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015A -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015A
KR20020011015A KR1020000044392A KR20000044392A KR20020011015A KR 20020011015 A KR20020011015 A KR 20020011015A KR 1020000044392 A KR1020000044392 A KR 1020000044392A KR 20000044392 A KR20000044392 A KR 20000044392A KR 20020011015 A KR20020011015 A KR 20020011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betes
composition
under vacuum
concentrated
scre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4390B1 (ko
Inventor
신승철
김태붕
Original Assignee
김철주
(주)코스타 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주, (주)코스타 월드 filed Critical 김철주
Priority to KR102000004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3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11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7Celastraceae (Staff-tree or Bittersweet family), e.g. tripterygium or spindle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위모, 고과, 지골피, 옥수수수염, 단삼, 백출, 강황, 복령, 택사, 토사자, 단피를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병 예방, 합병증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지며, 특히 간신음허증(肝腎陰虛症), 위음허(胃陰虛), 폐(肺),심(心),기음허증(氣陰虛症)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특히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제2형 당뇨병)에 대하여 치료효과가 뛰어나며,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제1형 당뇨병)에도 상당히 유효한 생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본 발명은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위모, 고과, 지골피, 옥수수수염, 단삼, 백출, 강황, 복령, 택사, 토사자, 단피를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비전염성 만성질환으로, 췌장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체내에서 포도당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혈액내에 고농도로 남아 있다가 소변으로 배설되는 질환이다.
당뇨병은 그 발병원인 및 증상의 치료방법에 따라 크게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DDM, 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제2형 당뇨병)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1형 당뇨병은 유전적 원인,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해 췌장 β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은 상태로서, 주로 10~20대에 갑자기 발병하며, 연소형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제2형 당뇨병의 경우는 가족력, 비만, 스트레스, 식사의 잘못 또는 인슐린과 길항(拮抗)하는 약물 등에 의해 발병되는 것으로, 40대 이후에 잘 나타나며, 성인형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는 충분하지만 인슐린 저항성과 포도당 이용율이 정상인과 달라서 고인슐린혈증임에도 불구하고 혈당이 정상화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경우 당뇨병 환자의 95% 이상이 제2형 당뇨병 환자이다.
한방학적으로는 당뇨병을 음허성(陰虛性), 기음양허성(氣陰陽虛性), 음양양허성(陰陽兩虛性)의 세가지 유형으로 크게 분류한다.
음허성 당뇨병은 대부분 초기 당뇨병으로 급성 당뇨병이라고도 하며, 장기의 크기별로 그 증상이 달리 나타나는데, 특히 "간울(肝鬱)", "위음허(胃陰虛)", "신음허(腎陰虛)", "폐기음허(肺氣陰虛)", "심기허(心氣虛)", "비허(脾虛)", "기허(氣虛)", "혈허(血虛)"등의 증상을 야기한다. 즉 갈증, 발열, 다뇨, 수척해지고 혈당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기음양허성 당뇨병은 만성당뇨로 10년 이상된 당뇨병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기와 음이 동시에 허할때 발병하며, 당수치는 높지 않고, 사지가 나른하고, 힘이 없다.
음양양허성 당뇨는 노인성 당뇨로 주로 말기환자에게서 나타나며, 기와 음이 동시에 허할때 발병하고, 합병증이 나타난다.
당뇨를 앓는 주원인은 인슐린 수체 결합력의 영향 때문이다. 인체 자체에는 "특이성 면역기능"과 "비특이성 면역기능"이 있는데, 다년간의 임상실험을 통하여 비특이성 면역력이 상승할 때, 인슐린 수체 결합력이 저하되어 혈당이 높아지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에 한방에서는 수체 결합력과 비장기능은 서로 상통하는 것이며, 간울, 기허, 혈허, 폐기, 음허, 신음허등은 직접적으로 비장기능에 영향을 미쳐 수체 결합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불치로 알려진 당뇨병도 조기 발견하면 완치가 가능하다. 조기 치료하므로써 합병증을 미리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뇨병 조기 발견은 당불내성 상태를 찾아내는 것이다. 당불내성이란 정상인과 당뇨환자의 중간단계로, 당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의 상태이다. 즉 혈당을 조절하고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이 저하 되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있어 포도당을 세포로 운반하는 능력이 저하 된 것을 말한다.
당뇨병 치료가 늦어지면 합병증이 발병하게 되는데, 보통 급성 합병증(당뇨병성 케톤산증, 고삼투성비케톤성 혼수, 젖산증)과 만성 합병증(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신경병증)으로 인해 인체의 전반적인 대사기능 및 감각기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당뇨병 및 합병증을 한방으로 치료하기 위해 화살나무(Euonymus alata)에서 성분을 추출해 내어 사용하였다. 화살나무는 일명 위모(衛矛), 귀전우(鬼箭羽), 신전목(神箭木)이라고도 한다.
위모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병, 산후 피멎이 약, 정신불안, 여성의 자궁출혈, 대하, 어혈을 없애는 민간약으로 쓰여왔다. 또 혈액순환을 좋게하고, 어혈을 풀어주며 염증을 없애고 정신을 안정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위암, 식도암등 여러가지 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작용 이외에도 위모 전체에 함유되어 있는 옥살로아세트산의 혈당강하작용이 알려져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위모의 당뇨병 치료작용은 위모에 존재하는 옥살로아세트산(Oxaloacetic acid)이 췌장의 랑겔한스섬(Langerhan's islet)을 증식시켜 β세포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위모에 존재하는 프리델린(Friedelin)의 파혈작용에 의하여 콜레스테롤치를 내려줌으로써 간접적으로 당뇨병의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프리델린에 의한 파혈작용이 지나치게 급격하고 강하여 위장에 담비통 증상을 유발하고, 내장을 허하게 만드는 작용이 있어 단일 성분으로는 복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위모에 고과, 지골피, 옥수수수염, 단삼, 백출, 강황, 복령, 택사, 토사자, 단피를 배합하여 위모의 독성을 완하시키면서, 음허성 당뇨병 즉 제2형 당뇨병에 탁월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생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생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위모, 고과, 지골피, 옥수수수염, 단삼, 백출, 강황, 복령, 택사, 토사자, 단피를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생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위모의 옥살로아세트산 성분에 여러가지 생약성분을 배합하여 위모의 단독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함은 물론 당뇨병에 의해 야기될 수있는 각종 증상을 모두 적절히 치료할 수 있어 음허성 당뇨병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각각의 생약성분이 어떠한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치료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위모(衛矛)는 쓰고 차서 파혈작용과 양혈작용을 한다. 위모속에 있는 프리델린은 파혈작용에 의하여 콜레스테롤치를 내려주고, 옥살로아세트산은 혈당 및 뇨당치를 내려주고 체중을 증가시켜준다.
고과(苦瓜)는 도위를 식히고, 열을 조절하며, 해독작용을 하고, 갈증을 억제시킨다.
지골피(地骨皮)는 허약한 신체와 조열과 식은땀을 치료하고, 열과 혈을 식혀주며, 당을 저하시켜 준다.
옥수수수염(玉米須)은 수분을 조절하고, 열을 발산케 하고, 간을 진정시키며, 담낭을 조절해 주고, 당을 저하시켜준다.
단삼(丹參)은 혈액순환과 신경안정을 돕고, 화농을 배출시키고 통증을 억제한다.
위 다섯가지 약재를 함께 복용하면 열을 조절하고, 해독할 수 있으며, 허약한 신체와 조열과 식은땀을 치료할 수 있으며, 위모의 당 저하 기능을 강화시킨다.
백출(白朮)은 지방을 보하고, 조습(燥濕)을 조절하고 중화작용을 한다.
강황(姜黃)은 비장을 따뜻하게 하고, 중화작용을 하며, 간을 진정시키고, 해독작용을 한다.
인삼(人參)은 타액을 분비하고 보혈작용을 하며, 원기를 돋우며, 항독, 해독작용을 한다.
복령(茯笭)은 심신을 안정시키고 소변을 조절해 준다.
택사(澤瀉)는 소변을 조절해 주고, 신경안정과 해독작용을 한다.
토사자(兎絲子)는 음양을 조절해 주고, 신장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단피(丹皮)는 내열을 내려주고, 약성을 조절해 준다.
이상 일곱가지 약재를 함께 복용하면, 원기가 왕성해지며 해독작용을 하고, 수분을 조절하고 신경을 안정시켜 주며, 음양을 고르게 하고, 간과 신장을 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각각의 생약성분의 작용이 조합되어 나타나므로, 사용하는 생약성분 상호간에 양열(凉熱), 한온(寒溫), 독해(毒解) 라는 상대성을 배합시켜 약성을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타액을 분비시켜 갈증을 억제시키고, 기를 보강하고 열을 내려 주며, 당을 저하시키고 간과 신장을 보하여 당뇨병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 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각각의 주생약성분을 중량기준으로 하여 위모:고과:지골피:옥수수수염:단삼:백출:강황:복령:택사:토사자:단피를 30:10:10:10:5:5:5:7:5:5:3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조성비는 각각의 생약성분이 갖는 유효용량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찾아낸 것이며, 그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효과가 급격히 떨어지거나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모는 깨끗이 씻은 후, 증류수에 담그고, 수용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 9로 맞춘후, 감압하에 3시간 동안 달여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하여 침고로 만든후 진공상태에서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100회 이상 체를 쳐 분말상태로 만든다.
옥수수염은 깨끗이 씻어 50℃(효모균 첨가)에서 발효시킨 다음, 잡티를 가려내고 5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감압하에 3시간 동안 달여 여과한 후, 농축시켜 건조한 후, 분쇄하여 100회 이상 체를 쳐 분말상태로 만든다.
인삼은 깨끗이 씻어 건조한 다음 갈아서 100회 이상 체를 쳐 분말 상태로 만든다. 단삼은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감압하에 농축하고,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100회 이상 체를 쳐 분말상태로 만든다.
강황, 백출, 지골피, 복령, 단피, 택사, 토사자는 합하여 5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감압하에 3시간 달이고, 감압하에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100회 이상 체를 쳐 분말 상태로 만든다. 고과는 깨끗이 씻어 냉동 추출한 후, 여액을 농축시켜 액체를 얻는다. 이를 여주소라 한다.
이상의 분말상태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100회 이상 체를 치고, 여주소 농축액에 혼합성분가루를 혼합하고, 진공 건조시키면 본 발명의 목적하는 조성물을 얻게 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화분, 복분자, 숙지황, 감초, 오미자, 천궁, 영지, 황기, 맥동, 옥죽, 산약등의 성분을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병의 치료를 위해 임상적으로 이용시 약제학적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경구투여용 제제, 예를들면 환제, 정제, 캡슐제, 액제, 현탁제 등의 제제로 제형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용량은 환자의 성별, 연령, 건강상태, 치료할 당뇨병의 종류, 중증도, 합병증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인(체중 약 50㎏)에 대한 1일 용량은 3~8g, 바람직하게는 4~5g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많은 양에서도 독성이 없으므로 혈당강하용 건강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식품으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조성으로 이루어진 분말을 통상적인 식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위모 300g을 깨끗이 씻어 건조한 후, 증류수에 담그고, 수용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 9로 맞춘후, 감압하에 3시간 동안 달여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하여 침고로 만든후 진공상태에서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100회 이상 체를 쳐 분말상태로 만든다(1). 옥수수염 100g을 깨끗이 씻어 50℃(효모균 첨가)에서 발효시킨 다음, 잡티를 가려내고 5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감압하에 3시간 동안 달여 여과한 후, 농축시켜 건조한 후, 분쇄하여 100회 이상 체를 쳐 분말상태로 만든다(2). 인삼 50g을 깨끗이 씻어 건조한 다음 갈아서 100회 이상 체를 쳐 분말 상태로 만든다(3). 단삼 50g을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하에 농축하고,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100회 이상 체를 쳐 분말상태로 만든다(4). 강황, 백출, 지골피, 복령, 단피, 택사, 토사자는 합하여 5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감압하에 3시간 달이고, 감압하에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100회 이상 체를 쳐 분말 상태로 만든다(5).
고과 100g을 깨끗이 씻어 냉동 추출한 후, 여액을 농축시켜 액체를 얻는다(6). 수득된 (1)(2)(3)(4)(5)를 혼합하여 100회 이상 체를 치고, (6)용액에 혼합하여 진공 건조시킨다.
최종 생성된 생약 조성물의 구성비는 다음과 같다. 위모(30%), 인삼(5%), 강황(5%), 고과(10%), 옥수수염(10%), 단삼(5%), 백출(5%), 지골피(10%), 복령(7%), 단피(3%), 택사(5%), 토사자(5%)로 구성되어 진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정상 새끼쥐에 미치는 혈당강하효과>
체중이 20±2g의 흰 새끼쥐 40마리를 1조에 10마리씩 4조로 나누어 넣고, 약물이 투여되지 않은 정상조에는 당량의 생리식염수를 복강에 투여하고, 약물조에는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를 새끼쥐 복강에 5㎎/㎏을 투여하고, 본 발명 조성물 투여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 2g/㎏과 1g/㎏을 각각 새끼쥐 복강에 투여하였다. 모두 15일 동안 투여하였다. 약을 투여하기 전과 약을 투여한 지 15일 후, 쥐꼬리에서 0.05㎖ 정도의 혈액을 채취하여 미국산 JD2DGA7CC형 미량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공복시의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정상 새끼쥐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SD)
조 별 동물수(n) 조제량(g/㎏) 혈당치(mmol/L)
투약전 투약 15일 후
정상조(생리식염수) 10 - 8.20±1.24 8.23±1.14
약물조(글리벤클라마이드) 10 0.005 8.18±1.03 7.04±1.02 *(14.5)
본 발명의 조성물투여조 10 2 8.22±1.12 7.06±1.04 *(14.2)
10 1 8.25±1.16 7.26±1.06 *(11.8)
※ mmol/L → ㎎/㎗ : × 17.90 ()안의 숫자는 혈당 저하율(%)
※ 정상조와 비교 : * P<0.05
상기 표1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에 이미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효능이 입증되어 있는 글리벤클라마이드와 마찬가지로 정상 새끼쥐에서 혈당강하효과를 나타낸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알록손 투여된 당뇨병 새끼쥐에게 미치는 혈당강하 효과>
체중이 20±2g의 흰 새끼쥐 암수를 함께 실험하였다. 실험 전에 12시간 동안 금식시키고, 정상조를 제외한 각조에 신선하게 배합하여 만든 2%의 알록손용액 200㎎/㎏을 복강에 주사하였다. 48시간 후, 12시간 금식시킨 동물의 공복혈당뇨를 측정하여 16.67mmol/L를 초과한 당뇨병의 새끼쥐 40마리를 1조에 10마리씩 4조로 나누었다. 정상조 10마리는 알록손을 투여하지 않았다. 정상조와 모형조에는 당량의 생리식염수를 복강에 투여하고, 약물조에는 글리벤클라마이드를 새끼쥐 복강에 5㎎/㎏을 투여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 2g/㎏과 1g/㎏을 각각 새끼쥐 복강에 투여하였다. 모두 15일 동안 투여하였다. 약을 투여하기 전과 약을 투여한 지 15일 후, 쥐꼬리에서 0.05㎖ 정도의 혈액을 채취하여 미국산 JD2DGA7CC형 미량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공복시의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표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알록손 투여된 당뇨병 새끼쥐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SD)
조 별 동물수(n) 조제량(g/㎏) 혈당치(mmol/L)
투약전 투약 15일 후
정상조(생리식염수) 10 - 8.26±1.42 8.20±1.38
모형조(생리식염수) 10 - 24.36±4.82 28.40±5.43
약물조(글리벤클라마이드) 10 0.005 25.04±4.94 12.06±3.68 ***(57.5)
본 발명의 조성물투여조 10 2 24.85±4.86 14.12±3.84 ***(50.3)
10 1 24.62±4.88 16.34±4.25 ***(42.5)
※ mmol/L → ㎎/㎗ : × 17.90 ()안의 숫자는 혈당 저하율(%)
※ 모형조와 비교 : *** P<0.001
상기 표2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에 이미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효능이 입증되어 있는 글리벤클라마이드와 마찬가지로 알록손 투여된 당뇨병 새끼쥐에서 혈당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알록손이 유리기 OH를 생성하면, 담낭이 지나치게 산화되어 인슐린 베타 세포가 상하게 되므로써 당뇨병을 유발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와같은 베타세포에 손상 입히는 작용을 감소시켜 인슐린을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아드레날린 투여된 큰쥐에게 미치는 혈당강하효과>
체중이 180±20g의 위스터 숫컷 큰쥐 50마리를 1조에 10마리씩 5조로 나누었다. 실험 전에 24시간 동안 금식시키고, 정상조를 제외한 각조 쥐의 피하에 0.1% 아드레날린 0.2㎖/㎏을 주사하고, 정상조의 피하에 같은 양의 생리식염수를 주사하고, 각조의 피하에 같은 양의 생리식염수를 주사한 다음 바로 다른 약물을 복강에 투여하였다. 90분, 130분 후에 각각 큰쥐의 꼬리에서 모두 0.05㎖정도의 혈액을 채취하여 미국산 JD2DGA7CC형 미량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치를 측정하고, 각 조별로 비교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표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아드레날린 당뇨병 큰쥐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SD)
조 별 동물수(n) 조제량(g/㎏) 혈당치(mmol/L)
90분 130분
정상조(생리식염수) 10 - 6.24±1.40 6.26±1.44
모형조(생리식염수) 10 - 18.80±3.64 *** 16.5±3.12 **
약물조(글리벤클라마이드) 10 0.005 10.20±2.68 ***(45.7) 8.24±2.04 ***(50.1)
본 발명의 조성물투여조 10 2 12.34±3.01 ***(34.4) 11.04±2.42 ***(30.9)
10 1 13.65±3.34 ***(27.4) 12.80±3.05 *(22.4)
※ mmol/L → ㎎/㎗ : × 17.90 ()안의 숫자는 혈당 저하율(%)
※ 모형조와 비교 : * P<0.05, ** P<0.01, *** P<0.001
상기 표3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상 새끼쥐의 혈당은 거의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아드레날린 당뇨병 큰쥐의 혈당은 저하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급성독성 실험>
체중이 20±2g인 흰색 새끼쥐 30마리를 골라 암수 구분 없이 새끼쥐의 복강에 각각 본 발명의 조성물 5g/㎖(최대농도) 1㎖/20g(최대용량)을 24시간 동안 모두 3차례 투여하고, 10일 동안 관찰한 결과 모두 생존하였으며, 이상 반응은 없었다. 흰 새끼쥐의 최대 내구량 배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은 실험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흰 새끼쥐의 복강에 한 번 주입되는 최대 내구량은 250g/㎏(5g/20g)으로, 최대 내구량 배수는 347.2배에 달한다. 또한 하루에 주입되는 최대 내구량은 750g/㎏(15g/20g)으로, 최대 내구량 배수는 1041.7배이다. 750g/㎏/일을 투여하는 것은 체중 50㎏으로 환산시 본 발명의 조성물을 1일에 3.75㎏이상 투여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독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위모의 옥살로아세트산 성분에 여러가지 생약성분을 배합하여 위모의 단독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함은 물론 당뇨병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각종 증상을 모두 적절히 치료할 수 있어 음허성 당뇨병 즉 제2형 당뇨병에 탁월한 치료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혈당강하용 건강식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4)

  1. 위모, 고과, 지골피, 옥수수염, 단삼, 백출, 강황, 복령, 택사, 토사자, 단피를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이 30:10:10:10:5:5:5:7:5:5:3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캡슐제, 현탁제, 환제, 정제, 액제중 어느 한 제형으로 이루어진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4. 위모, 고과, 지골피, 옥수수염, 단삼, 백출, 강황, 복령, 택사, 토사자, 단피를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건강보조식품
KR1020000044392A 2000-07-31 2000-07-31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KR100364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392A KR100364390B1 (ko) 2000-07-31 2000-07-31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392A KR100364390B1 (ko) 2000-07-31 2000-07-31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015A true KR20020011015A (ko) 2002-02-07
KR100364390B1 KR100364390B1 (ko) 2002-12-12

Family

ID=1968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392A KR100364390B1 (ko) 2000-07-31 2000-07-31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3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070A (ko) * 2002-07-08 2004-01-16 김영일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EP1974737A1 (en) * 2007-03-23 2008-10-01 Phyto Health Pharma B.V.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and metabolic syndrome
EP1974736A1 (en) * 2007-03-23 2008-10-01 Phyto Health Pharma B.V.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US8163312B2 (en) 2008-09-22 2012-04-24 Innoveda Biological Solutions (P) Ltd. Herbal formul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and associated complications
GB2487616A (en) * 2011-01-25 2012-08-01 qi ling Wang Plant-based drug for diabe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846B1 (ko) 2013-02-14 2014-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세포내 당 소모대사 관련 주요 효소 mRNA 발현을 증감시키는 천연소재 배합물 조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620A (ko) * 1990-07-19 1992-02-29 정용문 스테핑모터의 구동회로와 그 구동방법
KR100195886B1 (ko) * 1996-11-01 1999-06-15 김상조 당뇨병 치료용 의약조성물
KR101212889B1 (ko) * 2010-10-01 2012-12-14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1243006B1 (ko) * 2010-12-28 2013-03-12 주식회사 포스코 Al도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070A (ko) * 2002-07-08 2004-01-16 김영일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EP1974737A1 (en) * 2007-03-23 2008-10-01 Phyto Health Pharma B.V.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and metabolic syndrome
EP1974736A1 (en) * 2007-03-23 2008-10-01 Phyto Health Pharma B.V.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WO2008118010A1 (en) * 2007-03-23 2008-10-02 Phyto Health Pharma B V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and metabolic syndrome
WO2008118011A1 (en) * 2007-03-23 2008-10-02 Phyto Health Pharma B.V.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US8163312B2 (en) 2008-09-22 2012-04-24 Innoveda Biological Solutions (P) Ltd. Herbal formul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and associated complications
GB2487616A (en) * 2011-01-25 2012-08-01 qi ling Wang Plant-based drug for diabe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4390B1 (ko) 200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886B1 (ko) 당뇨병 치료용 의약조성물
CN101987169A (zh) 采用复方生药提取物作为有效成分而用于防治糖尿病或者糖尿病并发症的组合物
CN1299742C (zh) 一种治疗糖尿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13616688B (zh) 一种修复肾脏损伤的鹅肌肽组合物及其应用
CN106362020B (zh) 一种具有改善通便作用的松花粉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653148B (zh) 一种番石榴叶液体饮料
KR100591539B1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CN104815166B (zh)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KR20020085401A (ko) 남성 생식기능 저하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조혈 촉진용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64390B1 (ko)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KR100831621B1 (ko) 혈당 강하용 식품 조성물
CN101336965B (zh) 一种用于改善糖耐量、降低血糖的中成药及其制备方法
KR100952188B1 (ko)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CN1970050B (zh) 一种治疗心率失常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712659B1 (ko)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KR20040003888A (ko) 혈당 강하용 생약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제재
CN103989940A (zh)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
CN111658720A (zh) 用于养生的中药组合物、养生丸以及制备方法
CN112076305A (zh) 一种治疗人体代谢症候群及杀菌消炎的中药制内服外用原液合剂
KR0179088B1 (ko)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CN107837309B (zh) 一种具有辅助降血糖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463207B (zh) 预防和治疗糖尿病的组合物
CN11180355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茄皮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299756C (zh) 具有益胃作用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0542555C (zh) 一种治疗消化性溃疡疾病的药物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