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913A -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913A
KR20060108913A KR1020050030650A KR20050030650A KR20060108913A KR 20060108913 A KR20060108913 A KR 20060108913A KR 1020050030650 A KR1020050030650 A KR 1020050030650A KR 20050030650 A KR20050030650 A KR 20050030650A KR 20060108913 A KR20060108913 A KR 20060108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oap composition
weight
herbal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893B1 (ko
Inventor
이명석
김진우
홍종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5003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893B1/ko
Priority to JP2005304909A priority patent/JP2006290865A/ja
Publication of KR2006010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급 미용 오일인 팜유, 팜핵유, 야자유, 미강유, 올리브유, 호호바유, 동백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콩기름 및 면실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식물성 오일을 중화제와 혼합하여 제조한 검화 베이스를 생약재 추출물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일반비누의 단점인 사용 후의 피부 당김감, 보습 및 피부자극을 개선한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방 화장비누, 올리브오일, 야자유, 팜유, 생약재 추출물, 검화 베이스

Description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Medicinal herb cosmetic soap composition}
도 1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의 비누 보습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급 미용 오일인 팜유, 팜핵유, 야자유, 미강유, 올리브유, 호호바유, 동백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콩기름 및 면실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식물성 오일을 중화제와 혼합하여 제조한 검화 베이스를 생약재 추출물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일반비누의 단점인 사용 후의 피부 보습 증진, 피부 당김감 개선 및 피부 자극을 개선한 한방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고급지방산의 알카리염으로서 풍부한 기포력과 개운한 세정력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져 왔으며, 화장비누는 각종 동식물의 유지 혹은 지방산에 수산화나트륨을 부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시킨 후 수분 12-15%의 비누소지(neat soap)를 제조한 다음, 불쾌한 취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향을 첨가하고 피부의 보습성과 유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종 유연제나 보습제 기타 필요에 따라 여러가 지 첨가제를 추가로 배합하여 고형으로 제조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대표적인 인체세정제인 비누는 그 풍부한 기포와 세정력으로 인해 폭 넓게 사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사용 시 과도한 세정을 유발하여 일반적인 피부 표면에 오염물질 이외에 피부 표면의 수분 유지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이나 각종 지질성분을 제거하여 피부 표면의 수분이 감소하고 피부의 당김감을 유발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황이나 율무 및 치자 등의 한방성분을 분말화하여 일반 비누 베이스(soap base)에 혼합하여 제조한 한방 미용비누 조성물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0180994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분말 형태의 한방비누 조성물은 그 성상이 분말이므로 일반 비누에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그 유효성분이 세안 시 단시간에 용출되어 실제적인 효과가 어렵고, 또한 분말상이라 일반비누 제조 시에 사용량에 한계가 있으며, 분말성분이 바 압출 단계에서 메시(mesh)에 걸릴 소지가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말이 아닌 액상 한방성분을 사용한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13083호를 들 수 있으며, 상기 특허에서는 일부 분말과 함께 액상 성분을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액상 성분 사용시 바가 물러지는 단점이 있어 그 사용량에 제한이 있었으며, 사용되는 비누 베이스가 일반 지방산을 중화시키는 비누 베이스이기 때문에 당김 방지 및 보습효과를 증진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 비누 베이스 대신에 식물성 오일인 팜유, 팜핵유, 야자유, 미강유, 올리브유, 호호바유, 동백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콩기름 및 면실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여기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검화 베이스를 제조한 후 생약재 추출물을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비누화 반응 시 생성된 글리세린 성분 및 보습력을 주는 생약재 추출물 성분의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일반 비누 베이스 사용 시보다 높은 보습효과, 당김없는 사용감 및 피부 자극 감소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오일인 팜유, 팜핵유, 야자유, 미강유, 올리브유, 호호바유, 동백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콩기름 및 면실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고, 여기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검화 베이스에 생약재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체 비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식물성 오일 48-68 중량% 및 중화제 17-22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검화 베이스 65-90 중량%, 계면활성제 3-10 중량% 및 보습제 2-10 중량%를 혼합하고, 여기에 보습 및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생약재 추출물 5-15 중량%를 더 혼합하여 제조한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물성 오일과 중화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검화 베이스를 사용하며, 상기 검화 베이스는 비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5-9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검화 베이스의 함량이 65 중량% 미만인 경우는 제조된 비누가 고상이 아닌 액상성분으로 나오기 때문에 고형의 한방 비누로서 제형화가 어렵고 9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는 비누 제조 시에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여 비누의 충진 및 기타 첨가물의 혼합이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식물성 오일은 팜유, 팜핵유, 야자유, 미강유, 올리브유, 호호바유, 동백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콩기름 및 면실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화제는 가성소다, 가성 칼리 및 트리에탄올 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통상 비누의 기포력 증진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듐 라우레이트(sodium laurate),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사르코시아네이트(Sarcosinates) 및 설포숙시네이트(sulfosuccinates), 글루탐산(glutamic acid)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코카미도 디에탄올아미드(Cocamido diethanolamide),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lkyl polyglucoside),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20), PEG-100 스테아레이트 (Stearate) 및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Cocoamidopropyl Betaine) 등의 양성계면활성제 등의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습제는 다양한 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글리세린(glycerine), 소르비톨(sorbitol), 1,3-부틸렌 글리콜(1,2-butylene glycol), 슈가(sugar) 및 벌꿀(honey)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생약재 추출물은 작약, 옥죽, 지황, 시호, 인동, 행인, 차전초 및 의이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데 각 성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약은 작약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그 뿌리를 건조하여 사용하며 주요 성분인 페오니플로닌은 보습 및 피부트러블 방지효과가 있다.
옥죽은 백합과의 여러 해 살이 풀로서 일명 둥글레라고 알려져 있으며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 트러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황은 뿌리를 말려 건조한 것으로서 보습 및 피부 트러블 방지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호(Bupleurum falcatum L.)는 산형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식용 및 약용에 쓰이고, 한방에서의 귀경은 간이며, 민간에서는 뿌리를 악한, 해열, 제암, 늑막염, 말라리아, 열로, 모세혈염, 강심, 사기, 상한, 악기, 진통 및 지해 등에 약재로 쓰 며, 감기와 발열이 반복되는 증상, 흉부의 불쾌감, 입이 쓴 증상, 두통, 어지러움증, 학질, 탈항, 월경부조, 자궁하수 및 탈장 등에 사용한다. 시호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으로는 부플레루몰(Bupleurumol), 사이코사포닌(Saikosaponin) 및 사이코게닌(Saikogen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염증 및 항종양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인동(Lonicera japonica Thunberg)은 예로부터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야지에서 자생하는 인동과의 반상록 덩굴성 관목 식물로서, 꽃은 '금은화', 잎과 줄기는 ‘인동등’이라고도 하며 약재로 널리 사용된 무독한 한방 생약이다.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인동을 옹저(속과 겉의 염증)에 유효하다고 하여 관절염, 기관지염 등의 치료에 사용하여 왔는데 최근에는 유행성 감기, 각종 화농성 감염증, 습열로 인한 관절의 발적, 종창, 간독성 보호 및 세포 면역 능력 저하에도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방에서 심과 폐에 귀경하는 인동이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경맥을 잘 통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이뇨작용, 억균작용 등을 나타냄이 밝혀져 있으며, 열독에 의하여 설사하는데, 혈리, 부스럼, 간염, 종기, 저린증상 및 관절염 등에 사용되는 약재이다. 인동에 함유된 유효 성분으로는 아피게닌(Apigenin), 로니세린(Lonicerin), 루테오린(Luteol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에 의해 항염증 효과 및 항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행인(Prunus armeniaca)은 일반적으로 장미과에 속하는 살구나무의 성숙한 과실을 채취하여 과육 및 종피를 제거하고 종자만을 건조한 후 사용하는데, 유로키 나제(Urokinase) 활성 촉진, 진통 효과, 소담 효과, 항종양 활성 진해 효과 등의 약리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폐에 귀경하는 행인이 해수, 천식을 치료하는데, 풍열해수 및 풍한해수 모두에 응용되며 담을 없애고 기침이 나면서 기가 치미는 것, 폐기로 숨이 찬 것, 코에 나는 종기를 치료하고 창종을 없애며 땀을 나게 하며 독을 풀어 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행인에 함유된 유효 성분으로는 지방유, 아미그다린(Amygdalin), 에뮤신(Emus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여 피부 진정효과 및 유연효과가 우수하며 미백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하이퍼로사이드(Hyperoside),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트리포린(Trifolin) 및 쿠에르시트린(Quercitrin) 등의 플라보노이드류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전초(Plantago asiatica)는 질경이라고도 하며 매우 흔한 풀로 민들레처럼 뿌리에서 바로 잎이 나는 식물로 원줄기는 없고 많은 잎이 뿌리에서 나와 옆으로 넓게 퍼진다. 6~8월에 이삭 모양의 하얀 꽃이 피어서 흑갈색의 자잘한 씨앗이 10월에 익는다. 이 씨를 차전자라고 한다. 신에 귀경하는 차전초는 민간요법에서 만병통치약으로 부를 만큼 그 활용범위가 넓고 약효도 뛰어나다. 기침, 안질, 임질, 심장병, 태독, 난산, 출혈, 요혈, 금창 및 종독 등에 다양한 치료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뇨작용, 완화작용, 진해작용 및 해독작용이 뛰어나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데, 변비, 천식, 백일해 등에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각기, 관절통, 눈충혈, 위장병, 부인병, 산후복통, 신경쇠약, 두통, 뇌질환 및 축농증과 같은 질병들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기침,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동맥경화, 당뇨병, 백 일기침, 신장염, 신장결석, 이질 및 장염, 특히 각종 암세포의 진행을 억제한다는 연구보고도 나와 있다. 차전초에 함유된 유효 성분으로는 아피게닌(Apigenin), 우루솔산(ursolic acid), 프레타기닌(Plantagin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아큐빈(aucubin) 등이 있다.
의이인(Coix lacryma-jobi)은 벼과에 속하는 율무의 종인으로 한방에서의 비에 귀경하는 율무가 건비, 보폐, 이습 및 해열 등의 효능이 있어 설사, 습비, 수종, 두통 및 근육경련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습을 이기게 하고 몸에 부기가 있거나 심한 천식에 좋으며 소염, 배농작용, 몸 속의 이물질과 노폐물을 배출시키는데 뛰어나 이뇨작용 및 항균작용을 가진다. 임상에서는 항암작용, 혈압강하작용, 자궁수축작용 및 장관운동조절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의이인이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으로는 코익솔(Coixol), 코익세놀라이드(Coxenolide), 시토스테롤(Sitosterol) 및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등이 분리되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생약재들은 2-3cm의 크기로 잘게 절단한 약재들을 정제수로 4-5회 정도 세척한 후 부직포 주머니에 상기의 약재들을 넣고 80-100℃ 이상의 열수로 8시간 이상 끓여 추출한다.
상기의 추출물은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추출시 생약재와 추출용매인 물을 중량비로 1:100 내지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생약재와 물의 혼합비율은 1:20이다.
이때 생약재와 물의 혼합비가 1:100 미만일 경우, 그 추출에 어려움이 있고 생약재와 물의 혼합비가 1: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생약재 추출액에 1,3-부틸렌 클리콜을 5-15 중량%의 양으로 더 함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한방 화장 비누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타 첨가제 등을 더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한방비누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천연 식물성 오일을 80-90℃로 가온하는 단계;
2) 상기 오일에 중화제를 부가한 후 검화 반응을 거쳐 검화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검화 베이스에 계면활성제 및 보습제를 첨가한 다음 생약재 추출물을 투여하여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비누 조성물의 일정량을 받아 내용물을 절단한 후 45일 간 건조 숙성하여 타형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참조예 1] 검화 베이스 제조
우선 올리브, 야자유 및 팜유를 각각 20ml씩 반응 탱크에 넣고 80℃로 가온하며 패달을 125RPM 정도로 유지하였다. 내용물의 온도가 80℃가 되면 여기에 가성소다 용액 19ml을 서서히 부가하였다. 오일에 가성소다 용액을 부가하면 서서히 비누가 형성되며 내용물의 온도가 비누의 검화반응으로 인하여 95℃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가성소다의 부가 초기에는 내용물의 엉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달의 속도를 150RPM 유지하였다.
[참조예 2] 검화 베이스 제조
팜유, 팜핵유 및 미강유를 각각 20ml씩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참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참조예 3] 검화 베이스 제조
팜유, 동백기름 및 아보카도를 각각 20ml씩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참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참조예 4] 일반 비누 베이스 제조
우선 팜 오일 지방산(Palm oil fatty acid) 40ml 및 팜 카넬 지방산(Palm Kernel fatty acid) 20ml를 반응 탱크에 넣고 80℃로 가온하며 패달을 100RPM 정도로 유지하였다. 내용물의 온도가 80℃가 되면 여기에 가성소다 용액 17ml을 서서히 부가하였다. 지방산 용액에 가성소다 용액을 부가하면 서서히 비누가 형성되며 내용물의 온도가 비누의 중화반응으로 인하여 90℃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가성소다의 부가 초기에는 내용물의 엉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달의 속도를 150RPM 유지하였다. 상기 내용물에 건조시켜 비누 베이스(soap base)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
실시예 1∼5는 상기 참조예 1∼3에서 제조한 검화베이스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비교예 1∼5는 참조예 4에서 제조한 일반 비누 베이스를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단위: 중량%).
성분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검화베이스 (참조예 1) 90.0 87.0 - - - - - - -
검화베이스 (참조예 2) - - 90.0 89.0 - - - - -
검화베이스 (참조예 3) - - - - 85.0 - - - -
일반 비누 베이스(참조예4) - - - - - 90.0 87.0 90.0 89.0 85.0
작약추출물 2.0 3.0 - - 3.0 2.0 3.0 - - 3.0
옥죽추출물 2.0 3.0 - - 3.0 2.0 3.0 - - 3.0
지황추출물 2.0 3.0 - 3.0 - 2.0 3.0 - 3.0 -
시호추출물 - - 2.0 - 2.0 - - 2.0- - 2.0
인동추출물 - - 2.0 - 2.0 - - 2.0 - 2.0
행인추출물 - - 2.0 - 1.0 - - 2.0 - 1.0
차전초추출물 - - - 2.0 - - - - 2.0
의이인추출물 - - - 2.0 - - - - 2.0
소르비톨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알킬폴리글루코시드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합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시험예 1> 피부보습에 대한 효과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한 비누의 피부 보습 효과를 알아보았다. 측정인원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시간은 측정 시작 시점부터 3시간 후의 피부 보습력을 코니오미터(corn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프로브에는 7mm 사방에 방형전극(전극의 폭이 50㎛, 간격이 75㎛)이 배치되어 있고, 프로브를 피부에 밀어붙여 평균 1MHz의 주파수로 전기용량을 구하여 피부 표층의 수분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검화 베이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5의 비누 조성물이 비교예 1∼5의 비누 조성물 보다 높은 보습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2] 피부의 당김방지 효과
기존에 사용되는 일반비누를 사용할 때의 피부당김을 확인하기 위하여 20-40세의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장시간 사용하도록 하여 피부자극정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먼저 모든 대상자들에게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비누(상품명: 살구비누)를 1개월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무작위로 30명씩 그룹을 이루어 각각의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의 조성을 갖는 비누를 다시 1개월동안 사용하게 한 다음, 피부당김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 당김 정도
조성물 피부당김
실시예 1 1.9
실시예 2 1.4
실시예 3 1.8
실시예 4 1.5
실시예 5 1.2
비교예 1 4.4
비교예 2 3.6
비교예 3 4.5
비교예 4 4.0
비교예 5 3.3
< 평가기준>
5: 당김이 매우 심하다 4: 당김이 심하다,
3: 당김이 보통이다 2: 약간 당긴다
1.: 당김이 없다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비누가 비교예 1∼5에서 제조한 비누에 비해서 피부 당김 현상이 현저하게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 자극에 대한 평가
피부자극의 정도는 패치테스트(Patch test)를 수행하여 취합한 결과로서 나타내었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피부자극정도가 심함을 의미한다. 피부에 나타난 자극도의 수와 정도를 기준으로 수치를 표시하였으며,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의 비누를 0.1% 수용액으로 제조한 다음 힐탑 챔버(hilltop chamber)에 0.1㎕ 를 부가한 후 30명의 품평자들의 팔 안쪽에 부착하고 24시간 경과한 다음 챔버(chamber)를 떼어낸 후 피부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다음 육안으로 챔버(chamber)가 부착되었던 자리에 나타나는 피부자극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 자극 정도를 하기 표 3에 기재된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자극정도 평가수치
++++ 매우 심하다 4
+++ 심하다 3
++ 보통이다 2
+ 약하다 1
0 거의 없다 0
피부 자극 정도
조성물 평가점수
실시예 1 0.9
실시예 2 0.4
실시예 3 0.8
실시예 4 0.5
실시예 5 0.2
비교예 1 3.6
비교예 2 3.0
비교예 3 3.5
비교예 4 3.3
비교예 5 2.9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실시예 1∼5의 피부 자극 평가점수는 평가 수치 1 미만으로서 비교예 1∼5의 피부 자극 평가점수에 비해서 피부 자극도가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오일을 검화시켜 제조한 검화 베이스에 생약재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일반 화장비누의 단점인 피부당김, 피부보습 및 피부자극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향상된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었다.

Claims (7)

  1. 화장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검화 베이스에 생약재 추출물을 더 함유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팜유, 팜핵유, 야자유, 미강유, 올리브유, 호호바유, 동백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콩기름 및 면실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작약, 옥죽, 지황, 시호, 인동, 행인, 차전초 및 의이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가성소다, 가성 칼리 및 트리에탄올 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비누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검화 베이스 65-90 중량%, 계면활성제 3-10 중량%, 보습제 2-10 중량% 및 생약재 추출물 5-15 중량%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검화베이스는 식물성 오일 48-68 중량% 및 중화제 17-22 중량%로 이루 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당김 감소, 피부 자극 감소 또는 피부 보습 증진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7. 1) 천연 식물성 오일을 80-90℃로 가온하는 단계;
    2) 상기 오일에 중화제를 부가한 후 검화 반응을 거쳐 검화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검화 베이스에 계면활성제 및 보습제를 첨가한 후 생약재 추출물을 투여하여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비누 조성물의 일정량을 받아 내용물을 절단한 후 45일 간 건조 숙성하여 타형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 비누의 제조방법.
KR1020050030650A 2005-04-13 2005-04-13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 KR101125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50A KR101125893B1 (ko) 2005-04-13 2005-04-13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
JP2005304909A JP2006290865A (ja) 2005-04-13 2005-10-19 漢方化粧石鹸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50A KR101125893B1 (ko) 2005-04-13 2005-04-13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913A true KR20060108913A (ko) 2006-10-18
KR101125893B1 KR101125893B1 (ko) 2012-03-21

Family

ID=3741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650A KR101125893B1 (ko) 2005-04-13 2005-04-13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290865A (ko)
KR (1) KR1011258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56A2 (en) * 2007-07-09 2009-01-15 Misun Nam A soap composition for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fermented extract of xanthium strumarium 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889390B1 (ko) * 2008-03-10 2009-03-19 우희경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KR101054378B1 (ko) * 2009-05-07 2011-08-04 이기철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28361B1 (ko) * 2012-01-09 2012-03-23 조봉주 차유를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1168B1 (ko) * 2009-09-17 2012-05-0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해바라기 오일 비누화 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조성물
KR20190075406A (ko) * 2017-12-21 2019-07-01 탑월드(주) 천연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56B1 (ko) 2006-11-23 2007-07-27 황인준 한방비누 원료 농축액 제조방법
CA2778350A1 (en) * 2009-10-20 2011-04-28 Deborah Stone Therapeutic composition
JP2011148708A (ja) * 2010-01-19 2011-08-04 Noevir Co Ltd 保湿剤、抗老化剤、抗酸化剤、痩身剤、美白剤、抗炎症剤、免疫賦活剤、皮膚外用剤及び機能性経口組成物
KR101425023B1 (ko) * 2013-08-16 2014-08-01 김윤 오미자 오일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세정 조성물
KR20160072740A (ko) 2014-12-15 2016-06-23 닥터하스킨 주식회사 허브추출물과 손바닥 선인장을 이용한 친환경 피부 보습제
KR101725043B1 (ko) 2015-09-14 2017-04-10 주식회사 에코힐링 플로랄 워터를 이용한 천연 피부 보습제
CN105273878A (zh) * 2015-10-27 2016-01-27 周庆莉 一种防治视力减退的养生皂
CN107184959A (zh) * 2017-05-07 2017-09-22 湖北民族学院 一种金银花霜及其制备方法
CN108485851B (zh) * 2018-05-28 2021-02-09 南平市祥寿茶籽科技有限公司 一种茶籽手工皂及制作该茶籽手工皂的工艺
CN112226304B (zh) * 2020-10-18 2024-03-01 江西联锴科技有限公司 一种油茶籽油皂基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30028605A (ko) 2021-08-19 2023-03-02 주식회사 슈가에코 당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KR102536130B1 (ko) * 2023-01-25 2023-05-30 선성자 주방용 세정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8333A (en) * 1977-01-13 1978-08-03 Sunstar Inc Cosmetics
JPS5823612A (ja) * 1981-08-04 1983-02-12 Osaka Chem Lab 生薬成分含有化粧料組成物
JPH0778239B2 (ja) * 1987-09-30 1995-08-23 延泰 村中 漢方化粧石鹸
JP2969274B2 (ja) * 1989-12-21 1999-11-02 株式会社資生堂 肌荒れ防止改善剤
JP3356309B2 (ja) * 1992-08-07 2002-12-16 宏樹 宮松 高級脂肪酸塩石鹸
JPH06116595A (ja) * 1992-10-05 1994-04-26 Tamanohada Setsuken Kk 化粧石鹸
JPH06200298A (ja) * 1992-12-28 1994-07-19 Tamanohada Setsuken Kk 化粧石鹸
JP3455470B2 (ja) * 1999-05-28 2003-10-14 カネボウ株式会社 美白用石鹸組成物
JP2001115197A (ja) * 1999-10-14 2001-04-24 Take:Kk 石 鹸
JP2001139456A (ja) 1999-11-11 2001-05-22 Kanebo Ltd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02145731A (ja) * 2000-11-10 2002-05-22 Katakura Chikkarin Co Ltd 化粧料
JP3609768B2 (ja) * 2000-12-25 2005-01-12 資生堂ホネケーキ工業株式会社 透明固形石鹸組成物
KR20030009983A (ko) * 2001-07-25 2003-02-05 김홍재 게르마늄과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항균 미용비누 조성물
JP2003049199A (ja) * 2001-08-03 2003-02-21 Tokun Shuzo Kk 酒石鹸および酒石鹸の製造法
JP3598467B2 (ja) * 2001-10-03 2004-12-08 Riswood株式会社 木質石鹸
JP2003155225A (ja) * 2001-11-16 2003-05-27 Pigeon Corp 乳幼児用の日焼け止め落とし用シート
JP2003213294A (ja) * 2002-01-25 2003-07-30 Baps:Kk 竹炭入り洗浄剤の製造方法及び竹炭入り洗浄剤
CN1197549C (zh) * 2002-05-31 2005-04-20 吕秀娟 粉状沐浴清洁剂及其制备方法
JP2004123585A (ja) * 2002-10-01 2004-04-22 Saido:Kk 発酵パパイア石鹸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80007A (ko) * 2003-03-10 2004-09-18 (주) 조이피아 핵산을 함유하는 미용비누
JP2004277515A (ja) * 2003-03-14 2004-10-07 Senka Takebayashi 母乳入り化粧石鹸の製造方法及び母乳入り化粧石鹸
JP2004331961A (ja) * 2003-04-17 2004-11-25 Beauty Sapoo Kk 石けん
JP2004346157A (ja) * 2003-05-21 2004-12-09 Koshin Go 透明な石鹸の快速製造方法
JP2005089675A (ja) * 2003-09-19 2005-04-07 Toyo Ink Mfg Co Ltd 黒褐色透明石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56A2 (en) * 2007-07-09 2009-01-15 Misun Nam A soap composition for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fermented extract of xanthium strumarium 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09008656A3 (en) * 2007-07-09 2009-03-19 Misun Nam A soap composition for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fermented extract of xanthium strumarium 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889390B1 (ko) * 2008-03-10 2009-03-19 우희경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KR101054378B1 (ko) * 2009-05-07 2011-08-04 이기철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1168B1 (ko) * 2009-09-17 2012-05-0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해바라기 오일 비누화 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조성물
KR101128361B1 (ko) * 2012-01-09 2012-03-23 조봉주 차유를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5406A (ko) * 2017-12-21 2019-07-01 탑월드(주) 천연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90865A (ja) 2006-10-26
KR101125893B1 (ko)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893B1 (ko)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
Koh et al. Guide to medicinal plants, a: An illustrated scientific and medicinal approach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KR20160112865A (ko) 약산성 비누 조성물과, 이 조정물을 이용한 약산성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약산성 비누
KR20110059921A (ko) 다기능성 미용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516146B1 (ko) 복합 기능성 한방비누
CN110339249B (zh) 一种用于痔疮肛裂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870133A (zh) 一种中药润肤沐浴露及其制备方法
CN107184492B (zh) 保健牙膏及其制备方法
JP2002363065A (ja) 薬草化粧石鹸及びローション
KR20200118322A (ko) 여성 청결제 및 그 제조방법
CN105441230A (zh) 一种茶油冷制皂
CN109260107A (zh) 一种具有除螨止痒功能的沐浴露配方及制备方法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0892468B1 (ko) 고형의 한방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CN105902437A (zh) 具有美容效果的洁面盐及制备方法
KR102418674B1 (ko) 중약 유래 바디 워시 모액
CN105708769A (zh) 一种保健沐浴液及其制备方法
KR20170138709A (ko) 한방비누 제조방법
CN105687050A (zh) 一种沐浴盐及制法
KR20010109227A (ko) 피부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81995B1 (ko) 식물성 효소 및 허브향이 추가되어 제공되는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87709B1 (ko) 바디 워시 원액
KR20060074038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CN104922449A (zh) 一种中药消毒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