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580A - 차량용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580A
KR20060090580A KR1020060009919A KR20060009919A KR20060090580A KR 20060090580 A KR20060090580 A KR 20060090580A KR 1020060009919 A KR1020060009919 A KR 1020060009919A KR 20060009919 A KR20060009919 A KR 20060009919A KR 20060090580 A KR20060090580 A KR 2006009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door
pull
bel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3576B1 (ko
Inventor
마르틴 페르손
안데르스 함메르
Original Assignee
휘브너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휘브너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휘브너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6009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15/106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railway-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05F15/64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allowing or involving a secondary movement of the wing, e.g. rotational or trans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2015/107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track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Y2201/236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using force or torque
    • E05Y2201/238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using force or torque reaction force or torqu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8Back-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3Single use of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버스 또는 레일 차량과 같은 차량용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어 개구 내부에서 외판과 동일한 높이로 존재하며, 상기 하나의 도어 플랩(26a)이 개방 위치에서는 외측에서 차량 벽 앞에 있고, 상기 위치에서 도어 개구를 릴리스 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이 캐리지(3)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리지(3)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을 위한 종방향 가이드 부재(21)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3)가 도어 개구 내부의 헤드 영역에 조립용 플레이트(2)에 의해서 차량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캐리지를 차량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도 구동부(26)가 제공되며, 상기 구동부(10)가 하나의 모터(11) 및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의 체인- 또는 벨트 구동부(14)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14)가 전동 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장치(40)는 캐리지(3)를 당기는 동작 동안에는 상기 당기는 동작이 느리지만 높은 토크에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당기는 동작이 종료된 후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의 측면 동작이 당기는 동작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지만 보다 낮은 토크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DRAW-PUSH DOOR-SYSTEM FOR A VEHICLE}
도 1은 폐쇄 위치에서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캐리지는 당겨지고 도어 플랩은 개방된 상태에서의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개방 위치에서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을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저면도;
도 3a는 도 3의 선 IIIa-IIIa를 따라 절단한 측면도;
도 4는 폐쇄 위치에서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을 도 3에 따른 시각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4a는 도 4의 선 IVa-IVa를 따라 절단한 개략도;
도 5는 벨트 구동 장치의 일부분의 대체 모형도.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flap)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버스 또는 레일 차량과 같은 차량용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어 개구 내부에서 외판과 동일한 높이로 존재하며, 상기 하나의 도어 플랩이 개방 위치에서는 외측에서 차량 벽 앞에 있고, 상기 위치에서 도어 개구를 릴리스 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은 캐리지(carriage)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을 위한 종방향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는 도어 개구 내부의 헤드 영역에 조립용 플레이트에 의해서 차량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캐리지를 차량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밀기 위해서도 구동부가 제공되며, 상기 구동부는 하나의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의 체인- 또는 벨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미닫이 도어는 선행 기술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EP 0 517 334호에는 차량용의 선회 미닫이 도어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시스템에서는 도어 개구의 헤드 영역에 설치된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 차량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움직일 수 있는 캐리지가 제공되며, 이 경우 상기 캐리지는 하나의 도어 플랩을 수용한다. 차체의 종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기 캐리지를 움직이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플랩을 움직이기 위해서도 구동부가 제공되는데, 상기 구동부는 캐리지 또는 도어 플랩과 연결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은 선회 미닫이 도어의 경우에는 구동부가 캐리지에 의해서 출발하지 않는다.
EP 0 820 889호에 따른 차량용 선회 미닫이 도어 시스템은 아주 다르게 기술하고 있다. 상기 간행물에서는, 조립용 플레이트와 동일하게 취급될 프레임이 제 공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조립 상태에서는 차량과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립용 프레임은 차량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움직일 수 있는 캐리지를 수용하며, 이 경우 도어 플랩의 동작을 위한 구동 모터는 상기 캐리지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WO 02/42105호에는 캐리지가 제공된 당겨서 미는 도어가 공지되어 있으며, 캐리지 상에 배치되어 있는 도어 플랩을 차량 벽 앞에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지는 헤드 영역의 도어 개구 상에서 차량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이동 가능하다. 가로 동작이 종료된 후에는, 도어 플랩을 차량의 종축과 평행하게 미는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때 도어 개구가 릴리스 된다. 이 경우에는, 구동부가 캐리지의 구성 부분이다. 캐리지 상에 배치된 상기 구동부는 한편으로는 캐리지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량의 종축과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플랩의 개방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지를 당기기 위하여, 도어 플랩의 종방향 동작을 위한 구동부의 반동력이 캐리지를 당기는 동작 동안에 이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공지된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에서는 -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 구동부가 캐리지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 상태는 결코 낮지 않은 전체 높이를 전제로 한다.
EP 1 488 977 A1호에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의 경우에는,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구동부가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당기는 동작이 이루어진 다음에 차량 벽과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상기 적어 도 하나의 도어 플랩의 종방향으로 미는 동작도 야기한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 동안에 구동부는 벨트 구동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특히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에 대하여 가로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배치 상태는 재차 상기 벨트 구동부가 조립용 플레이트가 상에 고정 배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캐리지를 차량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당기는 동작을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을 차량 종축과 평행하게 밀 때보다 높은 토크를 구동 모터가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선행 기술에서는, 구동 모터를 상응하게 전자식 또는 전기식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는 캐리지를 당기는 동작 동안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을 미는 경우보다 높은 토크에서 더욱 느리게 주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모터의 조절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비싸며, -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난 바와 같이 - 외부 간섭에 민감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비교적 높은 토크에서는 캐리지의 느리게 당기는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비교적 낮은 토크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의 신속하게 미는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가 전동 장치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전동 장치는 캐리지를 당기는 동작 동안에는 상기 당기는 동작이 느 리지만 높은 토크에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당기는 동작이 종료된 후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의 측면 동작이 당기는 동작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지만 보다 낮은 토크에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상기 전동 장치에 의해서는 모터 회전수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당기는 동작 동안에는 상기 캐리지의 속도가 도어 개구를 릴리스 하기 위한 측면 이동 동안에 이루어지는 도어 플랩의 동작보다 비교적 느리다는 것이 명백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전동 장치에 의해서는,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 동안에는 토크가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을 미는 경우보다 비교적 높아지게 된다.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의 구성 부품인 전동 장치는 호이스트 장치의 방식에 따라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장점들은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전동 장치는 캐리지에 배치된,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를 위한 단부측 압력 롤러를 구비한 암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상기 암이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압력 롤러가 수직 축을 통과하는 상기 암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체인- 또는 벨트 구동부는 EP 1 488 977 A1호에 따른 선행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진행하지 않고, 오히려 상기 암이 연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상기 암을 포함하는 전동 장치가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과 평행하게 진행한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이미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전동 장치는 호이스트 장치의 방식에 따라 작용하며, 이와 같은 내용이 의미하는 것은,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를 방향 전환하기 위한 압력 롤러가 호이스트 장치를 방향 전환하기 위한 압력 롤러라는 사실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의 벨트 또는 체인을 압력 롤러의 방향으로 가이드 하기 위하여, 암의 영역에서 암의 양면에는 각각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에 이웃하여 배치된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는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배치 상태가 의미하는 것은,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에서는 상기 암에 고정된 압력 롤러가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밀려진다는 것이다. 그와 달리, 암에 고정된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는 캐리지를 당기는 동작 중에 상기 암에 의해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
캐리지는 양단부에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를 위한 각각 하나의 인장 롤러(tension roller)를 포함한다. 즉, 벨트 구동부는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께 당겨진다. 그러나 이때에는 상기 제 1 인장 롤러와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를 위한 구동 장치 사이에 방향 전환 롤러가 제공되며, 이 경우 상기 방향 전환 롤러는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의 추가 부분은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 계속해서 고정된다. 다시 말해, 캐리지에 의해서 출발하지 않는다.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는 벨트 또는 체인을 상기 피니언 기어에 압착하기 위하여 압착 롤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은, 실제로 슬립핑(slipping) 없는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미 다른 장소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의 원리는, 구동 장치에 의해서는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도어 개구를 릴리스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도어 플랩의 미는 동작도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토대로 하고 있다. 캐리지는 조립용 플레이트에 의하여,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레일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레일은 도브테일 가이드부(dovetail guide)의 방식에 따라 형성되었다. 다시 말해, 레일은 캐리지가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당기는 동작 중에 캐리지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링크가 제공되며, 이 경우 캐리지는 커넥팅 링크에 의한 가이드를 위하여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커넥팅 링크는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서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커넥팅 링크는 캐리지의 가이드 부재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비스듬하게 진행하는 슬롯(slot)을 포함한다. 캐리지를 차량의 종축 방향으로 당기는 동작 동안에 커넥팅 링크가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는 사실과 연관하여, 상기 캐리지가 차량의 종축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직으로 출발한다는 사실이 나타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또한 커넥팅 링크의 슬롯이 단부 측에 차량의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푸트(foot)를 포함하며, 이 경우 캐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부재가 단부 측에서 푸트 내부에 인접한다. 그럼으로써, 캐리지의 구동 장치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로킹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미 다른 장소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커넥팅 링크 가이드부는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 상태에 의해서는, 상세 하게 설명하자면,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 차량의 종축과 평행하게 레일이 제공되며, 상기 레일 상에 커넥팅 링크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구동 장치는 특히 차량 종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와 같은 이동 가능성은 구동 모터가 커넥팅 링크 상에, 즉 최종적으로는 레일 상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이 또한 커넥팅 링크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성취된다.
더 나아가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종동부를 포함하며, 이 경우 각각의 종동부는 각각 하나의 도어 플랩과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의 동작 중에 캐리지가 당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종동부에 의하여 도어 플랩이 측면에서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이한 장점에 따라, 조립용 플레이트 상에는 캠 트랙(cam track)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캠 트랙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에 설치된 캠이 결합된다. 상기 캠 트랙은 당기는 동작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 1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의 동작과 평행하게 정렬된 제 2 섹션이 연결되며, 이 경우 상기 제 2 섹션은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 방향으로 제 1 섹션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아래의 내용을 배경으로 한다:
이미 다른 장소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캐리지를 당기기 위한 토크는 도어 개구를 릴리스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2개의 도어 플랩을 차량의 종축과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토크보다 크다. 캐리지가 출발한 후에 비로소 도어 플랩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올바르다. 그때 비로소 2개의 도어 플랩이 노출된다. 도어 플랩을 미는 경우의 적은 토크로 인해 벨트- 또는 체인 구동 장치에서 도어 플랩을 직접 당기려고 시도함으로써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조차 예상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캠 트랙에 의한 도어 플랩의 측방 이동이 캐리지를 당기는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차단되는 방식이 제공된다. 캠이 캠 트랙에 있는 섹션, 즉 캐리지를 당기는 동작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섹션을 떠났고, 종축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섹션의 영역에 상기 캠 트랙이 도달된 후에 비로소, 다시 말해 캐리지가 당겨진 경우에 비로소, 구동 장치에 의하여 바람직하게는 2개의 도어 플랩이 차량의 종축과 평행하게 밀려지게 된다. 그 결과, 폐쇄 위치에서의 도어의 차단은, 가이드 부재의 푸트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부재와 연결된 커넥팅 링크에 의해서 실행될 뿐만 아니라, 실제로는 최종적으로 웨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과 연결된 캠을 구비한 캠 트랙을 형성함으로써도 실행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예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로 표기된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은 조립용 플레이트(2)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3)으로 표기된 캐리지가 화살표(4)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3 및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립용 플레이트(2)는 상호 평행하게 진행하는 2개의 가이드 레일(5)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서는 캐리지(3)가 화살표(4)에 따른 당기는 동작 방향으로 가이드 될 뿐만 아니라, 정지되기도 한다; 그 경우에는 상기 레일(5)이 도브테일 가이드부의 방식에 따라 형성된다.
차량의 종축과 평행하게, 다시 말해 캐리지를 당기는 동작의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조립용 플레이트(2)가 추가의 레일(6)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6) 상에는 도면 부호 (7)로 표기된 커넥팅 링크가 화살표(8)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7)는 화살표(4)에 따라 당기는 동작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진행하는 슬롯(7a)을 구비하며, 상기 슬롯은 단부측에 차량의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푸트(7b)를 포함한다. 도어가 폐쇄된 상태, 즉 캐리지가 움직인 상태에서는, 상기 캐리지(3)의 가이드 부재(3a)가 단부측에서 커넥팅 링크(7)의 슬롯(7a)의 푸트(7b) 내부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푸트(7b) 내에서의 상기 가이드 부재(3a)의 위치는 도어 플랩을 위한 또는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을 위한 로킹 방식에 따라서 작용한다.
커넥팅 링크(7)에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표기된 구동부가 존재한다. 상기 구동부(10)는 피니언 기어(12)를 갖춘 모터(11) 및 압착 롤러(13)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 롤러(13)에 의해서는, 특히 톱니 벨트 구동부로서 형성된 벨트 구동부(14)가 피니언 기어(12) 상에서 높은 벨트 콘택 각(angle of belt contact)을 형성한다. 상기 구동부(10)가 커넥팅 링크(7)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는 차량의 종축과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미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부(10)의 모터(11)는 벨트 구동부(14)를 구동시킨다. 벨트 구동부(14)는 부분적으로 캐리지(3)에 지지된다. 이 목적을 위해, 캐리지(3)는 제 1 및 제 2 인장 롤러(15 및 16)를 포함하며, 이 경우 구동부(10) 앞에는 추가의 방향 전환 롤러(17)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방향 전환 롤러는 제 1 인장 롤러(15)로부터 구동부(10)의 피니언 기어(12)까지 이루어지는 각 형태의 방향 전환을 보증한다.
벨트 구동부(14)는 2개의 종동부(20)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종동부(20)는 최종적으로 도어 플랩을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종방향 가이드 부재(2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종방향 가이드 부재(21)는 도브테일 형태로 형성된 레일로서, 상기 레일에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어 플랩(26a)이 링크되어 있다.
조립용 플레이트(2) 상에는 또한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30)으로 표기된 캠 트랙이 존재한다. 상기 캠 트랙(30)은 2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제 1 섹션은 캐리지(3)를 당기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 경우 상기 섹션(31)에는 차량의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섹션(32)이 연결된다. 상기 캠 트랙(30)에서는 캠(35)이 가이드 되며, 이 경우 상기 캠(35)은 웨브(36)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 또는 종방향 가이드 부재(21)와 연결되어 있다(도 3).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능 방식은 아래와 같다:
도 1에 따른 출발 상태에서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3)으로 표기된 캐리지가 폐쇄 위치에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 부재(3a)가 커넥팅 링크(7)의 슬롯(7a)의 푸트(7b) 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캠(35)이 캠 트랙(30)의 섹션(31) 내부에 있다. 이때 모터(11)가 작동되면, 벨트 구동부(14)가 동작을 개시한다. 캠(35)이 캠 트랙(30)의 섹션(31) 내부에 있다는 사실로 인해 벨트 구동부(14)가 도어 플랩을 개방할 수 없기 때문에, 형성되는 반응 모멘트를 근거로 캐리지가 출발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가이드 부재(3a)가 도 2에 따른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가이드 부재(3a)가 커넥팅 링크(7)의 슬롯(7a)을 따라 진행한다. 이 순간, 가이드 캐리지가 빼내지고, 종방향 가이드 부재(21)에 배치된 도어 플랩은 측면에서 도어 개구를 릴리스할 목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 부분은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40)으로 표기된 전동 장치의 배열 상태이다. 상기 전동 장치는 우선 방향 전환 암(41)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향 전환 암은 캐리지의 당기는 동작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캐리지(3)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향 전환 암(41)은 단부측에서 압착 롤러(42)를 향하고 있으며, 상기 압착 롤러 둘레에서 벨트 구동부(14)가 가이드 된다. 방향 전환 암(41)의 양면에는, 제 1 가이드 롤러(45) 및 제 2 가이드 롤러(46)가 존재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46)는 방향 전환 암(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반면, 상기 가이드 롤러(45)는 조립용 플레이트(2) 상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 롤러(46)는 암에 의해서 움직이는 반면, 압착 롤러(42)는 캐리지(3)가 움직일 때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4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특히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벨트 구동부가 상기 가이드 롤러(45) 위로 감긴다. 방향 전환 암(41)의 상기 측면에서 감기는 벨트의 길이는, 방향 전환 롤러(17)와 제 1 인장 롤러(15)(도 2) 사이에서 벨트가 연장되는 만큼의 벨트 길이에 상응한다. 이때 중요한 사항은, -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 캐리지를 당기는 동작 중에는 도어 플랩 자체가 이동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종동부(20)가 정지해 있다는 것이다. 상기 종동부(20)는 도 1 및 도 2에서 방향 전환 암(21)의 우측에 존재한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가 의미하는 것은, 캐리지를 당기는 동안에 이루어지는 벨트 구동부(40)의 미는 동작이 다만 방향 전환 암(41)과 본 경우에는 특히 압착 롤러(42) 및 제 1 인장 롤러(15) 사이의 영역에서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벨트 구동부가 정지 상태에 있게 된다. 캐리지를 당기는 동작 동안에는, 이미 다른 장소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터(11)의 피니언 기어의 속도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도어 플랩의 미는 동작보다 느린 속도에서 당기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내용은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벨트 구동부(14)가 방향 전환 암의 우측에서 정지해 있기 때문에, 상기 방향 전환 암(41)과 제 1 인장 롤러(15) 사이에 있는 섹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벨트 구동부(14)의 기능은 도 5에 기술된 바와 같은 호이스트 장치의 방식에 따라 기술된다. 가이드 롤러(46)가 방향 전환 암(4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캐리지에 의해서 움직인다는 내용은 다른 장소에서 이미 언급되었다. 다시 말해, 방향 전환 롤러(46)와 압착 롤러(42) 사이의 간격(X1)은 언제나 동일하다. 물론, 압착 롤러(42)와 가이드 롤러(45) 사이의 간격(X2)은 변동된다. 상기 간격은 캐리지가 출발된 상태에서는 거의 0이 된다. 따라서, 캐리지(3)의 출발 동작 동안에는 속도가 감소하는데, 그 이유는 압착 롤러가 다만 상기 경로(X2)만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경우 회전 롤러에 작용하는, 캐리지를 당기기 위한 파워는 확대된다. 당기는 동작이 종료된 후에는, 전체 벨트 구동부(14)가 작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벨트 구동부가 각각의 위치에서 동일한 속도를 갖는다.
캐리지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다만 후방으로의 조치만이 고려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캐리지(3)가 움직일 때 종방향 가이드 부재(21)를 통해 도어 플랩을 삽입한 후에는 벨트 구동부(14)가 다만 압착 롤러(42)와 제 1 인장 롤러(15) 사이에서 만 움직이게 된다. 이 경우에는 재차 호이스트 장치의 원리에 따라, 캐리지가 더욱 높은 파워에서 삽입될 때에는 속도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비교적 높은 토크에서는 캐리지의 느리게 당기는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비교적 낮은 토크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의 신속하게 미는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버스 또는 레일 차량과 같은 차량용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1)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어 개구 내부에서 외판과 동일한 높이로 존재하며, 상기 하나의 도어 플랩(26a)이 개방 위치에서는 외측에서 차량 벽 앞에 있고, 상기 위치에서 도어 개구를 릴리스 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이 캐리지(3)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리지(3)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을 위한 종방향 가이드 부재(21)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3)가 도어 개구 내부의 헤드 영역에 조립용 플레이트(2)에 의해서 차량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캐리지를 차량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도 구동부(26)가 제공되며, 상기 구동부(10)가 하나의 모터(11) 및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의 체인- 또는 벨트 구동부(14)를 포함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14)가 전동 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장치(40)는 캐리지(3)를 당기는 동작 동안에는 상기 당기는 동작이 느리지만 높은 토크에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당기는 동작이 종료된 후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의 측면 동작이 당기는 동작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지만 보다 낮은 토크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장치(40)가 캐리지(3) 상에 배치된, 상기 캐리지(3)를 당기는 동작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암(41)을 포함하고, 상기 암이 단부측에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14)를 위한 압착 롤러(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암(41)의 영역에서 상기 암(41)의 양면에는, 상기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14)를 위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 롤러 및 제 2 가이드 롤러(45, 4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에 인접 배치된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45)가 조립용 플레이트(2)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46)가 상기 암(41)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3)의 양 단부면에 상기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14)를 위한 제 1 및 제 2 인장 롤러(15, 1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장 롤러(15)와 상기 벨트- 또는 체인 구동부(14)를 위한 구동부(10) 사이에 방향 전환 롤러(17)가 제공되며, 상기 방향 전환 롤러(17)가 조립용 플레이트(2)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가 모터(11)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12)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 구동부(14)의 벨트 또는 체인을 압착하기 위한 압착 롤러(13)가 상기 피니언 기어(12)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플레이트(2) 상에는 당기는 동작 중에 상기 캐리지(3)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링크(7)가 제공되며, 상기 캐리지(3)가 상기 커넥팅 링크(7)를 통한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 부재(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7)가 캐리지(3)를 당기는 동작의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조립용 플레이트(2)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7)가 캐리지(3)를 당기는 동작의 방향으로 향하는, 비스듬하게 진행하는 슬롯(7a)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단부측에서 차량의 종축 방향으로 향하는 푸트(7b)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7a)이 상기 캐리지(3)의 가이드 부재(3a)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7)가 조립용 플레이트(2) 상에 배치된 레일(6)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가 차량 종축의 방향으로(화살표 (8))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가 커넥팅 링크(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또는 벨트 구동부(14)가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종동부(21)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플레이트(2) 상에 캠 트랙(3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캠 트랙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어 플랩(26a)에 설치된 캠(35)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트랙(30)이 당기는 동작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 1 섹션(31)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플랩(26a)의 동작과 평행하게 정렬된 제 2 섹션(32)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32)은 상기 캐리지(3)를 당기는 동작의 방향으로(화살표 (4)) 상기 제 1 섹션(3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KR1020060009919A 2005-02-09 2006-02-02 차량용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KR100853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05802.7 2005-02-09
DE102005005802A DE102005005802B3 (de) 2005-02-09 2005-02-09 Ausstellschiebetürsystem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580A true KR20060090580A (ko) 2006-08-14
KR100853576B1 KR100853576B1 (ko) 2008-08-21

Family

ID=3628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919A KR100853576B1 (ko) 2005-02-09 2006-02-02 차량용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690713B8 (ko)
JP (1) JP4511457B2 (ko)
KR (1) KR100853576B1 (ko)
CN (1) CN100577979C (ko)
AT (1) ATE423696T1 (ko)
DE (2) DE102005005802B3 (ko)
PL (1) PL1690713T3 (ko)
RU (1) RU234768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0459B4 (de) * 2006-07-01 2011-05-05 Daimler Ag Schwenk-Schiebe-Mechanismus für eine Fahrzeugtür
KR200448568Y1 (ko) 2008-01-22 2010-04-26 오문근 철도차량의 객차용 도어
ES2390717B1 (es) * 2009-11-24 2013-10-03 Masats, S.A. Mecanismo para realizar el cierre y la apertura de una hoja de puerta oscilocorredera (swinging-sliding)
US9234979B2 (en) 2009-12-08 2016-01-12 Magna Closures Inc. Wide activation angle pinch sensor section
US8493081B2 (en) 2009-12-08 2013-07-23 Magna Closures Inc. Wide activation angle pinch sensor section and sensor hook-on attachment principle
CN102817521A (zh) * 2012-08-21 2012-12-12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客车车辆门无立柱开关门机构
FR3003887B1 (fr) 2013-03-29 2015-07-03 Faiveley Transp Tours Dispositif de deplacement d'au moins un vantail de porte, vehicule ainsi pourvu et procede associe
CN103266826A (zh) * 2013-06-06 2013-08-28 江苏申阳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电控电动车门传动锁闭二合为一的装置
CN103266825B (zh) * 2013-06-06 2015-03-25 江苏申阳电梯部件有限公司 电控电动车门减热降噪增速系统
CN104912426A (zh) * 2014-03-14 2015-09-16 林会明 塞拉门的新型转换机构
CN105089404B (zh) * 2014-05-22 2017-06-06 盖伯.伯德有限两合公司 用于至少车辆一个门扇的车门驱动装置
CN106193884B (zh) * 2015-04-24 2017-09-26 盖伯.伯德有限两合公司 带伸缩门扇的门扇驱动装置
DE202016001776U1 (de) * 2016-03-18 2017-06-21 Gebr. Bode Gmbh & Co. Kg Zahnriemenantrieb mit Kraftmitnehmern
US11447994B2 (en) 2016-11-11 2022-09-20 Gebr. Bode Gmbh & Co. Kg Drive device for an element to be driven
CN107415656B (zh) * 2017-05-14 2019-10-01 王守道 一种车门滑道自动挡板
CN113853472B (zh) * 2019-05-20 2023-06-16 西屋气动刹车技术公司 车门操作器系统
RU2726297C1 (ru) * 2019-09-09 2020-07-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амоции Пневматика" Механизм привода сдвижной двери
CN110792351A (zh) * 2019-10-31 2020-02-14 广东图特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弧形导轨组件、导向机构和平趟门装置
DE102021117684A1 (de) 2021-07-08 2023-01-12 Bode - Die Tür Gmbh Schwenkschiebetür, Fahrzeug mit einer Schwenkschiebetür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Schwenkschiebetü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4040A (en) * 1966-08-05 1968-12-03 New Castle Products Inc Folding partitions and operators therefor
US4330960A (en) * 1979-12-18 1982-05-25 Dorma-Baubeschlag Gmbh & Co. Kg. Closing arrangement for sliding doors and the like
DE3816175A1 (de) * 1988-05-11 1989-11-23 Bode & Co Geb Schwenkschiebetuer fue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 kraftfahrzeug
NL9100951A (nl) * 1991-06-03 1993-01-04 Tbl Beheer Bv Zwenkschuifdeurstelsel voor een voertuig.
US5378036A (en) * 1992-07-13 1995-01-03 Townsend; John A. Sliding automobile door
DE4331078A1 (de) * 1993-09-13 1995-03-16 Bode & Co Geb Vorrichtung zur Bewegung einer Schwenkschiebetür für Fahrzeuge zur Personenbeförderung,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e
DE19538482C1 (de) * 1995-10-17 1997-02-06 Dorma Gmbh & Co Kg Hydraulischer Servotürschließer
NL1003674C2 (nl) * 1996-07-24 1998-01-28 Sab Wabco B V Zwenkschuifdeurstelsel voor een voertuig.
TR199701164A2 (en) * 1996-10-21 1998-06-22 Ife Industrie-Einrichtungen Fertigungs Aktiengesellschaft Ara�lar i�in s�rg�l� kap�.
AT405155B (de) * 1997-04-28 1999-06-25 Ife Gmbh Schwenkschiebetür für fahrzeuge
DE19735181C2 (de) * 1997-08-14 2001-11-15 Webasto Tuersysteme Gmbh Schwenkschiebetür für Fahrzeuge
DE19754843A1 (de) * 1997-12-10 1999-06-24 Bosch Gmbh Robert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zwischen Endstellungen bewegbares Teil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6539669B1 (en) * 2000-09-14 2003-04-01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Plug door drive system
SE517947C2 (sv) * 2000-11-21 2002-08-06 Safenet I Harads Ab Manövreringsmekanism för fordonsdörr
ES2279241T3 (es) * 2003-06-21 2007-08-16 Hubner Gmbh Sistema de puerta corredera extensible para un vehicul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47688C2 (ru) 2009-02-27
ATE423696T1 (de) 2009-03-15
RU2006103658A (ru) 2007-08-20
PL1690713T3 (pl) 2009-08-31
EP1690713A2 (de) 2006-08-16
CN100577979C (zh) 2010-01-06
DE102005005802B3 (de) 2006-06-14
EP1690713B8 (de) 2009-06-03
JP4511457B2 (ja) 2010-07-28
KR100853576B1 (ko) 2008-08-21
DE502005006687D1 (de) 2009-04-09
JP2006219973A (ja) 2006-08-24
CN1818311A (zh) 2006-08-16
EP1690713B1 (de) 2009-02-25
EP1690713A3 (de)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576B1 (ko) 차량용의 당겨서 미는 도어 시스템
EP0464720B1 (en) Drive device of slide door
US5316365A (en) Sliding door closed loop cable closure system with balanced cable tension and varying diameter pulleys
AU2002215295B2 (en) Vehicle door operating mechanism
CN106114151B (zh) 用于机动车车窗玻璃的遮光装置
US9945170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O2013031553A1 (ja) 車両用ドア装置
EP1398449A1 (en) Ceiling actuator for up-and -over and sectional doors
US7866731B2 (en) Power sliding door having a linear drive mechanism
JP3186548B2 (ja) 車両オートスライドドア
JP2022532672A (ja) 家具部分の移動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カム装置
JP2000176784A (ja) 工作機械におけるスプラッシュカバーの開閉装置
JP2009057773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20170017260A (ko) 자동차 도어 슬라이딩 자동 개폐장치
KR200342758Y1 (ko)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개폐장치
EP3634899B1 (en) Device for actuating elevator doors
JPH0420073B2 (ko)
JP3672779B2 (ja) スライドドアの駆動装置
JP3921028B2 (ja) エレベーターの可動式ドア係合装置
KR20140042173A (ko)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JP2007009515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EP2127929B1 (en) Sliding door closer for vehicles
KR20030041670A (ko) 자동 도어 및 그것의 제어 장치
JP2009046920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3391043B2 (ja) サンルー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