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061B1 -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 Google Patents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061B1
KR102059061B1 KR1020180098653A KR20180098653A KR102059061B1 KR 102059061 B1 KR102059061 B1 KR 102059061B1 KR 1020180098653 A KR1020180098653 A KR 1020180098653A KR 20180098653 A KR20180098653 A KR 20180098653A KR 102059061 B1 KR102059061 B1 KR 102059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burner
gas appliance
barrier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재
위인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판 및 그의 표면, 상기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이물질 포집공간, 상기 표면보다 높이가 높고 히트 커버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히트 커버 아래에 버너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돌출되어 버너측으로 향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베리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Top unit of gas appliance}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 등의 가스기구 상판에서 틈새를 따라 버너부로 향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별도의 실링부재에 의하지 않고 막는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에 관한 것이다.
가스기구 중에서 가스레인지는 몸체의 상부에 버너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가스량에 따라 화력이 조절되며 버너에서 발생되는 화염을 통해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되어 있다. 가스레인지의 상부는 상판으로 되어 있고 하부는 상판을 받쳐주고 지지하는 케이스로 구분되어 있다. 상판에는 버너가 안착되는 버너용 개구가 형성되고, 상판의 하부에는 버너와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혼합관이 설치되며, 상판의 윗면으로는 버너를 설치하고 지지하는 받침링을 구비하고, 받침링을 따라 복수의 받침대들이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어, 혼합관으로부터 버너에 혼합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버너를 중심으로 히트 커버를 조립하고, 히트 커버의 내부로는 상판을 통해 버너부를 향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실링부재를 구비하기도 하는데, 실링부재는 버너부로 향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아 버너의 정상적인 점화와 발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판과 접촉하는 실링부재는 고온에 의해 수축 팽창이 반복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열경화가 진행되어 어느 시점에서는 내구성이 저하되어 떨어져 나가게 되어 있어 버너부로 향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에는 실링부재의 재료 특성상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히트 커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 냉각시켜 히트 커버 내부의 실링부재의 열경화를 줄이는 제안이 KR공개특허공보 10-2012-0096309에 개시되어 있으나 고열을 받는 실링부재의 열경화를 억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KR 공개특허공보 10-2012-0096309(공개일 2012년08월30일)
특허문헌 2. KR 공개특허공보 10-2006-0088014(공개일 2006년08월03일)
특허문헌 3. JP 공개특허공보 2003-148735(공개일 2003.05.21)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가스기구 상판에서 틈새를 따라 버너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상판 구조를 통해 차단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가스기구 상판에서 틈새를 따라 버너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별도의 실링부재 없이 차단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 및 그의 표면, 상기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이물질 포집공간, 상기 표면보다 높이가 높고 히트 커버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히트 커버 아래에 버너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돌출되어 버너측으로 향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베리어;를 포함하는,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 포집공간은 상기 상판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이고, 상판의 표면과 만나는 원주상의 계면이 구배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 포집공이 받침 텐션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에 안착되는 히트 커버의 대응면이 버너가 위치하는 안쪽방향으로 굽혀진 기울기가 있는 벤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히트 커버는 받침대의 일단을 진입시켜 안착시키는 유도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리어는 상판의 표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일체형 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리어가 버너 텐션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리어의 첨단 부분이, 히트 커버의 조립을 유도하고, 프레스 가공성, 변형에 대한 내구성 확보를 위해 둥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리어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판 높이가 상판의 표면 높이보다 높은 높이 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스기구 상판에서 틈새를 따라 버너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상판 구조를 통해 구조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스기구 상판에서 틈새를 따라 버너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별도의 실링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실링부재의 내구성 저하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 기능 상실의 문제를 해결하여 고품질 고신뢰성의 가스기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스기구 상판에서 틈새를 따라 버너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별도의 실링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실링부재 사용과 조립에 따른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가스레인지의 예시이다.
도 2는 가스레인지의 상판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가스레인지에 구성되는 종래 버너부 및 실링부재의 설치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도 3의 A부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예시이다.
도 6은 도 5의 B부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이물질 포집 상태를 설명하는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가스기구'는 버너부를 구비하는 '가스레인지 ' 및 '가스 조리 스토브', '가스 곤로' 등 이와 유사한 가스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히 '가스레인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의 설명에 앞서 먼저 비교되는 가스기구 상판 유닛 또는 버너부로 향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가스기구 상판 유닛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가스레인지의 예시이다. 도 2는 가스레인지의 상판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가스레인지에 구성되는 종래 버너부 및 실링부재의 설치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도 3의 A부 상세도이다.
가스기구(100) 중에서 가스레인지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부에 버너(120)를 설치하여 공급 가스량에 따라 화력이 조절되며 버너(120)에서 발생되는 화염을 통해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도록 되어 있다. 가스레인지의 상부는 상판(130)으로 되어 있고 하부는 상판(130)을 받쳐주고 지지하는 케이스(140)로 구분되어 있다. 상판(130)에는 버너(120)가 안착되는 버너용 개구(131)가 형성되고, 상판(130)의 하부에는 버너(120)와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혼합관(150)이 설치되며, 상판(130)의 윗면으로는 상판(130)의 버너용 개구(131) 보다 큰 직경을 통해 상판(130) 상에 노출되도록 버너(120)를 설치하고 지지하는 받침링(121)을 구비하고, 받침링(121)을 따라 복수의 받침대(122)들이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어, 혼합관(150)으로부터 혼합기를 유도하여 버너(12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판(130)에 설치되는 버너(120)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가 몸체(110)의 케이스(14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너(120)의 중앙부에 히트 커버(160)가 버너 바디(123)와 상판(130) 사이에 조립되어 있다. 이 히트 커버(160)의 내부에는 상판(130)을 통해 버너(120)측으로 향하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재(200)를 구비할 수 있다.
실링부재(200)는 상판(130)과는 이종 재질인 고무계열 재료 등을 사용하여 버너(120)가 상판(13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외주면으로 히트 커버(160)를 설치하는 경우 발생되는 틈새의 간격을 기밀유지로 줄여주고 이를 통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는데, 보통의 경우 버너 바디(123)의 하부측, 히트 커버(160)의 밑에 설치되고 있지만 고온의 상판(130)과 접촉하는 실링부재(200)는 고온에 의해 수축 팽창이 반복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열화에 따른 변형과 경화가 진행되어 어느 시점에서는 내구성이 저하되어 떨어져나가게 되어 있어 버너부로 향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32'는 버너를 받쳐주고 버너의 화력 전달에 의한 상판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버너 텐션부', '133'은 받침대 또는 받침링을 받쳐주고 버너의 화력 전달에 의한 상판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받침 텐션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 등의 가스기구 상판에서 틈새를 따라 버너부로 향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별도의 실링부재에 의하지 않고 상판 구조를 통해 막을 수 있도록 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예시이다. 도 6은 도 5의 B부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이물질 포집 상태를 설명하는 예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은, 상판(130a) 및 그의 표면(130b), 상판(130a)의 표면(130b)으로부터 함몰된 이물질 포집공간(134), 표면 보다 높이가 높고 히트 커버(160a)를 지지할 수 있게 히트 커버(160a) 아래에 버너(120)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돌출되어 버너(120)측으로 향하는 이물질의 유동을 막는 베리어(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너(12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이물질들을 실링부재 없이 상판(130a)에 형성되는 베리어(210)의 자체 구조를 통해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포집공간(134)은 상판(130a)의 표면(130b) 보다 낮은 위치이고, 상판(130a)의 표면(130b)과 만나는 원주상의 계면이 구배면(13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판(130a)의 표면(130b)을 따라 유동하는 조리물을 끓일 때 발생된 국물이나 수분 및 기타 이물질(300)들이 버너(120)가 위치하는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포집할 수 있으며, 경사진 구배면(135)을 따라 유체가 이물질 포집공간(134)으로 잘 흘러들어갈 수 있게 유도하여 유동 유체를 빠르게 포집할 수 있다.
함몰부로 이루어지는 이물질 포집공간(134)은 받침 텐션부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상판의 열변형은 제품의 일그러짐 등의 변형, 파손, 가스 누설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버너(120)의 열은 받침대(122)로 전달되어 상판(130a)에 전도되고 상판은 수축 팽창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함몰부로 이루어지는 이물질 포집공간(134)은 상판의 수축 팽창 시 신축 작용을 하게되고 이를 통해 상판의 열변형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상판(130a)에 안착되는 히트 커버(160a)의 대응면이 버너(120)가 위치하는 안쪽 방향으로 굽혀진 기울기(θ1)가 있는 벤딩부(16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쪽 방향으로 임의의 기울기로 굽혀진 벤딩부(161)는 베리어(210)의 외부 벽면과 긴밀한 접촉을 이루어 이물질의 유입되는 틈새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히트 커버(160a)는 받침대(122)의 일단을 진입시켜 안착시키는 유도 단턱(1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히트 커버(160a)의 유도 단턱(162)은 버너(120)의 열기가 받침대(12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동시에 히트 커버(160a)의 벤딩부(161)에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여 베리어(210)측의 외부 벽면과 긴밀한 접촉을 유도할 수 있는 유리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베리어(210)는 상판(130a)의 표면(130b)에서 상부로 돌출된 일체형 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리어(210)를 일체형 비드로 형성하는 경우 상판(130a)의 프레스 절곡 가공 공정에서 베리어(210)를 별도의 가공 없이 프레스 성형 가공으로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리어(210)가 비드로 형성되는 경우 베리어(210)는 버너 텐션부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상판의 열변형은 제품의 일그러짐 등의 변형, 파손, 가스 누설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버너(120)의 열은 직접 버너의 주변부로 전달되어 상판(130a)에 전도되고 상판은 수축 팽창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비드로 이루어지는 베리어(210)는 상판의 수축 팽창 시 신축 작용을 하게되고 이를 통해 상판의 열변형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베리어(210)의 첨단 부분은 둥근 곡면(2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210)의 첨단 형상을 둥근 곡면(211)으로 형성하는 경우 히트 커버(160a)의 조립시 미끄럼 접촉을 유도하여 조립성을 좋게하고, 긴밀한 밀착 접촉 상태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양호한 프레스 성형 가공성과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리어(210)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판(130a')의 표면(130b') 높이가 베리어(2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상판(130a)의 표면(130b) 높이보다 높은 높이 차(h1)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물질(300)이 이물질 포집공간(134) 밖으로 흘러 넘치더라도 베리어(210)가 위치하는 부분의 상판(130a')의 표면(130b')높이가 이물질 포집공간(134)의 표면 높이보다 높은 높이 차(h1)를 갖기 때문에 이물질 포집공간(134)을 이탈하여 버너(120)로 향하는 이물질은 상판(130a')의 표면(130b')높이에 의해 막힐 수 있고, 상판(130a')의 표면(130b')을 넘더라도 베리어(210)에 의해 다시 막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버너(120)로 유입되는 문제를 별도의 실링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상판을 통해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가스기구 110: 몸체
120: 버너(부) 121: 받침링
122: 받침대 130.130a.130a': 상판
130b.130b': 표면 131: 버너용 개구
134: 이물질 포집공간 135: 구배면
140: 케이스 150: 혼합관
160.160a: 히트 커버 161: 벤딩부
162: 유도 단턱 210: 유도 단턱
211: 둥근 곡면

Claims (9)

  1. 상판 및 그의 표면, 상기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이물질 포집공간, 상기 표면보다 높이가 높고 히트 커버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히트 커버 아래에 버너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돌출되어 버너측으로 향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상기 히트 커버 조립시 미끄럼 접촉을 유도하고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단 형상이 둥근 곡면으로 형성된 베리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히트 커버는 상판에 안착되는 대응면이 버너가 위치하는 안쪽 방향으로 굽혀진 기울기가 있는 벤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벤딩부에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받침대의 일단을 진입시켜 안착시키는 유도 단턱;을 포함하는,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포집공간은 상기 상판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이고, 상판의 표면과 만나는 원주상의 계면이 구배면으로 형성된,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포집공간이 받침 텐션부인,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는 상판의 표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일체형 비드;로 이루어진,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가 버너 텐션부인,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판 높이가 상판의 표면 높이보다 높은 높이 차(h1)를 갖도록 형성된,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KR1020180098653A 2018-08-23 2018-08-23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KR102059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53A KR102059061B1 (ko) 2018-08-23 2018-08-23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53A KR102059061B1 (ko) 2018-08-23 2018-08-23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061B1 true KR102059061B1 (ko) 2019-12-24

Family

ID=6902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653A KR102059061B1 (ko) 2018-08-23 2018-08-23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0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07U (ja) * 1993-06-25 1994-04-15 リンナイ株式会社 調理器
JP2003148735A (ja) 2001-11-13 2003-05-21 Rinnai Corp ガスコンロ
KR20060040222A (ko) * 2004-11-04 2006-05-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의 국물유입 방지구조
KR20060088014A (ko) 2005-01-31 2006-08-0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 곤로
KR20120096309A (ko) 2011-02-22 2012-08-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기구의 일체형 상판
JP2015137810A (ja) * 2014-01-22 2015-07-30 株式会社ハーマン ガスこんろ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07U (ja) * 1993-06-25 1994-04-15 リンナイ株式会社 調理器
JP2003148735A (ja) 2001-11-13 2003-05-21 Rinnai Corp ガスコンロ
KR20060040222A (ko) * 2004-11-04 2006-05-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의 국물유입 방지구조
KR20060088014A (ko) 2005-01-31 2006-08-0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 곤로
KR20120096309A (ko) 2011-02-22 2012-08-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기구의 일체형 상판
JP2015137810A (ja) * 2014-01-22 2015-07-30 株式会社ハーマン ガスこん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54793A (ja) 燃焼器の断熱シールドパネルおよび断熱シールドパネルとシェルとの組み合わせ
JP2009236479A (ja) E形シールを用いた燃焼キャップ浮動カラー
JP2000511256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シュラウドシール
JP2009115085A (ja) 第1段ノズル対トランジションピースシール
RU2651027C1 (ru) Охлаж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004346935A (ja) 室端壁と室側壁との間の可撓性接続部を有する燃焼室
KR102059061B1 (ko)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US112369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furnace sealing
EP1840460A1 (en) Gas burner
JP2006260986A (ja) 天井埋込型照明器具
KR101760736B1 (ko) 가스터빈용 연소 덕트를 조립하기 위한 스프링 플레이트
RU2301904C2 (ru)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для струйного сопла с дожиганием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KR102235986B1 (ko) 다이어프램 밸브 및 그 제조 방법
US10712015B2 (en) Grommet for cook top
CN110832252B (zh) 预混合气体燃烧器
JP4463782B2 (ja) 炊飯器
KR101073731B1 (ko) 가스레인지
KR101857767B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부 단열구조체
KR20200111790A (ko) 밀봉 요소 및 밀봉 링을 갖는 회전자
RU28100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JP2007023892A (ja) ガスタービンのシール構造
JP2002235883A (ja) 高温ガスダクト用伸縮継手
KR20120070688A (ko)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의 배기가이드 조립방법
KR200363824Y1 (ko) 보일러용 패킹
EP3401576B1 (en) Gasket and gas hob comprising a gas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