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616A -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 제공 시스템, 웹 사이트 변경장치,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웹사이트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 제공 시스템, 웹 사이트 변경장치,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웹사이트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616A
KR20060044616A KR1020050024004A KR20050024004A KR20060044616A KR 20060044616 A KR20060044616 A KR 20060044616A KR 1020050024004 A KR1020050024004 A KR 1020050024004A KR 20050024004 A KR20050024004 A KR 20050024004A KR 20060044616 A KR20060044616 A KR 20060044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put
receiving terminal
butt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 무라코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75Musical metadata derived from musical analysis or for use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081Genre classification, i.e. descriptive metadata for classification or selection of musical pieces according to sty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75Musical metadata derived from musical analysis or for use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085Mood, i.e. generation, detection or selection of a particular emotional content or atmosphere in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25Library distribution, i.e. distributing musical pieces from a central or master libra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31Library retrieval, i.e. searching a database or selecting a specific musical piece, segment, pattern, rule or parameter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막연한 검색요구에 대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그 시점에 있어서 기분에 맞는 곡등의 콘텐츠를 용이하게 탐색 할 수 있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의 콘텐츠가, 그룹으로 나뉘어져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110)을 구비한다. 또한 콘텐츠 저장부(110)로부터 판독된 콘텐츠가 이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용자 입력검출수단에서, 이용자에 의한 특정 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제공되고 있던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 같은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혹은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안의, 제공중인 콘텐츠 이외의 다른 임의의 콘텐츠를, 콘텐츠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콘텐츠 저장부, 콘텐츠 디코드부, 기억데이터 관리부, 보턴조작부

Description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 제공 시스템, 웹 사이트 변경 장치,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웹 사이트 변경 방법{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NTENT PROVIDING SYSTEM, WEB SITE CHANGING APPARATUS, WEB SITE CHANGING SYSTEM,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WEB SITE CHANGING METHOD}
도1은 콘텐츠 제공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2는 제1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외관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제1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그룹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제1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5는 제2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외관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제2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제2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제2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 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제2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외관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12는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13은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5는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변형예의 외관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7은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8은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9는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 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0은 제4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외관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1은 제4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2는 제4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3은 제4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4는 제4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5는 제5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26은 제5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7은 제5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8은 제6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9는 제6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0은 제6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1은 제6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2는 악곡 콘텐츠의 계층화 그룹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콘텐츠 제공장치, 51…콘텐츠 분배 서버 장치
52…콘텐츠수신단말, 110…하드디스크 장치,
114…버튼 조작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대량의 악곡 콘텐츠, 대량의 영화 콘텐츠, 대량의 전자서적의 콘텐츠등이 기억된 대용량의 기억장치로부터 이용자가 특정한 타깃콘텐츠는 없지만 이 시점에 있어서는 바람직하다고 생각 되는 임의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데 적합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이 명세서에 있어서, 콘텐츠라 함은, 예를 들면 음악, 영상, 전자서적(논문, 소설, 잡지등의 텍스트 정보 및 정지화상정보),이용자가가드 정보, 웹 페이지, 프로그램(게임 프로그램등을 포함한다)등의 신호에 의해 표현된 내용정보이다.
광디스크등 복수의 악곡 콘텐츠가 포함되는 기록 매체를 재생장치에 장전하여 재생하는 데 있어서는, 재생장치의 이용자는 보통은, 재생하고 싶은 원하는 악곡 콘텐츠의 선택을 행하도록 한다. 종래 이 악곡 콘텐츠의 선택 재생을 행할 때는 악곡명이나 아티스트 이름 등의 악곡 콘텐츠의 관련 속성정보를 표시하여 그 표시를 참조하면서 악곡을 선택하고 재생 지시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기억매체의 기억 용량의 증대와 함께 기억매체에 수 천곡 혹은 수 만곡의 악곡콘텐츠를 1개의 기억매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래서 이와같이 대량의 악곡 콘텐츠가 기억된 기억매체로부터 원하는 악곡 콘텐츠를 검색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 검색 방법의 일례로서 상술과 같은 악곡 콘텐츠의 관련 속성정보를 표시하고, 그의 표시 정보를 검색을 위해 사용하도록 할 경우, 원하는 악곡 콘텐츠의 저장에는 계층구조등이 이용되었다.
도32는 이와같은 계층구조의 일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우선 제1층으로서 검색 항목을 설정한다. 이 검색 항목으로서는 도의 예에서는, 「아티스트」, 「앨범」, 「곡」, 「장르」, 「작곡자」의 5개가 거론되고 있다. 「아티스트」는 연주자,이용자가수, 지휘자등이다.
「앨범」은 1장의 CD(Compact Disc)에 포함되는 복수곡의 군으로, 앨범 이름등에 의해 구분된다. 「장르」는 클래식, 재즈, 팝, 라틴, 뉴뮤직등의 종류별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 검색 항목마다 복수의 층으로 나누어 진다. 예를 들면 「장르」 의 경우, 최상층은 상술한 여러개의 장르마다 그룹으로 나눠지는 층이다. 그리고, 그 하층에는「아티스트」,「앨범」,「곡」의 항목의 층이 순차적으로 정렬된다.
「아티스트 」층은 아티스트 그룹별로 나누어져 있는 층, 「앨범」층은 앨범 별로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는 층이다. 최하층의 곡은, 1곡 1곡으로부터 이루어지지만 그 위의 층에 대하여 복수곡의 군이 정렬된다.
도32와 같이 「아티스트」의 하층에는「앨범」,「곡」이 순차적으로 정렬된다. 「앨범」하층에는, 「곡」의 층이 정렬된다. 「작곡자」의 하층에는「앨범」,「곡」이 순차적으로 정렬된다.
또한 다른 분류(그룹 나눔)의 방법으로서,「60년대 뮤직」,「톱25」,「톱 레이트」,「최근 재생한 곡」등으로 그룹화하고, 그 그룹 바로 아래에 각각의 그룹에 속하는 곡의 군를 정렬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계층구조로 분류(그룹 나눔) 했을 경우에는 각 층의 선택 상태에 있어서는 이 층에 포함되는 복수 그룹의 리스트가 속성정보로서 표시된다. 이용자는 이 리스트로부터 원하는 그룹을 선택 할 수 있다. 이용자가 소정의 그룹을 선택하면 그 그룹 하층의 그룹리스트의 표시로 바뀐다. 그리고 최하층 곡의 그룹층이 되면, 각 악곡 콘텐츠의 관련 속성정보가 표시되어, 이용자는 그것을 참조하여 원하는 곡을 선택한다.
이 때문에 원하는 곡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계층구조의 왕래 혹은 리스트의 스크롤을 빈번하게 반복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기억매체의 대용량화에 따라 이용자의 검색 조작 부담은 증대한다.
한편,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국제공개 번호WO 02/48917 A1)등과 같은 검색 기능에 의해, 악곡을 검색하는 기능을 도입함으로써, 이용자의 검색 조작의 부담을 감소하는 시도도 되고 있지만 검색 정보의 입력 방법 등에서 사용이 쉽다고는 할 수 없다.
상기 의 특허문헌은, 다음과 같이다.
특허문헌1 - 국제공개 번호WO 02/48917 A1의 공개 공보
그러나 다수의 악곡 콘텐츠 안에서 하나의 악곡 콘텐츠를 골라서 재생해 청취 할 경우에, 이용자는 특히 뽑아서 특정한 악곡 콘텐츠를 청취하고자 하는 욕구는 아니지만, 그 시점에 있어서 기분에 맞는 곡을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즉,「어느것이나 좋지만, 이것은 싫고, 이 곡은 좋군」과 같은 검색요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계층구조에서 분류 나눔 한 것으로부터, 리스트 표시로부터 선택하는 방법은, 이용자에 있어서는 위화감이 있다. 왜냐하면, 상술한 방법은 특정한 악곡 콘텐츠의 내용을 알고 있어서, 그것을 듣고자 할 때 유효한 방법이고, 내용은 모르지만 무언가 적당한 곡을 듣고자 하는 막연한 검색에는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검색요구는 콘텐츠가 악곡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영화나 전 자서적, 게임프로그램 등의 다른 콘텐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막연한 검색요구에 대하여, 이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 그 시점에 있어서 기분에 맞는 곡등의 콘텐츠를 용이하게 탐색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복수의 콘텐츠가, 그룹으로 나뉘어져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와,
상기 이용자에 의한 특정 입력을 검출하는 이용자 입력 검출수단과,
상기 콘텐츠가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전기의 특정 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공되고 있던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그룹과 동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안의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이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콘텐츠가 악곡의 경우를 예로 들면, 지금까지 청취하고 있었던 악곡에 싫증이 났지만,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은 이용자가 예를 들면 버튼을 누른다. 혹은 특정한 단어를 발음해서 마이크로폰에 입력하는 등의 특정 입력을 행하면,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지금까지와 같은 장르나 아티스트등, 같은 그룹에 속하는 악곡 안에서, 임의로 선택한 악곡 콘텐츠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제공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이용자는 재차 상기 특정 입력을 행한다. 그러면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동일한 그룹내에 속하는 악곡 안에서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선택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하여 이용자는 특정 입력을 1회 혹은 여러번 반복함으로써 간단히 그 때 기분에 맞는 콘텐츠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은,
복수의 콘텐츠가 그룹으로 나뉘어져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와,
상기 이용자에 의한 특정 입력을 검출하는 이용자 입력 검출수단과,
상기 콘텐츠가 이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전기 특정 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공되고 있었던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안의,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 이외의 다른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이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콘텐츠가 악곡인 경우를 예로 들면 지금까지 듣고있었던 악곡에 싫증나고, 기분을 바꾸고 싶은 이용자가, 예를 들면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특정의 단어를 발음해서 마이크로폰에 입력하는 등의 특정 입력을 행하면, 제공 콘텐츠변경수단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장르나 아티스트등, 다른 그룹에 속하는 악곡안에서, 임의로 선택한 악곡 콘텐츠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제공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이용자는 재차 상기 특정 입력을 행한 다. 그러면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다른 그룹에 속하는 악곡안에서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선택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특정 입력을, 1회 혹은 여러번 반복해 행함으로써 간단히 기분을 바꾸고 싶은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콘텐츠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은,
복수의 콘텐츠가, 그룹으로 나뉘어져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와,
상기 이용자에 의한 특정한 제1 입력 및 상기 제1 입력과는 다른 특정한 제2 입력을 검출하는 이용자 입력 검출수단과,
상기 콘텐츠가 이용자에게 제공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입력 검출수단에서 전기 특정의 제1 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공되어 있었던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 같은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안에서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제 1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과,
상기 콘텐츠가 이용자에게 제공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입력 검출수단에서 전기 특정의 제2 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공되어 있었던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안에서,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 이외의 다른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제2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이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가 악곡인 경우를 예로 들 면 지금까지 들었던 악곡에 싫증이 난 이용자가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을 때, 예를 들면 조작버튼을 1회 버튼누름 등으로 제1 입력을 한다. 또한 기분을 바꾸고 싶을 때에는, 예를 들면 조작 버튼을 2회 연속 조작하여 제2 입력을 한다.
콘텐츠 제공장치에서는 제1 입력이 행해진 것이 이용자 입력 검출수단에서 검출되면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지금까지와 같은 장르나 아티스트등, 같은 그룹에 속하는 악곡 안에서, 임의로 선택한 악곡 콘텐츠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제공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이용자는, 다시 상기 특정 입력을 행한다. 그러면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동일한 그룹내에 속하는 악곡 안에서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선택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하여 이용자는 특정의 제1 입력을, 1회 혹은 여러번 반복함으로써 간단히 그 때의 기분에 맞는 콘텐츠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이 행해진 것이 이용자 입력 검출수단에서 검출되면,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에 의해, 지금까지와 다른 장르나 아티스트등, 다른 그룹에 속 하는 악곡안에서, 임의로 선택된 악곡이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콘텐츠로부터 선택되어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제공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이용자는 다시 상기 특정 입력을 행한다. 그러면 상기 다른 그룹내에 속하는 악곡안에서, 임의의 악곡이 콘텐츠저장부에서 선택되어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특정한 제2 입력을, 1회 혹은 여러번 반복함으로써 간단히 기분을 바꾸고 싶은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콘텐츠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즉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을 때에는 특정의 제1 입력을 하고, 기분을 바꾸고 싶을 때에는, 특정한 제2 입력을 함으로써 그 때의 이용자가 바라는 기분에 따른 콘텐츠의 제공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 제공 시스템, 웹 사이트 변경장치,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제공장치의 제1실시예의 블럭도이며, 도 2는 이 제1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의 케이스 외관의 일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제1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1)는 기억장치에 기억하고 있는 악곡의 콘텐츠를 재생하고, 스피커에 의해 재생하는 장치의 예이다. 도1의 예에서는, 기억장치로서는 하드디스크 장치(110)가 사용되고 있다.
도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 제1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1)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 시스템버스(100)에 대하여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와,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ROM(Read Only Memory)(102)과, 워크 에어리어용 RAM(Random Access Memory)(103)과, 하드디스크 콘트롤러(104)와, 기억데이터 관리부(105)와, 콘텐츠 입력 인터페이스(106)와, 콘텐츠 디코드부(107)와, 조작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108)가 접속되어 있다.
하드디스크 콘트롤러(104)는 하드디스크 장치(110)를 시스템버스(100)에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버스(100)을 통해서 보내져 오는 기록 데이터를 하드디 스크 장치(110)에 대하여 내 보내거나, 하드디스크 장치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시스템버스(100)로 내 보내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콘텐츠 입력 인터페이스(106)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지고, 접속 케이블을 통해 퍼스널컴퓨터 등과 접속된다. 또한,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108)에는 버튼조작부(11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콘텐츠 디코드부(107)에는, D-A(Digital-to-Analog)변환 회로(111)가 접속된다. 그리고, D-A변환 회로(111)의 출력단은, 앰프(112)를 통해 스피커(113)에 접속되어 있다.
도2(a)는 이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자 모양의 케이스(120)에 스피커(113)가 부착됨과 동시에 버튼 조작부(114)를 구성하는 조작버튼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1개의 조작 버튼(121)이 설치된다. 이 조작 버튼(121)은 이 예에서는, 비잠금식의 푸쉬버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드디스크 장치(110)는 예를 들면 100GB와 같은 대용량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하드디스크 장치(110)에는 이용자가 이 콘텐츠 제공장치(1)를 구입할 때 이미, 다수개의 콘텐츠(악곡 콘텐츠)가 기록되고 있다.
이 경우에 이 실시예에서는 그것들의 다수개의 콘텐츠는, 이 예에서는 콘텐츠의 관련 속성 (여기서 관련 속성이라 함은, 악곡 콘텐츠의 템포와 같은 콘텐츠데이터로부터 추출되어서 얻어지는 속성이 아닌, 예를 들면 각 악곡의 장르, 각 악곡의 아티스트, 각 악곡이 기록되고 있는 앨범, 각 악곡의 작곡자, 1960년대 뮤직, 톱25등의, 이 콘텐츠에 따라오는 속성임)에 따라 그룹이 나누어져 있다.
이 제1 실시예에서는 그룹 나눔의 콘텐츠의 관련 속성으로서, 장르가 채용 되고 있으며 장르에 의해 콘텐츠가 여러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각 악곡 콘텐츠가 어느 장르의 그룹에 속해 있는 지를 나타내기 위한 관리테이블정보가 하드디스크 장치(110)에 기억되어 있다. 콘텐츠 제공장치(1)는 이 관리 테이블 정보에 따라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판독해서 재생하는 콘텐츠를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도3에 이 테이블 정보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3에 있어서, 장르 1,2,3···는 예를 들면 팝, 클래식, 재즈, 라틴 등으로 이루어진다. 장르 1,2,3···의 각각의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곡 11,12,13,…, 곡 21,22,23,…, 곡 31,32,33,…, ···으로서는 곡을 식별하는 정보가 기술된다. 이 곡을 식별하는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ID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도3의 예에서는, 각각의 곡을 식별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정보가 기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드디스크 장치(1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외에, 뒤에서부터 콘텐츠를 추가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CPU(101)는 ROM(1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하드디스크장치(114)에 대한 기록처리 및 하드디스크 장치로부터의 판독의 처리를, RAM(103)을 워크 에어리어로서 이용하면서 실행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드디스크 장치(110)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은, 이 실시예에서는 콘덴츠제공장치(1)와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행해진다. 즉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보내 온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입력 인터페이스(106)를 지나 콘텐츠 제공장치(1)에 입력된다.
이 예에서는 악곡 콘텐츠를 취급하므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보내오는 콘텐츠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이다. 이 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는 오디오 데이터 뿐만아니라, 이 악곡의 곡명이나, 이 악곡이 속하는 장르, 아티스트, 앨범등의 부가 정보도 보내져 온다.
콘텐츠 입력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입력된 상기 부가 정보도 포함하는 콘텐츠의 데이터는, CPU(101)의 제어에 의해 하드디스크 장치(110)에 기록된다. 이때 상기 부가 정보 및 하드디스크 장치상의 기록 어드레스의 정보는, 기억 데이터관리부(105)로 보내지고, 이 기억 데이터관리부(105)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로서의 장르의 정보가 이용되며, 어떤 장르(그룹)에 속할지가 판별 되어 그 판별 결과를 기초로 추가된 콘텐츠의 관리 정보를, 도3에 도시한 관리테이블 정보에 추가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조작 버튼(121)의 누름 조작에는, 「현재 상태는 이용자가 원하는 상태와는 다르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 제공 장이(1)가 전원이 오프상태일 때 행해진 조작 버튼(121)의 누름 조작은, 전원이 오프가 아닌 상태로 하는 것을 희망한다는 것이므로 콘텐츠 제공장치(1)의 CPU(101)는 전원이 온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어떤 악곡 콘텐츠가 판독되어 스피커(113)에 의해 재생될 때 행해진 조작 버튼(121)의 누름 조작은 「현재 재생 되고 있는 악곡은, 듣고 싶은 곡과는 다르다」라는 것을 의미하게 되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제공장치(1)의 CPU(101)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악곡과는 다른 악곡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한다.
즉 이때의 조작 버튼(121)의 누름 조작은, 특정 타깃의 악곡 콘텐츠는 존재 하지 않지만,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는 듣고 싶은 곡이 아니므로, 그 이외의 악곡 콘텐츠를 요구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감정에 근거하는 조작이다.
여기서 이와같이 막연히 현재 재생되고 있는 악곡과는 다른 악곡을 요구 할때의 이용자의 감정을 고찰하면, 같은 기분으로 계속해서 다른 곡을 듣고자 하는 경우와, 기분이 바꼈기 때문에 다른 기분이 되는 곡을 듣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조작 버튼(121)의 누름 조작이 있을 때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 같은 장르(그룹) 안의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면 좋다. 이에 대하여 후자의 경우에는 조작 버튼(121)의 누름 조작이 있을 때에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 다른 장르(그룹)안의,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면 좋다.
콘텐츠 제공장치로서는 어느 한쪽의 경우를 상정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는 조작 버튼(121)의 누름 조작으로서 다른 형태의 누름 조작을 정의함으로써 상기 2개의 경우 양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 버튼(121)을, 일반적인 형태로 1회 누름조작하는 조작은, 같은 기분으로 계속해서 다른 곡을 듣고 싶은 경우의 조작으로 하고 또한 조작버튼(121)의 2회 연속 누름 조작은, 다른 기분이 되는 곡을 듣고 싶 을 경우의 조작으로 한다.
도4는 조작 버튼(121)의 조작을 기초로 콘텐츠 제공장치(1)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4의 예에서는 조작 버튼(121)에 대한 상기 한 조작 형태 이외에, 소정시간이상, 예를 들면 3초이상 길게 누른 조작양태를 전원 오프 상태와는 다른 양태, 즉 전원이 온 상태로 이행하는 조작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1)에 있어서는, 전원이 오프상태라도 조작버튼(121)의 조작이 있음을 검지하는 CPU(101)를 포함하는 부분에는 전원이 투입되고 있으며 늘 조작 버튼(121)이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었는 지를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스텝 S1).
그리고 이 스텝 S1에 있어서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조작 버튼(121)의 조작감시동작에 있어서, 이 조작 버튼(121)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전원이 오프한 상태로부터의 조작이므로 콘텐츠 제공장치(1)의 전체에 전원을 투입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2). 또한 이 때 전원이 온하는 것을 의미하는 조작 버튼(121)의 누름 조작의 양태는 어떠한 누름 조작의 형태라도 좋다.
그리고 전원이 온이 되면 CPU(101)는,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임의의 악곡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한다. 그러면 콘텐츠 디코드부(107)에서는 받은 콘텐츠 데이터가 디코드 되어 디코드 결과의 디지털오디오 신호가 D-A변환 회로(111)로 보내진다. D-A변환회로(111)에서는 디지털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앰프 (112)를 통해 스피커(113)에 공급되어 음향재생된다(스텝 S3).
이용자는 재생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조작 버튼(121)을 조작하여 다른 악곡의 재생을 요구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때의 조작 버튼(121)의 조작 형태에는 2가지 있어,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을 때에는 통상과 같이 짧게 1회 조작하고,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다른 분위기로 하고자 할 때에는 2회 연속 누름 조작을 하도록 한다.
거기서 CPU(101)는 조작 버튼(121)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4), 조작 버튼(121)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2회 연속 누름 조작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S5).
이 스텝 S5에서 2회 연속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장르(그룹) 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판독하여 콘텐츠 디코드부(107)로 전송하고, 상술과 같이 하여 스피커(113)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한다 (스텝S6). 그리고 그 후에 스텝 S4에 되돌아가 조작버튼(121)에 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 S5에서, 2회 연속 누름 조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조작 버튼(121)의 누름 조작이 길게 누름인 지 여부를 판별하여 (스텝 S7), 길게 누름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콘텐츠 제공장치(1)을 전원 오프 상태로 하여(스텝S9),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S7에서, 길게 누름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일반 적인 1회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하여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 같은 장르 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장치로부터 판독하여,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하고, 상술한 것과 같이 하여 스피커(113)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한다 (스텝S8). 그리고, 그 후에 스텝S4로 되돌아가 조작 버튼(121)에 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 스텝S6및 스텝S8에 있어서의 임의의 콘텐츠의 선택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3에 도시한 하드디스크 장치(110)의 그룹마다의 어드레스를, 난수를 이용하여 랜덤하게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룰에 따라 랜덤하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순서를 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악곡 길이의 짧은 것과 긴 것을 적당한 배분이 되도록 제공 순서를 정해 두거나, 악곡의 템포가 빠른 것과 느린것이 적당한 배분이 되도록 제공 순서를 정해 두도록 해도 좋다. 이하의 몇가지 실시예에 있어서의 임의의 그룹이나 임의의 콘텐츠 선택 방법에 대해서도 같다.
또한 조작 버튼(121)의 조작에 의한 장르나, 콘텐츠의 선택 이력, 재생 이력 등을 참조하여 다음에 제공하는 장르나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 제1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는, 청취하는 악곡으로서 특별히 특정 악곡을 듣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현재 심경에 맞는 악곡을 듣고 싶을 때 1개의 조작 버튼(121)만을 조작하는 것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원하는 곡을 검색할 수 있다. 것이다.
[제1실시예의 변형예]
만일 이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특정 악곡을 결정하고 있을 때에는, 이 원하 는 악곡까지 가는 데에는 상술한 조작 버튼(121)만의 조작으로는 시간이 너무 걸리게 될 수 있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조작 버튼(121)에 가해져 직접적으로 악곡의 콘텐츠를 이용자가 지정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콘텐츠 제공장치(1)가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
그래서 이 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제공장치(1)는 직접적으로 악곡 콘텐츠를 이용자가 지정 선택하는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부와, 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통한 선택입력을 행하는 조작 수단을 사용한다.
도2(b)는 그 경우의 콘텐츠 제공장치(1)의 외관의 일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즉 콘텐츠 제공장치(1)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130)를 구비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선택 커서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결정 조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십자형 조작 버튼(131)을 구비한다. 도2(b)에 있어서는, 십자형 조작 버튼(131)중, 화살표가 부여되지 않은 중앙버튼이 결정 버튼이다.
이 예의 경우에는, 하드디스크 장치(11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는 장르뿐만아니라, 아티스트, 앨범, 작곡자 등의 관련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앞에서 도3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대량의 콘텐츠를 계층구조에 의해 그룹으로 나누어 둔다. CPU(101)는 각 계층 마다 디스플레이부(130)에 콘텐츠 그룹을 표시한다. 이용자는 디스플레이(130)의 화면에 표시된 각 계층의 그룹 안에서, 자기가 원하는 그룹을 십자형 조작 버튼(131)을 사용해서 선택 결정한다. CPU(101)는 이 층에 있어서 특정한 그룹이 선택 결정되면, 그보다도 하층의 그룹 선택용 화면을 표시하도 록 하여 이 층에서의 선택을 촉구한다.
그리고 CPU(101)는 최하위층에 있어서는, 악곡 콘텐츠명 등을 표시하도록 하고, 이 최하위층의 화면에 있어서, 십자형 조작 버튼(131)을 통한 콘텐츠의 선택결정을 받으면, 선택 결정된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판독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선택 결정한 악곡 콘텐츠의 재생중 혹은 재생후에 조작버튼(121)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이 선택 결정된 콘텐츠가 속하는 장르를 기준으로 하여 상술한 도4의 처리 동작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콘텐츠의 그룹 나눔은 장르에 의해 행해지고 조작 버튼(121)의 2회 연속 누름 조작으로 장르가 다른 콘텐츠를 선택 재생하도록 했지만, 아티스트나, 앨범이나, 작곡자 등의, 다른 관련 속성을 이용하여 그룹 나눔을 하고, 조작 버튼(121)의 2회 연속 누름 조작에 의해 그 그룹화의 관련 속성, 즉 아티스트나, 앨범이나, 작곡자 등이 다른 콘텐츠를 선택재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현재 상태는 이용자가 희망하는 상태와는 다르다」라는 의미의 입력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작 버튼의 누름 조작을 사용하도록 했지만, 조작 버튼의 누름 조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제공장치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이 마이크로폰으로의 특정한 음성입력, 예를 들면 「다르다」라는 발음을, 상기 입력으로서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 버튼의 2회 연속 누름에 대응하는 발음은, 예를 들면 「다르다, 다르다」라고 하는 것과 같이, 같은 단어의 2회 연속 발음을 나누어, 조작 버튼의 길 게누름은「다-르-다」라고 하는 것 같이, 장음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발음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사람 소리에 의한 발음이 아닌 손뼉 치는 동작을, 「현재 상태는 이용자가 희망하는 상태하고는 다르다」라는 의미의 입력으로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손뼉 치는 회수가 1회 일 때에는, 상술한 조작 버튼의 일반적인 1회 누름 조작에 대응시키고, 손뼉 치는 회수가 2회일 때에는, 조작 버튼의 2회 연속 누름에 대응시키며, 손뼉 치는 회수가 3회일 때에는, 전원 온 상태로부터 전원 오프 상태로의 조작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르, 아티스트, 앨범등을 룰로서 그룹 나눔 한 것 전부를 준비해 둠과 동시에 조작 버튼(121)에 대해서, 예를 들면 3회 연속조작 등의 상기 와는 다른 조작을 정의해 두고, 그 다른 조작 버튼(121)의 조작에 의해 그룹 나눔하여, 어떠한 룰을 선택할지를 임의로 바꾸어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제2실시예]
이 제2실시예는, 블럭도의 구성은, 도1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며 「현재 상태는 이용자가 희망하는 상태와는 다르다」라는 의미의 입력으로서 조작 버튼을 이용함과 동시에 그룹 나눔은, 장르에 의해 행하는 예다.
그러나 이 제2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2)에 있어서는, 조작 버튼으로서는 , 그룹 변경용 조작 버튼과, 그룹내 콘텐츠 변경용의 2개를 사용한다. 즉 도5(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르 변경용 (그룹 변경용)의 장르 버튼(122)과, 곡 변경용 (그룹내 콘텐츠 변경용) 트랙 버튼(123)의 2개를 사용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장르 버튼(122)의 통상 길이의 1회 누름 조작은, 「현재 재생되고 있는 악곡 콘텐츠의 장르는 이용자가 희망하는 장르와는 다르다」라는 의미의 입력이 되고, 장르 버튼(122)의 예를 들면 3초 이상의 길게 누른 누름 조작은 , 전원 온 상태로부터 전원 오프로의 변경 요구가 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트랙 버튼(123)의 통상 길이의 1회 누름 조작은, 「현재 재생되고 있는 악곡 콘텐츠의 장르는 같아서 좋지만, 이용자가 희망하는 악곡의 콘덴츠와는 다르다」라는 의미의 입력이 된다. 또한, 트랙 버튼(123)의 예를 들면 3초 이상 길게 누른 누름 조작은, 트랙 버튼(123)의 통상 길이의 1회 누름 조작과 같은 의미의 입력이 되지만 이에 대한 콘텐츠 제공장치(2)에 있어서의 처리는 상기 일반적인 길이의 누름 처리와는 다르다.
즉, 이 제2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2)에서는, 트랙 버튼(123)이 길게 누름 조작되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악곡 콘텐츠의 장르와 같은 장르에 포함되는 복수의 악곡 콘텐츠의 일부, 예를 들면 인트로덕션부분(음악의 도입부분. 이하, 인트로라고 함)만을 임의의 순서대로 재생하여, 현재 재생중인 악곡콘텐츠와는 다른 악곡 콘텐츠를 이용자에 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인트로를 순서대로 재생하고 있을 때, 재차 트랙 버튼(123)이 이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고 있을 때에는 그 누름 조작이 행해진 시점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의 전부 재생을 요구하는 조작이라고 해서 콘텐츠 제공장치(2)는 다음의 악곡콘텐츠의 인트로의 재생을 하지 않고, 전부 재생이 요구된 콘텐츠의 재생 상태로 한다.
도6 및 그것에 이어진 도7은, 이 제2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장르 버튼(122)및 트랙 버튼(123)의 조작에 의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제2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2)에 있어서는, 전원 오프 상태라도 쟝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의 조작이 있음을 검지하는 CPU(101)를 포함하는 부분에는 전원이 투입되고 있어, 항상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이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었는 지 여부를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스텝 S11).
그리고 이 스텝 S11에 있어서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 조작의 감시 동작에 있어서, 이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의 조작이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장치(2) 전체에 전원을 투입하도록 제어한다(스텝S12). 또한 스텝 S11에서 누름 조작되었다고 검출되는 조작 버튼은, 장르 버튼(122), 트랙 버튼(123)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그 누름 조작의 형태는 어떤 누름 조작의 형태라도 좋다.
그리고 전원이 온이 되면, CPU(101)는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임의의 악곡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여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한다. 그러면 콘텐츠 디코드부(107)에서는, 받은 콘텐츠 데이터가 디코드 되어 디코드결과의 디지털오디오 신호가 D-A변환 회로(111)로 보내진다. D-A변환회로(111)에서는 디지털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앰프(112)를 통해 스피커(113)에 공급되어 음향재생된다(스텝 S13).
이용자는 재생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을 조작하여 다른 악곡의 재생 요구를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때의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의 조작 형태에는, 2가지 있어,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을 때에는, 트랙 버튼(123)을 조작하고,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다른 분위기로 하고 싶을 때에는, 장르 버튼을 조작하도록 한다.
그래서 CPU(101)는 장르 버튼(122)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S14), 장르 버튼(122)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길게 누름조작인 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S15). 이 스텝 S15에서 장르 버튼(122)의 길게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전원 오프의 상태로 하여(스텝 S16),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5에서 장르 버튼(122)이 길게 누름 조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장르(그룹)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악곡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판독하여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하고, 상술과 같이 스피커(113)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한다(스텝 S17). 그리고, 그 후 스텝 S14으로 되돌아 가 장르 버튼(122)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 S14에서 장르 버튼(122)이 누름 조작 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트랙 버튼(123)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 여부를 판별하여 (도7의 스텝 S21), 트랙 버튼(123)도 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스텝 S14로 되돌아 와 장르 버튼(122)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스텝 S21에서 트랙 버튼(123)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누름 조작이 길게 누름인지 아닌 지를 판별하여 (스텝 S22), 길게 누름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트랙 버튼(123)의 조작은, 일반적인 1회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하여,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 같은 장르 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판독하고,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하며, 상술과 같이 하여 스피커(113)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한다 (스텝 S23). 그리고, 그 후에 스텝 S14로 되 돌아가, 장르 버튼(122)에 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 S22에서 트랙 버튼(123)의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 같은 장르 내의 복수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를, 임의의 제공순으로 순서대로 재생 출력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24).
그리고 이용자에 의한 트랙 버튼(123)을 재차 누르는 조작을 기다려 (스텝 S25),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 때 까지, 상기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한다. 그리고 스텝S25에서 트랙 버튼(123)의 재차 누름조작이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그 누름 조작되었을 때 인트로가 재생되고 있던 악곡 콘텐츠로 고정하여 이 악곡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26). 그 후 스텝 S14으로 진행하여 장르 버튼(122)의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는 트랙 버튼(122)을 길게 누름으로써 여러번, 트랙 버튼(122)을 누르지 않아도, 다음에 청취하는 악곡의 후보 인트로를 순서 대로 청취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심경에 맞는 악곡의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특별히 특정한 악곡을 듣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현재 심경에 맞는 악곡을 듣고 싶을 때, 장르 버튼과 트랙 버튼의 2개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것 만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원하는 곡을 검색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변형예 1]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그룹내 콘텐츠 변경용 버튼 (예를 들면 트랙 버튼)만을 길게 누름으로써, 같은 그룹내의 복수의 콘텐츠를 인트로재생 할 수 있도록 했지만 그룹 변경용 버튼(예를 들면 장르 버튼)을 길게 누르는 것으로 다른 그룹의 복수의 콘텐츠를 인트로 재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이때의 전원 온 상태로부터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조작으로서는, 장르 버튼(122)과 트랙 버튼(123)과의 동시 누름 조작으로 한다.
도8 및 도9는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의 콘텐츠 제공장치(2)에 있어서의 장르버튼(122)및 트랙 버튼(123)의 조작에 의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즉, 이 예의 콘텐츠 제공장치(2)에 있어서는, 전원 오프의 상태라도 장르 보턴(122)이나 트랙 버튼(123)의 조작이 있음을 검지하는 CPU(101)를 포함하는 부분에는 전원이 투입되고 있으며, 항상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이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었는 지 여부를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스텝 S31).
그리고 이 스텝 S31에 있어서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의 조작 감시 동작에 있어서, 이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의 조작이므로 콘텐츠 제공장치(2)의 전체에 전원을 투입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32). 또한 스텝 S31에서 누름 조작되었다고 검출되는 조작 버튼은, 장르 버튼(122), 트랙 버튼(123)의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또한 그 누름 조작의 형태는 어떤 누름 조작의 형태라도 좋다.
그리고 전원이 온이 되면, CPU(101)는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임의의 악곡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여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한다. 그러면 콘텐츠 디코드부(107)에서는 받은 콘텐츠 데이터가 디코드 되고 디코드결과의 디지털오디오 신호가 D-A변환 회로(111)로 보내진다. D-A변환회로(111)에서는, 디지털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앰프(112)를 통해 스피커(113)에 공급되어 음향재생된다(스텝 S33).
이용자는 재생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버튼(123)을 조작하여 다른 악곡의 재생 요구를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때의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의 조작 형태에는 2가지 있으며,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을 때에는, 트랙 버튼(123)을 조작하고,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다른 분위기라고 하고 싶을 때에는, 장르 버튼을 조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을 오프로 할 때에는, 장르 버튼(122)과 트랙 버튼(123)의 양쪽을 동시에 누름 조작한다.
그래서, CPU(101)는 장르 버튼(122)만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 여부를 판별하 여(스텝 S34), 장르 버튼(122)만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것이 길게 누른 조작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S35).
스텝 S35에서 장르 버튼(122)의 길게 누른 조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장르(그룹)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1개의 악곡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판독하여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하고, 상술한 것과 같이 스피커(113)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한다(스텝 S17). 그리고, 그 후 스텝 S14으로 되 돌아가, 장르 버튼(122)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 S35에서 장르 버튼(122)의 길게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 는, CPU(101)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 다른 복수의 장르의 각각으로부터 선택한 1곡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를, 그 제공순으로 순차로 재생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37).
그리고 이용자에 의한 장르 버튼(122)의 재차 누름 조작을 기다려 (스텝 S38),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 때 까지, 상기 다른 복수의 장르로부터 각각 선택된 1곡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한다. 이 경우 모든 장르로부터 1곡씩의 인트로 재생이 종료하면, 같은 것을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해도 좋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모두의 장르로부터, 다른 1곡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그 롤를 재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스텝 S38에서 장르 버튼(122)의 재차 누름 조작이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그 누름 조작되었을 때 인트로 가 재생되고 있었던 장르의 악곡 콘텐츠로 고정하여 이 악곡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39). 그 후에 스텝 S34으로 진행하여, 장르 버튼(122)의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 S34에서, 장르 버튼(122)이 누름 조작되고 있지 않거나 혹은 장르 버튼(122)만의 누름 조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트랙 버튼(123)만이 누름조작 되었는 지 여부를 판별한다 (도9의 스텝 S41). 이 스텝 S41에서, 트랙 버튼(123)이 누름 조작되지 않거나 혹은 트랙 버튼(123)만의 누름 조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장르 버튼(122)과 트랙 버튼(123)의 동시누름 조작인지를 판별하여(스텝 S42), 동시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스텝 S34으로 되돌아 가, 장르 버튼(122)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스텝 S42에서 장르 버튼(122)과 트랙 버튼(123)이 동시누름 조작되고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전원 오프 상태로 하여(스텝 S43),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스텝 S41에서 트랙 버튼(123)만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이 누름 조작이 길게 눌러졌는 지를 판별하여 (스텝 S44), 길게 누름 조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트랙 버튼(123)의 조작이 보통 이용자의 1회누름 조작라고 판별하여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 같은 장르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판독하여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스피커(113)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한다(스텝 S45). 그리고, 그 후에 스텝S34로 되 돌 아가, 장르 버튼(122)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 S44에서 트랙 버튼(123)의 누름 조작이 길게 누름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 같은 장르내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를 그 제공순으로, 순서대로 재생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46).
그리고 이용자에 의한 트랙 버튼(123)의 재차 누름 조작을 기다려 (스텝 S47),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 때 까지, 상기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한다. 그리고 스텝S47에서 트랙 버튼(123)의 재차 누름 조작이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그 누름 조작이 행해졌을 때 인트로가 재생되고 있었던 악곡 콘텐츠로 고정하여 이 악곡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48). 그 후 스텝 S34로 진행하여 장르 버튼(122)의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는, 장르 버튼(122)을, 수회 조작하지 않아도 단순히 길게 누름으로써 다음에 청취하는 악곡의 장르(그룹) 후보가 되는 악곡의 인트로를 순서대로 청취할 수 있다. 자신이 그 때 기분에 맞는 장르(그룹)의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장르 버튼(122)을 길게 누름으로써, 장르가 다른 콘텐츠의 인트로를 듣고, 마음에 든 장르를 결정하여, 그 후 트랙 버튼(122)을 길게 누름 조작함으로써 이 선택한 장르 중에서, 청취하는 악곡의 후보 인트롤을 순서대로 청취하여, 현재 심경에 맞는 악곡을 결정하는 조작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이용자는, 특별히 특정한 악곡을 듣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현재 심 경에 맞는 악곡을 듣고 싶을 때, 장르 버튼과 트랙 버튼의 2개의 조작버튼을 조작 하는 것 만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원하는 곡을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의 변형예 2]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만일, 이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특정한 악곡을 결정할 때에는 이 희망하는 악곡까지 가는 데 상술한 조작 버튼(122)과 (123)의 조작에서는, 시간이 너무 걸린다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조작 버튼(122)(123)에 가해져 직접적으로 악곡 콘텐츠를 이용자가 지정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콘텐츠 제공장치(2)가 구비하도록 한다.
즉, 이 변형예 2에 있어서는, 콘텐츠 제공장치(2)는 직접적으로 악곡 콘텐츠를 이용자가 지정 선택하는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부와, 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통한 선택입력을 행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한다.
도5(b)는 그 경우의 콘텐츠 제공장치(2)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콘텐츠 제공장치(2)는, 예를 들면 LC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130)를 구비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선택 커서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결정 조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십자형 조작 버튼(131)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드디스크 장치(11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는 장르뿐만 아니라 명세서 서두에서 도3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대량의 콘텐츠를 계층구조를 갖는 그룹 나눔으로 해 둔다. CPU(101)는 각 계층마다 디스플레이부(130)에 콘텐츠 그룹을 표시한다. 이용자는 디스플레이(130)의 화면에 표시된 각 계층의 그룹안에 서, 자기가 희망하는 그룹을 십자형 조작 버튼(131)을 이용해서 선택 결정한다. CPU(101)는 이 층에 있어서 특정의 그룹이 선택 결정되면, 그보다도 하층의 그룹에 있어서의 선택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며, 이 층에서의 선택을 촉구한다.
그리고 CPU(101)는, 최하위층에 있어서는, 악곡 콘텐츠명 등을 표시하도록 로 하고, 이 최하위층의 화면에 있어서, 십자형 조작 버튼(131)을 통한 콘텐츠의 선택결정을 받으면, 선택 결정된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판독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선택 결정한 악곡 콘텐츠의 재생중 혹은 재생후에 조작 버튼(123)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이 선택 결정된 콘텐츠가 속하는 장르를 기준로 하여 상술한 도6, 도7 혹은 도8, 도9의 처리 동작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이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현재 상태는 이용자가 희망하는 상태와는 다르다」라는 의미의 입력은, 조작 버튼의 누름 조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콘덴츠제공장치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이 마이크로폰으로의 특정한 음성입력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르 버튼 대신에 「장르」라는 발음을 할당하고, 트랙 버튼 대신에 「트랙」이라는 발음을 할당하여, 상기 입력으로서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트랙 버튼의 길게 누름에 대응하는 발음은, 예를 들면 「트랙인트로」라는 발음을 할당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람 소리에 의한 발음이 아닌, 손뼉치는 동작을 「현재 상태는 이용자가 희망하는 상태와는 다르다」라는 의미의 입력으로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손뼉 치는 회수가 1회일 때에는, 그룹내 콘텐츠의 변경에 대응시키고, 손을 두드리는 회수가 2회일 때에는, 그룹 변경에 대응시키며, 손뼉 치는 회수가 3회일 때에는, 그룹내 콘텐츠의 인트로 재생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콘텐츠의 그룹 나눔은, 장르에 의해 행해지지만, 아티스트나, 앨범이나, 작곡자 등의, 다른 콘텐츠 관련 속성을 이용하여 그룹 나눔을 하고, 장르 버튼 대신에 아티스트 버튼이나, 앨범 버튼이나, 작곡자 버튼등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장르, 아티스트, 앨범등을 룰로서 그룹 나눔 한 전부를 준비해 둠과 동시에 조작 버튼(122)에 대해서, 예를 들면 3회 연속조작 등의 상기 와는 다른 조작을 정의해 두고, 그 다른 조작 버튼(121)의 조작에 의해 그룹 나눔으로서, 어떤 룰을 선택할지를 임의로 바꾸어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제3실시예〕
이상의 제1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미리, 장르, 아티스트, 앨범, 작곡자 등의 콘텐츠 관련 속성의 하나를 기준(룰)으로 해서, 그룹 나눔을 행하고, 그 정해진 그룹에 대해서만 이 그룹내외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선택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제3 실시예에서는 그룹 나눔의 룰은 하나에 고정시키지 않고, 예를 들면, 장르, 아티스트, 앨범, 작곡자 등의 콘텐츠 관련 속성의 각각에 대해 미리 그룹 나눔을 해 둔다. 그리고, 어느 그룹 나눔을, 콘텐츠 선택시에 사용할 지를, 버튼 조작등의 이용자 입력에 의해 바꾸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0(a)은 이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3)의 케이스의 외관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도11은 이 제3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3)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11의 블럭도에 있어서, 도1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을 붙여 나타내고 있다. 이 도11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분류부(115)가 시스템버스(100)에 접속됨과 동시에 콘텐츠 제공장치(3)를 인터넷(117)에 접속하기 위한 회선 인터페이스(116)가 시스템버스(100)에 접속되어 배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버스(100)에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18)를 통해 LC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119)가 접속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119)는 룰표시부를 구성한다.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드디스크 장치(110)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악곡 콘텐츠는, 도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르, 아티스트, 앨범, 작곡자 …등의 콘텐츠 관련 속성의 각각을 룰로서, 미리 대그룹 단위로 그룹나눔 되어 있다. 이 경우에 도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르라고 하는 룰의 대그룹10에는, 장르1의 소그룹11, 장르2의 소그룹12, ···장르n의 소그룹1n과 같이, 여러개의 소그룹을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아티스트라는 룰의 대그룹20, 앨범이라는 룰의 대그룹30, ···의 각각에도 여러개의 소그룹21, 22, ···, 2m, 여러개의 소그룹31, 32, ···3k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 그룹 나눔에 관한 테이블 정보 등의 관리 데이터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며, 기억 데이터관리부(105)에 있어서 관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콘텐츠 분류부(115)및 회선 인터페이스(116)는 새로이 콘텐츠 입력 인터페이 스(106)를 통해서, 이 콘텐츠 제공장치(3)에 받아들이는 콘텐츠에 대한 그룹 나눔의 분류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콘텐츠 입력 인터페이스(106)를 통해서 받아들이는 콘텐츠 데이터, 상기 한 콘텐츠 관련 속성정보가 부수되고 있을 경우에는, 그 콘텐츠 관련 속성정보는 콘텐츠 분류부(115)로 보내진다.
그리고, 콘텐츠 분류부(115)는 받은 콘텐츠 관련 속성정보를 기초로 받아들여진 콘텐츠 데이터가, 어느 대그룹의 어느 소그룹에 속할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를 기억 데이터관리부(105)로 보낸다. 이때 받아들인 콘텐츠 데이터가 속하는 대그룹 및 소그룹은 보통은 복수가 된다. 즉, 어떤 콘텐츠는 어떤 장르의 소그룹에 속하고, 어떤 아티스트의 소그룹에 속하며, 어떤 앨범의 소그룹에 속하고, 또한 어느 작곡자의 소그룹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콘텐츠 입력 인터페이스(106)을 통해서 받아들이는 콘텐츠 데이터에 전기의 콘텐츠 관련 속성정보가 부수되지 않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인터넷상에 설치되어 있는 콘텐츠 관련 정보의 통지서비스를 행하는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는 것으로, 상기 콘텐츠 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입력 인터페이스(106)를 통해서 받아들이는 콘텐츠 데이터에, 콘텐츠ID(식별 데이터)가 부수되고 있을 경우에는, 콘텐츠 제공장치(3)는 이 콘텐츠ID를 회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서 인터넷상에 있는 CD(Compact Disc)-DB(Database)등의 서버 장치로 보내, 콘텐츠 관련 정보의 문의를 행하고, 그 문의 결과로서, 상기 한 콘텐츠관련 정보 등을 이 CD-DB등으로부터 취득하도록 한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장치(3)에서는 취득한 콘텐츠 관련 정보를 콘텐츠 분류부(104)로 해석하여, 콘텐츠 입력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받아들인 콘텐츠 데이터가 어느 그룹에 속할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기억 데이터관리부(105)로 보내어 상기 와 마찬가지로 기억 데이터관리부(105)에 있어서 받아들인 콘텐츠 데이터의 그룹 나눔을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LCD디스플레이(119)에는 선택중인 룰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버튼 조작부(114)의 구성 및 그 버튼 조작을 기초로 처리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버튼 조작부(114)는, 도10(a)에 도시한 것과 같이 3개의 조작 버튼(124)(125)(12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작 버튼(124)의 누름 조작은「희망하는 그룹 나눔의 룰이, 현재 선택중인 것과는 다르다」라는 의미내용을 갖는 것으로 이것이 누름 조작됨으로써, 상술한 대그룹이 현재 선택중인 것에서 다른 것으로 변경된다. 이하 이 조작 버튼(124)은 룰 버튼(124)으로 칭하기로 한다. 즉, 도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룰 버튼(124)의 누름 조작으로 임의의 대그룹으로 변경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변경후의 룰은 LCD디스플레이(119) 화면(119D)에 표시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룰 버튼(124)의 길게 누름은, 전원 온으로부터 전원 오프로의 이행 조작이 되고 있다.
조작 버튼(125)의 누름 조작은,「선택중인 룰의 대그룹에 속하는 희망하는 소그룹이 현재 선택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소그룹과는 다르다」라는 의미내용을 갖 는 것으로, 이것이 누름 조작됨으로써, 같은 대그룹내의 현재 선택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소그룹과는 다른, 다른 소그룹안의 콘텐츠로 재생 콘텐츠가 변경된다. 이하, 이 조작 버튼(125)은 모드 버튼(125)으로 칭하기로 한다. 즉 도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모드 버튼(125)의 일반적인 누름 조작으로 대그룹내에 있어서, 선택되는 소그룹이 임의의 소그룹으로 변경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모드 버튼(125)의 길게 누름에 의해, 대그룹내에 있어서, 여러개 소그룹의 각각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1개씩의 콘텐츠의 인트로가, 임의의 순서로 재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버튼(126)은 상술한 실시예의 트랙 버튼과 동일한 것으로, 이 조작버튼(126)의 조작은 「선택중인 소그룹은 변경할 필요는 없지만, 현재 선택중인 콘텐츠는 원하는 것과 다르다」라는 의미내용을 갖는다. 그리고 이 조작 버튼(126)은 보통과 같이 짧게 누름 조작되면, 선택중인 소그룹내에서, 선택중인 콘텐츠이외의 콘덴츠로, 재생 콘텐츠가 변경된다. 이 조작 버튼(126)은 이 예에 있어서도, 트랙 버튼으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트랙 버튼(126)의 길게 누름에 의해 소그룹내에 있어서, 여러개의 콘텐츠의 인트로가, 임의의 순서로 재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3, 도14 및 도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했다. 제3실시예의 콘텐츠제공장치(3)에 있어서의 룰 버튼(124), 모드 버튼(125) 및 트랙 버튼(126)의 조작을 기초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즉 이 예의 콘텐츠 제공장치(3)에 있어서는, 전원 오프 상태라도 룰 버튼 (124), 모드 버튼(125)이나 트랙 버튼(126)의 조작이 있음을 검지하는 CPU(101)를 포함하는 부분에는 전원이 투입되고 있어, 항상, 룰 버튼(124), 모드 버튼(125)이나 트랙 버튼(126)이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었는 지를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 (스텝 S51).
그리고, 이 스텝 S51에 있어서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룰 버튼(124), 모드 버튼(125)이나 트랙 버튼(126) 조작의 감시 동작에 있어서, 이 룰 버튼(124), 모드 버튼(125)이나 트랙 버튼(126)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의 조작이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장치(3) 전체에 전원을 투입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52). 또한 스텝 S51에서 누름 조작되었다고 해서 검출되는 조작 버튼은, 룰 버튼(124), 모드 버튼(125), 트랙 버튼(126) 중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또한 그 누름 조작의 형태는, 어떤 누름 조작의 형태라도 좋다.
그리고 전원이 온이 되면, CPU(101)는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임의의 악곡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여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한다. 그러면 콘텐츠 디코드부(107)에서는, 받은 콘텐츠 데이터가 디코드 되어 디코드결과의 디지털오디오 신호가 D-A변환 회로(111)로 내 보내진다. D-A변환회로(111)에서는, 디지털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앰프(112)를 통해 스피커(113)에 공급되어 음향재생된다(스텝 S53).
이 때, LCD표시부(119)의 화면(119D)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가 포함되는 대그룹의 선택 룰을 표시한다(스텝 S54). 도10(a)에 있어서는 「장르」라는 룰에 의해 대그룹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는 재생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룰 버튼(124)이나 모드 버튼(125)이나 트랙 버튼(126)을 조작하여 다른 악곡의 재생 요구를 한다. 그리고 전원의 오프 조작은, 이 예에서는 룰 버튼(124)의 길게 누른 조작이 되고 있다.
CPU(101)는 룰 버튼(124)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하여 (스텝 S55), 룰 버튼(124)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것이 길게 누른 조작인지를 판별한다(스텝 S56). 룰 버튼(124)을 길게 눌렀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전원 오프 상태로 하고(스텝 S57),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스텝 S56에서 룰 버튼(124)의 길게 누름 조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가 속하는 대그룹의 룰과는 다른 임의의 룰 (다른 대그룹)을 선택하여, 이 변경 후의 룰에 의한 대그룹에 포함는 임의의 소그룹 안의,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변경한다 (스텝S58).
예를 들면 장르라는 룰의 대그룹10에 포함되는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에 있어서, 룰 버튼(124)이, 길게 누름이 아닌 통상 누름 조작되면, 예를 들면 아티스트라고 하는 룰의 대그룹20 안의 임의의 소그룹 (이 경우에는 임의의 아티스트) 안의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CPU(101)는 변경후의 룰, 예를 들면 「아티스트」를, LCD표시부(119)의 화면(119D)에 표시한다 (스텝 S59). 그리고 스텝 S55으로 되 돌아가 룰 버튼(124)의 조작을 감시한다.
스텝 S55에서 룰 버튼(124)이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모드 버튼(125)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하여 (도14의 스텝 S61), 모드 버 튼(125)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 누름 조작은 길게 눌렀는 지를 판별한다(스텝S62).
그리고 스텝S62에서, 모드 버튼(125)의 길게 누름 조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일반적인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가 속하는 대그룹내에 있어서, 이 재생중 콘텐츠가 포함되는 소그룹 이외의, 임의의 소그룹의 임의의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한다 (스텝S63). 그리고, 스텝 S55으로 되 돌아가 룰 버튼(124)의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S62에서 모드 버튼(125)의 길게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 CPU(101)는 현재 선택중인 룰의 대그룹내에 있어서,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소그룹이외의 여러개의 소그룹의 각각으로 부터 선택한 1곡씩 악곡콘텐츠의 인트로를, 임의의 제공순으로 순서대로 재생 출력하도록 제어한다(스텝S64).
그리고, 이용자에 의한 모드 버튼(125)의 재차 누름 조작을 기다려 (스텝S65),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때 까지, 상기 복수의 소그룹으로부터 각각 선택된 1곡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한다. 이 경우, 대상이 되는 모든 소그룹로부터의 1곡씩의 인트로 재생이 종료하면, 같은 것을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해도 좋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대상이 되는 모든 소그룹으로부터, 별도의 1곡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그 인트로를 재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스텝S65에서 모드 버튼(125)의 재차 누름 조작이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이 누름 조작되었을 때 인트로가 재생되고 있었던 소그룹의 악곡 콘텐츠로 고정하여, 이 악곡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스텝S66). 그 후에 스텝 S55로 진행하여 룰 버튼(124)의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S61에서 모드 버튼(125)이 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트랙 버튼(126)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한다 (도15의 스텝 S71). 이 스텝 S71에서 트랙 버튼(126)이 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스텝 S55로 되돌아 가 룰 버튼(124)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스텝 S71에서 트랙 버튼(126)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이 누름 조작이 길게 누름인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S72), 길게 누름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트랙 버튼(126)의 조작은, 일반적인 1회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하여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가 포함되는 소그룹 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선정하고, 그 선정한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한 콘텐츠를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스피커(113)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한다(스텝 S73). 그리고 그 후에 스텝 S55로 되 돌아가, 룰 버튼(124)에 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 S72에서 트랙 버튼(126)의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가 포함되는 소그룹내에 있어서 ,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를 제외한 다른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를, 임의의 제공순으로 순차적으로 재생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74).
그리고 이용자에 의한 트랙 버튼(126)의 재차 누름 조작을 기다려(스텝 S75),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 때 까지, 상기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한다. 그리고 스텝S75에서 트랙 버튼(126)의 재차 누름 조작이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그 누름 조작되었을 때에 인트로가 재생되고 있었던 악곡 콘텐츠로 고정하고, 이 악곡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76). 그 후에 스텝 S55로 진행하고, 룰 버튼(124)의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이 제3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는 룰 버튼(124)을 조작함으로써 콘텐츠의 그룹 나눔의 룰을, 장르, 아티스트, 앨범, 작곡자, 발매년대 등의 여러가지 룰에 근거하는 것으로 바꾸어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이 제3실시예에 의하면, 콘텐츠 선택의 다양성이 확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즉 예를 들면 장르에 의해 그룹 나눔 되어 있었던 콘텐츠를, 모드 버튼이나 트랙 버튼을 조작하는 함으로써 즐기고 있었던 상태에서, 룰 버튼(124)의 누름조작에 의해 아티스트나 앨범에 의한 그룹 나눔 한 콘텐츠에 대해 모드버튼이나 트랙 버튼의 조작으로, 임의로 선택해서 즐기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도 갖는 것이다.
[제3실시예의 변형예 1]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만일, 이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특정한 악곡을 결정할 때 이 희망하는 악곡까지 가는 데에는, 상술한 조작 버튼(124∼126)의 조작으로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조작 버튼(124∼126)에 가해져 직접적으로 악곡 콘텐츠를 이용자가 지정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콘텐츠 제공장치(3)가 구비하도록 한다.
즉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제공장치(3)는 직접적으로 악곡의 콘텐츠를 이용자가 지정 선택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LC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통한 선택입력을 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LC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119)를 구비하므로 이 디스플레이(119)로서 표시 화면이 비교적 큰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도10(b)은 그 경우의 콘텐츠 제공장치(3)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콘텐츠 제공장치(3)는 예를 들면 LC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119)를 구비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119)의 화면(119D)상에 표시되는 선택 커서를 상하 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결정 조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십자형 조작 버튼(131)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119) 화면(119D)에는, 현재 선택되고 있는 룰을 문자표시하기 위한 룰 표시 영역(133)을 설치한다.
그리고 이 제3 실시예에서는 하드디스크 장치(11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는, 장르, 아티스트, 앨범, 작곡자등에 의해, 대량의 콘텐츠가 명세서 서두의 도3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은 계층구조에 의해 그룹 나눔 되어 있다. CPU(101)는 각 계층 마다 디스플레이(119)의 화면(119D)에 대그룹 및 소그룹의 콘텐츠 그룹을 표시한다.
이용자는 디스플레이(119)의 화면(119D)에 표시된 각 계층의 그룹안에서 자기가 희망하는 그룹을, 십자형 조작 버튼(131)을 사용해서 선택결정한다. CPU(101)는 이 층에 있어서 특정한 그룹이 선택 결정되면, 그보다도 하층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여 이 층에서의 선택을 촉구한다.
그리고 CPU(101)는 최하위층에 있어서는, 악곡 콘텐츠명 등을 표시하도록 하고, 이 최하위층의 화면에 있어서, 십자형 조작 버튼(131)을 통한 콘텐츠의 선택결정을 받으면, 선택 결정된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판독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선택 결정한 악곡 콘텐츠의 재생중 혹은 재생후에, 조작버튼(124∼126)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이 선택 결정된 콘텐츠가 속하는 대그룹 및 소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상술한 도13∼도15의 처리동작이 행해지는 것이다.
[제3실시예의 변형예 2]
상술한 제3 실시예에서는 조작 버튼은, 룰 버튼(124)과, 모드 버튼(125)과, 트랙 버튼(126)의 3개를 사용하도록 했지만, 룰 버튼(124)과 모드 버튼(125)의 기능은 도16(a) 및 도1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1개의 조작 버튼(127)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이 예의 조작 버튼(127)은,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룰/모드 버튼(127)으로 칭하기로 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룰/모드 버튼(127)은 이것이 2회 연속 누름 조작되었을 때, 룰 버튼으로서 작용하도록 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1회 누름 조작되었을 때에는, 룰/모드 버튼(127)은 모드 버튼의 1회누름 조작으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길게 누름 조작되었을 때에는 모드 버튼의 길게 누름 조작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예에 있어서는, 룰/모드 버튼(127)과 트랙 버튼(126)의 동시누름 조작을 전원 오프 조작으로 하고 있다.
도17∼도19는 이 예의 콘텐츠 제공장치(3)의 경우에 있어서의 룰/모드 버튼(127) 및 트랙 버튼(126)의 조작에 의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즉, 이 예의 콘텐츠 제공장치(3)에 있어서는, 전원 오프 상태라도 룰/모드 버튼(127) 이나 트랙 버튼(126)의 조작이 있음을 검지하는 CPU(101)를 포함하는 부분에는 전원이 투입되고 있어, 항상, 룰/모드 버튼(127)이나 트랙 버튼(126)이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었는 지를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스텝S81).
그리고, 이 스텝S81에 있어서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룰/모드 버튼(127)이나 트랙 버튼(126) 조작의 감시 동작에 있어서, 이 룰/모드 버튼(127)이나 트랙 버튼(126)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의 조작이므로 콘텐츠 제공장치(3)의 전체에 전원을 투입하도록 제어 한다(스텝S82). 또, 스텝S81에서 누름 조작되었다고 하여 검출되는 조작버튼은, 룰/모드 버튼(127), 트랙 버튼(126)중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그 누름 조작의 형태는, 어떤 누름 조작의 형태라도 좋다.
그리고 전원이 온이 되면, CPU(101)는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임의의 악곡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여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한다. 그러면 콘텐츠 디코드부(107)에서는 받은 콘텐츠 데이터를 디코드 하고, 디코드결과의 디지털오디오 신호를 D-A변환 회로(111)로 내보낸다. D-A변환 회로(111)에서는 디지털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오디오 신호가 앰프(112)를 통해 스피커(113)에 공급되어 음향재생된다(스텝S83).
이때 LCD표시부(119)의 화면(119D)에는, 현재 재생되어 있는 콘텐츠가 포함되는 대그룹의 선택 룰을 표시한다(스텝S84). 도16(a)에 있어서는 「장르」라는 룰에 의해 대그룹이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는 재생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룰/모드 버튼(127)이나 트랙버튼(126)을 조작하여 다른 악곡의 재생 요구를 한다. 그리고 전원의 오프 조작시에는 이용자는, 룰/모드 버튼(127)과 트랙 버튼(126)의 동시 누름 조작을 한다.
CPU(101)는 룰/모드 버튼(127)만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하여(스텝S85), 룰/모드 버튼(127)만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것이 2회 연속 누름 조작인지를 판별한다 (스텝S86).
룰/모드 버튼(127)의 2회 연속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가 속하는 대그룹의 룰과는 다른, 다른 룰(다른 대그룹)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 변경후의 룰에 의한 대그룹에 포함되는 임의의 소그룹 안의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변경한다 (스텝S87).
그리고 CPU(101)는 변경후의 룰, 예를 들면 「아티스트」를, LCD표시부(119)의 화면(119D)에 표시한다(스텝S88). 그리고 스텝S85로 되 돌아가, 룰/모드 버튼(127)의 조작을 감시한다.
스텝S86에서 룰/모드 버튼(127)은 2회 연속 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 을 때에는, CPU(101)는 룰/모드 버튼(127)이 길게 눌러졌는 지를 판별한다(도18의 스텝S91). 그리고 스텝S91에서 룰/모드 버튼(127)이 길게 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일반적인 누름 조작이다라고 판별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가 속하는 대그룹내에 있어서, 이 재생중인 콘덴츠가 포함되는 소그룹 이외의, 임의의 소그룹의 임의의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한다(스텝S92). 그리고, 스텝S85로 되 돌아가 룰/모드 버튼(127)의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S9에서 룰/모드 버튼(127)의 길게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현재 선택중인 룰의 대그룹내에 있어서,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소그룹이외의 여러개의 소그룹의 각각으로부터 선택한 1곡씩 복수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를, 임의의 제공순으로 순서대로 재생출력 하도록 제어한다.(스텝S93).
그리고 CPU(101)는 이용자에 의한 룰/모드 버튼(127)의 재차 누름 조작을 기다려(스텝S94),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 때 까지, 상기 복수의 소그룹으로부터 각각 선택된 1곡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한다. 이 경우, 대상이 되는 모든 소그룹으로부터의 1곡씩 인트로 재생이 종료하면, 같은 것을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해도 좋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대상이 되는 모든 소그룹로부터, 임의의 별도의 1곡을 선택하여 그 인트로를 재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스텝S94에서 룰/모드 버튼(127)의 재차 누름 조작이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그 누름 조작되었을 때 인트로가 재생되고 있었던 소그룹의 악곡 콘텐츠로 고정하여, 이 악곡 콘덴츠의 전부 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스텝S95). 그 후에 스텝S85로 진행하여 룰/모드 버튼(127)의 누름 조작을 감시하는 상태로 되 돌아간다.
스텝S85에서 룰/모드 버튼(127)이 누름 조작되지 않거나 룰/모드 버튼(127)만은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트랙 버튼(126)만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한다 (도19의 스텝 S101). 이 스텝 S101에서 트랙 버튼(126)이 누름 조작되지 않거나, 트랙 버튼(126)만의 누름 조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룰/모드 버튼(127)과 트랙 버튼(126)의 동시 누름 조작인지를 판별하여 (스텝S102), 동시 누름 조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스텝S85로 되돌아가, 룰/모드 버튼(127)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스텝 S102에서 룰/모드 버튼(127)과 트랙 버튼(126)이 동시 누름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콘텐츠 제공장치(3)를 전원 오프 상태로 하여(스텝 S103),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그리고, 스텝 S101에서 트랙 버튼(126)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S104). 이 스텝S104에서, 트랙 버튼(126)의 이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트랙 버튼(126)의 조작은 일반적인 1회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하여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가 포함되는 소그룹 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콘덴츠와는 다른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선정하고, 그 선정한 콘텐츠를, 하드디스크장치(110)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한 콘텐츠를 콘텐츠 디코더(107)에 전송하고 상술한 것과 같이 스피커(113)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한다(스텝 S(105)). 그리고, 그 후 에 스텝S85에 되 돌아가, 룰/모드 버튼(127)에 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 S104에서 트랙 버튼(126)의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이라고 판별 했을 때에는, CPU(101)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가 포함되는 소그룹내에 있어서,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를 제외한 다른 복수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를, 임의의 제공순으로, 순서대로 재생 출력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06).
그리고 이용자에 의한 트랙 버튼(126)의 재차 누름 조작을 기다려 (스텝 S107),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때 까지, 상기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한다. 그리고 스텝 S107에서 트랙 버튼(126)의 재차 누름 조작이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이 누름 조작이 행해졌을 때 인트로가 재생되고 있었던 악곡 콘텐츠로 고정하여, 이 악곡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108). 그 후에 스텝S85로 진행하여 룰/모드버튼(127)의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콘텐츠 제공장치의 제4실시예]
이 제4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4)는, 하드웨어 구성은, 상술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함과 동시에, 하드디스크 장치(110)에 기억하는 대량의 콘텐츠는, 상기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르, 아티스트, 앨범등의 복수의 룰에 의해, 복수의 대그룹으로 나눔과 동시에, 각 대 그룹내에 여러개의 소그룹을 형성하도록 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이 제4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4)에 있어서는, 룰 버튼(125)이나 룰/모드 버튼(127)의 조작에 의해 임의로 그룹화의 룰을 변경하는 것은 아니며 각 그룹화의 룰을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축아이콘 버튼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 때문에 이 제4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4)의 조작 버튼부(114)에는, 그룹 나눔의 룰 각각에 대응하는 버튼(단축아이콘 버튼)을, 각각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와 동일한 트랙 버튼을 구비한다.
도20은 이 제4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4)의 외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의 예에 있어서는, 단축아이콘 버튼으로서 장르 버튼(141)과, 아티스트 버튼(142)과, 앨범 버튼(143)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술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트랙 버튼(144)을 구비한다. 또한, 이 제4 실시예에서는 콘텐츠제공장치(4)에 있어서의 재생 상태를, 하나 앞의 조작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언도(undo)버튼(145)을 구비한다.
도21∼도24는 이 제4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4)에 있어서의, 조작 버튼 (141∼145)의 조작에 의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 예의 콘텐츠 제공장치(4)에 있어서는, 전원 오프의 상태라도 조작 버튼(1 41∼145)의 조작이 있음을 검지하는 CPU(101)를 포함하는 부분에는 전원이 투입되고 있으며, 항상, 조작 버튼(141∼145)이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었는 지를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 (스텝 S111).
그리고 이 스텝 S111에 있어서, 전원 오프 상태에서 조작 버튼(141∼145)내의 어떠한 조작 버튼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의 조작이므로 콘텐츠 제공장치(4) 전체에 전원을 투입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112). 또한 스텝 S111에서 누름 조작되었다고 하여 검출되는 조작 버튼의 누름 조작의 형태는 어떤 형태라도 좋다.
그리고 전원이 온이 되면, CPU(101)는 하드디스크 장치(110)로부터 임의의 악곡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여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한다. 그러면 콘텐츠 디코드부(107)에서는 받은 콘텐츠 데이터가 디코드 되어, 디코드결과의 디지털오디오 신호가 D-A변환 회로(111)로 내 보낸다. D-A변환회로(111)에서는 디지털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앰프(112)를 통해 스피커(113)에 공급되어 음향재생된다.(스텝 S113).
이용자는 재생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단축아이콘 버튼(141∼1 43)의 어느 한쪽 혹은 트랙 버튼(144)을 조작하여 다른 악곡의 재생 요구를 한다. 또한 직전의 곡이 더 좋았다고 느꼈을 때에는, 언도 버튼(145)을 조작한다. 또한 전원의 오프 조작은, 이 예에서는 언도 버튼(145)의 길게 누름 조작이 되고 있다.
CPU(101)는 장르 버튼(141)이 누름 조작 되었는 지를 판별하여 (스텝 S114),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이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인지를 판별한다.(스텝 S115).
스텝 S115에서 길게 누름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도12에 도시한 장르의 대그룹10안의, 여러개 장르의 소그룹11∼1n중 임의 장르의 소그룹안의 임의의 곡으로, 현재 재생중인 것과는 다른 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16). 그리고 스텝 S114에 되 돌아가, 장르 버튼(141)의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스텝 S115에서 길게 누른 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장르의 대그룹10안의, 여러개 장르의 소그룹11∼1n의 각각으로부터 임의의 1곡씩 선택한 복수곡의 인트로를, 임의 순서로 순서대로 재생한다 (스텝S117).
그리고 CPU(101)는 이용자에 의한 장르 버튼(141)의 재차 누름 조작을 기다려(스텝 S118),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때 까지 상기 복수의 소그룹으로부터, 각각 1곡씩 선택된 복수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한다. 이 경우 대상이 되는 모든 소그룹으로부터의 1곡씩의 인트로 재생이 종료하면, 같은 것을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해도 좋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대상이 되는 모든 소그룹에서 임의의 다른 1곡씩을 선택하여 그 인트로를 재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스텝 S118에서 장르 버튼(141)의 재차 누름 조작이 있었다고 판별 했을 때에는, CPU(1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그 누름 조작되었을 때 인트로가 재생되고 있었던 소그룹의 장르의 악곡 콘텐츠로 고정하여 이 악곡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119). 그 후에 스텝S114로 진행하여 장르 버튼(141)의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스텝 S114에서 장르 버튼(141)은 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는, CPU(101)는 아티스트 버튼(142)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한다(도22의 스텝 S121).
스텝 S121에서 아티스트 버튼(142)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이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S122). 이 스텝 S122에서 길게 누름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도12에 나타낸 아티스트의 대그룹20안의, 여러개의 아티스트의 소그룹21∼2n중 임의의 아티스트의 소그룹 중의 임의의 곡으로, 현재 재생중인 것과는 다른 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123). 그리고 스텝 S114로 되 돌아가, 장르 버튼(141)의 누름 조작을 감시하는 처리로 되돌아간다.
스텝 S122에서 길게 누른 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아티스트의 대그룹20 안의, 여러개의 아티스트의 소그룹21∼2m의 각각으로부터 1곡씩 임의로 선택한 복수의 곡의 인트로를, 임의 순서로 순서대로 재생한다 (스텝 S124).
그리고 CPU(101)는 이용자에 의한 아티스트 버튼(142)의 재차 누름 조작을 기다려(스텝 S125),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때 까지, 상기 복수의 소그룹으로부터 각각 1곡씩 선택된 복수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한다. 이용자의 경우, 대상이 되는 모든 소그룹으로부터의 1곡씩의 인트로 재생이 종료하면, 같은 것을 반복하여 재생해도 좋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대상이 되는 모든 소그룹으로부터 임의의 다른 1곡씩을 선택하고 그 인트로를 재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스텝 S125에서 아티스트 버튼(142)의 재차 누름 조작이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그 누름 조작이 행해졌을 때 인트로가 재생되고 있던 소그룹의 아티스트의 악곡 콘텐츠로 고정하여, 이 악곡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26). 그 후 스텝 S114로 진행하여 장르 버튼(141)의 누름 조작을 감시하는 상태로 되 돌아간다.
스텝 S121에서 아티스트 버튼(142)도 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앨범 버튼(143)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한다(도23의 스텝 S1 31).
스텝 S131에서 앨범 버튼(143)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이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S132). 이 스텝 S132에서 길게 누름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도12에 도시한 앨범의 대그룹30 안의, 여러개의 앨범의 소그룹31∼3k중 이용자의 임의의 앨범의 소그룹안의 임의의 곡으로, 현재 재생중인 것과는 다른 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33). 그리고, 스텝 S114에 되 돌아가, 장르 버튼(141)의 누름 조작을 감시하는 처리로 되 돌아간다.
스텝 S132에서 길게 누른 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앨범의 대그룹30안의, 여러개 앨범의 소그룹31∼3k의 각각으로부터 1곡씩 임의로 선택한 복수의 인트로를, 임의의 순서로 순서대로 재생한다(스텝 S134).
그리고 CPU(101)는 이용자에 의한 앨범 버튼(143)의 재차 누름 조작을 기다려(스텝 S135),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때 까지 상기 복수의 소그룹으로부터 각각 1곡씩 선택된 복수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한다. 이 경우 대상이 되는 모든 소그룹으로부터의 1곡씩의 인트로 재생이 종료하면, 같은 것을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해도 좋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대상이 되는 모든 소그룹으로부터 임의의 다른 1곡씩을 선택하여 그 인트로를 재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스텝 S135에서 앨범 버튼(143)의 재차 누름 조작이 있다고 판별 했을 때에는, CPU(1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그 누름 조작이 행해졌을 때 인트로가 재생되고 있었던 소그룹 앨범의 악곡 콘텐츠로 고정하여, 이 악곡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136). 그 후 스텝 S114로 진행하여 장르 버튼(141)의 누름 조작을 감시하는 상태에 되 돌아간다.
스텝 S131에서 앨범 버튼(143)도 누름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는에, 트랙 버튼(144)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한다 (도24의 스텝 S141).
그리고 스텝 S141에서 트랙 버튼(144)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인지를 판별한다(스텝 S142). 이 스텝 S142에서 트랙 버튼(144)의 이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는, CPU(101)는 트랙 버튼(144)의 조작은 일반적인 1회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하여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가 포함되는 소그룹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콘덴츠와는 다른 임의의 악곡 콘텐츠를 선정하고, 그 선정한 콘텐츠를 하드디스크장치(110)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한 콘텐츠를 콘텐츠, 콘텐츠 디코드부(107)에 전송하고, 상술한 것과 같이 스피커(113)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한다(스텝 S143). 그리고 그 후 스텝 S114로 되 돌아가, 장르 버튼(141)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하는 상태로 되 돌아간다.
또한 스텝 S142에서 트랙 버튼(144)의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이라고 판별 했을 때에는, CPU(101)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가 포함되는 소그룹내에 있어서,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를 제외하는 다른 복수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를, 임의의 제공순으로 순서대로 재생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144).
그리고 이용자에 의한 트랙 버튼(144)의 재차 누름 조작을 기다려(스텝 S145),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때 까지 상기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한다. 그리고 스텝 S145에서 트랙 버튼(144)의 재차 누름 조작이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그 누름 조작이 행해졌을 때 인트 로가 재생되고 있었던 악곡 콘텐츠로 고정하여, 이 악곡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146). 그 후에 스텝 S114로 진행하여 장르 버튼(141)의 누름 조작을 감시하는 상태에 되 돌아간다.
스텝 S141에서 트랙 버튼(144)도 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는, CPU(101)는 언도 버튼(145)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한다 (스텝S147). 이 스텝 S147에서 언도 버튼(145)이 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스텝 S114로 진행하고 장르 버튼(141)의 누름 조작을 감시하도록 되 돌아간다.
또한 스텝 S147에서 언도 버튼(145)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그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인지를 판별하여(스텝 S148), 길게 누름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전원 오프로 하고(스텝 S149),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스텝 S148에서 누름 조작이 길게 누름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101)는 이 언도 버튼(145)이 누름 조작되었을 때의 재생 상태 직전의 재생 상태로 되돌리도록 제어한다(스텝 S150). 이 때문에 콘텐츠 제공장치(4)에서는 항상, 현재 재생상태보다도, 적어도 하나 앞의 재생 상태일 때의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도록 하고 있다. 하나 앞의 재생 상태가 아닌 여러개 앞의 재생 상태에 있어서의 콘덴츠의 식별 정보의 전부를 기억해 둠으로써, 이 기억되기 전까지의 재생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스텝 S150 뒤에는, 스텝 S114의 장르 버튼(141)의 누름 조작을 감시하는 상태로 되 돌아 간다.
[제5실시예]
이상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장치(1∼4)는 모두 콘텐츠 제공장치에 대용량의 기억수단,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장치를 구비하고,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 하드디스크 장치로부터 판독하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은 콘덴츠제공장치는, 대용량의 기억 수단은 구비하지 않고, 인터넷등의 통신네트워크상의 콘텐츠 서버 장치로부터 콘텐츠의 분배를 받아 이 콘텐츠의 재생을 행하는 것도 있다.
이와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콘텐츠의 분배를 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콘텐츠 제공장치는, 상술과 같은 1개 또는 여러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이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른 콘텐츠 취득 요구를 행하며, 콘텐츠 제공 서버 장치는, 조작 버튼의 어떤 조작에 의한 콘텐츠 취득 요구인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콘텐츠 제공장치에 대하여 콘텐츠의 분배를 행하도록 한다.
제5실시예는 이와같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예로서 상술한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실시예이다. 도25는 이 제5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2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서버 장치(51)와, 콘텐츠 제공장치로서의 콘텐츠 수신단말(52)이 인터넷 등의 어떠한 통신 네트워크(53)를 통해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콘텐츠 서버 장치(51)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있으며, 시스템버스(200)를 통해 CPU(201)에 대하여, 프로그램ROM(202), 워크에어리어RAM(203),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메모리(204), 기억 데이터관리부(205), 송수신 데 이터 처리부(206) 및 통신 인터페이스(207)가 접속되어 있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메모리(204)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장치나 반도체메모리 장치, 그 밖의 대용량의 기억장치로 이루어지며, 대량의 콘텐츠가, 상술한 제1∼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룹으로 나뉘어져 기억되어 있다. 기억 데이터관리부(205)는, 상술한 제1∼제4실시예의 기억 데이터관리부(105)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메모리(204)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 그룹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206)는 통신 네트워크(53)를 통해서 보내져 오는 콘텐츠 수신단말(52)에서의 콘텐츠 취득 요구의 수신 처리를 하거나, 통신 네트워크(53)를 통해 콘텐츠 수신단말(52)로 송신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 데이터 생성 처리를 하거나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07)는 통신 네트워크(53)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콘텐츠 수신단말(52)은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시스템버스(300)를 통해 CPU(301)에 대하여 프로그램ROM(302), 워크에어리어RAM(303), 재생 콘텐츠 버퍼(304), 콘텐츠 디코드부(305),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 (306), 통신 인터페이스(307) 및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308)가 접속되어 있다.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308)에는 버튼 조작부(314)가 접속된다. 이 버튼조작부(314)는 상술한 버튼 조작부(114)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통신 인터페이스(307)는 통신 네트워크(53)에 접속된다.
콘텐츠 디코드부(305)에는 D-A변환 회로(311)가 접속된다. D-A변환회로 (311)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앰프(312)를 통해 스피커(313)에 공급된다.
이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의 버튼 조작부(314)는 1개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제5실시예 경우의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외관은 제1실시예 경우의 도2(a)에 도시한 것과 완전 동일하다.
한편 콘텐츠 분배 서버 장치(51)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메모리(204)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하드디스크 장치(110)와 마찬가지로 콘텐츠가 장르에 의한 그룹화되어 기억되고, 기억 데이터관리부(205)에 의해 관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5실시예의 서버 장치(51) 및 콘텐츠 수신단말(52)의 동작을, 도26 및 도2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26은 콘텐츠 수신단말(52)에서의 1개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한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며, 또한 도27은 대응하는 콘텐츠 분배 서버 장치(51)에서의 처리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외관이, 도2(a)와 동일하며 버튼조작부(314)는 1개의 조작 버튼(121)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콘텐츠 수신단말(52)에 있어서는, 전원 오프의 상태라도 조작버튼(121)의 조작이 있음을 검지하는 CPU(301)를 포함하는 부분에는 전원이 투입되고 있으며 항상, 조작 버튼(121)이 이용자에 의해 조작된 것인지를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스텝 S151).
그리고 이 스텝 S151에 있어서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조작 버튼(121) 조작의 감시동작에 있어서, 이 조작 버튼(121)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301)는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의 조작이므로 콘텐츠 제공장치(1) 전체에 전원을 투입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52). 또한 이때의 조작 버튼(121)의 누름 조작의 형태는 어떤 누름 조작의 형태라도 좋다.
그리고 전원이 온이 되면 CPU(301)의 제어를 기초로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 (306)는 임의 장르의 임의 곡의 분배요구(이 분배요구를, 이하, 초기분배요구라고 칭함)를 생성하고, 이 초기분배요구를 통신 네트워크(53)를 통해 서버 장치(51)로 보낸다(스텝 S153). 이 경우에 콘텐츠 수신단말(52)로부터 서버 장치(51)로 보내지는 모든 분배요구에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된다. 이하, 동일하다.
이 초기분배요구에 대해서는, 서버 장치(51)로부터 악곡 콘텐츠의 데이터가 보내져 오므로,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는 통신 인터페이스(307)를 통해 이 악곡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 콘텐츠 버퍼(304)에 전송한다. 재생 콘텐츠 버퍼(304)에 전송된 악곡 콘텐츠 데이터는, CPU(301)의 제어를 기초로 콘텐츠 디코더부(305)로 보내져서, 디지털오디오 신호로 디코드 된다. 그리고 디코드 된 디지털오디오 신호는 D-A변환 회로(311)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되고, 앰프(312)를 통해 스피커(313)로 공급되어 음향재생된다(스텝 S154).
이용자는 재생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조작 버튼(121)을 조작하여 다른 악곡의 요구를 하지만, 그 때의 조작 버튼(121)의 조작 형태에는, 2가지 있으며,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을 때에는, 통상과 같이 짧게 1회조작하고,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다른 분위기로 하고 싶을 때에는, 2회 연속 누름 조작을 하도록 한다.
그래서 CPU(301)는 조작 버튼(121)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하여(스텝S155), 조작 버튼(121)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2회 연속 누름 조작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S156).
이 스텝 S156에서 2회 연속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301)는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를 제어하여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장르(그룹)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임의의 악곡 콘텐츠의 분배를 요구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분배요구 (이하, 이 분배요구를 이 그룹 분배요구이라고 한다)를 생성시키고 서버 장치(51)로 송신하도록 한다(스텝 S157).
이 다른 그룹 분배요구에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식별 정보뿐만아니라,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 다른 그룹 분배요구에 대해서는, 서버 장치(51)로부터 거기에 대응하는 악곡 콘텐츠의 데이터가 보내져 오므로,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는, 통신 인터페이스(307)를 통해 이 악곡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 콘텐츠 버퍼(304)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술한 스텝154와 마찬가지로 수신한 악곡 콘텐츠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앰프(312)를 통해 스피커(313)에 공급하여 음향재생한다(스텝 S158). 그리고 그 후에 스텝 S155로 되 돌아가, 조작버튼(121)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 S156에서 2회 연속 누름 조작은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3 01)는 조작 버튼(121)의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인지를 판별하여(스텝 S159) 길게 누름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을 전원 오프 상태로 해서 (스텝 S160),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59에서 길게 누름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301)는 보통 1회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하여,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을 제어하고,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 같은 장르 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임의의 악곡 콘텐츠의 분배를 요구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동 그룹 분배요구를 생성하여 서버장치(51)에 송신시키도록 한다(스텝 S161).
이 동그룹 분배요구에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식별 정보뿐만아니라,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한다.
이 동그룹 분배요구에 대해서는 서버 장치(51)로부터 거기에 대응하는 악곡 콘텐츠의 데이터가 보내져 오므로,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는 통신 인터페이스 (307)를 통해 이 악곡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 콘텐츠 버퍼(304)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술한 스텝 S154과 마찬가지로, 수신한 악곡 콘텐츠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앰프(312)를 통해 스피커(313)에 공급하여 음향재생한다(스텝 S162). 그리고 그 후에 스텝 S155으로 되 돌아가고, 조작버튼(121)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다음에 서버 장치(51)의 처리 동작을 도2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서버 장치(51)의 CPU(201)는 콘텐츠 수신단말(52)로부터의 분배요구의 수신을 감시하여(스텝 S171), 콘텐츠 수신단말(52)로부터의 분배요구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 분배요구가, 상기 한 3종의 분배요구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S172).
이 스텝 S172의 판별 결과, 초기분배요구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201)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메모리(204)로부터 임의 장르의 임의 악곡콘텐츠를 선택하여 판독하고(스텝 S173), 그것을 분배요구 해 온 콘텐츠 수신단말(52)에 대하여 분배한다(스텝 S176).
또한 스텝 S172에서의 판별의 결과, 다른 그룹 분배요구라고 판별했을 때는, CPU(201)는, 수신한 다른 그룹 분배요구에 포함되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는 다른 임의 장르의 임의 악곡콘덴츠를 선택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메모리(204)로부터 판독하고(스텝 S174), 그것을 분배요구해 온 콘텐츠 수신단말(52)에 대하여 분배한다(스텝S176).
또한 스텝 S172에서의 판별 결과, 동 그룹 분배요구라고 판별했을 때는, CPU(201)는 수신한 동 그룹 분배요구에 포함되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 같은 장르의 임의의 악곡 콘텐츠로서,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 다른 것을 선택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메모리(204)로부터 판독하고(스텝 S175), 그것을 분배요구해 온 콘텐츠 수신단말(52)에 대하여 분배한다(스텝 S176).
이상으로 서버 장치(51)에 있어서의 콘텐츠 분배의 처리 루틴은 종료이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은, 콘텐츠 분배요구를 서버 장치(51)에 보낼 때는 재생중인 전회 분배를 받은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상기 콘텐츠 분배요구에 포함시키도록 했지만, 서버 장치(51)가 콘텐츠 수신단말(52)의 각각에 전회 분배한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동 그룹 분배요구에는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킬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는 서버 장치(51)는 이 기억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분배요구해 온 단말에 전회 분배한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악곡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다음에 분배하는 악곡 콘텐츠의 그룹이나, 분배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6 실시예]
이 제6 실시예는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제공 서버 장치와 콘텐츠수신단말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인 경우의 실시예이며, 하드웨어구성은 도25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 제6 실시예는, 콘텐츠 수신단말이 구비하는 버튼 조작부(314)가 도5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장르 버튼(122)과, 트랙 버튼(123)을 구비하는 경우이다. 즉, 제6 실시예는 상술한 콘텐츠 제공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이다.
이 제6 실시예에서는 장르 버튼(122)의 통상 길이의 누름 조작은, 「현재 분배 되어 있는 악곡 콘텐츠의 장르는 이용자가 희망하는 장르와는 다르다」라는 의미의 입력이 되고, 장르 버튼(122)의 예를 들면 3초이상 길게 누른 누름 조작은 전원 온 상태에서 전원 오프로 변경요구되고 있다.
또한 트랙 버튼(123)의 통상 길이의 누름 조작은, 「현재 분배되어 있는 악곡의 콘덴츠의 장르는 같아서 좋지만, 이용자가 희망하는 악곡 콘텐츠와는 다르다」라는 의미의 입력이 된다. 또한 트랙 버튼(123)의 예를 들면 3초이상 길게 누른 누름조작은, 트랙 버튼(123)의 통상 길이의 누름 조작과 같은 의미의 입력이 되지만, 이에 대한 콘텐츠 수신단말(52)에 있어서의 처리는 상기 일반적인 길이의 누름 처리와는 다르다.
즉, 이 제6 실시예의 콘텐츠 수신단말(52)에서는, 트랙 버튼(123)이 길게 누른 누름 조작되면, 현재 재생되어 있는 악곡 콘텐츠의 장르와 같은 장르에 포함되는 복수의 악곡 콘텐츠의 각각 일부, 예를 들면 인트로 부분(음악의 도입 부분. 이하, 인트로라고 한다)만을 임의 순서로 순서대로 분배받은 분배요구를 서버 장치(51)에 보내도록 한다.
그리고 콘텐츠 수신단말(52)은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를 순서대로 재생하고 있을 때 재차 트랙 버튼(123)이 이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었을 때에는, 그 누름조작이 행해진 시점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의 모든 데이터의 분배요구를 서버 장치에 보내도록 한다.
도28 및 그것에 이어진 도29는, 이 제6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콘텐츠 수신단말(52)에 있어서의 장르 버튼(122)및 트랙 버튼(123)의 조작에 의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 제6 실시예의 콘텐츠 수신단말(52)에 있어서는, 전원 오프 상태라도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의 조작이 있음을 검지하는 CPU(301)를 포함하는 부분에는 전원이 투입되고 있어, 항상,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이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었는 지를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스텝 S181).
그리고 이 스텝 S181에 있어서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 조작 감시 동작에 있어서, 이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301)는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의 조작이므로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전체에 전원을 투입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182). 또한 스텝 S181에서 누름 조작되었다고 해서 검출되는 조작버튼은, 장르 버튼(122), 트랙 버튼(123)중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또한 그 누름조작의 형태는 어떤 누름 조작의 형태라도 좋다.
그리고 전원이 온이 되면, CPU(301)의 제어를 기초로,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는 임의 장르의 임의의 곡의 초기분배요구를 생성하고, 이 초기분배요구를 통신네트워크(53)를 통해서 서버 장치(51)로 보낸다 (스텝 S183). 이 경우에 콘텐츠수신단말(52)로부터 서버 장치(51)로 보내지는 분배요구에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이하 동일하다.
이 초기분배요구에 대해서는 서버 장치(51)로부터 악곡 콘텐츠의 데이터가 보내져 오므로,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는 통신인터페이스(307)를 통해 이 악곡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 콘텐츠 버퍼(304)에 전송한다. 재생 콘텐츠 버퍼(304)에 전송된 악곡 콘텐츠 데이터는, CPU(301) 제어를 기초로 콘텐츠 디코드부(305)로 보내져 디지털오디오 신호에 디코드 된다. 그리고 디코드 된 디지털오디오 신호는 D-A변환회로(311)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앰프(312)를 통해 스피커(313)에 공급되어 음향재생된다 (스텝 S184).
이용자는 재생된 악곡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버튼(123)을 조작하여 다른 악곡의 취득 요구를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때의 장르 버튼(122)이나 트랙 버튼(123)의 조작 형태에는 2가지가 있어,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을 때에는 트랙 버튼(123)을 조작하고,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다른 분위기로 하고 싶을 때에는 장르 버튼을 조작하도록 한다.
그래서 CPU(301)는 장르 버튼(122)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하여(스텝S185), 장르 버튼(122)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길게 누름 조작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S186). 이 스텝 S186에서 장르 버튼(122)의 길게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301)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을 전원 오프 상태로 하고(스텝 S187),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86에서 장르 버튼(122)의 길게 누름 조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301)는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을 제어하여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장르(그룹)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와는 다른 임의의 악곡 콘텐츠의 분배를 요구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이 그룹 분배요구를 생성하여 서버 장치(51)에 송신하도록 한다(스텝 S188).
이 다른 그룹 분배요구에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식별 정보뿐만아니라,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한다.
이 다른 그룹 분배요구에 대해서는 서버 장치(51)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악곡 콘텐츠의 데이터가 보내져 오므로,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는 통신 인터페이스 (307)를 통해서 이 악곡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 콘텐츠 버퍼(304)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술한 스텝154과 마찬가지로 수신한 악곡 콘텐츠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앰프(312)를 통해서 스피커(313)에 공급하여 음향재 생한다(스텝 S189). 그리고 그 후 스텝 S185으로 되 돌아가, 장르버튼(122)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 S185에서 장르 버튼(122)이 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301)는 트랙 버튼(123)이 누름 조작되었는 지를 판별하여(도29의 스텝 S191), 트랙 버튼(123)도 누름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스텝 S185로 되 돌아 가, 장르 버튼(122)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스텝 S191에서 트랙 버튼(123)이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301)는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인지를 판별하여(스텝 S192), 길게 누름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301)는 트랙 버튼(123)의 조작은 일반적인 1회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하여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를 제어하고, 현재 재생중인 악곡콘덴츠와 같은 장르안에서, 현재 재생중인 악곡콘텐츠와는 다른 임의의 악곡콘덴츠의 분배를 요구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동 그룹 분배요구를 생성하여 서버 장치( 51)에 송신하도록 한다(스텝 S193).
이 동 그룹 분배요구에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식별 정보뿐만아니라,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 동그룹 분배요구에 대하여는, 서버 장치(51)로부터 거기에 대응하는 악곡 콘텐츠의 데이터가 보내져 오므로,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는 통신 인터페이스( 307)를 통해 이 악곡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 콘텐츠 버퍼(304)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술한 스텝 S189과 마찬가지로, 수신한 악곡 콘텐츠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앰프(312)를 통해 스피커(313)에 공급하여 음향재생 한다(스텝 S194). 그리고 그 후에 스텝 S185로 되 돌아 가, 장르버튼(122)에 대한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또한 스텝 S192에서 트랙 버튼(123)의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이라고 판별 했을 때에는, CPU(301)는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를 제어하고, 현재 재생중인 콘덴츠와 같은 장르내의,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는 다른 복수의 악곡의 콘텐츠의 인트로를, 순서대로 분배하도록 요구하는 분배요구(이하, 이 분배요구를 인트로분배요구라고 한다)를 서버 장치(51)로 송신시킨다(스텝 S195).
이 인트로 분배요구에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식별 정보와,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이 인트로 분배요구에 대해서는 서버 장치(51)로부터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 동일한 장르내의,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는 다른 복수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인트로의 각각에는 각각의 악곡 콘텐츠의 식별정보가 부가되어 있다)가 보내져 오므로, 콘텐츠 수신단말(52)에서는 그 인트로의 데이터를 재생 콘텐츠 버퍼(304)에 일단 저장한다. 그리고 이 재생 콘텐츠 버퍼(304)로부터 각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를 순서대로 판독하여 재생한다(스텝 S196).
그리고 CPU(301)는 이용자에 의한 트랙 버튼(123)의 재차 누름 조작을 기다려(스텝 S197), 이 재차 누름 조작이 있을때 까지 상기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계속 한다. 그리고 스텝 S197에서 트랙 버튼(123)의 재차 누름 조작이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301)는 인트로의 순차재생을 정지하고, 그 누름 조작되었을 때 인트로가 재생되고 있었던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재생 콘텐츠 버퍼(304)로부터 판독하여. 이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요구 콘텐츠의 식별 정보로서 포함하는 분배요구를,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를 통해 서버 장치(51)에 송신 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98).
그리고 콘텐츠 수신단말(52)에서는, 이 분배요구에 대응하여 서버 장치(51)로부터 보내져 오는 요구 콘텐츠의 데이터를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306)로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와 같은 방법으로 재생 콘텐츠 버퍼(304)를 통해 콘텐츠 디코드부(305)에 전송하여 처리함으로써, 이 악곡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한다(스텝 S199). 그 후 스텝 S185로 되 돌아가, 장르 버튼(122)의 누름 조작을 감시한다.
다음에 이상의 콘텐츠 수신단말(52)의 처리 동작에 대응하는 서버 장치(51)에서의 처리 동작을 도30및 도3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 장치(51)의 CPU(201)는, 콘텐츠 수신단말(52)로부터의 분배요구의 수신을 감시하여(스텝 S201), 콘텐츠 수신단말(52)로부터의 분배요구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 분배요구를 해석하여 분배요구가 무엇일지를 식별한다(스텝 S202).
그리고, 스텝 S202의 식별 결과, 초기분배요구인지를 판별하여(스텝S203), 초기분배요구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201)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메모리(204)로부터 임의 장르의 임의 악곡 콘텐츠를 선택하여 판독하고(스텝 S204), 그것을 분배요구해 온 콘텐츠 수신단말(52)에 대하여 분배한다(스텝 S205).
또한 스텝 S202에서의 식별 결과, 인트로 분배요구인지를 판별하여(스텝 S206), 인트로 분배요구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이 인트로 분배요구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이 콘텐츠 식별 정보로 표시되는 콘텐츠와는 다른 콘텐츠로서, 이 콘텐츠 식별 정보로 표시되는 콘텐츠와 같은 장르에 속하는 임의의 여러개의 콘텐츠의 인트로 부분의 데이터를 인트로 분배요구 해 온 단말(52)에 보내도록 한다(스텝 S207). 이 때 각 악곡의 인트로에는 이 악곡의 식별 정보를 부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CPU(201)는 콘텐츠 수신단말(52)로부터의 특정한 악곡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분배요구를 기다려(스텝 S208), 이 분배요구를 수신하면 이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에서 지정된 악곡 콘텐츠의 데이터를 콘텐츠 수신단말(52)에 분배하도록 한다 (스텝 S209).
다음에 스텝 S206에서 인트로 분배요구가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2 01)는 이 그룹 분배요구인지를 판별한다 (도31의 스텝 S211). 그리고 이 스텝 S211에서 다른 그룹 분배요구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201)는 수신한 다른 그룹 분배요구에 포함되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는 다른 임의 장르의 임의 악곡 콘텐츠를 선택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메모리(204)로부터 판독하여(스텝 S212), 그것을 분배요구해 온 콘텐츠 수신단말(52)에 대하여 분배한다(스텝 S214).
또한 스텝 S211에서의 판별 결과, 이 그룹 분배요구가 아닌 동 그룹 분배요구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CPU(201)는 수신한 동그룹 분배요구에 포함되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 같은 장르의 임의의 악 곡 콘텐츠로서,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와 다른 것을 선택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메모리(204)로부터 판독하고(스텝 S213), 그것을 분배요구해 온 콘텐츠 수신단말(52)에 대하여 분배한다(스텝 S214).
이상으로 서버 장치(51)에 있어서의 콘텐츠 분배의 처리 루틴은 종료이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콘텐츠 수신단말(52)은 콘텐츠 분배요구를 서버 장치(51)에 보낼 때에는, 재생중인 전회분배를 받은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상기 콘텐츠분배요구에 포함시키도록 했지만, 서버 장치(51)가 콘텐츠 수신단말(52)의 각각에 전회분배한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고 있을 경우에는 이 동 그룹분배요구에는 현재 재생중인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는 필요는 없다. 서버 장치(51)는 이 기억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분배요구해 온 단말에 전회분배한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그 악곡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다음에 분배하는 악곡 콘텐츠의 그룹이나 분배 콘텐츠를 선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그 밖의 실시예]
상술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는, 제5실시예나 제6 실시예의 콘텐츠제공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나, 제3실시예, 제4실시예와 같은 경우의 여러개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한 콘텐츠의 제공 형태를 실현 할 수 있다.
그것들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술한 제5실시예나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수신단말(52)에서는, 조작된 조작 버튼에 따른 콘텐츠의 분배요구를 콘텐츠 분배 서버 장치에 보내고, 콘텐츠 분배 서버는 이 요구에 따른 콘텐츠나 인트로의 분배를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웹 페이지를 제공 대상으로 삼는 웹 사이트 변경 장치 및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의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제공장치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는, 악곡 콘텐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웹 사이트의 페이지(Web페이지)도 포함되는 것이다.
웹 사이트의 페이지를 제공 콘텐츠로 할 경우에는 상술한 제1∼제4 실시형태의 콘텐츠 제공장치와 동일한 형태가 되는 웹 사이트 변경 장치의 형태와, 상술한 제5 및 제6 실시예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동일한 형태로 서버 장치와 단말장치로 이루어지는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의 형태가 있다.
웹 사이트 변경 장치의 형태에 있어서는 웹 사이트 변경 장치 자체가 다수개의 웹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어드레스를 하드디스크 장치등의 기억장치에 저장해 두고, 웹 사이트 변경 장치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이나 음성입력 수단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서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초로 현재 액세스중인 웹 사이트와는 다른 웹 사이트로 변경하여 이용자에게 웹 페이지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웹 사이트 변경 장치의 기억장치에 저장되는 웹 사이트는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뉴스, 스포츠, 경제등의 장르나 그 밖의 그룹화를 위한 항목에 따라서 그룹화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의 악곡콘텐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룹내의 웹 페이지나, 그룹을 넘은 웹 페이지의 이용자에게 제공하 도록 한 것이다.
이 웹 사이트 변경 장치의 실시예는, 상술한 콘텐츠 제공장치의 제1∼제4실시예와 완전 대응하는 실시예를 실현 할 수 있다.
또한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의 형태에 있어서는, 서버 장치가 웹 페이지의 URL어드레스의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마찬가지로 대량의 웹 사이트의 URL을 Web사이트가 페이지로서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그룹 나눔 하고, 이 웹 사이트의 URL을 관리하고 있다.
한편 단말장치는, 조작 버튼이나 음성입력 수단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그것들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초로 현재 액세스중인 웹 사이트와는 다른 Web사이트로의 변경 요구를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단말장치는, 상술한 제5 또는 제6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의 콘텐츠 수신단말과 마찬가지로 현재 액세스중인 웹 페이지와 같은 그룹의 웹페이지나, 다른 그룹의 웹 페이지의 취득 요구를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서버장치에 대하해 보내도록 한다.
서버 장치는 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 웹 페이지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여 상술과 같은 악곡 콘텐츠의 분배요구와 마찬가지로, 웹 페이지의 URL어드레스를 단말장치에 제공한다. 또는 서버 장치가 요구에 따른 웹 페이지를 취득하여 이 취득한 웹페이지를 단말장치에 제공하도록 한다.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의 형태에 있어서의 웹 페이지의 제공에 있어서는, 단말장치에 조작 버튼이나 음성입력 수단등의 입력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서버 장치 로부터 제공되는 각 웹페이지에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조작 버튼과 동일한 아이콘 버튼을 표시해 두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말장치는 조작된 아이콘 버튼의 정보와, 조작되었을 때 표시되고 있었던 웹 페이지의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에 보낼 수 있다. 서버 장치는 그 수신한 아이콘 버튼의 정보와 웹 페이지의 정보로부터, 다음에 제시하는 웹 페이지의 URL어드레스를 콘텐츠 수신단말에 보내고, 혹은, 다음에 제시하는 Web페이지 정보를 콘텐츠 수신단말에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의 실시예도 상술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동일한 복수의 실시예로서 실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또 악곡 콘텐츠의 그룹화방법으로서는, 상술한 예와 같이, 장르, 아티스트, 앨범 등의 콘텐츠 관련 속성을 사용하는 경우뿐만아니라, 콘텐츠에서 직접적으로 추출되는 예를 들면 템포나 곡조나 비트 (8비트나 16비트등) 특징적 속성을 이용하여 그룹화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템포를 이용하여 템포가 가장 느린 것에서 가장 빠른 것 까지 그 사이에 몇개의 그룹으로 나누도록 할 수도 있다. 템포의 추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2-11675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나, 본 출원인이 출원하고 있는 일본국 특원 2003-94100에 기재된 방법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것과 같이, 상술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현재 상태는 이용자의 희망하는 상태와는 다르다」라는 의미의 입력으로서는, 특정한 음성입력, 예 를 들면 「다르다」라고 하는 발음이나, 손뼉 치는 동작을, 상기 입력으로서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버튼을 콘텐츠 제공장치나 콘텐츠 수신단말의 케이스에 설치하는 것이 아닌 리모트 코멘더에 설치하여, 콘텐츠 제공장치나 콘텐츠 수신단말에는 리모트 코멘더엣의 리모트 컨트롤 신호의 수신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제공장치가 제공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는, 악곡의 콘텐츠나 웹 사이트의 페이지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화 콘텐츠, 전자서적 콘텐츠등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노래방의 악곡 선택, 추천등의 용도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의 제공은 악곡 콘텐츠나 화상콘텐츠, 또한 웹 페이지등의 콘텐츠 데이터 그 자체로 했지만, 추천하는 악곡콘덴츠의 곡명, 아티스트 이름이나 작곡자 이름등의 제시나 화상 콘텐츠의 이름이나 소개 정보의 제시, 여러개의 추천 콘텐츠의 리스트 제시, 추천 전자서적 콘텐츠의 서적이름의 제시라도 좋으며, 반드시 콘텐츠의 내용자체를 재생하거나, 표시하거나 할 필요는 없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악곡 콘텐츠를 연속하여 재생할 경우의 이 연속 재생 악곡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 정보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스트의 제공 방법으로서는 악곡 콘텐츠 이름을 리스트로 하여 제시하는 방법 외에, 리스트 된 복수의 악곡 콘텐츠의 인트로를 순서대로 재생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등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상기 연속 재생 악곡 콘텐츠의 리스트에 포함되는 복수 의 악곡콘덴츠의 배열순을 바꾼 그룹, 복수의 악곡 콘텐츠를 여러가지로 바꾼 그룹등에 의해 그룹화 할 수 있다. 복수의 악곡 콘텐츠를 여러가지로 바꾼 그룹으로서는 예를 들면, 장르등의 그룹화의 룰을 공통화하여 편성한 악곡 콘텐츠의 그룹이나, 장르, 아티스트, 앨범등 그룹화 룰에 구애되지 않고 편성한 악곡 콘텐츠의 그룹등과 같은 그룹 편성을 할 수 있다. 또한 파티용, 개인용 등의 용도에 따른 그룹 편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콘텐츠 제공장치나 콘텐츠 수신단말은 탁상형 장치와 같은 형태로서 나타냈지만 휴대형의 장치나 차재형 장치라도 좋다. 휴대형 장치로서 콘텐츠가 악곡 콘텐츠일 경우에는, 스피커를 반드시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헤드폰이나 이어폰의 플러그를 꽂아넣는 잭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콘텐츠나 웹 사이트의 선택이나, 임의의 순서에서의 인트로 재생이나, 임의의 복수의 웹 사이트의 후보 제시에 있어서의 「임의」라는 방법으로서는 난수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했지만 기억장치의 어드레스순이여도 좋고, 또한 조작 버튼의 조작 이력이나 음성입력 수단을 통한 입력 정보의 이력에 근거하는 사용자의 각 그룹이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이력을 기억해 두고, 그것을 해석함으로써 이용자의 그룹이나 콘텐츠에 대한 기호경향등을 구하며 이 요구한 기호경향등을 상기 한 임의 콘텐츠의 선택에 반영시키거나, 인트로 재생등에 있어서의 순서에 반영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서버 장치는 각각의 콘텐츠 수신단말로의 콘텐츠 제공 이력이나, 웹 사이트의 제공 이력을 축적해 두고, 그것들의 이력을 해석하여 기호경향등을 구하며, 그 이용자의 기호경향등을 서버 장치에 있어서의 제공 콘텐츠나 웹 사이트의 선택등에 반영해도 좋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특정 입력을 1회 혹은 여러번 반복함으로써, 간단하게 그 때의 기분에 맞는 콘텐츠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특정 입력을 1회 혹은 여러번 반복함으로써, 간단하게 기분을 바꾸고 싶은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콘텐츠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을 때에는 특정한 제1 입력을 하고, 기분을 바꾸고 싶을 때에는 특정한 제2 입력을 함으로써 그 때 이용자가 원하는 기분에 따른 콘텐츠의 제공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요컨대 간단한 버튼 조작등의 간단한 입력을 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장치측으로부터 추천하는 악곡등의 콘텐츠를 제공해 주므로, 이용자에 있어서는 검색 작업부담이 가벼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추천으로서 제시(제공)된 콘텐츠를 이용자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상기 동일한 입력 작업을 반복하기만 하면 되므로 그 점에서도 이용자의 검색 입력 작업의 부담이 경감된다.

Claims (49)

  1. 복수의 콘텐츠가 복수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와,
    특정한 제1입력을 검출하는 입력검출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하나가 이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력 검출수단에서 상기 제 1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공되고 있던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이용자에 제공하는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자에 대한 제공은, 상기 선택된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의한 제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자에 대한 제공은, 상기 선택된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의 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음을 받은 특정한 단어의 음성입력을 상기 특정 입력으로서 검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제1 입력과는 다른 특정한 제 2 입력도 검출하며,
    상기 제공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콘텐츠의 하나가 이용자에게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 2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 같은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특정한 1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1개의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의 입력으로서 검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음을 받은 다른 2개의 음성입력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의 각각의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 1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콘텐츠의 제공 이력을 기초로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제공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2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콘텐츠의 이력을 기초로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가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콘텐츠를 선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제1 입력 및 제2의 입력과는 다른 특정한 제3 입력도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3 입력을 검출했을 때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임의의 콘덴츠로의 변경 룰을 다른 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의 각각의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입력을 검출하는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3의 입력으로서 검 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제1 입력 및 제2의 입력과는 다른 특정한 제3의 입력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3 입력을 검출했을 때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제공중에 있는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으로의 변경 룰을, 별도 룰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의 각각의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으로서 검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는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을, 상기 제2 입력 및 상기 제3 입력으로서 검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의 각각의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으로서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에 대해서는 이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도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1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에 대해 상기 다른 조작의 하나를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이외의 다른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 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1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에 대해 상기 다른 조작의 다른 검출로 했을 때에는, 상기 같은 그룹에 속하는 복수 콘텐츠의 각각의 일부를 임의의 순서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를 반복하고, 상기 제1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의 재조작을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검출했을 때에는, 이 조작 버튼의 재조작 타이밍에서, 상기 일부가 제공되고 있었던 콘텐츠를 이용자에 대한 제공콘텐츠로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의 각각의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제2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에 대해서는 이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도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2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에 대해 상기 다른 조작의 하나를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이외의 다른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2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에 대해 상기 다른 조작의 다른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다른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일부를, 임의의 순서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를 반복하고, 상기 제2의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의 재조작을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검출했을 때에는, 이 조작버튼의 재조작 타이밍에서, 상기 일부가 제공되어 있었던 콘텐츠를 이용자의 제공 콘텐츠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표시부와,
    선택을 재촉하는 표시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선택입력을 행하기 위한 선택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콘텐츠를 탐색하기 위해 이용되는 항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이 표시 된 항목을 상기 선택 조작 수단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를 직접적으로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콘텐츠 분류의 제공이력을 기초로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분류와는 다른 분류를 선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제 1입력과는 다른, 다른 특정의 제 3입력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 3입력을 검출했을 때,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으로의 변경 룰을, 다른 룰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특정한 1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1개의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을, 상기 제 1입력 및 상기 제 3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특정한 1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1개의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다른 조작의 하나를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이외의 다른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이용자에 제공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다른 조작의 다른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다른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의 일부를 임의 순서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를 반복하고, 상기 조작 버튼의 재조작을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검출했을 때에는, 이 조작 버튼의 재조작 타이밍에서, 상기 일부가 제공되고 있었던 콘텐츠를 이용자로의 제공 콘텐츠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21. 복수의 콘텐츠를, 각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정보로서 복수의 검색항목에 대한 속성정보를 구비하는 검색정보와 대응하여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저장부와,
    상기 검색항목에 대응하는 다수의 조작입력을 검출하는 입력검출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하나가 이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력 검출수단에서 상기 복수의 조작입력 중 어느 것이 검출되었을 때, 조작된 조작입력에 대응하는 검색항목에 속하는 콘텐츠 안의, 상기 제공중에 있는 콘텐츠이외의 다른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복수의 조작입력과는 별개로, 상기 검색항목 중 어느 것에도 대응하지 않는 별도 조작입력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에서는 상기 검색항목에 관계있는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에서 제공 콘텐츠가 변경되었을 때, 그 변경전의 제공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하나 앞의 콘텐츠 제공상태로 되 돌아가는 입력이 행해진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기억수단의 기억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앞의 제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판독하고, 이 하나앞의 콘텐츠의 제공 상태로 되 돌아가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24. 콘텐츠 분배 서버와,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와 통신회선을 통해 접속되는 콘텐츠 수신단말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로부터의 콘텐츠 취득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분배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콘텐츠가 분배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특정한 제 1입력을 검출하는 입력검출수단과,
    상기 콘텐츠가 이용자에게 제공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력 검출수단에서 상기 제 1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와 다른 콘텐츠의 취득을 요구하는 제 1콘텐츠 취득 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송신하는 콘텐츠 취득요구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는,
    복수의 콘텐츠가 복수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저장부와,
    소정의 콘텐츠가 분배되어 있는 콘텐츠 수신단말로부터 상기 제 1콘텐츠 취득요구를 받았을 때, 분배중인 상기 소정의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제공하는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대한 제공은, 상기 선택된 상기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제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대한 제공은, 상기 선택된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의 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음을 받은 특정한 단어의 음성입력을 상기 특정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제1 입력과는 다른 특정한 제2의 입력도 검출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콘텐츠 취득 요구 송신수단은,
    상기 콘텐츠가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특정한 제2 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와 다른 콘텐츠의 취득을 요구하는 제2 콘텐츠 취득 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콘텐츠 분배서버의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소정의 콘텐츠가 분배되어 있는 콘텐츠 수신단말로부터 상기 제 2콘텐츠 취득 요구를 받았을 때, 분배중인 상기 소정의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 같은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특정한 1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의 1개의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음을 받은, 다른 2개의 음성입력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의 각각의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 1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콘텐츠의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로의 제공이력을 기초로,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분배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 2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콘텐츠의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로의 제공이력을 기초로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제1 입력 및 제2 입력과는 다른 특정한 제3의 입력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3 입력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이 제3 입력에 따른 콘텐츠의 제3 취득 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서버에 보내고,
    상기 제3 취득 요구를 수신한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의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내에서의 임의의 콘텐츠로의 변경 룰을, 다른 룰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의 각각의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으로서 검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입력을 검출하는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3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제1 입력 및 제2 입력과는 다른 특정한 제3 입력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3 입력을 검출할 때,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이 제3 입력에 따른 콘텐츠의 제3 취득 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보내고,
    상기 제3 취득 요구를 수신한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의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으로의 변경 룰을 별도의 룰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의 각각의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으로서 검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는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을, 상기 제2 입력 및 상기 제3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의 2개의 조작 버튼의 각각의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입력으로서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에 대해서는, 이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콘텐츠 취득요구 송신수단은,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1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에 대해, 상기 다른 조작의 하나를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제1 콘텐츠 취득 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1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에 대해 상기 다른 조작의 다른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제3 콘텐츠 취득 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는, 상기 제3 콘텐츠 취득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는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 같은 그룹에 속하는 복수 콘텐츠의 각각의 일부를 임의 순서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를 반복하고,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취득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는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로 특정되는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로의 제공콘텐츠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2개의 조작 버튼의 각각의 조작을 상기 제1 입력 및 상기 제2의 입력으로서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에 대해서는 이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콘텐츠 취득 요구 송신수단은,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2입력이 분할된 조작 버튼에 대해 상기 다른 조작의 하나를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제2 콘텐츠의 취득 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2 입력이 할당된 조작 버튼에 대해 상기 다 른 조작의 다른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제3 콘텐츠 취득 요구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는 상기 제3의 콘텐츠 취득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는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 다른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의 일부를 임의의 순서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를 반복하고,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취득요구를 수신했을 때에는,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로 특정되는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로의 제공 콘텐츠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표시부와,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선택입력을 하기 위한 선택 조작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콘텐츠를 탐색하기 위해 이용되는 항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이 표시된 항목을 상기 선택 조작수단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의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를 직접적으로 선택요구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4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의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콘텐츠의 각분류에 대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로의 제공이력을 기초로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분류와는 다른 분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4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제1입력과는 다른, 다른 특정한 제 3입력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 3입력을 검출했을 때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상기 콘텐츠 취득 요구와는 다른, 상기 제 3입력에 따른 콘텐츠의 제 3취득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보내고,
    상기 제 3취득 요구를 수신한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의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으로의 변경 룰을 다른 룰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특정한 1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1개의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을, 상기 제 1입력 및 상기 제 3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4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특정한 1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특정한 1개의 조작 버튼에 대한 다른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의 상기 콘텐츠 취득요구 송신수단은,
    상기 입력 검출수단에서, 상기 다른 조작의 하나를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콘텐츠 취득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다른 조작의 다른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콘텐츠의 별도의 취득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는,
    상기 콘텐츠의 별도의 취득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는 상기 제공 콘텐츠 변경수단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제공중인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의 일부를 임의의 순서로 콘텐츠 수신단말에 제공하는 처리를 반복하고,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취득요구를 수신했을 때에는,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에서 특정되는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대한 제공 콘텐츠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44. 복수의 콘텐츠를, 각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정보로서, 복수의 검색항목에 대한 속성정보를 구비하는 검색정보와 대응하여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저장부를 구비하는 콘텐츠 분배서버와,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와 통신회선을 통해 접속되는 콘텐츠 수신단말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로부터의 콘텐츠 취득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콘텐츠가 분배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검색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입력을 검출하는 입력검출수단과,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복수의 조작 버튼 중 어느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검출된 조작입력에 대응하는 검색항목에 속하는 콘텐츠의 취득 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서버에 송신하는 콘텐츠 취득요구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는,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의 취득 요구를 받았을 때, 어떤 검색항목에 속하는 콘텐츠의 취득 요구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으로 판별된 검색항목에 속하는 콘텐츠 안에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제공중인 상기 콘텐츠이외의 다른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분배하도록 하는 분배 콘텐츠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은,
    상기 입력검출수단이 상기 복수의 조작입력과는 별개로 상기 검색항목 중 어디에도 대응하지 않는 별도의 조작입력을 했을 때에는 상기 콘텐츠 취득 요구 수단은, 상기 검색항목에 관계없는 임의의 콘텐츠의 취득 요구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서는, 상기 검색항목에 관계없는 임의 콘텐츠의 취득 요구를 수신했다고 상기 판별 수단에서 판별했을 때에는, 상기 분배콘텐츠 변경수단은, 상기 검색항목에 관계없는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서 판독하여, 상기 콘텐츠 수신단말에 분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46. 그룹 나눔된 복수개의 웹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저장되는 URL저장부와,
    특정 입력을 검출하는 입력검출수단과,
    웹 사이트의 하나의 페이지가 이용자에게 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특정 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시되고 있는 웹사이트와 다른 그룹에 속하는 웹 사이트의 상기 URL안에서, 상기 제시중인 웹 사이트이외의 다른 임의의 웹 사이트의 URL을, 상기 URL저장부에서 판독하여, 이 URL에 액세스하고, 상기 임의의 웹 사이트 페이지의 제시상태로 이행하는 URL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 변경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은, 상기 제 1입력과는 다른 제 2입력도 검출하며,
    상기 URL변경수단은, 웹 사이트의 페이지가 이용자에게 제시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입력검출수단에서 상기 제 2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시되어 있는 웹 사이트와 같은 그룹에 속하는 웹 사이트의 상기 URL안에서, 상기 제시중인 웹 사이트 이외의 다른 임의의 웹 사이트의 URL을, 상기 URL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이 URL에 액세스하고, 상기 임의의 웹 사이트 페이지의 제시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 변경 장치.
  48. 복수의 콘텐츠가 복수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저장부에서 상기 콘텐츠를 판독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으로,
    상기 콘텐츠의 하나가 이용자에게 제공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한 특정 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과 다른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에서 선택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9. 그룹 나눔된 복수개의 웹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저장되어 있는 URL저장부에서 판독된 URL의 웹 사이트 페이지에,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웹 사이트 페이지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웹 사이트의 하나의 페이지가 이용자에게 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 의한 특정 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시되어 있었던 웹 사이트와 다른 그룹에 속하는 웹 사이트의 상기 URL안에서, 상기 제시중인 웹 사이트 이외의 다른 임의의 웹 사이트의 URL을, 상기 URL저장부에서 판독하여 이 URL에 액세스하고, 상기 임의의 웹 사이트 페이지의 제시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사이트 변경 방법.
KR1020050024004A 2004-03-24 2005-03-23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 제공 시스템, 웹 사이트 변경장치,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웹사이트 변경 방법 KR200600446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6676 2004-03-24
JP2004086676A JP2005275692A (ja) 2004-03-24 2004-03-24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Webサイト変更装置、Webサイト変更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Webサイト変更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616A true KR20060044616A (ko) 2006-05-16

Family

ID=3505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004A KR20060044616A (ko) 2004-03-24 2005-03-23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 제공 시스템, 웹 사이트 변경장치,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웹사이트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60760B2 (ko)
JP (1) JP2005275692A (ko)
KR (1) KR20060044616A (ko)
CN (1) CN17344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6789B2 (ja) 2005-07-07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プログラム
JP4412269B2 (ja) 2005-07-28 2010-02-1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058819A1 (en) * 2005-09-14 2007-03-15 Membrain,Llc Portable audio player and method for selling same
EP1938180A4 (en) 2005-10-14 2009-11-11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MULTIMEDIA
JP2007116290A (ja) * 2005-10-18 2007-05-10 Sun Corp 音声信号生成装置
JP4788411B2 (ja) * 2006-03-09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検索キーワード入力装置、検索キーワード入力方法及び検索キーワード入力プログラム
JP2007294036A (ja) 2006-04-26 2007-11-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985911B2 (en) 2007-04-18 2011-07-26 Oppenheimer Harold B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pdating a pre-categorized song database from which consumers may select and then download desired playlists
US20080257134A1 (en) * 2007-04-18 2008-10-23 3B Music,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pdating A Pre-Categorized Song Database From Which Consumers May Select And Then Download Desired Playlists
JP5217280B2 (ja) * 2007-07-27 2013-06-19 ヤマハ株式会社 音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561864B2 (ja) * 2008-04-08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型記録媒体および製造方法
JP5153521B2 (ja) * 2008-08-29 2013-02-27 株式会社タイトー データ配信装置、データ配信プログラム
JP4623390B2 (ja) * 2008-10-03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再生プログラム
JP2010157896A (ja) * 2008-12-26 2010-07-15 Sony Corp 再生装置及びヘッドホン装置
WO2010084590A1 (ja) * 2009-01-22 2010-07-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楽曲出力装置、楽曲再生装置、楽曲出力方法、楽曲送信方法、楽曲出力プログラム、楽曲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0262674A (ja) * 2010-08-09 2010-11-18 Victor Co Of Japan Ltd 楽曲検索再生装置、楽曲検索再生方法、印象語設定プログラム
JP5280416B2 (ja) * 2010-09-22 2013-09-04 株式会社プロフィールド 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02007B2 (ja) * 2010-12-28 2014-10-0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装置および評価情報送信支援方法
JP5713214B2 (ja) * 2013-03-05 2015-05-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装置
US10169054B2 (en) * 2014-12-22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ndo and redo of content specific operations
US10368114B2 (en) 2015-08-04 2019-07-30 Pandora Media, Llc Media channel creation based on free-form media input seeds
KR20200040562A (ko) 2018-10-10 2020-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JP7105675B2 (ja) * 2018-11-02 2022-07-25 株式会社東芝 送信装置、サーバ装置、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516414B (zh) * 2019-08-14 2022-06-07 上海连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访问小说付费章节的方法与设备
KR20220108919A (ko) * 2021-01-28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단축 명령어 수행 방법
US11769489B2 (en) * 2021-01-28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shortcut command i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545A (ja) 1992-08-27 1994-03-18 Roland D G Kk 背景音楽演奏装置
US6563769B1 (en) * 1998-06-11 2003-05-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rtual jukebox
US5969283A (en) * 1998-06-17 1999-10-19 Looney Productions, Llc Music organizer and entertainment center
JP4110670B2 (ja) 1999-05-20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媒体
US7197709B2 (en) * 1999-09-16 2007-03-2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udiovisu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th multiple user identifications
US6389467B1 (en) * 2000-01-24 2002-05-14 Friskit, Inc. Streaming media search and continuous playback system of media resources located by multiple network addresses
JP2001209586A (ja) 2000-01-26 2001-08-03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EP1307803A2 (en) * 2000-07-28 2003-05-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browsing a collection of information units
JP2002099287A (ja) * 2000-09-22 2002-04-05 Toshiba Corp 音楽データ配信装置、音楽データ受信装置、音楽データ再生装置及び音楽データ配信方法
JP4644925B2 (ja) 2000-10-12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0401012B1 (ko) * 2000-12-15 2003-10-30 김연경 감정상태에 기초한 선곡기능을 가진 음악제공시스템 및 방법
US6928433B2 (en) * 2001-01-05 2005-08-09 Creative Technology Ltd Automatic hierarchical categorization of music by metadata
US6731312B2 (en) * 2001-01-08 2004-05-04 Apple Computer, Inc. Media player interface
US6993532B1 (en) * 2001-05-30 2006-01-31 Microsoft Corporation Auto playlist generator
JP2003022079A (ja) * 2001-07-05 2003-01-24 Toshiba Corp コンテンツ配布方法、楽曲配布方法、楽曲配布システム、及び楽曲配布装置
JP2003050588A (ja) * 2001-08-06 2003-02-21 Pioneer Electronic Corp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の管理サーバ装置、および端末装置
WO2003017045A2 (en) * 2001-08-16 2003-02-27 Trans World New York Llc User-personalized media sampling, recommendation and purchasing system using real-time inventory database
US7345671B2 (en) * 2001-10-22 2008-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JP3879545B2 (ja) * 2002-03-12 2007-02-14 ヤマハ株式会社 楽曲再生制御装置、楽曲再生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715500B2 (en) * 2004-04-27 2017-07-25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laylists
US6987221B2 (en) * 2002-05-30 2006-01-17 Microsoft Corporation Auto playlist generation with multiple seed songs
JP4023233B2 (ja) 2002-07-03 2007-12-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出力装置、情報出力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7166791B2 (en) * 2002-07-30 2007-01-23 Apple Computer,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 a multimedia player
JP4302967B2 (ja) * 2002-11-18 2009-07-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楽曲検索方法、楽曲検索装置及び楽曲検索プログラム
US7395048B2 (en) * 2002-12-26 2008-07-01 Motorola, Inc. Unsolicited wireless content delivery and billing apparatus and method
EP1489765A3 (en) * 2003-06-17 2005-12-14 Matsu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usic delivery system
JP2005011180A (ja) * 2003-06-20 2005-01-13 Nec Corp Url検索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するサーバ並びにurl検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34452A (zh) 2006-02-15
US8260760B2 (en) 2012-09-04
CN1734452B (zh) 2011-08-24
US20050217459A1 (en) 2005-10-06
JP2005275692A (ja)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4616A (ko)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 제공 시스템, 웹 사이트 변경장치, 웹 사이트 변경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웹사이트 변경 방법
US98303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laylist from a mood gradient
CN101185138B (zh) 显示装置
CN101061456B (zh) 信息管理方法和信息管理设备
US20070156410A1 (en) Digital audio file search method and apparatus using text-to-speech processing
US20090063971A1 (en) Media discovery interface
US78682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n overview of pieces of music
CN101990766A (zh) 服务器装置、终端装置、再生装置
WO2007022047A2 (en) Single action media playlist generation
US10510328B2 (en) Lyrics analyzer
KR100978689B1 (ko) 미디어 선택 방법 및 시스템
US20190294690A1 (en) Media content item recommendation system
KR20030059503A (ko) 사용자별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 음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88062A1 (en) Skip behavior analyzer
JP2007088967A (ja) コンテンツ供給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端末
JP2008234672A (ja) コンテンツ提供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CN101460918A (zh) 音乐或者其它内容的一击选择
JP2008097313A (ja) コンテンツ受信システム
KR1008291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JP4332728B2 (ja) 楽曲編成装置および楽曲編成方法
WO202110669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265711B2 (ja) 楽曲再生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ndric et al. Music Mood Wheel: Improving browsing experience on digital content through an audio interface
JP6481016B2 (ja) 楽曲再生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63151B2 (ja) コンテンツ再生パターン生成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パターン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