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438A - 돼지감자를 함유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돼지감자를 함유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438A
KR20060041438A KR1020040090640A KR20040090640A KR20060041438A KR 20060041438 A KR20060041438 A KR 20060041438A KR 1020040090640 A KR1020040090640 A KR 1020040090640A KR 20040090640 A KR20040090640 A KR 20040090640A KR 20060041438 A KR20060041438 A KR 20060041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functional food
jujub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운
Original Assignee
이호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운 filed Critical 이호운
Priority to KR102004009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1438A/ko
Publication of KR2006004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품은 돼지감자와 사과, 오미자, 및 대추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액을 포함하고, 임의로 감미료, 보존제와 같은 통상적인 식품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혈당 조절 효과를 가지고 양호한 맛을 띠고 있어 당뇨병 환자들의 식이보조제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돼지감자, 기능성 식품, 혈당강하, 당뇨

Description

돼지감자를 함유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for regulating blood sugar including Yerusalem articho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감자 추출액 함유 음료의 혈당 강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동물을 정상군, 돼지감자 함유 식품 섭취군(실험군), 및 당뇨 대조군으로 나누어 혈당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 동물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 동물의 혈장 인슐린 수준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 동물의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 동물의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혈당조절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사과, 오미자, 및 대추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액을 포함하고, 임의로 감미료, 보존제와 같은 통상적인 식품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혈당강하 기능이 있으면서도 기호도가 높아 당뇨병 환자의 식이 보조제로 유용한 식품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와 그 작용부족으로 인하여 생체내 대사 조절기능에 이상이 초래되어 고혈당증이 되고, 뇨중으로 당이 배설되어 이에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순환기계 등의 합병증을 수반하게 되는 만성적인 대사성 질환이다. 고혈당은 당뇨병의 주요한 대사 기능 이상 증세로 당뇨병 환자의 약 20~70% 정도가 고지혈증(hyperlipidemia)을 수반하고 동맥경화증을 비롯한 혈관성 장애가 많이 발생한다. 그 이유는 고혈당과 함께 지질대사의 이상으로 인해 혈중지질이 증가하고 지질과산화에 의한 조직의 손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은 공복 혈당 수치 126 mg/dl를 기준으로 하면 전체 유병률이 7.8%이며 40세 이상의 연령에서 보면 유병률이 12.5%로 선진국 수준의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서 국민건강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돼지감자를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들이 보조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주성분은 돼지감자이며, 돼지감자는 이눌린이라는 다당류를 다량 포함하고 있다. 췌장에서 발생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은 간장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혈액으로 넣어주는데, 이눌린은 글루카곤이 당분해하는 것을 억제하여 혈당을 안정화시킨다. 이눌린의 기능 중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은 당뇨 합병증의 원인인 당화혈색소(HbA1c)의 수치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눌린은 저칼로리의 다당체로서 사람의 소화 효소로는 분해되기 어 렵고, 또 흡수된다고 해도 글루코올리고당이므로 혈당의 상승은 일어나지 않는다. 글루코올리고당은 장(腸)에서 유익균의 대표인 비피더스균의 먹이로 이용된다. 비피더스균은 증식해서 티아민, 리포플라빈, 비타민B6, 비타민K 등 건강에 유용한 물질을 장내에서 활발히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장내 pH치를 낮추어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활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이눌린은 당뇨병 치료 및 합병증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현재 세계적으로 알려진 식물 가운데 이눌린을 15%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은 오직 돼지감자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돼지감자를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들이 상시 섭취할 수 있는 맛과 섭취가 용이한 형태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돼지감자는 특유의 단 맛과 밍밍하면서도 쿰쿰한 풍미가 있어, 단독으로 섭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돼지감자의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맛을 상쇄 및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사과, 오미자, 및 대추를 이용하였다. 사과는 달콤한 과실향과 새콤한 맛을 지녀 돼지감자의 쿰쿰한 풍미를 상쇄하고, 사과의 은근한 단맛이 오미자의 새콤한 맛과 잘 조화되어 돼지감자의 들큰하고 밍밍한 후미를 상쇄시킨다. 또한, 대추는 완화작용과 진정작용이 있어 제품 전체의 맛과 풍미를 완화시키고 중량감을 주며 부드러운 느낌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돼지감자를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혈당 조절 기능을 갖는 돼지감자 함유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여 상시 섭취 가능한 당뇨병 환자의 식이보조제로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돼지감자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사과, 오미자, 및 대추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성분의 추출액 또는 농축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상기 성분 각각은 물 중에서 추출되고 필요에 따라 농축하여 얻어진 추출액 형태로 혼합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임의로 감미제, 보존제, 착색제,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식품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돼지감자, 사과, 오미자 및 대추는 수중 추출에 의한 추출액 형태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모든 원료를 동시에 혼합하여 수중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이용하거나, 각 원료들을 별도로 수중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각 원료의 물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추출 조건을 정하여 각각 별도로 추출한 추출액을 혼합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각 원료들은 수세하여 껍질째 이용하는데, 사과, 대추의 씨는 미리 제거하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돼지감자, 사과, 및 대추는 0.5 내지 5중량배의 물을 첨가하여 80 내지 100℃에서 1 내지 5시간 정도 열수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액 중 고형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한 다음 필요에 따라 농축한다. 여과를 위한 체의 눈크기는 수 μm 내지 수 mm 범위 내에서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오미자는 생오미자 또는 시판되는 건조 오미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생오미자를 사용할 경우 생오미자 중량의 0.5 내지 1.5배의 설탕을 넣어 장기간(1-2개월 정도) 방치하여 오미자 원액을 얻어 이용한다. 바람직하기는, 시판되는 건조 오미자를 이용하는 것이다. 건조 오미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배의 물을 넣어 30 내지 6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2 내지 36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5 내지 100μm 카트리지에 여과 후 필요에 따라 진공 농축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이용한다.
상기 추출액 또는 농축액은 필요에 따라 압착, 농축, 건조 등의 방법에 의하여 원하는 정도까지 수분이 제거되거나, 음료 형태로 섭취할 수 있도록 수분이 첨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추출액과 최종적으로 얻어진 제품의 수분 함량은 5 내지 95중량%로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액은 원료를 수중 추출하여, 필요에 따라 여과 또는 농축을 거친 상태로서 최종 제품화되기 전 상태를 의미하며, 농축액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된다.
상기한 열수 추출 및 수분 제거 과정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수분 함량, 열수 추출 시간 및 온도 또한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감미제, 보존제, 착색제,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식품첨가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추출액을 혼합하여 최종 제품화되기 전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각 원료 성분의 수분 함량에 따라 액상의 음료 형태이거나, 농축액 형태일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출액을 건조시켜 분말 형태나 과립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원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돼지감자는 혈당 조절 기능을 위하여 첨가한다.
돼지감자의 추출원액은 특유의 달작지근한 맛과 밍밍하면서도 쿰쿰한 풍미가 난다. 따라서, 이러한 맛을 상쇄 및 보완하기 위해서 신맛을 지닌 성분이 요구되는데, 오미(五味)를 지니고 있다는 오미자는 독특한 새콤달콤한 맛이 돼지감자의 밍밍한 맛과 잘 조화를 이루게 된다. 또한, 오미자는 혈당량과 유산함량을 높이며 조직의 글리코겐 함량을 높이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어 돼지감자의 혈당강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사과는 달콤한 과실향과 은은한 새콤한 맛을 지녀 돼지감자의 쿰쿰한 풍미를 상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은근한 단맛을 부여하여 오미자의 새콤한 맛과 잘 조화되며, 돼지감자 추출액의 후미로 남는 들큰하고 밍밍한 맛을 보완한다.
대추는 완화작용과 진정작용이 있어 제품 전체의 맛과 풍미를 완화시키고 중량감을 주며 부드러운 느낌을 부여한다. 또한 돼지감자가 잘 소화되지 않는 것을 완화시키는 소화촉진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돼지감자를 필수성분으로 하고, 사과, 오미자, 대추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한다.
최종 제품에 배합되는 각 성분의 함량은 성분 원료의 산지, 재배 상태와 기 간, 보관 상태와 기간, 추출시 사용하는 물의 양, 추출액의 농축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에서, 돼지감자 추출액(수분함량 80 내지 95중량%, 가용성 고형분 함량 5 내지 20。Bx) 50 내지 100 중량부, 및 사과 추출액(수분 함량 20 내지 40중량%, 가용성 고형분 함량 60 내지 80。Bx), 오미자 추출액(수분함량 30 내지 50중량%, 가용성 고형분 함량 50 내지 70。Bx), 또는 대추 추출액(수분함량 20 내지 45중량%, 가용성 고형분 함량 55 내지 80。Bx)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액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용 혼합 추출액이 제공된다. 사과, 오미자, 또는 대추의 비율은 기호에 따라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액은 임의로 감미제, 보존제, 착색제,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식품첨가제를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함량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상기 혼합 추출액 100 중량부 당 0.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2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돼지감자 추출액(수분 함량 90 내지 95중량%, 가용성 고형분 함량 5 내지 10。Bx) 90 내지 100 중량부, 사과 추출액(수분 함량 25 내지 35중량%, 가용성 고형분 함량 65 내지 75。Bx) 2 내지 5 중량부, 오미자 추출액(수분함량 35 내지 45%, 가용성 고형분 함량 55 내지 65。Bx) 0.1 내지 2 중량부, 및 대추 추출액(수분함량 25 내지 35중량%, 가용성 고형분 함량 65 내지 75。Bx)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감미제, 보존제, 착색제,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식품첨가제를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함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기능성 식품이 가장 이상적인 맛과 점도를 가진다.
돼지감자, 사과, 오미자, 및 대추 추출액의 수분 함량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얻고자하는 생성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모두 천연 원료를 사용하여 특별한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므로 상시 섭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는 혈당 조절 기능이 있으므로 당뇨병 환자의 식이 보조제로 이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돼지감자의 영양성분 분석
돼지감자(충청도 제천 및 충주 지방에서 직접 재배한 돼지감자)의 조지방, 조단백, 탄수화물, 식이섬유, 총당, 콜레스테롤, 비타민 C, 칼슘 등의 함량을 식품공전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성분 함량 (단위)
수분 80.8 (%)
조 회분 0.9 (%)
조 지방 0.7 (%)
조 단백질 0.3 (%)
탄수화물 17.7 (%)
총 당류 0.9 (%)
비타민 C 0.7 (mg/100g)
콜레스테롤 N.D.1)
불용성 식이섬유 6.1 (%)
칼슘 20.7 (mg/100g)
1) N.D.: 감지되지 않음
실시예 2: 열수추출액 제조
신선한 돼지감자(충청도 제천 및 충주 지방에서 직접 재배한 돼지감자)를 깨끗이 수세하여 표면을 다듬고 껍질째 이용하였다. 돼지감자 6kg에 5리터의 정제수를 가하여 20L들이 대용량 추출기(한약추출기, WG-0001, 원일사)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후 압착기로 압착 및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당도)은 8.8。Bx였다.
사과(경북능금조합 제품), 건조 오미자(경동시장에서 구입), 및 대추(경동시장에서 구입)를 깨끗이 수세하여 껍질째 이용하였다. 사과와 대추는 씨를 제거하고 여러 조각으로 자른 다음 각 성분의 중량대비 3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20L들이 대용량 추출기(한약추출기, WG-0001, 원일사)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고 압착기로 압착 및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후 압착기로 압착하고 여과하여 맑은 액을 얻었다. 오미자는 중량대비 5배의 정제수(50℃)을 부어 16시간 동안 우려낸 다음 10μm 카트리지에 여과하여 진공농축하였다. 얻어진 액의 사과, 오미자, 및 대추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당도)은 각각 72, 60, 65。Bx였다.
얻어진 돼지감자, 사과, 오미자, 및 대추 추출액을 각각 95.24g, 3.57g, 0.71g, 0.48g 혼합하여 맑은 액상의 추출물 샘플 1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혈당 강하 효과 확인
3.A.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을 이용한 실험 동물에의 당뇨유발
실험동물은 체중 230g 내외의 스프라그 돌리(Sprague-Dawley)계 수컷 휜쥐를 한림실험동물연구소(화성, 경기)로부터 구입하여 환경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케이지에 넣고 일주일 동안 사료(삼양사료 주식회사, 실험동물용사료(E.P))로 예비사육하였다. 실험쥐를 정상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 쥐에 스트렙토조토신을 경구투여하여 당뇨를 유발시켰다. 스트렙토조토신을 pH 4.0의 0.01M 구연산 완충액(citric acid buffer)에 용해하여 50 mg/kg의 농도로 스트렙토조토신을 1회 투여하였다.
일주일 후 모든 실험쥐의 안구정맥총에서 채혈하는 즉시 혈당측정기(Precision Q·I·DTM system, 한국애보트주식회사)로 혈당을 측정하였고, 측정된 혈당이 정상실험군보다 높은 개체(약 200 mg/dl 이상)를 선별하여 3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정상군(n=11; normal), 당뇨대조군(n=13; diabetic control) 및 돼지감자 추출물 투여군(n=13; J. Artichoke)으로 하였다.
3.B. 돼지감자 추출물의 혈당강하 효과 시험
모든 실험군은 사료(삼양사료 주식회사)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3군으로 분류된 날을 기준일인 0일로 하여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돼지감자 추출물 투여군은 사료와 물 섭취 이외에 매일 일정시간에 11 mg/kg에 해당하는 추출물을 경구투여하였고, 당뇨대조군은 추출물 대신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으며, 정상군은 사료와 물만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결과: 돼지감자 추출물 투여에 따른 실험동물 혈액의 생화학적 변화분석
실험기간동안의 모든 분석은 기준일로부터 일주일 간격으로 측정, 분석하였다. 체중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준일(0일)에 체중을 측정한 후 일주일 간격으로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순서로 동물용 체중계(Sartorius CP3202S)로 측정하였다. 혈당측정은 안구정맥총에서 채혈하여 혈당측정기로 즉시 측정하였다. 채혈한 혈액 일부는 3,000 rpm에서 원심분리한 후 혈장을 취해 여러 가지 생화학적 분석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당뇨에서 많이 나타나는 간질환과 심장질환시 간장과 심장에서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와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 ALT)가 상승하기 때문에 시료 중 이들 효소의 활성을 검사하였다.
스트렙토조토신(STZ)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실험동물에 돼지감자 추출액을 경구투여한 후 1주일 간격으로 채혈하여 혈장중의 포도당 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당뇨 대조군(Diabetic control)이나 돼지감자 추출액 투여군인 실험군(Artichoke)은 모두 정상군(Normal)에 비하여 높은 포도당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돼지감자 추출액 투여군은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점차 일정한 수준으로 혈당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실험동물의 6주간 체중변화를 나타내었다. 당뇨가 유발되지 않은 정상군은 성장에 따른 체중증가가 일정하게 이루어졌으나, 당뇨 대조군은 체중이 현저히 낮았고 그 증가세도 완만하였다. 이는 당뇨병 환자의 전형적인 체중감소 증상과 일치하였다. 일반적으로 당뇨가 유발된 동물에서는 STZ 투여에 따른 췌장내 β-세포의 파괴로 인한 인슐린 생성의 부족과 작용저하로 당 대사에 의한 에너지 생산부족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체중이 감소하게 된다. 즉, 당뇨시에는 세포의 포도당 이용이 저하되어 기아상태의 대사특징을 나타내므로 정상군에 비해 체중이 감소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돼지감자 추출액 투여군(실험군) 또한 정상군보다는 체중이 많이 감소되었으나, 당뇨 대조군에 비해 일정수준을 유지하면서 체중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각 군의 혈장 인슐린 수준을 나타내었다. 당뇨 대조군 및 실험군의 혈장 인슐린은 실험 시작시인 0주차에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3주후에는 정상군보다 모두 현저히 저하되었고, 6주의 실험이 종료될 때까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돼지감자 추출액 투여군(실험군)은 당뇨 대조군보다는 높은 인슐린 수준을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는 간질환과 심장질환의 간접적 지표인 ALT와 AST 활성을 각각 나타내었다.
실험동물 간의 손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장 ALT(alanine aminotransferase; SGPT) 및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SGOT)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AST와 ALT는 간 세포에 다량 존재하는 효소로서 지방간이 유발되거나 유해물질이 존재할 때 간세포가 손상되어 혈액속으로 이들 효소가 유리되어 증가함으로써 효소활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정상군의 경우는 두 효소활성이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당뇨 대조군은 효소활성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돼지감자 추출액 투여군(실험군)은 3주차에 당뇨 대조군에 비해 낮은 활성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6주차에는 거의 정상수준에 도달하는 결과를 보여 돼지감자 추출액에 의해 점차 간 기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돼지감자 함유 식품은 혈당강하 및 인슐린 조절 작용을 가지고 있어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용 식이 보조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혈당 강하에 효과적인 식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돼지감자에 사과, 오미자, 대추 추출액을 첨가하여 돼지감자 특유의 바람직하지 않은 맛을 상쇄시켜 혈당 조절이 필요한 당뇨병 환자가 거부감없이 섭취할 수 있는 형태의 식품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능성 식품은 천연 물질로만 이루어진 식품으로서 부작용없이 상시 섭취할 수 있어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한 식이 보조제 역할을 한다.

Claims (12)

  1.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사과, 오미자, 또는 대추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으로서, 상기 성분 각각은 물 중에서 추출되고 필요에 따라 농축하여 얻어진 추출액 형태로 혼합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
  2. 돼지감자 추출액(가용성 고형분 함량 5 내지 20。Bx) 50 내지 100 중량부, 및 사과 추출액(가용성 고형분 함량 60 내지 80。Bx), 오미자 추출액(가용성 고형분 함량 50 내지 70。Bx), 또는 대추 추출액(가용성 고형분 함량 55 내지 80。Bx)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액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
  3. 돼지감자 추출액(가용성 고형분 함량 5 내지 10。Bx) 90 내지 100 중량부, 사과 추출액(가용성 고형분 함량 65 내지 75。Bx) 2 내지 5 중량부, 오미자 추출액(가용성 고형분 함량 55 내지 65。Bx) 0.1 내지 2 중량부, 및 대추 추출액(가용성 고형분 함량 65 내지 75。Bx) 0.1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혈당조절용 기능성 식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감미제, 보존제, 착색제, 향 료와 같은 식품첨가제가 추출액 혼합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5 중량부 더 포함되는 기능성 식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감자, 사과, 및 대추 추출액은 각 원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배의 물을 첨가하여 80 내지 100℃에서 1 내지 5시간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이며, 상기 오미자 추출액은 건조 오미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배의 물을 첨가하여 30 내지 6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2 내지 36시간 동안 방치하여 얻어진 추출액인 기능성 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은 여과, 압착, 농축, 또는 건조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더 거쳐서 얻어진 추출액인 기능성 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액상 형태, 추출액 형태, 분말 형태, 또는 과립 형태인 기능성 식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이 당뇨병 환자의 식이 보조제로서 사용되는 기능성 식품.
  9. 돼지감자, 사과, 오미자, 대추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료를 세척하고, 세척된 돼지감자, 사과, 오미자, 및 대추에 물을 첨가하여 오미자는 30 내지 60℃, 나머지 원료는 80 내지 100℃에서 각각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혼합하여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에서 돼지감자, 사과, 및 대추는 각 원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배의 물을 첨가하여 1 내지 5시간동안 추출되며, 오미자는 건조 오미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배의 물을 첨가하여 12 내지 36시간 동안 추출되는 제조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단계에 이어서 압착, 농축, 또는 건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감미제, 보존제, 착색제,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식품첨가제가 여과액에 더 첨가되는 제조방법.
KR1020040090640A 2004-11-09 2004-11-09 돼지감자를 함유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 KR20060041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640A KR20060041438A (ko) 2004-11-09 2004-11-09 돼지감자를 함유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640A KR20060041438A (ko) 2004-11-09 2004-11-09 돼지감자를 함유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438A true KR20060041438A (ko) 2006-05-12

Family

ID=3714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640A KR20060041438A (ko) 2004-11-09 2004-11-09 돼지감자를 함유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14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06B1 (ko) * 2012-05-31 2014-02-13 광동제약 주식회사 혈당강하에 효능이 있는 돼지감자 및 꾸지뽕잎의 복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N105639282A (zh) * 2014-11-26 2016-06-08 许天兴 菊山弘根养生粉及其制备工艺
KR101688090B1 (ko) * 2016-01-15 2016-12-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감자 추출물, 미강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여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017A (ko) * 1986-06-09 1988-03-23 이상호 뚱딴지를 주재로한 차의 제조방법
JPH07155131A (ja) * 1993-12-03 1995-06-20 Akira Koyama 菊芋を用いた食品材料の製造方法
KR20010085995A (ko) * 1999-09-03 2001-09-07 시게오 나카야마 돼지감자를 주원료로 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2002000216A (ja) * 2000-06-20 2002-01-08 Nippon Tonyo Shokken Kk 菊芋の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26384A (ko) * 2001-09-12 2003-04-03 정옥조 당뇨병 환자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JP2003180293A (ja) * 2001-12-18 2003-07-02 Yahiro Sangyo Co Ltd 加工食品及び加工食品の製造方法
KR20050037890A (ko) * 2003-10-20 2005-04-25 조재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017A (ko) * 1986-06-09 1988-03-23 이상호 뚱딴지를 주재로한 차의 제조방법
JPH07155131A (ja) * 1993-12-03 1995-06-20 Akira Koyama 菊芋を用いた食品材料の製造方法
KR20010085995A (ko) * 1999-09-03 2001-09-07 시게오 나카야마 돼지감자를 주원료로 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2002000216A (ja) * 2000-06-20 2002-01-08 Nippon Tonyo Shokken Kk 菊芋の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26384A (ko) * 2001-09-12 2003-04-03 정옥조 당뇨병 환자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JP2003180293A (ja) * 2001-12-18 2003-07-02 Yahiro Sangyo Co Ltd 加工食品及び加工食品の製造方法
KR20050037890A (ko) * 2003-10-20 2005-04-25 조재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06B1 (ko) * 2012-05-31 2014-02-13 광동제약 주식회사 혈당강하에 효능이 있는 돼지감자 및 꾸지뽕잎의 복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N105639282A (zh) * 2014-11-26 2016-06-08 许天兴 菊山弘根养生粉及其制备工艺
CN105639282B (zh) * 2014-11-26 2019-07-09 许天兴 菊山弘根养生粉及其制备工艺
KR101688090B1 (ko) * 2016-01-15 2016-12-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감자 추출물, 미강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여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gan et al. The effect of soluble-and insoluble-fibre supplementation on post-prandial glucose tolerance, insulin and 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 secretion in healthy subjects
JP5112859B2 (ja) 天然甘味料
US10765136B2 (en)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s
CN101175416A (zh) 从营养方面改善葡萄糖控制和胰岛素作用的方法和组合物
JP5109117B2 (ja) スダチ由来の組成物、並びに当該組成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健康飲食品及びサプリメント
Kochhar et al.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on blood glucose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ics: A pilot study
US20090214511A1 (en) Digestible compositions of inulin for managing blood glucose levels
CN107660798A (zh) 膳食补充剂
KR102136886B1 (ko) 굴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1079954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suaeda japonica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diabetes
CN110624042B (zh) 用于治疗糖尿性疾病的组合物
KR101342497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다래나무 줄기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KR101771792B1 (ko)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41438A (ko) 돼지감자를 함유하는 혈당 조절용 기능성 식품
KR20170109380A (ko) 밀웜을 함유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밀웜 양갱
CN109123414A (zh) 一种胰岛素抵抗综合征人群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KR20110006921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120202A (ko)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KR101414040B1 (ko) 누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조절용 약학 조성물, 천연물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KR101217578B1 (ko) 이눌린과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170123439A (ko) 돼지감자여주즙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여주즙
KR100496119B1 (ko) 돼지감자 및 생약제를 함유한 드링크 제조방법
KR102368446B1 (ko)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1168B1 (ko) 부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haheen et al. High-fiber foods at breakfast: influence on plasma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to lu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