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686B1 -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686B1
KR101770686B1 KR1020170011301A KR20170011301A KR101770686B1 KR 101770686 B1 KR101770686 B1 KR 101770686B1 KR 1020170011301 A KR1020170011301 A KR 1020170011301A KR 20170011301 A KR20170011301 A KR 20170011301A KR 101770686 B1 KR101770686 B1 KR 10177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pf
main body
waste
inflow chamber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언
Original Assignee
박종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언 filed Critical 박종언
Priority to KR102017001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686B1/ko
Priority to PCT/KR2017/001002 priority patent/WO201813969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Landscapes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는 폐기물 유입실이 형성되고, 이 폐기물 유입실에는 DPF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DPF의 배기측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을 매개로 압축공기를 DPF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연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DPF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서 탈거된 DPF의 배기구 측으로 강력한 공기압과 수압을 제공하여 DPF 내부에 적층된 파티클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어, DPF를 초기상태로 복원되도록 하여 엔진출력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연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DISEL PARTICULATE FILTER CLEANER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탈거된 DPF의 배기구 측으로 강력한 공기압과 수압을 제공하여 DPF 내부에 적층된 파티클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자동차의 엔진의 배기 측에는 배기가스를 정화하여 대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부품들이 있는데, 이 중 디젤 연료에 포함되어 있는 흑연을 내부에 포집하였다가 일정량이 모이면 고온(섭씨 500도 이상)으로 흑연을 연소시켜 대기로 배출하기 위한 DPF(Diesel Particulate Filter)가 있다.
상기와 같은 DPF는 세라믹, 금속 재질의 미세관이 벌집모양의 구조물로 형성되되, 미세관이 교차로 연통되도록 하는 구조(Cross Section)로 제작되어 매연 등의 입자상 물질을 걸러주는 장치이다.
필터의 구조 및 원리상 여과물이 누적되면, 이를 제거 해주어야 하는데(DPF regeneration:자기청정기능), 이론적으로 일정량 이상의 매연 등의 입자상 물질이 필터 내부에 쌓이게 되면, 배기가스의 열로 이를 강제 연소시켜 필터 내부에 누적된 여과물의 잔량을 축소, 제거하여 필터의 막힘 현상을 해소하게 되어 있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DPF 내부에 매연이 모이게되면, DPF 입구의 압력과 출구의 압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매연이 미세관의 내부를 막기 때문이다.
상기 DPF의 입구의 압력이 일정수치 이상인 경우,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더 많은 연료가 분사되도록 지시하고, 분사된 연료에 의해 DPF 내에 모여있는 매연을 태워서 배기하여 DPF의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를 없앤다.
그러나, 차량이 낮은 rpm(예:2000rpm 이하)으로 주행하는 경우, 저속에서는 연료를 추가분사해도 충분히 매연을 연소시킬만큼의 열이 발생하지 않고, 단거리 주행 후 시동을 끄는 것과 같은 운전이 반복되면서 DPF는 작동이 되지만, DPF 내의 매연이 제대로 연소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DPF의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가 크게 줄지 않게되어아 단기간에 다시 DPF가 작동하게 되고, 또 연료를 더 분사하게되고, 그 때문에 엔진오일에 경유가 계속 섞이게 되어 엔진오일의 양이 늘어나게 된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는 고속도로에서 높은 rpm(예:2000rpm 이상)으로 배기온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장시간 주행하게 되면 DPF 내의 매연이 완전히 연소되어 DPF의 작동주기가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경유가 엔진오일로 유입되는 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자기청정시 연소되지 않거나 연소 후, 발생된 잔류 매연 등의 입자상 물질은 결론적으로 필터 내부에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필터의 배출을 방해하게 되며, 배기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이 되는데, 이는 엔진의 출력저하, 엔진 부조화 및 고열발생으로 인한 필터 전단에 설치된 촉매의 고장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2797호(발명의 명칭:경유차량의 애쉬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공개일자:2007년 10월 22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서 탈거된 DPF의 배기구 측으로 강력한 공기압과 수압을 제공하여 DPF 내부에 적층된 파티클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어, DPF를 초기상태로 복원되도록 하여 엔진출력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연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DPF가 본 발명에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가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이 본체의 내벽에는 DPF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설치되어 연결관을 통해 유입되는 고압 공기의 직진성에 의해 DPF의 내부에 와류가 형성되어 DPF 내부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DPF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체 하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캐스터가 설치되되, 이 캐스터의 연결축이 본체의 하면에 대하여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캐스터의 연결축에 스프링이 설치됨으로 인하여 DPF의 세척시 제공되는 고압공기의 반발력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에 의한 반동에 의해 DPF의 내부에는 와류가 형성되어 DPF 내부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DPF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는 폐기물 유입실이 형성되고, 이 폐기물 유입실에는 DPF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DPF의 배기측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을 매개로 압축공기를 DPF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연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DPF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DPF의 배기측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폐기물 유입실의 타측 상부를 개폐하여 상기 DPF의 흡기측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상기 폐기물 유입실로 유도하기 위한 커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측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거치대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본체의 상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폐기물 유입실의 좌우 내벽에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DPF의 흡기측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기물 유입실의 바닥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타측의 바닥면에는 DPF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폐기물이 유입되는 포집바스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에는, 상기 배출공으로 유입되는 폐기물을 상기 포집바스켓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이동을 위해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되, 브레이크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이 제어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는 캐스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스터는, 상기 브레이크에 의해 회전이 제어될 수 있는 휠과, 상기 휠과 상기 본체의 하면을 연결하는 연결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 하면에 설치되는 캐스터는, 상기 연결축이 하측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는, DPF의 세척시 압축공기의 유입에 따른 충격을 반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의 하면과 상기 휠의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타측 하면에 설치되는 캐스터는, 상기 연결축이 하측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의 일측 하면에 설치된 캐스터의 스프링에서 반동되는 힘을 전달받아 재반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의 하면과 상기 휠의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서 탈거된 DPF의 배기구 측으로 강력한 공기압과 수압을 제공하여 DPF 내부에 적층된 파티클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어, DPF를 초기상태로 복원되도록 하여 엔진출력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연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DPF가 본 발명에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가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이 본체의 내벽에는 DPF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설치되어 연결관을 통해 유입되는 고압 공기의 직진성에 의해 DPF의 내부에 와류가 형성되어 DPF 내부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 하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캐스터가 설치되되, 이 캐스터의 연결축이 본체의 하면에 대하여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캐스터의 연결축에 스프링이 설치됨으로 인하여 DPF의 세척시 제공되는 고압공기의 반발력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에 의한 반동에 의해 DPF의 내부에는 와류가 형성되어 DPF 내부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의 커버가 젖혀져 폐기물 유입실이 개방된 상태에서 DPF가 연결관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의 내부를 보인 개략도 및 캐스터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DPF를 세척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의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의 커버가 젖혀져 폐기물 유입실이 개방된 상태에서 DPF가 연결관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의 내부를 보인 개략도 및 캐스터의 부분확대도,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DPF를 세척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의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는, 본체(100), 연결관(200), 압축공기 공급부(400) 및 세척수 공급부(500)가 포함된다.
먼저, 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100)는 금속재질(예:알루미늄)로 제작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본체(100)의 상측에는 폐기물 유입실(11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폐기물 유입실(110)은 상부가 개구된 함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타측(도 2의 좌측)에는 커버(10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커버(101)는 본체(10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폐기물 유입실(110)의 타측을 열고 닫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커버(101)는 DPF(10)를 본 발명과 연결 또는 탈거시에는 타측으로 회전되면서 폐기물 유입실(110)을 개방하고, DPF(10)의 세척시에는 폐기물 유입실(110) 측으로 회전되어 DPF(10)의 흡기측에서 배출되는 세척수 및 세척수와 혼합된 폐기물들을 폐기물 유입실(110)로 유도하여 실내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101)에는 상기와 같은 개폐동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폐기물 유입실(110)에는 DPF(10)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대(12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거치대는 도 2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PF(10)가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100)의 상측은 일측(도 2의 우측)에서 타측(도 2의 좌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데, 이에 따라, 폐기물 유입실(110) 상측의 일측과 타측의 높이도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거치대(120)는 본체의 상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정확하게는 폐기물 유입실(110)의 상측에 인접한 내벽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거치대(120)는 DPF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구비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에는 거치홈(1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폐기물 유입실(110)의 바닥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데, 이러한 폐기물 유입실(110)의 타측 바닥면에는 DPF(10)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공(111)에서 배출되는 폐기물들은 본체(100)의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포집바스켓(112)으로 이동되어 포집되는데, 배출공(111)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은 이동관(113)을 매개로 포집바스켓(112)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는 캐스터(3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캐스터(300)는 본 발명의 이동을 위한 역할 뿐 아니라, DPF(10)의 세척시 DPF(10) 내부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캐스터(300)는 브레이크(3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이 제어된다.
상기 캐스터(300)는 본체(100)의 일측과 타측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데, 일측과 타측 하면에 각각 2개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3개 이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은 캐스터(300)는 휠(320)과, 연결축(330), 스프링(340)이 포함되는데, 상기 휠(320)은 본체(1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31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될 수 있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연결축(330)은 휠(320)과 본체(100)의 하면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연결축(330)에 의해 캐스터(300)가 본체(10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일측 하면에 설치되는 캐스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330)은 하측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330)의 외주면에는, DPF(10)의 세척시 압축공기의 유입에 따른 충격을 반동시키기 위해 본체(100)의 하면과 휠(320)의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34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타측 하면에 설치되는 캐스터(300)는 연결축(330)이 하측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연결축(330)의 외주면에는, 본체(100)의 일측 하면에 설치된 캐스터(300)의 스프링(340)에서 반동되는 힘을 전달받아 재반동시키기 위해 본체(100)의 하면과 휠(320)의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34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캐스터(300)의 연결축(330)이 기울어지고, 이 연결축(330)에 설치된 스프링(340)에 의해 DPF(10)의 세척시 후술할 압축공기 공급부(400)에서 압축공기의 유입시 발생되는 반동을 이용하여 DPF(10) 내부로 강하게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DPF(10)를 더욱 효율적으로 세척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하겠다.
다음으로, 연결관(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연결관(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20)에 거치되어 있는 DPF(10)의 배기측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연결관(200)은 후술할 압축공기 공급부(400)에서 제공되는 압축공기와 세척수 공급부(500)에서 제공되는 세척수가 DPF(10)의 배기측으로 압손실 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DPF(10) 배기측의 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관(200)은 3방향이 개방된 3-way 관체일 수 있으며, 제1방향은 DPF의 배기측에, 제2방향은 압축공기 공급부(400)에, 제3방향은 세척수 공급부(500)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제3방향은 연결관(200)에서 분기된 분기관(210)이다.
다음으로, 압축공기 공급부(4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400)는 연결관(200)을 매개로 DPF(10)의 내부로 DPF(10) 내부의 폐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압축공기 공급부(400)는 예컨대, 본체의 외부에 마련된 컴프레서(Compressor)(410)로부터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연결호스(420)를 매개로 연결관(200)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한다.
다시말하면, 상기 연결호스(420)의 일측은 컴프레서(410)에, 타측은 연결관(200)에 각각 연결된다.
다음으로, 세척수 공급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는 연결관(200)에서 분기된 분기관(210)을 통해 연결관(200)과 DPF(10)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세척수 공급부(500)는 예컨대, 본체(100)의 외부에 마련된 저장탱크(510)로부터 세척수를 전달받아 연결관(200)으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세척수 공급부(500)와 압축공기 공급부(400)에는 세척수와 압축공기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연결관(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개폐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야 더 좋을 것이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를 통해 연결관(200)과 DPF(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DPF(1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화학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으나, 수돗물을 이용하여 DPF(10)의 내부를 세척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물론, 수돗물 보다 화학성분이 포함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DPF(10)의 세척을 하는 것이 세척효율 측면에서는 더 우수할 수 있으나, DPF(10)의 세척 후, 분리하여 약품처리 후 폐기해야 하므로 수돗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은 세척수와 함께 고압공기를 동시에 이용하여 DPF(10)를 세척하므로 화학성분이 포함된 세척수 만큼 또는 그 이상의 세척효율을 가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DPF(10)의 세척 후 별도의 걸림망(미도시)을 통해 세척수와 폐기물이 분리될 수 있어 폐기물은 별도로 폐기하고, 세척수는 그대로 방류하여도 되므로 사용자가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DPF를 세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동차의 배기라인에서 DPF(10)를 탈거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커버(101)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거치대(120)와 폐기물 유입실(110)을 개방한 다음, 상기 탈거된 DPF(10)를 거치대(120)의 위에 형성된 거치홈에 안정적으로 거치 한 다음 DPF(10)의 배기측과 연결관(200)을 긴밀하게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DPF(10)의 배기측과 연결관의 연결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커버(101)를 닫고, 캐스터(300)의 브레이크(310)를 조작하여 본체(100)를 지면 위에 고정시키면 DPF(10)의 세척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 사용자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공급부(500)의 밸브를 개방하여 세척수가 연결관(200)을 거쳐 DPF(10)의 내부로 유입시켜 DPF의 내부에 쌓여있는 폐기물의 일부를 세척하면서 폐기물이 세척수에 불려지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압축공기 공급부(400)의 밸브를 개방하여 고압공기가 연결관(200)을 거쳐 DPF(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데, 이때, 세척수 공급부(500)는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축공기를 강하게 DPF(10)의 내부로 분사한다.
이에 따라, 세척수와 압축공기에 의해 DPF(10) 내의 폐기물이 DPF(10)의 흡기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400)의 밸브는 사용자에 의해 간헐적으로 개폐를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밸브의 개폐에 의해 DPF(10)의 내부에 와류가 형성되어 세척효율이 더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DPF(10)가 기울어지도록 본체(100)에 연결됨으로 인하여 연결관(200)을 통해 DPF(10)의 내부로 수평한 방향으로 강한 압축공기가 제공되는 경우, DPF(10)의 내부에는 강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일측과 타측 하면에 설치된 캐스터(300)의 스프링(340)에 의해 압축공기에서 가해지는 고압에 의한 반발에너지로 본체(100)가 요동치므로 DPF(10)의 내부에는 강한 와류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DPF(10)의 세척시 상술한 3가지 방법으로 DPF(10) 내부에 와류가 형성되어 DPF(10)의 세척효율이 매우 우수하게 되므로 짧은 시간에 DPF(10)를 초기와 같은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DPF
100-본체 101-커버
102-손잡이
110-폐기물 유입실 111-배출공
112-포집바스켓 113-이동관
200-연결관 210-분기관
300-캐스터 310-브레이크
320-휠 330-연결축
340-스프링
400-압축공기 공급부 410-컴프레서
420-연결호스
500-세척수 공급부 510-저장탱크

Claims (10)

  1.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는 폐기물 유입실이 형성되고, 이 폐기물 유입실에는 DPF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DPF의 배기측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을 매개로 압축공기를 DPF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연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DPF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부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의 이동을 위해 상기 본체의 하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되, 브레이크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이 제어될 수 있는 휠과, 상기 휠과 상기 본체의 하면을 연결하는 연결축이 포함되는 캐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 하면에 설치되는 캐스터는, 상기 연결축이 하측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는, DPF의 세척시 압축공기의 유입에 따른 충격의 반동을 이용하여 DPF 내부로 강하게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의 하면과 상기 휠의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타측 하면에 설치되는 캐스터는, 상기 연결축이 하측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의 일측 하면에 설치된 캐스터의 스프링에 의해 압축공기에서 가해지는 고압에 의한 반발에너지로 본체를 재반동시켜 DPF의 내부에 강한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하면과 상기 휠의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DPF의 배기측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폐기물 유입실의 타측 상부를 개폐하여 상기 DPF의 흡기측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상기 폐기물 유입실로 유도하기 위한 커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측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거치대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본체의 상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폐기물 유입실의 좌우 내벽에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DPF의 흡기측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유입실의 바닥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타측의 바닥면에는 DPF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폐기물이 유입되는 포집바스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에는,
    상기 배출공으로 유입되는 폐기물을 상기 포집바스켓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11301A 2017-01-24 2017-01-24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KR10177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301A KR101770686B1 (ko) 2017-01-24 2017-01-24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PCT/KR2017/001002 WO2018139696A1 (ko) 2017-01-24 2017-01-31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301A KR101770686B1 (ko) 2017-01-24 2017-01-24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686B1 true KR101770686B1 (ko) 2017-08-23

Family

ID=5975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301A KR101770686B1 (ko) 2017-01-24 2017-01-24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0686B1 (ko)
WO (1) WO2018139696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125B1 (ko) * 2017-08-28 2019-01-29 주식회사 카즈 Dpf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으로부터 카본 및 애쉬(ash)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WO2019039849A3 (ko) * 2017-08-22 2019-08-29 이재근 자동차 매연여과장치 전용 수공압 세척기
KR20190132272A (ko) 2018-05-17 2019-11-27 이대형 디젤 차량용 dpf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190132273A (ko) 2018-05-17 2019-11-27 이대형 디젤 차량용 scr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2063982B1 (ko) 2019-10-14 2020-01-08 김승주 자동차의 매연저감장치용 세척장치
KR102160378B1 (ko) 2020-04-16 2020-09-25 이상용 Dpf 세척 장치 및 세척 방법
KR20210121406A (ko) 2020-03-30 2021-10-08 고민정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KR102383126B1 (ko) * 2021-11-10 2022-04-08 박다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샌드블라스트 세척장치
KR102671112B1 (ko) * 2022-02-25 2024-05-31 홍성호 디젤 미립자 필터의 세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5604B1 (fr) * 2018-09-11 2021-01-15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Dispositif d'entretien de filtre a particules d'un dispositif d'echappement destine a equiper un moteur a combustion
CN111375601B (zh) * 2020-03-06 2021-03-26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dpf清灰装置及清灰方法
CN114247702A (zh) * 2021-12-13 2022-03-29 江西艾普若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手机主板用高效清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650B1 (ko) * 2005-05-10 2007-04-27 이승열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JP2012217976A (ja) * 2011-04-14 2012-11-12 Tecnet Co Ltd ダスト捕集体の清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557U (ko) * 1995-06-02 1997-01-21 기계 부품의 세척장치
KR19980033372U (ko) * 1996-12-07 1998-09-05 양진우 차량부품세척대
US6279199B1 (en) * 2000-06-13 2001-08-28 Ross Design & Engineering, Inc. Vertically adjustable caster
WO2002036943A1 (fr) * 2000-10-31 2002-05-10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Procede de nettoyage de la face amont d'un filtre a particules
KR101633598B1 (ko) * 2015-09-09 2016-07-08 강세형 매연저감장치를 위한 세척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650B1 (ko) * 2005-05-10 2007-04-27 이승열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JP2012217976A (ja) * 2011-04-14 2012-11-12 Tecnet Co Ltd ダスト捕集体の清掃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849A3 (ko) * 2017-08-22 2019-08-29 이재근 자동차 매연여과장치 전용 수공압 세척기
KR101936125B1 (ko) * 2017-08-28 2019-01-29 주식회사 카즈 Dpf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으로부터 카본 및 애쉬(ash)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32272A (ko) 2018-05-17 2019-11-27 이대형 디젤 차량용 dpf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190132273A (ko) 2018-05-17 2019-11-27 이대형 디젤 차량용 scr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2074155B1 (ko) 2018-05-17 2020-02-06 이대형 디젤 차량용 dpf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2063982B1 (ko) 2019-10-14 2020-01-08 김승주 자동차의 매연저감장치용 세척장치
KR20210121406A (ko) 2020-03-30 2021-10-08 고민정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KR102393894B1 (ko) * 2020-03-30 2022-05-02 고민정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KR102160378B1 (ko) 2020-04-16 2020-09-25 이상용 Dpf 세척 장치 및 세척 방법
KR102383126B1 (ko) * 2021-11-10 2022-04-08 박다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샌드블라스트 세척장치
KR102671112B1 (ko) * 2022-02-25 2024-05-31 홍성호 디젤 미립자 필터의 세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9696A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686B1 (ko)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JP2006242185A (ja) フィルタ保守システム及び方法
EP0379025B1 (en) Combustion furnace for burning sample to be analyzed
EP1162351B1 (fr)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filtre à particules à l'interieur du compartiment moteur et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nettoyage du filtre à particules
KR100981454B1 (ko) 화장로 후단설비인 대기오염방지 장치의 여과집진기
JP6381086B1 (ja) 捕集フィルタの洗浄方法
CN206221044U (zh) 一种带有炭烟微粒收集功能的柴油机消声器
CN211503741U (zh) 一种高效处理废气的窑炉
KR102151149B1 (ko) 자동차 dpf 세척 시스템
JP2013513760A (ja) 再生利用可能な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
KR200479084Y1 (ko) 유해가스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CN106437984B (zh) 一种带有炭烟微粒收集功能的柴油机消声器
CN214598245U (zh) 一种脱硫废气处理设备
CN210079192U (zh) 一种生活垃圾热解装置
US11351496B2 (en) Airborne particulate suppression system
KR20220001753A (ko) 자동차 dpf 세척 시스템
CN205650113U (zh) 布袋除尘器烟尘处理装置
US6773478B1 (en) Gravity-induced ash removal system for particulate filters
JP3321695B2 (ja) パティキュレートトラップフィルタの目詰まり防止装置
CN113769484A (zh) Dpf载体再生单元及再生方法
KR102667215B1 (ko) Dpf의 친환경적인 잔재 제거방법
US4466816A (en) Condenser filter insert for muffler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01317728A (ja) 廃棄物焼却システム
JP6765111B1 (ja) Pm除去ユニット洗浄装置およびpm除去ユニット洗浄方法
CN218794752U (zh) 一种快速出雾的气动混流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