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715A - 펀칭 장치 - Google Patents

펀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715A
KR20060122715A KR1020060046346A KR20060046346A KR20060122715A KR 20060122715 A KR20060122715 A KR 20060122715A KR 1020060046346 A KR1020060046346 A KR 1020060046346A KR 20060046346 A KR20060046346 A KR 20060046346A KR 20060122715 A KR20060122715 A KR 20060122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unching
punch
work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9577B1 (ko
Inventor
도오루 이시이
겐 가사하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파인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파인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파인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펀치를 금형에 압박하였을 때의 압박력에 변동을 없애 정밀도가 좋은 펀칭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펀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펀칭 장치(10)를, 워크(W)를 설치하는 테이블(13)과, 펀치(33)를 테이블(13)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하여 지지하는 2개의 헤드부(16)와, 펀치(33)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17)와, 헤드부(16)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12)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지지 기구(12)를 테이블(13)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부(18a, 18b)와 지지 기둥부(18a, 18b)의 상단부에 걸쳐진 지지 빔부(19)로 구성하고, 지지 빔부(19)의 중앙에 설치 구멍(19a)을 마련하고, 이 설치 구멍(19a)에 2개의 헤드부(16)를 설치하였다. 또한, 테이블(13)에 구멍부(13a)를 마련하고, 이 구멍부(13a)로부터 2개의 금형(14)의 상면을 노출시켰다. 또한, 워크(W)를 보유 지지하는 워크 파지 기구(15)를 테이블(13) 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펀칭 장치, 테이블, 워크 파지 기구, 지지 기둥부, 헤드부, 펀치

Description

펀칭 장치{PUNCHING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펀칭 장치의 개략을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의 2-2 단면도.
도3은 워크 파지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4는 참고예에 관한 펀칭 장치의 개략을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펀칭 장치
12 : 지지 기구
13 : 테이블
14 : 금형
15 : 워크 파지 기구
16 : 헤드부
17 : 승강 장치
18a, 18b : 지지 기둥부
19 : 지지 빔부
19a : 설치 구멍
31 : 승강 기구
33 : 펀치
W : 워크
[문헌 1] 일본 특허 제2652925호 공보
본 발명은 시트형 또는 판형의 워크에 소정 형상의 구멍을 펀칭하는 펀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시트형 또는 판형의 워크에 소정 형상의 구멍을 펀칭하는 경우, 상면에 소정 형상의 다이 구멍이 천공된 금형과, 이 금형에 대해 승강 가능하고 금형의 다이 구멍에 끼워 맞춤 가능한 펀치를 구비한 펀칭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펀칭 장치에서는 대략 C형으로 형성된 장치 본체의 상부측 수직 단부면에 펀치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가 설치되고, 장치 본체의 하부측 수직 단부면에 금형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의 상면에 장척재를 설치하고, 승강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펀치를 하강시켜 장척재에 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2652925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펀칭 장치에서는 펀치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가 장 치 본체의 상부측 수직 단부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 기구는 측면을 장치 본체에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펀치를 하강시켜 금형에 압박하였을 때의 압박력이 펀치와 금형의 접촉면(대응하는 면) 전체에서 균일해지지 않고, 한쪽측으로 치우치는 일이 있다. 이 결과, 펀치와 금형의 접촉면에 압박력의 변동이 생겨 펀칭의 정밀도가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펀칭 장치는 장척재의 펀칭에 사용되는 것이며, 폭이 큰 시트형이나 판형의 워크의 펀칭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와, 차례로 워크를 교체하면서 펀칭 가공이 행해지기 때문에 피천공부가 많은 워크의 처리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워크를 교체하거나, 이동시키거나 하면서 1회마다 1군데의 피천공부를 펀칭해 가기 때문에 가공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효율적인 처리를 행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펀치를 금형에 압박하였을 때의 압박력에 변동을 없애 정밀도가 좋은 펀칭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처리 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적인 펀칭을 행할 수 있는 펀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펀칭 장치의 구성상의 특징은 상면에 금형을 노출시키는 동시에 상면에 시트형 또는 판형의 워크가 배치되는 테이블과, 금형의 상방에 설치되어 펀치를 금형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 설치된 펀치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와, 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구비한 펀칭 장치이며, 지지 기구를 테이블의 모서리부측 부분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기둥부와 복수의 지지 기둥부의 상부에 걸쳐진 지지 빔부로 구성하고, 지지 빔부의 대략 중앙에 지지 빔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연장되는 설치 구멍을 마련하는 동시에, 설치 구멍에 헤드부를 지지 빔부를 따라 복수 배열하여 설치하고, 테이블에 있어서의 복수의 헤드부의 하방에 금형을 각각 설치한 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펀칭 장치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펀치를 금형에 압박하였을 때에 금형으로부터 펀치가 수용하는 반력은 지지 빔부를 거쳐서 복수의 지지 기둥부로 분산되어 전달되게 된다. 이로 인해, 펀치는 지지 빔부를 거쳐서 각 지지 기둥부에 지지되고, 펀치와 금형의 접촉면(대응하는 면)의 전체에 대략 균일한 압박력을 건 상태에서 금형에 압박된다. 이 결과, 워크의 피천공 부분에는 균일한 전단력이 가해져 정밀도가 좋은 펀칭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펀치가 설치되는 헤드부와 금형을 각각 복수개씩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동시 또는 연속된 효율적인 펀칭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처리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복수의 지지 기둥부로서는, 테이블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 이상의 지지 기둥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지지 기둥부 사이의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하여, 각 지지 기둥부에 관한 금형으로부터의 반력이 동등해지도록 한다. 또한, 테이블을 경질의 금속판 등으로 구성하고, 테이블 자체 또는 테이블의 일부를 금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금형의 상면에는 펀치와 끼워 맞춤 가능한 다이 구멍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펀치를 금형에 압박하였을 때에, 펀치가 금형의 다이 구멍에 끼워 맞추기 위해 워크의 피천공부의 주연부에는 보다 큰 전단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 결과, 펀칭의 정밀도가 더 향상된다. 또한, 이 경우의 복수개의 펀치의 형상 및 복수개의 금형의 다이 구멍의 형상은 각각 동일 형상으로 해도 좋고, 다른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펀칭 장치의 다른 구성상의 특징은, 복수의 지지 기둥부를 테이블의 양측 부분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기둥부로 구성하고, 복수의 헤드부를 지지 빔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한 데 있다. 이에 따르면, 적은 지지 기둥부에서 균형적으로 지지 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헤드부가 지지 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빔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균형도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펀칭 장치의 또 다른 구성상의 특징은, 테이블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형체로 이루어져 프레임형체의 프레임 내에 워크를 설치할 수 있는 워크 파지 기구를 구비한 데 있다. 이에 따르면, 워크를 워크 파지 기구와 함께 이동시키면서 펀칭 가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워크의 복수의 피천공부로의 펀칭 가공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일실시 형태에 관한 펀칭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이 펀칭 장치(10)는 베이스(11) 상에 설치된 대략 도어형의 지지 기구(12)와, 지지 기구(12)의 내부 하부측 부분에 설치되어 수평면 상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테이블(1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테이블(13)에 있어서의 지지 기구(12)에 설치된 부분의 폭 방향(도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구멍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13)의 하방에는 상면을 구멍부(13a)로부터 노출시킨 상태에서 2개의 금형(14, 14)이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블(13)의 상면에는 워크 파지 기구(15)가 테이블(13)의 상면을 따라 모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기구(12)의 상부 중앙에는 2개의 헤드부(16, 16)가 2개의 금형(14, 14)과 대향한 상태로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기구(12)의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상부 후방에는, 헤드부(16, 16)를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로 이루어지는 2개의 승강 장치(17)(1개밖에 도시하지 않음)가 지지 기구(12)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설치편(17a)을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지지 기구(12)는 한 쌍의 지지 기둥부(18a, 18b)와, 지지 기둥부(18a, 18b)의 상단부에 걸쳐진 지지 빔부(1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빔부(1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앙부에는 지지 빔부(19)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설치 구멍(19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치 구멍(19a)은 내부에 2개의 헤드부(16, 16)를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고, 2개의 헤드부(16, 16)는 이 설치 구멍(19a)에 길이 방향을 수직으로 향한 상태에서 좌우로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2개의 금형(14, 14)은 테이블(13)의 구멍부(13a)의 모서리부로부터 조금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다이 베이스(14a) 상에 고정되어 있고, 다이 베이스(14a)는 베이스(1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14, 14)의 상면에는 각각 소정의 형상의 다이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워크 파지 기구(15)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X축 이동 기구, Y축 이동 기구 및 θ축 이동 기구에 의해 각각 X축 방향(도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Y축 방향(수평면 내에 있어서 X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θ축 방향(X축 방향, Y축 방향에 각각 직교하는 수직축 주위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워크 파지 기구(15)는 레일형의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의 양측 부분으로부터 대향한 상태에서 평행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파지 장치(21a, 21b)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베이스부(21)와 파지 장치(21a, 21b)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역 ㄷ자형의 프레임이 형성되고, 그 프레임 내의 공간부에 시트형의 워크(W)가 설치된다. 파지 장치(21a)는 베이스부(21)의 일단부에 고정된 레일부(22a)와, 레일부(22a)에 설치된 한 쌍의 파지부(23a, 24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파지부(23a)는 레일부(22a)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파지부(24a)는 레일부(2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레일부(22a)의 하면(내부)에는 나사 막대로 이루어지는 회전 구동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 구동부는 베이스부(21)의 일단 후방부에 설치된 모터(25a)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부(24a)는, 이 회전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구동부[레일부(22a)]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파지부(23a)와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거나 할 수 있고, 워크(W)의 폭에 따라서 그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23a, 24a)는 각각 레일부(22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3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장치로 이루어지는 액튜에이터(26a)와, 액튜에이터(26a)의 구동에 의해 워크(W)를 파지하거나, 개방하거나 하는 갈고리부(27a)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갈고리부(27a)의 선단부는 각각 워크(W)의 모서리부를 표리로부터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갈고리로 구성되어 있고, 레일부(22a)의 내측부에 위치하고 있다.
파지 장치(21b)는 베이스부(21)의 타단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일부(22b)와, 레일부(22b)에 설치된 한 쌍의 파지부(23b, 24b)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베이스부(21)의 후방부에는 나사 막대로 이루어지는 회전 구동부(28)와 모터(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구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레일부(22b)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부(28)[베이스부(21)]를 따라 이동한다. 레일부(22b)는, 이 구동 장치의 구동에 의해 레일부(22a)의 간격을 워크(W)의 길이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부(23b)는 레일부(22b)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파지부(24b)는 레일부(2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레일부(22b)의 하면(내부)에는 나사 막대로 이루어지는 회전 구동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 구동부는 베이스부(21)의 타단 후방부에 설치된 모터(25b)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부(24b)는, 이 회전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구동부[레일부(22b)]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파지부(23b)와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거나 할 수 있고, 워크(W)의 폭에 따라서 그 간격을 조정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23b, 24b)는 각각 레일부(22b)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장치로 이루어지는 액튜에이터(26b)와, 액튜에이터(26b)의 구동에 의해 워크(W)를 파지하거나, 개방하거나 하는 갈고리부(27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갈고리부(27b)의 선단부는 각각 워크(W)의 모서리부를 표리로부터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갈고리로 구성되어 있고, 레일부(22b)의 내측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파지 장치(21b)를 베이스부(21)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파지부(23a, 24a)와, 파지부(23b, 24b)의 간격을 워크(W)의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24a)를 레일부(22a)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파지부(23a)와 파지부(24a)의 간격을 워크(W)의 폭으로 조절할 수 있고, 파지부(24b)를 레일부(22b)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파지부(23b)와 파지부(24b)의 간격을 워크(W)의 폭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파지부(23a, 24a, 23b, 24b)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조절하여 각 갈고리부(27a, 27b)에서 워크(W)의 각 모서리부를 끼우고, 또한 파지부(23b, 24b)를 좌우 방향(도3에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미세 조절하는 동시에, 파지부(24a, 24b)를 전후 방향(도3에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미세 조절함으로써 워크(W)를 텐션을 가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1)의 후방부 중앙에는 설치용 부재(29)가 설치되어 있고, 워크 파지 기구(15)는 이 설치용 부재(29)를 거쳐서 펀칭 장치(10)의 본체측에 설치된 X축 이동 기구, Y축 이동 기구 및 θ축 이동 기구에 직접 또는 소정의 부재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 다.
헤드부(16, 16)는 동일 구조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승강 기구(31)와, 승강 기구(31)의 하단부에 설치된 펀치 플레이트(32)와, 펀치 플레이트(32)에 설치된 천공용 펀치(3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 기구(31)는 지지 빔부(19)의 설치 구멍(19a)에 고정된 지지 통(34)과, 지지 통(34) 내에 설치되어 축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가이드축(도시하지 않음)과, 가이드축의 하부측에 가이드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설치된 승강부(3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부(35)의 하단부에 펀치 플레이트(32)가 설치되어 있다. 각 펀치(33)는 각각 대향하는 금형(14)의 다이 구멍과 끼워 맞춤으로써 워크(W)에 소정 형상의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가이드축이 회전함으로써 승강부(35) 및 펀치 플레이트(32)와 함께 승강한다. 또한, 가이드축은 볼 나사로 구성되고, 승강부(35)의 내부에는 가이드축과 나사 결합하는 볼 너트(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축의 상단부 외주에는 풀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 풀리가 무단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승강 장치(1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장치(17)가 작동하면 무단 벨트 및 풀리를 거쳐서 가이드축이 회전 구동하고, 승강부(35)가 펀치 플레이트(32, 33)와 함께 승강한다. 또한, 이 펀칭 장치(10)에는 승강 장치(17)나 펀칭 장치(10)가 구비하는 각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도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워크(W)에 펀칭 가공을 행할 때에는, 우선 워크 파지 기 구(15)를 테이블(13) 상에 있어서의 각 금형(14)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시켜 파지부(23a, 24a, 23b, 24b)에 워크(W)의 각 모서리부를 파지시킨다. 계속해서, 각 펀치(33)를 상방으로 올린 상태에서 워크 파지 기구(15)를 이동시키고, 워크(W)의 소정의 2개의 피천공부가 금형(14, 14)의 다이 구멍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승강 장치(17)를 작동시켜 펀치(33, 33)를 강하시킨다. 이에 의해, 각 펀치(33, 33)는 워크(W)를 대응하는 금형(14, 14)의 다이 구멍 내로 밀어 넣으면서 다이 구멍 내에 끼워 맞추어 가고, 워크(W)의 2개의 피천공부가 천공된다. 이때, 2개의 펀치(33, 33)는 동시에 강하시켜도 좋고, 1개씩 강하시켜도 좋다.
또한, 이 경우, 2개의 헤드부(16, 16)는 지지 빔부(19)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금형(14)으로부터 대응하는 헤드부(16)에 가해지는 반력은 헤드부(16)의 좌우 부분 및 전후 부분에서 대략 동등해진다. 마찬가지로, 각 펀치(33)로부터 각 금형(14)의 다이 구멍에 가해지는 힘은 펀치(33)와 금형(14)의 대응하는 부분 전체에서 대략 동등해지고, 워크(W)의 피천공부의 주연부에는 동등한 전단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워크(W)에 정밀도가 좋은 천공이 행해진다. 그리고, 전술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워크(W)의 모든 피천공부에 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펀칭 장치(10)에서는 펀치(33)와 금형(14)의 대응하는 면의 전체에 대략 균일한 압박력이 걸리기 때문에, 워크(W)의 피천공 부분에는 균일한 전단력이 가해져 정밀도가 좋은 펀칭이 행해진다. 또한, 금형(14)에는 펀치(33)와 끼워 맞춤 가능한 다이 구멍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펀칭의 정밀도가 더 향상된다. 또한, 워크(W)가 테이블(13) 상에서 이동 가능해진 워크 파지 기구(15)에 설 치되기 때문에, 워크(W)에 대한 복수의 부분으로의 펀칭 가공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워크 파지 기구(15)의 파지부(23a, 24a, 23b, 24b)가 서로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워크(W)의 펀칭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펀칭(22)이 설치되는 헤드부(16)와 금형(14)을 각각 2개씩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펀칭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처리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헤드부(16)가 지지 빔부(1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빔부(19)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균형도 좋아진다.
또한, 도4는 참고예에 따른 펀칭 장치(40)를 도시하고 있다. 이 펀칭 장치(40)에서는 다이 베이스(44a)의 상면에 1개의 금형(44)이 설치되고, 테이블(43)의 구멍부(43a)가 1개의 금형(44)의 상면을 노출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기구(42)의 지지 빔부(49)의 중앙부에는 1개의 헤드부(46)를 통과시킬 수 있는 설치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 설치 구멍에 1개의 헤드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 장치(도시하지 않음)도 1개만 설치되어 있다. 이 펀칭 장치(40)의 그 이외의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펀칭 장치(10)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기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작업 효율은 전술한 펀칭 장치(10)보다도 떨어지지만, 정밀도가 좋은 펀칭 가공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펀칭 장치는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 고,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기구(12)를 한 쌍의 지지 기둥부(18a, 18b)와 지지 빔부(19)로 이루어지는 도어형의 것으로 구성하였지만, 지지 기둥부를 2개 이상의 복수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경우, 각 지지 기둥부 사이의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하여 각 지지 기둥부에 관한 힘이 동등해지도록 한다. 또한, 지지 빔부는 각 지지 기둥에 지지된 상태로 하고, 그 중앙부에 헤드부를 설치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테이블(13)에 금형(14)을 설치하고 있지만, 테이블을 경질의 금속판 등으로 구성하여 금형으로 해도 좋고, 테이블의 일부를 금형으로 해도 좋다. 또한, 테이블(13)에 구멍부(13a)를 마련하지 않고, 테이블의 상면에 금형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워크(W)를 시트형의 것으로 구성하였지만, 워크는 판형의 것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2개의 금형(14, 14)에 형성한 다이 구멍의 형상 및 2개의 펀치(33, 33)의 형상은 동일하게 해도 좋고, 다른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헤드부(16)나 금형(14)은 2개 이상의 복수개 설치해도 좋다. 또한, 펀칭 장치(10)를 구성하는 그 밖의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펀치를 금형에 압박하였을 때의 압박력에 변동을 없애 정밀도가 좋은 펀칭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처리 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적인 펀칭을 행할 수 있는 펀칭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상면에 금형을 노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상면에 시트형 또는 판형의 워크가 배치되는 테이블과, 상기 금형의 상방에 설치되어 펀치를 상기 금형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설치된 펀치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와,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구비한 펀칭 장치이며,
    상기 지지 기구를 상기 테이블의 모서리부측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기둥부와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부의 상부에 걸쳐진 지지 빔부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 빔부의 대략 중앙에 상기 지지 빔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연장되는 설치 구멍을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설치 구멍에 상기 헤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테이블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방에 상기 금형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기둥부를 상기 테이블의 양측 부분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기둥부로 구성한 펀칭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형체의 프레임 내에 상기 워크를 설치할 수 있는 워크 파지 기구를 구비한 펀칭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구멍에 상기 헤드부를 복수 설치한 펀칭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상기 지지 빔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한 펀칭 장치.
KR1020060046346A 2005-05-27 2006-05-24 펀칭 장치 KR100819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5111A JP2006326655A (ja) 2005-05-27 2005-05-27 パンチング装置
JPJP-P-2005-00155111 2005-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15A true KR20060122715A (ko) 2006-11-30
KR100819577B1 KR100819577B1 (ko) 2008-04-04

Family

ID=3744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346A KR100819577B1 (ko) 2005-05-27 2006-05-24 펀칭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326655A (ko)
KR (1) KR100819577B1 (ko)
CN (1) CN1868699B (ko)
TW (1) TWI3095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176B1 (ko) * 2007-12-03 2009-02-12 세호로보트산업 주식회사 기판 타발 장치
PT2190604E (pt) * 2008-03-12 2011-02-03 Schuler Automation Gmbh & Co Dispositivo e processo para a orientação de posição de peças em forma de placas
KR101240480B1 (ko) * 2012-08-28 2013-03-06 황승현 천공장치
CN103706702B (zh) * 2013-12-31 2016-03-30 昆山三景科技股份有限公司 简易冲孔模具
CN105729565B (zh) * 2014-12-10 2019-03-29 西安航空动力控制科技有限公司 一种冲制夹布橡胶薄膜高尺寸精度孔的方法
CN108741112B (zh) * 2016-12-01 2020-12-01 日照建德机械有限公司 一种冲孔加工设备
CN107297782B (zh) * 2017-08-02 2019-05-28 常熟东南相互电子有限公司 增强冲孔质量的pcb冲床
CN109500258A (zh) * 2018-08-03 2019-03-22 苏州诚达散热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散热器的带状零件连续冲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570A (ja) * 1992-04-15 1993-11-02 Amada Co Ltd パンチング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JP2652925B2 (ja) * 1993-10-08 1997-09-10 株式会社幸伸技研 油圧パンチャー
JPH0839299A (ja) * 1994-07-29 1996-02-13 Hitachi Ltd プレス機械
JP2923452B2 (ja) * 1995-09-13 1999-07-26 株式会社乗富鉄工所 油圧プレス機
JP3392998B2 (ja) * 1995-12-25 2003-03-31 日本碍子株式会社 シート材の加工装置
CN2317981Y (zh) * 1997-12-08 1999-05-12 昆明开关厂职工技协服务部 多工位母线加工液压机
CN2413816Y (zh) * 1999-03-17 2001-01-10 济南法因数控机械有限公司 三模位数控冲孔机
JP2000301258A (ja) * 1999-04-23 2000-10-31 Amada Eng Center Co Ltd パンチプレス
JP2001038430A (ja) * 1999-07-29 2001-02-13 Pascal Kk パンチプレス用金型
JP4553493B2 (ja) * 2001-01-11 2010-09-29 株式会社アマダ パンチプレス
JP4297621B2 (ja) * 2001-03-07 2009-07-15 ヤマハ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パンチング装置およびワークの加工方法
CN2568674Y (zh) * 2002-08-29 2003-08-27 昆明理工大学 始极片加工制备机组
CN2617492Y (zh) * 2003-05-20 2004-05-26 扬州市南扬机械制造有限公司 连续板料冲孔机床
KR200376093Y1 (ko) * 2004-11-26 2005-03-08 한전기공주식회사 가스켓 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577B1 (ko) 2008-04-04
TWI309586B (en) 2009-05-11
JP2006326655A (ja) 2006-12-07
TW200714384A (en) 2007-04-16
CN1868699A (zh) 2006-11-29
CN1868699B (zh)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577B1 (ko) 펀칭 장치
EP0865846B1 (en) Punching machine and punching method
KR100771764B1 (ko) 천공 장치
KR20150137354A (ko) 레이저 가공장치
WO2018101014A1 (ja) 穿孔装置及びその穿孔装置を備えた刺繍ミシン
KR20110116998A (ko) 레이저 가공기 및 그 전환 방법
KR101934947B1 (ko) 다축 홀 가공장치
CN104117569A (zh) 钣金双面冲孔装置
JP6349964B2 (ja) 板材加工システム
US20080245206A1 (en) Machine-Type Device For Raising Machine Punches of the Type Using Adiabatic Energy Change
KR101544134B1 (ko) 다기능 파이프 가공장치
CN104162586A (zh) 双面冲孔式钣金冲孔装置
US5128512A (en) Laser beam machining device
JP2011131226A (ja) パンチプレス
JP2007038286A (ja) レーザパンチ複合加工機
JP3593090B2 (ja) スプライス・プレートの孔開け加工機
JP2003039632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10254573A (ja) ガラス板の孔開け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913279B1 (ko) 판재가공장치 및 판재가공방법
JP2000246370A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及びその装置を使用するワーク加工方法
KR100616505B1 (ko) 펀칭 머신
CN219336036U (zh) 一种多功能移动式双钻头高精度打孔机
JP4453994B2 (ja) パンチ金型
JPH09267298A (ja) プリント基板押さえ装置
JP4475494B2 (ja) 被加工板の押え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411

Effective date: 20090422

EXTG Extinguishme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