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894B1 -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894B1
KR102393894B1 KR1020200037975A KR20200037975A KR102393894B1 KR 102393894 B1 KR102393894 B1 KR 102393894B1 KR 1020200037975 A KR1020200037975 A KR 1020200037975A KR 20200037975 A KR20200037975 A KR 20200037975A KR 102393894 B1 KR102393894 B1 KR 102393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water
reduction device
water ta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406A (ko
Inventor
고민정
Original Assignee
고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민정 filed Critical 고민정
Priority to KR102020003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89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5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containers, e.g. baskets, or racks immersed and agitated in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젤차량에 설치된 매연저감장치에서 배출되는 매연을 흡입하여 대기오염물질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탈거한 매연저감장치에 수압을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Vehicle exhaust gas collection and smoke reduction device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젤차량에 설치된 매연저감장치에서 배출되는 매연을 흡입하여 대기오염물질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탈거한 매연저감장치에 수압을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디젤엔진차량에는 유해가스를 정화하고 배출가스 중의 유해한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을 포집하기 위한 매연저감장치(Diesel Particulate Filter, DPF)가 장착된다. 이러한 매연저감장치는 세라믹이나 금속재질의 미세관이 벌집모양으로 서로 교차하여 연통하도록 이루어져 엔진에서 배출되는 인체에 유해한 입자상 물질(슬러지 등)을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하지만, 매연저감장치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그 내부에는 입자상 물질이나 그을음 또는 재 등이 파티클이 축적되는데, 이로 인해 필터가 막히게 되면 매연저감장치의 배압(back pressure)이 증가하여 엔진의 성능 저하 및 연비 저하 등이 유발될 수 있으며 입자상 물질과 같은 대기오염을 가중시키는 주요 원인인 매연을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연저감장치는 정기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는데, 대표적인 세척방법으로는 자동차로부터 매연저감장치의 필터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작업자가 직접 에어건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제거하는 방법과, 별도의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를 세척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차량은 엔진 등의 점검을 위해 공회전 상태에서 점검이 이루어져, 실내 및 실외에서 배기가스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가 제시된 방 있다.
종래기술은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는 폐기물 유입실이 형성되고, 이 폐기물 유입실에는 DPF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DPF의 배기측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을 매개로 압축공기를 DPF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연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DPF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서 탈거된 DPF의 배기구 측으로 강력한 공기압과 수압을 제공하여 DPF 내부에 적층된 파티클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어, DPF를 초기상태로 복원되도록 하여 엔진출력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연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매연저감장치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차량 점검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혼합된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없어, 차량 점검시 실내 및 실외의 대기환경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수에 혼합된 폐기물들과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을 통해 실내로 폐기물들이 튀는 것을 방지하지만 많은양의 물이 소모되는 현실이다.
그리고 단순히 매연저감장치에 누적된 폐기물들을 제거할 수 있으나, 매연저감장치의 성능실험 등에 의해 폐기물들이 제거되기 전 및 후에 배기가스와 함께 유해가스가 배출되어 주변의 공기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70686호(2017.08.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포집하여 유해물질 및 냄새를 제거하여 배출하고, 매연저감장치의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혼합된 유해물질을, 부직포, 백금 및 헤파필터를 통해 제거하고, 물에 공급하여 미세한 이물질 및 냄새 등을 제거하여 쾌적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된 물을 매연저감장치에 고압으로 분사하여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하여 배출된 물에 혼합된 파티클을 제거하여 순환시킬 수 있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은 매연저감장치를 통과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필터의 오염상태를 간편하게 측정하여 교체를 통해 필터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실외 또는 작업자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배출하여 주변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제1수조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매연저감장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포집하여 상기 제1수조를 배출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흡입수단; 상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매연저감장치로 상기 제1수조에 저장된 물과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를 통과한 물을 포집하며, 혼합된 파티클을 제거하여 상기 제1수조로 공급하는 정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매연저감장치가 설치된 머플러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배기가스를 흡입하는 흡입모터와, 상기 흡입모터에 의해 흡입되는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제1필터부와, 상기 제1필터부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상기 제1수조의 하단으로 공급하는 공급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관은, 상기 본체 내부에서 분기되어 다수개의 상기 머플러에 각각 결합되어 배기가스를 흡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안착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의 상단에서 상기 매연저감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매연저감장치로 분사된 고압수를 포집하는 포집판이 내부에 형성된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서 포집된 고압수를 상기 정화부로 공급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부는, 상기 매연저감장치의 파티클이 혼합된 물이 유입되어 파티클을 제거하는 제2필터부와, 상기 제2필터부에서 파티클이 제거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제1수주로 공급하는 유입공이 형성된 제2수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입공에는 상기 제2수조에 저장된 물에 남아있는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제3필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흡입수단 및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에 따르면,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포집하여 유해물질 및 냄새를 제거하여 배출하고, 매연저감장치의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포집과 매연저감장치의 파티클 제거를 위해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혼합된 유해물질을, 부직포, 백금 및 헤파필터를 통해 제거하고, 물에 공급하여 미세한 이물질 및 냄새 등을 제거하여 쾌적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의 오염상태를 간편하게 측정하여, 교체를 통해 성능저하를 방지하며, 물을 통과하여 배출된 배기가스를 외부 또는 본체와 떨어진 거리에서 배출하여 주변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맞춰 용이하게 절곡되어 매연저감장치를 통과한 물을 용이하게 포집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수에 의해 절곡된 확장부분은 가이드부에 의해 펼쳐져 고압수의 수압에 맞춰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도록 조절하며, 작업이 끝난 후 절곡된 확장부분이 펼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집판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바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흡입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8은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클을 제거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집판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바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흡입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8은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클을 제거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젤차량에 설치된 매연저감장치에서 배출되는 매연을 흡입하여 대기오염물질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탈거한 매연저감장치에 수압을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매연저감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하며, 매연저감장치(100)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본체(10), 흡입수단(20), 안착부(30), 분사부(40) 및 정화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제1수조(11)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매연저감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포집하여 상기 제1수조(11)를 배출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안착부(3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안착된다.
상기 분사부(40)는 상기 안착부(30)에 안착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로 상기 제1수조(11)에 저장된 물과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한다.
상기 정화부(50)는 상기 분사부(40)에서 공급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를 통과한 물을 포집하여 혼합된 파티클을 제거하며, 상기 제1수조(11)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공회전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상기 흡입수단(20)을 통해 흡입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한 후 배출하여 쾌적한 공기배출이 가능하며,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를 차량에서 탈거한 후, 상기 안착부(30)에 설치하여 상기 분사부(40)를 통해 분사한 물을 이용하여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분사된 물은 상기 정화부(50)에 의해 혼합된 파티클 및 유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분사부(40)를 통해 분사하여 순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40)에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호스(41)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급호스(41)는 상기 제1수조(11)에 있는 물을 분사할 때, 물의 양이 적은 경우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거나,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파티클 제거시 마지막에 분사하여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즉,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에 분사하여 파티클의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하거나, 상기 제1수조(11)의 물이 부족한 경우 외부의 물을 사용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상기 흡입수단(20), 상기 안착부(30), 상기 분사부(40) 및 상기 정화부(5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안착부(30)가 안착되며,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는 제1수조(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조(11)의 일측에 상기 흡입수단(20)이 위치하고, 타측에 상기 정화부(50)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측면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을 향해 서서히 낮아지는 하향경사면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작업공구 등을 보관하는 보관함(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관함(12)은 슬라이딩 이동 또는 도어를 개폐하여 내부에 작업공구 및 부품 등을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관함(12)은 상기 제1수조(11), 상기 흡입수단(20), 상기 분사부(40) 및 상기 정화부(5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흡입수단(20)은 차량의 공회전 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포집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수단(20)은, 유입관(21), 흡입모터(22), 제1필터부(23) 및 공급관(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관(21)은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설치된 머플러(110)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관(21)의 끝단은 차량의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설치된 머플러(110)와 연결되어, 차량의 공회전시 상기 머플러(1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포집한다.
여기서 배기가스는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를 통해 유해물질이 제거된 상태를 흡입한다.
상기 흡입모터(22)는 상기 유입관(21)을 통해 배기가스를 흡입한다.
이러한 상기 흡입모터(22)는 동력을 이용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한다.
상기 제1필터부(23)는 상기 흡입모터(22)에 의해 흡입되는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이러한 상기 제1필터부(23)는 부직포필터(F1), 백금필터(F2) 및 헤파필터(F3) 설치하여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제1필터부(23)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유입관(21)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모터(22)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배기가스는 상기 제1필터부(23)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기가스에 혼합된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공급관(24)은 상기 제1필터부(23)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상기 제1수조(11)의 하단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24)은 상기 제1필터부(23)를 통해 유해물질이 제거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1수조(11)에 저장된 물속으로 공급한다.
이를 통해 물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물에 의해 유해성분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24)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필터부(23)의 설치된 부직포필터(F1), 백금필터(F2) 및 헤파필터(F3)의 오염상태를 판단하는 측정필터(25)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측정필터(25)는, 상기 공급관(24)의 중단부분에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손쉽게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측정필터(25)를 통해 통과한 배기가스에 의해 오염되어 상기 제1필터부(23)의 오염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측정필터(25)의 오염상태에 따라 상기 제1필터부(23) 내에 설치된, 부직포필터(F1), 백금필터(F2) 및 헤파필터(F3)의 오염상태를 편리하게 판단하여 교체하여 상기 제1필터부(23)의 성능저하를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21)은 분기되어 다수개의 상기 머플러(110)에 각각 결합되어 배기가스를 흡입한다.
즉, 상기 유입관(21)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분기되어 일측으로 다수개가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며, 타측이 상기 제1필터부(23)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모터(22)는 상기 흡입모터(22)는 타측에 설치되어 분기된 일측에서 배기가스를 동시에 흡입하거나, 분기된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개별적으로 흡입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관(21)이 하나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흡입모터(22)를 통해 배기가스를 흡입한다.
또한, 상기 유입관(21)이 다수개로 분기된 경우, 하나의 흡입모터(22)를 통해 동시에 배기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입관(21)이 다수개로 분기된 경우, 분기된 상기 유입관(21)에 맞춰 각각 상기 흡입모터(22)가 설치되어 분기된 다수개의 상기 유입관(21)을 통해 개별적으로 배기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입관(21)은 차량에 다수개 설치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에 맞춰 하나 또는 다수개가 연결되어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배기가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부(40)는 상기 제1수조(11)에 저장된 물과 고압공기를 통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에 분사한다.
즉, 상기 분사부(4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한군데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면, 고압공기에 의해 상기 제1수조(11)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물과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한다.
이때, 상기 분사부(40)는 항시 공급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분사되어 용이하게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공급호스(41)를 통해 외부의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부(3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안착시킨 후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해 삽입부재(31), 안착부재(32), 포집부(33) 및 배출관(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재(31)는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삽입부재(31)는 상기 본체(10) 상단의 개방된 형상에 대응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재(32)는 상기 삽입부재(31)의 상단에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부재(32)는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안착되되, 상기 본체(10)의 경사면에 맞춰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부재(31)의 상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32)의 상단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을 향해 서서히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배수구(32b)를 형성하여 상부로 유입된 물 및 이물질을 배출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32)의 상부에는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안착되는 안착바(32a)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는 상기 안착바(32a)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부재(32)와 일정간격 이격시켜, 상기 안착부재(32)의 상단으로 유입된 물 및 이물질은 상기 배수구(32b)를 통해 배수한다.
즉, 상기 매연저감장치(100) 입구로 분사된 물은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를 이동하기 전 초기에 입구로 배출되어 상기 안착부재(32)를 통해 상기 포집부(33) 및 상기 배출관(34)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배수구(32b)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유입된 물 및 이물질을 상기 포집부(33) 또는 상기 배출관(34)으로 배출하는 배출공(32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32c)은 상기 배수구(32b)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물 및 이물질을 상기 포집부(33) 또는 상기 배출관(34)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포집부(33)는 상기 안착부재(32)에 안착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로 분사된 고압수를 포집하는 포집판(33a)이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포집부(33)는 상기 안착부재(32)의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를 통해 배출되는 물 및 이물질을 포집한다.
이때, 상기 포집부(33)의 내부에 비스듬하게 포집판(33a)을 형성하여,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에서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포집하여 배수한다.
이러한 상기 포집판(33a)은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을 포집할 수 있도록 확장부분(33b)과, 상기 확장부분(33b)의 둘레에 형성되어 물이 유입되는 포집공(33c)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확장부분(33b)은 상기 포집판(33a)의 중앙부분에 통공이 형성되며, 통공을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확장부분(33b)은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를 통과하여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의 압력에 맞춰 상기 포집부(33)의 내부로 절곡되어 용이하게 물을 포집한다.
그리고 상기 포집공(33c)은 상기 확장부분(33b)의 둘레에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포집판(33a)을 따라 흐르는 물을 유입한다.
이때, 상기 포집판(33a)은 상기 포집부(33)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33)의 내부에는 상기 포집판(33a)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집판(33a)을 따라 흐르는 물을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포집부(33)는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를 통과하여 파티클이 혼합된 고압수가 상기 포집판(33a)에 충돌하되, 상기 포집판(33a)은 충돌되는 고압수에 의해 내부로 절곡되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사된 고압수를 용이하게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포집판(33a)에 충돌하여 흐르는 물은 상기 포집공(33c)을 통해 유입되거나, 상기 포집부(33)와 상기 포집판(33a)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포집한다.
상기 배출관(34)은 상기 포집부(33)에서 포집된 고압수 및 상기 안착부재(32)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정화부(50)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부(3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차량에서 분리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30)는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해 분사된 고압수를 상기 안착부재(32) 및 상기 포집부(33)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용이하게 포집하여 상기 배출관(34)을 통해 상기 정화부(50)로 공급한다.
그리고 포집판(33a)의 후면에 결합되어 절곡된 상기 확장부분(33b)을 펼치는 가이드부(7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70)는 상기 분사부(40)에 의해 분사된 고압수에 의해 절곡된 상기 확장부분(33b)을 펼칠 수 있도록 가이드바(71), 탄성부재(72) 및 밀착부재(7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바(71)는 상기 포집판(33a)의 후면에서 상기 확장부분(33b)의 테두리에 인접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다수개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72)는 상기 가이드바(71)와 상기 포집판(33a) 회전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71)를 상기 포집판(33a)을 향해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밀착부재(73)는 상기 가이드바(71)의 타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분(33b)의 후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73)는 반호형상을 가지며, 상기 확장부분(33b)의 가압하여 밀착시 다수개가 결합되어 원형형상을 가지도록 적층된다.
따라서 고압수에 의해 상기 확장부분(33b)이 후면으로 절곡시, 상기 가이드바(71)의 일측을 중심으로 상기 밀착부재(73)가 회동한다.
이를 통해 상기 확장부분(33b)은 고압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포집판(33a)의 후면부분으로 확장되어 용이하게 고압수를 포집한다.
그리고 고압수의 수압이 약해지거나, 고압수의 분사가 끝나면, 상기 탄성부재(72)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71)를 상기 포집판(33a)을 밀착하여 상기 확장부분(33b)이 절곡된 상태를 펼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70)는 고압수의 수압에 의해 절곡된 상기 확장부분(33b)을 절곡전 위치로 이동시켜 이후 재사용이 용이하며, 고압수의 수압에 맞춰 상기 확장부분(33b)을 펼쳐 용이하게 물을 포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정화부(50)는 상기 안착부(30)에서 유입된 물에 혼합된 파티클을 제거하여 상기 제1수조(11)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정화부(50)는 제2필터부(51)와 제2수조(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필터부(51)는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파티클이 혼합된 물이 유입되어 파티클을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제2필터부(51)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34)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2필터부(51)의 내부에는 부직포필터(F1), 헤파필터(F3) 및 메쉬망 등을 설치하여 물속에 혼합된 파티클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부(51)는 상기 본체(10)의 측면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수조(52)는 상기 제2필터부(51)에서 파티클이 제거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제1수조(11)로 공급하는 유입공(5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필터부(51)를 통과한 물은 상기 제2수조(52)에 저장하며, 상기 제2필터부(51)에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을 침전시킨다.
그리고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면 상기 유입공(53)을 통해 상기 제1수조(11)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공(53)에는 제3필터부(54)가 형성되어 상기 제2수조(52)에 남아있는 유해물질 및 파티클이 상기 제1수조(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분사부(40)를 통해 상기 제1수조(11)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안착부(30) 및 상기 정화부(50)를 통해 파티클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제1수조(11)로 공급하여 순환시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수조(11)를 통과하여 배출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펜(80) 및 배기관(81)이 형성된다.
상기 송풍펜(80)은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수조(11)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배기관(81)은 상기 송풍펜(80)이 설치된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펜(80)에 의해 이동하는 배기가스를 상기 본체(10)에서 떨어진 외부로 배출한다.
즉,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송풍펜(80)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8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기관(81)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와 이격된 위치로 배출한다.
이를 통해 실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배기관(81)을 외부로 설치하여 상기 본체(1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며, 작업자의 근처에서 배치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상기 흡입수단(20) 및 상기 분사부(4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흡입수단(20)을 통해 배기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모터(22)를 제어한다.
즉, 상기 흡입모터(22)가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설치된 경우 개별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에서 선택적으로 배기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40)를 통해 상기 제1수조(11)에 저장된 물 또는 외부의 물을 분사하거나, 분사되는 물의 압력, 시간 등을 설정한다.
이와 함께, 상기 송풍펜(80)의 작동을 on/off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60)는 배기가스 흡입 및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흡입 및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파티클 제거를 위한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흡입수단(20), 안착부(30), 분사부(40) 및 정화부(50)가 결합된다.
이를 통해 차량의 공회전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유해물질 및 냄새를 제거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관(21)을 차량에 설치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머플러(110)에 결합한다.
이때, 차량의 머플러(110)가 다수개인 경우, 분기된 상기 유입관(21)을 통해 각각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모터(22)를 작동하여 차량의 공회전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포집한다. 이때, 상기 흡입모터(22)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러(60)에 의해 작동을 제어한다.
이렇게 상기 흡입모터(22)에 의해 상기 유입관(21)에서 흡입된 배기가스는 상기 제1필터부(23)를 거쳐 상기 공급관(24)에 의해 상기 제1수조(11)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필터부(23)는 부직포필터(F1), 백금필터(F2) 및 헤파필터(F3)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배기가스에 혼합된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공급관(24)을 통해 상기 제1수조(11)에 저장된 물에 공급하여, 냄새 및 잔여 유해성분을 침전시켜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송풍펜(80)을 통해 상기 제1수조(11)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관(81)으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상기 배기관(81)을 통해 상기 본체(10)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배출하여 작업자가 직/간접적으로 배기가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인 경우 실외로 배출하여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점검을 위채 공회전 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파티클 제거를 위한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에 설치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를 분리한 후 상기 안착부재(32)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40)를 통해 상기 제1수조(11)의 물과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분사하여 파티클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분사부(40)는 분사 또는 정지를 통해 특정 패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매연저감장치(100)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40)는 상기 매연저감장치(100) 내부의 파티클이 제거되면 상기 공급호스(41)를 통해 외부에서 깨끗한 물을 분사하여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를 세척한다.
이를 통해 상기 분사부(40)는 매연저감장치(100) 내에 누적된 파티클을 용이하게 제거하며, 잔여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40)에서 분사된 고압수에 의해 제거된 파티클은 고압수에 혼합되어 상기 포집부(33)를 통해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포집부(33)는 상기 포집판(33a)을 통해 고압수가 유입하며, 확장부분(33b)이 고압수에 의해 내부로 절곡되어 용이하게 분사되는 물이 유입한다.
또한, 상기 포집판(33a)을 흐르는 물을 상기 유입공 및 상기 포집판(33a)과 상기 포집부(33)의 사이로 유입되어 원활하게 상기 배출관(34)으로 공급한다.
아울러, 상기 확장부분(33b)은 상기 가이드부(70)에 의해 고압수에 의해 절곡되면 상기 가이드부(7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여 다음 사용시 분사되는 고압수의 압력에 맞춰 상기 확장부분(33b)이 절곡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입구부분으로 분사된 물은 상기 안착부재(32)의 하부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포집부(33) 또는 상기 배출관(34)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분사부(40)를 통해 공급된 물은 상기 안착부재(32) 및 상기 포집부(33)를 통해 포집한 후 상기 배출관(34)을 따라 상기 정화부(50)로 공급한다.
따라서 정화부(50)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2필터부(51)에 의해 물에 혼합된 파티클을 제거한 후 상기 제2수조(52)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조(52)에 저장된 상태의 물은 상기 제2필터부(51)에 걸러지지 않은 파티클을 침전시키고 상기 유입공(53)을 통해 상기 제1수조(11)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필터부(51)는 상기 본체(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오염시 편리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유입공(53)에는 상기 제3필터부(54)가 형성되어 상기 제2수조(52)에 침전된 파티클이 상기 제1수조(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정화부(50)는 상기 분사부(40)를 통해 공급된 물의 내부에 혼합된 파티클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제1수조(11)로 공급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순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수조(11)에 물을 순화시켜 재사용이 가능하여 절약하고, 물에 혼합된 파티클을 분리배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수조(11)에 저장된 물은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침전시키며,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로 분사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본체 11: 제1수조 12: 보관함
20: 흡입수단 21: 유입관 22: 흡입모터
23: 제1필터부 24: 공급관
25: 측정필터
30: 안착부 31: 삽입부재 32: 안착부재
32a: 안착바 32b: 배수구
32c: 배수공 33: 포집부
33a: 포집판 33b: 확장부분
33c: 포집공 34: 배출관
40: 분사부 41: 공급호스
50: 정화부 51: 제2필터부 52: 제2수조
53: 유입공 54: 제3필터부
60: 컨트롤러
70: 가이드부 71: 가이드바 72: 탄성부재
73: 밀착부재
80: 송풍펜 81: 배기관
100: 매연저감장치 110: 머플러
F1: 부직포필터 F2: 백금필러 F3: 헤파필터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제1수조(11)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매연저감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포집하여 상기 제1수조(11)를 배출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흡입수단(20);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안착되는 안착부(30);
    상기 안착부(30)에 안착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로 상기 제1수조(11)에 저장된 물과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내부에 누적된 파티클을 제거하는 분사부(40);
    상기 분사부(40)에서 공급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를 통과한 물을 포집하며, 혼합된 파티클을 제거하여 상기 제1수조(11)로 공급하는 정화부(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3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삽입부재(31)와,
    상기 삽입부재(31)의 상단에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안착되는 안착부재(32)와,
    상기 안착부재(32)에 안착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로 분사된 고압수를 포집하는 포집판(33a)이 내부에 형성된 포집부(33)와,
    상기 포집부(33)에서 포집된 고압수를 상기 정화부(50)로 공급하는 배출관(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집판(33a)은
    상기 포집판(33a)의 중앙부분에 통공이 형성되며 통공을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확장부분(33b)과, 상기 확장부분(33b)의 둘레에 다수개 형성되는 포집공(33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20)은,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설치된 머플러(110)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관(21)과,
    상기 유입관(21)을 통해 배기가스를 흡입하는 흡입모터(22)와,
    상기 흡입모터(22)에 의해 흡입되는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제1필터부(23)와,
    상기 제1필터부(23)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상기 제1수조(11)의 하단으로 공급하는 공급관(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21)은,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분기되어 다수개의 상기 머플러(110)에 각각 결합되어 배기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50)는,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파티클이 혼합된 물이 유입되어 파티클을 제거하는 제2필터부(51)와,
    상기 제2필터부(51)에서 파티클이 제거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제1수조로 공급하는 유입공이 형성된 제2수조(52)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입공에는 상기 제2수조(52)에 저장된 물에 남아있는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제3필터부(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상기 흡입수단(20) 및 상기 분사부(4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KR1020200037975A 2020-03-30 2020-03-30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KR10239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975A KR102393894B1 (ko) 2020-03-30 2020-03-30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975A KR102393894B1 (ko) 2020-03-30 2020-03-30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06A KR20210121406A (ko) 2021-10-08
KR102393894B1 true KR102393894B1 (ko) 2022-05-02

Family

ID=7861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975A KR102393894B1 (ko) 2020-03-30 2020-03-30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8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846B2 (ja) * 1991-12-26 1996-07-03 株式会社大同機械製作所 工作機械用ク−ラント液ろ過装置
KR101770686B1 (ko) * 2017-01-24 2017-08-23 박종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JP2018535346A (ja) * 2015-09-15 2018-11-29 エフエスエックス イクイップメ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ィーゼル微粒子フィルタ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846B2 (ja) * 1991-12-26 1996-07-03 株式会社大同機械製作所 工作機械用ク−ラント液ろ過装置
JP2018535346A (ja) * 2015-09-15 2018-11-29 エフエスエックス イクイップメ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ィーゼル微粒子フィルタ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770686B1 (ko) * 2017-01-24 2017-08-23 박종언 자동차의 dpf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06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861B1 (ko) 악취 및 분진 저감장치
KR102069546B1 (ko) 노면의 비점오염 물질 제거용 청소차량
KR100634048B1 (ko) 건식,습식겸용 터널용 집진장치
EP1122105A2 (en) System for purifying the ventilation air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motor vehicles or the like and of flows of air containing dust, exhaust fumes or the like, by atomization filtration
KR100696577B1 (ko) 환기를 겸할 수 있는 터널공사용 차량탑재형 집진장치
JP3755010B2 (ja) 空気清浄化装置
KR102393894B1 (ko) 차량의 배기가스 포집 및 매연저감장치의 세척장치
KR101062155B1 (ko) 도로 및 터널 벽면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JP2010261659A (ja) 箱型焼却炉内の煙ガスと空気の巡回焼却装置と焼却炉内の灰ガス巡回灰吸い取り装置
KR102151149B1 (ko) 자동차 dpf 세척 시스템
JP2019150785A (ja) 捕集フィルタの再生方法
KR102082599B1 (ko) 매연저감장치용 버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장치
KR102394872B1 (ko) 매연저감장치의 필터홀 집중분사식 공압 세척기
KR101919440B1 (ko)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KR100944025B1 (ko)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에어펄스 타입 집진기
KR102305155B1 (ko) 악취 저감기
KR20230120902A (ko) 악취 및 분진저감 장치
KR102293419B1 (ko) 오염물 흡착 제거 구조를 갖는 친환경 환풍 장치
KR102227721B1 (ko) 매연 저감용 필터 재생 장치 및 매연 저감용 필터 재생 방법
CN210069967U (zh) 一种厨房油烟处理系统
CN210088933U (zh) 一种厨房油烟处理系统
KR100538784B1 (ko) 연기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정화장치
CN109751647B (zh) 自动清洗静电除尘单元的油烟机
KR101573398B1 (ko) 하이브리드 환기구조를 갖는 흡연부스
KR20190031062A (ko) 분진 및 냄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