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365A - 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365A
KR20080042365A KR1020060110678A KR20060110678A KR20080042365A KR 20080042365 A KR20080042365 A KR 20080042365A KR 1020060110678 A KR1020060110678 A KR 1020060110678A KR 20060110678 A KR20060110678 A KR 20060110678A KR 20080042365 A KR20080042365 A KR 20080042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board
connecting member
board
fixing member
re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776B1 (ko
Inventor
최호성
Original Assignee
최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성 filed Critical 최호성
Priority to KR102006011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776B1/ko
Priority to PCT/KR2007/003109 priority patent/WO2008004779A1/en
Priority to EP07747131A priority patent/EP2035100A1/en
Priority to AU2007270259A priority patent/AU2007270259A1/en
Priority to US11/992,380 priority patent/US20100219597A1/en
Publication of KR2008004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02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transverse riding, i.e. with one runner or skate per foot and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전/후방보드; 전/후방보드의 하면에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되는 방향성캐스터; 전/후방보드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후방 고정부재; 및 전/후방 고정부재에 양단이 결합되되, 고정부재와 축회전 및 피벗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스케이트 보드에 의하면, 고정부재에 대하여 축회전과 피벗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전/후방보드가 서로 굽힘과 비틀림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스케이트 보드의 주행시 안정감과 추진력을 동시에 높일 수 있고, 방향전환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스케이트 보드

Description

스케이트 보드{Skateboar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케이트 보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A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고정부재 및 연결부재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B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스케이트 보드 110, 210, 310 : 전방보드
120, 220, 320 : 후방보드 130, 230, 330 : 방향성캐스터
131, 231, 331 : 연결부 132, 232, 332 : 회전암
133, 233, 333 : 바퀴 140, 240, 340 : 고정부재
141, 241, 341 : 전방고정부재 142, 242, 342 : 후방고정부재
150, 250, 350 : 연결부재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방보드가 서로 굽힘과 비틀림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주행시 안정감과 추진력을 동시에 높일 수 있고,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스케이트 보드는 사용자가 두발을 동시에 올려놓고 탈 수 있는 도구로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두 발을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전방보드와 후방보드로 나뉘어진 도 1과 같은 스케이트 보드가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10)는 전방보드(1), 후방보드(2), 방향성캐스터(3) 및 연결부재(4)를 구비한다.
종래에는 상기 전방보드(1) 또는 후방보드(2)의 하면에 방향성캐스터(3)를 구비하여, 전방보드(1) 및 후방보드(2)가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10)에 구비된 연결부재(4)는 전방보드(1)와 후방보드(2)가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부재(4)는 유연한 부재로 전방보드(1)와 후방보드(2)가 연결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케이트 보드(10)를 탈 때, 사용자의 다리 힘으로 전방보드(1)와 후방보드(2)의 간격을 지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10) 주행시, 사용자가 피로를 쉽게 느낄 수 있게 되 며, 장시간 스케이트 보드(10)를 주행하는 데 무리가 있고, 주행시 안정감 또한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후방보드가 서로 굽힘과 비틀림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주행시 안정감과 추진력을 동시에 높일 수 있으며,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케이트 보드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전/후방보드; 상기 전/후방보드의 하면에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되는 방향성캐스터; 상기 전/후방보드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후방 고정부재; 및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에 양단이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와 축회전 및 피벗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이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그 양단에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에 형성된 중공부의 직경은 상기 연결부재의 종 단면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의 중공부 내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이 그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의 중공부 내측면에 대응하는 연결부재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는, 전/후방 스케이트보드의 하측에 장착되는 고정봉이며,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 양단에 형성된 중공부의 직경은 상기 고정봉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봉의 외측면에 형성된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연결부재의 중공부 내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의 일측이 그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재의 중공부 내측면에 대응하는 전/후방 고정부재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 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케이트 보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A의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고정부재 및 연결부재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100)는 전방보드(110), 후방보드(120), 방향성캐스터(130), 고정부재(140) 및 연결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보드(110)는 사용자의 한쪽 발을 그 상면이 지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방보드(1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후방보드(120)는 상기 전방보드(110)의 일측에, 전방보드(110)와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후방보드(120)는 사용자의 다른 쪽 발이 그 상면에서 지 지되도록 한다. 후방보드(120) 또한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방향성캐스터(130)는 상기 전방보드(110) 또는 후방보드(120) 각각의 하면에 적어도 두개씩 구비된다. 이렇게 방향성캐스터(130)를 전방보드(110) 또는 후방보드(120)의 하면에 적어도 두개씩 구비함으로써, 후술할 연결부재(15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자가 스케이트 보드(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향성캐스터(130)는 연결부(131), 회전암(132), 바퀴(133)를 포함하여 전방보드(110) 또는 후방보드(120)가 주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31)는 전방보드(110) 또는 후방보드(120)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암(132) 및 바퀴(133)가 전방보드(110) 또는 후방보드(120)에 소정의 각을 갖고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암(132)은 상기 연결부(13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방보드(110) 또는 후방보드(120)의 주행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4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방보드(110)의 하면에 구비되는 전방고정부재(141) 및 후방보드(120)의 하면에 구비되는 후방고정부재(14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후방고정부재(141,142)는 그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이렇게 형성된 중공부에 후술할 연결부재(15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140)는 그 일측에 형성된 중공부에 베어링 부재(153)를 구비하며, 구비된 베어링 부재(153)의 내측으로 후술할 연결부재(150)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고정부재(140)와 후술할 연결부재(150) 사이에 베어링 부 재(153)를 구비함으로써, 스케이트 보드(100) 주행시 연결부재(150)가 고정부재(140)에 대하여 보다 부드럽게 축운동 및 피벗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안정감있게 스케이트 보드(100)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50)의 축운동은 도 4에 나타낸 "a"방향으로, 피벗운동은 도 5에 나타낸 "b"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전/후방고정부재(141,142)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50)는 그 양단에 걸림부(151)를 구비하며, 이렇게 구비된 걸림부(151)는 연결부재(150)가 전/후방고정부재(141,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부재(150)는 그 외주면에 탄성부재(152)를 더 구비하여, 전방보드(110) 및 후방보드(120)가 서로 부딪히는 일이 없이 스케이트 보드(100)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50)는 그 종단면의 길이가 상기 전/후방고정부재(141,142)에 형성된 중공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50)는 전/후방고정부재(141,142)에 대하여 축회전과 피벗운동이 가능하도록 전/후방고정부재(141,142)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부재(150)가 전/후방고정부재(141,142)에 대하여 축회전과 피벗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방보드(110) 및 후방보드(120)는 굽힘과 비틀림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100)는 주행시 방향전환이 용이하며, 추진력이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100)는 연결부 재(150)와 전/후방고정부재(141,142) 사이에 베어링 부재(153)를 구비하고, 연결부재(150)의 외주면에 탄성부재(152)를 더 구비함으로써, 주행시 스케이트 보드(100)의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100)는 안정감과 추진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B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200)는 전방보드(210), 후방보드(220), 방향성캐스터(230), 고정부재(240) 및 연결부재(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240)는 그 일측에 형성된 중공부에 탄성부재(253)를 구비하며, 구비된 탄성부재(253)의 내측으로 연결부재(250)가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비되는 탄성부재(253)는 장고형 또는 원형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렇게 고정부재(240)와 연결부재(250) 사이에 탄성부재(253)를 구비함으로써, 스케이트 보드(200) 주행시 연결부재(250)가 고정부재(240)에 대하여 보다 부드럽게 축운동 및 피벗운동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안정감있게 스케이트 보드(200)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200)의 전방보드(210), 후방보드(220), 방향성캐스터(230), 고정부재(240) 및 연결부재(25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100)의 전방보드(110), 후방보드(120), 방향성캐스터(130), 고정부재(140) 및 연결부재(150)와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300)는 전방보드(310), 후방보드(320), 방향성캐스터(330), 고정부재(340) 및 연결부재(3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340)는, 전방보드(310)의 하면에 구비되는 전방고정부재(341) 및 후방보드(320)의 하면에 구비되는 후방고정부재(342)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후방고정부재(341,342)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며, 연결부재(350)와 연결되는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전/후방고정부재(341,342)의 일측이 연결부재(350)의 양단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어, 전/후방고정부재(341,342)와 연결부재(350)가 연결된다.
여기서, 전/후방고정부재(341,342)의 종단면의 길이는 연결부재(350)에 형성된 중공부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되어, 연결부재(350)가 전/후방고정부재(341,342)에 대하여 축회전과 피벗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연결부재(350)가 전/후방고정부재(341,342)에 대하여 축회전과 피벗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보드(310,320)가 서로 굽힘과 비틀림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케이트 보드(300)의 주행시 추진력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전/후방고정부재(341,342)는 그 외주면에 탄성부재(343,344)를 구비하며, 스케이트 보드 주행시 탄성부재(343,344)의 탄성력이, 연결부재(350)의 피벗운동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안정감있게 스케이트 보드(300)를 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재(350)의 중공부 내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재(35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어링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부재는 상기 전/후방고정부재(341,342)의 일측이 그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전/후방고정부재(341,342)와 연결부재(350) 사이에 베어링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연결부재(350)가 전/후방고정부재(341,342)에 대하여 보다 부드럽게 축회전 및 피벗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재(350)의 중공부 내측면에 대응하는 전/후방고정부재(341,342)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고무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전/후방고정부재(341,342)와 연결부재(350)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연결부재(350)가 전/후방고정부재(341,342)에 대하여 보다 부드럽게 축회전 및 피벗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300)는 연결부재(350)가 전/후방고정부재(341,342)에 대하여 축회전과 피벗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전방 보드(310) 및 후방보드(320)가 굽힘과 비틀림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에 따라 스케이트 보드(300)의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300)는 연결부재(350)와 전/후방고정부재(341,342)의 사이에 베어링 부재 또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전/후방고정부재(341,342)의 외주면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주행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300)는 주행시 안정감과 추진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300)의 전방보드(310), 후방보드(320) 및 방향성캐스터(33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100)의 전방보드(110), 후방보드(120) 및 방향성캐스터(130)과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케이트 보드에 의하면,
첫째, 고정부재에 대하여 축회전과 피벗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전/후방보드가 서로 굽힘과 비틀림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케이트 보드의 주행시 추진력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방향전환이 용이하다.
둘째, 고정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부분에 베어링 부재 또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고정부재 또는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연결부재가 고정부재에 대하여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안정감있게 스케이트 보드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전/후방보드;
    상기 전/후방보드의 하면에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되는 방향성캐스터;
    상기 전/후방보드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후방 고정부재; 및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에 양단이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와 축회전 및 피벗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이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그 양단에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에 형성된 중공부의 직경은 상기 연결부재의 종단면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의 중공부 내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이 그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의 중공부 내측면에 대응하는 연결부재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는, 전/후방 스케이트보드의 하측에 장착되는 고정봉이며,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양단에 형성된 중공부의 직경은 상기 고정봉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의 외측면에 형성된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9. 제 6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중공부 내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고정부재의 일측이 그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케이트 보드.
  10. 제 6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중공부 내측면에 대응하는 전/후방 고정부재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KR1020060110678A 2006-07-04 2006-11-09 스케이트 보드 KR10089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678A KR100893776B1 (ko) 2006-11-09 2006-11-09 스케이트 보드
PCT/KR2007/003109 WO2008004779A1 (en) 2006-07-04 2007-06-27 Skateboard
EP07747131A EP2035100A1 (en) 2006-07-04 2007-06-27 Skateboard
AU2007270259A AU2007270259A1 (en) 2006-07-04 2007-06-27 Skateboard
US11/992,380 US20100219597A1 (en) 2006-07-04 2007-06-27 Skate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678A KR100893776B1 (ko) 2006-11-09 2006-11-09 스케이트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365A true KR20080042365A (ko) 2008-05-15
KR100893776B1 KR100893776B1 (ko) 2009-04-20

Family

ID=3964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678A KR100893776B1 (ko) 2006-07-04 2006-11-09 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7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125B1 (ko) * 2009-10-15 2010-04-28 박병수 다기능 보드
WO2012067456A2 (ko) * 2010-11-17 2012-05-24 Ko Young Seung 스케이트 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886U (ko) * 1988-07-01 1990-01-24
KR200361421Y1 (ko) * 2004-04-12 2004-09-14 문명일 앞방향 스케이트 보드
KR20060035851A (ko) * 2004-10-21 2006-04-27 문원식 아이스 보드
KR20060019495A (ko) * 2005-04-25 2006-03-03 최호성 스케이트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125B1 (ko) * 2009-10-15 2010-04-28 박병수 다기능 보드
WO2012067456A2 (ko) * 2010-11-17 2012-05-24 Ko Young Seung 스케이트 보드
WO2012067456A3 (ko) * 2010-11-17 2012-09-13 Ko Young Seung 스케이트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776B1 (ko) 200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9160B (zh) 双向推进脚轮
KR100711650B1 (ko)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JP4411200B2 (ja) スケートボード
JP5449538B2 (ja) 前部台車アセンブリの動作の自由度が大きいスケートボード
US8424882B2 (en) Skateboard truck
KR101572635B1 (ko) 주행모드 변환 가능한 보드
KR100818786B1 (ko) 스케이트보드
US20200155920A1 (en) Skateboard
KR20080042365A (ko) 스케이트 보드
US20100219597A1 (en) Skateboard
KR100591876B1 (ko) 스케이트 보드
WO2006121257A1 (en)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KR20120000804U (ko) 스케이트 보드
KR100699082B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80003088U (ko) 스케이트 보드
JPS58501755A (ja) ロ−ラ−スケ−ト
KR200420911Y1 (ko) 방향성 캐스터 및 그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스케이트 보드
CN111195428B (zh) 滑板
KR100896961B1 (ko) 스케이트 보드
CN202054123U (zh) 一种踏板偏转装置及带有踏板偏转装置的滑板车、滑板
JP3159051U (ja) スケートボード
KR20240020461A (ko)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
KR20050028519A (ko) 조향이 자유로운 스케이트보드
CN202199045U (zh) 游乐旋转球
KR200435436Y1 (ko) 스케이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