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812A - 제 1 반송 레벨에서 제 2 반송 레벨로의 가공재 반송 장치및 반송 방법 - Google Patents

제 1 반송 레벨에서 제 2 반송 레벨로의 가공재 반송 장치및 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812A
KR20060021812A KR1020057003008A KR20057003008A KR20060021812A KR 20060021812 A KR20060021812 A KR 20060021812A KR 1020057003008 A KR1020057003008 A KR 1020057003008A KR 20057003008 A KR20057003008 A KR 20057003008A KR 20060021812 A KR20060021812 A KR 20060021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workpiece
retaining
carriage
operat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쉐모힐
토마스 하이네마이어
Original Assignee
뒤르 오토모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 오토모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뒤르 오토모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2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가공재 지지체 상에 배치된 특히 차체와 같은 가공재를 제1 반송 레벨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반송 레벨 상의 제2 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장치로서, 가공재의 제1 위치와 관련된 제1 장소로부터 가공재의 제2 위치와 관련된 제2 장소로 및 제2 장소로부터 제1 장소로 이동 가능한 반송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제1 제1 반송 레벨로부터 제2 반송 레벨로 가공재를 반송하는 작동을 위해 비교적 짧은 사이클 시간을 필요로 하는 반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반송 캐리지는 보유 요소가 가공재 지지체 상에 작용할 수 있는 작동 위치로부터 보유 요소가 가공재 지지체를 지나 이동 가능한 비작동 위치로 및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반송 캐리지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를 갖는 보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제 1 반송 레벨에서 제 2 반송 레벨로의 가공재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CONVEYING DEVICE AND METHOD FOR CONVEYING A WORKPIECE FROM A FIRST TO A SECOND CONVEYING LEVEL}
본 발명은 가공재 지지체 상에 배치된 특히 차체와 같은 가공재를 제1 반송 레벨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반송 레벨 상의 제2 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반송 장치는 가공재의 제1 위치와 관련된 제1 장소로부터 가공재의 제2 위치와 관련된 제2 장소로 및 제2 장소로부터 제1 장소로 이동 가능한 반송 캐리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반송 장치는 종래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특히, 제1 반송 레벨로부터 더 높은 제2 반송 레벨로 스키드 프레임(skid frame) 상에 배치된 차체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 디바이스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그 상부에 차체가 반송 장치의 상류측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제1 반송 레벨로 반송되고 그로부터 차체가 반송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 상으로 제2 반송 레벨로 반송되는 수직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 가능한 롤러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이 수직 가동 롤러 컨베이어를 제1 반송 레벨로 로딩하고, 롤러 컨베이어를 제2 반송 레벨로 상승시키고, 롤러 컨베이어를 제2 반송 레벨로 언로딩하고 가동 롤러 컨베이어를 제1 반송 레벨로 하강시킴으로써 반송 사이클을 완료하기 위해, 비교적 긴 사이클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제1 반송 레벨로부터 제2 반송 레벨로 가공재를 반송하는 작동이 비교적 짧은 사이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상술한 형태의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반송 장치에서, 상기 목적은 반송 캐리지는 보유 요소가 가공재 지지체 상에 작용할 수 있는 작동 위치로부터 보유 요소가 가공재 지지체를 지나 이동 가능한 비작동 위치로 및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반송 캐리지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를 갖는 보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제2 반송 레벨은 제1 반송 레벨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더욱이, 가공재가 선택적으로 반송될 수 있는 상이한 높이의 복수의 제2 반송 레벨이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념은 보유 디바이스를 갖는 반송 캐리지가 제1 위치에서 미리 대기하고 있는 가공재를 지나 이동하고 이어서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보유 요소를 이송함으로써 반송 캐리지 상에 미리 대기하고 있는 가공재를 수납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가공재는 반송 캐리지가 가공재의 제1 위치와 관련된 그의 제1 장소의 외측에 여전히 위치되어 있는 동안 제1 위치로 미리 이동되어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가공재 반송 작동에 요구되는 사이클 시간이 상당히 감소된다.
본 발명의 해결책에 대조적으로, 상술된 공지된 수직 가동 롤러 컨베이어를 갖는 상승 디바이스에서, 롤러 컨베이어는 항상 다음 차체가 이 수직 가동 롤러 컨베이어 상에 이동되기 전에 제1 반송 레벨에서 그의 초기 장소로 재차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공지된 상승 디바이스는 수직 가동 롤러 컨베이어가 차체의 제1 위치와 관련된 그의 제1 위치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제1 반송 레벨 상의 제1 위치로 차체를 유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의 보유 요소의 이동의 특성을 위해, 임의의 소정의 단순한 또는 복잡한 이동이 고려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에서, 보유 요소는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피벗 가능한 것으로 제공된다.
보유 요소는 실질적으로 수평 선회축 둘레로 피벗 가능한 것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리적으로는, 반송 캐리지와 동시에 이동하지 않는 작동 요소에 의해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및/또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보유 디바이스의 보유 요소를 이동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유 요소가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및/또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소정 지점에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고정 치형 래크와 상호 작용하는 기어 휠이 보유 요소에 제공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및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보유 요소의 이동의 특히 용이한 제어성은 보유 요소가 반송 캐리지 상에, 특히 보유 디바이스 상에 배치되어 있는 모터에 의해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및/또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 가능할 때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에서, 보유 디바이스는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적어도 2개의 보유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어려움 없이 가공재 지지체를 지나 보유 디바이스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보유 요소의 비작동 위치에서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을 따르는 2개의 보유 요소의 간격이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에서의 가공재 지지체의 범위보다 작은 것으로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더욱이 보유 디바이스가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의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적어도 2개의 보유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유 디바이스의 개선은 가공재가 스키드 프레임 상에 배치될 대 특히 유리하다.
여기서, 본원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의 스키드 프레임은 반송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반송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스키드 러너를 포함하는 임의의 가공재 지지체를 의미한다. 이 경우, 스키드 러너는 횡단형 지주 또는 가공재 자체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반송될 가공재가 스키드 프레임 상에 배치될 때, 스키드 프레임의 스키드 러너가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의 횡방향으로 상호 오프셋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동일 거리만큼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의 횡방향으로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의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2개의 보유 요소가 상호 오프셋되어 있으면 특히 유리하다. 이에 의해 성취되는 효과는 스키드 프레임의 각각의 스키드 러너가 각각의 경우에 2개의 보유 요소 중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보유 요소는, 원리적으로는 가공재 지지체 상에 임의의 소정의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유 요소가 보유 디바이스에 가공재 지지체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제조가 용이한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장치의 개선에서, 보유 요소는 가공재 지지체의 구역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보유 디바이스의 보유 요소에 의해 하향 방향으로 가공재 지지체를 지지하기에 충분하다. 보유 요소에 대한 가공재 지지체의 고정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반송 캐리지가 그의 제1 장소로 복귀하기 전에 가공재가 제1 위치로 미리 반송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반송 장치는 이에 의해 제1 위치에서의 가공재가 반 캐리지의 보유 디바이스로부터 수납되는 수납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되면 유리하다.
이 수납 플랫폼은 예를 들면 고정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러나, 수납 플랫폼이 가공재의 제1 위치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개선은 제1 반송 레벨이, 가공재가 반송되는 제2 반송 레벨보다 높을 때 특히 유리하다.
특히, 수납 플랫폼이 이를 따라 가공재가 제1 반송 레벨에서 반송 장치로 반송되는 반송 방향의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특히 변위 가능한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수납 플랫폼의 이동은 예를 들면 신축 구동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납 플랫폼은 롤러 컨베이어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반송 장치의 보유 디바이스가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2개의 보유 요소를 포함할 때,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을 따른 수납 플랫폼의 범위가 보유 요소의 비작동 위치 및/또는 작동 위치에서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을 따른 2개의 보유 요소의 간격보다 작으면 특히 유리하다.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을 따른 수납 플랫폼의 범위가 보유 요소의 비작동 위치에서의 2개의 보유 요소의 간격보다 작을 때, 이에 의해 성취된 효과는 비작동 위치에 위치된 보유 요소를 갖는 보유 디바이스가 수납 플랫폼을 지나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을 따른 수납 플랫폼의 범위가 보유 요소의 작동 위치에서의 2개의 보유 요소의 간격보다 작을 때, 이에 의해 성취된 효과는 보유 요소가 수납 플랫폼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있는 보유 디바이스의 위치에서의 보유 요소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작동 위치에서의 보유 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수납 플랫폼을 벗어나 가공재를 상승시키기 위해 수납 플랫폼을 지나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송 캐리지로부터 가능한 한 신속하게 제2 위치의 가공재를 제거하고 따라서 가능한 한 신속하게 반송 캐리지를 제1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반송 장치는 제2 위치에서의 가공재가 반송 캐리지의 보유 디바이스에 의해 이송될 수 있는 이송 플랫폼을 포함하면 유리하다.
이 이송 플랫폼은 고정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제2 반송 레벨이 제1 반송 레벨보다 높게 위치될 때에는, 이송 플랫폼이 가공재의 제2 위치에 대해 이동 가능하면 유리하다.
특히, 이송 플랫폼은 이를 따라 가공재가 제2 반송 레벨에서 더욱 반송되는 반송 방향의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특히 변위 가능한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송 플랫폼의 이동은 예를 들면 신축 구동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반송 플랫폼은 롤러 컨베이어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반송 캐리지의 보유 디바이스가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2개의 보유 요소를 포함할 때,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을 따른 이송 플랫폼의 범위는 보유 요소의 비작동 위치 및/또는 작동 위치에서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을 따른 2개의 보유 요소의 간격보다 작은 것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을 따른 이송 플랫폼의 범위가 비작동 위치에서 2개의 보유 요소의 간격보다 작을 때, 이에 의해 성취되는 효과는 비작동 위치에 위치된 보유 요소를 갖는 보유 디바이스가 이송 플랫폼을 지나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보유 디바이스의 종방향을 따른 이송 플랫폼의 범위가 보유 요소의 작동 위치에서 2개의 보유 요소의 간격보다 작을 때, 이에 의해 성취되는 효과는 보유 요소가 이송 플랫폼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보유 디바이스의 위치에서의 보유 요소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더욱이 작동 위치에 위치된 보유 요소가 이송 플랫폼을 지나 이동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반송 레벨로부터 제2 반송 레벨로의 가공재의 반송 작동을 가능한 한 짧은 사이클 시간에 성취하기 위해, 가공재는 반송 캐리지가 제1 위치의 외측에 위치되는 동안 제1 위치로 유도 가능하면 유리하다. 이 방식으로, 가공재를 제1 위치로 운반하기 위해 그 동안 반송 캐리지가 제1 위치의 외측에 위치되는 시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제1 반송 레벨로부터 제2 반송 레벨로 가공재를 반송하는데 필요한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가공재가 반송 캐리지의 보유 디바이스에 여전히 보유되는 동안 가공재가 제1 위치로 유도 가능하면 유리하다. 이 방식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가공재를 운반하기 위해 소요된 시간이 다음의 가공재를 제1 위치로 운반하는데 미리 사용될 수 있다.
청구항 2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장치와, 제1 반송 레벨에서 반송 장치에 가공재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반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개선에서, 가공재를 반송 장치로 공급하는 반송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청구항 2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장치와, 제2 반송 레벨에서 반송 장치로부터 가공재를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반송 시스템의 특히 바람직한 개선에서, 반송 장치로부터 가공재를 수납하는 반송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가공재 지지체 상에 배치된 특히 차체와 같은 가공재를 반송 캐리지에 의해 제1 반송 레벨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반송 레벨 상의 제2 위치로 반송하는 방법으로서, 반송 캐리지는 가공재의 제1 위치와 관련된 제1 장소로부터 가공재의 제2 위치와 관련된 제2 장소로 및 제2 장소로부터 제1 장소로 이동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의 기본적인 목적은 제1 반송 레벨로부터 제2 반송 레벨로 가공재를 반송하는데 필요한 사이클 시간이 비교적 짧은 이러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30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방법에서, 상기 목적은 반송 캐리지의 보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는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반송 캐리지에 대해 이동되고, 가공재 지지체를 지나 비작동 위치에서 이동되고, 이어서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되고, 작동 위치에서는 가공재 지지체 상에 작용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반송 캐리지의 보유 디바이스가 제1 위치에서 미리 대기하고 있는 가공재를 지나 이동될 수 있으므로, 다음의 가공재는 반송 캐리지가 제1 위치의 외측에 위치되고 선행의 가공재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운반되는 동안 제1 위치로 미리 유도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정 개선은 종속 청구항 31 내지 43의 요지이며, 이의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장치의 특정 개선과 연관하여 이미 상술되었다.
본 발명의 부가의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의 도식적인 표현의 요지이다.
도 1은 반송될 차체가 반송 장치의 상류측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어 있는, 하부 제1 반송 레벨로부터 상부 제2 반송 레벨로 차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반송될 차체가 반송 장치의 고정 롤러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어 있는 후기 단계에서의 도 1에 따른 도면.
도 3은 요소들을 비작동 위치에 보유한 상태의 고정 롤러 컨베이어 상에 위치된 차체 및 반송 장치의 반송 캐리지의 보유 디바이스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구역 I의 확대도.
도 5는 보유 요소가 작동 위치에 위치되고 차체가 그 상부에 배치되는 스키 드 프레임의 스키드 러너의 전방 및 후방 단부가 보유 부재의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롤러 컨베이어 상에 배치된 차체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
도 6은 도 5의 구역 II의 확대도.
도 7은 차체가 반송 캐리지에 의해 제1 반송 레벨로부터 제2 반송 레벨로 반송되고, 동시에 부가의 차체가 반송 장치의 고정 롤러 컨베이어 상에 반송되는 단계에서의 반송 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8은 반송 캐리지가 제1 차체를 상부 제2 반송 레벨 상의 위치로 반송하고 반송 장치의 가동 롤러 컨베이어가 신축 유닛에 의해 제1 차체의 하부로 이동되며 제2 차체가 하부 제1 반송 레벨에서 고정 롤러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어 있는 단계에서의 도 7의 화살표(8)의 방향에서 본 반송 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9는 가동 롤러 컨베이어가 제1 차체의 하부의 장소에 도달한 후기 단계에서의 도 8에 대응하는 도면.
도 10은 제1 차체가 반송 캐리지로부터 가동 롤러 컨베이어로 이송되고 가동 롤러 컨베이어가 신축 유닛에 의해 그의 원래 장소로 복귀 이동되고, 상부 제2 반송 레벨에 배치된 부가의 롤러 컨베이어와 정렬되고 반송 캐리지는 제1 반송 레벨로 복귀 이동되어 있는 후기의 단계에서의 도 9에 대응하는 도면.
도 11은 가동 롤러 컨베이어가 신축 유닛에 의해 반송 캐리지의 보유 디바이스의 보유 요소 사이로 이동되어 있는 반송 장치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신축 유닛 및 가동 롤러 컨베이어의 확대도.
도 13은 그에 의해 가동 롤러 컨베이어가 이동되는 신축 유닛의 개략 측면 도.
도 14는 보유 디바이스가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반송 디바이스의 반송 캐리지의 개략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보유 디바이스를 갖는 반송 캐리지의 개략 평면도.
도 16은 보유 디바이스가 상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반송 캐리지의 개략 측면도.
도 17은 보유 디바이스를 갖지 않는 반송 캐리지의 개략 평면도.
도 18은 보유 디바이스가 상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반송 캐리지의 개략 정면도.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기능적으로 등가의 요소들은 동일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8에는, 스키드 프레임(104) 상에 배치된 차체(102)를 반송하기 위한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00으로 나타낸 반송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고, 이는 제1 반송 레벨(106)에서 제1 반송 방향(108)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110), 제1 반송 레벨(106)보다 높은 제2 반송 레벨(112)에서 제2 반송 방향(114)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116), 뿐만 아니라 스키드 프레임(104) 상에 배치된 차체(102)를 제1 반송 레벨로부터 제2 반송 레벨(112)로 반송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18로 나타낸 반송 장치를 포함한다.
반송 장치(118)는 제1 반송 방향(108)을 따라 상호 이격된 2개의 수직 포스 트(122)를 포함하는 골격(framework)(120)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들은 예를 들면 H-섹션(도 17 참조)을 포함하고 크로스빔(crossbeam)(124)에 의해 이들의 상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크로스빔(124)은 2개의 구동 롤러(130)를 제1 반송 방향(108)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도록 설정하는 회전 구동 모터(128)를 구비하는 구동 유닛(126)을 지지한다.
구동 롤러(130)의 각각의 둘레에 루프 형태로, 평형추(134)에 후단부에서 체결되고 반송 캐리지(138)의 안내 골격(136)에 선단부에서 체결되어 있는 반송 벨트(132)가 각각의 경우에 제공되어 있다.
구동 롤러(130)의 회전 이동에 의해, 포스트(122) 상에 안내된 반송 캐리지(138)는 상승될 수 있고, 동시에 평형추(134)가 대응하여 하강될 수 있으며, 반송 캐리지(138)의 상승력의 전달은 반송 벨트(132)와 구동 롤러(130) 사이의 마찰 로킹 연결에 의해 실행된다.
구동 롤러(130)의 회전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반송 캐리지(138)가 이에 따라 하강될 수 있고, 동시에 평형추(134)가 상승된다.
반송 캐리지(138)의 안내 골격(136)(도 16 내지 도 18 참조)은, 반송 캐리지(138)의 수평 종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외부 수직 지주(strut)(146)에 의해 그들의 단부에서 및 내부 수직 지주(148)에 의해 그들의 단부 구역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는 하부 종방향 지주(140) 및 상부 종방향 지주(142)를 포함한다.
2개의 보유 튜브(150)가 하부 종방향 지주(140)의 상류측에 체결되고, 이들 의 중심선은 종방향(144)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그 둘레에 이송 벨트(132)의 선단부가 감겨있다. 각각의 반송 벨트(132)의 자유 단부(152)는 각각의 경우에 보유 튜브(150)의 전방에 위치된 각각의 반송 벨트(132)의 부분(155)을 갖는 2개의 보유 플레이트(154)에 의해 지지된다.
높이 균등화 디바이스(156)가 하부 종방향 지주(140)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보유 튜브(150)의 탄성적인 높이 적응을 위해 사용되며 예를 들면 2개의 스택의 컵 스프링(158)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골격(136)의 외부 수직 지주(146)의 상부 및 하부 단부 상에는 각각의 경우에 종방향(144)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횡방향 안내 롤러(160)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캐리지(138)가 상승 및 하강 이동함에 따라, 이들 횡방향 안내 롤러(160)는 포스트(122)의 횡방향 안내 표면(162)을 따라 롤링하고, 이 표면들은 반송 방향(144)에 대해 수직으로 이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따라서 그의 종방향(144)의 횡방향으로의 반송 캐리지(138)의 안내를 보장한다.
안내 골격(136)의 각각의 외부 수직 지주(146) 상의 횡방향 안내 롤러(160) 사이에는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종방향 안내 롤러(164)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은 반송 캐리지(138)의 종방향(144)에 직각으로 지향된 수평 회전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반송 캐리지(138)가 상승 및 하강 이동함에 따라, 이들 종방향 안내 롤러는 포스트(122)의 안내 종방향 안내 표면(166)을 따라 롤링하고, 이 표면들은 종방향(144)에 대해 수직으로 이에 직각으로 정렬되고 따라서 그의 종방향(144)에서의 반송 캐리지(138)의 안내를 보장한다.
도 14 및 도 15로부터 가장 양호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 골격(136) 상에는 반송 캐리지(138)의 보유 디바이스(168)가 배치되고, 이는 종방향 빔(170)을 포함하고, 이 종방향 빔은 반송 캐리지(138)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안내 골격(136)의 하부 종방향 지주(140)의 하부의 외부 수직 지주(146)에 체결되고 그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연장 아암(172)이 종방향(144)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평 횡방향(174)으로 돌출된다.
각각의 연장 아암(172) 상에는 회전 구동 모터(176)가 배치되고, 이는 각각의 경우에 횡방향(174)을 따라 연장하는 기어 유닛(178) 및 2개의 구동 샤프트(180)를 거쳐 구동 샤프트(180)에 견고하게 체결된 2개의 보유 요소(182)의 각각의 구동 샤프트(180)의 회전축(181) 둘레의 선회 운동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5 뿐만 아니라 도 4 및 도 6으로부터 가장 양호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보유 요소(182)는, 각각의 선회축(181)을 따라 상호 이격되고 각각의 경우에 구동 샤프트(180) 중 하나에 일 단부에서 체결되고 각각의 경우에 구동 샤프트(180)로부터 이격된 이들의 자유 단부에서 웨브(18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선회 아암(184)을 포함한다. 각각의 보유 요소(182)의 웨브(186)에는 각각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입방형의 지지 플레이트(190)가 체결 스크류(188)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보유 요소(182)는, 웨브(186)로부터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190)의 지지면(192)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비작동 위치로부터, 지지 플레이트(190)의 지지면(192)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되어 있는 예를 들 면 도 6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각각의 관련 회전 구동 모터(176)에 의해 피벗 가능하다.
각각의 보유 요소는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복귀되어 관련 회전 구동 모터(176)에 의해 더욱 피벗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가장 양호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송 장치(118)는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는 제1 반송 레벨(106) 상에 배치되고 직사각형 구조 골격(196)을 포함하고(특히 도 3 참조), 이 구조 골격은 하위면 상의 지지 푸트부(198)를 거쳐 지지된다.
복수의, 예를 들면 4개의 지지 롤러(200)가 구조 골격(196)에 장착되고, 이들은 반송 캐리지(138)의 반송 방향(174)에 평행하게 정렬된 수평 회전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지지 롤러(200)는 반송 캐리지(138)의 종방향(144)을 따라 상호 이격된다.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는, 치형 벨트(204) 및 지지 롤러(200) 상에 배치된 피니언을 거쳐 구동 모터(202)에 인접한 지지 롤러(200)의 이들의 각각의 회전축 둘레로의 회전을 설정할 수 있는 구동 모터(202)를 추가로 포함하고, 구동 모터(20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지지 롤러(200)는 부가의 피니언 및 부가의 치형 벨트(204)를 거쳐 직접 구동된 지지 롤러(200)에 의해 간접적으로 구동된다.
스키드 프레임(104) 상에 배치된 차체(102)가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 상에 위치될 때, 차체(102)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된 스키드 러너(206)는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의 지지 롤러(200)의 마루에 의해 지지된다.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스키드 프레임(104)의 스키드 러너(206)는, 그 상부에 체결 디바이스(210)가 차체(102)를 스키드 프레임(104)에 탈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크로스빔(20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3 및 도 5로부터 가장 양호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방향(144)을 따르는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는 스키드 프레임(104)의 스키드 러너(206)보다 짧게 설계되므로,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 상에 배치된 스키드 프레임(104)은 롤러 컨베이어(194)의 구조 골격(196) 너머로 그의 스키드 러너(206)의 전방 및 후방 단부 구역(212)에 의해 돌출된다.
스키드 프레임(10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보유 요소의 비작동 위치에서 전방 보유 요소(182a)의 지지면(192)과 후방 보유 요소(182b)의 지지면 사이의 간격(D)보다 짧게 설계된다.
따라서, 보유 디바이스(168)가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반송 캐리지(138)는 보유 디바이스(168)의 보유 요소(182)가 비작동 위치에 위치될 때 스키드 프레임(104)을 지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보유 요소(182)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피벗할 때, 전방 보유 요소(182a) 및 후방 보유 요소(182b)는 스키드 러너(206)의 종방향 연장보다 작은 상호 간격(D')을 갖는다.
이 보유 요소(182)의 작동 위치에서, 지지면(192)은 스키드 러너(206)의 단부 구역(212)의 하위면에 놓이므로, 스키드 프레임(104)은 보유 디바이스(168)의 지지 플레이트(190)에 의해 지지된다.
이를 위해, 전방 보유 요소(182a)는, 스키드 프레임(104)의 스키드 러너(206)가 횡방향으로 상호 오프셋되는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d)(도 15 참조)만큼 횡방향(174)을 따라 상호 오프셋된다.
제1 반송 레벨(106)에서 반송 장치(118)의 상류측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110)는 기본적으로는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스키드 프레임(204)의 스키드 러너(206)보다 길게 설계될 수도 있다.
반송 장치(118)의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와 제1 반송 레벨(106)에서 반송 장치(118)의 상류측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110)의 나머지 사이에는 갭(214)이 제공되고, 그의 범위는 제1 반송 방향(108)을 따라서 회전 구동 모터(176)가 상부에 배치되고 보유 요소(182)가 작동 위치에 위치된 보유 디바이스(168)의 연장 아암(172)이 제1 반송 방향(108)에서 그의 상류측에 위치한 롤러 컨베이어(110)와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크다.
도 8 내지 도 12로부터 가장 양호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송 장치(118)는 롤러 컨베이어(216)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 롤러 컨베이어는 제2 반송 레벨(112) 상에 배치되고 제1 반송 레벨(106)에서의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가 제2 반송 레벨(112)에서의 반송 장치(118)의 하류측의 제2 반송 방향(114)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116)와 정렬되는 배출 위치로부터,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가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납 위치로 신축 유닛(218)에 의해 변위 가능하다.
배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 및 그 반대로의 변위는 반송 캐리지(138)의 횡방 향(174)에 평행하게 실행되므로, 제1 반송 레벨(106)의 제1 반송 방향(108) 및 제2 반송 레벨(112)의 제2 반송 방향(114)은 이 횡방향(174)에서 상호 오프셋된다(도 11 참조).
도 13에 특히 도시된 신축 유닛(128)은 2개의 신축 구동 유닛(219)을 포함하고, 이들은 신축 유닛(218)의 종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그 각각은 제2 반송 레벨(112)에 고정 방식으로 배치된 하측부(220), 하측부(220) 상에서 횡방향(174)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중간부(222), 및 중간부(222) 상에서 횡방향(174)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며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를 지지하는 상측부(224)를 포함한다.
신축 유닛(218) 상에는 기어식 모터(221)가 배치되고, 이는 관절식 샤프트(223)(또는 대안적으로는 전동 장치)를 거쳐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하측부(220)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입력 기어 휠(226)의 회전을 설정하고 이어서 횡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일련의 대형 기어 휠(228) 및 소형 기어 휠(230)을 구동한다(도 13의 순수 개략도 참조).
대형 기어 휠(228)의 회전 운동은 중간부(222)에 체결된 치형 래크(232)에 의해 횡방향(174)을 따른 하측부(220)에 대한 중간부(222)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된다. 중간부(222)가 도 13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 이 병진 운동은 제1 전동 유닛(234)에 의해 상측부(224)로 전달된다.
제1 전동 유닛(234)은 체인(236)을 포함하고, 이 체인은 제1 체결점(236)에서 하측부(220)에 및 제2 체결점(238)에서 상측부(224)에 체결되고 이들 체결점들 사이에서 제2 체결점(238)의 우측에 위치된 지점에서 중간부(222)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리턴 체인 휠(240)에 의해 연장된다.
이 리턴 체인 휠(240)이 중간부(222)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할 때, 상측부(224)는 리턴 체인 휠(240) 상부의 체인부의 단축에 기인하여 우측으로 또한 이동한다.
신축 구동 유닛(219)의 수축을 위해, 하측부(220) 상의 입력 기어 휠(126)은 대향 회전 방향에 장착되므로, 관련 중간부(222)가 도 13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중간부(222)의 병진 운동은 제2 전동 유닛(242)에 의해 상측부(224)로 전동된다.
제2 전동 유닛(242)은 체인(244)을 포함하고, 이 체인은 제1 체결점(246)에서 하측부(220)에 및 제2 체결점(248)에서 상측부(224)에 체결되고 이들 체결점들 사이에서 제2 체결점(248)의 좌측에 위치된 지점에서 중간부(222)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리턴 체인 휠(250)에 의해 연장된다.
이 리턴 체인 휠(250)이 중간부(222)와 함께 좌측으로 이동할 때, 상측부(224)는 마찬가지로 리턴 체인 휠(250) 상부의 체인부의 감소에 기인하여 좌측으로 이동된다.
신축 구동 유닛(219)의 상측부(224) 상에 배치된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는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에 그 치수가 일치한다.
특히, 종방향(144)에서의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의 구조 골격(196)은 스키드 프레임(204)의 스키드 러너(206)보다 짧게 설계된다.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의 구조 골격(196)은 더욱이 보유 요소의 작동 위치에서 전방 보유 요소(182a)와 후방 보유 요소(182b) 사이의 간격(D')보다 짧게 설계된다.
본 발명에 설명된 반송 시스템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제1 반송 레벨(106) 상의 롤러 컨베이어(110)에 의해, 스키드 프레임(104) 상에 배치된 차체(102)가 반송 장치(118)로 이송된다.
제1 차체(102a)는 반송 장치(118)의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 상에 위치되고(차체의 제1 위치), 반송 캐리지(138)는 보유 디바이스(168)의 보유 요소(182)가 스키드 러너(206)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반송 캐리지의 제1 장소)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보유 요소가 비작동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구동 유닛(126)에 의해 하강 이동한다.
이 경우에, 보유 요소(182)는 스키드 러너(206)를 지나 이동하고, 이는 비작동 위치에서의 보유 요소(182)의 지지면(192) 사이의 간격(D)이 스키드 러너(206)의 길이를 초과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가능하다.
다음, 보유 요소(182)는 스키드 러너(206)의 단부 구역(212)이 각각의 경우에 보유 요소(182)의 지지 플레이트(190) 상에 배치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회전 구동 모터(176)에 의해 유도된다.
다음, 차체(102)가 보유 디바이스(168)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반송 캐리지(138)가 그의 하부 제1 장소로부터 상부 최종 장소로 수직 방향으로 변위된다(도 7 참조). 동시에, 제2 차체(102b)는 반송 장치(118)의 고정 반송 롤러(194) 상에 미 리 반송된다(도 7 참조).
반송 캐리지(138)가 그의 최종 장소(반송 캐리지의 제2 장소)에 도달하면, 차체(102a)는 제2 반송 레벨 상의 제2 위치에 위치된다. 다음,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는 횡방향(174)을 따라 신축 유닛(218)에 의해 제1 차체(102a)의 스키드 프레임(104)의 하부의 구역 및 보유 디바이스(168)의 연장 아암(172) 사이로 이동한다(도 8 참조).
신축 구동 유닛(219)이 완전히 연장되고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가 제1 차체(102a)의 스키드 프레임(104) 하부에 직접 위치되자마자, 스키드 러너(206)가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의 지지 롤러(200) 상에 적층되어 있는 제2 장소로 반송 캐리지(138)가 재차 하강 이동하므로, 반송 캐리지(138)가 비어 있는 상태로 더욱 하향으로 이동한다.
다음, 제1 차체(102a)가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는, 수납 위치로부터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가 제2 반송 레벨(112) 상의 다음 롤러 컨베이어(116)와 정렬되는 배출 위치로 이동된다. 동시에, 반송 캐리지(138)가 제1 장소로 재차 하강 이동한다.
반송 캐리지(138)의 하향 이동 중에, 보유 디바이스(168)의 보유 요소(182)는,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 상의 제1 위치에 이미 대기하고 있는 제2 차체(102b)의 스키드 프레임(104)을 지나 보유 디바이스(168)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재차 회전 구동 모터(176)에 의해 선회된다(도 10).
반송 캐리지(138)가 그의 하부 최종 위치(제1 장소)에 도달하자마자, 보유 요소(182)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제2 차체(102b)의 스키드 프레임(104)의 단부 구역(212)이 보유 요소(182)의 지지면(192) 상에 배치되어 있는 작동 위치로 재차 회전 구동 모터(176)에 의해 선회된다. 다음, 제2 차체(102b)는 제1 차체(102a)와 관련하여 이미 상술한 방식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반송 레벨(112) 상의 제2 위치로 상승된다.
제2 차체(102b)가 상향 방향으로 반송되는 동안, 제1 차체(102a)는 배출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에 의해 제2 반송 레벨(112) 상의 인접 롤러 컨베이어(116) 상으로 제2 반송 방향(114)을 따라 반송되므로 가동 롤러 컨베이어(216)는 제2 차체(102b)의 수납을 위해 1회 더 이용 가능하다.
동시에, 제2 차체(102b)를 추종하는 제3 차체(102c)가 반송 장치(118)의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 상으로 제1 반송 레벨(106)에서 반송 장치(118)의 상류측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110)에 의해 미리 반송된다.
각각의 경우에 다음의 차체(102)는 선행 차체(102)를 갖는 반송 캐리지(138)가 여전히 하부 최종 장소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고정 롤러 컨베이어(194) 상의 대기 위치로 미리 반송 가능하기 때문에, 제1 반송 레벨(106)로부터 제2 반송 레벨(112)로 반송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반송 장치(118)의 사이클 시간이 예를 들면 대략 5초 정도 단축될 수 있다.
상술한 반송 장치(118)는 또한 상부 반송 레벨(112)로부터 하부 반송 레벨(106)로 차체(102)를 하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단지 차체(102)의 통과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고 역순으로 상술한 절차들을 수행하기만 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차체(102)의 통과 이송 방향의 반전의 경우에, 차체(102) 자체는 또한 180°회전되므로, 엔진 보닛을 갖는 차체(102)의 전방부가 각각의 반송 방향으로 지시된다.

Claims (43)

  1. 가공재 지지체(104) 상에 배치된 특히 차체(102)와 같은 가공재를 제1 반송 레벨(106)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반송 레벨(112) 상의 제2 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장치로서, 상기 가공재의 제1 위치와 관련된 제1 장소로부터 상기 가공재의 제2 위치와 관련된 제2 장소로 및 상기 제2 장소로부터 제1 장소로 이동 가능한 반송 캐리지(138)를 포함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캐리지(138)는 보유 요소(182)가 상기 가공재 지지체(104) 상에 작용할 수 있는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보유 요소(182)가 상기 가공재 지지체(104)를 지나 이동 가능한 비작동 위치로 및 상기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반송 캐리지(138)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82)를 갖는 보유 디바이스(1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182)는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비작동 위치로 피벗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182)는 실질적으로 수평 선회축(181) 둘레로 피벗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182)는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비작동 위치로 및/또는 상기 비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상기 반송 캐리지(138) 상에, 특히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 상에 배치되는 모터(176)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는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144)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보유 요소(182a, 18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182a, 182b)의 비작동 위치에서의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144)을 따른 2개의 보유 요소(182a, 182b)의 간격(D)은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144)에서의 가공재 지지체(104)의 범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는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144)의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보유 요소(1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반송될 가공재(102)는 스키드 프레임(104) 상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보유 요소(182)는, 상기 스키드 프레임(104)의 스키드 러너(206)가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의 횡방향으로 상호 오프셋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동일 거리(d)만큼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144)의 횡방향으로 상호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182)는 상기 가공재 지지체(104)의 구역(21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118)는 제1 위치에서의 상기 가공재(102)가 상기 반송 캐리지(138)의 보유 디바이스(168)로부터 수납되는 수납 플랫폼(1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플랫폼(194)은 고정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플랫폼은 상기 가공재(102)의 제1 위치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플랫폼은, 이를 따라 상기 가공재(102)가 제1 반송 레벨(106)에서 상기 반송 장치(118)로 반송되는 반송 방향의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특히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플랫폼은 신축 구동부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5. 제10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플랫폼은 롤러 컨베이어(194)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6. 제10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는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144)을 따라 상호 이격된 2개의 보유 요소(182a, 182b)를 포함하고,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144)을 따른 상기 수납 플랫폼(194)의 범위는 상기 보유 요소(182)의 비작동 위치 및/또는 작동 위치에서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144)을 따른 2개의 보유 요소(182a, 182b)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7. 제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118)는 제2 위치에서 상기 가공재(102)가 상기 반송 캐리지(138)의 보유 디바이스(168)로부터 이송되는 이송 플랫폼(2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고정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216)은 상기 가공재(102)의 제2 위치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216)은, 이를 따라 상기 가공재(102)가 상기 제2 반송 레벨(112) 상으로 더욱 반송되는 반송 방향(114)의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특히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1. 제19 항 또는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216)은 신축 구동부(218)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2. 제17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216)은 롤러 컨베이어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3. 제17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는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144)을 따라 상호 이격된 2개의 보유 요소(182a, 182b)를 포함하고,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144)을 따르는 이송 플랫폼(216)의 범위는 상기 보유 요소(182a, 182b)의 비작동 위치 및/또는 작동 위치에서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의 종방향을 따른 2개의 보유 요소(182a, 182b)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4. 제1 항 내지 제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공재(102)는 상기 반송 캐리지(138)가 제1 위치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1 위치로 유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5. 제1 항 내지 제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공재(102b)는 다른 가공재(102a)가 반송 캐리지(138)의 보유 디바이스(168) 상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제1 위치로 유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6. 제1 항 내지 제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송 장치와, 제1 반송 레벨(106)에서 반송 장치(118)에 가공재(102)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반송 시스템.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컨베이어(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8. 제1 항 내지 제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송 장치와, 제2 반송 레벨(112)에서 반송 장치(118)로부터 가공재(102)를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반송 시스템.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컨베이어(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30. 가공재 지지체(104) 상에 배치된 특히 차체와 같은 가공재를 반송 캐리지(138)에 의해 제1 반송 레벨(106) 상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반송 레벨(112) 상의 제2 위치로 반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캐리지는 상기 가공재(102)의 제1 위치와 관련된 제1 장소로부터 상기 가공재(102)의 제2 위치와 관련된 제2 장소로 및 상기 제2 장소로부터 제1 장소로 이동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송 캐리지(138)의 보유 디바이스(168)의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82)는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상기 반송 캐리지(138)에 대해 이동되고, 상기 가공재 지지체(104)를 지나 비작동 위치에서 이동되고, 이어서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가공재 지지체(104) 상에 작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182)는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비작동 위치로 피벗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182)는 실질적으로 수평 선회축(181) 둘레로 피벗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0 항 내지 제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182)는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비작동 위치로, 상기 반송 캐리지(138) 상에, 특히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 상에 배치되는 모터(176)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0 항 내지 제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캐리지(138)의 보유 디바이스(168)는 수납 플랫폼(194)으로부터 제1 위치의 가공재(102)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플랫폼은 상기 보유 디바이스(168)에 의해 상기 가공재(102)의 수납에 앞서 제1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플랫폼은, 이를 따라 상기 가공재가 상기 반송 장치로 제1 반송 레벨에서 반송되는 반송 방향의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특히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5 항 또는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플랫폼은 신축 구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0 항 내지 제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가공재 (102)는 상기 반송 캐리지(138)의 보유 디바이스(168)로부터 이송 플랫폼(216)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216)은 제2 위치로부터 상기 가공재(102)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216)은, 이를 따라 상기 가공재(102)가 상기 제2 반송 레벨(112) 상으로 더욱 반송되는 반송 방향(114)의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특히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39 항 또는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216)은 신축 구동부(218)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30 항 내지 제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공재(102)는 상기 반송 캐리지(138)가 제1 위치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1 위치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30 항 내지 제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공재(102b)는 다른 가공재(102a)가 반송 캐리지(138)의 보유 디바이스(168) 상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제1 위치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7003008A 2002-08-22 2003-06-28 제 1 반송 레벨에서 제 2 반송 레벨로의 가공재 반송 장치및 반송 방법 KR200600218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8493.2 2002-08-22
DE10238493A DE10238493A1 (de) 2002-08-22 2002-08-22 Förd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ördern eines Werkstüc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812A true KR20060021812A (ko) 2006-03-08

Family

ID=3119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008A KR20060021812A (ko) 2002-08-22 2003-06-28 제 1 반송 레벨에서 제 2 반송 레벨로의 가공재 반송 장치및 반송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50194234A1 (ko)
EP (1) EP1532063A1 (ko)
JP (1) JP2005536416A (ko)
KR (1) KR20060021812A (ko)
CN (1) CN1675114A (ko)
AU (1) AU2003246628A1 (ko)
BR (1) BR0313685A (ko)
CA (1) CA2495846A1 (ko)
DE (1) DE10238493A1 (ko)
MX (1) MXPA05002016A (ko)
PL (1) PL373550A1 (ko)
RU (1) RU2005108045A (ko)
WO (1) WO2004018333A1 (ko)
ZA (1) ZA2005012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6404B4 (de) 2004-11-23 2019-05-09 Dürr Systems Ag Trockner
DE202004021146U1 (de) 2004-12-22 2006-12-21 Dürr Systems GmbH Elektrotauchlackieranlage
ES2380888T3 (es) * 2005-07-22 2012-05-21 Eisenmann Ag Instalación de tratamiento de superficies con una estación de elevación, y estación de elevación con rodillos de guiado no cilíndricos
US20070017746A1 (en) * 2005-07-25 2007-01-25 Joerg Robbin Surface treatment installation having a lifting station
DE102006030334A1 (de) 2006-06-30 2008-01-03 Dürr Systems GmbH Trocknermodul für einen Trockner
DE102006055297A1 (de) 2006-11-23 2008-05-29 Dürr Systems GmbH Werkstückträger zum Fördern eines zu lackierenden Werkstücks
JP4314497B2 (ja) * 2007-01-22 2009-08-19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JP4600841B2 (ja) * 2008-04-03 2010-12-22 株式会社ダイフク 自動車などの組立て用搬送装置
CN101759015B (zh) * 2009-10-14 2011-09-14 江苏天奇物流系统工程股份有限公司 滑架随行机构
DE102010005419A1 (de) * 2010-01-22 2011-07-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70435 Fertigungs- und/oder Montageanlage
CN102700931B (zh) * 2012-04-29 2015-05-20 天奇自动化工程股份有限公司 三叉式移载机
KR101503434B1 (ko) 2013-08-01 2015-03-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평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한 prt 차량 수직이송장치
KR101502565B1 (ko) 2013-08-21 2015-03-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추진장치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이송장치
KR101502563B1 (ko) 2013-08-21 2015-03-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유압장치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이송장치
CN103964171B (zh) * 2014-04-29 2016-05-1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输送装置
CN104828500B (zh) * 2015-05-05 2017-04-26 深圳市瑞杰机电工程有限公司 自动化货物输送装置
CN105000392B (zh) * 2015-06-13 2017-05-24 惠安灿锐信息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圆盘输送方法
CN105059853B (zh) * 2015-07-29 2017-08-25 永红保定铸造机械有限公司 一种可升降旋转的输送辊道
DE102016224765B4 (de) * 2016-12-13 2021-04-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ebevorrichtung zum Heben einer Unterbodenbaugruppe eines Automobils
CN107399688A (zh) * 2017-08-24 2017-11-28 广东利元亨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物料车提升设备
CN108622596B (zh) * 2017-12-19 2023-12-15 清苑县康旺达矿山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循环式工件箱输送架
CN108001992B (zh) * 2017-12-26 2024-04-16 清远欧派集成家居有限公司 工件转移平台
CN112938374B (zh) * 2021-03-12 2023-03-21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式往复输送装置
CN118458265B (zh) * 2024-07-15 2024-09-20 成都西部泰力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磁体模块安装用输送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8156A (en) * 1954-08-13 1957-12-31 Coca Cola Bottling Works Compa Pallet moving device
US2890802A (en) * 1956-07-02 1959-06-16 Speed Park Inc Automobile parking apparatus
NL131333C (ko) * 1960-11-04
SE373811B (ko) * 1972-05-19 1975-02-17 Volvo Ab
JPS583871B2 (ja) * 1978-06-14 1983-01-2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艤装ラインにおける移送方法
JPS6171343U (ko) * 1984-10-16 1986-05-15
US4894909A (en) * 1987-10-28 1990-01-23 Mazda Motor Corp. Apparatus for assembling wheel attaching unit for use in vehicle assembly line
JPH0674664B2 (ja) * 1989-04-21 1994-09-21 光洋自動機株式会社 立体駐車場における車両の搬送装置
JPH03159886A (ja) * 1989-11-17 1991-07-09 Honda Motor Co Ltd ドア搬送装置
JP2573699B2 (ja) * 1989-12-15 1997-01-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走体使用の搬送設備
US5116182A (en) * 1990-10-17 1992-05-26 Lin Bao N Automatic car parking system
JP2532533Y2 (ja) * 1991-10-08 1997-04-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ワーク搬送系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DE4329384C2 (de) * 1993-09-01 2001-08-09 Duerr Systems Gmbh Fördervorrichtung
DE4404902C2 (de) * 1994-02-16 2002-04-11 Hauni Maschinenbau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andhabung von Zigarettenschragen aufnehmenden Containern
US5873165A (en) * 1996-04-04 1999-02-23 K.C. Industrial Constructors, Inc. Truck cab and box marrying and deck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46628A1 (en) 2004-03-11
PL373550A1 (en) 2005-09-05
EP1532063A1 (de) 2005-05-25
US20050194234A1 (en) 2005-09-08
ZA200501213B (en) 2006-10-25
BR0313685A (pt) 2005-06-21
JP2005536416A (ja) 2005-12-02
WO2004018333A1 (de) 2004-03-04
CA2495846A1 (en) 2004-03-04
RU2005108045A (ru) 2006-11-27
DE10238493A1 (de) 2004-03-04
MXPA05002016A (es) 2005-06-03
WO2004018333A8 (de) 2004-06-17
CN1675114A (zh)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21812A (ko) 제 1 반송 레벨에서 제 2 반송 레벨로의 가공재 반송 장치및 반송 방법
KR101221337B1 (ko)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KR940005480A (ko) 자동차 부품등의 워크 반송 시스템
KR20100101118A (ko) 침지 처리 시스템
CA2168718C (en) Apparatus for gripping and transporting slabs of great dimensions having feeding suckers
US4277217A (en) Load transfer apparatus
KR970702954A (ko) 주차장에 이용할 수 있는 이동단을 가진 모듈저장 시스템(modular storage system with movable rack, specially applicable to motor vehicles)
SE417185B (sv) Lastapparat
JP2000309426A (ja) 長尺物積載装置
JPS6319410B2 (ko)
JP4515662B2 (ja) 給紙方法
JP7217139B2 (ja) 荷物の搬送装置
KR890701460A (ko) 포장화물을 갖는 선박의 특히 적재된 팔레트를 싣고 내리는 장치
JP2012071931A (ja) 移載装置
JP4062590B2 (ja) 被搬送物吊下搬送用ハンガー
JPH08282835A (ja) コンベヤ設備
JP2019196265A (ja) 連結コンベヤ
JPH09117728A (ja) 常に傾斜された搬送平面を備えた選別装置
JP2827107B2 (ja) 鋼材の搬送装置
KR100603235B1 (ko) 운반장치
JP3731519B2 (ja) 自動倉庫
JP2008239292A (ja) 移載装置
JPH07101508A (ja) 移載装置
JP2005067823A (ja) 板材搬送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JPH0714259Y2 (ja) 上下間の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