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363A -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363A
KR20060115363A KR1020067007653A KR20067007653A KR20060115363A KR 20060115363 A KR20060115363 A KR 20060115363A KR 1020067007653 A KR1020067007653 A KR 1020067007653A KR 20067007653 A KR20067007653 A KR 20067007653A KR 20060115363 A KR20060115363 A KR 20060115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circuit
buffer circu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카즈 코지마
Original Assignee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매트릭스형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전원 회로 중 소정의 버퍼 회로(B1)는 같은 출력전압(V1)을 상시 발생시키도록 한,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이 큰 제 1 출력 회로(B1p)와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이 큰 제 2 출력 회로(B1n)를 구비한다. 그리고, 해당 버퍼 회로(B1)의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검출 위치의 검출 전압(Vdet1·4)과 바이어스 전압(V1r)을 비교하고, 제 1, 제 2 출력 회로(B1p, B1n)의 출력을 바꾸어 디스플레이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크로스톡을 저감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DISPLAY DEVICE DRIV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트릭스(matrix)형의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를 구동하는데 적합한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트(dot)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로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의 행 전극(주사 전극 : 코먼(common) 전극) 및 열 전극(신호 전극 : 세그먼트(segment) 전극)이 설치된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 액정표시장치는 각 주사 전극에 순차 주사 전압을 인가하는 것과 함께, 주사 전극에 대한 전압 인가와 동시에 복수의 신호 전극에 대해서 신호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화상이 표시된다. 각 주사 전극과 각 신호 전극과의 교점에 각 액정 소자가 형성된다.
각 액정 소자는 모든 주사 전극에 대해서 1번씩 전압이 다 인가할 때까지의 시간(1 프레임 주기)에 있어서 평균적인 실효치 전압에 대응하는 투과율을 가지도록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1 프레임 주기마다 소망한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도 8은 종래의 액정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는 제 1 출력전압(V0), 제 2 출력전압(V1), 제 3 출력전압(V2), 제 4 출력전압(V3), 제 5 출력전압(V4), 제 6 전압(V5)(그라운드(ground) 전위)을 생성하고, 액정표시장치 LCD에 공급한다. 또 본 출원에서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 전압은 그라운드 전위를 기준으로 한 전압을 말한다. 이 액정표시장치 LCD는 표시 패널 (디스플레이) 및 주사 전극을 순차 주사하는 주사측 구동 회로, 주사 전극의 주사와 동기하여 신호 전극에 신호 전압을 인가하는 신호측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승압 회로(CHP)는, 예를 들면 차지 펌프(charge pump)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전지 전압(Vcc)과 클럭 신호(clk)가 입력되어 승압된 전원 전압(Vdd)을 얻는다.
이 전원 전압(Vdd)을 전압 증폭기(A1)에 인가해, 기준 전압(Vref)을 소정 배로 하여 제 1 바이어스 전압(V0r)을 형성한다. 이 제 1 바이어스 전압(V0r)을 저항기(R0~R4)로 분압하고, 제 2 바이어스 전압(V1r), 제 3 바이어스 전압(V2r), 제 4 바이어스 전압(V3r), 제 5 바이어스 전압(V4r)을 형성한다.
전원 전압(Vdd)을 구동 전원으로 하는 제 1 버퍼 회로(B0) ~ 제 5 버퍼 회로(B4)에, 제 1 바이어스 전압(V0r) ~ 제 5 바이어스 전압(V4r)이 각각 입력되어 같은 전압 레벨인 제 1 출력전압(V0) ~ 제 5 출력전압(V4)이 출력된다. 또, 제 6 전압(V5)은 그라운드 전위이다.
이러한 제 1 출력전압(V0) ~ 제 6 전압(V5) 가운데, 제 1 출력전압(V0), 제 2 출력전압(V1), 제 5 출력전압(V4), 제 6 전압(V5)이 액정표시장치의 주사측 구동 회로에 공급된다. 또, 제 1 출력전압(V0), 제 3 출력전압(V2), 제 4 출력전압(V3), 제 6 전압(V5)이 액정표시장치 LCD의 신호측 구동 회로에 공급된다. 이러한 전압은 액정표시장치 LCD의 교류화 신호(이하, 프레임 주기마다의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FR)에 맞추고, 선택되어서 이용된다.
도 9는 액정 구동 파형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주사 전극이 n개, 신호 전극이 m개의 액정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특정의 주사 전극(COMj), 신호 전극(SEGk)으로의 구동 전압의 인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홀수 프레임(FR : 고(H) 레벨)에 대해서는 주사 전극(COM1~COMn)이 주사되어 순차로 1개의 주사 전극(COMj)이 선택된다. 그 선택되고 있는 주사 전극(COMj)에는 제 1 출력전압(V0)이 인가된다. 선택되어 있지 않은 주사 전극(COM1~COMn)(다만, COMj는 제외한다)에는 제 5 출력전압(V4)이 인가된다. 한편, 신호 전극(SEG1 ~ SEGm)에는 선택되고 있는 주사 전극에 대응한 표시 신호에 따라 제 4 출력전압(V3) 혹은 제 6 전압(V5)이 인가된다.
또, 짝수 프레임 (FR : 저(L) 레벨)에 대해서는 주사 전극(COM1~COMn)이 주사되어 순차로 선택된다. 그 선택되고 있는 주사 전극(COMj)에는 제 6 전압(V5)이 인가된다. 선택되어 있지 않은 주사 전극(COM1~COMn)에는 제 2 출력전압(V1)이 인가된다. 한편, 신호 전극(SEG1~SEGm)에는 선택되고 있는 주사 전극에 대응한 표시 신호에 따라 제 1 출력전압(V0) 혹은 제 3 출력전압(V2)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교류화 제어되면서, 표시 신호에 대응한 화상이 액정표시장치 LCD에 표시된다.
이 액정표시장치 LCD의 각 표시 소자는, 콘덴서 소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그 신호 전극에 인가되는 신호 전압의 변화에 따르고, 대향하는 주사 전극의 전압이 노이즈 전압 형태로 변동한다. 이 전압 변동에 의해서 크로스톡(crosstalk)이 발생하기 때문에, 표시 품질을 열화 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 전압 변동에의 대책으로서 액정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각 액정 구동 전압을, 한 쌍의 제 1, 제 2의 전압(NV, PV)이 입력되는 볼티지 팔로워(voltage follower)형의 2개의 차동증폭 회로와, 하나의 차동증폭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N형 트랜지스터의 출력 회로 및 다른 하나의 차동증폭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P형 트랜지스터의 출력 회로에 의해 얻는, 액정 구동용 전원 장치가 WO00/41028(특허 문헌 1)에 나타나 있다.
또, 액정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연산증폭기(OP-AMP) 회로로서 충전용·방전용으로 다른 연산증폭기 회로를 구비한다. 그리고, 스위치 회로 및 그 변경 타이밍을 발생시키기 위한 타이밍 회로에 의해, 연산증폭기 회로를 충방전의 타이밍에 의해 전환하도록 한, 액정 구동용 전원 회로가 특허공개공보 평9-292596(특허 문헌 2) 및 특허공개공보 평9-203885(특허 문헌 3)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전원 장치는, 2개의 차동증폭 회로에 입력되는 한 쌍의 전압(NV, PV)을 다른 값으로 하여, 그 전압들 간에 오프셋(offset)을 가지게 하고 있기 때문에, 양 차동증폭 회로 모두가 부동작 상태가 되는 불감대(dead band)가 발생해 버린다. 또, 출력 회로의 출력점에서 전압을 검출하고 있다. 따라서, 표시 전극의 전압 변동(노이즈)은, 구동 회로의 셀렉터(selector)(전압 선택 스위치) 의 전압강하의 영향을 크게 받고, 감쇠되고 나서 출력 회로의 출력점에 나타난다. 이 이유에 의해, 표시 전극의 전압 변동 (노이즈)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
또,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의 전원회로는 충전용 연산증폭기 회로와 방전용 연산증폭기 회로를 전환 타이밍 신호에 의해 바꾸고 있다. 따라서, 그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 수단이 필요하고, 또, 전압 변동에 대응한 전환 제어를 실시 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를 구동하는데 적합한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전극에 가까운 장소에서의 전압을 검출하고, 한편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출력 회로와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출력 회로를 불감대를 가지게 하는 일 없이 바꾸는 것으로, 크로스톡을 저감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는 표시용 기준 전압으로부터 저항 분압하여 복수의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저항 분압 회로와, 그 복수의 바이어스 전압을 각각 임피던스 변환하여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는 복수의 버퍼 회로와, 매트릭스형 표시 소자의 주사측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그 복수의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선택해 인가하는 주사측 구동 회로와, 그 매트릭스형 표시 소자의 신호측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그 복수의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선택해 인가하는 신호측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이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그 복수의 버퍼 회로 중 적어도 1개의 버퍼 회로는, 해당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각각 입력되어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1 출력 회로와, 이 제 1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 스위치와, 해당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각각 입력되어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2 출력 회로와, 이 제 2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2 출력 스위치와, 해당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버퍼 회로의 출력단측 (혹은, 이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주사 전극측의 배선부)에서 검출된 검출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출력 스위치와 상기 제 2 출력 스위치를 바꾸기 위한 전압 비교기를 가진다.
또, 그 전압 비교기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히스테리시스 특성은 그 바이어스 전압을 포함하지 않는 전압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는, 표시용 기준 전압으로부터 저항 분압하여 복수의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저항 분압 회로와, 그 복수의 바이어스 전압을 각각 임피던스 변환하여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는 복수의 버퍼 회로와, 매트릭스형 표시 소자의 주사측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그 복수의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선택해 인가하는 주사측 구동 회로와, 그 매트릭스형 표시 소자의 신호측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그 복수의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선택해 인가하는 신호측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이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그 복수의 버퍼 회로 중 하나의 버퍼 회로(이하, 고전압측 버퍼 회로)는, 해당 고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고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입력되어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1 출력 회로와, 이 제 1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 스위치와, 해당 고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고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입력되어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2 출력 회로와, 이 제 2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2 출력 스위치와, 해당 고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표시 소자에 비표시시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한 검출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출력 스위치와 그 제 2 출력 스위치를 바꾸기 위한 제 1 전압 비교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 복수의 버퍼 회로 중 다른 1개의 버퍼 회로(이하, 저전압측 버퍼 회로)는, 그 고전압측 버퍼 회로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낮은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저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입력되어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3 출력 회로와, 이 제 3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3 출력 스위치와, 해당 저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저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입력되어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4 출력 회로와, 이 제 4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4 출력 스위치와, 해당 저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그 검출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그 제 3 출력 스위치와 그 제 4 출력 스위치를 바꾸기 위한 제 2 전압 비교기를 가지고 있다. 그 검출 전압이 검출되는 검출 위치는, 그 고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단에 제 1 선택 스위치를 통해 연결되는 것과 동시에, 그 저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단에 제 2 선택 스위치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그 제 1 선택 스위치와 그 제 2 선택 스위치는 교류화 신호에 따라 어느 한쪽이 선택된다.
또, 그 제 1 전압 비교기 및 제 2 전압 비교기는 각각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제 1 전압 비교기는 그 검출 전압이 그 고전압측 버퍼 회로에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조금 높은 전압 범위에서 히스테리시스 동작을 실시하고, 그 제 2 전압 비교기는 그 검출 전압이 그 저전압측 버퍼 회로에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조금 낮은 전압 범위에서 히스테리시스 동작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이상의 어느 하나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와 이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매트릭스형 표시 패널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를 구동하는데 적합한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복수 버퍼 회로 중 적어도 1개의 버퍼 회로는,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1 출력 회로와 이 제 1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l 출력 스위치,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2 출력 회로와 이 제 2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2 출력 스위치가 병렬에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제 1, 제 2 출력 회로에는 같은 바이어스 전압이 입력된다. 따라서, 제 1, 제 2 출력 회로의 동작에 불감대(dead band)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은 소정 값으로 신속하게 회복한다.
또, 그 버퍼 회로에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버퍼 회로의 출력단측에서 검출된 검출 전압 (혹은, 표시 소자에 그 비표시시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한 검출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기를 가지고, 그 검출 전압에 포함되는 노이즈 전압 성분을 흡수하도록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출력 스위치와 제 2 출력 스위치를 바꾼다. 따라서, 출력 전류를 발생하고 있지 않는 쪽의 출력 회로도 항상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 1, 제 2 출력 스위치의 전환 후에 즉시 적절한 출력을 발생할 수 있다.
또, 노이즈 발생원에 가까운 위치를 검출 전압의 검출 위치로 하기 때문에, 작은 노이즈에도 응답하고, 전압 변동 (노이즈)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크로스톡을 저감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전압 비교기에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게 하는 것 및, 고전압측의 제 1 전압 비교기는 검출 전압이 고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조금 높은 전압 범위에서 히스테리시스 동작을 실시하고, 저전압측의 제 2 전압 비교기는 검출 전압이 저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조금 낮은 전압 범위에서 히스테리시스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전압 비교 및 그 비교에 수반하는 출력 회로의 전환을 안정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고전압측 버퍼 회로와 저전압측 버퍼 회로에 공통의 검출 전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압이 다른 2개의 비교기에 대해서 검출 전압의 귀환 경로는 1개만으로도 충분하다. 또, 이 표시장치는, 크로스톡에 의한 노이즈가 저감되므로 표시의 품질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 는 도면.
도 2는 전원 회로(40)의 구성도.
도 3.A는 전원 회로 중의 버퍼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전원 회로 중의 다른 버퍼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전원 회로 중의 다른 버퍼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D는 전원 회로 중의 다른 버퍼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E는 전원 회로 중의 다른 버퍼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전원 회로 중의 제 1 각 전압 비교기의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전원 회로 중의 제 2 각 전압 비교기의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신호측 구동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주사측 구동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아날로그 스위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아날로그 스위치의 다른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종래의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액정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구동 파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매트릭스 디스플레이(matrix display)(10), 주사측 구동 회로(20), 신호측 구동 회로(30), 전원 회로(40), 및 제어 회로(50)를 갖추고 있다. 또 표시장치로서 유기 EL 표시 소자를 이용한 유기 EL 표시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전원 회로(40)의 구성도이고, 도 3.A ~ 도 3.E는 전원 회로중의 각 버퍼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도 4.B는 전원 회로중의 각 전압 비교기의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7.A, 도 7.B는 아날로그 스위치의 구체적인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0)는 대향하는 2매의 기판상에 서로 직교하도록 복수의 신호 전극(세그먼트(segment) 전극)(X)(X1 ~ Xm) 및 복수의 주사 전극(코먼 전극)(Y)(Y1 ~ Yn)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신호 전극(X) 및 주사 전극(Y)은 통상, 각각 수백 정도의 다수의 전극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신호 전극(X)과 주사 전극(Y)과의 사이에는, 액정 표시 소자가 끼어 있어 그러한 각 교점이 표시 화소가 된다. 이러한 각 교점은 정전 용량으로 결합된 구조이며, 예를 들면 단순 매트릭스 디스플레이(matrix display)를 구성하고 있다.
전원 회로(40)는 표시장치에 교류화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에 필요한 6 종류의 전압(V0 ~ V5)을 발생하여, 주사측 구동 회로(20), 신호측 구동 회로(30)에 각각 공급한다. 이러한 전압은, 전압(V0)으로부터 전압(V5)을 향해서 순차로 낮아지 거나 (혹은 높아지도록), 각각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발생하는 전압은 6종 이상에서도 상관없고, 또 교류화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한 전압은 적은 종류도 가능하다.
제어 회로(50)는 표시 데이터나 클럭, 각종의 제어 신호를 형성하여, 주사측 구동 회로(20), 신호측 구동 회로(30)에 각각 공급한다. 표시 데이터(D)는 신호 전극(X1 ~ Xm)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을 위한 데이터(예를 들면, PWM 데이터)이다. 이 표시 데이터(D)는 신호측 구동 회로(30)에 공급된다. 이 표시 데이터(D)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10)의 표시 계조(tone)가 제어된다.
데이터 쉬프트 클럭(CK)은 표시 데이터(D)를 쉬프트하는 클럭으로, 신호측 구동 회로(30)에 공급된다. 주사 클럭(LP)은 주사측 구동 회로(20)에 공급되어 주사 전극(Y)을 주사하는 주사 신호가 되고, 또 신호측 구동 회로(30)에 공급되어 1라인 만큼의 표시 데이터(D)를 래치(latch)하는 래치 신호가 된다. 교류화 신호(FR)는 교류화 구동을 위한 반전·비반전 신호(H·L 레벨)이다. 교류구동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류화 신호(FR)는 불필요하다.
스타트 신호(ST)는 주사를 개시하는 신호이며, 주사측 구동 회로(2O)에 공급된다.
주사측 구동 회로(20)는 스타트 신호(ST), 주사 클럭(LP) 및 교류화 신호(FR)를 받는다. 그리고, 주사측 구동 회로(20)는 주사 전극(Y1 ~ Yn)에 소정의 주사 전압을 발생하면서, 주사 클럭 간격으로 주사 전극(Y1 ~ Yn)을 순차 주사한다.
도 2의 전원 회로(4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지 등으로부터의 입력 전압(VCC)과 클럭 신호(clk)가 승압 회로(CHP)에 입력되어 승압된 전원 전압(Vdd)을 출력한다. 승압 회로(CHP)는, 예를 들면 차지 펌프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출력 측에는 전원 전압(Vdd)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평활용 콘덴서를 접속하고 있다.
이 전원 전압(Vdd)을 전압 증폭기(A1)에 인가해, 기준 전압(Vref)을 소정 배로 하여 표시용 기준 전압을 형성한다. 이 표시용 기준 전압이 제 1 바이어스 전압 (제 1 기준 전압)(V0r)이 된다. 이 표시용 기준 전압을 저항기(R0 ~ R4)로 분압하고, 제 1 바이어스 전압 (제 1 기준 전압)(V0r)과 제 2 바이어스 전압 (제 2 기준 전압)(V1r), 제 3 바이어스 전압 (제 3 기준 전압)(V2r), 제 4 바이어스 전압 (제 4 기준 전압)(V3r), 제 5 바이어스 전압 (제 5 기준 전압)(V4r)을 형성한다.
제 1 버퍼 회로(B0) ~ 제 5 버퍼 회로(B4)에, 제 1 기준 전압(V0r) ~ 제 5 기준 전압(V4r)이 입력되어 같은 전압 레벨인 제 1 출력전압(V0) ~ 제 5 출력전압(V4)이 출력된다. 이러한 버퍼 회로(B0 ~ B4)의 구동 전원으로서 각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V0 ~ V4)보다 높은 전압인 전원 전압(Vdd)을 이용하지만, 출력전압(V0 ~ V3)을 이용해도 괜찮다. 제 6 전압(V5)은 그라운드 전위이다.
이러한 제 1 출력전압(V0) ~ 제 6 전압(V5) 가운데, 제 1 출력전압(V0), 제 2 출력전압(V1), 제 5 출력전압(V4), 제 6 전압(V5)이 액정표시장치의 주사측 구동 회로(20)에 공급된다. 한편, 제 1 출력전압(V0), 제 3 출력전압(V2), 제 4 출력전압(V3), 제 6 전압(V5)이 액정표시장치 LCD의 신호측 구동 회로(30)에 공급된다. 이러한 전압은 도 9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액정표시장치 LCD의 교류화 신 호(FR)에 맞추어, 선택되어서 이용된다.
도 3.A는 제 1 버퍼 회로(B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버퍼 회로(B0)는 전원 전압(Vdd)과 제 1 출력전압(V0) 사이에 P형 MOS 트랜지스터(Q0)를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제 1 출력전압(V0)과 그라운드 사이에 미약한 전류 (예를 들면, 1 μA 정도)를 흘리는 정전류원(I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정전류원(10)은, 버퍼 회로의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다른 버퍼 회로에 대해서 이용되는 정전류원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제 1 기준 전압(V0r)과 제 1 출력전압(V0)을 입력하여, P형 MOS 트랜지스터(Q0)에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OP-AMP)(OP0)를 가지고 있다. 이 제 1 버퍼 회로(B0)에서는 P형 MOS 트랜지스터(Q0)를 통해 전류가 유출하지만, 제 1 출력전압(V0)이 제 1 기준 전압(V0r)에 동일해지도록 P형 MOS 트랜지스터(Q0)가 제어된다. 이 제 1 버퍼 회로(B0)는 전원 전압(Vdd)으로부터 P형 MOS 트랜지스터(Q0)를 통해 전류가 유출하기 때문에, 제 1 출력전압(V0)에 대해서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출력 회로가 된다.
도 3.B는 제 2 버퍼 회로(B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버퍼 회로(B1)는, 예를 들면 전원 전압(Vdd)과 제 2 출력전압(V1) 사이에, P형 MOS 트랜지스터(Q1p)와 제 1 출력 스위치(SW1p)를 직렬로 접속한다. 또, 제 2 출력전압(V1)과 그라운드 사이에, 제 2 출력 스위치(SW1n)와 N형 MOS 트랜지스터(Q1n)를 직렬로 접속한다. 또, P형 MOS 트랜지스터(Q1p)의 출력측(드레인측)과 그라운드 사이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정전류원(I1p)을 구비하고, 전원 전압(Vdd)과 N형 MOS 트랜지스 터(Q1n)의 출력측(드레인측) 사이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정전류원(I1n)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기준 전압(V1r)과 제 2 출력전압(V1)을 입력하여 P형 MOS 트랜지스터(Q1p)에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1p)와, 제 2 기준 전압(V1r)과 제 2 출력전압(V1)을 입력하여 N형 MOS 트랜지스터(Q1n)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1n)를 가지고 있다. 이 제 2 버퍼 회로(B1)에서는, 제 1 출력 스위치(SW1p)가 온으로 있을 때 P형 MOS 트랜지스터(Q1p)를 통해 전류가 유출하고, 또 제 2 출력 스위치(SW1n)가 온으로 있을 때 N형 MOS 트랜지스터(Q1n)를 통해 전류가 유입한다. 이 어느 경우에서도, 제 2 출력전압(V1)이 제 2 기준 전압(V1r)에 동일해지도록, 항상 P형, N형 MOS 트랜지스터(Q1p, Q1n)가 제어되고 있다.
P형 MOS 트랜지스터(Q1p), 연산증폭기(OP1p)를 포함한 회로가 제 2 출력전압(V1)에 대해서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1 출력 회로(B1p)가 되고, N형 MOS 트랜지스터(Q1n), 연산증폭기(OP1n)를 포함한 회로가 제 2 출력전압(V1)에 대해서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2 출력 회로(B1n)가 된다.
이와 같이, 제 2 버퍼 회로(B1)는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1 출력 회로(B1p)와 제 1 출력 스위치(SW1p),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2 출력 회로(B1n)와 제 2 출력 스위치(SW1n)가 병렬로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제 1, 제 2 출력 회로(B1p, B1n)에는 같은 기준 전압(V1r)이 입력된다. 따라서, 제 1, 제 2 출력 회로(B1p, B1n)의 동작에 불감대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 1 출력 스위치(SW1p)와 제 2 출력 스위치(SW1n)는 제 1 전압 비교기(CP1)의 비교 출력에 의해, 하나의 스위치가 온으로, 다른 스위치가 오프로 제어된다. 제 1 전압 비교기(CP1)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제 1 전압 비교기(CP1)의 비교 출력에 의해, 제 2 출력전압(V1)을 낮은 값으로부터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제 1 출력 스위치(SW1p)가 온이 되고, 제 2 출력전압(V1)을 높은 값으로부터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제 2 출력 스위치(SW1n)가 온이 된다.
제 1 전압 비교기(CP1)는, 제 2 버퍼 회로(B1)의 내부에 그 일부로서 구비하도록 하여도 괜찮다.
또 제 2 버퍼 회로(B1) 및 제 1 전압 비교기(CP1)의 동작 전원으로서는, 전원 전압(Vdd)에 대신하여, 제 2 출력전압(V1)보다 높은 전압인 제 1 출력전압(V0)을 이용해도 괜찮다. 다른 버퍼 회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 전원으로서 그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보다 높은 출력전압을, 전원 전압(Vdd)을 대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3.C는 제 3 버퍼 회로(B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3 버퍼 회로(B2)는 제 3 출력전압(V2)과 그라운드 사이에 N형 MOS 트랜지스터(Q2)를 구비하는 것과 동시에, 전원 전압(Vdd)과 제 3 출력전압(V2) 사이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정전류원(I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3 기준 전압(V2r)과 제 3 출력전압(V2)을 입력하여, N형 MOS 트랜지스터(Q2)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2)를 가지고 있다.
이 제 3 버퍼 회로(B2)에서는 N형 MOS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전류가 유입하지만, 제 3 출력전압(V2)이 제 3 기준 전압(V2r)에 동일해지도록, N형 MOS 트랜지스터(Q2)가 제어된다. 이 제 3 버퍼 회로(B2)는 제 3 출력전압(V2)으로부터 N형 MOS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전류가 유입하기 때문에, 제 3 출력전압(V2)에 대해서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출력 회로가 된다.
도 3.D는 제 4 버퍼 회로(B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 4 버퍼 회로(B3)는 도 3.A의 제 1 버퍼 회로(B0)와 같은 구성이며, 기준 전압이 제 4 기준 전압(V3r)이 되고, 출력전압이 제 4 출력전압(V3)이 된다.
도 3.E는 제 5 버퍼 회로(B4)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 5 버퍼 회로(B4)는 도 3.B의 제 2 버퍼 회로(B1)와 같은 구성이며, 기준 전압이 제 5 기준 전압(V4r)이 되고, 출력전압이 제 5 출력전압(V4)이 된다. 따라서, P형 MOS 트랜지스터(Q4p), 연산증폭기(OP4p)를 포함한 회로가, 제 5 출력전압(V4)에 대해서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3 출력 회로(B4p)가 된다. N형 MOS 트랜지스터(Q4n), 연산증폭기(OP4n)를 포함한 회로가, 제 5 출력전압(V4)에 대해서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4 출력 회로(B4n)가 된다. 또, P형 MOS 트랜지스터(Q4p)의 출력측(드레인측)과 그라운드 사이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정전류원(I4p)을 구비하고, 전원 전압(Vdd)과 N형 MOS 트랜지스터(Q4n)의 출력측(드레인측) 사이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정전류원(I4n)을 구비하고 있다.
제 3 출력 스위치(SW4p)와 제 4 출력 스위치(SW4n)는, 제 2 전압 비교 기(CP4)의 비교 출력에 의해, 하나의 스위치가 온으로 다른 스위치가 오프로 제어된다. 제 2 전압 비교기(CP4)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제 2 전압 비교기(CP4)의 비교 출력에 의해, 제 5 출력전압(V4)을 낮은 값으로부터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제 3 출력 스위치(SW4p)가 온이 되고, 제 5 출력전압(V4)을 높은 값으로부터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제 4 출력 스위치(SW4n)가 온이 된다.
제 2 전압 비교기(CP4)는 제 5 버퍼 회로(B4)의 내부에 그 일부로서 구비하도록 해도 괜찮다.
제 1 전압 비교기(CP1)는 제 2 기준 전압(V1r)과, 표시 소자에 그 비표시시에 인가되는 전압인 검출 전압(Vdet1·4)을 입력받고, 그러한 크기를 비교한다. 또, 제 2 전압 비교기(CP4)는 제 5 기준 전압(V4r)과 검출 전압(Vdet1·4)을 입력받고, 그러한 크기를 비교한다.
그런데, 주사측 구동 회로(20)에 있어서, 교류화 신호(FR)의 H/L 레벨에 따라, 제 2 출력전압(V1)과 제 5 출력전압(V4)이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아날로그 스위치)의 전환에 의해서 선택되고, 비선택 주사 스위치를 통해 비표시시의 각 주사 전극(Y1 ~ Yn)에 인가된다. 검출 전압(Vdet1·4)은 아날로그 스위치의 전환에 의해서 선택되고, 주사 전극(Y1 ~ Yn)에 향하여 인가되고 있는 전압이다. 즉, 검출 전압(Vdet1·4)은 표시 소자에 비표시시에 인가되고 있는 전압 (제 2 출력전압(V1) 혹은 제 5 출력전압(V4))이다.
따라서, 검출 전압(Vdet1·4)은 주사 전극(Y1 ~ Yn)의 실제의 전압에 가까운 전압이다. 이것에 의해, 주사 전극(Y1 ~ Yn)의 전압 변동(노이즈)을 아날로그 스위 치 등의 전압강하(감쇠)에 영향을 받는 것을 줄이고, 보다 정확하게 가리킬 수 있다. 또 검출 전압(Vdet1·4)을 얻을 수 있는 배선을 주사 전극측의 배선부라고 한다.
도 4.A는 제 1 전압 비교기(CP1)의 검출 전압(Vdet1·4)에 대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전압 비교기(CP1)의 비교 출력은, 도 4.A와 같이 검출 전압(Vdet1·4)이 제 2 기준 전압(V1r)보다 조금 큰 값 (예를 들어, 3mV) 이하에서는 L레벨이다. 이것에 의해, 보통 때에는, 제 1 출력 스위치(SW1p)가 온으로 있어, 제 1 출력 회로(B1p)에 의해서 제 2 출력전압(V1)이 출력되고 있다. 따라서, 검출 전압(Vdet1·4)이 제 5 출력전압(V4)으로부터 제 2 출력전압(V1)으로 바뀌었을 때에, 스위치 전환 시간 등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제 1 출력 회로(B1p)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킬 수 있다.
또, 검출 전압(Vdet1·4)이 제 2 기준 전압(V1r)보다, 예를 들어, 20mV 이상의 소정 레벨을 넘고 있을 때는, 제 1 전압 비교기(CP1)의 비교 출력은 H레벨이다. 이것에 의해, 검출 전압(Vdet1·4)이 그 소정 레벨을 넘었을 때에 제 2 출력 스위치(SW1n)가 온으로 된다. 따라서, 제 2 출력 회로(B1n)에 전류를 유입시키고, 정극성(positive polarity)의 노이즈를 흡수한다.
또, 제 1 전압 비교기(CP1)는, 제 1, 제 2 출력 스위치(SW1p, SW1n)의 전환 동작을 안정되게 실시하게 하기 위해서, 전압 폭이 약 2O mV 정도인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히스테리시스 특성은, 제 2 기준 전압(V1r)보다 조금 높은 전압 영역에서, 소정의 히스테리시스폭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즉, 히스테리시스 특성은, 「 V1r + α (3mV) 」로부터 「 V1r + β (20mV) 」이다.
도 4.B는 제 2 전압 비교기(CP4)의 검출 전압(Vdet1·4)에 대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검출 전압(Vdet1·4)은 제 1 전압 비교기(CP1)에 이용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제 2 전압 비교기(CP4)의 비교 출력은, 도 4.B와 같이 검출 전압(Vdet1·4)이 제 5 기준 전압(V4r)보다 조금 작은 값 (예, 3mV) 이상에서는, H 레벨이다. 이것에 의해, 보통 때는, 제 4 출력 스위치(SW4n)가 온으로 있어, 제 4 출력 회로(B4n)에 의해서 제 5 출력전압(V4)이 출력되고 있다. 따라서, 검출 전압(Vdet1·4)이 제 2 출력전압(V1)으로부터 제 5 출력전압(V4)로 바뀌었을 때에, 스위치 전환 시간 등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제 4 출력 회로(B4n)에 전류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 검출 전압(Vdet1·4)이 제 5 기준 전압(V4r)보다 예를 들어, 20mV 이하의 소정 레벨 미만일 때는, 제 2 전압 비교기(CP4)의 비교 출력은 L레벨이다. 이것에 의해, 검출 전압(Vdet1·4)이 소정레벨보다 내렸을 때에 제 3 출력 스위치(SW4p)가 온으로 된다. 따라서, 제 3 출력 회로(B4p)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고, 음극성(negative polarity)의 노이즈를 흡수한다.
또, 제 2 전압 비교기(CP4)는 제 3, 제 4 출력 스위치(SW4p, SW4n)의 전환 동작을 안정되게 실시하게 하기 위해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히스테리시스 특성은, 제 5 기준 전압(V4r)보다 조금 낮은 전압 영역에서, 소정의 히스테리시스폭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도 5는 신호측 구동 회로(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61)에는, 표시 데이터(D)가 데이터 쉬프트 클럭(CK)에 의한 쉬프트 동작에 의해서 순차 입력된다. 래치 회로(62)에, 주사 클럭(LP)에 의해서 1 라인 만큼의 표시 데이터(D)(D1 ~ Dm)가 래치 된다.
데이터가 있을 때 온 되는 데이터 있음 스위치(SWx1a ~ SWxma) 및 데이터가 없을 때 온 되는 데이터 없음 스위치(SWx1b ~ SWxmb)가, 신호전극(X1 ~ Xm) 마다 한 쌍씩 설치되어 있다. 래치된 표시 데이터(D)(D1 ~ Dm)에 따라서, 데이터 있음 스위치(SWx1a ~ Swxma) 혹은 데이터 없음 스위치(SWx1b ~ SWxmb)가 온 된다.
제 1 출력전압(V0)이 세그먼트(segment) 전압 선택 스위치(SWs0)를 통하고, 또 제 6 전압(V5)이 세그먼트(segment) 전압 선택 스위치(SWs5)를 통해, 데이터 있음 스위치(SWx1a ~ SWxma)에 공급된다. 제 3 출력전압(V2)이 세그먼트(segment) 전압 선택 스위치(SWs2)를 통하고, 또 제 4 출력전압(V3)이 세그먼트(segment) 전압 선택 스위치(SWs3)를 통해, 데이터 없음 스위치(SWx1b ~ SWxmb)에 공급된다.
선택 스위치(SWs5)와 선택 스위치(SWs3)가 교류화 신호(FR)가 H레벨인 홀수 프레임에서 선택된다. 또, 선택 스위치(SWs0)와 선택 스위치(SWs2)가 교류화 신호(FR)가 L레벨인 짝수 프레임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도 9의 신호 전극(SEGk)과 같이, 홀수 프레임에서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제 6 전압(V5) 혹은 제 4 출력전압(V3)이 인가되고, 짝수 프레임에서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제 1 출력전압(V0) 혹은 제 3 출력전압(V2)이 인가된다.
도 6은 주사측 구동 회로(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제 1 출력전압(V0)이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0)를 통하고, 또 제 6 전압(V5)이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5)를 통해, 선택 주사 스위치(SWy1a ~ Swyna)에 접속된다. 제 2 출력전압(V1)이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1)를 통하고, 또 제 5 출력전압(V4)이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4)를 통해, 비선택 주사 스위치(SWy1b ~ SWynb)에 접속된다.
선택 스위치(SWc0)와 선택 스위치(SWc4)가 교류화 신호(FR)가 H레벨인 홀수 프레임에서 선택된다. 또, 선택 스위치(SWc5)와 선택 스위치(SWc1)가 교류화 신호(FR)가 L레벨인 짝수 프레임에서 선택된다.
선택 주사 스위치(SWy1a ~ SWyna) 및 비선택 주사 스위치(SWy1b ~ SWynb)는, 주사 전극(Y1 ~ Yn) 마다 한 쌍씩 설치되어 있다.
스타트 신호(ST)와 주사 클럭(LP)을 받는 주사 회로(71)는, 스타트 신호(ST)를 받은 후에 주사 클럭(LP)을 받을 때마다, 선택 주사 스위치(SWy1a ~ SWyna)를 1개씩 순차로 온 시킨다.
따라서, 도 9의 주사 전극(COMj)과 같이, 홀수 프레임에서는 1개의 주사 전극만이 선택되어 제 1 출력전압(V0)에 있고, 다른 주사 전극은 제 5 출력전압(V4)이 인가되고 있다. 짝수 프레임에서는 1개의 주사 전극만이 선택되어 제 6 전압(V5)에 있고, 다른 주사 전극은 제 2 출력전압(V1)이 인가되고 있다.
이 주사측 구동 회로(20)에 있어서, 비선택 주사 스위치(SWy1b ~ SWynb)가 접속되는 위치, 즉,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1) 혹은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4)에 의해서 제 2 출력전압(V1) 혹은 제 5 출력전압(V4)이 공급되는 위치가, 검출 전압(Vdet1·4)의 검출 위치이다.
도 7.A 및 도 7.B는, 쌍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는 스위치로서 이용하는데 있어 매우 적합한 아날로그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아날로그 스위치는, P형 MOS 트랜지스터와 N형 트랜지스터의 병렬 회로로 구성되는 CMOS 트랜지스터(5a)와, 그 CMOS 트랜지스터(5a)의 하나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 인버터(5b)와, CMOS 트랜지스터(5a)의 다른 입력 단자 및 인버터(5b)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 제어 신호(S1)의 입력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A의 아날로그 스위치는 제어 신호(S1)가 H레벨일 때에 온 되고, L레벨일 때에 오프 된다. 도 7.B의 아날로그 스위치는 제어 신호(S1)가 L레벨일 때에 온 되고, H레벨일 때에 오프 된다.
이 아날로그 스위치는,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0 ~ SWc5), 세그먼트(segment) 전압 선택 스위치(SWs0 ~ SWs5)나, 신호 전극, 주사 전극을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이용된다.
또, 도 2의 전원 회로(40)에 있어서의 제 1, 제 3 출력 스위치(SW1p, SW4p)는 P형 MOS 트랜지스터에 의한 스위치 회로로 하고, 제 2, 제 4 출력 스위치(SW1n, SW4n)는 N형 MOS 트랜지스터에 의한 스위치 회로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동작을,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회로(40)로부터 제 1 출력전압(V0) ~ 제 6 전압(V5)이 출력되어 각각 필요한 전압이 주사측 구동 회로(20)와 신호측 구동 회로(30)에 공급된다. 또, 검출 전압(Vdet1·4)이 주사측 구동 회로(20)의 검출 위치로부터 전원 회로의 제 1, 제 2 전압 비교기(CP1, CP4)에 귀환(feedback)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 회로(50)로부터 스타트 신호(ST), 표시 데이터(D), 클럭(CK), 주사 클럭(LP), 교류화 신호(FR)가, 주사측 구동 회로(20)와 신호측 구동 회로(30)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주사 전극(Y1 ~ Ym)의 주사와 신호 전극(X1 ~ Xm)에의 신호의 공급이 행해지고, 디스플레이(10)에 표시 데이터(D)(D1 ~ Dm)에 따른 화상이 표시된다.
이 표시 동작 중에 있어서, 각 주사 전극 및 신호 전극에는, 각각 소정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표시 소자는 콘덴서 소자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신호 전극(X1 ~ Xm)에 인가되는 신호 전압의 변화에 따라, 대응하는 주사 전극(Y1 ~ Yn)의 전압이 노이즈 전압 형태로 변동된다.
이것을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1, SWc4)의 주사 전극측에서 보면, 홀수 프레임에 있어서는, 제 1 출력전압(V0)에 있던 주사 전극이 다음의 순간에 제 5 출력전압(V4)으로 변화하고, 또, 각 신호 전극의 전압이 제 4 출력전압(V3)과 제 6 전압(V5)로 변화한다. 이와 같은 전압의 변화에 따라서,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1, SWc4)의 주사 전극측의 전압(이 경우는, 제 5 출력전압(V4))이 소정의 전압으로 유지되지 않고 변동한다. 이 전압 변동에 기인하여, 크로스톡이 발생하고, 표시 품질을 열화 시킨다. 이 상황은 짝수 프레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1, SWc4)의 주사 전극측의 전압(이 경우는, 제 2 출력전압(V1))이 소정의 전압으로 유지되지 않고 변동한다. 즉, 크로스톡이 발생하여, 표시 품질을 열화 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주사 전극측의 전압, 즉, 제 2 출력전압(V1) 및 제 5 출력전압(V4)의 변동을 신속하게 소정의 전압으로 유지하고, 크로스톡을 저감한다.
그것을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각 도면의 설명으로 이미 상술한 대로, 전압 비교를 위한 검출 전압(Vdet1·4)을 주사 전극(Y1 ~ Yn)에 가능한 가까운 위치에서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1, SWc4)의 주사 전극측을 전압 검출 위치로 한다. 이 검출 전압(Vdet1·4)을 제 1, 제 2 전압 비교기(CP1, CP4)에 귀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압의 변동분이, 종래의 특허 문헌 1과 같이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1, SWc4)로 감쇠되는 일 없이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의 변동 전압에 의해 가까운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노이즈에도 전압 비교기(CP1, CP4)가 신속하게 반응하여, 출력전압을 보다 안정되게 출력할 수 있다.
또, 고전압측의 버퍼 회로(B1)는 그 기준 전압(V1r)과 버퍼 회로(B1)의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검출 위치의 검출 전압(Vdet1·4)을 비교하는 제 1 전압 비교기(CP1)를 가지고 있다. 그 제 1 전압 비교기(CP1)는 검출 전압(Vdet1·4)이, 버퍼 회로(B1)의 기준 전압(V1r)보다 조금 높은 전압 범위에서 히스테리시스 동작을 실시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 6 전압(V5)에 있던 주사 전극이 다음의 순간에 제 2 출력전압(V1)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제 1, 제 2 출력 스위치(SW1p, SW1n)의 전환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전압측의 버퍼 회로(B4)는, 그 기준 전압(V4r)과 버퍼 회로(B4)의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검출 위치의 검출 전압(Vdet1·4)을 비교하는 제 2 전압 비교기(CP4)를 가지고 있다. 그 제 2 전압 비교기(CP4)는, 검출 전압(Vdet1·4)이, 버퍼 회로(B4)의 기준 전압(V4r)보다 조금 낮은 전압 범위에서 히스테리시스 동작을 실시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 1 출력전압(V0)에 있던 주사 전극이 다음의 순간에 제 5 출력전압(V4)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제 3, 제 4 출력 스위치(SW4p, SW4n)의 전환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다.
또, 고전압측 버퍼 회로(B1)에 있어서의 제 1 출력 회로(B1p)와 제 2 출력 회로(B1n), 및 저전압측 버퍼 회로(B4)에 있어서의 제 3 출력 회로(B4p)와 제 4 출력 회로(B4n)는 항상 동작 상태에 있기 때문에, 신호 전극측의 전압 변화 (V3 → V5, V5 → V3 및 V0 → V2, V2 → V0)에 수반하는 전압 변동도, 신속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검출 전압(Vdet1·4)의 검출 위치를 코먼 전압 선택 스위치(SWc1, SWc4)의 주사 전극측으로 한 것에 의해, 비교 전압이 다른 2개의 전압 비교기(CP1, CP4)에 대해서 공통의 검출 전압을 사용할 수 있어 검출 전압의 귀환 경로는 1개만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에 의하면, 액정 표시 소자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나, 유기 EL 표시 소자를 이용한 유기 EL 표시장치 등의 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크로스톡을 저감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7)

  1. 표시용 기준 전압으로부터 저항 분압하여 복수의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저항 분압 회로와, 상기 복수의 바이어스 전압을 각각 임피던스 변환하여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는 복수의 버퍼 회로와, 매트릭스형 표시 소자의 주사측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선택하여 인가하는 주사측 구동 회로와, 상기 매트릭스형 표시 소자의 신호측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선택하여 인가하는 신호측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 중 적어도 1개의 버퍼 회로는,
    해당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각각 입력되어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1 출력 회로와,
    상기 제 1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 스위치와,
    해당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각각 입력되어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2 출력 회로와,
    상기 제 2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2 출력 스위치와,
    해당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버퍼 회로의 출력단측에서 검출된 검출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출력 스위치와 상기 제 2 출력 스위치를 바꾸기 위한 전압 비교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비교기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 특성은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포함하지 않는 전압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4. 표시용 기준 전압으로부터 저항 분압하여 복수의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저항 분압 회로와, 상기 복수의 바이어스 전압을 각각 임피던스 변환하여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는 복수의 버퍼 회로와, 매트릭스형 표시 소자의 주사측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선택하여 인가하는 주사측 구동 회로와, 상기 매트릭스형 표시 소자의 신호측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선택하여 인가하는 신호측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버퍼 회로 중 하나의 버퍼 회로(이하, 고전압측 버퍼 회로)는,
    해당 고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고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입력되어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1 출력 회로와,
    상기 제 1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 스위치와,
    해당 고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고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입력되어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2 출력
    회로와,
    상기 제 2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2 출력 스위치와,
    해당 고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비표시시에 표시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한 검출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스위치와 상기 제2 출력 스위치를 바꾸기 위한 제 1 전압 비교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 중 다른 1개의 버퍼 회로(이하, 저전압측 버퍼 회로)는,
    상기 고전압측 버퍼 회로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낮은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저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입력되어 고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3 출력 회로와,
    상기 제3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3 출력 스위치와,
    해당 저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해당 저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전압이 입력되어 저레벨측으로의 출력 전류의 구동 능력을 크게 한 제 4 출력 회로와,
    상기 제 4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4 출력 스위치와,
    해당 저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과 상기 검출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3 출력 스위치와 상기 제 4 출력 스위치를 바꾸기 위 한 제 2 전압 비교기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전압이 검출되는 검출 위치는 상기 고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단에 제 1 선택 스위치를 통해 연결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저전압측 버퍼 회로의 출력단에 제 2 선택 스위치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 2 선택 스위치는 교류화 신호에 따라 어느쪽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 비교기 및 제 2 전압 비교기는 각각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비교기는, 상기 검출 전압이 상기 고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조금 높은 전압 범위에서 히스테리시스 동작을 실시하고, 상기 제2 전압 비교기는, 상기 검출 전압이 상기 저전압측 버퍼 회로로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조금 낮은 전압 범위에서 히스테리시스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와 이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매트릭스형 표시 패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67007653A 2003-12-08 2004-12-07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KR200601153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8376A JP3910579B2 (ja) 2003-12-08 2003-12-08 表示装置用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JP-P-2003-00408376 2003-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363A true KR20060115363A (ko) 2006-11-08

Family

ID=3465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653A KR20060115363A (ko) 2003-12-08 2004-12-07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86288B2 (ko)
JP (1) JP3910579B2 (ko)
KR (1) KR20060115363A (ko)
CN (1) CN1777928A (ko)
TW (1) TW200525488A (ko)
WO (1) WO20050551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49B1 (ko) * 2005-06-29 2012-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회로, 이의 구동방법, 이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및이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TWI298868B (en) * 2005-11-09 2008-07-11 Himax Tech Inc Source driver output stage circuit, buffer circuit and voltage adjusting method thereof
US20090174372A1 (en) * 2006-05-24 2009-07-09 Kazuhiro Maeda Analog Output Circuit, Data Signal Line Driving Circuit, Display, and Potential Writing Method
JP4232819B2 (ja) * 2006-11-30 2009-03-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306768B2 (ja) * 2007-06-18 2009-08-05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596477B2 (ja) * 2010-09-15 2014-09-24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TWI426493B (zh) * 2010-09-17 2014-02-11 Holtek Semiconductor Inc 液晶顯示驅動晶片的分壓電路
FR2971379B1 (fr) * 2011-02-09 2013-03-08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Commande a hysteresis d'un dispositif electronique par un signal module en largeur d'impulsion
KR102111651B1 (ko) 2013-10-31 2020-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5159462A (ja) * 2014-02-25 2015-09-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フォロア回路
KR20170015752A (ko) * 2015-07-31 2017-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마기준전압 생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1817A (ja) 1990-03-01 1991-11-11 Hitachi Ltd 液晶駆動用電源回路
JP2695981B2 (ja) * 1990-10-05 1998-01-14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器駆動電源回路
JPH05119297A (ja) * 1991-10-25 1993-05-18 Fujitsu Ltd 液晶ドライブ回路
JP3329077B2 (ja) * 1993-07-21 2002-09-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源供給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電源供給方法
JP3215836B2 (ja) * 1996-01-25 2001-10-09 ロー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2833564B2 (ja) * 1996-02-15 1998-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多値電圧源回路
JP2865053B2 (ja) 1996-04-25 1999-03-08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駆動用電源回路
JP2000020147A (ja) * 1998-06-26 2000-01-21 Casio Comput Co Ltd 電源装置
JP2000132147A (ja) * 1998-10-23 2000-05-12 Casio Comput Co Ltd 安定化回路およびその安定化回路を用いた電源回路
CN1106584C (zh) * 1999-01-08 2003-04-2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晶驱动用电源装置及使用它的液晶装置和电子仪器
JP3781924B2 (ja) * 1999-08-30 2006-06-07 ローム株式会社 電源回路
JP4585683B2 (ja) * 2000-11-20 2010-11-24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表示駆動回路
JP3617816B2 (ja) 2000-11-29 2005-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変換装置と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の駆動装置
JP2003345311A (ja) * 2002-05-27 2003-1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駆動装置
TW200416438A (en) * 2003-02-13 2004-09-01 Rohm Co Ltd Power source device for driving a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72874A (ja) 2005-06-30
CN1777928A (zh) 2006-05-24
US7486288B2 (en) 2009-02-03
US20060244706A1 (en) 2006-11-02
JP3910579B2 (ja) 2007-04-25
TW200525488A (en) 2005-08-01
WO2005055188A1 (ja)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644B1 (ko) 중간 탭을 구비하는 전압 증배기
JP4193771B2 (ja) 階調電圧発生回路及び駆動回路
US624927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e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293962B1 (ko) 액정표시패널을구동하는액정구동회로
US5864328A (en) Driving metho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030018034A (ko) 소스 드라이버, 소스선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JP2009103794A (ja) 表示装置の駆動回路
US625257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ts drive method and the drive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device used therein
US20080204121A1 (en) Voltage generating circuit having charge pump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JP3910579B2 (ja) 表示装置用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319039B1 (ko) 액정표시장치및동장치의구동방법
US639262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er circuit thereof
US5343217A (en) Method for driving a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s and bias voltage circuit therefor
US7289116B2 (en) Electric power unit for driving a display and a display utilizing such power unit
JP2005352497A (ja) 表示装置の駆動用電源装置、及び表示装置
KR0180271B1 (ko) 단순매트릭스형 액정표시소자
JPWO2004042691A1 (ja)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3317871B2 (ja) 表示装置
JP3419795B2 (ja) 電気光学的表示装置
JPH062789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332297B1 (ko) 공통전극의단계적충전및방전을이용한액정표시장치및그구동방법
US5864327A (en)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520870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電源回路
JP3575872B2 (ja) 表示装置用駆動回路および表示装置
JPH07114001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