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693A - 왜곡저감, 수신감도 향상 및 전력의 절약을 도모한 차량탑재용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왜곡저감, 수신감도 향상 및 전력의 절약을 도모한 차량탑재용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693A
KR20060121693A KR1020060045657A KR20060045657A KR20060121693A KR 20060121693 A KR20060121693 A KR 20060121693A KR 1020060045657 A KR1020060045657 A KR 1020060045657A KR 20060045657 A KR20060045657 A KR 20060045657A KR 20060121693 A KR20060121693 A KR 20060121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noise
noise amplifier
predetermined value
broadcast sign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9603B1 (ko
Inventor
유키오 오타키
도루 오야마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6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both R.F. and I.F.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ubclass H03G
    • H03G2201/50Gain control characterized by the means of gain control
    • H03G2201/506Gain control characterized by the means of gain control by selecting one parallel amplifying pa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ubclass H03G
    • H03G2201/70Gain control characterized by the gain control parameter
    • H03G2201/706Gain control characterized by the gain control parameter being quality indicator, e.g. BER,C/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강도와 복조시의 C/N과의 2개의 조건을 고려하여 왜곡 저감, 수신감도 향상 및 전력의 절약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 1 저잡음 증폭기(22)와 제 1 수신 처리부(27)를 제 1 케이블(26)로 접속하고, 제 1 저잡음 증폭기(22)에는 이것을 우회하기 위한 바이패스회로(23)를 병설하여,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의 강도가 소정값(E) 이상의 경우로서, C/N이 제 1 소정값(C1) 이상이고 또한 제 1 소정값(C1)보다도 높은 제 2 소정값(C2) 이하일 때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신호를 제 1 저잡음 증폭기(22)를 거쳐 제 1 케이블(26)에 송출하고, C/N이 제 1 소정값(C1) 이하 또는 제 2 소정값(C2) 이상일 때에는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를 제 1 저잡음 증폭기(22)에 입력하지 않고 바이패스회로(23)를 거쳐 제 1 케이블(26)에 송출하였다.

Description

왜곡저감, 수신감도 향상 및 전력의 절약을 도모한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ON-VEHICLE RECEIVING APPARATUS FOR REDUCING DISTORTION, IMPROVING RECEIVING SENSIVITY AND SAVING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에서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응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2 응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3 응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4 응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에서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안테나 모듈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안테나 모듈과 안테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도,
도 9는 종래의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안테나 모듈 22 : 제 1 저잡음 증폭기
23 : 바이패스회로 24 : 초크 인덕터
25 : 제 1 안테나 26 : 제 1 케이블
27 : 제 1 수신 처리부 28 : 가변 이득 증폭기(RF 앰플리파이어)
29 : 믹서(주파수 변환수단) 30 : A/D 변환기
31 : 제 1 OFDM 복조수단 32 : 캐리어 검파기(전계강도 검출수단)
33 : 오퍼레이션 앰플리파이어 34 : 스위치 제어수단
35 : A/D 변환기 36 : 스위치수단
37 : 초크 인덕터 38 : AFC 제어수단(전계강도 검출수단)
39 : D/A 변환기
40 : 제 2 가변 이득 증폭기(IF 앰플리파이어)
41 : 제 2 믹서(주파수 변환수단) 42 : D/A 변환기
45 : 제 2 저잡음 증폭기 46 : 제 2 안테나
47 : 제 2 케이블 48 : 제 2 수신 처리부
49 : 제 2 OFDM 복조수단 50 : 합성수단
51 : 안테나 케이블
본 발명은 차량 탑재용 텔레비전이나 휴대용 텔레비전과 같이 이동하면서 수 신하는 데 적합한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종래의 차량 탑재용 다이버시티 수신장치를 설명한다. 수신 공중전(1, 5)에 의하여 수신된 동일 주파수 OFDM 방식의 고주파 신호는, 수신 고주파부(2, 6)에 의하여 각각 증폭되어 혼합기(3, 7)에 입력된다. 혼합기(3, 7)에는 국부 발진기(4, 8)로부터 서로 다르나 근접한 주파수의 국부 발진신호가 주어진다. 이 때문에 혼합기(3, 7)로부터는 서로 다르고, 또한 근접한 주파수의 중간 주파 신호가 출력된다. 각 혼합기(3, 7)로부터 출력되는 중간 주파 신호는 합성기(9)에서 합성된다. 합성기(9)의 출력으로부터는 동기 회로(10)에 의하여 수신장치 내에서 사용되는 클럭이 재생됨과 동시에, A/D 변환기(11)에 의하여 디지털신호가 얻어진다.
디지털신호는 FFT(12)에 의하여 OFDM 신호를 구성하는 각 주파수의 반송파에 대응한 신호로 변환되어 합성회로(13)에서 다이버시티 합성되고, 반송파 복조회로(14)에서 각 반송파마다 복조되어 에러 정정회로(15)에 의한 에러 정정처리가 실시된 후, 디지털의 출력 데이터로서 출력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041020호 공보(도 1)
이와 같은 다이버시티 수신장치를 차량에 설치하여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GPS 신호 등을 수신하는 경우는, 각각의 안테나를 차량의 앞 유리 등에 설치하여 케이블을 거쳐 안테나를 차량 내의 수신기 본체에 접속하도록 한다.
이동체에 탑재한 수신장치로 텔레비전 신호 등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이동에 따르는 전계 강도의 변화의 범위가 크고, 예를 들면 +10 dBm 에서 -90 dBm까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와 같은 다수의 캐리어를 가지는 OFDM 변조된 신호를 강전계 지역에서 수신하면, 수신 고주파부 내에 설치된 증폭기가 왜곡되고, 그것에 의하여 C/N이 열화되어 수신 에러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수신강도와 복조시의 C/N과의 2개의 조건을 고려하여 왜곡을 저감하여 수신감도 향상 및 전력의 절약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해결수단으로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안테나와, 상기 제 1 안테나에 접속된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의 후단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방송 신호의 적어도 수신강도와 복조시의 C/N을 검출하는 제 1 수신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1 수신 처리부를 제 1 케이블로 접속하고,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에는 이것을 우회하기 위한 바이패스회로를 병설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강도가 소정값 이상의 경우로서, 상기 C/N이 제 1 소정값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제 1 소정값보다도 높은 제 2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거쳐 상기 제 1 케이블에 송출하고, 상기 C/N이 제 1 소정값 이하 또는 상기 제 2 소정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회로를 거쳐 상기 제 1 케이블에 송출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방송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값 이하의 경우로서, 상기 C/N이 상기 제 2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거쳐 상기 제 1 케이블에 송출하고, 상기 C/N이 상기 제 2 소정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회로를 거쳐 상기 제 1 케이블에 송출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바이패스회로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오프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전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에 온상태로 변환되는 오프 스루 스위치회로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수신 처리부에는 상기 제 1 케이블에 상기전원전압을 중첩하는 스위치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오프 스루 스위치회로에는 상기 제 1 케이블로부터 상기 전원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를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거쳐 상기 제 1 케이블에 송출할 때에는 상기 스위치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케이블에 상기 전원전압을 중첩하고,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바이패스회로를 거쳐 상기 제 1 케이블에 송출할 때에는 상기 스위치수단에 의한 상기 전원전압의 중첩을 정지하였다.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방송 신호는 OFDM 변조된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이고, 상기 제 1 수신 처리부에는 주파수 변환수단과,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의 후단에 접속된 제 1 OFDM 복조수단과,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중간 주파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강도를 검출하는 수신강도검출수단과, 상기 스위치수단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OFDM 복조수단으로부터 상기 C/N의 값에 대응하는 C/N 정보를 추출 하여 상기수신강도에 대응하는 수신강도 정보와 상기 C/N 정보를 상기 스위치 제어수단에 입력하였다.
또,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수신 처리부에는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의 전단에 가변 이득 증폭기를 설치하고,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에 상기 수신강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였다.
또,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안테나와, 상기 제 2 안테나에 접속된 제 2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의 후단에 설치된 제 2 수신 처리부를 설치하여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2 수신 처리부를 제 2 케이블로 접속하고, 상기 제 2 수신처리부에는 제 2 OFDM 복조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에는 상기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강도의 여하에 상관없이 상기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를 감쇠하지 않고 입력하고, 상기 제 1 OFDM 복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조신호와 상기 제 2 OFDM 복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조신호를 합성수단에 입력하였다.
또,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유닛화된 안테나 모듈 내에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바이패스회로를 구성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과 상기 제 1 안테나를 차량의 유리의 차 실내측에 설치하였다.
또, 제 8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안테나를 상기 차량의 앞 유리 또는 뒷 유리의 차 실내측에 설치하였다.
또, 제 9 해결수단으로서, 유닛화된 안테나 모듈 내에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바이패스회로와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구성하여 상기 안테나 모 듈과 상기 제 1 및 제 2 안테나를 차량의 앞 유리 또는 뒷 유리의 차 실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 1 안테나와 상기 제 2 안테나를 상기 안테나 모듈의 양측에 서로 이간하여 설치하였다.
도 1 내지 도 8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또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안테나 및 안테나 모듈의 설치상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안테나 모듈(21)은 차량의 앞 유리나 뒷 유리 등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제 1 저잡음 증폭기(이하, LNA)(22)와 제 1 LNA(22)에 병렬 접속된 바이패스회로(23)가 구성된다. 바이패스회로(23)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직류전압이 인가되면 오프상태가 되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온상태가 되는 이른바 오프 스루 스위치회로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안테나 모듈(21)의 입력측은 제 1 안테나(25)에 접속됨과 동시에, 그 출력측이 제 1 케이블(26)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25)는 앞 유리 등에 설치되어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제 1 케이블(26)에는 전원전압이 중첩되어 있고, 이 전압이 초크 인덕터(24)를 거쳐 제 1 LNA(22)과 바이패스회로(23)에 공급된다.
차량 내에는 제 1 케이블(26)에 접속된 제 1 수신 처리부(27)가 설치된다. 이하, 제 1 수신 처리부(27)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수신 처리부(27)는 가변 이득 증폭기(RF 앰플리파이어)(28), 주파수 변환수단인 믹서(29), A/D 변환 기(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 제 1 OFDM 복조수단(31)이 종속 접속되어 구성된다.
또한 믹서(29)의 출력측에는 수신강도 검출수단인 캐리어 검파기(DET)(32)가 설치된다. 이 검파기(32)는 믹서(29)로부터 출력되는 중간 주파 신호를 검파하여 수신강도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이 전압은 오퍼레이션 앰플리파이어(33)의 한쪽의 입력단(반전 입력단)에 입력된다. 다른쪽의 입력단(비반전 입력단)에는 기준 전압(Er)이 입력된다. 그리고 오퍼레이션 앰플리파이어(33)로부터 출력되는 AGC 전압이 가변 이득 증폭기(28)의 제어단에 공급됨으로써, 가변 이득 증폭기(28)의 이득이 제어된다.
A/D 변환기(30)는 중간 주파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 1 OFDM 복조수단(31)에 입력한다. 제 1 OFDM 복조수단(31)은 디지털 변환된 중간 주파 신호를 복조함과 동시에, 복조시의 C/N을 검출하여 그 정보를 스위치 제어수단(34)에 입력한다. 또 캐리어 검파기(32)로부터 출력된 전압도 A/D 변환기(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5)를 거쳐 스위치 제어수단(34)에 입력된다. 즉, 스위치 제어수단(34)에는 디지털 변환된 수신 강도 정보와 C/N 정보가 입력된다.
스위치 제어수단(34)은 수신 강도 정보와 C/N 정보에 의하여 스위치수단(36)을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한다. 스위치수단(36)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그 콜렉터에 전원전압(Vb)이 인가되고, 에미터는 초크 인덕터(37)를 거쳐 제 1 케이블(26)에 접속된다. 스위치 제어수단(34)의 출력이 베이스에 결합된다. 스위치수단(36)이 온이 되면, 전원전압(Vb)이 제 1 케이블(26)을 거쳐 제 1 LNA(22) 및 바이패스 회로(23)에 공급되고, 스위치수단(36)이 오프가 되면 공급되지 않는다. 이상이 제 1 수신 처리부(27)의 구성이다.
이상의 구성에서 안테나 모듈(21)은 전원전압(Vb)이 공급되면 제 1 LNA(22)이 동작함과 동시에 바이패스회로(23)가 오프상태가 되는 앰플리파이어 모드와, 그 반대로 전원전압(Vb)이 인가되지 않으면 제 1 LNA(22)이 동작하지 않고 바이패스회로(23)가 온상태가 되는 바이패스 모드로 변환된다. 앰플리파이어 모드에서는 제 1 LNA(22)에서 증폭된 수신신호가 제 1 케이블(26)에 송출되고, 바이패스 모드에서는 수신신호는 바이패스회로(23)를 거쳐 제 1 케이블(26)에 송출된다.
안테나 모듈(2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강도와 C/N에 의하여 바이패스 모드 또는 앰플리파이어 모드로 변환된다.
먼저, 수신강도가 소정값(E) 이상인 경우에, C/N이 제 1 소정값(C1) 이하일 때(A 영역)는 제 1 LNA(22)을 동작시키면 제 1 LNA(22)을 포함한 후단의 회로에서의 왜곡이 증가하여 복조시의 C/N이 더욱 악화된다. 그 때문에 스위치 제어수단(34)은 스위치수단(36)을 오프로 함으로서 바이패스 모드로 변환된다. 제 1 LNA(22)은 동작하지 않고, 바이패스회로(23)가 온이 되고, 수신신호는 바이패스회로(23)를 거쳐 제 1 케이블(26)에 송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전력소비를 적게 하여 C/N의 한층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C/N이 제 2 소정값(C2) 이상일 때(B 영역)는 수신강도 및 C/N이 충분하기때문에 제 1 LNA(22)을 동작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마찬가지로 바이패스 모드로 변환하여 제 1 LNA(22)과 바이패스회로(23)에의 전원전압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 것에 의하여 전력소비를 적게 할 수 있다.
또, C/N이 제 1 소정값(C1)과 제 2 소정값(C2)의 사이일 때(C 영역)는 C/N이 다소 악화되어도 여유가 있으므로 C/N보다도 수신감도를 높이는 것의 장점이 크기 때문에 앰플리파이어 모드로 변환한다.
한편, 수신강도가 소정값(E) 이하인 경우에, C/N이 제 1 소정값(C1) 이하일 때(D 영역) 및 제 1 소정값(C1)과 제 2 소정값(C2)의 사이일 때(E 영역)는, 수신감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앰플리파이어 모드로 변환한다.
또, C/N이 제 2 소정값(C2) 이상일 때(F 영역)는, 수신강도가 낮더라도 C/N이 충분하기 때문에 바이패스 모드로 변환하여 소비전력을 적게 한다.
도 2는 제 1 응용예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가변 이득 증폭기(28)로부터 제 1 OFDM 복조수단(31) 사이에서의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나, A/D 변환기(30)의 출력측에 수신강도 검출수단인 AGC 제어회로(38)가 설치된다. AGC 제어회로(38)는 A/D 변환기(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변환된 중간 주파 신호로부터 디지털의 전계강도 신호를 출력하고, 이것을 D/A 변환기(39)에 의하여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가변 이득 증폭기(28)에 공급한다. 또 AGC 제어회로(38)로부터 출력되는 전계 강도 신호를 그대로 스위치 제어수단(34)에 입력한다. 스위치 제어수단(34)에는 제 1 OFDM 복조수단(31)으로부터 C/N 정보가 입력된다. 이 구성에서도 안테나 모듈(21)의 모드 변환은 도 7과 같으나, 전계 강도 신호는 디지털값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그대로 스위치 제어수단(34)에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제 2 응용예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믹서(29)와 A/D 변환기(30)의 사이에 제 2 가변 이득 증폭기(IF 증폭기)(40)와 제 2 믹서(41)가 종속 접속된다. 그리고 AGC 제어수단(38)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계 강도 신호가 D/A 변환기(42)를 거쳐 제 2 가변 이득 증폭기(40)에 공급된다. 믹서(29)의 출력측에서 얻어진 전계 강도의 전압은 가변 이득 증폭기(28)에 공급됨과 동시에, A/D 변환되어 스위치 제어수단(34)에 공급된다. 이 구성에서는 2회의 주파수 변환을 행하기 때문에 이미지 방해를 경감할 수 있고, 또 2단의 가변 이득 증폭기(28, 40)를 AGC 제어하기 때문에 레벨이 안정된 중간 주파 신호를 제 1 OFDM 복조수단(31)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제 3 응용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제어수단(34)에 AGC 제어회로(38)로부터 전계강도의 정보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5에 제 4 응용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AGC 제어회로(38)로부터 D/A 변환기(39)를 거쳐 RF의 가변 이득 증폭기(28)에 AGC 전압을 공급하고, 또 D/A 변환기(42)를 거쳐 IF의 가변 이득 증폭기(40)에 AGC 전압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안테나 모듈(21)에는 제 2 LNA(45)이 구성된다. 제 2 LNA(45)은 제 2 안테나(46)에 접속되고, 제 2 LNA(45)의 출력은 제 2 케이블(47)을 거쳐 제 2 수신 처리부(48)에 접속된다. 제 2 LNA(45)에는 제 2 안테나(46)에서 수신된 신호가 전계 강도의 변동에 관계없이 항시 입력된다.
제 2 수신처리부(48)에는 제 2 OFDM 복조수단(49)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전단측에는 도시 생략한 증폭기, 주파수 변환수단, A/D 변환기 등이 설치되고, 디지털변환된 중간 주파 신호가 제 2 OFDM 복조수단(49)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 1 OFDM 복조수단(31)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조신호와 제 2 OFDM 복조수단(49)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조신호가 합성수단(50)에 의하여 최대 비합성(C/N이 최대가 되도록 합성)된다. 따라서 도 6의 구성에서는 다이버시티 수신 가능한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가 구성되나, 제 1 LNA(22)측에서 전계 강도의 변동으로 모드 변환이 행하여져도 제 2 LNA(45)에는 항시 신호가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복조시의 동기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 8은 안테나 모듈(21)과 제 1 안테나(25)와 제 2 안테나(46)를 앞 유리에 설치한 경우의 설치위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안테나 모듈(21)은 운전조작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앞 유리의 상부 중앙부분에 설치되고, 제 1 안테나(25)와 제 2 안테나(46)는 안테나 모듈(21)의 양측에 이간하여 설치된다. 제 1 안테나(25) 및 제 2 안테나(46)는 각각 안테나 케이블(51)에 의하여 안테나 모듈(21)에 접속된다.
또한 이상까지는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방송 신호의 수신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해결수단에 의하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안테나와, 제 1 안테나에 접속된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제 1 저잡음 증폭기의 후단에 설치됨과 동시에, 방송 신호의 적어도 수신강도와 복조시의 C/N을 검출하는 제 1 수신 처리부를 구비하고,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제 1 수신 처리부를 제 1 케이블로 접속하고, 제 1 저잡음 증폭기에는 이것을 우회하기 위한 바이패스회로를 병설하고, 방송 신호의 강도가 소정값 이상의 경우로서, C/N이 제 1 소정값 이상이고 또한 제 1 소정값보다도 높은 제 2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방송 신호를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거쳐 제 1 케이블에 송출하고, C/N이 제 1 소정값 이하 또는 제 2 소정값 이상일 때에는 방송 신호를 제 1 저잡음 증폭기에 입력하지 않고 바이패스회로를 거쳐 제 1 케이블에 송출하였기 때문에, C/N이 제 1 소정값(C1)과 제 2 소정값(C2)의 사이일 때는 수신감도를 높이고, 제 1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C/N의 한층의 악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비전력을 적게 하고, 제 2 소정값 이상일 때에도 C/N을 크게 유지한 채로 소비전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제 2 해결수단에 의하면 방송 신호의 강도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로서, C/N이 제 2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방송 신호를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거쳐 제 1 케이블에 송출하고, C/N이 제 2 소정값 이상일 때에는, 방송 신호를 제 1 저잡음 증폭기에 입력하지 않고 바이패스회로를 거쳐 제 1 케이블에 송출하였기 때문에 C/N이 제 2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수신감도를 높이고, 제 2 소정값 이상일 때에는 C/N을 크게 유지한 채로 소비전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제 3 해결수단에 의하면, 바이패스회로는 전원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오프상태로 변환되고, 전원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에 온상태로 변환되는 오프 스루 스위치회로로 구성되고, 제 1 수신 처리부에는 제 1 케이블에 전원전압을 중첩하는 스위치수단을 설치하여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오프 스루 스위치케이블로부터 전원전압을 공급받고,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를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거쳐 제 1 케이블에 송출할 때에는, 스위치수단으로부터 제 1 케이블에 전원전압을 중첩하고, 방송 신호를 바이패스회로를 거쳐 제 1 케이블에 송출할 때에는, 스위치수단에 의한 전원전압의 중첩을 정지하였기 때문에, 전원전압의 인가의 유무에 의하여 제 1 저잡음 증폭기의 동작과 바이패스회로의 동작을 변환한다.
또, 제 4 해결수단에 의하면, 방송 신호는 OFDM 변조된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이고, 제 1 수신 처리부에는 주파수 변환수단과, 주파수 변환수단의 후단에 접속된 제 1 OFDM 복조수단과, 주파수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중간 주파 신호에 의거하여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강도를 검출하는 수신강도 검출수단과, 스위치수단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수단을 설치하여 제 1 OFDM 복조수단으로부터 C/N의 값에 대응하는 C/N 정보를 추출하여, 수신강도에 대응하는 수신강도 정보와 C/N 정보를 스위치 제어수단에 입력하였기 때문에, 수신강도정보와 C/N 정보에 의하여 전원전압의 인가의 유무를 제어할 수 있는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제 5 해결수단에 의하면, 제 1 수신 처리부에는 주파수 변환수단의 전단에 가변 이득 증폭기를 설치하고, 가변 이득 증폭기에 수신강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공급하여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였기 때문에, 제 1 OFDM 복조수단에 입력되는 중간 주파 신호의 레벨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6 해결수단에 의하면,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안테나와, 제 2 안테나에 접속된 제 2 저잡음 증폭기와, 제 2 저잡음 증폭기의 후단에 설치된 제 2 수신처리부를 설치하여 제 2 저잡음 증폭기와 제 2 수신처리부를 제 2 케이블로 접속하고, 제 2 수신처리부에는 제 2 OFDM 복조수단을 설치하고, 제 2 저잡음 증폭기에는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강도의 여하에 관계없이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를 감쇠하지 않고 입력하고, 제 1 OFDM 복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복 조신호와 제 2 OFDM 복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조신호를 합성수단에 입력하였기 때문에, 복조시의 동기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는 다이버시티 수신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제 7 해결수단에 의하면, 유닛화된 안테나 모듈 내에 제 1 저잡음 증폭기및 바이패스회로를 구성하여 안테나 모듈과 제 1 안테나를 차량의 유리의 차 실내측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안테나 모듈로부터는 케이블에 의하여 수신처리부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제 8 해결수단에 의하면, 제 1 안테나를 차량의 앞 유리 또는 뒷 유리의 차 실내측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안테나가 유리로부터 탈락되기 어렵다.
또, 제 9 해결수단에 의하면, 유닛화된 안테나 모듈 내에 제 1 저잡음 증폭기및 바이패스회로와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구성하여 안테나 모듈과 제 1 및 제 2 안테나를 차량의 앞 유리 또는 뒷 유리의 차 실내측에 설치하고, 제 1 안테나와 제 2 안테나를 안테나 모듈의 양측에 서로 이간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수신이 가능하다.

Claims (9)

  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안테나와, 상기 제 1 안테나에 접속된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의 후단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방송 신호의 적어도 수신강도와 복조시의 C/N을 검출하는 제 1 수신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1 수신 처리부를 제 1 케이블로 접속하고,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에는 이것을 우회하기 위한 바이패스회로를 병설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강도가 소정값 이상의 경우로서, 상기 C/N이 제 1 소정값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제 1 소정값보다도 높은 제 2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거쳐 상기 제 1 케이블에 송출하고, 상기 C/N이 제 1 소정값 이하 또는 상기 제 2 소정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회로를 거쳐 상기 제 1 케이블에 송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의 강도가 상기 소정값 이하의 경우로서, 상기 C/N이 상기 제 2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거쳐 상기 제 1 케이블에 송출하고, 상기 C/N이 상기 제 2 소정값 이상일 때에는,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회로를 거쳐 상기 제 1 케이블에 송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회로는, 전원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오프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전원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에 온상태로 변환되는 오프 스루 스위치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수신 처리부에는 상기 제 1 케이블에 상기 전원전압을 중첩하는 스위치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오프 스루 스위치회로에는 상기 제 1 케이블로부터 상기 전원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를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거쳐 상기 제 1 케이블에 송출할 때에는 상기 스위치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케이블에 상기 전원전압을 중첩하고,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바이패스회로를 거쳐 상기제 1 케이블에 송출할 때에는 상기 스위치수단에 의한 상기 전원전압의 중첩을 정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OFDM 변조된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이고, 상기 제 1 수신 처리부에는 주파수 변환수단과,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의 후단에 접속된 제 1 OFDM 복조수단과,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중간 주파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는 수신 강도 검출수단과, 상기 스위치수단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OFDM 복조수단으로부터 상기 C/N의 값에 대응하는 C/N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수신강도에 대응하는 수신 강도 정보와 상기 C/N 정보를 상기 스위치 제어수단에 입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처리부에는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의 전단에 가변 이득 증폭기를 설치하고,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에 상기 수신 강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안테나와, 상기 제 2 안테나에 접속된 제 2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의 후단에 설치된 제 2 수신처리부를 설치하여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2 수신처리부를 제 2 케이블로 접속하고, 상기 제 2 수신처리부에는 제 2 OFDM 복조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에는 상기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강도의 여하에 관계없이 상기 지상 디지털 방송 신호를 감쇠하지 않고 입력하고, 상기 제 1 OFDM 복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조신호와 상기 제 2 OFDM 복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조신호를 합성수단에 입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유닛화된 안테나 모듈 내에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바이패스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과 상기 제 1 안테나를 차량의 유리의 차 실내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를 상기 차량의 앞 유리 또는 뒷 유리의 차 실내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유닛화된 안테나 모듈 내에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바이패스회로와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구성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과 상기 제 1 및 제 2 안테나를 차량의 앞 유리 또는 뒷 유리의 차 실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 1 안테나와 상기 제 2 안테나를 상기 안테나 모듈의 양측에 서로 이간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수신장치.
KR1020060045657A 2005-05-23 2006-05-22 왜곡저감, 수신감도 향상 및 전력의 절약을 도모한 차량탑재용 수신장치 KR100769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49662 2005-05-23
JP2005149662A JP2006332770A (ja) 2005-05-23 2005-05-23 車載用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693A true KR20060121693A (ko) 2006-11-29
KR100769603B1 KR100769603B1 (ko) 2007-10-23

Family

ID=3669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657A KR100769603B1 (ko) 2005-05-23 2006-05-22 왜곡저감, 수신감도 향상 및 전력의 절약을 도모한 차량탑재용 수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54180B2 (ko)
EP (1) EP1727289A3 (ko)
JP (1) JP2006332770A (ko)
KR (1) KR100769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8624B2 (ja) * 2007-02-14 2011-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
JP4656072B2 (ja) 2007-03-06 2011-03-23 船井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
JP4835513B2 (ja) * 2007-05-23 2011-12-14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949199B2 (ja) * 2007-10-30 2012-06-0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999137B1 (ko) * 2007-12-12 201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JP2009194499A (ja) * 2008-02-13 2009-08-27 Kenwood Corp 受信装置
WO2009107359A1 (ja) * 2008-02-29 2009-09-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増幅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受信装置
KR100999141B1 (ko) 2008-03-31 201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WO2013090282A1 (en) * 2011-12-12 2013-06-20 Clay Skelt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vehicles
US10194017B2 (en) * 2011-12-12 2019-01-29 Mill Mountain Capital,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vehicles
JP5803983B2 (ja) * 2013-06-07 2015-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装置
WO2015110650A1 (de) * 2014-01-27 2015-07-30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Anordnung zur erhöhung der reichweite im mobilfunknetz und steigerung der datenrate in schwach versorgten gebieten
CN105897284A (zh) * 2015-10-26 2016-08-24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接收机与通信终端
DE102019101015A1 (de) * 2018-01-17 2019-07-18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Ein von einem Empfangssystem abgesetztes LTE-Modul
CN110687360A (zh) * 2019-10-28 2020-01-14 江西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信号检测带显示有源dtv数字电视放大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05779D0 (en) 1990-03-14 1990-05-09 Gen Electric Co Plc Radio receiver antenna arrangements
JPH08251044A (ja) * 1995-03-13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
KR19980013843A (ko) * 1996-08-03 1998-05-15 김광호 적응적 수신감도 향상을 위한 방송수신장치
US6009129A (en) * 1997-02-28 1999-12-28 Nokia Mobile Phones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and reduction of intermodulation distortion
JPH10303772A (ja) 1997-04-25 1998-11-13 Alps Electric Co Ltd セルラ−電話機の受信回路
JP3189163B2 (ja) 1997-07-25 2001-07-16 株式会社ケンウッド Ofdm受信機
KR19990061619A (ko)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씨디엠에이 단말기 시스템 수신단의 저잡음 증폭기 바이패스장치
JP2966837B1 (ja) 1998-07-23 1999-10-25 株式会社次世代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システム研究所 Ofdm方式の受信装置
US6725026B2 (en) * 1999-12-29 2004-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modul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721549B2 (en) * 1999-12-29 2004-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w-noise amplifi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600913B1 (en) * 2000-10-27 2003-07-29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Two-port demodulation device
US6831957B2 (en) * 2001-03-14 2004-12-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for a digital radio receiver
KR100574016B1 (ko) * 2003-07-21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러 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JP4238210B2 (ja) 2004-12-28 2009-03-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
KR100649636B1 (ko) * 2005-03-10 2006-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위성 dmb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7289A3 (en) 2007-07-25
EP1727289A2 (en) 2006-11-29
JP2006332770A (ja) 2006-12-07
US20060264111A1 (en) 2006-11-23
KR100769603B1 (ko) 2007-10-23
US7454180B2 (en) 200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603B1 (ko) 왜곡저감, 수신감도 향상 및 전력의 절약을 도모한 차량탑재용 수신장치
US8023916B2 (en) Onboard reception device, and noise cancellation method for onboard reception device
US7480483B2 (en) Mobil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894786B2 (en) Gain controlled and multi-band processing receiver
JP3734839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EP1677436A2 (en) Diversity receiver
KR20080015285A (ko)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JP2006211546A (ja) 車載用受信装置
US6944243B2 (en) Diversity reception device outputting maximized C/N ratio of synthesized signal
JP2009188515A (ja) 複合チューナ
JP3589886B2 (ja) 放送受信機
EP178611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US6961394B2 (en) Diversity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reduction of C/N ratio
JP4470744B2 (ja) 高周波信号受信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723151B1 (ko) 모바일 복합 디지탈 tv 수신 모듈
KR100466070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튜너
KR200421700Y1 (ko) 차량용 안테나를 이용한 라디오 및 디엠비 신호선택용수신기
JP2008236414A (ja) デジタル信号受信機
JP3504847B2 (ja) 衛星放送受信用dbsチューナ
JP2001127658A (ja) 受信機および携帯電話機
JPH11186932A (ja) 携帯端末機および携帯端末機用外部アダプタと携帯端末装置
WO2006013980A1 (ja) 受信システム
JPH1013276A (ja) 衛星放送用2ndコンバータ及び衛星放送受信機
JP200428246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7154779A (ja) 衛星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