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178A - 모터, 모터의 제어회로부재 및 모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모터의 제어회로부재 및 모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2178A
KR20060042178A KR1020050015583A KR20050015583A KR20060042178A KR 20060042178 A KR20060042178 A KR 20060042178A KR 1020050015583 A KR1020050015583 A KR 1020050015583A KR 20050015583 A KR20050015583 A KR 20050015583A KR 20060042178 A KR20060042178 A KR 20060042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motor
circuit member
gear housing
connec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9104B1 (ko
Inventor
히로시 고쿠부
다츠야 스즈키
가츠히코 도리이
가즈타카 사코히라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2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8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associated with geared commutator motors of the worm-and-whee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02K5/148Slidably supported brus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98Spiral
    • Y10T74/19828W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86Gear casings

Abstract

브러쉬홀더(7, 61)는, 모터본체(2)에 설치되고, 전력을 공급받도록 외부커넥터와 직접 접속가능한 커넥터부(7c, 61c)를 구비한다. 상기 브러쉬홀더(7, 61)는 복수개의 전력공급용브러쉬(8)를 지지한다. 제어회로부재(25, 41, 62)는 기어하우징(21)의 설치개구부(21g)를 통해서 기어하우징(21)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회로부재(25, 41, 62)는, 모터본체(2)의 회전을 제어하고, 커넥터부(7c, 61c) 및 전력공급용브러쉬(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모터, 모터본체, 브러쉬홀더, 커넥터부, 기어하우징, 제어회로부재

Description

모터, 모터의 제어회로부재 및 모터의 제조방법{MOTOR, CONTROL CIRCUIT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TO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평면도.
도2는 도1에 나타낸 모터의 일부분을 나타낸 부분단편도와 분해도.
도3a는 제어회로부재의 일측을 나타낸 모터의 제어회로부재의 평면도.
도3b는 제어회로부재의 측면도.
도3c는 제어회로부재의 타측을 나타낸 제어회로부재의 평면도.
도4는 모터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부분단편도와 분해도.
도5는 모터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부분단편도와 분해도.
도6은 모터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부분단편도와 분해도.
도7은 모터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8은 모터의 제4변형예의 브러쉬홀더를 나타낸 부분도.
도9a는 제어회로부재의 일측을 나타낸 모터의 제4변형예의 제어회로부재의 평면도.
도9b는 도9a에 나타낸 제어회로부재의 측면도.
도9c는 제어회로부재의 타측을 나타낸 도9a 및 도9b의 제어회로부재의 평면 도.
도10은 도9a 내지 도9c에 나타낸 제어회로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11은 도9a 내지 도9c에 나타낸 제어회로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모터 2: 모터본체
3: 감속장치 7, 61: 브러쉬홀더
8: 전력공급용브러쉬 21: 기어하우징
22: 웜샤프트 23: 감속기구
25, 41, 62: 제어회로부재 26, 45, 51: 커버
35, 75: 회전센서 36a, 36b, 76a, 76b: 접속단자
본 발명은 모터, 모터의 제어회로부재 및 모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파워 윈도우 시스템(power window system)의 모터는 모터본체, 감속장치(speed reducing unit) 및 제어회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본체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감속장치는, 기어하우징에 수용되며 모터본체의 회전속도 를 감속시키는 감속기구(reducing mechanism)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모터본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전기회로부품(예를 들면, 집적회로(IC))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터의 경우, 상기 모터본체와 감속장치는 모터본체 및 감속장치의 중간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조립되고,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기어하우징에 형성된 수용홀을 통해서 기어하우징에 설치된다(미국특허 제5245258호 참조). 각각 다른 세트의 전기회로부품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제어회로부재는 모터본체 및 감속장치의 중간 조립체(제어회로부재가 없는)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본체 및 감속장치의 중간 조립체(제어회로부재가 없는)는 만능부품(다용도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모터(각각 다른 세트의 전기회로부품을 구비한)는 제어회로부재를 간단히 변화시킴에 의해 이와 같은 만능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제조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모터에서, 커넥터부(connector arrangement)는 상기 제어회로부재에 제공된다. 외부커넥터(external connector)는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커넥터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전기회로부품은 커넥터부 및 외부커넥터를 통하여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부가 제어회로부재에 제공될 경우, 상기 커넥터부의 위치는 제어회로부재의 고정위치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기어하우징에 설치될 필요가 있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고정위치는 번갈아 제한된다. 따라서 어떤 경우, 상기 커넥터부는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모터(즉, 제어회로부재가 없는 모터)는, 종종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구동원으로 사용되고, 차량도어의 고정부재에 고정된다. 통상의 모터의 한 방식의 경우, 상기 커넥터부는 브러쉬홀더(brush holder)에 인접한 위치에서 모터본체의 요크하우징(yoke housing)과 기어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측(lateral side)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의 통상적인 모터가 커넥터부를 가진 제어회로부재를 구비한 전술한 방식의 모터로 대체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술한 방식의 모터는 기존의 차량도어의 고정부재에 간단히 설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도 대응되는 고정부재로 대체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고정위치(수용홀과 같은 고정구조)는 커넥터부의 위치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어떤경우,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원하는 위치(예를 들면, 기어하우징의 무용공간(dead space))에 배치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어회로부재를 포함하며, 커넥터부의 위치에 대하여 보다 자유로운 설정이 가능한 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의 제어회로부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본체 및 감속장치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본체는 브러쉬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쉬홀더는 전 력을 공급받도록 외부커넥터와 직접적으로 접속가능한 커넥터부를 구비한다. 상기 브러쉬홀더는 복수개의 전력공급용브러쉬를 지지한다. 상기 감속장치는 기어하우징, 감속기구 및 제어회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하우징은, 모터본체에 연결되고, 회로부재 설치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개구부는 브러쉬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감속기구는, 기어하우징에 수용되고, 모터본체의 회전을 감속시킨다.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기어하우징의 설치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기어하우징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상기 모터본체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커넥터부 및 전력공급용브러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본체 및 감속장치를 포함하는 모터용 제어회로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본체는 커넥터부 및 복수개의 전력공급용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전력을 공급받도록 외부커넥터와 접속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연장베이스, 복수개의 접속단자 및 복수개의 전기회로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단자는 베이스에 고정된다. 하나 이상의 복수개의 접속단자는 커넥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되고, 또 다른 하나 이상의 복수개의 접속단자는 하나 이상의 복수개의 전력공급용브러쉬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기회로부품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본체의 회전을 제어한다. 복수개의 전기회로부품은 모터본체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센서는 베이스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전기회로부품 중 나머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 다. 이 방법에 따라, 브러쉬홀더는 모터본체에 설치된다. 상기 브러쉬홀더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외부커넥터와 직접적으로 접속가능한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홀더는 복수개의 전력공급용브러쉬를 지지한다. 상기 모터본체와 감속장치는 함께 조립된다. 상기 브러쉬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 기어하우징의 회로부재 설치개구부를 통하여 감속장치의 기어하우징에 제어회로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복수개의 접속단자의 각각은 전력공급용브러쉬 및 커넥터부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 윈도우 시스템(power window system)의 모터(1)를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1)는 모터본체(2) 및 감속장치(speed reducing unit)(3)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장치(3)는 모터본체(2)의 회전을 감속시킨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터본체(2)는 요크하우징(yoke housing)(4)(이하, "요크(yoke)"라 칭함), 두개의 자석(magnet)(5)(도2), 전기자(armature)(6), 브러쉬홀더(brush holder)(7) 및 두개의 전력공급용브러쉬(power supply brush)(8)를 포함한다. 상기 요크(4)는 직경방향으로 압축되는 컵(cup) 형상의 몸체로 형성된다. 상기 자석(5)은 요크(4)의 내주면에 부착된다. 상기 요크(4)에서 전기자(6)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브러쉬홀더(7)는 수지재(resin material)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브 러쉬홀더(7)는 홀더본체(7a), 돌출부(7b) 및 커넥터부(connector arrangement)(7c)를 구비하고, 이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본체(7a)는 대략 요크(4)의 개구부에 수용되게 형성된다. 베어링(9)은 홀더본체(7a)의 중앙홀에 고정된다. 상기 전기자(6)의 회전샤프트(10)의 선단(distal end)은 베어링(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브러쉬(8)는 요크(4)의 내측에 위치되는 홀더본체(7a)의 대응부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브러쉬(8)는 회전샤프트(10)에 고정되는 전기자(6)의 정류자(commutator)(11)에 대하여 가압된다. 상기 돌출부(7b)는 홀더본체(7a)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부(7c)는 돌출부(7b)의 선단에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터부(7c)는 요크(4)의 평탄면(flat surface)(4a)(도1 또는 도2의 평면과 평행한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7b)의 일단에 형성된다. 외부커넥터(미도시)는 평탄면(4a)에 직교하는 방향(즉, 도1 또는 도2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 및 도1 또는 도2에서 평면의 전방측으로부터 평면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커넥터부(7c)에 접속가능하게 된다.
브러쉬측 전도체(electrical conductor)(12) 및 커넥터측 전도체(13)는 브러쉬홀더(7)에 삽입되어 몰드(mold)된다. 상기 브러쉬측 전도체(12)는 상기 요크(4)의 내측에 위치되는 홀더본체(7a)의 대응부로부터 돌출부(7b)까지 연장된다. 상기 브러쉬측 전도체(12)의 선단에는 내부접속단자(12a)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접속단자(12a)는 돌출부(7b)로부터 모터본체(2)의 축방향(도2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 즉 노출된다. 상기 브러쉬(8)는 피그테일(pigtail)에 의해 브러쉬측 전도체(12)의 베이스단부(base end)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측 전도체(13)는 커넥터부(7c)로부터 돌출부(7b)까지 연장된다. 상기 커넥터측 전도체(13)의 선단에는 내부접속단자(13a)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접속단자(13a)는 돌출부(7b)로부터 모터본체(2)의 축방향(도2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 즉 노출된다. 상기 커넥터측 전도체(13)의 베이스단부는, 커넥터부(7c)에 노출되고, 외부접속단자(13b)를 형성한다. 상기 외부커넥터가 커넥터부(7c)에 접속될 경우, 상기 외부접속단자(13b)는 외부커넥터의 대응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부(7c)에 수용되는 초크코일(choke coil)(C)은 본 실시예의 커넥터측 전도체(13)의 내부접속단자(13a) 및 외부접속단자(13b) 사이에 삽입된다. 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는 평탄면(4a)(또는, 아래에서 상술할 웜휠(23)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도2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는 도2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의 한 단자만이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브러쉬홀더(7)에서, 상기 외부접속단자(13b)가 제공되는 커넥터부(7c)의 부분을 제외한 상기 홀더본체(7a)의 외주연면, 돌출부(7b) 및 커넥터부(7c)(초크코일(C)에 대응하는 부분)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이루어진 방수부재(waterproof)(14)로 커버된다.
상기 감속장치(3)는 기어하우징(21), 웜샤프트(worm shaft)(22), 웜휠(worm wheel)(23), 클러치(clutch)(24), 제어회로부재(25) 및 커버(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감속기구(speed reducing mechanism)는 상기 웜샤프트(22) 및 웜휠(23)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하우징(21)은 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하우징(21) 고정부(fixing portion)(21a), 웜수용부(21b), 웜휠수용부(21c) 및 회로수용부(21d)를 포함한다.
플랜지(4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상기 고정부(21a)는 요크(4)의 개구부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1a)는 스크류(screw)(27)에 의해 플랜지(4b)에 고정된다. 상기 브러쉬홀더(7)의 돌출부(7b)는 방수부재(14)를 통하여 고정부(21a)와 플랜지(4b) 사이에서 클램프(clamp)된다.
상기 웜수용부(21b)는 상기 회전샤프트(10)의 임의의 연장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몸체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웜수용부(21b)는 웜샤프트(2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클러치(24)는 웜수용부(21b)의 내부에서 모터본체(2)측으로 제공된다. 상기 클러치(24)는 구동원을 전달하기 위해 웜샤프트(22)와 회전샤프트(10) 사이에 결합한다. 상기 클러치(24)는 회전샤프트(10)의 구동원을 웜샤프트(22)로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웜샤프트(22)가 고착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웜샤프트(22)로부터 회전샤프트(10)로 구동원의 전달이 제한되도록 상기 클러치(24)는 작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24)는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부하(load)측(예를 들면, 창유리(window glass))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발생되는 모터(1)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센서자석(sensor magnet)(24a)은 회전샤프트(1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클러치(24)에 제공된다
상기 웜휠수용부(21c)는 상기 웜수용부(21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가지는 편평한 원판(flat disk)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웜휠수 용부(21c)는 웜휠(2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웜수용부(21b)의 내부와 웜휠수용부(21c)의 내부는 하나의 연결부분에서 서로 연통된다. 상기 연결부분에서 웜샤프트(22)와 웜휠(23)은 서로 치합된다. 상기 웜휠수용부(21c)는 상기 커넥터부(7c)에 대향되는 웜수용부(21b)의 대향측(즉, 도1 또는 도2에서의 좌측)에 형성된다. 상기 웜휠수용부(21c)의 평탄면(21e)은 상기 웜휠(23)의 회전축과 직교되는 웜휠(23)의 평면과 평행하다. 또한,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웜휠수용부(21c)의 평탄면(21e)은 상기 요크(4)의 평탄면(4a)과도 평행하다. 상기 기어하우징(21)을 전체로 볼 경우, 상기 평탄면(21e)(웜휠(23)의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은 기어하우징(21)의 평탄면 또는 평면으로 제공한다.
상기 회로수용부(21d)는 내부접속단자(12a, 13a)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는 회로수용부(21d)의 내측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로수용부(21d)는 상기 웜휠수용부(21c)에 대향되는 웜수용부(21b)의 대향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회로수용부(21d)는 웜수용부(21b)와 커넥터부(7c)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회로수용부(21d)의 내부는 상기 웜수용부(21b)의 모터본체(2)측에 위치되는 웜수용부(21b)의 내부 부분(구체적으로, 센서자석(24a)에 대응하는 부분)과 연통된다. 상기 회로수용부(21d)에 제어회로부재(25)가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10)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설치방향)에 상기 제어회로부재(25)가 삽입가능하게 되는 수용홀(21f)(또는, 수용공간)을 상기 회로수용부(21d)는 구비한다. 상기 수용홀(21f)은 회로부재 설치개구부(21g)를 가진다. 상기 기어하우징(21)에서, 상기 개구부(21g)는 브러쉬홀더(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특히 이러한 예의 경우, 상기 개구부(21g)의 외연부(outer edge)는 선형으로 연장된다. 상기 개구부(21g)의 선형의 외연부에 직교하는 방향(이하, 간단히 "개구부(21g)의 개구방향"이라 칭함)은, 경사지고, 즉 상기 회전샤프트(10)(즉, 모터본체(2))의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고,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21g)가 기어하우징(21)의 평탄면 또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이는 경우, 상기 커넥터부(7c)와 웜수용부(21b)의 선단 사이를 연결하는 임의의 직선라인을 따르는 단계를 형성함이 없이 상기 개구부(21g)는 선형이면서 원활하게 연장된다. 상기 개구부(21g)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부(21g)의 개구방향으로 볼 경우에, 각 브러쉬측 전도체(12)의 내부접속단자(12a)와 각 커넥터측 전도체(13)의 내부접속단자(13a)는 상기 개구부(21g)를 통해 보이도록 배치된다. 결합클로(engaging claw)(21h)(도2)는 회로수용부(21d)의 외측 평탄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어회로부재(25)는 대략 회로수용부(21d)에 수용된다.
도2 내지 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재(25)는 베이스(base)(31), 히트싱크(heat sink)(32), 몰드 집적회로(molded IC)(33), 커패시터(capacitor)(34), 홀 소자(hall element)(회전센서(rotation sensor))(35) 및 복수개의 접속단자(36a, 36b)(도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몰드 집적회로(33), 커패시터(34) 및 홀 소자(35)는 전기회로부품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31)는,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인 플레이트 형상의 몰드 집적회로(33)는 플레이트 형사의 히트싱크(32)를 통하여 베이스(31)의 일측면(도2 또는 도3b의 좌측면)에 고정된다. 일반적인 원통형의 커패시터(34)는 베이스(31)의 타측면(도2 또는 도3b의 우측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트싱크(32)와 몰드 집적회로(33)는 접착제, 접합제 또는 어떤 다른 접착 재료에 의해서 함께 결합된다. 상기 홀 소자(35)(도3a)는 상기 센서자석(24a)과 부합하게 위치되는 베이스(31)의 일측면(도2 또는 도3b의 좌측면)의 일부에 고정된다. 상기 몰드 집적회로(33) 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36a, 36b)(도3c)는 상기 브러쉬측 전도체(12)의 내부접속단자(12a) 및 커넥터측 전도체(13)의 내부접속단자(13a)에 대응하는 베이스(31)의 타측면(도2 또는 도3b의 우측면)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몰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회로부재(25)는 구동회로부(drive circuit part)로 제공하는 릴레이(relay)를 구비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상기 몰드 집적회로(33)는 구동회로부로 제공하는 파워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power MOSFET)를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몰드 집적회로(33)는 핀치제한작동(pinching limiting operation) 제어용 제어회로를 형성한다. 상기 핀치제한작동에서, 예를 들면, 상기 홀 소자(35)를 통해 측정되는 센서자석(24a)(회전샤프트(10))의 회전속도에 기초한 차량의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창유리에 의해 핀치(pinch)되는 물체가 결정될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역방향으로 모터본체(2)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하여 창유리로부터 핀치된 물체를 해제하기 위하여 창유리를 내리도록 상기 브러쉬(8)(모터본체(2))에 역전류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접속단자(36a)는 대응하는 브러쉬측 전도체(12)의 내부접속단자(12a)에 대응되게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진다. 또한, 각 접속단자(36b)는 대응하는 커넥터측 전도체(13)의 내부접속단자(13a)에 대응되게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진다.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설치 단계에서, 상기 모터본체(2)와 감속장치(3)가 함께 조립되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회로부재(25)는 수용홀(21f)을 통한 설치방향으로 기어하우징(21)(회로수용부(21d))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회로부재(25)는 기어하우징(21)에 압입끼워맞춰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회로부재(25)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회로부재(25)의 베이스(31)의 측연부(lateral edge)(도3c에서 베이스(31)의 좌, 우측연부)는 도2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위치되는 수용홀(21f)의 내부 측벽에 대향되게 타이트(tightly)하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재(25)의 설치 후에 상기 수용홀(21f)에서 제어회로부재(25)의 위치는 안정화된다. 또한, 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접속단자(36a, 36b)는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각 접속단자(36a, 36b)는 커넥터측 전도체(13)(커넥터부(7c))의 내부접속단자(13a) 및 브러쉬측 전도체(12)(브러쉬(8))의 내부접속단자(12a) 중 어느 한 단자와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와 유사하게, 상기 개구부(21g)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방향으로 볼 경우에, 각 접속단자(36a, 36b)는 개구부(21g)를 통해 보이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와 유사하게, 상기 접속단자(36a, 36b)는 기어하우징(21)의 평탄면(평탄면(4a, 21e) 또는 웜휠(23)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도2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 단계의 경우, 상기 개구부(21g)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방향으로 볼 경우에, 개구부(21g)를 통해 보이는 각 접속단자(36a, 36b)는 이들 사이를 전기적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의 대응하는 한 단 자에 레이저용접(laser weld)된다. 여기에서, 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브러쉬측 전도체(12)의 내부접속단자(12a)의 폭은 대응하는 접속단자(36a)의 폭보다 작게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이들 사이에서 접속용 레이저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몰드 집적회로(33)의 평탄면(33a)이 기어하우징(21)의 평탄면(평탄면(4a, 21e))에 직교하는 방향(도2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몰드 집적회로(33)가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의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회로부재(25)의 일부(커패시터(34)의 일부)는 상기 회로수용부(21d)(개구부(21g))의 외측에 배치된다.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26)는 상기 제어회로부재(25)의 설치에 따라 수용홀(21f)을 폐쇄하기 위하여 개구부(21g)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26)는, 상기 제어회로부재(25)의 부분(커패시터(34)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1g)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26)는 결합클로(21h)와 결합되는 결합홈(26a)을 가진다. 즉, 상기 커버(26)가 축방향에 설치될 경우, 상기 커버(26)의 결합홈(26a)은 결합클로(21h)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26)는 기어하우징(21)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커버(26)는 수용홀(21f)(개구부(21g))과 커버(26)의 개구부 사이의 공간을 실링(seal)시키는 탄성실링부재(elastic seal member)(26b)를 가진다. 상기 실링부재(26b)는, 부틸고무(butyl rubber)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21g)에 대응하는 커버(26)의 개구부의 전체 주변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모터본체(2)와 감속장치(3)가 함께 조립되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어회로부재(25)는 수용홀(21f)(개구부(21g))을 통하여 기어하우징(21)에 삽입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의 경우, 각각 다른 세트의 전기회로부품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제어회로부재(25)는 상기 모터본체(2) 및 감속장치(3)의 중간 조립체(제어회로부재(25)가 없는)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본체(2) 및 감속장치(3)의 중간 조립체(제어회로부재(25)가 없는)는 만능부품(universal component)으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태의 모터(각각 다른 세트의 전기회로부품을 구비한)는 제어회로부재(25)를 간단히 변화시킴에 의해 이와 같은 만능부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구성부품의 관리는 용이하고, 제조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모터(1)는 차량도어의 내부 패널(panel)과 외부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1)의 평탄면(평탄면(4a, 21e))은 상기 내부 패널에 대향되는 관계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즉, 차량의 배터리)에 접속되는 외부커넥터는 상기 내부 패널의 커넥터홀을 통하여 도어트림(door trim)측으로부터 커넥터부(7c)(외부접속단자(13b))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홀은 커넥터부(7c)에 대응하는 방수부재(14)의 부분에 의해 실링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 사이의 공간을 통해 도어트림측으로 액체(예를 들면, 물)가 침투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의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한다.
(1) 상기 커넥터부(7c)는 제어회로부재(25)에 제공되는 것보다 브러쉬홀더(7)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7c)의 위치는 제어회 로부재(25)의 고정위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회로부재(25)가 기어하우징(21)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회로부재(25)의 고정위치는 종종 제한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부(7c)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에 의해 제한되는 상태없이 세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부(7c)는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는, 요크(4)와 기어하우징(21)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측(lateral side)에 위치되고, 상기 브러쉬홀더(7)에 인접한다. 그 결과로서, 상기 요크와 기어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측에 위치되며 상기 브러쉬홀더에 인접하는 커넥터부를 구비한 통상의 모터(즉, 제어회로부재가 없는 모터)로 대체하는 것이 용이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상의 모터는 내부 패널을 변화시키기 위한 필요없이 기존의 내부 패널(고정부재)에 모터(1)를 간단히 설치함에 의해 본 실시예의 모터(1)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재(25)의 고정위치(고정구조)는 커넥터부(7c)의 위치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세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회로부재(25)는 웜수용부(21b)와 커넥터부(7c) 사이의 기어하우징(21)의 무용공간(dead space)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예를 들면, 상기 모터(1)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상기 제어회로부재(25)는 제어회로부재(25)를 기어하우징(21)에 설치한 후에 상기 브러쉬(8) 및 커넥터부(7c)(내부접속단자(12a, 1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36a, 36b)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부재(25)가 기어하우징(21)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8) 및 커넥터부(7c)는 제어회로부재(25)의 전기회로부품(예를 들면, 몰드 집적회로(33) 및 이와 같은 종류의 부품)에 용이하게 접속 될 수 있다.
(2)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수용홀(21f)을 폐쇄시키는 커버(26)는 상기 수용홀(21f)(개구부(21g))과 커버(26)의 개구부 사이를 실링시키는 실링부재(26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부재(25)(전기회로부품)는 물로부터 보호된다.
(3)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와 유사하게, 상기 접속단자(36a, 36b)는 기어하우징(21)의 평탄면(평탄면(4a, 21e))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2의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36a, 36b)는 기어하우징(21)의 평탄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모터 크기의 증가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36a, 36b)의 평행한 배치로 인하여, 레이저용접을 통하여 실행되는 접속단계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4) 상기 몰드 집적회로(33)의 평탄면은 기어하우징(21)의 평탄면(평탄면(4a, 21e))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2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몰드 집적회로(33)는 기어하우징(21)의 평탄면(평탄면(4a, 21e))에 평행한 방향으로 모터 크기의 증가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수용홀(21f)의 개구부(21g)의 개구방향(즉, 개구부(21g)의 선형의 외연부에 직교하는 방향)은, 경사지고, 즉 회전샤프트(10)의 축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지고, 또한 싱기 회전샤프트(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진다.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와 유사하게, 상기 개구부(21g)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부(21g)의 개구방향으로 볼 경우에, 각 접속단자(36a, 36b)는 상기 개구부(21g)를 통해 보이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구부(21g)는 단(step)을 가지지 않는 간 단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접속단자(36a, 36b)의 레이저용접 동작을 육안으로 확인(check)하는 것 및 레이저용접에 의한 연결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상기 실링부재(26b)는 커버(26)의 개구부의 주위에 단을 가지지 않는 원활한 부품(smooth part)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실링부재(26b)의 제작은 용이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몰드 집적회로(33)는 플레이트 형상의 히트싱크(32)를 통하여 베이스(31)에 고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커버는 열을 커버의 외측으로 방열하기 위하여 제어회로부재(몰드 집적회로(33))와 접촉되는 방열부(heat releasing portion)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재(전기회로부품)의 열에 대한 손상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는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본 실시예의 제어회로부재(41)에서, 몰드 집적회로(43)는 베이스(42)에 고정되고, 히트싱크(44)는 접착제, 접합제 또는 다른 어떤 접착 재료에 의하여 몰드 집적회로(43)에 고정된다. 또한, 커버(45)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45)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탄성가압피스(resilient urging piece)(46)를 구비하고, 접촉부 및 탄성적인 결합부로 제공된다. 상기 가압피스(46)는 히트싱크(44)를 통해 제어회로부재(41)의 몰드 집적회로(43)에 대하여 가압된다. 도4에서, 가압 전(설치 전)의 상태에서 가압피스(46)는 실선(solid line)으로 표시되고, 가압상태에서 가압피스(46)는 이점쇄선(dot-dot dash line)으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 에서, 모든 커버(45)와 가압피스(46)는 방열부를 형성하도록 함께 작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히트싱크(44)이외에 방열부의 면적은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부재(41)(전기회로부품)의 열에 대한 손상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회로부재(41)의 전기회로부품이 파워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power MOSFET)(구동회로부로 제공되는)를 구비한 몰드 집적회로(43)를 포함하는 경우, 열에 민감한 파워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몰드 집적회로(43)의 내구성(신뢰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열부는, 탄성을 가지는 가압피스(46)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싱크(44)를 통해 몰드 집적회로(43)에 대하여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부는 치수 및 조립의 높은 정확성이 필요없이(즉, 치수 정확도 및/또는 조립 정확도에서 어떤 에러(error)가 발생하더라도) 신뢰적이면서 용이하게 상기 제어회로부재(41)(구체적으로, 히트싱크(4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피스(46)는 제어회로부재(41)에 부합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부재(41)가 진동될 경우에도, 상기 제어회로부재(41)의 손상을 제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재(41)에 방열부의 결합(방열기능(heat radiating function))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45) 및 가압피스(46)는 모두 금속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열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열에 대한 손상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피스(46)는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45)는 도5의 커버(51)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커버(51)는, 금속재(SPCC 철판(steel plate) 같은 철판)로 이루어지고, 크림핑 위치(point crimping)(기어하우징(21)에 대하여 크림핑되는 크림핑 위치부(point crimping portion)(51a))에 의해 기어하우징(21)에 고정된다. 도5에 나타낸 상기 기어하우징(21)은 상기 실시예의 기어하우징(21)으로부터 약간 변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결합클로(21h)의 제거를 포함하는 변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피스(46)가 제거될 경우, 상기 커버(커버의 접촉부)는 제어회로부재(몰드 집적회로)와 직접 접촉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경우라도,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래틀 운동(rattle movement)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44)는 제거될 수 있고, 상기 가압피스(46)는 몰드 집적회로(43)에 대하여 직접 가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커버(45) 및 가압피스(46)는 금속재와는 다른 어떤 적합한 재료(예를 들면,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피스(46)는 제어회로부재(41)(몰드 집적회로)에 대하여 가압되는 다른 어떤 적합한 방식의 탄성적인 결합부(예를 들어, 웨이브와셔(wave washer) 또는 고무부품)로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홀(21f)(개구부(21g))과 커버(26)의 개구부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26b)는 상기 수용홀(21f)을 폐쇄하는 커버(26)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수용홀(21f)(수용홀(21f)의 개구부(21g))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부재(전기회로부품)에 대한 물의 침투 및 적응을 제한하도록 상기 실링부재와 다른 어떤 적합한 부품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 및 접속단자(36a, 36b)는 기어하우징(21)의 평탄면(평탄면(4a, 21e))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2의 평면에 직 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 및 접속단자(36a, 36b)는 다른 어떤 적합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몰드 집적회로(33)의 평탄면(33a)은 기어하우징(21)의 평탄면(평탄면(4a, 21e))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2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몰드 집적회로(33)의 평탄면(33a)은 다른 어떤 적합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홀(21f)의 개구부(21g)의 개구방향(개구부(21g)의 선형의 외연부에 직교하는 방향)은, 회전샤프트(10)의 축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고, 또한 회전샤프트(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수용홀(21f)의 개구부(21g)의 개구방향(개구부(21g)의 선형의 외연부에 직교하는 방향)은 회전샤프트(10)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1g)의 외연부는, 선형으로 연장될 필요가 없고, 원하는 경우에 커브 형상 또는 다른 어떤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회로부재(25)는 회전샤프트(10)의 축방향으로 회로수용부(21d)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재(25)가 회전샤프트(10)의 축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즉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회로수용부(21d)에 삽입되도록 상기 실시예는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회로부재(25)가 설치될 경우, 각 접속단자(36a, 36b)는 이에 대응하는 내부접속단자(12a, 13a)(브러쉬(8) 및 커넥터부(7c))의 한 단자와 결합되도록 배치되고, 이에 의하여 이들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 어진다. 그 후, 각 접속단자(36a, 36b)와 이에 대응하는 내부접속단자(12a, 13a) 간의 접속은 이들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하여 레이저용접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전기적 접속하기 위하여 다른 어떤 적합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빔용접(electron beam welding), 티그용접(TIG welding) 또는 브레이징(brazing)이 각 접속단자(36a, 36b)와 이에 대응하는 내부접속단자(12a, 13a) 간의 접속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36a, 36b) 및 내부접속단자(12a, 13a)의 형상은 용접 또는 접착의 필요없이 제어회로부재(25)의 설치에 의해서만 각 접속단자(36a, 36b)와 이에 대응하는 내부접속단자(12a, 13a) 간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회로부재(25)의 설치의 경우, 상기 접속단자(36a, 36b) 및 내부접속단자(12a, 13a)의 형상은 각 접속단자(36a, 36b)와 이에 대응하는 내부접속단자(12a, 13a) 간의 사이에서 축방향 끼워맞춤(axial fitting) 또는 기계적 연결(mechanical connection)이 되는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샤프트(10)와 웜샤프트(22)는 회전샤프트(10)로부터 웜샤프트(22)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클러치(24)를 통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24)는 제거될 수 있고, 상기 회전샤프트(10)와 웜샤프트(22)는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 즉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자석(24a)은 클러치(24)에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자석은 금속 플레이트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샤프트는 금속 플레이트에 압입끼워맞춰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초크코일(C)은 커넥터부(7c)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34)와 유사하게, 상기 초크코일(C)은 제어회로부재에서 전기회로부품의 하나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본체(2)의 중간 조립체(제어회로부재(25)가 없는) 및 감속장치(3)는 만능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모터(각각 다른 방식의 초크코일을 구비한)는 이와 같은 만능부품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34)가 커넥터부(7c)에 제공되도록 상기 실시예는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회로부재(25)의 베이스(31)는 회로기판(circuit board)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모터에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루프 모터(sunroof motor) 또는 도어폐쇄기 모터(door closer motor)와 같은 다른 어떤 적합한 장치에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본체(7a), 돌출부(7b) 및 커넥터부(7c)는 브러쉬홀더(7)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본체(7a)와 커넥터부(7c)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돌출부(7b)는 홀더본체(7a) 및 커넥터부(7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하우징(21)은 수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어하우징(21)은 알루미늄과 같은 방열특성이 높은 적합한 재료 중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은 효과적으로 수행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어회로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한 손상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기어하우징(21)(모터)의 내부 및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브리딩홀(breathing hole)은 전술한 커버(26, 45, 51)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리딩홀(26c)은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26)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어하우징(21)의 내부 및 외부 사이를 연통하도록 기어하우징(21)의 평탄면(평탄면(4a, 21e))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6의 평면의 전방측에 도6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브리딩홀(26c)은 커버(26)를 통과하여 관통된다. 브리딩 시트(breathing sheet)(메쉬 타입 시트(mesh type sheet))는 상기 커버(26)의 내부 및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파이프(pipe)의 선단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1)가 작동하는 동안에 열의 발생에 의해 야기되는 기어하우징(21) 내부에서의 주위압력(ambient pressure)의 변화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더워진 공기는 브리딩홀(26c)(방열부로서 제공되는 브리딩홀(26c))을 통해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은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그 결과, 상기 제어회로부재(특히, 몰드 집적회로)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한 손상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브리딩홀(26c)의 개구방향이 모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내지는 더 나은 방수 구조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위치로(차량도어에서 다른 방식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만능부품으로 커버(26)가 없는 모터를 모두 이용하더라도 상기 모터의 커버(26)를 변경하는 것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기어하우징(21)의 다용도성은 향상될 수 있고, 모터의 제조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브러쉬홀더(7) 및 제어회로부재(25)는 도7 내지 도9c의 브러쉬홀더(61) 및 제어회로부재(62)로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브러쉬홀더 (7)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의 브러쉬홀더(61)는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본체(61a), 돌출부(61b) 및 커넥터부(61c)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쉬홀더(61)의 돌출부(61b)는 축방향 연장부(axially extending part)(61d)를 가진다. 상기 축방향 연장부(61d)는 브러쉬측 전도체(12) 및 커넥터측 전도체(13)의 내부접속단자(12a, 13a)의 베이스 단부(용접된 부품의 근처까지)를 지지한다. 상기 브러쉬홀더(61)의 돌출부(61b)에서, 상기 축방향 연장부(61d)로부터 회전샤프트(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계속 측면으로 연장하기 위하여 접촉돌출부(contacting projection)(61e)는 축방향 연장부(61d)의 회전샤프트(10)측(도7에서 좌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접촉돌출부(61e)는 축방향으로 축방향 연장부(61d)의 축의 중간 지점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돌출부(61e)의 선단면은 브러쉬홀더측 접촉부(61f)를 형성한다. 홀딩클로(holding claw)(61g)는 축방향 연장부(61d)의 회전샤프트(10)측(도7에서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축방향 연장부(61d)의 선단에 제공된다. 상기 홀딩클로(61g)의 돌출양은 상기 축방향 연장부(61d)의 선단으로부터 축방향 연장부(61d)의 베이스 단부측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요홈(groove)(61h)은 상기 접촉돌출부(61e)의 회전샤프트(10)측(도7에서 좌측)으로 브러쉬홀더(61)의 홀더본체(61a)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딩클로(61g) 및 요홈(61h)은 브러쉬홀더측 홀딩부(brush holder side holding portion)를 형성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브러쉬홀더(7)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서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는 일반적으로 홀더본체(61a)의 외주연면, 돌출부(61b) 및 커넥터부(61c)를 커버한다. 도8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브러쉬측 전도체(12) 및 커넥터측 전도체(13)의 내 부접속단자(12a, 13a)를 나타낸 커넥터부(61c)측(도7에서 우측)으로부터 본 브러쉬홀더(61)(방수부재(63)를 포함하는)의 측면도이다.
도7 및 도9a 내지 도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재(62)는 베이스(71), 히트싱크(72), 몰드 집적회로(73), 커패시터(74), 홀 소자부(hall element arrangement)(75) 및 복수개의 접속단자(76a, 76b)를 포함한다.
제어회로부재측 접촉부(71a)는 축방향으로 상기 브러쉬홀더측 접촉부(61f)(도7)와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71)에 형성된다. 홀딩홈(holding recess)(71b)은 홀딩클로(61g)와 결합되도록 베이스(71)에 형성된다. 상기 홀딩클로(61g)가 홀딩홈(71b)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제어회로부재(62)의 삽입방향으로부터 대향방향으로 상기 제어회로부재(62)의 운동은 제한된다.
상기 홀 소자부(75)는 제어회로부재(62)의 베이스(71)의 선단(71c)에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71)의 선단(71c)은, 제어회로부재(62)를 삽입방향으로 유도하는 베이스(71)의 유도단(leading end)이고, 회전샤프트(10)에 고정되는 센서자석(77)에 대응하게 위치된다. 도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 소자부(75)는 두개의 홀 소자(75a, 75b)를 포함한다. 상기 홀 소자(75a, 75b)는 연장베이스(elongated base)(71)의 선단(71c)의 평면(A)(도9b)과 평행하고 베이스(71)의 세로방향(도9b에서 상측-하측 방향)과 직교되게 대응하는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홀 소자(75a, 75b)는 센서자석(77)의 회전방향, 즉 상기 홀 소자(75a)의 출력과 홀 소자(75b)의 출력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한 회전샤프트(10)의 회전방향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두개의 홀 소자(75a, 75b)는, 두개의 홀 집적회로(hall IC)(미도시)로 각각 대체될 수 있고, 또는 두개의 홀 소자를 구비한 하나의 홀 집적회로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도1 내지 도6에 나타낸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상기 홀 소자(35)는 제어회로부재(25, 41)에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홀 소자(35)는 도7 내지 도9c에 나타낸 두개의 홀 소자(75a, 75b)(또는 대안으로 홀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홀 소자부(75)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홀 소자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회전샤프트(10)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도록 두개 또는 그 이상의 홀 소자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 내지 도9c에 나타낸 변형예에서, 상기 홀 소자부(75)는 베이스(71)의 평면(B)(도9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기회로부품(예를 들면, 몰드 집적회로(73) 및 커패시터(74)) 중 나머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71)의 선단(71c)은 일반적으로 평면인 베이스(71)의 본체(71d)의 평면(B)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상기 홀 소자부(75)는 베이스(71)의 세로방향(도9b에서 상측-하측 방향)으로 전기회로부품(예를 들면, 몰드 집적회로(73) 및 커패시터(74)) 중 나머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다. 상기 홀 소자부(75)를 제외한 베이스(71)의 선단(71c)의 팁부(tip)는 요홈(61h)(도7)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딩홈(71b) 및 선단(71c)은 제어회로부재측 홀딩부를 형성한다.
제어회로부재의 설치 단계에서, 본 실시예의 제어회로부재(62)는 수용홀(21f)을 통해서 기어하우징(21)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회로부재(62)의 제어회로부재측 접촉부(71a)는 축방향으로 브러쉬홀더측 접촉부(61f)와 접촉한다. 이 때, 상기 홀딩클로(61g)는 홀딩홈(71b)과 결합되고, 상기 제어회로부재 (62)의 선단(71c)은 요홈(61h)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부재(62)는 브러쉬홀더(61) 및 기어하우징(21)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서, 각 접속단자(76a, 76b)는 이에 대응하는 내부접속단자(12a, 13a)의 한 단자와 결합되어, 이들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접속 단계에서, 상기 개구부(21g)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방향으로 볼 경우에, 개구부(21g)를 통해서 보이는 각 접속단자(76a, 76b)는 이에 대응하는 내부접속단자(12a, 13a)(도8)의 한 단자와 레이저용접되어, 이들 사이는 전기적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5의 것과 유사한 커버(51)가 이용된다.
설치를 함에 따라, 상기 브러쉬홀더측 접촉부(61f)와 제어회로부재측 접촉부(71a)는 축방향으로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홀더(61)에 대한 제어회로부재(62)의 설치는 결합방향(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홀더측 접촉부(61f)와 제어회로부재측 접촉부(71a)는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제조 후, 상기 브러쉬홀더(61)측, 즉 도7의 상단측으로 제어회로부재를 가압하기 위하여 외력(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에 접속되는 접속단자(76a, 76b)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은 제한된다. 그 결과, 각 내부접속단자(12a, 13a)와 이에 대응하는 접속단자(76a, 76b) 간의 적절한 접속은 유지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단(71c)은 브러쉬홀더(61)의 요홈(61h)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홀 소자부(75)를 선단(71c)에 설치할 때의 정확성은 향상된다. 이로 인해, 상기 홀 소자부(75)의 설치정확성은 상기 센서자석(77)과 홀 소 자부(75)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으로 설치되며, 그로 인해 회전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으로 측정되게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단(71c)은 요홈(61h)에 끼워지고, 상기 홀딩클로(61g)는 홀딩홈(71b)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부재(62)는 브러쉬홀더(61)에 의해 지지, 즉 기어하우징(21)에 대해서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회로부재(62)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지점을 용접할 경우, 각 내부접속단자(12a, 13a)와 이에 대응하는 접속단자(76a, 76b) 간의 접속지점의 변위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접속지점을 연결할 때까지, 상기 제어회로부재(62)와 브러쉬홀더(61)(기어하우징(21)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는 장치를 제거 또는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재(62)는 브러쉬홀더(6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조 후, 상기 제어회로부재(62)에 외력(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에 접속되는 접속단자(76a, 76b)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은 감소 또는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각 내부접속단자(12a, 13a)와 이에 대응하는 접속단자(76a, 76b) 사이의 적절한 접속은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7 내지 도9c), 상기 홀딩클로(61g)와 요홈(61h)은 브러쉬홀더측 홀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홀딩홈(71b)과 선단(71c)은 제어회로부재측 홀딩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브러쉬측 홀딩부 및 제어회로부재측 홀딩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회로부재(62)는 브러쉬홀더(61)에 지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브러쉬홀더(61)에 대해 제어회로부재(62)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러쉬측 홀딩부와 제어회로부재측 홀딩부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다른 임의의 구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요홈(61h)(즉, 선단(71c)이 요홈(61h)에 끼워지는 구성)은 제거될 수 있고, 다른 두개의 홀딩클로와 이에 대응하는 두개의 홀딩홈은 브러쉬홀더(61)에 대해 제어회로부재(62)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도7 내지 도9c), 상기 제어회로부재(62)는 기어하우징(21)에 대해 제어회로부재(62)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러쉬홀더(61)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재(62)는 기어하우징(21)에 의해, 예를 들면 대응하는 구성(즉, 기어하우징에 제공되는 홀딩클로)에 의해 직접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도7 내지 도9c), 상기 제어회로부재(62)(제어회로부재측 접촉부(71a))는 축방향으로 브러쉬홀더(61)(브러쉬홀더측 접촉부(61f))와 접촉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재(62)(제어회로부재측 접촉부(71a))는 축방향과는 다른 임의의 방향으로 브러쉬홀더(61)(브러쉬홀더측 접촉부(61f))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회로부재가 경사지는, 즉 회전샤프트의 축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회로수용부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제어회로부재의 설치방향으로 브러쉬홀더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제어회로부재(25)에 의해 지지되는 홀 소자(35)는 상기 브러쉬홀더(7)의 홀더본체(7a)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 소자의 전도체의 단자는 상기 내부접속단자(12a, 13a)의 경우와 유사한 방법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홀 소자의 전도체의 단자에 대응하는 접속단자는 상기 접속 단자(36a, 36b)의 경우와 유사한 방법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자석(24a)은 클러치(24)에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자석은 웜샤프트(22)의 선단(도2에서 하단)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홀 소자는 센서자석에 대향되는 위치(도2에서 하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도7 내지 도9c에 나타낸 변형예에서, 상기 베이스(71)의 본체(71d)로부터 돌출되고 홀 소자부(75)를 지지하는 베이스(71)의 돌출된 선단(71c)의 평면(A)은 상기 베이스(71)(도9b)의 본체(71d)의 평면(B)와 평행하다. 또한, 도10 및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센서자석(77)의 위치, 방향 및/또는 형상에 따라서, 상기 홀 소자부(75)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방향으로 될 수 있고, 다른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71)의 본체(71d)로부터 돌출되고 홀 소자부(75)를 지지하는 베이스(71)의 돌출된 선단(71c)의 평면(A)은 상기 베이스(71)의 본체(71d)의 평면(B)에 비스듬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71)의 선단(71c)의 평면(A)은 상기 베이스(71)의 본체(71d)의 평면(B)에 직교될 수 있다. 또한, 도10 및 도11의 경우, 상기 기어하우징(21)의 개구부(21g)의 형상과 기어하우징(21)에 설치되는 제어회로부재(62)의 설치방향은 상기 센서자석(77)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홀 소자부(75)를 지지하는 베이스(71)의 돌출된 선단(71c)에 설치를 하는 적절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재(62) 및 브러쉬홀더(61)의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클로(61g)는 브러쉬홀더(61)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도 10 및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기 회전샤프트(10)의 축방향에 경사지는 경사 설치방향으로 제어회로부재(62)가 설치되도록 상기 홀딩홈(71b)은 베이스(7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회로부재(62)는, 기어하우징(21)에 압입끼워맞춰질 수 있고, 다른 적절한 방법에 의해 기어하우징(21)에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회로부재가 기어하우징에 설치된 상태에서 브러쉬 및 커넥터부는 제어회로부재의 전기회로부품(예를 들면, 몰드 집적회로 및 이와 같은 종류의 부품)에 용이하게 접속되고, 제어회로부재(전기회로부품)를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전력을 공급받도록 외부커넥터와 직접적으로 접속가능한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전력공급용브러쉬를 지지하는 브러쉬홀더를 포함하는 모터본체; 및
    상기 모터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브러쉬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 회로부재 설치개구부를 구비하는 기어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모터본체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구; 및 상기 기어하우징의 설치개구부를 통해 기어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본체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커넥터부 및 전력공급용브러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회로부재를 포함하는 감속장치
    를 포함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는
    상기 모터본체에 의해 구동되는 웜샤프트; 및
    상기 웜샤프트와 치합되는 웜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웜휠과 대향되는 웜샤프트의 일측단에 배치되는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는
    상기 모터본체에 의해 구동되는 웜샤프트; 및
    상기 웜샤프트와 치합되는 웜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전력공급용브러쉬와 커넥터부의 대응하는 하나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접속단자는 웜휠의 평면과 직교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는
    상기 모터본체에 의해 구동되는 웜샤프트; 및
    상기 웜샤프트와 치합되는 웜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모터본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몰드 집적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 집적회로의 평면은 웜휠의 평면에 직교하는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전력공급용브러쉬와 커넥터부의 대응하는 하나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접속단자는 설치개구부의 선형의 외연부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설치개구부를 통해 기어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접속단자가 보이도록 상기 기어하우징에 위치되는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개구부의 선형의 외연부에 직교하는 방향은
    상기 모터본체의 축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지고,
    상기 모터본체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지는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홀더는 하나 이상의 브러쉬홀더측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하나 이상의 브러쉬홀더측 접촉부 중의 대응하는 하나 와 각각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부재측 접촉부를 포함하는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홀더는 하나 이상의 브러쉬홀더측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브러쉬홀더에 대하여 제어회로부재를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브러쉬홀더측 홀딩부 중 대응하는 하나와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부재측 홀딩부를 포함하는
    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상기 모터본체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
    를 포함하는 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센서가 홀 소자인
    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의 설치개구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의 설치개구부와 커버 사이의 공간을 실링시키는 탄성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어회로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기 커버를 통해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부
    를 포함하는
    모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모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어회로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
    를 구비하는
    모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접촉부는 제어회로부재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모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기어하우징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브리딩홀
    을 포함하는
    모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일부는 기어하우징의 설치개구부를 통해 상기 기어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는 설치개구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어회로부재의 부분을 수용하는
    모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는
    상기 모터본체에 의해 구동되는 웜샤프트; 및
    상기 웜샤프트와 치합되는 웜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연장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모터본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전기회로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평면은 웜휠의 평면에 직교하는
    모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연장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접속단자;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본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전기회로부품
    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접속단자 중 하나 이상은 커넥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되며, 복수개의 접속단자 중 다른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전력공급용브러쉬의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기회로부품은 모터본체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센서는 베이스의 평면에 직교방향으로 복수개의 전기회로부품 중 나머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는
    모터.
  21. 커넥터부 및 복수개의 전력공급용브러쉬를 포함하는 모터본체; 및 제어회로부재를 구비하는 감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재는 연장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접속단자;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본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전기회로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전력을 공급받도록 외부커넥터와 접속가능하게 되며,
    상기 복수개의 접속단자 중 하나 이상은 커넥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되며, 복수개의 접속단자 중 다른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전력공급용브러쉬의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기회로부품은 모터본체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센서는 베이스의 평면에 직교방향으로 복수개의 전기회로부품 중 나머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는
    모터용 제어회로부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센서는
    상기 베이스의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전기회로부품 중 나머지로부터 떨어져 서 배치되는
    모터용 제어회로부재.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센서가 홀 소자인
    모터용 제어회로부재.
  24. 전력을 공급받도록 외부커넥터와 직접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되는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전력공급용브러쉬를 지지하는 브러쉬홀더를 모터본체에 설치하고;
    상기 모터본체 및 감속장치를 함께 조립하며;
    상기 브러쉬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한 기어하우징의 회로부재 설치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감속장치의 기어하우징에 제어회로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복수개의 접속단자의 각각이 커넥터부 및 전력공급용브러쉬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하는
    모터의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복수개의 접속단자의 각각의 접속은
    상기 제어회로부재의 복수개의 접속단자의 각각과 커넥터부의 복수개의 전도체 및 전력공급용브러쉬의 복수개의 전도체의 대응하는 하나의 내부접속단자 사이에서 접속용접을 포함하는
    모터의 제조방법.
KR1020050015583A 2004-02-24 2005-02-24 모터, 모터의 제어회로부재 및 모터의 제조방법 KR100909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48321 2004-02-24
JP2004048321 2004-02-24
JPJP-P-2004-00193831 2004-06-30
JP2004193831 2004-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178A true KR20060042178A (ko) 2006-05-12
KR100909104B1 KR100909104B1 (ko) 2009-07-23

Family

ID=3484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583A KR100909104B1 (ko) 2004-02-24 2005-02-24 모터, 모터의 제어회로부재 및 모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187095B2 (ko)
KR (1) KR100909104B1 (ko)
CN (1) CN1661885B (ko)
DE (1) DE102005008073B4 (ko)
FR (1) FR2869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95Y1 (ko) * 2010-07-16 2011-08-09 계양전기 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가지는 전동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8062A1 (de) * 2003-04-17 2004-11-11 Robert Bosch Gmbh Getriebe-Antriebseinheit mit Elektronik-Schnittstelle
US7187095B2 (en) * 2004-02-24 2007-03-06 Asmo Co., Ltd. Motor, control circuit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tor
US7579730B2 (en) * 2005-11-09 2009-08-25 Asmo Co., Ltd.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06017413A1 (de) * 2006-04-13 2007-10-25 Zf Friedrichshafen Ag Aktuator für ein zu betätigendes Bauteil eines Kraftfahrzeugs
JP2007329995A (ja) * 2006-06-06 2007-12-20 Asmo Co Ltd モータ
JP4886431B2 (ja) * 2006-08-31 2012-02-29 株式会社ミツバ 電動モ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DE102006055013A1 (de) * 2006-11-22 2008-05-29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träger zum Verbinden von elektrischen Funktionselementen
JP5093748B2 (ja) * 2007-03-01 2012-12-1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5007581B2 (ja) * 2007-03-01 2012-08-2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4560743B2 (ja) * 2008-01-25 2010-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DE202008001763U1 (de) * 2008-02-08 2009-06-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Antriebseinheit für einen elektrischen Fensterheber
JP5280932B2 (ja) * 2009-05-08 2013-09-04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DE202010017587U1 (de) * 2009-05-14 2012-02-2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Stellelement eines Kraftfahrzeugs
JP5394864B2 (ja) * 2009-09-10 2014-01-22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JP5063722B2 (ja) * 2010-03-19 2012-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式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672847B1 (ko) 2010-11-05 2016-11-16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JP5759719B2 (ja) * 2010-12-28 2015-08-05 アスモ株式会社 減速機付きブラシモータ
RU2549270C1 (ru) * 2011-11-04 2015-04-27 Мицуба Корпорейшн Электромотор-редуктор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DE102013006854A1 (de) * 2012-04-26 2013-10-31 Asmo Co., Ltd. Motor
USRE47564E1 (en) * 2012-04-26 2019-08-06 Denso Corporation Motor
DE102013209233A1 (de) * 2013-05-17 2014-11-20 Robert Bosch Gmbh Kontaktierungskomponente für ein Antriebsmodul, Antriebsmodu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ntaktierungskomponente
DE112014005305T5 (de) * 2013-11-21 2016-08-04 Mabuchi Motor Co., Ltd. Motor
JP6306947B2 (ja) * 2014-06-10 2018-04-04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ギヤボックス、減速機付モータおよびギヤボックスの製造方法
US9929627B2 (en) * 2014-11-03 2018-03-27 Goodrich Corporation Brushless motor with modular position sensor
JP6319848B2 (ja) 2015-02-25 2018-05-09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モータ装置
EP3407471B1 (de) * 2017-05-24 2021-07-21 IMS Gear SE & Co. KGaA Motor-getriebe-verbindungsanordnung,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fahrzeugen
JP6799163B2 (ja) * 2017-08-01 2020-12-09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減速機付きモータユニット
KR102101713B1 (ko) 2018-12-20 2020-04-20 계양전기 주식회사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
KR102101714B1 (ko) 2018-12-20 2020-04-20 계양전기 주식회사 모터의 브러시카드조립체
US11133719B2 (en) * 2019-06-26 2021-09-28 Atieva, Inc. Motor winding connector ring
JP7280763B2 (ja) * 2019-06-27 2023-05-24 Kyb株式会社 ウォームシャフト、ウォーム減速機及びウォームシャフトの製造方法
KR102187915B1 (ko) * 2019-11-19 2020-12-09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 액추에이터 조립체
JP2022023693A (ja) * 2020-07-27 2022-02-08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10905A1 (fr) * 1975-05-16 1976-12-10 Peugeot & Renault Dispositif essuie-vitre
EP0309853A1 (de) * 1987-09-30 1989-04-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tischer Impulsgeber für eine elektromotorische Antriebsanordnung
DE3838285C2 (de) * 1988-11-11 1996-09-12 Teves Gmbh Alfred Elektromotor, insbesondere elektrischer Kleinmotor zum Antrieb von Scheibenwischeranlagen in Kraftfahrzeugen
DE9006924U1 (ko) * 1989-07-11 1990-08-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De
JPH0348347A (ja) * 1989-07-14 1991-03-01 Fujitsu Ltd メモリチェック方式
JPH0386753U (ko) * 1989-12-18 1991-09-03
DE4217837B4 (de) * 1991-05-29 2006-04-27 Mitsubishi Denki K.K. Hermetisch abgeschlossenes Gehäuse
DE4225496A1 (de) * 1992-08-01 1994-02-03 Brose Fahrzeugteile Elektrische Antriebseinheit für Verstellsysteme in Kraftfahrzeugen
JPH07154947A (ja) 1993-11-29 1995-06-16 Nippondenso Co Ltd 電力用半導体装置
US6431026B1 (en) * 1995-06-25 2002-08-13 Itt Manfacturing Enterprises, Inc. Mechanism housing
JPH10225048A (ja) * 1997-01-31 1998-08-21 Mabuchi Motor Co Ltd 減速機付き小型モータ
DE19805185A1 (de) * 1998-02-10 1999-08-12 Bosch Gmbh Robert Antriebsvorrichtung, insbesondere zum Verstellen eines Schiebedachs eines Fahrzeugs
FR2776857B1 (fr) 1998-03-26 2000-06-16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Moteur electrique d'activation d'un organe fonctionnel de vehicule automobile
DE19858627A1 (de) * 1998-12-18 2000-06-21 Bosch Gmbh Robert Stellantrieb mit einem Elektromotor und mit einer Steuerelektronik
DE19916958A1 (de) * 1999-04-15 2000-10-19 Bosch Gmbh Robert Elektromotorischer Antrieb, insbesondere Fensterheber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DE10007696A1 (de) * 2000-02-19 2001-08-23 Bosch Gmbh Robert Elektromotoren, insbesondere zum Heben und Senken von Scheiben bei Kraftfahrzeugen
JP4387542B2 (ja) * 2000-02-29 2009-12-16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DE10020017B4 (de) * 2000-04-22 2010-04-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Elektromechanische Antriebsvorrichtung
DE10129234A1 (de) * 2000-06-21 2002-02-07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 Antriebseinheit
US6756711B2 (en) * 2000-12-27 2004-06-29 Asmo Co., Ltd. Motor having control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its rotation
DE10141244A1 (de) 2001-08-23 2003-03-13 Brose Fahrzeugteile Mechanische Schnittstellenvorrichtung
JP3987327B2 (ja) 2001-11-22 2007-10-10 アスモ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の駆動モータ
JP3593102B2 (ja) * 2002-01-08 2004-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6969933B2 (en) * 2002-01-22 2005-11-29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Electric motor drive system and method
FR2840123B1 (fr) * 2002-05-22 2004-08-27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ispositif de motoreduction et connecteur de motoreducteur
DE10342756B4 (de) * 2002-09-17 2016-10-06 Asmo Co., Ltd. Motor mit einem Steckergehäuse
US6927514B2 (en) * 2003-08-18 2005-08-09 C-Mac Invotronics Integrated actuator
US7187095B2 (en) * 2004-02-24 2007-03-06 Asmo Co., Ltd. Motor, control circuit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tor
US7579730B2 (en) * 2005-11-09 2009-08-25 Asmo Co., Ltd.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95Y1 (ko) * 2010-07-16 2011-08-09 계양전기 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가지는 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69167B1 (fr) 2007-02-16
US7187095B2 (en) 2007-03-06
DE102005008073B4 (de) 2014-01-16
KR100909104B1 (ko) 2009-07-23
US20050184606A1 (en) 2005-08-25
FR2869167A1 (fr) 2005-10-21
CN1661885B (zh) 2010-04-28
US7298062B2 (en) 2007-11-20
DE102005008073A1 (de) 2005-09-08
CN1661885A (zh) 2005-08-31
US20070120431A1 (en)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104B1 (ko) 모터, 모터의 제어회로부재 및 모터의 제조방법
US7511393B2 (en) Motor and brush holder thereof
US7579730B2 (en)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190095B2 (en) Motor
KR100633570B1 (ko) 모터
US7626293B2 (en) Motor having control circuit member
US7728470B2 (en) Electric motor
KR100622085B1 (ko) 감속장치를 갖는 전기모터
JP5026028B2 (ja)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4362421B2 (ja) モータ
JP4113043B2 (ja) モータ
JP4549817B2 (ja) 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652925B2 (ja) モータ及びモータの組立方法
JP4800980B2 (ja) モータ
JP4397903B2 (ja) 駆動装置用モータ
JP4417803B2 (ja) モータ
JP4397900B2 (ja) 駆動装置用モータ
JP4397901B2 (ja) 駆動装置用モータ
CN116260287A (zh) 收纳组装体
CN116231952A (zh) 电动马达模块
JP4397902B2 (ja) 駆動装置用モータ
JP2023082396A (ja) 電動モ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4732834B2 (ja) 回路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28960A (ja) モータの製造方法
JP2006254600A (ja) 回路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