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235A -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235A
KR20040041235A KR1020020069397A KR20020069397A KR20040041235A KR 20040041235 A KR20040041235 A KR 20040041235A KR 1020020069397 A KR1020020069397 A KR 1020020069397A KR 20020069397 A KR20020069397 A KR 20020069397A KR 20040041235 A KR20040041235 A KR 20040041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water
pain
extract
neuralg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승
김형준
Original Assignee
김한승
김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승, 김형준 filed Critical 김한승
Priority to KR102002006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1235A/ko
Publication of KR2004004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2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1Rectum, a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88Copp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성분(단삼, 천궁, 금은화, 포공영, 황백, 황연, 홍화, 당귀, 작약)을 함유하는 신경 마비성 질환 및 통증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마비성 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water-soluble component of kupferkies and the extract of crude drug effective to treat neuronal paralysis and neuralgia}
본 발명은 신경계통 질환 및 통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산골을 고온가열하여 얻어진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계통의 마비성 질환 및 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경통(神經痛, neuralgia)은 일정한 신경의 경로를 따라 발작적으로 일어나는 심한 통증으로, 일정한 말초신경계의 분포에 따라서 저린 것 같은 가벼운 통증과 견디기 힘든 격통 등 강약이 다양한 통증이 발작적,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통증은 발작성으로 강렬한 것이 많고, 각 신경의 특정 부위에 뚜렷한 압통점(壓痛點)이 인정되며, 그 신경 지배의 방향으로 통증이 방산하고, 대개는 압통점의 압박에 의하여 통증이 유발된다. 그러나 발작 중에 압박하면 오히려 통증이 가벼워지는 경우도 있다. 동통(疼痛)은 단발성으로 일어나는 일이 많으며 만성으로 되기 쉽다. 외상, 염증, 감염, 중독 등 원인이 분명한 증후성과 원인이 불명한 특발성이 있다. 이 신경이 류머티즘성의 원인불명의 통증을 가져오는 것과 매독이나 균독(菌毒), 중독 등이 원인이 되는 것, 또 그 신경에 인접된 곳이 병에 걸려서 그 영향에 의한 것, 그리고 동맥경화나 위장병, 신경질 등의 원인이 되는 것 등이 있다.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신경통은 다음과 같다.
① 3차신경통(三叉神經痛): 흔히 안면신경통이라고 하는 것으로서, 통증이 격렬하고 발작적이다. ②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신경통 중에서 가장 빈도가 높고, 허리에서 하지에 걸쳐 통증이 온다. ③ 늑간신경통(肋間神經痛):발작성인 가슴의 통증이다. ④ 경완신경통(頸腕神經痛):비교적 흔하며, 목에서 어깨, 손에 걸쳐서 통증이 있다. 신경통의 치료는 먼저 원인이 되는 병의 규명과 함께 급성기에는 안정을 취하는 한편, 아스피린 등의 살리실산제(salicyl 酸劑)나 피라졸(pyrazole)계의 진통제를 쓴다. 또 비타민 B1이나 B12등의 내복 또는 주사를 비롯하여 국소마취제나 부신피질호르몬제도 쓰며, 적외선, 초음파, 열기욕(熱氣浴) 등의 이학적, 외과적 요법도 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산골(Kupferkies)은 천연으로 산출되는 구리로, 유황, 은, 철, 비소, 비스무트 등을 소량 함유하기도 한다.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경계증을 낫게 하며 다쳐서 부러진 것을 낫게 하며 어혈을 헤치고 통증을 멎게 하며, 고름을 빨아내고 어혈을 삭이며 민간에서는힘줄과 뼈를 잇는데 흔히 사용한다.
골절 및 외상의 치료를 위한, 산골을 함유한 약제를 (중국특허 CN 1297745), 백반(白斑)을 치료하는 산골분말을 함유한 외용제 및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중국 특허 CN 1318379).
고대로부터 사용하던 민간약으로서, 산골 그 자체를 타박, 접골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었으나, 산골 자체가 갖는 유독성분 때문에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산골 그대로는 물에 용해가 되지 않으므로 복용에 불편함은 물론이며 그리 큰 약효를 기대할 수 없었다.
황백(黃柏)은 운향과(Rutaceae)의 황벽나무(황경피나무,Phellodendron amurenseRUPR.) 및 동속 근연식물의 수피이다. 하지 전후에 나무줄기에서 껍질을 벗겨내어 조피(粗皮:거친 껍질)를 제거하거나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이 껍질은 약으로 쓰이며 혈당저하 작용을 한다. 또한 폐렴쌍구균, 인형결핵균, 포도상구균 등에 대하여 발육저지 작용을 함과 동시에 종양세포의 번식을 저지시키고, 살균작용을 한다. 복용하는 경우에는 미각 반사의 항진에 의하여 위액 분비를 촉진시키고, 식욕의 항진도 가져오게 한다. 일반 알칼로이드가 지니는 전신작용을 하지않기 때문에 다량으로 투여해도 부작용이 없으므로 정장제 뿐 아니라 건위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약재에 대하여 여러 세균의 내성(耐性)도 생기지 않으므로 유행성 눈병이 유행할 때 세안 소독약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혈압강하, 중추신경계 억제, 항염증 등의 효과도 보고되어 있으며, 동양의학에서는 황련해독탕, 시호청간탕, 형개연교탕 등에 사용되고 있다.
황연(Coptidis japonica)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인 황련(黃連)의 근경(根莖)으로, 11월이 채취의 최적기이며, 줄기, 잎, 수염뿌리, 진흙 등을 제거하고 햇볕에 건조하여 코르크층을 건조한다. 성분으로는 버버린(berberine) 7 내지 9%, 콥티신(coptisine), 우레닌(worenine), 팔마틴(palmatine) 등의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외에 소량으로 오바쿠논(obacunone), 오바쿠락톤 (obaculactone)이 함유되어 있고, 약리작용으로는 항미생물작용, 항병원충작용,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에 대한 작용, 항방사선작용 및 건위, 정장작용 등에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491-493, 1998).
당귀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참당귀(當歸,Angelica gigasNAKAI)의 뿌리로, 약제로 사용한다.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이 함유되어 있고, 진통, 배농, 지혈, 보혈(補血), 강장작용이 있으며, 종기, 타박상 및 부인병에 이용된다.
작약(Paeonia japonicaMIYABE)은 작약과(Paeoniaceae)의 다년생 초본인 백작약의 근(根)으로서, 가을에 캐내 근경, 수염 뿌리를 제거하고 건조한다. 성분으로는 파에오니플로린(paoniflorin), 벤조산, 알비플로린(albiflorin)이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 수지, 탄닌, 염 등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항균작용, 보혈, 화혈맥(和血脈), 항염작용, 진통 및 진정작용이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524-525, 1998).
한편 단삼(丹蔘,Salviae miltiorrhizaBUNGE)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한 다년생 본초인 단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성분으로는탄시논(Tanshinone I, IIA, IIB), 15,16-디히드로탄시논 Ⅰ(15,16-Dihydrotanshin one I), 크립토탄시논(Cryptotanshinone)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860-862, 1998).
단삼에 대하여 지금까지 밝혀진 약리작용으로는 심실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 (Akira Yagi et al.;Planta medica, 55,pp51-54, 1989), 항암효과 (Yoon Y.S. et al.;Journal of Ethnopharmacology,68,pp121-127, 1999; Jin Liu et al.;Cancer Letters,153,pp85-93, 2000), 항산화 효과 (Kang H.S. et al.;Arch. Pharm. Res.,20,pp496-500, 1997), 항염증 효과 (Kang B.Y. et al.;Immunopharmacology,49,pp355-361, 2000)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천궁(川芎,Cnidium officinaleMAKINO)은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는 그 뿌리줄기를 건조하여 두통이나 불임, 월경불순, 빈혈, 강장, 냉증과 같은 부인과 질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천궁의 화학 성분으로는 프탈라이드계(phthalide) 성분인 크니딜라이드(cnidilide), 네오크니딜라이드 (neocnidilide), 리구스틸라이드 (ligustilide), 부틸프탈라이드 (butylphtha lide), 센큐놀라이드(senkyunolide)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uzita M. 및 Kobayashi M.;Chem. Pharm. Bull., 35(4), pp1427-1433, 1987).
금은화(金銀花)는 인동과(忍冬科, Caprifoliaceae)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THUNB.)의 꽃봉오리로, 꽃에는 이소클로로제닉산(isochlorogenic acid)와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의 혼합물이 유효성분으로 존재하며, 이외에도 루테올린(luteolin), 이노시톨(inositol)이 약 1%가 함유되어 있으며, 사포닌, 탄닌을 함유한다. 항균작용 및 해독작용이 있고, 열을 식히는 효능이 있다(정보섭,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938-940, 1998).
본 발명에 사용된 포공영(蒲公英)은 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가 달린 전초(全草)이다. 민들레의 전초에는 타락사스테롤 (taraxasterol), 콜린(cholin), 인슐린(insulin) 및 펙틴(pectin)등이 함유된다. 동속 근연식물의 약용 민들레의 뿌리에는 타락솔(taraxol), 타락세롤(taraxerol), Φ-타락사스테롤, 타락사스테롤, β-아미린(amyrin), 스티그마스테롤 (stigmaster ol), β-시토스테롤(sitosterol), 콜린(choline), 유기산, 과당, 포도당, 글루코시드 등을 함유한다 (정보섭,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1077-1078, 1998).
본 발명에서는 전통적으로 많은 임상자료를 축적하고 있는 생약에 대하여 신경마비질환 및 통증질환에 대해 치료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연구하여 중점적으로 생약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이 신경마비 질환 및 신경통, 요통을 포함한 통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경계통 마비질환과 통증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단삼, 천궁, 금은화, 포공영, 황백, 황연, 홍화, 당귀, 작약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온가열처리된 산골의 수가용성 성분 및 황백, 황연, 홍화, 당귀, 작약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신경계통의 마비성 질환 및 통증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분 외에 추가적으로 단삼, 천궁, 금은화, 포공영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계통의 마비성 질환 및 통증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광물 및 식물 생약으로부터 유효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산골에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추출함에 있어서, 산골을 세분하여 60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900℃의 전기로(Furnace muffle)에서 12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연소시킨 후, 수득된 산골의 고온가열처리 분말을3 내지 7시간, 바람직하게는 5시간, 4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50℃로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회 반복하여 열탕으로 수용성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물에 가용하고 인체에 무해한 수가용성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성분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삼, 천궁, 금은화, 포공영, 황백, 황연, 홍화, 당귀, 작약 생약 추출물을 얻는 공정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은, 건조된 생약 무게(㎏)의 약 5배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 내지 15배의 물, 저급 알콜 또는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5의 혼합비(㎏/ℓ)를 갖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2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추출온도 및 pH 3 내지 7, 바람직하게는 pH 4 내지 5의 약산성조건하에서 약 1시간 내지 5일,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2일 동안 냉침,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바람직하게는 냉침방법에 의하여 물,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추출공정에서 얻어지는 조추출물들을 포함하는 신경 마비성 질환 및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경조직의 부조리에서 오는 마비성 질환, 즉 척추신경마비, 뇌성마비, 소아마비, 편마비 및 요통, 신경통, 좌골신경통, 디스크, 관절염 등과 같은 통증질환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성분들을 0.5 ~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환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500 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통 질환의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고온가열처리된 산골의 수가용성 성분 및 황백, 황연, 홍화, 당귀, 작약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분 외에 추가적으로 단삼, 천궁, 금은화, 포공영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 추출물은 통증의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3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천연에 존재하는 산골(kupferkies)은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을 갖고 있음을 국립지질 광물연구소에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해 확인되었다.
성분 Fe2O3 SiO2 S Al2O3 Cu CaO MgO MnO Pb Zn As Ag
함량% 31.5 28.2 19.3 7.70 3.01 2.89 1.76 0.61 0.38 0.11 0.08 (g/T)81
상기 표 1과 같은 산골 1,300 g 을 세분말하여 200 메쉬의 망목에 통과시킨 다음, 800℃ 내지 900℃의 전기로(Furnace muffle)에서 24시간 완전 연소시켜 유독성분을 가스화하여 승화, 제거 처리시킨 후 잔류한 분말 1,200g 을 수득하였다. 이 분말은 하기 표 2와 같은 성분을 갖고 있음을 국립지질 광물연구소에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해 확인되었다.
성분 Fe2O3 SiO2 S Al2O3 Cu CaO MgO MnO Pb Zn As Ag
함량% 39.50 8.44 41.16 5.52 0.11 1.59 0.51 0.00 0.00 0.00 0.00 (g/T)*Tr
*Tr: 흔적을 의미
상기 표 2과 같은 산골 분말 1200 g을 20 리터의 물과 혼합하여 서서히 교반하면서 5시간 끓인 다음 상등액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다시 잔유물에 5 리터의 물을 넣어 5시간 끓여 상등액을 다시 여과하여 산골 중에 있는 물의 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한 다음, 이 수득된 상등액을 가열, 농축 및 증발시켜 황갈색의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가용성 분말 40g 을 수득하였다.
다음 고온가열처리된 산골의 물 가용성 성분에 대하여 국립지질 광물연구소에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성분 H2O(+)* H2O(-)** Fe2O3 SiO2 FeO Al2O3 CaO MgO S
함량% 24.02 9.30 2.39 3.20 5.32 5.27 28.04 3.84 18.68
* H2O(+)는 부착수분으로 900℃에서 1시간 처리한 수분의 양이며, 이때 수분, 탄산가스 기타 유기물질이 발산된다.** H2O(-)는 110℃에서 1시간 건조시킨 수분의 양을 의미함.
상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산골을 고온가열 처리한 경우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제거되고 무해한 산화 제2철(Fe2O3), 이산화규소(SiO2), 산화철 (FeO), 알루미나(Al2O3), 산화칼슘(CaO), 산화마그네슘(MgO) 및 황(S) 성분만이 인체에 무해한 농도로 검출되어, 의약품이나 건강보조식품으로서 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 황백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황백 1000g을 조말하여 2.4L의 물을 가하고, 50℃에서 24시간 교반 추출하여 침출액을 얻은 후 가열하여 증발농축 및 건조시켜서 황백추출물 18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 황연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황백 1000g을 조말하여 2.4L의 물을 가하고, 상온에서 pH 4 내지 5에서 2일간 냉침 추출하여 침출액을 얻은 후, 이를 증발농축 및 건조시켜서 황연 추출물 16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 당귀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당귀 600g을 세절하여 염산으로 pH 4 로 조절하고, 90% 알콜 2L를 소량씩 주입하면서 교반하여 흡수시킨 후, 퍼콜레이터에 의하여 3일 동안 추출한 후, 증류를 하여 정유성분을 분리하고 분류한 정유는 무수황산나트륨을 투입 방치한 다음 50℃에서 6시간 동안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켜서 정유성분 18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 홍화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홍화 600g에 물 5L를 가한 후 4시간동안 끓인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증발 농축시켜서 홍화엑기스를 건조시켜 분말로써 12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 단삼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단삼 600g을 세절하고 90% 알콜 2L을 가하여, 50℃에서 24시간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 및 건조시켜서 단삼추출물 45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 천궁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천궁 600g을 세절하고 90% 알콜 2L을 가하여, 50℃에서 24시간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 및 건조시켜서 천궁추출물 35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 작약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백작약 600g을 세절하고 90% 알콜 2L을 가하여, 50℃에서 24시간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 및 건조시켜서 백작약 추출물 35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9 : 금은화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금은화 600g을 세절하고 90% 알콜 2L을 가하여, 50℃에서 24시간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 및 건조시켜서 금은화 추출물 45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 포공영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포공영 600g을 세절하고 90% 알콜 2L을 가하여, 50℃에서 24시간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시켜서 포공영 추출물 4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1 : 복합생약 조성물 1의 제조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얻은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분말 25g에 황백 건조분말 100g, 홍화분말 150g, 당귀 건조분말 180g을 혼합하여 복합생약 조성물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 복합생약 조성물 2의 제조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얻은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분말 25g에 황연 건조분말 100g, 홍화분말 150g, 작약 건조분말 180g을 혼합하여 복합생약 조성물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 복합생약 조성물 3의 제조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얻은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분말 25g에 황백 건조분말 100g, 홍화분말 150g, 당귀 건조분말 180g, 단삼 건조분말 30g, 천궁 건조분말 40g, 금은화 건조분말 30g 및 포공영 건조분말 30g을 혼합기로 혼합하여 복합생약 조성물 3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요통 및 신경통에 대한 효과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얻어진 복합 생약 조성물 1, 2 및 3의 요통 및 신경통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 복합생약 조성물을 신경조직의 부조리에서 오는 마비성 질환, 즉 척추신경마비, 뇌성마비, 소아마비, 편마비, 요통, 좌골신경통, 관절염 등에 우수한 치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한의원에서 임상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경통, 요통, 좌골신경통, 관절염, 늑간신경통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상기 조성물 1, 2 및 3을 환제로 제조하여 1일 3회씩 15일 내지 70일간 복용시킨 결과, 효능을 발휘하여 신체적 반응을 인정한 환자는 24명으로 대략 68.6%가 좋은 효과를 인정하였으며 좀더 장기적으로 투약할 시에 치료효과는 더욱 상승될 것으로 인정되었다.
시험예 2: 디스크에 대한 효과
요추 4번, 5번의 디스크 질환을 보유하고 있던 피시험자 1(이경도, 46세, 경북 상주시 청리면 거주)은 통증 및 땡김 증상을 갖고 있었다. 2001년 1월 6일 복합생약 1의 투약을 시작하였으며, 매일 3회 복용하였다. 1월 26일부터 통증이 감소되고, 허리가 부드러워졌으며, 3월 10일에는 무릎통증 및 땡기는 증상이 호전되었다. 꾸준히 3개월 투여 후, 4월 12일에는 견인통은 완치되었으며, 요통은 거의 통증이 사라져 호전되었다.
시험예 3: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효과
요추 4번, 5번의 추간판탈출증 질환을 보유하고 있던 피시험자 2(강희봉, 28세, 전북 군산시 회현면 거주)는 신체 좌측 통증, 땡김 및 걸을 때 자세가 왼쪽으로 기울어지는 증세를 갖고 있었다. 2000년 11월 3일 복합생약 1의 투약을 시작하였으며, 매일 3회 복용하였다. 11월 25일부터 허리통증이 감소되었으며, 땡기는 증상도 많이 감소되었다. 꾸준히 2개월동안 투약한 결과, 12월 20일에는 거의 완치되어 다른 통증이 완전히 사라졌으며, 걷는 자세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시험예 4: 디스크에 대한 효과
요추 4번, 5번의 디스크 질환을 보유하고 있던 피시험자 3(정선주, 29세,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거주)은 좌측 다리에서 발바닥까지 저리는 증상 및 통증을 갖고 있었으며 통증 때문에 앉아있기 조차도 힘들었다. 2001년 8월 9일 복합생약 1의 투약을 시작하였으며, 매일 3회 복용하였다. 9월 20일부터 통증이 감소되어 앉아있기다 다소 수월해졌으며, 10월 12일에는 명현반응이 있어 복용량을 일시적으로 감량하였다. 11월 20일에는 통증으로 인한 불면증이 해소되었으며 저린 증상이 완전히 사라졌고, 약간의 통증만이 남았으나 꾸준히 5개월 투여 후, 12월 26일에는 거의 완치되어 발목만 약간 시큰거리며, 다른 통증이 완전히 사라졌다.
시험예 5: 요통에 대한 효과
출산 이후 요통을 겪고 있던 피시험자 4(육애화, 49세, 전남 여수시 고소동 거주)는 허리의 요통이 심하여 오래 걷지 못하는 증상을 갖고 있었다. 2002년 2월 26일 복합생약 1의 투약을 시작하였으며, 매일 3회 복용하였다. 3월 5일부터 통증이 감소되고 허리가 부드러워졌으며, 1개월 투여 후 1시간 이상 걸어도 피곤치 않았으며, 통증이 많이 호전되었으며, 3개월 동안 꾸준히 투약한 후 수영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통증이 완전히 사라졌고 일상생활에 거의 불편이 없어졌다.
시험예 6: 요통에 대한 효과
1년 이상 요통을 보유하고 있던 피시험자 5(최동원, 26세, 경기도 양주군 회천읍 고암리 거주)는 앉았다 일어설 때 또는 오래 앉아있을 때 극심한 통증을 겪어왔다. 2001년 10월 15일 복합생약 1의 투약을 시작하였으며, 1개월 투여후 통증이 많이 감소되어 호전되었으며, 2개월 동안 꾸준히 투약한 후 3개월 지난 후 30분이상 농구해도 통증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통증이 완전히 사라졌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골에 함유되어있는 철분, 마그네슘, 칼슘 및 유황 성분 등의 무기물이 인체에 적당량으로 흡수되면 접촉반응에 따라 신경기능과 골격을 보강하며 동시에 헤모글로빈의 작용은 활성화시켜줌으로써 근육과 신경의 긴장을 완화시켜주고, 당귀의 정유성분이 대뇌 및 연수체 중추에 작용하게 됨으로, 진통, 진정 및 정혈작용을 나타내며, 또한 황백과 홍화에서 추출된 엑기스는 아세틸콜린을 증가시켜 신경에 탄력성을 줌으로써 신경의 이완작용이 되고 정혈 및 강력한 혈액순환작용이 되어 마비된 신경을 통경시키며 각종 신경통 증세가 소멸시키는 작용을 발휘하게 되므로 신경통을 비롯한 각종 통증질환으로 고통을 받는 환자들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주사제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복합생약 조성물100 ㎎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3.0 ㎎
메틸파라벤0.8 ㎎
프로필파라벤0.1 ㎎
주사용 멸균증류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이 되도록 제조한 후, 2㎖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복합생약 조성물200 ㎎
유당100 ㎎
전분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복합생약 조성물 100 ㎎
유당50 ㎎
전분50 ㎎
탈크2 ㎎
스테아린산마그네슘적량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복합생약 조성물1000 ㎎
설탕20 g
이성화당20 g
레몬향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환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복합생약 조성물 100 g
밀가루 100 g
정제수 500㎖
100g 밀가루를 500㎖의 물에 넣어 끓이면서 완전히 혼합한 다음, 반 고형이되면 식히고, 복합생약 100g과 섞어 완전히 혼합반죽한 후 제형틀에 넣어 제환하여 건조시켜서 제조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6. 혼합 액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복합생약 조성물 1000 ㎎
속단 추출물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레몬향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7.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1의 복합생약 조성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8.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1의 복합생약 조성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고온가열처리된 산골의 수가용성 성분 및 황백, 홍화, 당귀 등의 복합생약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신경통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에게 신경통을 완하시키거나 치료함으로써 신경통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으로서의 개발에 유용하다.

Claims (15)

  1. 고온가열처리된 산골의 수가용성 성분 및 황백, 황연, 홍화, 당귀, 작약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신경계통의 마비성 질환 및 통증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단삼, 천궁, 금은화, 포공영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통증은 요통, 신경통, 좌골신경통 또는 디스크,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고온가열처리된 산골의 수가용성 성분이 산골을 세분하여 600 내지 1000℃ 의 전기로에서 12시간 내지 48시간 연소시킨 후, 수득된 산골의 고온가열처리 분말을 3 내지 7시간, 40 내지 70℃로 1회 내지 5회 반복하여 열탕으로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방법으로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고온가열처리된 산골의 수가용성 성분, 황백, 홍화 및 당귀로 구성되는 복합생약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고온가열처리된 산골의 수가용성 성분, 황연, 홍화 및 천궁으로 구성되는 복합생약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고온 가열처리된 산골의 수가용성 성분, 황연, 홍화, 천궁, 단삼, 금은화, 포공영으로 구성되는 복합생약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고온 가열처리된 산골의 수가용성 성분, 황연, 홍화, 천궁, 단삼, 금은화, 포공영으로 구성되는 복합생약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통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성분들을 0.5 ~ 50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형태인 경구형 약학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8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인 비경구용 약학 조성물.
  12. 신경통 질환의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고온가열처리된 산골의 수가용성 성분 및 황백, 황연, 홍화, 당귀, 작약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성분 외에 추가적으로 단삼, 천궁, 금은화, 포공영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건강음료인 건강보조식품.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생약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30 중량%인 건강보조식품.
KR1020020069397A 2002-11-09 2002-11-09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KR20040041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97A KR20040041235A (ko) 2002-11-09 2002-11-09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97A KR20040041235A (ko) 2002-11-09 2002-11-09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235A true KR20040041235A (ko) 2004-05-17

Family

ID=3733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397A KR20040041235A (ko) 2002-11-09 2002-11-09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123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900A3 (en) * 2008-02-19 2009-11-12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Composition comprising a flower extract of lonicera japonica thunb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c diseases
KR101011285B1 (ko) * 2010-04-23 2011-01-28 변경삼 허리 디스크 통증 경감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8615B1 (ko) * 2010-08-11 2013-01-09 정진남 자연동에 함유된 유황 및 아연 함량의 저감 방법
KR20160063646A (ko) * 2014-11-27 2016-06-07 이명지 통증완화를 위한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KR20170130307A (ko) * 2016-05-17 2017-11-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061B1 (ko) * 2008-11-28 2012-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57358B1 (ko) * 2011-09-15 2014-02-0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전원 장치, 고주파 증폭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061B1 (ko) * 2008-11-28 2012-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57358B1 (ko) * 2011-09-15 2014-02-0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전원 장치, 고주파 증폭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900A3 (en) * 2008-02-19 2009-11-12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Composition comprising a flower extract of lonicera japonica thunb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c diseases
KR101011285B1 (ko) * 2010-04-23 2011-01-28 변경삼 허리 디스크 통증 경감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8615B1 (ko) * 2010-08-11 2013-01-09 정진남 자연동에 함유된 유황 및 아연 함량의 저감 방법
KR20160063646A (ko) * 2014-11-27 2016-06-07 이명지 통증완화를 위한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KR20170130307A (ko) * 2016-05-17 2017-11-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5022B1 (ko) 가공인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Khare Indian herbal remedies: rational Western therapy, ayurvedic, and other traditional usage, Botany
KR101346281B1 (ko) 29가지 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74097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ulkarni et al. Indian gooseberry (Emblica officinalis): Complete pharmacognosy review
KR100980819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02742691A (zh) 具有降血压作用的保健茶饮品及制备方法
CN101658618B (zh) 一种解酒护肝复方制剂及应用
KR10182673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71090B1 (ko)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88252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KR20130009901A (ko) 혈행개선 및 기력보강과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1622104B1 (ko) 결명자 추출물 및 지구병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40041235A (ko)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CN1048894C (zh) 沙棘黄酮口服液
KR20110082444A (ko)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0471340B1 (ko) 인삼의 가공방법
KR20050004950A (ko) 복합생약을 함유한 생리통 및 월경불순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060081279A (ko) 죽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계 관련 정신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060030575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167628B1 (ko)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KR100453542B1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 및 건강식품
KR100555653B1 (ko)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을 함유하는불안증세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881368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예방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