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202A -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 Google Patents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0202A KR20090120202A KR1020080046123A KR20080046123A KR20090120202A KR 20090120202 A KR20090120202 A KR 20090120202A KR 1020080046123 A KR1020080046123 A KR 1020080046123A KR 20080046123 A KR20080046123 A KR 20080046123A KR 20090120202 A KR20090120202 A KR 200901202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cinnamon
- plantain
- yulpi
- hours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102000017011 Glycated Hemoglobin A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108010014663 Glycated Hemoglobin A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JZRWCGZRTZMZEH-UHFFFAOYSA-N Thiamine Natural products CC1=C(CCO)SC=[N+]1CC1=CN=C(C)N=C1N JZRWCGZRTZMZEH-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KRHYYFGTRYWZRS-UHFFFAOYSA-M Flu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157 thiamin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721 thiam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3805 Musa ABB Grou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5000015266 Plantago maj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41001248610 Ophiocordyceps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1000234295 Mus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19695 Migraine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6010027599 migrain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8790 Musa x paradisiaca Species 0.000 claims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41000190633 Cordycep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1264174 Cordyceps militar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4000046095 Psophocarpus tetragonolob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08658 Artemisia capillaris Nutrition 0.000 abstract 2
- 241000092668 Artemisia capillaris Species 0.000 abstract 2
- 235000007007 Dolichos lablab Nutrition 0.000 abstract 2
- 241001499733 Plantago asiatica Species 0.000 abstract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3
- 108091005995 glycated hemoglob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7
- 240000005561 Musa balbis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5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9051 Ambrosia paniculata var. peruv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03097 Artemisia absinth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0000001851 Artemisia dracun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7731 Artemisia dracunculus ssp. dracuncu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1138 artemisia absinth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02000001554 Hemoglob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10054147 Hemoglob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255789 Bombyx mor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743 erythr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641 glyc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291 postprand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1710088194 Dehydroge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249 Diabetes Complica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30595 Glucoki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21582 Glucok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045 Guettarda spec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287 Guettarda spec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DFPAKSUCGFBDDF-UHFFFAOYSA-N Nicotinamide Chemical compound NC(=O)C1=CC=CN=C1 DFPAKSUCGFB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CTONWCANYUPML-UHFFFAOYSA-M Pyruvate Chemical compound CC(=O)C([O-])=O LCTONWCANYUPM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06 astragalus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230 cinnamon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LXNHXLLTXMVWPM-UHFFFAOYSA-N pyridoxine Chemical compound CC1=NC=C(CO)C(CO)=C1O LXNHXLLTXMVW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sucrose fatty acid ester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47 volun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TUSDEZXZIZRFGC-UHFFFAOYSA-N 1-O-galloyl-3,6-(R)-HHDP-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2)COC(=O)C3=CC(O)=C(O)C(O)=C3C3=C(O)C(O)=C(O)C=C3C(=O)OC1C(O)C2OC(=O)C1=CC(O)=C(O)C(O)=C1 TUSDEZXZIZRF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0452 Acetyl-CoA carboxyl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6219 Acetyl-CoA carboxyl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874 Acne Vulgar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82455 Angelic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8763 Biotin carboxyl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5 Brassica oleracea var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37364 Cinnamomum aroma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89 Cinnamomum aroma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205 Congeni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04 Cucurb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UHFFFAOYSA-N D-Lyxoflavin Natural products OCC(O)C(O)C(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55 Diabetic complica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7 Ehlers-Danlos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201 Exan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3 FEMA 304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16 FEMA 4028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705 Glucose Intoler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ol Natural products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10 Hyperpha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6997 Impaired fasting gluco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126 Jaundi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NIPNSKYNPDTRPC-UHFFFAOYSA-N N-[2-oxo-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NIPNSKYNPDTR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RBQNJMCXXYXIU-PPKXGCFTSA-N Penta-digallate-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PPKXGCFT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2780 Petroselin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4393 Phlox pani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580 Psophocarpus tetragonolob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15 Sod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0264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EDUENGHJMELGK-HYDKPPNVSA-N Stevi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UEDUENGHJMELGK-HYDKPPNV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49 Taraxacum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87 Taraxacum officinale ssp.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7584 Type 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496 ac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29 anti-fatigu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72 antidiabe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HGYBXFWUBPSRW-FOUAGVGXSA-N beta-cyclodextrin Chemical compound OC[C@H]([C@H]([C@@H]([C@H]1O)O)O[C@H]2O[C@@H]([C@@H](O[C@H]3O[C@H](CO)[C@H]([C@@H]([C@H]3O)O)O[C@H]3O[C@H](CO)[C@H]([C@@H]([C@H]3O)O)O[C@H]3O[C@H](CO)[C@H]([C@@H]([C@H]3O)O)O[C@H]3O[C@H](CO)[C@H]([C@@H]([C@H]3O)O)O3)[C@H](O)[C@H]2O)CO)O[C@@H]1O[C@H]1[C@H](O)[C@@H](O)[C@@H]3O[C@@H]1CO WHGYBXFWUBPSRW-FOUAGVGX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75 beta-cyclodextr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853 betadex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1 blood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65 cit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06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866 dandelion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91 dandelion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4 diu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6 effect on cardiovascular sy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884 exanthe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37 fruct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FODTZLFLDFKIQH-FSVGXZBPSA-N gamma-Oryzanol (TN) Chemical compound C1=C(O)C(OC)=CC(\C=C\C(=O)O[C@@H]2C([C@@H]3CC[C@H]4[C@]5(C)CC[C@@H]([C@@]5(C)CC[C@@]54C[C@@]53CC2)[C@H](C)CCC=C(C)C)(C)C)=C1 FODTZLFLDFKIQH-FSVGXZBP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10 ginseng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52 gly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4 glyco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2 hard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83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79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66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FVKGYZPFZQRLF-UHFFFAOYSA-N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2C(C(O)C(OC3C(C(O)C(O)C(CO)O3)O)C(CO)O2)O)C(CO)O1 UFVKGYZPFZQR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88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904 hypoglycaem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74 legum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53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47 new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52 nicotinam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0 nicotin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6 non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30 over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7 perej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104 prediabetes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69 prophylac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RADKZDMFGJYCBB-UHFFFAOYSA-N pyridoxal hydrochloride Natural products CC1=NC=C(CO)C(C=O)=C1O RADKZDMFGJYC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844 ras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15 recruit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27 sk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THWMYGWWRZVTN-UHFFFAOYSA-N sod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Na+].[Na+].[O-][Si]([O-])=O NTHWMYGWWRZV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1 sod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1 soft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4 squa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HHNJQXIOPOJSC-UHFFFAOYSA-N stevioside Natural products CC1(CCCC2(C)C3(C)CCC4(CC3(CCC12C)CC4=C)OC5OC(CO)C(O)C(O)C5OC6OC(CO)C(O)C(O)C6O)C(=O)OC7OC(CO)C(O)C(O)C7O OHHNJQXIOPOJ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3618 stevios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2 stevios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RBQNJMCXXYXIU-NRMVVENXSA-N tan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NRMVVENX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123 tan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23 tan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58 tan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45 taraxacum officinale leaf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08 type 1 diabetes mellitus 1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8 vitamin B6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6 vitamin B6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1671 vitamin b6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화혈색소(HbA1c)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에 대한 것으로, 특히 동충하초 분말, 계피 분말, 율피 분말, 백편두화 분말, 인진쑥 분말 및 질경이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 알려진 당뇨병 관련 조성물이나 건강 식품들은 대부분 단기간의 혈당 수치를 개선하기 위한 자가 혈당 강하용 조성물이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장기간의 혈당 농도 지표를 의미하는 당화혈색소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특화된 것이다.
동충하초, 당화혈색소, 율피, 백편두화
Description
본 발명은 당화혈색소(HbA1c)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에 대한 것으로, 특히 동충하초 분말, 계피 분말, 율피 분말, 백편두화 분말, 인진쑥 분말 및 질경이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단기간의 혈당 수치를 개선하기 위한 자가 혈당 강하용 조성물이 아니라 장기간의 혈당 농도 지표를 의미하는 당화혈색소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식생활의 서구화, 비만증,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당뇨병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당뇨병은 완치할 순 없지만 조절은 가능한 질환으로써, 혈당을 지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면 건강한 사람과 똑같이 생활하면서 장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혈당 조절이 당뇨병 환자에겐 특히 중요하다.
흔히, 일반적으로는 공복 혈당만을 가지고 당뇨병을 진단하는데, 이는 틀린 상식으 로써, 실제는 다음 3가지 항목 중 어느 하나에라도 속하면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8시간 이상 금식 후 채혈한 공복혈장 포도당 농도가 126mg/dl 이상일 때 △식사와 관계없이 하루 중 어느 때에 채혈한 혈청 포도당 농도라도 200mg/dl 이상일 때 △당부하 검사에서 2시간 포도당 농도가 200mg/dl 이상일 때다. 즉, 혈당 조절의 목표는 ‘공복혈당 80~120mg/dl’ ‘식후 2시간 혈당 100~140mg/dl’ ‘당화혈색소(HbA1c) 6.5% 미만’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선 중요한 두 가지 검사를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한다. 자가혈당 검사와 당화혈색소 검사가 그것이다. 상기 자가혈당 검사라 함은 1일 1회 이상의 검사로 자신의 혈당수치를 정확히 아는 것인데, 이는 즉각적이고 단기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혈당수치를 통하여 당뇨병 관리방법을 계획하고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당화혈색소 검사도 자가혈당 검사만큼 중요하다. 지난 2~3개월의 혈당수치를 통해 그동안 자신의 혈당 조절이 어떠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화혈색소라 함은 장기간 동안의 혈중 포도당(혈당) 농도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혈색소의 한 형태로써, 높은 혈중 포도당 상태에 혈색소가 노출되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인간의 몸속 혈액에는 120일 정도의 수명을 가진 적혈구가 존재하는데, 적혈구 안에 있는 혈색소가 포도당과 결합하면서 당화혈색소를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에 알려진 당뇨병 관련 조성물이나 건강 식품들은 대부분 단기간의 혈당 수치를 개선하기 위한 자가 혈당 강하용 조성물이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96019호는 감마 오리자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장기간의 혈당농도 지표인 당화혈색소의 수준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 효과는 7% 정도로 낮은 수준에 불과하였다.
이에 따라, 장기간의 혈당 농도 지표를 의미하는 당화혈색소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특화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보조 식품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본 발명은 특별히 장기간의 혈당 농도 지표를 의미하는 당화혈색소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특화된 당화혈색소(HbA1c) 강하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충하초 분말, 계피 분말, 율피 분말, 백편두화 분말, 인진쑥 분말 및 질경이 분말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을 통하여, 장기적인 당뇨병 치료에 특히 유용한 건강 보조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충하초 분말, 계피 분말, 율피 분말, 백편두화 분말, 인진쑥 분말 및 질경이 분말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HbA1c)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이다.
여기서, 상기 동충하초 분말, 계피 분말, 율피 분말, 백편두화 분말 및 질경이 분말은 각각 70~75 : 7~9 : 1~3 : 3~5 : 6~9 : 4~7 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은, 티아민 플로라이드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효모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 다른 실시예는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은, 동충하초 분말, 계피 분말, 율피 분말, 백편두화 분말, 인진쑥 분말 및 질경이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특별히 장기간의 혈당 농도 지표를 의미하는 당화혈색소 수준을 현저히 우수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적혈구 내 당화혈색소는 지난 2~3개월의 혈당 농도를 나타낸다. 혈액 샘플 채취는 하루 중 아무 때나 해도 되며, 최근에 먹은 음식이나 검사시 혈당수치와는 상관이없다. 이러한 당화혈색소 검사는 자가 혈당 측정결과와 비교할 수 있어서, 당뇨병 관리계획이 제대로 실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장기간의 혈당 농도 지표를 의미하는 당화혈색소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특화된 건강 보조 식품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상기 건강 보조 식품의 주성분으로 사용될 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새포내 당대사에 관련된 효소들인 glucokinase, acetyl-CoA carboxylase, pyruvate dehydrogenase의 활성을 증가시킬수 있는 소재와 그 소재들의 조합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당화혈색소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특화된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천연물 소재인 동충하초, 계피, 율피, 백편두화, 인진쑥 및 질경이를 선별하였다.
동충하초는 곰팡이의 일종인 동충하초균이 주로 온도, 습도가 높아지는 시기에 살아있는 곤충의 몸 속으로 들어가 발육증식하면서 기주곤충을 죽이고 얼마 후 자실체를 곤충의 표피에 형성하는 일종의 약용버섯으로 항균작용이 강하고 중추신경계작용, 호흡계통작용, 심장혈관작용, 항암작용, 면역증강작용, 항피로작용, 항노화작용 등의 약리기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피는 계수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등의 껍질을 벗겨서 말리거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건조시킨 가느다란 가지를 말하며 위장운동을 좋게하고 혈액순환 촉진이나 혈압강하 등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율피는 일반적으로 밤의 속껍질을 말하는 것으로, 율피가 가진 탄닌산 성분으로 해독 작용, 모공 수축, 여드름, 뾰루지, 잡티를 제거하고 피부를 탄력있게 해주며, 강한 햇빛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보호하고 미백 작용에 도움을 준다. 또한, 율피는 한방에서 원기 회복, 혈액순환 등의 목적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백편두는 우리나라에서 보통 콩과의 편두(Dolichos lablab L.)의 씨를 말하는 것으 로, 백편두는 습사가 비에 정체되어 일어나는 설사, 대하, 구토에 쓰이고, 만성질환으로 인한 소화흡수력의 감퇴 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백편두화는 바로 이러한 백편두가 자라서 생긴 꽃을 뜻한다.
인진쑥은 잎은 쑥처럼 생겼으나 쑥잎보다 약간 가늘면서도 대는 쑥보다 더 크게 자라는 약초로 간에 열이 있어 나타나는 증상인 간염, 황달 등에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경이는 쌍떡잎식물 질경이목 질경이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차전초라고도 한다. 질경이의 어린잎은 식용할 수 있고, 한방에서는 잎을 차전(車前), 종자를 차전자(車前子)라는 약재로 쓰는데, 차전자는 이뇨 작용이 있고, 설사를 멈추게 하며, 간 기능을 활성화하여 어지럼증·두통에 효과가 있고, 폐열로 인한 해수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동충하초, 메밀쌀, 메밀피, 메밀싹, 인진쑥, 계피, 율피, 백편두화, 질경이, 민들레, 차가버섯, 당귀, 피부백삼, 오가목, 황기추출물 및 녹색 입홍합의 여러가지 생약재들이 포도당 관련 효소들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상기 각 생약재들을 재료로 하여 그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해 내었으며, 이렇게 분리된 동충하초 추출물, 계피 추출물, 율피 추출물, 백편두화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메밀쌀 추출물, 메밀피 추출물, 메밀싹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계피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당귀 추출물, 피부백삼 추출물, 오가목 추출물, 황기추출물 및 녹색입홍합 추출물을 가지고 당분해 관련 효소인 글루코키나아제,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아제 등의 활성에 미치는 활성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한 추출물들의 여러가지 조합으로 선택된 조합물이 당분해 관련 효소의 활성과 장기간의 혈당 농도 지표를 의미하는 당화혈색소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상기한 실험을 통하여 당화혈색소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당한 소재로서는, 동충하초, 계피, 율피, 백편두화, 인진쑥 및 질경이의 조합이 선택되었고, 그 혼합 비율은 상기 소재 각각이 70~75 : 7~9 : 1~3 : 3~5 : 6~9 : 4~7 의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험으로 선정된 동충하초, 계피, 율피, 백편두화, 인진쑥 및 질경이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거나 이 소재들을 상기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조된 당화혈색소 강하용 조성물이고,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여 당화혈색소 강하 효과를 통해 당뇨병을 개선시키는 기능성 식품에 대한 것이며, 이는 과립제, 음료, 생식, 경질 캡슐제, 연질캡슐제, 환제 및 정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형태, 캡슐형태 또는 정제형태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 내지 5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경구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투여량은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약소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식품이므로 독성 및 부작용이 없어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수준 감소를 위한 기능성 음료는 동충하초, 계피, 율피, 백편두화, 인진쑥 및 질경이(이것들의 추출물일 수 있음)를 혼합한 중량에 대하여 20배의 정제수를 가한 다음, 100 ~ 150℃에서 2 ~ 4시간 열수 추출한 다음, 150~250메쉬 필터로 여과한 다음 70~100℃에서 가열하고 병에 충진한 다음 30℃ 이하로 냉각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음료는 동충하초, 계피, 율피, 백편두화, 인진쑥 및 질경이를 주성분으로 하므로 그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 부형제 또는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 부형제 또는 향미제로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비타민 B6, 니코틴산아미드, 구연산, 액상과당, 스테비오사이드, 말토덱스트린, 마뉴카벌꿀, 사과농축액, 락추로오스분말, 실리코알루민 산나트륨,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산화아연, 베타-시클로덱스트린 등이 있다. 추가 성분은 주성분인 동충하초, 계피, 율피, 백편두화 및 질경이의 혼합액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12g이다.
본 발명의 당뇨병 환자를 위한 기능성 과립제는 후술하는 실험예 1 및 2에서와 같이 동충하초를 원적외선 건조기로 건조한 후 기류식 분쇄기로 150~250 메쉬 필터로 100% 통과시켜 분말을 얻고, 인진쑥과 백편두화는 각각 정제수 90~100%의 비율로 하여 1.2kg/cm3으로 10~15시간 열수 추출한 후 그 농축액을 진공동결건조하고 이것을 건식 분쇄기로 분쇄한 후 80~120메쉬 필터에 100% 통과시켜 분말을 얻는다. 계피와 율피는 각각 물로 세척한 뒤 건조하고 기류식 분쇄기에서 150~250 매쉬로 분쇄하여 분말을 얻으며, 질경이는 질경이 10%, 에틸알콜 60~70%, 정제수 20~30%의 비율로 섞은 뒤 10~20℃에서 45~50시간 추출한 후 진공 동결건조한 것을 건식 분쇄기로 분쇄한 후 150~200 메쉬필터로 100% 통과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렇게 얻은 동충하초 분말, 백편두화 분말, 인진쑥 분말, 질경이 분말, 율피 분말 및 계피 분말을 충분히 혼합한뒤 유동층으로 조립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유동층 조립기를 사용하여 혼합하고 스프레이 및 건조를 수회 반복한 뒤 수분 함량을 5% ~ 8% 로 조절하여 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과립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과립제는 제조시 유동층 조립기를 사용하여 혼합하고 스프레이 및 건조를 통하여 유동층으로 조립되었으므로 섭취하였을 경우 입안에서 즉석 용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과립제는 동충하초 분말, 백편두화 분말, 인진쑥 분말, 질경이 분말, 율피 분말 및 계피 분말의 혼합시에 혼합물 90~100g 당 보조인자인 TTP의 공급을 위해 티아민 플로라이드 0.01g를 첨가하고 Mg2 +의 공급을 위하여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하고 Cr3 +의 공급을 위하여 호모분말 0.05g을 함께 섞이도록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음료 및 과립제에서 동충하초, 계피, 율피, 백편두화, 인진쑥 및 질경이의 바람직한 중량비는 70~75 : 7~9 : 1~3 : 3~5 : 6~9 : 4~7 의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2 : 8 : 2 : 4 : 8 : 6 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건강기능성 과립제를 가지고, 하기의 선정기준에 따라 선정된 성인 당뇨병 환자 52명(남자 28명, 여자 24명)을 대상으로 임상실험하여 당화혈색소 강하 효과를 입증하였다.
[피험자 선정기준]
⑴ 30~75세 당뇨병 남녀 환자.(단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공복 시 200mg/㎗ 식후 2 시간 350mg/㎗ 초과하는 혈당조절이 미흡한 인슐린 비의존성 환자는 제외, 내당능 장애 및 공복혈당 장애자 포함)
⑵ 선천성 또는 만성질환이 없고 내과적인 진찰 결과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외에 병적증상이나 병적 소견이 없는 자.
⑶ 최근 3개월 이내 타 임상시험약을 복용하지 않은 자.
⑷ 피험자의 선발은 자발 참여의 원칙에 따라 자발적인 참여자만을 선정한다.
⑸ 시험에 참여할 피험자에게는 임상시험의 목적, 내용, 배정절차, 준수해야 할 사항 등 시험전반에 대해 충분히 전달한 후 피험자의 자필 서면 동의를 거쳐 건강진단을 실시하고, 피험 적격자로 판정된 참여자들을 최종 피험자로 선정한다.
실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복 혈당 130mg/㎗이 식후 혈당 180mg/㎗ 이상인 성인(40~60세) 당뇨병 환자 52명을 공개 모집하여 본 발명(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과립제를 1일 식후 3회 3.7g씩 섭취시킨 후 당화혈색소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기간 중 매일 적당한 운동과 일정한 식사량을 유지하도록 하고, 음주 및 과식 등 평상적이지 못한 상황을 삼가도록 권고하나 부득이한 경우는 특이 사항으로 필히 기록하도록 하여 결과 산출시 고려하였다.
예비단계로서 실험 전 3일 정도의 예비 기간 동안 식전 혈당과 식후 30분에서 180 분까지 30분 간격으로 혈당을 측정하게 하여 각 개인의 식전혈당, 식후 최대 혈당 및 도달 시간을 알아내어 섭취 전 수치로 사용하였다. 평균값을 데이터로 사용하며, 개인마다 식후 최대치의 혈당을 나타내는 시간을 확인하여 식후 혈당 측정 시간을 정하였다. 예비단계가 종료된 후 실험 대상자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을 19주간 복용시킨 후 매일 공복 혈당 및 식후 혈당 변화 측정하게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군의 섭취 후 혈당측정 결과](단위 mg/㎗)
즉, 상기 표 1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자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면 4주째에서는 당화혈색소가 9.0% 감소하였고, 7주째에서는 14.3% 감소하였으며, 14주째에는 17.6%, 19주째에는 19.7% 감소하였다. 또한, 여자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면 4주째에서는 당화혈색소가 10.4% 감소하였고, 7주째에서는 17.2% 감소하였으며, 14주째에는 23.5%, 19주째에는 23.6%나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의 기능성식품군은 생약혼합조성물이 함유된 식품으로 혈당강하제나 인슐 린과 같은 약제를 통하지 않고도 단 4주동안 약 10%의 당화혈색소 강하효과가 나타났고, 14주가 지나면 약 20%의 당화혈색소 강하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유효 성분 추출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유효 성분을 안전하게 추출하기 위한 온도, 추출시간, 감압여부 등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60℃에서 24시간동안 상압으로 추출하는 것이 산업화시 가장 경제성이 우수하고 효능성분의 수율도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선발된 소재 각각의 시료 10g에 10.7배의 증류수를 넣은 후 60에서 24시간 shaking incubation 한 후 6,000 rpm에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0.45로 여과하였고 이를 후술하는 기능성 식품 제조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1: 동충하초의 유효 성분 추출
동충하초 중에서 Cordyceps militaris 종의 건조 분말 24g을 60℃의 200ml 더운 물로 2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고 원심분리하여 1차 상청액을 얻었다. 그리고, 열수 추출 후 남은 잔여물에 28g의 5% Na2CO3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원심분리한 뒤 다시 그 잔여물에 NaBH4를 포함한 5% NaOH로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2차 상청액을 얻었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에 함유된 1, 2차 상청액을 동충하초의 분획물로 이용하였다.
실험예
1-2: 계피,
율피
,
백두편화
,
인진쑥의
유효 성분 추출
계피, 율피, 백두편화 각각을 5배의 상온의 증류수로 씻은 다음, 40℃의 드라이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840∼500㎛의 분말상태로 간 다음, 분말 상태의 24g을 60℃의 50% 에탄올 256ml을 용매로 하여 24시간동안 150rpm으로 인큐베이터에서 잘 흔들고 원심 분리하여 추출하였다.
실험예
1-3: 질경이의 유효 성분 추출
질경이를 5배의 상온의 증류수로 씻은 다음, 40℃의 드라이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840∼500㎛의 분말상태로 간 다음, 분말 상태의 24g을 60℃의 증류수 256ml을 용매로 하여 24시간동안 150rpm으로 인큐베이터에서 잘 흔들고 원심 분리하여 추출하였다.
실험예
2. 혼합 조성물의 유효 성분 추출
누에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72.1%, 율피 2.1%, 질경이 5.7%, 백편두화 4.2 %, 계피 8.3%, 인진쑥 7.6% 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을 5배에 해당하는 상온의 증류수로 씻은 다음, 40℃의 드라이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840∼500㎛의 분말상태로 간 다음, 분말 상태의 24g을 60℃의 50% 에탄올 256ml을 용매로 하여 24시간 동안 150rpm으로 인큐베이터에서 잘 흔들고 원심 분리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1: 기능성 음료의 제조
누에 동충하초 72.1g, 율피 2.1g, 질경이 5.7g, 백편두화 4.2g, 계피 8.3g, 인진쑥 7.6g을 혼합한 중량에 대하여 20중량%의 정제수를 가한 다음, 120℃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한 다음, 200메쉬 필터로 여과하고 여과액에 비타민 C와 감초농축액을 혼합한 다음 90℃에서 10분간 가열하고 180ml 병에 충진한 다음 30℃ 이하로 냉각시킨다.
실시예
2: 기능성 과립제의 제조
동충하초를 원적외선 건조기로 건조한 후 기류식 분쇄기로 200메쉬필터로 100% 통과시켜 분말을 얻고, 정제수 96%의 비율의 인진쑥과 백두편화 각각을 1.2kg/cm3 으로 12시간 열수 추출한 후 그 농축액을 동결건조하고, 이것을 건식 분 쇄기로 분쇄한 후 100메쉬 필터에 100% 통과시켜 분말을 얻는다. 계피와 율피는 물로 세척한 뒤 원적외선 건조기로 건조하고 기류식 분쇄기에서 200매쉬로 분쇄하여 분말을 얻고, 질경이는 질경이 10%, 에틸 알콜 63%, 정제수 27%의 비율로 섞은 뒤 15℃에서 48시간 추출한 후 진공 동결건조한 것을 건식 분쇄기로 분쇄한 후 100메쉬 필터로 100% 통과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렇게 얻은 누에 동충하초 72.1g, 율피 2.1g, 질경이 5.7g, 백편두화 4.2g, 계피 8.3g, 인진쑥 7.6g과 티아민 플로라이드 0.01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 효모분말 0.05g을 충분히 섞이도록 혼합한다. 유동층으로 조립하기 위하여 당귀 4%에 정제수 96%의 비율로 열수추출하여 100메쉬 필터에 통과한 고착제액과 에틸 알콜을 혼합하여 유동층 조립기를 사용하여 30분 혼합하고 스프레이 및 건조를 5회 반복한 뒤 수분 함량을 5%로 조절하여 건조시킨 후 3g 단위로 포장한다.
실시예
3: 기능성 생식식품의 제조
동충하초, 계피, 율피, 백편두화 및 질경이와, 호박, 케일, 신선초, 당근, 시금치, 부추, 양파, 마늘, 돌미나리, 무우를 25℃의 수도수로 3회 세척하고, 차아염소산소다 25ppm에 25초간 침적 후, 건져내어 살균한뒤 다시 잔류염소제거를 목적으로 25℃ 수도수를 유슈형태로 하여 세척하여 1mm 단위로 자른다. 24시간동안 -30℃에서 예비동결시킨 뒤 -45℃ 트랩, 진공도 1×10-1 Torr로 40시간 진공 동결 및 건조시키고 건식 분쇄기로 80매쉬 필터에 100% 통과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은 동충하초 분말, 계피 분말, 율피 분말, 백편두화 분말, 인진쑥 분말 및 질경이 분말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을 통하여, 장기적인 당뇨병 치료에 특히 유용한 건강 보조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을 섭취한 남자의 당화혈색소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을 섭취한 여자의 당화혈색소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을 섭취한 남자 및 여자를 포함하는 전체의 당화혈색소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3)
- 동충하초 분말, 계피 분말, 율피 분말, 백편두화 분말, 인진쑥 분말 및 질경이 분말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HbA1c)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 분말, 계피 분말, 율피 분말, 백편두화 분말, 인진쑥 분말 및 질경이 분말은 각각 70~75 : 7~9 : 1~3 : 3~5 : 6~9 : 4~7 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티아민 플로라이드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효모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6123A KR100952188B1 (ko) | 2008-05-19 | 2008-05-19 |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6123A KR100952188B1 (ko) | 2008-05-19 | 2008-05-19 |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0202A true KR20090120202A (ko) | 2009-11-24 |
KR100952188B1 KR100952188B1 (ko) | 2010-04-09 |
Family
ID=4160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6123A KR100952188B1 (ko) | 2008-05-19 | 2008-05-19 |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218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06145A (zh) * | 2015-05-28 | 2015-09-16 | 吉林大学 | 蝙蝠蛾拟青霉诱变菌株ph40在治疗糖尿病中的医用用途 |
CN105639636A (zh) * | 2016-02-01 | 2016-06-08 | 林爱玉 | 一种具有护肝、降低血糖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
WO2019124860A1 (ko) * | 2017-12-20 | 2019-06-27 |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 시클로-히스프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
US10617732B2 (en) | 2014-10-13 | 2020-04-14 |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Composition including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17602A (ko) * | 1989-05-24 | 1990-12-19 | 정의로 | 당뇨병 및 결핵성 늑막염을 치료할 수 있는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의 개량된 한방치료제물질 |
KR100522532B1 (ko) | 2003-06-27 | 2005-10-20 | 주식회사 엔에스케이텍 | 동충하초와 여주를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
KR100675311B1 (ko) | 2005-07-12 | 2007-01-30 | 강원생물영농조합법인 | 혈당강하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
2008
- 2008-05-19 KR KR1020080046123A patent/KR10095218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17732B2 (en) | 2014-10-13 | 2020-04-14 |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Composition including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CN104906145A (zh) * | 2015-05-28 | 2015-09-16 | 吉林大学 | 蝙蝠蛾拟青霉诱变菌株ph40在治疗糖尿病中的医用用途 |
CN105639636A (zh) * | 2016-02-01 | 2016-06-08 | 林爱玉 | 一种具有护肝、降低血糖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
WO2019124860A1 (ko) * | 2017-12-20 | 2019-06-27 |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 시클로-히스프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2188B1 (ko) | 2010-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53873B2 (ja) | サポニンの生体利用率増進組成物 | |
KR100956278B1 (ko) |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ochhar et al. |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on blood glucose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ics: A pilot study | |
CN102697035A (zh) | 虫草褔寿丹 | |
CN107080250A (zh) | 一种辅助降血糖的组合物、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3417837A (zh) | 一种药食两用的枸杞养生膏及其制备方法 | |
CN108524814A (zh) | 一种用于降低血糖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CN109939143A (zh) | 一种用于降血糖控制并发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20160007728A (ko) | 마늘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 |
KR100952188B1 (ko) |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 |
CN105707637A (zh) | 一种降糖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13616688B (zh) | 一种修复肾脏损伤的鹅肌肽组合物及其应用 | |
CN107751993A (zh) | 一种抗疲劳膏滋及其制备方法 | |
CN110810693A (zh) | 一种含有显齿蛇葡萄的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100831621B1 (ko) | 혈당 강하용 식품 조성물 | |
CN101243883B (zh) | 一种具有降血糖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 |
CN108743669A (zh) | 用于治疗痛风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01336965B (zh) | 一种用于改善糖耐量、降低血糖的中成药及其制备方法 | |
CN107050349A (zh) | 一种排毒活血的膏滋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05145931A (zh) | 一种降糖茶及其加工方法 | |
KR20110006921A (ko) |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CN107737280A (zh) | 用于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2433586B1 (ko) |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 |
KR20100111088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020011015A (ko) |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