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6611A - 압력 스위치 - Google Patents

압력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6611A
KR20060106611A KR1020050116697A KR20050116697A KR20060106611A KR 20060106611 A KR20060106611 A KR 20060106611A KR 1020050116697 A KR1020050116697 A KR 1020050116697A KR 20050116697 A KR20050116697 A KR 20050116697A KR 20060106611 A KR20060106611 A KR 20060106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witch
setting
button switc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9136B1 (ko
Inventor
가오루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 H01H35/2607Means for adjustment of "ON" or "OFF" operating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의 시인 방향(視認 方向)(설치 방향)의 변경에 대응하여 표시부의 설정 압력치(設定 壓力値)의 표시를 상하회전(上下回轉)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시인 방향(설치 방향)의 변경에 대응하여 버튼 스위치의 조작 설정을 반전(反轉)시키는 것에 있다.
모드 설정 버튼 스위치113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부116 상에 표시되는 설정 압력치의 표시를 180도 회전시키고, 제1버튼 스위치111에 의한 조작을 상승 설정에서 다운 설정으로 반전함과 아울러 제2버튼 스위치112에 의한 조작을 다운 설정에서 상승 설정으로 반전하고 있다.

Description

압력 스위치{PRESSURE SWITCH}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압력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압력 스위치를 구성하는 전기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보통 상태로 배치된 상기 압력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4는, 상하가 반전(反轉)된 상태로 배치된 상기 압력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5는, 상하가 반전된 상태로 배치된 상기 압력 스위치의 표시가 18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압력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6은, 표시 회전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다.
도7은, 유저의 손가락에 의하여 모드 설정 버튼 스위치를 계속하여 가압(加壓)함으로써, 표시부의 표시가 설정 모드가 된 것을 나타내는 압력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8은, 표시 모드의 변경을 나타내는 「diS」표시와 보통 표시를 나타내는 하측바 열표시(下側 bar 列表示)가 교대로 점멸 표시(點滅 表示)로 표시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는, 보통 표시를 나타내는 하측바 열표시와 180도 회전 표시를 나타내는 상측바 열표시(上側 bar 列表示)가 교대로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압력 스위치 101…케이싱(casing)
102…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104…CPU 106…압력 센서(壓力 sensor)
111…제1버튼 스위치 112…제2버튼 스위치
113…모드 설정 버튼 스위치 116…표시부
118…출력단자(出力端子)
본 발명은, 압력 센서(壓力 sensor)에 의하여 검출된 압력유체(壓力流體)의 검출 압력치(檢出 壓力値)가 미리 설정된 설정 압력치와 일치하였을 때에 외부기기를 향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압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부압유체(負壓流體 ; negative pressure liquid)를 흡착용 패드(吸着用 pad) 등의 흡착 반송 수단에 공급함으로써 흡착용 패드에 의하여 워크(work)를 흡인하면서 그 워크를 소정(所定)의 위치로 반송(搬送)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에, 흡착용 패드에 대하여 공급된 부압유체의 압력치(壓力値)가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여 워크가 확실히 흡착된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압력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즉, 이 압력 스위치는 흡착용 패드에 대하여 공급되는 부압유체의 압력을 압력 센서(壓力 sensor)에 의하여 검출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압력치가 미리 설정된 설정 압력치와 일치하였을 때에 워크가 흡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예를 들면 외부 컨트롤러(外部 controller) 등으로 흡착을 확인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종류의 압력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문헌1에는 설정 압력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설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7337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관한 압력 스위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워크 반송장치 등에 압력 스위치를 조립한 경우에, 작업자가 상기 압력 스위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설정 압력치(設定 壓力値)를 읽고 설정 버튼 등을 조작하는 방향(읽기 방향 및 조작 방향)이 일정 방향으로 상정(想定)되어 있어, 설치 환경 및 배치 등의 변경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표시부에 표시된 설정 압력을 읽고 설정 버튼을 조작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기술에 관한 압력 스위치에서는 흡착용 패드(吸着用 pad)에 공급되는 부압유체(負壓流體)를 유입하기 위한 관로(管路)가 필요하게 되고, 배관(配管)의 접속에 의하여 소정(所定)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표시부에 표시된 설정 압력치의 읽기 방향 및 조작 버튼의 배열 순서가 일정(一定)한 방향으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배치 등의 변경에 의하여 종래부터 설치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표시부에 표시된 설정 압력치를 읽어낸 경우에 잘못 읽을 우려가 있음과 아울러, 조작 버튼의 배열 순서가 종전(從前)과 역방향(逆方向)이 되기 때문에 잘못 조작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배치 등의 변경에 의하여 압력 스위치의 설치 방향이 종전과 다르게 상하가 역전(逆轉)하여 설치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작업자의 시인 방향(視認 方向)(설치 방향)의 변경에 대응하여 표시부의 설정 압력치의 표시를 상하회전(上下回轉)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시인 방향(설치 방향)의 변경에 대응하여 버튼 스위치의 조작 설정을 반전(反轉)시키는 것이 가능한 압력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력 스위치는 제1버튼 스위치, 제2버튼 스위치, 압력 센서(壓力 sensor), 표시부 및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메모리의 각각에 접속되는 CPU를 구비하고, 상기 CPU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설정 압력치를 상기 제1버튼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승 설정하고, 상기 제2버튼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다운 설정하여 상기 설정 압력치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한 검출 압력치가 상기 설정 압력치와 같은 압력치가 되었을 때에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CPU에 접속되는 표시 회전용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회전용 버튼 스위치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CPU는,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상기 설정 압력치의 표시를 180도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버튼 스위치에 의한 조작을 상승 설정에서 다운 설정으로 반전하고, 상기 제2버튼 스위치에 의한 조작을 다운 설정에서 상승 설정으로 반전시키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배치 등의 변경에 의하여 작업자(유저)가 압력 스위치의 표시부를 보는 방향이 종전과 반대가 되었을 때에, 혹은 압력 스위치의 상하가 반전하여 설치되었을 때에 표시 회전용 버튼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설정 압력치의 표시를 180도 회전시키고, 제1버튼 스위치에 의한 조작을 상승 설정에서 다운 설정으로 반전함과 아울러 제2버튼 스위치에 의한 조작을 다운 설정에서 상승 설정으로 반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작업자가 압력 스위치의 표시부를 보는 방향이 종전과 반대가 되었을 때에, 혹은 압력 스위치의 상하가 반전하여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도 작업자(유저) 등은, 압력설정치의 숫자가 제대로 서 있는 정상인 상태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표시부의 180도 회전과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버튼 스위치의 상승, 다운 조작을 반전시키도록(교체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유저 등의 업다운 조작에 대한 감각(感覺)(상하가 반전된 전후에 있어서, 예를 들면 항상 좌측의 스위치는 상승 설정용, 우측의 스위치는 다운 설정용으로 되어있다고 인식하는 감각)을 동일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 스위치의 표시부를 보는 방향이 종전과 반대가 되고,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하여도 바른 표시로 볼 수 있어서 동일한 감각으로 상승, 다운 설정의 동작을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압력 스위치100의 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압력 스위치100을 구성하는 전기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보통 상태로 배치된 압력 스위치100(필요에 따라 부호를 100N(노멀(normal)이라고 한다.)의 정면도이다.
도4는, 상하가 반전(反轉)된 상태로 배치된 압력 스위치l00(필요에 따 라 부호를 100AN(애브노멀(abnormal)이라고 한다.)의 정면도이다.
도5는, 상하가 반전된 상태로 배치된 압력 스위치100의 표시가 18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압력 스위치100(필요에 따라 부호를 100R(레볼루션(revolution)이라고 한다.)의 정면도이다.
이 압력 스위치l00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이 일체적(一體的)으로 조립되어 구성된 케이싱(casing)101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실 수단(seal 手段)을 통하여 전기 회로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설치된다.
도2에 나타내는 압력 스위치100의 전기 회로 및 도3에 나타내는 보통 상태로 배치된 압력 스위치100에 있어서 압력 스위치100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전기적(電氣的)으로 다시 라이팅 할 수 있는 메모리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102와, 이 EEPROM10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 수단(이 실시예에서는 모드 전환 수단(설정 모드와 측정 모드), 표시 회전 수단(표시의 상하 반전 수단), 스위치 설정 반전 수단, 설정 압력치(設定 壓力値)와 검출 압력치의 비교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104와, 압력유체(壓力流體)의 압력P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壓力 sensor)106을 내부에 구비한다.
또한 도3의 보통 상태로 배치된 압력 스위치100의 정면에는, 삼각형의 마크가 부착된 제1버튼 스위치111과 역삼각형의 마크가 부착된 제2버튼 스위치112와, 문자 S의 마크가 부착되어 소정(所定)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표시 회전용 버튼 스위치로서도 기능하는 모드 설정 버튼 스위치113이 가로 방향으로 일렬(一列)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버튼 스위치111~113의 상부에 설정 압력치를 표시하는 7세그먼트(7segment) 액정표시기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부116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표시부116에는 설정치 「0.33」[kPa]가 표시되어 있다.
EEPROM102, 압력 센서106, 버튼 스위치111~113 및 표시부116은 CPUl0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CPUl04는 버튼 스위치111~113의 소정의 조작에 의거하여 EEPROM1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한 모드 설정 수단, 표시 회전 수단, 스위치 설정 반전 수단, 설정 압력치와 검출 압력치의 비교 수단 등의 기능 실현 수단으로서 동작한다.
그리고, 측정 모드일 때에 있어서 비교 수단으로서 기능할 때에 압력 센서106을 통하여 검출한 검출 압력치P가, 설정 모드일 때에 있어서 설정한 설정 압력치와 동일한 값이 되었을 때에 출력단자(出力端子)118로부터 검출신호Sd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출력단자118은 커넥터 핀(connector pin)으로 이루어지고(도1 참조),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핀과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리드선(lead wire)을 통하여 상기 검출신호Sd가, 예를 들면 컨트롤러(controller) 등의 외부기기에 입력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요부(要部)에 관한 표시 회전 기능에 대하여 도6 의 플로우 차트(flow chart)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플로우 차트는 EEPROM102에 기억되고 CPU104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먼저 설정 모드가 종료한 후에, 스텝S1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측정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음에 스텝S11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설정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측정 모드에 관한 동작 설명
스텝S1에서 CPU104는, EEPROM102에서 표시 플래그(flag)F를 판독한다. 또한 표시 플래그F는 F=0인 경우에 보통 표시가 되고, F=1인 경우에 180도 회전 표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텝S2에 있어서 표시 플래그F의 값을 확인하여 표시 플래그F가 F=1인 경우에는 스텝S3에 있어서 제1버튼 스위치111에 의한 조작을 상승 설정용에서 다운 설정용으로 반전시키고, 제2버튼 스위치112에 의한 조작을 다운 설정용에서 상승 설정용으로 반전시킨다(버튼 조작 반전).
계속하여 스텝S4에 있어서, 표시부116에 표시되는 설정 압력치의 표시를 180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도5의 압력 스위치100R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3의 압력 스위치100과 비교하여 압력 스위치100의 상하가 반전되어서 설치된 상태에 있더라도, 압력 설정치 「0.33」의 숫자가 제대로 서 있는 정상인 상태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도3의 압력 스위치100N 및 도5의 압력 스위치100R에 있어서 설정 압력의 변경은, 좌측의 스위치(압력 스위치100N에서는 제1버튼 스위치111, 압력 스위치100R에서는 제2버튼 스위치112)를 가압할 때마다 설정 압력치가 이 예에서는 「0.01」[kPa]씩 상승하는 한편, 우측의 스위치(압력 스위치100N에서는 제2버튼 스위치112, 압력 스위치100R에서는 제1버튼 스위치111)를 가압할 때마다 설정 압력치가 이 예에서는「0.01」[kPa]씩 다운하기 때문에 동일한 감각으로 상승, 다운 설정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텝S2의 판정에 있어서 표시 플래그F가 F=0인 경우에는, 스텝S5에 있어서 제1버튼 스위치111에 의한 조작을 상승 설정용인채로 하고, 제2버튼 스위치112에 의한 조작을 다운 설정용인채로 한다(버튼 조작 노멀).
이어서 스텝S6에 있어서, 표시부116에 표시되는 설정 압력치의 표시를 보통 표시로 한다(도3의 압력 스위치100N 참조).
이상이 측정 모드의 동작 설명이며, 다음에 설정 모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정 모드의 동작 설명
측정 모드일 때에 있어서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저 등의 손가락130에 의하여 모드 설정 버튼 스위치113을 2초 이상 계속하여 가압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면, 스텝S11의 설정 변경 처리가 실행되는 설정 모드가 된다.
이 설정 모드에서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 모드의 변경을 나타내는 「diS」 표시120과 보통 표시를 나타내는 하측바 열표시(下側 bar 列表示)121이 교대로 점멸 표시(點滅 表示)로 표시된다.
이 도8의 점멸 표시 상태에서, 제1버튼 스위치111 또는 제2버튼 스위치112를 한 번 가압할 때마다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통 표시를 나타내는 하측바 열표시121과 180도 회전 표시를 나타내는 상측바 열표시(上側 bar 列表示)122가 교대로 표시된다.
이 교대로 표시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어서 모드 설정 버튼 스위치113을 가압함으로써, 이 때 표시되어 있었던 보통 표시를 나타내는 하측바 열표시121과 180도 회전 표시를 나타내는 상측바 열표시122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고, 스텝S12에 있어서 EEPROMl02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플래그F를 설정된 값으로 바꾸어 라이트 할 수 있다(EEPROM 기입). 이 경우에 표시 플래그F는 EEPROM102에 기억되므로, 전원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가 되어도 설정이 유지된다.
이 설정이 완료된 후에 모드 설정 버튼 스위치113을 2초 이상 계속하여 가압함으로써 설정 모드가 종료되고, 측정 모드로 되돌아간다. 이 측정 모드에서는, 도3 또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설정 압력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압력 스위치100의 표시부116을 보는 방향이 종전과 반대가 되었을 때에, 혹은 압력 스위치100의 상하가 반전하여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도 표시 회전용 버튼 스위치로서의 모드 설정 버튼 스위치113을 소정의 조작함으로써 표시부116 상에 표시되는 설 정 압력치의 표시를 180도 회전시키고, 제1버튼 스위치111에 의한 조작을 상승 설정에서 다운 설정으로 반전함과 아울러 제2버튼 스위치112에 의한 조작을 다운 설정에서 상승 설정으로 반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력 스위치100의 상하가 반전하여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도 유저 등은, 압력 설정치의 숫자가 정립 하고 있는 정상인 상태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표시부의 180도 회전과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버튼 스위치111, 112의 상승, 다운 조작을 반전시키도록(교체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유저 등의 업다운 조작에 대한 감각을 동일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압력 스위치100의 상하를 반전하여 설치하여도 유저 등은, 도4의 표시 상태의 압력 스위치100AN과 같이 반대로 표시되지 않고, 도3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확한 표시로 볼 수 있어서 동일한 감각으로 상승, 다운 설정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에 의거하여 여러 가지 구성을 채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설치 환경 등의 변경 등에 의하여 작업자의 시인 방향(視認 方向)의 변경이나 압력 스위치의 설치 방향의 변경에 대응하여 표시부의 설정 압력치(設定 壓力値)의 표시를 상하회전(上下回 轉)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시인 방향의 변경이나 설치 방향의 변경에 대응하여 버튼 스위치의 조작 설정을 반전(反轉)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달성된다.

Claims (1)

  1. 제1버튼 스위치, 제2버튼 스위치, 압력 센서(壓力 sensor), 표시부 및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메모리의 각각에 접속되는 CPU를 구비하고,
    상기 CPU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설정 압력치(設定 壓力値)를 상기 제1버튼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승 설정하고, 상기 제2버튼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다운 설정하여 상기 설정 압력치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한 검출 압력치가 상기 설정 압력치와 같은 압력치가 되었을 때에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CPU에 접속되는 표시 회전용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회전용 버튼 스위치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CPU는,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상기 설정 압력치의 표시를 180도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버튼 스위치에 의한 조작을 상승 설정에서 다운 설정으로 반전(反轉)하고, 상기 제2버튼 스위치에 의한 조작을 다운 설정에서 상승 설정으로 반전시키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스위치.
KR1020050116697A 2005-03-31 2005-12-02 압력 스위치 KR101089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3765A JP2006286359A (ja) 2005-03-31 2005-03-31 圧力スイッチ
JPJP-P-2005-00103765 200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611A true KR20060106611A (ko) 2006-10-12
KR101089136B1 KR101089136B1 (ko) 2011-12-02

Family

ID=3699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697A KR101089136B1 (ko) 2005-03-31 2005-12-02 압력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86934B2 (ko)
JP (1) JP2006286359A (ko)
KR (1) KR101089136B1 (ko)
CN (1) CN100454464C (ko)
DE (1) DE102005057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3678B2 (ja) * 2006-12-07 2009-01-07 Smc株式会社 圧力スイッチ
JP4403559B2 (ja) * 2006-12-07 2010-01-27 Smc株式会社 圧力スイッチ
USD669039S1 (en) * 2010-11-10 2012-10-16 Smc Kabushiki Kaisha Pressure switch having a digital display
CN103744311B (zh) * 2013-12-31 2016-06-01 上海天沐自动化仪表有限公司 数字式智能压力开关
USD772171S1 (en) * 2015-03-13 2016-11-22 Smc Corporation Pressure switch
TWD190307S (zh) * 2017-02-13 2018-05-11 Smc股份有限公司 感測器監視器
JP1594072S (ko) * 2017-05-25 2018-01-09
KR102283678B1 (ko) 2021-03-31 2021-07-30 (주)센서시스템기술 디지털 압력 게이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6854U (ko) 1975-06-09 1976-12-14
JPS6394123A (ja) 1986-10-08 1988-04-25 Sharp Corp 体重計
US5181522A (en) * 1987-04-03 1993-01-26 Abatis Medical Technologies Limited Tourniquet for sensing and regulation of applied pressure
US5549785A (en) * 1992-09-14 1996-08-27 Nippondenso Co., Ltd. Method of producing a semiconductor dynamic sensor
JPH06242853A (ja) * 1993-02-15 1994-09-02 Hitachi Ltd 電子機器装置及び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US5519179A (en) * 1994-01-20 1996-05-21 Yazaki Corporation Pressure switch
US5591945A (en) * 1995-04-19 1997-01-07 Elo Touchsystems, Inc. Acoustic touch position sensor using higher order horizontally polarized shear wave propagation
JP3970447B2 (ja) 1998-12-01 2007-09-05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圧力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4049234B2 (ja) * 1999-03-31 2008-02-20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圧力スイッチ
JP2001353938A (ja) * 2000-06-12 2001-12-25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US6525997B1 (en) * 2000-06-30 2003-0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use of display real estate in a wrist watch display
FI20015005A (fi) * 2001-05-31 2002-12-01 Nokia Corp Näyttöelimen sisältävä matkaviestin
JP2003174495A (ja) *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US7117009B2 (en) * 2002-12-20 2006-10-0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JP2004252587A (ja) 2003-02-18 2004-09-09 Sanyo Electric Co Ltd 電子式デジタル圧力スイッチ
CN100403472C (zh) * 2003-02-18 2008-07-16 三洋电机株式会社 电子式数字压力开关
US7181251B2 (en) * 2003-10-22 2007-02-20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 orientation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54464C (zh) 2009-01-21
CN1841613A (zh) 2006-10-04
US20060219537A1 (en) 2006-10-05
KR101089136B1 (ko) 2011-12-02
JP2006286359A (ja) 2006-10-19
DE102005057774A1 (de) 2006-10-05
US7186934B2 (en) 200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136B1 (ko) 압력 스위치
KR100334589B1 (ko) 터치 패널 입력식 전자 장치
CN104205023B (zh) 操作装置
KR20070117910A (ko)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US20090040189A1 (en)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ouch panel, method of correcting errors of the same, and display system
US20150005942A1 (en) Portable operation panel having vibration motor
JP4950452B2 (ja) 検出センサ
WO2013099128A1 (ja) 生体試料測定装置
JP4620682B2 (ja) 特に医療技術装置のためのタッチセンス入力装置およびタッチセンス入力装置用の障害検出装置
CN101324805B (zh) 触摸式按键结构以及使用该触摸式按键结构的家用电器
JP4081026B2 (ja) マイクロメータ
CN109478104A (zh) 触摸面板
JP5176704B2 (ja) マーキングユニット構造
JP6005478B2 (ja) タッチパネル検査方法
JP6641232B2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おける信号の補正方法
CN219780013U (zh) 一种断电恢复的控制系统和刺绣设备
JPH02173815A (ja) 電子機器
KR102020535B1 (ko) 압력전송기의 설정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
JP4362386B2 (ja) 電子回路基板、パネル型表示装置および製品の判別方法
KR950003100Y1 (ko)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
KR200340662Y1 (ko) 센서를 이용한 전원 불량 방지장치
KR200443917Y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 타입 가연성 가스 탐지기
JPH09178246A (ja) 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10198883A (ja) センサの接続装置
JP4668962B2 (ja) マイクロメ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