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996A - 타이어의 가황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가황기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가황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가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38996A KR20060038996A KR1020067000948A KR20067000948A KR20060038996A KR 20060038996 A KR20060038996 A KR 20060038996A KR 1020067000948 A KR1020067000948 A KR 1020067000948A KR 20067000948 A KR20067000948 A KR 20067000948A KR 20060038996 A KR20060038996 A KR 200600389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der
- mold
- tire
- vulcanized
- slee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45—Devices for inserting vulcanising cores, i.e. bladders, into the tyres; Closing the press in combination herewi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래더를 하부 금형 장치 내의 가황 위치에서 팽창 및 축소 가능하게 하고 가황 위치로부터 하부 금형 장치의 중심선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타이어 수수 위치에도 팽창 및 축소 가능하게 한다. 얼라인먼트 샤프트를 상부 금형, 블래더, 하부 금형 장치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타이어 수수 위치에 반입된 생 타이어를 블래더를 팽창시켜 블래더에 유지시키고, 블래더에 의해 하부 금형 장치 내로 형 삽입하고, 가황 처리 후에 블래더가 가황 완료된 타이어를 가황 위치로부터 수수 위치로 형 빼기하고, 얼라인먼트 샤프트를 하부 금형 및 블래더로부터 빼낸 후, 수수 위치에서 블래더를 축소시켜 상기 블래더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한다.
타이어, 블래더, 얼라인먼트 샤프트, 금형, 가황, 형 빼기, 트래드, 분할, 슬리브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이어의 가황기에 있어서, 폭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균일한 타이어를 제조하는 가황 방법 및 타이어 가황기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를 제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성형 공정의 성형 드럼에 내부 라이너(inner liner)나 보디 플라이(body fly)를 권착(券着)하고, 비드 와이어(bead wire)를 박아 기본 구성 부재인 그린 케이스(green case)를 제작한다. 그 후, 그린 케이스의 외주측에 벨트나 트래드(tread)를 장착하여 생(生) 타이어를 성형한다. 생 타이어는, 핸들링 장치에 의해, 성형 공정으로부터 반출되어 보관 창고에 반입되어, 일시 보관된 후, 생산계획에 따라 가황 공정에 반송되고, 또는 보관 창고를 거치지 않고 성형 공정으로부터 직접 가황 공정에 반입된다. 가황 공정에 있어서는, 소정의 위치에 탑재된 생 타이어를 가황기의 핸들링 장치로 파지하고, 이동 가능한 상부 금형과 고정된 하부 금형 사이의 형 열림 공간으로 생 타이어를 장전한다. 형 닫힘 후, 생 타이어의 내부에서 블래더(bladder)를 증기 등의 압력에 의해 팽창시켜, 생 타이어의 내면에 밀착시키면서 외면을 공간 내로 확대해 가압하고, 생 타이어를 금형에 따른 외측과 블래더에 따른 내측으로부터 가열·가압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후, 가황 성형을 종료한다.
미가황의 생 타이어는, 성형 공정에서 고정밀도로 균일하게 성형된 경우라도, 반출, 보관, 반입, 탑재에 있어서의 각종 핸들링을 거침으로써 변형되기 쉽고, 이 변형에 의해 생 타이어의 중심이 어긋난 상태에서 가황이 진행되면, 가황 타이어의 균일성이 악화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개 2001-096534호 공보의 도 1, 도 2에 기재된 기술은, 이 문제에 대한 개량 방법을 제공하지만, 이 방법에 따르는 경우, 생 타이어 1개마다 각종 치공구가 필요해 지므로, 타이어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또, 일본국 특개평 10-076529호 공보의 도 1 및 일본국 특개평 10-156833호 공보의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황 공정에 있어서는, 세로 반쪽으로 분할된 컵형의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에 생 타이어를 끼워 가황하기 위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코어 맞춤은, 금형이 닫힌 후, 즉, 가황이 개시된 후에 행하지 않을 수 없고, 상부 금형이 열린 상태의 가황 개시 전에서는 코어 맞춤은 행할 수 없다.
또, 일본국 특개소 57-199639호 공보의 도 2 및 일본국 특개평 09-038977호 공보의 도 2, 도 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생 타이어의 내부로부터 가열·가압하는 블래더는, 상기 블래더의 상단 환형부도 하단 환형부도 양쪽과도 아래쪽으로부터만 구동·지지되어, 아래쪽으로부터의 긴 한쪽 지지 구조를 위해 코어의 정밀도가 나쁘고, 블래더를 팽창시킬 때, 정확한 센터 세이핑(center shaping)을 행하기 어려웠다. 또한, 사용 회수의 증가에 따라 상하 환형부 사이에서의 중심 어긋남이 한층 더 일어나기 쉬워, 코어가 어긋난 블래더를 사용할 수밖에 수 없었다. 또, 구 동 장치 등이 아래쪽에 집중되어, 아래쪽의 설비가 많아 정비하기도 힘들었다.
또한, 블래더를 팽창시킬 때, 균일한 형상이나 균일한 열전달을 얻기 위해 상하 균일하게 팽창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코어가 어긋나 있던 경우에는, 상하 균일하게 팽창시키는 연구를 해도 그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8-39568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 타이어를 가황기에 반입할 때에 사용되는 반입 장치는, 통상, 생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확장 수축 이동하는 타이어 파지 클릭(click)이 설치되고, 이 파지 클릭을 생 타이어의 상측 비드 내측에 들어가게 한다음 파지 클릭을 확장시켜 상측 비드부만을 파지하여 들어 올리고, 하부 금형 상에 이동시켰다. 형태가 변하기 쉬운 생 타이어를 상단의 한쪽으로 들어 올리기 때문에, 생 타이어가 변형되고 상기 생 타이어의 상측과 하측의 대칭성이 손상되었다. 즉, 생 타이어를 가황기의 축 중심에 반입하기 어렵고, 그 결과, 가황 타이어의 균일성이 악화 된다는 문제는 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하 금형, 블래더 및 생 타이어의 코어를 일치시킨 후 가황를 행할 수 있는 가황 방법 및 가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된 목적은, 생 타이어의 형상을 손상시키지 않고 , 생 타이어를 금형에 형 넣기 할 수 있는 가황 방법 및 가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래더의 팽창 동작을 상하 대칭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한 블러더의 상하 환형부의 동심성이 사용 회수의 증가에 따라 손상되지 않도록 한 가황 방법 및 가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수·점검·정비가 용이한 가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 실시예의 발명은, 방사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된 분할 트래드(tread) 금형 내에 생(生) 타이어를 형 삽입하고,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을 방사 방향의 내측으로 닫고 블래더(bladder)를 형 삽입된 상기 생 타이어의 내측에서 팽창시킨 상태에서 가황 처리하고, 가황 처리의 완료 후에,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을 방사 방향 외측으로 개방하여 가황이 끝난 타이어를 형 빼기 하도록 한 타이어의 가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를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 내의 가황 위치에 있어서 팽창 및 축소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가황 위치로부터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축선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외부의 타이어 수수 위치에서도 팽창 및 축소 가능하게 하고, 상기 타이어 수수 위치에 반입된 상기 생 타이어를 상기 수수 위치에서 상기 블래더를 팽창시켜 상기 블래더에 유지시키고, 상기 블래더에 의해 상기 가황 위치의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 내에 형 삽입시키고, 가황 처리 후에, 상기 블래더가 가황 완료된 타이어를 상기 가황 위치로부터 상기 수수 위치로 형 빼기하고, 상기 수수 위치에서 상기 블래더를 축소시켜 상기 블래더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황시에 타이어의 내면을 소정 형상으로 유지하는 블래더가 형 삽입·형 빼기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즉, 블래더는, 생 타이어를 타이어 수수 위치로부터 가황 위치로 이송하여 분할 트래드 금형 내에 형 삽입하고, 가황이 끝난 타이어를 가황 위치에서 형 빼기하여 수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따라, 가황기의 내부에서 타이어를 형 삽입·형 빼기하는 이송 수단을 독립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가황기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 블래더는, 수수 위치에서 생 타이어를 수취할 때, 생 타이어의 내주면 전역에 접촉하여 생 타이어를 블래더의 팽창시의 소정 형상으로 유지하고, 이 소정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생 타이어를 금형 내에 형 삽입하고, 또한 가황 중에도 타이어의 내주면을 소정 형상으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형 붕괴되기 쉬운 생 타이어를 수개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지지하여 형 삽입고하는 종래의 형 삽입 수단에 의한 폐해가 방지되고,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수 위치에서 생 타이어를 수취할 단계에서 생 타이어가 소정 형상으로 팽창하는 블래더에 의해 내주면의 전역을 균등하게 지지함으로써 생 타이어의 성형 형상이 고정밀도로 확립되고, 가황 처리 후의 타이어 형상을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발명은, 생 타이어를 수용하는 하부 금형에 대해 상기 하부 금형의 상측으로 동일 중심으로 배치한 상부 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에 조합하고, 생 타이어의 내부에서 팽창하는 블래더의 상단 및 하단 환형부를 기밀적으로 구속하는 상하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가지는 수직형 가황기의 타이어의 가황 방법에 있어서,
가황시에 상기 하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 상기 생 타이어, 상기 블래더 및 상기 한 쌍의 블래더 조작 슬리브의 중심에 한 개의 얼라인먼트 샤프트(alignment shaft)를 삽입시켜 상기 한 쌍의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상기 하부 금형 및 상기 상부 금형에 대해 정렬한 상태에서 가황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황 처리는, 얼라인먼트 샤프트가 한 쌍의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대해 정렬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이 얼라인먼트 샤프트에 의해 블래더 조작 슬리브의 중심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중심에 정합되고, 이 결과, 이들 블래더 조작 슬리브에 의해 상단 및 하단 환형부가 구속되는 블래더의 중심이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중심에 정합 된다. 이에 따라, 가황 처리 동안, 블래더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중심에 생 타이어의 중심을 정합시킬 수 있고, 타이어를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과 동심(同芯)으로 가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황된 타이어의 전체 원주 영역은, 타이어 중심과 동심으로 가황 성형되고, 타이어의 회전 정밀도가 향상된다.
제3 실시예의 발명은, 제2 실시예의 발명에 관한 타이어의 가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을 구성하는 수평 방사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분할 트래드 금형 내의 가황 위치에서 상기 블래더를 팽창 및 축소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가황 위치로부터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축선을 따라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외부의 타이어 수수 위치에서도 팽창 및 축소 가능하게 하고, 상기 타이어 수수 위치에 반입된 상기 생 타이어를 상기 수수 위치에서 상기 블래더를 팽창시켜 상기 블래더에 유지시키고, 상기 블래더에 의해 상기 가황 위치의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 내에 형 삽입시키고, 가황 처리 후에, 상기 블래더가 가황 완료된 타이어를 상기 가황 위치로부터 상기 수수 위치로 형 빼기하고, 상기 수수 위치에서 상기 블래더를 축소시켜 상기 블래더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래더를 형 삽입·형 빼기 수단으로서 이용함으로써 달성되는 제1 실시예의 발명의 작용·효과가 제2 실시예의 발명에 부가된다.
제4 실시예의 발명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간 위치의 하방에 고정 배치된 하부 금형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중간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하부 금형과 동심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이송 기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 가능한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및 상기 상부 금형의 중심을 통과하는 형 중심선과 동심으로 배치된 블래더와, 상기 형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고 수평 방향으로 미소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블래더의 하단 환형부 및 상단 환형부를 기밀적으로 구속하는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와, 상기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별개로 상하 위치 결정하는 블래더 위치 결정 기구와, 상기 형 중심선 상에 배치되어 이송기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황시에 상기 상부 금형, 상기 블래더, 상기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 및 상기 하형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상기 상부 금형 및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해서 정렬하는 얼라인먼트 샤프트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실시예의 발명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발명은, 제4 실시예의 발명에 관한 타이어용 가황기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블래더가 상기 하부 금형 내의 가황 위치에서 팽창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상기 블래더가 상기 가황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간 위치에서 팽창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래더는, 가황 위치에서 팽창되며 또한 가황기의 프레임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도 팽창되므로, 이 중간 위치에서 생 타이어를 수취하여 가황 위치로 형 삽입 이송하고, 가황이 끝난 타이어를 형 빼기하여 중간 위치에 반환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블래더는, 형 삽입·형 빼기 수단으로서 이용되며,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의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6 실시예의 발명은, 제5 실시예의 발명에 관한 타이어용 가황기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의 상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블래더의 팽창 동작 및 팽창 상태의 측면 형상을 규제하는 상하 한 쌍의 블래더 팽창 제어부재와, 상기 한 쌍의 블래더 팽창 제어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별개로 위치 결정하는 제어부재 위치 결정 이송 기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간 위치에서 블래더가 팽창될 때, 한 쌍의 블래더 팽창 제어부재가 블래더의 상하 측면에 접촉하여 블래더의 팽창 동작을 규제한다. 이들 블래더 팽창 제어부재는, 이송 장치에 의해 위치 결정 가능하므로, 블래더가 타이어의 내부에서 그 폭 방향 중심에 대해 상하 균등하게 팽창 되도록 제어되고, 또, 상하 균등하게 팽창된 블래더의 측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생 타이어는, 상기 중간 위치에 있어서 블래더에 의해 폭 방향 중심에 대해 상하 대칭성을 고정밀도로 유지하여 지지되고, 또 가황 위치에서는 이 상하 대칭성이 가황 처리 동안 유지된다. 따라서, 가황이 끝난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한 대칭성이 고정밀도로 된다.
제7 실시예의 발명은, 제4 실시예의 발명에 관한 타이어용 가황기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상하 이송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배치된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와, 상기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상하 이송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중간 위치로부터 하방에 배치된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와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는, 프레임의 대략 중간 위치를 경계로 각각 상하로 분리되어 배치된다. 이 때문에, 프레임의 상기 중간 위치의 하방에의 기구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고, 가황기의 보수 점검 정비가 용이해진다.
제8 실시예의 발명은, 제7 실시예의 발명에 관한 타이어용 가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와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는 서로 결합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상기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에 대해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와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는, 분리 가능하며 또한 연결 수단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분리 상태에서는 생 타이어를 블래더,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 및 상하의 금형과 동심으로 세트할 수 있고, 가황 처리 후에 가황기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9 실시예의 발명은, 제7 실시예 또는 제8 실시예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타이어용 가황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는 각각 동기 제어 가능한 서보모터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를 각각 동기 제어 가능한 서보모터로 구성하였으므로, 프레임 중간 위치에서 생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팽창시킨 블래더를, 양 서보모터를 동기 제어함으로써, 그 팽창 상태를 불변으로 유지하여 가황 위치에 이송할 수 있고, 이 이송 동작 동안 블래더의 팽창 상태를 바변화시키지 않고, 즉 이 블래더에 유지된 생 타이어를 상기 블래더에 의해 구속되는 형상으로 형 붕괴되지 않으며, 따라서 가황 처리 후의 타이어의 형상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의 발명은, 제4 실시예 내지 제9 실시예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타이어용 가황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 이동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 상에 상기 상부 금형을 고정 지지하고, 상기 얼라인먼트 샤프트에는 그 하단부가 상기 하부 금형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승 불가능하게 고정될 때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면에 접촉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얼라인먼트 샤프트는 그 하단부가 하부 금형을 관통한 상태에서 프레임에 대해 상승 불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얼라인먼트 샤프트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상부 금형을 탑재 지지하는 이동 프레임의 후면에 접촉시키도록 했으므로, 가황 공정에서의 금형 내부의 압력 상승에 의해 상부 금형이 하부 금형과의 정확한 조합 상태로부터 분리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상부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타이어의 측면 부분이 정규의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고, 가황 처리 후의 타이어는 고정밀로 된다.
제11 실시예의 발명은, 제5 실시예 내지 제10 실시예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타이어용 가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은 수평면 상에서 방사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안내된 복수개의 금형 편으로 이루어지는 분할 트래드 금형과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하방 측면을 폐색(閉塞)하는 하부 측벽 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상방 측면을 폐색하는 상부 측벽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 트래드 금형을 수평면 상에서 방사 방향으로 열도록 했으므로, 팽창 상태의 블래더에 의해 지지된 생 타이어를 변형시키지 않고 열림 상태의 분할 트래드 금형 내에 형 삽입할 수 있고, 프레임 중간 위치에서 블래더에 의해 고정밀도로 지지된 생 타이어를 이 지지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가황 처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심을 맞춘 상태에서 분할 금형 내에서 형 삽입할 수 있고, 분할 금형 내에서 중심을 맞추려고 하는 종래 방법에 의한 타이어에 비해, 고정밀의 타이어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가황기가 원래 위치 상태에 있을 때의 종단 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가황기가 가황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반입출 위치(LP)에 유지되는 생 타이어를 블래더가 지지하여 분할 트래드 금형 내에 형 삽입하고 가황 후 형 빼기하는 형 삽입 동작의 초기 및 형 빼기 동작의 최종 단계를 나타낸 상기 실시예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형 삽입·형 빼기 동작의 다른 단계를 나타낸 상기 실시예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c)는 상기 형 삽입·형 빼기 동작의 또 다른 단계에서 블래더를 팽창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상기 실시예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d)는 상기 형 삽입·형 빼기 동작의 더 진행된 다른 단계에서 블래더가 생 타이어를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상기 실시예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황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수직형 가황기(10)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이 도면에 있어서, 11은 평면적으로 볼 때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상기 플레이트(11)에는, 가상 정방형의 4각에 있어서 바로 앞쪽의 도시되어 있지 않은 2개를 포함하여 4개의 주 칼럼(12)이 수직 설치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칼럼(12)의 상단은 천정판(13)에 의해 연결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1), 칼럼(12) 및 천 정판(13)은 상하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형의 프레임(14)을 구성하고 있다.
주 칼럼(12)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반송 장치(16)가 가황 해야할 생 타이어(TR)를 반입·반출 동작하는 반입출 위치(LP)가 정의되어 있다. 가황기(10)는, 상기 반입출 위치(LP)를 중심으로 하여, 그 전체 기구부를 하측에 배치된 하부 기구부(10a)와 상측에 배치된 상부 기구부(10b)로 분리하고, 칼럼(12)의 하측 또는 상측에의 기구부의 집중을 방지하고, 보수 점검 정비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있다.
하부 기구부(10a)는 주로, 금형 지지 기구(LM1), 분할 트래드 금형의 개폐 기구(LM2), 상부 측벽 금형 록 기구(LM3), 및 블래더 주조작 기구(LM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부 기구부(10b)는 주로, 상부 측벽 금형용의 지지 개폐 기구(UM1), 블래더 부조작 기구(UM2) 및 얼라인먼트 기구(UM3)로 이루어진다.
금형 지지 기구(LM1)를 구성하는 형 베이스 부재(20)는, 상기 칼럼(12)에 고정되어 있다. 형 베이스 부재(20)는, 수직으로 연장하는 원통부(21) 및 상기 원통부(21)의 상단에 고정된 중공 원반형의 형 지지 테이블(22)로 구성되어 있다. 형 지지 테이블(22) 상에는, 하부 금형 장치(25)가 탑재되어 있다. 하부 금형 장치(25)는, 원통부(21)과 기계 중심으로 되는 금형 중심선(MCL)과 동심으로 고정된 개략 원환형의 하부 측벽 금형(26)과, 상기 형 지지 테이블(22) 상에서 금형 중심선(MCL)의 주위에 등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방사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 예를 들면 8개의 분할 트래드 금형(27)로 구성되어 있다. 분할 트래드 금형(27)은, 소정 각도(예를 들면, 8분할의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45도)의 원호 길이를 가지는 원호형이며, 내면의 높이 방향의 중앙부에 소정의 트래드 패턴이 형성된 트래 드 형성면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의 양단 둘레부는 상기 하부 측벽 금형(26)의 외주면 및 후술하는 상부 측벽 금형(72)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원호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분할 트래드 금형(27)의 개폐 기구(LM2)는,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27)을 지지 테이블(22)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여 지지하고, 그 하면을 더브테일 홈으로 방사 방향으로 안내하는 방사 방향 안내 기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분할 트래드 금형(27) 각각의 외주면은, 하방을 향해 소직경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퍼면으로 되고, 상기 테이퍼면 상의 원주 방향의 중앙부는, 형 체결 링 부재(29)의 내주면과 더브테일 홈 결합되어 있다. 형 체결 링 부재(29)는, 칼럼(12)에 고정 설치된 직선 가이드(30a)(도 2 참조)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 원환형의 링 홀더(3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형 베이스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나사축(31)에 의해 상하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31)은, 서보모터(32)에 의해 풀리·벨트 기구(33)를 통하여 회전 구동되고, 형 체결 링 부재(29)를 상하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분할 트래드 금형(27)을 방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서보모터(32), 나사축(31) 및 형 체결 링 부재(29)는, 하부 금형을 구성하는 분할 트래드 금형(27)의 개폐 구동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블래더 주조작 기구(LM4)는, 원통부(21) 내의 중심에 설치되고, 금형 중심선(MCL)과 동심으로 배치된 중공의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와, 상기 슬리브(41)의 외주에 결합된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와, 상기 슬리브(42)의 외주에 결합 된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로 이루어진다.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는, 그 축심부에 후술하는 얼라인먼트 샤프트(81)가 밀착 결합하여 삽입되는 관통공(41a)이 천공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블래더(45)의 상단 환형부를 기밀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41b)가 설치되고, 또한 상단부 중앙에는 피 파지 링(46)이 고착되어 있다. 또,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에는, 기체의 급기로(41c) 및 배기로(41d)가 형성되고, 이들 상단은 블래더(45) 내로 개구되고, 하단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기체 공급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는, 피 파지 링(46)이 후술하는 상반부 기구부(10b)에 내장된 블래더 부조작 기구(UM2)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는, 상단의 플랜지부(42a)에 있어서 블래더(45)의 하단 환형부를 기밀적으로 구속하고 있이다. 상기 하단 환형부의 구속부(42a)의 직경은, 상단 환형부의 구속부(41b)의 직경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의 하단부에는, 너트(42b)가 고착되고, 상기 너트(42b)는 형 베이스 부재(20)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나사축(50)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나사축(50)은, 형 베이스 부재(20)에 장착된 서보모터(51)에 의해 풀리·벨트 기구(52)를 통하여 회전되고,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즉 블래더(45)의 하단 환형부를 상하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블래더 부조작 기구(UM2)에 의한 블래더(45)의 상단 환형부의 위치 조정 동작과 공동하여, 블래더(45)를 분할 트래드 금형(27)에 정합(整合)시키는 가황 위치(도 2)와 반입출 위치(LP)에 정합시키는 타이어 수수 위치(도 3(d)) 사이에서 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서보모터(51), 풀리·벨트 기구(52), 너트(42b) 및 나사축(50)은,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를 독립적으로 상하 이송하는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블래더 팽창 제어부재로서의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는, 상단에 나팔형으로 열린 블래더 측면 규제부(43a)가 형성되고, 하단에 너트(43b)가 고착되어 있다. 너트(43b)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축(55)은, 형 베이스 부재(20)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일하게 형 베이스 부재(20)에 장착된 서보모터(57)에 의해 풀리·벨트 기구(58)를 통하여 회전되고,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 즉 블래더 측면 규제부(43a)를 상하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서보모터(57), 풀리·벨트 기구(58), 너트(43b) 및 나사축(55)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를 독립적으로 상하 위치 결정하는 제어부재 위치 결정 이송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측면 규제부(43a)는, 블래더(45)가 팽창 동작할 때, 블래더(45)의 하측면부에 가압 접촉되고, 블래더(45)를 최초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시켜,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팽창이 확보된 것이, 예를 들면 타이머의 타임업에 의해 확인될 때 하측면부의 가압 접촉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블래더(45)의 측면부의 팽창을 허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나사축(55)은, 도면 예에서는 1개만 도시되어 있지만, 원주 방향에 등 각도 배치로 복수개 설치되고, 이들 복수개의 나사축(55)의 탄성변형에 의해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을 수평면 내에서 미소 변위를 허용하여 상기 금형 중심선(MCL)과 대략 동심(同芯)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는, 상단 외주면에서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내주면과 축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주면에서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의 외주면을 축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를 위한 나사축(50)은, 도면 예에서는 1개만 도시되어 있지만, 원주 방향에 등 각도 배치로 복수개 설치되고, 이들 복수개의 나사축(50)의 탄성변형에 의해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을 수평면 내에서 미소 변위를 허용하여 상기 금형 중심선(MCL)과 대략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얼라인먼트 샤프트(81)는,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의 관통공(41a)에 밀착 결합하여 삽입될 때,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를 수평면 내에서 미소 변위시켜, 금형 중심선(MCL)에 정렬하여 정합한다.
상부 측벽 금형 록 기구(LM3)는, 링 홀더(30)에 탑재된 감속기 부착 모터(60)와, 금형 중심선(MCL)를 선회 중심선으로 하는 원환형의 토글(toggle)(61)과, 또한 토글(61)의 외주부에 형성된 기어에 치합되고 모터(6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62)으로 구성된다. 토글(61)은, 내단면이 ㄷ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의 환형 돌출부가 링 홀더(30)의 환형 홈에 결합되어 상기 링 홀더(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면서 상하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토글(61)의 상단의 환형 돌출부는, 소정 원호 폭의 노치부(도시하지 않음)가 등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언클램프 각도 위치에 위치될 때, 후술하는 상부 측벽 금형 지지 테이블에 고착된 복수개의 결합부재(105)의 하단 결합부의 침입을 허용하고, 상기 언클램프 각도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선회한 클램프 위치에서는 상기 결합부재(105)의 하단 결합부에 형성 된 홈(105a)에 결합되어 링 홀더(30)와 결합부재를 상하 방향의 양쪽으로부터 협지(挾持)하고, 금형 장치(25)에 대한 상부 측벽 금형의 압착 폐색(閉塞) 동작을 확실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 상반부 기구부(10b)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부 금형을 구성하는 상부 측벽 금형용의 지지 개폐 기구(UM1)는, 칼럼(12)에 부설한 직선 가이드 레일(7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프레임(7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70)은, 상부 측벽 금형(72)을 지지하는 하방 측의 지지 테이블(70a)과 상방 측의 상판(70b)과, 이들 양 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금형 중심선(MCL)과 동축에 배치된 연결통(70c)으로 이루어진다. 상판(70b)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축(75)의 하단부가 고착되고, 나사축(75)의 상단부는 천정판(13)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천정판(13)의 상면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러스트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지지된 너트(76)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너트(76)는, 천정판(l3)에 장착된 서보모터(77)에 대해 풀리·벨트 기구(78)를 통하여 회전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보모터(77)의 동작에 의해, 이동 프레임(70)을 상부 측벽 금형(72)과 함께 상하 위치 결정 가능하며, 상부 측벽 금형(72)을 금형 장치(25)와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테이블(70a)은, 그 하면에서, 상부 측벽 금형(72)을 금형 중심선(MCL)과 동축에 고착하고 있다. 상판(70b)의 상면에는, 금형 중심선(MCL)과 동심으로 안내통(80)이 고착되고, 상기 안내통(80)에 가이드 된 얼라인먼트 샤프트(81)가 금형 중심선(MCL)에서 상하 진퇴 가능하게 안내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샤프트(81)는, 얼라인먼트 기구(UM3)의 일부를 구성하고, 그 상단에 크로스바(82)가 고착되 고, 상기 크로스바(82)의 일단에는, 나사축(83)의 상단이 일체 고착되어 있다. 나사축(8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해 상하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고 회전만 가능하게 상판(70b) 상에 지지된 너트(84)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너트(84)는 상판(70b) 상에 장착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서보모터에 의해 풀리·벨트 기구(85)를 통하여 회전 구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서보모터가 구동되면, 얼라인먼트 샤프트(81)는 그 하단부를 상부 측벽 금형(72) 내에 위치시키는 상승 위치(비정렬·비연결 위치)와 그 하단부를 금형 장치(25),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의 관통공(41a), 및 형 베이스 부재(20)를 관통하는 하강 위치(정렬·연결 위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측벽 금형(72)을 금형 장치(25)와 조합하는 하강 위치에 진출한 상태에서는, 하강 위치에 위치 결정된 얼라인먼트 샤프트(81)의 상단 플랜지부(81a)가 안내통(80)의 상단면에 접촉하고, 하단부는 형 베이스 부재(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2) 면홈에 양다리 쐐기 부재(86)를 삽입함으로써, 프레임(14)에 대해 상승 불가능하게 록킹된 얼라인먼트 샤프트(81)가 형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이동 프레임(70)의 상면, 즉 후면을 가압하도록 작용하고, 금형 장치(25), 상부 측벽 금형(72),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를 정렬하고, 이들 부재를 금형 중심선(MCL)에 정합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부 측벽 금형(72)이 금형 장치(25)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분할 트래드 금형(27)의 상면으로부터 괴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블래더 부조작 기구(UM2)를 구성하는 연결통(90)이 연결통(70c)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그 중심 관통공에서 얼라인먼트 샤프트(81)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연결통(90)에는,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2위치에 한 쌍의 연결 클릭(91)이 개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들 연결 클릭(91)의 중간부는 각각 링크를 통하여 조작 로드(92)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조작 로드(92)의 상단부는, 각각 연결통(70c)의 상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공기 실린더(93)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에 결합되고, 공기 실린더(93)의 동작에 의해 연결 클릭(91)을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연결통(90)의 상단에는, 너트(94)가 고착되고, 상기 너트(94)는 풀리·벨트 기구(95)를 통하여 천정판(70b)에 고정의 서보 모터(96)에 의해 회전 되는 나사축(97)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나사축(97)은, 상판(70b)에 회전만 가능하게 지지되고, 연결통(90)이 얼라인먼트 샤프트(81)를 모방할 수 있도록 미소량 탄성변형 가능하다. 서보모터(96), 풀리·벨트 기구(95), 나사축(97) 및 너트(94)는, 연결통(90)을 통하여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를 상하 이송하는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서보모터(96)를 동작시키면, 연결통(90)을 이동 프레임(70)에 대해 하강시킬 수가 있고, 이 하강 위치에서 연결 클릭(91)을 닫음 동작시키면, 피파지 링(46)을 파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가 연결통(90)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통(90)을 서보모터(96)의 동작에 의해 상승시키고, 또한 이와 동기하여 서보모터(51)를 동작시켜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를 상승 동작시킴으로써, 블래더(45)를 팽창 상태로 유지하면서 가황 위치로부터 그 상부의 수수 위치 (LP)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블래더(45)는, 다음에 가황해야 할 생 타이어를 수수 위치(LP)로부터 가황 위치로 형 삽입 이송하고, 가황 완료된 타이어(TR)를 가황 위치로부터 수수 위치(LP)로 형 빼기 반환 이송하는 타이어(TR)의 형 삽입·형 빼기 장치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연결통(90)의 외주에는 하단부(100a)가 나팔형의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가 배치되고, 블래더 팽창 제어부재로서 기능하는 상기 슬리브(100)의 상단에 너트(10Ob)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너트(10Ob)와 이 너트(100b)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축(101)은, 원주 방향 등 간격으로 복수 쌍 배치되고, 상판(70b)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판(70b)에 장착된 서보모터(102)에 의해 풀리·벨트 기구(103)를 통하여 나사축(101)을 회전하고,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O), 즉 블래더 측면 규제부(10Oa)를 상하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측면 규제부(100a)는, 블래더(45)가 팽창 동작할 때, 블래더(45)의 상측면부에 대해, 전술한 블래더 측면 규제부(42a)와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서보모터(102), 풀리·벨트 기구(103), 나사축(101) 및 너트(10Ob)는,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를 상하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위치 결정하는 제어부재 위치 결정 이송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가황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원래 위치의 상태에서, 반송 장치(16)에 의해 외주를 유지시킨 미가황(未加硫)의 생 타이어가 금형 중심선(MCL)과 동심의 반입출 위치(LP)에 반입된다. 이 반입 동작의 완료와 동시에, 얼라인먼트 샤프트(8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서보 모터가 너트(84)를 회전시켜 나사축(83)을 하강 동작시킴으로써 하강되고, 그 하단부를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의 관통공(4la)에 삽입하고, 상기 슬리브(41)의 상하 방향 중간 위치에 도달되는 중간 하강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1, 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가 이것들을 지지하는 나사축(43, 55)의 탄성 변형에 의해 수평면 내에서 미소 변위되고, 얼라인먼트 샤프트(81)에 정렬되어 금형 중심선(MCL)과 동심으로 정합된다.
얼라인먼트 샤프트(81)의 하강 동작에 약간 지연되어, 연결통(90)이 서보 모터(96)의 동작에 의해 하강단까지 하강되고, 한 쌍의 연결 클릭(91)을 피 파지 링(46)의 환형 V 홈에 정합시키고, 계속되는 공압 실린더(93)의 동작에 의해 연결 클릭(91)을 닫음 동작시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를 연결통(90)에 일체 결합한다. 다음에,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통(90)이 서보모터(96)의 역전에 의해 원래 위치까지 상승 동작되고, 이 때, 블래더(45)는 대략 원통형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생 타이어(TR)의 중심에 삽입된다. 이 상승 동작에 약간 지연되어,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가 각각 서보 모터(51, 57)의 동작에 의해 대략 일체로 상승되고,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상단의 측면 규제부(43a)를 생 타이어(TR)의 폭 방향 중심에 관하여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의 하단의 측면 규제부(100a)와 대칭으로 되는 도 3(b)에 나타낸 위치까지 상승된다.
이어서, 하측의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쌍과 상측의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 의 쌍이 동기하여 생 타이어(TR)의 폭 방향 중심 위치를 향해 서로 접근 이송된다.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전진 위치에서는,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측면 규제부(43a)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의 측면 규제부(100a)는, 생 타이어(TR)의 내부, 즉 생 타이어(TR)의 상하의 비드부를 넘어 내부까지 서로 접근된다. 이 정지 위치에서는, 연결통(90)에 연결된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의 블래더 구속부(41b)에 대해 블래더 측면 규제부(100a)가 돌출되어 있고,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의 블래더 구속부(42a)에 대해 블래더 측면 규제부(43a)가 약간 돌출되어 있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다음에, 블래더(45) 내에 압축 공기가 도입되고, 블래더(45)는 생 타이어(TR)의 폭 방향 중앙 위치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점차 팽창되기 시작한다. 블래더(45)의 팽창 동작의 초기에는, 하측의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쌍과 상측의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의 쌍은 도 3(c)의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때문에, 블래더(45)는, 상하의 블래더 측면 규제부(100a 및 43a)에 의해 좁혀진 공간 내에서 팽창 시작되고, 생 타이어(TR)의 폭 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팽창되고, 생 타이어(TR)의 트래드부 내측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생 타이어(TR)에 접촉하기 시작한다. 그 후, 서보 모터(102, 57)를 제어하여,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는 조금씩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위치 제어되고,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래더 측면 규제부(100a, 43a)를 각각 생 타이어(TR)의 상하의 비드부에 정합시킨다. 이에 따라, 블래더(45)는, 다음에 폭 방향(이 경우는, 상하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되고, 생 타이어(TR)의 전 내주면부에 정확하게 전체 면 접촉하도록 된다.
즉,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를 이와 같이 블래더(45)의 팽창시에 위치 제어함으로써, 블래더(45)와 생 타이어의 상하 방향의 대칭성이 확립된다. 또, 금형 중심선(MCL)에 대해서 동심성이 확립되어 있는 블래더(45)에 의해 생 타이어의 내면을 지지함으로써, 블래더(45)에 지지된 상태의 생 타이어는 금형 중심선(MCL)에 대해서 동심성이 정밀하게 확립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는, 블래더(45)의 상단 환형부를 기밀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41b)의 직경과 하단 환형부를 기밀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42a)의 직경을 동일 직경으로 하고 있으므로, 블래더(45)는, 생 타이어(TR)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해 편향하면서 팽창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하 대칭으로 팽창함으로써 생 타이어(TR)를 폭 방향의 중심에 대해 한층 더 고정밀도의 대칭 형상으로 성형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생 타이어(TR)가 블래더(45)에 의해 폭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함께 대칭되도록 내측으로부터 유지되면, 반송 장치(16)가 생 타이어(TR)를 해방하고, 가황기(10)의 기계 외측으로 퇴거한다. 그 후, 상측의 이동 프레임(70)과 하측의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쌍은, 서보모터(77, 51, 57)를 동기 제어함으로써 일체로 하강되고, 이에 따라,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의 쌍과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쌍은, 이들 4개의 부재의 상대 위치를 불변으로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4 부재가 일체로 하강되고, 생 타이어(TR)는 그 폭 방향 중심이 분할 트래드 금형(27)의 폭 방향(상하 방향) 중심에 정합하는 가황 위치까지 블래더(45)에 유지되어 하강 된다. 이 경우, 분할 트래드 금형(27)은 방사 방향으로 열린 확장 위치에 있으므로, 생 타이어(TR)는 분할 트래드 금형(27)에 간섭되지 않고 가황 위치로 형 삽입 도입된다. 생 타이어(TR)가 가황 위치에 도달할 때, 상측의 이동 프레임(70)과 하측의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쌍의 동기 이송, 즉, 서보모터(77, 51, 57)의 동기 제어가 종료되고, 서보모터(51, 57)의 동작이 정지되어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하강 동작이 정지된다.
이 정지 위치 상태에서는, 지지 테이블(70a)의 하면은, 분할 트래드 금형(27)의 상면으로부터 아직도 이격되어 있다. 그러므로, 서보모터(77)의 동작이 재개되어 이동 프레임(70)은, 지지 테이블(70a)의 하면을 분할 트래드 금형(27)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위치까지, 형 닫음 동작을 위해 그 후 하강된다. 이 형 닫음 하강 동작중에 있어서는, 서보모터(77)의 동작과 동기하여 서보 모터(96 및 102)가 역전 동작되고, 이 결과, 이동 프레임(70)의 하강 동작과 동일 속도로 동일한 양만큼 연결통(90)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가 이동 프레임(70)에 대해 상승 이동 된다. 이에 따라, 연결통(90) 및 이것에 연결된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는 상하 위치가 불변으로 유지되고, 블래더(45)의 팽창 상태에서의 형상을 불변으로 유지하고, 이에 따라 생 타이어(TR)는 그 폭 방향 중심이 분할 트래드 금형(27)의 폭 방향(상하 방향)중심에 정합되고, 직경 방향 의 중심이 금형 중심선(MCL), 즉 분할 트래드 금형(27)과 동심으로 된 상태에서 가황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 프레임(70)이 하강되고, 상부 측벽 금형(72)을 하강단인 형 조립 위치로 하강시킨다. 이 때, 얼라인먼트 샤프트(81)는, 이동 프레임(7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이와 동시에 하강되고, 하단부를 형 베이스 부재(20)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2 면홈에 대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기 실린더에 의해 동작되는 양다리 쐐기 부재(86)가 결합되고, 얼라인먼트 샤프트(81)의 하단부는 형 베이스 부재(20), 즉 프레임(14)과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얼라인먼트 샤프트(81)의 상단 플랜지부(81a)가 안내통(80)의 상면, 즉 이동 프레임(7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고, 이동 프레임(70)의 상방으로의 후퇴가 저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 있어서는, 하부 측벽 금형(26)에 대한 상부 측벽 금형(72)의 상대 위치를 포함하여 가황기(10)의 하부 기구부(10a)에 대한 상부 기구부(10b)의 상대 위치가 얼라인먼트 샤프트(81)에 의해 고정된다.
이어서, 서보모터(32)의 동작에 의해 나사축(31)이 회전되고, 형 체결 링 부재(29)와 함께 링 홀더(30)가 칼럼(12)을 따라 상승되고, 8개의 분할 트래드 금형(27)이 그들의 상하면에 있어서 지지 테이블(70a)의 하면 및 형 지지 테이블(22)의 상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도 1의 개방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되어 도 2에 나타낸 폐색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 이동단에 있어서는, 분할 트래드 금형(27)의 각각은, 그 상하부의 원호면이 상부 측벽 금형(72) 및 하부 측벽 금 형(26)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70)이 하강단으로 이동되었을 때, 지지 테이블(70a)에 등 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예를 들면, 8개)의 연결 부재(105)의 하단부는, 원환형의 토글(61)의 상단 환형 돌출부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노치부를 통과하여 토글(61)의 내부 오목형 공간 내에 침입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음에, 모터(60)를 동작시키고, 피니언(62)을 통하여 토글(61)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토글(61)의 상단 환형 돌출부가 연결 부재(105)의 홈(105a) 내에 결합되고, 이동 프레임(70)과 링 홀더(30)는, 연결 부재(105)와 토글(61)을 통하여 서로 협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에 형성된 급기로(41c)로부터 가열 기체(예를 들면, 스팀, 가열된 불활성 가스)가 블래더(45)의 내부로 공급되고, 동시에 배기로(41d)로부터 이전에 공급한 가압 에어를 배출시키고, 블래더(45) 내의 기체를 가열 기체와 교환한다. 이 기체의 교환은, 블래더(45) 내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면서 내부 압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블래더(45)를 통해 생 타이어(TR)가 가압 및 가열되어, 외측의 금형(27, 26, 72)과 함께, 가황 처리된다.
이 가황 처리가 소정 시간 행해진 후, 모터(60)가 역전 동작되어, 토글(61)에 의한 이동 프레임(70)과 링 홀더(30)의 협지가 해방되며, 또한, 양다리 쐐기 부재(86)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에어 실린더의 역동작에 의해 얼라인먼트 샤프트(81)의 하단부와 일체 결합으로부터 해방된다. 또, 서보모터(32)의 역전 동작에 의해, 링 홀더(30)가 하강 동작되고, 분할 트래드 금형(27)은 방사 방향 외측의 개방 위치로 복귀되고, 가황이 끝난 타이어(TR)의 형 빼기 동작에 준비한다.
분할 트래드 금형(27)의 개방 위치로의 복귀가 완료되면, 서보 모터(77)의 역전 동작에 의해, 이동 프레임(70), 얼라인먼트 샤프트(81), 연결통(90),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 아직도 연결통(90)과 일체 결합되어 있는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가 상승되고, 또 서보 모터(5l와 57)의 동기된 역전 동작에 의해,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가 일체적으로 상승 된다. 이 경우, 이동 프레임의(70)의 상승 속도는,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상승 속도보다도 빠른 속도(바람직하게는, 2배의 속도)에 설정되고, 역으로, 서보 모터(96 및 102)가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상승 속도와 동일 속도로 이동 프레임(70)에 대해 연결통(90) 및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를 하강시키도록 동작된다.
이에 따라, 블래더(45)는, 거기에 유지된 가황이 끝난 타이어(TR)를 하부 측벽 금형(26)에 대해 이격시키면서 상부 측벽 금형(72)에 대해 동일 속도로 이격시키도록 가황이 끝난 타이어(TR)를 형 빼기 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상측의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의 쌍과 하측의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쌍의 상대 위치를 불변으로 유지해 블래더(45)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 결과, 상부 및 하부 측벽 금형(72, 26)에 대한 형 빼기를 균등하면서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가황이 끝난 타이어(TR)의 상하 대칭성이 고정밀도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동 프레임(70)은, 도 3(d)에 나타낸 상승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후퇴되고, 한편, 상측의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의 쌍과 하측의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쌍의 동기 이동은, 가황이 끝난 타이어(TR)를 반입출 위치(LP)에 위치 결정하도록 행해진다. 또한, 이동 프레임(70)이 먼저 상승 원래 위치에 복귀하므로, 이동 프레임(70)이 상승 원래 위치에서 정지한 이후는, 상측의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l)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의 쌍은, 이동 프레임(70)에 대해서 상승되고, 이 상승 동작은 하측의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쌍과 협동하여 상방으로 가황이 끝난 타이어(TR)를 반입출 위치(LP)에 위치 결정할 때까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블래더(45)는, 여전히 팽창 상태에서 가황이 끝난 타이어(TR)를 내부로부터 유지한 상태에서 반입출 위치(LP)에 반출시킨다. 이 후, 가황기(10)의 기계 외측으로부터 반송 장치(16)가 기계 내측으로 진출되고, 가황이 끝난 타이어(TR)의 외주를 파지한다.
반송 장치(16)에 의한 가황이 끝난 타이어(TR)의 파지가 확인되면, 블래더(45) 내의 가열 기체가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의 배기로(41d)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고, 블래더(45)가 수축된다. 이 경우,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는, 가황이 끝난 타이어(TR)의 상하의 비드부와의 정합 위치로부터 가황이 끝난 타이어(TR)의 내측으로 서로 접근 동작되고, 수축 동작하는 블래더(45)가 가황이 끝난 타이어(TR)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 가능하도록 조성된다.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는, 일단 서로 접근 동작된 후, 역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작되고,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ㄴ는 그 하단의 블래더 측면 규제부(100a)의 선단을 상부 측벽 금형(72)의 형(型) 형성면과 정합시키는 후퇴 위치로 복귀시키고, 이것과 병행하여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는 그 상단의 블래더 측면 규제부(43a)의 선단을 가황이 끝난 타이어(TR)의 폭 방향(상하 방향)의 중심에 대한 대칭 위치까지 하강된다. 상기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접근 및 이격 동작은, 서보모터(102, 57)를 동기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또, 서보모터(76 및 5l)가 각각 서보모터(102 및 57)와 동기 제어되고, 이에 따라 아직도 연결통(90)에 일체 결합되어 있는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는, 각각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접근 및 이격 동작에 추종하여 접근 및 이격 동작된다. 이에 따라, 도 3(b)에 나타낸 위치와 마찬가지로, 가황이 끝난 타이어(TR)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하여,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는 대칭 위치로 되고, 또,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100)의 블래더 측면 규제부(100a)와 블래더 팽창 제어 슬리브(43)의 블래더 측면 규제부(43a)도 대칭 위치로 되고, 블래더(45)는 단순 원통형상으로 된다.
이어서, 연결통(90) 및 이것에 일체 결합되어 있는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42)는, 서보 모터(96 및 51)의 동작에 의해 하강 동작되고, 도 3(a)에 나타낸 위치와 마찬가지의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 정지 위치에서는,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는, 그 하단면이 형 베이스 부재(20)의 상면에 착석되고, 이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에어 실린더(93)이 한 쌍의 연결 클릭(91)을 해방 동작하고,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41)를 연결통(90)의 결합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연결통(90)이 서보모터(96)의 동작에 의해 상승 동작되어 상승단 위치까지 후퇴되고 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서보모터의 동작에 의해 얼라인먼트 샤프트(81)가 상승단 위치로 후퇴되어, 모든 가동 부재가 도 1에 나타낸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반송 장치(16)가 가황이 끝난 타이어(TR)를 기계 외측으로 반출하고, 가황기(10)의 가황 동작 사이클이 종료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보모터 또는 통상의 모터에 의해 나사축 또는 이것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회전하는 형식의 가동 부재의 이송 기구는, 도면 예에서는 각각의 이송 기구에 대하여 1개의 나사축을 도시하고 있지만, 나사축은 1개라도 좋고, 명세서 중의 해당 부분으로 설명한 것처럼 원주 방향의 등 각도 간격으로 배치한 복수개의 나사축을 사용해도 된다. 또, 파지 클릭(93)을 개폐하는 실린더(93)와 같은 유체 실린더는, 기체 실린더를 대신하여, 액체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실시예 중에 기재한 가황기의 동작 사이클은, 바람직한 동작 사이클을 예시하는 것이지만, 이와 다른 동작 사이클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동작 사이클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타이어의 가황 방법 및 동일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가황기는, 자동차의 차바퀴의 타이어의 제조에 적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11)
- 방사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된 분할 트래드(tread) 금형 내에 생(生) 타이어를 형 삽입하고,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을 방사 방향의 내측으로 닫고 블래더(bladder)를 형 삽입된 상기 생 타이어의 내측에서 팽창시킨 상태에서 가황 처리하고, 가황 처리의 완료 후에,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을 방사 방향 외측으로 개방하여 가황이 끝난 타이어를 형 빼기 하도록 한 타이어의 가황 방법에 있어서,상기 블래더를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 내의 가황 위치에 있어서 팽창 및 축소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가황 위치로부터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축선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외부의 타이어 수수 위치(accepting/delivering position)에서도 팽창 및 축소 가능하게 하고, 상기 타이어 수수 위치에 반입된 상기 생 타이어를 상기 수수 위치에서 상기 블래더를 팽창시켜 상기 블래더에 유지시키고, 상기 블래더에 의해 상기 가황 위치의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 내에 형 삽입시키고, 가황 처리 후에, 상기 블래더가 가황 완료된 타이어를 상기 가황 위치로부터 상기 수수 위치로 형 빼기하고, 상기 수수 위치에서 상기 블래더를 축소시켜 상기 블래더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가황 방법.
- 생 타이어를 수용하는 하부 금형에 대해 상기 하부 금형의 상측으로 동심(同心)으로 배치한 상부 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에 조합하 고, 생 타이어의 내부에서 팽창하는 블래더의 상단 및 하단 환형부를 기밀적으로 구속하는 상하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가지는 수직형 가황기의 타이어의 가황 방법에 있어서,가황시에 상기 하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 상기 생 타이어, 상기 블래더 및 상기 한 쌍의 블래더 조작 슬리브의 중심에 한 개의 얼라인먼트 샤프트(alignment shaft)를 삽입시켜 상기 한 쌍의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상기 하부 금형 및 상기 상부 금형에 대해 정렬한 상태에서 가황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황기에 있어서의 타이어의 가황 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금형을 구성하는 수평 방사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분할 트래드 금형 내의 가황 위치에서 상기 블래더를 팽창 및 축소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가황 위치로부터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축선을 따라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외부의 타이어 수수 위치에서도 팽창 및 축소 가능하게 하고, 상기 타이어 수수 위치에 반입된 상기 생 타이어를 상기 수수 위치에서 상기 블래더를 팽창시켜 상기 블래더에 유지시키고, 상기 블래더에 의해 상기 가황 위치의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 내에 형 삽입시키고, 가황 처리 후에, 상기 블래더가 가황 완료된 타이어를 상기 가황 위치로부터 상기 수수 위치로 형 빼기하고, 상기 수수 위치에서 상기 블래더를 축소시켜 상기 블래더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황기의 타이어의 가황 방법.
-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간 위치의 하방에 고정 배치된 하부 금형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중간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하부 금형과 동심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이송 기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 가능한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및 상기 상부 금형의 중심을 통과하는 형 중심선과 동심으로 배치된 블래더와, 상기 형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고 수평 방향으로 미소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블래더의 하단 환형부 및 상단 환형부를 기밀적으로 구속하는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와, 상기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별개로 상하 위치 결정하는 블래더 위치 결정 기구와, 상기 형 중심선 상에 배치되어 이송기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황시에 상기 상부 금형, 상기 블래더, 상기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 및 상기 하형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상기 상부 금형 및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해서 정렬하는 얼라인먼트 샤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가황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블래더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블래더가 상기 하부 금형 내의 가황 위치에서 팽창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상기 블래더가 상기 가황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간 위치에서 팽창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가황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블래더의 상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블래더의 팽창 동작 및 팽창 상태의 측면 형상을 규제하는 상하 한 쌍의 블래더 팽창 제어부재와, 상기 한 쌍의 블래더 팽창 제어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별개로 위치 결정하는 제어부재 위치 결정 이송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가황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블래더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상하 이송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배치된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와, 상기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상하 이송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중간 위치로부터 하방에 배치된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가황기.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와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는 서로 결합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를 상기 제1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에 대해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가황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블래더 조작 슬리브 이송 기구는 각각 동기 제어 가능한 서보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가황기.
-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 이동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 상에 상기 상부 금형을 고정 지지하고, 상기 얼라인먼트 샤프트에는 그 하단부가 상기 하부 금형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승 불가능하게 고정될 때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면에 접촉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가황기.
-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금형은 수평면 상에서 방사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안내된 복수개의 금형 편으로 이루어지는 분할 트래드 금형과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하방 측면을 폐색(閉塞)하는 하부 측벽 금형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분할 트래드 금형의 상방 측면을 폐색하는 상부 측벽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가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279729 | 2003-07-25 | ||
JP2003279729 | 2003-07-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8996A true KR20060038996A (ko) | 2006-05-04 |
KR100721415B1 KR100721415B1 (ko) | 2007-05-23 |
Family
ID=3410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0948A KR100721415B1 (ko) | 2003-07-25 | 2004-07-08 | 타이어의 가황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가황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901608B2 (ko) |
EP (1) | EP1649996B1 (ko) |
JP (1) | JP4490916B2 (ko) |
KR (1) | KR100721415B1 (ko) |
CN (1) | CN100522534C (ko) |
DE (1) | DE602004026314D1 (ko) |
WO (1) | WO200500971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16761B2 (ja) * | 2009-05-07 | 2011-11-16 | 横浜ゴム株式会社 |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
US7963756B2 (en) * | 2009-11-18 | 2011-06-21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Segmented tire mold |
US8662871B2 (en) | 2009-12-24 | 2014-03-04 | Fuji Shoji Co., Ltd. | Tire vulcanizing device |
KR101769834B1 (ko) | 2010-01-08 | 2017-08-21 |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 타이어의 가류 장치 |
CN106255579B (zh) * | 2014-05-09 | 2019-01-01 | 横滨橡胶株式会社 | 充气轮胎的制造方法和制造系统 |
WO2019077695A1 (ja) * | 2017-10-18 | 2019-04-25 |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 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イヤ加硫機、並びに、加硫済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の改造方法 |
CN114603754B (zh) * | 2022-03-11 | 2023-09-29 | 金铁城智能科技(青岛)有限公司 | 一种轮胎硫化装置及其硫化工艺 |
CN118456941B (zh) * | 2024-07-10 | 2024-09-17 | 软控联合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开式双活络两半模具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824336A (en) | 1953-03-19 | 1958-02-25 | Us Rubber Co | Apparatus for treating pneumatic tires |
US2880458A (en) * | 1955-01-07 | 1959-04-07 | Cleveland Trust Co | Apparatus and method for shaping and vulcanizing pneumatic tires |
NL281190A (ko) | 1961-12-08 | |||
US3790656A (en) | 1971-10-04 | 1974-02-05 | Mcneil Corp | Method for loading a tire shaping and curing press employing a center mechanism |
JPS5143070B2 (ko) | 1972-05-31 | 1976-11-19 | ||
JPS5516827B2 (ko) | 1972-06-20 | 1980-05-07 | ||
JPS533422B2 (ko) | 1973-08-07 | 1978-02-06 | ||
US3976409A (en) * | 1974-11-07 | 1976-08-24 | Mcneil Corporation | Tire curing press center mechanism |
JPS51136765A (en) | 1975-05-22 | 1976-11-26 | Kobe Steel Ltd | Tire equipping apparatus |
JPS57199639A (en) | 1981-06-01 | 1982-12-07 | Mitsubishi Heavy Ind Ltd | Method of pre-expansion of green tyre in tyre vulcanizer |
US4444715A (en) | 1983-03-31 | 1984-04-24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Method of making tires |
JPH0645144B2 (ja) | 1987-05-13 | 1994-06-15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
IT1251381B (it) | 1991-08-30 | 1995-05-09 | Pirelli | Dispositivo di comando per camere di vulcanizzazione in presse di vulcanizzazione, e procedimento di comando attuato da detto dispositivo. |
US5486319A (en) * | 1993-12-29 | 1996-01-23 | Bridgestone/Firestone, Inc. | Tire c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
JPH0839568A (ja) | 1994-08-03 | 1996-02-13 | Mitsubishi Heavy Ind Ltd | タイヤ加硫機のローダ・アンローダ装置 |
JP3404188B2 (ja) | 1995-07-28 | 2003-05-06 | 不二商事株式会社 | タイヤ加硫機 |
JP3300744B2 (ja) | 1996-09-03 | 2002-07-08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
JPH10156833A (ja) | 1996-12-02 | 1998-06-16 | Kobe Steel Ltd |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
US7597837B2 (en) * | 1999-06-25 | 2009-10-06 | Pirelli Pneumatici S.P.A. | Method and apparatus for moulding and curing tyres for vehicle wheels |
US6620367B1 (en) | 1999-08-17 | 2003-09-16 |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 Tire vulcanizing method and tire vulcanizer |
JP4064012B2 (ja) | 1999-08-23 | 2008-03-19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タイヤ加硫方法及びタイヤ加硫機 |
JP3668073B2 (ja) | 1999-09-29 | 2005-07-06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タイヤ製造方法 |
JP3992463B2 (ja) * | 2001-08-28 | 2007-10-17 | 横浜ゴム株式会社 | タイヤ加硫装置 |
JP4064750B2 (ja) | 2002-07-26 | 2008-03-19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タイヤ加硫装置 |
-
2004
- 2004-07-08 CN CNB2004800207444A patent/CN10052253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7-08 EP EP04747529A patent/EP164999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7-08 KR KR1020067000948A patent/KR10072141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4-07-08 DE DE602004026314T patent/DE602004026314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7-08 JP JP2005512002A patent/JP449091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7-08 WO PCT/JP2004/010063 patent/WO2005009713A1/ja active IP Right Grant
- 2004-07-08 US US10/565,680 patent/US790160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49996A4 (en) | 2007-05-23 |
KR100721415B1 (ko) | 2007-05-23 |
JP4490916B2 (ja) | 2010-06-30 |
WO2005009713A1 (ja) | 2005-02-03 |
DE602004026314D1 (de) | 2010-05-12 |
EP1649996A1 (en) | 2006-04-26 |
CN100522534C (zh) | 2009-08-05 |
US7901608B2 (en) | 2011-03-08 |
US20060243370A1 (en) | 2006-11-02 |
CN1826212A (zh) | 2006-08-30 |
EP1649996B1 (en) | 2010-03-31 |
JPWO2005009713A1 (ja) | 2006-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26195B1 (ko) | 타이어제조방법및제조기계 | |
KR101757365B1 (ko) | 타이어의 가류 장치 | |
JP4493203B2 (ja) |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 |
JPH0639839A (ja) | 道路車両用タイヤの製造方法 | |
EP2886282B1 (en) | Tire-vulcanizing device | |
KR100721415B1 (ko) | 타이어의 가황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가황기 | |
WO2014054416A1 (ja) | タイヤの加硫方法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 |
JPS5854981B2 (ja) | タイヤのモ−ルド及び該モ−ルドの取扱い方法並に装置 | |
KR100958151B1 (ko) | 벌지성형 방법과 장치 | |
US4136146A (en) | Method for forming tubular plastic articles | |
US5073329A (en) | Method for compressions moulding of elastomers | |
US5597429A (en) | Method of loading green tire on a bladderless tire vulcanizer | |
US8097201B2 (en) | Bisplit mold for tire form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ire therewith | |
JPH0780846A (ja) | タイヤ加硫設備 | |
JPH07290464A (ja) | タイヤ取出装置及びタイヤ取出方法 | |
EP2708351B1 (en) | Tire loader, green tire preformer and tire loader system and methods for loading a green tire onto a tire press and for bringing the bead areas of a tire into alignment | |
JP2002361631A (ja) | タイヤ加硫機および加硫処理済タイヤの製造方法 | |
US4799871A (en) | Unloader mechanism for use with a vulcanizing machine | |
JPS6248513A (ja) | タイヤ加硫機のロ−ダ | |
US20190358922A1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unloading a vulcanised bicycle tyre from a vulcanisation press | |
JPS59184638A (ja) | タイヤ加硫機のロ−ダ | |
JPH06102555B2 (ja) | 光学素子の成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