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343B1 -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갖춘 보드 - Google Patents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갖춘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343B1
KR100883343B1 KR1020060033379A KR20060033379A KR100883343B1 KR 100883343 B1 KR100883343 B1 KR 100883343B1 KR 1020060033379 A KR1020060033379 A KR 1020060033379A KR 20060033379 A KR20060033379 A KR 20060033379A KR 100883343 B1 KR100883343 B1 KR 100883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aster
steering
roll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2310A (ko
Inventor
장병수
장병택
Original Assignee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7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는 지면에 밀착되어 독립적으로 자유 조향이 가능한 한 쌍의 캐스터수단(230)을 보드(1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조향수단(210)의 양측에 상호 대응되도록 결합하여 무게 또는 힘의 변위를 통하여 보드(10)에 반복적인 롤링을 부여하여 조향수단(210)을 중심으로 한 쌍의 캐스터수단(230)이 한정적인 각도로 상호 엇갈리면서 자발적인 전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캐스터, 스케이드보드, 자발적, 전진, 탄성부재, 베어링

Description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rolling the multiplex directivity where the voluntary advance is board which it equips the wheel}
도 1은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나타낸 저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a,b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일방향 위치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일체형 보드에 적용했을 경우 전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7a,b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 를 갖춘 보드의 일체형 보드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8a,b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X도 9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에 적용하여 다양한 자세로 운전을 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진용 캐스터 100 : 보드
100a : 전방보드 100b : 후방보드
110 : 지지대 111 : 경사면
112 : 고정편 113 : 연결대
200 : 조향수단 210: 조향부재
211 : 조향편 212 : 베어링
213 : 메인조향축 214 : 지지공
215 : 연장플레이트 216 : 접지플레이트
216a : 결합면 217 : 힌지축
218 : 보조 캐스터수단 219 : 스프링
220 : 탄성부재 300 : 캐스터수단
310 : 베어링 320 : 서브조향축219
330 : 브라켓 331 : 스토퍼
332 : 스프링 340 : 일방향 회전수단
341 : 레칫기어 342 : 멈춤키
350 : 캐스터 351 : 중심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드의 롤링 운동에 의해 파형의 동선으로 다중 방향성 캐스터가 자발적인 전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케이트보드는 운전자의 한쪽 발을 바퀴가 부착된 보드에 지지한 다음 진행 방향으로 다른 쪽 발을 지면에서 밀어 추진력을 부여하고 가속이 붙은 상태에서 두발을 보드의 상면에 올린 상태에서 앞발과 뒷발의 위치점을 상호 역방향으로 번갈아 교차시켜 스케이트보드가 파형적 동선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삭제
스케이트보드에서 운전자 스스로 지면을 발로 굴러 인위적인 추진력을 발생시켜 전진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스케이트보드의 전진력에 한계가 있어 운동에 대한 흥미성을 떨어뜨렸으며, 캐스터의 독립적 조향 회전이 불가능하여 조향능력이 떨어져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 들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운전자가 발로 지면을 구르지 않고 보드를 반복적으로 비틀림 운동시켜 전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보드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보드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2003-25663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앞보드(10)와 뒷보드(20)를 이격상태로 고정시키는 연결요소를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보드(10,20)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레이트(11,21)의 저면에 부착되는 1 이상의 방향성 캐스터(13,2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요소는 비틀림 또는 굽힙 탄성복원 할 수 있도록 탄성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케이트보드는 운전자가 앞보드(10)상의 발을 진행방향의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앞보드(10)의 방향성 캐스터(13)의 롤러아암(35)은 그 반대방향인 왼쪽으로 돌아가게 되고 롤로(36)는 오른쪽을 향하여 구르게 됨으로써 오른쪽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반대로 운전자가 뒷보드(20)상의 발을 진행방향의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뒷보드(20)의 방향성 캐스터(23)의 롤러아암(25)은 반대방향인 왼쪽으로 돌아가고 롤러(26)는 오른쪽을 향하여 구르게 되며 뒷보드(20)가 오른쪽 회전을 하는 결과 전체적으로 왼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두 경우를 바탕으로 앞보드(10)는 진행방향의 오른쪽으로 기울이고 뒷보드(20)는 왼쪽으로 기울이면 전체적으로 작은 반경의 오른쪽 회전이 이루어져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는 분리된 앞보드(10)와 뒷보드(20)에 단수개로 캐스터(13,23)를 각각 장착시킴에 따라 연결요소를 통하여 앞보드(10)와 뒷보드(20)의 비틀림력을 발생시킬 수는 있으나, 보드의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 스케이스보드를 타기가 까다롭고, 장시간의 숙련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초보자의 경우 쉽게 흥미감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보드의 운행이 시작 또는 끝나는 시점에서는 운행속도가 “0”에 가까워 보드의 평형감과 균형감을 유지하기가 더욱 곤란하여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유발 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앞보드(10)에 단수개의 캐스터(13,23)를 장착하고 뒷보드(20)에 한 쌍의 캐스터를 대응되게 장착한 경우 보드의 안전성은 보장 받을 수 있으나, 독립적으로 장착된 한 쌍의 캐스터(13,23)의 지지력에 의해 뒷보드(20)에 비틀림을 발생시킬 수 없어 보드의 전진력을 발생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보드의 운행 중 뒷 보드(20)에 비틀림을 무리하게 부여하여 기울일 때 시소현상에 의해 한 쌍의 캐스터 중 하중을 부담하는 캐스터의 반대방향 캐스터가 지면에서 뜨게 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즉, 운전자가 보드(10,20)의 전진을 위하여 보드(10,20)를 한쪽 방향으로 기울일 때 보드(10,20)의 하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캐스터(13)에 무게 중심이 한 쪽 방향의 캐스터(13)에만 집중되면서 시소현상으로 반대방향의 캐스터(13)가 지면에서 뜨게 됨에 따라 보드(10,20)의 균형성 및 평형성을 잃게 하여 보드(10,20)가 쉽게 전복되어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보드의 전복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스케이트보드의 회전반경이 크게 하여 운전할 수밖에 없어 스케이트보드의 스피드와 순간적 조향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보드의 탄성체(65)는 보드(10,20) 자체에 직접적으로 전진력을 발생시 키는 수단이 아니라, 앞보드(10) 뒷보드(20)의 롤링을 탄력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간접적인 도움만을 주도록 한 것으로, 보드(10,20)의 전진력에 있어 직접적인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은 아니기 때문에 보드의 전진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1541호는 분리된 앞 뒤 보드를 이격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두개의 보드와, 상기 보드의 하부에 장착되는 고정식바퀴 및 상기 보드의 하부면에 결합 고정되며 하부면 중앙에 삽입공을 구비한 피붓된 고정구와, 상기 피봇된 고저구의 내부에 수용되고 삽입공에 끼워져 보드의 평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어 회전하는 피봇핀과, 상기 양 보드를 수평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피봇된 고정구의 하부면에 놓여져 상기 피봇핀과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양 보드의 피봇회전시 프레임부재와 걸려 회전각이 제한되도록 보드의 하부면에 결합고정되는 지지핀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드를 연결부재에 대해여 수직의 피봇핀을 중심으로 피봇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드의 이동에 상응하는 바퀴의 운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피봇프레임 양측에 피봇고정구 및 피봇핀에 의해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보드를 전진시 각 보드에 롤링을 발생시켜 전진하는 방법이 아닌 한 쌍의 보드를 사행운동(蛇行運動)으로 파형적 전진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보드는 한 쌍의 보드에 직접적인 사행운동을 통하여 전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드의 평형성과 균형성을 유지하기가 곤란하여 스케이스보드를 운행하기가 까다롭고, 장시간의 숙련 시간을 소요시킴으로써 초보자의 경우 쉽게 흥미감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74891호는 체결판(10)과 상기 체결판(10)에 고정되는 지지축(20)과, 상기 지지축(20)에 고정되며 양 끝부분에 보드 휠(31)이 부착되는 휠 축(30)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캐스터(40)를 설치하되 상기 캐스터(40)는 지지축(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41)과, 상기 회전링(41)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브라켓(42)과, 상기 브라켓(42)의 끝부분에 축 결합되는 캐스터휠(43)로 구성된다.
그러나, 체결판(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동부(50)가 설치된 캐스터(40)에 의해 스케이트보드용 트럭과 지면과의 접지력이 높아져 주행에 대한 인장감을 증가시킬 수는 있으나, 스케이트보드의 스피드 향상에 있어서 캐스터(40)가 스케이트보드의 조향 방향에 따라 수동적으로 연동할 뿐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진력 향상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고, 통상의 스케이트보드에 캐스터를 추가로 장착함에 따라 지면과의 접지면적을 높여 스케이트보드의 전진력을 오히려 감소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48075호에서 제시된 롤러보드는 전방보드의 후방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방보드, 상기 전,후방보드를 연결하는 연결체, 상기 전,후방보드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롤러가 지지되는 아암, 상기 아암을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볼트와 너트 및 상기 롤러의 회전을 억제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브레이크유닛은 상기 아암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장공을 따라 승하강되는 브레이 크샤프트와, 상기 브레이크샤프트를 통해 롤러를 가압해주는 가압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롤러보드는 후방보드 및 전방보드의 하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아암(320a,320b)을 통하여 롤러(330a,330b)를 결합시키되 아암(320a,320b)에서 롤러가 구름회전만이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함에 따라, 롤러 보드가 코너링을 할 때 선회 반경이 상당히 큰 단점이 있었다.
이는, 롤러보드를 주행 도중 급박한 상황이 발생 될 경우 속도를 정지시키지 않고 롤러보드를 급선회시키기가 힘들어 안전사고 유발의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더불어, 롤러보드는 전방보드와 후방보드의 하면부에 회전가능한 한 쌍의 아암(320a,320b)과 비틀림스프링(220a,222a)을 통하여 롤링작동과, 한 쌍의 수평스프링(260a,260b)으로 좌,우 방향 굽힘 작동이 이루어져 롤러보드를 전진시키게 되나, 각각의 보드에 두 발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롤링작동 및 굽힘작동을 동시에 실행하기가 어려워 롤러보드에서 중심 잡기가 난해한 문제점을 발생시켜 보드를 쉽게 배우기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렇듯, 좌.우 방향으로의 굽힙 및 롤링을 행하며 전진력을 발생시킬 때 사용자가 롤러보드에서 평행성의 분력을 유지하기가 어려워 주행 도중 크고 작은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높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하중체를 얹은 보드에 무게중심 또는 힘의 이동을 통해 보드에 롤링을 부여하여 인위적인 추진력이나 지면에서 도움받기가 필요없이 보드 하부면에 다중 방향성 전진용 캐스터의 자발적인 전진이 가능하도록 하 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향수단에 베어링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조향부재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독립적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한 쌍의 캐스터수단을 조향수단의 양측에 대응되게 결합하여 2 이상의 다중 방향성을 제공하여 보드의 부드러운 조향능력 및 순간적인 급선회 조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캐스터로 이루어진 캐스터수단을 조향수단에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보드를 롤링시켜 한쪽으로 기울여도 한 쌍의 캐스터가 지면에서 뜨는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자연스러운 보드의 좌,우 롤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운전자가 보드를 운행할 수 있으며, 보드를 급선회하거나 운행속도가 “0” 일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보드가 지면에서 중심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초보자도 쉽게 흥미를 갖으며 안전하게 운행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드의 롤링에 의해 지면에서 상호 엇갈리게 전진하는 전진용 캐스터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한 쌍의 캐스터수단이 전진위치를 자발적으로 엇갈리게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드의 자발적 이동성의 향상과 더불어 전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드의 롤링에 의해 한 쌍의 캐스터수단이 조향수단을 중심으로 전진방향으로 상호 엇갈리며 회전할 때 무게 중심의 지지점인 캐스터가 후방으로 밀리거나 공회전 되지 않도록 레칫을 캐스터에 내부에 설치하여 자발적 전진력의 손실을 방지하여 보드의 전진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는 다중 방향성 캐스터 방식을 적용시킴으로써, 보드의 급선회, 순간적 방향전환 및 적은 선회 반경 및 제자리에서 360°회전이 가능하여 코너링을 할 때에도 부드럽고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에 한 쌍의 캐스터로 이루어진 조향수단을 각각 장착하여 지면과의 접지력 및 보드의 수평상태를 항상 유지하도록 하여 보드를 쉽게 배우고 탈 수 있도록 하여 보드의 대중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보다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는 하부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지지대를 형성시킨 한 쌍의 보드와, 상기 보드의 지지대에 베어링을 결합한 메인조향축을 직립되게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결합시킨 조향부재의 양측으로 길이를 연장시킨 조향편으로 이루어진 조향수단과, 상기 조향편(211)의 양측에 전후방이 개구된 브라켓을 서브조향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캐스터를 중심축으로 굴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서브조향축은 베어링을 통하여 브라켓에 장착하도록 하여 지면에 밀착되어 독립적으로 자유 조향이 가능한 한 쌍의 캐스터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드의 무게 또는 힘의 변위를 통하여 보드에 반복적인 롤링을 부여면서 조향수단을 중심으로 한정적인 각도로 상호 엇갈리면서 자발적 전진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향수단은 조향부재의 양측에 한 쌍의 탄성부재를 보드의 하면과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보드의 롤링에 의해 지면에서 한 쌍의 캐스터수단이 한정적인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호 엇갈릴 때 인장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보드에 롤링을 부여하지 않을 경우 보드의 직진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드의 지지대는 일정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절곡시킨 다음 조향수단의 회전을 지지하는 메인조향축을 경사면에 직립되도록 설치하여 캐스터수단의 회전 중심과 캐스터가 받는 하중의 지점이 일정한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드의 주행 중에 보드의 중심이 올바르면 캐스터가 언제나 전진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보드의 직진성 및 진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조향축에 결합되는 베어링은 하나 이상으로 설치 가능 하도록 하여 조향부재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함으로써, 보드 조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스터수단은 조향수단에 결합시킨 서브조향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캐스터의 조향 각도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조향편에 스토퍼를 돌출시켜 캐스터수단이 최대 회전반경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드의 주행시 캐스터의 조향 안전각도를 보장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스터수단은 조향수단에 결합시킨 서브조향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캐스터의 조향 각도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조향편과 브라켓에 스프링을 연결 설치할 수도 있도록 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캐스터수단이 최대 회전반경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항상 전진방향으로 캐스터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조향편의 후방으로 돌출시킨 지지공과 보드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시킨 고정편에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캐스터에는 상호 대응되는 내접 부위에 일 방향 레칫기어를 설치하고 레칫기어의 측방에 멈춤키를 브라켓에 힌지 결합시켜 멈춤키의 끝단이 자중에 의해 레칫기어에 치합된 상태로 설치하여 캐스터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레포츠용 스케이트보드에 적용 가능하도록 보드의 하면 전. 후방에 각각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는 레포츠용 스케이트보드에 적용 가능하도록 보드의 하면 후방에 장착하고, 보드의 전방에는 지지대를 설치하여 지지면에 캐스터수단을 경사지게 장착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보드의 전방에는 전진용 캐스터를 설치하고 후방에는 캐스터 수단을 경사지게 장착할 수도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는 분리형 보드 또는 일체형 보드에 모두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향부재의 중앙 후미 방향에 보조 캐스터수단을 한 쌍의 캐스터수단과 삼각 배치 구도로 설치하여 보드의 접지력 및 전진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향수단은 조향부재의 중앙부에 연장플레이트를 후비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하부에 적층되어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 접지플레이트와 연장플레이트의 밀착면 사이에 스프링를 개재시키며 접지플레이트의 끝단부는 조향부재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진 결합면을 형성시켜 보조 캐스터수단을 결합하여 보드를 롤링하여 한 쌍의 캐스터수단이 상호 엇갈리면서 전진할 때 보조캐스터수단이 항상 지면에 접지되면서 파형 형태로 전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나타낸 저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3a,b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일방향 위치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일체형 보드에 적용했을 경우 전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7a,b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일체형 보드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8a,b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분리형 보드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에 적용하여 다양한 자세로 운전을 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는 지면에 밀착되어 독립적으로 자유 조향이 가능한 한 쌍의 캐스터수단(300)을 보드(10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조향수단(200)의 양측에 상호 대응되도록 결합하여 무게 또는 힘의 변위를 통하여 보드(100)에 반복적인 롤링을 부여하면 조향수단(200)을 중심으로 한 쌍의 캐스터수단(300)이 한정적인 각도로 상호 엇갈리면서 자발적인 전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드(100)는 연결대(113)를 통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전방보드(100a)와 후방보드(100b)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보드(100)의 하부면에 경사진 경사면(111)을 갖는 지지대(110)를 고정시킨다.
상기 조향수단(200)은 보드(100)의 하면에 형성시킨 지지대(110)에 베어링(212)을 결합한 메인 조향축(213)을 직립되게 설치하고 상기 조향부재(210)의 양측으로 길이를 연장시킨 조향편(211)에 한 쌍의 캐스터수단(300)을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 보드에 다중 방향성을 제공하여 보드(100)의 부드러운 조향능력 및 순간적인 급선회 조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향수단(200)은 조향부재(210)의 양측에 한 쌍의 탄성부재(220)를 보드(100)의 하면과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보드(100)의 롤링에 의해 지면에서 한 쌍의 캐스터수단(300)이 한정적인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호 엇갈릴 때 인장된 탄성부재(220)의 복원력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보드(100)에 롤링을 부여하지 않을 경우 보드(10)의 직진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아울러, 메인조향축(213)에 결합되는 베어링(212)은 하나 이상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조향부재(210)의 회전을 보다 원할하게 함으로써, 보드(100)의 조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탄성부재(22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조향편(211)의 후방으로 돌출시킨 지지공(214)과 보드(100)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시킨 고정편(112)에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캐스터수단(300)은 조향편(211)의 양측에 전후방이 개구된 브라켓(330)을 서브조향축(32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330)의 내부에 캐스터(350)를 중심축(351)으로 굴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서브조향축(320)은 베어링(310)을 통하여 브라켓(330)에 장착하도록 하여 지면에 밀착되어 독립적으로 자유 조향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보드의 무게 또는 힘의 변위를 통하여 보드에 반복적인 롤링을 부여면서 조향수단을 중심으로 한정적인 각도로 상호 엇갈리면서 자발적 전진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보드(10)의 지지대(11)는 일정각도의 경사면(11a)을 이루도록 절곡시킨 다음 조향수단(210)의 회전을 지지하는 메인조향축(213)을 경사면(11a)에 직립되도록 설치하여 캐스터수단(230)의 회전 중심과 캐스터(235)가 받는 하중의 지점이 일정한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드의 주행 중에 보드(10)의 중심이 올바르면 캐스터(235)가 언제나 전진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보드(10)의 직진성 및 진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더불어, 메인조향축(213)은 베어링(212)을 기준으로 지지대(110)와 캐스터수단(300)의 양측에 분리되어 각기 결합되도록 하여 보다 원활한 회전을 돕는다.
아울러, 캐스터수단(300)은 조향수단(200)에 결합시킨 서브조향축(32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캐스터(350)의 조향 각도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조향편(211)에 스토퍼(331)를 돌출시켜 캐스터수단(300)이 최대 회전반경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드(100)의 주행시 캐스터(350)의 조향 안전각도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캐스터수단(300)은 조향수단(200)에 결합시킨 서브조향축(32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캐스터(350)의 조향 각도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조향편(211)과 브라켓(330)에 스프링(332)을 연결 설치할 수도 있도록 하여 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캐스터수단(300)이 최대 회전반경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항상 전진방향으로 캐스터(35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나아가, 한 쌍의 캐스터(350)에는 상호 대응되는 내접 부위에 일 방향 레칫기어(341)를 설치하고 레칫기어(341)의 측방에 멈춤키(342)를 브라켓(330)에 힌지 결합시켜 멈춤키(342)의 끝단이 자중에 의해 레칫기어(341)에 치합된 상태로 설치하여 캐스터(350)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다.
더불어,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레포츠용 스케이트보드에 적용 가능하도록 보드(100)의 하면 전. 후방에 각각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또한,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는 레포츠용 스케이트보드에 적용 가능하도록 보드(10)의 하면 후방에 장착하고, 보드(100)의 전방에는 지지대(110)를 설치하여 지지면(111)에 캐스터수단(300)을 경사지게 장착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보드(100)의 전방에는 전진용 캐스터(10)를 설치하고 후방에는 캐스터 수단(230)을 경사지게 장착할 수도 있도록 한다.
그리고,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는 분리형 보드 또는 일체형 보드에 모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적용 예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캐스터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10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향부재(210)의 중앙 후미 방향에 보조 캐스터수단(218)을 한 쌍의 캐스터수단(300)과 삼각 배치구도로 설치하여 보드(100)의 접지력 및 전진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조향수단(210)은 조향부재(210)의 중앙부에 연장플레이트(215)를 보드(100)의 후미 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215)의 하부에 적층되어 힌지축(2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 접지플레이트(216)와 연장플레이트(215)의 밀착면 사이에 스프링(219)를 개재시키며 접지플레이트(216)의 끝단부는 조향부재(210)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진 결합면(216a)을 형성시켜 보조 캐스터수단(218)을 결합하여 보드(100)를 롤링하여 한 쌍의 캐스터수단(300)이 상호 엇갈리면서 전진할 때 보조캐스터수단(218)이 항상 지면에 접지되면서 파형 형태로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의 적용예는 다양한 산업상 이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 설명하는 작용 실시예는 도 6a 내지 도 8b에서 도시된 레포츠용 스케이트보드용으로 보드에 적용하여 그 작용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일체형 보드에 적용하여 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드(100)의 하부면에 전진용 캐스터(10)를 설치하고 보드(100)에 중량물을 안착시킨 후 인위적으로 보드(100)의 롤링을 (R)측 방향으로 가하여 보드(100)를 (R)측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메인조향축(213)을 중심으로 캐스터수단(300)의 (L)방향의 캐스터(350)에 무게 중심이 실리면서 일방향회전수단(340)의 레칫기어(341)에 치합된 멈춤키(342)에 의해 (R)방향 캐스터(350)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으면서 보드(100)의 전진상태의 지지점이 되고, (L)방향의 캐스터(35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100)의 지지대(110)에 경사지게 결합시킨 조향수단(200)에 의해 일정한 조향 각도로 지면에 밀착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최초의 위치에서 분력 F2(F2 cos.ß)이 사선 방향으로 발생하면서 보드(100)를 F2 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된다.
동시에, 보드(100)의 전방에 장착된 전진용 캐스터(10) 또는 캐스터수단(350)이 분력 F1(F1 cos.α)이 사선방향으로 발생하면서 보드(100)를 F1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이후, (R)방향으로 편향되었던 하중 또는 힘을 보드(100)의 중심 선상으로 분포 및 일치시켜 보드(100)의 균형감을 되찾으면 기존의 가속도에 의해 등속 직선운동으로 보드(100)는 전방으로 계속 전진하게 된다.
연속적으로 보드(100)를 다시 (L)방향으로 캐스터(350)에 무게 또는 힘의 중심을 편향시키면 보드(100)는 (L)축으로 기울어지면서 메인조향축(213)을 중심으로 (L)방향의 캐스터(350)가 일방향회전수단(340)에 의해 후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면서 전진상태의 지지점이 되고, (R)방향의 캐스터(350)는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결합된 조향수단(200)의 각도에 의해 (L)방향의 캐스터(350)가 지면에 밀착한 생태를 유지하면서 보드(100)를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R) 또는 (L)방향으로의 무게중심 또는 힘의 변위를 신속하게 진행하여 보드(100)의 운동방향이 보드(100)의 빠른 롤링에 의해 피치가 짧은 파형적 동선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캐스터수단(300)이 조향수단(210)을 중심으로 상호 엇갈리며 한정적으로 회전하는 동작에 있어서 후미에 위치한 캐스터(350)가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전진할 때 조향부재(210)의 후방에 탄성부재(220)를 보드(100)와 연결 설치함으로써, 탄성부재(220)의 복원력에 의해 캐스터(350)의 한정적 회전으로 자발적으로 캐스터(350)를 전진위치로 이동시켜 보드(100)의 진행성 및 전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보드(100)는 롤링에 의존하여 전진할 수도 있지만, 그 전진에 따른 자발적 전진상황은 탄성부재(220)의 복원력에 의해 더욱 전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보드를 주행시 차도경계석, 보도블럭이나 평탄하지 않는 지면을 통과할 때 보드(100)의 캐스터(350)가 지면에서 순간적으로 뜨게 되는 현상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조향수단(200)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한 쌍의 캐스터(350)의 위치가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위치되면서 보드(100)의 균형을 떨어뜨려 보드(100)가 뒤집어지거나 운전자가 균형감각을 잃게 되었다.
이러한, 폐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향수단(200)에 스토퍼(331) 또는 스프링(332)을 설치하게 됨에 따라 캐스터(350)가 지면에 뜨게 되더라도 보드(100)의 진행방향의 최대 안전각도 내에서만 한정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드(100)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발적인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일체형 보드 또는 분리형 보드에 적용하게 되면 롤링만으로도 전진성과 안전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보드(10)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다양한 자세변형이 가능하여 레포츠용으로 흥미감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즉, 보드(100)의 진행 방향에서 운전자가 옆으로 서서 운전할 수도 있고, 진행방향의 정면으로 서서 운전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보드(100)에 롤링을 반복적으로 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운전자의 자세변형이 가능하여 스케이트보드에 스피드, 순간적 조향능력 등 다양한 기술을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스케이트보드의 흥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향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면서 보드(100)의 전진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캐스터수단(300)의 중앙 후미방향에 보조 캐스터수단(218)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보드(100)의 롤링에 의해 엇갈리게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조향수단(200)의 자발적 전진력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드(100)의 안전성과 조향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보드(100)를 롤링하면 한 쌍의 캐스터수단(300)이 상호 엇갈리면서 전진하게 될 때 조향부재(210)에 일체로 고정시킨 연장플레이트(215)와 접지플레이트(216)가 지지대(110)를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지는 조향부재(210)와 연동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 캐스터수단(218)이 지면에서 뜨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지플레이트(216)가 힌지축(217)을 중심으로 스프링(219)에 의해 지면 측으로 일정각도 회전되어 보조캐스터수단(218)이 지면에 항상 접지된 상황에서 조향부재(211)와 연동하여 파형의 형상으로 보드(100)의 접지력과 조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는 하중체를 얹은 보드에 무게중심의 이동 또는 힘의 분산을 통하여 보드에 롤링을 부여하여 인위적인 추진력이 필요 없이 보드가 자발적으로 전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는 조향수단에 베어링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조향부재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독립적인 회전이 자유로운 한 쌍의 캐스터수단을 조향수단의 양측에 대응되게 결합하여 2 이상의 다중 방향성을 제공하여 보드의 부드러운 조향능력 및 순간적인 급선회 조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더불어,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는 캐스터수단을 조향수단에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보드를 롤링시켜 한쪽으로 기울여도 한 쌍의 캐스터가 지면에서 뜨는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자연스러운 보드의 롤링이 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운전자가 보드를 운행할 수 있으며, 보드를 급선회하거나 운행속도가 “0”에 가까울 경우 안정적으로 보드가 지면에서 중심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초보자도 쉽게 흥미를 갖으며 안전하게 운행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는 보드의 롤링에 의해 지면에서 상호 엇갈리게 전진하는 전진용 캐스터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자발적으로 캐스터가 전방으로 전진되도록 하여 보드의 자발적 이동성의 향상과 더불어 전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는 조향수단을 중심으로 전진방향으로 상호 엇갈리며 회전할 때 무게 중심의 지지점인 캐스터가 후방으로 밀리거나 공회전 되지 않도록 하여 자발적 전진력의 손실을 방지하여 보드의 전진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는 다중 방향성 캐스터 방식을 적용시킴으로써, 보드의 급선회, 순간적 방향변화가 자유로워 스케이트보드에 적용시 레포츠용으로 흥미감과 짜릿함을 만끽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는 다중 방향성 캐스터 방식을 적용시킴으로써, 보드의 급선회와 순간적 방향 전환 및 적은 선회 반경 및 제자리에서 360°회전이 가능하여 코너링을 할 때에도 부드럽고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의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는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에 한 쌍의 캐스터로 이루어진 조향수단을 각각 장착하여 지면과의 접지력 및 보드의 수평상태를 항상 유지하도록 하여 보드를 쉽 게 배우고 탈 수 있도록 하여 보드의 대중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보다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25)

  1. 하부면에 지지대(110)를 형성시킨 한 쌍의 보드(100)와,
    상기 보드(100)의 지지대(110)에 베어링(212)을 결합한 메인조향축(213)을 직립되게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212)과 일체로 결합시킨 조향부재(210)의 양측으로 길이를 연장시킨 조향편(211)으로 이루어진 조향수단(200)과,
    상기 조향편(211)의 양측에 전후방이 개구된 브라켓(330)을 서브조향축(32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330)의 내부에 캐스터(350)를 중심축(351)으로 굴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서브조향축(320)은 베어링(310)을 통하여 브라켓(330)에 장착하도록 하여 지면에 밀착되어 독립적으로 자유 조향이 가능한 한 쌍의 캐스터 수단(30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드(100)의 무게 또는 힘의 변위를 통하여 보드에 반복적인 롤링을 부여면서 조향수단(200)을 중심으로 한정적인 각도로 상호 엇갈리면서 자발적 전진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수단(200)은 조향부재(210)의 양측에 한 쌍의 탄성부재(220)를 보드(100)의 하면과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보드(100)의 롤링에 의해 지면에서 한 쌍의 캐스터수단(300)이 한정적인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호 엇갈릴 때 인장된 탄성부재(220)의 복원력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보드(100)에 롤링을 부여하지 않을 경우 보드(100)의 직진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100)의 지지대(110)는 일정각도의 경사면(111)을 이루도록 절곡시킨 다음 조향수단(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메인조향축(213)을 경사면(111)에 직립되도록 설치하여 캐스터수단(300)의 회전 중심과 캐스터(350)가 받는 하중의 지점이 일정한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드(100)의 주행 중에 보드(100)의 중심이 올바르면 캐스터(350)가 언제나 전진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보드(100)의 직진성 및 진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조향축(213)에 결합되는 베어링(212)은 하나 이상으로 설치 가능 하도록 하여 조향부재(210)의 회전을 보다 원할하게 함으로써, 보드(100) 조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수단(300)은 조향수단(200)에 결합시킨 서브조향축(32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캐스터(350)의 조향 각도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조향편(211)에 스토퍼(331)를 돌출시켜 캐스터수단(300)이 최대 회전반경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드(100)의 주행시 캐스터(350)의 조향에 대한 안전각도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수단(300)은 조향수단(200)에 결합시킨 서브조향축(32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캐스터(350)의 조향 각도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조향편(211)과 브라켓(330)에 스프링(332)을 연결 설치할 수도 있도록 하여 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캐스터수단(300)이 최대 회전반경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항상 전진방향으로 캐스터(35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2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조향편(211)의 후방으로 돌출시킨 지지공(214)과 보드(100)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시킨 고정편(112)에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캐스터(350)에는 상호 대응되는 내접 부위에 일 방향 레칫기어(341)를 설치하고 레칫기어(341)의 측방에 멈춤키(342)를 브라켓(330)에 힌지 결합시켜 멈춤키(342)의 끝단이 자중에 의해 레칫기어(341)에 치합된 상태로 설치하여 캐스터(350)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레포츠용 스케이트보드에 적용 가능하도록 보드(100)의 하면 전. 후방에 각각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전진용 캐스터(10)는 레포츠용 스케이트보드에 적용 가능하도록 보드(100)의 하면 후방에 장착하고, 보드(100)의 전방에는 지지대(110)를 설치하여 경사면(111)에 캐스터수단(300)을 경사지게 장착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보드(100)의 전방에는 전진용 캐스터(10)를 설치하고 후방에는 캐스터 수단(300)을 경사지게 장착할 수도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는 분리형 보드 또는 일체형 보드에 모두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재(210)의 중앙 후미 방향에 보조 캐스터수단(218)을 한 쌍의 캐스터수단(300)과 삼각 배치 구도로 설치하여 보드(100)의 접지력 및 전진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수단(200)은 조향부재(210)의 중앙부에 연장플레이트(215)를 후비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215)의 하부에 적층되어 힌지축(21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 접지플레이트(216)와 연장플레이트(215)의 밀착면 사이에 스프링(219)를 개재시키며 접지플레이트(216)의 끝단부는 조향부재(210)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진 결합면(216a)을 형성시켜 보조 캐스터수단(218)을 결합하여 보드(100)를 롤링하여 한 쌍의 캐스터수단(300)이 상호 엇갈리면서 전진할 때 보조캐스터수단(218)이 항상 지면에 접지되면서 파형 형태로 전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 갖춘 보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60033379A 2005-12-30 2006-04-12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갖춘 보드 KR100883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378 2005-12-30
KR20050135378 2005-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310A KR20070072310A (ko) 2007-07-04
KR100883343B1 true KR100883343B1 (ko) 2009-02-11

Family

ID=3850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379A KR100883343B1 (ko) 2005-12-30 2006-04-12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갖춘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3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729B1 (ko) * 2010-08-05 2013-07-31 박병수 제동바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257B1 (ko) * 2007-12-17 2008-07-16 이용규 유희용 보드
WO2015119304A1 (ko) * 2014-02-04 2015-08-13 (주)타이젠 스케이트보드
CN108392820A (zh) * 2018-04-17 2018-08-14 常州格力博有限公司 电驱动履带式滑板车
CN112245896A (zh) * 2019-12-14 2021-01-22 杨志峰 一种与步行及跑步相吻合的仿生四驱自行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259A (ko) * 2003-02-27 2003-03-15 심한섭 롤러보드의 트럭
KR200372403Y1 (ko) 2004-09-30 2005-01-14 전경숙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KR20050060368A (ko) * 2003-12-16 2005-06-22 정진화 제동장치가 구비된 스케이트 보드
KR200400918Y1 (ko) 2005-04-21 2005-11-09 권영돈 스피드 스케이트보드
KR20060116674A (ko) * 2005-05-10 2006-11-15 이승열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259A (ko) * 2003-02-27 2003-03-15 심한섭 롤러보드의 트럭
KR20050060368A (ko) * 2003-12-16 2005-06-22 정진화 제동장치가 구비된 스케이트 보드
KR200372403Y1 (ko) 2004-09-30 2005-01-14 전경숙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KR200400918Y1 (ko) 2005-04-21 2005-11-09 권영돈 스피드 스케이트보드
KR20060116674A (ko) * 2005-05-10 2006-11-15 이승열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729B1 (ko) * 2010-08-05 2013-07-31 박병수 제동바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310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2427B1 (ko)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보드
CN102089160B (zh) 双向推进脚轮
KR100883343B1 (ko)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갖춘 보드
EP2435144B1 (en) Skateboard providing substantial freedom of movement of the front truck assembly
CN100556483C (zh) 带定向脚轮的滑板
WO2006059883A1 (en) Caster skate apparatus
US8636288B2 (en) Street board
KR20070098467A (ko) 스케이트보드
KR200465548Y1 (ko) 스케이트 보드
KR100591876B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420320Y1 (ko) 캐스터를 구비한 스케이트보드
KR100727006B1 (ko) 구동수단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
KR20120000804U (ko) 스케이트 보드
JP3233775U (ja) サーフィン練習用スケートボード
KR100537797B1 (ko) 롤러 보드
GB2452692A (en) Skateboard with its deck providing drive to wheels
KR200421949Y1 (ko) 스케이트보드
KR100934776B1 (ko) 후레임타입 스케이트보드
US20030227143A1 (en) Steerable inline skate
KR20090081888A (ko) 전진력 제공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101336367B1 (ko) 자체구동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200435436Y1 (ko) 스케이트 보드
KR100987701B1 (ko) 자전거형 시소 보드
KR200384511Y1 (ko) 발을 교차하며 밀어서 움직이는 보드
KR200230077Y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