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298A -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298A
KR20060107298A KR1020060026857A KR20060026857A KR20060107298A KR 20060107298 A KR20060107298 A KR 20060107298A KR 1020060026857 A KR1020060026857 A KR 1020060026857A KR 20060026857 A KR20060026857 A KR 20060026857A KR 20060107298 A KR20060107298 A KR 20060107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at
connection duct
air condition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5951B1 (ko
Inventor
서정훈
한규익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2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6507A/ko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6857A priority patent/KR100755951B1/ko
Priority to PCT/KR2006/001281 priority patent/WO2006109959A1/en
Priority to US11/887,865 priority patent/US20090031742A1/en
Priority to DE112006000856.0T priority patent/DE112006000856B4/de
Publication of KR2006010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1Pretreating the materials before recovery
    • B29B2017/0015Washing, ri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측 공조를 위해 프론트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를 거친 공기를 유입함과 아울러 시트측에 열전소자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시트측에 별도의 송풍기가 필요없고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음 및 비용절감은 물론 구성이 단순하여 시트측 공간상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음과 아울러 시트측의 공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냉난방 성능 향상을 위해 송풍유니트의 내기유입모드와 연동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25)를 거친 공기를 열교환기(22,23)를 거치기 전에 시트(101)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유니트(25)의 출구(28)측과 시트(101)를 연통시키는 연결덕트(110); 상기 연결덕트(110)의 입구(111)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송풍유니트(25)에서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하여 프론트 공조장치(20)와 연결덕트(110)로 배분하는 도어(120); 상기 연결덕트(110)에 설치되어 연결덕트(11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전소자 모듈(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 공조장치, 송풍유니트, 연결덕트, 도어, 열전소자 모듈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일반적인 프론트 공조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일반적인 프론트 공조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2층류 공조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일반적인 프론트 공조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시트 공조장치 101: 시트
101a: 쿠션부 101b: 등받이부
110: 연결덕트 111: 입구
112a,112b: 출구 113a,113b: 토출통로
115: 통풍로 120: 도어
130: 열전소자 모듈 131: 열전소자
132: 열전달수단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측 공조를 위해 프론트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를 거친 공기를 유입함과 아울러 시트측에 열전소자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시트측에 별도의 송풍기가 필요없고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음 및 비용절감은 물론 구성이 단순하여 시트측 공간상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음과 아울러 시트측의 공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냉난방 성능 향상을 위해 송풍유니트의 내기유입모드와 연동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송풍유니트를 통해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또한, 2층류 공조장치는, 난방시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즉, 겨울철 난방 주행시 창문에 서리는 성에를 제거할 때 저습한 차가운 외기가 효과적이므로, 일반적인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저습한 차가운 외기를 도입하여 성에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실내온도가 낮아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2층류 공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 차량 상부에는 외기를 공급하고, 하부에는 내기를 순환시키는 내,외기 2층 공기유동을 실현함으로써, 상부로 공급되는 신선하고 저습한 외기를 이용하여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한편 탑승자에게 신선한 외부 공기를 제공하고, 따뜻한 내기를 하부로 공급하여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공조장치들은 보통 앞좌석의 공조를 위한 프론트 공조장치이며, 뒷좌석의 공조를 위한 리어 공조장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공조장치 중에는,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와 연계하여 프론트 공조장치로부터 차량의 앞좌석 시트측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바이패스하여 차량의 시트를 냉/난방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등과 엉덩이를 쾌적하게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적용된 것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데, 도 1은 이러한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의 일례(일본 공개특허 제1999-263116호(1999.09.28))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는, 프론트 공조장치(20)를 구성하는 공조케이스(21)로부터 차량 시트(10)까지 연결되는 연결덕트(30)와, 상기 연결덕트(30)에 설치되는 송풍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차량 시트(30)에는 탑승객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통풍로(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풍로(12)에 연결덕트(30)가 연결됨으로써, 송풍기(40)의 구동에 의하여 공조케이스(21)의 토출구로부터 연결덕트(30)를 통해 통풍로(12)쪽으로 공기를 효과적으로 송풍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는, 프론트 공조장치(20)의 토출공기를 시트(10)측으로 공급받는 구성으로써 프론트 공조장치(2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도어들로 제어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연결덕트(30)를 거치면서 열손실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프론트 공조장치(20)의 토출공기를 공급받기 때문에 프론트 공조장치(20)의 가동시 공조케이스(21)로부터 차량 시트(10)쪽으로 항상 열교환된 공기가 송풍되는 등 시트(10)측만 독립적으로 공조하기가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아울러,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미도시)와는 별도로 시트(10)측 송풍기(40)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상의 제약은 물론 소음이 발생하고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차량용 프론트 공조장치(20)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 데, 그 일 예가 한국 등록특허 제37208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는, 시트 등받이 및 시트 쿠션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2개의 온도조절용 열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온도조절용 열펌프는, 냉방과 난방의 선택에 따라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최소한 하나의 열전기 장치를 구비 한다.
그러나, 상기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는, 차량 시트측의 독립적인 공조제어는 가능하지만, 프론트 공조장치와는 별도로 열펌프들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원가와 소음 등의 성능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측 공조를 위해 프론트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를 거친 공기를 유입함과 아울러 시트측에 열전소자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시트측에 별도의 송풍기가 필요없고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음 및 비용절감은 물론 구성이 단순하여 시트측 공간상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음과 아울러 시트측의 공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냉난방 성능 향상을 위해 송풍유니트의 내기유입모드와 연동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론트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를 거친 공기를 열교환기를 거치기 전에 시트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유니트의 출구측과 시트를 연통시키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의 입구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송풍유니트에서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하여 프론트 공조장치와 연결덕트로 배분하는 도어; 상기 연결덕트에 설치되어 연결덕트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전소자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일반적인 프론트 공조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일반적인 프론트 공조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2층류 공조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100)의 연결덕트(110)가 연결되는 프론트 공조장치(2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는 내부의 통로상에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증발기(22) 및 히터코어(23))가 설치됨과 아울러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다수의 도어(24)들이 설치된 공조케이스(21)와, 상기 공조케이스(21)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21)의 내부로 내,외기를 송풍하는 송풍유니트(25)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유니트(25)의 내부에는 내기유입모드 또는 외기유입모드에 따라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엑츄에이터(미도시) 등의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하는 인테이크 도어(26)가 설치되고, 상기 인테이크 도어(26)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21)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27)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가 도 4와 같이, 내기 및 외기를 상,하로 분리하여 유입시키는 2층류 공조장치(20a)일 경우, 상기 송풍유니트(25)는 내부에 외기가 유동하는 외기통로(25a)와 내기가 유동하는 내기통로(25b)가 상,하로 분리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 및 2층류 공조장치(20a)는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100)는, 연결덕트(110)와, 도어(120)와, 열전소자 모듈(13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덕트(110)는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25)를 거친 공기를 열교환기(22,23)를 거치기 전에 시트(101)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유니트(25)의 출구(28)측과 시트(101)를 연통시키도록 설치된다.
즉, 종래에는 프론트 공조장치(20)에서 열교환기 및 도어들을 거친후 최종 토출된 공기를 시트(10:종래)측에 설치된 별도의 송풍기(40:종래)를 이용하여 시트(10)측으로 공급하였지만, 본 발명은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25)를 거친 공기를 연결덕트(110)를 통해 곧바로 시트(101)측으로 바이패스시켜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시트(101)측에 별도의 송풍기가 필요없이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25)만으로 시트(101) 공조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덕트(110)의 입구(111)측은 상기 송풍유니트(25)의 출구(28) 일측에서 분기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송풍유니트(25)에서 공조케이스(21)측으로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연결덕트(110)로 바이패스되어 시트(101)측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덕트(110)의 높이나 입구(111)의 크기는 유입 풍량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냉난방성능을 위해 시트(101) 공조시 내기를 유입하 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차실내 공기(내기)를 유입하여 시트(101) 공조를 행하면 바깥공기(외기)를 유입할 때 보다 그 만큼 냉난방 부하가 감소하기 때문에 냉난방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시트(101) 공조시 내기를 유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첫번째, 상기 송풍유니트(25)를 내기유입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송풍유니트(25)를 통해 유입된 내기가 연결덕트(110)를 통해 시트(101)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공조시스템에서 시트(101) 공조시 상기 송풍유니트(25)의 인테이크 도어(26)를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미도시)를 제어하여 송풍유니트(25)를 내기유입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두번째,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가 내기 및 외기를 상,하로 분리하여 유입시키는 2층류 공조장치(20a)일 경우에는 상기 연결덕트(110)의 입구(111)가 송풍유니트(25)의 내,외기통로(25b)(25a) 중 내기통로(25b)와 연통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시트 공조장치(100)를 2층류 공조장치(20a)에 적용할 경우에는 송풍유니트(25)의 상부쪽으로는 외기가 유동하고 하부쪽으로는 내기가 유동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덕트(110)의 입구(111)를 상기 송풍유니트(25)의 출구(28)측 하부에 결합하여 내기통로(25b)와 연통되게 함으로써, 내기유입모드 또는 2층류 모드시에 내기를 연결덕트(110)를 통해 시트(101)측으로 공급함에 따라 냉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덕트(110)의 출구(112a)(112b)측은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 (101a) 및 등받이부(101b)와 각각 연통하도록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에는 연결덕트(110)를 통해 송풍되어온 공기를 탑승객의 엉덩이와 등쪽으로 균일하게 송풍할 수 있도록 각각 복수개로 분할된 통풍로(115)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에 각각 구비된 통풍로(115)는 상기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에 각각 분기되어 결합된 연결덕트(110)의 출구(112a)(112b)측과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덕트(110)의 출구(112a)(112b)측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트(101)의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쪽에 각각 분기되어 연결될 수도 있지만, 상기 쿠션부(101a)의 통풍로(115)와 등받이부(101b)의 통풍로(115)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될 경우 상기 연결덕트(110)의 출구(112a)(112b)측은 분기되지 않고 쿠션부(101a)나 등받이부(101b) 중 어느 한 곳에만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연결덕트(110)에는 연결덕트(110)를 통해 시트(101)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전소자 모듈(13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열전소자 모듈(130)은 상기 연결덕트(110)의 분기된 각 출구(112a)(112b)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목적에 따라서는 연결덕트(110)의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열전소자 모듈(130)은 전류의 흐름방향에 따라 한 쪽은 흡열작용을 하고 반대 쪽은 발열작용을 하는 열전소자(131)와, 상기 열전소자(131)의 양쪽에 설치되는 열전달수단(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전달수단(132)으로는 알루 미늄제 열교환블록이나 열교환 방열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 모듈(130)은 전류의 극(+,-)전환을 통해 흡열과 발열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송풍유니트(25)에서 연결덕트(110)를 통해 시트(101)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덕트(110)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전소자 모듈(130)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열전소자(131)를 기준으로 한 쪽을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되지만 반대 쪽을 통과하는 공기는 가열되게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상기 연결덕트(110)의 분기된 각 출구(112a)(112b)측에는 상기 열전소자 모듈(130)을 통해 열교환된 서로 다른 온도의 공기(냉각된 공기와 가열된 공기) 중 시트(101) 공조에 불필요한 공기를 차량실내로 토출할 수 있도록 토출통로(113a)(113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열전소자 모듈(130)을 통해 열교환되어 냉각 및 가열된 공기 중 시트(101) 공조에 필요한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110)의 출구(112a)(112b)를 통해 시트(101)측으로 토출되고, 시트(101) 공조에 불필요한 공기는 상기 토출통로(113a)(113b)를 통해 차량실내로 토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토출통로(113a)(113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상기 등받이부(101b)측 토출통로(113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뒷좌석의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등받이부(101b)의 내부로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등받이부(101b)의 내부로 토출된 공기는 등받이부(101b)의 측면을 통해 차량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덕트(110)의 입구(111)측에는 상기 송풍유니트(25)에서 토 출되는 풍량을 조절하여 프론트 공조장치(20)와 연결덕트(110)로 배분하는 도어(12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20)는 엑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시트(101) 공조시 연결덕트(110)로 유동하는 풍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120)가 연결덕트(110)의 입구(111)를 폐쇄할 경우에는 시트(101) 공조가 오프(OFF)된 상태이고, 상기 도어(120)가 연결덕트(110)의 입구(111)를 완전 개방하고 송풍유니트(25)의 출구(28)를 폐쇄할 경우에는 오직 시트(101) 공조만 행하게 되며 이때 프론트 공조는 오프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도어(120)가 연결덕트(110)의 입구(111)와 송풍유니트(25)의 출구(28)를 동시에 개방한 경우에는 시트(101) 공조와 프론트 공조를 동시에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송풍유니트(25)를 거친 공기를 곧바로 연결덕트(110)를 이용하여 시트(101)측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덕트(110)의 입구(111)측에는 도어(120)를 설치함으로써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작동과는 상관없이 시트(101) 공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량 시트(101)측에 대한 냉방구동시, 상기 도어(120)는 상기 연결덕트(110)의 입구(111)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25)의 출구(28)측과 시트(101)가 서로 연통하는 상태가 되며, 이때 도어(120)의 개방각도에 따라 연결덕트(110)를 통해 시트(101)측으로 송풍되는 풍량 이 조절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열전소자 모듈(130)은 냉각 작용하게 되는데, 즉, 열전소자(131)를 기준으로 시트(101)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대해서는 흡열작용으로 냉각을 시키게 되고 토출통로(113a)(113b)를 통해 차량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에 대해서는 방열작용으로 가열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25)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110)를 통해 시트(101)측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열전소자 모듈(130)에 의해 냉각된 후 연결덕트(110)의 출구(112a)(112b)측에 형성된 통풍로(115)를 거쳐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 쪽으로 토출되어 차량 시트(101)의 냉방이 수행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차량 시트(101)측에 대한 난방구동시, 상기 도어(120)는 상기 연결덕트(110)의 입구(111)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25)의 출구(28)측과 시트(101)가 서로 연통하는 상태가 되며, 이때 도어(120)의 개방각도에 따라 연결덕트(110)를 통해 시트(101)측으로 송풍되는 풍량이 조절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열전소자 모듈(130)은 가열 작용하게 되는데, 즉, 열전소자(131)를 기준으로 시트(101)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대해서는 방열작용으로 가열시키게 되고 토출통로(113a)(113b)를 통해 차량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에 대해서는 흡열작용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25)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110)를 통해 시트(101)측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열전소자 모듈(130)에 의해 가열된 후 연결덕트(110)의 출구(112a)(112b)측에 형성된 통풍로(115)를 거쳐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 쪽으로 토출되어 차량 시트(101)의 난방이 수행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일반적인 프론트 공조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로써, 상기에서는 시트(101)의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에 각각 연결된 연결덕트(110)의 분기된 출구(112a)(112b)측에 각각 열전소자 모듈(130)을 설치하였지만, 도 5에서는 하나의 열전소자 모듈(130)만을 설치하여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를 동시에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연결덕트(110)는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에 각각 연결되기 위해 출구(112a)(112b)측이 분기되는데, 바로 이 분기되기 시작하는 위치에 하나의 열전소자 모듈(130)을 설치하며, 이때 열전소자(131)를 기준으로 일측 열전달수단(132)은 상기 연결덕트(110)의 출구(112a)(112b)측과 연통하게 되고 타측 열전달수단(132)은 토출통로(113a)와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25)에서 송풍되어 연결덕트(1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110)를 통해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나의 열전소자 모듈(13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각각 연결덕트(110)의 출구(112a)(112b)측으로 분기되어 유동하며 이후 통풍로(115)를 거쳐 탑승자의 엉덩이 와 등 쪽으로 토출되어 차량 시트(101)의 냉방 또는 난방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나의 열전소자 모듈(13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는 공기 중 시트(101) 공조에 필요한 공기는 연결덕트(110)의 분기된 각 출구(101a)(101b)측으로 유동하여 탑승자에게 토출되지만, 시트(101) 공조에 불필요한 공기는 토출통로(113a)를 통해 차량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측 공조를 위해 프론트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를 거친 공기를 유입하도록 함과 아울러 냉난방을 위해 열전소자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차량 시트측에 별도의 송풍기가 필요하지 않아 송풍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소음이 방지되고 비용이 절감됨과 아울러 구성도 단순화되어 시트측 공간상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상기 연결덕트의 입구를 송풍유니트의 출구측에 연결함과 아울러 연결덕트의 입구측에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프론트 공조장치의 작동과는 상관없이 시트 공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유니트의 내기유입모드와 연동제어가 가능하여 시트 공조시 내기를 유입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 성능이 향상된다.

Claims (5)

  1.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25)를 거친 공기를 열교환기(22,23)를 거치기 전에 시트(101)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유니트(25)의 출구(28)측과 시트(101)를 연통시키는 연결덕트(110);
    상기 연결덕트(110)의 입구(111)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송풍유니트(25)에서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하여 프론트 공조장치(20)와 연결덕트(110)로 배분하는 도어(120);
    상기 연결덕트(110)에 설치되어 연결덕트(11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전소자 모듈(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101) 공조시, 상기 송풍유니트(25)를 통해 내기를 유입하여 냉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유니트(25)가 내기유입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가 내기 및 외기를 상,하로 분리하여 유입시키는 2층류 공조장치(20a)일 경우에는 냉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덕트 (110)의 입구(111)가 상기 송풍유니트(25)의 내,외기통로(25b)(25a) 중 내기통로(25b)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110)의 출구(112a)(112b)측은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와 각각 연통하도록 분기 형성됨과 아울러 분기된 각 출구(112a)(112b)측에 상기 열전소자 모듈(1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110)의 분기된 각 출구(112a)(112b)측에는 상기 열전소자 모듈(130)을 통해 열교환된 서로 다른 온도의 공기 중 시트(101) 공조에 불필요한 공기를 차량실내로 토출할 수 있도록 토출통로(113a)(113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20060026857A 2005-04-09 2006-03-24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0755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705A KR20060106507A (ko) 2005-04-09 2005-04-09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20060026857A KR100755951B1 (ko) 2005-04-09 2006-03-24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PCT/KR2006/001281 WO2006109959A1 (en) 2005-04-09 2006-04-07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11/887,865 US20090031742A1 (en) 2005-04-09 2006-04-07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E112006000856.0T DE112006000856B4 (de) 2005-04-09 2006-04-07 Sitz-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705A KR20060106507A (ko) 2005-04-09 2005-04-09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20050029705 2005-04-09
KR1020050029703 2005-04-09
KR1020060026857A KR100755951B1 (ko) 2005-04-09 2006-03-24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298A true KR20060107298A (ko) 2006-10-13
KR100755951B1 KR100755951B1 (ko) 2007-09-06

Family

ID=370872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705A KR20060106507A (ko) 2005-04-09 2005-04-09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20060026857A KR100755951B1 (ko) 2005-04-09 2006-03-24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705A KR20060106507A (ko) 2005-04-09 2005-04-09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031742A1 (ko)
KR (2) KR20060106507A (ko)
DE (1) DE112006000856B4 (ko)
WO (1) WO200610995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6123A2 (en) * 2007-12-10 2009-06-18 W.E.T. Automotive Systems Ag Improved seat conditioning module and method
KR101425078B1 (ko) * 2012-12-31 2014-08-04 갑을오토텍(주) 차량 후석용 통풍시트
KR102143748B1 (ko) * 2020-04-06 2020-08-12 (유)이원마린 낚시선박용 냉난방 공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5213A3 (de) * 2007-05-07 2009-05-15 Innova Patent Gmbh Einrichtung zum befördern von personen und/oder gegenständen
DE102009030491A1 (de) * 2009-03-18 2010-09-23 W.E.T. Automotive Systems Ag Klimatisierungseinrichtung für einen klimatisierten Gegenstand in einem Fahrzeuginnenraum
US20110061403A1 (en) * 2009-09-17 2011-03-17 Hyundai Motor Company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vehicle seat
KR101114584B1 (ko) * 2009-09-17 2012-04-13 갑을오토텍(주) 자동차 시트 냉난방 장치
JP5586973B2 (ja) * 2010-02-02 2014-09-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5381834B2 (ja) * 2010-03-17 2014-01-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US20110165832A1 (en) * 2010-08-25 2011-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compartment exhaust duct with enhanced air cooling features
US9121414B2 (en) 2010-11-05 2015-09-01 Gentherm Incorporated Low-profile blowers and methods
US20120135673A1 (en) * 2010-11-29 2012-05-31 Qatar Football Associ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indoor/outdoor stadium
CN102059969B (zh) * 2010-12-09 2013-04-10 姜大伟 汽车及办公座椅空调模组装置
JP5561196B2 (ja) 2011-02-08 2014-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空調装置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JP5664421B2 (ja) * 2011-04-07 2015-02-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2012218655A (ja) * 2011-04-13 2012-11-1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KR101372515B1 (ko) 2012-11-28 2014-03-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통풍장치
CN103010058A (zh) * 2012-12-04 2013-04-03 陈贺章 快速凉热座垫
EP2930056B1 (en) * 2012-12-05 2018-01-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ehicular heating device and heated vehicle seat
WO2014104859A1 (ko) * 2012-12-31 2014-07-03 갑을오토텍(주) 채널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JP6052099B2 (ja) * 2013-08-22 2016-12-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WO2015066477A1 (en) * 2013-10-31 2015-05-0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Air supply component for use with a seat
JP6672170B2 (ja) 2014-05-09 2020-03-25 ジェンサ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Gentherm Incorporated 環境制御組立品
JP6197740B2 (ja) * 2014-05-15 2017-09-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337735B2 (ja) * 2014-10-16 2018-06-0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480215B2 (ja) * 2015-03-06 2019-03-06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CN104709132B (zh) * 2015-03-24 2018-02-27 长春市夸克普精汽车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及座椅通风装置
KR101745108B1 (ko) 2015-07-10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전용 시트공조 장치 및 시트 공조 제어방법
JP6504308B2 (ja) * 2016-02-23 2019-04-24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空調装置
US10766336B2 (en) * 2016-02-23 2020-09-08 Denso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WO2018047506A1 (ja) * 2016-09-09 2018-03-15 株式会社デンソー 暖房装置
JP6772892B2 (ja) * 2017-02-27 2020-10-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送風装置
JP6658679B2 (ja) * 2017-06-20 2020-03-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空調装置
DE102018202999A1 (de) * 2018-02-28 2019-08-29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r Komponente in einem Fahrzeuginnenraum
JP7168282B2 (ja) * 2018-09-04 2022-11-0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座席空調システム
KR20210095206A (ko) 2018-11-30 2021-07-30 젠썸 인코포레이티드 열전 공조 시스템 및 방법
US10821862B2 (en) * 2018-12-06 2020-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seating assembly
US11642991B2 (en) * 2019-07-26 2023-05-09 Nikola Corporation Vehicle seat with integral air ducting
CN110405983B (zh) * 2019-08-16 2021-04-23 幸雨薇 一种塑料回收用清洗设备
KR20210030553A (ko) * 2019-09-09 2021-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210156021A (ko) * 2020-06-17 2021-1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통풍장치
KR102567852B1 (ko) 2020-12-24 2023-08-17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led 광촉매 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115A (ja) * 1983-08-17 1985-03-06 Takagi Kagaku Kenkyusho:Kk 車両用座席の空調装置
US5524439A (en) * 1993-11-22 1996-06-11 Amerigon, Inc. Variable temperature seat climate control system
US5626021A (en) 1993-11-22 1997-05-06 Amerigon, Inc. Variable temperature seat climate control system
JP3633777B2 (ja) * 1997-06-03 2005-03-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DE19830797B4 (de) * 1997-07-14 2007-10-04 Denso Corp., Kariya Fahrzeugsitz-Klimaanlage
JP3814987B2 (ja) * 1997-10-23 2006-08-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6105667A (en) * 1998-03-12 2000-08-22 Denso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
JP3675160B2 (ja) 1998-03-17 2005-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3714261B2 (ja) * 2002-02-12 2005-11-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3906776B2 (ja) * 2002-10-07 2007-04-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室内装構造
JP2004148949A (ja) * 2002-10-30 2004-05-2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DE10351805A1 (de) * 2002-11-08 2004-05-27 Denso Corp., Kariya Fahrzeugsitzklimaanlage
DE10316732B4 (de) * 2003-04-08 2013-10-02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von Klima-/Belüftungssitzen in Abhängigkeit der Sitz- und Fahrzeuginnenraumtemperatur
US7238101B2 (en) * 2004-05-20 2007-07-03 Delphi Technologies, Inc. Thermally conditioned vehicle sea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6123A2 (en) * 2007-12-10 2009-06-18 W.E.T. Automotive Systems Ag Improved seat conditioning module and method
WO2009076123A3 (en) * 2007-12-10 2010-07-01 W.E.T. Automotive Systems Ag Improved seat conditioning module and method
US8888573B2 (en) 2007-12-10 2014-11-18 W.E.T. Automotive Systems Ag Seat conditioning module and method
US11377006B2 (en) 2007-12-10 2022-07-05 Gentherm Gmbh Seat conditioning module
KR101425078B1 (ko) * 2012-12-31 2014-08-04 갑을오토텍(주) 차량 후석용 통풍시트
KR102143748B1 (ko) * 2020-04-06 2020-08-12 (유)이원마린 낚시선박용 냉난방 공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6000856T5 (de) 2008-07-24
US20090031742A1 (en) 2009-02-05
WO2006109959A1 (en) 2006-10-19
DE112006000856B4 (de) 2014-02-13
KR20060106507A (ko) 2006-10-12
KR100755951B1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5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JP200028943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101032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3002035A (ja) 自動車の空調装置
KR101458164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20130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JP200616868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921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08050985A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034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4489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00755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1183054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JP3680442B2 (ja) 車両後席用空調装置
KR101201299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0601834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KR1025365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567823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642132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JP2001039149A (ja) 車両の空調装置
KR20090036370A (ko) 자동차용 시트의 공기조화장치
US11801729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154476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KR20070068569A (ko) 차량용 이층류 공조장치
JPH11147413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