(37)에서 이면이 표면으로 반전된 제1의 액면권은 재차 제2의 반송로부 R2로 이송된다.
또, 지폐가 제1의 액면권인 경우 배분 게이트(39c)(39d)가 우측 및 좌측으로 회동된다. 이와같이 제1의 액면권은 배분 게이트(39d)에서 배분되어 제6의 반송로 R6을 반송되어 제1의 집적·취출장치(24)에 의하여 제8도시와 같이 제1의 일시보관부(32)에 집적된다. 이때 각 수납부(20)(21)(22)에서는 분리기구(28)(29(30)가 제8도의 도시와 같이 임금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또한 상하 양쪽의 플래퍼(132)(133)의 돌편(132a)..., (133a)...이 지폐 A를 압착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각 집적·취출장치(24)(25)(26)의 앞쪽에 일시보관부(32)(33)(34)가 형성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 가동체(108)는 지축(109)를 중심으로 펄스모우터(110)에 의하여 구동되어 좌측으로 이동한다. 팔랑개비(100)에 안내된 지폐 A는 가동체(108)의 가이드부(108b)에 충돌하므로써 팔랑개비(100)에서 벗어난다. 이때 그 원주상의 일부가 고마찰제로 형성되고, 또 구멍이 뚫린 회전체(10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또 회전체(108)의 스토퍼부(108b)가 지폐취출구(112)를 폐색하고 있다. 따라서 팔랑개비(100)에서 벗어난 지폐 A는 한장 한장 하방으로 정위 집적된다. 또 지폐 A의 길이 방향의 정위는 도시를 생략한 수단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정위가이드판(144)에 의하여 지폐 A가 팔랑개비(100)로부터 벗어져서 집적되는 시기에 이루어진다.
한편 제2의 액면권, 제3의 액면권의 경우에는 배분 게이트(39e)(39f)가 각각 좌측으로 회동하여 제2 및 제3의 액면권은 각각 제2, 제3의 일시보관부(33)(34)에 집적된다.드리고 지폐가 진위판별에서 "진"으로 판별되고 또 표리판별에서 "표"로 판별된 경우 배분 게이트(39b)는 좌측으로 회동해서 제12의 반송로부 R12를 닫혀서 이러한 표리반전부(37)를 거치지 않고 금종마다에 대응하는 일시보관부(32)(33)(34)에 각각 집적된다. 집적시 통과검지기(40m)(40n)(40o)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제어부(150)는 제1, 제2, 및 제3의 액면권 각각의 집적매수를 도시를 생략한 카운터를 통해서 계수한다. 한편, 검지기(41a)(41b)에 의하여 지폐수납실(51)의 지폐가 없음이 검지되면 취입로울로(57)의 회전은 정지되고 입금지폐의 취입처리가 완료된다.
다음에 일시집적부(38)에 배제권이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암(92)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같이하여 배제권이 제7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반송벨트(82)와 (62)에 협지되어 제19도에서 굵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4의 반송로 R4를 거쳐서 일괄해서 지폐수납실(51)까지 반송된다. 이와같이 지폐수납실(51)에 반환되어 집적된 배제권은 재차 취입반송되어 상기한 입금처리가 실시된다.
이와같이 하여 투입된 전지폐가 집적된 후 계수가 조회된다. 즉 감사부(36)에서의 제1의 액면권의 감별 매수, 제2의 액면권의 감별매수 및 제3의 액면권의 감별매수와 감액면에 대응하는 일시보관부(32)~(34)에 대한 반송로부 R5, R7, R8상에 있는 통과검지기(40m)(40n) 및 (40o)에 의한 각각의 계수매수가 주제어부(150)에서 조회되어 2중의 체크로써 계수의 보증이 실시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계수가 조회된 후, 주제어부(150)는 권종별 매수와 합계입금액을 조작반부(3)의 CRT 표시부(10)에 표시한다. 고객에게 투입금액 및 권종별 매수의 확인을 촉진한다. 고객이 확인버튼을 누르면 호스트 컴퓨터로서의 중앙 처리장치와 온라인 교신이 실행된다. 그 결과 받아드림이 "가(可)"가 되면 제10도, 제11도에 도시하는 펄스모우터(136)가 구동되어서 플랩퍼(132)(133)는 회전되어서 상하방향으로 개방된다. 그결과 각 수납부(16)(17)(18)의 백업체(145)를 개재하여 각 수납부(16)(17)(18)에 수납되는 지폐군 A는 압압스프링(146)에 압압되어 전진하여 일시보관부(32)(33)(34)의 지폐 A와 합치되어 정지한다. 그후 펄스모우터(138)가 구동되어서 분리기구((28)(29)(30)가 전진된다. 그리고 펄수모우터(136)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서 플래퍼(132)(133)에서 지폐 A가 계지된다. (제12도 참조), 이와같은 취입동작에 의하여 각 일시집적부(32)(33)(34)의 권은 각 수납부(20)(21)(22)에 각각 수납된다. 이와같은 입금처리 동작에 있어서의 지폐의 흐름은 제19도에 있어서 굵은 실선 및 굵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실시된다.
고객에 의한 투입금액 확산시에 불승인 버튼을 눌렀을때, 또는 온라인 교신이 아직 받아 들려지지 않고 "불가(不可)로 되었을 경우, 주제어부(150)는 입금지폐의 반환상태가 되어 입출금기구(12)에 반환지령을 출력한다. 이 반환지령에 의하여 일시보관부(34)(33)(32)에 집적된 지폐 A가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 제1의 액면권 지폐의 순으로 취출동작이 실시되어 일시집적부(38)에 일광해서 집적된다. 따라서 모우터(126)에 의한 위치유지력이 해제되어 상하양쪽의 플래퍼(132)(133)는 백업체(145)에 의하여 집적지폐 A와 같이 스프링(146)의 힘으로 압압된다. 이와같이 일시보관부(32)(33)(34)의 각 지폐 A...는 팔랑개비(100)를 향해서 압접된다. 다음에 가동체(108)를 우측방향으로 회동하므로써 일시보관부(32)(33)(34)의 지폐 A는 플래퍼(132)(133)의 돌편(132a)..., (133a)과 가동체(108)의 사이에 협지된다.(제13도 참조), 다음에 도시를 생략한 진공펌프를 구동시키고, 또 회전체(106)의 시계방향 회동을 개시한다. 여기에서 회전체(106)의 개구부(106a)와 진공실과 연통되는 샤프트(107)의 개구부(107a)(회전체의 회동방향으로 약 45°개방되어 있다)가 대면한 곳에서 지폐 A를 흡인하고 취출이 개시된다. 취출개시후 회전체(106)가 45°회동된 지점에서 회전체(106)의 개구부(106a)의 흡인이 중지되고 지폐 A의 선단이 회전체(106)와 벨트(119)의 사이에 끌려들어간다. 이와같이 지폐가 일시보관부(22)(33)(34)에서 취출된다.
또, 지폐 A의 겹쳐잡이 방지동작은 중심이 공동으로 진공실에 연결되고 지폐 A에 대면한 측에 개구부가 있는 2장잡이 방질로울러(113)에서 지폐를 흡착하므로써 실시된다. 이 2장잡이 방지로울러(113)에 의한 지폐 A의 흡착은 취출종료 후 지폐 A의 하단이 플래퍼(133)로 지지될때까지 속행된다. 따라서 지폐 A의 취출구(112)로부터의 낙하는 방지된다. 각 수납부(16)(17)(18)의 취출동작의 종료타이밍은 분리기구(28)(29)(30)를 일단 후퇴시키고 지폐유무검지기(41e)(41f)(41g)가 "명"신호를 출력했을때에 종료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20에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각 일시보관부(32(33)(34)로부터 취출된 입금지폐는 한장씩 제2의 반송로 R2의 후한부분, 제1의 반송로부 R1의 후반부분, 그리고 제3의 반송로부 R3를 차례로 통과하여 일시집적부(38)에 반송된다. 일시집적부(38)에 모든 입금지폐가 일시집적 도었을때 제7의 도시와 같이 그 지폐 A는 지폐수납실(51)까지 일괄 반송된다. 그후 지폐수납실(51)의 지폐 A는 모두 상기한 지폐방출기구(팝업기구)에 의하여 입출금구(7)로부터 돌출되어 고객은 입금지폐를 발취하는 것을 촉구한다. 이때 주제어부(150)는 CRT 표시부(10)에서 "입금지폐를 반환합니다"라는 표시를 한다. 이와같은 입금반환 처리동작시에서의 지폐의 흐름은 제20도에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다.
자동반환동작에 있어서는 모든 입금지폐는 어떠한 조건에서도 일시집적부(38)에 일시집적되어 일괄적으로 지폐수납실(51)까지 반송된후 제6도에 도시하는 지폐방출기구(팝업기구)에 의하여 고객에게 반환된다. 즉 반환지폐의 감사에 대해서는 감사부(36)는 일체하지 않는다. 감사부(36)는 반환지폐에 대해서도 입금시와 동일하게 감사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굳이 감별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입금시의 계수와 반환싱의 계수가 불일치가 되었을 경우의 복구 수단이 대단히 복잡해지는 동시에 반환시의 지폐의 취출동작시에 발생된 겹쳐잡이 등으로 계수 조회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입출금기구(12)의 각부의 배치에 의하면 재시도에 의한 복구수단이 기구상은 가능하다.
다음에 거래종목의 선택시, 출금에 대응하는 조작버트(8)이 투입되념 주제어부(150)는 "금액을 버튼으로 누르고 마지막에 종료버튼을 눌러 주십시요"라는 안내글씨를 표시부(10)에서 표시하게 한다. 이어서 이용객은 안내에 따라 조작버튼(8)에 의하여 금액을 투입한다. 이 금액의 투입에 의하여 주제어부(150)는 "금액이 맞았으면 확인버튼 또는 환전버튼을, 안맞으면 정정버튼을 눌러주시요"라는 안내글씨를 CRT 표시부(10)에서 표시한다. 이 버튼을 누름으로써 주제어부(150)는 "교신중 입니다. 잠시 기다려주십시요"라는 안내글씨를 CRT 표시부(10)에서 표시하게 한다. 이때 주제어부(150)는 중앙처리장치와 온라인 교신을 실시하는 동시에 입출금기구(12)에 출금지령을 출력한다. 이 출력에 의하여 입출금기구(12)는 설정금액에 대응하는 지폐를 지폐수납부(21)(22)로부터 취출하여 일시집적부(38)에 집적시킨다. 즉 우선 제3의 수납부(22) 및 제2의 수납부(21)의 각각의 분리기구(30)(29)의 플래ㅍ퍼(132)(133)는 펄스모우터(136)가 동작함으로써 열린다. 다음에 펄스모우터(110)가 동작되어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가동체(108)가 회동된다.
이와같이 하여 제14도의 도시와같이 취출용의 회전체(106)와 지폐 A와의 사이에 극간이 0.5~1.5mm형성된다.
우선, 제3의 수납부(22)로부터 지폐 A를 취출하기 위하여 진공펌프가 동작되어 샤프트(107)내의 진공도가 높아진다.
다음에 제11의 반송로부 R11을 형성하는 반송벨트(119)를 회전시키고 취출기구로서의 회전체(106)가 회전을 개시한다.
이와같이 하여 취출이 시작된다. 이와같이 취출된 지폐는 배분 게이트(39f), (39g), (39h)에서 차례로 배분되어 제21도에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의 반송로부 R2의 후반, 제1의 반송로부 R1의 후반, 제3의 반송로부 R3를 거쳐서 반송되어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된다. 이때 제3의 수납부(22)로부터 취출된 제3의 액면권은 지폐통과검지기(40r)에 의하여 취출검지가 실시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제어부(150)가 취출매수를 계수한다. 또 제2의 수납부(21)로부터의 취출된 제2의 액면권은 지폐통과검지기(40q)에 의하여 취출검지가 실시되어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제어부(150)가 취출매수를 계수한다. 또 그 취출된 지폐가 감사부(36)를 통과할대, "권종판별"등이 실시되고 그 결과가 주제어부(150)에 공급된다. 이로인해 주제어부(150)는 그 감사결과를 도시를 생략한 카운터에서 계수한다. 또 일시집적부(38)에 집적시키는 지폐는 지폐통과 검지기(40f)에 의하여 집적검지가 실시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제어부(150)가 집적매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통과검지기(40r)(40q)에 의한 취출매수가 설정매수가 되었을때, 주제어부(150)는 대응되는 지폐수납부(22)(21)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종료시킨다. 또 주제어부(150)는 감사결과에 따른 제2의 액면권과 제1의 액면권의 가산 매수의 지폐통과검지기(40f)에 의한 집적매수가 일치하느냐에 따라 매수조회가 실시된다.
상기와 같이 취출된 지폐 A는 감사부(36)를 통과시키고, "권종판별"을 받아 각 액면에 대응한 지폐수납부(22)(21)에서 취출된 권종이라는 것이 재확인된다. 이 "권종판별"에 대해서는 통상 재감사할 필요는 없으나 부족분을 계원이 세트할 때, 세트미스가 아주 없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재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정손판별"에 대해서는 입금시의 운용모오드에 의하여 정손에 의한 배분이 필요한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즉 입금에서는 "진"지폐로서 권종판정이 가능하면 어떠한 오염, 파손 또는 셀로판지로 보수한 권등이라도 받아드리는 것이 좋다. 이들 손권을 출금용으로 제3의 수납부(22), 제2의 수납부(21)에 수납하도록 운용모오드를 선택해도, 또는 출금부적합으로서 제1의 수납부(20)에 수납하도록 운용모오드를 선택해도 좋다. 전자에 있어서는 출금시의 정손판정이 필요하고, 후자에서는 특별히 정손판정은 필요없다.
어떻든 고객에 지출되는 지폐로서 손권을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정손판별을 실시할때 손권은 재사용에 부적당한 지폐를 뜻하고, 베제지폐로서 제1의 수납부(20)에 안내되고 집적/수납된다. 즉 배제권이 발생했을 경우는 배분 게이트(39a)는 좌측으로 회동되어서 제3의반송로부 R3을 닫고, 또 배분 게이트 표리반전부(37)를 통과하지 않고 제21도에서 굵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배제권은 제2 및 제6의 반송로부 R2, R6을 거쳐서 제1의 수납부(20)에 집적/수납된다. 또 배제권은 제21도에서 굵은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2 및 제5의 반송로부 R2, R5를 거쳐서 배제권 집적부(49)로 절환하여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출금처리 동작에서의 지폐의 흐름은 제21도의 도시와 같다.
이와같이 배제권이 발생했을때는 지정매수분의 보충을 실시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의 액면권의 추가 취출이 실시된다.
그후,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된 지출지폐는 제7도에 도시하는 기구에 의하여 일괄해서 송출되어 지폐수납실(51)에 집적된다. 그후, 주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와 온라인 교신하여 이 결과, 거래 "허가"로 표시되면 제6도에 도시하는 지폐방출기구에 의하여 지폐 A는 아암(71)으로 협지되어 들어올려진다. 이와같이 출금지폐는 고객에게 지불되어 발취될 것을 대기한다.
또, 온라인교신이 미거래 "불가"로 표시되었을 경우에는 지폐수납실(51)에 집적된 출금지폐는 입금시의 처리와 같이 1장씩 취입되어 감별되어서 원래의 수납부(22)(21)에 액면별로 수납된다. 이와같이 교신에 들어가는 동시에, 즉 거래의 허가/불허가의 선택이 나오기 전에 지폐의 취출을 개시하는 "병행동작"을 채용하므로써 한 거래에 대한 처리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이 가능하고 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거래 "불가"로 표시가 나와도 취출된 지폐는 원래의 수납부로 반환될 수 있으므로 문제는 없다.
다음에 지폐를 제6도에서 도시하는 지폐방출기구로 들어올려서 고객의 발취를 대기하는 출금지폐의 방출할때, 입금자동반환된 지폐를 방출할때 및 입금동작에서 발생한 배제권을 방출할때, 입금자동 반환된 지폐를 방출할때 및 입금동작에서 발생한 배제권을 방출할때, 망각 지폐 회수동작에 대하여 제22도에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망각지폐는 고객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내에 지폐를 발취하지 않아서 발생한다.
제6도에 도시하는 방출기구에 있어서 제1의 반송벨트(53)와 제2의 반송벨트(54)에 협지되어 압출된 지폐다발 A는 도시를 생략한 구동원에 의하여 화살표와 반대방향으로 반송되어서 지폐수납실(51)내로 되돌아간다.
지폐검지기(41b)가 "명"신호, 지폐검출기(41a)가 "암"신호를 각각 출력하게 되었을때 지폐가 완전히 되끌어들여서 지폐수납실(51)에 취입된다. 이 타이밍으로 솔레노이드(73)의 여자는 해제되고 제2의 반송벨트(54)가 가설된 풀리(64)에 장치된 아암(71)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자동적으로 도어체(50)는 닫히고, 입출금구(7)는 폐쇄된다. 그후, 제4도에 도시하는 상기한 통상의 입금취입의 일련의 동작에 의하여 지폐다발 A를 1장씩 제1의 반송로 R1에 차례로 취입하게 된다. 이때 배분 게이트(39g)는 좌측으로 회동되어서 제1의 반송로부 R1를 제7의 분기부에 있어서 폐쇄하는 동시에 제13의 반송로부 R13을 개방한다. 이와같이 1장씩 취입된 지폐는 제22도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1의 반송로부 R1의 전반 및 제13의 반송로부 R13을 통해서 제4의 수납부(23)의 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다. 그리고 모든 회수는 처리가 완료된 후 회수지폐는 일시보관부(35)로부터 제12도의 도시와같이 수납된다.
이와같이 회수처리는 제4의 수납부(23)가 만배가 될때까지 계속되는 운용모오드에 있어서는 회수거래와 회수된 지폐의 대응을 취하지 않는 운용모오드와 양자의 대응을 취하는 운용모오드가 가능하다.
대응을 취하는 운용모오드에서는 첫번째의 회수거래의 회수지폐는 제4의 수납부(23)속에 수납하고 두번째의 회수거래의 회수지폐는 분리기구(31)에서 제4의 수납부(23)로부터 구획되는 일시보관부(35)에, 또 세번째의 회수거래의 회수지폐는 지폐수납실(51)내에 정지시키는 운용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회수처리기 두번째까지는 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 가능하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회수지폐는 감사부(36)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제4의 수납부(23)에 취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배분 게이트(39g)를 우측으로 회동해 놓음으로써 회수지폐는 제1의 반송로부 R1를 모두 통과하여 감사부(36)에서 감별하여 계수되고 그후,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되어 일괄해서 지폐수납실(51)에 돌려보내고 나사 재차 취입하여 이번에는 배분 게이트(39g)를 좌측으로 회동해 놓음으로써 제4의 수납부(23)에 넣는 일도 기구상 가능하다.
또, 회수지폐는 입금과 같이 감사계수하여 액면별로 지폐수납부(20)(21)(22)에 배분수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지폐장전처리에 대하여 제23(a)도, 제23(b)도에 도시하는 플로우챠아트와 제24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계원은 아침 일찍이 그날 하루동안에 필요한 만원지폐, 천원지폐를 혼합하여 제4의 금고카세트(19)의 제4의 지폐수납부(23)에 수납하고, 입출금기구(12)에 세트한다. 그리고 계원은 내부모니터(13)의 장전버튼(160)을 누른다. (ST 1). 이 장전버튼(160)를 누름으로써 주제어부(150)는 검지기(41g)(41c)(41b)(41f)(41e)(41a)~(41u)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일시보관부(32)(33)(34), 일시집적부(38), 지폐수납실(51) 및 각 반송로 R1~R15에 지폐가 남아 있지 않은가를 체크한다(ST 2). 남아 있으면 그 사실을 내부모니터(13)의 동작상태표시부(161)에 에러코우드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 3).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이 제1 내지 제3의 수납부(20)(21)(22)로부터 지폐를 발취한다(ST 4). 이때 보충버튼(163)이 눌러지면(ST 22), 후기하는 보충장전이 실시된다. 이때 주제어부(150)는 CRT 표시부(10)에서"장전중이르모 잠시기다려 주십시요"라는 표시를 나타낸다.
이어서 주제어부(150)는 검지기(41h)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제4의 수납부(23)에 지페의 유무를 체크한다(ST 5). 지폐가 없으면 그것을 내부모니터(13)의 동작상태표시부(161)에 에러코우드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 6).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이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을 혼합하여 제4금고카세트(19)의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한다(ST 7). 이때 장전버튼(160)이 눌러져 있으므로 도중보충의 여부에 대한 판단(ST 8)은 NO로 되어 다음 스텝(ST 9)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장전용지폐가 있고, 모든 장소에 지폐의 잔류가 없을 경우 주제어부(150)는 지폐수납부(23)의 지폐를 상기한 출금시의 취출동작을 동일하게 차례로 1장씩 취출한다(ST 9A). 취출된 지폐는 제14의 반송로 R14 및 제1의 반송로 R1의 후반을 반송되어 감사부(36)를 통과한다. 그러면 감사부(36)는 지폐를 감별하고 그 감별결과를 주제어부(150)에 출력한다. 이로인해 주제어부(150)는 제2의 액면권의 매수와 제3의 액면권과의 매수를 계수하는 동시에 진위를 판별한다. 따라서 감사부(36)를 통과한 지폐는 입금처리시와 동일하게 진권이 각각의 액면에 대응되는 일시보관부(34)(33)에 집적된다(ST 9C).
즉 배분 게이트(39a)는 좌측으로 회동하고 감사부(36)를 통과한 진권은 제24도에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의 반송로 R2를 거쳐 대응되는 수납부(21)(22)를 향해서 반송된다. 한편, 배제권의 경우에는 배분 게이트(39a)는 우측으로 회동하고, 감사부(36)를 통과한 배제권은 제3의 반송로부 R3을 개재하여 일시집적부(38)에 반송된다(ST 9D).
그리고, 제3의 일시보관부(34) 또는 제2의 일시보관부(33)의 어느 하나가 만배인 100장에 도달했을때, 또는 제4의 수납부(23)의 지폐가 없어졌을때(ST 9E), 제4의 수납부(23)의 지폐취출은 일단 정지되고(ST 9E), 제2 또는 제3의 일시보관부(33)(34)에 각각 집적된 지폐는 각각 제2 또는 제3의 수납부(21)(22)에 수납된다(ST 10). 이 수납동작이 완료되면 아직 제4의 수나부(23)에 지폐가 남아 있을 경우 계속해서 제4의 수납부(23)의 지폐취출이 개시된다.
일시보관부(33)(34)가 100매에 도달했을때 일단 취출동작을 중지하고 100매의 집적지폐를 대응하는 수납부에 수납시킨다. 이 동작은 취출지폐가 제4의 수납부(23)에서 없어질때까지, 즉 제4의 수납부(23)의 지폐없음이 공검지기(42)로 검지되고, 또 검지기(41h)가 "명"신호를 출력할때까지 실시된다(ST 11). 마지막의 지폐가 반송되고, 또 일시보관부(33) 또는 (34)에 집적된후, 주제어부(150)는 각 반송로부 R1~R15에 지폐의 잔류가 없음을 검지기(40a)...에 의하여 검지되고 각부를 정지시킨다. 이때 주제어부(150)는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되는 배제권을 제24도에서 굵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일괄적으로 지폐수납실(51)에 반송시킨다(제7도 참조). 이어서 지폐수납실(51)의 지폐는 상기한 회수동작과 같이 1장씩 취출되어 제4의 수납부(23)의 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 후, 지폐잔류없음의 검지에 의하여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된다(ST 12).
이와같이 일련의 장전동작이 완료되면 주제어부(150)는 카아드, 전표처리유니트(11)내의 도시를 생략한 인자부에 의하여 저어널 JA상에 지폐장전내용 즉 제25도의 도시와 같이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의 각 권종별의 매수 및 합계금액을 인자한 것을 발행시키는 동시에 내부모니터(13)의 매수표시부(164)에서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의 각 권종별의 매수를 표시한다(ST 13). 또 주제어부(150)는 매제권이 있어 반환되는 경우, 회수/장전표시기(17)를 표시하여 이것으로 계원에게 알린다. 이 통보에 의하여 계원은 제4의 수납부(23)에 반환된 지폐를 제4금고카세트(19)를 발취하여 매수를 계수한다. 계원은 이 매수와 저어널의 인자내용, 내부모니터(13)의 표시내용을 기초로하여 자신이 최초로 세트한 각 권종 매수, 금액을 조회하여 확인한다.
확인이 되면 계원은 내부모니터(13)의 수납버튼(116)을 누른다(ST 14). 이리하여 일시보관부(33)(34)에 집적되는 최후의 지폐를 각 수납부(21)(22)에 수납하여(ST 14B), 장전처리를 완료한다.
계원의 세트단계에서의 지폐과부족 또는 계원의 계산미스등으로 조회확인이 취해지지 않는 경우는 계원은 내부모니터(13)의 반환버튼(167)을 누른다(ST 15A). 이 버튼이 압하되면 제1 및 제2의 수납부(22)(23) 및 각 일시보관부(34)(33)에 있는 장전된 지폐모드가 출금시의 취출동작과 동일한 처리로 1장씩 취출되어 제26도에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0 또는 제11의 반송로부 R10 또는 R11 및 제2의 반송로부 R2의 후반 및 제1의 반송로부 R1의 후반을 통해서 감사부(36)에 반송된다.
여기에서 배분 게이트(39a)(39h)(39g)는 우측으로, 좌측 그리고 각각 미리 회동된다. 따라서 감사부(36)를 통과한 지폐는 배분 게이트(39a)의 방향을 따라 제3의 반송로 R3을 통과하고, 또 배분 게이트(39h)의 반향을 따라 제15의 반송로 R15로 들어간다. 그후 제15의 반송로부 R15로부터 제1의 반송로 R1를 개재하여 지폐가 반송되어 배분 게이트(39g)의 방향을 따라 제13의 반송로 R13으로 들어간다.
이와같이 하여 제4의 수납부(23)의 일시보관부(35)에 회수된 장전지폐는 집적되어 그후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된다. 이 수납동작도 장전시와 동일하게 100매 마다의 간헐동작을 반복하여, 제3 및 제2의 각 수납부(22)(21) 및 대응하는 일시보관부(34)(33)가 비고, 또 반송로에서 지폐가 없어질때까지 계속되어(ST 15B) 장전반환동작이 완료한다. 장전시의 반환처리의 흐름은 제26도의 도시와 같다.
다음에 지폐의 보충장전에 대하여 제23A도와 제23C도, 제23D도에 도시하는 플로우챠아트와 제24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2 또는 제3의 수납부(21)(22)의 수납지폐가 적어져서 니어엔드의 경보가 나왔을 경우 계원은 내부모니터(13)의 보충보턴(163)을 압하하는 동시에 키이보오드(173)에 의하여 금종별의 보충장전 매수를 설정한다(ST 22). 이때 주제어부(150)는 그 보충장전매수를 금종별로 도시를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한다. 또 주제어부(150)는 CRT 표시부(10)에서 "장전중이므로 잠시 기다려 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한다.
이어서 주제어부(50)는 검지기(41h)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장전용 지폐수납부(23)에 지폐의 유무를 체크한다(ST 5). 지폐가 없으면 그사실을 내부모니터(13)의 동작상태표시부(161)에 있어서의 에러코우드의 표시에 의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장전지폐없음을 회수/장전시의 표시기(174)로 통보한다(ST 6).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이 제2 및 제3액면권을 혼합해서 제4금고카세트(19)의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한다(ST 7).
그후, 보충버튼(163)이 눌러져 있으므로 도중보충의 여부에 대한 판단(ST 8)은 YES로 판단되어 다음 스텝(ST 16A)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회수지폐가 있을때는 그것을 제거한 후 장전지폐가 수납된다.
그리고, 보충장전용 지폐가 있을 경우, 주제어부(150)는 배분 게이트(39a)를 우측으로, 배분 게이트(39h)를 우측으로, 그리고 배분 게이트(39g)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이로인해 제4의 수나부(23)의 지폐는 상기한 출금시의 취출동작과 동일하게 차례로 1장씩 취출되어 반송로 R6에 의해서 감사부(36)로 반송된다. 그러면 감사부(36)는 지폐를 감별하여 그 감별결과를 주제어부(150)에 출력한다(ST 16B). 이로인해 주제어부(150)는 제2의 액면권의 매수와 제3의 액면권의 매수를 계수한다. 감사부(36)를 통과한 지폐는 입금처리시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배제권이 일시집적부(38)(ST 16D), 제3 및 제2의 액면권이 각각의 일시보관부(34)(33)에 집적된다(ST 16C). 이때, 주제어부(150)는 제3 및 제2의 액면권의 각각의 감별매수와 지정매수가 일치하느냐의 여부를체크한다(ST 16E).
그리고 제3의 액면권 또는 제2의 액면권의 매수의 어느 한쪽이 일치된 후에 그 일치지폐와 동일한 액면의 지폐가 감사부(36)를 통과했을때 그 지폐는 배제권으로서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된다.
한편 제3 및 제2의 액면권의 감별매수가 다같이 설정매수와 일치했을때 그 일치했을때의 지폐가 반송되어서 대응되는 일시 보관부(33) 또는 (34)에 집적된후 주제어부(150)는 반송로 R의 각부에 지폐가 잔류하지 않는 것을 감지기(40a)...에 의하여 검지하고 각부를 정지시킨다. 이때 주제어부(150)는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되는 배제권을 제24도에서 굵는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일괄해서 지폐수납실(51)에 반송한다(제7도 참조). 이어서 지폐 수납실(51)의 지폐는 상기한 회수동작과 같이 1매씩 취출되어 제4의 수납부(23a), 일시보관부(35)에 수납된다(ST 12).
이와같이 일련의 보충장전동작이 완료되면 주제어부(150)는 카드, 전표처리유니트(11)내의 도시를 생략한 인자부에 의하여 저어널 JB상에 지폐장전 내용, 즉 제27도의 도시와같이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의 각 권종별의 매수를 인자한 것을 발행시키는 동시에 내부모니터(13)의 매수표시부164)에서 제3의 액면권, 제2의 액면권의 각권종별의 매수를 표시한다(ST 13). 또 주제어부(150)는 배제권 배제권이 있어 반환되는 경우 회수/장전 표시기(17)를 표시하고, 그것으로 계원에게 알린다. 이로인해 계원은 제4의 수납부(23)에 반환된 지폐를 제4금고카세트(19)를 발취하여 매수를 계수한다. 계원은 이 매수와 저어널 JB의 인자내용과 내부모니터(13)의 표시내용을 기초로하여 자신이 최초에 세트한 각권종 매수, 금액을 조회하여 확인한다(ST 14A). 이 확인이 실시되었을때 계원은 내부모니터(13)의 수납버튼(166)을 누른다(ST 14B).
이와같이, 일시보관부(33)(34)에 집적되는 최후의 지폐는 각 수납부(21)(22)에 수납되어(ST 14C), 장전처리가 완료된다. 이때 주제어부(150)는 제3 및 제2의 지폐수납부(22)(21)에 있어서의 수납매수를 보충장전된 매수만 가산한다. 계원의 세트단계에서 지폐의 과부족 또는 계원의 계산미스등으로 조회확인이 안되는 경우는 계원은 내부모니터(13)의 반환버튼(167)을 누른다(ST 15A).
이 버튼이 눌러지면, 제3 및 제2의 각 수납부(22)(21) 및 각 일시보관부(34)(33)에 있는 보충장전된 지폐의 전부가 출금시의 취출동작과 동일한 처리로 1장씩 취출되어 제26도에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0 또는 제11의 반송로부 R10 또는 R11 및 제2의 반송로부 R2의 후반 및 제1의 반송로부 R1의 후반을 통해서 감사부(36)에 반송된다. 여기에서 배분 게이트(39a)(39h)(39g)는 우측으로, 좌측 그리고 좌측으로 각각 미리 회동된다. 따라서 감사부(36)를 통과한 지폐는 배분 게이트(39a)의 방향에 따라 제3의 R3를 통과하여, 또 배분 게이트(39h)의 방향에 따라 제15의 반송로 R15에 들어간다. 그후 제15의 반송로 R15로부터 제1의 반송로 R1를 개재하여 지폐가 반송되어 배분 게이트(39g)의 방향을 따라 제13의 반송로 R13으로 들어간다. 이와같이 해서 제4의 수납부(23)의 일시보관부(35)에 회수된 보충장전지폐는 집적되어 그후,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된다. 이 동작도 장전시와 동일하게 100매별의 간헐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제3 및 제2의 각 수납부(22)(21) 및 대응되는 일시보관부(34)(33)로부터 보충장전한 매수의 지폐가 취출되고, 또 반송로로부터 지폐가 없어질때까지 계속되어 완료된다. 이와같은 보충장전의 반환처리의 지폐의 흐름은 제26도의 도시와 같다.
상기와 같이 제3 또는 제2의 수납부(22)(21)에 수납된 지폐가 적어져서, 예를들면 니어엔드 상태가 되었을때에 소정매수의 보충장전을 할 수 있다. 이 보충장전에 의하여 영업시간 종료에 가까운 경우에 남은 짧은 영업시간내에 필요한 매수분만의 보충장전을 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장전에 의한 시간의 허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한 실시예에서는 장전처리 및 보충장전처리가 출금용지폐로서 사용되는 제2의 액면권과 제3의 액면권과의 양지폐에 대하여 실시되었다. 그러나 어느 한쪽의 지폐의 처리로도 좋다.
상기와 같이 장전처리 및 보충장전처리는 각권종 100매멸의 간헐동작에 의하여 집적수납이 반복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처리도중에서 지폐가 취출부, 반송부, 집적부등에서 정체되었을 경우에도 그때까지 수납된 지폐는 계수보증된다. 따라서 제3 및 제2의 수납부(22)(21)에 들어간 지폐는 그대로 두고, 일시보관부(4)(33) 및 반송, 취출중의 지폐만 제거하여 리세트한 후 장전버튼(160)을 누름으로써 속행된다.
이와같이 사로발생시에 계원의 보수처리가 간단하다.
또 전장전 및 보충장전도 통상은 권종표리가 정리되고, 또 정권인 지폐를 세트하는 것이 은행으로서의 상식이다. 그러나 표리. 정손혼합의 경우에도 대응하도록 장전/보충장전시의 감사기능으로는 입금시와 같이 "권종판별" "표리판별" "정손판별" 및 "진위판별"의 전기능이 활용되고 있다.
제4금고카세트(19)를 사용한 보충장전의 경우 고객 대기상태에서 보충버튼(163)의 누름이 유효해지고 고객이 조작중에는 아무리 보충버튼을 눌러도 유효가 되지 않는다.
보충장전처리가 개시되면 CRT 표시부(10)에 그뜻이 표시되고 완료하면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서는 이보충장전중에서 입금거래이외의 거래를 실행하기도 하고, 입출금거래선택에 있어서도 카아드 통장의 매체를 받아들이는 데까지 실행시키는 일도 가능하다. 전정전시의 아침에 첫번째뿐인 계원처리라는 사실과 지폐의 매수가 많기 때문에 처리시간이 길고, 자동거래장치로서 취급정지하는 것이 현명한 제어이고 고객에 대해서도 그편이 좋다.
다음에 조작반부(3)로부터의 보충정전을 제24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계원은 입출금장치(1)가 대기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나서 본체 2의 전면의 접객부에 설치된 계원 키이 스위치에 계원키이를 삽입해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하여 계원키이 스위치가 온된다. 그러면 주제어부(150)는 계원모우드로 변경되는 동시에 CRT 표시부(10)에서 "처리를 지정해 주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한다. 이 안내에 의하여 계원이 조작버튼(8)으로 부충장전을 선택한다. 그러면 주제어부(150)는 부충장전 지폐접수 상태가 되고, 입출금기구(12)에 입금지령을 출력하는 동시에 CRT 표시부(10)에서 "보충장전을 하는 지폐를 입출금고로부터 투입해 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입출금기구(12)는 입출금구(7)의 도어체(50)을 연다.
이어서 계원이 지폐다발 A를 일괄적으로 입위상태로 지폐수납실(51)에 투입한 후 도어체(50)를 닫는다. 이후 상기한 입금동작과 동일하게 동작함으로써 지페수납실(51)로부터의 지폐가 1장씩 취출되어 감사부(36)를 거쳐서 대응하는 금종의 일시보관부(33), (34)에 집적된다. 그리고 집적동작이 완료되면 주제어부(150)는 표시부에서 각 일시보관부에 집적된 각금종별의 매수를 표시하는 동시에"수납", "반환"의 양버튼을 표시/지정한다. 또 이때, 주제어부(150)는 상기한 제4의 수납부(23)를 사용한 보충장전처리와 동일하게 제27도에 도시하는 제3 및 제2의 액면권의 각 권종별의 배수를 인자한 저어널 JB을 발생한다. 이것에 의하여 계원은 보충장전 내용을 확인하여 일치했을때 수납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을 압하한다. 그러면 일시보관부(33)(34)의 지폐가 각각 지폐수납부(21)(22)에 수납된다. 이때 계원모우드로 보충장전처리(입금처리)만이 실시되고, 거래의 온라인교신은 금지된다.
이결과 주제어부(150)는 누계의 매수데이터를 입금처리의 내용으로 갱신시킨다. 또 반환에대응하는 조작버튼(8)이 눌러지면 입금반환처리와 동일한 동작에 의하여 입출금구(7)에 투입한 입출금구(7)에 투입한 지폐가 모두 입출금구(7)에 반환된다.
다음에 하루 거래의 정산을 실시하는 정사처리에 대하여 제28A도 및 제28B도에 도시하는 플러우차아트와 제29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계원은 하루의 거래의 종료시 또는 다음날 아침 첫째로 정사용의 금고카세트를 제4의 수납부(23)에 세트한다(ST 31). 그리고 계원은 내부모니터(13)의 체결버튼(168)을 누른다(ST 32). 이 체결버튼(168)의 누름에 의하여 주제어부(150)는 정사상태가 되고 입출금기구(12)에 정사지령을 출력한다.
이때 주제어부(150)는 검지기(41h)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제4의 수납부(23)내에 지폐가 잔류하고 있느냐의 여부를 체크한다(ST 33A). 잔류가 없으면 그뜻을 내부모니터(13)의 동작상태표시부(161)에서 제1도의 에러코우드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 34A).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확인버튼(166)을 누른다(ST 35B). 한편, 잔류지폐가 있으면 주제어부(150)는 그 잔류지폐의 매수가 기억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ST 33B). 이 결과 잔류지폐의 매수가 기억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뜻을 내부모니터(13)의 동작상태표시부(161)에서 제2의 에터코우드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 34B).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확인버튼(166)을 누른다(ST 35A). 또, 잔류지폐의 매수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뜻을 내부모니터(13)의 동작상태표시부(161)이 있어서 제3의 에러코우드로 표시하여 경보를 발생시킨다(ST 34C).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일단 정사용의 금고카세트를 제4의 수납부(23)로부터 취출하여 잔류지폐를 발취하고 빈 정사용의 금고카세트를 재차 제4의 수납부(23)에 세트한다(ST 35B).
주제어부(150)는 확인버튼(166)의 누름 또는 정사용의 금고카세트의 재세트에 의하여 출금처리와 동일하게 지폐를 지폐수납부(20)(21)(22)로부터 취출하여 일시보관부(34)에 집적시킨다. 즉 우선, 제3의 수납부(22)의 분리기구(30)의 플래퍼(132)(133)가 펄스모우터(136)의 동작에 의하여 열린다. 다음에 펄스모우터(110)가 동작되어 시계방향으로 가동체(108)가 회동된다. 이와 같이하여 취출용의 회전체(106)와 지폐 A의 사이에 간극이 0.5~1.5mm발생한다(제14도 참조). 이어서 제3의 수납부(22)로부터 지폐를 취출하기 위하여 진공펌프가 동작되어서 샤프트(107)내의 진공도가 높여져서 다음에 제11의 반송로 R11을 형성하는 반송벨트(119)가 주행되어 취출기구로서의 회전체(106)의 회전이 개시됨으로써 취출이 시작된다.
이와같이 하여 취출된 지폐는 배분 게이트(39f)(39a)(39h)(39g)에서 베분되어 제29도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2의 반송로부 R2의 후반, 제1의 반송로부 R1의 후반, 제3, 제15의 반송로부 R3, R15 제1의 반송로부 R1의 전반 및 제13의 반송로부 R13을 거쳐서 반송되고, 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다.
이때 제3의 수납부(22)로부터 취출된 지폐는 지폐통과검지기(40r)에 의하여 취출검지가 실시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제어부(150)가 취출매수를 계수하고 있다. 또 취출된 지폐가 감사부(36)를 통과할때에 "권종판별"등이 실시된다.
그 결과가 주제어부(150)에 공급된다. 이로인해 주제어부(150)는 그 감사결과를 도시를 생략한 카운터로 계수한다. 다시 일시보관부(34)에 집적되는 지폐는 지폐통과검지기(40l)에 의하여 집적검지가 실시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제어부(150)가 집적매수를 계수하고 있다. 그리고 통과검지기(40l)에 의한 검지매수가 100매가 되었을때 주제어부(150)는 제3의 수납부(22)로부터의 지폐의 취출을 일단 정지시키고, 100매가 된 지폐를 일시보관부(35)로부터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시킨다. 이 수납동작이 완료하면 계속해서 제3의 수납부(22)의 지폐취출을 개시한다.
또 일시보관부(35)에 대한 집적매수가 100매에 도달했을때 일단 취출동작을 정지하고 100매의 집적지폐를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한다. 이동작을 제3의 액면권이 없어질때까지 즉 제3의 수납부(22)의 지폐가 없어졌음이 겅검지기(42)에서 검지되고 또 검지기(41g)가 "명"이 될때까지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일시보관부(35)에 대한 집적매수가 100매에 도달하지 못한 지폐는 이단계에서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된다. 또, 제2의 수납부(21), 제1의 수납부(20)의 각 지폐도 상기 제3의 수납부(22)로부터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되도록 구성된다(ST 36).
정사도중에서 제4의 수납부(23)가 만배가 되었을때(ST 37A), 주제어부(150)는 카아드. 전표처리유니트(11)내의 도시를 생략한 인쇄부에 의하여 저어널상에 지폐정사 내용의 도중경과를 프린트한 것을 발행(ST 38)하는 동시에 장전용금고의 교환을 표시하는 동작상태 코우드를 내부모니터(13)의 표시부(161)및 원격모니터(175)의 표시부(177)에서 표시하고(ST 39A), 계원에 의한 금고의 교환을 기다린다(ST 39B).
저어널 JC의 도중까지의 지폐정사 내용은 제30도의 도시와 같이 제1 내지 제3의 액면권의 각 권종별의 매수와 수납부(22)(21)(20)의 수납매수가 기록된다.(ST 38).
계원은 이 저어널 JC를 받는 동시에 제4의 수납부(23)를 빈 카세트로 교환한다(ST 39B). 그리고 재차 체결버튼(166)을 누름으로써(ST 32) 다시 정사가 실시된다. 또 지폐수납부(22)(21)(20)의 지폐없음이 공검지기(42)에서 검지되고 또 검지기(41g)(41f)(41e)가 "명"신호를 출력할때까지 정사를 실시한다(ST 37B). 그리고 마지막 지폐가 반송되어 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 후, 주제어부(150)는 반송로의 각부에 지폐의 잔류가 없음을 검지기(40 a)...에 의하여 검지하고 각부를 정지시킨다(ST 37C).
이때 주제어부(150)는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된 제1 내지 제3의 액면권의 각각의 매수를 내부모니터(13)의 매수표시부(164)에 표시한다. 또 동시에 주제어부(150)는 카아드. 전표처리 유니트(11)내의 도시를 생략한 인쇄부에 의하여 저어널 상에 모든 정사매수 즉 제30도의 도시와같이 각 권종별의 매수를 프린트시킨다(ST 40).
계원은 저어널의 내용과 제4금고카세트(19)를 꺼내어 그 내용과 함께 조회한다(ST 41). 여기에서 정사시에 발생한 배제권은 배분 게이트(39a)(39h)에 의하여 일시집적부(38)에 일시접적된다. 이 배제권은 제4의 일시보관부(35)로부터 정사한 지폐가 모두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된 후 일괄적으로 지폐수납실(51)에 되돌아온다. 이 배제권은 그후, 차례로 1장씩 취출되고 빈 제4의 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다. 이때 정사된 각 지폐는 바로 수납부(23)로 들어가고 감사를 못했던 배제지폐와는 분리기구(31)에서 분리된다. 이로인해 양자는 구별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주제어부(150)는 출금시의 배제권 집적부(49)에서의 집적매수가"0"일때 지폐수납부(20)(21)(22)에 대한 장전매수로부터 출금매수를 빼고, 이 결과에 입금매수를 더하여 이 가산결과 부터 정사시의 정사매수를 뺀 매수를 거절매수로 하여 산출한다.
한편 배제권 집적부(49)의 집적매수가"0"이외일 때 상기 산출된 거절매수를 배제권 집적부(49)의 집적매수와 일시집적부(38)에 대한 거절매수를 가산한 것으로서 산출한다.
이결과, 정산시 저어널에는 제30도의 도시와 같이 각금종별의 장전매수, 도중장전매수, 장전매수의 합계, 입금매수, 출금매수, 정사매수, 지폐수납부(23)의 수납매수, 일시보관부(35)의 집적매수가 프린트된다.
또 정사중에 정체등의 사고가 발생되었을때는 입출금기구는 긴급정지된다. 한편, 100매별로 수납되어 구분이 되어있는 수납부(23)로 들어간 지폐에 대해서는 재차 정사를 다시할 필요는 없다. 즉 일시보관부(35)의 집적중의 지폐및 취출반송중의 지폐만을 대상으로 정사를 계속하면 된다.
다음에 입출금의 운용도중에 있어서의 일부정사에 대하여 제31A 내지 제31C도에 도시하는 플로우차아트와 제29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계원은 제2 및 제3의 수납부(21)(22)로부터 소정의 매수만 지폐를 취출하고자할 때는 일부 정사용의 금고카세트를 지폐수납부(23)에 세트한다. 그리고 계원은 내부모니터(13)의 조회버튼(169)을 누른다(ST 52A). 동시에 키이보오드(173)에 의하여 금종별의 일부 정사매수를 설정한다(ST 52B).
이때 주제어부(150)는 그 정사매수를 금종별로(도시를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한다. 또 주제어부(150)는 동작상태가 대기상태 또는 입출금처리중이 아님을 체크하고, 또한 상기 소정매수의 일부정사를 실시해도 제3 및 제2의 액면권이 엔드 또는 니어엔드 상태가 안되는 가를 도시를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매수데이터를 사용해서 판단한다(ST 53).
상기 조건이 만족안될 때, 주제어부(150)는 일부정사처리를 중단하고, 만족되었을때, 주제어부(150)는 입출금기구(12)에 소정매수의 일부정사지령을 부여한다. 떠 이때 주제어부(150)는 CRT 표시부(10)에서"정사중이므로 잠시 기다려 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케한다.
이어서, 주제어부(150)는 검지기(41 a)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하여 정사용의 지폐수납부(23)에 지폐가 있나없나를 체크하고(ST 54A), 지폐가 없으면 그뜻을 내부모니터(13)의 동작상태 표시부(161)에 있어서 제1의 에러코우드를 표시시키고(ST 54B), 경보를 발생케한다.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확인버튼(166)을 누른다(ST 56).
한편, 잔류지폐가 있으면 주제어부(150)는 그 잔류지폐의 매수가 기억되어 있는 가를 판단한다(ST 55A).
이 결과 잔류지폐의 매수가 기억되어있는 경우에는 그뜻을 내부모니터(13)의 동작상태표시부(161)에 있어서 제2의 에터코우드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 55B).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확인버튼(166)을 누른다(ST 56). 또, 진류지폐의 매수가 기억되어 있지 아니할 경우에는 그뜻을 내부모니터(13)의 동작상태표시부(161)에 있어서 제3의 에터코우드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ST 55C).
이 경보에 의하여 계원은 일단 정사용의 금고카세트를 제4의 수납부(23)로부터 취출하고 잔류지폐를 발취하여 빈 일부정사용의 금고카세트를 재차 제4의 수납부(23)에 세트한다(ST 55D).
주제어부(150)는 확인버튼(166)의 누름 또는 정사용의 금고카세트의 재세트에 의하여 출금처리와 동일하게 제3의 액면권을 제3의 수납부(22)로부터 취출하여 일시보관부(35)에 집적시킨다(ST 57).
즉 우선 제3의 수납부(22)의 분리기구(30)의 플래퍼(132)(133)가 펄스모우터(186)의 동작에 의하여 열린다.
다음에 펄스모우터(110)가 동작되어서 시계방향으로 가동체(108)가 회동된다.
이와같이 하면 취출용의 회전체(106)와 지폐 와의 간극이 0.5~1.5mm형성된다(제14도 참조).
이어서 제3의 수납부(22)로부터 제3의 액면권을 취출하기 위하여 진공펌프가 작동되어 샤프트(107)내의 진공도가 높아진다.
다음에 제11의 반송로 R11를 형성하는 반송벨트(119)가 주행되고 취출기구로서의 회전체(106)의 회전이 개시되므로써 취출이 시작된다(ST 57). 이와같이하여 취출된 제3의 액면권은 배분 게이트(39f)(39a)(39h)(39g)에서배분되어 제2의 반송로 R2의 후반, 제1의 반송로부 R1의 후반, 제3의 반송로부 R3, 제15의 반송로부 R15, 제1의 반송로부 R1의 전반 및 제13의 반송로부 R13을 개재하여 반송되어 일시보관부(35)에 집적된다.
이때 제3의 수납부(22)로부터 취출된 지폐는 지폐통과검지기(40r)에 의하여 취출검지가 실행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제어부(150)가 취출매수를 계수한다. 또 취출된 지폐가 감사부(36)를 통과할때"권종판별"등이 실시되고 그 결과가 주제어부(150)에 공급된다. 이로인해 주제어부(150)는 그 감사결과를 (도시를 생략한) 카운터로 계수한다. 또, 일시보관부(34)에 집적되는 지폐는 지폐통과검지기(40l)에 의하여 집적검지가 실행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주제어부(150)가 집적매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통과검지기(40l)에 의한 제3의 액면권의 집적매수가 설정매수와 일치했을때(ST 58), 주제어부(150)는 제3의 수납부(22)로부터의 취출을 정지시키고 계속해서 제2의 수납부(21)로부터의 제2의 액면권의 지폐취출을 개시한다(ST 59).
그리고 일시보관부(35)까지 반송된 제2의 액면권의 매수가 설정매수에 도달했다고 주제어부(150)가 판단했을때(ST 60), 제2의 수납부(21)로부터의 취출동작을 정지하고 제4의 일시보관부(35)로부터 제4의 수납부(23)에 지폐를 수납한다(ST 61).
이때 주제어부(150)는 내부모니터(13)의 매수표시부(164)에 제4의 수납부(23)에 수납된 제3 및 제2의 액면권의 매수를 표시한다. 또 이때 주제어부(150)는 카아드. 전표처리유니트 장치(11)내의 도시를 생략한 인쇄부에 의하여 제32도의 도시와 같이 저어널 JD상에 일부정사내용 즉 제3 및 제2의액면권의 정사매수가 기록된다(ST 62).
계원은 저어널의 내용과 금고카세트(19)의 집적내용으로 조회를 실시한다(ST 63). 또, 조회버튼(169)이 눌러져도 장치가 대기상태 또는 입출금기구(12)가 동작중이거나, 또 제3 및 제1의 액면권이 상기 설정매수의 정사를 실행했을 경우, 제3, 제2의 액면권의 어느 하나가 앤드, 니어앤드 상태가 되면, 주제어부(150)가 판단했을때, 조회데이터로서 누계데이터를 프린트하는 동시에 일부정사불능의 뜻을 프린트한 저어널을 발행한다. 또, 어떤 액면의 금고가 만배가 되었을때 그 금고로부터 소정매수의 일부정사를 상기와 동일한 동작으로 실시해도 좋다.
이와같이하여 제4의 수납부(23)에 만배가된 금고로부터 지폐를 수납하므로써 만배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고 계속해서 입금거래를 접수할 수가 있다.
다음에 조작반부(3)로부터의 일부정사를 제21도에 도시하는 지폐의 흐름을 참조하하여 설명한다.
우선 계원은 장치가 대기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나서, 전면의 접객부에 설치된 계원키이 스위치에 계원키이를 삽입하여 회동하므로써 계원키이 스위츠를 온한다. 그러면 주제어부(150)는 입출금기구(12)를 계원모우드로 변경하는 동시에 CRT 표시부(10)에"처리를 지정해 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한다.
이 안내에 의하여 계원이 조작버튼(8)으로 부정사를 선택한다. 그러면 주제어부(150)는 CRT 표시부(10)에서"정사를 하는 금정과 매수를 투입해 주십시요"하는 안내를 표시한다. 또 주제어부(150)는 이 안내와 같이 CRT 표시부(10)에서 제3 및 제2의 액면권의 수납매수를 표시한다. 계원은 이 표시에 의하여 필요한 지폐의 취출의 가능여부를 판단한다. 가능하다고 판단을 했을때 조작버튼(8)으로 필요한 권종의 매수를 지정한다.
주제어부(150)는 CRT 표시부(10)에서 지정된 금종과 매수를 표시하는 동시에"표시내용을 확인하고 확인버튼 또는 정정버튼을 눌러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한다.
이 안내에 의하여 계원이 확인버튼을 누르면 주제어부(150)는 입출금기구(12)에 출력금지령을 출력한다. 이로인해 입출금기구(12)가 상기한 출금동작과 동일한 작용을 함으로써 지정된 매수의 지폐가 제2 및 제3의 수납부(22)(23)로부터 취출되고 감변되어 일시집적부(38)에 집적되고 그후, 일괄적으로 지폐수납실(51)에 수납된다. 이어서 입출금구(7)의 도어체(50)가 열리고 상기한 방출기구에 의하여 지폐다발 A가 들어올려져서 계원의 발취를 대기한다.
이 경우에, 계원모우드로 출금처리가 실시되고 거래의 온라인교신은 금지된다. 이때 주제어부(150)는 누계의 매수데이터를 출금처리의 내용으로 갱신하는 동시에 카아드. 전표 처리유니트(11)내의 인쇄부에서 계원모우드에 의한 출금처리내용을 저어널에 프린트시킨다.
따라서 입출금구(7)로부터 취출된 지폐를 지폐가 적어진 다른 자동입출근장치의 입출금구에 투입하고, 상기한 입출금구로부터의 보충장전을 실시함으로써 복수의 자동입출금 장치군에서의 거래지폐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가 있다.
또, 상기 한실시예에서는 접객면의 계원티세트 키이를 사용해서 계원모우드를 선택하고 키보오드에 의하여 정사매수를 지정하느 것이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카아드 또는 통장 등의 자기스트라이프에 계원모우드의 지시, 권조, 지정매수를 기억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 조작버튼에 의하여 취출매수의 지정을 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취출모우드시에 취출매수가 100매로 결정되어 있도록 해도된다.
예를 들면 매수지정이 안될때, 100매의 사정이 실시되도록 되어있다.

Claims (14)

  1. 자동지폐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입금구 및 출금구를 구비한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설치되고 지폐를 수납하는 제1의 수납수단과, 입금구에 입금된 지폐를 제1의 수납수단까지 반송하는 제1의 반송수단, 이 제1의 반송수단은 입금구와 제1의 수납수단을 연결하고, 지폐가 반송되는 제1의 반송로를 가지고 있고, 이 반송로부에 설치되고, 이곳을 통과한 지폐를 감사하여 감사결과를 출력하는 감사수단과,
    제1의 수납수단에서 취출된 출금지폐를 출금구까지 반송하는 제2의 반송수단과, 이 제2의 반송수단은 제1의 수납수단과 출금구를 연결하고 상기 감사수단을 통과하여 지폐가 반송되는 제2의 반송로를 가지고 있고, 정사를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정사된 지폐를 수납하는 제2의 수납수단과, 지정수단에 의하여 정사가 지정되었을때 제1의수납수단으로부터 지폐를 제2의 수납수단까지 반송하는 제3의 반송수단과 이 제3의 반송수단은 제1의 수납수단과 제2의 수납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감사수단을 통과하여 지폐가 반송되는 제3의 반송로를 가지고 있고 ; 또 정사가 지정되었을때 상기 감사수단에 의한 감사결과에 따라서 제3의 반송로를 통과하는 지폐의 매수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제3의 반송로에 반송된 지폐의 매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을 제3의 반송로에 반송된 지폐의 매수를 시이트에 인자하는 인자수단을 수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수납부의 지폐가 적오도 1장 존재하는 것을 검지하여 제1의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의 검지수단과, 제1의 검지신호에 따라 지폐의 존재를 통보하는 통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반송수단은 통보수단에 의하여 통보를 받은후, 제2의 수납부의 지폐의 제거에 따라 제1의 수납수단으로부터 제2의 수납수단으로 지폐의 반송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반송수단은 통보수단에 의한 통보를 받은 후 상기 지정수단에 의한 재지정에 따라 제1의 수납수단에서 제2의 수납수단에 대한 지폐의 반송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수납부의 지폐의 만배를 검지하여 제2의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의 검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검지수단으로부터의 제2의 검지신호를 받아서 반송수단은 제1의 수납수단으로부터제2의 수납수단으로의 지폐의 반송을 정지하는 동시에, 상기출력수단은 제2의 수납수단의 수납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제2의 수납수단의 수납상태를, 상기 감사수단으로부터의 감사결과에 따라 시이트에 인자하는 인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반송수단은 제2의 수납수단의 지폐가 모두 취출된 후에 제1의 수납수단에서 제2의 수납수단으로의 지폐의 반송을 재출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수납수단은 반송로의 말단에 접속되는 일시보관부와, 이 일시보관부에 접속된 수납부와, 일시보관부와 수납부 사이에 개재가능한 구획수단을 구비하고, 구획수단이 양자의 사이에 개재했을때 각각 수납된 지폐는 구분되고 구획수단이 양자의 사이에서 벗어났을 때 각각 수납된 지폐는 합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사수단으로부터의 감사결과에 따라 감사수단을 통과한 지폐의 매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수단에 의한 계수결과가 소정의 매수와 일치했을때 반송동작을 정지시켜 일시보관부의 지폐를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간헐수단과, 제3의 반송수단에 있어서의 반송장해를 검지하는 제3의 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반송수단은 제3의 검지수단에 의하여 반송장해가 검지되었을 때 상기 반송처리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수납부에 수납된 지폐를 유지하고 장해를 해제한 후 지정수단에 의한 재지정에 따라 반송처리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지폐입출금장치.
KR1019840004439A 1984-07-26 1984-07-26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KR89000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439A KR890001940B1 (ko) 1984-07-26 1984-07-26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439A KR890001940B1 (ko) 1984-07-26 1984-07-26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397A KR860001397A (ko) 1986-02-26
KR890001940B1 true KR890001940B1 (ko) 1989-06-03

Family

ID=1923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439A KR890001940B1 (ko) 1984-07-26 1984-07-26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9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397A (ko) 198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0543A (en) Multiple denominator bank note depositor/dispenser with automatic loading to and from storage section
GB2135977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KR890001801B1 (ko) 지엽류 취출장치
JPS61276090A (ja) 循環式入出金装置
GB2135493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GB2135495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JP4370656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890001940B1 (ko)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JPH036794A (ja) 紙弊入出金装置
KR900001975B1 (ko)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KR970006656B1 (ko) 현금자동거래장치
JP2536558Y2 (ja) 現金入出金装置
KR890001941B1 (ko) 자동 지폐 입출금 장치
KR890001939B1 (ko) 자동지폐 입출금 장치
JPS59153287A (ja) 自動取引装置
KR100338228B1 (ko) 자동거래장치
JP3157075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H11195159A (ja) 紙幣入出金装置
JPH0673150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3044664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614330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61431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854885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761567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773916B2 (ja) 現金入出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