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014A - 가스 곤로 - Google Patents

가스 곤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014A
KR20060088014A KR1020050131609A KR20050131609A KR20060088014A KR 20060088014 A KR20060088014 A KR 20060088014A KR 1020050131609 A KR1020050131609 A KR 1020050131609A KR 20050131609 A KR20050131609 A KR 20050131609A KR 20060088014 A KR20060088014 A KR 2006008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main body
opening
furnac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야스 사토
요시히로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8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과제) 곤로 본체(1)의 상면을 덮는 상판(2)에 형성한 버너용 개구(221)에 하류단부를 위치시킨 혼합관(30)과, 버너용 개구보다 큰 직경으로 상판 상에 노출되는 버너 본체(31)를 가지며, 버너 본체의 하면 중앙부에 돌출 형성한 유입용 통형상부(32a)를 혼합관의 하류단부에 끼워맞춰지게 하고, 혼합관으로부터 버너 본체에 혼합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버너(3)를 구비하는 가스 곤로에 있어서, 버너 본체의 하면과 상판 사이의 틈을 통해서 곤로 본체 내에 연소용 1차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버너 본체의 기울어짐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생산성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상판(2)의 버너용 개구(221)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버너 본체(31)의 기울어짐을 버너 본체(31)의 하면에 맞닿아서 저지하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부(225)를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복수개 형성한다. 그리고, 이들 돌기부(225,225)간의 간격에 의해 구성되는 통기부(227)를 통해서 곤로 본체(1) 내에 연소용 1차 공기를 도입한다.

Description

가스 곤로{GAS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가스 곤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스 곤로의 요부의 절단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가스 곤로의 국물받이접시의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곤로 본체 2 - 상판
21 - 상판 본체 211 - 개구부
22 - 국물받이접시 221 - 버너용 개구
225 - 돌기부 226 - 버링부(burring part)
227 - 통기부 3 - 가스 버너
30 - 혼합관 31 - 버너 본체
32a - 유입용 통형상부
본 발명은 가스 버너를 가지는 가스 곤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버너의 버너 본체가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는 상판 상에 노출되는 가스 곤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판에 형성한 버너용 개구에 하류단부를 위치시킨 혼합관과, 버너용 개구보다 큰 직경으로 상판 상에 노출되는 버너 본체를 가지며, 버너 본체의 하면 중앙부에 돌출형성한 유입용 통형상부를 혼합관의 하류단부에 끼워맞춰지게 하고, 혼합관으로부터 버너 본체에 혼합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가스 버너를 구비하는 가스 곤로는 알려져 있다.
또 이와 같은 가스 곤로를 시스템 키친의 카운터 톱에 삽입하도록 해서 배치하는 드롭 인식 곤로로 구성하는 경우, 곤로 본체의 주위에서 곤로 본체 내로 충분히 공기를 공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상판에 버너 본체의 하면과 상판 사이의 틈을 통해서 곤로 본체 내에 연소용 1차 공기를 도입하는 통기부를 형성한 것도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것에서는, 버너 본체의 하면에 대향되는 상판의 부분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관통구멍에 의해서 통기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버너 본체의 하면과 상판 사이의 틈을 통해서 곤로 본체 내에 연소용 1차 공기를 도입하도록 통기부를 형성하는 것은, 끓어넘친 국물이 통기부를 통해서 곤로 본체 내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상기 버너 본체는 혼합관에 의해 유입용 통형상부를 통해서 지지되고 있다. 그러나, 버너 본체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유입용 통형상부를 혼합관의 하류단부에 꼭 끼워맞춰지게 할 수 없어 버너 본체가 기울어지기 쉬워진다. 이 경우, 버너 본체의 하면에 상판에 맞닿는 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버너 본체의 기울어짐을 저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에서는 혼합관에 대한 끼워맞춤면이 되는 유입용 통형상부의 외주면의 기계가공에 있어서 돌기가 방해가 되어 성가시게 되고, 또 버너 본체를 주조하는 경우, 돌기가 주물 표면 그대로이면 돌기의 높이 정밀도를 낼 수 없기 때문에, 돌기의 기계가공도 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나빠진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2003-148735호(단락 0024, 도 10)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버너 본체의 하면과 상판 사이의 틈을 통해서 곤로 본체 내에 연소용 1차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버너 본체의 기울어짐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스 곤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스 버너를 구비하는 가스 곤로로서, 가스 버너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는 상판에 형성한 버너용 개구에 하류단부를 위치시킨 혼합관과, 버너용 개구보다 큰 직경으로 상판 상에 노출되는 버너 본체를 가지며, 버너 본체의 하면 중앙부에 돌출형성한 유입용 통형상부를 혼합관의 하류단부에 끼워맞춰지게 하고, 혼합관으로부터 버너 본체에 혼합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판에 버너 본체의 하면과의 사이의 틈을 통해서 곤로 본체 내에 연소용 1차 공기를 도입하는 통기부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판의 버너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버너 본체의 기울어짐을 버너 본체의 하면에 맞닿아서 저지하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복수개 형성되고, 이들 돌기부간의 간격에 의해 상기 통기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의 버너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형성한 돌기부에 의해서 버너 본체의 기울어짐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버너 본체의 하면에 기울어짐 방지용의 돌기를 돌출형성할 필요가 없어, 버너 본체의 유입용 통형상부의 외주면의 기계가공을 돌기에 의한 방해를 받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버너 본체의 하면에 돌기를 돌출형성할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주조 후의 돌기의 기계가공도 불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버너 본체의 하면과 상판 사이의 틈으로부터 돌기부간의 간격에 의해 구성되는 통기부를 통해서 곤로 본체 내에 연소용 1차 공기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드롭 인식 가스 곤로 등에서 곤로 본체 내에 그 주위로부터 충분히 공기를 공급할 수 없더라도, 1차 공기 부족에 의한 연소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상판을 버너 본체의 배치부에 맞추어서 형성한 버너 본체보다 큰 직경의 개구부를 가지는 상판 본체와, 이 개구부에 장착되는 국물받이접시로 구성하고, 국물받이접시에 버너용 개구를 형성하는 경우, 버너용 개구에서 끓어넘친 국물이 곤로 본체 내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너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 에 상방으로 굴곡되는 버링부를 형성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리고, 이 버링부의 상단부에서 각 돌기부를 상방으로 일체시켜서 연장시켜 두면, 돌기부의 형성에 의한 비용상승을 회피할 수 있어 유리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시스템 키친의 카운터 톱에 삽입하도록 해서 배치하는 드롭 인식의 가스 곤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가스 곤로는 곤로 본체(1)와 곤로 본체(1)의 상면을 덮는 상판(2)과 좌우 2개의 가스 버너(3,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판(2)의 상면 앞쪽에는 2개의 가스 버너(3,3)용의 2개의 조작 손잡이(4,4)가 배치되어 있다. 상판(2)상에는 또한 2개의 가스 버너(3,3)에 대응하는 2개의 삼발이(5,5)가 얹어놓여져 있다.
각 가스 버너(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로 본체(1) 내에 고정한 혼합관(30)과 상판(2) 상에 노출되는 버너 본체(31)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판(2)은 버너 본체(31)의 배치부에 맞추어서 형성된 버너 본체(31)보다 큰 직경의 개구부(211)를 가지는 유리제 또는 금속제의 두꺼운 판으로 형성되는 상판 본체(21)와 이 개구부(211)에 장착되는 국물받이접시(22)로 구성되어 있고, 국물받이접시(22)의 중앙부에 버너용 개구(2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국물받이접시(22)는 상판 본체(21)의 개구부(211)의 개구 가장자리에 장착한 패킹(212) 위에 바깥둘레부에 있어서 얹어놓여져 있다.
혼합관(30)의 하류단부는 상방으로 굴곡해서 버너용 개구(221)에 위치되어 있다. 혼합관(30)의 상류단부에는 도시생략한 가스노즐이 위치되어 있고, 가스노즐 로부터의 연료가스의 분출에 의한 이젝터효과에 의해 혼합관(30)에 연소용 1차 공기가 흡인되고, 혼합관(30) 내에서 연료 가스와 1차 공기가 혼합되어서 혼합기가 생성된다.
버너 본체(31)는 버너용 개구(221)보다 큰 직경의 중공의 원반상의 베이스부(32)와 베이스부(32)의 상면에 둘레방향의 간격을 두고 형성한 복수의 중공의 지주부(33)와, 이들 지주부(33)를 통해서 베이스부(32)의 상측에 지지되는 중공 환상의 헤드부(34)를 구비한다. 베이스부(32)의 하면 중앙부에는 혼합관(30)의 하류단부에 끼워맞춰지는 유입용 통형상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입용 통형상부(32a)에 있어서 버너 본체(31)가 혼합관(30)의 하류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진다. 그리고, 혼합관(30)으로부터의 혼합기가 베이스부(32)의 내부 공간과 지주부(33)의 내부 공간을 통해서 헤드부(34)의 내부 공간에 공급된다.
헤드부(34)는 베이스부(32) 및 지주부(33)와 일체로 성형된 하반부와, 하반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얹어놓여지는 버너 캡(34a)으로 이루어지는 상반부로 구성되어 있다. 버너 캡(34a)의 하면에는 외주부와 내주부에 각각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헤드부(34)에 버너 캡(34a)의 외주부의 각 톱니간의 틈에 의해 구성되는 외부 불꽃구멍(35)과 버너 캡(34a)의 내주부의 각 톱니간의 틈에 의해 구성되는 내부 불꽃구멍(36)이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부(34)의 내부 공간에 공급된 혼합기가 외부 불꽃구멍(35)과 내부 불꽃구멍(36)으로부터 분출되어서 연소된다. 외부 불꽃구멍(35)으로부터 분출되는 혼합기의 연소부분에는 버너 본체(31)의 외측으로부터 연소용 2차 공기가 공급되고, 또 내부 불꽃구멍(36)으로부터 분출되 는 혼합기의 연소부분에는, 베이스부(32)와 헤드부(34) 사이의 각 지주부(33)간의 공극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통로(37)를 통해서 버너 본체(31)의 외측으로부터 연소용 2차 공기가 공급된다.
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가스 버너(3)의 주위 일측부에는 점화전극(38)과 열전대(39)가 설치되어 있다. 점화전극(38)과 열전대(39)는 혼합관(30)의 하류단부측의 외측면에 형성한 돌출부(30a)에 고정되는 브래킷(30b)에 부착되고, 국물받이접시(22)에 형성한 각 관통구멍(222,223)(도 3 참조)을 통과하여 국물받이접시(22) 위로 돌출되어 있다. 또, 국물받이접시(22)에는 브래킷(30b)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방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브래킷(30b)에 대한 돋을새김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국물받이접시(22)의 버너용 개구(221)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도 3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의 돌기부(225)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너용 개구(221)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국물받이접시(22)에 낙하한 끓어넘친 국물이 버너용 개구(221)로부터 곤로 본체(1) 내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방으로 굴곡된 버링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링부(226)의 상단부에서 상기 각 돌기부(225)가 상방으로 일체되어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돌기부(225)를 버링부(226)의 프레스성형과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돌기부(22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가공비용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각 돌기부(225)의 상단부는 버너 본체(31)의 하면, 즉, 베이스부(32)의 하면에 약간의 틈을 두어서 대향되고 있다. 여기서 버너 본체(31)는 혼합관(30)에 의해 유입용 통형상부(32a)를 통해서 지지되고 있지만, 버너 본체(31)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입용 통형상부(32a)를 혼합관(30)의 하류단부에 꼭 맞게 끼워맞춰지게 할 수 없어 버너 본체(31)가 기울어지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너 본체(31)가 기울어지려고 하면, 베이스부(32)의 하면이 돌기부(225)에 맞닿게 되어 버너 본체(31)의 기울어짐이 규제되고, 버너 본체(31)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국물받이접시(22)에 형성한 돌기부(225)에 의해 버너 본체(31)의 기울어짐이 규제되기 때문에, 버너 본체(31){베이스부(32)}의 하면에 기울어짐 방지용의 돌기를 돌출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버너 본체(31)의 유입용 통형상부(32a)의 외주면의 기계가공을 돌기에 방해받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버너 본체의 하면에 돌기를 돌출형성할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주조 후의 돌기의 기계가공도 불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국물받이접시(22)에 베이스부(32)의 하면에 항상 맞닿도록 돌기부(225)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것에서는 혼합관(30)의 하류단부와 돌기부(225)의 상하방향의 위치 공차(公差)에 의해서, 유입용 통형상부(32a)가 혼합관(30)의 하류단부에 완전히 끼워맞춰지기 전에 돌기부(225)가 베이스부(32)의 하면에 맞닿아서, 그 이상 유입용 통형상부(32a)를 혼합관(30)의 하류단부에 끼워맞춤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베이스부(32)의 하면과 돌기부(225)의 상단부 사이에 약간의 틈이 생기도록 돌기부(22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롭 인식 가스 곤로에서는 곤로 본체(1)의 주위로부터 곤로 본체(1) 내에 충분히 공기를 공급할 수 없고, 이 상태로서는 연소용 1차 공기가 부족해서 연소불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돌기부(225)가 둘레방향의 간격을 두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돌기부(225,225)간의 간격이, 베이스부(32)의 하면과 국물받이접시(22) 사이의 틈과 곤로 본체(1) 내를 연이어 통하는 통기부(227)가 된다. 따라서, 베이스부(32)의 하면과 국물받이접시(22) 사이의 틈으로부터 이 통기부(227)를 통해서 곤로 본체(1) 내에 연소용 1차 공기가 공급되어, 1차 공기 부족에 의한 연소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상판 본체(21)와 국물받이접시(22)로 구성되는 상판(2)을 구비하는 가스 곤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국물받이접시(22)를 생략하고, 상판 본체(2)의 개구부(211)를 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여, 이 개구부가 버너용 개구가 되게 한 1장의 판구조의 상판을 사용하는 가스 곤로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버너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장착하는 패킹에 상기 돌기부(225)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버너(3)의 버너 본체(31)에 외부 불꽃구멍(35)과 내부 불꽃구멍(36)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외부 불꽃구멍만을 형성한 중공 원반상의 버너 본체를 가지는 가스 버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드롭 인식 가스 곤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탁상식 가스 곤로라도 곤로 본체의 밀폐성이 높고, 곤로 본체의 주위로부터 곤로 본체 내에 충분히 공기를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곤로에 의하면, 버너 본체의 하면과 상판 사이의 틈을 통해서 곤로 본체 내에 연소용 1차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버너 본체의 기울어짐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가스 버너를 구비하는 가스 곤로로서, 가스 버너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는 상판에 형성한 버너용 개구에 하류단부를 위치시킨 혼합관과, 버너용 개구보다 큰 직경으로 상판 상에 노출되는 버너 본체를 가지며, 버너 본체의 하면 중앙부에 돌출형성한 유입용 통형상부를 혼합관의 하류단부에 끼워맞춰지게 하고, 혼합관으로부터 버너 본체에 혼합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판에 버너 본체의 하면과의 사이의 틈을 통해서 곤로 본체 내에 연소용 1차 공기를 도입하는 통기부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판의 버너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버너 본체의 기울어짐을 버너 본체의 하면에 맞닿아서 규제하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복수개 형성되고, 이들 돌기부간의 간격에 의해 상기 통기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곤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버너 본체의 배치부에 맞추어서 형성한 버너 본체보다 큰 직경의 개구부를 가지는 상판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국물받이접시로 구성되고, 국물받이접시에 상기 버너용 개구가 형성되며, 버너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상방으로 굴곡되는 버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링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각 돌기 부가 상방으로 일체되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곤로.
KR1020050131609A 2005-01-31 2005-12-28 가스 곤로 KR20060088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3868 2005-01-31
JP2005023868A JP4481182B2 (ja) 2005-01-31 2005-01-31 ガスコン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014A true KR20060088014A (ko) 2006-08-03

Family

ID=3690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609A KR20060088014A (ko) 2005-01-31 2005-12-28 가스 곤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81182B2 (ko)
KR (1) KR20060088014A (ko)
CN (1) CN100516655C (ko)
TW (1) TWI2757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061B1 (ko) 2018-08-23 2019-12-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AN20070036A1 (it) * 2007-06-06 2008-12-07 Bcf Studio Srl Piano cottura a tre elementi componibili
US7708006B2 (en) * 2007-06-11 2010-05-04 Yizhong Sun Removable flame heat regulating apparatus including an inner hollow shell and an outer wall for a burner of a gas stove
JP5191448B2 (ja) * 2009-06-19 2013-05-08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ラストップコンロ
JP5191451B2 (ja) * 2009-06-24 2013-05-08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ラストップコンロ
JP5090499B2 (ja) * 2010-05-14 2012-12-05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
CN105222191B (zh) * 2014-06-09 2018-01-16 林内株式会社 炉具
JP6297994B2 (ja) * 2015-02-24 2018-03-20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6908Y2 (ko) * 1975-03-26 1979-09-04
JP2003083516A (ja) * 2001-09-12 2003-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コンロバー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061B1 (ko) 2018-08-23 2019-12-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5085A (zh) 2006-08-09
TW200626840A (en) 2006-08-01
JP4481182B2 (ja) 2010-06-16
CN100516655C (zh) 2009-07-22
TWI275744B (en) 2007-03-11
JP2006207973A (ja)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8014A (ko) 가스 곤로
US8689779B2 (en) Gas burner
JP5558054B2 (ja) コンロ用バーナ
KR100604134B1 (ko) 가스렌지용 멀티버너
JP5276080B2 (ja) ガスコンロ
JP2008202865A (ja) コンロ用バーナ
JPH094853A (ja) ガスこんろ
JP2003194310A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JP3739737B2 (ja) ガスコンロ
JP7278880B2 (ja) コンロバーナ
JP4762730B2 (ja) コンロバーナ
JP2019158234A (ja) ガスコンロ
CN1306210C (zh) 燃烧器和使用其的燃气灶
CN219389729U (zh) 一种易清洁燃烧器
JP2005172278A (ja) こんろバーナ
JPS6119303Y2 (ko)
JP4452879B2 (ja) コンロ
TWI230242B (en) Gas stove
JP2005061795A (ja) こんろ
JP2006138594A (ja) ガスコンロ
CN111306540A (zh) 炉具用燃烧器及燃气炉具
JP5265628B2 (ja) こんろ
JP2005172279A (ja) こんろ
JP5449833B2 (ja) コンロ用バーナ
JP2005172277A (ja) バーナ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