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923A -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0923A
KR20060020923A KR1020040069647A KR20040069647A KR20060020923A KR 20060020923 A KR20060020923 A KR 20060020923A KR 1020040069647 A KR1020040069647 A KR 1020040069647A KR 20040069647 A KR20040069647 A KR 20040069647A KR 20060020923 A KR20060020923 A KR 20060020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weight
weight
composition
hangover
liv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097B1 (ko
Inventor
이행우
Original Assignee
이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행우 filed Critical 이행우
Priority to KR102004006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097B1/ko
Priority to US11/007,883 priority patent/US7234931B2/en
Publication of KR20060020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9Polygonatum (Solomon's 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황정 6~18 건조중량%, 황기 10~40 건조중량%, 인진쑥 5~15 건조중량%, 백복령 10~30 건조중량%, 백출 5~25 건조중량%, 건지황 4~12 건조중량%, 박하 2~10 건조중량%, 울금 2~10 건조중량% 및 갈근 2~10 건조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생약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과 알코올 분해에 의하여 생성된 아세트 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과 같이 숙취를 일으키는 요인을 제거 또는 중화시키므로써 숙취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다.
숙취해소, 간기능 개선, 황정, 황기, 인진쑥

Description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Functional food compositions having the effect on eliminating an alcoholic hangover and improvement of liver function}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과 알코올 분해에 의하여 생성된 아세트 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이 간과 그 외의 체내 기관에 독소로 작용하여 숙취를 일으키는 요인을 제거 또는 중화시키므로서 숙취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간기능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여러세포들이 모여 우리 몸에 필요한 각종 영양분의 대사와 뇌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독성물질들을 결합하고 또 해독시키는 여러가지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답즙산을 분비하여 지방산의 분해 및 흡수를 돕고, 여분의 탄수화물, 비타민들을 저장하고, 혈액의 단백질을 합성하며, 생체막 구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을 합성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고 있는 간에 이상이 생기면 곧 황달, 빈혈등을 수반한 여러가지 부작용이 나타난다.
빈번한 음주나 과음은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하며, 심하면 음주자의 10-35%정도는 알코올성 간염이나 심지어 알코올성 간경화증을 일으킨다. 어떤 경우에는 알코올성지방간이나 간염을 거치지 않고 직접 간경화증으로 진행되어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다.
알코올은 보통 3가지 정도의 경로를 통해 산화되는데, 첫째 위장관 또는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디하이드로게나제(alcohol dehydrogenase)의 작용, 둘째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체계(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tstem)작용, 셋째 퍼옥시좀(peroxysome)에 존재하는 카탈라제(catalase)의 작용 등을 거쳐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된다.
보통 적당량의 알코올이 유입되면 앞서 기술한 산화체계가 원활하게 작용하여 알코올에 의한 좋지 않은 증상은 일어나지 않지만, 다량의 알코올 유입시 대사체계의 균형이 파괴되어 세포내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이 간인데,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지방간, 간경변증 등 여러가지 간기능장애가 발생하고, 단기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집중력 감퇴, 속쓰림 및 소화불량 등이 초래된다. 일반적으로 숙취(hangover)라 함은 상기의 단기적인 증상만을 말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 후 다음날 나타나는 이러한 단기적인 증상 및 간기능 장애와 같은 장기적인 증상을 모두 포함한다.
숙취를 해소하기 위하여 예로부터 콩나물, 북어, 녹두 등이 음주 후의 숙취 해소용 음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콩나물에는 ADH의 작용을 도와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킴으로써 간을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는 아스파라긴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아스파라긴산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음료도 시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8-076168호 및 공개특허 제1997-000075호에는 녹두를 첨가한 간기능 보호식품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9-56964호에는 배와 호깨나무를 이용한 숙취제거용 음료가 개시된 바있고,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 181168호에는 오리나무와 마가목 추출물로 이루어진 숙취 해소용 천연차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음주 후 숙취 해소를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숙취를 효과적으로 완화하거나 해소할 수 있는 치료제나 음료의 개발은 그 요구에 비해 아직까지 미미한 편이다. 특히, 종래의 숙취해소 음료들이 음주 후 단순히 중추신경계의 마비현상을 각성시키는 정도에 지나지 않아 음주에 의한 유해성분의 해독이나 간 기능을 개선 또는 보호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과 알코올 분해에 의하여 생성된 아세트 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이 간과 그 외의 체내 기관에 독소로 작용하여 숙취를 일으키는 요인을 제거 또는 중화시켜 숙취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간기능을 근 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황정 6~18 건조중량%, 황기 10~40 건조중량%, 인진쑥 5~15 건조중량%, 백복령 10~30 건조중량%, 백출 5~25 건조중량% 건지황 4~12 건조중량%, 박하 2~10 건조중량%, 울금 2~10 건조중량% 및 갈근 2~10 건조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숙취해소에 유효한 생약복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생약제들을 다양한 조성으로 배합하여 그들의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10여가지 생약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조성물은 간 기능 개선효과 및 숙취해소에 도움이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의 기능성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기본배합 및 이를 바탕으로한 보다 바람직한 배합은 다음과 같다.
<기본 배합>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황정 6~18 건조중량%, 황기 10~40 건조중량%, 인진쑥 5~15 건조중량%, 백복령 10~30 건조중량%, 백출 5~25 건조중량%, 건지황 4~12 건조중량%, 박하 2~10 건조중량%, 울금 2~10 건조중량% 및 갈근 2~10 건조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단삼 0~45 건조중량%, 당삼 0 ~ 45 건조중량% 및 별갑 0~20 건조중량%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황정 9~15 건조중량%, 황기 20~30 건조중량%, 인진쑥 8~12 건조중량%, 백복령 15~25 건조중량%, 백출 5~15 건조중량%, 건지황 6~10 건조중량%, 박하 4~8 건조중량%, 울금 4~8 건조중량%, 갈근 4~8 건조중량% 및 단삼 25~35 건조중량%로 이루어지거나, 황정 9~15 건조중량%, 황기 20~30 건조중량%, 인진쑥 8~12 건조중량%, 백복령 15~25 건조중량%, 백출 5~15 건조중량%, 건지황 6~10 건조중량%, 박하 4~8 건조중량%, 울금 4~8 건조중량%, 갈근 4~8 건조중량%, 단삼 25~35 건조중량% 및 별갑 5~15 건조중량%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황정 9~15 건조중량%, 황기 20~30 건조중량%, 인진쑥 8~12 건조중량%, 백복령 15~25 건조중량%, 백출 5~15 건조중량%, 건지황 6~10 건조중량%, 박하 4~8 건조중량%, 울금 4~8 건조중량%, 갈근 4~8 건조중량%, 당삼 15~25 건조중량% 및 별갑 5~15 건조중량%로 이루어진 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한의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여러 성분을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도록 하였으며, 한의학적 견해를 바탕으로 간 기능의 활성화를 통하여 심각한 부작용이 없이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도록 배합 가공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황정, 황기, 인진쑥, 백복령, 백출, 건지황, 박하, 울금, 갈근, 별갑, 단삼 및 당삼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 기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기본 성분 중의 하나인 황정(Polygonati Rhizoma)은 동의보감에 의하면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해주는 묘약이라고 한다. 특히 최음작용이 있어 남성의 정력을 길러 주고, 여성의 불감증을 치유하는 약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비위장 소화기 기능을 강화하고 입맛을 돋우며 진해작용과 혈압강하작용 및 혈당강하 작용을 한다. 간장에 지방이 침착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까지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성분 중의 하나인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ge.)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뿌리는 약으로 사용하며 포모노네틴(Fomononetin), 베타인(Betain), 콜린(Cholin), 이소리퀴리티게닌 (Isoliquiritigenin), 아미노산, 사포닌, 이소플라본 등의 성분이 들어있다. 황기는 간장을 보호하고, 면역을 촉진 하며,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이뇨작용 등의 약리적인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중약대사전, 121면, 상해과학기술출판사, 동경 1985). 국내에서도 특허출원 1994-040125와 특허출원 1999-010284에 의하면 황기는 면역기능을 촉진시키고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간염에 효과가 있고 이뇨작용으로 인한 혈압강하 작용이 있다고 되어있다. 특히 황기에서 추출한 이소플라본이 간장을 보호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황기는 피부미용, 혈압, 배농(고름 생김 방지), 보혈강장에 좋으며 특히 허약체질, 식은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의 원기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성분 중의 하나인 인진쑥(Artemisiae Scopariae Herba/Herba artmesiae capillaries)의 효능은 술, 담배, 과다한 업무, 스트레스, 잦은 술자리, 각종 약물 등에 의한 간 기능을 활성화시켜주는 영양성분과 많은 활성영양소,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여 간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며 체내 독성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어 간을 깨끗이 하고 간의 해독기능을 도와 지방대사를 원활히 시켜 피로회복, 체력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성분 중의 하나인 백복령 (White Hoelen)은 지라를 건강하게 하고, 안정제, 태열안정, 몸을 따뜻하게 한다. 소화성 궤양, 근육경련, 갈증, 현훈, 정신불안, 실면증에 효과적이다. 한약재로 강장 ·이뇨 ·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 ·방광염 ·요도염에 이용된다. 접촉성 피부염 억제작용이 있다. 옛날부 터 강장제로 사용되었다. 비장을 보하고 가래를 삭이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약리실험 결과에 의하면 이뇨작용과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 진정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면역 부활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밖에 게우는 데나 복수·설사·건망증·수면장애 등에도 처방한다. 위·간·이자·신장 등의 질병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질병을 앓고 난 후 허약한 사람이나 만성 위장병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이용된다. 또 남녀의 임독성 질병은 물론 모든 성병과 부인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성분중의 하나인 백출(Atractylodes rhizome white)은 소화관 및 피하조직에서 일어나는 수분대사(水分代謝)의 부전(不全)에 대하여 이뇨(利尿) ·발한(發汗) 작용을 하며, 동통 ·위장염 ·부종에 효험이 있다. 민간에서는 혈압강하제로도 쓰이며, 비위가 약하여 밥맛이 없으면서 권태감을 느낄 때, 얼굴색이 황색을 띠면서 대변을 묽게 볼 때 쓰인다.
본 발명의 기본 성분 중의 하나인 건지황(Rehmanniae Radix)은 한방에서는 뿌리의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숙지황은 보혈제로 쓰이고 생리불순·허약 체질·어린이의 발육 부진·치매·조루증·발기부전에 사용하며, 생지황은 허약 체질·토혈·코피·자궁 출혈·생리불순·변비에 사용하고, 건지황은 열병 후에 생기는 갈증과 장기 내부의 열로 인한 소갈증에 효과가 있으며 토혈과 코피를 그치게 한다. 이는 또한 신장의 생식 기능을 돕고 몸의 정기를 재생시키므로 흰머리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기본 성분 중의 하나인 박하(Mentha arvensis)에는 멘톨(1-Menthol), 이소멘톤(1-Limone isomenthone), 캄펜(Camphene), 1-Menthol-β-D-glucoside 등이 들어 있고, 그 작용으로는 피부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며 해열작용이 있고, 혈관이완작용과 위를 청소하며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소염작용, 진통작용, 건위작용, 강장작용, 이담작용과 식욕증진, 피로회복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성분 중의 하나인 울금(Curcuma longa)은 예로부터 중국, 일본, 조선, 유럽 왕실에서만 "왕실의 차"로 음용되어 왔으며, <동의보감> 및 <본초강목>에는 "울금은 간장의 해독을 촉진하고 담즙 분비 및 이혈작용이 뛰어나다"라고 기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성분 중의 하나인 갈근(Puerariae Radix)의 효능은 피부의 모공을 이완시켜 땀을 나게하고, 발열, 두통, 목덜미가 뻣뻣한 것을 풀어주며, 갈증을 해소시키고 열병으로 인한 가슴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소갈증 등에 유효하다. 또한 소화기가 약해서 오랫동안 설사를 하여 기진맥진 할 때에 사용되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갈근 달인 물은 혈압강화 작용에 일정한 효과를 보이며, 알코올 추출물은 해열작용을 보이고, 가루는 피부 혈 관 확장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성분 중의 하나인 별갑(Amydae Carapax)은 북경중의약대학의 "별갑환으로 간의 섬유화 방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간세포의 변성과 괴사를 감소시켜 간조직의 섬유화를 방지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성분 중의 하나인 단삼(Salviae Miltiorrhizae Radix)은 혈액 순환을 왕성하게 하고 어혈을 제거하므로 안으로는 오장육부의 어혈 정체를 다스리고, 밖으로는 사지관절의 통증을 부드럽게 완화시키며, 부인의 생리불순, 생리통 및 산후 복통에 쓰이고, 어혈성의 심복부동통, 타박상 등을 치료하고 고열로 인한 정신혼몽, 헛소리, 번조, 불면증, 피부발진, 혀가 붉어지는 증상에 활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에 쓰이고, 간혹 유방염 초기에 양혈 시키므로 효험을 얻는다. 마음을 편안하게 하므로 가슴이 답답하고 잠이 오지 않는 불면증 및 심계항진 등에 사용된다. 약리 효과로는 관상 동맥 확장 작용이 있어서 혈류량을 현저히 증가시키고, 지질 대사를 활성화시켜 콜레스테롤을 강하시키며, 혈압 강하, 간 기능 활성화, 진정 작용, 항염증 작용, 항암 작용, 항균 작용이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성분 중의 하나인 당삼(Codonopsis pilosula NANNF)은 도라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며 알카로이드, 비타민 B군, 사포닌, 수크로스, 포도당, 이눌린, 전분, 점액 등이 들어 있으며 거담(祛痰)작용, 강장효과, 만성소모성 질병, 만성호흡기 질병, 빈혈과 건위, 만성위장염에 쓰이며 정신을 안정시키며 위황병(얼굴에 윤기가 없고 누렇게 뜨는 빈혈증), 폐결핵, 백혈병 등에도 좋다. 특히 당삼에는 스테로이드 배당체가 비교적 많이 들어있고 강장작용, 거담작용, 혈압강하작용, 유기체의 저항성을 높이고 적혈구와 혈색소 양을 늘리는 작용, 항균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또한 당삼은 폐와 비장에 기를 보충하고 혈(血)을 도우므로 비위(脾胃)를 도와서 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추농축액, 벌꿀 또는 목초액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성분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대추농축액 10~200중량부, 벌꿀 10~200중량부 및 목초액 5~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분 중의 하나인 대추(jujube)는 주성분이 당질(43%) 이며 그밖에 단백질(1.5%), 지방(0.8%), 회분(4.2%), 비타민C(60mg %) 등이 함유되어 있다. 씨에는 베툴린(betulin), 베툴릭 에시드(betulic acid)등이 함유되어 있다. c-AMP를 일반식물보다 1000배 이상 다량 함유하며 그외 당류, 유기산 등이 들어 있다. 그 효능은 한방에서는 이뇨, 강장(强壯), 완화제(緩和劑)로 쓰인다. 불면증과 신경과민에 진정효과와 항종양 및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성분 중의 하나인 벌꿀 (Honey)의 주요성분은 대체로 과당과 포도 당이 70%이고 수크로즈, 말토즈,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폐와 비장, 대장에 작용한다. 비위와 폐의 기운를 보충하고 진해작용과 해독 및 진통작용, 대변을 잘 통하게 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몸의 저항성을 높이고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며 항균작용이 있고, 피로회복, 숙취제거에도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성분 중의 하나인 참나무 목초액(Pyroligneous Acid, CHAM-HYANG, Food Additive)은 항암효과, 항돌연변이효과, 알코올 해독 효과, 항산화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를 위한 신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생약제들을 분쇄해서 미세분말로 만들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배합조건으로 혼합한 후에 5-10배의 물을 사용하여 100-200℃의 고온에서 3-5시간 추출하여 생약농축액을 제조한다. 상기 생약제들은 먼저 증류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 건조한 다음 이를 파쇄하여 분말로 얻은 후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물을 얻어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수득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추출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추출된 물질 내에 함유된 잔사 및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원심분리기 및 회전증발 농축기와 같은 분리 및 농축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득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추출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제조된 생약농축액 100중량부 대비 대추농축액 10~200중량부, 벌꿀 10~200중 량부 및 목초액 5~50중량부를 첨가하여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조성물은 경구투여가 바람직하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과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상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에 관한 음료의 제조
(제1공정)
각 생약들은 음용수로 깨끗이 씻은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로 만들었다. 각각 생약들은 구체적으로, 황정 120g, 황기 250g, 인진쑥 100g, 백봉령 200g, 백출 150g, 건지황 80g, 박하 60g, 울금 60g 및 갈근 60g을 각각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90~100℃에서 1L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그 다음에 상온에서 필터를 한 후에 원심분리하여 잔사를 제거하였고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제2공정)
상기 공정에서 추출한 혼합추출물인 생약농축액 60g에 대추농축액 58g과 벌꿀 62g, 목초액 6g을 혼합하여 간기능 개선 효과 및 숙취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단삼과 별갑을 첨가한 간기능 개선 효과 및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제1공정)
각 생약들은 음용수로 깨끗이 씻은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로 만들었다. 각각 생약들은 구체적으로, 황정 120g, 인진쑥 100g, 건지황 80g, 황기 250g, 백복령 200g, 단삼 300g, 백출 100g, 별갑 100g, 박하 60g, 울금 60g, 갈근 60g 을 각각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90~100℃에서 1L의 증루수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그 다음에 상온에서 필터를 한 후에 원심분리하여 잔사를 제거하였고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제2공정)
상기 공정에서 추출한 혼합추출물인 생약농축액 60g에 대추농축액 58g과 벌꿀 62g, 목초액 6g을 혼합하여 간기능 개선 효과 및 숙취해소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당삼과 별갑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 효과 및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실시예 2의 단삼을 당삼으로 대체하였으며 그외 공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 조성물의 혈중 알코올농도 저해 효과
본 발명의 숙취해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동물에 대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 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180~200g의 스파라그-도올리(Sparague-Dawlay)계 수컷 흰쥐 30마리를 3그룹으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사육실의 조건은 온도 25±1℃로 1주 이상 사육한 후,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용액을 흰쥐에 700mg/kg 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존데를 사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비교군의 경우 기존 숙취해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오리나무 추출물(비교군 1)과 오가피 추출물(비교군 2)을 사용하였다. 1시간 후에 40% 에탄올 3ml/kg을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40% 에탄올 투여후, 1시간 및 4시간째에 꼬리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분리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를 에탄올 정량키트(ethanol assay kit)(Sigma:332-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의 산출은 시그마(Sigma)사의 매뉴얼에 의하여 하기 식 1과 같이 계산하였다.
[식 1]
알코올 농도(mg/ml) = (실험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80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각 그룹의 흰쥐 10마리에서 반복 측정하였으며, 각 개체별로 얻어진 결과는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표 1]
1시간 4시간
대조구 0.124±0.015 0.119±0.015
실시예1 0.057±0.008 0.041±0.004
실시예2 0.045±0.005 0.033±0.008
실시예3 0.064±0.006 0.049±0.005
비교군1 0.071±0.009 0.059±0.012
비교군2 0.082±0.011 0.077±0.003
상기 결과에 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코올의 체내 흡수를 저해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추고, 분말상과 음료형태 모두 효과가 우수하나, 액상의 섭취시(실시예1)가 좀 더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5> 관능 검사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피실험자들에게 음주 전후에 마시게 한 후 느끼는 숙취에 대한 영향을 일련의 문답지로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음주전(15명) 음주후(12명)
두통 없다 15 100% 12 100%
있다
속쓰림 편하다 13 87% 10 83%
모르겠다 2 13% 1 8%
쓰리다 1 8%
변(구취) 덜난다 15 100% 11 92%
모르겠다 1 8%
컨디션 좋다 13 87% 12 100%
모르겠다 2 13%
상기 결과로 피실험자들은 위 4가지 상태 중, 약 2가지 정도는 효능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과음을 한사람일수록 효능을 더 잘 인지하였다.
또한 평소 음주로 두통과 속쓰림을 호소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음주 다음날에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복용하게 한 후 1시간과 2시간후의 상태를 조사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식전음용1시간후 식전음용 2시간후
두통호소 군(6명) 없다 5 5
있다 1 1
속쓰림호소 군(6명) 편하다 4 6
모르겠다
조금 쓰리다 2
컨디션(11명) 좋아진것 같다 10 11
모르겠다 1
상기결과에 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음주 전후 음용은 숙취해소에 상당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쥐를 이용한 간 독성 해독효과 실험
체중이 180 ~ 200g인 Sprague-dwaley계 흰쥐 수컷을 각 군당 8마리씩으로 하여 총 5군씩(정상군, 대조군, 실험군, 비교군(2))을 나누어 실험했으며, 비교군의 경우 기존 숙취해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오리나무 추출물(비교군1)과 오가피 추출물(비교군2)을 사용하였다. 각 군당 평균 체중이 유사하도록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선택된 흰 쥐를 22± 5%, 12시간의 명암 싸이클을 유지하는 사육실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우리에 1마리씩 분리하여 일주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켰다.
일주일 동안 매일 한 차례씩, 대조군에 대하여 생리식염수(0.9%,NaCl)를 5ml/체중kg씩 경구 투여하였고, 실험군과 비교군에 대하여 조성물을 200ml/체중kg씩 경구 투여하였다. 마지막 경구 투여 후 3시간 뒤에, 정상군에 대하여 올리브 오일만을 3ml/체중kg의 농도로 복강 내 주사하였으며, 대조군 및 실험군에 대하여 CCl4와 올리브 오일의 혼합물(1:1)을 3ml/체중kg의 농도로 복강내 주사하는 방법으로 간 독성을 유발하였다(간 독성 유발 16시간 전에 모든 군에서 절식). 간 독성 유발 후 24시간 뒤에, 모든 군에 대하여 혈청에서의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AST(aspartase aminotransferase)활성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표 4]
구 분 ALT(karmen/ml) AST(karmen/ml)
정상군 16.42 ± 0.38 150.37 ± 4.75
대조군 274.41 ± 1.47 484.56 ± 4.84
실험군 207.94 ± 3.71 427.36 ± 5.48
비교군 1 237.87 ± 2.74 453.67 ± 1.53
비교군 2 241.32 ± 1.27 447.39 ± 2.55
위의 표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조성물을 투여한 결과 ALT 및 AST활성은 예방 효과 실험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ALT 및 AST활성이 대조군에 비해서 낮은 것은 간에서 독성물질인 아미노기를 제거하기 위한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minotransferase)의 수치가 낮음으로서 간이 원상태로 회복되고 있기 때문이며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간 기능성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시예 7> 간 기능 개선조성물의 임상 효능 실험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간 기능 개선 조성물을 45 -50세의 남성, 간 기능 이상 환자 20명에게 1일 100ml씩 3회, 40일간 복용시킨 후 섭취 전후의 간 기능 관련 지수인 GPT, GOT, γ-GTP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GPT, GOT, γ-GTP의 정상범위는 각각 5 ~ 40, 10 ~ 40, 0 ~ 60이다.
[표 5]
평균값 섭취 전 20일 후 40일 후
GPT(U/L) 118 54 35
GOT(U/L) 78 42 30
γ-GTP(U/L) 92 77 47
위와 같이 40일 복용 후 간 기능 이상 환자의 간 기능 지수를 현저히 저하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 기능 개선 및 간 질환 예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내에서 알코올 흡수를 저하시키므로 음주 전, 후에 복용함으로써 간을 보호하고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숙취를 억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황정 6~18 건조중량%, 황기 10~40 건조중량%, 인진쑥 5~15 건조중량%, 백복령 10~30 건조중량%, 백출 5~25 건조중량%, 건지황 4~12 건조중량%, 박하 2~10 건조중량%, 울금 2~10 건조중량% 및 갈근 2~10 건조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단삼 0~45 건조중량%, 당삼 0 ~ 45 건조중량% 및 별갑 0~20 건조중량%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황정 9~15 건조중량%, 황기 20~30 건조중량%, 인진쑥 8~12 건조중량%, 백복령 15~25 건조중량%, 백출 5~15 건조중량%, 건지황 6~10 건조중량%, 박하 4~8 건조중량%, 울금 4~8 건조중량%, 갈근 4~8 건조중량% 및 단삼 25~35 건조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황정 9~15 건조중량%, 황기 20~30 건조중량%, 인진쑥 8~12 건조중량%, 백복령 15~25 건 조중량%, 백출 5~15 건조중량%, 건지황 6~10 건조중량%, 박하 4~8 건조중량%, 울금 4~8 건조중량%, 갈근 4~8 건조중량%, 단삼 25~35 건조중량% 및 별갑 5~15 건조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황정 9~15 건조중량%, 황기 20~30 건조중량%, 인진쑥 8~12 건조중량%, 백복령 15~25 건조중량%, 백출 5~15 건조중량%, 건지황 6~10 건조중량%, 박하 4~8 건조중량%, 울금 4~8 건조중량%, 갈근 4~8 건조중량%, 당삼 15~25 건조중량% 및 별갑 5~15 건조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또는 액상제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040069647A 2004-09-01 2004-09-01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057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647A KR100574097B1 (ko) 2004-09-01 2004-09-01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US11/007,883 US7234931B2 (en) 2004-09-01 2004-12-09 Functional food composition having effects of relieving alcohol-induced hangover symptoms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647A KR100574097B1 (ko) 2004-09-01 2004-09-01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923A true KR20060020923A (ko) 2006-03-07
KR100574097B1 KR100574097B1 (ko) 2006-04-27

Family

ID=3594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647A KR100574097B1 (ko) 2004-09-01 2004-09-01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34931B2 (ko)
KR (1) KR1005740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47B1 (ko) * 2006-09-18 2007-08-22 이승도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식품조성물
KR100853939B1 (ko) * 2007-03-07 2008-08-25 유상훈 고추잎을 주원료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02014B1 (ko) * 2016-07-22 2017-02-13 목기호 숙취해소식품 첨가제 제조방법
KR20190000138A (ko) * 2017-06-22 2019-01-02 (주) 휘둘찬푸드 동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령친화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032B1 (ko) * 2005-04-19 2006-12-2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간 기능 개선, 혈중 알코올 감소 및 항산화에 유효한조성물
EP2089505A4 (en) * 2006-11-08 2010-01-06 Morning After Herbal Infusion ALCOHOLIC BEVERAGE WITH REDUCED EYE SENSATION
JP5232533B2 (ja) * 2007-05-29 2013-07-10 英 三 張 自然健康茶の製造方法
US20110117263A1 (en) * 2009-11-18 2011-05-19 Young-Sam Jang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0376554B1 (en) 2010-12-03 2019-08-13 George Jordan Lan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a hangover
US11202758B1 (en) 2010-12-03 2021-12-21 George Jordan Lan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a hangover
US9603886B1 (en) * 2010-12-03 2017-03-28 George Jordan Laning Method for treating a hangover
LV14537B (lv) * 2012-03-09 2012-09-20 Nikafarm, Sia Uztura bagātinātājs
CN103070968B (zh) * 2013-02-07 2014-04-09 陈炳桂 一种治疗白血病的中药丸及其制备方法
CN103169066B (zh) * 2013-04-09 2014-04-09 安徽科技学院 即食菇菊禽蛋药膳的制备方法
KR101314917B1 (ko) 2013-05-10 2013-10-04 권혁남 숙취해소용 기능성 면의 제조방법
CN103271404B (zh) * 2013-06-18 2014-10-22 吉林省绳氏堂药业有限公司 醒酒、保胃、护肝、防宿醉的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265919A (zh) * 2014-07-01 2016-01-27 好侍食品集团本社株式会社 含有姜黄中的有用成分的饮料的制造方法
CN104383315A (zh) * 2014-10-28 2015-03-04 湖南中医药大学 一种护肝醒酒的中草药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饮品
CN105770579A (zh) * 2016-05-16 2016-07-20 广州市好孝心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具有保肝护肝作用的药食同源的中药组合物
CN107753855A (zh) * 2017-11-07 2018-03-06 玉林市中医医院 一种清肝降脂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669915A (zh) * 2017-11-25 2018-02-09 衡阳县华盛达农林科技有限公司 治疗心脑血管病的槐米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7823384A (zh) * 2017-12-06 2018-03-23 河南省中医药研究院 一种降血脂降血糖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430660A (zh) * 2018-12-20 2019-03-08 中山市百怡饮料有限公司 一种葛花解酒保健饮品及其制备方法
CN110170009B (zh) * 2019-06-19 2021-09-07 中国药科大学 一种解酒保肝的中药组方、组方提取物及其制法和应用
CN112568433A (zh) * 2020-12-14 2021-03-30 劲牌有限公司 一种改善饮酒后感受的橡木制品及制备方法和应用
KR102506958B1 (ko) 2022-09-19 2023-03-07 주식회사 에치와이 아이스플랜트 추출물, 갈화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조성물
KR20240069961A (ko) 2022-11-14 2024-05-21 코스바이오 주식회사 인진쑥을 활용한 수면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621A (ja) * 1982-08-25 1984-02-28 Tsumura Juntendo Inc 脂肪分解促進作用阻害剤
GB9104286D0 (en) * 1991-02-28 1991-04-17 Phytopharm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orders
JPH0640931A (ja) * 1992-07-20 1994-02-15 Kanebo Ltd 自己免疫疾患治療効果増強剤
CN1176814A (zh) * 1997-06-26 1998-03-25 李静 预防和治疗脑血管病的口服液
KR100319721B1 (ko) * 2000-03-03 2002-01-09 배오성 질병예방 및 질병증상 완화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20031559A1 (en) * 2000-03-08 2002-03-14 Liang Kin C. Herbal suppositories
CA2451144A1 (en) * 2001-06-21 2003-01-03 Kyowa Hakko Kogyo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a plant extract containing plant powder
US7198804B2 (en) * 2002-04-12 2007-04-03 Helixir Co., Ltd. Crude 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astrointestinal dyskinetic diseases
CN1332692C (zh) * 2002-04-15 2007-08-22 山东哲夫 用于皮炎治疗的饮用茶
US20050147699A1 (en) * 2003-12-31 2005-07-07 Rey-Yuh Wu Astragalus radix and codonopsis pilosulae radix mixed extract for inhibiting carcinogenesis and metastasi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47B1 (ko) * 2006-09-18 2007-08-22 이승도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식품조성물
KR100853939B1 (ko) * 2007-03-07 2008-08-25 유상훈 고추잎을 주원료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02014B1 (ko) * 2016-07-22 2017-02-13 목기호 숙취해소식품 첨가제 제조방법
KR20190000138A (ko) * 2017-06-22 2019-01-02 (주) 휘둘찬푸드 동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령친화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097B1 (ko) 2006-04-27
US20060045929A1 (en) 2006-03-02
US7234931B2 (en) 200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097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CN105582333A (zh) 一种养生补肾黄秋葵酒及其制备方法
CN104587194A (zh) 具有养阴润肺作用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454576A (zh) 茉莉花八宝茶及其制备方法
KR101930277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13456725A (zh) 一种解酒产品及其制备方法
KR100947278B1 (ko)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CN104208581A (zh) 一种预防酒精肝的五味子保健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1745087A (zh) 一种具有解酒防醉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006856A (zh) 一种增强耐力、提高抗缺氧耐受力营养剂及其制备方法
CN104306906A (zh) 一种针对肥胖人群的荷叶减肥及其制备方法
CN104524481B (zh) 一种治疗肠易激综合征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05878812A (zh) 以金花茶-石斛为原料的解酒饮料及其生产方法
CN111135235A (zh) 一种预防和缓解急性酒精中毒或醉酒的组合物
CN103013806B (zh) 一种保健治疗中药醋
CN101745042B (zh) 一种具有解酒保肝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712659B1 (ko)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KR20140010831A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CN103007145B (zh) 一种治疗小儿轮状病毒肠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228596B (zh) 一种药物组合物及制剂及在治疗冠心病、心绞痛中的应用
CN105831751A (zh) 补气健脑的中药保健组合物、制备方法及其使用方法
CN104353043A (zh) 一种治疗五更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60030575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40041235A (ko)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