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4000A -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000A
KR20040104000A KR1020030035344A KR20030035344A KR20040104000A KR 20040104000 A KR20040104000 A KR 20040104000A KR 1020030035344 A KR1020030035344 A KR 1020030035344A KR 20030035344 A KR20030035344 A KR 20030035344A KR 20040104000 A KR20040104000 A KR 20040104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omari
extracts
stabilized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2010B1 (ko
Inventor
홍진천
Original Assignee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010B1/ko
Publication of KR20040104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4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starters with external current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씀바귀 및 고마리를 1:19~19: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성이 우수하여 씀바귀와 고마리의 추출액이 과량 함유되어도 침전 및 변색이 개선되며, 자극완화 효과가 뛰어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 특히 투명 또는 액상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ERSICARIA THUNBERGII AND IXERIS DENTATA EXTRACTS STABILIZED WITH NANOLIPOSOME}
본 발명은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리포좀은 일반적으로 인지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인지질은 소수성의 긴 탄화수소 사슬과 친수성의 극성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수성의 긴 탄화수소는 스핑고신(sphingosin) 유도체 또는 글리세롤 유도체로 되어있다. 다른 한쪽은 콜린, 에탄올 아민, 세린, 이노시톨 또는 글리세롤과 에스테르 결합을 이루고 있다. 인지질은 이러한 분자구조에 의해 물 매체 속에서 규칙적으로 배치된 구조, 즉 미셀이나 라멜라 구조를 형성한다.
리포좀은 또한 생체막과 그 구조가 비슷하여 막 모델계 및 생리학적 물질의 전달 매개체 등으로써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R. Sundler. D. Papahadjpovlos, Biochim. Biophys. Acta, 648.743(1981)), 여러 가지 피부 유효 성분을 포집시킴으로써 피부에 전달을 용이하게 하여 이들 유효 성분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고자 로션이나 크림 같은 유화계 제품(특허출원 제 92-2287호)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씀바귀(Ixeris dentataNAKAI)는 고채라 불리는 국화과 식물로, 쓴 맛이 특징이고, 늦은 가을철부터 봄철까지 입맛을 돋우는데 꼭 필요한 나물로 옛부터 유명하다. 동의보감에 보면 오장의 독소와 미열로 인한 오싹한 한기를 제거하고 심신을 편히 할 뿐 아니라 춘곤증을 풀어 주는 등 노곤한 봄철에 정신을 맑게 해주며 부스럼 등 피부병에 좋다고 하였다. 보통 한방에서는 기침약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데, 봄철에 데쳐서 양념무침이나 소금 절임 무침으로 복용 하며, 약효로는 해열, 건위, 폐렴, 간염, 종기의 치료제로 쓰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씀바귀를 통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한다.
씀바귀 추출물의 구성 성분으로는,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로 α-아미린(alpha-Amyrin), α-아미린 아세테이트, 바우레놀 아세테이트(Baurenol acetate), β-아미린, β-아미린 아세테이트, 다투라올론 게르마니콜 아세테이트(Daturaolone Germanicol acetate), 루페올 아세테이트(Lupeol acetate), 루프-20(29)-엔-3-온(Lup-20(29)-en-3-one), 올레안-18-엔-3-온(Olean-18-en-3-one), 타라자스테롤(Taraxasterol)을 함유하고, 세스퀴테르페노이드(Sesquiterpenoid)로 11,13-α-디하이드로글루코잘루자닌 C(11,13-α-dehydroglucozaluzanin C), 10-α-하이드록시-8-데옥시 글루코사이드, 8-에피데아실시나로피크린(8-Epideacylcynaropicrin), 8-에피데아실시나로피크린 글루코사이드, 글루코잘루자닌 C 아이제린(Ixerin), 피크리 사이드 B(Picriside B)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 Tamai et al., Planta Med, 1989, S. Seo etal., J. Am. Chem. Soc, 1981, SC. Shin et al., CA 1993, T. Akihisa et al., Phytochemistry, 1994, W. Kisiel, Phytochemistry, 1992 H. Fuchino et al., Chem. Pharm. Bull. 1995, K. Shiojima et al., Chem. Pharm. Bull 1996, A. Hisham et al., Phytochemistry 1995).
또한, 최근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가 알려졌으며, 이의 인체 적용 약리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천연물화학연구법. 우원식. 서월대학교 출판부, 2001).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H Gross)는 마디풀과(Polygonaceae)에 속하는 덩굴성 1년초로, 한국, 중국 등 동북 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민간에서 줄기와 잎을 지혈, 류마치스, 홍역의 치료에 주로 이용하여 왔다(이창복:대한식물도감 1986, 이우철 : 원색한국기준 식물도감 1996). 또한, 그 씨앗은 특히 고교맥이라 하여 시력 증대 및 이질에 사용한다. 고마리의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로 페르시카린(persicarin), 쿠에르시트린(quercitrin)이 알려져 있다(중약대사전, 상해과학기술 출판사 소학관 편, 1996).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고마리를 통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식물 추출물은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유효 농도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에 안정성 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투명성이 요구되는 조성물에서는 변색, 침전, 이취 등 안정성의 문제가 확연히 드러나므로, 스킨 로션, 에센스 등과 같은 제품 등에는 사용이 제한되었다.
이것은 식물 추출물이 제형 내 전하를 띄고 있는 화합물들과 상호 결합하여 반응하고, 자외선 등의 광 반응성 화합물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변색 및 이취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상기와 같은 제품에 식물 추출물 원료를 소량 첨가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식물 추출물을 소량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식물 추출물의 효능을 충분히 기대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추출물인 씀바귀, 고마리 추출액을 투명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정성이 매우 높고 피부 투과율이 높으면서도 추출물의 효능 및 효과도 우수한,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씀바귀 및 고마리를 1:19~19: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씀바귀와 고마리는 전초를 사용할 수 있다.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은 다음과 같이 얻는다.
씀바귀 및 고마리 전초를 각각 음건하여 완전건조 후 물리적으로 분쇄하여혼합한다. 이들의 혼합비율은 1:19~19:1의 중량비이며,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첨가한다. 추출 용매로는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및 정제수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방부 효과가 있으며 저자극성이고 식물성 다당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50% 1,3-부틸렌글리콜 수용액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1종 이상의 추출용매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은, 씀바귀와 고마리를 각각 별도로 추출한 후 추출액을 상기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나서, 이를 50~60℃에서 4~6시간동안 가열한 후에, 재차 80~90℃에서 6~8시간동안 가열하면서 40kHz 진동수 영역의 초고주파 감압 200~300mmHg 하에 추출 및 여과시켜 추출 조액을 얻는다.
이를 다시 600~900mmHg의 고압력으로 고형물의 농도가 약 20~30%가 되게 농축한 후, 원적외선 처리를 하여 최종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원적외선 처리는, 104~ 106nm 파장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맥반석 용기에서 24~30시간 방치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유효 성분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방부 효과 및 원료의 안정성과 피부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나노리포좀은 인지질, 글루타치온, 폴리솔베이트20, 에탄올로 구성되는 리포좀을 고압유화장치에 7회 통과시켜 크기를 작게 한 것이다.
상기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은 추출액 함유 나노리포좀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30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3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더이상 효능 효과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추출액의 첨가량은, 10.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씀바귀 및 고마리를 복합 사용하여 추출액을 얻는 경우에는, 그 성상이 기존 식물 추출물과 유사한 짙은 갈색의 고농축 상이고 기존 식물 추출물보다 유효 성분의 양이 많아, 이를 화장료에 다량 첨가할 경우, 제품의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크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씀바귀 및 고마리를 복합 추출하여 얻은 많은 유효성분을 화장료에 보다 많이 첨가하여 그 효능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은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에센스 등의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으며, 특히 액상 또는 투명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다.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3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유효한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30.0 중량%를 초과하면 더이상 효능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함유량은 10 ~ 3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 제조예, 시험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의 제조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시킨 씀바귀 및 고마리 전초를 각 50g을 기계적으로 분쇄하였다. 이 분쇄물 100g에 50% 1,3-부틸렌글리콜 600g을 가한 다음, 5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재차 85℃의 높은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40kHz 진동수 영역의 초고주파 감압 250mmHg 하에 추출하였다. 이어서, 이를 400 메쉬의 체로 여과 후 여과지 no.4(Whatman filter paper, Fast4 qualitative)로 재차 여과하였다. 이를 다시 감압 농축 플라스크에서 800mmHg의 압력으로 암갈색 고형물의 농도가 20% 정도가 되게 농축하고, 맥반석 용기에서 24-30시간 방치하여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씀바귀 및 고마리 전초를 각각 100g씩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씀바귀 추출액 및 고마리 추출액을 제조하여 각각 비교예 1 및 2로 하였다.
(시험예 1)
히스타민의 항진 억제력 시험
고마리 및 씀바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2를 사용하여 히스타민 항진 억제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추출물을 투입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각 군당 실험동물을 나누어 진행하였다.
실험 동물로는, 주로 독성학과 약물학을 포함하는 생의학 연구모델로 사용되는 래트 sprague-dawley(male, 10주령) 300∼350(g/rat)를 (주)샘타코 바이오 코리아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 히스타민(시그마사제) 유리 유발 물질 화합물 컴파운드(Compound) 48/80(sigma C2313)을 이용하였다.
우선, 래트의 등부위를 제모기로 조심스럽게 제모한 후, 제 1차로 히스타민 주사적용 위치 4부위를 선정하였다. 4 위치 중 두 위치에 하기 표와 같은 각 군의 시료를 0.5g, 나머지 두 위치에는 대조군으로 도포하였다. 1시간 후, 제 1차와 동일한 위치에 제 2차 도포를 실시하고, 다시 1시간 후 기염물질로 0.5% 히스타민 0.05ml을 피내 주사하였다. 피내 주사후 1.5% 에반스 블루(sigma E2129)를 정맥주사(1.5ml)하여 청염을 확인하였다. 45분 경과 후 래트를 경추탈골시켜 피부를 조심스럽게 절개 박리하였다. 청염부위의 장·단경을 각각 계측하여 그 면적을 구하였다.
얻어진 청염면적을 이용하여 하기 식에 따라 히스타민 항진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추출물 비율(씀바귀 : 고마리) 히스타민 항진 억제율(%)
실시예1 0.10 : 19.9 6.3
1.00 : 19.0 42.5
5.00 : 15.0 51.5
10.0 : 10.0 89.7
15.0 : 5.00 53.4
19.0 : 1.00 39.6
19.9 : 0.10 26.9
비교예1 20.0 : 0.00 15.8
비교예2 0.00 : 20.0 15.9
상기 표 1에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은 혼합비 1.0:19.0 ~ 19.0:1.0에서 히스타민 항진 억제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의 제조
인지질, 글루타치온, 95% 변성 에탄올, 글리세린, 폴리솔베이트 20을 고압 유화시켜 폐쇄된 이중층 구조의 리포좀을 만들었다. 즉, 하기 표 2의 A상을 95℃까지 가온하여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켰다. 이를 40℃까지 냉각시킨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포함하는 B상을 투입하고 혼합하였다. 혼합액을 압력 1200 바, 유속 500m/s의 조건하에서 고압유화장치(Microfludizer M210EH, Microfluidies, USA)에 7회 통과시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얻었다.
1회 통과하여 얻은 리포좀의 크기는 약 133nm이지만, 7회째의 크기는 약 75nm로 나타났다.
  성분 중량%
A 인지질 포스파티딜콜린 3.1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0.55
포스파티딜세린 0.5
글루타치온 0.15
95% 에탄올 20
글리세린 30
폴리솔베이트20 4
B 실시예 1의 추출액 30
정제수 잔량
100
(비교예 3)
나노리포좀의 제조
실시예 1의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내지 6)
하기 표 3a에서 D상과 E상을 각각 완전히 용해시킨 후, D상을 E상에 넣고 3000rpm 이상으로 교반시켰다. 이어서, 이에 C상을 넣고 다시 3000rpm 이상으로 교반시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로션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1 내지 7)
하기 표 3a 및 3b와 같은 C상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2)
인체 첩포 실험
자극 완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 내지 6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7으로 전처리한 후 자극 억제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방법 및 절차는 자극물질에 대한 보호크림의 효과(Walter Wigger-Alberti 등. J Am Acad Dermatol. 1999)의 절차를 따랐으며,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건강한 성인남녀 20명(남자 10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상박부내측 연한 피부에 0.03ml의 제조예 1 내지 6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7 각각을 직경 2cm 정도 되도록 도포하였다.
도포 30분 후, 동일 위치에 자극물질인 10%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핀챔버(직경 12mm. Epitest Ltd Oy. Finland)로 30분간 부착한 후 제거하였다. 제거 1시간 후에 육안관찰,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및 홍반지수 측정을 통해 자극완화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의 모든 실험은 온도 22±2℃, 상대습도 55 - 60%의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하였다.
(1) 육안관찰(Visual Score)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이 6등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20명의 평균치를 내어 하기 표 4a 및 4b에 나타내었다.
0 : 아무 반응 없음
1 : 아주 경미한 홍반
2 : 경미한 홍반
3 : 홍반, 경계부위 부종, 구진
4 : 홍반, 부종
5 : 심한홍반, 부종, 수포
상기 표 4a, 4b에 따르면,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비교제조예 5)은 씀바귀 추출액 및 고마리 추출액을 각각 사용한 경우(비교제조예 6, 7)에 비해 상승효과가 뛰어났으며,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함유한 화장료(제조예 4)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되지 않은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사용한 경우(비교제조예 4)에 비해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훨씬 더 우수하였다. 또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나노리포좀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 중량%로 함유되는 경우 자극 완화 효과가 탁월하였다.
(2) 경표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측정
피부가 자극을 받게되면 각질층이 손상되어 경표피 수분 손실량이 증가하게되므로,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기(Tewameter TM-210, Courage+ Khazaka Koln, Germany)를 이용하여 경표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자극완화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a 및 5b에 나타내었다(단위: ㎎/㎡/hr).
상기 표 5a, 5b에 따르면,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비교제조예 5)은 씀바귀 추출액 및 고마리 추출액을 각각 사용한 경우(비교제조예 6, 7)에 비해 상승효과가 뛰어났으며,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함유한 화장료(제조예 4)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되지 않은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사용한 경우(비교제조예 4)에 비해 경표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하여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훨씬 더 우수하였다. 또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나노리포좀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 중량%로 함유되는 경우 자극 완화 효과가 탁월하였다.
(3) 홍반지수(Erythema Score) 측정
피부가 자극을 받게되면 홍반, 수포 등이 생기면서 피부가 붉어지게 되는데 붉은 정도를 색차계(Chromameter 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홍반지수는 L*a*b* 3차원으로 표현되는데, 이중 적색(pasitive value)과 녹색(negative value) 사이의 값인 a*값을 측정하였으며, a*값이 클수록 홍반정도가 심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a 및 6b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6a, 6b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함유한 화장료(제조예 4)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되지 않은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사용한 경우(비교제조예 4)에 비해 홍반지수가 낮아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훨씬 더 우수하였다. 또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나노리포좀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 중량%로 함유되는 경우 자극 완화 효과가 탁월하였다.
(시험예 3)
안정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화장료에 대한 제형 안정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6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7의 로션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화장품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동안 보관한 시료,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시료, -5℃에서 37℃를 순환하는 순환 챔버(1회/일)에 12주동안 보관한 시료에 대하여 분리, 변색 정도 및 침전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제품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7a 및 7b에 나타내었다.
제품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
0 : 변화 없음 1 :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 조금 분리(변색) 3 :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 심하게 분리(변색) 5 :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상기 표 7a, 7b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함량의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함유한 제조예 1 내지 6은 4℃, 45℃ 및 순환시험에서 변색이나 분리 증상이 없이 안정하였으나, 상기 함량을 벗어나는 비교제조예 1 내지 3은 순환시험에서 변색이 일어났다. 또한,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키지 않은 추출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4℃, 45℃, 순환 시험에서 약간의 분리 및 변색이 일어났다.
제품 침전 정도에 대해서도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8a 및 8b에 나타내었다.
제품 침전 평가 기준 :
0 : 변화 없음 1 : 극히 조금 침전
2 : 조금 침전 3 : 조금 심하게 침전
4 : 심하게 침전 5 : 극히 심하게 침전
상기 표 8a, 8b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함량의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함유한 제조예 1 내지 6은 침전이 전혀 생기지 않았으나, 상기 함량을 벗어나는 비교제조예 1 내지 3은 순환시험에서 침전이 일어났다. 또한,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되지 않은 추출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45℃, 4℃ 및 순환에서 침전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안정화시키지 않고 첨가하면, 제형 내의 다른 약한 이온성 고분자들과 쉽게 반응하여 침전 및 변색이 일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켜 제형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이 과량 첨가되어도 침전 및 변색 반응이 최소화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
화장수(스킨로션)
(제조예 3)
농축화장수(에센스:가용화타입)
(제조예 4)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성이 우수하여 씀바귀와 고마리의 추출액이 과량 함유되어도 침전 및 변색이 개선되며, 자극완화 효과가 뛰어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 특히 투명 또는 액상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씀바귀 및 고마리를 1:19~19: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은,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나노리포좀에 대하여 1.0 ~ 30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35344A 2003-06-02 2003-06-02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2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344A KR100532010B1 (ko) 2003-06-02 2003-06-02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344A KR100532010B1 (ko) 2003-06-02 2003-06-02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000A true KR20040104000A (ko) 2004-12-10
KR100532010B1 KR100532010B1 (ko) 2005-11-29

Family

ID=3737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344A KR100532010B1 (ko) 2003-06-02 2003-06-02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0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406A (ko) 2017-12-21 2019-07-01 탑월드(주)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2067978B1 (ko) * 2019-08-30 2020-01-20 이슬 카페인 피부흡수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4832A (ko) * 2019-09-23 2021-03-3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병아리난초와 씀바귀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US11445100B2 (en) 2008-12-30 2022-09-13 May Patents Ltd. Electric shaver with imaging capab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03B1 (ko) * 2011-12-29 2015-03-19 대한민국 벌씀바귀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550684B1 (ko) 2013-06-25 2015-09-07 한국콜마주식회사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30306B1 (ko) * 2015-05-12 2015-06-22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고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5100B2 (en) 2008-12-30 2022-09-13 May Patents Ltd. Electric shaver with imaging capability
KR20190075406A (ko) 2017-12-21 2019-07-01 탑월드(주)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2067978B1 (ko) * 2019-08-30 2020-01-20 이슬 카페인 피부흡수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4832A (ko) * 2019-09-23 2021-03-3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병아리난초와 씀바귀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2010B1 (ko) 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19825A (ja) ヒドロキシチロソール、皮膚外用剤又は浴用剤への応用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101588A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3655A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21033B1 (ko)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32010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8B1 (ko)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5993B1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6994A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30090188A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524534B1 (ko)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4935B1 (ko) 병아리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H08175954A (ja) 皮膚化粧料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4268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8270A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감초, 황백, 백하수오 및 상백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980A (ko)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