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828A - 키나아제 억제제로서 피롤로트리아진 화합물 - Google Patents

키나아제 억제제로서 피롤로트리아진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828A
KR20060107828A KR1020067012936A KR20067012936A KR20060107828A KR 20060107828 A KR20060107828 A KR 20060107828A KR 1020067012936 A KR1020067012936 A KR 1020067012936A KR 20067012936 A KR20067012936 A KR 20067012936A KR 20060107828 A KR20060107828 A KR 2006010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compound
methyl
pyrrolo
tri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716B1 (ko
Inventor
브라이언 이. 핀크
아쉬비니쿠마르 브이. 가바이
그레고리 디. 비트
핑 첸
해롤드 마스탈레르츠
데렉 제이. 노리스
존 에스. 토카르스키
유펜 자오
웬-칭 한
Original Assignee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filed Critical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6010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hree nitrogen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e.g. chlorazanil, mel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성장 인자 수용체 (예컨대, HER1, HER2 및 HER4)의 티로신 키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므로 항증식성 제제로서 유용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성장 인자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는 신호 전달 경로에 관련된 다른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성장 인자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신호 전달 경로, 항증식성 제제, 항암제, 세포독성제

Description

키나아제 억제제로서 피롤로트리아진 화합물{PYRROLOTRIAZINE COMPOUNDS AS KINASE INHIBITORS}
본 출원은 2003년 12월 29일 제출된 미국 가출원 제60/533,33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성장 인자 수용체 (예컨대, HER1, HER2, 및 HER4)의 티로신 키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며, 이들은 항암제로서 유용하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성장 인자 수용체 (예컨대, HER1, HER2, 및 HER4)를 통해 작용하는 신호 전달 경로에 관련된 암 이외의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RTK)는 세포의 원형질막을 통한 생화학적 신호 전달에 있어서 중요하다. 이들 막횡단 분자는 특징적으로 원형질막의 절편을 통해 세포내 티로신 키나아제 도메인에 연결된 세포외 리간드-결합 도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HER) 족은 HER1, HER2, HER3 및 HER4로 언급되는 4개의 별개의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키나아제는 또한 erbB 1, erbB2 등으로 부른다. 또한, HER1은 통상적으로 표피 성장 인자 (EGF) 수 용체로 부른다. HER3을 제외하고, 이들 수용체는 인수용체(phosphoacceptor) 단백질의 티로신 잔기에 특이적인 고유 단백질 키나아제 활성을 갖는다. HER 키나아제는 대부분의 상피 세포 뿐만 아니라 상피 기원의 종양 세포에서 발현된다. 이들은 또한 육종 또는 횡문근육종과 같은 중간엽 기원의 종양 세포에서 종종 발현된다. HER1 및 HER2와 같은 RTK는 세포 증식과 관련이 있으며 건선 및 암과 같은 질환과 연관이 있다. 이들 키나아제의 억제에 의한 신호 전달의 단절은 항증식성 효과 및 치료적 효과를 줄 수 있다.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의 효소적 활성은 과다발현 또는 리간드-매개 이량체화에 의해 자극될 수 있다. 동종이량체 및 이종이량체의 형성은 HER 수용체 족에 대해 입증되어 있다. 동종이량체화의 예로는 EGF 족의 리간드 (EGF, 전환 성장 인자 알파, 베타셀룰린, 헤파린-결합 EGF, 및 에피레귤린을 포함함) 중 하나에 의한 HER1 (EGF 수용체)의 이량체화이다. 4개의 HER 수용체 키나아제 중에서 이종이량체화는 헤레귤린 (또한, 노레귤린으로 불림) 족의 리간드의 일원과의 결합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HER2 및 HER3, 또는 HER3/HER4 조합물을 포함하는 이종이량체화는 수용체 중 하나 (HER3)가 효소적으로 불활성일지라도 수용체 이량체의 티로신 키나아제 활성을 충분히 자극한다. HER2의 키나아제 활성은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수용체 단독의 과다발현에 의해 또한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체 동종이량체 및 이종이량체의 활성화는 수용체 및 다른 세포내 단백질 상의 티로신 잔기의 인산화를 야기시킨다. 이는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 예컨대 미세관 관련 단백질 키나아제 (MAP 키나아제) 및 포스파티딜리노시톨 3-키나아제 (PI3 키나아제)을 포함 하는 경로의 활성화를 수반한다. 이들 경로의 활성화는 세포 증식 및 아폽토시스의 억제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HER 키나아제 신호전달의 억제는 세포 증식 및 생존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모든 단백질 키나아제는 약 250 내지 300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구조적으로 보존된 촉매성 도메인을 함유한다1. 도 1은 HER1의 X-선 구조2를 나타내며, 이는 단백질 키나아제 족의 모든 일원의 고도로 보존된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단백질 키나아제 폴드(fold)는 2개의 서브도메인, 즉 로브로 분리된다. 더 작은 N-말단 로브, 즉 N 로브는 5개-가닥의 β 시트 및 1개의 우세한 α 헬릭스 (헬릭스 αC로 불림)로 구성되어 있다. C 로브는 더 크고 주로 나선형이다. 2개의 로브는 힌지로서 작용하는 단일 폴리펩티드 가닥 (링커/힌지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ATP 및(또는) 기질이 결합하였을 때 2개의 도메인은 힌지 주위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ATP는 2개의 로브 사이의 깊은 틈새에 결합하여 가닥 β1과 β2를 연결하는 고도로 보존된 루프 아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포스페이트 결합 루프, 즉 P 루프는 보존된 글리신-풍부 서열 모티프 (GXGXφG, 여기서φ는 통상적으로 티로신 또는 페닐알라닌임)를 함유한다. 글리신 잔기는 루프를 ATP의 포스페이트에 근접시키며 골격 상호작용을 통해 ATP의 포스페이트를 배위시킨다. 보존된 방향족 측쇄는 포스페이트 전달체 부위를 캡핑시킨다. ATP는 그의 아데닌 잔기와 링커 영역의 골격 원자 간의 수소 결합을 통해 효소에 부착되며 리보스 고리는 C-말단 도메인의 개시부에 있는 잔기에 부착된다.
최적의 인전달체(phosphotransfer)는 공지된 모든 키나아제 중에서 완전히 보존된 몇개의 촉매성 잔기가 정확하게 공간 배열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Asp813 및 Asn818 (참조 문헌 2에 주어진 바와 같은 HER1의 번호매김 또는 REFSEQ: 수탁 번호 NM_005228에 알려진 바와 같이 Asp837 및 Asn842로 번호매김)은 활성 부위의 기반에서 고도로 보존된 루프 구조 (촉매성 루프라고 함)로부터 나온다. Asp813은 기질의 침식형 히드록실 측쇄와 상호작용하는 반면, Ase818은 Asp813을 배향하는 수소 결합 상호작용에 참여한다. Asn818 및 또다른 완전히 보존된 촉매성 잔기인 Asp831 (REFSEQ: 수탁 번호 NM_005228에 알려진 바와 같이 Asp855로 번호매김)은 또한 트리포스페이트 기의 배위에 연관되는 2개의 2가 금속 이온의 결합을 요구한다.
ATP, 그의 유사체 또는 상이한 단백질 키나아제와 결합된 소분자 억제제와의 다양한 구조의 복합체는 촉매성 도메인 및 ATP-결합 틈새의 구조, 및 결합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사성과 상이성에 대한 명료한 설명을 제공한다3. ATP가 들어가지 못하는 결합 틈새 내 영역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키나아제 족 일원 간의 구조적 다양성이 나타난다는 것이 이제는 명백하다. 도 2는 ATP와 인간 시클린-의존성 키나아제 2 (CDK2)의 힌지 영역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4. 모든 공지된 키나아제 ATP 결합 부위의 일반적인 영역은 (1) 아데닌 결합 영역; (2) 리보스 포켓; (3) 포스페이트 결합 포켓; (4) 아데닌 고리 뒤의 주로 소수성인 영역 1 및 (5) 키나아제 도메인의 표면-노출 영역을 향하며, 리보스 포켓과 아데닌의 N3 질소에 인접해 있는 틈새 또 는 터널인 영역 2와 같은 형태로 서술된다. 키나아제/억제제 복합체의 유효한 구조는 결합 상호작용 및 결합 잠재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ATP가 들어가지 못하는 영역, 예를 들어 영역 1 및 2의 이점을 취할 수 있으며, 이들 영역 내에서 키나아제 간의 서열 차이 때문에 선택도를 조정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결정학, 모형화, 스크리닝 및 의약 화학 시도를 조합함으로써 ATP 결합 부위의 피롤로트리아진 화학형의 결합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VEGFR-2의 피롤로트리아진 화학형 억제제의 X-선 결정 구조를 기초로 하면 피롤로트리아진 고리는 아데닌 포켓에서 결합하며 ATP와 유사하게 힌지 영역과 몇가지 핵심 상호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방식에서, C5 기는 고도로 보존된 리보스-포스페이트 포켓으로 향한다. C4 기는 화학적 구성에 따라 특이성 영역 1로 향할 수 있으며, C6 기는 특이성 영역 2로 향할 수 있다. HER1의 이러한 화학형의 열거된 예의 모형화는 본 발명에서 주장하는 C5 기가 적어도 리보스-포스페이트 포켓을 점유하고 포스페이트 결합에 관련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완전히 보존된 잔기 (예를 들어, Asn818 및 Asp831 (HER1 번호매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키나아제 촉매성 코어 구조의 보존된 특성은 피롤로트리아진 고리 및 C5 기에 의해 제공된 일반적인 키나아제 억제제 템플레이트에 대한 우수한 표적이 되게 한다. 상기 템플레이트는 ATP-결합 부위의 빈약하게 보존된 영역을 표적으로 함으로써 특이적이고 유능한 키나아제 ATP-경쟁 억제제를 제조하도록 성공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르러 놀랍게도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미국 특허 제5,457,105호, 동 제5,616,582호 및 동 제5,770,599호에 개시된 다른 화합물 (이들은 비시클릭 고리의 C4 위치의 치환체로서 작은 아닐린 유도체를 함유함)은 HER1 및 HER2 활성 둘다를 나타냄을 밝혀냈다.
참조 문헌
(1) 문헌 [S. K. Hanks and T. Hunter, Protein kinases 6. The eukaryotic protein kinases superfamily: kinase (catalytic) domain structure and classification. FASEB J. 9 (1995), pp. 576-596].
(2) PDB ID: 1M14
문헌 [Stamos, J., Sliwkowski, M.X., Eigenbrot, C.: Structure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Kinase Domain Alone and in Complex with a 4-Anilinoquinazoline Inhibitor. J. Biol. Chem. 277 pp. 46265 (2002)].
(3) 문헌 [H.M. Berman, J. Westbrook, Z. Feng, G. Gilliland, T.N. Bhat, H. Weissig, I.N. Shindyalov, P.E. Bourne. The Protein Data Bank. Nucleic Acids Research, 28 pp. 235-242 (2000)]: 웹사이트: http://www.pdb.org/.
(4) PDB ID: 1HCK
문헌 [Schulze-Gahmen, U., De Bondt, H.L., Kim, S.H.: High-resolution crystal structures of human cyclin-dependent kinase 2 with and without ATP: bound waters and natural ligand as guides for inhibitor design. J Med Chem 39 pp. 4540 (1996)].
도 1은 HER1의 X-선 구조를 도시하며, 전형적인 키나아제의 핵심 요소는 색깔로 표시하였다.
도 2는 ATP와 복합된 CDK2의 X-선 구조를 도시한다. 전형적인 ATP-결합 부위의 상이한 영역이 묘사되었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제약 조성물,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개시한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01
상기 식에서, 변수는 하기 의미를 가지며, 각 경우에 대해 하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한다:
R1은 시클로알킬 또는 치환된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헤테로시클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이고;
R2는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이고;
R3은 수소,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이고;
X는 직접 결합, -NR3- 또는 -O-이고;
Y는 직접 결합,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 알케닐 또는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또는 치환된 알키닐이되,
단, R2가 인다졸릴 또는 치환된 인다졸릴은 아니다.
이들 화합물은 HER2와 같은 성장 인자 수용체의 티로신 키나아제 활성을 억제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R1이 헤테로시클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이고;
R2가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고;
R3이 수소이고;
X가 -NR3- 또는 -O-이고;
Y가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R2 치환체로는 옥사졸릴, 티에닐, 피리디닐, 티아졸릴, 피라지닐, 및 페닐 (이들 모두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적합하게 치환될 수 있음)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R1 치환체로는 벤질, 이미다졸릴-에틸, (메틸-이미다졸릴)-에틸, 피페리디닐-에틸, 피리디닐-프로필, 피리디닐-메틸, 모르폴리닐-에틸, (메틸-이미다졸릴)메틸, 피리디닐-에틸, 아미노-피페리디닐-메틸, 4-아미노-1-메틸-피페리딘-3-올, (메틸-피페라지닐)-에틸, 피리디닐-에틸, (메틸-피페리디닐)-에틸, (메틸-이미다졸릴)-프로필, (메틸-피페리디닐)-메틸, (메틸-피페라지닐)-프로필, 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 피페리디닐-프로필, 디메틸아미노-에틸, 디메틸아미노-프로필, [(트리플루오로-아세틸)-피페리디닐]-프로필, 피페리디닐-에틸, 피페라지닐-에틸, 피페라지닐-프로필, 피롤리디닐-에틸, 트리아졸릴-에틸, 트리아졸릴-프로필, (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틸, 이미다졸릴-프로필, [(트리플루오로-아세틸)-피페리디닐]-프로필, (피페라지닐-에톡시)-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피페라지닐]-프로필, [(트리플루오로-아세틸)-피페라지닐 ]-에틸, 피페리디닐-메틸, 피라졸릴-에틸, (아미노-에톡시)-에틸, (메톡시-에톡시)-에틸, 피라졸릴-프로필, [(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에틸, 모르폴리닐-프로필, (시아노메틸-피페라지닐)-에틸, [(시아노-에틸)메틸-아미노]-에틸, [(메톡시-에틸)-피페리디닐]-메틸, [(메톡시-에틸)-피페리디닐]-에틸, [(플루오로-에틸)메틸-아미노]-에틸, [(플루오로-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틸-피페리디닐)-프로필, [(메탄술포닐-에틸)-피페라지닐]-에틸, [(시아노-에틸)-피페라지닐]-에틸, [에틸, [-에틸)-피페라지닐]-에틸, [(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 (시아노메틸-메틸-아미노)-프로필, (시아노메틸-메틸-아미노)-에틸, [(메탄술포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 (디플루오로-피페리디닐)-프로필, (디플루오로-피페리디닐)-에틸, [(시아노-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탄술포닐-에틸)-메틸-아미노]-에틸, [(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라지닐]-에틸, [시아노메틸-(메탄술포닐-에틸)-아미노]-프로필, [시아노메틸-(메탄술포닐-에틸)-아미노]-에틸, (시아노메틸-피페라지닐)-프로필, [(메탄술포닐-에틸)-피페라지닐]-프로필, [(시아노-에틸)-피페라지닐]-프로필, [(트리플루오로-에틸)-피페라지닐]-프로필, (메탄술포닐-에틸-아미노)-에틸, [(시아노-에틸)-피페리디닐]-메틸, (시아노메틸-피페리디닐)-메틸, (히드록시-피페리디닐)-프로필, [(메탄술포닐-에틸)-피페리디닐]-메틸, 피페리디닐-메틸, 피페리디닐, 이미다졸릴-프로필, 1-메틸-[1,4]-디아제판-6-올, 메탄술포닐-프로필, (메탄술포닐-에틸-아미노)-프로필, 피롤리디닐-메틸, 메탄술포닐-에틸, (시아노메틸-아미노)-에틸, (시아노메틸-아미노)-프로필, (디옥소-티오모르폴리닐)-프로필, (옥소-피페리디닐)-프로필, [(디플루오로-에틸)-메틸-아미노]-에틸, 모르폴리닐-메틸, (히드록시-피롤리디닐)-프로필, (히드록시-피페리디닐)-프로필, 피롤리디닐-메틸, (히드록시-피롤리디닐)-프로필, 메틸-피페리디닐, (메틸-피롤리디닐)-메틸, 모르폴리닐-메틸, 피롤리디닐-메틸, (메틸-테트라히드로-피리디닐)-메틸, (시아노-에틸)-피페리디닐, 아제티디닐, (메탄술포닐-에틸)-피페리디닐, (시아노-메틸)-피페리디닐, 이소프로필-피페리디닐, 프로필-피페리디닐, 아세틸-피페리디닐, 에틸-피페리디닐, 알릴-피페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히드록시-에틸)-피페리디닐, (메틸-피롤리디닐)-메틸, (메톡시에틸)-피페리디닐, 피페리디닐, (메톡시-에틸)-아제티디닐, (메톡시-메톡시메틸-에틸)-피페리디닐, (메톡시-아세틸)-피페리디닐, 메톡시카르보닐-피페리디닐, (히드록시-아세틸)-피페리 디닐, 피페리딘-카르복실산-아세톡시-에틸, 피페리딘-카르복실산-아세톡시-메틸-에틸, 히드록시-피페리디닐, 아미노-시클로헥실, 피페리디닐, 피페리딘-카르복실산-메틸-옥소-디옥솔릴메틸, 히드록시메틸-피페리디닐, (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 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 히드록시-피페리디닐-메틸, 모르폴리닐, 아미노-시클로헥실, 히드록시메틸-피페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메탄술포닐-프로필, 아미노메틸-프로필, 아미노-시클로헥실, 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 (히드록시-피페리디닐)프로필, 피페리디닐, 아미노-프로필, 모르폴리닐-메틸, 피페리디닐, (tert-부톡시카르보닐-모르폴리닐)-메틸, 벤질, 이미다졸릴-에틸, 피페리디닐-에틸, 메톡시에틸, (디에틸아미노)-(메톡시에틸), 피롤리디닐-에틸, 아세타미드 및 메틸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02
식 중에서,
X는 직접 결합, -NR3- 또는 -O-이고;
Z는
Figure 112006046235314-PCT00003
또는 -NR7-이고;
R2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고;
R3, R4 및 R5는 수소, 알킬 및 치환된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6, R6a 및 R6b는 하나 이상의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아릴옥시, -CN, -NH2, -OH, -COOH, -CH2OR5, -CONHSO2R5, -CONR4R5, -NH알킬, -NHCO알킬, -NR4SO2알킬, -NR4SO2NR4R5, -OCONR4R5, -CF3 및 -OCF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여기서 생성된 화합물이 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을 조건으로 상기 치환체 중 2개는 동일한 고리 탄소에 부착될 수 있고;
R7은 수소, 알킬 또는 -NH2이고;
n은 O, 1, 2 또는 3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04
식 중에서,
X는 직접 결합, -NR3- 또는 -O-이고;
R2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고;
R3, R4 및 R5는 수소, 알킬 및 치환된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6, R6a 및 R6b는 하나 이상의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아릴옥시, -CN, -NH2, -OH, -COOH, -CH2OR5, -CONHSO2R5, -CONR4R5, -NH알킬, -NHCO알킬, -NR4SO2알킬, -NR4SO2NR4R5, -OCONR4R5, -CF3 및 -OCF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여기서 생성된 화합물이 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을 조건으로 상기 치환체 중 2개는 동일한 고리 탄소에 부착될 수 있고;
n은 0, 1, 2 또는 3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R2가 페닐, 치환된 페닐, 피리디닐, 치환된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치환된 피리미디닐, 옥사졸, 치환된 옥사졸, 티아졸, 치환된 티아졸, 피라지닐 또는 치환된 피라지닐이고;
R6, R6a 및 R6b가 하나 이상의 수소, -NH2, OH, 알콕시, -CONR4R5, -NR4SO2알킬, -NR4SO2NR4R5, -OCONR4R5, -NH알킬 및 -NHCO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 로 선택되고;
X가 -NH-이고;
n이 1 또는 2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하기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2-나프탈레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3-에티닐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5-[(4-아미노피페리딘-1-일)메틸]-N-(4-플루오로-3-메톡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3R,4R)-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S)-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 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메톡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에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2-나프틸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브로모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플루오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 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R)-4-아미노-1-({4-[(3-클로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R)-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S)-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S)-4-아미노-1-({4-[(3-클로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3R,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3R,4R)-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3S,4R)-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 fl[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3S,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3S,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3-메틸피페리딘-3-올,
(3R/S,5R/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5-디올,
(3S,5S)-4-아미노-1-({4-[(4-플루오로-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5-디올,
(3R,5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5-디올,
5-{[(3R,4R)-4-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5-(((4aR,8aR)-rel-헥사히드로-1H-피리도[3,4-b][1,4]옥사진-6(7H)-일)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N-(메틸술포닐)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R,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 진-5-일}메틸)-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R,4R)-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4-((R)-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3-일)메탄올,
N-[(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우레아,
N-[(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메탄술폰아미드, 및
N-[(3S,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메탄술폰아미드.
하기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어의 정의이다. 본원의 기 또는 용어에 대해 사용된 머리글자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다면 단독으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 전반의 기 또는 용어에 적용된다.
용어 "알킬"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비치환된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표현 "저급 알킬"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비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치환된 알킬"은, 예를 들어 1 내지 4개의 치환체, 예컨대,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옥소, 알카노일, 아릴옥시, 알카노일옥시, 아미노, 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아르알킬아미노, 이치환된 아민 (여기서, 2개의 아미노 치환체는 알킬, 아릴 또는 아르알킬로부터 선택됨); 알카노일아미노, 아로일아미노, 아르알카노일아미노, 치환된 알카노일아미노, 치환된 아릴아미노, 치환된 아르알카노일아미노, 티올, 알킬티오, 아릴티오, 아르알킬티오, 알킬티오노, 아릴티오노, 아르알킬티오노, 알킬술포닐, 아릴술포닐, 아르알킬술포닐, 술폰아미도, 예를 들어 SO2NH2, 치환된 술폰아미도, 니트로, 시아노, 카르복시, 카르바밀, 예를 들어 CONH2, 치환된 카르바밀, 예를 들어 CONH알킬, CONH아릴, CONH아르알킬, 또는 질소 상에 알킬, 아릴 또는 아르알킬로부터 선택된 2개의 치환체가 존재하는 경우; 알콕시카르보닐, 아릴, 치환된 아릴, 구아니디노, 헤테로시클릴, 예를 들어, 인돌릴, 이미다졸릴, 푸릴, 티에닐, 티아졸릴, 피롤리딜,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호모피페라지닐 등, 및 치환된 헤테로시클릴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치환체가 추가로 치환된다고 명시된 경우, 이는 알킬, 알콕시, 아릴 또는 아르알킬일 것이다.
용어 "할로겐" 또는 "할로"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를 의미한다.
용어 "아릴"은 고리부의 탄소 원자수가 6 내지 12인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방향족 탄화수소 기, 예컨대 페닐, 나프틸, 비페닐 및 디페닐 기 (이들 각각은 치환될 수 있음)를 의미한다.
용어 "아르알킬"는 알킬기를 통해 직접 결합된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기, 예컨대 벤질을 의미한다.
용어 "아릴옥시"는 알콕시 기, 예컨대 메톡시 또는 에톡시를 통해 직접 연결 된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기를 의미한다.
용어 "치환된 아릴"은, 예를 들어 1 내지 4개의 치환체, 예컨대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아르알킬, 할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알콕시, 알카노일, 알카노일옥시, 아릴옥시, 아르알킬옥시, 아미노, 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아르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알카노일아미노, 티올, 알킬티오, 우레이도, 니트로, 시아노,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카르바밀, 알콕시카르보닐, 알킬티오노, 아릴티오노, 아릴술포닐아민, 술폰산, 알킬술포닐, 술폰아미도, 아릴옥시 등으로 치환된 아릴 기를 의미한다. 상기 치환체는 히드록시, 할로, 알킬,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아릴 또는 아르알킬로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함유 고리를 갖는, 예를 들어 4원 내지 7원의 모노시클릭, 7원 내지 11원의 비시클릭, 또는 10원 내지 15원의 트리시클릭 고리계인,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기, 예를 들어, 피리딘, 테트라졸, 인다졸을 의미한다.
용어 "알케닐"은 1개 내지 4개의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15,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용어 "치환된 알케닐"은, 예를 들어 1개 내지 2개의 치환체, 예컨대,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알카노일, 알카노일옥시,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알카노일아미노, 티올, 알킬티오, 알킬티오노, 알킬술포닐, 술폰아미도, 니트로, 시아노, 카르복시, 카르바밀, 치환된 카르바밀, 구아니디노, 인돌릴, 이미다졸릴, 푸릴, 티에닐, 티아졸릴, 피롤리딜, 피리딜, 피리미딜 등으로 치환된 알케닐 기를 의미한다.
용어 "알키닐"은 1개 내지 4개의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15,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용어 "치환된 알키닐"은, 예를 들어 1개의 치환체, 예컨대,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알카노일, 알카노일옥시,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알카노일아미노, 티올, 알킬티오, 알킬티오노, 알킬술포닐, 술폰아미도, 니트로, 시아노, 카르복시, 카르바밀, 치환된 카르바밀, 구아니디노 및 헤테로시클릴, 예를 들어 이미다졸릴, 푸릴, 티에닐, 티아졸릴, 피롤리딜, 피리딜, 피리미딜 등으로 치환된 알키닐 기를 의미한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고리를 함유하며 고리당 3개 내지 7개의 탄소를 갖고, 불포화 C3-C7 카르보시클릭 고리와 추가로 융합될 수 있는, 임의로 치환된 포화 시클릭 탄화수소 고리계를 의미한다. 예시적인 기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시클로데실, 시클로도데실 및 아다만틸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치환체로는 상기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알킬 기, 또는 알킬 치환체로서 상기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시클릭" 및 "헤테로시클릴"은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함유 고리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예를 들어 4원 내지 7원의 모노시클릭, 7원 내지 11원의 비시클릭, 또는 10원 내지 15원의 트리시클릭 고리계인, 임의로 치환된 완전 포화 또는 불포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시클릭 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원자를 함유한 헤테로시클릭의 각 고리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 (여기서, 질소 및 황 헤테로원자는 또한 임의로 산화될 수 있으며, 질소 헤테로원자는 또한 임의로 4차화될 수 있음)로부터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다. 헤테로시클릭 기는 임의의 헤테로원자 또는 탄소 원자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릭기로는 피롤리디닐, 피롤릴, 인돌릴, 피라졸릴, 옥세타닐, 피라졸리닐, 이미다졸릴,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리디닐, 옥사졸릴, 옥사졸리디닐, 이속사졸리닐,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티아졸리디닐, 이소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리디닐, 푸릴, 테트라히드로푸릴, 티에닐, 옥사디아졸릴,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2-옥소피페라지닐, 2-옥소피페리디닐, 호모피페라지닐, 2-옥소호모피페라지닐, 2-옥소피롤리디닐, 2-옥사제피닐, 아제피닐, 4-피페리도닐, 피리딜, N-옥소-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모르폴리닐, 티아모르폴리닐, 티아모르폴리닐 술폭시드, 티아모르폴리닐 술폰, 1,3-디옥솔란 및 테트라히드로-1, 1-디옥소티에닐, 디옥사닐, 이소티아졸리디닐, 티에타닐, 티이라닐, 트리아지닐, 및 트리아졸릴 등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비시클릭 헤테로시클릭 기로는 2,3-디히드로-2-옥소-1H-인돌릴, 벤 조티아졸릴, 벤족사졸릴, 벤조티에닐, 퀴누클리디닐, 퀴놀리닐, 퀴놀리닐-N-옥시드,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피라닐, 인돌리지닐, 벤조푸릴, 크로모닐, 코우마리닐, 시놀리닐, 퀴녹살리닐, 인다졸릴, 피롤로피리딜, 푸로피리디닐 (예컨대, 푸로[2,3-c]피리디닐, 푸로[3,1-b]피리디닐] 또는 푸로[2,3-b]피리디닐), 디히드로이소인돌릴, 디히드로퀴나졸리닐 (예컨대 3,4-디히드로-4-옥소-퀴나졸리닐), 벤즈이소티아졸릴, 벤즈이속사졸릴, 벤조디아지닐,벤조푸라자닐, 벤조티오피라닐, 벤조트리아졸릴, 벤즈피라졸릴, 디히드로벤조푸릴, 디히드로벤조티에닐, 디히드로벤조티오피라닐, 디히드로벤조티오피라닐 술폰, 디히드로벤조피라닐, 인돌리닐, 인다졸릴, 이소크로마닐, 이소인돌리닐, 나프티리디닐, 프탈라지닐, 피페로닐, 푸리닐, 피리도피리딜, 퀴나졸리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티에노푸릴, 티에노피리딜, 티에노티에닐 등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치환체로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알킬 또는 아르알킬 기 또는 알킬 치환체로서 상기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작은 헤테로시클릴, 예컨대 에폭시드 및 아지리딘이 포함된다.
용어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탄소 원자수 3 내지 7의 안정한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모노시클릭 탄화수소 고리, 예컨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헵틸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카르보시클릭 고리"에서 언급된 용어 "임의로 치환된"은 카르보시클릭 고리가 하나 이상의 치환가능한 고리 위치에서 알킬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 알콕시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콕시), 니트로, 모노알킬아미노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바람직하게는 디[ 저급]알킬아미노), 시아노, 할로, 할로알킬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틸), 알카노일, 아미노카르보닐, 모노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알킬아미노카르보닐, 알킬 아미도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아미도), 알콕시알킬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콕시[저급]알킬), 알콕시카르보닐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콕시카르보닐), 알킬카르보닐옥시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카르보닐옥시) 및 아릴 (바람직하게는 페닐) (상기 아릴은 할로, 저급 알킬 및 저급 알콕시 기로 임의로 치환됨)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용어 "헤테로원자"는 산소, 황 및 질소를 포함할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염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단리하거나 정제하는데 유용할 수 있지만, 제약상 허용되는 (즉, 비독성,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알칼리 금속 (예컨대, 나트륨, 칼륨 및 리튬), 알칼리 토금속 (예컨대, 칼슘 및 마그네슘), 유기 염기 (예컨대, 디시클로헥실아민, 트리부틸아민, 피리딘 및 아미노산 (예컨대, 아르기닌, 리신)) 등과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각종 유기산 및 무기산과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염으로는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메탄술폰산, 황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옥살산, 말레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및 기타와 함께 염 (예를 들어,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보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시트레이트, 숙시네이트, 벤조에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살리실레이트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성 이온(zwitterion; "내부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입체이성질체는 혼합물 형태 또는 순수한 형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정의는 모든 가능한 입체이성질체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매우 특히, 특정 활성을 갖는 라세미 형태 및 단리된 광학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라세미 형태는 물리적 방법, 예컨대 부분입체이성질체 유도체의 분별 결정화법, 분리법 또는 결정화법, 또는 키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법에 의해 분해할 수 있다. 개별 광학 이성질체는 전통적인 방법, 예컨대 광학 활성 산과 염을 형성한 다음 결정화함으로써 라세미체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전구약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생체내에서 전환되어 생활성제를 제공하는 임의의 화합물 (즉, 화학식 I에 대한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 내에서 전구약물이다.
전구약물의 다양한 형태는 당업계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전구약물 유도체의 예로는 하기를 참조한다:
a) 문헌 [Design of Prodrugs, edited by H. Bundgaard, (Elsevier, 1985)] 및 [Methods in Enzymology, Vol. 42, p. 309-396, edited by K. Widder, et al. (Acamedic Press, 1985)];
b) 문헌 [A Textbook of Drug Design and Development, edited by Krosgaard-Larsen and H. Bundgaard, Chapter 5,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drugs" by H. Bundgaard, p. 113-191 (1991)]; 및
c) 문헌 [H. Bundgaard,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8, 1-38 (1992)].
추가로, 화학식 I 화합물의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용매화 방법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유용성
본 발명은 특정 피롤로트리아진이 단백질 키나아제의 억제제라는 발견에 기초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롤로트리아진, 예컨대 본 발명에 기재된 것들은 HER 족 수용체 일원의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활성을 억제한다. 이들 억제제는 하나 이상의 이들 수용체에 의한 신호전달에 의존하는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질환으로는 건선,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폐, 두부 및 경부, 유방, 결장, 난소, 및 전립선의 고형 종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 과다증식성 장애의 치료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수화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의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제약 조성물은 HER1 (EGF 수용체) 및 HER2에 관련된 주요하고 재발하는 고형 종양, 특히 그들의 성장 및 확산이 HER1 또는 HER2에 상당히 의존하는 종양, 예를 들어, 방광암, 편평 세포암, 두부암, 결장직장암, 식도암, 부인과의 암 (예컨대, 난소암), 췌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외음부암, 피부암, 뇌암, 비뇨생식관암, 림프계의 암 (예컨대 갑상선암), 위암, 후두암 및 폐암을 비롯한 종양을 억제하는 것으 로 예측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비암성 장애, 예컨대 건선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라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항증식성 효과를 생성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의약 제조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따라, 항증식성 효과를 생성하는 것이 필요한 동물에게 유효량의 본원의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치료가 필요한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항증식성 효과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HER1, HER2, 및 HER4 키나아제를 억제하는 능력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건선 및 암을 비롯한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HER1 수용체 키나아제는 두부암 및 경부암, 전립선암, 비-소세포 폐암, 결장직장암, 및 유방암을 비롯한 다수의 고형 종양에서 발현되고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HER2 수용체 키나아제는 유방암, 난소암, 폐암 및 위암에서 과다발현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HER2 수용체를 하향조절하거나 HER1 수용체에 의한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는 예비임상학 및 임상학적 연구에서 항-종양 효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HER1 및 HER2 키나아제의 억제제는 2개의 수용체 중 하나에 의한 신호전달에 의존하는 종양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HER 수용체 이종이량체 신호전달에 의존하는 종양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들 화합물은 단일 제제로서 또는 다른 화학요법제, 예컨대 탁솔(Taxol(등 록상표)), 아드리아마이신 및 시스플라틴과 병용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함으로써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HER1 및 HER2 신호전달이 혈관형성 인자, 예컨대 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 (VEGF) 및 인터루킨 8 (IL8)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들 화합물은 종양 세포 증식 및 생존의 억제 뿐만 아니라 혈관형성의 억제에 의한 항-종양 효능을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HER2 수용체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윤활 세포의 과다증식에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증성 질환 상태의 혈관형성 요소로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억제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이들 화합물의 HER1을 억제하는 능력을 항-혈관형성제로서 그들의 용도에 추가로 첨가한다. 본원에서 인용하는 하기 문헌 및 참조문헌을 참조한다: 문헌 [Schlessinger J., "Cell signaling by receptor tyrosine kinases", Cell 103 (2), p. 211-225 (2000)]; [Cobleigh, M. A., Vogel, C. L., Tripathy, D., Robert, N. J., Scholl, S., Fehrenbacher, L., Wolter, J. M., Paton, V., Shak, S., Lieberman, G., and Slamon, D. J., "Multinational study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humanized anti-HER2 monoclonal antibody in women who have HER2-overexpressing metastatic breast cancer that has progressed after chemotherapy for metastatic disease", J. of Clin. Oncol. 17(9), p. 2639-2648 (1999)]; [Baselga, J., Pfister, D., Cooper, M. R., Cohen, R., Burtness, B., Bos, M., D'Andrea, G., Seidman, A., Norton, L., Gunnett, K., Falcey, J., Anderson, V., Waksal, H., and Mendelsohn, J., "Phase I studies of anti-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chimeric antibody C225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cisplatin", J. Clin.Oncol. 18 (4), p. 904-914 (2000)]; [Satoh, K., Kikuchi, S., Sekimata, M., Kabuyama, Y., Homma, M. K., and Homma Y., "Involvement of ErbB-2 in rheumatoid synovial cell growth", Arthritis Rhum. 44 (2), p. 260-265 (2001)].
본원의 상기에서 정의된 항증식성 치료는 단독 요법으로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 1종 이상의 다른 물질 및(또는) 치료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합동 치료는 치료제의 개별 성분을 동시, 순차적 또는 분리 투여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공지된 항암제 및 세포독성제, 및 방사선을 비롯한 치료법과 병용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고정 투여량으로 제제화된 경우, 이러한 조합 생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하기에 기재되는 투여량 범위 내로 및 다른 제약상 활성 제제를 이들의 승인된 투여량 범위 내로 사용한다. 병용 제제가 부적절한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공지된 항암제 또는 세포독성제, 및 방사선을 비롯한 치료법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의학 종양학 분야에서, 암이 있는 각 환자를 치료하는데 상이한 형태의 치료법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통상의 관례이다. 의학 종양학에서, 본원의 상기에서 정의된 항증식성 치료법 이외에 상기 합동 치료법의 다른 요소(들)은 수술, 방사선요법 또는 화학요법일 수 있다. 상기 화학요법은 크게 세가지 범주의 치료제에 포함된다:
(i) 본원의 상기에서 정의된 메카니즘과 상이한 메카니즘으로 작용하는 항혈관형성제 (예를 들어, 리노미드, 인테그린 ανβ3 기능의 억제제, 안지오스타틴, 라족산);
(ii) 세포증식 억제제, 예컨대 항에스트로겐 (예를 들어, 타목시펜, 토레미펜, 랄록시펜, 드롤록시펜, 요오도시펜), 프로게스토겐 (예를 들어,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아로마타제 억제제 (예를 들어,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보라졸, 엑세메스탄), 항호르몬, 항프로게스토겐, 항안드로겐 (예를 들어, 플루타미드, 닐루타미드, 비칼루타미드,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 LHRH 효능제 및 길항제 (예를 들어, 고세렐린 아세테이트, 루프롤리드), 테스토스테론 5α-디히드로리덕타제의 억제제 (예를 들어, 피나스테리드), 파르니실트랜스퍼라제 억제제, 항-침윤제 (예를 들어, 메탈로프로테인아제 억제제, 예컨대 마리마스타트 및 유로키나아제 플라스미노겐 활성 인자 수용체 기능의 억제제) 및 성장 인자 기능의 억제제 (상기 성장 인자로는, 예를 들어 EGF, FGF,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및 간세포 성장 인자를 포함하며, 상기 억제제로는 성장 인자 항체, 성장 인자 수용체 항체, 예컨대 아바스틴(Avastin(등록상표)) (베바시주마브) 및 에르비툭스(Erbitux(등록상표)) (세툭시마브);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및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억제제를 포함함); 및
(iii) 의학 종양학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항증식성/항신생물성 약물 및 이들의 조합물, 예컨대 항대사물질 (예를 들어, 항폴레이트,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 플루오로피리미딘, 예컨대 5-플루오로우라실, 퓨린 및 아데노신 유사체, 시토신 아라비노시드); 중격 항종양성 항생제 (예를 들어, 안트라시클린, 예컨대 독소루비신, 다우노마이신, 에피루비신 및 이다루비신, 미토마이신-C, 닥티노마이신, 미트라마이신); 백금 유도체 (예를 들어,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알킬화제 (예를 들어, 질소 무스타드, 멜팔란, 클로람부실, 부술판, 시클로포스파미드, 이포스파미드 니트로소우레아스, 티오테파); 항유사분열제 (예를 들어, 빈카 알칼로이드 유사 빈크리스틴, 비노렐빈, 빈블라스틴 및 빈플루닌, 및 탁소이드, 예컨대 탁솔(등록상표) (파클리탁셀), 탁소테레(Taxotere(등록상표)) (도세탁셀) 및 보다 신규한 미세소관 제제, 예컨대 에포틸론 유사체, 디스코데르몰리드 유사체, 및 엘레우테로빈 유사체);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예를 들어, 에피포도필로톡신, 예컨대 에토포시드 및 테니포시드, 암사크린, 토포테칸, 이리노테칸); 세포 사이클 억제제 (예를 들어, 플라보피리돌); 생물학적 반응 조절 물질 및 프로테아좀 억제제, 예컨대 벨케이드(Velcade(등록상표)) (보르테조미브).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이들의 항증식성 효능에 관심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 건선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비롯한 광범위한 질환 상태에 유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를 비롯한 (비제한적으로) 각종 암의 치료에 유용하다:
-방광암, 유방암, 결장암, 신장암, 간암, 소세포 폐암을 비롯한 폐암, 식도암, 담낭암, 난소암, 췌장암, 위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전립선암, 및 편평 세포 암종을 비롯한 피부암을 비롯한 암종;
-섬유육종 및 횡문근육종을 비롯한 중간엽 기원의 종양;
-성상세포종, 신경모세포종, 신경교종 및 신경초종을 비롯한 중추 및 말초신경계의 종양; 및
-흑색종, 정상피종, 기형암종, 및 골육종을 비롯한 기타 종양.
일반적으로 세포 증식의 조절에 있어서 키나아제의 주요 역할에 의해, 억제제는 비정상 세포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질환 과정, 예를 들어, 전립선 비대, 가족성 선종성 폴립증, 신경섬유종증, 폐섬유증, 관절염, 건선, 사구체신염, 혈관성형술 또는 혈관 수술에 따른 재협착, 비대 흉터 형성 및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는 가역성 세포증식 억제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높은 발생률의 티로신 키나아제 활성을 갖는 종양, 결장 종양, 폐 종양 및 췌장 종양의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조성물 (또는 조합물)을 투여함으로써 포유동물 숙주의 종양 발생을 감소시킨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성장 인자 수용체, 예컨대 HER1 (EGF 수용체), HER2 또는 HER4를 통해 작용하는 신호전달 경로에 관련될 수 있는 암 이외의 질환의 치료에 또한 유용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정제, 구내정제, 로젠지, 수성 또는 오일성 현탁액제, 분산가능한 산제 또는 과립제, 유제, 경질 또는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 또는 엘릭시르와 같은 경구용에 적합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경구용 조성물은 제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은 제약상 정밀하고 구미에 맞는 약제를 제공하기 위해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활성 성분을 비독성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이는 정제의 제조에 적합함)와 혼합하여 함유한다. 이들 부형제는, 예를 들 어,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락토스, 인산칼슘 또는 인산나트륨; 과립화제 및 붕해제, 예를 들어,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나트륨 크로스카르멜로스, 옥수수 전분, 또는 알긴산; 결합제, 예를 들어 전분,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아카시아, 및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활석일 수 있다. 정제를 비코팅하거나, 또는 공지된 기술로 코팅하여 약물의 불쾌한 맛을 차폐시키거나 분해 및 위장관으로의 흡수를 지연시켜 보다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성 맛 차폐 물질,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또는 시간 지연 물질, 예컨대 에틸 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리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는 또한 경질 젤라틴 캡슐제 (여기서, 활성 성분은 불활성 고체 희석제, 예를 들어 탄산칼슘, 인산칼슘 또는 카올린과 혼합됨)로,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제 (여기서, 활성 성분은 수용성 담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오일 매질, 예를 들어 땅콩 오일, 액체 파라핀 또는 올리브 오일과 혼합됨)로 제공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제는 활성 물질을 수성 현탁액제 제조에 적합한 부형제와 혼합하여 함유한다. 이러한 부형제는 현탁제, 예를 들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래거캔스 고무 및 아카시아 고무이며; 분산제 또는 습윤제는 천연-발생 포스파티드, 예를 들어 렉시틴, 또는 알킬렌 옥시드와 지방산과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장쇄 지방족 알콜의 축합 생 성물, 예를 들어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또는 에틸렌 옥시드과 지방산 유래의 부분 에스테르 및 헥시톨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지방산 유래의 부분 에스테르 및 헥시톨 무수물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일 수 있다. 수성 현탁액제는 또한 하나 이상의 보존제, 예를 들어 에틸, 또는 n-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향미제, 및 하나 이상의 감미제, 예컨대 수크로스, 사카린 또는 아스파르탐을 함유할 수 있다.
오일성 현탁액제는 활성 성분을 식물성 오일, 예를 들어 아라키스 오일, 올리브 오일, 참기름 또는 코코넛 오일, 또는 미네랄 오일, 예컨대 액체 파라핀 중에 현탁시킴으로써 제제화할 수 있다. 오일성 현탁액제는 증점제, 예를 들어 밀랍,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구미에 맞는 경구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해 감미제, 예컨대 상기에 나열된 것들 및 향미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항-산화제, 예컨대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또는 알파-토코페롤을 첨가하여 보존할 수 있다.
물을 첨가하여 수성 현탁액제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분산가능한 산제 및 과립제는 활성 성분을 분산제 또는 습윤제, 현탁제 및 하나 이상의 보존제와 혼합하여 수득한다.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는 상기에 이미 언급된 것들에 의해 예시된다. 추가의 부형제, 예를 들어 감미제, 향미제 및 착색제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함으로써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또한 수중유 유제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오일상은 식물성 오일, 예를 들어 올리브 오일 또는 아라키스 오일, 또는 미네랄 오일, 예를 들어 액체 파라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는 천연-발생 포스파티드, 예를 들어 대두 레시틴, 및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 유래의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 예를 들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상기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일 수 있다. 유제는 또한 감미제, 향미제, 보존제 및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시럽제 및 엘릭시르는 감미제,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또는 수크로스와 함께 제제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또한 점활제, 보존제, 향미제 및 착색제 및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멸균 주사용 수성 액제의 형태일 수 있다. 허용가능한 비히클 및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물, 링거(Ringer)액 및 생리식염액이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멸균 주사용 수중유 미세유제 (여기서, 활성 성분 은 오일 상 중에 용해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은 먼저 대두 오일과 레시틴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이어서, 오일 용액을 물과 글리세롤 혼합물에 도입시켜 처리하여 미세유제를 형성한다.
주사용 액제 또는 미세유제는 국소 일시 주사에 의해 환자의 혈류에 도입될 수 있다. 별도로, 화합물의 일정 순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액제 또는 미세유제를 투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정맥내 전달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예로는 델테크(Deltec) CADD-PLUS. TM. 모델 5400 정맥내 펌프가 있다.
제약 조성물은 근육내 및 피하 투여를 위한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지성 현탁액제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현탁액제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비-독성 비경구용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용 액제 또는 현탁액제, 예를 들어 1,3-부탄 디올 중의 용액일 수 있다. 또한, 멸균 고정 오일이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비롯한 임의의 블랜드 고정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이 주사용 제제에 사용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약물의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약물을 적합한 비-자극 부형제 (이는 통상적인 온도에서는 고체이나 직장 온도에서는 액체로 되므로 직장에서 융해되어 약물을 방출시킬 것임)와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코코아 버터, 글리세린화 젤라틴, 수소화 식물성 오일,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국소 사용을 위해서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한 크림, 연고, 젤리, 액제 또는 현탁액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적용 용도에 대해, 국소 적용은 구강 청결제 및 양치질제를 포함할 것임)
본 발명을 위한 화합물은 적합한 비강내 비히클 및 전달 장치의 국소적인 사용을 통해, 또는 당업자에게 익히 공지된 경피용 피부 패치 형태를 이용하여 경피 경로를 통해 비강내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경피 전달 시스템의 형태로 투여하기 위해, 투여량 투여는 물론 투여 요법을 통해 간헐적이기보다는 지속적일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코코아 버터, 글리세린화 젤라틴, 수소화 식물성 오일,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과 같은 베이스를 사용한 좌제로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인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경우, 1일 투여량은 환자 증상의 중증도 뿐만 아니라 개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및 반응에 따라 일반적으로 달라지는 투여량으로 주치의에 의해 통상적으로 결정될 것이다.
고정 투여량으로 제제화되는 경우, 상기 조합 생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상기 기재된 투여량 범위 내로 및 다른 제약상 활성 제제 또는 치료제를 그의 승인된 투여량 범위 내로 사용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조합 제제가 부적절한 경우 공지된 항암제 또는 세포독성제와 함께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여 순서를 제한하지 않으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공지된 항암제 또는 세포독 성제(들)의 투여 전 또는 후에 투여할 수 있다.
화합물은 단일 투여량 또는 2 내지 4회 분할 투여량으로 1일 1 kg 당 약 0.05 내지 200 mg의 투여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1일 1 kg 당 100 mg 미만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생물학적 분석
HER1 , HER2 또는 HER4 키나아제 분석
20 mM 트리스. HCl (pH 7.5), 10 mM MnCl2, 0.5 mM 디티오트레이톨, 0.1 mg/ml의 소 혈청 알부민, 0.1 mg/ml의 폴리(glu/tyr, 4:1), 1 μM ATP 및 4 μCi/ml [γ-33P] ATP를 함유한 키나아제 완충액 중에서 관심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폴리(glu/tyr, 4:1)는 포스포릴 수용체로서 작용하는 합성 중합체이며, 시그마 케미칼즈(Sigma Chemicals)로부터 구매하였다. 효소를 첨가함으로써 키나아제 반응을 개시하고, 반응 혼합물을 26 ℃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EDTA를 50 mM이 될 때까지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시키고,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5%가 되게 첨가하여 단백질을 침전시켰다. 침전된 단백질을 패커드 유니필터(Packard Unifilter) 플레이트 상에서 여과하여 회수하고, 혼입된 방사능 양을 탑카운트(Topcount) 섬광계수기로 측정하였다.
재조합 HER1 및 HER4의 제조를 위해, 수용체의 세포질 서열을 GST 융합 단백질로서 곤충 세포에서 발현시키고, 이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HER2의 세포질 서열을 배큘로바이러스 발현 벡터 pBlueBac4 (인비트로겐 (Invitrogen))에 서브클로닝하고, 곤충 세포에서 비태깅(untagging) 단백질로 발현시켰다. 재조합 단백질은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부분 정제하였다.
화합물은 HER1, HER2 및 HER4 키나아제를 0.001 내지 25 μM의 IC50 값으로 억제한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0.001 내지 5.0 μM의 IC50 값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0.001 내지 1.0 μM의 IC50 값을 갖는다.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0.001 내지 0.1 μM의 IC50 값을 갖는다.
제조 방법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하기 반응식 및 당업자의 지식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제조 정보를 동시-계류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09/573,829호 (2000년 5월 18일 제출) 및 국제 출원 제WO 00/71129호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이 두 출원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05
단계 1
반응식 1의 제1 단계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참조 문헌 WO 03/042172 A2)을 불활성 분위기, 예컨대 N2하 무수 용매, 예컨대 THF 중에 티올, 예컨대 메탄티올 또는 부탄티올 또는 그들의 나트륨 염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수득함으로써 달성한다.
단계 2
화학식 ii 화합물의 5-메틸기의 할로겐화를 할로겐화제, 예컨대 N-브로모숙신이미드로 처리하여 수행한다. 상기 반응을 불활성 분위기, 예컨대 Ar하 촉매, 예컨대 디벤조일 퍼옥시드 또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존재하에 수행하여 화학식 iii의 5-할로메틸-피롤로트라진을 수득한다.
단계 3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염기, 예컨대 NaHCO3 또는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1급 또는 2급 아민 또는 알콜로 처리하여 중간체인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단계 4
중간체인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HgCl2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톨루엔 중 아닐린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v의 4-치환된 피롤로트리아진을 수득한다.
단계 5
별법으로,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용매, 예컨대 CH2Cl2 중 적절한 산화제, 예컨대 m-클로로퍼벤조산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vi의 술폰을 수득한다.
단계 6
화학식 vi의 술폰을 불활성 용매, 예컨대 CH2Cl2 중 1급 또는 2급 아민 또는 알콜로 처리하여 화학식 v의 화합물로 전환할 수 있다.
별법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반응식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06
단계 1
반응식 2의 제1 단계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참조 문헌 WO 03/042172 A2)을 불활성 분위기, 예컨대 Ar하에 할로겐화제, 예컨대 N-브로모숙신이미드로 처리함으로써 달성한다. 반응은 촉매, 예컨대 디벤조일 퍼옥시드 또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존재하에 적절한 용매, 예컨대 CCl4 중에 수행하여 화학식 vii의 디할로피롤로트라진을 수득한다.
단계 2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무수 용매, 예컨대 THF 중 3급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viii의 암모늄 염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 3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무수 용매,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또는 THF 중 아민 또는 그의 음이온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ix의 암모늄 염을 수득한다.
단계 4
화학식 ix의 화합물의 화학식 v의 피롤로트리아진으로의 전환은 화학식 ix의 화합물을 염기, 예컨대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중 1급 또는 2급 아민 또는 알콜로 처리하여 달성할 수 있다.
반응식 3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학식 x를 갖는 화합물 (여기서, 5-메틸치환체는 보호기, 예컨대 t-부톡시카르보닐을 함유함)은 추가로 단계 1에서 디에틸 에테르 또는 1,4-디옥산 중 무수 HCl로 처리하거나 CH2Cl2 중 화합물의 용액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여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개질시켜 화학식 xi의 유리 아민을 수득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화학식 xi의 화합물을 환원제, 예컨대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CH2Cl2 중 카르보닐 화합물, 예컨대 프로판알로 처리하여 추가의 개질을 수행함으로써 화학식 xii의 치환된 아민을 수득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07
추가의 화합물을 반응식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단계 1에서, 화학식 ix의 화합물을 염기, 예컨대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하에 적절한 용매,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중 2급 아민, 예컨대 비스-(2-클로로에틸)아민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xii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xii의 화합물을 추가로 단계 2에서 친핵체, 예컨대 히드라진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xiii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08
추가의 5-치환된 피롤로트리아진을 반응식 5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09
단계 1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승온에서 용매, 예컨대 CCl4 중 2 당량의 브롬화제, 예컨대 N-브로모숙신이미드로 처리할 수 있다. 염기, 예컨대 NaHCO3의 존재하에 메탄올을 사용하여 생성된 5-디브로모피롤로트리아진을 상응하는 디메틸아세탈로 전환시키고, 중간체 아세탈을 물의 존재하에 산, 예컨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 리하여 화학식 xiv의 알데히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단계 2
화학식 xiv의 알데히드를 무수 용매, 예컨대 THF 중 유기금속 시약, 예컨대 그리냐르(Grignard) 시약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xv의 알콜을 수득한다.
단계 3
화학식 xv의 알콜을 염기, 예컨대 NaHCO3의 존재하에 적절한 용매,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중 1급 또는 2급 아민 또는 알콜로 처리하여 화학식 xvi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된 절차를 이용하여 화학식 I의 다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추가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인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모든 온도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다면 섭씨 온도 (℃)이다. "HPLC 체류 시간"은 하기 조건하에서 얻어진 HPLC 체류 시간이다: 컬럼 유형 및 길이, 구배 시간 [달리 나타내지 않는다면, 모든 구배는 100% 용매 A (10% MeOH, 90% H2O, 0.1% TFA)로 개시하여 100% 용매 B (90% MeOH, 10% H2O, 0.1% TFA)로 종결함], 유속 (mL/분). UV 검출은 항상 220 nm에서 수행하였다. 이들 실시예는 제한하기 보다는 예시적이며, 본원에 첨부되는 청구의 범위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양태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 다.
실시예 1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Figure 112006046235314-PCT00010
1A. 5-메틸-4-메틸술파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11
0 ℃에서 N2를 살포한 무수 THF (200 ml) 중 4-클로로-5-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 (4.02 g, 24.0 mmol) (참조 문헌 WO 03/042172 A2)의 용액에 NaSMe (1.85 g, 26.3 mmol)를 첨가하였다. 살포를 5분 동안 지속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약 50 ml가 남도록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H2O (280 ml)로 희석하고, 0 ℃에서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냉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1A (3.91 g, 91%)를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3.38분이었다. (YMC S5 ODS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2% 인산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180.
1B. [1-(4-메틸술파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4-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12
CCl4 (100 ml) 중 1A (1.94 g, 10.8 mmol), 벤조일 퍼옥시드 (0.262 g, 1.08 mmol), NBS (2.12 g, 11.90 mmol)의 혼합물을 N2로 살포하고, 이어서 즉시 85 ℃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침전물을 여과분리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디클로로에탄 (35 ml)으로 희석하고, DIEA (2.24 ml, 12.96 mmol) 및 피페리딘-4-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38 g, 11.9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NaHCO3 (70 ml)으로 희석하고, EtOAc (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추출물을 염수 (1 x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으로 정제하여 1B (2.87 g, 70%) (0.1%-2% MeOH-CH2Cl2)를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12분이었다. (YMC S5 ODS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2% 인산을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78.
1C. 5-브로모메틸-4-클로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13
CCl4 (80 ml) 중 4-클로로-5-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 (2.0 g, 11.93 mmol)(참조 문헌 WO 03/042172 A2) 및 AIBN (195 mg, 1.19 mmol)의 혼합물을 N2하에서 100 ℃로 5분 동안 가열하고, NBS (2.55 g, 1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CCl4 층을 묽은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농축하여 1C (2.70 g, 92%)를 수득하였다.
1D. (4-클로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트리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14
THF (20 ml) 중 1C (2.7 g, 11 mmol), Et3N (5 ml, 36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THF 및 Et2O로 세정하고, 건조시켜 1D (3.38 g, 89%)를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0.776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Chromolith Speed)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267.
IE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트리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15
CHCl3 (10 ml) 중 1C (1.0 g, 2.2 mmol) 및 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민 (418 mg, 2.87 mmol)의 혼합물을 5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CHCl3으로 세정하고, 건조시켜 1E (1.24 g,87. 4%)를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19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376.
IF. {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4-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16
방법 1:
톨루엔 (2 ml) 중 1B (30 mg, 0.08 mmol), 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민 (11 mg, 0.08 mmol) 및 HgCl2 (24 mg, 0.088 mmol)의 혼합물을 8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5 ml)로 희석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잔사를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IF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방법 2:
CH3CN (55 ml) 중 피페리딘-4-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4.1 g, 20.3 mmol)의 현탁액에 CH3CN (40 ml) 중 1E (9.1 g, 18.4 mmol)와 DIPEA (3.2 ml, 18.4 mmol)의 혼합물을 70 ℃에서 40분의 기간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후에 H2O (155 m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15% CH3CN/H2O, 이어서 H2O로 세정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IF (7.84 g, 90%)를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73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475.
1G.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화합물 1F (방법 1로부터)을 0 ℃에서 20% TFA/CH2Cl2 (3 ml)로 처리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TFA 염으로 수득하였으며, 이를 포화 NaHCO3으로 처리하여 유리 염기 1G (4 mg, 2 단계 동안 13%)를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49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75.
실시예 2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4-피리디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Figure 112006046235314-PCT00017
THF (500 ㎕) 중 피리딘-4-일아민 (34 mg, 0.361 mmol)의 혼합물에 THF (722 ㎕, 0.722 mmol) 중 1 N NaHMDS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키고, DMF (800 ㎕) 중 1D (125 mg, 0.27 mmol)의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상기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피페리딘-4-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44 mg, 0.72 mmol)를 냉각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 ℃로 10분 동안 가열하고, 농축하여 THF를 제거하였다. TFA (1 ml)를 첨가하고, 보호기가 제거될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2시간) (진행과정을 HPLC로 모니터링함). TFA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포화 NaHCO3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농축하고, Et2O로 먼저 연화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46 mg, 53 %)을 수득하였다.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0.51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24.
실시예 3 내지 37
Figure 112006046235314-PCT00018
실시예 2의 화합물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아민을 사용함으로써 화합물 3 내지 37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19
Figure 112006046235314-PCT00020
Figure 112006046235314-PCT00021
Figure 112006046235314-PCT00022
Figure 112006046235314-PCT00023
실시예 38 내지 121
Figure 112006046235314-PCT00024
방법 1:
화합물 (HPLC 주 (a)로)을 하기 표준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1 드램의 바이알에 1D (55.0 mg, 0.16 mmol), 아닐린 (0.16 mmol, 1.0 당량) 및 CH3CN (1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 ℃에서 밤새 진탕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피페리딘-4-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4.9 mg, 0.17 mmol)에 이어 DIEA (28 ㎕, 0.1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65 ℃에서 3시간 동안 지속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사를 정제용 HPLC로 정제하고, 목적하는 분획물을 수집하고, 농축하였다. 수득한 잔사를 고 진공하에 밤새 건조시켰다.
상기 잔사에 CH2Cl2 (1.5 ml) 및 TFA (0.2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고속 진공하에서 밤새 건조시켜 고체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고체가 불순한 경우에만 추가로 정제용 HPLC를 이용하였다.
방법 2:
화합물 (HPLC 주 (b)로)을 하기 표준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작은 바이알 내 N,N-디메틸 아세타미드 (0.5 ml) 중 1D (75 mg, 0.216 mmol) 및 아닐린 (1.0 당량, 0.216 mmol)의 혼합물을 70 ℃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투명 한 용액을 얻을 때까지 가열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반응 과정을 추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피페리딘-4-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43 mg, 0.216 mmol)에 이어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75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다시 70 ℃로 밤새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에, 반응 혼합물을 CH2Cl2 (0.5 ml)로 희석하고, 0 ℃로 냉각시켰다. TFA (1.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스피드백(speedVac)), 잔사를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25
Figure 112006046235314-PCT00026
Figure 112006046235314-PCT00027
Figure 112006046235314-PCT00028
Figure 112006046235314-PCT00029
Figure 112006046235314-PCT00030
Figure 112006046235314-PCT00031
Figure 112006046235314-PCT00032
Figure 112006046235314-PCT00033
Figure 112006046235314-PCT00034
Figure 112006046235314-PCT00035
Figure 112006046235314-PCT00036
HPLC 조건:
(a): (YMC S5 ODS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2% H3PO4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3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b):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주: 실시예 97 내지 99, 101 및 104는 중복되어 표에서 삭제하였음.
실시예 122 내지 132
Figure 112006046235314-PCT00037
화합물 122 내지 132를 화합물 38 내지 121의 제조에 이용한 경로와 유사한 경로에 의해 화합물 1D, 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민 및 상응하는 아민 또는 Boc 보호된 아민으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38
Figure 112006046235314-PCT00039
실시예 133
5-[(4-아미노-1-피페라지닐)메틸]-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Figure 112006046235314-PCT00040
133A (5-{[비스-(2-클로로-에틸)아미노]-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민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41
CH3CN (0.5 ml) 중 화합물 1E (50 mg, 0.1 mmol), 비스-(2-클로로에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8 mg, 0.1 mmol), DIEA (36 ㎕, 0.2 mmol)의 혼합물을 60 ℃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하여 화합물 133A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133A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986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416.
최종 단계의 조 133A를 순수한 무수 N2H4 (0.5 ml) 중에 용해시키고, 100 ℃에서 수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H2O로 희석하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정제용 HPLC로 정제하고, 중화시키고, 추출 (CH2Cl2로)하여 화합물 133 (38.8 mg, 2 단계 동안 100%)을 수득하였다.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709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376.
실시예 134
(3-클로로-4-플루오로페닐)-[5-(모르폴린-2-일메톡시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아민
Figure 112006046235314-PCT00042
134A 2-(4-메틸술파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톡시메틸)-모르폴린-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43
CCl4 (50 mL) 중 화합물 1A (1.0 g, 5.6 mmol)의 용액을 질소로 1시간 동안 퍼징하였다. 벤조일 퍼옥시드 (270 mg, 1.1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6 ℃로 가열하였다. N-브로모숙신이미드 (1.04 g, 5.88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30분 후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톨루엔 (10 mL) 중에 재-용해시키고, 2-히드록시메틸-모르폴린-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5 g, 6.9 mmol)로 처리하였다. 용액을 110 ℃로 8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하였다.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20% EtOAc/헥산)하여 생성물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치시켜 결정화하였다 (770 mg, 32%). HPLC tR = 3.783분 (YMC S5 ODS 4.6 x 50 mm,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니터링). LC/MS (M+H) = 178.
134B 2-[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톡시메틸]-모르폴린-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44
CH2Cl2 (3 mL) 중 2-(4-메틸술파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톡시메틸)-모르폴린-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60 mg, 0.15 mmol)의 용액을 0 ℃로 냉각시키고, CH2Cl2 (2 mL) 중 mCPBA (56 mg, 0.32 mmol)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0 ℃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상기 용액에 3-클로로-4-플루오로아닐린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오렌지색 용액을 CH2Cl2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 이어서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정제용 역상 HPLC하여 목적하는 화합물 (30 mg, 41%)을 수득하였다. HPLC tR = 4. 383분 (YMC S5 ODS 4.6 x 50 mm,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니터링). LC/MS (M+H) = 492.
CH2Cl2 (3 mL) 중 134B (30 mg, 0.06 mmol)의 용액을 0 ℃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3 mL)으로 적가처리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CH2Cl2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조 화합물을 방사 크로마토그래피 (1 mm 플레이트, 15% MeOH/CH2Cl2에서 30% MeOH/CH2Cl2)로 정제하여 화합물 134 (17 mg, 67%)를 수득하였다. HPLC tR = 2.83분 (YMC S5 ODS 4.6 x 50 mm,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니터링). LC/MS (M+H) = 392.
실시예 135
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3R,4R)-rel-3-피페리디놀
Figure 112006046235314-PCT00045
화합물 135A:
Figure 112006046235314-PCT00046
무수 CH2Cl2 (10 mL) 중 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 (1.66 g, 20.0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 아민 (3.35 mL, 24.0 mmol)에 이어 무수 CH2Cl2 (10 mL) 중 N-(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숙신이미드 (5.23 g, 21.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 (50 mL)로 희석하고, 10% 시트르산, 포화 NaHCO3,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35A 4.34 g (100%)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 996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Figure 112006046235314-PCT00047
화합물 135B
Figure 112006046235314-PCT00048
0 ℃로 냉각된 무수 CH2Cl2 (10 mL) 중 화합물 135A (1.1 g, 5.0 mmol)의 용액에 무수 CH2Cl2 (5 mL) 중 75% m-CPBA (1.38 g, 6.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5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 (20 mL)로 희석하고, 포화 Na2S2O3, 포화 NaHCO3,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35B 1.14 g (98%)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279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nm에서 모니터링).
Figure 112006046235314-PCT00049
화합물 135C 135D:
Figure 112006046235314-PCT00050
무수 DMF (2 mL) 중 화합물 135B (233 mg, 1.0 mmol)의 용액에 아세톤-물 (2 mL)의 2:1 혼합물 중 나트륨 아지드 (100 mg, 1.5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EtOAc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10% LiCl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8:2에서 7:3)하여 화합물 135C 180 mg (초기 용출액, 주 이성질체)을 오일로서, 화합물 135D 98 mg (후기 용출액, 부 이성질체)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135C:
Figure 112006046235314-PCT00051
화합물 135D:
Figure 112006046235314-PCT00052
화합물 135E
Figure 112006046235314-PCT00053
THF (5 mL) 중 화합물 135C (180 mg, 0.65 mmol)의 용액에 물 (0.05 mL) 및 트리페닐포스핀 (340 mg, 1.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EtOAc (2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유기 층을 1.0 N HCl (10 mL x 2)로 추출하고, 합한 수성 층을 EtOAc (5 mL)로 1회 역세척하였다. 1.0 N NaOH를 수성 층에 첨가하여 pH가 10.0이 되게 하고, 혼합물을 EtOAc (2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 켰다.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아민 중간체 165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무수 CH2Cl2 (4 mL) 중 아민 중간체 165 mg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0.11 mL, 0.78 mmol)에 이어 Boc2O (156 mg, 0.7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9:1에서 8:2)로 정제하여 화합물 135E 170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859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351+.
Figure 112006046235314-PCT00054
화합물 135F
Figure 112006046235314-PCT00055
Pd(OH)2 10 mg을 함유한 MeOH 5 mL 중 화합물 135E (170 mg)의 용액을 수소 분위기 (벌룬)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MeOH로 세정하였다. 합한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35F 138 m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 다.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270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217+.
화합물 135G
Figure 112006046235314-PCT00056
화합물 135G를 화합물 135D로부터 화합물 135E와 유사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849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nm에서 모니터링).
Figure 112006046235314-PCT00057
화합물 135H
Figure 112006046235314-PCT00058
화합물 135H를 화합물 135G로부터 화합물 135F와 유사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380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화합물 135F 및 1E를 사용하여 화합물 135를 실시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35는 1.666분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을 갖는 고체였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391+.
Figure 112006046235314-PCT00059
별법으로, 화합물 135는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135J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60
화합물 135J를 공개된 문헌의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문헌 [Jacob Szmuszkovicz et al., Heterocycles, 1994, 39 (1), 163-170].
화합물 135K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61
화합물 135K를 공개된 문헌의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문헌 [Jacob Szmuszkovicz et al., Heterocycles, 1994, 39 (1), 163-170].
화합물 135L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62
화합물 135L을 화합물 135K로부터 화합물 1C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323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nm에서 모니터링).
Figure 112006046235314-PCT00063
화합물 135M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64
0 ℃에서 냉각된 무수 CH2Cl2 중 화합물 135L (0.6 g, 2.48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TFA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CH2Cl2 (20 mL) 중에 용해시켰다. 유기 층을 포화 NaHCO3으로 세척하고, 수성 층을 고체 NaCl로 과포화시키고, EtOAc (15 mL x 10)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35M 350 m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65
화합물 135N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66
화합물 135N을 화합물 135M 및 실시예 1의 1E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 1F (방법 2를 사용함)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35N은 고체이며 그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099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417+.
THF (5 mL)와 물 (0.05 mL)의 혼합물 중 상기에서 제조된 화합물 135N (0.5 mmol)의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 (262 mg, 1.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를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CH2Cl2-MeOH-NH40H: 95:5:0.5)로 바로 정제하여 화합물 135 166 mg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36
3-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3R,4R)-rel-4-피페리디놀
Figure 112006046235314-PCT00067
화합물 135H 및 IE를 사용하여 화합물 136을 실시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36은 1.953분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을 갖는 고체였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 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391+.
실시예 137
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3R,4R)-(+)-rel-3-피페리디놀
Figure 112006046235314-PCT00068
실시예 138
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3R,4R)-(-)-rel-3-피페리디놀
Figure 112006046235314-PCT00069
이동상으로 헥산-이소프로필 알콜-디에틸아민 (80:20:0.05)을 사용하는 정상 키랄 정제용 HPLC (키랄팩(Chiralpak) AD)를 이용하여 라세미 화합물 135를 분해하였다. 화합물 137 (거울상이성질체 A) 및 화합물 138 (거울상이성질체 B)을, 99% ee초과 단일 거울상이성질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39
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5-[[4-[(2,2-디메틸프로필)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Figure 112006046235314-PCT00070
CH2Cl2 (1 mL) 중 실시예 1의 화합물 (19 mg, 0.05 mmol)의 용액에 빙초산 (0.05 mL)에 이어 3,3-디메틸부티르알데히드 (0.008 mL, 0.073 mmol) 및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25 mg, 0.12 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희석하고, 물, 포화 NaHCO3,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CH2Cl2-MeOH-NH40H: 98:2:0.2에서 95:5:0.5)하여 화합물 139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0.976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445+.
실시예 140
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5-[[4-(프로필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Figure 112006046235314-PCT00071
화합물 140을 화합물 1로부터 화합물 139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40은 고체이며, 그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689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417+.
실시예 141
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4-피페리디놀
Figure 112006046235314-PCT00072
화합물 141을 실시예 1의 화합물 1E로부터 화합물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41은 고체이며, 그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803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376+.
실시예 142
트랜스-4-[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 메틸]-시클로헥산올
Figure 112006046235314-PCT00073
A. 4-클로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5-카르브알데히드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74
CCl4 중 4-클로로-5-메틸-피롤로[2,1-f][1,2,4]트리아진 (1.68 g, 10 mmole)의 용액을 N2로 20분 동안 살포하고, 이어서 NBS (3.74 g, 21 mmole)에 이어 벤조일 퍼옥시드 (242 mg, 1 mmole)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 ℃ 오일 욕조에 위치시키고, 3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이를 여과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CH3OH (100 ml) 중에 현탁시키고, 고체 NaHCO3 (5 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 오일을 DCM 중에 재현탁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디메틸 아세탈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DCM (20 ml)/H2O (20 ml)/TFA (1 ml)로 처리하였다. 1.5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후에, 이를 수성 포화 NaHCO3으로 중화시키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 (DCM으로 용출하는 3 x 15 cm 실리카 겔 컬럼)하여 표제 화합물 (1.02 g, 56%)을 고체 로서 수득하였다. MS: 182 (M+H)+; HPLC 체류 시간: 0.79분 (엑스테라(Xterra) 3.0 x 50 mm S7 컬럼, 2분 구배, 5 mL/분);
B. [4-(tert-부틸-디메틸-실라닐옥시)-시클로헥실]-(4-클로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탄올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75
THF (4 당량) 중 트랜스-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헥실마그네슘 브로마이드 (문헌 [Bioorg. and Med. Chem., 1996, 6, 201])의 용액을 THF (15 mL) 중 4-클로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5-카르브알데히드 (1.05 g, 5.8 mmole)의 빙냉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1시간 후에, NH4Cl (15 mL)의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EtOAc/헥산 (1:1) (50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방사 크로마토그래피 (4 mm 실리카 겔 플레이트, DCM 중 0에서 15% EtOAc로 구배 용출)를 통해 조 물질을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시스-이성질체 189 mg, 트랜스-이성질체 496 mg 및 혼합물 415 mg (총 수율 48%, 시스:트랜스의 비율은 약 1:4임)을 수득하였다. 시스-이성질체: MS: 396 (M+H)+; HPLC 체류 시간: 2.10분 (엑스테라 3.0 x 50 mm S7 컬럼, 2분 구배, 5 mL/분); 트랜스-이성질체: MS: 396 (M+H)+; HPLC 체류 시간 2.08분 (엑스테라 3.0 x 50 mm S7 컬럼, 2분 구배, 5 mL/분).
C.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4-(1-메틸-1-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시클로헥실]-메탄올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76
CH3CN (10 mL) 중 트랜스-[4-(tert-부틸디메틸실라닐옥시)-시클로헥실]-(4-클로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탄올 (840 mg, 2.13 mmole), 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민 (309 mg, 2.13 mmole) 및 NaHCO3 (536 mg, 6.39 mmole)의 혼합물을 7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DCM 중에 현탁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한 다음 방사 크로마토그래피 (4 mm 실리카 겔 플레이트, DCM 중 MeOH (2N) 중 0에서 2% NH3으로 구배 용출)하여 표제 화합물 (612 mg, 57%)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MS: 506 (M+H)+; HPLC 체류 시간: 2.29분 (엑스테라 3.0 x 50 mm S7 컬럼, 2분 구배, 5 mL/분).
D. 트랜스-4-[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가압 플라스크 내 N2하에 TFA (8 mL) 중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4-(1-메틸-1-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시클로헥실]-메탄올 (448 mg, 0.887 mmole) 및 트리에틸실란 (1.03 g, 8.87 mmole)의 혼합물을 75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CH3OH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고체 Na2CO3 (2.0 g)을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후에,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DCM (200 ml)과 H2O (5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방사 크로마토그래피 (2 mm 실리카 겔 플레이트, DCM 중 MeOH (2N) 중 0에서 4% NH3으로 구배 용출)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09 mg, 63%)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MS: 375 (M+H)+; HPLC 체류 시간: 1.49분 (엑스테라 3.0 x 50 mm S7 컬럼, 2분 구배, 5 mL/분).
실시예 143
시스-4-[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시클로헥산올
Figure 112006046235314-PCT00077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시스-[4-(tert-부틸디메틸실라닐옥시)-시클로헥실]-(4-클로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탄올로부터 제조하였다: 375 (M+H)+; HPLC 체류 시간: 1.56분 (엑스테라 3.0 x 50 mm S7 컬럼, 2분 구배, 5 mL/분).
실시예 144
4-[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시클로헥사논
Figure 112006046235314-PCT00078
DCM (3 ml) 중 시스-[4-(tert-부틸디메틸실라닐옥시)-시클로헥실]-(4-클로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탄올: (53 mg, 0.14 mmole), 4-메틸모르폴린 N-옥시드 (25 mg, 0.21 mmole), TPAP (5 mg, 0.1 당량) 및 분말 4 Å 분자체 (100 mg)의 용액을 N2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5시간 후에, 이를 여과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방사 크로마토그래피 (1 mm 실리카 겔 플레이트, DCM 중 MeOH (2N) 중 0에서 5% NH3으로 구배 용출)하여 표제 화합물 (25 mg, 47%)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MS: 373 (M+H)+; HPLC 체류 시간: 1.50분 (엑스테라 3.0 x 50 mm S7 컬럼, 2분 구배, 5 mL/분).
실시예 145
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시클로헥산올
Figure 112006046235314-PCT00079
무수 MeOH (0.5 mL) 중 4-[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4-히드록시-시클로헥사논 (24 mg, 0.06 mmole)의 용액에 분말 3 Å 분자체 (24 mg), (10 당량) NH4OAc (48 mg, 0.06 mmole) 및 NaCNBH3 (4 mg, 0.06 mmole)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질소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15% NaOH 용액을 첨가하였다. 10분 후에, 혼합물을 DCM (50 mL)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Na2SO4), 용매를 제거하였다. 상기 물질을 정제하고, 정제용 HPLC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 (3.5 mg, 15%) 및 시스 이성질체 (7.9 mg, 32%)를 수득하였다. 표제 화합물: MS: 390 (M+H)+; HPLC 체류 시간: 2.070분 (엑스테라 4.6 x 50 mm S5 컬럼, 3분 구배, 4 mL/분). 시스 이성질체: MS: 390 (M+H)+; HPLC 체류 시간: 2.190분 (엑스테라 4.6 x 50 mm S5 컬럼, 3분 구배, 4 mL/분).
실시예 146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Figure 112006046235314-PCT00080
화합물 146A 및 146B의 제조:
(3R,4R)-4-아지도-3-히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46A):
Figure 112006046235314-PCT00081
(3S,4S)-4-아지도-3-히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46B):
Figure 112006046235314-PCT00082
이동상으로 MeOH-EtOH (50:50)를 사용하는 정상 키랄 정제용 HPLC (키랄팩 AD)를 이용하여 광학 분해함으로써 화합물 135L로부터 화합물 146A 및 146B를 수득하였다. 화합물 146A (제1 용출액) 및 화합물 146B (제2 용출액)를 99% ee 초과인 단일 거울상이성질체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146A (3R,4R)의 절대 입체화학을 단일 X-선 결정학 분석에 의해 결정하였다.
화합물 146C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83
0 ℃에서 냉각된 무수 CH2Cl2 (15 mL) 중 화합물 146A (1.76 g, 7.26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TFA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CH2Cl2와 함께 수회 공비 증발시켜 화합물 146C를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146D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84
화합물 146B를 사용하여 화합물 146D를 화합물 146C와 유사한 방식으로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화합물 146E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85
화합물 146E를 피페리딘-4-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대신 화합물 146C로 대체하여 실시예 105 (방법 1을 사용함)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46E는 고체이며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019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 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395+.
Figure 112006046235314-PCT00086
화합물 146을 화합물 146E로부터 화합물 135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46은 1.213분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을 갖는 고체였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369+. 화합물 146의 거울상이성질체의 순도 (ee)는 99%를 초과하였다 (키랄팩 AD, 250 x 4.6 mm 10 마이크론, EtOH-MeOH-Et2NH: 50:50:0.1).
화합물 146의 별법의 제조
화합물 146F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87
물 570 mL 중 1-메틸-1,2,3,6-테트라히드로피페리딘 HCl 염 (227 g)의 용액에 고체 K2CO3 (235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톨루엔 (500 mL x 3)으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무수 MgSO4로 건조시켰 다. 여과하여 MgSO4를 제거하고, 여액을 3-L의 3구 RB 플라스크에 위치시켰다. K2CO3 (22.7 g)을 여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완만하게 환류하였다 (욕조 온도 110 ℃). 첨가 깔때기를 통해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318 mL)를 2.5시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이 극도의 발열 반응이므로 자기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할 것을 강력히 권고함).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 2.0시간 동안 환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46F 188.6 g (72%)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CDCl3):
화합물 146G (라세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88
0 ℃에서 무수 CH2Cl2 2 L 중 화합물 146F (178.2 g, 1.15 mol)의 용액에 고체 m-CPBA (386 g, 1.72 mol, 77% 최대)를 소량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0시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 케이크를 CH2Cl2로 세정하였다. 합한 여액 및 세척액을 20% Na2S2O3 (3 L x 3), 포화 NaHCO3 (3 L x 3)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46G 170 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반응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화합물 146H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89
에탄올 (600 mL) 및 물 (150 mL) 중 화합물 146G (140 g, 0.818 mol), NaN3 (68.9 g, 1.06 mol) 및 NH4Cl (56.7 g, 1.06 mol)의 혼합물을 7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에탄올로 세정하였다. 합한 여액을 진공하에서 적은 부피 (약 80 mL)로 농축하고, 이어서 물 (500 mL)로 희석하고, EtOAc (500 mL x 4)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7:3에서 6:4)로 정제하여 화합물 146G를 하기 분획물: 제1 분획물 80.7 g (AP: > 98%), 제2 분획물 22.7 g (AP: 92-95%) 및 제3 분획물 15.8 g (AP: < 60%)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제1 및 제2 분획물을 합하고, 하기 조건을 갖는 키랄 정제용 HPLC를 이용하는 광학 분해에 적용하였다: 키랄팩 AD 컬럼, MeOH-EtOH (1:1)로 용출. 제1 용출 피크 (Rt = 5.605분)를 수집하여 99% ee 초과인 화합물 146H 47.52 g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146I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90
EtOH 480 mL 중 화합물 146H (36.42 g, 0.17 mol)의 용액에 물 240 mL 중 KOH (112 g, 1.7 mol, 85%)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고, 반응 과정을 TLC로 모니터링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고체 NaC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 (5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조 화합물 146I 23 g (77%)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에테르 (250 mL)로 연화처리하여 화합물 146I 18.53 g을 고체 (AP: 99%)로서 수득하였다. 모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고체 NaCl을 첨가하고, 보다 많은 EtOAc (250 mL x 4)로 추가로 추출하여 추가의 조 화합물 146I 4.2 g (AP: < 85%)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146을 화합물 146I로부터 화합물 146E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7
(3S,4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 3-피페리딘-3-올.
Figure 112006046235314-PCT00091
화합물 147A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092
화합물 147A를 피페리딘-4-일-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대신 화합물 130D로 대체하여 실시예 105 (방법 1을 사용함)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47A는 고체이며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395+.
화합물 147를 화합물 147A로부터 화합물 135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47은 1.213분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을 갖는 고체였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369+. 화합물 147의 거울상이성질체의 순도 (ee)는 99% 초과였다 (키랄팩 AD, 250 x 4.6 mm 10 마이크론, EtOH- MeOH-Et2NH: 50:50:0.1).
실시예 148
(3R,4R)-4-아미노-1-[[4-[(3-메톡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Figure 112006046235314-PCT00093
화합물 148을 화합물 146C로부터 화합물 135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48은 1.187분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을 갖는 고체였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387+. 화합물 148의 거울상이성질체의 순도 (ee)는 99% 초과였다. (키랄팩 AD, 250 x4.6 mm 10 마이크론, EtOH-MeOH-Et2NH: 50:50:0.1).
실시예 149
(3S,4S)-4-아미노-1-[[4-[(3-메톡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Figure 112006046235314-PCT00094
화합물 149를 화합물 146D로부터 화합물 135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49은 1.187분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을 갖는 고체였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387+. 화합물 149의 거울상이성질체의 순도 (ee)는 99% 초과였다. (키랄팩 AD, 250 x 4.6 mm 10 마이크론, EtOH-MeOH-Et2NH: 50:50:0.1).
실시예 150 내지 200
화합물 150 내지 200 (HPLC 주 (b)로)을 146I로부터 화합물 146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095
Figure 112006046235314-PCT00096
Figure 112006046235314-PCT00097
Figure 112006046235314-PCT00098
Figure 112006046235314-PCT00099
Figure 112006046235314-PCT00100
Figure 112006046235314-PCT00101
aHPLC에 대한 구배 시간 2분. bHPLC에 대한 구배 시간 2분 (페놈-프라임(Phenom-prime) S5 C18 4.6 x 30 mm 컬럼).
실시예 201
rac-(3S,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5-일}메틸)피페리딘-3-올
Figure 112006046235314-PCT00102
201A. (±)-tert-부틸 4-아지도-3-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03
무수 DMSO (0.28 mL, 3.79 mmol)를 무수 CH2Cl2 6 mL 중 옥살릴 클로라이드 (0.172 mL, 1.96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아르곤하에 -78 ℃에서 첨가하였다. 10분 후에, 무수 CH2Cl2 4.5 mL 중 화합물 135L (396 mg, 1.63 mmol)의 용액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 (1.38 mL, 10.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pH 7.0의 완충 용액 2.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CH2Cl2 (x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201A를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다음 반응 단계에서 즉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04
201B. (±)-tert-부틸 4-아지도-3-히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05
-78 ℃에서 냉각된 무수 THF (2 mL) 중 상기에서 제조된 화합물 201A의 용액에 L-셀렉트리드 (THF 중 1.0 M, 0.98 mL, 0.9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 ℃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2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 (3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1회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4:1)하여 화합물 201B 44 m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06
201C. (±)-4-아지도피페리딘-3-올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07
화합물 201B (44 mg, 0.18 mmol)를 CH2Cl2와 TFA (1:1, 2 mL)의 혼합물로 30분 동안 처리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헵탄-CH2Cl2로 3 회 공비증발시켜 화합물 201C의 TFA 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반응 단계에서 즉시 사용하였다.
201D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08
화합물 201D를 화합물 201C로부터 화합물 146E와 유사한 방식으로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795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395.
화합물 201를 화합물 201D로부터 화합물 146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169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369.
실시예 202A 및 202B
(3S,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거울상이성질체 A, 키랄)
Figure 112006046235314-PCT00109
(3R,4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거울상이성질체 B, 키랄)
Figure 112006046235314-PCT00110
하기 방법을 이용하는 화합물 201 (30 mg)의 광학 분해에 의해 화합물 202A (15 mg) 및 화합물 202B (15 mg)를 수득하였다: 유속 6.0 ml/분의 구배 및 검출 220 nm를 이용하는 헥산-이소프로필알콜-디에틸아민 (50:50:0.1)으로 용출하는 키랄팩 AD 키랄 정제용 컬럼. 제1 용출 피크는 ee% ≥ 98%인 화합물 202A (체류 시간은 4.337분임)에 상응하며; 제2 용출 피크는 ee% ≥ 98%인 화합물 202B (체류 시간은 6.050분임)에 상응한다.
실시예 203
(3S,4R)-4-아미노-1-({4-[(3-메틸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키랄)
Figure 112006046235314-PCT00111
화합물 203A 및 203B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12
Figure 112006046235314-PCT00113
내부 온도를 -60 ℃ 이하로 유지하면서 -60 ℃에서 냉각된 클로로포름 2 L 중 화합물 146G (100 g, 0.585 mol)의 용액에 첨가 깔때기를 통해 48% HBr 196.5 mL를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추가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물 (1 L x 2), 염수 (1 L)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화합물 (203A 및 203B의 라세미 혼합물) 134.2 g (91%)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14
이동상으로서 CH3CN을 사용하는 정상 키랄 정제용 HPLC (키랄팩 AD)에 의해 상기 라세미 혼합물의 광학 분해로부터 화합물 203A 및 203B를 수득하였다. 화합물 203B 54.77 g (제1 용출액, Rt = 5.861 분) 및 화합물 203A 53.71 g (제2 용출액, Rt = 8.719 분)을 99% ee 초과인 단일 거울상이성질체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203B (3R,4S)의 절대 입체화학을 화합물 203의 단일 X-선 결정학 분석에 기초하여 정하였다.
화합물 203C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15
DMF 250 mL 중 화합물 203A (53.7 g, 0.213 mol)의 용액에 0 ℃에서 이미다졸 (21.8 g, 0.32 mol)에 이어 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38.5 g, 0.258 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에테르 (1 L)에 이어 물 (1 L)을 반응 혼합물에 0 ℃에서 첨가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에테르(1 L x 2)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10% LiCl (750 mL x3)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화합물 203C를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즉시 사용하였다.
화합물 203D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16
화합물 203D를 화합물 203B로부터 화합물 203C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203E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17
DMSO 300 mL 중 화합물 203C (0.213 mol)의 용액에 NaN3 (15.3 g, 0.234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 ℃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의 NaN3 (15.0 g, 0.230 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빙수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에테르 (1 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 (1 L)로 1회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화합물 203E 69.5 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즉시 사용하였다.
화합물 203F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18
화합물 203F를 화합물 203D로부터 화합물 203E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203G (키랄)의 제조:
THF 200 mL 중 상기에서 제조된 화합물 203E (0.213 mol)과 TBAF x H2O (67 g, 0.255 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테르 (1 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물 (1 L)로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에테르(1 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1 L)로 1회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CH2Cl2-EtOAc: 4:1)하여 화합물 203G 29.8 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실리카 겔 상에서 제2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6.5:3.5)하여 화합물 203G 20 g (44%)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20
화합물 203H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21
화합물 203H를 화합물 203F로부터 화합물 203G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203I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22
화합물 203I를 화합물 203G로부터 화합물 146I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203I는 99ee% 이상인 고체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23
화합물 203J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24
화합물 203J를 화합물 203H로부터 화합물 146I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203J는 99ee% 이상인 고체였다.
화합물 203을 화합물 1B,메타-메틸아닐린 및 화합물 203I로부터 화합물 146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278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53.
실시예 204 내지 211
화합물 204 내지 211 (HPLC 주 (b)로)을 화합물 1B, 상응하는 아닐린 및 화합물 203I로부터 화합물 146에 대해 사용한 바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25
실시예 212 내지 219
화합물 212 내지 219 (HPLC 주 (b)로)을 화합물 1B, 상응하는 아닐린 및 화합물 203J로부터 화합물 146에 대해 사용한 바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26
실시예 220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Figure 112006046235314-PCT00127
화합물 220A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28
0 ℃에서 냉각된 무수 CH2Cl2 1 mL 중 화합물 146A (121 mg, 0.5 mmol)의 용액에 트리클로로아세틸이소시아네이트 (0.075 mL, 0.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MeOH (0.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화합물 220A를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29
화합물 220B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30
무수 MeOH 3 mL 중 220A (0.5 mmol)의 용액에 20% 수성 K2CO3 (2 m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5 mL)을 첨가하고, MeOH를 회전 증발하여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EtOAc (x2)로 추출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220B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31
화합물 220C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32
무수 CH2Cl2 5 mL 및 TFA 5 mL 중 220B (0.5 mmol)의 혼합물을 0 ℃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CH2Cl2-MeOH-헥산과 함께 수회 공비 증발시키고, 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조 220C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220D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33
화합물 220D를 화합물 220C로부터 화합물 146E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793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438.
화합물 220을 화합물 220D로부터 화합물 146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310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412.
실시예 221 내지 227
화합물 221 내지 227 (HPLC 주 (b)로)을 화합물 1B, 상응하는 아닐린 및 화합물 220C로부터 화합물 146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34
Figure 112006046235314-PCT00135
실시예 229
(3R,4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Figure 112006046235314-PCT00136
229A. 화합물 229A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37
화합물 229A를 화합물 203I로부터 화합물 135E, 단계 2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229B. 화합물 229B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38
화합물 229B를 화합물 229A로부터 화합물 220A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229C. 화합물 229C (키랄)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39
화합물 229C를 화합물 229B로부터 화합물 220B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229D. 화합물 229D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40
화합물 229D를 화합물 229C로부터 화합물 220C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229를 화합물 229D로부터 화합물 146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229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412.
실시예 230 내지 236
Figure 112006046235314-PCT00141
화합물 230 내지 236 (HPLC 주 (b)로)을 화합물 1B, 상응하는 아닐린 및 화합물 229D 로부터 화합물 146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42
실시예 237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 일}메틸)-3-메틸피페리딘-3-올 (키랄, 거울상이성질체 A)
Figure 112006046235314-PCT00143
화합물 237A (라세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44
벤젠 150 mL 중 N-벤질테트라히드로피리딘 (100 mmol)의 용액에 고체 NaHCO3 (4.2 g, 49 mmol)에 이어 시린지를 통해 실온에서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9.3 mL, 120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휘발 물질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고, 잔사를 EtOAc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20 ml x 2), 0.5 M HCl (20 mL) 및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잔류 벤질 클로라이드를 고 진공하에서 추가로 제거하여 (비점 42 내지 50 ℃/2 mmHg, 욕조 온도: 75-80 ℃) 화합물 237A를 점성 시럽으로서 수득하였다.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9.5:0.5에서 9:1)하여 화합물 237A 11.77 g (수율: 76%)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45
화합물 237B (라세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46
무수 CH2Cl2 10 mL 중 화합물 237A (775 mg, 5.0 mmol)와 m-CPBA (1.21 g, 7.0 mmol, 77% 최대)의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10% Na2S2O3, 포화 NaHCO3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화합물 237B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47
화합물 237C (라세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48
DMF 10 mL 중 화합물 237B (5.0 mmol)의 용액에 아세톤-H2O의 2:1 혼합물 10 mL 중 NaN3 (810 mg, 12.4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EtOAc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물, 10% LiCl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37C 1.09 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49
화합물 237D (라세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50
MeOH 10 mL 중 화합물 237C (428 mg, 2.0 mmol)와 Pd(OH)2 150 mg의 혼합물을 수소 (벌룬) 분위기하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잔사를 수득하였다.
잔사를 무수 CH2Cl2 5 mL 중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Boc2O (460 mg, 2.10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334 mL, 2.40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희석하고, 10% 시트르산, 포화 NaHCO3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Na2SO4).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7:3에서 1:1)하여 237D 330 m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51
화합물 237E (라세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52
화합물 237E를 화합물 237D로부터 화합물 146I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237F (라세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53
화합물 237F를 화합물 237E로부터 화합물 1D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237G (라세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54
화합물 237G를 화합물 237F로부터 화합물 1E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262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83.
화합물 237을 237G로부터 키랄 정제용 HPLC 분리 (키랄팩 AD, 250 x 4.6 mm, 10 마이크론, EtOH/MeOH/DEA 50:50:0.1로 용출)에 의해 ee% ≥ 99%인 제1 피크 (Rt = 5.390분)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51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83.
실시예 238
(3S,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3-메틸피페리딘-3-올 (키랄, 거울상이성질체 B)
Figure 112006046235314-PCT00155
화합물 238을 237G로부터 키랄 정제용 HPLC 분리 (키랄팩 AD, 250 x 4.6 mm, 10 마이크론, EtOH/MeOH/DEA 50:50:0.1로 용출)에 의해 ee% ≥ 99%인 제2 피크 (Rt = 8.523분)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51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83.
실시예 239
(3R,4R,5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5-디올
Figure 112006046235314-PCT00156
239A. (±)-에틸 3-아세톡시-4-브로모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57
무수 피리딘 165 mL 중 화합물 203A/B (라세미 혼합물) (107 g, 371 mmol) 및 아세트산 무수물 (101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물로 희석하고, K2CO3을 사용하여 염기성이 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클로로포름 (250 mL x 3)으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239A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58
239B. (±)-에틸 5-아세톡시-5,6-디히드로피리딘-1(2H)-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59
화합물 239A (371 mmol)와 DBU (92 g, 604 mmol)의 혼합물을 90 내지 110 ℃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혼합물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추가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톨루엔으로 세정하였다. 합한 여액을 1.0 N HCl, 물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239B 67.56 g (수율: 85.4%)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60
239C. (±)-에틸 5-히드록시-5,6-디히드로피리딘-1(2H)-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61
EtOH 30 mL 중 화합물 239B (10.5 g, 49.2 mmol)의 용액에 EtOH (65 mL) 중0.2N NaOH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가온시킨 후에, 반응 혼합물을 빙초산으로 중화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239C 8.5 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62
239D. (±)-에틸 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6-디히드로피리딘-1(2H)-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63
무수 CH2Cl2 150 mL 중 화합물 239C (16 g, 93.5 mmol)의 용액에 0 ℃에서 이미다졸 (9.5 g, 140.0 mmol) 및 t-부틸디메틸실릴클로라이드 (15.5 g, 102.8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에테르 (500 mL) 및 물 (1 L)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10% LiCl (15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15:1에서 10:1)하여 239D 25.2 g (수율: 94.4%)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39E. (±)-에틸 5-히드록시-7-옥사-3-아자-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64
첨가하는 동안 내부 온도를 0 ℃ 이하로 유지하면서 CH2Cl2 250 mL 중 화합물 239D (25.2 g, 88.3 mmol)의 용액에 0 ℃에서 고체 m-CPBA (39.6 g, 176.6 mmol, 77% 최대)를 소량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에서 30분 동안, 이어서 실온 4.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로 고체 m-CPBA (39.6 g, 176.6 mmol, 77% 최대)를 소량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20% Na2S2O3 (500 mL x 3), 포화 NaHCO3 (500 mL x 3) 및 염수 (2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9.5:0.5에서 9:1)로 정제하여 239E (더 낮은 Rf) 4.33 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39F. (±)-에틸 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7-옥사-3-아자-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65
화합물 239F를 239D로부터 화합물 239E와 동일 반응으로 오일로서 제조하였다
239G. (±)-에틸 5-히드록시-7-옥사-3-아자-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66
무수 THF 10 mL 중 화합물 239E (4.33 g, 14.4 mmol)의 용액에 THF 중 TBAF (17.2 mL, 17.2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EtOAc (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1:1에서 1:2)하여 239G 2.01 g (수율: 74.5%)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67
239H. (±)-에틸 5-히드록시-7-옥사-3-아자-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68
무수 THF 10 mL 중 화합물 239F (13.6 g, 45.1 mmol)의 용액에 THF 중 TBAF (67.6 mL, 67.6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EtOAc (2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실리카 겔 상에서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1:1에서 1:2)하여 239H 6.03 g (수율: 75%)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69
239I. (±)-에틸 4-아지도-3,5-디히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70
2-메톡시에탄올 (40 mL) 중 화합물 239G (2.0 g, 10.7 mmol)의 용액에 NaN3 (3.5 g, 53.4 mmol) 및 NH4Cl (2.3 g, 42.7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5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 고, 잔사를 EtOAc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10 mL x 2)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1:1에서 1:2)하여 239I 0.64 g (더 높은 Rf)을 결정질 물질로서 수득하였다. 입체화학을 단일 x-선 결정학 측정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239J. (±)-에틸 4-아지도-3,5-디히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71
화합물 239J를 239H로부터 화합물 239I와 유사한 반응으로 결정질 물질로서 제조하였다
239K. (메조)-4-아지도-3,5-비스(메톡시메톡시)피페리딘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72
무수 CH2Cl2 (5 mL) 중 화합물 239I (640 mg, 2.78 mmol)의 용액에 i-Pr2NEt (5.9 mL, 33.4 mmol)에 이어 MOMCl (1.69 mL, 22.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 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반응물을 CH2Cl2로 희석하고, 10% 시트르산, 포화 NaHCO3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중간체를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반응 단계에서 즉시 사용하였다.
EtOH 8 mL 및 물 4 mL 중 상기에서 제조된 중간체와 KOH (1.84 g, 85%)의 혼합물을 밤새 가열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물로 희석하고, CH2Cl2 (x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239K 662 m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반응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73
239L. (±)-(3R,5R)-rel-4-아지도-3,5-비스(메톡시메톡시)피페리딘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74
화합물 239L을 239J로부터 화합물 239K와 유사한 반응으로 결정질 물질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75
239M. (±)-(3S,4R,5R)-rel-4-아지도-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3,5-비스(메톡시메톡시)피페리딘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76
화합물 239M을 239K로부터 화합물 146E와 동일한 반응으로 발포체로서 제조하였다. 화합물 239M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582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502+.
239N. (3S,4R,5R)-rel-4-아지도-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5-디올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77
THF 3 mL 중 화합물 239M (0.65 mmol) 및 6N HCl (2 mL)의 혼합물을 50 ℃에 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NaOH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염기성이 되게 하고, EtOAc로 추출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239N 260 mg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239N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063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411+.
THF (3 mL) 및 물 (0.3 mL) 중 화합물 239N (260 mg, 0.633 mmol)과 Ph3P (332 mg, 1.27 mmol)의 혼합물을 7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2N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2x)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2N NaOH로 염기성화시키고, EtOAc (2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로 1회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에테르로 연화처리하여 239 180 mg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239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211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385+.
실시예 240
(3R/S,5R/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5-일}메틸)피페리딘-3,5-디올
Figure 112006046235314-PCT00178
화합물 240을 239L로부터 화합물 239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240은 고체이며,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045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384+.
실시예 241A
(3S,5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5-디올 (거울상이성질체 A, 키랄)
Figure 112006046235314-PCT00179
화합물 241A (거울상이성질체 A)를 240으로부터 키랄 정제용 HPLC 분리 (EtOH/DEA :100/0.1로 용출하는 키랄팩 AD 이용)에 의해 ee ≥ 99%인 제1 피크 (Rt = 5.827분)로서 제조하였다.
화합물 241A는 고체이며,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044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6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54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1 = 384+.
실시예 241B
(3R,5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5-디올 (거울상이성질체 B, 키랄)
Figure 112006046235314-PCT00180
화합물 241B (거울상이성질체 B)를 240으로부터 키랄 정제용 HPLC 분리 (EtOH/DEA :100/0.1로 용출하는 키랄팩 AD 이용)에 의해 ee ≥ 96%인 제2 피크 (Rt = 8.430분)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42 내지 246
화합물 242 내지 246 (HPLC 주 (b)로)을 239L로부터 화합물 239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6235314-PCT00181
Figure 112006046235314-PCT00182
키랄 정상 HPLC 조건: 키랄팩 AD, 동용매, EtOH-DEA: 100/0.1로 용출.
실시예 247
rac-5-{[(3R,4R)-4-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Figure 112006046235314-PCT00183
247A. (3R,4R)-rel-tert-부틸 4-아지도-3-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84
무수 THF 4 ml 중 146A (320 mg, 1.32 mmol)와 요오도메탄 (0.25 mL, 3.96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질소하 실온에서 95% NaH (40.0 mg, 1.58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물 30 mL를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수용액을 EtOAc (2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추출물을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247A 310 mg (수율: 92%)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86분이었다. (페노메녹스(Phenomenox)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Na = 279.
247B. 5-(((3R,4R)-rel-4-아지도-3-메톡시피페리딘-1-일)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85
CHCl2 2 mL 중 247A (310 mg, 1.21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TFA (2.00 mL, 26.0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3R,4R)-rel-4-아지도-3-메톡시피페리딘 390 mg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247B를 상기 TFA 염 (52.0 mg, 0.19 mmoL)으로부터 146E에 대해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97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409.
247C. 5-(((3R,4R)-4-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라세미)의 제조
화합물 247C (라세미)를 247B로부터 146에 대해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MeOH (16 mL)에 이어 MeOH (16 mL) 중 2M NH3의 용출액으로 용출하는 SCX 카트리지 1 g에 통과시켜 화합물 247C를 정제하였다. 용출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추가로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247C (수율: 42%) 26 mg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51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83.
247D. 5-(((3R,4R)-4-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 [1,2-f][1,2,4]트리아진-4-아민 (거울상이성질체 A)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86
화합물 247D를 화합물 247C로부터 키랄 정제용 HPLC 분리 (키랄팩 AD, 10 마이크로, 2 x 5 cm 컬럼, 220 nm, 20 mL/분, EtOH/MeOH/DEA, 50/50/0.1)에 의해 수득하였다. 화합물 247D는 고체이며, 이의 HPLC 체류 시간은 6.5분이고, 99% ee 초과였다 (키랄팩 AD, 250 x 4.6 mm, 10 마이크론; EtOH/MeOH/DEA: 50/50/0.1, 0.8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247E. 5-(((3S,4S)-4-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거울상이성질체 B)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87
화합물 247E를 화합물 247C로부터 키랄 정제용 HPLC 분리 (키랄팩 AD, 10 마이크로, 2 x 5 cm 컬럼, 220 nm, 20 mL/분, EtOH/MeOH/DEA, 50/50/0.1)에 의해 수득하였다. 화합물 247E은 고체이며, HPLC 체류 시간은 8.9분이고, 99% Ee 초과였다 (키랄팩 AD, 250 x 4.6 mm, 10 마이크론; EtOH/MeOH/DEA: 50/50/0.1, 0.8 mL/ 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실시예 248
rac-5-{[(3R,4R)-4-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메틸]-N-(4-플루오로-3-메톡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Figure 112006046235314-PCT00188
화합물 248을 247A로부터 화합물 247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18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401.
실시예 249
(4aR,8aR)-rel-6-((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헥사히드로-1H-피리도[3,4-b][1,4]옥사진-2(3H)-온
Figure 112006046235314-PCT00189
249A. (3R,4R)-rel-tert-부틸 4-아미노-3-히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90
MeOH 10 mL 중 15A (540 mg, 2.23 mmol)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서 20% Pd(OH)2/C (108 mg)를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H2로 수회 퍼징하고, 수소 분위기하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 μm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을 통과시켜 촉매를 여과함으로써 제거하고, MeOH (6 x 30 mL)로 세정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249A 453 mg (수율: 94%)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0.73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2% 인산을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l = 217.
249B. (3R,4R)-rel-tert-부틸 4-(2-클로로아세트아미도)-3-히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91
아세톤 2.5 mL 및 물 0.8 mL 중 249A (428 mg, 1.98 mmol) 및 NaOAc (325 mg, 3.96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N2하에 0 ℃에서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0.17 mL, 2.08 mmol)를 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0 ℃에서 10분 동안 및 실온에서 25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 160 mL로 희석하고, 물 (2 x 40 mL), 포화 NaHCO3 용액 (1 x 30 mL) 및 염수(1 x 30 mL)로 세척하였다. EtOAc 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249B 415 mg (수율: 72%)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96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2% 인산을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흐름 주입 MS M-= 291.
249C. (4aR,8aR)-rel-tert-부틸2-옥소-헥사히드로-1H-피리도[3,4-b][1,4]옥사진-6(7H)-카르복실레이트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92
무수 THF 10 mL 중 249B (410 mg, 14.0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N2하에 실온에서 60% NaH (84.0 mg, 2.10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H4Cl 용액 3 mL로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포화 NaHCO3 용액 40 mL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을 EtOAc (3x 6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추출물을 염수 (1 x 30 mL)로 세척하였다. EtOAc 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249C 344 mg (수율: 96%)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01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4.6 x 50 mm, 4분에 걸쳐 0.2% 인산을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 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 257.
249D. (4aR,8aR)-rel-헥사히드로-1H-피리도[3,4-b][1,4]옥사진-2 (3H)-온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93
CH2Cl2 1 mL 중 249C (70.0 mg, 0.0.27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실온에서 TFA (2.00 mL, 25.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249D를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DMA와 혼합하여 2 mL의 원액을 만들고, 다음 단계 반응에서 사용하였다.
화합물 249를 249D로부터 화합물 14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85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409.
실시예 250
5-(((4aR,8aR)-rel-헥사히드로-1H-피리도[3,4-b][1,4]옥사진-6(7H)-일)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Figure 112006046235314-PCT00194
무수 THF 4 mL 중 화합물 249 (100 mg, 0.24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실온에서 1M LiAlH4/에테르 용액 (0.70 mL, 0.70 mmoL)을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70분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Celite) 200 mg 및 황산나트륨 10수화물 200 mg을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 제거하고, MeOH (3 x 15 mL)로 세정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50 78 mg (수율: 81%)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68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95.
실시예 251
N-(4-플루오로-3-메톡시페닐)-5-(((4aR,8aR)-rel-헥사히드로-1H-피리도[3,4- b][1,4]옥사진-6(7H)-일)메틸)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Figure 112006046235314-PCT00195
화합물 251를 249D로부터 화합물 250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64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413.
실시예 252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N-(메틸술포닐)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06046235314-PCT00196
252A. 1-tert-부틸 3-에틸 4-옥소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97
CHCl3 (160 mL) 중 에틸 4-옥소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 (16.2 g, 95 mmol)의 용액을 물 (170 mL) 중 NaHCO3 (9.6 g, 114 mmol)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2상성 반응물을 CHCl3 (60 mL) 중 Boc2O (20.7 g, 95 mmol)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8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CHCl3 (2 x 10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농축하여 화합물 252A 22 g (수율: 86%)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52B. (R)-1-tert-부틸 3-에틸 4-(1-페닐에틸아미노)-5,6-디히드로-피리딘-1,3(2H)-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98
252A (22 g, 81 mmol) 및 톨루엔 (400 mL)의 용액을 (R)-1-페닐에탄아민 (12.5 mL, 97 mmol) 및 p-TsOH (1.5 g)로 처리하였다. 딘-스타르크 트랩(Dean-Stark trap)을 이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23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2 x 200 mL) 및 염수 (2 x 200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실리카(100% CH2Cl2) 패드를 통해 조 물질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화합물 252B 14.7 g (수율: 49%)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52C. (3S,4R)-1-tert-부틸 3-에틸 4-((R)-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199
기계적 교반기 및 첨가 깔때기를 장착한 1 L의 3-구 환저 플라스크를 252B (14.7 g, 39 mmol) 및 아세토니트릴 (200 mL) 및 아세트산 (100 mL)로 충전하였다. 용액을 0 ℃로 냉각시키고, Na(OAc)3BH (33.3 g, 157 mmol)를 3회 분량으로 2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최종 첨가 후에 반응물을 상기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10 ℃로 냉각시키고, 1 N NaOH (100 mL), 4 N NaOH (100 mL), 6 N NaOH (100 mL)에 이어 50% NaOH (50 mL)를 서서히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CH2Cl2 (2 x 250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에서 30% EtOAc/헥산 구배)로 정제하여 화합물 252C 6.0 g (수율: 41%)을 수득하였다.
252D. (3R,4R)-1-tert-부틸 3-에틸 4-((R)-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00
에탄올 (70 mL) 중 252C (2.90 g, 7.71 mmol)의 용액을 에탄올 (7.5 mL) 중 21% NaOEt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50 ℃로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디클로로메탄 (150 mL) 중에 용해 시키고, 20% NH4Cl (2 x 5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오일로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에서 25% EtOAc/헥산 구배)로 정제하여 화합물 252D 1.20 g (수율: 41%)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52E. (3R,4R)-1-tert-부틸 3-에틸 4-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01
MeOH (31 mL) 중 252D (1.18 g, 3.13 mmol)의 용액을 포름산암모늄 (1.58 g, 25.1 mmol) 및 10% Pd/C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MeOH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52E 0.82 g (수율: 96%)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52F. (3R,4R)-1-tert-부틸 3-에틸 4-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02
디클로로메탄 (29 mL) 중 252E (0.80 g, 2.94 mmol)의 용액을 0 ℃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41 g, 3.23 mmol)으로 처리하였다. 디클로로메탄 (29 mL) 중 알릴클로로포르메이트 (0.46 g, 3.83 mmol)의 용액을 30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2 x 5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20에서 25% EtOAc/헥산)로 정제하여 화합물 252F 0.88 g (수율: 84%)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52G. (3R,4R)-메틸 4-(알릴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03
디클로로메탄 (12 mL) 중 252F (0.87 g, 2.44 mmol)의 용액을 0 ℃에서 TFA (2.4 m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시켰다. 교반을 상기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지속하고, 농축하고, MeOH 및 톨루엔과 함께 공비 증발시켰다. 생성된 오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0에서 2% MeOH/CH2Cl2)로 정제하여 화합물 252G 0.47 g (수율: 79%)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52H. (3R,4R)-메틸 4-(알릴옥시카르보닐)-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04
MeCN (15 mL) 중 252G (0.21 g, 0.87 mmol), 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l, 2,4]트리아진-5-일메틸 트리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0.40 g, 0.87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1 g, 0.87 mmol)의 현탁액을 60 ℃로 1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2에서 5% MeOH/CH2Cl2)로 정제하여 화합물 252H 0.33 g (수율:77%)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52I. (3R,4R)-4-(알릴옥시카르보닐)-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05
MeOH/THF/물 (3/3/1/mL) 중 252H (0.33 g, 0.67 mmol)의 용액을 LiOH 일수화 물 (0.25 g, 6.7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수성 NaHCO3을 사용하여 pH 7로 중화시키고, 이어서 부피 1 mL로 농축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 (YMC ODS-A 5 μm, 20 x 100 mm, 용매 A 10% MeOH-90% H2O-0.1% TFA, 용매 B 90% MeOH-10% H2O-0.1% TFA, 구배 0-100% B, 12분)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물을 합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대부분의 MeOH를 제거하고, 포화 수성 NaHCO3을 사용하여 pH 7로 중화시키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여 화합물 252I 0.30 g (수율: 94%)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52J. 알릴 (3R,4R)-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3-(메틸술포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06
MeCN (6.2 mL) 중 252I (0.30 g, 0.63 mmol)의 용액을 디메틸아미노피페리딘 (77 mg, 0.63 mmol), DECI (0.18 g, 0.94 mmol)에 이어 메탄술폰아미드 (0.18 g, 1.88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로 켄칭시키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 (YMC ODS-A 5 μm, 20 x 100 mm, 용매 A 10% MeOH-90% H2O-0.1% TFA, 용매 B 90% MeOH-10% H2O-0.1% TFA, 구배 0-100% B, 12분)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물을 합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포화 수성 NaHCO3을 사용하여 pH 10으로 중화시키고, EtOAc (2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여 화합물 252J 0.22 g (수율: 62%)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THF (4 mL, 아르곤으로 탈기시킴) 중 252J (100 mg, 0.18 mmol)의 용액을 Pd(PPh3)4 (21 mg, 0.018 mmol) 및 Et2NH (33 mg, 0.45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 (YMC ODS-A 5μm, 20 x 100 mm, 용매 A 10% MeOH-90% H2O-0.1% TFA, 용매 B 90% MeOH-10% H2O-0.1% TFA, 구배 0-100% B, 12분)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물을 농축하여, 포화 수성 NaHCO3을 사용하여 pH 10으로 중화시키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여 화합물 252 36 mg (수율: 42%)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62분이었다 (페노메넥스 Su C18 4.6 x 50 mm 컬럼 0.2% H3PO4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니터링), [M+H]+ = 474.
실시예 253
(3R,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 일}메틸)-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06046235314-PCT00207
253A. (3R,4R)-메틸 4-(알릴옥시카르보닐)-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08
MeCN (15 mL) 중 252G (0.24 g, 1.0 mmol), 4-(3-에틸닐페닐아미노)-피롤로[1,2,4]트리아진-5-일메틸 트리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0.43 g, 1.0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0.13 g, 1.0 mmol)의 현탁액을 60℃로 1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2에서 5% MeOH/CH2Cl2)로 정제하여 화합물 253A 0.24 g (수율: 50%)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53B. (3R,4R)-4-(알릴옥시카르보닐)-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09
MeOH/THF/물 (3/3/1/ mL) 중 253A (0.24 g, 0.50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LiOH 일수화물 (0.21 g, 5.0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수성 NaHCO3을 사용하여 pH 7로 중화시키고, 이어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 (YMC ODS-A 5μm, 20 x 100 mm, 용매 A 10% MeOH-90% H2O-0.1% TFA, 용매 B 90% MeOH-10% H2O-0.1% TFA, 구배 0-100% B, 12분)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물을 농축하고, 포화 수성 NaHCO3을 사용하여 pH 7로 중화시키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53B 0.22 g (수율: 93%)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53C. 알릴 (3R,4R)-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3-(메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10
MeCN (4.6 mL) 중 253B (0.22 g, 0.46 mmol)의 용액을 THF (0.70 mL, 1.38 mmol) 중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9 mg, 0.46 mmol),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이후에는 "Bop 시약"으로 칭함) (0.36 g, 0.69 mmol) 및 2 N 메틸아민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로 켄칭시키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 (YMC ODS-A 5μm, 20 x 100 mm, 용매 A 10% MeOH-90% H2O-0.1% TFA, 용매 B 90% MeOH-10% H2O-0.1% TFA, 구배 0-100% B, 12분)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물을 농축하고, 포화 수성 NaHCO3을 사용하여 pH 10으로 중화시키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53C 0.21 g (수율: 92%)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THF (5 mL, 아르곤으로 탈기시킴) 중 253C (100 mg, 0.20 mmol)의 용액을 Pd(PPh3)4 (23 mg, 0.020 mmol) 및 Et2NH (37 mg, 0.51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 (YMC ODS-A 5μm, 20 x 100 mm, 용매 A 10% MeOH-90% H2O- 0.1% TFA, 용매 B 90% MeOH-10% H2O-0.1% TFA, 구배 0-100% B, 12분)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물을 농축하고, 포화 수성 NaHCO3을 사용하여 pH 10으로 중화시키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53 36 mg (수율: 42%)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96분이었다 (페노메넥스 Su C18 4.6 x 50 mm 컬럼 0.2% H3PO4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니터링), [M+H]+ = 404.
실시예 254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06046235314-PCT00211
254A. (3R,4R)-1-tert-부틸 3-에틸 4-(벤질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12
CH2Cl2 (5 mL) 중 252E (180 mg, 0.66 mmol)의 용액을 벤질옥시클로로포르메이트 (0.1 mL, 0.73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12 mL, 0.86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CH2Cl2 (10 mL)로 희석하고, 물 (2 x 10 mL), 0.1 N HCl (2 x 10 mL), 포화 수성 NaHCO3 (2 x 10 mL) 및 염수 (1 x 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농축하여 화합물 254A 243 mg (수율: 91%)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54B. (3R,4R)-에틸 4-(벤질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13
CH2Cl2 (3 mL) 중 254A (243 mg, 0.60 mmol)의 용액을 0 ℃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3 mL)으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조 아민을 EtOAc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 MeOH/CH2Cl2)로 정제하여 화합물 254B 95 mg (수율: 52%)을 수득하였다.
254C. (3R,4R)-메틸 4-(벤질옥시카르보닐)-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14
아세토니트릴 (75 mL) 중 N,N-디에틸-N-((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에탄아미늄 브로마이드 (1.7 g, 3.62 mmol) 및 254B (1.06 g, 3.6 mmol)의 현탁액을 DIEA (0.63 mL, 3.6 mmol)로 처리하고, 55 ℃로 12시간 동안 가온시켰다. 반응물을 농축하고, EtOAc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2 x 100 mL)로 세척하였다. 조 물질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농축하여 화합물 254C 1.7 g (수율: 89%)을 수득하였다.
254D. (3R,4R)-4-(벤질옥시카르보닐)-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15
화합물 254D (1.67 g, 수율: 100%)를 254C (1.7 g, 3.13 mmol)로부터 화합물 252I에 사용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54E. 벤질(3R,4R)-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l[1,2,4]트리아진-5-일)메틸)-3-(메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16
화합물 254E (790 mg, 수율: 54%)를 254D (1.44 g, 2.71 mmol)로부터 화합물 253C에 사용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MeOH (50 mL) 중 254E (1.66 g, 3.13 mmol)의 용액을 아르곤으로 30분 동안 퍼징하였다. 5% Pd/C (300 mg)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시험관내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54 1.21 g (수율: 94%)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57분이었다 (YMC S5 ODS 4.6 x 50 mm, 0.2% H3PO4를 함유 한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니터링), [M+H]+ = 410.
실시예 255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17
화합물 255 (33 mg, 수율: 89%)를 254D (50 mg, 0.094 mmol)로부터 254에 사용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54분이었다 (YMC S5 ODS 4.6 x 50 mm, 0.2% H3PO4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니터링).[M+H]+ = 397.
실시예 256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06046235314-PCT00218
256A. 벤질(3R,4R)-3-((3,4-디메톡시벤즈일)카르바모일)-1-((4-(3-메톡시페닐아미 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19
DMF (5 mL) 중 254D (150 mg, 0.23 mmol)의 용액을 3,4-디메톡시벤질아민 (77 mg, 0.46 mmol), DIEA (80 ㎕, 0.46 mmol) 및 Bop 시약 (132 mg, 0.25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EtOAc (25 mL)에 부었다.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HCO3 (3 x 2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3% MeOH/CH2Cl2)로 정제하여 화합물 256A 174 mg (수율: 95%)을 수득하였다.
TFA (3 mL) 중 256A (50 mg, 0.06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5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56 7 mg (수율: 30%)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62분이었다 (YMC S5 ODS 4.6 x 50 mm, 0.2% H3PO4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니터링), [M+H]+= 396.
실시예 257
(3S,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N-(메틸술포닐)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06046235314-PCT00220
257A. (3S,4R)-1-tert-부틸 3-메틸 4-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21
화합물 257A (447 mg, 63%)을 252E에 사용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57B. (3S,4R)-1-tert-부틸 3-메틸 4-(벤질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22
CH2Cl2 (20 mL) 중 257A (447 mg, 1.7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3 mL, 2.2 mmol)에 이어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 (0.27 mL, 1.9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물 (25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CH2Cl2 (25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포화 수성 NaHCO3, 0.1N HCl,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오일로 농축하였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3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화합물 257B 411 mg (수율: 75%)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57C. (3S,4R)-메틸 4-(벤질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23
CH2Cl2 (5 mL) 중 257B (411 mg, 1.04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TFA (0.5 m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EtOAc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으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257C 365 mg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57D. (3S,4R)-메틸 4-(벤질옥시카르보닐)-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 [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24
아세토니트릴 (10 mL) 중 257C (292 mg, 0.62 mmol) 및 N,N-디에틸-N-((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에탄아미늄 브로마이드 (292 mg, 0.62 mmol)의 현탁액을 실온에서 DIEA (0.2 mL, 1.24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5 ℃로 3.0시간 동안 가온시키고, 이어서 진공하에서 농축 건조시켰다. 조 잔사를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3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257D 269 mg (수율: 80%)을 수득하였다.
257E. (3S,4R)-4-(벤질옥시카르보닐)-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25
THF/MeOH (1:1,4 ml) 중 257D (200 mg, 0.37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물 (1 mL) 중 LiOH 일수화물 (30 mg, 0.74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 mL로 농축하였다. 잔사를 물 (10 mL)로 희석하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57E 200 mg (수율: 100%)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57F. (3S,4R)-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1,2,4]트리아진-5-일)메틸)-3-(메틸술포닐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 산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26
DMF (2 mL) 중 257E (30 mg, 0.06 mmol)의 용액을 메탄술폰아미드 (11 mg, 0.11 mmol), DMAP (7 mg, 0.06 mmol) 및 EDAC (13 mg, 0.07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EtOAc (10 mL)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3 x 10 mL), 포화 수성 NaHCO3 (2 x 10 mL),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257E 35 mg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MeOH (3 mL) 중 257F (35 mg)의 용액을 10% Pd/C (15 mg)로 처리하고, 수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나일론 필터를 통해 슬러리를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였다. 조 물질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57 12 mg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77분이었다 (YMC S5 ODS 4.6 x 50 mm, 0.2% H3PO4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 니터링)[M+H]+ = 474.
실시예 258
(3R,4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N-(메틸술포닐)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06046235314-PCT00227
258A. (3R,4S)-1-tert-부틸 3-메틸 4-((S)-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28
화합물 258A를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252C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258B. (3R,4S)-1-tert-부틸 3-메틸 4-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29
화합물 258B를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257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합물 258을 258B로부터 257에 대해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258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77분이었다 (YMC S5 ODS 4.6 x 50 mm, 0.2% H3PO4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니터링) [M+H]+ = 474.
실시예 259 (3S,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06046235314-PCT00230
259A. (3S,4R)-1-tert-부틸 3-에틸 4-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31
EtOH (100 mL) 중 252C (2.6 g, 6.9 mmol)의 용액을 포름산암모늄 (3.5 g, 55.3 mmol) 및 10% Pd/C (390 mg)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 3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59A 1.8 g (수율: 96%)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59B. ((3S,4R)-1-tert-부틸 3-에틸 4-(알릴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32
CH2Cl2 (20 mL) 중 259A (900 mg, 3.3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64 ml, 4.62 mmol) 및 알릴클로로포르메이트 (0.35 mL, 3.96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4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0.1 N HCl (2 x 10 mL), 1N NaOH (2 x 10 mL) 및 염수 (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59B 680 mg (수율: 58%)을 오일로서 수득하였 다.
259C. (3S,4R)-에틸 4-(알릴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33
CH2Cl2 (10 mL) 중 259B (680 mg, 1.9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TFA (1 m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EtOAc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2 x 2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59C 170 mg을 수득하였다.
259D. (3S,4R)-메틸 4-(알릴옥시카르보닐)-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34
아세토니트릴 (2 mL) 중 259C (50 mg, 0.2 mmol) 및 N,N-디에틸-N-((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에탄아미늄 브로마이드 (82 mg, 0.18 mmol)의 현탁액을 DIEA (31 ㎕, 0.18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65 ℃로 6.0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하였다. 조 물질을 방사 크로마토그래피 (Si02, 2 mm 플레이트, 100% CH2Cl2에서 1% MeOH/CH2Cl2 구배)로 정제하여 화합물 259D 63 mg (수율: 70%)을 수득하였다.
259E. (3S,4R)-4-(알릴옥시카르보닐)-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35
THF/MeOH (1:1, 4 mL) 중 259D (63 mg, 0.13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LiOH 일수화물 (17 mg, 0.39 mmol)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0.5 mL 부피로 농축하였다. 잔사를 물 (5 mL)로 희석하고, 포화 NH4Cl 수용액을 사용하여 pH 6이 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EtOAc (2 x 10 mL)로 추출하고,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59E 56 mg (수율: 92%)을 수득하였다.
259F. 알릴 (3S,4R)-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3-(메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36
DMF (3 mL) 중 259E (56 mg, 0.12 mmol)의 용액을 메틸아민 (THF 중 2M, 0.12 mL, 0.24 mmol), DIEA (0.02 mL, 0.12 mmol) 및 Bop 시약 (68 mg, 0.13 mmol)으로 순차적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 (25 mL)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3 x 15 mL),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조 259E (71 mg)를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THF (3 mL) 중 259F (71 mg, 0.15 mmol)의 용액을 아르곤으로 탈기시키고, 디에틸아민 (28 mg, 0.38 mmol) 및 Pd(PPh3)4 (17 mg, 0.02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아르곤 분위기하에 2.0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59 14 mg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10분이었다 (YMC S5 ODS 4.6 x 50 mm, 0.2% H3PO4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니터링)[M+H]+ = 404.
실시예 260
(3S,4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06046235314-PCT00237
260A. (3S,4S)-1-tert-부틸 3-메틸 4-((S)-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38
메탄올 (124 mL) 중 258A (4.50 g, 12.4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메탄올 (8.04 mL) 중 25% NaOMe로 처리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50 ℃로 3.0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오일성 잔사를 디클로로메탄 (200 mL) 중에 용해시키고, 20% NH4Cl (2 x 7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에서 25% EtOAc/헥산)로 정제하여 화합물 260A 1.50 g (수율: 30%)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60B. (3S,4S)-1-tert-부틸 3-메틸 4-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39
MeOH (31 mL) 중 260A (1.10 g, 3.03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포름산암모늄 (1.51 g, 24.3 mmol) 및 10% Pd/C (110 mg)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고체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MeOH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0B 0.75 g (수율: 96%)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60C. (3S,4S)-1-tert-부틸 3-메틸 4-(벤질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40
디클로로메탄 (30 mL) 중 260B (0.75 g, 2.90 mmol)의 용액을 0 ℃에서 트리에틸아민 (0.35 g, 3.48 mmol) 및 N-(벤질옥시카르보니옥시) 숙신이미드 (0.72 g, 2.90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16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10% 시트르산 (2 x 50 mL), 이어서 포화 NaHCO3 (2 x 5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0C 1.01 g (수율: 89%)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60D. (3S,4R)-메틸 4-(벤질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41
디클로로메탄 (50 mL) 중 260C (1.01 g, 2.58 mmol)의 용액을 0 ℃에서 TFA (5 m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시키고, 추가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이어서 MeOH 및 톨루엔과 함께 공비 증발시켰다. 잔사를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NaHCO3 (2 x 5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0D 0.61 g (수율: 81%)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60E. (3S,4R)-메틸 4-(벤질옥시카르보닐)-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42
MeCN (6 mL) 중 260D (0.18 g, 0.61 mmol), 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4]트리아진-5-일메틸 트리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0.29 g, 0.61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79 mg, 0.61 mmol)의 반응 혼합물을 55 ℃로 12시간 동안 가열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물 (2 x 50 mL)로 세척하였다. 디클로로메탄부를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0E 0.33 g (수율: 99%)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H)+ = 545
260F. (3S,4S)-4-(벤질옥시카르보닐)-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43
MeOH/THF/물 (1/1/0.5 mL) 중 260E (95 mg, 0.18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LiOH 일수화물 (75 mg, 1.8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 하고, 포화 NH4Cl (5 mL)로 켄칭시키고, EtOAc (3 x 15 mL)로 추출하였다. EtOAc 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0F 80 mg (수율: 89%)을 필름으로서 수득하였다.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질량 (M+H)+= 531
260G. 벤질 (3S,4S)-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3-(메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44
DMF (0.8 mL) 중 260F (40 mg, 0.075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THF (0.12 mL, 0.23 mmol) 중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0 mg, 0.075 mmol), Bop 시약 (59 mg, 0.11 mmol), 이어서 2N 메틸아민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로 켄칭시키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MeOH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 (YMC ODS-A 5μm, 20 x 100 mm, 용매 A 10% MeOH-90% H2O-0.1% TFA, 용매 B 90% MeOH-10% H2O-0.1% TFA, 구배 0-100% B, 12분)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물을 농축하여 대부분의 MeOH를 제거하고, 포화 NaHCO3을 사용하여 pH 10으로 중화시키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Na2SO4로 건조 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260G 38 mg (수율: 93%)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질량 (M+H)+ = 544.
MeOH (2 mL) 중 260G (38 mg, 0.070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5% Pd/C (10 mg)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하에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0 25 mg (수율: 87%)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71분이었다 (페노메넥스 Su C18 4.6 x 50 mm 컬럼 0.2% H3PO4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분 구배, 220 nm에서 모니터링). 질량 [M+H]+ = 410.
실시예 261
((3R,4R)-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4-((R)-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3-일)메탄올
Figure 112006046235314-PCT00245
261A. (3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R)-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3-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46
EtOH (10 ml) 중 252D (460 mg, 1.22 mmol) 및 NaOEt (1.25 mL, EtOH 중 21 중량%)의 혼합물을 50 ℃에서 3시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약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물을 첨가하였다. 1N HCl을 사용하여 혼합물을 pH 4 내지 5로 산성화시키고, 고체를 여과하여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252A 300 mg (수율: 71%)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065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5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질량 (M+1)+ = 349.
261B. (3R,4R)-1-tert-부틸 3-메틸 4-((R)-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3-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47
1:1 CH2Cl2/MeOH 6 mL 중 261A (280 mg, 0.80 mmol)의 용액에 TMSCHN2 (0.82 ml, 1.64 mmol, 헥산 중 2 N)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 안 교반하고, 이어서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 80: 20)로 정제하여 화합물 261B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187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5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질량 (M+1)+= 363.
261C. ((3R,4R)-4-((R)-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3-일)메탄올의 제조
261B (270 mg, 0.75 mmol)의 용액에 LiBH4 (15.5 mg, 0.71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HPLC는 일부 출발물질이 남아 있음을 나타냈다. 더 많은 LiBH4 (15.5 mg, 0.7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의 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빙수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THF를 제거하였다. 수성 잔사를 EtOAc (x 3)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CH2Cl2 2 mL 중에 용해시키고, TFA 2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고 진공하에 밤새 건조시켜 261C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0.590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 드ROD 컬럼 4.5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235. 상기 물질을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반응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261D. ((3R,4R)-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4-((R)-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3-일)메탄올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49
화합물 261D를 261C로부터 화합물 146E에 사용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761분이었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5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487.
MeOH (15 ml) 중 261D (160 mg, 0.33 mmol), 10% Pd/C (39 mg) 및 포름산암모늄 (166 mg, 2.63 mmol)의 혼합물을 1.0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물 중에 용해시키고, 수성 NaHCO3으로 염기성화시키고, EtOAc (3x)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1 64 mg (수율: 51%)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137분이었 다. (크로몰리트 스피드ROD 컬럼 4.5 x 50 mm,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83.
실시예 262
rac-(3R,4R)-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4-디아민
Figure 112006046235314-PCT00250
262A. (3R,4R)-tert-부틸 4-(벤질옥시카르보닐)-3-히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51
CH2Cl2 10 mL 중 화합물 249A (1.40 g, 6.47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Et3N (1.08 mL, 7.76 mmoL)에 이어 Cbz-OSu (1.69 g, 6.8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EtOAc 3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5% 시트르산 용액 (2 x 40 mL), 5% K2CO3 용액 (2 x 40 mL) 및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잔사를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2A 2.25 g (수율: 99%)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3.02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351.
262B/C. (3R,4R)-tert-부틸 3-아지도-4-(벤질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52
CH2Cl2 30 mL 중 화합물 262A (2.23 g, 6.36 mmoL) 및 Et3N (1.20 mL, 0.83 mmoL)의 교반된 용액에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0.49 mL, 6.36 mmoL)를 질소하에 0 ℃에서 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에서 3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CH2Cl2 40 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물 (2 x 25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메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DMSO 20 mL 중 상기 메실레이트에 NaN3 (1.65 g, 25.5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 ℃에서 17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EtOAc 200 mL로 희석하고, 물 (4 x 200 mL), 포화 NaHCO3 용액 (40 mL),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한 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 15-50% EtOAc)하여 262B 696 mg (29%) (부분입체이성질체 A, Rf = 0.65) 및 262C (부분입체이성질체 B, Rf = 0.70)을 수득하였다. 262B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3.51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l = 376. 262C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3.51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76.
262D. 벤질 (3R,4R)-3-아지도-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53
화합물 262D를 화합물 262B로부터 화합물 247A에 대해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96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528.
화합물 262를 화합물 262D로부터 화합물 249A에 대해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27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368.
실시예 263
rac-N-[(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우레아
Figure 112006046235314-PCT00254
263A. 벤질(3R,4R)-3-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 (키랄, 부분입체이성질체 A)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55
화합물 263A를 화합물 262C로부터 화합물 146E에 이용된 바와 같이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71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502.
263B. 벤질(3R,4R)-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3-우레이도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56
CH2Cl2 2 mL 중 화합물 263A (77.0 mg, 0.15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0 ℃에서 트리클로로아세틸이소시아네이트 (28.9 mg, 0.1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메탄올 1 m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오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메탄올 3 mL 중에 용해시키고, 20% K2CO3 용액 2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물 10 mL로 희석하였다. 이를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메탄올을 제거하고, 이어서 EtOAc (3 x 1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추출물을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3B 70 mg (수율: 84%)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51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545.
화합물 263을 화합물 263B로부터 화합물 249A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32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411.
실시예 264
rac-N-[(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메탄술폰아미드
Figure 112006046235314-PCT00257
264A. 벤질 7-(메틸술포닐)-3,7-디아자-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레이트 (라세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58
CH2Cl2 5 mL 중 벤질 3,7-디아자-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레이트 (410 mg, 1.77 mmoL, 문헌 [Tetrahedron Letters, 43 (23), 4289-4293, 20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됨)의 교반된 혼합물에 트리에틸아민 (0.74 mL, 5.31 mmoL)에 이어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0.18 mL, 2.3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EtOAc 120 mL로 희석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 시트르산 용액 (3 x 30 mL), 포화 NaHCO3 용액 (30 mL) 및 염수 (3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4A을 정량 수율로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56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 Na = 333.
264B. (3R,4R)-rel-벤질 4-아지도-3-(메틸술폰아미도)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59
DMSO 4 ml 중 화합물 264A (549 mg, 1.77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NaN3 (458 mg, 7.08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EtOAc 80 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물 (3 x 100 mL), 포화 NaHCO3 용액 (40 mL), 및 염수 (40 mL)로 세척하였다. EtOAc 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4B 530 mg (수율: 85%)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90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l = 354.
264C. (3R,4R)-rel-벤질 4-아미노-3-(메틸술폰아미도)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60
THF 6 mL 및 물 1 mL 중 화합물 264B (530 mg, 1.50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Ph3P (900 mg, 3.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 ℃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2N HCl 용액 15 mL로 희석하고, 이어서 CHCl3 (3 x 20 mL)로 세척하였다. 50% NaOH 용액을 첨가하여 수성 물질을 pH 12로 염기성화시키고, NaCl로 포화시키고, 이어서 EtOAc (3 x 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추출물을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4C 490 m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67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328.
264D. tert-부틸 (3R,4R)-rel-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5-일)메틸)-3-(메틸술폰아미도)피페리딘-4-일카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61
CH2Cl2 6 mL 중 화합물 264C (490 mg, 1.50 mmoL)의 교반된 용액에 Et3N (0.63 mL, 4.50 mmoL)에 이어 디-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390 mg, 1.8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 60 mL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용액 (2 x 15 mL) 및 염수 (15 mL)로 세척하였다. 유 기 상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중간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 중간체를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로 정제하여 순수한 물질 131 mg을 수득하였다. 메탄올 6 mL 중 상기 중간체에 20% Pd(OH)2/C (30 mg)를 질소하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로 수회 퍼징하고, 수소 분위기하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 μm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을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촉매를 제거하고, MeOH (4 x 10 mL)로 세정하였다. 합한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조 아민 중간체 89 mg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264D를 상기 중간체로부터 146E에 대해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72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546.
CH2Cl2 3 mL 중 화합물 264D (120 mg, 0.22 mmoL)의 교반된 용액에 TFA (2.5 mL, 32.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64 71 mg (수율: 73%)을 수득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54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446.
실시예 265
N-[(3S,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메탄술폰아미드
Figure 112006046235314-PCT00262
화합물 265A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63
화합물 265A를 화합물 262C (키랄, 위치이성질체 B)로부터 화합물 262D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73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502.
화합물 265B의 제조
Figure 112006046235314-PCT00264
DCM 4 ml 중 화합물 265A (60.0 mg, 0.12 mmoL) 및 Et3N (0.05 mL, 0.36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5.0 mg, 0.13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EtOAc 100 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NaHCO3 용액 (20 mL) 및 염수 (20 mL)로 세척하였다. EtOAc 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65B 70 mg 을 정량 수율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265B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2.61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580.
화합물 265를 화합물 265B (키랄,위치이성질체 B)로부터 화합물 249A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264의 구조의 1H-NMR과의 비교를 기초로 하여 화합물 265의 구조를 정하였다. 상기 화합물의 분석용 HPLC 체류 시간은 1.50분이었다. (페노메녹스 S5 C18- HC 4.6 x 50 mm 컬럼, 4분에 걸쳐 0.1% TFA를 함유한 10-90% 수성 메탄올, 4 ml/분, 220 nm에서 모니터링) 및 LC/MS M++1 = 446.
실시예 266
N-[(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메탄술폰아미드 (거울상이성질체 A)
Figure 112006046235314-PCT00265
화합물 266을 264로부터 키랄 정제용 HPLC 분리에 의해 99% ee 초과인 제1 용출 피크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127A의 HPLC 체류 시간은 6.3분이었다 (키랄 팩, AD 250 x 4.6 mm 컬럼, 10 마이크론, 220 nm에서 모니터링, 0.8 mL/분, 용출액 EtOH). LC/MS M++1 = 446.
실시예 267
N-[(3S,4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메탄술폰아미드 (거울상이성질체 B)
Figure 112006046235314-PCT00266
화합물 267을 264로부터 키랄 정제용 HPLC 분리에 의해 99% ee 초과인 제2 용출 피크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267의 HPLC 체류 시간은 7.9분이었다 (키랄 팩, AD 250 x 4.6 mm 컬럼, 10 마이크론, 220 nm에서 모니터링, 0.8 mL/분, 용출액 EtOH). LC/MS M++l = 446.

Claims (21)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질체.
    <화학식 I>
    Figure 112006046235314-PCT00267
    식 중에서,
    R1은 시클로알킬 또는 치환된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헤테로시클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이고;
    R2는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이고;
    R3은 수소,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이고;
    X는 직접 결합, -NR3- 또는 -O-이고;
    Y는 직접 결합,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 알케닐 또는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또는 치환된 알키닐이되,
    단, R2가 인다졸릴 또는 치환된 인다졸릴은 아니다.
  2.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질체.
    <화학식 II>
    Figure 112006046235314-PCT00268
    식 중에서,
    X는 직접 결합, -NR3- 또는 -O-이고;
    Z는
    Figure 112006046235314-PCT00269
    또는 -NR7-이고;
    R2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고;
    R3, R4 및 R5는 수소, 알킬 및 치환된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6, R6a 및 R6b는 하나 이상의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아릴옥시, -CN, -NH2, -OH, -COOH, -CH2OR5, -CONHSO2R5, -CONR4R5, -NH알킬, -NHCO알킬, -NR4SO2알킬, -NR4SO2NR4R5, -OCONR4R5, -CF3 및 -OCF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여기서 생성된 화합물이 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을 조건으로 상기 치환체 중 2개는 동일한 고리 탄소에 부착될 수 있고;
    R7은 수소, 알킬 또는 -NH2이고;
    n은 O, 1, 2 또는 3이다.
  3.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질체.
    <화학식 III>
    Figure 112006046235314-PCT00270
    식 중에서,
    X는 직접 결합, -NR3- 또는 -O-이고;
    R2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이고;
    R3, R4 및 R5는 수소, 알킬 및 치환된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6, R6a 및 R6b는 하나 이상의 수소, 할로겐, 알킬, 알콕시, 아릴옥시, -CN, -NH2, -OH, -COOH, -CH2OR5, -CONHSO2R5, -CONR4R5, -NH알킬, -NHCO알킬, -NR4SO2알킬, -NR4SO2NR4R5, -OCONR4R5, -CF3 및 -OCF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여기서 생성된 화합물이 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을 조건으로 상기 치환체 중 2개는 동일한 고리 탄소에 부착될 수 있고;
    n은 0, 1, 2 또는 3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R2가 페닐, 치환된 페닐, 피리디닐, 치환된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치환된 피리미디닐, 옥사졸, 치환된 옥사졸, 티아졸, 치환된 티아졸, 피라지닐 또는 치환된 피라지닐이고;
    R6, R6a 및 R6b가 하나 이상의 수소, -NH2, OH, 알콕시, -CONR4R5, -NR4SO2알킬, -NR4SO2NR4R5, -OCONR4R5, -NH알킬 및 -NHCO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X가 -NH-이고;
    n이 1 또는 2인 화합물.
  5.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2-나프탈레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2,1-f][1,2,4]트 리아진-4-아민,
    5-[(4-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N-(3-에티닐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5-[(4-아미노피페리딘-1-일)메틸]-N-(4-플루오로-3-메톡시페닐)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3R,4R)-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S)-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메톡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에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2-나프틸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 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브로모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플루오로-5-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R)-4-아미노-1-({4-[(3-클로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R)-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S,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S)-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S)-4-아미노-1-({4-[(3-클로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 진-5-일}메틸)피페리딘-3-올,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3R,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3R,4R)-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3S,4R)-4-아미노-1-({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피롤로[2,1-fl[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3S,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 카르바메이트,
    (3S,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3-메틸피페리딘-3-올,
    (3R/S,5R/S)-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5-디올,
    (3S,5S)-4-아미노-1-({4-[(4-플루오로-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5-디올,
    (3R,5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5-디올,
    5-{[(3R,4R)-4-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 [2,1-f][1,2,4]트리아진-4-아민,
    5-(((4aR,8aR)-rel-헥사히드로-1H-피리도[3,4-b][1,4]옥사진-6(7H)-일)메틸)-N-(3-메톡시페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N-(메틸술포닐)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R,4R)-4-아미노-1-({4-[(3-에티닐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R,4R)-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4-((R)-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3-일)메탄올,
    N-[(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우레아,
    N-[(3R,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메탄술폰아미드, 및
    N-[(3S,4R)-4-아미노-1-({4-[(3-메톡시페닐)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5-일}메틸)피페리딘-3-일]메탄술폰아미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6. 1종 이상의 제1항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7. 1종 이상의 제2항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8. 1종 이상의 제3항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9. 1종 이상의 제5항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0. 1종 이상의 제1항에 따른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1종 이상의 다른 항암제 또는 세포독성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 또는 세포독성제가 타목시펜, 토레미펜, 랄록시펜, 드롤록시펜, 요오독시펜,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보라졸, 엑세메스탄, 플루타미드, 닐루타미드, 비칼루타미드,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 고세렐린 아세테이트, 루프롤리드, 피나스테리드, 메탈로프로테인아제 억제제, 유로키나아제 플라스미노겐 활성 인자 수용체 기능의 억제제, 성장 인자 항체, 성장 인자 수용체 항체, 베바시주마브, 세툭시마브, 트라추주마브, 에를로티니브,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억제제, 메토트렉세이트, 5-플루오로우라실, 퓨린 및 아데노신 유사체, 시토신 아라비노시드, 독소루비신, 다우노마이신,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 미토마이신-C, 닥티노마이신, 미트라마이신,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질소 무스타드, 멜팔란, 클로람부실, 부술판, 시클로포스파미드, 이포스파미드, 니트로소우레아스, 티오테파, 빈크리스틴, 비노렐빈, 빈블라스틴, 빈플루닌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에포틸론 유사체, 디스코데르몰리드 유사체, 엘레우테로빈 유사체, 에토포시드, 테니포시드, 암사크린, 토포테칸, 플라보피리돌, 보르테조미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12. 증식성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 종에게 치료 유효량의 1종 이상의 제1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치료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증식성 질환이 암, 건선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증식성 질환이 암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치료가 필요한 온혈 동물 종에게 치료 유효량의 1종 이상의 다른 항암제 또는 세포독성제를 1종 이상의 제1항에 따른 화합물과 함께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 또는 세포독성제가 타목시펜, 토레미펜, 랄록시펜, 드롤록시펜, 요오도시펜,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보라졸, 엑세메스탄, 플루타미드, 닐루타미드, 비칼루타미드,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 고세렐린 아세테이트, 루프롤리드, 피나스테리드, 메탈로프로테인아제 억제제, 유로키나아제 플라스미노겐 활성 인자 수용체 기능의 억제제, 성장 인자 항체, 성장 인자 수용체 항체, 베바시주마브, 세툭시마브, 트라추주마브, 에를로티니브,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억제제, 메토트렉세이트, 5-플루오로우라실, 퓨린 및 아데노신 유사체, 시토신 아라비노시드, 독소루비신, 다우노마이신,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 미토마이신-C, 닥티노마이신, 미트라마이신,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질소 무스타드, 멜팔란, 클로람부실, 부술판, 시클로포스파미드, 이포스파미드, 니트로소우레아스, 티오테파, 빈크리스틴, 비노렐빈, 빈블라스틴, 빈플루닌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에포틸론 유사체, 디스코데르몰리드 유사체, 엘레우테로빈 유사체, 에토포시드, 테니포시드, 암사크린, 토포테칸, 플라보피리돌, 보르테조미브를 비롯한 프로테아좀 억제제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7.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활성의 조정이 필요한 포유동물 종에게 치료 유효량의 1종 이상의 제1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활성의 조정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가 HER1, HER2 및 HE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9. 성장 인자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는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 종에게 치료 유효량의 1종 이상의 제1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성장 인자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는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 방법.
  2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나아제의 아데닌 포켓, 리보스 포켓, 포스페이트 결합 포켓, 특이성 영역 1 및 특이성 영역 2에 결합하는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선별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리보스 및(또는) 포스페이트 결합 포켓을 점유하는 기는 포스페이트 결합에 관련된 1종 이상의 완전히 보존된 잔기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키나아제 ATP-경쟁 억제제의 식별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기가 잔기 Asn818 및(또는) Asp831 (HER1 번호매김) 또는 리보스/포스페이트 결합 포켓의 상이한 키나아제의 상응하는 잔기와 상호작용하는 것인 방법.
KR1020067012936A 2003-12-29 2004-12-23 키나아제 억제제로서 피롤로트리아진 화합물 KR100839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3333503P 2003-12-29 2003-12-29
US60/533,335 2003-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828A true KR20060107828A (ko) 2006-10-16
KR100839716B1 KR100839716B1 (ko) 2008-06-19

Family

ID=3474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936A KR100839716B1 (ko) 2003-12-29 2004-12-23 키나아제 억제제로서 피롤로트리아진 화합물

Country Status (32)

Country Link
US (4) US7141571B2 (ko)
EP (2) EP2058314A1 (ko)
JP (1) JP4740878B2 (ko)
KR (1) KR100839716B1 (ko)
CN (1) CN1922182B (ko)
AR (1) AR047076A1 (ko)
AT (1) ATE443706T1 (ko)
AU (1) AU2004312413C1 (ko)
BR (1) BRPI0418231A (ko)
CA (1) CA2552107C (ko)
CL (1) CL2009001492A1 (ko)
CY (1) CY1109662T1 (ko)
DE (1) DE602004023324D1 (ko)
DK (1) DK1699797T3 (ko)
ES (1) ES2331842T3 (ko)
GE (1) GEP20105081B (ko)
HK (1) HK1088332A1 (ko)
HR (1) HRP20090601T1 (ko)
IL (1) IL176450A0 (ko)
MX (1) MXPA06007038A (ko)
MY (1) MY145634A (ko)
NO (1) NO20062763L (ko)
NZ (2) NZ548070A (ko)
PE (1) PE20050679A1 (ko)
PL (1) PL1699797T3 (ko)
PT (1) PT1699797E (ko)
RU (1) RU2373209C2 (ko)
SI (1) SI1699797T1 (ko)
TW (1) TWI332840B (ko)
UA (1) UA89038C2 (ko)
WO (1) WO2005066176A1 (ko)
ZA (1) ZA2006051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7300B2 (en) * 2000-11-17 2005-03-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yrrolotriazin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RU2375363C2 (ru) * 2002-04-23 2009-12-10 Бристол-Маерс Сквибб Компани Пирролотриази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анилина, полезные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киназы
US20060014741A1 (en) * 2003-12-12 2006-01-19 Dimarco John D Synthetic process, and crystalline forms of a pyrrolotriazine compound
MY145634A (en) * 2003-12-29 2012-03-15 Bristol Myers Squibb Co Pyrrolotriazine compounds as kinase inhibitors
US7102002B2 (en) * 2004-06-16 2006-09-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kinase inhibitors
US7173031B2 (en) * 2004-06-28 2007-02-0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kinase inhibitors
TW200600513A (en) * 2004-06-30 2006-01-01 Bristol Myers Squibb Co A method for preparing pyrrolotriazine compounds
US7253167B2 (en) * 2004-06-30 2007-08-0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ricyclic-heteroaryl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US7504521B2 (en) * 2004-08-05 2009-03-17 Bristol-Myers Squibb Co.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yrrolotriazine compounds
TW200618803A (en) 2004-08-12 2006-06-16 Bristol Myers Squibb Co Process for preparing pyrrolotriazine anilin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TW200635927A (en) * 2004-12-22 2006-10-16 Bristol Myers Squibb Co Synthetic process
DE602006004976D1 (de) 2005-03-28 2009-03-12 Bristol Myers Squibb Co Kompetitive atp-kinasehemmer
US20060235020A1 (en) * 2005-04-18 2006-10-19 Soojin Kim Process for preparing salts of 4-[[5-[(cyclopropylamino)carbonyl]-2-methylphenyl]amino]-5-methyl-N-propylpyrrolo[2,1-f][1,2,4]triazine-6-carboxamide and novel stable forms produced therein
MY150958A (en) 2005-06-16 2014-03-31 Astrazeneca Ab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multi-drug resistant bacterial infections
ES2432361T3 (es) * 2005-12-02 2013-12-03 Bayer Healthcare, Llc Derivados de pirrolotriazina útiles para el tratamiento de cáncer por inhibición de cinasa Aurora
US8063208B2 (en) * 2006-02-16 2011-11-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rystalline forms of (3R,4R)-4-amino-1-[[4-[(3-methoxyphenyl)amino]pyrrolo[2,1-f][1,2,4]triazin-5-yl]methyl]piperidin-3-ol
US20100136137A1 (en) * 2006-11-01 2010-06-03 Bristol-Meyers Squibb Company Therapeutic combination of a panher/vegfr2 kinase inhibitor and a platinum compound
WO2008103248A1 (en) 2007-02-08 2008-08-28 Codexis, Inc. Ketoreductases and uses thereof
US20090076034A1 (en) * 2007-09-14 2009-03-19 Protia, Llc Deuterium-enriched bms-690514
PT2231662E (pt) * 2007-12-19 2011-09-12 Genentech Inc 8-anilinoimidazopiridinas e o seu uso como agentes anticancerígenos e/ou anti-inflamatórios
JP2010209058A (ja) * 2008-09-29 2010-09-24 Sumitomo Chemical Co Ltd 1−置換−トランス−4−(置換アミノ)ピペリジン−3−オールの製造方法
US8445676B2 (en) * 2008-10-08 2013-05-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kinase inhibitors
WO2010071885A1 (en) 2008-12-19 2010-06-24 Cephalon, Inc. Pyrrolotriazines as alk and jak2 inhibitors
CA2750047A1 (en) 2009-01-21 2010-07-29 Basilea Pharmaceutica Ag Novel bicyclic antibiotics
CN102482281A (zh) * 2009-07-28 2012-05-30 宇部兴产株式会社 吡咯并[2,3-d]嘧啶衍生物
ES2550667T3 (es) 2010-02-18 2015-11-11 Vtv Therapeutics Llc Derivados de fenilheteroarilo y métodos de uso de los mismos
MX2012015023A (es) 2010-06-30 2013-04-03 Fujifilm Corp Derivado novedoso de nicotinamida o sal del mismo.
CN102153558B (zh) * 2011-02-23 2012-11-21 扬州永济医药新技术有限公司 多靶点抗肿瘤抑制剂2-氨吡咯-三嗪的衍生物及其合成方法
DE102011119127A1 (de) * 2011-11-22 2013-05-23 Merck Patent Gmbh 3-Cyanaryl-1H-pyrrolo[2.3-b]pyridin-Derivate
CN103450204B (zh) 2012-05-31 2016-08-17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吡咯[2,1-f][1,2,4]并三嗪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US9724352B2 (en) 2012-05-31 2017-08-08 Shanghai Institute Of Materia Medica, Chinese Academy Of Sciences Pyrrolo[2,1-F[1,2,4]triazine compounds, prepar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thereof
TW201414737A (zh) 2012-07-13 2014-04-16 必治妥美雅史谷比公司 作爲激酶抑制劑之咪唑并三□甲腈
WO2015054358A1 (en) 2013-10-11 2015-04-1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kinase inhibitors
EP3805233B1 (en) * 2014-01-13 2024-03-06 Aurigene Oncology Limited (r) and (s) enantiomers of n-(5-(3-hydroxypyrrolidin-1-yl)-2-morpholinooxazolo[4,5-b]pyridin-6-yl)-2-(2-methylpyridin-4-yl)oxazole-carboxamide as irak4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WO2015175561A1 (en) * 2014-05-12 2015-11-19 Quest Diagnostics Investments Incorporated Quantitation of tamoxifen and metabolites thereof by mass spectrometry
AR112027A1 (es) 2017-06-15 2019-09-11 Biocryst Pharm Inc Inhibidores de alk 2 quinasa que contienen imidazol
WO2019214651A1 (zh) * 2018-05-08 2019-11-14 南京明德新药研发有限公司 作为选择性HER2抑制剂的吡咯并[2,1-f][1,2,4]三嗪类衍生物及其应用
WO2021088987A1 (zh) * 2019-11-08 2021-05-14 南京明德新药研发有限公司 作为选择性her2抑制剂的盐型、晶型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63399A1 (en) 1994-11-24 1996-05-25 Katsuhiro Kawano Triazine derivative, chymase activity inhibitor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
EA002769B1 (ru) 1996-08-28 2002-08-29 Пфайзер Инк. Замещенные 6,5-гетеробициклические производные
EP1183033B1 (en) 1999-05-21 2006-03-0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inhibitors of kinases
US6982265B1 (en) 1999-05-21 2006-01-03 Bristol 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inhibitors of kinases
JP4623483B2 (ja) * 1999-08-23 2011-02-02 塩野義製薬株式会社 sPLA2阻害作用を有するピロロトリアジン誘導体
AU2002232760B2 (en) 2000-11-17 2006-12-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ethods of treating p38 kinase-associated conditions and pyrrolotriazin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US6670357B2 (en) * 2000-11-17 2003-12-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ethods of treating p38 kinase-associated conditions and pyrrolotriazin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US6867300B2 (en) * 2000-11-17 2005-03-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yrrolotriazin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TW200300350A (en) * 2001-11-14 2003-06-01 Bristol Myers Squibb Co C-5 modified indazolylpyrrolotriazines
DE60325469D1 (de) * 2002-04-23 2009-02-05 Bristol Myers Squibb Co Als kinase inhibitoren geeignete arylketonpyrrolotriazin-verbindungen
RU2375363C2 (ru) 2002-04-23 2009-12-10 Бристол-Маерс Сквибб Компани Пирролотриази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анилина, полезные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киназы
US6894066B2 (en) 2002-05-09 2005-05-17 Bernard Charles Sherman Magnesium salt of S-omeprazole
TW200407143A (en) 2002-05-21 2004-05-16 Bristol Myers Squibb Co Pyrrolotriazinone compounds and their use to treat diseases
US6933386B2 (en) 2002-07-19 2005-08-23 Bristol Myers Squibb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certain pyrrolotriazine compounds
TWI329112B (en) 2002-07-19 2010-08-21 Bristol Myers Squibb Co Novel inhibitors of kinases
AU2003265349A1 (en) 2002-08-02 2004-02-2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kinase inhibitors
TW200420565A (en) * 2002-12-13 2004-10-16 Bristol Myers Squibb Co C-6 modified indazolylpyrrolotriazines
US7102001B2 (en) * 2003-12-12 2006-09-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pyrrolotriazine
MY145634A (en) 2003-12-29 2012-03-15 Bristol Myers Squibb Co Pyrrolotriazine compounds as kinase inhibitors
US7064203B2 (en) * 2003-12-29 2006-06-20 Bristol Myers Squibb Company Di-substituted pyrrolotriazine compounds
US7102002B2 (en) * 2004-06-16 2006-09-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kinase inhibitors
US7102003B2 (en) * 2004-07-01 2006-09-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compounds
US7151176B2 (en) 2004-10-21 2006-12-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2182A (zh) 2007-02-28
WO2005066176A1 (en) 2005-07-21
SI1699797T1 (sl) 2010-04-30
IL176450A0 (en) 2006-10-05
US20060264438A1 (en) 2006-11-23
CY1109662T1 (el) 2014-08-13
RU2373209C2 (ru) 2009-11-20
NZ548070A (en) 2009-02-28
US20050182058A1 (en) 2005-08-18
AR047076A1 (es) 2006-01-04
EP1699797B1 (en) 2009-09-23
JP4740878B2 (ja) 2011-08-03
CN1922182B (zh) 2010-08-18
ATE443706T1 (de) 2009-10-15
PT1699797E (pt) 2009-12-29
CA2552107A1 (en) 2005-07-21
UA89038C2 (en) 2009-12-25
US7141571B2 (en) 2006-11-28
MXPA06007038A (es) 2006-08-31
NZ573544A (en) 2010-04-30
MY145634A (en) 2012-03-15
HRP20090601T1 (hr) 2009-12-31
PE20050679A1 (es) 2005-09-25
US20090048244A1 (en) 2009-02-19
GEP20105081B (en) 2010-09-27
US20110039838A1 (en) 2011-02-17
NO20062763L (no) 2006-09-11
EP2058314A1 (en) 2009-05-13
US7297695B2 (en) 2007-11-20
TW200526226A (en) 2005-08-16
DK1699797T3 (da) 2010-01-04
CL2009001492A1 (es) 2010-01-15
AU2004312413C1 (en) 2011-01-27
TWI332840B (en) 2010-11-11
CA2552107C (en) 2011-10-18
BRPI0418231A (pt) 2007-04-27
US7846931B2 (en) 2010-12-07
AU2004312413A1 (en) 2005-07-21
EP1699797A1 (en) 2006-09-13
ES2331842T3 (es) 2010-01-18
JP2007518721A (ja) 2007-07-12
DE602004023324D1 (de) 2009-11-05
KR100839716B1 (ko) 2008-06-19
ZA200605160B (en) 2007-12-27
RU2006127396A (ru) 2008-02-10
PL1699797T3 (pl) 2010-02-26
HK1088332A1 (en) 2006-11-03
AU2004312413B2 (en)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716B1 (ko) 키나아제 억제제로서 피롤로트리아진 화합물
US7151176B2 (en) Pyrrolotriazine compounds
KR101073801B1 (ko) C-6 개질된 인다졸릴피롤로트리아진
US7102002B2 (en) Pyrrolotriazine kinase inhibitors
EP1773791B1 (en) Pyrrolotriazine compounds
US7064203B2 (en) Di-substituted pyrrolotriazine compounds
CN117083279A (zh) 氧氮杂䓬化合物及其在癌症治疗中的用途
ES2319462T3 (es) Inhibidores competitivos de atp cinasas.
TW202214641A (zh) Her2突變抑制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