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328A -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328A
KR20060071328A KR1020050125886A KR20050125886A KR20060071328A KR 20060071328 A KR20060071328 A KR 20060071328A KR 1020050125886 A KR1020050125886 A KR 1020050125886A KR 20050125886 A KR20050125886 A KR 20050125886A KR 20060071328 A KR20060071328 A KR 20060071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substrate
liquid
form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고 오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produced by the application of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01Production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603Production of bubble jet print heads of the front shoot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23Manufacturing processes bonding and adhe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31Manufacturing processes photolith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35Manufacturing processes dividing the wafer into individual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4Manufacturing processes thin film formation
    • B41J2/1645Manufacturing processes thin film formation thin film formation by spin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002/14475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characterised by nozzle shapes or number of orifices per cha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8/00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 Y10S438/976Temporary protectiv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방법은 PAD 전극을 포함하는 기판 영역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액실을 형성하기 위해 에너지 발생 소자가 형성된 기판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용해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용해 수지층을 덮는 영역 및 개구가 형성된 전극 위 영역에 피복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에너지 발생 소자 위의 상기 피복 수지층에 개구를 형성하여 노즐을 형성하는 단계와, 용해액에 기판을 침지하여 용해 수지층을 용해하는 단계와, 용해 수지층을 용해한 후에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호층, 액실, 수지층, 노즐, 에너지 발생 소자, 전극, 기판

Description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PROCESS FOR MANUFACTURING LIQUID EJECTION HEA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잉크제트 헤드의 단면도.
도2는 보호층이 PAD 전극 상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접착층이 PAD 전극을 포함하는 기판의 전체 표면에 걸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용해 수지층이 가열 소자 상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피복 수지층이 용해 수지층 상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용해 수지층이 용해되어 잉크 챔버 및 개별 유로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보호층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잉크제트 헤드
11: 기판
12: 가열 소자
14: 잉크 챔버
15: 개별 유로
18: 노즐
21: 잉크 공급 부재
22: 공급구
23: 공통 유로
24: 상부판
31: PAD 전극
32: 보호층
34: 용해 수지층
35: 피복 수지층
본 발명은 액실로부터 액체를 토출하기 위해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는 액체 토출 헤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용해 수지층(soluble resin layer)을 확실하게 용해하여 기판상의 전극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잉크제트 프린터용 잉크제트 헤드(액체 토출 헤더의 일종)에 관한 기술로서 공지된 통상의 기술은 에너지 발생 소자를 사용하는 노즐을 통해 잉크 챔버에 포함된 잉크를 잉크 액적으로서 토출하는 단계와, 사실상 원형인 도트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도록 잉크 토출면에 대향 배치된 인쇄 용지 등과 같은 기록 매체 상에 액적을 착탄시켜, 도트 화상으로서 문자, 화상 등을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지된 잉크 토출 시스템의 예로는, 에너지 발생 소자로서 가열 소자(가열 저항기)를 사용하며 열 에너지에 의해 잉크가 토출되는 열 시스템, 에너지 발생 소자로서 피에조(piezo) 소자를 사용하여 진동판을 변형시킴으로써 잉크가 토출되는 피에조 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 모두에서, 잉크 챔버에 포함된 잉크는 노즐을 통해 토출된다.
이러한 형식의 액체 토출 헤드의 구조는 액실, 각각의 액실에 제공된 에너지 발생 소자, 에너지 발생 소자에 배치된 노즐, 각각의 액실에 연통되는 개별 유로, 개별 유로에 연통되어 개별 유로에 액체를 공급하는 공통 유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잉크제트 헤드를 제조하는 공지된 방법은 예를 들면, 후속적으로 용해될 수 있는 용해 수지층을 에너지 발생 소자가 배치된 기판상에 잉크 챔버 패턴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잉크 챔버 패턴으로 형성된 용해 수지층에 수지 용액을 도포하여 피복 수지층(coating resin layer)을 형성하는 단계와, 피복 수지층에 노즐을 형성하고 피복 수지층 아래의 용해 수지층을 용해하여 잉크 챔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예를 들면,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개 제59-274689호 참조).
그러나, 전술된 기술은 이하의 문제를 갖는다.
전술된 기술로 제조된 액체 토출 헤드를 사용한 인쇄 평가의 결과로, 일부 노즐로부터의 액적 불토출(nonejection)로 인한 것일 수 있는 백색 줄무늬가 발생 했다. 그래서, 잉크제트 헤드가 분해되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원래는 용해에 의해 제거되어야하는 용해 수지층이 유로에 용해되지않고 잔류함으로써, 잉크 흐름을 방해하여 잉크가 노즐에 도달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용해 수지층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용해액이 검토되었다. 그 결과, 용해액으로서 용해 수지층에 사용되는 감광 레지스트용 현상제를 사용함으로써, 용해되지않는 부분을 남기지 않고 피복 수지층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용해 수지층이 완전히 용해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현상제가 알카리성 수용액(2 내지 3%의 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물(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수용액)이기 때문에, 감광 수지용 현상제는 용해액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주로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PAD 전극을 침식시키는 문제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해 수지층용 용해액에 의한 전극부의 침식 없이 용해 수지층을 완전히 용해함으로써, 유로의 막힘 등과 같은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에 에너지를 인가하기 위해 기판상에 형성되는 에너지 발생 소자와, 에너지 발생 소자 및 토출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실과, 액실에 수용된 액체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기판상에 형성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다. 방법은 전극을 포함하는 기판 영역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액실을 형성하기 위해 에너지 발생 소자가 형성된 기판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용해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용해 수지층을 덮는 영역 및 개구가 형성된 전극 위 영역에 피복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에너지 발생 소자 위의 피복 수지층에 개구를 형성하여 노즐을 형성하는 단계와, 용해액에 기판을 침지하여 용해 수지층을 용해하는 단계와, 용해 수지층을 용해한 후에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은 전극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용해 수지층이 용해될 때 상기 전극이 보호층으로 덮여, 용해 수지층용 용해액에 의한 침식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전극이 침식되는 것을 주의할 필요가 없이 용해 수지층이 확실하게 용해된다. 또한, 보호층은 용해 수지층이 용해된 후에 제거된다. 그 결과, 전극은 확실하게 보호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은 용해 수지층용 용해액에 의한 전극의 침식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알카리성 수용액이 용해액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용해 수지층은 용해 수지층의 찌꺼기를 남기지않고 완전히 제거된다. 그 결과, 유로의 막힘 등이 발생하지 않는 액체 토출 헤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체 토출 헤드는 잉크 프린터용 잉크제트 헤드(10)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잉크는 액체로서 사용되고 각각의 잉크 챔버(14)에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 소자(가열 저항기)(12)는 에너지 발생 소자로서 사용되고 기판(11) 상에 배치된다. 물론, 액체 토 출 헤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제트 헤드(10)에서 가열 소자(12)는 기판(11) 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가열 소자(12)는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식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면, 600 DPI의 해상도를 갖는 잉크제트 헤드(10)에서는 가열 소자(12)가 42.3 μm의 간격으로 병렬 배열된다.
또한, 피복 수지층(35)이 기판(11)의 가열 소자(12) 상에 형성된다. 피복 수지층(35)은 잉크 액실(14)을 형성하도록 가열 소자(12) 위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을 갖는다. 또한, 개별 유로(15)가 각각의 잉크 챔버(14)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개별 유로(15)는 또한 후술되는 공통 유로(23)에 연통된다.
또한, 노즐(18)이 각각의 가열 소자(12) 위에서 피복 수지층(35)에 형성된다.
기판(11)은 수직으로 연장된 구멍을 갖는 잉크 공급 부재(21)에 부착되어 구멍의 하부에 공급구(22)를 형성하고 구멍 내에 공통 유로(23)를 형성한다. 또한, 공통 유로(23)를 밀봉하도록 상부판(24)이 피복 수지층(35)과 잉크 공급 부재(21) 사이에 제공된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잉크제트 헤드에서는, 공급구(22)를 통해 공급된 잉크가 공통 유로(23) 및 개별 유로(15)를 통하여 잉크 챔버(14)에 보내진다.
한편, 가열 소자(12)가 급속히 가열되는 경우, 기포가 잉크 챔버(14) 내의 가열 소자(12) 위에서 발생되도록 가열 소자(12)의 구동이 제어 유닛(도시 안됨)에 의해 제어되어, 기포의 성장으로 인하여 발생된 비상력(flying force)에 의해 노즐 (18)로부터 잉크가 액적으로서 토출된다. 각각의 잉크 챔버(14)에는 토출된 액적의 양에 대응하는 양의 잉크가 대응 개별 유로(15)로부터 채워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잉크제트 헤드의 제조 방법이 기술된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소자(12)(에너지 발생 소자에 해당함)가 예를 들어 반도체 및 전자 장치용의 미세 가공 기술(fine process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실리콘, 유리,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11) 상에 형성된다.
또한, 감광 레지스트로 이루어진 PAD 전극(31)이 기판(11) 상에 형성된다.
다음에, 보호층(32)이 PAD 전극(31) 상에 형성된다. 보호층(32)은 스핀 코팅 및 포토리소그래픽 패터닝에 의해 형성되어 PAD 기판(31) 상에 필름을 남긴다. 보호층의 두께는 대략 1 내지 2 μm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D 전극(31)을 덮는 영역에만 형성된 보호층(32) 대신, 감광 레지스트로 이루어진 접착층(33)이 스핀 코팅 등에 의해 PAD 전극(31)을 포함하는 기판(11) 전체 표면에 걸쳐 도포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D 상에 필름이 남도록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패터닝된다. 접착층(33)은 기판(11)과 후술되는 피복 수지층(35)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는, 접착층(33)이 PAD 전극(31)용 보호층(32)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 수지층(34)(sacrifice layer; 희생층)이 스핀 코팅 등에 의해 가열 소자(12)를 포함하는 영역에 도포되어, 유로 패턴을 형성하도록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패터닝된다. 용해 수지층(34)은 잉크 챔버(14) 및 개별 유로(15)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된다.
다음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감광 레지스트로 이루어진 피복 수지층(35)이 용해 수지층(34)을 포함하는 사실상 기판(11) 전체 표면에 걸쳐 스핀 코팅 등에 의해 도포된다. 그 후, 노즐(18)(토출 구멍)이 개별 가열 소자(12) 바로 위에 위치되도록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피복 수지층(35)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6)가 PAD 전극(31) 위에서 피복 수지층(35)에 형성되도록 포토마스크가 미리 설계된다.
다음에, 기판(11)이 예를 들면 다이서(dicer) 등을 사용하여 각각의 칩으로 절단된다. 이러한 경우, 절단 선들의 적어도 일부가 용해 수지층(34)과 중첩되도록 절단이 수행되어, 절단 후의 단면에 용해 수지층(34)이 노출된다.
다음에, 노출된 용해 수지층(34)의 단면(도5의 좌측 단부)으로부터 시작하여 용해 수지층(34)이 용해되도록 결과의 칩이 용해 수지층(34)용 용해액에 침지되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 상의 구조체로서 피복 수지층(35)만을 남긴다. 그 결과, 용해 수지층(34)이 존재하던 부분에 공간이 형성되어, 잉크 챔버(14) 및 개별 유로(15)가 잉크제트 헤드(10)에 형성된다.
용해액으로서는, 용해 수지층(34)용 현상제로서 사용되는 알카리성 수용액(예를 들면, 2 내지 3%의 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물 수용액)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유로에 용해 수지층이 남지않고 용해 수지층(34)이 완전히 용해된다. 또한, PAD 전극(31)은 보호층(32)으로 덮이기 때문에 알카리성 수용액에 의해 침식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로서 피복 수지층(35)의 패턴을 사용하는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기판(11)의 전체 표면으로부터 보호층(32)이 제거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보호층(32)은 피복 수지층(35)의 두께(대략 20 μm)보다 상당히 작은 대략 1 내지 2 μm의 두께를 갖기 때문에, 상기 처리가 보호층(32) 제거에 대한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한 피복 수지층(35)은 기판의 전체 표면에 대한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소실되지 않는다. 그 결과, PAD 전극(31)이 노출된다. 보호층(32)이 피복 수지층(35) 아래에 부분적으로 남아있지만, PAD 전극 자체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어떠한 문제도 없다.
전술된 바와 같이 형성된 칩은 에너지 발생 소자로서의 가열 소자(12), 가열 소자(12)를 포함한 잉크 챔버(14) 및 잉크 챔버(14)의 상부에 형성된 노즐(18)을 포함한다.
다음에, 공급구(22)를 가지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세라믹 또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잉크 공급 부재(21)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칩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간격은, 폴리이미드, PET 등의 수지 필름 또는 니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강등의 금속 포일로 이루어지며 접착제가 미리 도포된 상부판(24)의 열압착(thermocompression bonding)에 의해 덮인다. 이어서, 공통 유로(23)가 공급구(22)로부터 각각의 개별 유로(15)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되어, 잉크제트 헤드(10)(도1 참조)가 형성된다.
(예)
본 발명의 예가 이하에서 기술된다.
보호층(32)용 음극의 포토레지스트가 에너지 발생 소자로서의 가열 소자(12)가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 상에 1 μm의 두께로 도포된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가 마스크 얼라이너(aligner)에 의해 노광된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는 현상제에 의해 패터닝되고 필름이 PAD 기판(31) 상에 남도록 헹궈지며 또한 내수성이 향상되도록 200℃에서 포스트베이킹된다(post-baked).
다음에, 양극의 포토레지스트 PMER-LA900 (도꾜 오까 고교 컴퍼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이 스핀 코팅에 의해 10 μm의 두께로 도포되고 마스크 얼라이너에 의해 노광된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가 현상제(3%의 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물 수용액)에 의해 현상된 후 순수(pure water)에 의해 헹궈져 유로 패턴이 형성된다.
그 후, 레지스트 패턴의 전체 표면이 마스크 얼라이너에 의해 노광된 후 24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에서 자연방치된다.
다음에, 빛 경화형 음극의 포토레지스트가 용해 수지층(34) 상의 두께가 10 μm가 되도록 제어된 회전 속도로 스핀 코팅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 상에 도포된다. 다음에, 포토레지스트가 마스크 얼라이너에 의해 노광되어 현상제(도꾜 오까 고교 컴퍼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OK73 희석제(thinner))에 의해 현상되고 린스(IPA)에 의해 헹궈져, 소정의 위치에 15 μm의 두께를 갖는 노즐(18) 및 PAD 전극(31) 위에 개구(36)를 형성한다.
다음에, 웨이퍼는 다이서(dicer)에 의해 개별 칩 크기로 다이싱된다(diced). 이러한 다이싱에서는, 다이싱 선이 패터닝된 양극의 포토레지스트와 중첩되도록 양극의 포토레지스트 포토마스크가 미리 설계된다.
그 후, 각각의 칩은 음극의 포토레지스트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초음파 진동을 받으면서 양극의 포토레지스트용 현상제인 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물 3% 수용액에 침지된다.
그 후, 순수 치환(pure water replacement) 및 건조가 실행된다.
또한, 칩이 산소 플라즈마 처리되어 PAD 전극(31) 상의 음극의 포토레지스트(보호층(32))가 제거된다.
다음에, 칩이 잉크 공급부(21)에 부착되고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진 상부판(24)로 덮이며, 칩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 기판이 와이어 접착에 의해 칩 상의 PAD 전극(31)에 연결된다. 연결부는 잉크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에폭시 접착제로 밀봉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형성된 잉크제트 헤드(10)를 사용하는 잉크 토출 실험의 결과로서, 잉크의 불토출로 인한 백색 줄무늬가 관측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전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와 같은 다양한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1) 전술된 실시예에서 잉크제트 헤드(10)가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토출되는 액체는 잉크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다양한 액체를 토출하기 위한 액체 토출 헤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염색되는 물질에 염료를 토출하기 위한 액체 토출 헤 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학적 샘플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DNA함유 용액을 토출하기 위한 액체 토출 헤드에 적용될 수 있다.
(2) 전술된 실시예에서 잉크제트 헤드(10)는 에너지 발생 소자로서 가열 소자(12)를 사용하는 열 시스템 잉크제트 헤드이지만, 헤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에너지 발생 소자는 가열 소자(12)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에너지 발생 소자로서 피에조 소자를 사용하는 피에조 시스템 잉크제트 헤드에 적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동등물의 범주 내에 있는 한, 설계 요건 및 다른 인자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 조합체, 부조합체 및 변경예가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해 수지층용 용해액에 의한 전극부의 침식 없이 용해 수지층을 완전히 용해함으로써, 유로의 막힘 등과 같은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액체에 에너지를 인가하기 위해 기판상에 형성되는 에너지 발생 소자와,
    상기 에너지 발생 소자 및 토출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실과,
    상기 액실에 수용된 액체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기판 영역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액실을 형성하기 위해 에너지 발생 소자가 형성된 기판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용해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용해 수지층을 덮는 영역 및 개구가 형성된 전극 위 영역에 피복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에너지 발생 소자 위의 상기 피복 수지층에 개구를 형성하여 노즐을 형성하는 단계와,
    용해액에 상기 기판을 침지하여 용해 수지층을 용해하는 단계와,
    상기 용해 수지층을 용해한 후에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수지층과 상기 기판을 함께 접착시키기 위해 전극을 포함하는 기판 영역에 접착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상 기 보호층으로서 사용되는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알카리성 수용액이 상기 용해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용해액으로서 사용되는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기판의 전체 표면에 걸친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제거되는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
KR1020050125886A 2004-12-21 2005-12-20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 KR200600713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69933 2004-12-21
JP2004369933A JP4241605B2 (ja) 2004-12-21 2004-12-21 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328A true KR20060071328A (ko) 2006-06-26

Family

ID=3659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886A KR20060071328A (ko) 2004-12-21 2005-12-20 액체 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71591B2 (ko)
JP (1) JP4241605B2 (ko)
KR (1) KR20060071328A (ko)
CN (1) CN10042394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1011B2 (ja) * 2010-07-30 2014-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JP5372054B2 (ja) * 2011-03-11 2013-12-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US11642887B2 (en) * 2021-04-22 2023-05-09 Funai Electric Co., Ltd. Ejection head having optimized fluid ejection characteristic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242B2 (ja) * 1984-12-28 1994-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噴射記録ヘツドの製造方法
DE69127801T2 (de) * 1990-12-19 1998-02-05 Canon Kk Herstellungsverfahren für flüssigkeitsausströmenden Aufzeichnungskopf
JP2960608B2 (ja) * 1992-06-04 1999-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噴射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
JP3343875B2 (ja) * 1995-06-30 2002-1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製造方法
JPH09109392A (ja) * 1995-10-13 1997-04-28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同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123863A (en) * 1995-12-22 2000-09-2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ing liquid-jet recording head, liquid-jet recording head produced thereby, and recording apparatus equipped with recording head
KR100232853B1 (ko) * 1997-10-15 1999-12-01 윤종용 잉크젯 프린터 헤드의 가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151817A (ja) * 1997-11-22 1999-06-08 Nec Corp プリンタヘッドの電極保護方法
US6331259B1 (en) * 1997-12-05 2001-12-18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ink jet recording heads
EP0962320B1 (en) * 1998-06-03 2005-01-05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head, ink-jet head substrate, and a method for making the head
JP2000071451A (ja) * 1998-09-02 2000-03-07 Konica Corp 圧電セラミック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91532A (ja) * 2000-01-17 2001-07-17 Casio Comput Co Ltd サーマル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ヘッド
JP3728210B2 (ja) * 2001-02-23 2005-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2337347A (ja) * 2001-05-15 2002-11-27 Canon Inc 液体吐出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11371A (ja) * 2001-06-28 2003-01-15 Kyocera Corp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4532785B2 (ja) * 2001-07-11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US6908563B2 (en) * 2001-11-27 2005-06-21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993840B2 (en) * 2002-07-18 2006-02-07 Canon Kabushiki Kaisha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jet head
US6951622B2 (en) * 2002-08-08 2005-10-0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fabricating an integrated nozzle plate and multi-level micro-fluidic devices fabricated
JP4078295B2 (ja) * 2002-12-27 2008-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用基体およびこ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とその製造方法
CN100355573C (zh) * 2002-12-27 2007-12-19 佳能株式会社 用于制造喷墨记录头的基础件
JP3998254B2 (ja) * 2003-02-07 2007-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製造方法
KR100517515B1 (ko) * 2004-01-20 2005-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놀리틱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제조방법
JP4480141B2 (ja) * 2004-06-28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
US7497962B2 (en) * 2004-08-06 2009-03-03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discharge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for liquid discharge head
JP5027991B2 (ja) * 2004-12-03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43701A1 (en) * 2005-04-19 2006-11-02 Shogo Ono Liquid discharge head and liquid discharge head manufacturing method, chip element, and printing apparatus
KR100612027B1 (ko) * 2005-05-12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교 폴리머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제조방법
JP4693496B2 (ja) * 2005-05-24 2011-06-0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53088B1 (ko) * 2005-12-06 2006-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 헤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23943C (zh) 2008-10-08
JP4241605B2 (ja) 2009-03-18
JP2006175679A (ja) 2006-07-06
CN1796133A (zh) 2006-07-05
US7371591B2 (en) 2008-05-13
US20060134896A1 (en)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2200B2 (ja) 液体吐出ヘッド用基板の製造方法
KR100563508B1 (ko) 정렬 표시 형성 방법,소자가 형성된 기판 및 기판을이용한 액체 토출 헤드
CN105102230A (zh) 流体喷射装置
US6953530B2 (en) Forming method of ink jet print head substrate and ink jet print head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k jet print head and ink jet print head
JP517100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
US7371591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liquid ejection head
JP2012213967A (ja) 液体噴射ヘッドの製造方法
JP2009126161A (ja) 液滴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US8162448B2 (en) Liquid ejection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5003433A (ja) 液体吐出ヘッド
JP2009274266A (ja) 半導体チップ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
JP5224782B2 (ja) 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JP2006027108A (ja) 素子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5123394A1 (ja)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の製造方法
JP2006315307A (ja) 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装置
JP2001158102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ヘッドの製造方法
JP2004058287A (ja) 液体吐出ヘッド
JP2012121168A (ja) 液体吐出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467133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
JP200423752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
JP426190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用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
JP2005131843A (ja) 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装置
JP2002029057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ヘッド
JP200912614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用基体、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
JP200621873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