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085B1 - 감속장치를 갖는 전기모터 - Google Patents

감속장치를 갖는 전기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085B1
KR100622085B1 KR1020030061940A KR20030061940A KR100622085B1 KR 100622085 B1 KR100622085 B1 KR 100622085B1 KR 1020030061940 A KR1020030061940 A KR 1020030061940A KR 20030061940 A KR20030061940 A KR 20030061940A KR 100622085 B1 KR100622085 B1 KR 100622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e
housing
housing cover
connector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186A (ko
Inventor
무라카미세이이치
오시로아키오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1862A external-priority patent/JP36455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1863A external-priority patent/JP36264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1864A external-priority patent/JP3645543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2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suppress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2K11/026Suppressors associated with brushes, brush holders or thei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2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suppress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2K11/028Suppressors associated with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8Manual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8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associated with geared commutator motors of the worm-and-whee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electric devices influencing the characteristic of, or controlling, the machine, e.g. with impedances or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공급단자(21, 22)를 포함하는 전기회로구성품들을 유지하는 유닛 플레이트(14)는 하우징(11)의 개구부(45)를 폐쇄하도록 그 하우징(11)에 연결된 하우징 커버(13)에 고정된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를 하우징 커버(13)에 설치할 경우,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에 의하여 유지된 각 전력공급단자(21, 22)의 제2단부(21b, 22b)는 외부 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하우징 커버(13)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외부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대략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벽(13c, 13d)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회전체(1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기회로구성품들(21-30)은 회전체(15)의 가동접점(31)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접점부(28b-30b)를 포함한다.
전기모터, 와이퍼, 유닛 플레이트, 하우징 커버, 하우징, 커넥터 하우징부

Description

감속장치를 갖는 전기모터{Electric motor having speed reducing mechanism}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의 하우징 커버측 구성품들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4는 본 발명의 하우징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5는 도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유닛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의 유닛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8a는 본 발명의 제1전력공급단자의 평면도.
도8b는 제1전력공급단자의 측면도.
도9는 하우징 커버와 유닛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10은 하우징 커버와 유닛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11은 도3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전기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모터본체 8: 웜
11: 하우징 12: 웜휠
13: 하우징 커버 13b: 커넥터 하우징부
14: 유닛 플레이트 14f: 수용홈
14g: 소음방지소자 수용홈 14h: 관찰공
15: 회전체 21, 22: 제1, 제2전력공급단자
21a, 22a: 모터 접속부 21b, 22b: 커넥터부
21c, 22c: 리드부 21e,22e: 슬릿
21g: 스파이크 21-30: 전기회로부품
26, 27: 제1, 제2캐패시터 28-30: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
28b-30b: 접촉부 31: 가동접점
본 발명은 감속장치를 갖는 전기모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차량의 와이퍼 시스템(wiper system)에 이용되는 종래에 제안된 일예의 모터는 하우징(기어 하우징) 및 하우징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감속장치 및 출력축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하우징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모터는 가동접점, 고정접점, 단자들 및 소음방지소자와 같은 전기회로구성품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출력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고정접점은 가동접점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심사미청구된 일본특허공보 제7-245904호(미국특허 제5,656,878호에 대응함)에서 제안된 이러한 모터에서, 수용부, 즉 수용케이스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외면(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대향되는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들 및 소음방지소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에 배치된 상기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에 대하여 상기 단자들 및 소음방지소자는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터는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는 커버를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예를 들면 밀폐제(sealant)를 부가하여 커버를 견고하게 밀봉하여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회로구성품들을 갖는 유닛(유닛 플레이트)을 포함하는 다른 모터가 제안된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하우징 및 하우징 커버 내측에 수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터에서, 상기 모터의 크기가 감소될 경우, 상기 유닛 플레이트 및 가동접점 사이의 공간은 감소된다. 그러므로, 상기 단자들 및 가동접점(이동부재) 사이의 전기절연을 달성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에 부착된 유닛 플레이트를 갖는 모터의 일예는 심사미청구된 일본특허공보 제8-275441호(미국특허 제5,691,585호에 대응함)에서 제안되었다. 상기 모터는 감속장치를 수용하는 케이스 프레임(즉,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케이스 커버(즉, 하우징 커버) 및 상기 케이스 커버의 내면에 부착된 지지 플레이트(즉, 유닛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커버는 커넥터하우징부(connecter housing part)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부는 폐쇄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tubul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 커넥터와 결합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독립되게 제공된 절반의 단자측 및 절반의 출력측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전력공급 커넥터단자를 포함하는 전기회로구성품들이 견고하게 고정된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케이스 커버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전력공급 커넥터단자는 커넥터하우징부에 수용된다. 상기 외부커넥터가 상기 커넥터하우징부에 끼워 맞추거나 결합될 경우, 상기 전력공급 커넥터단자는 외부 커넥터의 대응단자와 연결된다. 전술한 모터에서, 소정 형태를 갖는 접점 플레이트(즉, 가동접점)를 지지하는 축 지지장치 및 고정 돌기들은 상기 케이스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보다 자세하게는, 절반의 출력축 측)는 상기 축 지지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 및 상기 고정 돌기들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들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의 조립에 있어, 먼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케이스 커버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전력공급 커넥터단자들을 커넥터 하우징부로 안내하고 삽입하도록 위치된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그 지지 플레이트가 케이스 커버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방향으로 점차 경사지고, 상기 축 지지장치 및 고정 돌기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대응 관통홀들에 수용된다. 즉,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경사지고, 그 지지 플레이트가 전력공급 커넥터단자들을 커넥터 하우징부로 안내하 고 삽입되도록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 커버측으로 낮춰진다(즉, 케이스 컵측으로 근접한다). 그런 다음, 상기 경사진 지지 플레이트는 케이스 커버측으로 더 낮춰지면서(즉, 케이스 커버측으로 더 근접하면서), 축 지지장치 및 고정 돌기가 지지 플레이트의 대응 관통홀들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케이스 커버에 설치하도록 두 방향 이상의 이동이 동시에 실행되어야만 한다. 그 결과, 상기 모터에서의 설치동작은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 조립이 실행될 경우, 조립 장치(장치는 경사위치의 제어를 실행할 수 있어야 하고, 두 방향 이상의 이동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그 결과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에서, 상기 모터에 대하여 고정적인 고정접점부재들은 가동접점에 대하여 슬라이딩가능한 결합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배치로, 상기 출력축의 회전(각도)은 측정될 수 있다. 소정방식에 따른 고정접점부재들과 가동접점 간의 결합/분리를 통해, 와이퍼 암(wiper arm)(와이퍼 블레이드)은 차량 윈도우창의 하부 에지(edge)를 따라 위치된 소정 정지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와이퍼 암(와이퍼 블레이드)이 와이핑 위치(wiping positon)에 있더라도,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그러나, 상기 모터에서, 상기 가동접점은 하우징 커버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가동접점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하는 상기 고정접점부재들은 지지 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어서 하우징 커버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동접점과 고정접점부재들간의 위치관계는 지지 플레이트와 하우징 커버의 조립오차로 인한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가동접점과 고정접점부재들간의 위치관계가 소 정의 위치관계에서 벗어날 경우, 상기 가동접점과 고정접점부재들을 통해 측정되는 상기 출력축의 회전각도의 정확한 측정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와이퍼 모터의 경우에, 링크장치를 통해 소정의 정지위치에서 모터에 연결되는 와이퍼 암(와이퍼 블레이드)의 정지위치가 벗어나게 되며, 또한 상기 와이퍼 암의 역전환 위치가 벗어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기회로구성품들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가동접점 및 유닛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크기를 감소시키고 효과적인 전기절연을 할 수 있도록 한 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되, 상기 모터는 하우징 커버의 폐쇄방향으로 연장하는 관 형태로 형성된 커넥터하우징부가 제공되며, 상기 커넥터하우징부에 수용될 전력공급단자들이 상기 하우징커버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유닛 플레이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부재를 통해 측정되는 출력축의 회전각도의 정확한 측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 본체와, 상기 모터 본체에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감속장치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하우징 커버 및 상기 하우징에 대향하는 관계로 상기 하우징 커버에 고정된 유닛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 본체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브러시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장치는 회전자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며,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하우징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외부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방향으로 끼워 맞춰지는 커넥터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하우징부는 외부 커넥터의 끼워 맞춰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전기회로구성품들을 지지한다. 상기 복수개의 전기회로 구성품들은 제1 및 제2단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공급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각 전력공급단자의 제1단부는 복수개의 브러시중 대응하는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각 전력공급단자의 제2단부는 외부 커넥터의 대응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하우징 커버에 설치할 경우,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 의하여 유지된 각 전력공급단자의 제2단부가 커넥터하우징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외부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벽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 본체와, 상기 모터 본체에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감속장치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하우징 커버 및 상기 하우징에 대향되는 관계로 상기 하우징 커버에 고정된 유닛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본체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브러시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소장치는 회전자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고,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하우징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전기회로구성품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모터는 감속장치의 출력축의 회전으로 함께 회전되는 회전자(rotator)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고 소정 패턴(pattern)을 갖도록 형성되는 전도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가동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회전자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전기회로구성품들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접점부재를 포함한다. 각 고정접접부재는 상기 가동접점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시스템의 와이퍼 모터를 도1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는 모터 본체(2) 및 감속유닛(3)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 본체(2)는 컵(cup) 형상의 요크하우징(yoke housing)(4)과, 상기 요크하우징(4)의 내주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마그네트(5) 및 상기 요크하우징(4)에 수용된 회전자(6)(rotor)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6)는 회전축(7)을 포함한다. 상기 요크하우징(4)의 개방부로부터 돌출하는 회전축(7)의 선단측에 웜(worm)(8)이 형성된다.
감속유닛(3)은 하우징(11)(도2)과, 웜 휠(12)과, 하우징커버(13)와, 유닛 플레이트(14)(도6) 및 회전체(15)(도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웜(8) 및 웜 휠(12)은 감속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자(6)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1단 웜 감속장치를 포함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은 웜(8)을 수용하는 웜 수용홈(11a) 및 상기 웜 수용홈(11a)과 연통하는 휠 수용홈(11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에서, 상기 휠 수용홈(11b)의 내주벽 소정부는 하우징측 결합벽(11c)(이후에서 상세히 설명될)을 형성한다. 상기 웜(8)은 웜 수용홈(11a)에 수용된다. 상기 웜과 치합되는 웜 휠(12)은 휠 수용홈(11b)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도2는 하우징커버(13)가 제거되고, 웜(8)과 웜 휠(12)이 설치되지 않은 하우징(11)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웜 휠(12)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고정된 출력축(16)은 상기 하우징(11)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11d)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상기 웜 휠의 출력축은 예를 들면 링크메커니즘(미도시)을 통해 각 와이퍼암(wiper arm)(와이퍼 블레이드)에 연결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커버(13)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1)의 개구부(45)(즉, 웜 수용홈(11a) 및 휠 수용홈(11b))를 폐쇄하는 형태인 대략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닛플레이트(14)를 수용하기 위하여 유닛수용홈(13a)이 하우징커버(13)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 본체(2)로부터 대향하고, 경사진 휠 수용홈(11b)(도2)이 위치되는 하우징 커버(13)의 일측(도4에서 좌측 아래 경사진 측)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부(13b)가 연장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부(13b)는 웜 휠(12)측에서 회전축(7)(웜(8))의 축α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축 β1으로 연장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부(13b)는 유닛 수용홈(13a)의 바닥부와 연통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부(13b)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커버(13)의 폐쇄방향(즉, 도4의 평면에 직교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4에서 좌측 하방향으로 경사진 방향, 즉 아래에 설명될 커넥터 핀부의 삽입방향(유닛 플레이트(14)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β2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부(13b)는 외부 커넥터(미도시)와 결합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닛 수용홈(13a)의 내주연벽의 일부는 커넥터 하우징부(13b)의 연장방향(즉, 도4에서의 축β2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가이드벽(13c, 13d)(후술됨)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커버(13)에서, 상기 커버측 임시(temporal) 유지부(13e)는 모터 본체(2)가 고정되는 측(도4의 우측)에 형성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는 커넥터 하우징부(13b)의 연장방향(즉, 도4의 축β2 방향)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방향의 단면이 대략 말굽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유전재료(dielectric material)(수지재료)로 이루어지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닛 수용홈(13a)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에는 회전체(1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본 실시예의 회전지지장치는, 유닛 플레이트(14)의 길이방 향(즉, 도6에서 좌우방향 즉 축
Figure 112003033257388-pat00001
방향)으로의 유닛 플레이트 중심(14)인 유닛 플레이트(14)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된 위치에서 돌출된다. 도6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장치는 돌출된 스핀들(14a) 및 상기 스핀들(14a)의 주위에서 연장하는 주연벽(14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횡방향으로 대향된 유닛 플레이트(14)의 두 측면 중 하나(도6에서 상부측)인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제1측면(S1)은 유닛 플레이트(14)의 두 측면중 다른 하나(주연벽(14b)이 형성된 도6에서의 하부측)인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제2측면(S2)과 대략 평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측면(S1) 및 제2측면(S2)은 유닛 플레이트(15)의 길이방향 축
Figure 112003033257388-pat00002
의 방향에 대략 평행한다. 상기 제1측면(S1)과 제2측면(S2)사이의 거리는 하우징 커버(13)의 유닛 수용홈(13a)에서의 제1가이드벽(13c)과 제2가이드벽(13d)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측면(S1)의 길이는 제1가이드벽(13c)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2측면(S2)의 길이는 제2가이드벽(13d)의 길이보다 짧다. 즉,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14)가 유닛 수용홈(13a)에 수용될 경우, 제1 및 제2측면(S1)(S2)이 각각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길이방향축
Figure 112003033257388-pat00003
는 커넥터 하우징부(13b)의 연장방향에 일치하는 축β2에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닛 플레이트(14)가 유닛 수용홈(13a)에 수용될 경우, 상기 유닛 플레 이트(14)는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하우징커버(13)의 폐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커넥터 하우징부(13b)의 연장방향과 일치하는 축β2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유닛 플레이트(14)의 가이드단부 위치에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커버(13)를 함께 임시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와 결합하는 유닛측 임시(temporal) 유지부(14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임시 유지"라 함은, 예를 들면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의 운반중에라도, 조립된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를 서로 분리시키지 않고 조립된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의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임시적으로 조립된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하우징커버(13)가 하우징(11)에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 커넥터 하우징부(13b) 및 유닛 플레이트(14)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측 단부는 임시 유지장치를 형성하도록 서로 협력한다.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는 그의 선단부에 클로(claw)를 구비한다. 즉, 상기 유닛 플레이트(14)가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를 따라 가이드될 때, 먼저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클로(14d)가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로 삽입되도록 벤딩된다. 또한, 상기 유닛 플 레이트(14)가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을 따라 가이드 단부 위치로 가이드될 경우(즉, 상기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를 통해 클로(14d)가 통과된 바로 직후), 상기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의 벤딩은 해제되어, 상기 클로(14d)는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에 결합되고, 상기 클로(14d)를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가이드 단부 위치에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측 단부는 커넥터 하우징부(13b)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가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를 따라 가이드 단부 위치로 가이드될 경우, 상기 하우징 커버(13)로부터 유닛 플레이트(14)의 예기치 않은 분리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커버(13)의 폐쇄방향(도10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 및 가이드방향(도4에서 좌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고, 축β2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유닛 플레이트(14)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임시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결합벽(14e)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13)가 유닛 플레이트(14)에 유지될 경우(임시적으로 유지될 때), 상기 결합벽(14e)은 가이드방향(즉, 외부 커넥터가 맞춰 끼워지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는 방향)으로 유닛 플레이트(14)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우징(11)의 결합벽(11c)(도2)과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벽(11c) 및 결합벽(14e)은 단일 제한장치를 형성하도록 서로 협력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에 의하여 가이된 유닛 플레이트(14)의 가이드 단부 위치에서, 본 실시예의 결합벽(14e)은 커넥터 하우징부(13b)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결합벽(14e)은, 하우징(11)의 개구 부(45)가 하우징커버(13)에 의하여 폐쇄될 경우, 그들 사이에 결합벽(11c)을 유지하기 위하여 위치되는 한 쌍의 결합벽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하우징 커버(13)가 하우징(11)에 설치될 경우,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유지되면서, 가이드방향(즉, 도10에서 좌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고, 축β2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유닛 플레이트(14)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회로구성품들은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와, 제1 내지 제2고정접점단자(23-25)와, 제1, 제2캐패시터(노이즈방지소자로서 기능)(26)(27) 및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 이외의 전기회로구성품(21-27)은 하우징커버(13)에 대향하는 유닛 플레이트(14)의 일면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의 각 일단부(제1단부)는 모터 본체(2)에 배치된 대응하는 전력공급브러시(43)(44)의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의 각 타단부(제2단부)는 커넥터 하우징부(13b)와 결합된 외부 커넥터의 대응하는 단자에 연결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전력공급단자(21)는 대략 편평한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모터 연결부(21a)와, 커넥터핀부(21b) 및 리드부(21c)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연결부(21a)는 제1전력공급단자(21)의 일단부로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핀부(21b)는 제1전력공급단자(21)의 타단부로서 형성되며, 커넥터하우징부(13b)에 수용된다. 상기 리드부(21c)는 모터연결부(21a)와 커넥터핀부(21b) 사이에 연결된다. 도8a 및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부(21d)는 벤딩되며, 유닛 플레이트(14)의 일부분에 결합된 지지결합부로서 기능하는 제1전력공급단자(21)의 커넥터핀부(타단부)(21b)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전력공급단자(21)의 리드부(12c)에 슬릿(21e)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21e)은 그로 삽입되는 소음방지소자(제1 및 제2캐페시터(26)(27))의 대응단자들에 클램핑(clampling)(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슬릿(21e)은 상기 리드부(21c)의 평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만곡도는 대응 돌기(21f)의 일단을 컷팅(cutting)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스파이크(spike)(21g)는 편평한 금속판의 폭방향(즉, 상기 편평한 금속판의 평면에서 그 금속판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파이크(21g)는 상기 제1전력공급단자(21)의 단부들 각각에 형성된다. 상기 제2전력공급단자(22)는 제1전력공급단자(21)와 대체로 동일한 유사한 구성(즉, 모터연결부(22a), 커넥터핀부(22b), 리드부(22c), 크랭크부, 슬릿(22) 및 스파이크(22g)가 제공된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제2전력공급단자(2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는 그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의 각 일단부가 유닛플레이트(14)의 중간지점에 배치되고, 그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의 각 타단부가 커넥터하우징부(13b)와 결합되는 외부 커넥터의 대응 단자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 각각은 대략 편평한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고정접점 접속부(23a-25a)(도6참조)와, 커넥터핀부(23b-25b), 및 리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접점 접속부(23a-25a)는 고정접점단자(23-25)의 일단부로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핀부(23b-25b)는 고정접점단 자(23-25)의 타단부로서 형성되고, 커넥터하우징부(13b)에 수용된다. 상기 리드부는 고정접점 접속부(23a-25a)와 커넥터핀부(23b-25b)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 각각은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의 스파이크와 유사한 스파이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접점단자(23)는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의 슬릿(21e)(22e)에 대응하는 위치로 연장하는 연장부(23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23c)는 슬릿(21e)(22e)과 유사한 슬릿(23d)을 포함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전력공급단자(21)(22) 및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수용부)(14f)은 상기 하우징커버(13)에 대향하는 유닛플레이트(14)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전기회로구성품(21-25)의 수용홈(14f) 및 스파이크(21g)는 결합가능한 유지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제1, 제2전력공급단자(21)(22) 및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는 수용홈(14f)에 수용되고, 상기 수용홈(14f)의 대응하는 내벽부에 각 스파이크(21g)가 결합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제2전력공급단자(21)(22)의 커넥터핀부(21b)(22b) 및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의 커넥터핀부(23b-25b)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측 단부에서 돌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캐패시터(26)(27)는 전력공급브러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거나 방지(감쇠)한다. 상기 하우징커버(13)와 대향하는 유닛플레이트(14)의 일측면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캐패시터(26)(27)를 수용할 수 있고 설치가능한 위치로서 제공되는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이 형성된다. 본 실 시예에서, 각각 상기 대응하는 캐패시터를 수용할 수 있는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은 세개이다. 상기 하우징커버(13)에 대향하지 않는 유닛플레이트(14)의 일면으로부터 대응하는 캐패시터(26)(27)의 존재를 관찰하여 체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각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의 저면을 통해 관찰공(14h)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캐패시터(26)(27)가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에 각각 수용될 경우, 상기 캐패시터(26)(27)의 단자들은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의 슬릿(21e)(22e)과 제1고정접점단자(23)의 슬릿에 의하여 클램핑된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이 제공되고 두개의 슬릿(21e)(22e)이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 각각에 형성되지만, 모터(1)는 3개의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을 두개로 하고, 각 전력공급단자(21)(22)의 2개의 슬릿(21e)(22e)을 하나만을 이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1)는 3개의 캐패시터를 구비한 형태에 대응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가 하우징커버(13)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제1, 제2전력공급단자(21)(22)와,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 및 제1, 제2캐패시터(26)(27)는 하우징 커버(13)와 결합되고(부분적으로 접촉하고), 그의 탈락 또는 그의 진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8-30) 각각은 대략 편평한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지지부(28a-30a)와, 접촉부(28b-30b)와, 레버부(28c-30c)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28a-30a) 및 접촉부(28b-30b)는 각각 고정접점부재(28-30)의 일단부 및 타단부이다. 상기 지지부(28a-30a)는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 중 대응하는 하나의 고정접점연결부(23a-25a)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부(23c-30c)는 지지부(28a-30a)와 접촉부(28b-30b)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레버부(28c-30c)는 탄성을 가지며, 유닛 플레이트(14)의 평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접촉부(28b-30b) 중, 접촉부(29b)는 유닛 플레이트(14)의 평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반구형상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접촉부(28b-30b)중, 접촉부(28b)(30b) 각각은 접점의 검출정도을 접촉부(29b)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응하는 레버부(28c)(30c)의 선단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전도성 핀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접촉부(28b-30b)는 스핀들(14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을 따라 정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닛 플레이트(14)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하우징 커버(13)의 유닛 수용홈(13a)으로 하방향으로 삽입되며(즉, 도9의 전방측으로부터 폐쇄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13)의 내면에 의하여 수용된다. 이 때,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제1, 제2전력공급단자(21)(22)와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의 커넥터 핀부(21b-25b)가 커넥터 하우징부(13b)에 대하여 충돌이 방지되고,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가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에 대하여 충돌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삽입된다. 또한, 이 때,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제1 및 제2 측면(S1)(S2)은 각각 하우징 커버(13)의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와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를 따라 가이드되고, 하우징 커버(13)의 폐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도9에서 좌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고 축β2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유닛 플레이트(14)가 가이드 단부위치에 다닿을 경우(즉, 유닛 플레이트(14)가 도10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의 클로(14d)는, 그 클로(14d)가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와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 중간지점 사이에서의 폐쇄방향(즉, 도10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결합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측 단부가 커넥터 하우징부(13b)으로의 삽입으로 인하여, 폐쇄방향으로의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이동은 제한된다. 그러므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하우징 커버(13)에 의하여 임시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이 때, 상기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와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의 커넥터 핀(21b-25b)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부(13b)로 수용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15)는 유닛 플레이트(14)의 회전지지장치(즉, 스핀들(14a) 및 주연벽(14b))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특히, 도3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5)는 디스크부(15a) 및 샤프트부(15c)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부(15c)는 디스크부(15a)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는 대략 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부(15c)는 그의 베이스 중심에 샤프트홀(15c)을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회전체(15)의 디스크부(15c)는 환형이고, 상기 회전체(15)의 샤프트부(15c)는 관벽(tubular wall)(관부)(15c1) 및 베이스벽(15c2)을 포함한다. 상기 관벽(15c1)의 일단부는 환형 디스부(15a)의 내주연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벽(15c2)은 관벽(15c2)의 타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한다. 상기 샤프트부(15c)의 베이스벽(15c2)은 회전체(15)의 회전축을 따라 베이스벽(15c2)을 통해 연장하는 샤프트홀(15b)을 구비한다. 소정 패턴(pattern)을 갖도록 형성된 전도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가동접점(도3에서 점선으로 나타냄)(31)은 상기 디스크부(15c)의 저면(15d)(즉, 샤프트부(15c)가 연장하는 측에 위치된 면)에 고정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핀들(14a)은 회전체(15)의 샤프트홀(15b)을 통해 수용되며, 상기 샤프트부(15c)의 관부(15c1)는 주연벽(14b)에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끼워맞춰지고, 상기 주연벽(14b)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런 다음,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핀들(14a)에 분리방지부재(와셔 등)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15)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의 접촉부(28b-30b)는 디스크부(15a)의 저면(15d)(가동접점(31))에 대하여 레버부(28c-30c)의 힘을 가함으로써 접촉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는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와 가동접점(32)의 접촉부(28b-30b) 간의 결합 및 분리를 통해 출력축(16)의 회전위치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와 회전체(15)에 고정되는 하우징 커버(13)는 하우징(11)의 개구부(45)(보다 자세하게는, 웜 수용홈(11a) 및 휠 수용홈(11b))를 폐쇄하도록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11)의 결합벽(11c)은 유닛 플레이트(14)의 두 결합벽(14e) 사이에 끼워 맞춰진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 커 버(13)의 폐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가이드방향)으로의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또한, 이 때, 상기 회전체(15)는 그 회전체(15)의 상면(15e)(즉, 웜휠(12)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된 면)에 제공된 연결돌기(15f)와 웜휠(12)에 제공된 연결돌기(미도시) 간의 결합을 통해 웜휠(12)(보다 자세하게는, 출력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음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모터(1)(와이퍼 모터)의 전기배선을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의 모터 연결부(21a)(22a)는 모터 본체(2)의 전력공급 브러시들(즉, 각 고속전력공급 브러시(43) 및 저속전력공급 브러시(44))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의 커넥터 핀부(21b)(22b)는 차량 운전자 좌석측에 제공된 전환스위치(41)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 본체(2)의 브러시 홀더부재(미도시)에 배치된 쵸크코일(choke coil)(C)은 제2전력공급단자(22)의 모터 연결부(22a)와 저속전력공급 브러시(44)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1고정접점단자(23)의 커넥터 핀부(23b)는 접지된다. 또한, 상기 모터 본체(2)의 접지 브러시(42)도 접지된다. 상기 제1 및 제3고정접점단자(24)(25)의 커넥터 핀부(24b)(25b)는 전환스위치(41)에 연결된다. 상기 제3고정접점단자(25)의 커넥터 핀부(25b)는 전원(E)(차량 배터리)에 연결된다.
상기 전환스위치(41)는 모터(1)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위치(P1)와, 상기 모터(1)를 저속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저속위치(P2) 및 상기 모터(1)를 고속으로 동작 시키기 위한 고속위치(P3)를 포함한다. 상기 정지위치(P1)에서, 상기 전환스위치(41)는 제2전력공급단자(22)와 제2고정접점단자(24)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저속위치(P2)에서, 상기 전환스위치(41)는 제2전력공급단자(22)를 전원(E) 및 제3고정접점단자(25)로 연결한다. 상기 고속위치(P3)에서는, 상기 전환스위치(41)는 제1전력공급단자(21)를 전원(E) 및 제3고정접점단자(25)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모터(1)에서, 상기 전환스위치(41)는 저속위치(P1)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저속전력공급 브러시(44)는 전원(E)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1)는 저속으로 동작한다. 즉, 상기 웜휠(12) 및 회전체(15)는 저속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각 와이퍼 암(각 와이퍼 블레이드)는 예를 들면 링크메커니즘을 통해 동작되어, 저속으로 와이핑(wiping) 동작(왕복이동)을 실행한다.
상기 전환스위치(41)가 고속위치(P3)로 전환될 경우, 고속전력공급 브러시(43)는 전원(E)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1)는 고속으로 동작한다. 즉, 상기 웜휠(12)과 회전체(15)는 고속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상기 와이퍼 암(와이퍼 블레이드)은 예를 들면 링크메커니즘을 통해 동작하고, 와이핑 동작(왕복 이동)을 실행한다.
상기 전환스위치(41)가 저속위치(P2) 또는 고속위치(P3)에서 정지위치(P1)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저속전력공급 브러시(44)(제2전력공급단자(22)) 및 제2고정접점단자(24)는 서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가동접점(31)(웜휠(12))이 소정각도위치(접촉부(28b)와 접촉부(29b) 사이를 연결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저속전력공급단자(24)에 연결된 제2고정접점단자(24)는 제1고정접점단자(23)를 통해 접지 브러시(42)로연결되고, 접지되어(도12 참조), 상기 모터(1)는 정지된다. 또한, 이 때, 상기 가동접점(31)(웜휠(12))이 소정각도위치에서 위치변경되어 접점부(29b)와 접점부(30b) 간을 연결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저속전력공급 브러시(44)에 연결된 제2고정접점단자(24)는 전원(E)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1)는 저속으로 동작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가동접점(31)(웜휠(12))이 소정각도위치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저속전력공급 브러시(44)에 연결된 제2고정접점단자(24)는 제1고정접점단자(23)를 통해 접지 브러시에 연결되고 접지되어(12 참조), 상기 모터(1)는 정지된다. 상기 가동접점(31)(웜휠(12))이 소정각도위치(도12에 도시한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와이퍼 암(와이퍼 블레이드)은 전방 윈도우창(windshield)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된 소정정지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환스위치(41)가 저속위치(P2) 또는 고속위치(P3)로부터 정지위치(P1)로 전환될 경우, 상기 와이퍼 암(와이퍼 블레이드)은 전방윈도우창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된 소정 정지위치로 이동한 다음,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1) 하우징 커버(13)는, 커넥터 하우징부(13b)에 커넥터 핀부(21b-25b)를 가이드하고 위치시키기 위하여, 폐쇄방향에 직교하고, 외부커넥터를 끼워 맞추는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즉, 도9에서 좌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고, 축β2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유닛 플레이트(14)를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를 제1 및 제2가이드벽(13a)(13d)에 단순히 결합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벽(13a)(13d)을 따라 유닛 플레이트(14) 를 단순히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하우징 커버(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설치는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자동 조립의 경우 대응하는 조립장치는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립장치는 유닛 플레이트(14)를 제1가이드벽(13c)과 제2가이드벽(13d)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를 폐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을 필요로 한다(즉, 상기 조립장치는 각각 직교하는 두 방향으로의 단순한 이동을 실행하는 것만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가 폐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그러므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사전위치 제어 없이 폐쇄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를 이동시키는 것만이 요구된다.
2)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에 의하여 가이드된 유닛 플레이트(14)의 가이드 단부위치에, 상기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 및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는 서로 결합되고,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측 단부는 커넥터 하우징부(13b)에 끼워 맞춰져,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는 서로 임시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가 서로 조립되는 조립 상태에서(즉, 유닛 플레이트(14)가 결합된 하우징 커버(13)가 하우징(11)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의 취급은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는 그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가 운반되는 경우라도 서 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와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간의 결합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측 단부와 커넥터 하우징부(13b) 간의 결합은 유닛 플레이트(14)를 가이드 단부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한 임시 유지는 임시 유지를 이루기 위한 다른 동작의 실행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3) 유닛 플레이트(14)에 고정된 하우징 커버(13)가 하우징(11)에 고정될 경우, 상기 하우징(11)의 결합벽(11c)은 유닛 플레이트(14)의 두 결합벽(14e) 사이에 끼워 맞춰진다(결합된다). 이와 같이 다른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가이드방향으로의 이동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한(방지)될 수 있다.
4) 유닛 플레이트(14)의 대응부와 결합하는 크랭크부(21d)(지지 결합부)는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벤딩되고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 각각의 커넥터 핀(21b)(22b)측(타단부)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외부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 가해지는 작용력은 크랭크부(21d)에서 받게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 각각의 모터 연결부(21a)(22a)가 만곡되거나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이동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결합벽(14e)은 커넥터 하우징부(13b)에 인접하게(크랭크부(21d)에 인접하게) 배열되어, 외부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 상기 유닛 플레이트 전체에 가해지는 상대적으로 큰 힘은 제한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와 같은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약한 부분에 상대적으로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 으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14)가 만곡되거나 변형 또는 손상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커넥터가 모터 연결부(21a)(22a)으로 끼워 맞춰질 때 커넥터 핀부(21a)(22a)로 가해지는 외력의 전달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지지 결합부는 크랭크부(21d)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 결합부가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반면, 외부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 가해지는 상대적으로 큰 힘은 지지 결합부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5) 가동접점(31)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접촉부(28b-30b)를 각각 구비한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는 유닛 플레이트(14)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동접점(31)을 갖는 회전체(1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장치(즉, 스핀들(14a) 및 주연벽(14b))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가동접점(31) 및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간의 위치관계는 유닛 플레이트(14)의 조립오차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가동접점(31) 및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를 통해 측정되는 출력축(웜휠(12))의 정확한 회전각도 측정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메커니즘을 통해 모터에 결합된 각 와이퍼 암(와이퍼 블레이드)은 높은 정확성을 갖고 소정 정지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6) 회전체(15)의 샤프트부(15c)의 관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끼워 맞춰지고 유닛 플레이트(14)의 주연벽(14b)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스핀들(14a)에 대하여 회전체(15)를 이탈하도록 하는 가압력을 제1 내지 제3고접점부재(28-30)로부터 회전체(15)가 받더라도, 상기 회전체(15)의 회전축의 경사는 방 지된다. 그 결과, 상기 가동접점(31) 및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를 통해 측정되는 출력축(웜휠(12))의 정확한 회전각도 측정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7) 지지회전장치(스핀들(14a) 및 주연벽(14b))가 유닛 플레이트(14)에 제공되기 때문에, 유닛 플레이트(14)를 하우징 커버(13)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그러므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제1, 제2전력공급단자(21)(22) 및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의 커넥터 핀부(21b-25b)가 커넥터 하우징부(13b)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회전지지장치가 하우징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종래기술(일본 특개평8-275441호)의 경우, 상기 회전지지장치는 후술하는 유닛 플레이트의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유닛 플레이트는 폐쇄방향으로의 유닛 플레이트의 이동 및 폐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유닛 플레이트의 이동과 같은 유닛 플레이트의 단순한 방향 이동을 통해 하우징 커버에 설치될 수 없다.
8)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 이외의 전기회로구성품들(21-27)은 하우징 커버(13)에 대향하는, 즉 가동접점(31)에 대향하지 않는 유닛 플레이트(14)의 일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모터(1)의 크기가 예를 들면 유닛 플레이트(14)와 가동접점(31)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되더라도, 상기 제1 내지 제3고정접접부재(28-30) 이외의 전기회로구성품들(21-27)과 가동접점(31) 사이의 간섭은 방지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성으로 이들 사이를 전기절연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동접점(31)과 유닛 플레이트(14) 사이의 거리가 예를 들면 차량의 진동으로 인하여 소정값으로부터 약간 벗어나는 경우라도, 상기 가동접점(31)과 전기회로구 성품들(21-27)간의 전기적 절연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9) 유닛 플레이트(14)는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 및 제1, 제2캐패시터(26)(27) 이외의 전기회로구성품들(즉, 제1, 제2전력공급단자(21)(22) 및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4f)을 포함한다. 또한, 편평한 금속판의 폭방향으로 돌출한 스파이크(21g)는 전기회로구성품들(21-25)에 제공된다. 상기 전기회로구성품들(21-25)의 스파이크(21g)는 전기회로구성품들(21-25)이 수용홈(14f)으로 설치됨으로써 유닛 플레이트(14)의 수용홈(14f)과 결합되어, 상기 전기회로구성품들(21-25) 및 유닛 플레이트(14) 모두는 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기회로구성품들(21-25)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10) 유닛 플레이트(14)(보다 자세하게는,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은 하우징 커버(13)에 대향하지 않는, 즉 가동접점(31)에 대향하는 유닛 플레이트(14)의 타측면(제2면)으로부터 제1 및 제2캐패시터(26)(27)의 존재를 육안으로 체크할 수 있는 관찰공(14h)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가 하우징 커버(13)에 고정되고, 전지회로구성품들(21-27)이 배치되는 유닛 플레이트(14)의 일측면이 하우징 커버(13)의 내측면에 대향하는 경우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캐패시터(26)(27)의 존재는 육안으로 체크(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관찰공(14h)이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의 대응하는 하나에 제공되기 때문에(즉, 각 관찰공(14h)이 캐패시터의 대응하는 하나에 제공됨), 상기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에 실질적으로 수용된 캐패시터의 개수를 육안으로 쉽게 체크(즉,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모터(1)는 두 개의 캐패시터(즉, 제1 및 제2캐패시터(26)(27)) 를 갖도록 구성되지만, 이러한 모터와, 동일 형태의 유닛 플레이트(14)에 캐패시터를 3개 구비한(즉, 3개의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에 캐패시터가 각각 수용됨) 모터와, 유닛 플레이트(14)를 하우징 커버(13)에 고정한 형태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11) 편평한 금속판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 각각은 모터 연결부(21a)(22a)와 커넥터 핀부(21b)(22b) 사이를 연결하도록 그들 사이에 위치된 리드부(21c)(22c)에 제공되는 슬릿(21e)(22e)을 포함하며, 삽입을 통해 제1 및 제2캐패시터의 대응하는 단자드을 클램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솔더링(soldering)에 의한 제1 및 제2캐패시터(즉, 소음방지소자) 단자들을 고정시킬 필요없이, 제1 및 제2캐패시터(26)(27)를 용이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12) 유닛 플레이트(14)가 하우징 커버(13)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와,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 및 제1, 제2캐패시터(26)(27)는 하우징 커버(13)와 결합되며, 이탈 및 진동발생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 이외의 전기회로구성품들의 이탈은 다른 부재의 제공없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유닛 플레이트(14) 및 하우징 커버(13)는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와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의 결합 및 유닛 플레이트(14)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측 단부의 커넥터 하우징부(13b)로의 삽입을 통해 서로 임시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유닛 플레이트(14) 및 하우징 커버(13)는 어떠한 다른 장치 를 통해 서로 임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는 클로(14d) 없이 변형성이 없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폐쇄방향으로만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와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측 단부는 커넥터 하우징부(13b)로 약간 압입(press-fitting)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닛 플레이트(14)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측 단부의 "약간의 압입(lightly press fitting)"의 의미는, 예를 들면 운송중이더라도,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측 단부가 커넥터 하우징부(13b)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수준에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커넥터 하우징부(13b)측 단부를 커넥터 하우징부(13b)로 압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는 클로(14d) 없이 변형성이 없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로 약간 압입(예를 들면 운송중이더라도, 분리되지 않는 수준에서 압입)될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더라도, 상기 유닛 플레이트(14) 및 하우징 커버(13)는 임시적으로 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측 유지부의 형태는 단순화될 수 있고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산 실시예의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연장되기 때문에, 전체 유닛 플레이트(14)는 소정 강도(rigidity)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가 변형되지 않는 유지부(14c)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 및 서로 임시적으로 유지된다. 그러 나, 상기 유닛 플레이트(14) 및 하우징 커버(13)는 그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를 서로 임시적으로 유지시키지 않도록(즉,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는 유닛측 임시 유지부(14c) 및 커버측 임시 유지부(13e)를 제공하지 않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되더라도, 상기한 (1), (3)-(12)의 작용효과에서 제안한 유사한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와 하우징 커버(13)는 단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커버(13)가 하우징(11)에 고정될 경우, 상기 하우징(11)의 결합벽(11c)은 유닛 플레이트(14)의 두 결합벽(14e) 사이에 끼워 맞춰진다. 그러나, 상기 유닛 플레이트(14)의 가이드방향으로의 이동이 하우징 커버(13)에 의하여 하우징(11)의 개구부(45)의 폐쇄를 제한하는 한, 상기 구성은 어떠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될 경우라도, 상기한 실시예에 대하여 제안한 작용효과와 유사한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은 하우징 커버(13)에 의하여 하우징(11)의 개구부(45)를 폐쇄할 필요없이 유닛 플레이트(14)를 가이드방향으로 제한하는 어떠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커넥터를 모터 연결부(21a)(22a)에 끼워 맞출 때 커넥터 핀부(21b)(22b)로 가해지는 외력의 전달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지지 결합부가 유닛 플레이트(14)에 결합될 수 있는 한, 상기 실시예의 크랭크부(21d)는 지지 결합부의 어떠한 다른 형태(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 결합부(21d)는 유닛 플레이트(14)와 결합하는 편평한 금속판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 결합부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이더라도,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 각각의 모터 연 결부가 만곡되거나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회전체(15)는 돌출되는 대략 컵 형태로 형성된 샤프트부(15c)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부(15c)의 관부(15c1)는 회전체(1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닛 플레이트(14)의 주연벽(14b)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맞춰 끼워진다. 그러나, 상기 회전체(15)는 다른 어떠한 구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체(15)에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회전지지장치로서 제공되는 스핀들이 유닛 플레이트(14)에 형성되어 회전체(1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회전체(15)의 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되더라도, 상기한 (1)-(5), (7)-(12)에서 제안된 작용효과와 유사한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 이외의 전기구성부품들(21-27)은 유닛 플레이트(14)의 하우징 커버(13)에 대향하는, 즉 가동접점(31)에 대향되지 않은 유닛 플레이트(14)의 일면에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전기회로구성품들(21-27)은 어떠한 다른 형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회로구성품들(21-28)은 가동접점(31)이 대향되는 유닛 플레이트(14)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회로구성품들은 유닛 플레이트에 인서트 몰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되더라도, 상기한 (1)-(7)에서 제시한 작용효과와 유사한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보다 자세하게는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는 제1 및 제2캐패시터(26)(27)의 존재를 하우징 커버(13)에 대향하지 않는, 즉 가동접점(31)에 대향하는 유닛 플레이트(14)의 타면으로부터 육안으로 체 크할 수 있는 관찰공(14h)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유닛 플레이트(14)는 관찰공(14h)이 없는 유닛 플레이트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되더라도, 상기한 (1)-(9)에서 제안한 작용효과와 유사한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각 관찰공(14h)은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에 제공된다(즉, 각 관찰공(14h)은 캐패시터 중 대응하는 하나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관찰공(14h)은 육안 체크를 필요로 하는 요구된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예를 들면, 대응하는 형태에 따른 대응하는 캐패시터를 수용/비수용하는 소음방지소자 수용홈(14g))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모터에 실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어떠한 다른 장치에도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점(31) 및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는 출력축(웜휠(12))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모터 본체(2)에 전력공급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장치에서 실시될 경우, 가동접점(31) 및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는 출력축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각도를 나타내는 측정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유닛 플레이트(14)는 하우징 커버(13)에 대하여 유닛 플레이트(14)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하우징 커버(13)로 설치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 및 회전지지장치(즉, 스핀들(14a)과 주연벽(14b))가 제공되는 한, 유닛 플레이트는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 커버(13)에 설치되는 어떠한 다른 유형의 유닛 플레이트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되더라도, 상기한 (5), (6), (8)-(12)에서 제안한 작용효과와 유사한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단자들을 슬릿(21e)(22e)으로 삽입함으로써 제1 및 제2캐패시터(26)(27)가 클램핑될 수 있는 슬릿(21e)(22e)이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의 리드부(21c)(22c)에 형성된다. 그러나, 사기 제1 및 제2캐패시터(26)(27)는 다른 구성을 통해 유지 및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되더라도, 상기한 (1)-(10)에서 제시한 작용효과와 유사한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 이외의 전기회로구성품들(21-27)은 하우징 커버(13)와 결합(부분적으로 결합)되고, 유닛 플레이트(14)는 하우징 커버(13)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13)로부터 전기회로구성품들(21-27)의 분리는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 커버(13)로부터 전기회로구성품들(21-28)의 분리는 다른 구성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경되더라도, 상기한 (1)-(11)에서 제시한 작용효과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전력공급단자(21)(22),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단자(23-25) 및 제1 및 제2캐패시터(26)(27)는 제1 내지 제3고정접점부재(28-30) 이외의 전기회로구성품들(21-27)을 가르킨다. 그러나, 이들 전기회로구성품들은 유닛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다른 적적한 전기회로구성품들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쵸크 코일 및 반도체소자와 같은 전기회로구성품들이 유닛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쵸크 코일 및 반도체소자와 같은 전기회로구성품들은 유닛 플 레이트의 하우징 커버에 대향되는, 즉 가동접점(31)에 대향되지 않은 유닛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되더라도, 고정 접점부재(28-30) 이외 가동접점(31)과 전기회로구성품들(예를 들면, 쵸크 코일 및 반도체소자) 사이의 전기절연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은, 커넥터 핀부(21b-25b)가 커넥터 하우징부(13b)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유닛 플레이트(14)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하우징 커버(13)에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 커버는 제1 및 제2가이드벽(13c)(13d)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경되더라도, 상기한 (1)-(12)에서 제시한 작용효과와 유사한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감속장치를 갖는 전기모터는 전기회로 구성품들을 견고하게 유지하며, 크기를 감소시키고 효과적인 전기절연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닛 플레이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축의 정확한 회전각도 측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브러시를 포함하는 모터 본체;
    상기 모터 본체에 연결되며,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회전자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며,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감속장치;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그 하우징의 개구부를 폐쇄하며, 외부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방향으로 끼워 맞춰지는 커넥터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부는 상기 외부 커넥터의 끼워 맞춰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대향되게 상기 하우징 커버에 고정되며, 복수개의 전기회로구성품들을 유지하는 유닛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전기회로구성품들은 제1 및 제2단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전력공급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전력공급단자의 제1단부는 복수개의 브러시 중 대응하는 하나에 연결되고, 제2단부는 외부 커넥터의 대응하는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 커버에 설치 될 경우,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 유지되는 상기 각 전력공급단자의 제2단부가 커넥터 하우징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는 외부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벽을 더 포함하는
    전기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가 하나 이상의 가이드벽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단부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하우징 커버를 서로 임시적으로 유지하는 임시 유지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커버가 하우징에 연결될 경우, 상기 외부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딩 제한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제한장치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벽; 및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 커버가 하우징에 연결될 경우,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벽과 결합하는 하나의 이상의 결합벽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전력공급단자의 제2단부는, 상기 외부 커넥터가 커넥터 하우징부에 끼워 맞춰질 경우, 상기 전력공급단자의 제2단부를 통해 상기 외부 커넥터로부터 전력공급단자로의 외력 전달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지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결합벽은 각 전력공급단자의 지지 결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기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장치의 출력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며, 소정 패턴을 갖는 전도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가동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 의해 유지되는 복수개의 전기회로구성품은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각 고정접점은 상기 가동접점과 슬라이딩 결합가능한 접점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부재는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간을 결합 및 분리를 통해 출력축의 회전위치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되는 디스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로부터 연장하는 샤프트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지지장치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하는 주연벽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의 샤프트부는 회전지지장치의 주연벽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고, 회전지지장치의 주연벽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전기모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유전(dielectric)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측 면을 가지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제1측 면은 하우징 커버에 대향되고, 제2측 면은 가동접점에 대향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그 유닛 플레이트의 제1면 측에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부재 이외 복수개의 전기회로구성품들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전기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기회로구성품은 전기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소음방지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각 소음방지소자의 존재를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제2측 면으로부터 육안으로 체크할 수 있는
    전기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장치의 출력축으로부터 출력된 회전력에 의하여 차량의 윈드실드를 와이핑하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왕복운동시키는
    전기모터.
  11.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브러시를 구비하는 모터 본체;
    상기 모터 본체에 연결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회전자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고,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감속장치;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그 하우징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대향되게 상기 하우징 커버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전기회로구성품을 유지하는 유닛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감속장치의 출력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며 소정 패턴을 갖도록 구성된 전도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가동접점을 구비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기회로구성품은 상기 가동접점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되는 디스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로부터 연장하는 샤프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지지장치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하는 주연벽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샤프트부는 상기 회전지지장치의 주연벽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지지장치의 주연벽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전기모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디스크부는 환형이고;
    상기 회전체의 샤프트부는 관벽 및 베이스벽을 구비하고, 상기 관벽의 일단부는 상기 환형 디스크부의 내주연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벽은 상기 관벽의 타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샤프트부의 베이스벽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베이스벽을 통해 연장하는 샤프트공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지지장치는 그 회전지지장치의 주연벽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회전체의 회전축을 따라 유닛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샤프트부의 베이스벽의 샤프트공을 통해 수용되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전기모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유전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커버에 대향되는 제1측 면과 상기 가동접점에 대향되는 제2측 면을 구비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상기 제1측 면에 제공된 수용홈을 포함하고, 하나의 이상의 고정접점부재 이외의 전기회로구성품들을 수용하는
    전기모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기회로구성품은 전기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소음방지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그 유닛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각 소음방지소자의 존재를 유닛 플레이트의 제2측 면으로부터 육안으로 체크할 수 있는 하나의 이상의 관찰공을 포함하는
    전기모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회로구성품은 제1 및 제2단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전력공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부는 복수개의 브러시 중 대응하는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2단부는 외부 커넥터의 대응하는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외부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방향으로 끼워 맞춰지는 커넥터 하우징부;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하우징 커버에 삽입할 경우,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 의하여 유지된 각 전력공급단자의 제2단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전기모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가 하나 이상의 가이드벽을 따라 유닛 플레이트의 가이드되는 가이드 단부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하우징 커버를 함께임시적으로 유지하는 임시 유지장치를 포하하는
    전기모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커버가 하우징에 연결될 경우, 상기 외부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딩 제한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제한장치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결합벽; 및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상기 하우징 커버가 하우징에 연결될 때,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결합벽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벽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전력공급단자의 제2단부는, 상기 외부 커넥터가 커넥터 하우징부에 끼워 맞춰질 경우, 상기 외부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력공급단자의 제2단부를 통해 상기 전력공급단자의 제1단부로 외력의 전달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결합벽은 각 전력공급단자의 지지결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기모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장치의 출력축은 하나 이상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장치의 출력축으로부터 출력된 회전력은 하나 이상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왕복운동시키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부재는,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부재의 접촉부와 가동접점
    간의 결합 및 분리를 통해 상기 출력축의 회전위치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부재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를 기초로 한 윈드실드의 소정 정지위치에서 정지되는
    전기모터.
KR1020030061940A 2002-09-06 2003-09-04 감속장치를 갖는 전기모터 KR100622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1862A JP3645542B2 (ja) 2002-09-06 2002-09-06 モータ及びワイパ用モータ
JPJP-P-2002-00261862 2002-09-06
JP2002261863A JP3626479B2 (ja) 2002-09-06 2002-09-06 モータ及びワイパ用モータ
JP2002261864A JP3645543B2 (ja) 2002-09-06 2002-09-06 モータ及びワイパ用モータ
JPJP-P-2002-00261863 2002-09-06
JPJP-P-2002-00261864 2002-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186A KR20040022186A (ko) 2004-03-11
KR100622085B1 true KR100622085B1 (ko) 2006-09-08

Family

ID=3172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940A KR100622085B1 (ko) 2002-09-06 2003-09-04 감속장치를 갖는 전기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03687B2 (ko)
EP (1) EP1396923B1 (ko)
KR (1) KR100622085B1 (ko)
CN (1) CN10049931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3203B1 (en) * 1999-07-22 2005-12-06 Swisscom Mobile Ag Transaction method and suitable device therefor
US7345389B2 (en) * 2004-05-24 2008-03-18 Alps Electric Co., Ltd. Motor, motor having encoder, and multi-direction input device
JP4274473B2 (ja) * 2004-06-14 2009-06-10 ミネベア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4545495B2 (ja) * 2004-06-18 2010-09-15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DE102006045929A1 (de) * 2006-09-28 2008-04-03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träger zur Aufnahme von Motorelektronik
JP5926892B2 (ja) * 2011-04-11 2016-05-25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の製造方法
JP5901959B2 (ja) 2011-12-20 2016-04-13 アスモ株式会社 接点端子の製造方法
CN203056774U (zh) * 2012-10-12 2013-07-10 博世汽车部件(长沙)有限公司 刮水器电机以及具有这种电机的刮水器
DE102013212230A1 (de) * 2013-06-26 2014-12-31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Antriebseinrichtung
JP6313618B2 (ja) * 2014-03-19 2018-04-18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モータ
JP6528642B2 (ja) * 2015-10-27 2019-06-12 スズキ株式会社 電動二輪車の駆動装置および電動二輪車の駆動装置の組立方法
CN115149700A (zh) 2021-03-31 2022-10-04 日本电产株式会社 有刷马达和电气产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441A (ja) * 1995-03-28 1996-10-18 Mitsuba Electric Mfg Co Ltd 減速機構付き電動モータにおけるターミナル接続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1948A1 (de) * 1980-06-12 1981-12-24 Rau Swf Autozubehoer Elektrische antriebseinheit, insbesondere fuer scheibenwischer eines kraftfahrzeuges
DE3235622A1 (de) * 1982-09-25 1984-03-29 SWF-Spezialfabrik für Autozubehör Gustav Rau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Elektrischer kleinmotor, insbesondere fuer scheibenwischanlagen in kraftfahrzeugen
US5204565A (en) * 1990-11-21 1993-04-20 Jidosha Denki Kogyo Kabushiki Kaisha Small-sized electric motor with connector for power supply
JPH04128069U (ja) * 1991-05-14 1992-11-20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モータ
JPH07245904A (ja) * 1994-03-07 1995-09-19 Asmo Co Ltd モータの端子装置
JP3311173B2 (ja) * 1994-10-12 2002-08-05 アスモ株式会社 電気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FR2750812B1 (fr) * 1996-07-08 1999-04-02 Valeo Systemes Dessuyage Motoreducteur avec plaque porte-lamelles
DE19805185A1 (de) * 1998-02-10 1999-08-12 Bosch Gmbh Robert Antriebsvorrichtung, insbesondere zum Verstellen eines Schiebedachs eines Fahrzeugs
JP2001268852A (ja) 2000-03-16 2001-09-28 Asmo Co Ltd モータ及びワイパ用モータ
US6756711B2 (en) * 2000-12-27 2004-06-29 Asmo Co., Ltd. Motor having control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its rot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441A (ja) * 1995-03-28 1996-10-18 Mitsuba Electric Mfg Co Ltd 減速機構付き電動モータにおけるターミナル接続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6923A2 (en) 2004-03-10
KR20040022186A (ko) 2004-03-11
EP1396923B1 (en) 2014-04-30
EP1396923A3 (en) 2006-08-30
CN100499317C (zh) 2009-06-10
US6803687B2 (en) 2004-10-12
US20040046465A1 (en) 2004-03-11
CN1492562A (zh)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104B1 (ko) 모터, 모터의 제어회로부재 및 모터의 제조방법
KR100622085B1 (ko) 감속장치를 갖는 전기모터
US9976333B2 (en) Adjusting drive, in particular window lifter drive
US7718951B2 (en) Encoder arrangement on a direct current motor
US7843105B2 (en) Brush holder component with ground contact plate
CN108370198B (zh) 用于刮水器马达的连接单元和刮水器马达
JP3645543B2 (ja) モータ及びワイパ用モータ
JP3626479B2 (ja) モータ及びワイパ用モータ
JP4087315B2 (ja) ケーシング構造及びモータ
JP4099133B2 (ja) ターミナル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ターミナルアッセンブリ及び車両用ワイパモータ
JP2005073407A (ja) ケーシング構造及びモータ
JP5936896B2 (ja) モータ装置
JP3645542B2 (ja) モータ及びワイパ用モータ
CN111279590A (zh) 用于将电动机连接到电缆束上的接口以及电动机
CN210137260U (zh) 电机接地结构以及电机
CN110011464B (zh) 用于电机的电刷架-构件以及电机
JP5877105B2 (ja) モータ装置
JP4397903B2 (ja) 駆動装置用モータ
JP2005348538A (ja) モータ
KR100367348B1 (ko) 정류자 전동기
JP4397902B2 (ja) 駆動装置用モータ
JP2005302961A (ja) ブラシホルダ及びモータ
CN116896224A (zh) 马达装置
JP4397901B2 (ja) 駆動装置用モータ
JP2003264037A (ja) セルフロケー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