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866A -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866A
KR20060122866A KR1020067009903A KR20067009903A KR20060122866A KR 20060122866 A KR20060122866 A KR 20060122866A KR 1020067009903 A KR1020067009903 A KR 1020067009903A KR 20067009903 A KR20067009903 A KR 20067009903A KR 20060122866 A KR20060122866 A KR 20060122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gas
holder
cylinders
gas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737B1 (ko
Inventor
히데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히데오 요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73593A external-priority patent/JP46791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596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43760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데오 요시다 filed Critical 히데오 요시다
Publication of KR20060122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7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releasing means operating essentially simultaneously on both containers
    • A62C13/7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releasing means operating essentially simultaneously on both containers the pressure gas container being pierced or brok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A62C99/0027Carbon dioxide extingui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3Carbone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 F17C2270/0754Fire extinguis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예를 들면, 카트리지식 가스실린더를 사용한 가정용 또는 사무소용 또는 차재용 이산화탄소 소화기에 적합하고, 통체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콤팩트하게 수용하여, 그의 소형 경량화와 외관의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이들의 가스실린더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일시에 파봉하여, 다량의 가스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가스실린더의 파봉 후의 드라이아이스의 응결이나 유로의 폐색을 방지하여, 안정한 가스의 분출상태를 얻을 수 있는,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내부에 가스를 충전하고, 또한 개구부를 실플레이트로 봉한 가스실린더를 갖는다.
상기 가스실린더를 수용 가능한 중공의 통체를 갖는다.
상기 통체의 정위치에서 가스실린더의 개구부를 유지 가능한 실린더 홀더와, 상기 실플레이트를 파봉 가능한 첨단부를 갖는다.
외부에 충전가스를 도출 가능하게 한 침관과, 상기 침관을 유지 가능한 침관 홀더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이간하여 배치하고, 상기 침관 홀더와 상기 실플레이트를 상대적으로 근적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인 것이다.
상기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설치한다.
상기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같은 축 방향으로 수용한다.
각 실린더 홀더 또는 각 침관 홀더를 일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각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를 대략 일시에 파봉 가능하게 한다.
카트리지식 가스실린더, 파봉장치, 실린더 홀더, 침관 홀더

Description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Seal breaking apparatus of gas cylind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카트리지식 가스실린더를 사용한 가정용 또는 사무소용 또는 차재용(車載用)의 이산화탄소 소화기에 적합하고, 통체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콤팩트하게 수용하여, 그 소형 경량화와 외관의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이들의 가스실린더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일시에 파봉(破封)하여, 다량의 가스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가스실린더의 파봉 후의 드라이아이스의 응결이나 유로(流路)의 폐색(閉塞)을 방지하여, 안정한 가스의 분출상태를 얻을 수 있는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전기설비나 기름화재의 소화기로서, 또한 사용 후의 오손(汚損)이 없고, 오랜 기간에 걸쳐서 품질이 안정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산화탄소 소화기로서, 고압의 이산화탄소를 충전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한 분사 헤드(jet head)와, 상기 분사 헤드로부터 분출된 이산화탄소를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여 유지하는 대략 나팔형의 혼(horn)을 구비한 것이 있다.
상기 소화기는, 실린더 안의 이산화탄소를 분출하고, 이것을 혼의 내벽에 드라이아이스로서 응결시켜, 상기 드라이아이스를 기체 분사한 이산화탄소에 의해 비 산시키고, 드라이아이스와 이산화탄소의 혼합체를 혼의 개구부(opening portion)로부터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여 분출시키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그 소화시에 먼저 안전마개(安全栓)를 뽑고, 고정 레버를 파지(把持)하여 조작 핸들을 잡고, 혼을 유지하여 개구부를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는,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여 시간이 걸리고 수고로워, 소화의 신속성에 응할 수 없는데다가, 대형 중량으로 취급하기 어렵고, 또한 점유 스페이스가 커져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가 어려우며, 또한 이산화탄소의 일부를 드라이아이스상으로 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그 응결에 의해 분구(噴口)의 막힘을 일으켜, 안정한 소화작용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다른 가압식 소화기로서, 내부에 분말 소화약제를 충전한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돌려넣어 용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에 이산화탄소와 질소가스를 충전한 가압 가스실린더와, 핸들과, 핸들조작에 연동하여 가압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sealing plate)를 파봉하는 천공침체(perforating needle body)와, 용기 본체 안에 배관한 소화약제 토출관(吐出管)과, 방사노즐을 구비한 것이 있다.
상기 소화기는, 그 소화시에 먼저 안전마개를 뽑고, 핸들을 조작하여 천공침체를 하강시켜, 가압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를 파봉하여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용기 본체 내부에 방출하며, 이 이산화탄소를 질소가스에 의해 순차 압출(押出)하여,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해 분말 소화약제를 소화약제 토출관으로 유도하고, 이것을 방사노즐로부터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여 분출시키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상기 분말 소화약제 소화기는, 소화시에 먼저 안전마개를 뽑고, 핸들을 조작하여 천공침체를 하강시켜, 가압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를 파봉하여 방사노즐을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는,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여 시간이 걸리고 수고로워, 소화의 신속성에 응할 수 없는데다가, 대형 중량으로 취급하기 어렵고, 또한 점유 스페이스가 커져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가 어려우며, 또한 가압 가스실린더의 용량이 대체로 작기 때문에, 분말 소화약제가 단기, 또한 소용량으로 분출하여, 충분한 소화작용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소형 실린더를 베이스에 넣어 장착하여, 상기 베이스에 커터(cutter) 본체를 미끄럼(slide)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커터 본체의 한쪽에 복수의 커터를 실린더의 실플레이트(sealing plate)를 향해 마주보게 배치하며, 상기 커터 본체의 다른 쪽에 중공(中空)의 케이스를 설치하여, 상기 케이스에 전기 점화식 스퀴브(squib)를 구비한 피스톤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고,상기 스퀴브를 폭발시켜 피스톤을 이동시켜, 상기 커터를 봉지판에 깊이 찔러 파봉하고, 소형 실린더 내의 가스를 외부로 빼내도록 한 실린더 파봉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및 4 참조).
그러나, 상기 파봉장치는 실린더의 봉지판의 파봉에 큰 힘을 요하고, 또한 그 파봉수단에 전기 점화식 스퀴브를 사용하여, 스퀴브에 봉입(封入)한 가스를 전기 점화방식으로 폭발시켜 파봉하는 수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설비의 규모가 크고, 정교하며 고가가 됨과 동시에, 조작의 간편성과 신속성 및 안전성을 얻기 어렵고, 또한 복수의 실린더를 나란히 두고 있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되어 취급하기 어려워, 소화기 내지 가정용 소형 소화기에 채용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7-5139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제(평)5-8855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제(평)7-1270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제(소)62-24199호 공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카트리지식 가스실린더를 사용한 가정용 또는 사무소용 또는 차재용 이산화탄소 소화기에 적합하고, 통체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콤팩트하게 수용하여, 그 소형 경량화와 외관의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이들의 가스실린더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일시에 파봉하여, 다량의 가스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가스실린더의 파봉 후의 드라이아이스의 응결이나 유로의 폐색을 방지하여, 안정한 가스의 분출상태를 얻을 수 있는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는 내부에 가스를 충전하고, 또한 개구부를 실플레이트로 봉한 가스실린더와, 상기 가스실린더를 수용 가능한 중공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정위치(定位置)에서 가스실린더의 개구부를 유지 가능한 실린더 홀더와, 상기 실플레이트를 파봉 가능한 첨단부(尖端部)를 가지고, 외부에 충전가스를 도출(導出) 가능하게 한 침관(針管)과, 상기 침관을 유지 가능한 침관 홀더를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이간(離間)하여 배치하며, 상기 침관 홀더와 상기 실플레이트를 상대적으로 근접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가스 실린더의 파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설치하고, 상기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같은 축방향으로 수용하여, 각 실린더 홀더 또는 각 침관 홀더를 일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각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를 대략 일시에 파봉 가능하게 하여,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일시에 파봉하며, 충전한 가스를 일시에 분출 가능하게 하여, 그 분사량의 증량과, 신속하고 확실한 가스의 분사효과를 얻을 수 있어, 예를 들면, 소화기에 의한 소화작용을 증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체의 내부에 수용한 복수의 가스실린더의 개구부를 동일 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성의 간결화와 조립의 용이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수용한 복수의 가스실린더의 개구부를 서로 마주 향하게 하여 배치하고, 침관 홀더의 합리적인 사용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각 가스실린더와의 사이에 가스도관을 직렬로 접속하고, 상기 가스도관을 단일 노즐에 연통(連通)하여, 가스도관의 배관의 용이화와 배관 스페이스의 콤팩트화를 도모하고, 통체 내지 파봉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각 가스실린더마다 가스도관을 각 노즐에 접속하여, 가스실린더마다의 가스 분사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선단부(先端部)에 단일 또는 복수의 노즐을 설치하여, 복수의 실린더로부터의 가스 분사형태를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선단부에 등구(燈具)를 설치하고, 상기 등구를 상기 파봉동작에 연동하여 점등 가능하게 하여, 야간이나 정전 하에서의 가스의 분사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상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소화기에 의한 소화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난용 조명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선단부에 분말 소화약제를 수용한 용기를 설치하여, 상기 용기에 상기 가스도관의 하류쪽 단부(端部)를 접속하고, 상기 용기를 상기 노즐에 연통하여, 가스실린더의 가스를 이용한 분말 소화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수용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연결판을 설치하여, 상기 연결판의 사이에 상기 가스실린더와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배치하고, 또한 이들을 유지 가능하게 하여, 연결판을 매개로 하여, 가스실린더와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와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각 침관의 첨단부를 상기 실플레이트의 중심선 상에 배치하여, 침관에 의한 실플레이트의 파봉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충전가스가 고압의 이산화탄소로 간이한 소화기에 적합하며, 종래의 것에 비하여, 소형 경량화와 사용의 간편화, 외관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는 내부에 가스를 충전하고, 또한 개구부를 실플레이트로 봉한 가스실린더와, 상기 가스실린더를 수용 가능한 중공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정위치에서 가스실린더의 개구부를 유지 가능한 실린더 홀더와, 상기 실플레이트를 파봉 가능한 첨단부를 가지며, 외부에 충전가스를 도출 가능하게 한 침관과, 상기 침관을 유지 가능한 침관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이간하여 배치하며, 상기 침관 홀더와 상기 실플레이트를 상대적으로 근접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통체를 같은 축상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통체의 한쪽을 구부리거나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통체의 내부에 단일 또는 복수의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설치함과 동시에, 단일 또는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같은 축방향으로 수용하여, 상기 실린더 홀더 또는 침관 홀더를 일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각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를 대략 일시에 파봉 가능하게 하여, 복수의 통체의 한쪽을 구부리거나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일시에 파봉해서, 충전한 가스를 일시에 분출 가능하게 하며,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가스를 분사하여, 분사량의 증량효과를 얻을 수 있어, 예를 들면, 소화기에 의한 소화작용을 증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접속부에, 한쪽 통체의 구부림 변위에 연동 가능한 캠(cam)을 설치하고, 상기 캠의 회전 구역(rotation area)으로 향하게 하여 가스실린더의 저부(bottom portion) 또는 침관 홀더 또는 양쪽을 배치하여, 캠의 작동에 의해 가스실린더 또는 침관 홀더 또는 양쪽을 작동하고, 각 가스실린더를 일시에 파봉하여, 충전한 가스를 일시에 분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다른 쪽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근접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가스실린더를 개구부를 서로 마주 향하게 하여 배치하여,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양쪽으로 침관을 설치한 침관 홀더를 배치하여, 침관 홀더의 합리적인 구성과 구성의 간결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 가능한 한쪽의 통체에, 상기 통체의 소정 각도로 회전 후에 축방향으로 변위(displace) 가능한 가동체(movable body)를 설치하고, 다른 쪽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설치함과 동시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같은 축방향으로 수용하여, 상기 가동체의 변위에 연동하고, 각 침관 홀더를 실린더 홀더쪽으로 일시에 근접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여, 통체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각 가스실린더를 일시에 파봉하여, 충전한 가스를 일시에 분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통체 내부에, 적어도 한쌍의 연결판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연결판에 상기 가동체와, 상기 복수의 침관 홀더를 장착하고, 상기 가동체의 작동에 복수의 침관 홀더의 작동을 연동하여, 가동체에 의해 각 침관에 따른 파봉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통체 내부에, 적어도 한쌍의 연결판을 정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연결판에 상기 복수의 실린더 홀더를 장착하여, 가스실린더를 정위치에서 유지시키도록 하여, 가동체에 의한 각 침관의 파봉의 실효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 가능한 한쪽의 통체의 주위면(circumference surface)에 조작편(operation piece)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편의 고정 클로우(lock claw)를 상기 가동체에 연결하거나 해제(disengage)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가동체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힘을 가하여, 조작편의 고정 해제조작에 의해 가동체를 작동하여, 파봉장치의 사용상의 안전성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 가능한 한쪽 통체의 단부쪽 내부에 고정부재를 정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홈(engaging groove)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홈에 상기 조작편의 고정 클로우를 연결하거나 해제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고정 클로우에 의해 한쪽의 통체의 회전을 멈추게 하여, 파봉장치의 사용상의 안전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상기 한쪽의 통체의 넓은 파지 스페이스(holding space)를 확보하여, 사용상의 용이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접속부에 접합링(joining ring)을 박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접합링의 박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통체의 한쪽을 구부릴 수 있게 하여, 파봉장치의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는,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설치하여, 상기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같은 축방향으로 수용하고, 각 실린더 홀더 또는 각 침관 홀더를 일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각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를 대략 일시에 파봉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일시에 파봉하여, 충전한 가스를 일시에 분출할 수 있고, 그 분사량의 증량과, 신속하고 확실한 가스의 분사효과를 얻을 수 있어, 예를 들면, 소화기에 의한 소화작용을 증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체의 내부에 수용한 복수의 가스실린더의 개구부를 동일 방향으로 배치했기 때문에, 구성의 간결화와 조립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수용한 복수의 가스실린더의 개구부를 서로 마주 향하게 하여 배치했기 때문에, 침관 홀더의 합리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가스실린더와의 사이에 가스도관을 직렬로 접속하고, 상기 가스도관을 단일의 노즐에 연통했기 때문에, 가스도관의 배관의 용이화와 배관 스페이스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통체 내지 파봉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가스실린더마다 가스도관을 각 노즐에 접속했기 때문에, 가스실린더마다의 가스의 분사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선단부에 단일 또는 복수의 노즐을 설치했기 때문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로부터의 가스 분사형태를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선단부에 등구를 설치하고, 상기 등구를 상기 파봉동작에 연동하여 점등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야간이나 정전 하에서의 가스의 분사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상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소화기에 의한 소화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피난용 조명으로서의 이용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선단부에 분말 소화약제를 수용한 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에 상기 가스도관의 하류쪽 단부를 접속하여, 상기 용기를 상기 노즐에 연통했기 때문에, 가스실린더의 가스를 이용한 분말 소화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수용 가능한 적어도 한쌍의 연결판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판의 사이에 상기 가스실린더와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배치하며, 또한 이들을 유지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연결판을 매개로 하여 가스실린더와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와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각 침관의 첨단부를 상기 실플레이트의 중심선 상에 배치했기 때문에, 침관에 의한 실플레이트의 파봉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충전가스가 고압의 이산화탄소이기 때문에 간이한 소화기에 적합하고, 종래의 소화기에 비하여 소형 경량화와 사용의 간편화,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는, 복수의 통체를 같은 축상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통체의 한쪽을 구부리거나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통체의 내부에 단일 또는 복수의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설치함과 동시에, 단일 또는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같은 축방향으로 수용하고, 상기 실린더 홀더 또는 침관 홀더를 일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각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를 대략 일시에 파봉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복수의 통체의 한쪽을 구부리거나 또는 회전함으로써, 복수의 가스실린더에 일시에 파봉하여 충전한 가스를 일시에 분출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가스를 분사하여, 그 분사량의 증량효과를 얻을 수 있어, 예를 들면, 소화기에 의한 소화작용을 증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접속부에 한쪽 통체의 구부림 변위에 연동 가능한 캠을 설치하고, 상기 캠의 회전 구역으로 향하게 하여 가스실린더의 저부 또는 침관 홀더 또는 양쪽을 배치하여, 캠의 작동에 의해 가스실린더 또는 침관 홀더 또는 양쪽을 작동했기 때문에, 각 가스실린더를 일시에 파봉하여, 충전한 가스를 일시에 분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다른 쪽의 통체 내부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근접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가스실린더를 개구부를 서로 마주 향하게 하여 배치하여,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양쪽으로 침관을 설치한 침관 홀더를 배치했기 때문에, 침관 홀더의 합리적인 구성과 구성의 간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 가능한 한쪽의 통체에, 상기 통체의 소정 각도로 회전 후에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체를 설치하고, 다른 쪽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설치함과 동시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같은 축방향으로 수용하여, 상기 가동체의 변위에 연동하고, 각 침관 홀더를 실린더 홀더쪽으로 일시에 근접 이동 가능하게 배치했기 때문에, 통체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각 가스실린더를 일시에 파봉하여, 충전한 가스를 일시에 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통체 내부에, 적어도 한쌍의 연결판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연결판에 상기 가동체와, 상기 복수의 침관 홀더를 장착하여, 상기 가동체의 작동에 복수의 침관 홀더의 작동을 연동했기 때문에, 가동체의 작동에 의해, 각 침관에 의한 파봉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통체 내부에, 적어도 한쌍의 연결판을 정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연결판에 상기 복수의 실린더 홀더를 장착하여, 가스실린더를 정위치에 유지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가동체에 의한 각 침관의 파봉의 실효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 가능한 한쪽의 통체의 주위면에 조작편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편의 고정 클로우를 상기 가동체에 연결하거나 해제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가동체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힘을 가했기 때문에, 조작편의 고정 해제 조작에 의해 가동체를 작동하고, 파봉장치의 사용상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 가능한 한쪽의 통체의 단부(端部)쪽 내부에 고정부재를 정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홈에 상기 조작편의 고정 클로우를 연결하거나 해제 가능하게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고정 클로우에 의해 한쪽의 통체의 회전을 멈추게 하여, 파봉장치의 사용상의 안전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상기 한쪽의 통체의 넓은 파지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사용상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접속부에 접합링을 박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접합링의 박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통체의 한쪽을 구부릴 수 있게 하여, 파봉장치의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로서,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1의 확대 평면도로서, 표시 보드를 접은 상황(포장(pack) 시)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내부 구조를 종단(縱斷)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소화기의 사용 전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의 종단방향과 직교(直交)하여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주요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斜視圖)이다.
도 8은 도 5의 요부(要部)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1 통체쪽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5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2 통체쪽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6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1 통체쪽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6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2 통체쪽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약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8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약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도 8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약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도 9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약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1 통체를 구부린 소화기의 사용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도 16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1 통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도 16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2 통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제2 통체의 선단부의 평면도로서, 약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내부 구조를 종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에 적용한 분말 소화약제가 든 소화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에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제5의 실시형태에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E-E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제5의 실시형태에 적용한 소화기 홀더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F-F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8은 상기 제5의 실시형태에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29는 상기 제5의 실시형태에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상기 제5의 실시형태를 적용한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파봉작동 전의 제1 통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2는 도 31의 G-G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H-H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28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파봉작동 전의 제2 통체의 중간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5는 도 34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J-J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28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파봉작동 후의 제2 통체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8은 도 37의 K-K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L-L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28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파봉작동 후의 제1 통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1은 도 40의 M-M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28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파봉작동 후의 제2 통체의 중간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3은 도 42의 N-N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4는 도 28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파봉작동 후의 제2 통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5는 도 44의 O-O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파봉작동 전의 제1 통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6 소화기
12 제1 통체
13 제2 통체
20~22 가스실린더
23~25 실플레이트
29, 30 실린더 홀더(조인트 블록)
44, 52 침관 홀더
46, 55, 56 침관
49, 65, 66 가스도관
67 노즐
73, 79 캠
88 접합링
91a, 91b 연결판
92a, 92b 연결판
92c, 92d 연결판
96 등구(LED)
104 분말 소화약제
105 용기
106 조작편
109 고정부재
113 가동체
127~129 침관 홀더(가동 블록)
139~141 실린더 홀더(조인트 블록)
46a, 55a, 56a 첨단부
104 분말 소화약제
105 용기
S 접합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카트리지식 가스실린더를 사용한 가정용 또는 사무소용 또는 점포용, 차재용 이산화탄소 소화기, 즉 이산화탄소(CO2)를 충전한 소화기에 적용한 도시(圖示)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18에 있어서 1은 실내의 벽면(2)의 소정 높이에 장착된 소화기 홀더로서,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홀더 플레이트(3)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3)의 상부 및 중고부(中高部)의 양쪽에, 탄성을 갖는 각 한쌍의 계지핀(locking pin)(4, 5)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계지핀(4, 5) 안쪽의 만곡면(curved surface)(4a, 5a)의 사이에, 소화기(6)이 수직으로 끼워져 있다.
도면 중, 7, 8은 홀더 플레이트(3)의 상부 양쪽에 접을 수 있게 설치한 표시판으로, 그 표면에 소화기(6)의 사용법과 사용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설명도(9, 10)이 기재되고, 11은 홀더 플레이트(3)의 하단부에 설치한 굴곡편(bending piece)으로, 소화기(6)의 하단부를 지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소화기(6)은 소화기 홀더(1)과 대략 같은 길이의 가늘고 긴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화기(6)은 악지(握持) 가능한 길고 짧은 2개의 같은 직경의 제1 및 제2 통체(12, 13)을 구비하여, 그 접속부(S)를 구부릴 수 있게 연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통체(12, 13)의 외경(外徑)을 약 5 ㎝, 제1 통체(12)의 길이를 약 22 ㎝, 제2 통체(13)의 길이를 약 39 ㎝, 이들의 길이비를 약 1:1.7로 구성하여, 짧고 작은 쪽의 제1 통체(12)를 파지쪽으로 하여 아래쪽에 배치하고, 길이가 긴 쪽의 제2 통체(13)을 분사쪽으로 하여 윗쪽에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이들의 길이비와 배치를 전술한 것과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통체(12)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 수지제의 같은 직경의 관체(tube body)로 되는 길고 짧은 두개의 외통(outer cylinder)(14, 15)로 외곽이 형성되고, 이들의 외단부(outer end portion)에 알루미늄 또는 합성 수지제의 캡(cap)(16, 17)이 나사 고정 등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캡(16, 17)의 안쪽에 대략 접시 모양으로 수지 성형한 실린더 서포트(cylinder support)(18, 19)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 서포트(18, 19)는 도 7과 같이 유저 중공의 원통상(bottomed and hollow cylindrical shape)으로 성형되어, 그 양쪽 부분에 대략 지붕 모양의 계지부(locking portion)(18b, 19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 서포트(18, 19)의 개구 가장자리 부분(opening edge portion)에 오목상(凹狀) 만곡부(18a, 19a)가 형성되어, 상기 만곡부(18a, 19a)를 가스실린더(20, 21)의 반구면상(半球面狀)의 저부(20a, 21a)에 연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짧고 작은 쪽의 외통(14)에 금속제의 단일 가스실린더(20)이 수용되고, 길이가 긴 쪽의 외통(15)에 복수,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제의 2개의 가스실린더(21, 22)가 마주하고 수용되어, 가스실린더(20, 22)가 같은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가스실린더(20~22)는 시판의 것을 사용하고,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략 병모양으로 성형되며, 그 형상 치수는 외경 약 4 ㎝, 길이 약 13 ㎝, 용량중기(tare) 약 90 ㏄로, 내부에 약 4 ㎫의 이산화탄소가 충전되고, 충전 후, 구부(mouth portion)(20b~22b)에 실플레이트(sealing plate)(23~25)가 장착되어 있다. 도면 중, 26~28은 구부(20b~22b)쪽의 주위면에 형성한 나사부(screw portion)이다.
상기 외통(14, 15)의 각 중간부에,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또는 합성 수지제의 실린더 홀더인, 조인트 블록(29, 30)이 나사 등으로 고정되고, 상기 블록(29, 30)은 서로 길이를 다르게 하며, 또한 그 단면형상을 상기 실린더 서포트(18, 19)와 대략 같은 모양의 중공의 원통상으로 성형하고 있어, 그 양쪽 주위면에 상기 계지부(18b, 19b)와 같은 모양의 지붕 모양 계지부(29a, 30a)를 형성하고 있다.
이 중, 짧고 작은 쪽의 조인트 블록(29)의 내부에 단일의 가이드 실린더(guide cylinder)(31)이 고정되고, 또한 길이가 긴 쪽의 조인트 블록(30)의 내부에 두개의 가이드 실린더(32, 33)이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가이드 실린더(31~33)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이들의 내부에 크기가 다른 직경의 슬라이딩구멍(sliding hole)(34, 35, 36, 37) 및 (38, 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구멍(35, 37, 39)의 한쪽 단부에 나사구멍(screw hole)(40~42)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40~42)에 상기 가스실린더(20~22)의 나사부(26~28)이 돌려넣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딩구멍(34, 35)에 푸시 로드(push rod)(43)과, 금속제의 침관 홀더인 축통부(shaft cylindrical portion)(44)가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축통부(44)에 침관(45)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첨단부(45a)를 실플레이트(23)에 관통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침관(45)에 스프링(46)이 끼워 넣어져(介揷), 상기 스프링(46)의 탄성을 매개로 하여 푸시 로드(43)을 가이드 실린더(31)의 바깥쪽으로 힘을 가하여, 통상 푸시 로드(43)을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침관(45)에 관통구멍(through hole)(47)이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 실린더(31)에 슬라이딩구멍(35)에 연통하는 가이드홀(guide hole)(48)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48)에 동관(copper tube)제의 가스도관(49)의 한쪽 끝이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 50은 축통부(44)에 장착된 O링(O-ring)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실린더(32)는 조인트 블록(30)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고, 또한 가이드 실린더(33)은 조인트 블록(30)의 내부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 가이드 실린더(32, 33)의 사이에 스프링(51)이 끼워 넣어져 있어, 상기 스프링(51)의 탄성을 매개로 하여 가이드 실린더(33)을 가스실린더(22)쪽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딩구멍(36, 38)의 침관 홀더인, 금속제의 슬라이드 로드(slide rod)(52)가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로드(52)의 양쪽 축통부(53, 54)가 상기 슬라이딩구멍(37, 39)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축통부(53, 54)에 침관(55, 56)이 돌출 설치되고, 이들의 첨단부(55a, 56a)를 실플레이트(24, 25)에 관통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침관(55, 56)에 스프링(57, 58)이 끼워 넣어지고, 상기 스프링(57, 58)의 탄성을 매개로 하여, 슬라이드 로드(52)를 가이드 실린더(32, 33)의 안쪽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상기 침관(55, 56)에 관통구멍(59, 60)이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 실린더(32, 33)에 슬라이딩구멍(37, 39)에 연통하는 각 한쌍의 가이드홀(61~64)가 형성되어, 각 가이드홀(61~64)에 동관제의 가스도관(49, 65, 66)의 한쪽 끝이 접속되어 있다.
즉, 가이드홀(63)에 상기 가스도관(49)의 다른 쪽 끝이 접속되어, 가스실린더(20)으로부터 분출된 이산화탄소를 가이드홀(63)으로 도입하고, 또한 가이드홀(64, 61) 사이에 가스도관(65)의 양쪽 단부가 접속되어, 가스실린더(20, 22)로부터 분출된 이산화탄소를 가이드홀(61)로 도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홀(62)에 가스도관(66)의 한쪽 끝이 접속되어, 가스실린더(20, 22, 21)로부터 분출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도관(66)의 다른 쪽 끝에 접속한 노즐(67)로 도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노즐(67)은 상기 캡(17)의 단판(end plate)(17a)에 돌출 설치되고, 그 분구(噴口)의 내부에, 예를 들면, 니들 밸브(needle valve)(도시 생략)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분구의 면적을 변경 가능하게 하며, 이산화탄소의 분출형태와 분출거리를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면 중, 68, 69는 축통부(53, 54)에 장착한 O링이다.
한편, 상기 조인트 블록(29)의 다른 쪽 단부에 오목한 구멍(recessed hole)(70)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70)은 상기 실린더 서포트(18)의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 단면에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푸시 로드(43)의 단부가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목한 구멍(70)에, 상기 실린더 서포트(18)과 대략 같은 모양의 아연 다이캐스트제의 캠 홀더(71)이 고정되고, 상기 홀더(71)의 바깥쪽에 두께가 두꺼운 캠 플레이트(72)와, 약간 얇은 두께의 제1 캠(73)이 일체성형되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캠 플레이트(72)는 캠 홀더(71)의 축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72)의 선단부로부터, 대략 나뭇잎 형상의 제1 캠(73)이 대각선 아래쪽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캠(73)은 후술하는 접합 이음부(coupling joint)의 내부에 돌출되어 배치되고, 그 기부(basic portion)를 후술하는 제2 캠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어, 외통(14)의 구부러짐 변위와 같은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캠(73)은 외통(14)를 구부릴 때, 그 선단부를 가스실린더(22)의 저부(22a)에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22)를 조인트 블록(30)방향으로 압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면 중, 74는 캠 홀더(71)을 형성한 한쌍의 절결부(notch portion)로, 후술하는 제2 캠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상기 외통(15)의 접속부(S)쪽 단부에 접합 이음부(75)가 나사 등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음부(75)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대략 원주상(cylinderical shape)으로 성형되며, 그 선단부를 반구상부(hemispherical portion)(75a)로 성형하고 있어, 상기 반구상부(75a)를 외통(14)의 접속부(S)에 미끄럼 접합(摺接)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도면 중, 76은 상기 반구상부(75a)에 개구된 폭 넓은 캠 관통구멍(cam through hole)으로, 상기 캠 플레이트(72)와 후술하는 캠을 삽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접합 이음부(75)의 내부에 오목한 구멍(77)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77)은 상기 실린더 서포트(18)의 단면형상과 같은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실린더 서포트(18)과 대략 같은 모양의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실린더 서포트(78)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서포트(78)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오목형상 만곡부(78a)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78a)를 가스실린더(22)의 반구면상의 저부(22a)에 연결할 수 있게 배치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 서포트(78)의 바깥쪽에 한쌍의 제2 캠(79)가 일체성형되고, 상기 캠(79)는 상기 제1 캠(73) 보다 길이가 긴 대략 나뭇잎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기부를 실린더 서포트(78)로부터 돌출 설치하여, 그 돌출 설치 단부로부터 대각선 아래쪽으로 굴곡하여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제2 캠(79)는 상기 캠 관통구멍(76)에 삽입되고, 상기 캠(79, 79) 사이에 상기 캠 플레이트(72)가 미끄럼 접합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들을 핀(80)을 매개로 하여 캠 관통구멍(7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제2 캠(79)는, 접합 이음부(75) 및 이것에 고정시킨 실린더 서포트(78)을 매개로 하여, 외통(15)의 구부리는 작동과 같은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고, 외통(15)를 구부릴 때에 선단부를 푸시 로드(43)의 단부와 연결하여, 상기 푸시 로드(43)을 조인트 블록(29)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캠 플레이트(72)와 제2 캠(79)의 기부, 및 반구상부(75a)에 핀홀(pin hole)(81~83)이 형성되고, 이들에 핀(80)을 삽입하고, 그 나사축 단부(screw shaft end portion)에 넛트(84)를 돌려넣고, 이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도면 중, 85는 상기 캠(73)의 회전 궤적(rotation locus)으로 향하게 하여 실린더 서포트(78)에 형성한 절결부로, 캠(73)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상기 외통(14, 15)의 접속부(S)의 대략 반원형의 표면은, 이들의 굽힘각도(bending angle)에 대응하여 비스듬하게 잘리고, 그 비스듬하게 잘린 부분(14a, 15a)는 교각(crossing angle)(θ)로 배치되어, 상기 비스듬하게 잘린 부분(14a, 15a)쪽의 주위면에, 제1 및 제2 캠(73, 79)의 회전 궤적으로 향하게 하며, 잘린 부분(86, 87)이 외통(14, 15)의 축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73, 79)는 소화기(6)의 사용 전은, 도 8과 같이 외통(14, 15) 안에 일정한 교각으로 수용되어, 캠(73)은 가스실린더(22)의 저부(22a)의 바로 아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캠(79)는 푸시 로드(43)의 첨단부 바로 아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S)는 외통(14, 15)의 마주보는 단부를 약간 이간하여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S)에 합성 수지제의 접합링(88)이 제거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상기 접합링(88)의 반원형부(semicircular portion)의 폭은, 상기 비스듬하게 잘린 부분(14a, 15a)를 향해 점차 증대되어, 그 폭이 넓은 부분(88a)을 비스듬하게 잘린 부분(14a, 15a) 사이의 최대부에 위치시키며, 통상 외통(14, 15)의 구부러짐을 저지하고 있다.
그리고, 소화기(6)의 사용시, 상기 접합링(88)을 접속부(S)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폭이 넓은 부분(88a)를 중심으로 상기 교각 θ만큼, 외통(14, 15)를 안쪽으로 구부릴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폭이 넓은 부분(88a)의 양쪽에, 설편상(舌片狀)의 접합편(joining piece)(89)와 파지편(holding piece)(90)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접합편(89)를 외통(14)의 주위면에 접착하여, 파지편(90)을 외통(15)의 주위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하고 있다.
그리고, 소화기(6)의 사용시에 파지편(90)을 박리하고, 접합링(88)을 폭이 좁은 부분에서 절단하여 외통(14, 15)를 이간시키고, 폭이 넓은 부분(88a)를 접합편(89)를 매개로 하여 비스듬하게 잘린 부분(14a)의 둘레 가장자리(circumference edge)에 잔치(殘置)시켜, 접속부(S)에서의 손가락이 끼는 사고를 방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면 중, 91a, 91b, 92a, 92b는 제1 통체(12, 13)의 내부에 마주하게 배치한 합성 수지제 또는 알루미늄판제의 길고 짧은 두 개의 연결판으로, 이들의 단면형상은 실린더 서포트(18, 19)의 계지부(18b, 19b)와 같은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상기 연결판(91a, 91b)는 실린더 서포트(18)과 캠 홀더(71)과의 사이에 걸쳐지고, 또한 연결판(92a, 92b)는 실린더 서포트(19)와 캠 홀더(78)과의 사이에 걸쳐져, 이들 사이에 배치한 가스실린더(20~22) 등을 방호(防護)함과 동시에, 이들의 조립의 간편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93, 94는 외통(14, 15)의 안쪽 면에 관축방향(tube axial direction)으로 돌출 설치한 계지 돌기(locking projection)로, 상기 연결판(91a, 91b, 92a, 92b)의 끝 가장자리와 연결할 수 있게 배치되어, 그 원주방향의 이동을 방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밖에, 도면 중, 95는 상기 단판(17a)의 안쪽이고, 또한 상기 계지부(19b)의 안쪽 면에 연결하여 나사로 고정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 수지제의 대략 집 모양을 한 등구인 라이트 박스로, 내부에 램프(96)과 건전지(도시 생략)가 수용되고, 상기 램프(96)을 단판(17a)에 형성한 조사공(irradiation hole)(97)으로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라이트 박스(95)로부터 램프(96)에 접속한 도선(98)이 나와, 그 다른 쪽에 끝이 가이드 실린더(32, 33)에 돌출 설치된 스위치 단자(99, 100)에 접속되며, 상기 단자(99, 100)의 접속 동작에 의해 급전회로(feeding circuit)를 닫아, 상기 램프(96)을 점등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는, 상기 실플레이트(23~25)의 파봉을, 제1 통체(12, 13)을 구부리는 조작에 의해 행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전기 점화식 스퀴브를 폭발시키는 구조인 것에 비하여, 정밀하고 복잡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이것을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는, 2개의 제1 통체(12, 13)을 구부릴 수 있게 접속하여 구성되고, 이들을 외통(14, 15)와, 캡(16, 17)과, 실린더 서포트(18, 19, 78)과, 캠 홀더(71)과, 접합 이음부(75)와, 캠(73, 79)와, 조인트 블록(29, 30) 및 그의 어셈블리(assembly)와, 가스실린더(20~22) 및 그의 가스도관(49, 65, 66)과, 연결판(91a, 91b, 92a, 92b)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요 구성부재를 제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외통(14, 15)는, 안쪽 면에 복수의 계지 돌기(93, 94)를 돌출 설치한, 외경 약 5 ㎝의 알루미늄관을 뽑아 성형하고, 이것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길고 짧은 두개의 모양으로 제작하여, 그 접속부(S)쪽의 단부 반원형부에 비스듬하게 잘린 부분(14a, 15a)를 형성하고, 또한 그 단부 주위면에 잘린 부분(86, 87)을 축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캡(16, 17)은, 알루미늄에 의해 외통(14, 15)와 같은 직경으로 성형하고, 이 한쪽의 캡(17)의 저판(bottom plate)(17a)에 노즐(67)과 관통구멍(97)을 성형한다.
상기 실린더 서포트(18, 19, 78)은 대략 접시 모양으로 수지 또는 다이캐스트 성형하고, 그의 바깥 주위부에 지붕 모양의 한쌍의 계지부(18b, 19b, 78b)를 성형한다.
캠 홀더(71)은, 상기 실린더 서포트(18, 19, 78)과 대략 같은 모양으로 다이캐스트 성형하고, 그 바깥 주위부에 지붕 모양의 한쌍의 계지부(71b)를 성형한다.
상기 접합 이음부(75)는 대략 원주상으로 다이캐스트 성형하고, 그 선단부에 반구상부(75)를 성형하며, 그 표면에 캠 관통구멍(76)을 성형한다.
상기 캠(73, 79)는 대략 나뭇잎 형상으로 다이캐스트 성형하고, 이 중, 제1 캠(73)은 상기 캠 홀더(71)과 일체로 돌출 성형하며, 또한 제2 캠(79, 79)는 소정 간격으로 마주하여 상기 실린더 서포트(78)과 일체로 돌출 성형한다.
상기 조인트 블록(29, 30)은, 길고 짧은 두 개의 대략 원주상으로 다이캐스트 성형하고, 그의 바깥 주위면에 각 한쌍의 지붕 모양의 계지부(29a, 30a)를 성형하며, 이들의 내부에 가이드 실린더(31, 32)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 블록(30)의 내부에 가이드 실린더(32, 33)을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실린더(32, 33)을 통상 스프링(51)의 탄성을 매개로 하여, 조인트 블록(30)의 양쪽 단부에 힘을 가한다.
상기 가이드 실린더(31~33)의 내부에 슬라이딩구멍(35, 37, 39)를 형성하고, 그 한쪽 단부에 나사구멍(40~42)를 형성하며, 가이드 실린더(31)의 슬라이딩구멍(35)에 침관(45)를 돌출 설치한 푸시 로드(43)을 미끄럼 가능하게 끼움 장착하고, 통상 스프링(46)의 탄성을 매개로 하여, 푸시 로드(43)의 두부(head portion)를 가이드 실린더(31)의 바깥 쪽에 힘을 가한다.
또한, 가이드 실린더(32, 33)의 슬라이딩구멍(37, 39)에, 양쪽에 침관(55, 56)을 돌출 설치한 슬라이드 로드(52)를 미끄럼 가능하게 끼움 장착하고, 통상 스프링(57, 58)의 탄성을 매개로 하여, 가이드 실린더(32, 33)의 안쪽에 힘을 가한다.
상기 가스실린더(20~22)는 같은 시판의 것을 사용하고,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충전 후, 구부(20b~22b)에 실플레이트(23~25)를 부착한다. 가스도관(49, 65, 66)은 동관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제작하고, 연결판(91a, 91b, 92a, 92b)는 합성 수지판을 상기 지붕 모양 단면으로 성형하여, 이것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제작한다.
이렇게 하여 제작한 각 구성부재를 제1 통체(12, 13)에 조립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접합 이음부(75)에 실린더 서포트(78)을 나사로 고정하고, 상기 실린더 서포트(78)과 일체인 한쌍의 캠(79)를 캠 관통구멍(76)에 삽입하여, 그 선단부를 반구상부(75a)로부터 돌출시킨다.
다음으로, 조인트 블록(29)의 한쪽 단부의 오목한 구멍(70)에 캠 홀더(71)을 나사로 고정하고, 상기 홀더(71)과 일체인 캠 플레이트(72)를 제2 캠(79, 79)의 사이에 삽입하여, 캠 플레이트(72)와 일체인 제1 캠(73)을 잘린 부분(85)에 삽입하고, 그 선단부를 실린더 서포트(78)의 안쪽으로 돌출시킨다.
또한, 이것과 전후하여 상기 한쌍의 캠(79)를 캠 홀더(71)에 형성한 한쌍의 잘린 부분(74)에 삽입하고, 그 선단부를 캠 홀더(71)의 안쪽으로 돌출시켜, 각 핀홀(81~83)의 위치를 맞춘다.
그리고, 접합 이음부(75)의 한쪽으로부터 핀(80)을 돌려넣고, 이것을 핀홀(81~83)에 삽입시켜, 그 선단의 나사부에 나사(84)를 돌려넣고, 이것을 꽉 죄여 한쌍의 캠(79)와 캠 플레이트(72)를 약간 마찰 접속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다음으로, 각 조인트 블록(29, 30)의 가이드 실린더(31~33)의 나사구멍(40~42)에, 이산화탄소를 충전한 가스실린더(20~22)의 나사부(40~42)를 돌려넣어 장착하고, 각 가이드 실린더(31~33)의 가이드홀(48, 61~64)에 가스도관(49, 65, 66)을 접속시킨다.
즉, 접합 이음부(75)를 사이에 끼워 가이드홀(48, 63)에 가스도관(49)를 접속하고, 가이드홀(64, 61)에 가스도관(65)를 접속하며, 가이드홀(62)에 가스도관(49)의 한쪽 끝을 접속하고, 다른 쪽 끝을 노즐(67)에 도통(導通)하는 캡(17) 안쪽 면의 연통공(communication hole)에 접속시킨다.
또한, 실린더 서포트(18, 19)를 캡(16, 17) 안쪽 면의 소정 위치에 나사로 고정하고, 이 한쪽의 실린더 서포트(19) 안쪽의 소정 위치에 라이트 박스(95)를 나사로 고정한다.
상기 라이트 박스(95)는 내부에 램프(96)과 건전지(도시 생략)를 수용하고, 상기 박스(95)로부터 꺼낸 도선(98)을 스위치 단자(99, 100)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이들 어셈블리 상태의 각 구성부재를, 한쪽의 연결판(91b, 92b) 위에 도 7과 같은 배치 순서로 수용하고, 상기 연결판(91b, 92b)를 대응하는 구성부재와 함께, 외통(14, 15)의 아래쪽의 계지 돌기(93, 93) 사이에 삽입하여 지지한다. 또한, 다른 쪽의 연결판(91a, 92a)를 상기 구성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외통(14, 15)의 윗쪽의 계지 돌기(93, 93) 사이에 삽입하여 지지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연결판(91a, 92a)는 상하 각 한쌍의 계지 돌기(93, 93)으로 걸쳐져, 그 폭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고, 또한 이들의 안쪽 면은 조인트 블록(29, 30)의 계지부(29a, 30a)와 밀착되어, 조인트 블록(29, 30) 및 각 구성부재를 안정하게 유지한다.
그 다음, 각 조인트 블록(29, 30)을 외통(14, 15)의 장착 위치에 위치를 맞추고, 나사(도시 생략)를 외통(14, 15)의 바깥쪽으로부터, 조인트 블록(29, 30)에 돌려넣어 고정한다.
또한, 접합 이음부(75)를 외통(15)의 접속부(S)쪽의 단부에 끼움 장착하고, 또한 연결판(92a, 92b)의 단부 사이에, 실린더 서포트(78)의 계지부(78b)를 삽입하여, 나사(도시 생략)를 외통(15)의 바깥쪽으로부터 접합 이음부(75)에 돌려넣어 고정한다.
다음으로, 외통(14)의 다른 쪽 단부에 캡(16)을 끼움 장착하고, 또한 연결판(91a, 91b)의 단부 사이에 실린더 서포트(18)의 계지부(18b)를 삽입하여, 연결판(91a, 91b)의 한쪽 단부를 끼워두고, 이동을 저지함과 동시에, 나사(도시 생략)를 외통(14)의 바깥쪽으로부터 돌려넣어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외통(15)의 다른 쪽 단부에 캡(17)을 끼움 장착하고, 또한 연결판(92a, 92b)의 단부 사이에 실린더 서포트(19)의 계지부(19b)를 삽입하여, 연결판(92a, 92b)의 한쪽 단부를 끼워두고, 이동을 저지함과 동시에, 나사(도시 생략)를 외통(15)의 바깥쪽으로부터 돌려넣어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립시에는, 각 한쌍의 연결판(91a, 91b, 92a, 92b)를 매개로 하여, 각 구성부재를 외통(14, 15)에 삽입하도록 했기 때문에, 각 구성부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각 구성부재가 연결판(91a, 91b, 92a, 92b)의 안쪽 면에 밀착하여 수용되기 때문에, 이들을 안정하고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통체(12, 13) 안에 가스실린더(20~22)를 직렬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병렬로 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소화기(6) 내지 상기 통체(12, 13)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각 가스실린더(20~22)의 가스도관(49, 65, 66)을, 가이드 실린더(31, 33, 32)에 연결하여 노즐(67)에 접속시키고, 단일의 가스통로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 가스도관(49, 65, 66)을 노즐(67)에 접속시키는 것에 비하여, 배관이 간소화되어, 상기 소형 경량화를 증진한다.
이 다음, 외통(14, 15)의 접속부(S)에 접합링(88)을 끼워 넣고, 그 폭이 넓은 부분(88a)를 비스듬하게 잘린 부분(14a, 15a)의 최대 경간부(span portion)에 배치하여, 접합편(89)를 외통(14)의 주위면에 접착하고, 파지편(90)을 외통(15)의 주위면 위에 배치한다.
그 때, 파지편(90)의 선단을 바깥쪽으로 약간 구부려 놓으면, 박리조작이 용이해지고, 또한 파지편(90)의 기부를 외통(15)의 주위면에 접착 등 임시로 고정하면, 잘못된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조립한 소화기(6)은 도 1, 2와 같이 가늘고 긴 봉상(棒狀)으로 외관이 좋고, 그 중량도 약 1.5 ㎏ 정도로 경량이기 때문에, 종래의 것에 비하여 소형 경량으로 운반이나 조작 등의 취급이 매우 편리하다.
상기 소화기(6)은 소화기 홀더(1)에 유지되어 포장 및 설치된다.
즉, 소화기 홀더(1)의 상하 각 한쌍의 계지핀(4, 5)의 사이에 소화기(6)을 밀어넣어, 상기 핀(4, 5)의 탄성에 의해 소화기(6)을 유지한다.
이 중, 소화기(6)을 포장하는 경우는, 좌우 한쌍의 표시판(7, 8)을 도 4와 같이 접어서 행한다. 따라서, 콤팩트하게 포장되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소화기(6)을 설치하는 경우는, 소화기 홀더(1)의 홀더 플레이트(3)을 벽면(2)의 목적으로 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장착하고, 상하 각 한쌍의 계지핀(4, 5)의 사이에 소화기(6)을 밀어넣어, 상기 핀(4, 5)의 탄성에 의해 소화기(6)을 유지하여, 그 하단부를 굴곡편(11)로 지지한다.
그 다음, 표시판(7, 8)을 좌우로 전개하고, 상기 판(7, 8)의 기재사항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 상황은 도 1 내지 도 3과 같다.
이 경우, 도시와 같이 접합링(88)의 폭이 넓은 부분(88a) 내지 파지편(90)을 소화기(6)의 뒷부분(rear portion)에 배치하면, 파지편(90)의 찰과(擦過)나 벗겨짐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제2 통체(13)이 잘못하여 구부러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구부러지는 순간이 큰 길이가 긴 제2 통체(13)을 아래쪽에 배치하면, 제1 통체(12)의 구부러짐이 방지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소화기(6)의 미사용시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반대로 파지편(90)을 소화기(6)의 표면에 배치하고, 파지편(90)의 신속한 조작에 대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설치한 소화기(6)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 통체(12, 13)의 사이에 접합링(88)이 끼워 넣어지고, 상기 접합링(88)의 폭이 넓은 부분(88a)가 벽면(2)쪽에 위치하며, 또한 접합편(89)가 외통(14)의 주위면에 접착하고, 파지편(90)이 외통(13)의 주위면에 밀착하여 그 기부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통체(13, 12)의 위치 내지 직선 상태가 유지되어 그 구부러짐을 저지한다. 따라서, 소화기(6)의 미사용시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각 가스실린더(20~22)는, 그의 저부(20a~22a)가 실린더 서포트(18, 19, 78)의 오목상 만곡부(18a, 19a, 78a)와 연결되어, 밀착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화기(6)의 미사용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통체(13, 12)의 직립(erection) 내지 직선상태가 유지되어, 그 구부러짐이 저지되고 있다.
이 상황은 도 5, 6과 같이, 캠(73)이 가스실린더(22)의 저부(22a)의 바로 아래로 후퇴(retreat)하고, 또한 한쌍의 캠(79)가 푸시 로드(43)의 두부의 바로 아래로 후퇴하여, 상기 저부(22a) 또는 푸시 로드(43)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46)의 탄성에 의해, 푸시 로드(43)이 캠 홀더(71)쪽으로 힘이 가해져, 침관(45)의 첨단부(45a)가 실플레이트(23)으로부터 이간되고, 실플레이트(23)은 파봉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51)의 탄성에 의해, 가이드 실린더(33)이 바깥쪽으로 힘이 가해져, 가이드 실린더(32, 33)이 이간됨과 동시에, 스프링(57, 58)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 로드(52)가 가이드 실린더(32, 33)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각 침관(55, 56)의 첨단부(55a, 56a)가 실플레이트(24, 25)로부터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실플레이트(24, 25)는 파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는 스위치 단자(99, 100)이 이간되고, 급전회로가 열려있기 때문에, 램프(96)은 소등되어 있다.
다음으로, 소화기(6)을 사용하여 소화하는 경우는, 소화기(6)을 유지하고, 이것을 계지핀(4, 5)의 탄성에 저항하여 앞으로 뽑아, 소화기 홀더(1)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제2 통체(13)을 유지하여, 접합링(88)의 파지편(90)을 파지하고, 이것을 소화기(6)의 축방향으로 벗겨낸다.
이렇게 하면 접합링(88)이 적소(適所)에서 절단되고, 상기 링(88)이 벗겨져, 제1 통체(12, 13)의 접속부(S)의 주변 전체에 상기 링(88)의 폭 상당분의 공극(空隙)이 형성되어, 그 공극으로 향하게 하여 접합편(89)가 외통(14)의 주위면에 잔치하여, 접합편(89)에 폭이 넓은 부분(88a) 및 파단된 접합링(88)이 계류된다.
이 상태에서 제1 통체(12, 13)을 양손으로 유지하고, 또한 상기 폭이 넓은 부분(88a)의 박리 흔적의 공극부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분출쪽인 제2 통체(13)의 선단부를 발화장소로 향하게 한다.
이 다음, 제1 통체(12, 13)을 접합부(S)에 위치하는 핀(80)을 중심으로 안쪽으로 구부려, 비스듬하게 잘린 부분(14a, 15a)가 연결될 때까지 구부린 시점에서, 해당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황은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이, 제1 통체(12)의 접속부(S)쪽에 고정한 제1 캠(73)과 캠 플레이트(72)가, 핀(80)을 중심으로 비스듬하게 잘린 부분(14a, 15a)의 교각 θ만큼, 구부리는 방향, 즉 도 8 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제1 캠(73)이 근접 배치된 가스실린더(22)의 저부(22a)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실린더(22)가 스프링(51, 57, 58)의 탄성에 저항하여, 가스실린더(21)쪽으로 밀려 움직여진다.
또한, 제2 통체(13)의 접합 이음부(75)에 고정한 제2 캠(79, 79)가, 핀(80)을 중심으로 상기 교각 θ만큼 구부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그의 선단부가 근접 배치한 푸시 로드(43)의 두부에 연결된다.
이 때문에, 푸시 로드(43)이 스프링(46)의 탄성에 저항하여, 가스실린더(20)쪽으로 밀려 움직여진다.
이 결과, 상기 가스실린더(2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22)를 돌려넣은 가이드 실린더(33)이, 스프링(51, 57, 58)의 탄성에 저항하여 상기 실린더(22)와 동시에 움직이고, 상기 가이드 실린더(33)이 슬라이드 로드(52)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로드(52)와 함께 가스실린더(21)쪽으로 밀려 움직여진다.
이 때문에, 침관(55)의 첨단부(55a)가 가스실린더(21)의 실플레이트(24)에 근접하여 관통되고, 또한 침관(56)의 첨단부(56a)가 가스실린더(22)의 실플레이트(25)에 근접하여 관통되며, 추가로 상기 푸시 로드(43)의 이동에 의해, 침관(45)의 첨단부(45a)가 가스실린더(20)의 실플레이트(23)에 근접하여 관통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실린더(33)이 가이드 실린더(32)에 근접하여, 스위치 단자(99, 100)이 접촉하고, 급전 회로가 닫힌다.
이 때문에, 제2 통체(13)의 선단부에 설치한 램프(96)이 점등하고, 그 조명이 조사공(97)로부터 외부로 조사되어, 발화장소 주변을 비춘다.
따라서, 어둠이나 정전하에서의 소화조작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소화 후는 피난 유도등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각 실플레이트(23~25)가 상기 첨단부(45a, 55a, 56a)에 의해 대략 동시에 파봉되고, 각 가스실린더(20~22)에 충전한 이산화탄소가 침관(45, 55, 56)으로부터 분출되어, 이들이 각 가스도관(49, 65, 66)을 이동하여 합류하고, 이들이 노즐(67)로부터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여 분사된다.
즉, 실플레이트(23)이 파봉되면, 가스실린더(20)에 충전한 이산화탄소가 침관(45)로 도입되어 유출되고, 상기 침관(45)의 관통구멍(47)로부터 슬라이딩구멍(35)를 거쳐 가이드홀(48)로 송출(送出)되어, 가스도관(49)를 이동하여 가이드 실린더(33)의 가이드홀(63)에 유입되고, 슬라이딩구멍(39)로 도입된다.
또한, 실플레이트(25)가 파봉되면, 가스실린더(22)에 충전한 이산화탄소가 침관(56)으로 도입되어 유출되고, 상기 침관(56)의 관통구멍(60)으로부터 슬라이딩구멍(39)로 이동하여, 상기 가스실린더(20)으로부터 송출된 이산화탄소와 합류하여 혼합된다.
이 다음, 상기 혼합한 이산화탄소는, 가이드홀(64)로부터 가스도관(65)를 이동하여 가이드 실린더(32)의 관통구멍(61)로 유입되고, 슬라이딩구멍(37)로 도입된다.
더욱이, 실플레이트(24)가 파봉되면, 가스실린더(21)에 충전한 이산화탄소가 침관(55)로 도입되어 유출되고, 상기 침관(55)의 관통구멍(59)로부터 슬라이딩구멍(37)로 이동하여, 상기 가스실린더(20, 22)로부터 송출된 이산화탄소와 합류하여 혼합된다.
이 다음, 상기 혼합한 이산화탄소는, 가이드홀(62)로부터 가스도관(66)을 이동하여 노즐(67)로 도입되고, 상기 노즐(67)로부터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여 분사된다.
이 때, 상기 이산화탄소의 일부는, 노즐(67)로부터 분출 후에 단열 팽창하여 드라이아이스화되고, 이것이 기체상의 이산화탄소와 혼합되어 발화장소에 분사된다.
따라서, 발화장소 주변의 온도가 내려감과 동시에, 발화장소 주변에 대한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소화작용이 효율적으로 행해져 신속하게 소화한다.
또한, 3개의 가스실린더(20~22)의 이산화탄소가 일시에 분출되기 때문에, 1개의 가스실린더에 의한 소화에 비하여, 소화작용이 증대하여 확실하고 신속하게 소화한다.
이 경우, 각 가스실린더(20~22)로부터 분출한 이산화탄소는 기화상태에서 분출하고, 비교적 큰 구경의 침관(45, 55, 56)으로부터 작게 구획된 슬라이딩구멍(35, 37, 39)로 유출되어, 각 가스도관(49, 65, 66)에 송출되기 때문에, 단열 팽창이 단계적이고 완만하게 행해져, 그의 이동 과정에 있어서의 드라이아이스화 내지 응결을 방지한다.
따라서, 노즐(67)의 분출 후에 있어서도, 이산화탄소의 전부가 드라이아이스화되지 않고, 분구부(jet portion) 주변이 응결되어 막힘(clogging)을 일으킬 우려가 없기 때문에, 안정한 소화작용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화조작은, 소화기(6)을 유지하여 접합링(88)을 박리하고, 한쪽의 제2 통체(13)을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여, 제1 및 제2 통체(12, 13)을 구부리면 되기 때문에, 조작이 간단하여 소화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안전마개를 뽑고, 핸들을 조작하여 천공침체를 하강시켜, 가압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를 파봉하여 방사노즐을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는, 조작의 번잡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플레이트(23~25)의 파봉을, 제1 및 제2 통체(12, 13)을 구부리는 조작에 의해 행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전기 점화식 스퀴브를 폭발시키는 구조인 것에 비하여, 안전하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소화시에는 분사쪽의 제2 통체(13)을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여 분사하기 때문에, 한쪽 손으로 대형 중량의 소화기를 유지하고, 다른 쪽 손으로 노즐을 유지하여 소화제를 발화장소로 분사하는, 번잡하고 완력을 필요로 하는 종래의 소화법에 비하여, 각별한 완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6)은 상기 가스실린더(20~22)로부터의 이산화탄소의 분출 종료에 의해, 소화작용이 종료된다.
그 다음, 사용이 끝난 가스실린더(20~22)는, 소화기(6)의 관계부재를 제거하고, 외통(14, 15)로부터 조인트 블록(29, 30)을 제거하여, 신규한 가스실린더(20~22)로 교환 후에 외통(14, 15)에 삽입하고, 제1 통체(12, 13)의 접속단부 사이에 신규한 접합링(88)을 장착하면, 소화기(6)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이 끝난 가스실린더(20~22)는, 이산화탄소를 재충전함으로써 재이용 가능하다.
도 19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전술한 구성과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 중,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이 실시형태는 캡(17)에 3개의 노즐(101~103)을 설치하여, 이들의 노즐(101~103)에 각 가스실린더(20~22)의 가스도관(49, 65, 66)을 접속시키고, 각 가스실린더(20~22)의 이산화탄소를 독자적으로 분출시켜, 소화의 확실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노즐(101~103)의 증가분만큼, 이산화탄소의 분출구역(jetting area)을 증가시켜, 소화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이 실시형태는 제2 통체(13) 안의 각 가스실린더(21, 22)와, 조인트 블록(30), 가이드 실린더(32, 33), 가스도관(65, 66), 캠(73)을 생략하고, 제1 통체(12, 13)의 구부림을 매개로 하여, 단일의 가스실린더(20)의 이산화탄소를 캠(79), 침관(45), 가스도관(49)를 매개로 하여 노즐(67)로 도입하여, 분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외통(15)는 가스실린더(21, 22)의 제거분만큼, 짧고 작게 구성할 수 있지만, 발화장소로부터의 복사열(輻射熱)의 영향이나, 구부림 조작성이나 분출작용을 고려하여, 외통(14)와 대략 같은 길이로 구성하고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이 실시형태는 외통(15) 안의 캡(17)과 실린더 서포트(19)와의 사이에, 분말 소화약제(104)를 충전한 용기(105)를 수용하여, 상기 용기(105)에 가스도관(66)의 토출쪽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용기(105)와 노즐(67)을 연통하여, 가스실린더(20~22)로부터 분출된 이산화탄소를 용기(105)로 도입하고, 용기(105) 안의 분말 소화약제(104)를 노즐(67)로 밀어내, 노즐(67)로부터 발화장소로 분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가압용 이산화탄소는, 각 가스실린더(20~22)의 것을 합류하고, 또는 독자적으로, 또는 단일의 가스실린더(20~22)의 것을, 용기(105)에 도입해도 된다.
도 23 내지 도 46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이 실시형태는 제1 및 제2 통체(12, 13)을 구부리지 않고, 제1 통체(12)에 설치한 조작편을 박리 또는 들어올려, 상기 통체(12, 13)을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각 가스실린더(20~22)의 실플레이트(23~25)를 동시에 파봉하여, 충전가스를 일제히 분출하도록 하고 있다.
즉, 소화기(6)은 통상 소화기 홀더(1)에 걸려 설치되고, 상기 소화기 홀더(1)은 도 25 내지 도 27과 같이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성형되며, 그 양쪽에 대략 산 모양 단면의 계지 볼록부(1a, 1a)가 성형되어, 상기 계지 오목부(1a, 1a)의 사이에 소화기(6)이 수직으로 끼워져 있다.
상기 소화기 홀더(1)의 상하 위치에 계지 클로우(1b, 1b)가 떼내어져 형성되고, 상기 계지 클로우(1b, 1b)에 소화기(6)의 장착면(6a)에 형성한 훅킹 홀(hooking hole)(6b)가 걸려 있다. 도면 중, 1c는 소화기 홀더(1)에 형성한 나사구멍으로, 상기 나사구멍(1c)에 나무 나사(wood screw) 등의 나사(101)이 삽입되고, 상기 나사(101)이 상기 벽면(2)에 돌려넣어져 있다.
상기 소화기(6)은 상기 소화기 홀더(1) 보다도 길이가 긴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화기(6)은 조작쪽인 제1 통체(12)와, 유지쪽인 제2 통체(13)을 구비하며, 통상 도 23과 같이 제1 통체(12)를 하위쪽으로 하고, 제2 통체(13)을 상위쪽으로 하여, 소화기 홀더(1)에 걸려 있다.
이 실시형태의 소화기(6)은, 전체 길이 약 730 ㎜, 직경 약 50 ㎜로 구성되고, 이들의 단면형상은 도 24와 같이, 제1 통체(12)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제2 통체(13)은 대략 말발굽 모양 단면으로 형성되어, 이들의 길이비를 대략 1대 4로 형성하고 있다.
도면 중, 102, 103은 제1 및 제2 통체(12, 13)의 일부 주위면에 축방향으로 형성한 마찰용 비드(bead)(104, 105)는 제1 통체(12)의 주위면에 형성한 크고 작은 두개의 절결홈(notch groove)으로, 상기 홈(104, 105)에 알루미늄 또는 합성 수지제의 조작편(106)이 박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조작편(106)의 기단부(base end portion)에 계지 클로우(106a)가 굴곡 형성되고, 또한 그 중간부에 고정 클로우(106b)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계지 클로우(106a)가 상기 절결홈(104)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고정 클로우(106b)는 상기 절결홈(105)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 클로우(106b)에 의해, 가스실린더(20~22)의 파봉 개시동작을 저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통체(12, 13)의 내부에 상하 및 좌우 한쌍의 길이가 긴 두쌍의 연결판(92a, 92b, 92c, 92d)가 같은 각도 위치에 마주보고 배치되고, 이들은 대략 지붕 모양 또는 대략 평판상의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상기 연결판(92a, 92b)는, 상기 통체(12)의 안쪽 면의 적소에 나사로 고정되고, 또한 연결판(92c, 92d)는 상기 통체(12)의 내부에 돌출 설치한 한쌍의 가이드(107)을 따라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통체(12)의 내부에 배치한 연결판(92a, 92b)에, 나사(108)을 매개로 하여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고정부재인, 스프링 서포트(109)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서포트(109)에 가이드 로드(110)의 한쪽 끝이 걸려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110)의 다른 쪽 끝은, 제1 통체(12)의 폐색쪽 단면(端面)에 고정링(retaining ring)(111)을 매개로 하여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110)에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클릭판(click plate)(112)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 장착되며, 상기 클릭판(112)에 인접하여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가동체인, 클러치판(clutch plate)(113)이 미끄럼 가능하게 끼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110)의 중간부에 나사부(114)가 설치되고, 상기 나사부(114)에 스토퍼(stopper)로서 너트(115)가 돌려넣어지며, 상기 너트(115)가 클릭판(112)의 단면에 연결되어, 클릭판(112)와 클러치판(113)과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 경우, 너트(115) 대신에 핀을 압입(壓入)해도 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부품 점수(点數)가 저감하여, 나사부(114)의 가공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클릭판(112)는 두께가 두꺼운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주위면에 복수의 오목홈(凹溝)(116)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116)에 제1 통체(12)의 내면에 돌출 설치한 계지편(locking piece)(117)이 끼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통체(12)의 회전력을 클릭판(112)에 전달하여, 상기 클릭판(112)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클릭판(112)의 다른 쪽 단면에 복수의 도그홀(dog hole)(118)이 형성되고, 상기 도그홀(118)에 클러치판(113)에 돌출 설치한 복수의 도그(119)가 연결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판(113)은 두께가 두꺼운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쪽 면을 너트(120)을 매개로 하여 연결판(92c, 92d)에 고정하며, 그 앞쪽 단면에 복수의 절결홈(notch groove)(121)을 형성하여, 상기 절결홈(121)에 연결판(92c, 92d)의 소정부를 잘라 들어올린 굴곡편(bending piece)(122)가 연결되어 있다.
도면 중, 123은 클러치판(113)의 주위면에 돌출 설치한 볼록부(projected portion)이고, 연결판(92c, 92d)의 투공(透孔)(도시 생략)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기 도그(119)는 통상 도그홀(118)과 위상(位相)을 달리하여 위치하고, 도그(119)가 클릭판(112)의 다른 쪽 면에 연결하여 배치되며, 이들의 사이에 도그(119)의 길이분의 공극(124)가 형성되고, 상기 공극(124)에 상기 고정 클로우(106a)가 개입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서포트(109)와 클러치판(113)과의 사이에 강력한 스프링(125)가 끼워 넣어지고, 상기 스프링(125)의 탄성을 매개로 하여, 클러치판(113)을 클릭판(112)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힘을 가하고 있다.
그리고, 가스실린더(20~22)의 파봉 동작시, 조작편(106)을 벗기고, 고정 클로우(106a)를 공극(124)로부터 들어올려, 제1 통체(12)를 대략 45° 회전하여 클릭판(112)를 동시에 회전시키고, 도그홀(118)을 도그(119)에 위치맞춤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다음, 클러치판(113)을 스프링(125)의 탄성에 의해 이동시키고, 도그(119)를 도그홀(118)에 끼움 장착시켜서, 상기 클러치판(113)을 고정한 연결판(92c, 92d)를 상기 공극(124)만큼,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연결판(92c, 92d)의 소정 위치에 너트(126)을 매개로 하여,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침관 홀더인, 복수의 가동 블록(127~129)가 대략 같은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동 블록(127~129)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그 앞쪽 단면에 복수의 절결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절결홈(130)에 연결판(92c, 92d)의 소정 부분을 잘라 들어올린 굴곡편(131)이 연결되어 있다.
도면 중, (132)는 상기 가동 블록(127~129)의 주위면에 돌출 설치한 볼록부로, 연결판(92c, 92d)의 투공(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동 블록(127~129)의 대각선 위치에 한쌍의 가이드 핀(133, 133)이 돌출 설치되고, 또한 그 한쪽 단면의 중앙에 오목한 구멍(134)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구멍(134)의 안쪽 부분에 축상(軸狀)의 놋쇠(brass) 또는 강제(鋼製)의 슬라이드 로드(135)가 걸리고, 그 축 단부의 나사부(136)에 고정 나사(137)을 돌려넣어, 슬라이드 로드(135)를 고정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로드(135)의 선단부에 놋쇠 또는 강관(steel pipe)제의 침관(45, 55, 56)이 돌출 설치되고, 그 첨단부(45a, 55a, 56a)를 가스실린더(20~22)의 실플레이트(23~25)에 관통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첨단부(45a, 55a, 56a)는 실플레이트(23~25)의 중앙에 배치되어, 그 파봉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실행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한쌍의 연결판(92a, 92b)의 소정 위치에 너트(138)을 매개로 하여, 실린더 홀더인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복수의 조인트 블록(139~141)이 같은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도면 중, 142는 상기 스프링 서포트(22)와 조인트 블록(139~141), 및 후술하는 지지 하우징의 주위면에 돌출 설치한 볼록부로, 연결판(92a, 92b)의 투공(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블록(139~141)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 블록(139~141)의 앞쪽 단면에, 상기 가이드 핀(133)을 삽입 가능한 가이드 홀(guide hole)(143)과, 상기 슬라이드 로드(135)를 삽입 가능한 관통구멍(1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홀(143)과 관통구멍(144)에 가이드 핀(133)과 슬라이드 로드(135)가 삽입되고, 통상 가동 블록(127~129)와 조인트 블록(139~141)이, 상기 공극(124)와 대략 동일한 공극(145)를 형성하여 이간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블록(139~141)의 뒷쪽 단면의 중앙에 나사구멍(146)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146)에 가스실린더(20~22)의 구부의 나사부(20a~22a)가 돌려넣어지며, 이들이 같은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도면 중, 147은 제2 통체(13)의 뒷쪽 단부에 장착한 캡을 겸용하는 합성 수지제의 실린더 서포트로, 대략 접시모양으로 수지 성형되어 있다.
상기 나사구멍(146)의 안쪽 부분에 상기 관통구멍(144)에 연통하는 계단모양구멍(stepped hole)(148)이 형성되고, 상기 계단모양구멍(148)에 관형상의 칼라(collar)(149)가 장착되며, 상기 칼라(149) 안에 상기 슬라이드 로드(135)가 미끄럼 가능하게 끼움 장착되어 있다. 도면 중, 150은 상기 계단모양구멍(148)의 안쪽 부분과 칼라(149)의 단부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O링이다.
상기 조인트 블록(139~141)의 윗면에 오목부(151)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51)의 저면에 상기 칼라(149)의 중간부에 연통하는 가이드홀(15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152)에 구부릴 수 있는 동관제의 가스도관(49, 65, 66)의 한쪽 끝이 접속되고, 그 다른 쪽 끝이 놋쇠 또는 강제의 노즐(6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캡(17)은 대략 말발굽 모양 단면의 짧고 작은 통상으로 성형되고, 실시형태에서는 적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며, 그 뒷쪽 단부를 제2 통체(13)의 선단부에 끼움 장착하여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 통체(13)의 앞쪽 단면의 상하 위치에, 대략 나팔 모양 단면의 가스분출구(153)과 조사구(irradiation port)(97)이 개구되고, 이들의 뒷쪽 단부에 상기 노즐(67)과, 등구인 LED 96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 통체(13)의 근접 위치에 합성 수지제의 지지 하우징(154)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54)가 너트(155)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판(92a, 92b)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 하우징(154)의 하부에 전원인 전지(156)이 장착되고, 상기 전지(156)에 도통하는 도선(157, 157)이 상기 LED 96의 램프 케이스(158)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지(156)의 근접 위치에, 판스프링형상의 접속단자(159, 160)이 절연 필름(insulation film)을 사이에 끼우고 도통하고, 각각 분리되어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가동쪽의 접속단자(160)의 다른 쪽 끝이 상기 가동 블록(129)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159, 160)은 통상 개재(介在)한 절연필름에 의해 도통이 차단되어, 가스실린더(20~22)의 파봉동작시, 상기 가동 블록(129)가 이동하고, 접속단자(160)이 접속단자(159)로부터 각각 분리되어 작동하여 절연필름을 통과하여, 접속단자(159, 160)이 접촉했을 때, LED 96을 점등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소화기(6)은 도 24와 같이 가늘고 긴 봉상으로 외관이 좋고, 그 중량도 약 1.5 ㎏ 정도로 경량이기 때문에, 종래의 것에 비하여, 소형 경량으로 운반이나 조작 등의 취급에 매우 편리하다.
상기 소화기(6)을 포장하는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봉상으로 소형 경량이기 때문에, 다수의 소화기(6)을 합리적이고 저렴하게 포장할 수 있다.
상기 포장한 소화기(6)을 반송할 때, 제1 통체(12)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클러치판(113)의 도그(124)가 스프링(125)의 탄성에 의해, 클릭판(112)의 앞쪽 단면을 누르고, 상기 클릭판(112)의 회전을 억제함과 동시에, 클릭판(112)와 클러치판(113) 사이에, 조작편(106)의 고정 클로우(106a)가 연결되어, 도그(124)와 도그홀(118)과의 연결을 저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통체(12)가 돌려 고정되고, 또한 클러치판(113)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소화기(6)의 반송시에 가스실린더(20~22)가 파봉될 우려가 없어, 상기 반송시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다음으로, 소화기(6)을, 예를 들면, 벽면(2)에 설치하는 경우는, 벽면(2)의 소정 위치에 너트(101)을 매개로 하여 소화기 홀더(1)을 장착하고, 상기 홀더(1)의 계지 볼록부(locking projected portion)(1a, 1a)의 사이에 제2 통체(13)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밀어넣고, 장착면(6a)에 형성한 관통구멍(6b)를 계지 클로우(1b)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 상황은 도 23 및 도 24와 같다.
상기 설치 후의 소화기(6)은, 클러치판(113)이 강력한 스프링(125)의 탄성에 의해 캡(16)쪽으로 힘이 가해져, 그 도그(119)가 도그홀(118)로부터 빠져 클릭판(112)의 앞쪽 단면에 연결되고, 이들의 사이에 공극(1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공극(124)에 조작편(106)의 고정 클로우(106a)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판(113)의 이동이 저지되고, 상기 클러치판(113)의 주위면에 장착한 연결판(92c, 92d)의 이동을 저지한다.
상기 조작편(106)은 제1 통체(12)의 중간부의 바깥 주위면에 장착되고, 그 파지부가 상위로 위치하고 바깥쪽으로 약간 휘어있다. 이 상황은 도23과 같다.
상기 클릭판(112)는 도그(119)를 매개로 하여 스프링(125)에 강력하게 눌리고, 그 회전을 저지함과 동시에, 그 주위면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홈(116)에, 제1 통체(12)의 안쪽 면에 돌출 설치한 계지편(117)이 끼움 장착되며, 제1 통체(12)에 의한 회전력의 전달을 대기하고 있다. 이 상황은 도 31 및 도 32와 같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판(92c, 92d)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소정 위치에 장착한 복수의 가동 블록(127~129)가 정위치에서 정지하고, 그 뒤쪽에 배치한 복수의 조인트 블록(139~141)이 연결판(92a, 92b)에 장착되어 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가동 블록(127~129)와, 대응하는 조인트 블록(139~141)은, 상기 공극(124)와 대략 동일한 공극(145)를 형성하여 이간하고, 각 쌍의 가동 블록(127~129)와 조인트 블록(139~141)과의 사이에는, 가이드 핀(133)이 가이드 홀(143)에 끼움 장착되며, 슬라이드 로드(135)가 관통구멍(144) 및 칼라(149)에 끼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침관(46, 55, 56)의 첨단부(46a, 55a, 56a)가 조인트 블록(139~141)에 장착한 가스실린더(20~22)의 실플레이트(23~25)에 근접하여 마주보고 있다.
한편, 제2 통체(13)쪽에서는, 가장 앞쪽 끝의 가동 블록(129)가 정위치에서 정지하고, 상기 블록(129)에 장착한 접촉단자(160)이 정지하고 있다. 따라서, 접촉단자(160)과 접촉단자(159)가, 절연필름(도시 생략)을 매개로 하여 도통이 차단되고, LED 96의 전원회로가 열려 소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화재 발생시에 소화기(6)을 사용하여 소화하는 경우는, 소화기 홀더(1)에 장착한 소화기(6)을 유지하고, 이것을 약간 들어올려, 관통구멍(6b)의 개구 가장자리 부분을 계지 클로우(1b)로부터 빼내고, 이들의 연결을 해제하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소화기(6)을 유지하여 화재 현장으로 이동하고, 소화가스 분출쪽인 제2 통체(13)을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여, 제1 통체(12)를 유지하여 조작편(106)의 선단부를 유지하며, 계지 클로우(106b)를 받침점(支点)으로 도 32의 화살표 방향으로 끌어올려, 제1 통체(12)로부터 제거한다.
이렇게 하면, 조작편(106)의 고정 클로우(18)이 클러치(113)과 클릭판(112)와의 공극(124)로부터 제거된다.
이 다음, 제1 통체(12)를 축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안쪽 면에 돌출 설치한 계지편(117)을 회전시켜, 제1 통체(12)의 회전력을, 계지편(117)과 끼움 장착하는 오목홈(116)을 매개로 하여 클릭판(112)로 전달하고, 상기 클릭판(112)를 회전한다.
상기 클릭판(112)의 회전에 수반하여, 도그홀(118)이 도그(119)의 위치에 정면으로 마주 대하고, 상기 도그(119)가 강력한 스프링(125)의 탄성에 의해 뒷쪽으로 급속하게 밀려 움직여져, 도그홀(118)에 연결된다.
이 상황은 도 40 및 도 41과 같이, 상기 클러치(113)이 상기 공극(124)만큼 이동하고, 상기 클러치(113)에 장착한 연결판(92c, 92d)가 동시에 회전한다.
이 때문에, 가동 블록(127~129)가 연결판(92c, 92d)에 당겨 움직여지고, 도 34, 35 및 도 37, 38 상, 오른쪽으로 급속하게 이동하여, 즉 조인트 블록(139~141)쪽으로 근접 이동하여, 각 침관(46, 55, 56)의 첨단부(46a, 55a, 56a)가 가스실린더(20~22)의 실플레이트(23~25)에 세게 찔러, 상기 실플레이트(23~25)를 대략 동시에 파봉한다.
상기 파봉 후, 가동 블록(127~129)는 상기 공극(145)만큼 이동하고, 실플레이트(23~25)를 관통했을 때 정지한다.
실시형태에서는, 각 가동 블록(127~129)가 조인트 블록(139~141)에 맞닿아 정지한다. 이 상황은 도 42 내지 도 45와 같다.
이 결과, 가스실린더(20~22)에 충전한 이산화탄소가 각 침관(46, 55, 56)으로부터 유출되어 가이드홀(152)로 이동하고, 각 가이드홀(152)로부터 각 가스도관(49, 65, 66)을 이동하여 노즐(67)로 도입되며, 이들이 합류하여 분구로부터 분사되어, 가스 분출구(153)으로부터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여 분출한다.
이 경우, 상기 분사한 이산화탄소의 일부는, 분구로부터 분출 후에 단열 팽창하여 드라이아이스화하고, 이것이 기체상의 이산화탄소와 혼합하여 발화장소를 향하여 분사된다.
따라서, 발화장소 주변의 온도가 내려감과 동시에, 발화장소 주변에 대한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소화작용이 효율적으로 기능하여 신속하게 소화한다.
이 때, 상기 각 가스실린더(20~22)로부터 분출한 이산화탄소는, 기화상태로 분출하고, 비교적 큰 구경의 침관(46, 55, 56)으로부터 가이드홀(152)를 거쳐, 각 가스도관(49, 65, 66)으로 송출되기 때문에, 단열 팽창이 단계적이고 완만하게 행해져, 그 이동과정에 있어서의 드라이아이스화 내지 응결을 방지한다.
따라서, 노즐(79)로부터 분출 후, 이산화탄소의 전체가 드라이아이스화하지 않고, 분구부 주변이 응결되어 막힘을 일으킬 우려가 없기 때문에, 안정한 소화작용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 앞쪽 끝의 가동 블록(129)가 연결판(92c, 92d)에 동시에 회전하면, 상기 블록(129)에 장착한 접촉단자(160)이 동시에 회전하고, 상기 접촉단자(160)의 다른 쪽 단부가 절연필름(도시 생략)의 비도통구역(non-conducting region)으로부터 일탈(逸脫)하여, 접촉단자(159)와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접촉단자(159, 160)이 도통하여 LED 96의 전원회로가 닫히고, LED 96이 점등한다. 따라서, LED 96의 조사광이 조사구(97)로부터 방사되어, 발화장소 주변을 비추기 때문에, 어둠이나 정전 하에서의 소화조작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캡(17)이 적색으로 점등함으로써, 피난 유도등으로서도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화조작은, 소화가스 분출부를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여 소화기(6)을 유지하고, 조작편(106)을 조작 후, 제1 통체(12)를 회전 조작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안전마개를 뽑고, 핸들을 조작하여 천공침체를 하강시키고, 가압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를 파봉하여 방사 노즐을 발화장소를 향하게 하는, 번잡하고 복잡한 조작을 폐지하여, 간이하고 신속한 소화에 응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6)은 상기 가스실린더(20~23)으로부터의 이산화탄소의 분출 종료에 의해, 소화작용이 종료되고, 그 다음은 스프링(125)에 의해 가동 블록(127~129)의 이동이 유지되며, LED 96의 점등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소화 후의 피난 유도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상기의 실시형태의 응용형태로서, 스프링 서포트(109)의 뒷쪽 단부에 평면이 대략 コ형상인 연결홈(161)을 형성하며, 상기 홈(161) 윗쪽의 제1 통체(12)에 절결홈(104, 105)를 형성하고, 상기 절결홈(105)에 고정 클로우(106a)를 연결할 수 있게 배치하여, 제1 통체(12)의 회전을 저지하고 있다.
따라서, 소화기(6)의 포장시나 반송시에 있어서의 제1 통체(12)의 회전을 확실히 저지하고, 클러치판(113)의 이동을 미연에 저지하여, 가스실린더(20~22)의 파봉방지를 강화하며, 사용상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와 같이 조작편(106)을 제1 통체(12)의 단부에 배치함으로써, 제1 통체(12)의 악지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하여, 소화기(6)의 조작의 용이화와 안정된 사용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5 및 제6의 실시형태의 응용형태로서, 노즐(67)의 뒷쪽에 분말 소화약제를 충전한 분말용기를 수용하고, 상기 분말용기에 상기 가스도관(49, 65, 66)의 토출쪽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분말용기와 노즐(79)를 연통하고, 가스실린더(20~22)로부터 분출한 이산화탄소를 상기 분말용기로 도입하여, 상기 용기 내의 분발 소화약제를 노즐(67)로 압출하고, 이것을 노즐(67)로부터 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5 및 제6의 실시형태는, 소화기(6)에 복수의 가스실린더(20~22)를 장전(裝塡)하고 있지만, 단일의 가스실린더를 장전하여 사용해도 되고, 또한 복수의 가스실린더(20~22) 중, 중간에 배치하는 가스실린더를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는, 단일 또는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콤팩트하게 내장하고, 그의 소형 경량화와 외관의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이들의 가스실린더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일시에 파봉하여, 다량의 가스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가스실린더의 파봉 후의 드라이아이스의 응결이나 유로의 폐색을 방지하여, 안정한 가스의 분출상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카트리지식 가스실린더를 사용한 가정용 또는 사무소용 또는 차재용 이산화탄소 소화 기에 적합하다.

Claims (20)

  1. 내부에 가스를 충전하고, 또한 개구부를 실플레이트로 봉한 가스실린더와, 상기 가스실린더를 수용 가능한 중공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정위치에서 가스실린더의 개구부를 유지 가능한 실린더 홀더와, 상기 실플레이트를 파봉 가능한 첨단부를 갖고, 외부에 충전가스를 도출 가능하게 한 침관과, 상기 침관을 유지 가능한 침관 홀더를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이간하여 배치하며, 상기 침관 홀더와 상기 실플레이트를 상대적으로 근접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설치하고, 상기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같은 축 방향으로 수용하여, 각 실린더 홀더 또는 각 침관 홀더를 일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각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를 대략 일시에 파봉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내부에 수용한 복수의 가스실린더의 개구부를 동일 방향으로 배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내부에 수용한 복수의 가스실린더의 개구부를 서로 마주 향하게 하여 배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각 가스실린더와의 사이에 가스도관을 직렬로 접속하여, 상기 가스도관을 단일의 노즐에 연통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각 가스실린더마다 가스도관을 각 노즐에 접속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선단부에 단일 또는 복수의 노즐을 설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선단부에 등구를 설치하고, 상기 등구를 상기 파봉동작에 연동하여 점등 가능하게 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선단부에 분말 소화약제를 수용한 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에 상기 가스도관의 하류쪽 단부를 접속하여, 상기 용기를 상기 노즐에 연통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내부에 수용 가능한 적어도 한쌍의 연결판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판의 사이에 상기 가스실린더와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배치하며, 또한 이들을 유지 가능하게 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침관의 첨단부를 상기 실플레이트의 중심선 상에 배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가스가 고압의 이산화탄소인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12. 내부에 가스를 충전하고, 또한 개구부를 실플레이트로 봉한 가스실린더와, 상기 가스실린더를 수용 가능한 중공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정위치에서 가스실린더의 개구부를 유지 가능한 실린더 홀더와, 상기 실플레이트를 파봉 가능한 첨단부를 갖고, 외부에 충전가스를 도출 가능하게 한 침관과, 상기 침관을 유지 가능한 침관 홀더를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이간하여 배치하며, 상기 침관 홀더와 상기 실플레이트를 상대적으로 근접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통체를 같은 축 방향으로 접속하고, 상기 통체의 한쪽을 구부리거나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통체의 내부에 단일 또는 복수의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설치함과 동시에, 단일 또는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같은 축 방향으로 수용하며, 상기 실린더 홀더 또는 침관 홀더를 일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각 가스실린더의 실플레이트를 대략 일시에 파봉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접속부에, 한쪽의 통체의 구부림 변위로 연동 가능한 캠을 설치하고, 상기 캠의 회전구역으로 향하게 하여 가스실린더의 저부 또는 침관 홀더 또는 양쪽을 배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근접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가스실린더를 개구부를 마주 향하게 하여 배치하며,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양쪽에 침관을 설치한 침관 홀더를 배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한쪽의 통체에, 상기 통체의 소정 각도로 회전 후에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체를 설치하고, 다른 쪽 통체의 내부에 복수의 실린더 홀더와 침관 홀더를 설치함과 동시에, 복수의 가스실린더를 같은 축 방향으로 수용하여, 상기 가동체의 변위로 연동하고, 각 침관 홀더를 실린더 홀더쪽으로 일시에 근접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체 내부에, 적어도 한쌍의 연결판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연결판에 상기 가동체와, 상기 복수의 침관 홀더를 장착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체 내부에, 적어도 한쌍의 연결판을 정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연결판에 상기 복수의 실린더 홀더를 장착한 가스실린더의 파봉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한쪽의 통체 주위면에 조작편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편의 고정 클로우를 상기 가동체에 연결하거나 해제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가동체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힘을 가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한쪽의 통체의 단부쪽 내부에 고정부재를 정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홈에 상기 조작편의 고정 클로우를 연결하거나 해제 가능하게 설치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접속부에 접합링을 박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접합링의 박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통체의 한쪽을 구부릴 수 있게 한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KR1020067009903A 2005-03-15 2006-02-07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KR100839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73593 2005-03-15
JP2005073593A JP4679188B2 (ja) 2005-03-15 2005-03-15 ガスボンベの破封装置
JP2005359665A JP4743760B2 (ja) 2005-12-13 2005-12-13 ガスボンベの破封装置
JPJP-P-2005-00359665 2005-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866A true KR20060122866A (ko) 2006-11-30
KR100839737B1 KR100839737B1 (ko) 2008-06-19

Family

ID=3699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903A KR100839737B1 (ko) 2005-03-15 2006-02-07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19010B2 (ko)
EP (1) EP1859836B1 (ko)
KR (1) KR100839737B1 (ko)
DE (1) DE602006019386D1 (ko)
MY (1) MY139845A (ko)
TW (1) TW200700108A (ko)
WO (1) WO2006098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4484B2 (en) * 2009-07-07 2014-08-05 Air Cruisers Company Actuators principally for inflatable systems
WO2011121889A1 (ja) * 2010-03-30 2011-10-06 Yoshida Hideo 消火ガス噴射器
US20150209604A1 (en) * 2014-01-24 2015-07-30 Ching Lun Ma Fire extinguisher apparatus
DE102015203033A1 (de) * 2015-02-19 2016-08-25 Magna BDW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ünnwandigen rotationssymmetrischen Bauteils aus Aluminium oder einer Aluminiumlegierung
US10252094B1 (en) 2016-10-14 2019-04-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Fire extinguisher manifold with safety interlock cross-bolt
WO2019017805A1 (ru) * 2017-07-20 2019-01-24 Николай Вадимович С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арианты),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арианты), устройство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активации для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а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и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а
CN114733108B (zh) * 2022-03-28 2023-05-09 江苏城乡建设职业学院 一种配电箱用微型胶囊灭火装置
CN115505711B (zh) * 2022-09-28 2024-01-19 中船双瑞(洛阳)特种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气瓶组装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5039A (en) * 1949-02-11 1952-02-12 George G Evans Loca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US2755865A (en) 1954-11-15 1956-07-24 Wilbur A Nelson Self-contained, instantaneously responsive fire extinguisher
US2864534A (en) * 1955-04-12 1958-12-16 Virginia Smelting Company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uncturing gas charged containers
US3012694A (en) * 1958-10-22 1961-12-12 Johnston William Derrick Gas dispensing device
US3121240A (en) * 1962-08-30 1964-02-18 Mackenzie Forbes Life saving devices
FR2031786A5 (ko) * 1969-02-07 1970-11-20 Sachs Frederic
JPS4816697B1 (ko) 1969-03-07 1973-05-24
FR2094240A5 (ko) * 1970-06-15 1972-02-04 Sicli
JPS4816697U (ko) * 1971-07-05 1973-02-24
JPS5550473Y2 (ko) * 1976-04-01 1980-11-25
JPS5812417B2 (ja) * 1976-04-27 1983-03-08 不動建設株式会社 ヘドロ等の処理方法
JPS54497A (en) 1977-06-02 1979-01-05 Miyata Ind Method of and device for pressurizing pressure fire extinguisher
JPS6063361A (ja) * 1983-09-16 1985-04-11 Showa Alum Corp 油保持性を有する耐摩耗性アルミニウム合金材料の製造方法
JPS6063361U (ja) 1983-10-05 1985-05-04 日本炭酸瓦斯株式会社 消火器
CH663835A5 (de) * 1984-03-02 1988-01-15 Pewa Technic Ag Gasversorgungseinrichtung mit mehreren in einen druckgasbehaelter eingesetzten gasflaschen.
JPS6224199A (ja) 1985-07-24 1987-02-02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使用ずみ枠組フイルタ−の減容方法および装置
JPS6224199U (ko) 1985-07-26 1987-02-14
US5114041A (en) * 1989-12-13 1992-05-19 Diforte Mario P Inflatable life belt
JPH0588559A (ja) 1991-09-26 1993-04-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588559U (ja) 1992-05-06 1993-12-03 宮田工業株式会社 粉末消火器
JPH0712700A (ja) 1993-06-28 1995-01-17 A & D Co Ltd 水分計用搬送装置
JPH0712700U (ja) 1993-08-02 1995-03-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ボンベ開封装置
JPH0751398A (ja) 1993-08-12 1995-02-28 Nissho Sangyo Kk 二酸化炭素消火器の噴射ヘッド
JPH07275388A (ja) * 1994-04-07 1995-10-24 Glory Kiki Kk 手動消火ガス噴射器
JP2890097B2 (ja) 1994-05-24 1999-05-10 松本 勝俊 簡易手動消火ガス噴射器具
US5615743A (en) * 1994-05-24 1997-04-01 Katsutoshi Matsumoto Fire extinguisher
JP2832590B2 (ja) 1995-10-13 1998-12-09 勝俊 松本 手動式消火及び冷却ガス噴射防災器具
ATE313777T1 (de) 2001-11-16 2006-01-15 Piexon Ag Vorrichtung mit einem wirkstoff gefüllten bzw. füllbaren speichertank und einer vernebelungseinheit
JP2004205096A (ja) * 2002-12-25 2004-07-22 Miyata Ind Co Ltd 警棒および消火器
DE20305687U1 (de) * 2003-04-08 2003-06-18 Hsu You Ching Mehrzwecktaschenlampe
JP3097169U (ja) 2003-04-15 2004-01-15 近藤 真市 消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737B1 (ko) 2008-06-19
MY139845A (en) 2009-11-30
US7419010B2 (en) 2008-09-02
EP1859836A4 (en) 2008-09-24
DE602006019386D1 (de) 2011-02-17
TWI303176B (ko) 2008-11-21
TW200700108A (en) 2007-01-01
EP1859836A1 (en) 2007-11-28
EP1859836B1 (en) 2011-01-05
US20070295519A1 (en) 2007-12-27
WO2006098098A1 (ja)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737B1 (ko) 가스실린더의 파봉장치
KR101385418B1 (ko) 소화가스 분사기
EP2201984B1 (en) Fire extinguisher gas ejector
JP2007330775A (ja) 消火ガス噴射器
JP5230476B2 (j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災害警報システム
WO2013136674A1 (ja) 自動消火装置
KR950031354A (ko) 소화기
US7303024B2 (en) Actuator for fire extinguisher
JP2007330765A (ja) 消火ガス噴射器
JP4679188B2 (ja) ガスボンベの破封装置
CN212789491U (zh) 一种撬装式加油站用的防爆消防装置
KR101609247B1 (ko) 압축 탄산가스 캡슐 개방밸브가 장치된 오색테이프 발사용 키트
JP4743760B2 (ja) ガスボンベの破封装置
JP6080453B2 (ja) 消火ガス噴射器
CA1194777A (en) Underwater cutting tool
CN113577621B (zh) 启动装置和灭火设备
CN2574716Y (zh) 投掷式灭火器
JP2009291282A (ja) 消火ガス噴射器
JP6242132B2 (ja) ガスボンベの破封装置および消火ガス噴射器
CN210044739U (zh) 一种具有击穿功能的灭火器
SU1417884A1 (ru) Способ наддува разрывного баллона забрасываемого порошкового огнетушител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CN115999104A (zh) 一种快速灭火抑爆装置
CN107074465A (zh) 具有喷射功能的输送机滚筒
FR2484359A1 (fr) Dispositif pour la realisation d'ouvertures de sortie de sauvetage dans un moyen de transport en cas d'accid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