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253B1 -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 Google Patents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253B1
KR100946253B1 KR1020070030930A KR20070030930A KR100946253B1 KR 100946253 B1 KR100946253 B1 KR 100946253B1 KR 1020070030930 A KR1020070030930 A KR 1020070030930A KR 20070030930 A KR20070030930 A KR 20070030930A KR 100946253 B1 KR100946253 B1 KR 100946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bearing
connecting element
material joint
skate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677A (ko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슬로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슬로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슬로비
Priority to KR102007003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25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3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63C17/016Wheel arrangements with wheels arranged in on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방 보드 및 후방 보드 한 쌍과 각 상기 보드에는 단수 이상의 휠이 구비되고;
상기 휠 중 최소 어느 하나는 진행방향에 쐬기각을 두고 방향전환 가능한 방향성캐스터를 통하여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전방 보드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 보드에 결합되는 연결요소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갖는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숙련자가 사용시에 또는 일반적인 목적의 사용시에, 상기 연결요소와 상기 보드와의 결합을 자재이음을 이용하여 토션바의 복원기능 및 활동의 자유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스케이트

Description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Skateboards Having Universal Joints}
이하, 도면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로서 :
도1 저면에서 투시된 저면 사시도
도2 (가)평면에서 투시되어 동작을 보인 동작도; (나)측면에서 투시되어 동작을 보인 동작도
도3 전방 보드, 자재이음부 및 연결요소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투시한 측면도
도4 자재이음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5 (가)토션스프링(T)을 나타내도록 연결요소의 내부를 투시하여 보인 예시도; (나)연결요소가 상반되게 비틀려 렌칭가능하도록 피벗결합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방 보드 및 후방 보드 한 쌍과 각 상기 보드에는 단수 이상의 휠이 구비되고;
상기 휠 중 최소 어느 하나는 진행방향에 쐬기각을 두고 방향전환 가능한 방향성캐스터를 통하여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전방 보드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 보드에 결합되는 연결요소를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관련해서 기존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4848호가 있으며,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진행방향의 전방에 상기 전방 보드를 배치하고 진행방향의 후방에 상기 후방 보드를 배치하고; 상기 전방 보드와 상기 후방 보드의 결합은 탄성복원력 있게 렌칭(Wrenching) 가능한 토션바를 연결요소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드의 저면에 구름가능한 휠을 방향성캐스터를 통하여 구비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사용자는 상기 전방 보드 및 상기 후방 보드에 양 발을 각각 얹고 각 상기 보드를 상반되게 비틀림 렌칭시켜 방향을 전환하고 여기에 몸을 회전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는 있지만, 실질적인 양 발의 거리를 신축시켜서 교번하는 방법으로 추진력 발생의 동작을 수행할 수는 없는 것으로 되어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9412호가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방 보드 및 상기 후방 보드 사이에 끈과 같은 유연한 부재의 연결요소를 사용하여 사용자 양 발의 거리를 신축시키면서 교번하는 방법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는 있지만, 상기 전방 보드와 상기 후방 보드의 거리가 과다하게 협소해져서 사용자의 균형을 무너뜨리거나, 상기 보드가 상호 충돌하는 경우 순간적으로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른 주행패턴이 수행되어 위험을 초래하는 수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35851호는 스피어조인트(Sphere Joint)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요소를 각 상기 보드에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스피어조인트(Sphere Joint)의 경우 비틀림 렌칭시에 구면을 따라 비틀림 슬립(Slip)을 하는 이유로 상기 토션바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고 따라서 상기 렌칭 후에 탄성에 의한 원상복귀가 제대로 되지 않는 점이 있다.
본 발명은,
비틀림 렌칭시에 연결요소와 보드사이의 슬립 또는 유격을 감소시켜 상기 렌칭후에 탄성복원하는 토션기능을 효율적으로 하므로써 일반적인 목적 및 비숙련자가 사용시에 라이딩(Riding)을 편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양 발을 교번하는 방법으로 추진하여 효율적인 측방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전방 보드와 상기 후방 보드의 상호 안정적인 거리를 상시로 유지시키도록 하면서,
전방 보드 및 후방 보드의 상호 전방위적인 활동을 보장하도록하여 특수한 공연을 가능하게 하고 흥미유발을 증가시킬 수 있는 라이딩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를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한다.
도1 및 도3에서,
진행방향에 종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방 보드(100, 100f) 및 후방 보드(100, 100r) 한 쌍과;
각 상기 보드의 저면에는 진행방향에 종으로 제1 방향성캐스터(200, 201) 및 제2 방향성캐스터(200, 202) 한쌍이 구비되고;
상기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며 뒤틀림 후 탄성복원 가능한 토션바(Torsion Bar)의 기능을 하는 연결요소(310)의 양 단부가 상기 전방 보드의 후단 에지 및 상기 후방 보드의 전단 에지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부(300)를 구성하는 스케이트보드에 있어서,
각 상기 보드는 판상으로서 상부는 탑승자의 족부를 지탱하도록 마찰작용하는 평판(110)이고, 저부는 각 상기 방향성캐스터를 고정하도록 제1 고정부(120, 121)및 제2 고정부(120, 122)가 형성되고, 특히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보드(100f)의 후단 에지 및 상기 후방 보드(100r)의 전단 에지에는 축받이공(131)이 형성되는 보드 축받이(130)가 구비되고;
각 상기 방향성캐스터(200)는 지면에서 구름가능한 휠(W)과 상기 휠의 휠축(Wa)을 축받이하는 브라킷(B)과 상기 브라킷의 전단상부에 상기 브라킷이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스핀들축(P)이 구비되고 상기 스핀들축은 진행방향에 대하여 웨지엥글(A)이 부여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므로써 상기 보드에 가해지는 좌우 경사에 비례하여 상기 휠이 조향되고;
도4에서,
상기 연결요소(310)의 단부에는 축받이공(321)이 형성되는 연결요소 축받이(320)가 구비되고, 직교하는 두 축(h, v)을 갖는 자재축(U)과 상기 자재축의 일축(h/v)은 상기 보드 축받이(130)의 축받이공(131)에 축받이되고, 상기 자재축의 타축(v/h)은 상기 연결요소 축받이(320)의 축받이공(321)에 축받이되어 자재이음부(U)를 구성한다.
이 때, 상기 자재이음부(U)는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부피를 줄여 보관을 용 이하도록 할 수 있고 또, 전방 보드와 후방 보드의 연결을 끊고 별도 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재이음부(U)는 상기 전방 보드(100f)의 후단에지 또는 상기 후방 보드(100r)의 전단에지 어느 한 곳에만 구비시켜 상기 연결요소 축받이(320)와 자재이음을 구성하고, 나머지는 기존의 결합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요소는 토션복원 가능하도록 그 자체가 비틀림 렌칭 후 복원 가능한 토션(Torsion)기능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고무, 피이(PE), 판스프링 등이 그것이다.
도5(가)에서는 상기 기존기술 등록특허 제10-0394848호에서 사용하는 방법의 토션바를 연결요소로 사용하는 경우로서, 상기 연결요소 축받이(320)와 피벗결합(Pv)되는 관(Pi)에 내장되는 판스프링과 같은 토션스프링(T)의 양단을 상기 연결요소 축받이(320)에 볼트(B)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5(나)에서는 단순히 피벗결합(Pv)만을 시키므로써 숙련자가 토션바의 기능을 도움받지 않고서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2(가)에서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가 진행하는 작동원리를 보면, 탑승자가 발로 전방의 보드를 진행방향의 횡측에 대하여 우측(R)으로 밀쳐내고 후방의 보드를 그 좌측(L)으로 밀쳐낼 때, 상기 보드 저면의 방향성캐스터는 그 스핀들축(P)을 중심으로 밀쳐내는 측으로 한정되게 방향전환되도록 조향되어 지면을 상반되게 자르면서 그 힘의 벡터(Vector)적 합성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요소(310)와 각 상기 보드(100)와의 결합이 튼튼하고 효율적이며,
비틀림 렌칭(Wrenching)시에 미끄러지는 슬립(Slip) 또는 유격을 감소시켜 상기 연결요소가 상기 렌칭후에 탄성복원하는 토션기능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양 발을 교번하는 방법으로 추진하여 효율적인 측방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전방 보드(100f)와 상기 후방 보드(100r)의 상호 안정적인 거리를 상시로 유지가능 하고,
숙련자가 특수한 공연 등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시에는, 전방 보드 및 후방 보드의 상호 전방위(全方位)적인 자유 활동이 보장되어 특수한 라이딩(Riding)의 스킬(Skill)을 가미할 수 있고 또한, 새로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Claims (5)

  1. 진행방향에 종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방 보드(100, 100f) 및 후방 보드(100, 100r);
    각 상기 보드의 저면에 진행방향에 종으로 배치된 제1 방향성캐스터(200, 201) 및 제2 방향성캐스터(200, 202);
    상기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며, 양 단부가 상기 전방 보드의 후단 에지 및 상기 후방 보드의 전단 에지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요소(310)를 구비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되,
    각 상기 보드는 판상으로서 상부는 탑승자의 족부를 지탱하도록 마찰작용하는 평판(110)이고, 저부는 각 상기 방향성캐스터를 고정하도록 제1 고정부(120, 121)및 제2 고정부(120, 122)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보드의 후단 에지 또는 상기 후방 보드의 전단 에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보드 축받이(130)가 구비되며,
    각 상기 방향성캐스터는 지면에서 구름가능한 휠(W)과 상기 휠의 휠축(Wa)을 축받이하는 브라킷(B)과 상기 브라킷의 전단상부에 상기 브라킷이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스핀들축(P)이 구비되고 상기 스핀들축은 진행방향에 대하여 웨지엥글(A)이 부여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므로써 상기 보드에 가해지는 좌우 경사에 비례하여 상기 휠이 조향되고,
    상기 연결요소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연결요소 축받이(320)가 구비되어 서로 직교하는 수평축 및 수직축(h, v)을 갖는 자재축(U)에 의해 보드 축받이에 연결되되,
    상기 수평축 및 수직축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드 축받이에 축받이되고, 상기 수평축 및 수직축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연결요소 축받이에 축받이되어 자재이음부(U)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이음부는 상기 전방 보드의 후단에지 및 상기 후방 보드의 전단에지 모두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요소의 양 단부와 각각 자재이음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이음부는 해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는 토션복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는 토션복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음부를 구비하 는 스케이트보드
KR1020070030930A 2007-03-29 2007-03-29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KR100946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930A KR100946253B1 (ko) 2007-03-29 2007-03-29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930A KR100946253B1 (ko) 2007-03-29 2007-03-29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677A KR20070103677A (ko) 2007-10-24
KR100946253B1 true KR100946253B1 (ko) 2010-03-08

Family

ID=3881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930A KR100946253B1 (ko) 2007-03-29 2007-03-29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2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542Y1 (ko) * 2005-10-17 2006-03-14 이정수 회전 및 복원성과 직진성을 향상시킨 스케이트보드
KR200419021Y1 (ko) * 2006-03-03 2006-06-16 주식회사 데코리 캐스터 스케이트 보드
KR20060116674A (ko) * 2005-05-10 2006-11-15 이승열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20080008193A (ko) * 2006-07-18 2008-01-23 강신기 교번식 추진 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674A (ko) * 2005-05-10 2006-11-15 이승열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200410542Y1 (ko) * 2005-10-17 2006-03-14 이정수 회전 및 복원성과 직진성을 향상시킨 스케이트보드
KR200419021Y1 (ko) * 2006-03-03 2006-06-16 주식회사 데코리 캐스터 스케이트 보드
KR20080008193A (ko) * 2006-07-18 2008-01-23 강신기 교번식 추진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677A (ko)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37820A (ja) 方向性キャスターを具備したスケートボード
US20090045598A1 (en)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KR200438635Y1 (ko) 조향수단의 독립 틸팅이 가능한 트라이크
US20100090423A1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user's foot
US6698540B1 (en) Motorized snowboard
KR100933532B1 (ko) 스트리트보드
KR20080008193A (ko) 교번식 추진 보드
KR100946253B1 (ko) 자재이음부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KR20070103674A (ko) 링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
KR100591876B1 (ko) 스케이트 보드
WO2006121257A1 (en)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KR100987927B1 (ko) 보드
KR200419021Y1 (ko) 캐스터 스케이트 보드
KR100806228B1 (ko) 스케이트 보드
KR100787113B1 (ko) 캐스터 스케이트 보드
KR100934776B1 (ko) 후레임타입 스케이트보드
KR101170127B1 (ko) 스케이트보드
KR20070103675A (ko) 가요결합을 하는 스케이트보드
KR20070103678A (ko) 가요연결요소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KR20120013809A (ko) 인라인 보드식 롤키
KR100979569B1 (ko) 에스네이크보드
KR101029387B1 (ko) 에어쳄버를 구비하는 보드
KR20170141056A (ko) 방향성 캐스터를 구비한 스케이트보드
KR100835570B1 (ko) 캐스터 스케이트
KR100631819B1 (ko) 인라인 보드식 롤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