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684B1 -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684B1
KR101550684B1 KR1020130073188A KR20130073188A KR101550684B1 KR 101550684 B1 KR101550684 B1 KR 101550684B1 KR 1020130073188 A KR1020130073188 A KR 1020130073188A KR 20130073188 A KR20130073188 A KR 20130073188A KR 101550684 B1 KR101550684 B1 KR 101550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whitening
melanin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719A (ko
Inventor
김보윤
박성하
박병준
김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3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6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마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기작에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 효소를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현저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료 베이스에 첨가하였을 때 미백 효과를 월등히 나타내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ersicaria thunbergii Extract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멜라닌 생성 기작에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료 베이스에 첨가하였을 때 미백 효과를 월등히 나타내는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미(美)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생활수준의 향상, 소득수준 증가 및 여성들의 사회진출 증가로 미적 요소가 중요한 사회적 경쟁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좀 더 젊고 아름다운 모습을 유지하려는 욕구 또한 강해져 화장품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능성 화장품의 사용실태를 보면 자외선 차단, 주름 개선과 미백 복합제품인 복합기능성화장품을 많이 사용하였고, 특히 설문조사에서 우리나라 여성들이 가장 먼저 해결하고 싶은 피부 고민 중 1위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꼽고 있음을 볼 때 미백 화장품에 대한 여성들의 관심이 얼마나 높은지를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동양 여성들의 흰 피부 선호경향에 의해서도 국내 미백 화장품시장은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임현, The Developmental Trend & Future Prospect of the Function Cosmetics Maket,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25, 2004)
한편, 사람의 피부색은 크게 멜라닌의 양, 헤모글로빈, 카로틴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 표피의 기저 세포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형성 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퀴논복합체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보호 작용의 역할을 하지만 피부 내에 과다하게 생성되면 피부 내에서 색소침착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피부색이 검게 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이 생기게 된다. 멜라닌 생성의 원인으로는 자외선 노출, 대기오염 물질, 복용 약물, 자극성 피부 외용제, 스트레스 등의 외부의 환경변화와 호르몬 불균형, 염증 반응 인자, 싸이토카인 등의 내적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자외선에 대한 노출이다.
멜라닌(melanin)은 유멜라닌(eumelanin)과 페오멜라닌(pheomelanin)으로 나뉠 수 있다. 유멜라닌(eumelanin)은 입자형 색소로 색깔이 더 진하고 어두운 흑갈색이며, 크기가 크고 동양인이나 흑인의 피부에 많다. 페오멜라닌(pheomelanin)은 분사형 색소로 적갈색(노란색)의 연한 색이고, 크기가 작으며 백인의 피부에 많다. 멜라닌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에서 티로신(tyrosine)이 효소 및 비효소적 산화반응을 거쳐 생성된다.
멜라닌 생성 메커니즘은 세포 내의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며,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동산화 반응과 효소 반응을 거쳐 공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는 주머니를 통해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로 옮겨지게 되고 케라티노사이트에서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표면으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에 의해서 멜라닌이 과량 생성되고 각화에 의해 멜라닌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으면 색소침착(pigmentation)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색소 침착 현상을 막아주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 과정에서의 일부 과정을 조절해 줌으로써 억제할 수가 있다. 멜라닌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로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티로시나제 관련 단백질 1(tyrosinase related protain 1, TRP1), 도파크롬 타우토메라제(dopachrome tautomerase) 등이 있으나, 멜라닌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효소는 티로시나제이다.
멜라닌 생성의 원인과 기작이 밝혀지면서, 멜라닌 생성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 저해효과를 갖는 물질들을 화장료에 배합하거나, 멜라닌 생성과정 중의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아스코르빈산, 코직산, 히드로퀴논 및 상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등의 식물추출물이 있다. 그러나 코직산의 경우,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을 갖는 반면 화장품에 배합 시 변색 및 경시 변화에 따른 역가 저하 등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으며, 피부 자극이 커 사용상 한계가 있다. 아스코르빈산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가 낮을 뿐더러 분자 자체의 안정성이 낮아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 적합하지 않으며, 히드로퀴논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 높아 안전성 문제로 현재 화장품 배합 시에 그 사용성이 제한되고 있다. 식물 추출물로부터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는 선행특허 1(KR 10-1109620 B1)은 단삼소납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선행특허 2(KR 10-2005-0025056 A)는 청자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청자목 추출방법, 선행특허 3(KR 10-2001-0038100 A)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KR 10-1109620 B1 KR 10-2005-0025056 A KR 10-2001-0038100 A
본 발명자들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미백 효과가 우수한 미백 화장료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저농도에서도 멜라닌 생성 기작에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 효소를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고마리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마리는 식물의 꽃, 잎, 줄기, 열매, 종자,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마리 추출물은 물 또는 알코올, 메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마리 추출물은 45~120℃에서 30분~24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5~40℃에서 30분~15일간 침지하여 진탕 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마리 추출물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마리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기작에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현저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고마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화장료 베이스에 포함하였을 때 미백 효과를 나타내어 미백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고마리 추출물의 세포생존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바위채송화 추출물의 세포생존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등골나물 추출물의 세포생존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고마리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다.
도 5는 바위채송화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다.
도 6은 등골나물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다.
도 7은 고마리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율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바위채송화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율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은 등골나물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율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는 고만이, 꼬마리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들이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약 1m이다. 줄기의 능선을 따라 가시가 나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에는 잎자루가 없다. 잎 모양은 서양 방패처럼 생겼으며 길이 4∼7cm, 나비 3∼7cm이다. 가운뎃잎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곁잎 갈래조각은 서로 비슷하게 옆으로 퍼진다. 잎자루는 흔히 날개가 있고, 뒷면 맥 위에 잔 가시가 있다. 잎집은 길이 5∼8mm로서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나고 작은잎이 달리기도 한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 꽃이 뭉쳐서 달린다. 꽃자루에 선모가 있다. 수술은 8개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씨방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열매는 수과로 10∼11월에 익는데 세모난 달걀 모양이고 황갈색이며 길이 3mm 정도이다. 꽃의 형태와 피는 시기, 잎의 생김새 등에 변이가 많으며 메밀과 비슷하다. 어린 풀은 먹고 줄기와 잎을 지혈제로 쓴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헤이룽강 연안, 인도 아삼주 등지에 분포한다. 고마리는 한방에서는 줄기와 잎을 지혈제로 쓰고, 고마리꽃은 자연정화기능이 뛰어나 눈을 밝게하고 시력을 증진시키며 이질에도 효혐이 있으며, 류머티즘에 좋다.
고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는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KR 10-1081059 B1)이 있다. 상기와 같이 고마리의 부위 중 고마리꽃으로 미백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특허가 검색되었으나, 고마리꽃을 포함한 약 100종 이상의 식물을 포괄적으로 기재하였고, 실질적으로는 일당귀꽃, 박태기꽃, 목련꽃 및 아카시아꽃의 식물 혼합물인 경우만을 예시하여 고마리꽃 자체의 미백 활성을 입증한 사례가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마리는 꽃, 잎, 줄기, 열매, 종자,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마리의 전초를 사용하는 것이 다른 부위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이 뛰어나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고마리 추출물은 고마리를 물, 알코올, 메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에 넣어 45~120℃에서 30분~24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5~40℃에서 30분~15일간 침지하여 진탕 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추출물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의 중량은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고마리 식물 대비 과소량을 사용하면 추출물이 충분히 추출될 수 없고, 과다량을 사용하면 추출용매를 제거하고 건조 추출물을 얻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이때, 열수 추출 할 경우 고마리 시료가 충분히 포함되도록 하고,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온된 상태로 추출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온도가 너무 낮으면 가온의 이점을 충분히 살리기 어렵고 많은 시간을 추출해야 하며, 온도가 너무 높으면 유용물질의 분해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진탕 추출 할 경우 상온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분말 상태의 시료를 충분한 시간, 가령 3일 정도의 시간 동안 충분한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추출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반복 공정을 통하거나 추출 시간을 증가시켜 추출량을 늘릴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추출된 고마리 추출물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마리 추출물이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미백 활성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피부 미백 화장료로서의 기능이 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포 독성에 의한 안전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고마리 추출물은 현저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미백 효과가 우수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마리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고마리 추출물, 바위채송화 추출물 및 등골나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매우 효과적인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바위채송화(Sedum polytrichoides Hemsl .)는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바위틈이나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에서 자란다. 이 품종은 산의 돌 틈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여름철에 산에 가면 물가 근처의 돌 틈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키는 약 7㎝ 내외이고, 잎은 약간 다육질이고 끝이 뾰족하고 선형이며, 길이는 2㎝가량 된다. 꽃은 황색으로 피고 꽃자루가 없으며 가지 끝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꼭대기에서 한 개가 피고 다른 옆가지에서 계속해서 핀다. 열매는 10월경에 달리고 길이는 0.7~1.0㎝로서 둥글고 뾰족하다. 관상용으로 쓰인다. 바위채송화는 강장, 선혈, 단종창의 효능이 있고, 발열, 동통을 치료하는데 효능이 있다.
등골나물(Eupatorium japonicum Thunb . ex Murray)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숙근성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토양의 비옥도에 관계없으며, 반그늘인 곳과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70~150㎝이고, 잎은 달걀 모양을 한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마주나고 끝이 뾰족한데 길이는 10~18㎝, 폭은 3~8㎝이고, 밑부분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꽃은 원줄기 끝에 편평하게 무리지어 작은 꽃들이 핀다. 열매는 10~11월에 익으며 종자는 흰색 갓털을 달고 있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으로 쓰인다. 등골나물의 알려진 효능으로 잎줄기는 이뇨제로 부종을 ??주고, 목욕제로 피로회복에 좋다. 또한, 항바이러스작용, 유행성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작용, 소화 불량, 복통 등에 효험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
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고마리, 바위채송화 또는 등골나물 단독 추출물 제조
실시예 1-1. 열수 추출물
고마리의 전초, 바위채송화의 전초, 등골나물의 잎, 줄기, 꽃 혼합 부위를 취하여 각각의 총 중량 대비 5배의 정제수에 넣고 105℃에서 5시간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공정이 종료되면 거름종이(Whatman paper No. 1)로 거르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TF-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다음으로 물을 제거하기 위해 우선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이어서 동결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로써, 건조중량 기준 고마리 열수 추출물 20.08g, 바위채송화 열수 추출물 17.06g, 등골나물 열수 추출물 17.88g을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메탄올 추출물
고마리의 전초, 바위채송화의 전초, 등골나물의 잎, 줄기, 꽃 혼합 부위를 취하여 각각의 총 중량 대비 3배의 추출용매(80% 메탄올)를 가하여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Supor®-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건조중량 기준 고마리 메탄올 추출물 25.94g, 바위채송화 메탄올 추출물 24.65g, 등골나물 메탄올 추출물 25.02g을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 에탄올 추출물
고마리의 전초, 바위채송화의 전초, 등골나물의 잎, 줄기, 꽃 혼합 부위를 취하여 각각의 총 중량 대비 3배의 추출용매(70% 에탄올)를 가하여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Supor®-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건조중량 기준 고마리 에탄올 추출물 6.06g, 바위채송화 에탄올 추출물 5.87g, 등골나물 에탄올 추출물 6.78g을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부틸렌글리콜 추출물
고마리의 전초, 바위채송화의 전초, 등골나물의 잎, 줄기, 꽃 혼합 부위를 취하여 각각의 총 중량 대비 50배의 추출용매(30% 부틸렌글리콜)를 가하여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1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Supor®-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건조중량 기준 고마리 부틸렌글리콜 추출물 4.684kg, 바위채송화 부틸렌글리콜 추출물 4.510kg, 등골나물 부틸렌글리콜 추출물 4.742kg을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1-5: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
고마리의 전초, 바위채송화의 전초, 등골나물의 잎, 줄기, 꽃 혼합 부위를 취하여 각각의 총 중량 대비 50배의 추출용매(50% 프로필렌렌글리콜)를 가하여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1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Supor®-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건조중량 기준 고마리 프로필렌렌글리콜 추출물 3.687kg, 바위채송화 프로필렌렌글리콜 추출물 3.124kg, 등골나물 프로필렌렌글리콜 추출물 3.154kg을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고마리, 바위채송화 또는 등골나물 혼합 추출물 제조
실시예 2-1. 열수 추출물
고마리의 전초, 바위채송화의 전초, 등골나물의 잎, 줄기, 꽃 혼합 부위를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5배의 정제수에 넣고 105℃에서 5시간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공정이 종료되면 거름종이(Whatman paper No. 1)로 거르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TF-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다음으로 물을 제거하기 위해 우선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이어서 동결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로써, 고마리, 바위채송화, 등골나물 혼합 추출물을 18.87g(건조중량)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2-2: 메탄올 추출물
고마리의 전초, 바위채송화의 전초, 등골나물의 잎, 줄기, 꽃 혼합 부위를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추출용매(80% 메탄올)를 가하여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Supor®-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고마리, 바위채송화, 등골나물 혼합 추출물을 25.67g(건조중량)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2-3: 에탄올 추출물
고마리의 전초, 바위채송화의 전초, 등골나물의 잎, 줄기, 꽃 혼합 부위를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추출용매(70% 에탄올)를 가하여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Supor®-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고마리, 바위채송화, 등골나물 혼합 추출물을 6.89g(건조중량)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2-4: 부틸렌글리콜 추출물
고마리의 전초, 바위채송화의 전초, 등골나물의 잎, 줄기, 꽃 혼합 부위를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배의 추출용매(30% 부틸렌글리콜)를 가하여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1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Supor®-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고마리, 바위채송화, 등골나물 혼합 추출물을 4.792kg(건조중량)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2-5: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
고마리의 전초, 바위채송화의 전초, 등골나물의 잎, 줄기, 꽃 혼합 부위를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배의 추출용매(50% 프로필렌렌글리콜)를 가하여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1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0.45㎛의 멤브레인 필터(Supor®-450, 60173, PALL Life Sciences)로 재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고마리, 바위채송화, 등골나물 혼합 추출물을 3.578kg(건조중량) 수득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세포 독성 시험( Neutral red assay )
상기 실시예의 중 추출공정 및 효율에 있어 가장 효과적이라 판단되는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얻어진 고마리 추출물, 바위채송화 추출물, 등골나물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B16F1(mouse melanoma cell)을 5x104cells/㎖ 농도로 하여 96-well plate에 200㎕씩 분주하여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는 소혈청 10%와 항생제 1%가 포함된 DMEM/high glucose(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 Hyclone)를 이용하였다.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1-3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같은 배양 조건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5㎎/㎖ Neutral red 시약을 첨가한 배양액을 넣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 CaCl2 & Formaldehyde를 처리하고 1분간 400-500rpm으로 흔들어 준 뒤 이를 다시 제거하였다. 그리고 1% Acetic acid & 50% Ethanol을 각 well에 처리하고 10분간 잘 흔들어 준 다음 마이크로 플레이트 계수기(Micro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655nm의 흡광도 측정으로 결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 및 도 1 내지 도 3과 같다. 도 1은 고마리 추출물의 세포생존율, 도 2는 바위채송화 추출물의 세포생존율, 도 3은 등골나물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다.
시료 실시예1-3
고마리
(전초)
농도(㎍/㎖) 100 75 50 25 10 5 1 0.1 0.01
세포생존율(%) 112 112 110 112 101 104 113 105 111
바위채송화
(전초)
농도(㎍/㎖) 100 75 50 25 10 5 1 0.1 0.01
세포생존율(%) 106.9 111.4 105.9 103.2 94.9 94.8 95.9 97.3 97.2
등골나물
(잎,줄기,꽃)
농도(㎍/㎖) 100 75 50 25 10 5 1 0.1 0.01
세포생존율(%) 112 109 105 99 99 99 94 94 103
그 결과, 상기 표 1 및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마리 추출물, 바위채송화 추출물, 등골나물 추출물은 100㎍/㎖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2 : 티로시나제 ( tyrosinase ) 효소 저해 활성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얻어진 고마리 추출물, 바위채송화 추출물, 등골나물 추출물의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측정은 타이로시네이즈의 작용 결과 생성되는 도파크롬(DOPA chrome)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는 야기(yagi)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96-well plate 내 0.1M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pH6.5)) 100㎕에 1.5mM 엘-타이로신(L-tyrosine) 용액(in 0.1M 인산완충액 (pH 6.5)) 60㎕ 및 시료용액 20㎕를 넣은 후, 머쉬룸 타이로시네이즈(mushroom tyrosinase) (2000 unit/㎖)를 0.1 M 인산완충액으로 40배 희석하여 20㎕씩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도파크롬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90nm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결과의 비교를 위해 양성대조구로 500㎍/㎖ 농도의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표 2 및 도 4 내지 도 6과 같다. 도 4는 고마리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도 5는 바위채송화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도 6은 등골나물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을 나타낸다.
시료 Arbutin 실시예 1-2
고마리
(전초)
농도(㎍/㎖) 500 100 75 50 25 10 5 1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 (%) 49 42 26 13 5 0 -7 -6
바위채송화
(전초)
농도(㎍/㎖) 500 100 75 50 25 10 5 1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 (%) 47.0 74.7 61.3 40.3 -1.7 -8.7 -10.7 -10.0
등골나물
(잎,줄기,꽃)
농도(㎍/㎖) 500 100 75 50 25 10 5 1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 (%) 45 74 66 51 25 2 -5 -8
그 결과, 상기 표 2 및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마리 추출물, 바위채송화 추출물, 등골나물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그 효능 또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구로 사용된 미백 성분인 알부틴(500㎍/㎖)의 경우, 바위채송화 추출물을 75㎍/㎖, 등골나물 추출물을 50㎍/㎖를 사용하였을 때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이 유사하게 나타내어 저농도에서도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얻어진 고마리 추출물, 바위채송화 추출물, 등골나물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마우스 유래 B16F1 멜라노마(melanoma) 내 멜라닌(melanin)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B16F1(melanoma) 세포를 소혈청 10%와 항생제 1%가 포함된 DMEM/high glucose(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 Hyclone)에서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 농도를 5x104 cells/㎖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하고, 이를 지름 60mm의 plate에 분주한 다음,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0.2μM α-MSH(Melanocyte-stimulating hormone)를 배지에 혼입하여 대조구를 제외한 각 well에 첨가하고 농도별 추출시료도 함께 첨가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구는 500㎍/㎖ 농도의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72시간 배양한 후 각 plate 내의 세포 내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해 우선 plate 내 나머지 배양액을 제거하고, 1x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1회 세척하였다. 티로신(trypsin)을 각 well에 처리하고 5분간 37℃의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세포를 떼어낸 후, 각 well에 배양액을 처리하고 2㎖ 마이크로튜브(microtube)로 옮겼다. 이를 10,000rpm에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튜브 안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를 1㎖씩 처리하고, 다시 원심분리와 제거를 통해 세척하였다. 그 후 PBS를 제거하고 70℃의 건조기에서 튜브의 뚜껑을 연 채로 1시간 보관하였다. 건조기에서 꺼낸 튜브에 각각 1N NaOH(10% DMSO)를 400㎕씩 처리하고, 다시 70℃ 건조기에서 10분간 튜브의 뚜껑을 닫은 채 반응시켰다. 반응 후 1,000rpm에 약 10분간 흔들어주고, 96-well plate로 각각 100㎕씩 옮겨 분주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90㎚/65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 및 도 7 내지 도 9와 같다. 도 7은 고마리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율, 도 8은 바위채송화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율, 도 9은 등골나물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율을 나타낸다.
시료 α-MSH(-) α-MSH(+) Arbutin 실시예 1-1
농도(㎍/㎖) 500 100 50 25
고마리
(전초)
멜라닌 합성율(%) 1 1.8 0.74 1 2.2 2.1
바위채송화
(전초)
멜라닌 합성율(%) 1 1.76 0.69 0.39 0.83 1.4
등골나물
(잎,줄기,꽃)
멜라닌 합성율(%) 1 1.8 0.7 0.3 0.7 1.2
그 결과, 상기 표 3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마리 추출물, 바위채송화 추출물, 등골나물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이 저해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하는 각 화장품 제형에 있어서 고마리 추출물을 함유하여 미백 효과를 갖는 제형으로서의 화장료 조성예를 보여주며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사용된 고마리 추출물은 실시예 1-4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처방예 1 : 유연화장수의 제조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 표 4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 1.0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4
글리신 3.5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에탄올 5.0
항산화제 0.1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정제수 잔량(to 100)
처방예 2 : 영양화장수의 제조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 표 5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 1.0
글리세린 7.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미네랄오일 4.0
트리옥타노인 1.0
스테아릭에씨드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디메치콘 0.5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카보머 0.2
EDTA 0.1
정제수 잔량(to 100)
처방예 3 : 영양에센스의 제조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 표 6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 3.0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2.0
폴리에칠렌글리콜 2.0
카보머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히드록시에칠셀룰로이즈 0.2
에탄올 3.0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1.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정제수 잔량(to 100)
처방예 4 : 영양크림의 제조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 표 7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 5.0
1,3-부틸렌글리콜 3.0
글리세린 3.0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1.0
옥틸도데카놀 3.0
트리옥타노인 2.0
스테아릭에씨드 1.5
세토스테아릴알콜 2.0
폴리솔베이트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디메치콘 3.0
항산화제 0.3
산탄검 0.2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정제수 잔량(to100)
처방예 5 : 바디크림의 제조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을 함유한 화장료 중 바디크림의 처방예는 다음 표 8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 3.0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소듐세틸설페이트 0.1
판테놀 1.0
산탄검 1.0
카보머 0.1
비스왁스 0.3
세탄올 2.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5
미네랄오일 5.0
스쿠알렌 2.0
항산화제 0.3
디메치콘 1.0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정제수 잔량(to 100)
처방예 6 : 팩의 제조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 표 9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고마리 추출물(실시예 1-4) 5.0
글리세린 7.0
1,3-부틸렌글리콜 3.0
스쿠알렌 3.0
디메치콘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2.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5.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정제수 잔량(to 100)
실험예 4 : 피부 미백 효과 시험
상기 in vitro 실험에서 나타난 미백 효과가 실제적으로 사람의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4의 고마리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크림(처방예 4)에 대하여 인체 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처방예 4의 고마리 추출물 대신에 바위채송화 추출물, 등골나물 추출물을 각각 적용하여 인체 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시예 2-4의 고마리, 바위채송화, 등골나물이 1:1:1의 비율로 혼합된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크림에 대하여 인체 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로보스킨 분석기(Roboskin analyser) 장비를 이용한 피부 미백 시험은 피시험자의 얼굴 부위에 시료 또는 제품을 적용하면서 주기적으로 색소 침착 및 피부톤(밝기)의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은 역시 피부 탄력 개선 시험과 동일하게 수행되었으며 따라서, 피시험자 10명(대조구 5명, 시험구 5명)으로 진행되었으며 모두 여성으로 연령은 평균 34세로 구성되었다. 역시 사용 전, 사용 후 1주, 2주, 4주, 6주의 총 5회 측정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모든 시험은 20-24℃, 습도 45-55%인 항온항습실에서 진행되었고 세안 후 항온항습실에서 최소 1시간 이상 적응 시킨 후 측정하였다.
시료 사용전 1주 2주 4주 6주
대조구 시험구 대조구 시험구 대조구 시험구 대조구 시험구 대조구 시험구
고마리
(전초)
색소침착(소) 9.4 9.5 9.3 9.3 9.3 8.1 9.1 8.0 9.0 7.9
색소침착(대) 38.1 38.0 38.1 37.4 37.5 34.1 36.2 33.1 36.2 31.2
밝기 61.2 61.2 61.3 62.7 62.9 65.8 63.1 66.1 63.7 66.9
바위채송화
(전초)
색소침착(소) 9.2 9.3 9.2 9.3 9.1 8.9 9.2 8.2 9.0 7.9
색소침착(대) 38.2 39.1 38.3 38.1 38.0 36.9 37.7 34.5 37.6 31.8
밝기 61.8 62.9 61.5 63.6 62.2 65.7 63.9 65.9 64.2 66.3
등골나물
(잎,줄기,
꽃)
색소침착(소) 9.4 9.5 9.5 9.3 9.3 8.4 9.3 8.0 9.2 7.8
색소침착(대) 38.9 38.7 38.8 38.2 38.1 36.2 37.8 34.6 37.5 32.9
밝기 61.5 61.1 61.7 62.3 62.6 65.2 63.3 65.9 64.1 66.2
고마리,
바위채송화,
등골나물
1:1:1
색소침착(소) 9.3 9.3 9.3 9.1 9.1 7.9 9.0 7.8 9.0 7.6
색소침착(대) 38.8 38.4 38.6 37.1 38.1 34.7 38.1 33.0 37.2 30.1
밝기 60.9 61.2 60.9 61.5 61.3 64.1 61.9 64.7 62.6 66.1
고마리 추출물, 바위채송화 추출물, 등골나물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영양크림 및 고마리, 바위채송화, 등골나물이 1:1:1의 비율로 혼합된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크림에 대한 피부 미백 효과를 측정한 결과, 2주차부터 색소침착(대, 소)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피부 밝기 또한 밝아지는 것을 알 수 있어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실험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마리 추출물은 미백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포함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역시 미백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세포 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여 미백에 도움을 주는 고마리 추출물, 바위채송화 추출물, 등골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고마리 추출물은 물 또는 알코올, 메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고마리 추출물은 45~120℃에서 30분~24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5~40℃에서 30분~15일간 침지하여 진탕 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고마리 추출물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고마리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73188A 2013-06-25 2013-06-25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50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188A KR101550684B1 (ko) 2013-06-25 2013-06-25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188A KR101550684B1 (ko) 2013-06-25 2013-06-25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19A KR20150000719A (ko) 2015-01-05
KR101550684B1 true KR101550684B1 (ko) 2015-09-07

Family

ID=5247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188A KR101550684B1 (ko) 2013-06-25 2013-06-25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243B1 (ko) * 2013-06-27 2016-08-12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엔 편광자,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KR101530306B1 (ko) * 2015-05-12 2015-06-22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고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6013B1 (ko) * 2019-11-29 2021-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미꾸리낚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010B1 (ko) 2003-06-02 2005-11-29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010B1 (ko) 2003-06-02 2005-11-29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농사시험연구보고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19A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644B1 (ko) 모새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20130101537A1 (en) Skin-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trees including paper mulberry
KR101550684B1 (ko)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7237B1 (ko) 싱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27655B1 (ko) 바나나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102149223B1 (ko) 천연 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171472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20130070062A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02439A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519417B1 (ko) 바위채송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40589B1 (ko) 부게꽃나무 또는 돌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20580B1 (ko) 떡버들, 눈향나무 및 함박꽃나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2341B1 (ko) 어리연꽃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7531B1 (ko) 제비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9234A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4300B1 (ko) 새머루 또는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29542B1 (ko) 화장료 유효성분물질의 분리추출방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6746B1 (ko) 꽃을 포함하는 혼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823B1 (ko) 가새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5170A (ko) 어리연꽃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