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412A - 미싱 및 그 봉제틀의 퇴피(退避)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미싱 및 그 봉제틀의 퇴피(退避)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412A
KR20060056412A KR1020067006330A KR20067006330A KR20060056412A KR 20060056412 A KR20060056412 A KR 20060056412A KR 1020067006330 A KR1020067006330 A KR 1020067006330A KR 20067006330 A KR20067006330 A KR 20067006330A KR 20060056412 A KR20060056412 A KR 20060056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sewing machine
frame
predetermined
embroid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쿠오 다지마
유지 사토
츠토무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6Devices for stopping drive when abnormal conditions occur, e.g. thread break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3/00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 D05C3/02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32Safety devices; Securi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봉제틀(자수틀)(5)을 얹어놓는 테이블(2)의 단부에 작업자가 진입 가능한 오목부(2a)를 구비하고, 그 오목부(2a)의 근방에는 봉제틀(5)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퇴피 지시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퇴피 스위치(11)를 포함하는 스위치 박스(8)가 배치되어 있다. 미싱의 정지시 봉제틀(5)이 오목부(2a)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작업자가 퇴피 스위치(11)를 조작하여 퇴피 지시를 보내면, 봉제틀(5)이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Y 방향 구동 기구(7)가 제어된다. 실 절단 검출 등에 의해 봉제 가공 중의 미싱이 일단 정지될 때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미싱 및 그 봉제틀의 퇴피(退避) 제어 방법{SEW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RETREAT OF SEWING FRAME OF THE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봉제틀을 얹어놓는 테이블에 작업자가 진입 가능한 오목부를 구비하는 미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 절단의 검출 등에 의해 미싱을 정지시킬 때에, 봉제틀이 상기 오목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그 봉제틀을 오목부로부터 퇴피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 미싱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그 봉제틀의 퇴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알려진 미싱에, 봉제틀을 얹어놓는 테이블의 단부에 작업자가 진입 가능한 오목부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 종류의 미싱에 있어서, 봉제 가공 중에 실 절단을 검출하고 봉제틀의 구동을 정지할 때에, 봉제틀이 상기 오목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봉제틀을 그곳으로부터 퇴피시키도록 한 미싱의 제어 방법이,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의 방법은, 실이 절단될 때에 봉제틀을 테이블의 오목부의 상측으로부터 자동적으로 퇴피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오목부에 진입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끊어진 실의 수복(실 꿰기) 작업을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을 수복한 후 봉제 가공을 재시동시킬 때는, 봉제틀을 퇴피시키기 전의 위치에 되돌리고 나서 재 시동시키고 있었다. 또, 그 미싱이 복수의 미싱헤드를 구비한 다두(多頭) 미싱이었던 경우에는, 봉제틀을 퇴피시키기 전에 실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모든 미싱헤드에서 실 절단을 실시해둠으로써, 봉제틀의 퇴피에 따라 실이 필요 이상으로 풀어내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특개 2002-360959호 공보
그러나, 실 절단의 검출 처리에 있어서, 실제로는 실이 절단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실 절단을 오검출 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실 절단의 검출이 오검출이었던 경우라도 봉제틀이 테이블의 오목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자동적으로 봉제틀의 퇴피가 실행되어버리고, 또 다두 미싱이면 실이 절단되어 있지 않는 미싱헤드의 실 절단이 실시된 후, 봉제틀의 퇴피가 실행되어 버린다. 따라서, 실 절단이 오검출이었던 경우는, 재시동 지시에 의해 퇴피된 봉제틀을 원래의 위치에 되돌리고 나서 봉제 작업을 재개시키지 않으면 안 되며, 필요 없는 봉제틀의 퇴피 및 위치를 되돌리는 동작에 의해, 불필요하게 시간이 걸려서 작업 효율을 해치고 있었다. 다두 미싱에 있어서는, 또한 모든 미싱헤드에서의 실 절단까지가 자동적으로 실행됨으로, 보다 한층 시간을 낭비하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실 절단 검출시의 처리가 비효율적이다 라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다두 미싱에 있어서는 오검출 되었더라도 봉제틀이 퇴피되어 버리므로, 그 봉제틀의 퇴피에 따라, 실제로는 절단되어 있지 않은 실(실 절단의 오검출된 실)이 필요 이상으로 풀어내어져 버림으로써, 재시동 이후의 꿰맴 상태가 무너 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함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 절단 검출 등에 의해 봉제 가공 중의 미싱이 일단 정지될 때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 할 수 있도록 한 미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싱은 테이블 상에 이동 가능하게 얹어놓은 봉제틀을 구비하고, 그 테이블의 가장자리부에 작업자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미싱으로서, 상기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와, 인위적인 조작에 따라 상기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퇴피 지시를 발생하는 조작기와, 상기 미싱의 정지시 상기 봉제틀이 상기 오목부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조작기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퇴피 지시가 발생되었던 것에 따라, 상기 이동 기구를 동작시켜서 그 봉제틀을 상기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퇴피 지시를 발생하는 조작기를 구비하고, 그 조작기를 인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퇴피 지시가 발생된 경우에, 그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미싱의 정지시 봉제틀이 상기 오목부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고, 작업자가 그 오목부에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일률적으로 자동적으로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고, 그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는지 아닌지를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봉제 가공 중에 실 절단이 검출되어 미싱이 일단 정지된 경우, 작업자는 실제로 실 절단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퇴피 지시 조작을 실시하고, 그 봉제틀을 퇴피시킨다. 한편, 그 실 절단의 검출이 오검출인 때에는, 즉시 봉제 가공을 재시동시킴으로써 불필요한 봉제틀의 퇴피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서 시간을 낭비하는 일이 없다. 또,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봉제틀의 퇴피를 실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실이 끊어졌었다고 하더라도 봉제틀이 오목부의 상측에 조금만 위치하고 있는 경우 등, 봉제틀의 퇴피가 불필요하다고 작업자가 판단한 경우에는 봉제틀의 퇴피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 절단 검출 등에 의해 봉제 가공 중의 미싱이 일단 정지될 때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 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일실시 형태로서, 상기 봉제틀을 상기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전에, 그 미싱에 구비되는 모든 미싱헤드에서 실 절단을 실행하는지 아닌지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선택 수단을 또한 구비하면 된다. 이에 의하면, 실 절단을 실시하는지 아닌지를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선택 · 결정할 수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자동적으로 실 절단을 실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적절히 실 절단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봉제틀의 퇴피 이동량이 적은 경우에는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실 절단을 실시하지 않고 봉제틀을 퇴피시키는 일도 가능해진다.
이런 경우, 그 선택 수단으로서 상기 조작기를 사용(공용)하고, 상기 실 절단을 실시하는지 아닌지의 선택을 실시하도록 하면 된다. 이에 의하면, 조작기에 의해 실 절단을 실시하는지 아닌지의 선택도 가능해지므로, 봉제틀을 퇴피시키기 전에 실 절단을 실시하게 하는 것도 그 조작기만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미싱헤드를 구비한 다두 미싱에 있어서, 실 절단이 검출된 경우에 실이 절단되어 있지 않는 모든 미싱헤드에서 실 절단을 실시한 후에 봉제틀을 퇴피시킨다고 하는 일련의 작업을 하나의 조작기만의 조작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로서, 상기 조작기는 상기 테이블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근방에 배치 되도록 하면 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실 절단 상태의 확인이나 봉제틀의 퇴피 지시, 실 꿰기 작업, 미싱의 재구동 지시 등의 일련의 작업을 서있는 위치나 작업 자세를 크게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해당 작업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일실시 형태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기 봉제틀을 퇴피시키기 전의 원래의 위치에 되돌리기 위한 이동 제어를 실시하는 것으로써, 그 봉제틀을 상기 원래의 위치에 되돌리는데 있어서, 상기 원래의 위치보다 적어도 1스티치 전의 봉제 위치에 되돌리도록 이동 제어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면, 모든 미싱헤드의 실을 절단한 후에 봉제틀을 퇴피시킨 경우에는, 이동전의 원래의 봉제 위치(즉, 봉제의 정지 위치)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되돌리고 나서 봉제를 재개하면, 전회의 봉제의 정지 위치와 봉제 재개시 위치 사이에서 솔기가 날아가 버리는 등의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상기 봉제틀을 퇴피전의 원래의 위치보다 적어도 1스티치(1바늘) 이상 전의 봉제 위치에 되돌림으로써, 그와 같은 불편함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두식(多頭式) 미싱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동실시예에 따른 미싱에 구비되는 스위치 박스를 미싱 전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스위치 박스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동실시예에 따른 미싱의 전기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동실시예에 따른 미싱에 있어서, 실 절단의 검출에 의해 미싱이 일단 정지되었을 때의 처리 예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다두식 자수 미싱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미싱에 대해 좌우 방향을 X방향, 또 전후 방향을 Y방향이라고 칭한다.
도 1은, 이 실시예에 따른 다두식 자수 미싱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부호 1은 해당 자수 미싱의 미싱 프레임, 부호 2는 테이블을 나타낸다. 미싱 프레임(1)의 어퍼 아암부에는 복수(이 예에서는 10개)의 미싱헤드(3)가 X방향을 따라 배설된다. 각 미싱헤드(3)는 미싱 프레임(1)으로부터 미싱 앞쪽(도면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미싱헤드(3)의 바로 아래 위치에는, 미싱헤드(3)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10개)의 가마 토대(4)가 테이블(2)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테이블(2)의 상부면에는 피자수물(옷감 등)을 전장(展張) 유지하기위한 자수틀(5)이 얹어 놓아져 있다. 이 자수틀(5)은 테이블의 아래에 배설된 X 구동 기구(6) 및 Y 구동 기구(7)에 연결되어 있으며, X 구동 기구(6)에 의해 X 방향, Y 구동 기구(7)에 의해 Y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 1에 있어서, 2점쇄선은 Y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 자수틀(5)의 이동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수 미싱에 있어서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미싱헤드(3)에 있어서 상하 왕복 구동되는 바늘과, 가마 토대(4)에서 회전되는 가마가 협동함으로써 자수틀(5)에 전장 유지된 피자수물에 대한 자수가 실행된다.
테이블(2)은, 그 전방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작업자가 진입 가능한 오목부(2a)가 2개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2)은 그 안길이(Y 방향) 사이즈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테이블(2) 상의 대략 중앙 부근에 배치된 각 미싱헤드(3)및 각 가마 토대(4)로부터 테이블(2)의 가장자리부까지의 거리가 멀어져 버린다. 따라서, 작업자가 미싱헤드(3) 및 가마 토대(4)에 접근하고, 미싱헤드(3)에 있어서의 실 교환이나 실 절단으로의 대응 등의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오목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a)의 크기나 설치수는 작업자가 편하게 출입할 수 있고, 또 한 모든 미싱헤드(3) 및 가마 토대(4)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테이블(2)의 전단부 하부면의 소정 개소에는, 3개의 스위치 박스(8)가 설치된다. 3개의 스위치 박스(8)는 오목부(2a)에 진입한 작업자에게 있어서 조작하기 쉽도록 오목부(2a)의 근방에 배치된다. 이 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위치 박스(8)는 2개의 오목부(2a)에 대해 왼쪽 옆과 오른쪽 옆 및 양오목부(2a)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테이블(2)의 중앙에 위치하는 스위치 박스(8)를 화살표 A로부터 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를 테이블(2)의 하부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3개의 스위치 박스(8)는 각각 동일한 구성이면 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스위치 박스(8)를 일례로, 그 구성을 설명한다. 스위치 박스(8)에는, 해당 자수 미싱의 기동을 지시하기 위한 기동 스위치(9)와, 자수 미싱의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정지 스위치(10)와, 자수틀(5)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퇴피)시키는 지시(명령)를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퇴피 스위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퇴피 스위치(11)는 자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수틀(5)의 퇴피 지시와 함께 모든 미싱헤드(3)에 있어서의 실 절단 지시 및 상기 퇴피 위치에 있는 자수틀(5)을 원래의 작업 위치에 되돌리는 지시를 실행하는 것에도 이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퇴피 위치에 있는 자수틀(5)을 원래의 작업 위치에 되돌릴 때에, 퇴피 전에 모든 미싱헤드(3)로서 실 절단이 실행된 경우에는, 자수틀(5)을 그 원래의 퇴피 위치보다 1바늘 앞의 자 수 위치에 되돌리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자수 재개시에 솔기가 나는 것 등의 불편함을 회피할 수 있도록 발명되어 있다.
스위치 박스(8)에 구비되는 각 스위치(9~11)는, 예를 들면 누름 버튼식의 스위치로 구성되며, 도면의 예에서는, 스위치 박스(8)의 전단면(前端面)에 기동 스위치(9)와 정지 스위치(10)가 배치되고, 스위치 박스(8)의 하부면에 퇴피 스위치(1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의 형상이나 각 스위치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는,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이 실시예에 따르는 다두 자수 미싱의 컨트롤러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컨트롤러는 CPU(12), ROM(13), RAM(14), 입출력 인터페이스(16)를 포함하고, 각 장치 사이가 버스(15)를 매개로 하여 접속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CPU(12)는 ROM(1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컨트롤러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RAM(14)에는, 자수틀(5)의 현재 위치 정보나, 후술하는 퇴피 위치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자수 가공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4의 예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6)에 접속되는 장치로서, 상기 X 구동 기구(6) 및 Y 구동 기구(7)와, 기동 스위치(9), 정지 스위치(10) 및 퇴피 스위치(11)와, 미싱헤드(3)의 바늘을 상하 구동하는 동시에, 가마 토대(4)의 가마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미싱 주축 구동 기구(17)와, 각 미싱헤드(3)에 내장되고, 해당 미싱헤드(3)에서의 실 절단을 검출하기 위한 실 절단 검출 장치(18)와, 각 가마 토대(4)에 내장되며, 해당 가마 토대(4)에 있어서 윗실 및 아랫실을 절단하기 위한 실 절단 장치(19)가 포함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수 미싱에 있어서, 자수 가공을 실행할 때의 각종 제어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에 있어서 기동 스위치(9)가 눌러지고 자수 미싱의 기동이 지시되면 미싱 주축 구동 기구(17)가 구동되고, 그 미싱 주축 구동 기구(17)의 구동에 의해 미싱헤드(3)의 바늘이 상하 구동되는 동시에, 가마 토대(4)의 가마가 회전 구동된다. 이와 동기하여, 자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X 구동 기구(6) 및 Y 구동 기구(7)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자수틀(5)을 X 방향 및 Y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그 자수 데이터에 따른 자수 가공이 실시된다.
색 교환시나 종료시 등의 실 절단시에는, 각 미싱헤드(3)에 대응하여 설치된 실 절단 장치(19)를 작동시킴으로써, 모든 미싱헤드(3)의 윗실 및 아랫실을 절단할 수 있다. 또, 자수 가공 중에 정지 스위치(10)가 눌러지면, 상기 자수 가공 동작을 일단 정지하고, 미싱 정지 시에 기동 스위치(9)가 눌러지면 자수 가공을 재시동하도록 제어한다. 또, 미싱 정지시에 정지 스위치(10)가 눌러지면 자수 가공한 부분을 차례차례 되돌리는 프레임 백(스티치 백)이 실행된다. 이 프레임 백은 작업자가 정지 스위치(10)를 누르고 있는 사이에 실행된다. 즉, 작업자는 다음번 자수 가공 재개 위치가 원하는 부분으로 되돌아올 때까지 정지 스위치(10)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된다.
자수 가공 중에 실 절단이 발생한 경우는, 실 절단 검출 장치(18)가 이를 검출한다. 실 절단 검출 장치(18)에 의해 실 절단이 검출되면, 이에 따라 미싱의 동작이 일단 정지된다. 이 때, 각 미싱헤드(3)에 설치한 표시 램프(도시 생략)의 점등 등에 의해, 실 절단이 검출된 미싱헤드(3)의 위치가 작업자에 대해 통지되면 된 다.
상기 실 절단 검출 등에 의해 미싱이 정지했을 때에, 자수 가공의 작업 진행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수틀(5)이 오목부(2a)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정지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퇴피 스위치(11)를 누름으로써 자수틀(5)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오목부(2a)의 상측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즉, 퇴피 스위치(11)가 눌러지면, 이에 따라 Y 구동 기구(7)가 구동되고, 자수틀(5)이 Y 방향을 따라 미싱의 후방으로 이동(퇴피)된다. 자수틀 (5)의 퇴피 위치는 자수틀(5)이 오목부(2a)의 상측으로부터 빠져서, 작업자가 오목부(2a)에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라면, 적당의 위치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퇴피 위치의 설정은, 예를 들면 Y 구동 기구(7)의 기계 원점 등을 그 퇴피 위치로서 미리 정해두어도 좋고, 혹은 작업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작업자가 임의로 퇴피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패널로부터의 수치 입력에 의한 설정 방법이나, 수동 조작에 의해 자수틀(5)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해당 위치를 기억시키는 방법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설정된 퇴피 위치의 정보는 RAM(14) 등에 기억되며, 자수틀(5)의 퇴피를 실행해야 할 때에 판독된다.
또한, 자수틀(5)이 오목부(2a)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퇴피 스위치(11)가 눌러져도 자수틀(5)의 퇴피는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하면 된다.
또, 상기 자수틀(5)의 퇴피를 지시할 때에, 퇴피 스위치(11)가 소정 시간 이상(예를 들면, 2초 이상) 길게 눌러지면, 각 미싱헤드(3)에 대응하여 설치된 실 절 단 장치(19)가 구동되고, 모든 미싱헤드(3)의 실이 절단된 후에 자수틀(5)의 퇴피 제어가 실행된다. 이에 의해, 자수틀(5)의 퇴피에 따라, 실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미싱헤드(3)의 실이 필요 이상으로 풀어내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자수틀(5)을 퇴피 위치까지 퇴피한 상태에 있어서, 퇴피 스위치(11)가 눌러지면 Y축 구동 기구(7)가 구동되고, 자수틀(5)이 퇴피되기 전의 작업 위치까지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든 미싱헤드(3)의 실이 절단된 후에, 자수틀(5)의 퇴피가 실행된 경우, 자수틀(5)을 퇴피되기 전의 작업 위치보다 1바늘 바로 앞의 자수 위치로 되돌리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실 절단의 검출에 의해 미싱이 일단 정지되었을 때의 처리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수 가공 중에 실 절단 검출 장치(18)에 의해 실 절단이 검출되면, 미싱의 동작이 일단 정지되고, 작업자에 의한 기동 스위치(9), 정지 스위치(10), 또는 퇴피 스위치(11)의 조작에 따라서,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우선, 단계(S101)에서, 퇴피 스위치(11)가 온(on) 조작되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고, 퇴피 스위치(11)가 눌러져있지 않은(단계(S101)의 No) 때는, 처리를 단계(S110)으로 진행시킨다. 퇴피 스위치(11)의 온 조작이 있으면(단계(S101)의 Yes), 단계(S102)에서 자수틀(5)이 퇴피 위치에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고, 자수틀(5)이 이미 퇴피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단계(S102)의 Yes), 처리를 단계(S103)으로 진행한다. 또한, 자수틀(5)이 오목부(2a)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작업자는 자수틀(5)의 퇴피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퇴피 스위치(11)의 조 작 유무에 관계없이, 단계(S101)을 No로 분기하고, 그 외의 지시 입력을 기다리도록 처리하면 된다.
한편, 단계(S102)에서 자수틀(5)이 퇴피하고 있지 않을 때, 즉 자수틀(5)이 미싱 정지 시의 작업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이 작업 위치를 현재 위치 정보(원래의 위치)로서 기억해 두는 동시에, 단계(S104)에서, 퇴피 스위치(11)가 소정 시간(예를 들면, 2초) 이상 눌러졌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2초 이상 눌러지지 않은 경우(단계(S104)의 No)는 단계(S105)으로 진행하고, 전술한 퇴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Y 구동 기구(7)를 구동하여 자수틀(5)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퇴피시킨다.
또, 퇴피 스위치(11)가 2초 이상 눌러진 경우(단계(S104)의 Yes)에는, 단계(S106)에서 실 절단 장치(19)를 작동시켜서 모든 미싱헤드(3)의 실을 절단한 후에, 단계(S107)에서 자수틀(5)을 퇴피 위치까지 퇴피시킨다. 이에 의해, 자수틀(5)의 퇴피에 따라, 실이 끊어져있지 않은 미싱헤드(3)의 실이 필요 이상으로 풀어내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단계(S104)에서의 처리에 의해 퇴피 스위치(11)의 조작에 따라 자수틀(5)의 퇴피를 실행하기 전에, 모든 미싱헤드(3)로서 실 절단을 실시하는지 어떤지의 선택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단계(S103)에서, 자수틀(5)을 퇴피시킬 때 모든 미싱헤드(3)의 실을 절단했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모든 미싱헤드(3)의 실을 절단한 후에 자수틀(5)을 퇴피시킨 경우(단계(S103)의 Yes)에는, 단계(S108)에서, 상기 기억된 현재 위치 정보(원래의 위치)에 기초하여 자수틀(5)을 퇴피하기 전의 1바늘(1스티치) 바로 앞의 위치로 되돌린다. 실을 절단하지 않고 자수틀(5)을 퇴피시킨 경우(단계(S103)의 No)에는, 단계(109)에서, 상기 기억된 현재 위치 정보(원래의 위치)에 기초하여, 자수틀(5)을 퇴피하기 전의 위치로 되돌린다. 즉, 자수틀(5)을 퇴피시켰을 때에 퇴피하기 전의 1바늘 바로 앞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에는, 이하의 이유가 있다. 즉, 미싱을 재시동 시킬 때의 실질적인 자수 재개(再開)는 자수틀(5)을 되돌린 위치의 다음의 위치부터가 된다. 이 때문에, 자수틀(5)을 퇴피시키기 전에 실을 절단한 경우에, 실의 절단 위치를 현재 위치(원래의 위치)로 간주하고 미싱의 재시동을 실행하면, 그 절단 위치의 다음의 자수 위치로부터 자수가 재개되어 버려서, 절단 위치와 재개 위치 사이의 솔기가 1바늘만큼 날아가 버리게 된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 실을 절단한 후에 자수틀(5)을 퇴피시켰을 때에는 퇴피하기 전의 1바늘 바로 앞의 위치에 되돌리고, 다음의 자수 위치(퇴피하기 전의 위치)로부터 자수를 재개하도록 하고 있다.
단계(S110)에서, 정지 스위치(10)가 눌러졌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정지 스위치(10)가 눌러져있지 않으면(단계(S110)의 No), 처리를 단계(S116)으로 진행시킨다. 정지 스위치(10)의 온 조작이 있으면(단계(S110)의 Yes), 단계(S111)에서 자수틀(5)이 퇴피 위치에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고, 퇴피 위치 이외에 있는 경우(단계(S111)의 No)는 자수틀(5)은 미싱 정지 시의 작업 위치(원래의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S115)에서 주지의 ‘프레임 백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백 처리’는 작업자가 정지 버튼(10)을 계속 누르는 사이에 실시된다. 또, 단계(S111)에서, 자수틀(5)이 퇴피 위치에 있는 경우(Yes의 경우)에 는, 단계(S112)에서, 자수틀(5)을 퇴피시킬 때에 모든 미싱헤드(3)의 실을 절단했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실을 절단한 후에 자수틀(5)을 퇴피시킨 경우(단계(S112)의 Yes)에는, 단계(S113)에서 자수틀(5)을 퇴피하기 전의 1바늘 바로 앞의 위치로 되돌리고 나서, 단계(S115)에서 ‘프레임 백 처리’를 실시한다. 실을 절단하지 않고 자수틀(5)을 퇴피시킨 경우(단계(S112)의 No)에는, 단계(114)에서 자수틀(5)을 퇴피하기 전의 위치로 되돌리고 나서, 단계(S115)에서‘프레임 백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S116)에서는, 기동 스위치(9)가 눌러졌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기동 스위치(9)가 눌러져있지 않으면(단계(S116)의 No) 해당 처리를 리턴 하여 단계(S101) 이하의 처리를 반복한다. 기동 스위치(9)의 온 조작이 있으면(단계(S116)의 Yes), 단계(S117)에서 자수틀(5)이 퇴피 위치에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고, 퇴피 위치 이외에 있으면(단계(S117)의 No), 자수틀(5)은 미싱 정지 시의 작업 위치(원래의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여 자수 가공을 재개한다. 또, 자수틀(5)이 퇴피 위치에 있는 경우(단계(S117)의 Yes)는, 단계(S118)에서, 자수틀(5)을 퇴피시켰을 때에 모든 미싱헤드(3)의 실을 절단했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실을 절단한 후에 자수틀(5)을 퇴피시킨 경우(단계(S118)의 Yes)에는, 단계(S119)에서 자수틀(5)을 퇴피하기 전의 1바늘 바로 앞의 위치로 되돌리고 나서 자수 가공을 재개한다. 실을 절단하지 않고 자수틀(5)을 퇴피시킨 경우(단계(S118)의 No)에는, 단계(120)에서 자수틀(5)을 퇴피하기 전의 위치로 되돌리고 나서 자수 가공을 재개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실 절단 검출에 의해 자수 가공 중의 미싱이 일단 정지되었을 때에 작업자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실 절단이 검출된 미싱헤드(3)에서 실제로 실이 절단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해당 미싱헤드(3)에서 실이 절단되어 있지 않으면(실 절단이 에러 검출이면), 기동 버튼(9)을 온 조작하여 자수 가공을 재개시키면 된다. 한편, 실제로 실이 절단되어 있으면,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그 보수 작업을 실시한다. 미싱이 정지된 상태에서 자수틀(5)이 오목부(2a)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는, 작업자는 퇴피 스위치(11)를 눌러서 자수틀(5)을 퇴피 위치까지 퇴피시킨다. 이 때, 퇴피 스위치(11)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2초) 이상 길게 누름으로써, 실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미싱헤드(3)의 실 절단을 실행한 후 자수틀(5)을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자수틀(5)의 퇴피 이동량이 적고, 작업자가 실 절단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퇴피 스위치(11)를 길게 누르지 않고, 실 절단을 실행하지 않고 자수틀(5)을 퇴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자는 자수틀(5)을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동시킨 후, 오목부(2a)에 진입하여 실이 끊어진 미싱헤드(3)의 실 꿰기를 실시한다.
실이 끊어진 미싱헤드(3)에서의 실 꿰기 작업이 끝난 후, 작업자는 정지 스위치(10)를 누르고, 자수틀(5)을 퇴피하기 전(실을 절단한 후에 퇴피시켰을 때에는 1바늘 바로 앞)의 위치로 되돌리는 동시에, 2, 3 바늘만큼 프레임 백시키고 나서, 기동 스위치(9)를 누르고 자수 가공을 재개하면 된다. 이는 도 5에 있어서, 단계(S110~S115)의 순서로 실행되는 처리에 상당한다. 또한, 이 때의 프레임 백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며, 실 꿰기 작업 후에 바로 기동 스위치(9)를 누름으로써, 자 수틀(5)을 퇴피하기 전(실을 절단 한 후에 퇴피시켰을 때에는 1바늘 바로 앞)의 위치로 되돌리고, 그대로 자수 가공을 재개할 수도 있다. 이는 도 5에 있어서, 단계(S116~S120)의 순서로 실행되는 처리에 상당한다.
또, 실이 절단된 미싱헤드(3)에서의 실 꿰기 작업이 끝난 후, 전술한 프레임 백 및/또는 자수 가공 재개를 실행하지 않고, 퇴피하기 전의 위치에 되돌릴 뿐인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는, 다시 한번 퇴피 스위치(11)를 누르면 된다. 이는 도 5에 있어서, 단계(S101, S102, S103, S108) 또는 (S109)의 순서로 실행되는 처리에 상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자수틀(5)을 퇴피시키기 위한 퇴피 스위치(11)를 구비함으로써, 실 절단 검출이 있었던 경우, 작업자는 실제의 실 절단의 상황을 확인하고, 자신의 판단에 따라 자수틀(5)의 퇴피를 지시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자수틀(5)의 퇴피 동작이나 실 절단 동작을 생략할 수 있고, 또 실제로는 절단되어 있지 않은(실 절단의 오검출이 있었다) 미싱헤드의 실을 불필요하게 풀어내는 일도 없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두식 미싱에 있어서, 실이 끊어져있지 않은 모든 미싱헤드(3)의 실 절단을 실행한 후에 자수틀(5)을 퇴피시키는 경우에도, 퇴피 스위치(11)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2초) 이상 누르기만 함으로써, 그 지시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있어서 편리성이 향상되어 유리하다. 또, 자수틀(5)의 퇴피나 미싱 동작의 기동 지시 등을 실행하기 위한 스위치군을 가지는 스위치 박스(8)를 오목부(2a)에 인접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실이 끊어진 미싱헤드(3)의 확인, 자수틀(5)의 퇴피 지시 및 자수 가 공의 재개 지시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미싱에 대면한다고 하는 작업 위치, 작업 자세를 크게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이것은 작업자에게 있어서 편리하다. 또, 실이 절단된 미싱헤드(3)에서의 실 꿰기 작업이 끝난 후, 자수 작업을 재개할 때에, 모든 미싱헤드(3)의 실을 절단한 후에 자수틀(5)의 퇴피를 실행한 경우에는, 퇴피전의 자수 위치(원래의 위치)보다 1바늘 바로 앞의 자수 위치로 되돌리도록 제어함으로써, 자수 재개시에, 솔기가 날아가 버리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동 스위치(9), 정지 스위치(10) 및 퇴피 스위치(11)를, 또한 조작 패널(미도시) 등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그 설치 수, 설치 위치를 다양화함으로써 작업시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퇴피 위치에 있는 자수틀(5)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때에 버저 경보음 등을 발생하는 적절한 통지 수단을 또한 마련하고, 그 통지 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자에게 그 실행을 통지하는 구성이나, 그에 덧붙여서, 오목부(2a)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재· 부재(在· 不在)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자수틀(5)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때에 작업자가 오목부(2a) 내에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버저를 울려서, 작업자가 오목부(2a)로부터 퇴출한 후에, 자수틀(5)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퇴피시킨 자수틀(5)을 원래의 위치에 되돌릴 때에, 실을 절단한 후에 퇴피시켰을 때에는 퇴피하기 전의 1바늘 바로 앞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으로써 설명하였으나, 몇 바늘 바로 앞에 되돌릴지를 임의로 설정 가능 하게 하면 된다. 또, 실을 절단하지 않고 퇴피시킨 경우라도 몇 바늘 바로 앞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봉제틀을 얹어놓는 테이블에 작업자가 진입 가능한 오목부를 구비하는 미싱은, 특히 실 절단의 검출 등에 의해 미싱을 정지시킬 때에, 봉제틀이 상기 오목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그 봉제틀을 오목부로부터 퇴피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 미싱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그 봉제틀의 퇴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0)

  1. 테이블 상에 이동 가능하게 얹어놓은 봉제틀을 구비하고, 그 테이블의 가장자리부에 작업자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미싱으로서,
    상기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와,
    인위적인 조작에 따라, 상기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퇴피 지시를 발생하는 조작기와,
    상기 미싱의 정지시 상기 봉제틀이 상기 오목부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조작기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퇴피 지시가 발생되었던 것에 따라, 상기 이동 기구를 동작시켜 그 봉제틀을 상기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틀을 상기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전에, 그 미싱에 구비된 모든 미싱헤드에서 실 절단을 실행하는지 아닌지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실 절단을 실행하는지 아닌지의 선택을, 상기 조작기를 사용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가 소정의 제 1 조작 형태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에 따라 상기 퇴피 지시를 발생하고, 한편 상기 조작기가 소정의 제 2 조작 형태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에 따라 상기 모든 미싱헤드에서 실 절단을 실행해야 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는, 상기 테이블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7. 제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기 봉제틀을 퇴피시키기 전의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이동 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써, 그 봉제틀을 상기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데 있어서, 상기 원래의 위치보다 적어도 1 스티치 전의 봉제 위치로 되돌리도록 이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봉제틀을 상기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데 있어서, 상기 봉제틀을 퇴피시킬 때 상기 모든 미싱헤드에서 실 절단을 실행한 것을 조건으로, 상기 봉제틀을 상기 원래의 위치보다 적어도 1 스티치전의 봉제 위치로 되돌리도록 이동 제어하고, 실 절단을 실행하고 있지 않았던 경우는, 상기 봉제틀을 상기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도록 이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9. 테이블 상에 이동 가능하게 얹어놓은 봉제틀을 구비하고, 그 테이블의 가장자리부에 작업자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미싱에서 , 상기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조작기가 인위적으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에 기초하여 퇴피 지시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미싱의 정지시 상기 봉제틀이 상기 오목부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퇴피 지시가 발생되었던 것에 따라, 상기 봉제틀을 상기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테이블 상에 이동 가능하게 얹어놓은 봉제틀을 구비하고, 그 테이블의 가장자리부에 작업자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미싱에서, 상기 봉제틀을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순서는,
    소정의 조작기가 인위적으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에 기초하여 퇴피 지시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미싱의 정지시 상기 봉제틀이 상기 오목부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퇴피 지시가 발생되었던 것에 따라, 상기 봉제틀을 상기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67006330A 2004-01-15 2005-01-14 미싱 및 그 봉제틀의 퇴피(退避) 제어 방법 KR20060056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7862A JP2005198814A (ja) 2004-01-15 2004-01-15 ミシン
JPJP-P-2004-00007862 2004-01-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03U Division KR200427678Y1 (ko) 2004-01-15 2006-03-31 미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412A true KR20060056412A (ko) 2006-05-24

Family

ID=3479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330A KR20060056412A (ko) 2004-01-15 2005-01-14 미싱 및 그 봉제틀의 퇴피(退避)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5198814A (ko)
KR (1) KR20060056412A (ko)
CN (1) CN1878900A (ko)
DE (1) DE112005000147T5 (ko)
WO (1) WO2005068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6527B2 (ja) * 2005-09-12 2011-12-14 株式会社バルダン 刺繍ミシン
JP5219381B2 (ja) * 2006-05-09 2013-06-26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の縫製枠駆動機構
KR101412983B1 (ko) * 2007-07-19 2014-06-27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의 수틀 이송장치
US8851000B2 (en) * 2012-04-09 2014-10-07 Nike, Inc. Custom embroidery fr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2786A (ja) * 1984-09-28 1986-04-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2899067B2 (ja) * 1990-05-31 1999-06-02 日本電波株式会社 多頭式自動刺繍機
JPH06142378A (ja) * 1992-11-05 1994-05-24 Brother Ind Ltd 多頭形刺繍ミシン
JPH1053952A (ja) * 1996-07-31 1998-02-24 Barudan Co Ltd 多頭式刺繍ミシン
JP2002210285A (ja) * 2001-01-15 2002-07-30 Barudan Co Ltd ミシン
JP2002360959A (ja) * 2001-06-04 2002-12-17 Barudan Co Ltd ミシン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8900A (zh) 2006-12-13
JP2005198814A (ja) 2005-07-28
DE112005000147T5 (de) 2006-12-14
WO2005068703A1 (ja)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3372B1 (en) Laser process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with laser processing function
JP2871197B2 (ja) 縫製模様等を確認可能なミシン
KR101147075B1 (ko) 자수 무늬의 보수 방법
KR20060056412A (ko) 미싱 및 그 봉제틀의 퇴피(退避) 제어 방법
JPH04354972A (ja) ステッチバック機能付きミシン
KR200427678Y1 (ko) 미싱
CN103710888B (zh) 缝纫机和缝纫机的控制方法
JPH02279195A (ja) コンピュータ刺繍機
KR100850384B1 (ko) 보턴 사뜨기 재봉틀
KR100849663B1 (ko) 재봉틀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14958A (ko) 다두형 자동 자수기
US6439142B2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H0681263A (ja) 刺繍ミシン
JPH0375084A (ja) ミシン
JP4836527B2 (ja) 刺繍ミシン
JP2650250B2 (ja) 自動ミシン
JPH08238582A (ja) レーザー加工機
JP2008036038A (ja) 刺繍ミシン及び刺繍柄の補修方法
JPH09137365A (ja) ミシン
JPH0966376A (ja) レーザー加工機
JP5318900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2001149676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KR20080099683A (ko) 자수기의 레이저포인터 운용 장치 및 방법
JPH08196764A (ja) レーザー加工機能付きミシン
JP2003024666A (ja) ミシンの布ガイド装置及び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