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406A - 천연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406A
KR20190075406A KR1020170176966A KR20170176966A KR20190075406A KR 20190075406 A KR20190075406 A KR 20190075406A KR 1020170176966 A KR1020170176966 A KR 1020170176966A KR 20170176966 A KR20170176966 A KR 20170176966A KR 20190075406 A KR20190075406 A KR 20190075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natural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906B1 (ko
Inventor
민연홍
Original Assignee
탑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월드(주) filed Critical 탑월드(주)
Priority to KR1020170176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9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로서 유효성을 가지는 씀바귀, 차전초 및 소리쟁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천연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 천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화장료 조성물{Natural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천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로서 유효성을 가지는 천연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 천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특히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람의 피부는 끊임없이 변화를 겪게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노화와 환경에 의한 피부 기능 저하 및 탄력이 없어지면서 주름 생성 등에 의해 피부가 퇴화된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보습을 유지하여 세포 활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예로서, 보습제에 의한 피부 각질층의 수분을 유지하고, 자외선 또는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새로운 세포 활성 촉진에 의한 주름의 방지 등의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피부 노화 억제를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카탈레이즈(Catalase) 등의 효소와 토코페롤(Tocopherol, Vitamin E), 카로틴(Carote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Vitamin C) 및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주로 피부 노화에 따른 주름의 형성을 억제시키는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최근 항노화 물질로 각광받는 비타민 A, 알파하이드록시산 등은 진피 내 콜라겐 합성 증진을 통하여 피부의 탄력을 증대시키는 치유 효과가 있으며, 주름 완화 효과가 항산화제보다 빠른 시일에 나타나며 피부 세포 재생, 미백 등의 부가적인 효과도 보고되고 있다 (R. Hermitte, C&T, 107, 63, 1992).
그러나 이들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 비타민 A, 알파하이드록시산 등은 화장료에 배합시 안정성 및 안전성 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화장품 분야에는 천연 추출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보습력과 노화 개선 기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피부 노화 개선 효과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후에는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 생약 추출물들은 항산화, 피부의 탄력 증대 등 화장료로서의 활성은 미미하여 실용화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어서, 피부에 자극이 없이 안정하고, 피부 보습, 피부 탄력 및 피부 재생 효과 등이 우수한 새로운 천연화장료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종래 천연 화장료 조성물은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124724호에서는 씀바귀(Ixeris dent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에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는 씀바귀 추출물이 세포 내 세라마이드 합성을 증가시키고, 특히 상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다른 분획에 비하여 우수한 효율로 세라마이드 합성 증가시키며, 이로 인하여, 상기 씀바귀 추출물은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으며,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0-2004-0104000호에서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제안하면서, 침전 및 변색이 개선되며 자극완화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10-1405429호에서는 야생초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야생초는 꽃다지, 냉이, 쇠뜨기, 큰개불알풀, 광대나물, 별꽃, 가죽나물, 뽀리뱅이, 지칭개, 애기똥풀, 뱀딸기, 돌나물, 방가지똥, 소리쟁이, 명아주, 닭의장풀, 비름나물, 며느리밑씻개, 새삼, 토끼풀, 환삼덩굴, 박주가리, 털별꽃아재비, 어성초, 야생돌콩, 피, 칡넝쿨, 까마중, 강아지풀, 미국자리공, 개여뀌, 개쑥갓, 돼지감자, 미역취, 쑥부쟁이, 개미취, 머위, 곰취, 쑥, 엉겅퀴, 민들레, 수리취, 씀바귀, 비비추, 원추리, 얼레지, 밀나물, 풀솜대, 단풍취, 개망초, 갯기름나물, 고들빼기, 고마리, 털여뀌, 장구채, 메꽃, 톱풀, 까실쑥부쟁이, 제비꽃, 쇠무릎, 쇠비름, 꿀풀, 활나물, 무늬둥글레, 참나물, 애기수영, 지치, 달개비, 쥐오줌풀, 바디나물, 양지꽃, 질경이, 짚신나물, 등골나물, 박하, 차즈기, 구릿대, 금낭화, 기린초, 무릇, 배초향, 방아풀, 독활, 참나리, 천궁, 치커리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초 화장품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야생초 화장품의 경우 특정 성분의 선택적 특성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으며, 막연하게 여러 야생초를 화장료에 적용한다는 것 이외에는 천연 화장료에서 나타나는 이질감, 향기, 보존성, 과량 사용에 따른 비경제성과 부적합성 문제 등 각종 문제 해결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천연 화장품 소재들은 화장품에 적용 가능함을 제안하고 있지만, 최근 수요자들의 까다로운 성향으로 인해 화장료에 적용시 나타나는 역한 냄새, 이질감, 보존성 등에 의해 거부감이 느껴져서 사용을 꺼리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천연 화장료 조성에 적용할 때 좋은 성분을 단순하게 혼합하여 구성하는 등 그 조합에 따른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여 각 성분들의 효과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124724호 한국특허공개 제10-2004-0104000호 한국특허등록 제10-1405429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에 화장료 조성에 사용되었던 천연 성분들의 조합을 전혀 새롭게 하고, 그 함량을 특정 비율로 구성함으로써 실용화가 가능한 천연 화장료 구성을 고품질화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보습 효과도 우수하여 보습, 주름개선 및 미백효과를 동시에 발현하는 고품질의 개선된 천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미용 개선효과를 가지는 천연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첨가성분도 천연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씀바귀, 차전초 및 소리쟁이 중에서 하나 이상을 55-80중량%로 함유하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화장품과는 달리 특정 천연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로 사용하여 피부 친화력이 우수하고 피부 보습은 물론 주름개선과 미백효과도 동시에 발현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천연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별도의 화학성분을 첨가하지 않고서도 화장품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특히 천연 성분들 자체가 기지는 항균, 보습, 각질제거, 피부재생, 세포활성, 각종 기능성 발휘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의 상승효과로 인해 피부에 화장품으로 사용시 부작용이 없고 저장성이 우수하며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지속력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므로 마스크팩 등과 같은 사용이 편리한 화장품에 적용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천연 성분 중에서도 특정 천연 성분을 특정 함량으로 사용하면서, 여기에 화학성분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보습력과 저장성이 우수하게 개선되는 새로운 구성의 천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씀바귀, 차전초, 소리쟁이 중에서 하나이상을 주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씀바귀로는 씀바귀의 전초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고, 차전초는 질경이로 알려진 천연 식물로서 차전초의 전초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리쟁이는 소리쟁이 꽃, 잎 및 줄기의 추출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천연 성분으로 사용되는 씀바귀, 차전초 및 소리쟁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전체 조성에 대해 55-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70중량%로 사용하는 바, 만일 그 함량이 너무 적으면 목적하는 화장료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이를 과량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천연성분의 농도가 진하여 피부트러블 등의 역효과가 날 염려가 있고, 너무 과량으로 인한 향기도 강하여 일부에서는 향기의 거부감을 느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씀바귀, 차전초 및 소리쟁이를 모두 혼합하되 이 경우 씀바귀 15-30중량%, 차전초 15-30중량%, 소리쟁이 15-30중량%로 함유하여 전체 성분이 55-80중량%가 되도록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씀바귀, 차전초 및 소리쟁이 중에서 어느 2가지 성분을 혼합하는 경우는 2 성분 중에서 하나의 성분을 20-6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천연 화장료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고삼추출물, 자몽추출물, 유자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클로부꽃 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고삼추출물, 자몽추출물, 유자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클로브꽃 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1-3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고삼추출물, 자몽추출물, 유자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등은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안정과 미백, 주름 개선 등 다양한 피부개선효과도 발휘하므로 천연 보존제 역할을 하면서도 피부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클로브꽃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고 예민한 피부를 진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마치현추출물은 방부 성분으로 항균, 항염 작용과 보습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고삼추출물, 자몽추출물, 유자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클로브꽃 추출물, 마치현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중에서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 0.1-3 중량% 이내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을 대부분 사용하거나 모두 사용하는 경우 전체 사용량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우 오히려 트러블, 가려움증 등을 유발을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보습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역시 천연 성분으로부터 유래된 1,2-헥산디올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2-헥산디올은 방부효과를 가지면서 보습력을 증강시켜주는 용제로 사용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별도의 화학성분을 첨가하지 않고서도 천연물만으로도 화장품 제조가 가능하고, 별도의 방부제나 합성 보습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기능성도 우수하여 천연 화장품으로서 민감성 피부에도 부작용이 없고 오래 보관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부패하거나 변질되지 아니하고 고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천연 성분을 사용함으로서 아무런 부작용이나 피부자극 없이도 보습효과가 뛰어나므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지속력 우수하여 보습용 화장료로 바람직하고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특히 마스크팩용 화장료로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8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해 다음 표 1과 같은 각 성분을 해당 함량으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충분하게 교반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사용성분의 함량은 중량부이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씀바귀 추출물 20 25 65 - - 30 30 -
차전초 출출물 20 25 - 60 - 30 - 35
소리쟁이 추출물 20 25 - - 65 - 30 35
고삼추출물 1 - 1 1 - - 1 1
자몽추출물 - 1 - 1 - - 1 1
유자추출물 1 1 1 - - - 1 -
유칼립투스 추출물 1 - - 1 - - 1 -
클로브꽃 추출물 1 1 1 - 1 - 1 1
마치현 추출물 1 1 1 1 1 - 1 1
1,2-헥산디올 2 1 2 1 3 5 4 2
글리세린 3 3 7 15 10 10 10 5
정제수 30 27 22 20 20 25 20 19
비교예 1-3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하되, 각 사용성분의 구성과 함량은 다음 표 2와 같이 조성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2 3 4 5
씀바귀 추출물 40 5 20 - -
차전초 출출물 40 40 20 40 -
소리쟁이 추출물 5 40 10 - 85
고삼추출물 0.5 - 1 1 -
자몽추출물 - 2 1 -
유자추출물 - 2 - -
유칼립투스 추출물 - 2 1 -
클로브꽃 추출물 0.5 1 2 - 1
마치현 추출물 - - 2 1 1
1,2-헥산디올 1 1 2 1 3
글리세린 3 3 7 15 3
정제수 10 10 20 4 7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8과 비교에 1-5 에서 제조된 각 조성물을 이용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여러 물성을 확인하였다.
그 실험은 뷰티 ? 전문 매장의 시설을 갖춘 장소에서, 매일 화장품을 사용하는 피험자와 화장전문가를 통해 실시하였다. 화장품 취급 분야에서 5년 이상 활동한 경력자 20명, 대학생 10명, 30-40세 직장인 10명 및 55세-65세 주부 10명 등 총 50의 패널을 구성하여 마스크팩을 3일간 사용하게 하고 그 품질을 각 항목에 따라 수치화하여 기록하도록 하였다.
품질이 우수한 것은 10, 품질이 나쁜 것을 1로 평가하여 이를 채점표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평가점수는 50명 패널의 것을 모두 조합하여 해당 측정치를 평균한 다음, 반올림 또는 반내림하여 최종 결과로 하고 그 최종 측정 결과를 다음 표 3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끈적임 보습유지력 사용감 향기 호감도
1 10 10 9 9 10
2 10 9 10 9 10
3 9 9 10 9 9
4 9 9 8 9 9
5 8 9 8 9 9
6 10 9 9 9 9
7 9 9 9 8 9
8 9 9 9 8 9
비교예 1 6 4 7 5 5
비교예 2 4 7 4 3 5
비교예 3 5 5 4 5 5
실험예 2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각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각 항목별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점도계, pH, 인큐베이터 등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마스크팩의 원료들을 용기에 넣어 측정시료에 맞는 기기를 사용함으로서 물성 적합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료는 비교의 편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대상으로 정하여 실시하였다.
<측정 대상시료>
A) 실시예 5 : 소리쟁이 마스크
B) 실시예 4 : 차전초 마스크
C) 실시예 3 : 씀바귀 마스크
D) 실시예 8 : 더블 마스크(소리쟁이추출물 + 차전초추출물)
E) 실시예 1 : 트리플 마스크(소리쟁이추출물 + 차전초추출물 + 씀바귀추출물)
상기 시료에 대한 물성측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1) 점도계측정방법 (Brookfield Dial Reading Viscometer & Helipath Stand, LVT, RVT, D-220)
점도계의 수평계를 확인하고, 측정시료에 맞는 침을 회전축에 장착한다. 점도계의 고정 된 볼트를 돌려 시료와 헤드의 적당한 위치를 맞춘 다음, 헤드를 내려 측정시료가 담긴 용기에 잠기게 한다.
그 다음으로, 점도계 위쪽에 있는 RPM을 조절하여 원하는 RPM으로 조정하고 나서, 스위치를 켜고 점도를 측정하였다.
(2) pH 측정방법 (Trans PH meter, TR.BP3001)
pH의 스위치를 켜 잠시 기다린 다음, 전극을 증류수로 씻은 다음 잘 흡수되는 종이나 티슈로 물기를 제거한다. 그 후 pH의 보정버튼을 누른 후 원하는 시료액에 전극을 담그고 시료의 pH를 측정하였다.
(3) 인큐베이터 측정방법 (Sanyo Incubator 123L, MIR-154/Sanyo Incubator 153L, MIR-262)
인큐베이터 전원을 켜고 안정성 테스트를 위한 설정온도를 40~45℃로 맞춘 다음, 인큐베이터에 원료가 담긴 투명한 용기를 넣고 5일 동안 방치한다.
시간 경과 후에 성상의 분리 및 향취 등 변질의 유무를 관찰하고 성상을 측정한다.
측정항목 pH 점도(cP) 안정성(분리유무)
시료 A 5.31 1,000
시료 B 5.24 990
시료 C 5.24 990
시료 D 5.11 990
시료 E 5.38 1,000
상기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평가 결론>
(1) pH
pH 적합 범위는 pH 3~9이다.
사람의 피부는 본디 약산성으로 pH 5~6 범위가 자극이 적으므로 가장 적합하다. 그러므로 pH 5~6의 범위를 자체기준으로 삼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다섯가지는 pH 5.10 ± 1.0 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확인했다.
(2) 점도
제품을 사용할 때 불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품을 서서 사용하였을 때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자체기준을 삼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점도(cP)는 1000 ± 10 의 범위에 들어가고, 서서 사용할 때 흘러내리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3) 안정성(침전, 분리유무)
육안으로 성상을 확인했을 때, 침전 및 분리되었다는 것은 열악한 환경에서 성상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뜻하고 침전 및 분리가 되지 않았다는 것은 열악한 환경에서 성상이 안정하다는 것을 뜻한다.
인큐베이터에 40~45℃의 환경에서 5~7일 동안 그 여부를 확인했다.
그 결과, 실시예 다섯가지 모두 침전 및 분리가 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다른 화장료 조성에 비해 보습력이나 사용감과 끈적임 등 각종 항목과 기본적인 물성에서 모두 품질이 월등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7)

  1. 씀바귀, 차전초 및 소리쟁이 중에서 하나 이상을 55-80중량%로 함유하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고삼추출물, 자몽추출물, 유자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클로부꽃 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씀바귀 15-30중량%, 차전초 15-30중량%, 소리쟁이 15-30중량%로 함유하여 전체 성분이 55-80중량%가 되도록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삼추출물, 자몽추출물, 유자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클로부꽃 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1-3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1,2-헥산디올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천연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7. 청구항 6에 있어서, 마스크팩인 화장품.
KR1020170176966A 2017-12-21 2017-12-21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2128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966A KR102128906B1 (ko) 2017-12-21 2017-12-21 천연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966A KR102128906B1 (ko) 2017-12-21 2017-12-21 천연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406A true KR20190075406A (ko) 2019-07-01
KR102128906B1 KR102128906B1 (ko) 2020-07-08

Family

ID=6725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966A KR102128906B1 (ko) 2017-12-21 2017-12-21 천연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9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000A (ko) 2003-06-02 2004-12-10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8913A (ko) * 2005-04-13 2006-10-18 (주)아모레퍼시픽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
KR20130124724A (ko) 2012-05-07 2013-11-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KR20140004862A (ko) * 2012-07-03 2014-01-14 한국콜마주식회사 단시간에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54618A (ko) * 2012-10-29 2014-05-09 정다운 야생초 화장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000A (ko) 2003-06-02 2004-12-10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8913A (ko) * 2005-04-13 2006-10-18 (주)아모레퍼시픽 한방 화장비누 조성물
KR20130124724A (ko) 2012-05-07 2013-11-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KR20140004862A (ko) * 2012-07-03 2014-01-14 한국콜마주식회사 단시간에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54618A (ko) * 2012-10-29 2014-05-09 정다운 야생초 화장품
KR101405429B1 (ko) 2012-10-29 2014-06-11 정다운 야생초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906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US8808761B2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KR101653886B1 (ko) 천연 방부 조성물
KR101516198B1 (ko) 화장품에 사용감 개선 및 지속시간 증가 효과를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2475897B1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10376A (ko) 꽃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02253B1 (ko) 방부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87421B1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4531B1 (ko)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는 방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070662B1 (ko) 인동초 식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08116B1 (ko) 천연성분과 오일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5406A (ko) 천연 화장료 조성물
CN105310932B (zh) 含有西红柿果实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720632A (zh) 海洋生物抗皱修复霜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101919113B1 (ko) 연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210093498A (ko) 타나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0739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7515A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17679A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