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3764A -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3764A
KR20060063764A KR1020050118910A KR20050118910A KR20060063764A KR 20060063764 A KR20060063764 A KR 20060063764A KR 1020050118910 A KR1020050118910 A KR 1020050118910A KR 20050118910 A KR20050118910 A KR 20050118910A KR 20060063764 A KR20060063764 A KR 20060063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mpressor
cooling
refrigerant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360B1 (ko
Inventor
하루히사 야마사키
마사지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냉각장치의 본체와 냉각 유닛의 분리·접속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조립 작업성을 개선한다.
압축기(11), 고압측 열교환기로서의 방열기(12), 저압측 열교환기로서 증발기(15) 등으로 냉매 회로(10)가 구성된 냉각 유닛(17)을 구비하고, 본체(1) 내에 구성된 피냉각 공간으로서의 저장실(4)에 증발기(15)와 열 교환된 냉기를 송풍기(16)에 의해 공급하여 냉각하는 냉각장치(쇼케이스)(100))에 있어서, 본체(1)의 바닥면 아래쪽에 기계실을 구성하고, 압축기(11)나 방열기(12)를 기계실(6) 바닥면의 유닛 베이스(20) 상에 설치하는 동시에, 증발기(15)나 송풍기(16)가 수납된 냉각상자(25)를 본체(1)의 바닥면에 후크(hook)(24, …)에 의해 부착하고, 저장실(4) 내부와 연통시킨다.

Description

냉각장치{REFRIGERA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를 쇼케이스에 적용한 경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케이스의 냉각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쇼케이스의 냉매 회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쇼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쇼케이스의 냉각 유닛의 확대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단열 상자체
3 : 선반
4 : 저장실
6 : 기계실
7 : 흡입구
8 : 토출구
9 : 도어
10 : 냉매 회로
11 : 압축기
12 : 방열기
14 : 팽창밸브
15 : 증발기
16 : 송풍기
17 : 냉각 유닛
20 : 유닛 베이스
24 : 후크
25 : 냉각상자
26 : 공간
30 : 냉매 도입관
34 : 냉매 토출관
36, 38 : 냉매 배관
본 발명은 압축기, 고압측 열교환기, 저압측 열교환기 등으로 냉매 회로가 구성된 냉각 유닛을 구비한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냉각장치, 예를 들면 점포(店鋪)에 설치된 쇼케이스(show case)는, 압축기, 고압측 열교환기로서의 방열기, 감압 수단, 저압측 열교환 기로서의 증발기 등으로 냉매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어 고온 고압으로 된 냉매 가스는 방열기로 토출된다. 이 방열에 의해 냉매 가스는 방열된 후, 감압 수단에 의해 감압되어 증발기로 공급된다. 그곳에서 냉매가 증발하며, 그때 주위와 열 교환하여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냉기)를 송풍기에 의해 본체 내에 형성된 저장실(피냉각 공간)로 송풍하는 것으로, 저장실이 냉각되는 것이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개2000-105060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쇼케이스 등에서 고장이 생긴 경우나 유지 보수시에는, 종래는 점포에서 고장 개소를 수리 또는 유지 보수하거나, 쇼케이스 전체를 설치 장소로부터 일단 공장 등으로 가지고 돌아가서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냉각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201은 전면(前面)에 개구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열 상자체(202)에 의해 구성된 본체이고, 이 단열 상자체(202) 내에는 복수 단(段)의 선반(203, …)이 가설(架設)되며, 각 선반 위에 피냉각 공간으로서의 저장실(204)이 구성되어 있다. 또, 전면의 개구는 단열 상자체(202)의 전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추지(樞支)되는 함께, 내부를 투시 가능한 투명 벽에 의해 구성된 도어(209)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01)의 바닥면에는 아래쪽에 구성된 기계실(206) 내부와 연통하는 흡입구(207)와 토출구(208)가 형성되고, 송풍기(216)에 의해 흡입구(207)로부터 기계실(206) 안으로 저장실(204) 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208)로부터 증 발기(215)와 열 교환된 공기를 송풍기(216)에 의해 저장실(204) 내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계실(206) 내에는, 압축기(211)와 방열기(212)와, 단열벽(221)에 의해 압축기(211) 및 방열기(212)로부터 격리하여 설치된 증발기(215) 및 해당 증발기(215)에 통풍하기 위한 송풍기(216) 등에 의해 냉매 회로가 구성된 냉각 유닛(217)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유닛 베이스(220) 상에 설치되어 있다(도 5).
이 유닛 베이스(220)의 양측에는 양단에 후크(224, …)를 갖는 벽(222, 22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후크(224, …)는 상기 본체(201) 바닥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부착부와 끼워 맞춤시키는 것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후크(224)에 의해 유닛 베이스(220) 상에 설치된 냉각 유닛(217) 전체를, 본체(201)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벽(222, 223)에 부착된 각 후크(224, …)를 끼워 맞춤하는 것으로, 냉각 유닛(217)을 본체(201)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되는 동시에,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것으로 냉각 유닛(217)을 용이하게 본체(201)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수리나 유지 보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이 냉각 유닛(217) 전체를 본체(201)에 부착하는 구조로 한 경우, 냉각 유닛(217) 전체가 본체(201)에 매달려져 있는 것으로 되어, 본체(201)에 상당한 부품 중량이 걸리기 때문에, 본체(201)의 강도(强度) 상승을 도모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 유닛(217) 전체는 상당한 부품 중량으로 되기 때문에, 냉각 유닛(217)을 본체(201)에 부착할 때의 조립 작업성도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도 생기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진 것으로, 냉각장치의 본체와 냉각 유닛의 분리·접속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조립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서는, 압축기, 고압측 열교환기, 저압측 열교환기 등으로 냉매 회로가 구성된 냉각 유닛을 구비하고, 본체 내에 구성된 피냉각 공간에 저압측 열교환기와 열 교환된 냉기를 송풍기에 의해 공급하여 냉각하는 것에 있어서, 본체의 바닥면 아래쪽에 기계실을 구성하고, 압축기나 고압측 열교환기를 기계실 바닥면의 유닛 베이스 상에 설치하는 동시에, 저압측 열교환기나 송풍기가 수납된 냉각상자를 본체의 바닥면에 부착하고, 피냉각 공간 내부와 연통시키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의 냉각장치에서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냉각상자를 본체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의 냉각장치에서는,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유닛 베이스 상의 압축기나 고압측 열교환기와, 냉각상자 내의 저압측 열교환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냉매 배관을 플렉시블 튜브(flexible tube)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냉각장치를 쇼케이스(100)에 적용한 경우의 사시도, 도 2는 쇼케이스(100)의 냉각 유닛(17)의 확대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쇼케이스나 자동판매기, 냉장고, 냉동고 등에 사용 가능한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쇼케이스(100)의 본체이고, 이 본체(1)는 전면에 개구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열 상자체(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열 상자체(2) 내에는 복수 단(실시예에서는 3단)의 선반(3, …)이 가설되어 있고, 각 선반 상의 공간을 피냉각 공간으로서의 저장실(4)로 하고 있다. 또, 전면의 개구는, 단열 상자체(2)의 우측 전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추지되는 동시에 내부를 투시 가능한 투명 벽으로 구성된 도어(9)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의 바닥면에는 이 본체(1)의 바닥면 아래쪽에 구성된 기계실(6) 내부와 연통하는 흡입구(7)와 토출구(8)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송풍기(16)에 의해 흡입구(7)로부터 기계실(6)의 냉각상자(25) 안으로 저장실(204) 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8)로부터 저압측 열교환기로서의 증발기(15)와 열 교환된 공기를 저장실(4) 안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기계실(6) 내에는, 압축기(11), 고압측 열교환기로서의 방열기(12), 방열기(12)에 송풍하기 위한 팬(13) 및 상기 증발기(15) 등으로 냉매 회로(10)가 구성된 냉각 유닛(17)과, 본체(1) 내에 구성된 저장실(4)에 증발기(15)와 열 교환된 냉기를 공급하여 냉각하기 위한 상기 송풍기(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기(11), 방열기(12) 및 팬(13)은 이 기계실 (6)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유닛 베이스(20)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15)나 송풍기(16)는 상술한 냉각상자(25)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냉각상자(25)는 상부면이 개구된 단열성의 상자체이고, 그 냉각상자(25) 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15)와 송풍기(16)가 수납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발기(15)의 상기 송풍기(16)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냉각상자(25) 내에는 공간(26)이 설정되어 있고, 이 공간(26)의 상부면은 후술하는 토출구(8)가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냉각상자(25)의 위쪽의 모서리부에는 각각 후크(24, …)가 부착되어 있다. 이 후크(24, …)는 본체(1)의 바닥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부착부와 끼워맞춤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 후크(24, …)를 본체(1)의 바닥면의 부착부에 끼워맞춤하는 것으로, 냉각상자(25)는 본체(1)의 바닥면에 매달려진 상태로 부착된다.
이와 같이, 각 후크(24, …)에 의해 냉각상자(25)를 본체(1)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냉각상자(25)를 부착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7)가 냉각상자(25) 내의 송풍기(16)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토출구(8)가 냉각상자(25) 내의 증발기(15)와 냉각상자(25)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26)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즉, 흡입구(7)를 통하여 저장실(4) 내부와 냉각상자(25) 내의 송풍기(16)의 상부면이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저장실(4) 내의 공기를 흡입구(7)로부터 냉각상자(25) 내의 송풍기(16)에 흡입시킬 수 있다. 또, 토출구(8)를 통하여, 저장실(4) 내부와 증발기(15)의 상기 송풍기(16)의 반대측에 형성된 공간(26)이 연통된다. 이것에 의해, 토출구(8)로부터 송풍기(16)에 의해 흡입되어 증발기(15)와 열 교환된 냉기를 저장실(4) 내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냉매 회로(10)를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하다. 냉매 회로(10)는 압축기(11), 방열기(12), 스로틀(throttle) 수단으로서의 팽창밸브(14) 및 증발기(15) 등을 환상으로 배관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즉, 압축기(11)의 냉매 토출관(34)은 방열기(12)의 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예의 압축기(11)는, 내부중간압형 2단 압축식의 로터리 컴프레서이고, 밀폐용기(11A) 내에 구동요소(44)와, 이 구동요소(44)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의 회전압축요소(50, 52)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30은 압축기(11)의 제1 회전압축요소(50)에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관이며, 이 냉매 도입관(30)의 일단(一端)은 제1의 회전압축요소(50)의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와 연통되어 있다. 이 냉매 도입관(30)의 타단은 냉각상자(25) 내에 수납된 증발기(15)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도면에서 32는, 제1의 회전압축요소(50)로 압축된 냉매를 제2의 회전압축요소(52)에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관이다. 또한, 상기 냉매 토출관(34)은 제2의 회전압축요소(52)로 압축된 냉매를 방열기(12)에 토출시키기 위한 냉매 배관이다.
방열기(12)의 출구측에 접속된 냉매 배관(36)은 팽창밸브(14)를 거쳐서 냉각상자(25) 내에 수납된 증발기(15)의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증발기(15)의 출구측에 접속된 냉매 도입관(30)은 압축기(11)의 제1 회전압축요소(50)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유닛 베이스(20) 상에 설치된 압축기(11)나 방열기(12)와, 냉각상자 (25) 내의 증발기(15)의 사이에 설치된 냉매 배관(36) 및 냉매 도입관(30)은 각각 플렉시블 튜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냉매 회로(10)에 있어서 유닛 베이스(20) 상에 설치된 방열기(12)와 냉각상자(25) 내의 증발기(15)를 접속하는 냉매 배관(36) 및 냉각상자(25) 내의 증발기(15)와 유닛 베이스(20) 상에 설치된 압축기(11)를 접속하는 냉매 도입관(30)을, 신축성을 가지며 진동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플렉시블 튜브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냉매 배관(36) 및 냉매 도입관(30)이 신축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받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 배관이 빠지거나 손상되지 않고 접속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냉매 회로(10)가 배관 접속된 상태라도, 지장 없이 냉각상자(25)를 본체(1)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냉각상자(25)를 쇼케이스(100)의 본체(1)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미리 배관 접속되고 냉매가 봉입(封入)된 냉각 유닛(17)이 쇼케이스(100)의 본체(1)의 바닥면 아래쪽에 구성되며 기계실(6) 내에 세팅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상자(25)의 각 후크(24, …)를 본체(1)의 바닥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부착부와 끼워맞춤시킨다. 이것에 의해, 냉매상자(25)가 본체(1)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흡입구(7)를 통하여 저장실(4) 내부와 냉매상자(25) 내의 송풍기(16)의 상부면이 연통되고, 토출구(8)를 통하여 저장실(4) 내부와 냉매상자(25) 내의 공간(26)이 연통된다.
다음으로, 상기 방법으로 구성된 쇼케이스(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시동 스위치를 넣거나, 혹은, 본체(1)의 전원 소켓이 콘센트에 접속되면, 방열기(12)의 팬(14) 및 송풍기(16)의 운전이 개시되어 압 축기(11)의 구동요소(44)가 기동(起動)된다. 이것에 의해, 압축기(11)의 제1의 회전압축요소(50)에 저압의 냉매가 흡입되어 압축되고 중간압으로 되어, 밀폐용기(11A) 내로 토출된다. 밀폐용기(11A) 내에 토출된 냉매는, 냉매 도입관(32)으로부터 일단 밀폐용기(11A)의 외부로 토출된 후, 제2의 회전압축요소에 흡입되어 압축되고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로 되어, 냉매 토출관(34)으로부터 압축기(11)의 외부로 토출된다.
압축기(11)의 외부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냉매 토출관(34)으로부터 방열기(12)로 들어가며, 그곳에서 팬(13)에 의한 통풍을 받아서 방열한다. 그리고, 냉매는 방열기(12)로부터 나와서 냉매 배관(36)으로 들어가고, 팽창밸브(14)에 이른다. 냉매는 팽창밸브(14)에 의해 압력이 저하되며, 그 상태로 냉각상자(25) 내에 수납된 증발기(15) 내로 유입된다. 그곳에서 냉매는 증발하며 주위로부터 흡열함으로써 냉각작용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16)의 운전에 의해, 저장실(4) 내의 공기가 흡입구(7)로부터 냉각상자(25) 내에 흡입되고, 증발기(15)에 송풍된다. 여기서, 냉매의 증발에 의해 공기가 냉각되며, 냉각된 공기(냉기)는 공간(26)으로부터 토출구(8)를 거쳐서 저장실(4)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저장실(4) 내에 순환되어 저장실(4) 내를 냉각한다.
여기서, 증발기(15) 및 송풍기(16)를 단열성을 가진 냉각상자(25) 내에 수납하는 것으로, 압축기(11)의 운전에 의해 생기는 열이나 방열기(12)와 열 교환하여 가열된 공기를 그 냉각상자(25)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증발기(15)와 열 교환된 냉기를 가열하는 일 없이 저장실(4) 내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냉각 효율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실(4) 내로 공급된 냉기는 저장실(4) 내를 냉각한 후, 흡입구(7)로부터 냉각상자(25) 내의 송풍기(16)로 흡입되고, 다시 증발기(15)에 의해 냉각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한편, 증발기(15)에 의해 증발된 냉매는 그 후, 증발기(15)를 나와서 냉매 도입관(30)으로 들어가며, 압축기(11)의 제1의 회전압축요소(50)에 흡입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다른 한편, 냉각 유닛(17)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냉각 유닛(17)을 유지 보수할 때의 분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에 의해 본체(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정지 스위치가 눌려지거나, 혹은 전원 소켓이 콘센트로부터 뽑아지면, 압축기(11)의 운전이 정지한다.
그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본체(1)의 바닥면의 각 후크(24, …)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것으로, 냉각상자(25)를 용이하게 본체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6) 내의 바닥부에 설치된 유닛 베이스(20)가 기계실(6)로부터 인출(引出)되는 것으로, 냉각 유닛(17)을 취출(取出)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의 바닥면 아래쪽에 기계실(6)을 구성하고, 압축기(11)나 방열기(12)를 기계실(6) 바닥면의 유닛 베이스(20) 상에 설치하는 동시에, 증발기(15)나 송풍기(16)가 수납된 냉각상자(25)를 후크(24, …)에 의해 본체(1)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고, 흡입구(7) 및 토출구(8)에 의해 저장실(4)과 연통시키는 것으로, 본체(1)로의 냉각상자(25)의 부착 작업을 보다 한 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고장시나 유지 보수시에는 냉각상자(25)를 떼어낼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고장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보수 관리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바닥부에는, 냉각상자(25)와, 이 냉각상자(25) 내에 수납된 증발기(15)와 송풍기(16)만을 부착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본체(1)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부품 중량을 삭감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조립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의 강도상의 문제도 해소되므로, 비용의 삭감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압축기(11)나 방열기(12)는 유닛 베이스(20)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쇼케이스(100) 전체의 무게 중심이 낮아져서 안정화되는 동시에, 압축기(11)를 본체(1)의 바닥부에 부착하지 않으므로, 압축기(11)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진동이 본체(1)에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쇼케이스(100)의 소음·진동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 유닛 베이스(20) 상의 압축기(11)나 방열기(12)와, 냉각상자(25) 내의 증발기(15)의 사이에 설치되는 냉매 배관(36) 및 냉매 도입관(30)을 플렉시블 튜브에 의해 구성한 것으로, 냉매 회로(10)가 배관 접속된 상태에서도 지장 없이 냉매상자(25)를 본체(1)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로서 내부 중간압형 2단 압축식 로터리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압축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압축 형식이나 단단(單段), 혹은 3단 이상의 압축요소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바닥면 아래쪽에 기계실을 구성하고, 압축기나 고압측 열교환기를 기계실 바닥면의 유닛 베이스 상에 설치하는 동시에, 저압측 열교환기나 송풍기가 수납된 냉각상자를 본체의 바닥면에 부착하고, 피냉각 공간 내부와 연통시키므로, 본체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부품 중량을 삭제하고, 조립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 본체의 강도 상의 문제도 해소되므로, 비용의 삭감도 도모된다. 또한, 압축기나 고압측 열교환기는 유닛 베이스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무게 중심이 낮아져서 안정화되는 동시에, 소음·진동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에 더하여 냉각상자를 본체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므로, 본체에의 냉각상자의 부착 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유지 보수시에는 냉각상자를 떼어낼 수 있으므로, 보수 관리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에 더하여 유닛 베이스 상의 압축기나 고압측 열교환기와, 냉각상자 내의 저압측 열교환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냉매 배관을 플렉시블 튜브에 의해 구성하므로, 냉매 회로가 배관 접속된 상태라도 지장 없이 냉각상자를 본체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압축기, 고압측 열교환기, 저압측 열교환기 등으로 냉매 회로가 구성된 냉각 유닛을 구비하고, 본체 내에 구성된 피냉각 공간에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와 열 교환된 냉기를 송풍기에 의해 공급하여 냉각하는 냉각장치로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 아래쪽에 기계실을 구성하고, 상기 압축기나 고압측 열교환기를 상기 기계실 바닥면의 유닛 베이스(unit base) 상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나 송풍기가 수납된 냉각상자를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부착하고, 상기 피냉각 공간 내부와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상자를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베이스 상의 압축기나 고압측 열교환기와, 상기 냉각상자 내의 저압측 열교환기의 사이에 설치된 냉매 배관을 플렉시블 튜브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KR1020050118910A 2004-12-07 2005-12-07 냉각장치 KR101160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53839 2004-12-07
JP2004353839A JP4660176B2 (ja) 2004-12-07 2004-12-07 冷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764A true KR20060063764A (ko) 2006-06-12
KR101160360B1 KR101160360B1 (ko) 2012-06-26

Family

ID=3598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910A KR101160360B1 (ko) 2004-12-07 2005-12-07 냉각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24332B2 (ko)
EP (1) EP1669707B1 (ko)
JP (1) JP4660176B2 (ko)
KR (1) KR101160360B1 (ko)
CN (1) CN100533014C (ko)
AT (1) ATE404833T1 (ko)
DE (1) DE602005008874D1 (ko)
TW (1) TW2006195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9562B2 (ja) * 2006-07-06 2012-01-25 サンデン株式会社 冷却庫
WO2008013546A1 (en) * 2006-07-28 2008-01-31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display merchandiser with microchannel evaporator oriented to reliably remove condensate
ITMI20072106A1 (it) * 2007-10-31 2009-05-01 Bravo Spa Impianto frigorifero
AU2009250077B2 (en) * 2008-05-23 2012-11-01 Aktiebolaget Electrolux Cold appliance
DE102009006772A1 (de) * 2009-01-30 2010-08-05 Blanco Cs Gmbh + Co Kg Temperaturkonditioniervorrichtung für einen Speisentransportbehälter
DE102009002034A1 (de) * 2009-03-31 2010-10-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und Kältevorrichtung für ein Haushaltskältegerät
CN101999810A (zh) * 2009-09-02 2011-04-06 上海海立中野冷机有限公司 一种分体组合式陈列冷柜
US8522565B1 (en) * 2009-10-20 2013-09-03 The Veracity Group, Inc. Refrigerator with removable cooling unit
ITTO20100489A1 (it) * 2010-06-09 2011-12-10 Indesit Co Spa Apparecchio elettrodomestico
US20120023983A1 (en) * 2010-08-02 2012-02-02 Sg Beverage Solutions, Inc. Removable refrigeration unit
US9532661B2 (en) 2011-06-30 2017-01-03 Pepsico, Inc. Modular refrigerated merchandise display system
US9532660B2 (en) 2011-06-30 2017-01-03 Pepsico, Inc. Refrigerated merchandise display system
CN102564012A (zh) * 2012-01-19 2012-07-11 海尔集团公司 侧面安装的集成制冷装置
CN103544773A (zh) * 2012-07-16 2014-01-29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自动售货机中的温度调节装置
WO2014121190A1 (en) 2013-02-04 2014-08-07 Metro Industries Inc. Mobile refrigeration cabinet
US20140345316A1 (en) * 2013-05-22 2014-11-27 The Coc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 modular cooler assembly
CN103471314B (zh) * 2013-09-30 2016-07-27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可分离式冰箱
GB201320569D0 (en) * 2013-11-21 2014-01-08 Ocado Ltd Multi-compartment locker with removable environmental control unit
WO2018222645A1 (en) 2017-05-31 2018-12-06 Carrier Corporation Actively cooled device for small scale delivery
KR102004047B1 (ko) * 2017-10-23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DE102017221904A1 (de) * 2017-12-05 2019-06-06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vorrichtung
CN108224834A (zh) * 2017-12-26 2018-06-29 宁波华斯特林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制冷模块以及使用该制冷模块的制冷设备
JP6677267B2 (ja) * 2018-03-30 2020-04-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0553452A (zh) * 2018-06-04 2019-12-1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13074502A (zh) * 2020-01-06 2021-07-0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制冷模组及冰箱
DE102020114820A1 (de) 2020-06-04 2021-12-09 PremiumWineTech GmbH Kühlmöbel und Verfahren zum Kühlen von Kühlgut
US11892226B2 (en) 2021-12-10 2024-02-06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JP2024043755A (ja) * 2022-09-20 2024-04-02 アクア株式会社 パネル式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0984U (ko) * 1979-09-26 1981-05-06
JPH0623900Y2 (ja) * 1989-07-31 1994-06-2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蔵装置の断熱構造
US4977754A (en) * 1990-05-01 1990-12-18 Specialty Equipment Companies, Inc. Next-to-be-purchased cold beverage merchandiser
US5347827A (en) * 1992-07-01 1994-09-20 The Coca-Cola Company Modular refrigeration apparatus
JP3022121B2 (ja) * 1993-12-28 2000-03-15 三洋電機株式会社 低温ショーケース
ES2115433B1 (es) * 1994-03-29 1999-02-16 Guillen Ramon Torres Disposicion para refrigerar productos almacenados en el armario de una maquina expendedora.
JPH08121932A (ja) * 1994-10-20 1996-05-17 Toyo Eng Works Ltd 局所冷却装置
JPH08313138A (ja) * 1995-05-17 1996-11-29 G Ee Shi Kk 卓上型冷却装置
JP3675910B2 (ja) * 1995-10-02 2005-07-27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2000105060A (ja) 1998-09-30 2000-04-11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の温度表示装置
JP2000105058A (ja) * 1998-09-30 2000-04-11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JP2001351162A (ja) * 2000-06-08 2001-12-21 Shibaura Mechatronics Corp 自動販売機
US6550255B2 (en) * 2001-03-21 2003-04-22 The Coca-Cola Company Stirling refrigeration system with a thermosiphon heat exchanger
JP4493230B2 (ja) * 2001-03-28 2010-06-30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BR0106589B1 (pt) * 2001-12-27 2009-05-05 sistema de refrigeraçáo com condensador tipo placa e método para compactá-lo.
KR100896264B1 (ko) * 2003-01-17 200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각장치
TWI325949B (en) * 2004-02-09 2010-06-11 Sanyo Electric Co Refrigerant system
JP4190451B2 (ja) * 2004-03-31 2008-12-03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4190461B2 (ja) * 2004-05-27 2008-12-03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4493478B2 (ja) * 2004-11-25 2010-06-30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8874D1 (de) 2008-09-25
CN100533014C (zh) 2009-08-26
EP1669707A3 (en) 2006-07-19
US8424332B2 (en) 2013-04-23
EP1669707B1 (en) 2008-08-13
JP2006162148A (ja) 2006-06-22
EP1669707A2 (en) 2006-06-14
KR101160360B1 (ko) 2012-06-26
US20060117789A1 (en) 2006-06-08
ATE404833T1 (de) 2008-08-15
TW200619580A (en) 2006-06-16
JP4660176B2 (ja) 2011-03-30
TWI346763B (ko) 2011-08-11
CN1786630A (zh)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360B1 (ko) 냉각장치
KR20050077761A (ko) 가열/냉각 시스템
JP2005069671A (ja) 冷蔵庫
WO2006047547A2 (en) Portable refrigeration unit
KR20060041721A (ko) 가열/냉각 시스템
WO2017138244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950846B1 (ko) 냉동고
KR200443435Y1 (ko) 냉각실을 갖는 쇼케이스
JP2000314580A (ja) 冷凍冷蔵庫
CN212901780U (zh) 空调室外机
KR101038671B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JP2005037120A (ja) 冷蔵庫
KR102220816B1 (ko)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2007057131A (ja) 冷蔵庫
KR2015008083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944355B2 (ja) 冷却装置
KR20030086734A (ko) 태양열을 이용한 냉장고
KR100556390B1 (ko) 냉장고 기계실의 방열구조
JP2005164107A (ja) 店舗用冷凍機
KR100416704B1 (ko)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00399682B1 (ko) 냉열반도체를 이용한 냉방장치
KR20240077156A (ko) 다중 열매체를 이용한 프리쿨링 냉동시스템 및 그 냉동시스템의 실외기
JPH0542981U (ja) 連結型シヨーケース
JP2005226911A (ja) 加熱/冷却システム
KR200332884Y1 (ko) 냉장고용 일체형 냉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