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6675A - 차량의 등화기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등화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6675A
KR20060106675A KR1020060023892A KR20060023892A KR20060106675A KR 20060106675 A KR20060106675 A KR 20060106675A KR 1020060023892 A KR1020060023892 A KR 1020060023892A KR 20060023892 A KR20060023892 A KR 20060023892A KR 20060106675 A KR20060106675 A KR 20060106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light
lens
equalizer
hous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9469B1 (ko
Inventor
간이치로 오기야
가즈히로 사카모토
사치코 다키모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Lasers (AREA)

Abstract

테일라이트와, 이 테일라이트의 양측에 나란히 윙커를 일체로 갖는 등화기가, 측면에서 봐서 후방을 향해 돌출한 V자형을 이루며 차체 후부에 설치되는 차량의 등화기 구조에 있어서, 등화기의 디자인 상의 선택의 수를 넓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V자의 돌출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관에서 봐서 테일라이트(30)를 상하로 구획하는 띠형상부(65a)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등화기 구조{LAMP STRUCTURE FOR MOTORCYCLE}
도 1은 스쿠터형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스쿠터형 차량의 후부 사시도.
도 3은 스쿠터형 차량의 후부의 종단 측면도.
도 4는 차체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3의 화살표4 방향도.
도 5는 등화기의 하우징의 정면도.
도 6은 등화기의 하우징의 배면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7-7선을 따른 테일램프의 단면도.
도 8은 도 4의 8-8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5의 9-9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10-10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9 : 등화기 30 : 테일라이트
31 : 윙커 32 : 하우징
32a :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 32b : 윙커용 반사경부
32d : 격벽부 48 : 테일라이트용 렌즈
49 : 윙커용 렌즈 51 : 홈
65a : 띠형상부 73 : 물빼기 구멍
본 발명은, 테일라이트와, 이 테일라이트의 양측에 나란히 윙커를 일체로 갖는 등화기가, 측면에서 봐서 후방을 향해 돌출한 V자형을 이루며 차체 후부(後部)에 설치되는 차량의 등화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테일라이트와, 좌우 1쌍의 윙커를 일체로 갖는 등화기가, 측면에서 봐서 대략 V자형을 이루도록 하여 차체 후부에 설치되는 자동 이륜차가, 특허 문헌 1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3-170876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등화기에서는, 테일라이트가 단순히 측면에서 봐서 V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외관 디자인의 선택의 수를 보다 넓히는 것이 요구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차체 후부에 설치되는 등화기의 디자인 상의 선택의 수를 넓힌 차량의 등화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테일라이트와, 이 테일라이트의 양측에 나란히 윙커를 일체로 갖는 등화기가, 측면에서 봐서 후방을 향해 돌출한 V자형을 이루며 차체 후부에 설치되는 차량의 등화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V자의 돌출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관에서 봐서 상기 테일라이트를 상하로 구획하는 띠형상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 및 좌우 1쌍의 윙커용 반사경부가, 상기 테일라이트 및 상기 양 윙커에 공통인 하우징에 설치되고,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 및 양 윙커용 반사경부를 구획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격벽부에, 테일라이트용 렌즈의 가장자리부 및 윙커용 렌즈의 가장자리부를 끼워맞추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띠형상부의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홈의 저부에 물빼기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은 스쿠터형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스쿠터형 차량의 후부 사시도, 도 3은 스쿠터형 차량의 후부의 종단 측면도, 도 4는 차체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3의 화살표4 방향도, 도 5는 등화기의 하우징의 정면도, 도 6은 등화기의 하우징의 배면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7-7선을 따른 테일램프의 단면도, 도 8은 도 4의 8-8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5도의 9-9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10-10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에 있어서, 스쿠터형 차량의 차체 프레임(F)은, 전륜(WF)을 축지지하는 프런트 포크(6) 및 이 프런트 포크(6)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7)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8)와, 이 헤드 파이프(8)로부터 뒤쪽 아래로 연장되는 다운 튜브(9)와, 다운 튜브(9)의 하부 양측에 전단이 고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1쌍의 하부 프레임 파이프(10…)와, 하부 프레임 파이프(10…)의 후단에 일체로 이어진 좌우 1쌍의 리어 프레임 파이프(11…)를 구비하고, 리어 프레임 파이프(11)는, 하부 프레임 파이프(10)의 후단으로부터 뒤쪽 위로 연장되는 라이즈(rise) 프레임부(11a)와, 라이즈 프레임부(11a)의 후단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프레임부(11b)로 이루어지고, 양 리어 프레임 파이프(11…)의 후부는 상호 연결된다.
차체 프레임(F)에서의 양 하부 프레임 파이프(10…) 및 양 리어 프레임 파이프(11…)의 일체 연속부에는 브래킷(1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래킷(12)에는 파워 유닛(P)의 전부(前部)가 링크 기구(13)를 통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파워 유닛(P)의 후부 우측에 배치되는 후륜(WR)이 파워 유닛(P)의 후부에 축지지된다. 또 상기 양 리어 프레임 파이프(11…) 중, 좌측의 리어 프레임 파이프(11)의 후부 및 파워 유니트(P)의 후부 사이에는 리어 큐션 유닛(14)이 설치된다.
파워 유닛(P)의 윗쪽에는, 수납 박스(15)와, 이 수납 박스(15)의 후방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16)가 배치되고, 수납 박스(15) 및 연료 탱크(16)는 상기 리어 프레임 파이프(11…)로 지지된다.
차체 프레임(F)은, 합성수지제의 차체 커버(17)로 덮히는 것이며, 이 차체 커버(17)는, 헤드 파이프(8)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프런트 커버(18)와, 운전자의 발의 전방을 덮는 레그 실드(19)와, 운전자의 발을 얹도록 레그 실드(19)의 하부에 이어진 저상(低床)식의 스텝 플로어(20)와, 스텝 플로어(20)에 이어져 차체 후부를 양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커버(21)를 구비하고, 사이드 커버(21) 상에는, 수납 박스(15) 및 연료 탱크(16)를 윗쪽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덮는 텐덤형의 승차용 시트(22)가 설치된다.
프런트 포크(6)에는 전륜(WF)을 윗쪽으로부터 덮는 프런트 펜더(24)가 부착되고, 조향 핸들(7)의 중앙부를 덮는 핸들 커버(25)에는 헤드 램프(26)가 부착된다. 또 후륜(WR)의 후반부 윗쪽으로부터 덮는 리어 펜더(27)가 리어 프레임 파이프(11…)에 부착되고, 승차용 시트(22)의 후방에 배치되어 리어 프레임 파이프(11…)에 부착되는 그랩 레일(28)의 아래쪽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등화기(29)가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6에 있어서, 등화기(29)는, 테일라이트(30)와, 이 테일라이트(30)의 양측에 나란히 윙커(31, 31)를 갖는 것이며, 측면에서 봐서는 후방을 향해 돌출한 V자형을 이루도록 하여 그랩 레일(28)의 아래쪽에서 차체 후부에 설치된다.
등화기(29)는, 테일라이트(30) 및 양 윙커(31…)에 공통인 합성수지제의 하우징(32)을 구비하는 것이며, 이 하우징(32)은, 스쿠터형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열린 보울(bowl)형으로 형성되는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와, 스쿠터형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열리는 동시에 일부를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보다 위쪽에 위치시켜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상반부 양측으로 이어진 좌우 1쌍의 윙커용 반사경부(32b, 32b)와,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상부로 이어짐과 더불어 양 윙커용 반사경부(32b, 32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32c)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이며,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하반부는, 상기 양 윙커용 반사경부(32b…)보다 아래쪽으로 불룩해지도록 형성된다.
또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 및 양 윙커용 반사경부(32b…)를 구획하는 좌우 1쌍의 격벽부(32d, 32d)가 하우징(32)에 설치되어 있고, 양 격벽부(32d…)를 포함하는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개구단 가장자리부는, 측면에서 봐서 상반부가 뒤쪽으로 내려가도록 경사짐과 더불어 하반부가 앞쪽으로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고,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개구단 가장자리부는, 측면에서 봐서 상하방향 중간부를 후방을 향해 볼록한 V자형으로 굴곡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윙커용 반사경부(32b…)의 상부에는 상부 부착 아암부(33, 3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들 상부 부착 아암부(33…)는, 양 리어 프레임 파이프(11…)에 있어서의 상측 프레임부(11b…)의 후부에 세워져 설치된 상부 지지 스테이(stay)(34, 34)에 볼트(35…) 및 너트(36…)에 의해 체결된다. 또 상기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양측 하부에는 하부 부착 아암부(37, 37)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들 하부 부착 아암부(37…)는, 양 리어 프레임 파이프(11…)에 있어서의 상측 프레임부(11b…)의 후단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부(11c)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아래쪽으로 수하(垂下)되는 하부 지지 스테이(38, 38)에 볼트(39…) 및 너트(40…)에 의해 체결된다. 게다가 하부 부착 아암부(37…) 및 하부 지지 스 테이(38…) 사이에는, 리어 펜더(27)의 상부가 끼워져 있고, 리어 펜더(27)의 상부 2개소 및 등화기(29)에 있어서의 하우징(32)의 하부 2개소가 같이 체결됨으로써 양 하부 지지 스테이(38…)에 체결되게 된다.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양 윙커용 반사경부(32b…)의 양측 하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착 아암부(41, 41)가 일체로 이어져 설치되어 있고, 그들 부착 아암부(41…)의 전단부는, 사이드 커버(21…)의 후부 내면에 돌출설치되는 보스(42…)에 볼트(43…)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내단 중앙부에는, 이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 내에 수용되도록 하여 테일라이트용 밸브(46)가 부착되고, 양 윙커용 반사경부(32b, 32b)의 내단 중앙부에는, 그들 윙커용 반사경부(32b…) 내에 수용되도록 하여 윙커용 밸브(47, 47)가 각각 부착된다.
하우징(32)에는,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개구단을 덮는 테일라이트용 렌즈(48)가 부착됨과 더불어, 윙커용 반사경부(32b…)의 개구단을 덮는 윙커용 렌즈(49, 49)가 부착되며, 양 윙커용 렌즈(49…)는, 하우징(32)에 있어서의 연결부(32c)를 덮는 브릿지부(50)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격벽부(32d…)를 포함하는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개구 단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친 홈(51)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51)의 상반부에는, 홈(51)의 내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위치결정 핀(52…)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위치결정 유지되도록 한 띠형상의 개스켓(53)이 수용된다.
또 양 윙커용 반사경부(32b…)의 개구 단부 및 상기 연결부(32c)에는, 격벽 부(32d…)를 제외한 부분에서 윙커용 반사경부(32b)의 외주를 대략 U자형으로 둘러쌈과 더불어 상기 격벽부(32d…)의 중간부에서 일단이 상기 홈(51)으로 통하는 U자 부분(54a, 54a)과, 상기 홈(51)의 윗쪽에서 상기 연결부(32c)에 설치되어 양 U자 부분(54a…)의 타단 사이를 직선형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분(54b)으로 이루어진 홈(5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54)에는 띠형상의 개스켓(55)이 수용된다.
테일라이트용 렌즈(48)는, 측면에서 봐서 후방을 향해 V자형을 이루도록 상하방향 중간부가 굴곡한 종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반부 및 하반부는 모두 후방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테일라이트용 렌즈(48)의 중간 굴곡부에는 전체폭에 걸쳐 내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48a)가 형성된다.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양측에는, 격벽부(32d…)의 하부로 이어지는 부착 보스(56, 56)가 설치되어 있고, 그들 부착 보스(56…)는, 상기 오목부(48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테일라이트용 렌즈(48)의 내면에 맞닿는다. 이렇게 하여 오목부(48a) 내에 배치되는 1쌍의 나사 부재(57, 57)에 의해 테일라이트용 렌즈(48)가 상기 부착 보스(56…)에 체결된다.
게다가 테일라이트용 렌즈(48)의 가장자리부에는, 하우징(32)의 홈(51) 내에 돌입하는 다리부(48b…)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다리부(48…)는, 홈(51)의 상반부에서는 개스켓(53)에 맞닿고, 홈(51)의 하반부에서는 홈(51)의 폐쇄단에 맞닿는다.
또 브릿지부(50)로 연결된 윙커용 렌즈(49…)는, 테일라이트용 렌즈(48)의 상반부에 양측으로부터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윙커용 반사경부(32b…)의 양측 상부에는 부착 보스(58, 58)가 설치되어 있고, 그들 부착 보스(58…)는, 윙커용 렌즈(49…)의 표면에 면하는 오목부(59…)를 형성하여 안쪽으로 움푹 패이면서 윙커용 렌즈(49…)에 설치된 보스(도시 생략)에 맞닿는다. 이렇게 해서 상기 오목부(59…)에 삽입통과되는 나사 부재(60…)에 의해 윙커용 렌즈(49…)가 부착 보스(58…)에 체결된다.
또 양 윙커용 렌즈(49…)를 연결하는 브릿지부(50)에는, 하우징(32)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맞물림 다리부(61…)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그들 맞물림 다리부(61…)는, 하우징(32)에 있어서의 연결부(32c)에 형성된 복수의 맞물림 구멍(62…)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린다.
윙커용 렌즈(49…)의 가장자리부 및 브릿지부(50)에는, 하우징(32)의 홈(51) 중 격벽부(32d…)에 대응하는 부분 및 홈(54)에 돌입하는 다리부(63…)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다리부(63…)는, 홈(54) 내의 개스켓(55) 및 홈(51) 중, 격벽부(32d…)에 대응하는 부분의 개스켓(53)에 맞닿는다.
게다가 테일라이트용 렌즈(48)와, 연결부(50)로 연결된 양 윙커용 렌즈(49…)가 하우징(32)에 부착된 상태로, 테일라이트용 렌즈(48)의 둘레가장자리의 일부는 양 윙커용 렌즈(49…) 및 브릿지부(50)의 가장자리부에 윗쪽으로부터 포개어지도록 배치되며, 하우징(32)에는, 연결부(50)로 연결된 양 윙커용 렌즈(49…)가 부착된 후에 테일라이트용 렌즈(48)가 부착되게 된다.
사이드 커버(21, 21)의 후부 사이에는, 테일라이트(30)에 있어서의 테일라이 트용 렌즈(48)의 하반부에 면하게 하는 개구부(66)를 형성하는 리어 커버(65)가 설치되며, 이 리어 커버(65)의 상부는, 상기 테일라이트용 렌즈(48)에 있어서의 오목부(48a)에 일부를 끼워넣어 테일라이트용 렌즈(48), 즉 테일라이트(30)를 상하로 구획하는 띠형상부(65a)를 형성한다. 즉 측면에서 봐서 후방을 향해 돌출한 V자형을 이루는 등화기(29)에, 그 V자의 돌출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관에서 봐서 테일라이트(30)를 상하로 구획하는 띠형상부(65a)가 설치되게 된다.
도 3에 특히 주목하여, 상기 리어 커버(65)의 양측 하부에는, 폐쇄단이 부착 시트(68)가 되도록 하여 움푹 패인 오목부(67, 67)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32)의 하부 부착 아암부(37…)에는 상기 부착 시트(68…)에 맞닿는 지지판(69…)이 볼트(70…)에 의해 고정된다. 게다가 지지판(69…)에는 용접 너트(71…)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67…)로부터 부착 시트(68…) 및 지지판(69…)에 삽입통과된 나사 부재(72…)를 용접 너트(71…)에 나사결합시켜 조임으로써, 리어 커버(65)가 등화기(29)의 하우징(32)에 부착된다.
도 9에 있어서, 하우징(32)의 홈(51) 중, 양 격벽부(32d…)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부, 즉 상기 띠형상부(65a)의 양단에 해당하는 부분의 저부에는, 홈(51)에 침입한 물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2)의 이면측으로 배출하도록 하여 상하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물빼기 구멍(73…)이 형성된다.
도 10에 있어서,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하부 양측에는,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51)의 하부로 통하는 물빼기 구멍(74…)이, 홈(5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즉, 홈 (51) 내의 하반부를 아래쪽으로 흘러 온 물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물빼기 구멍(7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물빼기 구멍(74…)의 외단은 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으므로, 아래쪽에서 튀겨진 물이 상기 물빼기 구멍(74…)으로부터 홈(51)에 침입해 들어오는 것은 최대한 피할 수 있다.
도 8에 주목하여,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하부에는 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75)에는 렌즈(76)가 장착된다. 이렇게 해서 테일라이트용 밸브(46)로부터의 빛은, 상기 렌즈(76)를 투과하여 아래쪽으로 유도되어, 리어 펜더(27)에 부착되어 있는 라이센스 플레이트(77) 및 반사판(78)에 빛이 조사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면, 테일라이트(30)와, 이 테일라이트(30)의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윙커(31, 31)를 갖는 등화기(29)가, 측면에서 봐서 후방을 향해 돌출한 V자형을 이루며 차체 후부에 설치되어 있고, 그 V자의 돌출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관에서 봐서 테일라이트(30)를 상하로 구획하는 띠형상부(65a)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테일라이트(30)의 외관에서 봤을 때 띠형상부(65a)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어, 2개의 등화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 주의를 끄는 효과가 있어, 등화기(29)의 디자인 상의 선택의 수를 보다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띠형상부(65a)는, 테일라이트(30)에 있어서의 테일라이트용 렌즈(48)의 하반부에 면하게 하는 개구부(66)를 형성하는 리어 커버(65)의 상부에 형성되고, 띠형상부(65a)는, 테일라이트용 렌즈(48)의 중간 굴곡부에 형성된 오목부(48a)를 덮는 것이며, 테일라이트용 렌즈(48)를 하우징(32)에 부착하는 나사 부재(57…) 가 오목부(48a)에 배치되므로, 테일라이트용 렌즈(48)의 하우징(32)에 대한 부착부가 띠형상부(65a)로 덮히게 되어, 외관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등화기(29)가 측면에서 봐서 후방을 향해 돌출한 V자형을 이루고 있음으로써, 테일라이트용 렌즈(48) 및 윙커용 렌즈(49…) 사이에 물이 침입하여 아래쪽으로 흐르는 데,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 및 좌우 1쌍의 윙커용 반사경부(32b…)를 구획하는 격벽부(32d…)가 하우징(32)에 설치되어, 그 격벽부(32d…)에 테일라이트용 렌즈(48)의 가장자리부 및 윙커용 렌즈(49…)의 가장자리부를 끼워맞추는 홈(51)이 형성되어 있고, 띠형상부(65a)의 양단, 즉 V자의 돌출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홈(51)의 저부에 물빼기 구멍(73…)이 형성되므로, 테일라이트용 렌즈(48) 및 윙커용 렌즈(49…) 사이에 침입하여 아래쪽으로 흐르기 쉬운 빗물 등을, 외부 등화기(29)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게다가 V자의 돌출단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물빼기 구멍(73…)을, 단순히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래비린스 구조를 갖지 않는 것으로 해도, 홈(51) 내에 아래쪽으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여 하우징(32)의 이면측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래비린스 구조에 의한 물의 체류를 방지하여 원활한 배출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V자의 돌출단의 물빼기 구멍(73…)에 추가하여,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51)의 하부로 통하는 물빼기 구멍(74…)이,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의 하부 양측에서 상기 홈(5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V자의 돌출단과 V자의 아래쪽의 2개소의 물빼기 구멍(73…, 74…)은, 방수 효과를 가지면서 효율적 으로 배수할 수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는 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테일라이트의 외관에서 봐서 띠형상부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어, 2개의 등화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 주의를 끄는 효과가 있어, 등화기의 디자인 상의 선택의 수를 보다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측면에서 봐서 V자형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윗쪽으로부터 테일라이트용 렌즈 및 윙커용 렌즈 사이에 침입하여 홈 내를 아래쪽으로 흐르는 빗물 등을, 등화기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Claims (2)

  1. 테일라이트(30)와, 이 테일라이트(30)의 양측에 나란히 윙커(31)를 일체로 갖는 등화기(29)가, 측면에서 봤을 때 후방을 향해 돌출한 V자형을 이루며 차체 후부(後部)에 설치되는 차량의 후부 등화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V자의 돌출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관에서 봐서 상기 테일라이트(30)를 상하로 구획하는 띠형상부(65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 등화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 및 좌우 1쌍의 윙커용 반사경부(32b)가, 상기 테일라이트(30) 및 상기 양 윙커(31)에 공통인 하우징(32)에 설치되고, 테일라이트용 반사경부(32a) 및 양 윙커용 반사경부(32b)를 구획하여 상기 하우징(32)에 설치되는 격벽부(32d)에, 테일라이트용 렌즈(48)의 가장자리부 및 윙커용 렌즈(49)의 가장자리부를 끼워 맞추는 홈(51)이 형성되고, 상기 띠형상부(65a)의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홈(51)의 저부에 물빼기 구멍(7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 등화기 구조.
KR1020060023892A 2005-03-30 2006-03-15 차량의 등화기 구조 KR100729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98291A JP4555719B2 (ja) 2005-03-30 2005-03-30 自動二輪車の後部灯火器構造
JPJP-P-2005-00098291 2005-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675A true KR20060106675A (ko) 2006-10-12
KR100729469B1 KR100729469B1 (ko) 2007-06-15

Family

ID=3702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892A KR100729469B1 (ko) 2005-03-30 2006-03-15 차량의 등화기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55719B2 (ko)
KR (1) KR100729469B1 (ko)
CN (1) CN100540388C (ko)
IT (1) ITTO20060230A1 (ko)
TW (1) TWI2851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2168B2 (ja) * 2007-10-10 2012-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テールライトユニット
JP4990986B2 (ja) * 2010-01-12 2012-08-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テールライト構造
JP5792252B2 (ja) * 2013-09-30 2015-10-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ユニット
JP6899408B2 (ja) * 2019-03-28 2021-07-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テールライ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883U (ja) * 1982-04-30 1983-11-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後部構成部品の組付構造
JPS6064149U (ja) * 1983-10-08 1985-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テ−ルライト装置
JPH02130889U (ko) * 1989-04-06 1990-10-30
JPH0361185A (ja) * 1989-07-31 1991-03-15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H0330303U (ko) * 1990-03-30 1991-03-26
JPH10166937A (ja) 1996-12-09 1998-06-23 Yamaha Motor Co Ltd バイクのテールランプ構造
JP2002193160A (ja) * 2000-12-27 2002-07-10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テールライトとカバーリヤフェンダとの取付構造
JP4083402B2 (ja) 2001-08-21 2008-04-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尾灯構造
KR100539600B1 (ko) * 2001-10-24 2005-12-28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이륜차의 리어 콘비네이션 램프
JP3842119B2 (ja) 2001-12-04 2006-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部構造
JP3652310B2 (ja) * 2002-01-10 2005-05-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ランプ配置構造
JP4052871B2 (ja) * 2002-05-09 2008-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後部照明装置
CN100519316C (zh) * 2003-12-31 2009-07-29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机动二轮车之方向灯/尾灯的组合构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0411A (zh) 2006-10-04
JP2006273226A (ja) 2006-10-12
TWI285168B (en) 2007-08-11
TW200706435A (en) 2007-02-16
ITTO20060230A1 (it) 2006-09-30
CN100540388C (zh) 2009-09-16
KR100729469B1 (ko) 2007-06-15
JP4555719B2 (ja)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4732B2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構造
KR100696999B1 (ko)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US8051938B2 (en) Seat mounting structure for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orporating same
JP2006015930A (ja) 自動2輪車用フェンダー構造
US8261685B2 (en) Horn guard device for motorcycle
JP2008162510A (ja) 鞍乗型車両
JP5211020B2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灯火器構造
KR100729469B1 (ko) 차량의 등화기 구조
JP2010132267A (ja) 自動二輪車のハンドルカバー
JP2003320979A (ja) 自動二輪車の後部照明装置
WO2009098925A1 (ja) 鞍乗型車両
US11371674B2 (en) Protection structure of rear combination lamp
JP5196238B2 (ja) 自動二輪車の配線保持構造
JP4848550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外装構造
JP2006273226A5 (ko)
JPH10226375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EP1905678B1 (en) Support structure for lamp body unit
JP5468524B2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構造
JP3877824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5743840B2 (ja) 自動二輪車の後部構造
JP6129350B2 (ja) 鞍乗型車両
JP2017159755A (ja) 車両のサイドカバー
JP2010089580A (ja) 自動二輪車
JP2006175912A (ja) 車両用バンパー
JP4502863B2 (ja) 自動二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