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784A - 오디오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784A
KR20060131784A KR1020067011635A KR20067011635A KR20060131784A KR 20060131784 A KR20060131784 A KR 20060131784A KR 1020067011635 A KR1020067011635 A KR 1020067011635A KR 20067011635 A KR20067011635 A KR 20067011635A KR 20060131784 A KR20060131784 A KR 20060131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stage
audio
channel audio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오키
Original Assignee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2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of the matrix type, i.e. in which input signals are combined algebraically, e.g. after having been phase shif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04S5/02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of the pseudo four-channel type, e.g. in which rear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two-channel ster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다채널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하는 오디오 장치를 2개의 스피커만을 접속하여 사용해도 음의 누락 없이 재생 가능한 오디오 장치를 제공한다. 이 오디오 장치(1)는 L 오디오 신호와 R 오디오 신호와 C 오디오 신호와 SL 오디오 신호와 SR 오디오 신호와 SW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고, C 오디오 신호와 SL 오디오 신호와 SW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L 오디오 신호에, C 오디오 신호와 SR 오디오 신호와 SW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R 오디오 신호에, 각각 믹싱해서 출력하는 오디오 믹싱 회로(2) 및 오디오 믹싱 회로(2)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그 신호 파형을 조정하는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장치 {AUDIO APPARATUS}
본 발명은 다채널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하는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홈시어터 등에 이용되는 다채널(예를 들면, 이른바 5.1 채널)의 오디오 소스(음원)에 대응하는 오디오 장치가 상품화되고 있다. 이 오디오 장치는, 시청자의 전방 좌우 및 중앙과 후방 좌우에 스피커를 설치하는 것으로, 극장이나 콘서트 홀에 있는 효과를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5.1 채널의 오디오 장치는, 종래의 스테레오 오디오 장치와 마찬가지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로서 시청자의 전방 좌측 스피커용의 좌 채널(L) 오디오 신호와 전방 우측 스피커용의 우 채널(R)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서라운드 오디오 신호로서 전방 중앙 스피커용의 센터 채널(C) 오디오 신호, 후방 좌측 스피커용의 서라운드 좌 채널(SL) 오디오 신호 및 후방 우측 스피커용의 서라운드 우 채널(SR) 오디오 신호, 그리고 중저음 대역(예를 들면, 베이스 기타나 북의 소리)을 출력하는 스커용의 서브우퍼 채널(SW)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이러한 각 채널에는 상연(上演)이나 연주되는 내용에 따른 오디오 소스가 할당된다. 또, DVD계의 광디스크는 이 다채널의 오디오 소스를 기록하고 있으며, 그 재생은 이 다채널의 오디오 장치가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4의 블럭도는 5.1 채널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하는 종래의 오디오 장치의 출력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이 오디오 장치(101)는,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103)와, 파워업(104L, 104R, 104C, 104SL, 104SR, 104SW)과, 스피커(105L, 105R, 105C, 105SL, 105SR, 105SW)로 구성된다.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103)는, L 오디오 신호, R 오디오 신호, C 오디오 신호, SL 오디오 신호, SR 오디오 신호, SW 오디오 신호의 각 신호를 각각 입력 단자 L, R, C, SL, SR, SW로부터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103)의 LinA단, RinA단, CinA단, SLinA단, SRinA단, SWinA단으로 입력한다. 그리고, 각 오디오 신호의 파형의 조정, 즉 음량, 트레블, 베이스 등의 조정을 실시하고,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103)의 LoutA단, RoutA단, CoutA단, SLoutA단, SRoutA단, SWoutA단으로부터 출력한다.
그리고, 파워업(104L, 104R, 104C, 104SL, 104SR, 104SW)은,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103)의 LoutA단, RoutA단, CoutA단, SLoutA단, SRoutA단, SWoutA단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스피커(105L, 105R, 105C, 105SL, 105SR, 105SW)를 구동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2-345097호 공보
이와 같이, 시청자는 다채널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하는 오디오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극장이나 콘서트홀에 있는 효과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 오디오 장치를 사용하는 서라운드(예를 들면, 방의 크기)에 따라서는, 스피커를 다수 설치하지 않고 종래의 스테레오 오디오 장치와 마찬가지로 시청자의 전방 좌우에만 스피커를 설치하는 경우(스테레오 세트의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103)의 LoutA단, RoutA단만 파워업(104L, 104R)에 접속되며, 스피커(105L, 105R)로부터는 L 오디오 신호와 R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음성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척
따라서,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103)의 CoutA단, SLoutA단, SRoutA단, SWoutA단의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로부터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C 오디오 신호, SL 오디오 신호, SR 오디오 신호 및 SW 오디오 신호에 할당된 음성은 요컨대 누락되어서 시청자에게 들리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유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다채널의 오디오 소스에 대해, 각 오디오 소스마다 스피커를 접속하여도, 각 오디오 소스보다 적은 수의 스피커를 접속해도, 다채널의 오디오 소스의 음 누락이 없게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오디오 장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센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좌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브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고, 센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좌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브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좌 채널 오디오 신호에, 센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브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우 채널 오디오 신호에, 각각 믹싱하여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믹싱 회로; 오디오 믹싱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그 신호 파형을 조정하는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 신호 파형의 조정을 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복수의 파워업으로 이루어진 파워업부; 및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스피커로 이루어진 스피커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오디오 장치의 상기 오디오 믹싱 회로는, 바람직하게는, 믹싱해서 출력하는 상태와, 좌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센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좌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브우퍼채널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지 않고 출력하는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오디오 장치는, 오디오 믹싱 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 오디오 소스마다 스피커를 접속해도, 각 오디오 소스보다 적은 수, 예를 들면 2개의 스피커만을 접속하여도 다채널의 오디오 소스가 음 누락되는 일 없이 재생 가능하여, 극장이나 콘서트홀에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풀 세트의 오디오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전술한 스테레오 세트의 오디오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전술한 오디오 믹싱 회로의 회로도.
도 4는 배경기술의 풀 세트의 오디오 장치의 블럭도.
도 5는 전술한 스테레오 세트의 오디오 장치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오디오 장치
2 오디오 믹싱 회로
20 오디오 믹싱 회로의 믹싱 제어 회로
3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
4 파워업
4L, 4R, 4C, 4SL, 4SR, 4SW 파워업부의 파워업
5 스피커부
5L, 5R, 5C, 5SL, 5SR, 5SW 스피커부의 스피커
L 좌 채널(L) 오디오 신호 입력 단자
R 우 채널(R) 오디오 신호 입력 단자
C 센터 채널(C) 오디오 신호 입력 단자
SL 서라운드 좌 채널(SL) 오디오 신호 입력 단자
SR 서라운드 우 채널(SR) 오디오 신호 입력 단자
SW 서브우퍼 채널(SW) 오디오 신호 입력 단자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다채널의 오디오 소스에 대응하는 오디오 장치(1)의 블럭도이다. 이 오디오 장치(1)는 5.1 채널의 오디오 장치이며, 종래의 오디오 장치(101)와 다른 점은, 오디오 믹싱 회로(2)를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의 전단에 설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는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103)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회로이다.
즉, 이 오디오 장치(1)는, 도 1 에 나타낸 풀 세트(홈시어터 셋트)의 경우, 오디오 믹싱 회로(2)와,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와, 파워업부(4), 상세하게는, 파워업(4L, 4R, 4C, 4SL, 4SR, 4SW)와, 스피커부(5), 상세하게는, 스피커(5L, 5R, 5C, 5SL, 5SR, 5SW)를 구비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스테레오 세트의 경우, 오디오 믹싱 회로(2)와,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와, 파워업(4L, 4R)으로 된 파워업부(4)와, 스피커(5L, 5R)로 된 스피커부(5)를 구비한다.
이 오디오 믹싱 회로(2)는, 좌 채널(L) 오디오 신호와 우 채널(R)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각각 입력 단자 L, R로부터 LinM단과 RinM단에 입력하고, 센터 채널(C)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좌 채널(SL)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우 채널(SR) 오디오 신호와 서브우퍼 채널(SW)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서라운드 오디오 신호를 각각 입력 단자 C, SL, SR, SW로부터 CinM단, SLinM단, SRinM단, SWinM단에 입력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믹싱 제어 회로(20)에 의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제어한다. 이 믹싱 제어 회로(20)는, SinM단을 입력단으로 하고, 반전 출력단과 비반전 출력단을 가진다. 그리고, 외부의 변환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SinM단이 접지되는 상태와 전원 Vcc에 접속되는 상태가 스위칭될 수 있다.
우선 풀 세트의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믹싱 회로(2)는 SinM단, 즉 믹싱 제어 회로(20)의 입력단이 접지 되도록 한다. 이로써, LinM단, RinM단, CinM단, SLinM단, SRinM단, SW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를 그대로 LoutM단, RoutM단, CoutM단, SLoutM단, SRoutM단, SWoutM단으로부터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는 오디오 믹싱 회로(2)의 LoutM단, RoutM단, CoutM단, SLoutM단, SRoutM단, SWoutM단으로부터 LinA단, Rin A단, CiIIA단, SLinA단, SRinA단, SWinA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의 파형의 조정, 즉 음량, 트레블, 베이스 등의 조정을 하고, 파형 조정을 실시한 오디오 신호를 LoutA단, RoutA단, CoutA단, SLoutA단, SRoutA단, SWoutA단으로부터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파워업부(4)의 파워업(4L, 4R, 4C, 4SL, 4SR, 4SW)은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의 LoutA단, RoutA단, CoutA단, SLoutA단, SRoutA단, SWoutA단으로부터, 파형 조정을 실시한 오디오 신호를 입력해서 증폭하고, 증폭한 오디오 신호에 의해 스피커부(5)의 스피커(5L, 5R, 5C, 5SL, 5SR, 5SW)를 구동한다.
한편, 스테레오 세트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nM단, 즉 믹싱 제어 회로(20)의 입력단이 전원 Vcc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로써, CinM단, SLinM단, SW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를 L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에 믹싱하고, CinM단, SRinM단, SW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를 R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에 믹싱하여, LoutM단과 RoutM단으로부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CoutM단, SLoutM단, SRoutM단, SWoutM단으로부터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출력은 무신호 상태이다).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는, 오디오 믹싱 회로(2)의 LoutM단과 RoutM단으로부터 각각 LinA단과 RinA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의 파형의 조정을 하고, 파형 조정을 실시한 오디오 신호를 LoutA단과 RoutA단으로부터 각각 출력한다. 또, 스테레오 세트의 경우도 풀 세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의 CinA단, SLinA단, SRinA단, SWinA단은 오디오 믹싱 회로(2)의 CoutM단, SLoutM단, SRoutM단, SWoutM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파워업부(4)의 파워업(4L, 4R)은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의 LoutA단과 RoutA단으로부터 각각 파형 조정을 실시한 오디오 신호를 입력해서 증폭하고, 증폭한 오디오 신호에 의해 스피커부(5)의 스피커(5L, 5R)를 구동한다. 이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는 그 CoutA단, SLoutA단, SRoutA단, SWoutA단에는 아무것도 접속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오디오 믹싱 회로(2)의 내부 회로를 도 3에 기초하여 이하 설명한다.
LinM단에는 저항(21)의 일단이 접속되고, SLinM단에는 저항(23)의 일단이 접속됨과 동시에 스위치(47)의 일단에 접속된다. 스위치(47)의 제어단은, 후술하는 스위치(48 내지 50) 각각의 제어단과 마찬가지로, 믹싱 제어 회로(20)의 반전 출력단에 접속된다. 스위치(47)의 타단은 SLoutM단이 접속된다. 저항(23)의 타단은 스위치(41)의 일단에 접속된다. 스위치(41)의 제어단은, 후술하는 스위치(42 내지 46) 각각의 제어단과 마찬가지로, 믹싱 제어 회로(20)의 비반전 출력단에 접속된다. 스위치(41)의 타단과 저항(21)의 타단은 서로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22)의 일단과 OP 앰프(11)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OP 앰프(11)의 비반전 입력 단자는, 후술하는 OP 앰프(12 내지 14)의 비반전 입력 단자와 마찬가지로, 기준 전압 Vref에 접속된다. OP 앰프(11)의 출력 단자와 저항(22)의 타단은 서로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24)의 일단에 접속된다. 또, CinM단에는 저항(26)의 일단과 저항(33)의 일단이 접속됨과 동시에 스위치(49)의 일단에 접속된다. 스위치(49)의 타단은 CoutM단이 접속된다. 저항(26)의 타단은 스위치(42)의 일단에 접속되며, 저항(33)의 타단은 스위치(45)의 일단에 접속된다. SWinM단에는 저항(27)의 일단과 저항(34)의 일단이 접속됨과 동시에 스위치(50)의 일단에 접속된다. 스위치(50)의 타단은 SWoutM단이 접속된다. 저항(27)의 타단은 스위치(43)의 일단에 접속되고, 저항(34)의 타단은 스위치(46)의 일단에 접속된다. 그리고, 저항(24)의 타단과 스위치(42 및 43)의 의 타단은 서로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25)의 일단과 OP 앰프(12)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OP 앰프(12)의 출력 단자와 저항(25)의 타단은 서로 접속됨과 동시에 LoutM단에 접속된다. 상술한 저항(21 및 22) 및 저항(24 및 25)은 각각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해 둔다.
RinM단에는 저항(28)의 일단이 접속되고, SRinM단에는 저항(30)의 일단이 접속됨과 동시에 스위치(48)의 일단에 접속된다. 스위치(48)의 타단은 SRoutM단이 접속된다. 저항(30)의 타단은 스위치(44)의 일단에 접속된다. 스위치(44)의 타단과 저항(28)의 타단은 서로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29)의 일단과 OP 앰프(13)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OP 앰프(13)의 출력 단자와 저항(29)의 타단은 서로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31)의 일단에 접속된다. 그리고, 저항(31)의 타단과 스위치(45 및 46) 각각의 타단은 서로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32)의 일단과 OP 앰프(14)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OP 앰프(14)의 출력 단자와 저항(32)의 타단은 서로 접속됨과 동시에 RoutM단에 접속된다. 상술한 저항(28 및 29)과 저항(31 및 32)은 각각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해 둔다.
다음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풀 세트의 경우, SinM단이 접지되므로, 믹싱 제어 회로(20)의 비반전 출력단에서는 로우 레벨이, 반전 출력단에서는 하이 레벨이 출력된다. 따라서, 스위치(41 내지 46)는 도통하지 않고 스위치(47 내지 50)는 도통한다. 따라서, L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는 저항(21 및 22)과 OP 앰프(11)로 구성되는 반전 증폭기에서 반전되며, 저항(24 및 25)과 OP 앰프(12)로 구성되는 반전 증폭기에서 더욱 반전된다. 저항(21 및 22)과 저항(24 및 25)은 각각 동일한 저항값이므로, LoutM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L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RoutM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R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으로 된다. 또, CinM단과 SLinM단과 SRinM단과 SW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는 스위치(47 내지 50)를 통하여 CoutM단과 SLoutM단과 SRoutM단과 SWoutM단에 출력된다.
한편, 스테레오 세트의 경우, SinM단이 전원 Vcc에 접속되므로, 믹싱 제어 회로(20)의 비반전 출력단에서는 하이 레벨이, 반전 출력단에서는 로우 레벨이 출력된다. 따라서, 스위치(41 내지 46)는 도통하고 스위치(47 내지 50)는 도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L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는, 저항(23)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 비율로 SL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와 믹싱되어 반전되며, 그 반전 신호는 저항(26 및 27)에 의해 정해지는 각각의 소정 비율로 CinM단과 SW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와 믹싱되어서 더욱 반전되어 LoutM단으로부터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R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는 SRinM단과 CinM단과 SWinM단에 입력한 오디오 신호와 소정 비율로 믹싱되어 RoutM단으로부터 출력된다. 또, 스위치(47 내지 50)는 도통하지 않기 때문에, CoutM단과 SLoutM단과 SRoutM단과 SWoutM단의 출력은 무신호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도 1에 나타낸 풀 세트의 경우에는, 각 오디오 소스마다, 즉 전방 좌우 및 중앙과 후방 좌우에 스피커를 설치함으로써, 시청자는 다채널의 오디오 소스 본래의 효과음을 느낄 수 있으며, 도 2에 나타낸 스테레오 세트의 경우에는, 각 오디오 소스보다 적은 수, 예컨대 전방 좌우에만 2개의 스피커를 설치함으로써, 시청자는 다채널의 오디오 음원이 소실되지 않은 음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오디오 믹싱 회로(2)는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회로에 의해서도 실현이 가능하다. 또, 믹싱 제어 회로(20)의 SinM단을 접지 또는 전원 Vcc 접속으로 바꾸는 변환 스위치는, 파워업의 수(즉 스피커의 수)를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바뀌도록 하여도 좋다. 또, 믹싱 제어 회로(20)는 SinM단의 전압으로 풀 세트나 스테레오 세트인지를 판별하고 있지만, 레지스터를 구비하여 거기에 판별용 데이터를 기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오디오 믹싱 회로(2)를 DSP에 의해 대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고 생각되지만, DSP는 고가인데 대해, 오디오 믹싱 회로(2)는 비교적 간단한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믹싱 회로(2)와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3)를 동일한 반도체 기판에 형성하여 1칩화함으로써, 더욱 염가로 할 수 있고 오디오 장치를 소형화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한 사항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상의 설명은 5.1 채널의 오디오 장치(1)에 대해 하였지만, 오디오 소스가 더욱 많은(예를 들면, 서라 운드팩 음을 추가) 6.1 채널이나 7.1 채널의 오디오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좌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센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좌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브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고, 센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좌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브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좌 채널 오디오 신호에, 센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브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우 채널 오디오 신호에, 각각 믹싱해서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믹싱 회로;
    오디오 믹싱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그 신호 파형을 조정하는 오디오 신호 조정 회로;
    신호 파형의 조정을 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복수의 파워업으로 이루어진 파워업부; 및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스피커로 이루어진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믹싱 회로는, 믹싱해서 출력하는 상태와, 좌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센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좌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라운드 우 채널 오디오 신호와 서브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지 않고 출력하는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KR1020067011635A 2003-12-25 2004-12-27 오디오 장치 KR200601317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1607 2003-12-25
JPJP-P-2003-00431607 2003-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784A true KR20060131784A (ko) 2006-12-20

Family

ID=3473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635A KR20060131784A (ko) 2003-12-25 2004-12-27 오디오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47622A1 (ko)
JP (1) JPWO2005064991A1 (ko)
KR (1) KR20060131784A (ko)
CN (1) CN1898991A (ko)
TW (1) TW200522761A (ko)
WO (1) WO2005064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6338A (zh) * 2010-03-19 2011-09-21 宏碁股份有限公司 扬声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802112B (zh) 2011-05-24 2014-08-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音频文件格式转换功能的电子装置
CN102883245A (zh) * 2011-10-21 2013-01-16 郝立 3d幻音
CN109729486B (zh) * 2017-10-30 2020-08-21 无锡华润矽科微电子有限公司 提高音频功放输出功率的封装结构、封装方法及接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1222A (en) * 1970-12-09 1975-10-07 Kenwood Corp Method and a device for producing a 4-channel stereophonic sound field
JPH0746880B2 (ja) * 1986-02-20 1995-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音場創造装置
KR100206333B1 (ko) * 1996-10-08 1999-07-01 윤종용 두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멀티채널 오디오 재생장치및 방법
US5912976A (en) * 1996-11-07 1999-06-15 Srs Labs, Inc.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system for use in recording and playback and methods for providing same
DE19646684C1 (de) * 1996-11-12 1998-03-05 Ericsson Telefon Ab L M Ausgangspufferschaltkreis
JP2000059896A (ja) * 1998-08-06 2000-02-25 Sanyo Electric Co Ltd サラウンド調整装置
US6757659B1 (en) * 1998-11-16 2004-06-2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2002044799A (ja) * 2000-07-31 2002-02-08 Yamaha Corp オーディオ用アンプ
JP2003061198A (ja) * 2001-08-10 2003-02-28 Pioneer Electronic Corp オーディオ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2761A (en) 2005-07-01
US20070147622A1 (en) 2007-06-28
WO2005064991A1 (ja) 2005-07-14
JPWO2005064991A1 (ja) 2007-07-26
CN1898991A (zh)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9020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US6332026B1 (en) Bass management system for home theater equipment
JP5380804B2 (ja) オーディオ信号出力装置
KR20060131784A (ko) 오디오 장치
US10938363B2 (en) Audio circuit
JP2004511927A (ja) パラメトリックスピーカー用電力アンプ
JP2007006432A (ja) バイノーラル再生装置
JP2006050195A (ja) Avアンプ
US7164770B2 (en)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KR200247762Y1 (ko) 다채널 멀티미디어 스피커 시스템
US20090022342A1 (en) Digital decoder box with multi-channel audio source format indentification function
JP2004304683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6722973B1 (ja) サラウンド回路及びそのサラウンド回路を利用した音響システム
JP2001218300A (ja) 音場表示方法および音声信号出力装置
EP1341394B1 (en) Electronic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JP6569165B1 (ja) サラウンド回路及びそのサラウンド回路を利用した音響システム
EP1471771A2 (en)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and video receiving apparatus
JP5262017B2 (ja) オーディオ信号出力装置
JP2001339800A (ja) 音量調整装置
JPH0937381A (ja) 出力レベル切り換え回路
JP2004364239A (ja) 音響装置
JP2599438Y2 (ja) 音声信号処理装置
KR200240707Y1 (ko) 입체음향 출력음 조절장치
KR870000715Y1 (ko) 오디오/비디오 제어기기의 저음음향확대 증폭회로
JPH0735518Y2 (ja) サラウンド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