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570B1 - 캐스터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캐스터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570B1
KR100835570B1 KR1020060026501A KR20060026501A KR100835570B1 KR 100835570 B1 KR100835570 B1 KR 100835570B1 KR 1020060026501 A KR1020060026501 A KR 1020060026501A KR 20060026501 A KR20060026501 A KR 20060026501A KR 100835570 B1 KR100835570 B1 KR 10083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er
footrest
coupled
skates
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312A (ko
Inventor
문명일
Original Assignee
문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명일 filed Critical 문명일
Priority to KR102006002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570B1/ko
Publication of KR2007009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터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성 캐스터를 채택하여 추진력 향상 및 회전반경이 작고 제동 기능을 하여 사용시 안전하며 추진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한 캐스터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 스케이트의 구성을, 직립된 한 쌍이 서로 평행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을 일률적으로 결합시키는 핸들; 상기 몸체의 하단마다 각각 결합되어 양 발이 놓이는 발판; 및 상기 발판의 저면마다 쐐기각을 갖은 상태로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방향성 캐스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캐스터 스케이트, 몸체, 발판, 방향성 캐스터, 제1, 2 복원부

Description

캐스터 스케이트{CASTER SK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스터 스케이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스터 스케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스터 스케이트의 몸체에 발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부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스터 스케이트의 발판에 방향성 캐스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부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스터 스케이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보드형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몸체 110: 핸들
112, 140: 제1, 2 복원부 130: 방향성 캐스터
본 발명은 캐스터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성 캐스터를 채택하여 추진력 향상 및 회전반경이 작고 제동 기능을 하여 사용시 안전하며 추진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한 캐스터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스터(Caster)는 과체적 또는 과중량 등의 물품을 쉽고 원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에 롤러가 부착된 것으로, 그 종류는 크게 베이스에 롤러가 설치된 롤러 암이 고정된 고정식과, 롤러가 설치된 롤러 암이 회동 가능하게 하여 이동 방향을 정할 수 있게 한 이동식으로 나뉘며, 이러한 이동식 캐스터는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롤러를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 이동 방향의 결정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향 전환이 용이한 캐스터를 다양하게 접목하여 근래에는 스케이트에 캐스터를 부착함에 따라 통상적인 인 라인(In- Line) 스케이트의 바퀴와는 달리 방향성을 갖는 캐스터를 스케이트 저면에 부착하여 좌우 회전에 따라 추진력을 얻어 그 추진력으로 하여금 운동 효과와 더불어 놀이 기구의 일종으로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보드형 운동기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측에 사용자가 양발을 얹은 상태에서 균형을 잡은 채로 전진 및 방향전환을 하도록 하는 보드(1); 상기 보드(1)의 하측에 결합되는 가이드축(2) 및 상기 가이드축(2)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퀴(3)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축(2)은, 상기 보드(1)의 하측에 결합되되, 경질의 고무재 질 등을 중간 매개부재로 하여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즉, 상기 보드형 운동기구의 사용자는, 상기 보드(1)의 상측면에 양발을 얹은 상태에서 균형을 잡게 되고, 또한 앞으로 나가고자 하는 때에는 한쪽의 발로 자신의 체중을 밀어내는 동작으로 동력을 얻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전진하는 도중에 그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때 상기 보드(1)에 올라선 상태에서 신체를 좌우로 기울여 상기 경질의 고무재질에 의하여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축(2)이 작동됨으로써 상기 보드(1)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우측으로 기울이면, 상기 보드(1)의 우측부분이 기울어지면서, 상기 가이드축(2)의 유동에 의하여 상기 보드(1)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한다. 여기서 자신의 신체를 좌측으로 기울이면, 상기 보드(1)의 좌측부분이 기울어지면서, 상기 가이드축(2)의 유동에 의하여 상기 보드(1)는 좌측 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보드형 운동기구는 일체형의 보드(1) 상에서 몸을 좌우로 비틀어 회전하므로 회전반경이 크고 어느 정도 익숙해 지면 식상해지며, 운동기구 자체에 별도의 제동장치가 없으므로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의 경우에는 그 제동이 곤란하여 사용상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 은 방향성 캐스터를 채택하여 추진력 향상 및 회전반경이 작고 제동 기능을 하여 사용시 안전하며 추진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한 캐스터 스케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립된 한 쌍이 서로 평행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을 일률적으로 결합시키는 핸들; 상기 몸체의 하단마다 각각 결합되어 양 발이 놓이는 발판; 및 상기 발판의 저면마다 쐐기각을 갖은 상태로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방향성 캐스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발판에 양발을 안착한 후 이 발판을 앞뒤로 번갈아 가면서 회전하면 발판에 구비되는 방향성 캐스터에 의해 추진력이 용이하게 발생되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캐스터 스케이트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캐스터 스케이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핸들(110)과, 발판(120)과, 방향성 캐스터(130) 및 제2 복원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직립되며 재료비 절감과 중량 감소를 위해 중간단이 관통되는 관통부가 다수 형성 된다.
상기 핸들(110)은 상기 몸체(100)의 상단마다 일률적으로 고정되며 제1 복원부(112) 및 연장부(119)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복원부(112)는 그 양 단이 한 쌍의 몸체(100) 상단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고정하여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며 이 제1 복원부(112)를 기점으로 전후 회동되는 상기 몸체(1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복원부(112)는 하우징(114)과, 고정부재(116a, 116b) 및 탄성부재(118)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4)은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다수개가 분할된 상태로 접하면서 상호 결합되되 본 실시 예에서는 3개로 분할된 상태로 예시하며 이 분할 개수는 증감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116a, 116b)는 상기 하우징(114)의 내부 양단마다 결합되는 고정부재(116a)와 상기 하우징(114)의 내부 중간단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16b)로 이루어지며,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16a)의 대향 면에 후술할 탄성부재(118)의 양단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114)의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16a)의 외측면에는 나선돌기가 형성된 수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할 연장부(119)를 체결할 경우 상기 연장부(119)의 일측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탈, 부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4)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되는 고정부재(116b)도 수평 방향의 고정홈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118)의 중단 부위를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118)는 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16a) 간격보다 더 연장되는 판상의 판 스프링으로 회전된 몸체(100)에 외력을 제거하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116a, 116b) 및 탄성부재(118)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나사(S)를 하우징(114)의 외부에서 각각 체결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1 복원부(112) 대신에 한 쌍의 몸체(100) 사이에 탄성부재인 코일 스프링(도면에 미도시)을 개재하여 회전되는 어느 한 몸체(100)에 외력을 제거하면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몸체(100)를 원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복원부(112)가 결합되는 몸체(100)의 구멍에는 베어링이 삽입된다.
상기 연장부(119)는 원기둥 형상으로 손으로 파지할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 면에 엠보싱 처리된 고무재가 씌워지며 상기 제1 복원부(112)에 나선 체결된다.
상기 발판(120)은 판상으로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와 근접하면서 대향되는 일단에 결합부재(122)가 각각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몸체(100)의 하단마다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양 발이 안착된다.
상기 결합부재(122)는 블록 형상으로 양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홀(124)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120)에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의 하단마다 형성된 구멍과, 발판(120)에 고정된 결합부재(122)의 결합홀(124)에 상기 핸들(110)의 제1 복원부(112)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다른 제2 복원부(140)가 양단이 볼트에 의해 몸체(100)와 결합부재(122)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방향성 캐스터(130)는 상기 발판(120)의 저면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쐐기각을 갖도록 이 발판(120)과의 사이에 쐐기부재(12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 복원부(140)는 상기 발판(120)이 이 제2 복원부(140)를 기점으로 회전될 때 외력을 제거하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하며, 하우징(142)과, 고정부재(144) 및 탄성부재(146)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42)은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다수개가 분할된 상태로 접하면서 상호 결합되되 본 실시 예에서는 2개로 분할된 상태로 예시하며 이 분할 개수는 증감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144)는 상기 하우징(142)의 내부 양단마다 결합되며, 대향 면에 후술할 탄성부재(146)의 양단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46)는 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44)의 간격보다 더 연장되는 판상의 판 스프링으로 회전된 발판(120)에 외력을 제거하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144) 및 탄성부재(146)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나사(S) 를 하우징(142)의 외부에서 각각 체결한다.
한편, 상기 발판(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2 복원부(140) 대신에 몸체(100)의 저면, 그리고 이 저면과 이격되는 발판(120)의 상면 사이에 탄성부재인 코일 스프링(도면에 미도시)을 개재하여 회전되는 발판(120)에 외력을 제거하면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발판(120)을 원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복원부(140)가 결합되는 몸체(100)의 구멍에는 베어링이 삽입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방향성 캐스터(130)의 상측 발판(120)에 이 방향성 캐스터(130)의 바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브레이크(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방향성 캐스터(130)의 바퀴를 가압하지 않고 지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판(120)에 브레이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브레이크의 작동을 발에 의해 실시하지 않고 자전거처럼 핸들(110)의 연장부(119)에 구비한 가압 손잡이의 가압에 의해 브레이크가 작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방향성 캐스터를 부착하지 않고 일반적인 캐스터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 또는 엔진을 구비하여 진행 방향 전방에 위치된 캐스터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캐스터 스케이트의 작동 과정은 우선 연장부(119)를 양손을 이용하여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의 발판(120)에 앞발을 안착시킨 후 뒷발로 지 면을 박차면서 최초의 추진력을 얻고 뒷발을 후방의 발판(12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양 발이 안착된 발판(120)을 서로 번갈아 가면서 전방과 후방을 향해 밀고 이 과정을 통해 방향성 캐스터(130)에 추진력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발판(120)은 회전시키지 않고 한 쌍의 몸체(100) 상단에 개재되는 제1 복원부(112)에 의해 상기 몸체(100)를 상기 제1 복원부(112)를 기점으로 회전시켜도 외력을 제거하면 이 몸체(100)가 수직 상태로 복귀되며, 상기 몸체(100)는 회전시키지않고 좌우 발판(120)에 구비되는 제2 복원부(140)를 기점으로 상기 발판(120)을 회전시켜도 외력을 제거하면 이 발판(120)이 수평 상태로 복귀된다.
결국, 상기 방향성 캐스터(130)는 한 쌍의 몸체(100)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추진력을 발생할 수도 있고, 상기 발판(120)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도 추진력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스터 스케이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신장에 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하로 결합되는 몸체(100a, 100b)가 구비되며, 이 몸체(100a, 100b)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들은 앞선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100a, 100b)는 상하로 분리되되 하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에서 상측 몸체(100a)가 하측 몸체(100b)로부터 승강되도록 하며, 높이 고정은 하측 몸체(100b)의 양측 상단에 구비된 볼트(B)에 의해 실시되고 일정 간격의 홈(G)이 상측 몸체(100a)의 하단에 다수개 형성된다.
즉, 상측에 구비되는 몸체(100a)를 적정 높이로 위치시킨 다음 하측 몸체(100b)에 구비된 볼트(B)를 조이면서 상측 몸체(100a)의 하단에 형성된 홈(G)에 걸치도록 고정하여 위치 조절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스터 스케이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선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며, 발판(220)을 몸체(200a, 200b)에 고정할 때 볼 조인트(Ball Joint: 240)를 사용하는 방식이 상이하다.
즉, 상기 발판(220)이 상기 볼 조인트(240)의 구 부분을 기점으로 상하좌우 특히,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한 쌍의 발판(220)을 오므리고 벌리는 과정을 통해 방향성 캐스터(230)에 추진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 조인트(240)를 볼트로 체결되는 상하 몸체(200a, 200b)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 하측에 접하면서 구비되는 몸체(200a, 200b)의 접촉면에 이 볼 조인트(240)의 구 형상과 상응하는 원형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 조인트(240)의 선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발판(220)의 결합부재(333)에도 상응하는 암나사부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226은 쐐기부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스터 스케이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20)에 두 개의 방향성 캐스터(330)가 구비된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발판(320)과 방향성 캐스터(330)의 사이에 이 발판(320)에 볼트 체결로 고정 되는 상판(336)과, 상기 상판(336)의 저면에 결합되어 쐐기각을 갖는 쐐기부재(334) 및 상기 쐐기부재(334)의 저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는 연장축에 연결되어 경사진 상태로 회전되며 저면에 방향성 캐스터(330)가 부착되는 하판(332)이 더 개입되는 것이다.
결국, 두 개의 상기 방향성 캐스터(330)를 하판(332)의 저면에 각각 고정하여 발판(320)을 비트는 과정에서 상기 하판(332)이 비트는 방향과 반대로 회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스터 스케이트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00)와, 제1 복원부(412)와, 발판(420) 및 방향성 캐스터(4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400) 및 제1 복원부(412)를 제외하고 앞선 실시 예의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400)는 직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한 쌍이 직립된 상태로 이격된다.
상기 제1 복원부(412)는 그 양 단이 한 쌍의 몸체(400) 상단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고정되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400)의 상단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며 이 제1 복원부(412)를 기점으로 전후 회동되는 상기 몸체(4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복원부(412)는 하우징(414)과, 고정부재(416a, 416b) 및 탄성부재(418)로 세분화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414)과, 탄성부재(418)는 앞선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하고 상기 고정부재(416a, 416b) 중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16a)의 대향면에 후술할 탄성부재(418)의 양단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419는 연장부이고, 422는 결합부재이고, 424는 결합홀이고, 426은 쐐기부재이고, 440은 제2 복원부이고, 442는 하우징이고, 444는 고정부재이고, 446은 탄성부재이고, S는 고정나사이다.
결국, 본 실시 예의 캐스터 스케이트는 몸체(400)가 단신이고 상기 몸체(400)의 상단 구멍에 제1 복원부(41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캐스터 스케이트는 방향성 캐스터를 채택하여 추진력 향상 및 회전반경이 작고 제동 기능을 하여 사용시 안전하며 추진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직립된 한 쌍이 서로 평행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각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각각 결합되는 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을 일률적으로 결합시키는 핸들;
    상기 몸체의 하단마다 각각 결합되어 양 발이 놓이는 발판; 및
    상기 발판의 저면마다 구비된 쐐기부재에 의해 쐐기각을 갖은 상태로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방향성 캐스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스케이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발판에는 상기 몸체에 상기 발판을 연결할 수 있는 제2 복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스케이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양 단이 한 쌍의 몸체 사이에 개재되며 전후로 회동되는 상기 몸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복원부; 및
    상기 제1 복원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탑승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연장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스케이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복원부는,
    분할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관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 끝단에 각각 삽입 고정되되 대향면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는 판상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스케이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상기 발판이 볼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발판이 상기 볼 조인트를 기점으로 수평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스케이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는,
    상기 방향성 캐스터의 바퀴 또는 지면을 가압하여 제동시키는 브레이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스케이트.
  8. 직립된 한 쌍이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개재되어 상호 결합시키는 제1 복원부;
    상기 몸체의 하단마다 각각 결합되어 양 발이 놓이는 발판;
    상기 몸체 및 발판에는 상기 몸체에 상기 발판을 연결할 수 있는 제2 복원부;
    상기 발판의 저면마다 구비된 쐐기부재에 의해 쐐기각을 갖은 상태로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방향성 캐스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스케이트.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복원부는,
    분할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관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 끝단에 각각 삽입 고정되되 대향면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는 판상의 탄성부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스케이트.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는,
    상기 방향성 캐스터의 바퀴 또는 지면을 가압하여 제동시키는 브레이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스케이트.
KR1020060026501A 2006-03-23 2006-03-23 캐스터 스케이트 KR100835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501A KR100835570B1 (ko) 2006-03-23 2006-03-23 캐스터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501A KR100835570B1 (ko) 2006-03-23 2006-03-23 캐스터 스케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312A KR20070096312A (ko) 2007-10-02
KR100835570B1 true KR100835570B1 (ko) 2008-06-05

Family

ID=3880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501A KR100835570B1 (ko) 2006-03-23 2006-03-23 캐스터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5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403Y1 (ko) * 2004-09-30 2005-01-14 전경숙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KR20050105914A (ko) * 2004-05-03 2005-11-08 박경희 핸들바 보행식 비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914A (ko) * 2004-05-03 2005-11-08 박경희 핸들바 보행식 비클
KR200372403Y1 (ko) * 2004-09-30 2005-01-14 전경숙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312A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366B1 (ko)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JP4411200B2 (ja) スケートボード
KR102107263B1 (ko) 발로 추진하는 휠식 취미 및/또는 스포츠 기구
US20110031709A1 (en) Tricycle kick board
KR101591253B1 (ko) 자체 추진력 제공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US8636288B2 (en) Street board
KR20110060798A (ko) 스케이터
US3567242A (en) Wheeled coaster device
KR20110119504A (ko) 슬라이딩 보드
US3107926A (en) Self-propelled amusement device
WO2016094800A1 (en) Scooter with mechanical assemblies
KR100576306B1 (ko) 스케이트 보드
KR100835570B1 (ko) 캐스터 스케이트
KR20050060368A (ko) 제동장치가 구비된 스케이트 보드
KR200372403Y1 (ko)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KR100806228B1 (ko) 스케이트 보드
CN210728630U (zh) 滑板车
KR200365357Y1 (ko) 자전거 겸용 퀵 보드
KR100934776B1 (ko) 후레임타입 스케이트보드
JP2009056234A (ja) 水中運動装置
CN112316401A (zh) 一种扭腰驱动的多种玩法扭推式滑行板
JP2820926B2 (ja) 滑走ボ−ド
KR100483061B1 (ko) 롤러보드
JP4144751B2 (ja) スケートボード・タイプの軽量なレジャー用搬送体
JP2002210065A (ja) 乗 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