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461A -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461A
KR20240020461A KR1020220098497A KR20220098497A KR20240020461A KR 20240020461 A KR20240020461 A KR 20240020461A KR 1020220098497 A KR1020220098497 A KR 1020220098497A KR 20220098497 A KR20220098497 A KR 20220098497A KR 20240020461 A KR20240020461 A KR 20240020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air
board
deck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현
Original Assignee
최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현 filed Critical 최재현
Priority to KR1020220098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461A/ko
Priority to PCT/KR2023/009699 priority patent/WO2024034871A1/ko
Publication of KR2024002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63C17/015Wheel arrangement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52Direct actuation of steering of roller skate or skateboards, e.g. by a foot plate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는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데크, 제1 방향을 따라 데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 및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고 데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는 각각 데크에 고정되는 제1 휠 장착부 및 제1 휠 장착부에서 데크의 폭방향이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휠을 구비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는 데크에 고정되는 제2 휠 장착부, 제2 휠 장착부 상에서 제2 휠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휠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BOARD AND WHEELS ASSEMBLY FOR BOARD}
본 개시는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보드는 긴 판자 형태의 데크에 휠이 장작된 이동 기구로서, 데크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스케이트보드(skateboard), 롱보드(longboard), 크루저보드(cruiser board)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노우보드에 비하여 보드는 대중적인 활성화되어 있지 않지만, 해외에서는 보드 관련하여 상당한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도 롱보드를 중심으로 보드에 관심이 증가하면서 보드를 즐기는 인구도 크게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보드는 데크에 장착되는 휠이 직진 방향으로만 구동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운동을 구현하는 데에 다소 제약이 따른다. 예를 들어, 스노우보드의 경우 방향 전환이 용이하여 여러 방향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반면에, 일반적으로 보드는 이러한 운동의 구현이 어렵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 개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2005-0028519호(특허문헌 1)에는 롤러형 바퀴를 이용하여 조향이 자유로운 스케이트보드가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공보 제10,661,151호(특허문헌 2)에는 중앙 휠을 두어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실제 자연스러운 회전 운동 구현이 쉽지 않고, 특허문헌 2에 따르면 보드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정지 상태에서 사용자가 데크 상에 올라설 때 안정적으로 중심을 잡고 서 있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공개특허공보 제2005-0028519호 (2005. 3. 23) 공개특허공보 제2003-0022259호 (2021. 2. 25)
본 개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자유로운 회전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보드와 보드용 휠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정지 시에도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가능한 보드와 보드용 휠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도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는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데크, 제1 방향을 따라 데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 및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고 데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는 각각 데크에 고정되는 제1 휠 장착부 및 제1 휠 장착부에서 데크의 폭방향이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휠을 구비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는 데크에 고정되는 제2 휠 장착부, 제2 휠 장착부 상에서 제2 휠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휠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휠과 데크 사이의 거리는 제1 휠과 데크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거리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르는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는 제2 휠 장착부에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휠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제2 휠은 각각 한 쌍의 휠 지지부 상에서 한 쌍의 휠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는 제2 휠 장착부에 대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휠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휠 연결부 각각에 한 쌍의 제2 휠이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휠 장착부에서 한 쌍의 제2 휠이 장착되는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휠 연결부 각각에는 일측에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부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2 휠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부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2 휠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부에는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을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는 한 쌍의 제2 휠이 제1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상태에서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2 휠 및 한 쌍의 휠 연결부는 외력에 의해 제2 휠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가 오목부로 이동하면서 한 쌍의 제2 휠 및 한 쌍의 휠 연결부가 제1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 상에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기 위한 바인더가 장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용 휠 어셈블리는 보드의 데크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휠 장착부, 휠 장착부 상에서 휠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휠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용 휠 어셈블리는 휠 장착부에 대하여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휠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휠 연결부 각각에 한 쌍의 휠이 장착될 수 있고, 휠 장착부에서 한 쌍의 휠이 장착되는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휠 연결부 각각에는 일측에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부에는 양측을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휠 어셈블리 사이에 추가적으로 회동 가능한 휠을 포함하는 휠 어셈블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자유로운 회전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가 정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휠 어셈블리 사이에 구비되는 추가적인 휠 어셈블리의 한 쌍의 휠이 지면에 닿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일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제2 휠 어셈블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제2 휠 어셈블리의 휠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일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일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되는 경우,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중간에 개재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개시와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통해 지시되어 있으며,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설명에서 특정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이는 그러한 구성요소가 해당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위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개시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범위는 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100)는 데크(110), 제1 휠 어셈블리(120) 및 제2 휠 어셈블리(13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100)의 데크(110)는 길게 연장된 널빤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크(110)가 길이방향(제1 방향) 양측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데크(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휠 어셈블리(120)는 데크(110)의 저면에 장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120)가 데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120)는 데크(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휠 어셈블리(120)는 제1 휠 장착부(121) 및 제1 휠(123)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휠 어셈블리(120)의 제1 휠 장착부(121)는 데크(1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휠 장착부(121)는 데크(110)의 폭방향(제2 방향)을 기준으로 데크(110)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고, 폭방향을 따라 양 측으로 분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 휠 장착부(121)에 제1 휠(123)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휠 장착부(121)에서 양측으로 분기된 한 쌍의 축에 각각 제1 휠(123)이 장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휠(123)은 제1 휠 장착부(121)에서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휠 어셈블리(130)는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120) 사이의 위치에서 데크(110)의 저면에 장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2 휠 어셈블리(130)가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120) 사이에서 데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휠 어셈블리(130)는 데크(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2 휠 어셈블리(130)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13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130)가 데크(110)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일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제2 휠 어셈블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휠 어셈블리(130)는 제2 휠 장착부(131), 한 쌍의 휠 지지부(133), 한 쌍의 휠 연결부(135) 및 한 쌍의 제2 휠(13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휠 어셈블리(130)의 제2 휠 장착부(131)는 데크(1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휠 장착부(131)는 데크(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데크(110)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고, 폭방향을 따라 양 측으로 분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2 휠 장착부(131)에 한 쌍의 휠 지지부(133)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2 휠 장착부(131)가 양측으로 분기된 영역에 각각 휠 지지부(133)가 장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휠 지지부(133)는 하나의 제2 휠 장착부(131)에서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휠 지지부(133)는 탄력 있고 유연한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휠 지지부(133)에 제2 휠(137)이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휠(137)은 휠 연결부(135)를 통해 휠 지지부(133)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휠(137)은 휠 지지부(13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휠 연결부(135)는 휠 지지부(133)에 대하여 제1 방향(데크 길이방향)과 제2 방향(데크 폭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2 휠(137)은 휠 연결부(135)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그 결과 제2 휠(137)이 휠 지지부(133)에 대하여 제3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휠 연결부(135)에 나사 관통홀이 형성되고, 휠 지지부(133)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나사가 휠 연결부(135)의 나사 관통홀에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휠 연결부(135)의 나사 관통홀에 나사가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 헤드가 나사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휠 연결부(135)가 이탈하지 않으면서 휠 연결부(135)가 나사를 축으로 휠 지지부(13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휠(137)이 휠 지지부(13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제2 휠(137)을 회동 조작하는 방식으로 보드(100)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100)는 아래와 같이 사용자가 제2 휠(137)의 회동을 손쉽게 제어함으로써 진행 방향을 쉽고 자연스럽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휠 지지부(133)에는 일측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휠 지지부(133)에서 데크(110)의 길이방향(제1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목부는 휠 지지부(133) 각각에서 보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는 휠 지지부(133)의 대략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되, 데크(110)의 폭방향(제2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목부의 경사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의 경사면은 부드럽게 이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오목부의 경사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의 곡면으로(즉,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목부의 경사면은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면으로(즉,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오목부는 휠 지지부(133)의 대략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형성되되, 후방으로 향하면서 폭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는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휠 연결부(135)의 일측에는 탄성부재(139)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휠 연결부(135)에서 데크(110)의 길이방향(제1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탄성부재(139)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39)는 휠 연결부(135) 각각에서 보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139)는 휠 연결부(135)에서 휠 지지부(133)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휠 지지부(133)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39)는 보드(100)가 직진하는 경우, 즉 제2 휠(137)이 데크(110)의 길이방향(제1 방향)을 따라 정렬된 경우를 기준으로, 휠 지지부(133)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탄성부재(139)의 길이는, 탄성부재(139)가 설치되는 휠 연결부(135)의 설치면에서 휠 지지부(133)의 저면, 즉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면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탄성부재(139)의 길이는, 탄성부재(139)가 설치되는 휠 연결부(135)의 설치면에서 휠 연결부(135)의 오목부가 형성된 면까지의 거리, 더욱 구체적으로는, 휠 연결부(135)의 오목부 중 가장 깊게 형성된 부분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139)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재(139)가 탄성을 갖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제2 휠 어셈블리의 휠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보드(100)가 직진하는 상태에서의 제2 휠 어셈블리(130)의 배치를 나타내며, 도 8은 보드(100)가 회전하는 상태에서의 제2 휠 어셈블리(130)의 배치를 나타낸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보드(100)가 직진하는 상태에서는 제2 휠 어셈블리(130)의 휠 연결부(135) 및 제2 휠(137)이 데크(110)의 길이방향(제1 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이때, 휠 연결부(135)에 설치된 탄성부재(139)는 휠 지지부(133)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139)의 길이는 탄성부재(139)가 설치되는 휠 연결부(135)의 설치면에서 휠 연결부(135)의 오목부 중 가장 깊게 형성된 부분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이보다 짧게 형성되므로, 탄성부재(139)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휠 지지부(133)의 오목부와 접하거나 이에 떨어져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드(10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일 측방향으로 하중을 인가하여 회전 조작하게 되면, 하중이 인가되는 측의 제2 휠 어셈블리(130)에 힘이 전달되면서 제2 휠 어셈블리(130)의 휠 연결부(135)와 제2 휠(137)이 회동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위와 같이 사용자가 보드(100)를 회전 조작하는 경우, 제2 휠 어셈블리(130)의 휠 연결부(135) 및 제2 휠(137)이 회동하여 데크(110)의 폭방향(제2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제2 휠 어셈블리(130)의 휠 연결부(135)와 제2 휠(137)이 회동함에 따라 휠 연결부(135)에 설치된 탄성부재(139)는 압축되면서 휠 지지부(133)의 오목부를 벗어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성부재(139)는 오목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압축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오목부를 벗어나 휠 지지부(133)에서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저면에 압축된 상태로 접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회전 조작이 종료되면, 즉 측 방향으로의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39)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탄성부재(139)의 압축이 해제되도록 탄성부재(139)가 오목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39)의 복귀에 따라 휠 연결부(135) 및 제2 휠(137)이 보드(100)가 직진하는 방향, 즉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정렬하게 된다.
이처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휠 지지부(13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연결부(135) 및 제2 휠(137)을 구비하는 제2 휠 어셈블리(130)의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손쉽게 보드(10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고 자연스러운 회전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휠 연결부(135)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39)와 휠 지지부(133)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조합에 의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 예를 들어 스노우보드에서와 같이 측방향으로 하중을 인가하는 조작에 의해 보드(100)의 진행 방향을 손쉽고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100)에서, 제2 휠 어셈블리(130)의 제2 휠(137)은 지면에 닿는 반면에 제1 휠 어셈블리(120)의 제1 휠(123)은 지면에 대하여 떠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휠 어셈블리(130)의 제2 휠(137)과 데크(110) 사이의 거리는 제1 휠 어셈블리(120)의 제1 휠(123)과 데크(110)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2 휠 어셈블리(130)의 제2 휠(137)의 저면과 데크(110)의 저면 사이의 거리는 제1 휠 어셈블리(120)의 제1 휠(123)의 저면과 데크(110)의 저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거리는 데크의 길이방향(제1 방향)과 폭방향(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르는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드(100)가 정지하고 있거나 보드(100)가 직진 운동하는 상태에서는 제1 휠 어셈블리(120)의 제1 휠(123)은 지면에 떠 있는 상태를 가지며, 제2 휠 어셈블리(130)의 제2 휠(137)만이 지면에 접하여 보드(100)의 운동에 관여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보드(100)의 회전을 위하여 일측으로 하중을 인가하게 되면, 보드(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휠 어셈블리(130)의 제2 휠(137)이 일 방향(즉, 사용자가 회전을 의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동일한 측에 배치된 제1 휠(123)이 지면에 접하면서 사용자가 의도한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할히 하는 데에 기여한다.
이처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휠 어셈블리(120)의 제1 휠(123)은 보드(100)의 회전 운동 시에만 지면에 접하여 이동에 관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2 휠(137)이 원활히 회동할 수 있어 손쉽고 자연스러운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100)는 데크(110) 상에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기 위한 바인더(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보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보드의 제2 휠 어셈블리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일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제2 휠 어셈블리(230)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휠 장착부(231), 한 쌍의 휠 지지부(233), 한 쌍의 휠 연결부(235), 한 쌍의 제2 휠(237) 및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각각의 휠 지지부(233)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휠 지지부(233)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휠 연결부(235)의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는 정지 또는 직진 방향 주행 시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다가, 회동 시 오목부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형태로 회동하게 되며, 이후 다시 직진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휠 지지부(233)의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일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제2 휠 어셈블리(330)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휠 장착부(331), 한 쌍의 휠 연결부(335), 한 쌍의 제2 휠(337) 및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휠 어셈블리(330)는 휠 지지부 없이 제2 휠 장착부(331)에 휠 연결부(335) 및 제2 휠(337)이 직접 장착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휠 연결부(335)가 휠 지지부와 같은 중간 매체 없이 제2 휠 장착부(331)에 직접 체결, 예를 들어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휠 장착부(331)에는 앞선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제2 휠(337)이 장착되는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목부의 위치, 형상 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를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개시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휠 어셈블리(130)는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130)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바깥쪽(즉,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보드(100)에서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휠 어셈블리(130)를 보드가 아닌 다른 운동 기구에 적용하여, 해당 운동 기구의 손쉽고 자연스러운 회전 운동을 구현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개시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보드
110: 데크
120: 제1 휠 어셈블리
121: 제1 휠 장착부
123: 제1 휠
130: 제2 휠 어셈블리
131, 231, 331: 제2 휠 장착부
133, 233: 휠 지지부
135, 235, 335: 휠 연결부
137, 237, 337: 제2 휠
139: 탄성부재

Claims (14)

  1.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데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데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 사이 또는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데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휠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데크에 고정되는 제1 휠 장착부 및 상기 제1 휠 장착부에서 상기 데크의 폭방향이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휠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는 상기 데크에 고정되는 제2 휠 장착부, 상기 제2 휠 장착부 상에서 상기 제2 휠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휠을 구비하는,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휠과 상기 데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휠과 상기 데크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거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르는 거리로 정의되는, 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는 상기 제2 휠 장착부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휠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휠은 각각 상기 한 쌍의 휠 지지부 상에서 상기 한 쌍의 휠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휠 어셈블리는 상기 제2 휠 장착부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휠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휠 연결부 각각에 상기 한 쌍의 제2 휠이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휠 장착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휠이 장착되는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휠 연결부 각각에는 일측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휠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보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휠의 양측에 형성되는, 보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을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보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2 휠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상태에서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휠 및 상기 한 쌍의 휠 연결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휠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오목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제2 휠 및 상기 한 쌍의 휠 연결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보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상에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기 위한 바인더가 장착되는, 보드.
  12. 보드용 휠 어셈블리로서,
    보드의 데크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휠 장착부,
    상기 휠 장착부 상에서 상기 휠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휠을 구비하는,
    보드용 휠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휠 장착부에 대하여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휠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휠 연결부 각각에 상기 한 쌍의 휠이 장착되고,
    상기 휠 장착부에서 상기 한 쌍의 휠이 장착되는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휠 연결부 각각에는 일측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보드용 휠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양측을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보드용 휠 어셈블리.
KR1020220098497A 2022-08-08 2022-08-08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 KR20240020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497A KR20240020461A (ko) 2022-08-08 2022-08-08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
PCT/KR2023/009699 WO2024034871A1 (ko) 2022-08-08 2023-07-07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497A KR20240020461A (ko) 2022-08-08 2022-08-08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461A true KR20240020461A (ko) 2024-02-15

Family

ID=8985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497A KR20240020461A (ko) 2022-08-08 2022-08-08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0461A (ko)
WO (1) WO202403487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259A (ko) 2003-02-27 2003-03-15 심한섭 롤러보드의 트럭
KR20050028519A (ko) 2003-09-18 2005-03-23 김찬수 조향이 자유로운 스케이트보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252A (en) * 1996-09-20 1998-11-10 Strand; Steen Lateral sliding roller board
US6419249B1 (en) * 2001-07-20 2002-07-16 Sheng-Huan Chen Roller board with a pivoting roller unit which is adapted to provide enhanced stability during turning movement
KR200360796Y1 (ko) * 2004-06-09 2004-09-01 (주) 미디어어드벤스트 발걸이구와 압축스프링의 위치조정구조를 가진 마운틴 보드
ES2546702B5 (es) * 2015-06-15 2022-01-26 Drysurf S L Conjunto desmontable para monopatín
US10322332B2 (en) * 2016-12-30 2019-06-18 Steen Strand Laterally-sliding board with bifurcated truc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259A (ko) 2003-02-27 2003-03-15 심한섭 롤러보드의 트럭
KR20050028519A (ko) 2003-09-18 2005-03-23 김찬수 조향이 자유로운 스케이트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4871A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038B2 (en) Bi-directional propulsion caster
EP1511541B1 (en) Skateboard with direction-caster
US4930794A (en) Toy skateboard with steerable truck assemblies
US6428022B1 (en) Inline skateboard
JP5449538B2 (ja) 前部台車アセンブリの動作の自由度が大きいスケートボード
US7159879B2 (en) Braking and steering system for a truck, wheeled platform, skateboard or vehicle
KR200410530Y1 (ko) 스케이트보드
US4084831A (en) Skateboard with control unit
US5492345A (en) Self propelled roller skate
US5052702A (en) Toy skateboard with steerable truck assemblies
US20110148055A1 (en) Skateboard truck
KR100818786B1 (ko) 스케이트보드
US6832765B1 (en) Steerable in-line skates
KR20240020461A (ko) 보드 및 보드용 휠 어셈블리
JP3233775U (ja) サーフィン練習用スケートボード
KR20060028452A (ko) 스케이트 보드
KR20060082830A (ko) 스케이트보드
WO2009128586A1 (en) Skateboard having good property in torsion and bending
KR100806228B1 (ko) 스케이트 보드
KR102254346B1 (ko) 롤러 스케이트용 또는 스케이트 보드용 서스펜션 트럭
JP3021984U (ja) スケートボード
KR101238419B1 (ko)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US20090325461A1 (en) Toy
JP2023003113A (ja) サーフィン練習用スケートボード
KR20020028361A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