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210A - 수성 접착제 분산액 - Google Patents

수성 접착제 분산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210A
KR20060083210A KR1020067005374A KR20067005374A KR20060083210A KR 20060083210 A KR20060083210 A KR 20060083210A KR 1020067005374 A KR1020067005374 A KR 1020067005374A KR 20067005374 A KR20067005374 A KR 20067005374A KR 20060083210 A KR20060083210 A KR 20060083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rsion
weight
aqueous
polyurethan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8133B1 (ko
Inventor
볼프강 아른트
뤼디게르 무쉬
누트 판스쿠스
토르스텐 리쉐
랄프 베르네르
볼프강 헨닝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6008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03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transformed in a latent form by physical means
    • C08G18/705Dispersion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 a liquid medium
    • C08G18/706Dispersion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 a liquid medium the liquid medium be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80Compositions for aqueous adhe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60 내지 350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b) 20 내지 400 nm의 SiO2 입자의 입경을 갖는 수성 이산화규소 분산액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기재 수성 중합체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 분산액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분산액, 이산화규소 분산액, 접착제

Description

수성 접착제 분산액{AQUEOUS ADHESIVE DISPERSIONS}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기재 수성 중합체 분산액,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기재 접착제는 주로 접착될 두 기판 사이에 도포되고 건조되는 용매 포함 접착제이다. 이어서 두 기판을 실온에서 또는 열 활성화 이후에 가압하에 결합시키면, 결합 조작 직후에 초기 강도가 큰 결합이 형성된다.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서 상응하는 수성 접착제 배합물로 가공될 수 있는 적절한 수성 접착제 분산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물이 증발된 이후, 결합 직후의 초기 내열성이 용매 포함 접착제에 비해서, 건조 접착제 필름의 열 활성화 이전임에도 불구하고, 현저하게 나쁘다는 단점을 갖는다.
실리카 제품을 다양한 분야에 사용하는 것은 선행기술로부터 이미 알려져 있다. 고체 SiO2 제품은 유동학적 성질들을 조절하기 위한 충전제 또는 흡착제로서 종종 사용되지만, 실리카 졸의 경우에는 다양한 무기 재료의 결합제, 반도체용 연마제 또는 콜로이드상 화학 반응의 응집 쌍으로서의 용도가 우위를 차지한다. 예를 들면, 제 EP-A 0 332 928 호는 내화 물품 제조에서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를 실리카 졸 존재하에 침투 층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개시한다. 제 FR-A 2 341 537 호 및 제 FR-A 2 210 699 호는 난연 발포물 마감재 제조 또는 아스팔트 개선을 위해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와 조합된 발열성 실리카를 기술하며, 제 JP-A 06 256 738 호는 이들과 클로로프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조합물을 기술한다.
본 발명은 접착될 기판으로의 도포 및 결합 후에 우수한 초기 내열성을, 특히 열 활성화 이후에 갖는 수성 접착제 조성물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놀랍게도,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이산화규소 분산액을 적절하게 혼합하는 것에 의해, 결합 후에 우수한 초기 내열성을 나타내는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수성 중합체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a) 60 내지 350 n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1종 이상의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b) 20 내지 400 nm,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nm의 SiO2 입자 입경을 갖는 1종 이상의 수성 이산화규소 분산액.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 a)는 하기 성분들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우레탄 (A)를 포함한다:
A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A2) 400 내지 8,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 폴리올 및(또는) 폴리아민,
A3) 임의로 4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모노- 또는 폴리알콜 또는 모노- 또는 폴리아민 또는 아미노 알콜, 및
A4) 1종 이상의 이온성 또는 잠재적 이온성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또는)
A5) 비이온성 친수성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잠재적 이온성기는 이온성기를 형성할 수 있는 기이다.
폴리우레탄 (A)는 바람직하게는 7 내지 45 중량%의 A1), 50 내지 91 중량%의 A2), 0 내지 15 중량%의 A5), 0 내지 12 중량%의 이온성 또는 잠재적 이온성 화합물 A4) 및 임의로 0 내지 30 중량%의 화합물 A3)로부터 제조되는데, 여기에서 A4) 및 A5)의 합은 0.1 내지 27 중량%이고 성분들의 합은 100 중량%이다.
폴리우레탄 (A)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의 A1), 65 내지 90 중량%의 A2), 0 내지 10 중량%의 A5), 3 내지 9 중량%의 이온성 또는 잠재적 이온성 화합물 A4) 및 임의로 0 내지 10 중량%의 화합물 A3)로부터 제조되는데, 여기에서 A4) 및 A5)의 합은 0.1 내지 19 중량%이고 성분들의 합은 100 중량%이다.
폴리우레탄 (A)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7 중량%의 A1), 65 내지 85 중량%의 A2), 0 내지 8 중량%의 A5), 3 내지 8 중량%의 이온성 또는 잠재적 이온성 화합물 A4) 및 임의로 0 내지 8 중량%의 화합물 A3)로부터 제조되는데, 여기에서 A4) 및 A5)의 합은 0.1 내지 16 중량%이고 성분들의 합은 100 중량%이다.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A1)은 방향족, 아르지방족, 지방족 또는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 아네이트 (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2,2,4- 및(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성질체 비스(4,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이성질체 함량의 그의 혼합물, 이소시아네이토메틸-1,8-옥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또는) 2,6-톨루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우레탄,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로파네이트, 비우레트, 우레트디온 또는 이미노옥사디아진디온 구조를 갖는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이다.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성질체 비스(4,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및 그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오로지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결합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상기 유형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출발 성분 (A1)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HDI, IPDI 및(또는)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 기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A1)로서 또한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우레트디온, 이소시아누레이트, 우레탄, 알로파네이트, 비우레트, 이미노옥사디아진디온 및(또는) 옥사디아진트리온 구조를 가지며, 예를 들어 문헌 [J. Prakt. Chem. 336(1994) p. 185-200]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2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형성되고 단순한 지방족, 지환족, 아르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 이트의 변형에 의해 제조되는 임의의 바람직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적합한 중합체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 (A2)는 적어도 1.5 내지 4의 OH 관능가를 갖는데,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톤, 폴리에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올레핀 및 폴리실록산이다. 분자량이 600 내지 2500 범위이고 OH 관능가가 2 내지 3인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실기를 포함하는 적절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카르본산 유도체, 예를 들면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또는 포스겐과 디올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적절한 상기 디올은,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1,2- 및 1,3-프로판디올, 1,3- 및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2-메틸-1,3-프로판디올, 2,2,4-트리메틸펜탄-1,3-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부틸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비스페놀 A,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와 락톤 변형 디올이다. 디올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중량%의 헥산디올, 바람직하게는 1,6-헥산디올 및(또는) 헥산디올 유도체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말단 OH기 외에도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기를 갖는 것들, 예를 들면 제 DE-A 1 770 245 호에 따라 1 몰의 헥산디올과 1 몰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몰의 카프로락톤의 반응에 의해 또는 헥산디올 자체의 디- 또는 트리헥실렌 글리콜로의 에테르화에 의해 얻어진 생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체의 제조는, 예를 들면 제 DE-A 1 570 540 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제 DE-A 3 717 060 호에 기술되어 있는 폴리에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디올도 사용될 수 있다.
히드록실-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선형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들은 임의로 다가 성분, 특히 저분자량 폴리올의 혼입에 의해 약간 분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헥산-1,2,6-트리올, 부탄-1,2,4-트리올, 펜타에리트리톨, 키니톨, 만니톨 및 소르비톨, 메틸 글리코시드 및 1,3,4,6-디안히드로헥시톨이 이에 적합하다.
적합한 폴리에테르-폴리올은 폴리우레탄 화학 분야에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양이온 고리 개방에 의한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에테르이다.
역시 적합한 폴리에테르-폴리올은 폴리에테르, 예컨대 개시 분자들을 사용해서, 스티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 특히 프로필렌 옥사이드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올이다.
적합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예를 들면 다가, 바람직하게는 2가 및 임의로 그 외의 3가 알콜과 다가, 바람직하게는 2가 카르복실산의 반응 생성물이다. 유리 폴리카르복실산 대신에, 폴리에스테르 제조에 저급 알콜의 상응하는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상응하는 폴리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카르복실산은 본래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및(또는) 헤테로시클릭일 수 있고 임의로, 예를 들면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되고(치환되거나) 불포화일 수 있다.
성분 (A3)은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종결에 적합하다. 1가 알콜 및 모노아민이 이에 적절하다. 바람직한 모노알콜은 탄소수 1 내지 18의 지방족 모노알콜, 예컨대 에탄올, n-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2-에틸헥산올, 1-옥탄올, 1-도데칸올 또는 1-헥사데칸올이다. 바람직한 모노아민은 지방족 모노아민, 예컨대 디에틸아민, 디부틸아민, 에탄올아민, N-메틸에탄올아민 또는 N,N-디에탄올아민 및 제파민(Jeffamin) (등록상표) 엠(M) 시리즈 (헌츠만 코프.(Huntsman Corp.), 유럽 벨기에)의 아민 또는 아미노-관능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이다.
분자량 400 미만의 폴리올, 아미노폴리올 또는 폴리아민, 적절한 문헌에 기술되어 있는 다수가 또한 성분 (A3)으로서 적합하다.
바람직한 성분 (A3)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 알칸디올 및 -트리올, 예컨대 에탄디올, 1,2- 및 1,3-프로판디올, 1,4- 및 2,3-부탄디올, 1,5-펜탄디올, 1,3-디메틸프로판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에틸-2-부틸프로판디올, 트리메틸펜탄디올, 디에틸옥탄디올 위치 이성질체, 1,2- 및 1,4-시클로헥산디올, 수소화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2,2-디메틸-3-히드록시프로피온산 2,2-디메틸-3-히드록시프로필 에스테르,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글리세롤,
b) 에테르-디올, 예컨대 디에틸렌 디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또는 히 드로퀴논 디히드록시에틸 에테르,
c) 하기 화학식 (I) 및 (II)의 에스테르-디올
HO-(CH2)x-CO-O-(CH2)y-OH
HO-(CH2)x-O-CO-R-CO-O(CH2)x-OH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렌 또는 아릴렌 라디칼이고, x는 2 내지 6이며, y는 3 내지 5임)
예컨대, δ-히드록시부틸-ε-히드록시-카프로산 에스테르, ω-히드록시헥실-γ-히드록시부티르산 에스테르, 아디프산 β-히드록시에틸 에스테르 및 테레프탈산 비스(β-히드록시-에틸)에스테르 및
d) 디- 및 폴리아민, 예컨대 1,2-디아미노에탄, 1,3-디아미노프로판, 1,6-디아미노헥산, 1,3- 및 1,4-페닐렌디아민, 4,4'-디페닐메탄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2,2,4- 및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이성질체 혼합물,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1,3- 및 1,4-크실릴렌디아민, α,α,α',α'-테트라메틸-1,3- 및 -1,4-크실릴렌디아민,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제파민 (등록상표) 디(D) 시리즈 (헌츠만 코프, 유럽 벨기에)로 구입할 수 있는 아미노-관능성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본 발명에서 적합한 디아민은 또한 히드라진, 히드라진 수화물 및 치환 히드라진, 예컨대 N-메틸히드라진, N,N'-디메틸히드라진 및 그의 동족체와 산 디히드라지드, 아디프산, α-메틸아디프산, 세박산, 히드라크릴산 및 테레프탈산, 세미카르바지도-알킬렌 히드라지드, 예컨대 β-세미카르바지도프로피온산 히드라지드 (예를 들면, 제 DE A 1 770 591 호에 기술되어 있다), 세미카르바지도알킬렌-카르바진 에스테르, 예컨대 2-세미카르바지도에틸카르바진 에스테르 (예를 들면, 제 DE-A 1 918 504 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는 아미노세미카르바지드 화합물, 예컨대 β-아미노에틸세미카르바지도-카르보네이트 (예를 들면, 제 DE-A 1 902 931 호에 기술되어 있다).
성분 (A4)은 본래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일 수 있는 이온성기를 포함한다.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분산 작용을 갖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술포늄, 암모늄, 포스포늄, 카르복실레이트, 술포네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기 또는 염 형성에 의해 상기 기들로 전환될 수 있고 (잠재적 이온성 기)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기에 의해 거대분자로 혼입될 수 있는 기들을 포함하는 것들이다.
적절한 이온성 또는 잠재적 이온성 화합물 (A4)은 예를 들면 모노- 및 디히드록시카르복실산, 모노- 및 디아미노카르복실산, 모노- 및 디히드록시술폰산, 모노- 및 디아미노술폰산 및 모노- 및 디히드록시포스폰산 또는 모노- 및 디아미노포스폰산 및 그의 염, 예컨대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티르산, 히드록시피발산, N-(2-아미노에틸)-β-알라닌, 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탄술폰산, 1,2- 또는 1,3-프로필렌디아민-β-에틸술폰산, 에틸렌디아민-프로필- 또는 -부틸술폰산, 말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락트산, 글리신, 알라닌, 타우린, 리신, 3,5-디아미노벤 조산, IPDI 및 아크릴산의 부가 생성물 (제 EP-A 0 916 647 호, 실시예 1) 및 그의 알칼리금속 및(또는) 암모늄 염; 나트륨 술피트의 부트-2-엔-1,4-디올로의 부가물, 폴리에테르-술포네이트, 2-부탄디올 및 NaHSO3의 프로폭실화 부가물, 예를 들면 제 DE-A 2 446 440 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 (5-9면, 화학식 I-III) 및 친수성 빌더 성분으로서의, 양이온성 기로 전환될 수 있는 단위, 예컨대 N-메틸-디에탄올아민이다. 바람직한 이온성 또는 잠재적 이온성 화합물은 카르복실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술포네이트기 및(또는) 암모늄기를 갖는 것들이다. 특히 바람직한 이온성 화합물은 이온성 또는 잠재적 이온성기로서 카르복실 및(또는) 술포네이트기를 포함하는 것들, 예컨대 N-(2-아미노에틸)-β-알라닌의, 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탄술폰산의 또는 IPDI 및 아크릴산의 부가 생성물의 (제 EP-A 0 916 647 호 실시예 1) 그리고 디메틸올프로피오산의 염이다.
비이온성 친수성화 작용을 갖는 적합한 화합물 (A5)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히드록실 또는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폴리옥시알킬렌 에테르이다. 이들 폴리에테르는 3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에틸렌 옥사이드로부터 유도된 단위 함량을 갖는다. 적절한 폴리에테르는 구조가 선형이고 1 내지 3의 관능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및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6018749751-PC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각각의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의 2가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이것의 중간에 산소 및(또는) 질소 원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R3은 알콕시 종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라디칼을 나타낸다.
비이온성 친수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분자당 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55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의 통계적 평균치를 갖는 1가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에테르 알콜, 예컨대 적절한 개시 분자의 알콕실화에 의해 이미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이다 (예를 들면, 문헌[Ullmanns Encyclopadie der technischen Chemie, 4판, 19권, Verlag Chemie, Weinheim p.31-38).
적합한 개시 분자는, 예를 들면 포화 모노알콜,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s-부탄올, 이성질체 펜탄올, 헥산올, 옥탄올 및 노난올, n-데칸올, n-도데칸올, n-테트라데칸올, n-헥사데칸올, n-옥타데칸올, 시클로헥산올, 이성질체 메틸시클로헥산올 또는 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 산,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알콜,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알킬 에테르,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불포화 알콜, 예컨대 알릴 알콜, 1,1-디메틸알릴 알콜 또는 올레일 알콜, 방향족 알콜, 예컨대 페놀, 이성질 크레졸 또는 메톡시페놀, 아르지방족 알콜, 예컨대 벤질 알콜, 아니실 알콜 또는 신나밀 알콜, 2차 모노아민, 예컨대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부틸아민, 비스-(2-에틸헥실)-아민, N-메틸- 및 N-에틸시클로헥실아민 또는 디시클로헥실아민, 및 헤테로시클릭 2차 아민, 예컨대 모르폴린, 피롤리딘, 피페리딘 또는 1H-피라졸이다. 바람직한 개시 분자는 포화 모노알콜이다.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가 개시 분자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알콕실화 반응에 적합한 알킬렌 옥사이드는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인데, 임의의 바람직한 순서로 또는 혼합물로 알콕실화 반응에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에테르 알콜은 순수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테르 또는 혼합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에테르인데, 그의 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는 30 몰% 이상 정도,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상 정도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화합물은 40 몰% 이상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및 60 몰% 이하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1가 혼합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에테르이다.
비이온성 (A4) 및 이온성 (A5) 친수성화제의 조합물이 폴리우레탄 (A)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친수성화제의 조합물이 특히 바 람직하다.
수성 폴리우레탄 (A)의 제조는 1 이상의 단계로 균질하게, 또는 다단계 반응응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분산 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중부가가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된 후에, 분산, 유화 또는 용해 단계가 수행된다. 적절하다면 그 다음에 추가의 중부가 또는 분산 상의 변형이 수행된다.
선행기술로부터 알려진 방법들 모두를 폴리우레탄 (A)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유화제-전단력, 아세톤, 예비중합체 혼합, 용융-유화, 케트이민 및 고체 자발적 분산 방법 또는 그의 변형이다. 이들 방법에 대한 요악은 문헌[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Houben-Weyl, 4판의 보충 및 연속 권, E20 권, 에이취. 바틀(H. Bartl) 및 제이. 팔베(J. Falbe), Sttutgart, New York, Thieme 1987, p. 1671-1682)]에서 찾을 수 있다. 용융-유화, 예비중합체-혼합 및 아세톤 방법이 바람직하다. 아세톤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에 1차 또는 아미노기를 포함하지 않는 성분들 (A2) 내지 (A5)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A1)을 반응기에 한꺼번에 또는 일부분씩 도입하고, 적절하다면 수혼화성이지만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해서는 비활성인 용매로 희석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용매 없이, 비교적 고온,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의 범위로 가열한다.
적절한 용매는, 예를 들면 아세톤, 부타논,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및 1-메틸-2-피롤리돈인데, 이것을 제조 시작 시뿐만 아니라, 일부분씩 나중에 첨가할 수도 있다. 아세톤 및 부타논이 바람직하다. 반응을 정상 압력 또는 상승된 압력에서, 예를 들면 정상 이상 압력에서 아세톤과 같은 용매의 비점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부가 반응의 촉진을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촉매,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디부틸틴 옥사이드, 틴 디옥토에이트 또는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틴 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기타 유기 금속 화합물도 처음에 동시에 도입하거나 나중에 첨가할 수 있다.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적절하다면 반응 시작 시에 첨가되지 않았고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를 포함하지 않는, 성분 (A1), (A2), 임의로 (A3) 및 (A4) 및(또는) (A5)를 그 다음에 첨가한다.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제조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성인 기들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물질 양의 비율은 0.90 내지 3, 바람직하게는 0.95 내지 2.5,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2.0이다. 성분들 (A1) 내지 (A5)의 반응은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를 포함하지 않는 (A2) 내지 (A5) 부분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인 기들의 총량에 대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수행된다. 전환 정도는 통상적으로 반응 혼합물의 NCO 함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통상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분광분석 측정법들, 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근적외선 스펙트럼 모두, 굴절율 측정 및 화학적 분석, 예컨대 얻어진 샘플에 대한 적정을 이를 위해 수행할 수 있다.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를 물질로서 또는 용액으로 얻는다.
(A1) 및 (A2) 내지 (A5)로부터의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제조 이후 또는 도중에,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분산 작용을 갖는 기들의 부분 또는 완전 염 형성이, 출발 분자에서 이미 수행되지 않았다면, 수행된다. 음이온성기의 경우에 있어서, 염기, 예컨대 암모니아, 탄산 또는 중탄산암모늄,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디에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칼륨 또는 탄산나트륨,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렌에틸아민이 이를 위해 사용된다. 염기의 물질 양은 음이온성기의 물질 양의 5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이다. 양이온성기의 경우에 있어서, 디메틸 술페이트 또는 숙신산이 사용된다. 에테르기를 갖는 비이온성 친수성화 화합물 (A5)만 사용된다면, 중화 단계는 생략된다. 중화 단계는 또한 분산과 동시에, 중화제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 분산 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적절한 아민 성분들은 여전히 남아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적절하다면 반응할 수 있는 (A2), (A3) 및 (A4)이다. 이러한 사슬 연장은 분산 이전에, 분산 도중에 용매 중에서, 또는 분산 이후 물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아민 성분이 (A4)로서 사용된다면, 사슬 연장은 바람직하게는 분산 이전에 수행된다.
아민 성분들 (A2), (A3) 또는 (A4)를 반응 혼합물에 유기 용매 및(또는) 물로 희석된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 중량%의 용매 및(또는) 물을 사용한다. 몇몇 아민 성분이 존재한다면, 반응은 임의의 바람직한 순서로 연속적으로 또는 혼합물 첨가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 (A)의 제조를 위한 목적으로, 임의로 전단력, 예를 들면 강한 교반을 사용해서 또는 제트 기류 분산기를 사용해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분산수로 도입하거나, 역으로 분산수를 예비중합체 중에 섞을 수 있다. 아직 균질 상이 아니라면, 이어서 성분들 (A2), (A3)과 존재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분자량 증가가 일어날 수 있다. 사용되는 폴리아민 (A2), (A3)의 양은 아직 존재하는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기에 의존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물질 양의 50 내지 1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물질 양의 75 내지 95%가 폴리아민 (A2), (A3)과 반응된다.
적절하다면, 유기 용매를 증류시킬 수 있다. 분산액은 1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의 고체 함량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그 자체만 또는 이미 알려져 있는 결합제, 보조제 물질 및 첨가제, 특히 광 안정제, 예컨대 UV 흡수제 및 입체 방해 아민 (HALS)과 항산화제, 충전제 및 코팅 보조제, 예를 들면 침강방지제, 지포제 및(또는) 습윤제, 유동제, 반응 희석제, 가소제, 촉매, 보조 용매 및(또는) 증점제 및 첨가제, 예컨대 분산제, 안료, 염료 또는 매팅(matting)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임의로 히드록시 관능기일 수도 있는 폴리우레탄 분산액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분산액과의 조합물도 역시 문제없이 가능하다. 가공 직전에 본 발명에 따른 PU 분산액에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결합제 또는 결합제/가교결합제 혼합물의 분산 이전 또는 도중에 일부분 이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개별 성분들 및(또는) 전체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는 이들 물질의 선택 및 첨가 방법은 당 업계 숙 련인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산화규소의 수성 분산액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이들은 제조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적합한 이산화규소 분산액 b)는 실리카 졸, 실리카 겔, 발열성 실리카 또는 침전 실리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기재로 하여 얻을 수 있다.
실리카 졸은 물 중 무정형 이산화규소의 콜로이드상 용액인데, 이것은 이산화규소 졸로도 불리지만, 통상적으로 실리카 졸로 약칭된다. 이산화규소는 그 중에 표면이 히드록실화된 대략 구형인 입자의 형태로 존재한다. 콜로이드상 입자의 입경은 통상적으로 1 내지 200 nm이며, 입자 크기에 상관 있는 BET 비표면적 (지. 엔. 시어스(G. N. Sears)의 문헌[Analytical Chemistry 28권, N. 12, 1981-1983, 1956년 12월]의 방법에 의해 측정됨)은 15 내지 2,000 m2/g이다. SiO2 입자의 표면은 상응하는 반대 이온에 의해 상쇄되는 전하를 갖는데, 이것이 콜로이드상 용액의 안정화를 유도한다. 알칼리성 수단에 의해 안정화되는 실리카 졸은 7 내지 11.5의 pH를 가지며 알칼리화제로서, 예를 들면 소량의 Na2O, K2O, Li2O, 암모니아, 유기 질소 염기, 테트라알킬암모늄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금속 또는 암모늄 알루민산염을 포함한다. 실리카 졸은 또한 반-안정 콜로이드상 용액으로서 약산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표면을 Al2(OH)5Cl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양이온성 배합 실리카 졸을 제조할 수도 있다. 실리카 졸의 고체 농도는 5 내지 60 중량%의 SiO2이다.
실리카 졸의 제조 방법은 실질적으로 이온 교환에 의한 물-유리의 탈알칼리화, SiO2 입자의 특별한 바람직한 입자 크기 (분포)의 조정 및 안정화, 특별한 바람직한 SiO2의 농도의 조정, 및 적절하다면 예를 들면 Al2(OH)5Cl에 의한 SiO2 입자의 표면 변형 수행이라는 제조 단계들을 거치게 된다. 이들 단계에 있어서 SiO2 입자들은 콜로이드상으로 용해된 상태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것은 특히 높은 결합제 효율을 갖는 개별적인 1차 입자의 존재를 설명한다.
실리카 겔은 느슨하거나 조밀한 기공 구조를 갖는 탄성 내지 고체 성질의 콜로이드상 형태 또는 비정형 실리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리카는 고도로 축합된 폴리실리카의 형태이다. 실록산 및(또는) 실라놀기는 표면에 존재한다. 실리카 겔은 물-유리로부터 무기산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발열성 실리카 및 침전 실리카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다. 침전 방법에 있어서는, 물을 먼저 반응기로 도입하고 물-유리 및 산, 예컨대 H2SO4를 동시에 첨가한다. 이 방법에 의해 콜로이드상 1차 입자가 먼저 형성되고, 반응이 진행되면 서로 응집 및 융합되어 응집물이 형성된다. 고체 형태인 이들 실리카의 1차 입자가 견고하게 가교결합되어서 2차 응집물이 형성된다.
발열성 실리카는 불꽃 가수분해 또는 아크(arc) 방법의 도움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발열성 실리카의 주요 합성 방법은 불꽃 가수분해인데, 여기에서 테트라클로로실란은 산수소 불꽃 중에서 분해된다.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 실리카는 X-선에 대해 무정형이다. 발열성 실리카는 기공이 거의 없는 그의 표면에 침전 실리카 에 비해서 상당히 적은 수의 OH기를 갖는다. 불꽃 가수분해에 의해 제조된 발열성 실리카는 50 내지 600 m2/g의 비표면적 (DIN 66131) 및 5 내지 50nm의 1차 입자 크기를 가지며, 아크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리카는 25 내지 300 m2/g의 비표면적 (DIN 66131) 및 5 내지 500 nm의 1차 입자크기를 갖는다.
고체 형태 실리카의 합성 및 성질에 대한 추가 정보는, 예를 들면 케이.에이취 부헬(K.H. Buchel), 에이취.에이취. 모레토(H.H. Moretto), 피. 우디치(P. Woditsch)의 문헌["Industrielle Anorganische Chemie", Wiley VCH Verlag 1999, chap. 5.8.]에서 찾을 수 있다.
분리된 고체 형태의 SiO2 원료 물질, 예컨대 발열성 또는 침전 실리카를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중합체 분산액에 대해 사용한다면, 이것을 분산에 의해 수성 SiO2로 전환시킨다.
이산화규소 분산액의 제조에 선행 기술의 분산기를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고 전단 속도 발생에 적합한 것들, 예컨대 울트라터랙스(Ultraturrax) 또는 용해기 디스크이다.
SiO2 입자가 20 내지 400 nm,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nm의 1차 입자 크기를 갖는 수성 이산화규소 분산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침전 실리카의 경우에 있어서, 이들은 입자 크기를 줄이기 위해 분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중합체 분산액은 이산화규소 분산액 b)의 SiO2 입자가 별개의 비가교결합 1차 입자 형태인 것들이다. SiO2 입자가 입자 표면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수성 실리카 졸이 수성 이산화규소 분산액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액 제조에 있어서, 개개 성분들의 양의 비율은 형성된 분산액이 30 내지 60 중량%의 분산된 중합체 함량을 갖도록 선택되는데, 여기에서 폴리우레탄 분산액 (a)의 함량은 55 내지 99 중량%이며 이산화규소 분산액 (b)의 함량은 1 내지 45 중량%이고, 백분율 데이터는 비휘발성 내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합은 100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분산액은 70 중량% 내지 98 중량%의 폴리우레탄 분산액 (a)의 함량 및 2 중량% 내지 30 중량%의 실리카 졸 분산액 (b)의 함량을 가지며, 80 중량% 내지 93 중량%의 분산액 (a) 및 20 중량% 내지 7 중량%의 분산액 (b)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한데, 백분율 데이터는 비휘발성 내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합은 100 중량%이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임의로 기타 분산액,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부타디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클로로프렌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분산액을, 30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액은 임의로 접착제를 위한 추가 보조 물질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충전제, 예컨대 석영 분말, 석영 모래, 중정석, 탄산칼슘, 쵸크, 고회석 또는 탈크를, 임의로 습윤제, 예를 들면 폴리포스포네이트, 예컨대 나트륨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나프탈렌술폰산 또는 암모늄 또는 나트륨 폴리아크릴산염과 함께 첨가할 수 있는데, 충전제는 1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되고, 습윤제는 0.2 내지 0.6 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며, 모든 데이터는 비휘발성 내용물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추가적인 적합한 보조제 물질은, 예를 들면 유기 증점제, 예컨대 셀룰로스 유도체, 알기네이트, 전분, 전분 유도체, 폴리우레탄 증점제 또는 폴리아크릴산인데, 이들은 비휘발성 내용물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고, 또는 무기 증점제인데, 예컨대 벤토나이트이며, 이들은 비휘발성 내용물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살진균제를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보존하기 위해 첨가할 수 있다. 이들은 비휘발성 성분들을 기준으로 하여 0.02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살진균제는, 예를 들면 페놀 및 크레졸 유도체 또는 유기주석 화합물이다.
농후화 수지, 예컨대 비변형 또는 변형 천연 수지, 예컨대 로진 에스테르, 탄화수소 수지 또는 합성 수지, 예컨대 프탈레이트 수지를 임의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분산액에 분산된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헌["Klebharze" 알. 조르단(R. Jordan), 알. 힌터발드너(R. Hinterwaldner), p. 75-115, Hinterwaldner Verlag Munich 1994]을 참고한다). 연화점 7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 ℃초과의 알킬페놀 수지 및 테르펜페놀 수지 분산액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 예컨대 톨루엔, 아세톤, 크실렌, 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 톤, 에틸 아세테이트, 디옥산 또는 그의 혼합물, 또는 가소제, 예컨대 아디페이트, 프탈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를 기재로 하는 것들을 비휘발성 내용물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분산액의 제조 방법도 제공하는데, 폴리우레탄 분산액 (a)를 이산화규소 분산액 (b)와 혼합하고, 접착제에 대한 통상적인 보조제 물질 및 첨가제를 임의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분산액의 제조를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폴리우레탄 분산액 (a)를 먼저 접착제에 대한 보조제 물질 및 첨가제와 혼합하고 실리카 졸 (b)를 혼합 도중 또는 이후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착제 배합물을 이미 알려진 방법, 예를 들면 브러싱, 붓기, 나이프 코팅, 분무, 롤링 또는 침지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접착제 필름을 실온 또는 220 ℃ 이하의 승온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접착제 배합물을 1성분으로 또는 이미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가교결합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분산액을 접착제로서, 예를 들면 동일하거나 다른 성질을 갖는 임의의 바람직한 기판들, 예컨대 목재, 종이, 플라스틱, 직물, 가죽, 고무 또는 무기 재료, 예컨대 도기, 석기, 유리 섬유 또는 시멘트를 접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1.1 사용되는 물질
폴리우레탄 분산액
분산액 제품 전달 형태 공급자
A 디스퍼콜(Dispercoll) (등록상표) 유(U) 53 지방족 히드록실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의 40 % 분산액; 입경 100 nm 최소 활성화 온도: 45-55 ℃ pH 6.0-9.0 바이엘 아게(Bayer AG), 독일 레버쿠젠
B 디스퍼콜 (등록상표) 유 54 지방족 히드록실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의 50 % 분산액; 입경 200 nm 최소 활성화 온도: 45-55 ℃ pH 6.0-9.0 바이엘 아게, 독일 레버쿠젠
이산화규소
제품 공급자 전달 형태 유형
디스퍼콜 (등록상표) 에스 5005 바이엘 아게, 독일 레버쿠젠 실리카 졸 분산액, 50 %, BET 50 m2/g, pH 9, 입자 크기 50 nm 실리카 졸
디스퍼콜 (등록상표) 에스 3030 바이엘 아게, 독일 레버쿠젠 실리카 졸 분산액, 30 %, BET 300 m2/g, pH 10, 입자 크기 9 nm 실리카 졸
가교결합제
제품 기능 제조사
데스모더(Desmodur) (등록상표) 디엔(DN) HDI 기재 지방족 가교결합 이소시아네이트*), 점도 1,250+300mPas, NCO 함량 21.8+0.5 % 바이엘 아게, 독일 레버쿠젠
*) 90.77 중량%의 중합성 친수성화 HDI 삼합체 (데스모더 (등록상표) 엔(N) 3600), 4.78 중량%의 내부 유화제, EO/PO 개시, 1가 알콜 기재, OH가 40
1.2 측정 방법
1.2.1 충격 활성화 후의 탄성 PVC 에 대한 박리 강도 측정
시험은 EN 1392에 따라서 측정했다. 연마지 (그레인 80)로 거칠게 한 치수 100 x 30 mm의 탄성 PVC (30% 디옥틸 프탈레이트, DOP)의 두 개의 시험 견본에 대해서, 양면의 거친 표면에 솔로 분산액을 도포하고 실온에서 60 분간 건조시켰다. 시험 견본을 충격 활성화시켰다. 연마제 표면에 펑크 (Funk)의 IR 등 (쇼크 액티베이터(Shock Activator) 2000)을 10초간 조사했다. 이러한 조작 도중에, 접착제 필름을 90+2 ℃의 표면 온도까지 가열했다. 접착제로 코팅된 시험 견본을 열 활성화한 직후에 서로에 대해 활성화된 접착제 층들을 마주하여 적층하고 프레스 중에서 가압 (60초; 4 바아 라인 압력)하는 것에 의해 접착시켰다. 인열 시험은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인장 시험기에서 실온에서 수행했다. 강도 수치는 접착 직후 및 3일 후에 측정했다. 시험 견본을 23 ℃ 및 50 % 상대 습도에서 저장했다.
1.2.2 너도밤나무 목재/강성 PVC 에 대한 초기 내열성 ( IHR )의 측정
재료:
- 너도밤나무 목재 시험 견본 50 x 150 x 4 mm
- PVC 필름 (레놀리트(Renolit) 32052096 스트럭톤(Strukton); 레놀리트 웜스(Renolit Worms), 독일)
데스모더 (등록상표) 디엔
접착제의 도포:
- 닥터 나이프로 1 성분으로 접착제 도포, 200 ㎛
공기 증발 시간:
- 실온에서 접착제 도포 후 3시간 이상
가압 조건:
- 77 ℃의 결합 온도, 4 바아의 가압 압력에서 10초간
건조 캐비넷 중에서의 시험 조건:
- 80 ℃ 공기 순환 건조 캐비넷, 하중 2.5 kg
방법:
접착제를 1 성분으로 닥터 나이프(doctor knife) (200 ㎛)로 목재 시험 견본에 도포했다. 3 번 접은 후에 필름을 절단하는데, 총 길이는 12 cm였다. 접착제 도포 3시간 후에, 목재 시험 견본을 필름에 77 ℃의 결합 온도로 멤브레인 프레스 상에서 4 바아의 유효 압력으로 10초간 결합시켰다.
복합물을 3분간 하중 없이 열 안정 건조 캐비넷 중에 넣어 둔 다음에 2.5 kg 하중을 5분간 가했다. 이를 위해 시험 견본을 열 캐비넷 중에 매달고 하중 고정 장치를 강화를 위해 3번 접은 필름 위에 고정했다. 마지막으로 하중을 즉시 제거하고 복합물을 분리했다. 박리 구역을 측정하고 [mm/분]으로 나타내었다.
1.3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배합물의 제조를 위해,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먼저 유리 비이커에 넣었다. 교반하면서 이산화규소를 첨가했다. 2-성분 접착을 위해 100 중량부의 분산액을 3 중량부의 유화성 가교결합성 이소시아네이트와 함께 2분 이상 동안 균질화시켰다. 이 혼합물을 대략 2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었다.
배합물
제품 조성 (중량부 데이터)
1 2 3 4 5 6
폴리우레탄 분산액: A B 100 100 100 100 100 100
이산화규소 유형 디스퍼콜 (등록상표) 에스 5005 디스퍼콜 (등록상표) 에스 3030 - - 26 43 - - 32.5 54.1
1.4 결과
1.4.1 탄성 PVC 에 대한 박리 강도 측정
탄성 PVC에 대한 박리 강도
실시예 번호 배합물 번호 데스모더 DN [pts.] 즉시 박리 강도 [N/mm] 3일 후 박리 강도 [N/mm]
1* 1 - 5.0 10.2
2* 1 3 3.5 10.1
3 2 - 6.1 9.5
4 2 3 5.2 9.5
5* 3 - 1.0 1.0
6* 3 3 0.9 2.3
7* 4 - 6.1 8.9
8* 4 3 5.5 8.7
9 5 - 5.5 5.4
10 5 3 5.4 7.0
11* 6 - 1.4 0.2
12* 6 3 1.6 0.8
*: 비교예
표 5에서 볼 있듯이, 디스퍼콜 (등록상표) 에스 5005의 첨가는 비-배합 PU 분산액과 같은 정도인 강도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스퍼콜 (등록상표) 에스 3030과의 배합은 탄성 PVC에 대한 박리 강도를 상당히 열화시키는 효과를 가졌다.
1.4.2 너도밤나무 목재/강성 PVC 에 대한 초기 내열성의 측정
초기 내열성
실시예 번호 배합물 번호 IHR[mm/분]
13* 4 9.8
14 5 1.9
15* 6 박리
*비교예
표 6에서 볼 수 있듯이, 디스퍼콜 (등록상표) 에스 5005의 첨가는 비-배합 PU 분산액에 비해서 초기 내열성을 상당히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스퍼콜 (등록상표) 에스 3030의 첨가는 시험 견본의 완전한 박리를 야기했다.

Claims (10)

  1. a) 60 내지 350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b) 20 내지 400 nm의 SiO2 입자의 입경을 갖는 수성 이산화규소 분산액을 포함하는, 수성 중합체 분산액.
  2. 제 1 항에 있어서, SiO2 입자가 30 내지 100 nm의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중합체 분산액.
  3. 제 1 항에 있어서, SiO2 입자가 40 내지 80 nm의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중합체 분산액.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iO2 입자가 별개의 비가교결합 1차 입자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중합체 분산액.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iO2 입자가 입자 표면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중합체 분산액.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이산화규소 분산액 b)가 수성 실리카 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중합체 분산액.
  7. 폴리우레탄 분산액 (a)를 이산화규소 분산액 (b)와 혼합하고, 통상적인 접착제 보조제 물질 및 첨가제를 임의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분산액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따른 중합체 분산액의 접착제로서의 용도.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분산액에 의해 접착된 기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신발의 구조적 부품 또는 신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KR1020067005374A 2003-09-18 2004-09-07 수성 접착제 분산액 KR101158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3675A DE10343675A1 (de) 2003-09-18 2003-09-18 Wässrige Klebstoff-Dispersionen
DE10343675.8 2003-09-18
PCT/EP2004/009933 WO2005035684A1 (de) 2003-09-18 2004-09-07 Wässrige klebstoff-dispersio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210A true KR20060083210A (ko) 2006-07-20
KR101158133B1 KR101158133B1 (ko) 2012-06-19

Family

ID=3430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374A KR101158133B1 (ko) 2003-09-18 2004-09-07 수성 접착제 분산액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114931B2 (ko)
EP (1) EP1664227B1 (ko)
JP (1) JP4933895B2 (ko)
KR (1) KR101158133B1 (ko)
CN (1) CN100475925C (ko)
AT (1) ATE448284T1 (ko)
AU (1) AU2004280361B2 (ko)
CA (1) CA2538956C (ko)
DE (2) DE10343675A1 (ko)
ES (1) ES2334572T3 (ko)
HK (1) HK1097290A1 (ko)
MX (1) MXPA06002937A (ko)
PL (1) PL1664227T3 (ko)
RU (1) RU2366679C2 (ko)
TW (1) TWI382073B (ko)
UA (1) UA84168C2 (ko)
WO (1) WO2005035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5054B2 (ja) * 2005-01-24 2011-02-16 ルブリゾル アドバンス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ナノ粒子/ポリウレタンコンボジットの水性分散物
EP1818380A1 (de) * 2006-02-08 2007-08-15 Solvay Infra Bad Hönningen GmbH Dispersionsklebstoff
DE102006021728A1 (de) * 2006-05-09 2007-11-15 Bayer Materialscience Ag Wässrige Dispersionen mit bimodaler Teilchengrößenverteilung
US8071670B2 (en) * 2006-05-11 2011-12-06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Aqueous dispersions of polyvinylacetate and silica,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uses therefor and substrates coated and/or bonded therewith
EP2064276A2 (de) * 2006-09-20 2009-06-03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Wässrige siliciumdioxid dispersionen für dicht- und klebstoffformulierungen
ATE552315T1 (de) * 2007-11-20 2012-04-15 Dainippon Ink & Chemicals Wässrige pigmentdispersion und auf wasser basierende pigmenttinte für tintenstrahlaufzeichnung
JP5035202B2 (ja) * 2008-09-30 2012-09-26 豊田合成株式会社 本革材及び自動車の内装品
CN102365333B (zh) * 2009-12-10 2014-05-14 Dic株式会社 聚氨酯树脂组合物、涂覆剂及粘接剂以及使用其获得的固化物及固化物的制造方法
CN102477138B (zh) * 2010-11-27 2013-12-11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二氧化硅交联形状记忆聚合物材料
RU2455331C1 (ru) * 2010-12-14 2012-07-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о-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экономики и сервиса" (ГОУ ВПО "ЮРГУЭС") Экологически безопасный клей-расплав на основе сополимера этилена и винилацетата
JP2014522300A (ja) * 2011-05-25 2014-09-04 ディバーシ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表面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および表面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使用方法
TWI583701B (zh) 2011-06-21 2017-05-21 拜耳智慧財產有限公司 濃縮含有機聚合物粒子與二氧化矽粒子之水性分散液的方法
US20130101540A1 (en) * 2011-10-21 2013-04-25 Bayer Materialscience Llc Aqueous dispersions of polyurethane and nanoparticles
ITPD20130015A1 (it) * 2013-01-25 2014-07-26 Novotex Italiana S P A Film di rivestimento battistrada per una suola di calzature in materiale polimerico a base poliuretanica
US10640702B2 (en) * 2013-08-01 2020-05-05 Covestro Llc Coated p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use
JP2016017136A (ja) * 2014-07-08 2016-02-01 Dic株式会社 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CN105602513A (zh) * 2015-12-30 2016-05-25 扬州市金鑫电缆有限公司 纵向水密封耐腐蚀船用特种电缆
CN106590506B (zh) * 2016-12-08 2019-07-23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性真空吸塑胶及其制备方法
CN109021190A (zh) * 2017-06-08 2018-12-18 重庆韩拓科技有限公司 一种高耐热性的纳米改性聚氨酯胶黏剂及其制备方法
CN107699184A (zh) * 2017-09-26 2018-02-16 康菲胶粘剂技术(广东)有限公司 一种水性真空吸塑胶
CN108192555B (zh) * 2018-02-12 2019-02-15 中山爵邦时装科技有限公司 一种粘结剂组合物及其在制衣的应用
EP3763525A1 (en) 2019-07-11 2021-01-13 Bostik Sa One-component heat-activatable polyurethane water-based adhesive composition
EP4058523A1 (en) * 2019-11-13 2022-09-21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EP3848423A1 (en) * 2020-01-13 2021-07-14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11394037B (zh) * 2020-04-01 2022-06-28 牡丹江师范学院 一种耐湿热耐高温水性汽车门护板内饰胶黏剂及其制备方法
CN113801554A (zh) * 2020-06-16 2021-12-17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988595A1 (de) * 2020-10-26 2022-04-27 Covestro Deutschland AG Einsatz von frischsol in formulierungen auf basis von polyurethandispersionen
CN112175567B (zh) * 2020-10-29 2022-12-13 烟台德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水解防沉降导电胶及其制备方法
CN114525092A (zh) * 2022-03-16 2022-05-24 哥俩好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触变阻燃水基透明免钉胶及其制备方法
CN114921597B (zh) * 2022-04-12 2023-09-01 浙江通天星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耐磨耐刮擦无铬鞣沙发皮革的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70245C3 (de) * 1968-04-23 1979-11-1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gebenenfalls vernetzten Polyurethanen
DE1902932A1 (de) * 1969-01-22 1970-08-20 Bayer Ag Semicarbazidarylamine als Kettenverlaengerungsmittel fuer Elastomerfaeden
FR2210699A2 (en) 1972-12-19 1974-07-12 Boidin Georget Polychloroprene latex binder for sports pitches - contg. bitumen gelling agent, silica and rubber crumbs
US4108814A (en) * 1974-09-28 1978-08-22 Bayer Aktiengesellschaft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from solvent-free prepolymers using sulfonate diols
FR2341537A1 (fr) 1976-02-23 1977-09-16 Mat Inter Sa Produit cellulaire souple incombustible a base de silicate de soud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US4567228A (en) * 1984-05-21 1986-01-28 Ppg Industries, Inc. Aqueous dispersion, internally silylated and dispersed polyurethane resins, and surfaces containing same
US4844976A (en) * 1987-03-09 1989-07-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sheet coated with silica layer
DE3717060A1 (de) * 1987-05-21 1988-12-01 Bayer Ag Polyether-polycarbonat-diol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ausgangsprodukte fuer polyurethankunststoffe
DE3808275A1 (de) * 1988-03-12 1989-09-21 Bayer Ag Brandschutzelemente
JPH0834828A (ja) * 1994-07-22 1996-02-06 Sekisui Chem Co Ltd 水性接着剤の製造方法
JPH1016130A (ja) * 1996-07-08 1998-01-20 Kawasaki Steel Corp 加工性および加工後耐食性に優れた有機複合被覆鋼板
DE19750186A1 (de) 1997-11-13 1999-05-20 Bayer Ag Hydrophilierungsmittel,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als Dispergator für wäßrige Polyurethan-Dispersionen
US5859118A (en) * 1997-12-17 1999-01-12 Bayer Corporation Aqueous dispersions of polyurethane/ureas containing alkoxysilane groups and colloidal silicas
US6077901A (en) * 1999-05-06 2000-06-20 Bayer Corporation Aqueous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silane-functional resins
JP5358863B2 (ja) * 2000-11-15 2013-12-04 Dic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水性分散体
US6825263B2 (en) * 2002-04-08 2004-11-30 Dow Corning Corporation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from emulsions of elastomeric polymers and polyurethane disper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664227T3 (pl) 2010-04-30
US20050131109A1 (en) 2005-06-16
AU2004280361A1 (en) 2005-04-21
TWI382073B (zh) 2013-01-11
HK1097290A1 (en) 2007-06-22
ES2334572T3 (es) 2010-03-12
AU2004280361B2 (en) 2010-09-23
EP1664227A1 (de) 2006-06-07
DE10343675A1 (de) 2005-04-14
KR101158133B1 (ko) 2012-06-19
CA2538956C (en) 2013-01-15
UA84168C2 (en) 2008-09-25
EP1664227B1 (de) 2009-11-11
CN1852961A (zh) 2006-10-25
WO2005035684A1 (de) 2005-04-21
JP4933895B2 (ja) 2012-05-16
RU2006112558A (ru) 2007-11-10
DE502004010359D1 (de) 2009-12-24
JP2007533779A (ja) 2007-11-22
RU2366679C2 (ru) 2009-09-10
CA2538956A1 (en) 2005-04-21
ATE448284T1 (de) 2009-11-15
MXPA06002937A (es) 2006-05-31
TW200524999A (en) 2005-08-01
US8114931B2 (en) 2012-02-14
CN100475925C (zh)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133B1 (ko) 수성 접착제 분산액
US20060128885A1 (en) High-solids polyurethane-polyurea dispersions
KR101161888B1 (ko) 코팅제 조성물
US20050159575A1 (en) Polyurethane-polyurea dispersions stable to thermal yellowing
KR20040029973A (ko) 코팅제로서의 폴리우레탄-폴리우레아 분산액
US20050085584A1 (en) Aqueous adhesive dispersions
MXPA04006844A (es) Dispersiones acuosas, estabilizadas, de poliuretano-poliurea.
CN113698567B (zh) 一种亲水硅氧烷改性的聚氨酯或聚氨酯-脲水分散体、制备方法及应用
RU2353628C2 (ru) Однокомпонентные системы для покрытий
US7659338B2 (en) Dispersions
TW200528503A (en) Aqueous adhesive dispersions
MX2011004619A (es) Dispersiones de poliuretano modificado anionicamente.
US20210147607A1 (en) Polyurethane-urea dispersions based on polycarbonate-polyols as coating compositions
CN116472299A (zh) 新鲜溶胶在基于聚氨酯分散体的配制品中的用途
MXPA06007903A (en) Coating agent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