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711A - 회전 상태 검출 장치 및 회전 상태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 상태 검출 장치 및 회전 상태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711A
KR20060043711A KR1020050021934A KR20050021934A KR20060043711A KR 20060043711 A KR20060043711 A KR 20060043711A KR 1020050021934 A KR1020050021934 A KR 1020050021934A KR 20050021934 A KR20050021934 A KR 20050021934A KR 20060043711 A KR20060043711 A KR 2006004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mparator
rotation
outputs
bridg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525B1 (ko
Inventor
마나부 츠카모토
다카아키 무라카미
유지 아리요시
다카히로 오나카도
야스히로 고사사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a variable number of pulses in a train
    • G01D5/2451Incremental enco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5Storm panels; hurricane shu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20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means for transferring 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 G01D2205/85Determin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n encoder, e.g. of an incremental enco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회전 상태 검출 장치를 얻는 것으로,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세트로 구성된 제 1, 제 2 브리지 회로(11, 12), 제 1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증감 방향을 검출하는 제 1 비교기(31), 제 2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증감 방향을 검출하는 제 2 비교기(32), 제 1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과 제 2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차를 검출하는 제 3 비교기(33), 제 1 비교기와 제 2 비교기의 출력의 논리값이 모두 "1"일 때 "1"을 출력하고, 모두 "0"일 때 "0"을 출력하고, 그 이외일 때는 이전값을 유지하여 출력하는 논리 정보 도출 수단(5)을 구비하고, 제 1, 제 2, 제 3 비교기, 및 논리 정보 도출 수단의 출력의 조합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식별한다.

Description

회전 상태 검출 장치 및 회전 상태 검출 방법{ROTATION STATE DETECTING DEVICE AND ROTATION STATE DETEC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회전 상태 검출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실시예 1인 회전 상태 검출 장치에 이용하는 자기 회로 구성도,
도 3은 실시예 1인 회전 상태 검출 장치에 이용하는 브리지 회로의 자기 저항 효과 소자의 저항치의 변화와 중점 전압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자성 회전체가 정회전의 경우의 각 출력 단자의 출력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자성 회전체가 역회전의 경우의 각 출력 단자의 출력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자성 회전체가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한 경우의 각 출력 단자의 출력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7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6과 다른 타이밍에서 자성 회전체가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한 경우의 각 출력 단자의 출력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8은 실시예 1에서의 동작 상태를 분류하는 진리값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2에서의 회전 상태 검출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실시예 3에서의 회전 상태 검출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유닛 5 : 논리 회로(논리 정보 도출 수단)
6 : 게이트 회로 8 :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
9 : 자석 11 : 제 1 브리지 회로
11a, 11b, 12a, 12b : 자기 저항 효과 소자
11c : 단자(중점 전압) 11d : 단자
11e : 단자 12 : 제 2 브리지 회로
12c : 단자(중점 전압) 12d : 단자
12e : 단자 21, 22 : 지연 회로
23, 24 : 로우패스 필터 25, 26 : A/D 컨버터
27, 28 : 플립플롭 회로 31, 32, 33 : 비교기
34, 35, 36 : 논리 회로 41, 42, 43 : 출력 단자(논리값 출력)
51 : AND 회로 52 : NOR 회로
53 : RS 플립플롭 54 : 출력 단자(논리값 출력)
61, 62, 63, 64 : 회로 65 : OR 회로
71 : 출력 단자 72 : 출력 단자
82 : 회전 방향
본 발명은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회전 상태 검출 장치 및 회전 상태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동차의 엔진에서는, 엔진의 회전수나, 복수 기통의 점화 타이밍을 검출하기 위해 회전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 센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 「회전 검출 장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기어의 이를 향해 바이어스 자계를 발생하는 자석과, 바이어스 자계의 변화에 따라 저항치가 변화되는 2조의 자기 저항 소자 패턴을 구비하고, 2조의 자기 저항 소자 패턴을 서로 바이어스 자석의 자기적 중심축에 대칭으로 배치하여, 기어의 회전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전압으로서 출력하고, 2조의 자기 저항 소자 패턴의 출력의 차분을 취하는 것에 의해, 제조 요인에 의한 오프셋이나, 전원변동이나 잡음 등을 제거하여, 정확히 회전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회전체의 역전 검지 장치 및 역전 검지 방법」에서는, 1조의 자기 저항 소자 패턴을 구비하고, 아날로그 스레시홀드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역회전을 검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33792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1-108700호 공보
이러한 특허문헌 1에서 표시되는 회전 검출 장치에 있어서는, 2조의 자기 저항 소자 패턴의 출력의 차분을 취해, 회전수를 검지하는 것이며, 기어가 역회전하더라도, 출력 파형은 마찬가지이며(특허문헌 1의 도 2), 기어의 회전 방향은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상의 엔진에서는, 연료의 압축 공정으로 엔진이 정지한 경우, 압축된 공기의 반발에 의해, 축이 역회전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회전 검출 장치에서는, 회전 방향은 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역회전이 발생하더라도, 이것을 정회전으로 판단하여, 다음회 엔진 시동시에 기통의 점화 타이밍을 잘못하는 문제가 생각된다.
또한, 특허문헌 2 「회전체의 역전 검지 장치 및 역전 검지 방법」에 의한 역전 검지 장치에 있어서는, 2개의 스레시홀드 레벨을 외부로부터 설정해야 하고, 장치의 편차나, 부착 정밀도 등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정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장치의 편차나 오프셋 등에 따른 조정이 거의 불필요하게 되는 회전 상태 검출 장치 및 회전 상태 검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상태 검출 장치는, 바이어스 자계를 발생하는 자석, 이 자석의 바이어스 자계중에, 피검출 대상인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에 대향하여 그 회전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상기 피검출 대상의 회전에 따른 바이어스 자계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저항 변화를 발생시키는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세트로 구성된 제 1, 제 2 브리지 회로, 상기 제 1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증감 방향을 검출하고 논리값을 출력하는 제 1 비교기, 상기 제 2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증감 방향을 검출하고 논리값을 출력하는 제 2 비교기, 상기 제 1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과 상기 제 2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차를 검출하여 논리값을 출력하는 제 3 비교기, 상기 제 1 비교기와 제 2 비교기의 출력의 논리값이 모두 "1"일 때 "1"을 출력하고, 모두 "0"일 때 "0"을 출력하며, 그 이외일 때는 이전값을 유지하여 출력하는 논리 정보 도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제 3 비교기, 및 논리 정보 도출 수단의 출력의 조합에 의해 상기 피검출 대상의 회전 방향을 식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상태 검출 방법은 상기 회전 상태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출 대상의 회전 방향을 식별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회전 상태 검출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인 회전 상태 검출 장치에 이용하는 자기 회로 구성도로, 도 2(a)는 사시도, 도 2(b)는 평면도, 도 2(c)는 자기 저항 효과 소자의 패턴도이다. 도 2에서,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유닛(1)은 자기 저항 효과 소자(11a, 11b, 12a, 12b)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자기 저항 효과 소자(11a, 11b)가 접속되고, 단자(11e)가 접지되며, 단자(11d)에 정 전압이 인가되고, 단자(11c)가 중점 전압을 출력하는 제 1 브리지 회로(11)를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자기 저항 효과 소자(12a, 12b)가 접속되고, 단자(12e)가 접지되며, 단자(12d)에 정 전압이 인가되고, 단자(12c)가 중점 전압을 출력하는 제 2 브리지 회로(12)를 구성하고 있다.
피검출 대상인 자성 회전체(8)는, 자계를 변화시키는 형상을 구비한 요철 형상 또는 톱니형상(양자를 합쳐서 요철 형상이라고 함)이다. 자석(9)은 착자(着磁) 방향이,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의 회전축(81) 방향을 향하고,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에 대향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바이어스 자계를 발생한다.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유닛(1)은, 자석(9)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와 대향하여 그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유닛(1)을 구성하는 제 1 브리지 회로(11)와 제 2 브리지 회로(12)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의 회전 방향(82)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자기 저항 효과 소자(11a, 11b, 12a, 12b)의 순서대로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의 회전 방향(82)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b)는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의 외주연을 직선 상에 연장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1(a)에서, 제 1, 제 2 브리지 회로(11, 12)에서는, 각각, 인가되는 자계의 강도에 의해, 그것들을 구성하는 자기 저항 효과 소자(11a, 11b, 12a, 12b)의 저항치가 변화된다. 저항치가 변화함으로써 제 1, 제 2 브리지 회로(11, 12)의 중 점 전압(단자(11c, 12c)의 전압으로, 이후 그 전압도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도 변화된다. 지연 회로(21, 22)는 중점 전압(11c, 12c)을 소정 시간 지연시킨다. 비교기(31, 32)는 각각, 중점 전압(11c, 12c)과, 각각의 지연 회로(21, 22) 출력을 비교함으로써, 중점 전압(11c, 12c)의 증감 방향을 검출하고, 출력 단자(41, 42)에 논리값을 출력한다.
비교기(33)는, 제 1, 제 2 브리지 회로(11, 12)의 중점 전압(11c, 12c)의 차분을 취해 그 정부(正負)에 근거한 논리값을 출력 단자(43)에 출력한다. 자성 회전체(8)의 회전수는 출력 단자(43)의 단위 시간당의 개수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도 1(b)에서, 입력측 단자(41, 42, 43)는 도 1(a)의 출력 단자(41, 42, 43)에 접속되어 있다. 논리 회로(5)는 논리 정보 도출 수단이며, AND 회로(51)와 NOR 회로(52)와 RS 플립플롭(53)으로 구성되고, 출력 단자(54)에 논리값을 출력한다. 또, NOR 회로(52)가 갖는 원형 표시는 인버터(반전 회로)이다. 게이트 회로(6)는 회로(61, 62, 63, 64)와 OR 회로(65)로 구성되고, 출력 단자(72)에 논리값을 출력한다. 회로(61, 62, 63)가 갖는 원형 표시는 인버터(반전 회로)이다. 출력 단자(72)로부터는 피검출 대상인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논리값이 출력되고, 출력 단자(71)로부터는, 회전수가 검출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도 1∼도 5에 따라 설명한다.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가 회전함으로써,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유닛(1)에 인가되는 자계가 변화되어, 자기 저항 효과 소자(11a, 11b, 12a, 12b)의 저항치가 변화된다. 자기 저항 효과 소자(11a, 11b, 12a, 12b)는, 대향하는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의 이의 중심에 가장 가까울 때에 저항치의 변화가 최대로 된다. 자기 저항 효과 소자(11a, 11b) 및 자기 저항 효과 소자(12a, 12b)는 각각,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저항치의 변화가 최대로 되는 시간은 각각 다르다. 따라서, 중점 전압(11c, 12c)은, 그 전압의 파형이 도 3(b)에 나타내는 파형이 된다. 또, 도 3(a)에서는, 자기 저항 효과 소자(11a, 11b, 12a, 12b)의 저항치를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의 1개의 이가 통과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2(a)에 나타내는 연속된 이의 경우는, 그 대응하는 전압의 파형은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연속 파형이 된다. 여기서, 도 4는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가 정회전{도 2(a)에 나타내는 화살표(82)의 방향}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5는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가 역회전인 경우를 나타낸다.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가 정회전하고 있는 경우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브리지 회로(12)의 중점 전압(12c)은 제 1 브리지 회로(11)의 중점 전압(11c)보다도 위상이 지연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 1, 제 2 브리지 회로(11, 12)의 중점 전압(11c, 12c)의 증감 방향의 논리값 출력(비교기(31, 32)의 논리값 출력으로, 출력 단자(41, 42)의 논리값 출력)은 도 4에 나타내는 파형이 된다. 제 1, 제 2 브리지 회로(11, 12)의 중점 전압(11c, 12c)의 차의 논리값 출력(비교기(33)의 논리값 출력으로, 출력 단자(43)의 논리값 출력)은 도 4와 같이 된다. 또, 출력 단자(41, 42, 43)의 논리값 출력도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가 역회전하고 있는 경우는, 도 5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제 1 브리지 회로(11)의 중점 전압(11c)은, 제 2 브리지 회로(12)의 중점 전압(12c)보다도, 위상이 지연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 1, 제 2 브리지 회로(11, 12)의 중점 전압(11c, 12c)의 증감 방향의 논리값 출력(41, 42)은 도 5에 나타내는 파형이 된다. 제 1, 제 2 브리지 회로(11, 12)의 중점 전압(11c, 12c)의 차의 논리값 출력(43)은 도 5와 같이 된다.
논리 회로(논리 정보 도출 수단)(5)의 논리값 출력(출력 단자(54)의 출력)은, 중점 전압(11c, 12c)의 증감 방향의 논리값 출력(비교기(31, 32)의 출력)(41, 42)이 모두 "1"일 때에 "1"을 출력하고, 모두 "0"일 때에 "0"을 출력하며, 그 이외일 때는, 이전값을 유지하여 출력한다. 논리 회로(논리 정보 도출 수단)(5)의 논리값 출력의 파형은 정회전일 때 도 4에, 역회전일 때 도 5에 각각 나타낸다. 또, 출력 단자(54)의 논리값 출력도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이상에 나타낸, 증감 방향의 논리값 출력(비교기(31, 32)의 출력)(41, 42), 차의 논리값 출력(비교기(33)의 출력)(43), 논리 회로(5)의 논리값 출력(54)(출력 단자(54)의 출력)으로부터, 각각의 동작 상태를 분류하면, 도 8에 나타내는 진리값표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이 진리값표에 대하여 도 4,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중점 전압(11c)이 증가(출력 단자(41)의 출력="1")하고, 또한 중점 전압(12c)이 감소(출력 단자(42)의 출력="0")한 경우는, 출력 단자(54)의 출력을 참조하여, "0"이면 정회전(Mode "A"), "1"이면 역회전(Mode "F")이라고 판별한다.
중점 전압(11c)이 증가(출력 단자(41)의 출력="1")하고, 또한 중점 전압 (12c)이 증가(출력 단자(42)의 출력="1")한 경우는, 출력 단자(43)의 출력을 참조하여, "1"이면 정회전(Mode "B"), "0"이면 역회전(Mode "E")이라고 판별한다.
마찬가지로, 중점 전압(11c)이 감소(출력 단자(41)의 출력="0")하고, 또한 중점 전압(12c)이 증가(출력 단자(42)의 출력="1")한 경우는, 출력 단자(54)의 출력을 참조하여, "1"이면 정회전(Mode "C"), "0"이면 역회전(Mode "H")이라고 판별한다.
중점 전압(11c)이 감소(출력 단자(41)의 출력="0")하고, 또한 중점 전압(12c)이 감소(출력 단자(42)의 출력="0")한 경우는, 출력 단자(43)의 출력을 참조하여, "0"이면 정회전(Mode "D"), "1"이면 역회전(Mode "G")이라고 판별한다.
이상과 같이, 중점 전압(11c, 12c)(출력 단자(41, 42)의 출력)의 증감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출력 단자(43)의 출력 또는 출력 단자(54)의 출력을 참조함으로써,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특정할 수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게이트 회로(6)는 이 진리값표를 실현하는 회로예이다. 정회전의 경우에 출력 단자(72)에 "1"이 출력되고, 역회전의 경우에 출력 단자(72)에 "0"이 출력된다.
다음에,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8)가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으로 이행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 6,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으로 이행하는 경우는, 반전하는 장소에 따라 동작이 다르기 때문에, 도 4의 Mode "A", Mode "B"에서 역회전으로 이행한 경우에 대하여 대표하여 설명한다.
도 6은 Mode "A"에서 역회전으로 이행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이 때, 중점 전압(11c)이 증가로부터 감소로(출력 단자(41)의 출력="1"→"0") 변화되고, 중점 전압(12c)이 감소로부터 증가로(출력 단자(42)의 출력="0"→"1") 변화되어, 변화 직후는 중점 전압(11c)이 감소(출력 단자(41)의 출력="0")하고, 또한 중점 전압(12c)이 증가(출력 단자(42)의 출력="1")하기 때문에, 출력 단자(54)의 출력을 참조하여, "0"이기 때문에, 역회전(Mode "H")이라고 판별할 수 있고, 게이트 회로(6)의 출력 단자(72)의 출력은 "1"→"0"으로 변화되고, 이후, 역회전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Mode "B"에서 역회전으로 이행한 경우의 동작을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Mode "B"에서 역회전으로 이행한 경우는, 중점 전압(11c)이 증가로부터 감소로(출력 단자(41)의 출력= "1"→"0") 변화되고, 중점 전압(12c)이 증가로부터 감소로(출력 단자(42)의 출력="1"→"0") 변화되어, 변화 직후는 중점 전압(11c)이 감소(출력 단자(41)의 출력="0")하고, 또한 중점 전압(12c)이 감소(출력 단자(42)의 출력="0")하기 때문에, 출력 단자(43)의 출력을 참조하여, "1"이기 때문에, 역회전(Mode "G")이라고 판별할 수 있고, 게이트 회로(6)의 출력 단자(72)는, "1"→"0"으로 변화되고, 이후, 역회전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Mode "C"나 Mode "D"에서 반전한 경우도, 또한, 역회전으로부터 정회전으로 이행한 경우도, 동작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에서는,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으로 또는 역회전으로부터 정회전으로 이행하는 동시에, 반전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중점 전압의 증감 정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의 편차나 오프셋 등의 조정이 불필요하다.
또, 실시예 1에서는, 논리 회로(5) 및 게이트 회로(6)에 의해,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 있지만, 출력 단자(41, 42)의 출력 및 출력 단자(43)의 출력을 바탕으로,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하더라도 좋다. 또한 비교기(31, 32, 33)도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하더라도 좋다.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함으로써, 회로규모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9는 실시예 2에서의 회전 상태 검출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비교기(31, 32)는 중점 전압(11c, 12c)과 지연 회로(21, 22) 출력을 비교하고 있지만, 오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로우패스 필터(23, 24)를 삽입함으로써, 잡음 성분을 제거한 신호를 비교하더라도 좋다. 도 9에서, 로우패스 필터(23, 24)에 의해 중점 전압(11c, 12c) 출력의 고주파의 잡음 성분을 제거하고, 로우패스 필터(23, 24)의 출력과 그 출력을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21, 22)의 출력을 비교기(31, 32)로 비교한다. 마찬가지로 로우패스 필터(23, 24)의 출력을 비교기(33)로 비교한다. 이에 따라, 외란 등에 의한 잡음을 제거한 신호로 비교하기 때문에, 잡음에 의한 오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시예 2에서는 로우패스 필터(23, 24)의 출력과, 이 출력을 지연 회로(21, 22)에 의해 지연시킨 출력을 비교기(31, 32)로 비교했지만, 중점 전압(11c, 12c)을 각각 시정수가 다른 2개의 로우패스 필터를 통해 얻은 출력을 비교기(31, 32)로 비교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3)
도 10은 실시예 3에서의 회전 상태 검출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예 1에서는, 중점 전압(11c, 12c)의 증감 방향을 지연 회로(21, 22)와 비교기(31, 32)를 사용하여 검출했지만, 중점 전압(11c, 12c)의 아날로그값을 A/D 컨버터(25, 26)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값(신호)을 플립플롭 회로(27, 28)를 사용하여 지연시켜, 증감 방향을 검출하더라도 좋다. 도 10에서, A/D 컨버터(25, 26)는 중점 전압(11c, 12c)의 아날로그값(신호)을 디지털값(신호)으로 변환한다. 플립플롭 회로(27, 28)는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중점 전압(11c, 12c)을 1 클럭분 지연시킨다.
논리 회로(34, 35)는 중점 전압(11c, 12c)의 디지털값(A/D 컨버터(25, 26)의 출력)과 1 클럭 지연한 중점 전압(11c, 12c)의 디지털값(플립플롭 회로(27, 28)의 출력)을 비교하여 논리값을 출력하는 것으로, 비교기의 기능을 갖는다. 논리 회로(36)는 중점 전압(11c, 12c)의 디지털값(A/D 컨버터(25, 26)의 출력)의 크기를 비교하여 논리값을 출력하는 것으로, 비교기의 기능을 갖는다. 디지털화하는 것에 의해, 잡음 등에 의한 오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A/D 컨버터(25, 26)의 출력을 그대로 마이크로컴퓨터 등에 입력하고, 1 클럭분의 지연 및 비교의 동작을 포함해서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회전 상태 검출 장치 및 회전 상태 검출 방법에 의하면,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장치의 편차나 오프셋 등에 따른 조정이 거의 불필요하게 된다.

Claims (6)

  1. 바이어스 자계를 발생하는 자석과,
    이 자석의 바이어스 자계중에, 피검출 대상인 요철 형상 자성 회전체에 대향하여 그 회전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상기 피검출 대상의 회전에 따른 바이어스 자계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저항 변화를 발생시키는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세트로 구성된 제 1, 제 2 브리지 회로와,
    상기 제 1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증감 방향을 검출하고 논리값을 출력하는 제 1 비교기와,
    상기 제 2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증감 방향을 검출하고 논리값을 출력하는 제 2 비교기와,
    상기 제 1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과 상기 제 2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차를 검출하고 논리값을 출력하는 제 3 비교기와,
    상기 제 1 비교기와 제 2 비교기의 출력의 논리값이 모두 "1"일 때 "1"을 출력하고, 모두 "0"일 때 "0"을 출력하며, 그 이외일 때는 이전값을 유지하여 출력하는 논리 정보 도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제 3 비교기 및 논리 정보 도출 수단의 출력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피검출 대상의 회전 방향을 식별하도록 한
    회전 상태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비교기는, 상기 제 1, 제 2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과 그 지연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제 2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증감 방향을 검출하고 논리값을 출력하는 것인 회전 상태 검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을 로우패스 필터를 거쳐서 출력하여, 오 동작을 억제하도록 한 회전 상태 검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아날로그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를 마련하고, 상기 A/D 컨버터의 디지털값 출력과 그 지연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제 2 브리지 회로의 중점 전압의 증감 방향을 검출하고 논리값을 출력하도록 한 회전 상태 검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 또는 상기 논리 정보 도출 수단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회전 상태 검출 장치.
  6.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회전 상태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출 대상의 회전 방향을 식별하도록 한 회전 상태 검출 방법.
KR1020050021934A 2004-03-17 2005-03-16 회전 상태 검출 장치 및 회전 상태 검출 방법 KR100641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76595A JP4302558B2 (ja) 2004-03-17 2004-03-17 回転状態検出装置及び回転状態検出方法
JPJP-P-2004-00076595 2004-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711A true KR20060043711A (ko) 2006-05-15
KR100641525B1 KR100641525B1 (ko) 2006-10-31

Family

ID=3498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934A KR100641525B1 (ko) 2004-03-17 2005-03-16 회전 상태 검출 장치 및 회전 상태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05761B2 (ko)
JP (1) JP4302558B2 (ko)
KR (1) KR100641525B1 (ko)
CN (1) CN100356141C (ko)
DE (1) DE102005012407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438B1 (ko) * 2006-06-08 2008-06-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자기 검출 장치
KR100979354B1 (ko) * 2007-07-27 2010-09-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자기 검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5384A (ja) * 2004-06-04 2005-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状態検出装置および回転状態検出方法
FR2909450B1 (fr) * 2006-12-01 2009-01-09 Siemens Vdo Automotive Sas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rmination de l'etat rotatif d'une roue d'un vehicule equipee d'un capteur actif de mouvement adapte pour delivrer un signal de sortie oscillatoire lors d'une rotation de la dite roue
DE102007029819B4 (de) * 2007-06-28 2012-02-02 Infineon Technologies Ag Sensor und Sensoranordnung
JP5069209B2 (ja) * 2008-12-11 2012-11-07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回転角度センサ
JP5156671B2 (ja) * 2009-02-27 2013-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界検出装置および計測装置
JP5287635B2 (ja) * 2009-09-24 2013-09-1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回転角センサ、モータ、回転角検出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375654B2 (ja) * 2010-02-18 2013-1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方向検出機能付き回転数センサ
KR101147078B1 (ko) 2011-03-29 2012-05-17 현대로템 주식회사 3축 측정용 홀 아이씨를 이용한 영구자석 착자 상태 분석장치
DE102012017869B4 (de) * 2012-09-04 2020-01-16 Hagenuk KMT Kabelmeßtechnik GmbH Vorrichtung zur Reduzierung von Störeinflüssen bei der Mantelfehlerortung und Mantelfehlerortungsvorrichtung
US8965691B1 (en) * 2012-10-05 2015-02-24 Google Inc. Position and direction determination using multiple single-channel encoders
WO2015111163A1 (ja) * 2014-01-23 2015-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検出装置
KR101414209B1 (ko) * 2014-04-02 2014-07-01 금양산업(주) 앵글 엔코더의 회전각 감지 회로
FR3033051B1 (fr) * 2015-02-24 2017-02-10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un signal produit par un capteur de rotation d'une cible tournante
CN107407581B (zh) * 2015-03-05 2020-01-31 三菱电机株式会社 磁检测装置
US11187763B2 (en) * 2016-03-23 2021-11-30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Offset compensation for magnetic field detector
CN109416263B (zh) * 2016-07-14 2021-03-09 株式会社电装 旋转检测装置
DE102017200988A1 (de) * 2017-01-23 2018-07-26 Robert Bosch Gmbh Geberradanordnung und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Absolutwinkelposition und einer Drehrichtung
CN108344576B (zh) * 2017-01-24 2020-04-14 一汽海马汽车有限公司 一种气门旋转状况的测量装置
FR3093176B1 (fr) * 2019-02-26 2021-01-22 Continental Automotive Procédé d’autorisation de mise à jour d’un capteur magnétique pour moteur thermique avec immunité aux perturbations magnétiques
CN110779489B (zh) * 2019-10-17 2021-08-13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洛阳电光设备研究所 一种用双传感器对旋转保护罩旋转状态的测定装置及方法
JP7136146B2 (ja) * 2020-02-28 2022-09-13 Tdk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とこれを用いた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8565A (en) * 1971-07-21 1973-04-17 Eaton Corp Device for sensing the direction and speed of a shaft
GB1490987A (en) * 1974-03-08 1977-11-09 Westinghouse Brake & Signal Vehicle movement control arrangements
JPS54118259A (en) 1978-03-06 1979-09-13 Nec Corp Angle detector
DE2820122A1 (de) * 1978-05-09 1979-11-15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drehrichtungserfassung eines rotierenden teiles
US4331917A (en) * 1979-12-13 1982-05-25 Caterpillar Tractor Co. Speed and direction sensing circuit
DE3126806A1 (de) 1981-07-07 1983-01-27 Siemens Ag Digitaler messsensor, seine verwendu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3458436B2 (ja) * 1994-01-31 2003-10-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方向検出装置
EP0740776B1 (de) * 1994-11-22 2002-06-12 Robert Bosch Gmbh Anordnung zur berührungslosen drehwinkelerfassung eines drehbaren elements
JPH08338851A (ja) 1995-04-11 1996-12-24 Nippondenso Co Ltd 磁気検出装置
DE19717364C1 (de) * 1997-04-24 1998-08-27 Siemens Ag Verfahren zur Erkennung der Drehrichtung eines Rades mittels Hall-Sonden
JP3254676B2 (ja) 1997-08-06 2002-0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方向検出装置
JP3279241B2 (ja) 1997-12-25 2002-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検出装置
JP3605526B2 (ja) * 1999-02-26 2004-12-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回転検出センサの検出回路
US6310474B1 (en) * 1999-03-31 2001-10-30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crankshaft rotation during a single tooth/slot transition
JP2000337922A (ja) 1999-05-25 2000-12-08 Denso Corp 回転検出装置
JP2001108700A (ja) 1999-10-05 2001-04-20 Honda Motor Co Ltd 回転体の逆転検出装置および逆転検出方法
US6232739B1 (en) * 2000-02-11 2001-05-15 Delphi Technologies, Inc. High-resolution incremental position sensor with pulse switching strategy
DE60027558T2 (de) * 2000-07-13 2006-09-07 Infineon Technologies Sensonor As Drehrichtungserfassung
US6750784B2 (en) * 2001-11-20 2004-06-15 Eaton Corporation Method of linearizing a sine and cosine signal
US6960974B2 (en) * 2002-11-14 2005-11-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agnetoresistive smart switch
JP4214799B2 (ja) * 2003-02-27 2009-01-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
US20050007103A1 (en) * 2003-07-08 2005-01-13 Thaddeus Schroeder Sensor assembly for sensing direction of rotation and/or position of an obje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438B1 (ko) * 2006-06-08 2008-06-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자기 검출 장치
KR100979354B1 (ko) * 2007-07-27 2010-09-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자기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0484A (zh) 2005-09-21
US7205761B2 (en) 2007-04-17
DE102005012407A1 (de) 2005-10-06
JP2005265540A (ja) 2005-09-29
US20050206371A1 (en) 2005-09-22
DE102005012407B4 (de) 2007-07-12
KR100641525B1 (ko) 2006-10-31
JP4302558B2 (ja) 2009-07-29
CN100356141C (zh) 200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525B1 (ko) 회전 상태 검출 장치 및 회전 상태 검출 방법
US5574364A (en) Position detector including a reference position wherein the sensor is saturating the MR sensor for preventing hysteresis and in a bridge circuit
JP4964358B2 (ja) 回転センサの検出信号処理装置および回転センサの検出信号出力方法
JP4646044B2 (ja) 磁気検出装置
US6404188B1 (en) Single geartooth sensor yielding multiple output pulse trains
US73655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bration detection
EP0825420B1 (en) Absolute angle encoder
JP4859903B2 (ja) 移動方向検出装置
EP2270434A2 (en) Proximity detector having a sequential flow state machine
CN109416263B (zh) 旋转检测装置
JP2017009411A (ja) 回転検出装置
JP2010008367A (ja) 回転検出装置
JP4519038B2 (ja) 回転状態検出装置
KR20070054075A (ko) 자기 검출 장치
JP4290739B2 (ja) 磁気検出装置
JP4862760B2 (ja) 検出信号処理回路
JP2012225689A (ja) エンコーダホイール、ロータリエンコーダ、及び回転方向検出方法
US20090290669A1 (en) Phase difference detection device and rotation position detection device
JP2005345384A (ja) 回転状態検出装置および回転状態検出方法
JP2020180929A (ja) 回転センサ
JP2001336912A (ja) ステアリング角センサ
JP2006177806A (ja) 回転検出装置
JPH0843414A (ja) 回転速度検出装置
JP2009058476A (ja) 回転検出装置の信号処理回路
CN113316709A (zh) 旋转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