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449A -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체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449A
KR20060100449A KR1020067010090A KR20067010090A KR20060100449A KR 20060100449 A KR20060100449 A KR 20060100449A KR 1020067010090 A KR1020067010090 A KR 1020067010090A KR 20067010090 A KR20067010090 A KR 20067010090A KR 20060100449 A KR20060100449 A KR 20060100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resin
alkyl group
layered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šœ 타카하시
모토키 타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6010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05Reinforced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nanosized materials, e.g. nanoparticles, nanofibres, nanotubes, nanowires, nanorods or nanolayer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6Biodegradabl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가열시의 변색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 및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내용물의 변질을 저감시킨 수지 성형체를 제공한다. 수지 조성물은 수지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층상 폴리규산에 결합된 층상 유기규산을 함유한다. 수지 성형체는 수지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층상 폴리규산에 결합된 층상 유기규산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체{RESIN COMPOSITION AND RESIN FORMED BODY}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수지가 화장품의 용기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생활 소비재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지구적 규모에서의 환경 문제를 고려하여, 최근에는 생활 소비재의 재료로서, 자연 환경 중에서 분해될 수 있는 수지인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생분해성 수지는, 가수분해, 미생물 또는 효소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물 및 이산화탄소로 분해되기 때문에, 생물농축 및 환경 호르몬 효과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점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지만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수지의 성형체의 가스배리어성은 불충분하다. 이 때문에, 화장품의 용기 등과 같이, 수지의 성형체에 액체나 기체를 보존할 때에는, 성형체로부터의 내용물의 누출이나 성형체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변질이 생길 경우가 있다. 또한 생분해성 수지의 생분해 속도는, 그다지 빠른 것은 아니다.
따라서, 수지 성형체의 가스배리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또한 생분해성 수지 성형체의 강성을 충분히 높게 유지함과 아울러 생분해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점토광물의 양이온을 유기이온으로 이온교환해서 얻어지는 유기 변성 점토광물을 수지에 첨가한 수지 조성물이, 수지의 성형체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많은 경우, 점토광물을 이온교환하는 유기 이온으로서는, 유기 오늄이온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가스배리어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재료로서, 유산을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및 팽윤성 층상 규산염으로 이루어지는 생분해성 가스배리어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1참조). 여기에서, 팽윤성 층상 규산염은, 예를 들면 4개의 서로 독립된, 탄소수 1∼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옥시기가 질소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제4급 암모늄 이온과 같은 유기 오늄이온으로 처리된 규산염이다.
또한 생분해성 수지 성형체의 강성을 충분히 높게 유지함과 아울러 생분해 속도를 향상시키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서, 생분해성 수지와, 생분해성 수지중에 분산되어 있는 유기화제에 의해 유기화된 층상 점토광물을 함유하고, 유기화된 층상 점토광물의 평균 입경이 1㎛이하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도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2참조). 여기에서, 유기화제는, 제1급, 제2급, 제3급, 또는 제4급 암모늄이온을 함유하는 유기 암모늄 화합물, 유기 포스포늄 화합물, 유기 피리듐 화합물, 및 유기 술포늄 화합물과 같은 유기 오늄 화합물이다.
한편, 층상 유기 규산은, 층상 폴리규산의 실라놀기(≡Si-OH)의 산소원자에, 알킬기를 갖는 실릴기가 결합된 화합물이며, 알코올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다공질의 층상 폴리규산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3참조). 이 다공질의 층상 폴리규산에 있어서는, 층상 폴리규산의 층에 직쇄부분의 탄소수가 6∼20의 알킬기 1개 및 1 또 는 2개의 수산기를 갖는 실릴기가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점토광물의 양이온을 유기 오늄이온으로 이온교환해서 얻어지는 유기 변성 점토광물을 수지에 첨가한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이 불충분하다. 즉,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기 위해서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면, 유기 변성 점토광물이 첨가되는 수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지 조성물의 색이 황색으로 변색되어 버린다.
또한 유기 변성 점토광물이 첨가되는 수지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스테르아미드계, 및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등의 수지일 경우에는, 점토광물의 양이온을 유기 오늄이온으로 이온교환해서 얻어지는 유기 변성 점토광물은, 수지의 가수분해를 촉진하고, 유기 변성 점토광물 및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체의 강성을 저하시켜 버린다.
또한, 상기 유기 변성 점토광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체에 넣은 내용물이 변질되는(내용물의 냄새가 변화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2-338796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2001-089646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공개 2000-128521호 공보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가열시의 변색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내용물의 변질을 저감시킨 수지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하나는, 수지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층상 폴리규산에 결합된 층상 유기규산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의 하나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수지 성형체에 의해 달성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가열시의 변색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내용물의 변질을 저감시킨 수지 성형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e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모식 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을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실란 화합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을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실란 화합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을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실란 화합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을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실란 화합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을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실란 화합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얻어진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수지 및 층상 유기규산을 함유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로서는, 임의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는, 생분해성 수지라도 되고, 또한 비생분해성 수지라도 된다. 그러나, 생분해성 수지는 가수분 해, 미생물 또는 효소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물 및 이산화탄소로 분해되기 때문에, 생물농축 및 환경 호르몬 효과 등을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의 오염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로서,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로서 사용되는 생분해성 수지는, 미생물 또는 효소에 의해 분해 혹은 저분자량화 될 수 있는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 다당류(폴리사카리드), 폴리펩티드, 리그닌,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데카메틸렌글리콜, 및 네오펜틸글리콜 등과 같은 적어도 1종류의 디올과 숙신산, 아지핀산, 스베린산, 세바신산, 도데칸 2산 및 이들의 무수물 등과 같은 적어도 1종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 폴리(헥사메틸렌석시네이트),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옥살레이트), 폴리(부틸렌옥살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옥살레이트), 폴리(에틸렌세바케이트), 및 폴리(부틸렌세바케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예로서는,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co-부틸렌아디페이트)를 들 수 있다.
또, 디올에 추가해서, 3개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을 이용하여도 좋고,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에 추가해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3개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포리카르복실산을 사용해도 된다. 디올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co-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co-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폴리(히드록시산) 및 이들의 공중합체도 포함한다. 폴리(히드록시산)의 예로서는, 폴리유산, 폴리글리콜산, 폴리(ε-카프로락톤), 폴리(β-프로피오락톤), 폴리(δ-발레롤락톤), 폴리(3-히드록시발리레이트), 폴리(3-히드록시부틸레이트), 및 폴리(3-히드록시카프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다당류로서는,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키틴, 및 키토산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당류는, 그 분자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화학물질로 치환된, 또한 그 분자의 적어도 일부에 다른 화학물질이 부가된 다당류의 유도체라도 된다. 셀룰로오스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펩티드로서는, 예를 들면 콜라겐 및 콜라겐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리그닌은, 나무화된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페닐프로판 골격의 수지 및 그 유도체이면 되고, 그 단리방법에는 제한은 없다.
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 다당류(폴리사카리드), 폴리펩티드, 리그닌, 및 이들의 유도체를, 단 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 중에서, 폴리유산은, 그 원료가 식물(옥수수 등) 유래의 원료이며, 입수가 용이하다. 따라서, 수지 성형체의 재료로서 폴리유산을 사용하면 수지 성형체를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폴리유산은 투명성 및 안정성의 점에서도 뛰어나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로서 사용되는 비생분해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류, 폴리염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초산비닐, 및 폴리스티렌과 같은 비닐 중합체, 폴리아미드, 상기 생분해성 수지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외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비닐 공중합체, 천연 고무, 아크릴 고무, 염소화부틸 고무,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과 같은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무수 말레인산 등에 의한 산변성물,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스티렌/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폴리아세탈, 폴리술폰, 페녹시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을 설명한다. 층상 유기규산에 있어서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점도광물의 일종인 층상 폴리규산에 결합되어 있다. 즉, 층상 유기규산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에 의해 실릴화된 층상 폴리규산이다. 또, 층 상 폴리규산은, Si 및 O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조성식 SiO2의) 복수의 층의 표면에, 실라놀기(≡Si-OH)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들 실라놀기는, 층상 폴리규산의 층 사이에도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층상 폴리규산에 함유되는 실라놀기(≡Si-OH)의 산소원자의 적어도 하나에,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결합한다. 여기에서, 치환 실릴기란, 실릴기(-SiH3)의 수소원자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특정한 치환기로 치환된 유기기이다.
이 치환 실릴기는, 적어도 하나(1개이상 3개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갖는다. 즉, 실릴기의 수소원자의 적어도 하나(1개이상 3개이하)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알킬기는, 각각, 직쇄의 알킬기 및 분기의 알킬기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알킬기는, 각각, 메틸기, 및 에틸기, 및 직쇄 및 분기의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및 이코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상기의 알킬기는, 치환기(원자단)를 가져도 좋고, 치환기(원자단)를 갖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의 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의 위치는, 임의의 가능한 위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그 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와 반대측의 말단이다.
한편, 치환 실릴기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로 치환되지 않는 수소원자 는, 각각, 수산기, 클로로기,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아미노기, 에폭시에틸기, 에폭시에틸옥시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1-페닐비닐기, 4-비닐페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또는 상기의 치환 실릴기가 결합되어 있는 실라놀기와 인접하는 별도의 실라놀기의 산소원자에의 단결합이다. 여기에서, 상기의 치환 실릴기가 결합되어 있는 실라놀기와 인접하는 별도의 실라놀기란, 상기의 치환 실릴기가 결합되어 있는 실라놀기 이외의 층상 폴리규산의 실라놀기, 및 별도의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다른 치환 실릴기에 함유되는 실라놀기)의 양쪽을 포함한다.
층상 유기규산에 있어서는, 치환 실릴기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갖기 때문에, 층상 폴리규산의 층간 간격을 벌릴 수 있고,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층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수지 성형체의 가스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서는, 층상 폴리규산의 실라놀기의 산소원자에, 유기 오늄이온이 이온결합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치환 실릴기가 공유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열에 의해 점토광물로부터 분해된 유기 오늄이온에 기인한다고 생각되는 수지 조성물의 색의 변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오늄이온을 이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유기 오늄이온을 촉매로 하는 수지의 가수분해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점토광물로부터 분해된 유기 오늄이온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수지 성형체의 내용물의 변질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치환 실릴기가, 아미노기, 에폭시에틸기, 에폭시에틸옥시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1-페닐비닐기, 4-비닐페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질 경우에는, 이들의 치환기는 수지의 고분자와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수지의 고분자가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에 침입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치환기는 치환 실릴기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로 치환되지 않는 수소원자를 치환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가,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일 경우에는, 상기의 치환기는 아미노기, 에폭시에틸기, 에폭시에틸옥시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1-페닐비닐기, 4-비닐페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치환기는 수지의 고분자와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수지의 고분자가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에 침입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바람직하게는, 그 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와 반대측의 말단에 결합하는 상기 치환기를 갖는다(알킬기의 말단의 탄소원자가 치환기로 치환된다). 상기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가, 그 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와 반대측의 말단에 결합하는 상기의 치환기를 가질 경우에는, 치환기가 알킬기에 의해 차폐되지 않고, 수지의 고분자가 치환기와 상호작용하는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치환기의 수지의 고분자에 대한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에 결합하는 개개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3개이상 18개이하이다.
여기에서, 상기 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가, 3개보다 적으면, 치환 실릴기에 함유되는 알킬기의 길이가 짧아,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 간격이 충분하게 넓혀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수지의 고분자가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에 침입하는 것이 곤란해져,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층의 분산성이 저하된다. 그 결과,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수지 성형체의 가스배리어성이 저하한다.
한편, 상기의 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가 18개보다 많으면, 치환 실릴기에 함유되는 알킬기의 길이가 길어,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의 공간에 있어서의 치환 실릴기에 의해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의 비율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수지의 고분자가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에 침입하는 것이 곤란해져,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층의 분산성이 저하한다. 그 결과,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수지 성형체의 가스배리어성이 저하한다.
즉, 상기 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가 8개이상 18개이하인 것에 의해, 수지를 효율적으로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에 침입시켜,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층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가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인 경우에, 상기 알킬기는 그 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와 반대측의 말단에 결합하는 이하에 나타내는 원자단을 갖고 있어도 된다(알킬기의 말단의 탄소원자가 원자단에 결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원자단은 아미드 결합, 에스테르 결합, N- 옥시메틸렌아미노기(-OCH2NH-), 및 N,N'-디(옥시메틸렌)아미노기((-OCH2)2N-)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의 원자단은, 수지의 고분자와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수지의 고분자가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에 침입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가, 그 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와 반대측의 말단에 결합하는 상기 원자단을 가질 경우에는, 원자단이 상기 알킬기에 의해 차폐되지 않아, 수지의 고분자가 치환기와 상호작용하는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치환기의 수지의 고분자에 대한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자단은, 적어도 1개(1개이상 2개이하)의 새로운 알킬기를 갖는다. 즉, 원자단의 원자가의 적어도 1개(1개이상 2개이하)는, 새로운 알킬기로 치환된다. 또, 설명을 위해,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와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원자단을 갖는 알킬기를 제1알킬기라고 부르고,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와 결합하지 않고 상기 원자단에 결합하는 알킬기를 제2알킬기라고 부르기로 한다.
여기에서, 이 제2알킬기는 제1알킬기와 마찬가지로, 직쇄의 알킬기 및 분기의 알킬기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2알킬기는 메틸기, 및 에틸기, 및 직쇄 및 분기의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및 이코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부터 선택된 다. 또한, 제2알킬기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고, 치환기를 갖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제2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의 위치는, 임의의 가능한 위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그 알킬기에 있어서의 원자단과 반대측의 말단이다.
또, 상기 원자단에 있어서의 복수의 원자가의 각각은, 제1알킬기 및 제2알킬기 중 어디에 결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알킬기가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인 경우에는, 상기 치환기는 아미노기, 에폭시에틸기, 에폭시에틸옥시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1-페닐비닐기, 4-비닐페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의 치환기는 수지의 고분자와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수지의 고분자가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에 침입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2알킬기는, 바람직하게는 그 알킬기에 있어서의 원자단과 반대측의 말단에 결합하는 치환기를 갖는다(제2알킬기의 말단의 탄소원자가 치환기로 치환된다). 상기 제2알킬기가 그 알킬기에 있어서의 원자단과 반대측의 말단에 결합하는, 상기 치환기를 가질 경우에는, 치환기가 알킬기에 의해 차폐되지 않아, 수지의 고분자가 치환기와 상호작용하는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치환기의 수지의 고분자에 대한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치환 실릴기가 상기 원자단 및 상기 치환기의 양쪽을 가질 경우에는, 치환 실릴기와 수지의 고분자와의 친화성이, 더욱 향상되고, 수지의 고분자가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으로 침입하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은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제1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 및 제2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3개이상 18개이하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의 합계가 3개보다 적으면, 치환 실릴기에 함유되는 탄소쇄의 길이가 짧아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간격이 충분하게 넓혀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수지의 고분자가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에 침입하는 것이 곤란해져,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층의 분산성이 저하한다. 그 결과,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수지 성형체의 가스배리어성이 저하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의 합계가 18개보다 많으면, 치환 실릴기에 함유되는 탄소쇄의 길이가 길어,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의 공간에 있어서의 치환 실릴기에 의해 차지되는 공간의 비율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수지의 고분자가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에 침입하는 것이 곤란해져,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층의 분산성이 저하한다. 그 결과,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수지 성형체의 가스배리어성이 저하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의 합계가 8개이상 18개이하인 것에 의해, 수지를 효율적으로 층상 유기규산의 층간에 침입시켜,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층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도 1a∼도 1e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a∼도 1e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a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층상 폴리규산에 결합된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b는 규소원자에 결합하는 치환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층상 폴리규산에 결합한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c는 말단에 치환기가 결합된 알킬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층상 폴리규산에 결합한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d는 원자단과 결합하는 제1 및 제2알킬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층상 폴리규산에 결합한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e는 원자단과 결합하는 제1알킬기 및 그 원자단 및 치환기와 결합하는 제2알킬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층상 폴리규산에 결합한 층상 유기규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도 1e에 있어서는, 층상 폴리규산은, …-O-Si-O-…로 나타내어지고, 치환 실릴기로 치환된 실라놀기가 Si-0-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치환 실릴기는, 도 1a, 도 1b, 및 도 1c에 있어서는 1개의 알킬기를 갖고, 도 1d 및 도 1e에 있어서는, 2개의 알킬기(제1 및 제2알킬기)를 갖고 있다. 이들 알킬기는, 각각 1개의 꺾인 선으로 나타내어지고, 꺾인 선의 정점이 메틸렌기(-CH2-)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도 1e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각각, 직쇄의 펜틸기를 나타낸다. 또, 도 1a∼도 1e에서는,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에 결합하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의 수는 하나이지만,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에 있어서는,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에 결합하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실 릴기의 수는 2개 또는 3개이어도 된다.
한편, 치환 실릴기는, 알킬기 이외의 치환기 X1 및 X2를 갖고(도 1b에서는, X1만을 갖는다), 치환기 X1 및 X2는, 각각 수산기, 클로로기,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및 에톡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또는 상기 치환 실릴기가 결합되어 있는 실라놀기와 인접하는(대부분의 경우, 층상 폴리규산의) 다른 실라놀기의 산소원자에의 단결합이다.
또한 도 1b, 도 1c, 및 도 1e에 있어서는,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 또는 상기의 알킬기의 말단의 탄소원자가, 치환기(A)로 치환되어 있다. 여기에서, 치환기(A)는, 아미노기, 에폭시에틸기, 에폭시에틸옥시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1-페닐비닐기, 4-비닐페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도 1d 및 도 1e에 있어서는, 치환 실릴기의 규소원자에 결합하는 제1 알킬기의 말단의 탄소원자에는, 원자단(B)이 결합되어 있고, 원자단(B)은 아미드 결합, 에스테르 결합, N-옥시메틸렌아미노기, 및 N,N'-디(옥시메틸렌)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원자단(B)은, 도 1d 및 도 1e에서는 하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제2알킬기를 갖지만,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에 있어서는, 원자단(B)에 따라서는 치환 실릴기는 원자단(B)에 결합하는 제2알킬기에 더해서, 원자단(B)에 결합하는 제3알킬기를 가질 경우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의 제조방법을 도 2a∼도 2e와 함께 설명한다.
우선, 시판의 층상 폴리규산염을 입수하거나 또는 층상 폴리규산염을 공지 의 방법으로 합성한다. 여기에서, 층상 폴리규산염은 Si 및 O가 서로 결합해서 형성되어 있는(SiO2의) 복수의 층간에, ≡Si-O-기 및 Na+ 및 K+로부터 선택되는 상대이온을 갖는 화합물이다. 층상 폴리규산염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카네마이트(NaHSi2O5), 마카타이트(NaSi4O9·xH2O), 마가다이트(Na2Si14O29·xH2O), 및 케냐이트(K2Si20O41·xH2O)를 들 수 있다(x는, 수화된 물의 수이다). 이 중, 특히 바람직한 층상 폴리규산염은 마가다이트이다.
다음에 바람직하게는, 층상 폴리규산염을 제4급 암모늄염(R4N+X-), 알킬암모늄염(RNH3 +X-), 및 알킬포스포늄염(R4P+X-)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과 반응시켜, 층상 폴리규산염에 있어서의 양이온(Na+, K+)을, 제4급 암모늄이온, 알킬암모늄이온, 알킬포스포늄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오늄이온으로 이온교환해도 좋다(또, R은 직쇄의 알킬기이며, X는 할로겐이다). 이와 같이, 층상 폴리규산염에 있어서의 양이온을, 상기와 같은 유기 오늄이온으로 이온교환하면, 층상 폴리규산염의 층간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실란 화합물의 층상 폴리규산염에 대한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층상 유기규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층상 폴리규산염의 양이온을, 제4급 암모늄 염인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로 이온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에 유래하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 이온은, 질소원자에 결합하는 3개의 짧은 메틸기 및 1개의 긴 알킬기를 갖기 때문에, 1개의 긴 알킬기로 층상 폴리규산염의 층간의 간격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다른 3개의 메틸기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 이온에 의한 이온교환 및 실란 화합물과의 반응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은, 시판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유기 오늄이온으로 이온교환한) 층상 폴리규산염을, 적절한 실란 화합물로 실릴화해서 층상 유기규산을 얻는다. 여기에서, 층상 폴리규산염의 양이온을 상기 유기 오늄이온으로 이온교환했을 경우에는, 층상 폴리규산염에 함유된 상기 유기 오늄이온은, 사용하는 실란 화합물에 유래하는 실릴기로, 실질적으로 모두 치환된다. 도 2a∼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을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실란 화합물, 즉, (유기 오늄이온으로 이온교환한) 층상 폴리규산염을 실릴화하는 실란 화합물의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도 2a∼도 2e에 나타내는 실란 화합물은, 각각, 도 1a∼도 1e에 나타내는 층상 유기규산을 얻기 위해서 사용된다. 여기에서, 도 2에 있어서의 꺾인 선, A, B, X1 및 X2는,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다. 또한 X3는 X1 및 X2와 마찬가지로, 수산기, 클로로기,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및 에톡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실란 화합물은, 시판의 제품을 입수하거나, 또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란 화합물에서, (유기 오늄이온으로 이온교환된) 층상 폴리규산염의 Si-0-기를 실릴화 함으로써 얻어진다. (유기 오늄이온으로 이온교환된) 층상 폴리규산염의 Si-0-기를 실릴화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란 화합물의 규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 클로로기,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및 에톡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 X1, X2, 및 X3가, Si-0-기에 대하여 높은 반응성을 갖는 것을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실란 화합물의 규소원자에 결합하는 치환기 X1, X2, 및 X3의 적어도 1개(1개이상 3개이하)가 제거되어서, Si-O-기의 산소원자에 결합함으로써, Si-0-기의 실릴화가 달성된다. 여기에서, Si-0-기의 산소원자에 결합되지 않은, 실란 화합물의 규소원자에 결합되는 치환기 X1, X2, 및 X3는, 미반응인채로 잔류하거나, 또는 물로 처리되어서 수산기로 변화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지에 대한 층상 유기규산의 비율은, 0.1질량%이상 20질량%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5질량%이상 10질량%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질량%이상 7질량%이하이다. 수지에 대한 층상 유기규산의 비율이 0.1질량%미만이면, 수지 성형체의 가스배리어성이 불충분하다. 한편, 수지에 대한 층상 유기규산의 비율이 20질량%를 넘으면, 수지 조성물의 가격이 비싸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수지 및 층상 유기규산 이외에, 본 발 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체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한,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활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결정화촉진제, 말단봉쇄제, 및 충전제 등을 함유해도 좋다. 이들 첨가제의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는 이들 첨가제의 2종류 이상을 병용해서 사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산화방지제로서는, p-t-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p-t-부틸히드록시아니졸과 같은 힌다드페놀계 산화방지제; 열안정제로서는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및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등; 자외선흡수제로서는 p-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2'-카르복시벤조페논, 및 2,4,5-트리히드록시부틸로페논 등; 활제로서는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린산바륨, 및 팔미틴산나트륨 등; 대전방지제로서는 N,N-비스(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 알킬아민, 알킬아릴술포네이트, 및 알킬술포네이트 등; 난연제로서는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트리스-(2,3-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펜타브로모페닐알릴에테르 등; 결정화촉진제로서는 탤크, 보론나이트라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랜스시클로헥산디메탄올테레프탈레이트) 등; 말단봉쇄제로서는 1,3-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N'-디이소프로필페닐카르보디이미드 등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 화합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 무기충전제로서는 탄산칼슘, 실리카, 산화티탄, 탤크, 마이카, 황산바륨, 및 알루미나 등; 유기충전제로서는, 목분, 곁겨, 신문지 등의 고지, 각종 전분(알파화된 전분 등을 포함), 및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각 첨가제로서 열거한 상기 화합물의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각 첨가제로서 열거한 상기 화합물의 2종류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원하는 수지, 원하는 층상 유기규산, 및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소정의 비율로 용융 혼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용융 혼련은, 수지의 융점 또는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용융 혼련은, 실제로는 예를 들면 1축압출기, 2축압출기, 롤 혼련기, 및 브라벤더(Brabender) 등의 일반적인 혼련기를 이용하여 행하면 되지만, 가열시에 전단력을 가해서 층상 유기규산을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2축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관해서,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은, 전자현미경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의 관찰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층간 중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즉, 원하는 수지를 형성할 수 있는 모노머, 및 원하는 층상 유기규산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고, 적당한 촉매의 존재 하에서 가열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의 모노머를 중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모노머를 중합시켜서 원하는 수지를 형성시킴으로써, 원하는 수지에 원하는 층상 유기규산이 분산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유산에 층상 유기규산이 분산된 수지 조성물을 층간 중합법에 의해 제조할 경우에는, 폴리유산의 모노머로서의 유산의 2량체인 락티드에, 층 상 유기규산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중합촉매로서의 미량의 옥틸산 주석을 첨가한다. 그 후에 락티드, 층상 유기규산, 및 옥틸산 주석의 혼합물을, 160℃정도의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락티드를 중합시켜서 폴리유산을 형성하고, 폴리유산에 층상 유기규산이 분산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층상 유기규산은, 암모늄 이온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촉매의 옥틸산 주석의 활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폴리유산 및 층상 유기규산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층간 중합법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성형체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성형체는, 공지의 사출성형, 블로우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압공성형, 및 인플레이션성형 중 적어도 1종류의 성형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성형체는, 화장품용의 용기를 포함하는 생활 소비재 및 그 밖의 내구소재로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성형체의 구체예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체로서는 생활 잡화, 포장용기, 및 전기전자기기 케이스체; 블로우성형체로서는 음료 또는 화장품 등의 유동체의 용기, 식품 또는 약품의 용기, 및 연료 등의 탱크류; 압출성형체로서는 딥드로잉 성형용 원단시트, 배치식 발포용 원단시트, 크레디트카드 등의 카드류, 깔개, 클리어 파일과 같은 포장용 또는 농업 혹은 공업용의 필름 및 시트, 및 스트로 및 농업 혹은 원예용 경질 파이프 등의 파이프류; 진공성형체 또는 압공성형체로서는, 신선식품의 트레이, 인스턴트 식 품용기, 패스트푸드 용기, 및 도시락상자 등등의 식품용기, 상품진열용의 블리스터 팩 용기, 및 약품용의 PTP(press through pack) 용기를 들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층상 폴리규산염의 마가다이트에 실란 화합물의 도데실트리클로로실란을 반응시켜서, 실릴화한 층상 폴리규산염을 얻었다. 이 실릴화한 층상 폴리규산을, 물 로 처리함으로써 층상 폴리규산염의 실라놀기에 결합된 도데실기를 갖는 실릴기에 잔류하는 클로로기를 수산기로 변환하여, 층상 유기규산의 생성물을 얻었다. 이 층상 유기규산의 생성물은, 마가다이트의 층간에 존재하는 실라놀기의 산소원자에, 도데실기를 갖는 실릴기가 결합된 층상 유기규산이다. 얻어진 층상 유기규산의 생성물을, 수지인 폴리유산에 첨가하고, 용융 혼련을 이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이하, 실릴화 점토 조성물이라 함). 또,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함유량은 4질량%이었다.
다음에 얻어진 실릴화 점토 조성물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도 3은, 얻어진 층상 유기규산(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실릴화 점토 조성물에 있어서는, 1㎛보다 작은(나노미터 사이즈의) 층상 유기규산이, 폴리유산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고, 얻어진 실릴화 점토 조성물이 고분자 나노복합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에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으로서의 탄성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탄성율은 1.7×109Pa이었다.
또한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가스배리어성으로서의 산소투과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산소투과도는 92㎤/㎡·24시간·atm이었다.
또한,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색을 육안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 실릴화 점토 조성물 및 폴리유산의 색은 무색 투명이었다. 또한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황색도 지수를,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황색도 지수는 14이었다. 또, 황색도 지수는, 황색도 지수의 숫자가 작을수록 백색에 가깝고, 황색도 지수의 숫자가 클수록 황색미를 띠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가수분해 속도를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했다. 우선, 실릴화 점토 조성물을 열프레스하여,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펠릿을 제작하고, 펠릿의 질량을 측정했다. 다음에 이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펠릿을, 50℃의 물에 10일간 침지시켰다. 또, 물의 용적은, 펠릿의 용적의 10배에 상당했다. 그 후에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펠릿을 물로부터 꺼내서 건조시켜, 잔존한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펠릿의 질량을 측정했다. 수중에 침지하기 전후의 펠릿의 질량비를 구하면, 10일간의 수중에의 침지에서 잔존한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질량의 비율은, 93질량%이었다.
(비교예 1)
다음에 얻어진 실릴화 점토 조성물에 대한 비교예로서, 층상 유기규산을 함유하지 않는 폴리유산을 준비하고, 실시예와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우선, 폴리유산의 탄성율은 1.3×109Pa이며, 폴리유산의 산소투과도는 200㎤/㎡·24시간·atm이었다. 또한 폴리유산의 색을 육안으로 평가한 결과, 폴리유산의 색은 무색 투명이었다. 다음에 폴리유산의 황색도 지수를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폴리유산의 황색도 지수 11을 얻었다.
(비교예 2)
다음에 얻어진 실릴화 점토 조성물에 대한 비교예로서, 점토광물의 양이온을 제4급 암모늄이온으로 이온교환한 유기 변성 점토광물을, 폴리유산에 용융 혼련해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이하,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이라고 함)을 준비했다. 구체적으로는, 이 유기 변성 점토광물은, 코프케미칼로부터 입수가능한 합성 마이카(불소 마이카, 상품명 ME100)의 무기 양이온을, 도데실=비스(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이온을 함유하는 염(라이온아크조로부터 입수가능한 상품명 에소카드 C12)을 이용하여 이온교환함으로써 얻어진 유기 변성 점토광물이다.
다음에 상기의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와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우선,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탄성율은 1.5×109Pa이며,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산소투과도 89㎤/㎡·24시간·atm이었다. 또한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색을 육안으로 평가한 결과,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색은 황색이었다. 다음에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황색도 지수를,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황색도 지수 20을 얻었다. 또한,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가수분해 속도 를,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했다. 수중에 침지하기 전후에 있어서의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펠릿의 질량비를 구하면, 10일간의 수중에의 침지에서 잔존한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질량의 비율은 76질량%이었다.
이상에서,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으로서의 탄성율을, 폴리유산의 탄성율 및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탄성율과 비교하면,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탄성율은, 폴리유산의 탄성율 및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탄성율보다 컸다. 따라서, 얻어진 실릴화 점토 조성물은, 폴리유산 및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과 비교하여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가스배리어성으로서의 산소투과도를, 폴리유산의 산소투과도 및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산소투과도와 비교하면,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산소투과도는 폴리유산의 산소투과도보다 현저하게 작고, 또한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산소투과도와 같은 정도이었다. 따라서,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가스배리어성은 폴리유산의 가스배리어성과 비교해서 현저하게 높고, 또한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가스배리어성과 거의 동등한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실릴화 점토 조성물, 폴리유산, 및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색을 육안으로 평가한 결과를 비교하면,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색은 황색이었지만, 실릴화 점토 조성물 및 폴리유산의 색은 무색 투명이었다. 또한 실릴화 점토 조성물, 폴리유산, 및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황색도 지수를,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면,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황색도 지수는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황색도 지수보다 현저하게 작고, 또한 폴리유산의 황색도 지수에 가까웠다. 따라서, 실릴화 점토 조성물은 황색의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과 다르고, 황색미가 적으며, 폴리유산의 색에 가까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에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가수분해 속도를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가수분해 속도와 비교하면, 10일간의 수중에의 침지에서 잔존한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질량의 비율은, 10일간의 수중에의 침지에서 잔존한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질량의 비율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따라서,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가수분해 속도는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의 가수분해 속도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늦고, 실릴화 점토 조성물의 가수분해는 암모늄염 점토 조성물과 비교해서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본 발명의 주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다.
(부기)
본 발명의 제1의 형태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수지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층상 폴리규산에 결합된 층상 유기규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의하면,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가열시의 변색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환 실릴기는 아미노기, 에폭시에틸기, 에폭시에틸옥시기, 비닐기, 이소 프로페닐기, 1-페닐비닐기, 4-비닐페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에 의하면,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가열시의 변색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가 치환의 알킬기인 경우로서, 상기 치환의 알킬기는 상기 알킬기의 말단에 결합하는, 아미노기, 에폭시에틸기, 에폭시에틸옥시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1-페닐비닐기, 4-비닐페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형태에 의하면,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을 더욱 높이고,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가열시의 변색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의 형태의 하나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는, 3개이상 18개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의 형태에 의하면,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을 양호하게 조정하고,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가열시의 변색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가 치환의 제1알킬기인 경우로서, 상기 치환의 제1알킬기는 상기 제1알킬기의 말단에 결합하는, 아미드 결합, 에스테르 결합, N- 옥시메틸렌아미노기, 및 N,N'-디(옥시메틸렌)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원자단을 갖고, 상기 원자단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제2알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형태에 의하면,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가열시의 변색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5의 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제2알킬기가 치환의 제2알킬기인 경우로서, 상기 치환의 제2알킬기는 상기 제2알킬기의 말단에 결합하는, 아미노기, 에폭시에틸기, 에폭시에틸옥시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1-페닐비닐기, 4-비닐페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의 형태에 의하면,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을 더욱 높이고,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가열시의 변색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5 또는 제6의 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 및 상기 제2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의 합계는, 3개이상 18개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의 형태에 의하면, 수지에 있어서의 층상 유기규산의 분산성을 양호하게 조정하고,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가열시의 변색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의 형태의 하나에 따른 수 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생분해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의 형태에 의하면, 환경의 오염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의 형태의 하나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의 형태에 의하면, 수지 조성물을 보다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의 형태의 발명은, 수지성형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9의 형태의 하나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의 형태에 의하면,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내용물의 변질을 저감시킨 수지 성형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가열시의 변색을 저감시킨 수지 조성물, 및 가수분해를 저감시켜 내용물의 변질을 저감시킨 수지 성형체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수지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를 갖는 치환 실릴기가 층상 폴리규산에 결합된 층상 유기규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실릴기는 아미노기, 에폭시에틸기, 에폭시에틸옥시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1-페닐비닐기, 4-비닐페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가 치환의 알킬기인 경우로서,
    상기 치환의 알킬기는 상기 알킬기의 말단에 결합하는, 아미노기, 에폭시에틸기, 에폭시에틸옥시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1-페닐비닐기, 4-비닐페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는, 3개이상 18개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가 치환의 제1알킬기인 경우로서,
    상기 치환의 제1알킬기는 상기 제1 알킬기의 말단에 결합하는, 아미드 결합, 에스테르 결합, N-옥시메틸렌아미노기, 및 N,N'-디(옥시메틸렌)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원자단을 갖고,
    상기 원자단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제2알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제2알킬기가 치환의 제2알킬기인 경우로서,
    상기 치환의 제2알킬기는 상기 제2알킬기의 말단에 결합하는, 아미노기, 에폭시에틸기, 에폭시에틸옥시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1-페닐비닐기, 4-비닐페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 및 상기 제2알킬기에 함유되는 탄소원자의 수의 합계는, 3개이상 18개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생분해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 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체.
KR1020067010090A 2003-11-25 2004-11-19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체 KR20060100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4176A JP4570864B2 (ja) 2003-11-25 2003-11-25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JPJP-P-2003-00394176 2003-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449A true KR20060100449A (ko) 2006-09-20

Family

ID=3463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090A KR20060100449A (ko) 2003-11-25 2004-11-19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73102B2 (ko)
EP (1) EP1688464A4 (ko)
JP (1) JP4570864B2 (ko)
KR (1) KR20060100449A (ko)
CN (1) CN1886461B (ko)
TW (1) TW200528513A (ko)
WO (1) WO2005052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8107B2 (ja) * 2005-07-07 2014-01-29 株式会社Adeka 樹脂添加剤
FI122326B (fi) * 2006-12-15 2011-11-30 Jvs Polymers Oy Heterofaasinen biopolymeerikompositio
SE0700404L (sv) * 2007-02-19 2008-08-20 Xylophane Ab Polymerfilm eller -beläggning innefattande hemicellulosa
JP5473244B2 (ja) * 2008-04-25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US8268042B2 (en) * 2008-11-25 2012-09-1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 inorganic clay composites
JP5384923B2 (ja) * 2008-12-05 2014-01-08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高分子系ナノコンポジット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形成された難燃性高分子系ナノコンポジット
JP5576055B2 (ja) * 2009-04-09 2014-08-20 岩瀬コスファ株式会社 表面処理粉体
KR101211303B1 (ko) * 2009-10-22 2012-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클레이 강화 폴리유산-폴리올레핀 얼로이 조성물
US9062198B2 (en) 2011-04-14 2015-06-23 Ticona Llc Reflectors for light-emitting diode assemblies containing a white pigment
US9284448B2 (en) 2011-04-14 2016-03-15 Ticona Llc Molded reflectors for light-emitting diode assemblies
WO2014099745A1 (en) 2012-12-18 2014-06-26 Ticona Llc Molded reflectors for light-emitting diode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7804A (ja) 1986-01-31 1987-08-04 東レ株式会社 電界緩和材料
JP3286681B2 (ja) * 1991-10-01 2002-05-27 東ソー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3011190A1 (en) * 1991-11-26 1993-06-10 Allied-Signal Inc. Polymer nanocomposites formed by melt processing of a polymer and an exfoliated layered material derivatized with reactive organo silanes
WO1995006090A1 (en) 1993-08-23 1995-03-02 Alliedsignal Inc. Polymer nanocomposites comprising a polymer and an exfoliated particulate material derivatized with organo silanes, organo titanates and organo zirconates dispersed therein and process of preparing same
US5494955A (en) * 1994-04-08 1996-02-27 Columbian Chemicals Company Use of silane coupling agent with carbon black to enhance the balance of reinforcement properties of rubber compounds
US5605982A (en) 1995-10-12 1997-02-25 Dow Corning Corporation Sheet and tube siloxane polymers
JPH09295809A (ja) 1996-02-26 1997-11-1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粘土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7043343A1 (fr) * 1996-05-13 1997-11-20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contenant un composite a base d'arg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JP3665192B2 (ja) * 1996-12-20 2005-06-29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US6210614B1 (en) * 1997-06-16 2001-04-03 Atoma International Inc. Process of making decorative automotive interior trim articles with cast integral light-stable covering containing invisible tear seam
EP1026203B1 (en) * 1997-10-30 2004-09-08 Kaneka Corporation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4205223B2 (ja) 1998-10-20 2009-01-07 一幸 黒田 多孔質層状珪酸及びその製造方法
US6384121B1 (en) * 1998-12-07 2002-05-07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meter/clay nanocomposite comprising a functionalized polymer or oligomer and a process for preparing same
JP2000355640A (ja) * 1999-04-12 2000-12-26 Sekisui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複合材料
JP4951167B2 (ja) 1999-09-24 2012-06-1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生分解性樹脂組成物
WO2002079275A1 (fr) * 2001-03-29 2002-10-10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Resine composite a base de polyolefine, son procede de preparation, procede et catalyseur de polymerisation d'un compose de vinyle
JP2002338796A (ja) 2001-05-21 2002-11-27 Teijin Ltd 生分解性ガスバリア材料
JP2002348414A (ja) * 2001-05-23 2002-12-04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複合樹脂及びその製造法
JP2003113326A (ja) * 2001-10-04 2003-04-18 Sekisui Chem Co Ltd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2003221209A (ja) 2002-01-30 2003-08-0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メソ多孔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着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6869985B2 (en) * 2002-05-10 2005-03-22 Awi Licensing Company Environmentally friendly polylactide-based composite formulations
US20040024102A1 (en) * 2002-07-30 2004-02-05 Hayes Richard Allen Sulfonated aliphatic-aromatic polyetherester films, coatings, and laminates
JP2005068262A (ja) * 2003-08-22 2005-03-17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複合樹脂および複合樹脂組成物
CN100564183C (zh) * 2004-06-10 2009-12-02 尤尼吉可株式会社 生物降解性的隔气容器及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6461B (zh) 2011-06-15
US20070093588A1 (en) 2007-04-26
JP4570864B2 (ja) 2010-10-27
US7973102B2 (en) 2011-07-05
TW200528513A (en) 2005-09-01
EP1688464A4 (en) 2010-05-19
EP1688464A1 (en) 2006-08-09
CN1886461A (zh) 2006-12-27
JP2005154553A (ja) 2005-06-16
WO2005052062A1 (ja) 200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4345B2 (ja) 成形体用の生分解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ES2868096T3 (es) Material plástico desoxigenante
EP1697461B1 (en) Polymer blends with improved notched impact strength
EP1858978B1 (en) 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
JP5305590B2 (ja) ポリ乳酸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得られる成形体
US7981957B2 (en) Biodegradable gas barrier contain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60100449A (ko)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체
CN101535402A (zh) 含有有色的再循环的聚酯的不透明容器
US20060141183A1 (en) Polyester clay nanocomposites for barrier applications
WO2006118096A1 (ja) 生分解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製造方法
CN103097445A (zh) 包含用改性层状硅酸盐增强的聚乳酸的聚合物纳米复合物
JP4342159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難燃性成形体
US7015269B1 (en) Biodegradable,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CN101155873A (zh) 具有高尺寸稳定性的聚酯组合物
JP2008069236A (ja) 樹脂添加剤及びこれを含む樹脂組成物
Swain et al. Polymer-based bionanocomposites for future packaging materials
JP2006077059A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JP2007332205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用フィルム
KR100516439B1 (ko) 광택성이 향상된 폴리에틸렌 용기
TW201030088A (en)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A2314871A1 (en) Process for producing containers from polymer/particl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