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016B1 - 에러 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에러 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016B1
KR100574016B1 KR1020030049905A KR20030049905A KR100574016B1 KR 100574016 B1 KR100574016 B1 KR 100574016B1 KR 1020030049905 A KR1020030049905 A KR 1020030049905A KR 20030049905 A KR20030049905 A KR 20030049905A KR 100574016 B1 KR100574016 B1 KR 100574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error
output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065A (ko
Inventor
천광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016B1/ko
Priority to US10/838,299 priority patent/US7185242B2/en
Publication of KR2005001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입력 신호를 소정 레벨을 기준으로 강신호 및 약신호로 구분하는 신호 세기 검출부, 상기 강신호인 경우는 증폭시키고, 상기 약신호인 경우는 바이패스시킨 후,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복조하여 디지털 스트림을 출력하는 튜너부,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고 에러 발생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튜너부의 상태를 반전시키는 변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여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화면 깨짐 또는 멈춤 현상등을 보정할 수 있다.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신호 증폭기, ON/OFF 제어 신호

Description

에러 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Digital TV and method for compensating error }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간단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간단한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안테나 120 : 튜너부
121 : 신호 증폭기 122 : 신호 복조기
123 : 리셋부 124 : ON/OFF 신호 변환부
130 : 제어부 131 : 마이컴
132 : 에러 검출부 133 : 카운터
140 : 신호 세기 검출부 15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본 발명은 에러 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신호중에서 에러가 검출된 경우 신호 증폭기의 증폭 상태를 변환하여 에러를 보정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아날로그 방식으로 이루어지던 방송 시스템이 점진적으로 디지털(Digital) 방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란 제작, 편집, 전송, 수신 등 방송의 모든 단계를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TV 방송 시스템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정보의 종류 (영상, 음성, 문자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으로 표현하여 처리하는 아날로그(Analog) 방송 시스템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빛의 밝기, 소리의 크기 등을 그대로 전압으로 표현하여 송수신하므로, 신호 전송 과정에서 잡음, 반사 등이 생기게 되어 고선명, 고화질의 영상 출력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이 도입되었는데, 디지털 신호 처리란 전송시에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각각 압축하고 숫자로 표현(Encoding)한 후 이를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여 하나의 데이터 흐름(digital data stream)으로 전송한 후에 수신기가 이를 받아서 에러를 모두 수정한 후 영상, 음성을 분리하고 압축을 푸는(Demultiplexing & Decoding)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처리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송신측에서 1이란 숫자를 전송하면 전송중 잡음이 끼거나 장해물에 의해 반사된다고 해도 수신측에서 수신하는 신호는 1의 값을 가지게 되므로, 전송시의 정보를 그대로 재생을 해낼 수 있게 된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디지털 신호로 전송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출력시키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디지털 TV에 있어서 대표적인 디지털 TV로 HD-TV(High Definition TV), SD -TV(Standard Definition TV)를 들 수 있다.
HD-TV(High Definition TV)란 1080개의 수직(비월주사)주사선, 1920개의 수평 주사선을 이용하여 출력함으로써, 16:9의 화면비와 돌비 디지털 서라운드 오디오를 지원하는 TV를 의미하고, SD-TV(Standard Definition TV)란 상기 HD-TV보다 주파수 대역폭을 적게 차지함으로써 데이터 방송, 동시방송, 그리고 VOD(주문형 비디오)와 같은 상호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는데 용이한 720 * 480 해상도의 출력 방식으로 구현되는 디지털 TV를 의미한다.
도 1은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디지털 TV의 일반적인 구성을 간단한 블럭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따르면, 안테나(10)가 방송국에서 송신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받아, 신호 증폭기(20)에서 이를 증폭하게 된다. 방송국에서 각 안테나까지의 전송 과정에서 신호가 미약해지게 되므로, 후속 처리를 위하여 입력 신호를 증폭 시킬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TV에서는, 미약해진 신호를 해석 가능한 크기의 신호로 만들기 위해 증폭을 하는 동시에 전송과정에서 삽입된 노이즈 성분도 제거하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신호 증폭기(20)에서 증폭된 신호는 신호 복조기(30)에서 복조되어 출력에 필요한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게 된다.
방송국측에서 ASK (Amplitude Shift Keying), FSK (Frequency Shift Keying), PSK (Phase Shift Keying),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 트레리스 부호화 변조(TCM : Trellis Coded Modulation) 방식등을 통해 변조된 디지털 신호는 수신측, 즉, 디지털 TV에서 이에 대응하는 복조 (demodulation)과정을 거쳐 피변조파로부터 원 신호를 복원하여야 한다.
디지털 신호의 복조에는 수신신호에서 반송파를 추출하고, 이 반송파와 수신신호의 적(積)을 취해 복조하는 동기 검파(同期檢波, synchronous detection)방식 또는 1 심볼만큼 지연된 수신신호와의 적(積)을 취해 심볼간의 위상차로서 복조하는 지연 검파(遲延檢波, delay detection)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복조기(30)에서 복조된 신호는 제어부(40)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 후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디지털 TV와 연결된 외부장치(60)는 상기 신호 증폭기(20)로부터 루프아웃(loop out)된 증폭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외부장치(60)는 DVD 플레이어, VCR 및 셋탑박스(set-top box)등을 예로 들수 있다.
종래의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안테나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를 신호 증폭기(20)에서 항상 증폭하기 때문에 강신호가 증폭된 경우에는 루프 아웃으로 출 력되는 신호를 외부 장치(60)에서 사용하면 세츄레이션(Saturation)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TV 파워 온/오프 시 또는 채널 변경시에 입력 신호가 갑작스럽게 변경되면,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복조 과정에서 에러 비트가 발생하여 화면의 뒤틀림, 멈춤, 깨짐 현상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화면 멈춤,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정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입력 신호를 소정 레벨을 기준으로 강신호 및 약신호로 구분하는 신호 세기 검출부, 상기 강신호인 경우는 증폭시키고, 상기 약신호인 경우는 바이패스시킨 후,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복조하여 디지털 스트림을 출력하는 튜너부,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고 에러 발생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튜너부의 상태를 반전시키는 변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여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튜너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변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증폭 및 바이패스 상태를 상호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너부는, 상기 신호 세기 검출부로부터 판단된 상기 디 지털 입력 신호의 강/약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하는 ON 신호 및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를 바이패스시키도록 하는 OFF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ON/OFF 신호 변환부, 상기 ON/OFF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ON / OFF 신호에 따라 증폭 및 바이패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한 후 출력하는 신호 증폭기, 및 상기 신호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지털 복조하여 디지털 스트림을 출력하는 신호 복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너부는, 상기 증폭 및 바이패스 상태의 상호 반전 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튜너부를 자동 리셋시키는 리셋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신호 증폭기는 저잡음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튜너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지털 스트림 중에서 검출된 에러 비트 수가 소정 개수 이상이면 에러로 판단하는 에러 검출부, 상기 신호 세기 검출부에서 판단한 신호의 강/약에 따라 ON / OFF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를 제어하며, 상기 에러 검출부에서 에러로 판단하면 상기 신호 증폭기의 ON / OFF 상태를 상호 반전시키는 변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및 상기 ON / OFF 상태를 상호 반전시킨 회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컴은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팅한 ON/OFF 상태의 상호 변환 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이 되면 상기 튜너부를 리셋시키는 동작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에러 보정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은, (a) 외부로부터 디지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계를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상이면 강신호, 소정 레벨 이하이면 약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강신호이면 증폭하고, 상기 약신호이면 바이패스시킨 후 복조하여 디지털 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디지털 스트림 중에서 에러 비트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에러 비트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검출된 에러 비트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 수신된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증폭 및 바이패스 상태를 상호 반전시키는 단계, (f) 상기 검출된 에러 비트수가 소정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출력 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g) 상기 변환된 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h) 상기 증폭 및 바이패스 상태를 상호 반전시킨 경우, 상기 반전 회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i) 상기 반전 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j) 상기 반전 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인 경우,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단한 블럭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크게 안테나(100), 튜너부(120), 제어부(130), 신호 세기 검출부(14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15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안테나(100)는 외부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RF-signal)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100)는 일반적인 UHF(Low)대역 실내(외)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튜너부(120)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통과 대역을 결정하여 수신 신호를 결정하는 튜너(미도시)뿐만 아니라, 신호 증폭기(121), 신호 복조기(122) 및 ON/OFF 신호 변환부(124)까지 포함하는 부분으로 관념적으로 표시한다.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입력 신호는 튜너부(120)에서 일단 증폭, 복조된후, 제어부(130)로 인가되고, 제어부(130)는 다시 신호 세기 검출부(14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계 세기를 측정하게 된다. 즉, 신호 세기 검출부(140)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계를 측정하여, 소정 레벨을 기준으로 이상이면 강전계를 가지는 신호(강신호)로, 소정 레벨 이하이면 약전계를 가지는 신호(약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 기준 레벨은 실험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20)는 다시 신호 세기 검출부(140)에서 측정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계의 세기에 따라서 그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한 후, 복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튜너부(120)는 일반적으로 신호 증폭기(121), 신호 복조기(122) 및 ON/OFF 신호 변환부(12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ON/OFF 신호 변환부(124)는 일반적으로 스위치(switch)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신호 세기 검출부(140)에서 측정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계 세기에 따라서 ON/OFF 신호 변환부(124)는 ON / OFF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즉, 입력 되는 디지털 신호가 강전계를 가질 경우에는 OFF신호를 출력하고, 약전계를 가 질 경우에는 ON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ON 신호란 후술하는 신호 증폭기(121)에서 증폭을 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의미하고, OFF 신호란 신호 증폭기(121)에서 별다른 증폭 없이 바이패스(bypass)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의미한다. 한편, ON/OFF 신호 변환부(124)는 후술하는 제어부(130)로부터 ON/OFF 신호상태를 상호 반전시키는 변환 신호가 입력되면 ON신호는 OFF신호로 변환하는 동시에, OFF 신호는 ON 신호로 변환시켜 상호 반전시키게 된다.
한편, 신호 증폭기(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저잡음 증폭기(LNA)를 사용할 수 있다. 신호 증폭기(121)는 ON/OFF 신호 변환부(124)로부터 출력되는 ON / OFf 제어 신호에 따라서 입력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거나 바이패스하게 된다. 즉, 강전계인 경우에는 OFF 신호가 입력되어 바이패스(bypass)시키고, 약전계인 경우에는 ON 신호가 입력되어 증폭(amplification)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증폭된 신호는 루프 아웃(loop out)으로 외부장치(110)로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110)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DVD 플레이어, VCR 및 셋탑박스(set-top box)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신호 증폭기(121)에서 증폭 또는 바이패스된 디지털 신호는 신호 복조기(122)에서 디지털 신호 복조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의 복조(demodulation)는 동기 검파(synchronous detection)방식 또는 지연 검파(delay detection)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조 과정을 거쳐 송신측에서 변조하기 전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복호하여 디지털 스트림(digital stream)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제어부(130)에 대하여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마이컴(131)뿐만 아니라, 관념적으로 마이컴(131)에 의해 제어되는 에러 검출부(132), 및 카운터(counter: 133)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표시한다.
튜너부(120)에서 증폭, 복조된 디지털 스트림은 마이컴(131)에서 수신하여 신호 세기 검출부(140)를 통해 입력 디지털 신호의 전계의 강도세기를 측정하여, 강신호(Good Signal)인지 약신호(Weak Signal)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신호 세기 검출부(140)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서, 강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ON/OFF 신호 변환부(124)를 통해 증폭기 OFF 신호를 출력하고, 약신호인 경우에는 증폭기 ON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ON/OFF 제어 신호에 따라서 신호 증폭기(121)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증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러 검출부(132)는 신호 복조기(122)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스트림 중 에러 비트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에러 비트의 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마이컴(131)에 에러 발생 신호를 보낸다. 바람직하게는 에러 비트의 수가 10000개 이상인 경우에 에러로 판단할 수 있다.
마이컴(131)은 에러 검출부(132)에서 에러로 판단한 경우, ON/OFF 신호 변환부(124)를 제어하여 신호 증폭기(121)의 ON/OFF 상태를 반전시킨다. 즉, 강신호에 대하여 OFF 신호를 출력하던 것을 ON 신호로 바꾸고, 약신호에 대해서 OFF 신호로 바꾸게 된다. 즉, 디지털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 어지더라도 에러가 발생하여 화면이 깨지거나 멈추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은, 약신호를 증폭시키는 과정에서 에러 비트가 발생하거나, 강신호를 증폭시키지 않고 바이패스시킴으로써 미처 신호 복조기(122)에서 복조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증폭 상태를 반전시키면 그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에러를 1차적으로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러 검출부(132)에서 에러로 판단하여 ON/OFF 상태를 반전시킨 경우에는, 카운터(133)에서 그 반전 회수를 카운팅한다. 에러 보정을 위하여 증폭기 상태를 반전시킨다 하더라도 에러가 근본적으로 보정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에는 증폭 상태를 계속적으로 변환시키더라도 화면 깨짐 현상등이 극복되지 않으므로, 일정 회수 이상이 되면, 튜너부 자체를 리셋, 즉, 초기화시키는 것이 보다 빠른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
카운터(133)에서 카운팅한 반전 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이 되면, 마이컴(131)은 리셋부(123)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튜너부(120) 자체를 리셋(초기화)시키고, 시스템을 재구동하게 된다. 실험적으로는, 상기 증폭기 상태 반전 회수가 6회 이상되면 리셋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러 검출부(132)에서 에러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 마이컴(131)은 디지털 스트림을 디지털 신호 처리부(150)로 출력하게 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50)는 증폭, 복조 처리된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출력 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화면상에 출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에러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안테나(100)를 통하여 디지털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 증폭기(121)는 그 신호 세기에 따라서 증폭 및 바이패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하게 된다.(S310, S320).
즉, 튜너부(120)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제어부(130)에서 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강신호인지 약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10).
신호 세기 측정 결과에 따라서 제어부(130)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ON/OFF 신호 변환부(124)에서는, 신호 증폭기(121)에 대하여 ON 신호 및 OFF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된다(S321). ON 신호란 신호 증폭기(121)로 하여금 증폭을 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의미하고, OFF 신호란 바이패스시키라는 제어 신호를 의미한다. ON / OFF 신호 변환부(124)는, 디지털 입력 신호가 강신호인 경우에는 OFF 신호를 출력하고, 약신호인 경우에는 ON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ON/OFF 신호 변환부(124)는 통상의 스위치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증폭기(121)는 ON/OFF 신호 변환부(124)로부터 ON신호가 입력되면 증폭시키고, OFF신호가 입력되면 신호 증폭기(121) 양단을 고주파적으로 단락시켜 바이패스시키게 된다(S322, S323, S324).
신호 증폭기(121)에서 증폭된 신호는 신호 복조기(122)에서 복조 처리하여 디지털 스트림을 출력하게 된다(S330). 이러한 복조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 있 다.
상기 복조 처리가 이루어진 디지털 스트림을 제어부(130)에서 수신하여, 에러 발생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에러 발생 여부 판단은 디지털 스트림 중에 에러 비트의 수가 소정 개수(N) 이상인 경우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340). 상기 소정 개수(N)는 실험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 화면 출력 상태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에러 비트수를 체크하여 설정 할 수 있다.
체크된 에러 비트 수가 소정 개수(N) 미만인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150)로 출력하여, 출력 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게 된다(S350).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화면 상에 출력하게 된다(S360).
한편, 체크된 에러 비트 수가 소정 개수(N) 이상인 경우에는, 신호 증폭기(121)의 증폭 상태를 강제적으로 변환시킨다. 즉, ON/OFF 신호 변환부(124)를 제어하여, 바이패스시키던 신호에 대해서는 증폭시키고, 증폭시키던 신호에 대해서는 바이패스시키게 된다(S370).
바람직하게는, ON/OFF 상태 반전시키는 회수를 체크하여 소정 회수(n)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380).
반전된 회수가 소정 회수(n) 미만인 경우에는, 신호 증폭기(121)의 ON/OFf 상태를 반전시켜 증폭 여부를 바꾸고, 에러가 극복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
한편, 반전 회수가 소정 회수(n) 이상인 경우에는, 증폭기 상태 변환만으로는 에러 극복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튜너부(120)를 자동으로 초기화시키게 된다(S390). 이와 같은 소정 회수(n)는 실험적으로 최적의 수를 설정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6회 정도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디지털 입력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에 대하여 증폭여부를 변환시켜 줌으로써 1차적으로 보정하고, 이러한 1차적인 보정이 수차례 반복되어도 에러 보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시스템을 리셋시킴으로써 화면 떨림, 깨짐 현상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시스템을 자동적으로 리셋시키기에 앞서 화면상에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리셋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변동이나 디지털 에러 발생등의 경우에 화면이 깨지거나 멈추는 현상을 자동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없이 안정적으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러 보정이 간단히 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시스템을 리셋시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입력 신호를 소정 레벨을 기준으로 강신호 및 약신호로 구분하는 신호 세기 검출부;
    상기 강신호인 경우는 증폭시키고, 상기 약신호인 경우는 바이패스시킨 후,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복조하여 디지털 스트림을 출력하는 튜너부;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고 에러 발생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튜너부의 상태를 반전시키는 변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및
    상기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수신하여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튜너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변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증폭 및 바이패스 상태를 상호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부는, 상기 신호 세기 검출부로부터 판단된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강/약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하는 ON 신호 및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를 바이패스시키도록 하는 OFF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ON/OFF 신호 변환부;
    상기 ON/OFF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ON / OFF 신호에 따라 증폭 및 바이 패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한 후 출력하는 신호 증폭기;및
    상기 신호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지털 복조하여 디지털 스트림을 출력하는 신호 복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부는, 상기 ON/OFF 상태의 반전 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튜너부를 자동 리셋시키는 리셋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튜너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지털 스트림 중에서 검출된 에러 비트 수가 소정 개수 이상이면 에러로 판단하는 에러 검출부;
    상기 신호 세기 검출부에서 판단한 신호의 강/약에 따라 ON / OFF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를 제어하며, 상기 에러 검출부에서 에러로 판단하면 상기 신호 증폭기의 ON / OFF 상태를 상호 반전시키는 변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및
    상기 ON / OFF 상태를 상호 반전시킨 회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팅한 ON / OFF 상태의 상호 반전 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이 되면 상기 튜너부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는 저잡음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7. (a) 외부로부터 디지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전계를 측정하여 소정 레벨 이상이면 강신호, 소정 레벨 이하이면 약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강신호이면 증폭하고, 상기 약신호이면 바이패스시킨 후 복조하여 디지털 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디지털 스트림 중에서 에러 비트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에러 비트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검출된 에러 비트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 수신된 상기 디지털 입력 신호의 증폭 및 바이패스 상태를 상호 반전시키는 단계;
    (f) 상기 검출된 에러 비트수가 소정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디지털 스트림을 출력 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g) 상기 변환된 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h) 상기 증폭 및 바이패스 상태를 상호 반전시킨 경우, 상기 반전 회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i) 상기 반전 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및
    (j) 상기 반전 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인 경우,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러 보정 방법.
  8. 삭제
KR1020030049905A 2003-07-21 2003-07-21 에러 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KR100574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905A KR100574016B1 (ko) 2003-07-21 2003-07-21 에러 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US10/838,299 US7185242B2 (en) 2003-07-21 2004-05-05 Digital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error compens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905A KR100574016B1 (ko) 2003-07-21 2003-07-21 에러 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065A KR20050011065A (ko) 2005-01-29
KR100574016B1 true KR100574016B1 (ko) 2006-04-26

Family

ID=3407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905A KR100574016B1 (ko) 2003-07-21 2003-07-21 에러 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85242B2 (ko)
KR (1) KR100574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38841A (en) * 2004-07-08 2009-07-31 Sony Emcs Malaysia Sdn Bhd Electronic switch for tv signal booster
JP2006332770A (ja) * 2005-05-23 2006-12-07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受信装置
KR20080010673A (ko) * 2006-07-27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의 상태에 따른 채널 변경방법 및 이를 적용한영상 표시장치
JP4818439B2 (ja) * 2010-01-15 2011-11-1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受信チャンネルのプリセット方法
CN103986968A (zh) * 2014-05-12 2014-08-13 南京熊猫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按键解决智能电视系统复位的方法
KR102560850B1 (ko) * 2018-10-18 2023-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6792B2 (ja) * 2002-01-22 2007-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信号受信装置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065A (ko) 2005-01-29
US7185242B2 (en) 2007-02-27
US20050018089A1 (en)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5241A (en) Noise-immune automatic gain control for QAM radio receivers
JPH09205565A (ja) フィールド同期信号検出回路及びその方法
CN101207734A (zh) 数字广播接收机
KR100574016B1 (ko) 에러 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JP2837666B2 (ja) フィールド判別信号発生回路及びその方法
CA2256020C (en) Circuit for discriminating between received signals and method therefor
JP4244424B2 (ja) テレビ放送用送受信システム
KR20100019010A (ko) 신호수신장치,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호처리방법
JP372271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8193384A (ja) 受信装置
JP2002353832A (ja) アンテナの受信方向設定方法および受信装置
JP4622598B2 (ja) 受信回路
JP2002247462A (ja) 受信装置
US20140016728A1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reception system
US20210288732A1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system
JP3576877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方法
JP2006060287A (ja) 無線伝送システム及びfpu受信装置
JP2562598Y2 (ja) 衛星受信装置
KR10077419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지상파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10039057A (ko) 디지탈 티 브이의 광대역 스펙트럼 전자기파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25160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10212747A (ja) デジタル伝送装置
JP5039829B2 (ja) 画像表示装置
KR20060094643A (ko) 셋탑 박스
JP2008193518A (ja) 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