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674A -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674A
KR20060116674A KR1020050103038A KR20050103038A KR20060116674A KR 20060116674 A KR20060116674 A KR 20060116674A KR 1020050103038 A KR1020050103038 A KR 1020050103038A KR 20050103038 A KR20050103038 A KR 20050103038A KR 20060116674 A KR20060116674 A KR 20060116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kateboard
central rod
caster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1650B1 (ko
Inventor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이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열 filed Critical 이승열
Priority to JP200851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8539937A/ja
Priority to US11/920,122 priority patent/US20090045598A1/en
Priority to PCT/KR2006/001683 priority patent/WO2006121257A1/en
Priority to GB0723835A priority patent/GB2440894A/en
Publication of KR2006011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93Mechanisms transforming leaning into steering through an inclined geometrical axis, e.g. tru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63C17/013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with parallelograms, follow up wheels or direct steer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63C17/015Wheel arrangement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주위의 전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가 개시된다. 상기 스케이트 보드는 중앙 로드부, 중앙 로드부의 일단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발판, 제1 발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제1 캐스터, 중앙 로드부의 타단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발판 및 제2 발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제2 캐스터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양 다리를 발판들 상에 올려 놓고 앞으로 걷는 동작을 하여 몸통의 전후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종래의 개량된 스케이트 보드와 같이 양다리를 앞뒤로 교차하는 동작을 하여 몸통의 전후 방향으로도 진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캐스터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판, 방향성 캐스터, 중앙 로드, 회전 조인트, 브레이크

Description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캐스터(150)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캐스터와 유사한 다른 캐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케이트 보드의 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스케이트 보드의 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스케이트 보드의 제자리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스케이트 보드의 진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스케이트 보드의 다른 진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스케이트 보드 110:중앙 로드부
120:발판 132:회전 조인트
140:탄성 지지대 142:서스펜션
150:캐스터 156:휠
158:휠 브레이크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있어 좌우 방향 외에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전방향 주행(all-direction running)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이트 보드는 발판 및 발판의 저면에 부착된 휠을 포함하며, 2개의 휠들이 하나의 쌍을 이루어 발판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부착 고정된다. 앞뒤로 장착되는 한 쌍의 휠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회전 없이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케이트 보드를 타고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무게 중심을 조절하여야 방향을 바꿀 수 있으며, 그 결과 방향을 바꾸기 위한 회전 반경은 매우 커지게 되고 회전을 위한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스케이트 보드는 자체적으로 추진력을 발생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는 평지 주행 시 계속 한발로 지면을 굴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명 스네이크 보드(snake board)와 같이 개량형 스케이트 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스네이크 보드 및 그 유사 보드들을 살피면, 사용자는 분리된 발판 위에 올라 타게 되며, 양 발을 교차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스네이크 보드 및 그 유사 보드들은 몸통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으며, 역시 회전 반격이 상당하여 좁은 공간에서 회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스네이크 보드는 내리막 길에서 보드를 자체적으로 정지시키기 어려우며, 보드의 길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즉, 스네이크 보드와 같이 개량된 스케이트 보드는 양 발을 번갈아 기울이면서 자체적으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지만, 각 발판에서 하나의 휠만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지 상태에서 보드 위에 서 있기가 어려우며, 급가속이 필요한 경우 발로 지면을 구르거나 달리는 채로 보드에 탑승할 수 없으며, 경사진 면에서는 자 체적으로 정지시키기가 어렵고, 고정 축으로 연결된 하나의 긴 몸체의 구성으로 주행 중 360도 회전이나 U-턴 시 회전 반경이 크고, 탑승 시 사용자는 반드시 정해진 발의 자세 및 위치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몸의 동작이 한정적이며 자유롭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진행 방향이 다채롭지 못하여 활동성의 제약이 많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우는 물론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조건에 따라 발판 간의 자세 및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발판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동으로 발판 간의 간격이 신축될 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진 지역을 내려가거나 위험 상황에서 보드를 안전하게 정지시키고 용이하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이트 보드는 중앙 로드부, 중앙 로드부의 일단에 장착된 제1 발판(footplate), 제1 발판의 저면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장착된 제1 캐스터(caster)들, 중앙 로드부의 타단에 장착된 제2 발판 및 제2 발판의 저면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장착된 제2 캐스터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발판은 중앙 로드부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축을 중심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회전이 용이하고, 사용자는 가만히 서 있는 경우 또는 주행하는 경우 원하는 발 모양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로드부를 중심으로 사용자는 발판을 H-자 형상으로 배치하여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중앙 로드부의 양측에 발판을 밀착시켜 진행 방향과 발의 방향을 일치시킬 수도 있다. 그 외에도 T-자 형상으로 양 발을 수직하게 배치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양 발을 서로 기울여 V-자 형상으로 벌어지도록 유지할 수도 있다. 이때 발판의 밑에서 캐스터는 360도 자유회전을 하거나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세를 주행 방향과 일치시켜지 않아도 용이하게 주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중앙 로드부에 대해 발판들은 좌우로 회전하지만, 부가적으로 발판들이 수평축 및/또는 중앙 로드부 종축을 중심으로 선회 또는 비틀림 운동을 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즉, 발판들이 중앙 로드부의 양단에서 수직축 및 종축에 수직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발판들이 중앙 로드부의 종축(longitudinal axis)을 중심으로 비틀림 운동(twisting)을 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이들 수평축 및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되, 토션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발판들이 선회 운동 및 비틀림 운동에 대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을 갖 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케이트 보드는 중앙 로드부, 중앙 로드부의 양단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2개의 발판들, 각 발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그 저면을 지지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탄성 지지대 및 탄성 지지대에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개의 방향성 캐스터를 포함한다.
발판 및 캐스터 사이에는 탄성 지지대가 장착된다. 평소 발판과 캐스터의 상면은 서로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지만, 주행 중 탄성 지지대에 의해서 발판과 캐스터 상면 사이에 부분적인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균형 잡기가 용이하여 무게 중심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방향 전환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방향성 캐스터는 베어링에 의한 선회축(turning axis or steering axis)을 기준으로 캐스터 휠이 편향된 위치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방향성 캐스터에서 캐스터 휠은 진행 방향의 반대편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회전하게 되며, 스케이트 보드의 진행에 대응하여 수동적으로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방향성 캐스터가 탄성 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진행 방향의 반대편으로 캐스터 휠이 치우치게 되고, 탄성 지지대의 서스펜션은 캐스터 휠을 향해 기울어진다. 탄성 지지대가 캐스터 휠 쪽으로 치우침으로써 한 발판에 있는 캐스터들이 대체로 한쪽을 향하는 경향을 가지며, 사용자는 양 발을 교차하여 원하는 추진력을 얻을 수가 있다.
이와 동일하게, 스케이트 보드는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하는 중앙 로드부, 중앙 로드부의 양단에 장착된 2개의 발판들, 그리고 각 발판에 장착되어 탄성적으로 벤딩(bending)되는 복수개의 캐스터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2개의 발판들은 각각 중앙 로드부의 양단에서 수직축과 수평축을 중심으로 각각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앙 로드부의 종축을 중심으로 일정 경계 각도 범위 내에서 비틀림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발판들은 수평축에 대해 선회 운동하거나 종축에 대해 비틀림 운동하면서, 스프링의 복원력을 받으며 그 결과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을 갖는다.
또한, 캐스터는 각각의 발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씩 장착된다. 예를 들어, 양 발판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캐스터들이 장착될 수 있지만, 한 발판에는 1개 캐스터가 장착되고 다른 발판에 2개의 캐스터들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캐스터들은 발판의 저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 고정구, 발판 고정구의 하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범위 내에서 구부러지는 탄성 연결부, 탄성 연결부의 하부에 연결된 휠 연결부 및 휠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스터 휠을 포함한다. 그리고, 캐스터 휠은 발판 고정구의 선회축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방향성 캐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탄성 연결부가 각각의 캐스터에서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한 발판에 있는 캐스터들은 대체로 한쪽을 향하는 경향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 발을 교차하여 원하는 추진력을 얻을 수가 있으며, 사용자는 몸통을 기준으로 좌우는 물론 전후 방향으로 진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걷기와 같이 움직 여 앞으로 진행할 수 있다.
대체로 복수개의 캐스터 들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할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캐스터들이 동심원 구조 상에 배치되며 제자리에서 360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기도 하다. 또한, 발판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 수직 20도(합이 40도)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종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25도(합이 50도)에서 비틀림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판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 수평 90도(합이 180도)로 회전할 수 있게 제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스네이크 보드를 이용하여 I--I 모양의 보드를 만들 수 있으며, 중앙 로드부를 늘리고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에 맞출 수 있고, 2개의 I자형 발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모두를 좌우로 회전시켜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가 있다. 또한, 움직이거나 앞 혹은 뒤로 밀어 줌으로써 진행이 가능하고, 경사면 하강이나 빠른 속도에서는 스노 보드처럼 어느 한 면을 들어 에지(edge)로 방향을 전환하거나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케이트 보드(100)는 중앙 로드부(110), 그 양단에 장착된 발판(120), 탄성 지지대(140) 및 캐스터(150)를 포함한다. 중앙 로드부(110)의 양단에는 2개의 발판(120)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발판(120)들의 하부에는 서스펜션(142)을 포함하는 탄성 지지대(140)가 제공된다. 2개의 서스펜션(142)이 탄성 지지대(140)의 양측에서 발판(120)을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좌우 이동이 발판(120)을 통해 캐스터(15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캐스터(150)는 일 방향으로 치우친 형태로 고정되며, 탄성 지지대(140)의 하부에서 360도 또는 그 이하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을 할 수가 있다.
중앙 로드부(110)는 이중 구조를 갖는다. 즉, 속이 빈 중앙 실린더(112)가 제공되며, 중앙 실린더(112)의 양측에서 슬라이딩 로드(114)들이 삽입된다. 슬라이딩 로드(114)들은 각각 중앙 실린더(112)의 내부 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호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로드(114)들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116)이 제공된다. 인장 스프링(116)은 슬라이딩 로드(114)의 안쪽 단부에 결속되며, 슬라이딩 로드(114)를 안쪽으로 잡아 당기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장 스프링(116)을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스프링이 개재되어 슬라이딩 로드를 밀어내는 척력이 작용할 수도 있고, 스프링이 중앙 실린더의 양단 및 슬라이딩 로드의 안쪽 단부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슬라이딩 로드를 안쪽으로 밀어내는 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살피면, 중앙 로드부(110)의 양단에는 회전 조인트 (132)가 장착된다. 회전 조인트(132)는 중앙 로드부(110)와 발판(1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판(120)이 중앙 로드부(110)에 대해 선회 및 비틀림을 가능하게 하는 자유도를 갖는다. 회전 조인트(132)는 슬라이딩 로드(114)의 단부에 장착되며, 중앙 실린더(112)에 대해서 종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이때 중앙 실린더(112) 및 회전 조인트(132)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이 별도로 장착될 수 있으며,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회전 조인트(132)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인트(132)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회전 조인트(132)는 발판(120)에 장착된 승강 조인트(134)에도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회전 조인트(132) 및 승강 조인트(134)는 상하를 통과하는 핀 부재에 의해서 결속될 수 있으며, 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승강 조인트(134)에는 좌우로 통과하는 핀 홀이 형성되며, 승강 조인트(134)는 발판(120)에서 상하로 선회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중앙 실린더(112) 및 회전 조인트(132)와 마찬가지로, 회전 조인트(132)와 승강 조인트(134) 사이에도 토션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으며, 승강 조인트(134) 및 발판(120) 사이에도 토션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각 조인트들은 최초 위치를 유지하려는 복원력을 가지며, 사용자는 양 발을 탄력적으로 움직이면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회전 조인트(132)는 중앙 로드부(110)의 종축(X)에 대해 약 25도 이하의 경계 각도(boundary angle range) 내에서 양방향에 대해 비틀 림 운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 각도는 설계자의 의도에 의해서 25도 또는 그 이하의 각도로 조절될 수가 있다. 계속하여, 회전 조인트(132)를 중심으로 발판(120)은 수평축(Z)을 중심으로 약 20도 이하의 경계 각도 내에서 양방향에 대해 상하로 선회 운동을 하고, 수직축(Y)을 중심으로 약 90도 이하의 경계 각도 내에서 양방향에 대해 좌우로 선회 운동을 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 로드부(110)가 탄성적으로 신축하는 구조를 갖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 로드부(110) 및 슬라이딩 로드(114) 사이를 핀(pin)이나 기타 고정구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적용 및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맞게 중앙 로드부(110)의 길이를 고정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캐스터(150)는 휠(156)을 포함하며, 휠(156)은 캐스터(150)의 선회축(W)에 대해 한쪽으로 치우친 휠 연결부(154)를 포함한다. 캐스터(150)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발판 고정구(152), 그 하부에 형성된 휠 연결부(154) 및 휠(156)을 포함한다. 휠(156)이 일 방향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휠(156)은 캐스터(150)의 진행방향에 대해 반대편에 위치한다. 휠(156)의 위치는 캐스터(150)의 진행방향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캐스터(150) 및 스케이트 보드(100) 전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한 발판(120)에 연결된 2개의 캐스터(150) 모두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호 간에 운동을 방해할 염려도 없다.
도 4는 도 1의 캐스터(150)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캐스터(150)에는 휠 브레이크(158)가 장착된다. 휠 브레이크(158)는 캐스터(150) 및 탄성 지지대(140) 사이에 장착되며,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판(120)의 후방을 눌러 발판(120) 및 탄성 지지대(140)가 뒤로 기울어지도록 한다면, 휠 브레이크(158)의 하단이 지면에 닿아 저항력을 발생할 수가 있다. 사용자는 앞뒤로 장착된 발판(120)의 휠 브레이크(158)를 전체 또는 일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스케이트 보드의 정지 또는 속도 조절의 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다.
도 5는 도 4의 캐스터와 유사한 다른 캐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휠 브레이크(159) 역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다만, 휠 브레이크(159)의 마찰면은 지면이 아닌 휠의 외주면이며 사용자는 발판(120)의 기울임과 함께 휠 브레이크(159)를 휠(156)에 밀착시킬 수가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휠 브레이크는 각각 스케이트 보드(100)에 적용될 수 있으며, 두 종류의 휠 브레이크(158, 159)를 혼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서스펜션(142)은 압축 스프링 또는 그와 등가로 사용될 수 있는 탄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지지대(140) 및 발판(120) 사이에서 양쪽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좌우 기울어짐을 지지할 수 있다. 서스펜션(142)는 상하로 압축될 수 있으며,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서스펜션(142)에 의해서 사용자는 발판(120)의 좌우 기울어짐과 전후 기울어짐을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가 있다. 참고로, 사용자는 발판(120)을 진행 방 향의 반대쪽으로 기울여 휠 브레이크(158)를 작동시킬 수가 있다. 휠 브레이크(158)는 휠(156)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일정 각도에서 회전하도록 피봇으로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스케이트 보드의 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케이트 보드(200)는 중앙 로드부(210), 중앙 로드부(210)의 양단에 장착된 발판(220) 및 캐스터(250)를 포함한다. 중앙 로드부(210)의 양단에는 2개의 발판(220)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발판(220)들의 하부에는 캐스터(250)가 제공된다. 캐스터(250)는 일 방향으로 치우친 방향성 캐스터로서, 발판(220)의 저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그 회전 범위는 360도 또는 그 이하의 제한된 범위 등 다양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 로드부(210)는 이중 구조를 갖는다. 즉, 속이 빈 중앙 실린더(212)가 제공되며, 중앙 실린더(212)의 양측에서 슬라이딩 로드들(도 9의 214 참조)이 삽입된다. 슬라이딩 로드들은 각각 중앙 실린더(212)의 내부 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호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로드들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이 제공된다. 인장 스프링은 슬라이딩 로드의 안쪽 단부에 결속되며, 슬라이딩 로드를 안쪽으로 잡아 당기는 기능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로드부(210)의 상부에는 중앙 발판(218)이 장착된 다. 중앙 발판(218)은 발을 임시로 올려 놓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차후로 중앙 로드부(210)를 보호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중앙 로드부(210)의 양단에는 회전 조인트(232)가 장착된다. 회전 조인트(232)는 중앙 로드부(210)와 발판(2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판(220)은 중앙 로드부(210)에 대해 선회 및 비틀림을 가능하게 하는 자유도를 갖는다. 회전 조인트(232)는 슬라이딩 로드의 단부에 장착되며, 중앙 실린더(212)에 대해서 종축(X)을 중심으로 비틀림 운동을 할 수가 있다. 이때 중앙 실린더(212) 및 회전 조인트(232)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이 별도로 장착될 수 있으며,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회전 조인트(232)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인트(232)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회전 조인트(232)는 발판(220)에 장착된 연결 조인트(234)에도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회전 조인트(232) 및 연결 조인트(234)는 상하를 통과하는 핀 부재에 의해서 결속될 수 있으며, 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중앙 실린더(212) 및 회전 조인트(232)와 마찬가지로, 회전 조인트(232)와 연결 조인트(234) 사이에도 토션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각 조인트들은 최초 위치를 유지하려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며, 사용자는 양 발을 탄력적으로 움직이면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앙 로드부(210)를 사이에 두고 발판(220)이 좌우 양측에서 수직하게 배열된다. 또한, 4개의 캐스터(250)들이 중앙 로드부(210)의 종축(X) 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는 사용자가 발을 평행하게 하고, 몸통의 좌측(또는 우측) 방향을 향해 진행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중앙 로드부(210)를 사이에 두고 발판(220)이 길이 방향의 양측에서 평행하게 배열된다. 하지만, 이 때에도 4개의 캐스터(250)들이 중앙 로드부(210)의 종축(X)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사용자가 진행 방향과 발을 평행하게 하고, 몸통의 전방을 향해 진행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진행 방향의 반대에 위치한 발(오른발)을 앞에 위치한 발(왼발)과 수직하게 배열함으로써 양 발판을 T-자 형상으로 배열할 수도 있으며, 양 발의 뒤꿈치를 모아 V-자 형상으로 발판을 배열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던지 캐스터(250)들은 진행 방향에 나란하게 배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기에게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양 발 또는 어느 한 발을 발판에 고정하기 위한 바인딩 장치(binding device)를 장착할 수도 있다. 바인딩 장치를 이용하여 신체의 발과 발판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스노우 보드 등에 사용되는 견고한 바인딩이나 발의 착탈이 용이한 간이형 바인딩 등 다양한 바인딩 장치가 사용될 수가 있다.
도 8은 도 6의 스케이트 보드의 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스네이크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양 발을 발판(220) 위에 올려 놓고 몸통의 전방을 향해 전진할 수가 있다. 사용자가 왼발을 축으로 오른발을 전진시킬 수 있으 며, 오른발과 함께 발판(220)도 앞으로 전진할 수도 있다. 이때 캐스터(250)들은 전진 방향과 나란하게 배향되며, 사용자는 걷는 동작과 마찬가지로 발을 교대로 전진시킬 수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 로드부(210)는 이중 구조를 가지며, 중앙 실린더(21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로드(214)가 슬라이드 이동을 하면서 중앙 로드부(210)의 길이를 신축시킬 수가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의 발판(220)이 앞으로 전진하면서 중앙 로드부(210)는 초기 길이보다 신장되며, 사용자는 부담 없이 앞으로 전진할 수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로드(214) 사이에 인장 스프링(216)을 장착하여 중앙 로드부(210)가 처음 길이로 복귀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인장 스프링(216)은 슬라이딩 로드(214)의 안쪽 단부에 결속되며, 슬라이딩 로드(214)들이 신장된 이후에 안쪽으로 잡아 당기는 기능을 하여 사용자가 직접 당지지 않아도 다시 중앙 로드부(210)가 짧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리를 벌려 밀어내는 동작이 용이한 반면, 다리를 오므리는 동작은 어렵고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인장 스프링(216)을 이용하여 다리의 스윙을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가 있다.
도 9를 살피면, 캐스터(250)는 휠(256)을 포함하며, 휠(256)은 캐스터(250)의 선회축(W)에 대해 한쪽으로 치우친 휠 연결부(254)를 포함한다. 캐스터(250)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발판 고정구(252), 그 하부에 형성된 휠 연결부(254) 및 휠(256)을 포함한다. 휠(256)의 위치는 캐스터(250)의 진행방향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캐스터(250) 및 스케이트 보드(200) 전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한 발판(220)에 연결된 2개의 캐스터(250) 모두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호 간에 운동을 방해할 염려도 없다.
도 10은 도 6의 스케이트 보드의 제자리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중앙 로드부(210)와 발판(220)이 H-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4개의 캐스터(250)들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기 위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캐스터(250)들은 휠(256)의 회전축이 모이는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 및 그 유사제품에서는 불가능하였던 제자리에서의 360도 회전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케이트 보드(200)는 비교적 급한 회전도 할 수 있으며, 롤러 스케이트 등에서 가능한 회전을 이용한 정지로 가능하다. 이는 각 캐스터(250)들이 독립적으로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며, 2개의 바퀴가 평행하게 고정된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나 2 바퀴가 일 직선 상에 놓인 스네이크 보드에서는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캐스터(250)에는 휠 브레이크(258)가 장착된다. 휠 브레이크(258)는 휠 연결부(254)에서 휠(256)의 회전축을 매개로 장착되며,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판(220)의 후방을 눌러 발판(220)이 뒤로 기울어지도록 한다면, 휠 브레이크(258)의 하단이 지면에 닿아 저항력을 발생할 수가 있다. 사용자는 앞뒤로 장착된 발판(220)의 휠 브레이크(258)를 전체 또는 일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스케이트 보드의 정지 또는 속도 조절의 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스케이트 보드의 진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스케이트 보드(300)는 중앙 로드부(310), 중앙 로드부(310)의 양단에 장착된 발판(320) 및 캐스터(350)를 포함한다. 중앙 로드부(310)의 양단에는 2개의 발판(320)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발판(320)들의 하부에는 캐스터(350)가 제공된다. 캐스터(350)는 일 방향으로 치우친 방향성 캐스터로서, 발판(320)의 저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그 회전 범위는 360도 또는 그 이하의 제한된 범위 등 다양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중앙 로드부(310)의 양단에는 회전 조인트(332)가 장착된다. 회전 조인트(332)는 중앙 로드부(310)와 발판(3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판(320)은 중앙 로드부(310)에 대해 선회 및 비틀림을 가능하게 하는 자유도를 갖는다. 회전 조인트(332)는 슬라이딩 로드(314)의 단부에 장착되며, 중앙 실린더(312)에 대해서 종축을 중심으로 비틀림 운동을 할 수가 있다. 이때 중앙 실린더(312) 및 회전 조인트(332) 사이 또는 슬라이딩 로드(314) 및 회전 조인트(332)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이 별도로 장착될 수 있으며,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회전 조인트(332)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인트(332)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회전 조인트(332)는 발판(320)에 장착된 연결 조인트(334)에도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회전 조인트(332) 및 연결 조 인트(334)는 상하를 통과하는 핀 부재에 의해서 결속될 수 있으며, 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발판(320)의 저면에는 캐스터(350)가 장착되며, 캐스터(350)는 발판 고정구(352), 탄성 연결부(353), 휠 연결부(354), 휠(356) 및 휠 브레이크(358)를 포함한다. 휠(356)은 캐스터(350)의 선회축(W)에 대해 한쪽으로 치우친 휠 연결부(354)에 장착된다. 발판 고정구(352)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발판(320)에 대해서 360도 또는 그 이하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발판 고정구(352)의 하부에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연결부(353)가 제공된다. 휠(356)의 위치는 캐스터(350)의 진행방향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캐스터(350) 및 스케이트 보드(300) 전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한 발판(320)에 연결된 2개의 캐스터(350) 모두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호 간에 운동을 방해할 염려도 없다.
하지만, 진행 방향으로 충분한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다른 캐스터와 무관하게 자유 회전하는 캐스터(350)는 오히려 진행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연결부(353)를 통해, 캐스터(350)가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캐스터(350)의 선회가 다소 제한되어 캐스터(350)들이 대체로 진행 방향에 나란하게 배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 발을 교차하여 원하는 추진력을 얻을 수가 있으며, 사용자는 몸통을 기준으로 좌우는 물론 전후 방향으로 진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걷기와 같이 움직여 앞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휠 연결부(354) 역시 베어링을 포함하며, 탄성 연결부(353)에 대해서 360도 또는 그 이하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지만, 탄성 연결부(353)가 구부러진 상태에서는 자연스럽게 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에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운동만 하게 된다.
도 13은 도 11의 스케이트 보드의 다른 진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몸통의 전방을 향해 전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몸통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캐스터(350)들로 전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우 방향이 아닌 정면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충분한 추진력을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 발을 발판(320) 위에 올려 놓고 몸통의 전방을 향해 전진할 수가 있다. 사용자가 왼발을 축으로 오른발을 전진시킬 수 있으며, 오른발과 함께 발판(320)도 앞으로 전진할 수도 있다. 이때 캐스터(350)들은 전진 방향과 나란하게 배향되며, 사용자는 걷는 동작과 마찬가지로 발을 교대로 전진시킬 수가 있다.
캐스터(350)에는 휠 브레이크(358)가 장착된다. 휠 브레이크(358)는 휠 연결부(354)에서 휠(356)의 회전축을 매개로 장착되며,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판(320)의 후방을 눌러 발판(320)이 뒤로 기울어지도록 한다면, 휠 브레이크(358)의 하단이 지면에 닿아 저항력을 발생할 수가 있다. 사용자는 앞뒤로 장착된 발판(320)의 휠 브레이크(358)를 전체 또는 일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스케이트 보드의 정지 또는 속도 조절의 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스케이트 보드의 운동방향은 사용자가 무게 중심이나 힘 방향을 어느 곳으로 두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무게 중심이나 힘 방향에 따라 방향성 캐스터의 방향이 바뀌며 중앙 로드부에 대해 최대 좌우수평 90도씩 회전할 수 있으며, 발판의 움직임이 보드의 속력에 탄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양 보드 발판의 중심부를 축으로 몸을 회전하게 된 경우 방향성 캐스터는 원심력에 따라 4개 각각이 바깥 방향으로 진행하려 하며 이에 따라 한 자리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두 발과 몸을 좌향 또는 우향으로 두어 스키와 같이 내리막 길에서 활강하는 것도 가능하고, 발 뒤꿈치를 몸쪽 안쪽으로 당겨 몸을 뒤로 기울인 채 큰 원을 그리며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바로 선 자세에서 한 발만 밖으로 90도 틀어 T-자형으로 만들 경우, 장애물이나 차도와 인도 사의의 턱을 넘기에 용이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스케이트 보드는 중앙 로드부(310), 중앙 로드부(310)의 양단에 장착된 발판(320) 및 캐스터(351)를 포함하며, 중앙 로드부(310)의 양단에는 2개의 발판(320)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발판(320)들의 하부에는 캐스터(351)가 제공된다. 캐스터(351)는 일 방향으로 치우친 방향성 캐스터로서, 발판(320)의 저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그 회전 범위는 360도 또는 그 이하의 제한된 범위 등 다양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회전 조인트(332), 중앙 실린더(312) 및 슬라이딩 로드(314) 등에 대한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발판(320)의 저면에는 캐스터(351)가 장착되며, 캐스터(351)는 발판 고정구(352), 탄성 연결부(353), 휠 연결부(355), 휠(356) 및 휠 브레이크(358)를 포함한다. 다만, 이전 실시예와는 다르게, 휠 연결부(355)가 탄성 연결부(353) 사이에 베어링이 없다. 따라서 베어링을 포함하는 발판 고정구(352)는 발판(320)에 대해서 360도 또는 그 이하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지만, 휠 연결부(355)는 탄성 연결부(35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제한된 회전 능력을 갖는다. 물론, 탄성 연결부(353) 자체적으로 비틀림 또는 변형을 갖게 하여 제한된 범위 내에서의 회전 능력을 부여할 수도 있다.
휠(356)의 위치는 캐스터(351)의 진행방향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캐스터(351) 및 스케이트 보드(300) 전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한 발판(320)에 연결된 2개의 캐스터(351) 모두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호 간에 운동을 방해할 염려도 없다. 휠 연결부(355)의 회전 능력을 제한하여 스케이트 보드의 자유로운 회전이 제한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진행 방향에 대한 충분한 추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탄성 연결부(353)를 통해, 캐스터(351)가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캐스터(351)의 선회가 다소 제한되어 캐스터(351)들에 의한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케이트 보드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우는 물론 전후 방향으로도 추진력을 발생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3개 또는 4개의 캐스터가 독립적으로 회전하 여 회전 방향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주행 중에도 발판이 캐스터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향할 수 있기 때문에 발판의 방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으며, 일 예로 H-자, II-자, T-자 및 V-자 형상 등 다양한 배치로 보딩을 즐길 수가 있다. 또한, 보딩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발판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앞으로 걸어 나아가는 동작에서 자동으로 발판 간의 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어 전진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진 지역을 내려가거나 위험 상황에서 보드를 안전하게 정지시키고 용이하게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을 용이하게 하여 위험을 쉽게 비껴나갈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중앙 로드부;
    상기 중앙 로드부의 일단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발판;
    상기 제1 발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제1 캐스터;
    상기 중앙 로드부의 타단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발판; 및
    상기 제2 발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제2 캐스터; 를 구비하는 스케이트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로드부는 복층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로드부는 중공형의 중앙 실린더, 상기 중앙 실린더의 양단으로부터 수용되어 상기 중앙 실린더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2개의 슬라이딩 로드들, 및 상기 슬라이딩 로드들 사이에서 결속되어 탄성력을 제공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판은 상기 중앙 로드부의 종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비틀림 운동을 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발판은 상기 비틀림 운동에 대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로드부의 양단에는 회전 조인트가 장착되며, 상기 회전 조인트는 상기 비틀림 운동에 대해 복원력을 갖고, 각각의 상기 회전 조인트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발판이 각각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스터는 상기 제1 또는 제2 발판의 저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 고정구, 상기 발판 고정구의 하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범위 내에서 구부러지는 탄성 연결부, 상기 탄성 연결부의 하부에 연결된 휠 연결부 및 상기 휠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스터 휠을 포함하며, 상기 캐스터 휠은 상기 발판 고정구의 선회축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 연결부는 상기 탄성 연결부의 저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스터는 상기 제1 또는 제2 발판의 저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 고정구, 상기 발판 고정구의 하부에 연결된 휠 연결부, 상기 발판 고정구의 선회축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서 상기 휠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스터 휠 및 상기 캐스터 휠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상기 발판의 기울어짐에 따라 주행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휠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로드부의 상면에는 중앙 발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10. 중앙 로드부;
    상기 중앙 로드부의 양단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2개의 발판들;
    각각의 상기 발판들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발판들의 저면을 지지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탄성 지지대; 및
    상기 탄성 지지대에 각각 독립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개의 방향성 캐스터; 를 구비하는 스케이트 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로드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회전 조인트가 장착되며, 상기 회전 조인트는 상기 비틀림 운동에 대해 복원력을 갖고, 각각의 상기 회전 조인트에는 각각의 상기 발판이 수직축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판들은 상기 중앙 로드부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인트는 상기 중앙 로드부의 종축에 대해 25도 이하의 경계 각도 내에서 양방향에 대해 비틀림 운동을 하며,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20도 이하의 경계 각도 내에서 양방향에 대해 상하로 선회 운동을 하고,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90도 이하의 경계 각도 내에서 양방향에 대해 좌우로 선회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로드부는 이중관 구조를 가져 종축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며, 조절된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로드부는 이중관 구조를 가져 종축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며, 그 내부에는 압축 또는 인장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중앙 로드부의 신축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캐스터에는 휠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상기 발판의 기울어짐에 따라 주행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휠 브레이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휠 브레이크는 상기 휠의 상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17.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하는 중앙 로드부;
    상기 중앙 로드부의 양단에서 수직축과 수평축을 중심으로 각각 선회 가능하 게 장착되며, 상기 중앙 로드부의 종축을 중심으로 일정 경계 각도 범위 내에서 비틀림 운동을 하고, 상기 발판들은 상기 수평축의 선회 운동 및 상기 비틀림 운동에 대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을 갖는 2개의 발판들; 및
    각각의 상기 발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장착되며, 각각의 상기 발판의 저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 고정구, 상기 발판 고정구의 하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범위 내에서 구부러지는 탄성 연결부, 상기 탄성 연결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휠 연결부 및 상기 휠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스터 휠을 포함하며, 상기 캐스터 휠은 상기 발판 고정구의 선회축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캐스터들;
    를 구비하는 스케이트 보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로드부는 중공형의 중앙 실린더, 상기 중앙 실린더의 양단으로부터 수용되어 상기 중앙 실린더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2개의 슬라이딩 로드들, 및 상기 슬라이딩 로드들 사이에서 결속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캐스터 휠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상기 발판의 기울어짐에 따라 주행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휠 브레이크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로드부의 상면에는 중앙 발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KR1020050103038A 2005-05-10 2005-10-31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100711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511048A JP2008539937A (ja) 2005-05-10 2006-05-04 全方向に走行可能なスケートボード
US11/920,122 US20090045598A1 (en) 2005-05-10 2006-05-04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PCT/KR2006/001683 WO2006121257A1 (en) 2005-05-10 2006-05-04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GB0723835A GB2440894A (en) 2005-05-10 2006-05-04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3015 2005-05-10
KR2020050013015 2005-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674A true KR20060116674A (ko) 2006-11-15
KR100711650B1 KR100711650B1 (ko) 2007-04-27

Family

ID=3765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038A KR100711650B1 (ko) 2005-05-10 2005-10-31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045598A1 (ko)
JP (1) JP2008539937A (ko)
KR (1) KR100711650B1 (ko)
CN (1) CN10117105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845B1 (ko) * 2006-09-05 2007-03-20 조동표 스케이트보드
KR100883343B1 (ko) * 2005-12-30 2009-02-11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갖춘 보드
KR100934776B1 (ko) * 2006-11-07 2010-01-06 박경희 후레임타입 스케이트보드
KR100946253B1 (ko) * 2007-03-29 2010-03-08 주식회사 슬로비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KR101501710B1 (ko) * 2014-11-28 2015-03-12 주식회사 럭키 인라인 구동장치와 이를 구비한 스케이트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69B1 (ko) 2006-05-10 2010-09-06 박경희 에스네이크보드
US7775534B2 (en) * 2007-11-28 2010-08-17 Razor USA, Inc. Flexible skateboard with grinding tube
US20090166993A1 (en) * 2007-12-30 2009-07-02 Flexibility Concepts, Ltd. Momentum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or carriers
KR101010015B1 (ko) 2008-01-15 2011-01-21 김홍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KR100859413B1 (ko) * 2008-08-11 2008-09-22 윤임식 스케이트 보드
US20100225080A1 (en) * 2009-03-09 2010-09-09 Shane Smith Articulated Two-piece Wheeled Sport Board with Rigid Flexible Connector
US8079604B2 (en) * 2009-05-28 2011-12-20 Surfskate Industries, Llc Skateboard providing substantial freedom of movement of the front truck assembly
DE202009007696U1 (de) 2009-05-29 2009-08-13 Chain Sports Company Zweirad-Skateboard aus Holz
IT1394607B1 (it) 2009-06-08 2012-07-05 Bolditalia S R L Perfezionamento negli sci o tavola su ruote.
US8152176B2 (en) * 2009-06-25 2012-04-10 Sbyke Usa Llc Truck assembly
US8118319B2 (en) * 2010-07-12 2012-02-21 Chao Hsieh Twisted structure for a skateboard
KR101035258B1 (ko) * 2010-07-20 2011-05-18 주식회사도담엠에스 멀티 보드
US20120091677A1 (en) * 2010-10-14 2012-04-19 Wu Chen-Sung Skateboard
US20120104715A1 (en) * 2010-11-03 2012-05-03 Joseph Michael Alotta Multi-person skateboard system
US8500145B2 (en) * 2011-01-25 2013-08-06 Chin Chen-Huang Skateboard
GB201121383D0 (en) * 2011-12-13 2012-01-25 Davis Christopher A scooter wheeling mount
KR101406294B1 (ko) 2012-10-02 2014-06-13 주식회사 아이비엔에스 변형보상장치를 갖는 이중관
US9186570B1 (en) * 2013-08-26 2015-11-17 Dennis Wells Skateboard
CN104511151B (zh) * 2013-10-08 2016-05-04 吴凤松 分体式电动滑板
US9492731B2 (en) * 2014-09-16 2016-11-1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Dual axle skateboard and truck with outboard secondary wheels and method
EP3223923A1 (en) 2014-11-26 2017-10-04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US9592434B2 (en) * 2015-04-10 2017-03-14 Mark A. Slagter Stand-on land vehicle for simulating skiing
USD770585S1 (en) 2015-05-04 2016-11-01 Razor Usa Llc Skateboard
JP1593302S (ko) 2016-09-02 2017-12-18
KR101770686B1 (ko) * 2017-01-24 2017-08-23 박종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CN117959692A (zh) 2019-03-06 2024-05-03 美国锐哲有限公司 电动滑板车
JP2022548300A (ja) 2019-09-18 2022-11-17 レイザー・ユーエスエー・エルエルシー 取外し可能なインサートを有するキャスタボード
WO2022079598A1 (en) * 2020-10-12 2022-04-21 Barenghi Matteo Modular electric vehicle
WO2022241218A1 (en) * 2021-05-14 2022-11-17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Wheelchair with multi-axis passive-active suspension actu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6267A (en) * 1976-09-20 1978-02-28 Willis Leonard Lipscomb Articulated skateboard
US4955626A (en) * 1988-01-28 1990-09-11 Smith Eric O M Skateboards
KR0160491B1 (ko) * 1990-09-06 1998-12-15 로져 윌리암 앤더슨 스케이트보드
US5505474A (en) * 1995-05-04 1996-04-09 Yeh; Hsiu-Ying Folding skateboard
KR200400918Y1 (ko) * 2005-04-21 2005-11-09 권영돈 스피드 스케이트보드
KR200400315Y1 (ko) * 2005-05-20 2005-11-04 서대수 스케이트보드
KR100573366B1 (ko) * 2005-06-01 2006-04-26 김홍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43B1 (ko) * 2005-12-30 2009-02-11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갖춘 보드
KR100697845B1 (ko) * 2006-09-05 2007-03-20 조동표 스케이트보드
KR100934776B1 (ko) * 2006-11-07 2010-01-06 박경희 후레임타입 스케이트보드
KR100946253B1 (ko) * 2007-03-29 2010-03-08 주식회사 슬로비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KR101501710B1 (ko) * 2014-11-28 2015-03-12 주식회사 럭키 인라인 구동장치와 이를 구비한 스케이트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1059A (zh) 2008-04-30
KR100711650B1 (ko) 2007-04-27
US20090045598A1 (en) 2009-02-19
JP2008539937A (ja)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650B1 (ko)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US9744402B2 (en) Balance training system
US5637058A (en) Stationary exercise apparatus
KR101629544B1 (ko) 단일 벨트 전방위 트레드밀
US5595553A (en) Stationary exercise apparatus
US4134600A (en) Roller ski apparatus with spring suspension
US20030122334A1 (en) Steerable locomotion device for sport or leisure
US4744576A (en) Roller board apparatus with independent laterally compliant surface and braking resistance
KR20070114266A (ko) 멀티 엣지 스노우보드
US20030017922A1 (en) Recreational balancing apparatus
JP2009539530A (ja) バランスボード
US7632220B2 (en) Exercise apparatus
US4132425A (en) Multi-wheel in-line roller skates
KR100672043B1 (ko) 롤러 스키
CN114450069A (zh) 用于模拟冲浪的滑板和滑板支架
KR100800570B1 (ko) 스텝보드
WO2006121257A1 (en)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WO2018127154A1 (zh) 动平衡多人协同单板滑行设备
EP0144294A1 (en) Equipment for simulating walking and running on the spot
US20190160368A1 (en) Amusement apparatus including a movable playing surface
JP2021531050A (ja) 1対のスキー板又はサーフボードを運転するための装置
KR100699082B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80025607A (ko)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KR20080042365A (ko) 스케이트 보드
KR20020028361A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