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646A - 통증완화를 위한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 Google Patents

통증완화를 위한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646A
KR20160063646A KR1020140167147A KR20140167147A KR20160063646A KR 20160063646 A KR20160063646 A KR 20160063646A KR 1020140167147 A KR1020140167147 A KR 1020140167147A KR 20140167147 A KR20140167147 A KR 20140167147A KR 20160063646 A KR20160063646 A KR 2016006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n
injection
pain
extract
shinri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325B1 (ko
Inventor
김성철
이명지
Original Assignee
이명지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지,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명지
Priority to KR102014016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3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명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명주사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소재로 사용된 건조상태의 강황, 천마, 원지, 단삼, 모과, 백작약, 감초, 창출 및 정제부자를 혼합한 것은, 이하 '신명소재'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은 신명주사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신명소재를 분쇄하고, 유기용매 및 무기용매를 배합하여 추출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균질화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초음파파쇄하는 단계; 상기 신명소재 추출물을 주사용수와 혼합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액을 추출 및 농축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1차 파쇄 및 균질화하는 단계; 및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2차 파쇄 및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명소재 추출물을 제조할 시 유기용매와 무기용매를 3:7 ~ 6:4의 조성비로 배합하여 신명소재를 감압추출하고, 신명소재 추출물을 15 ~ 60분 초음파파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신명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명주사제를 제조할 시 신명소재 혼합액을 고속 호모게나이져(homogenizer)를 사용하여 15,000 ~ 19,000 rpm으로 5 ~ 15분 동안 1차 파쇄 및 균질화한 후, 초음파파쇄기(sonicator)를 사용하여 20 ~ 65℃에서 20 ~ 40분 동안 초음파 10 ~ 130 kHz 펄스(pulse)를 7 ~ 11초 주입하고 1 ~ 5초 휴지하는 것을 복수 회 수행하여 2차 파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는 희귀난치성 신경근육질환, 근골격계 통증, 중추성 통증 및 내장성 복통 등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상기 질환들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Description

통증완화를 위한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METHOD OF MANUFACTURING A SHIN MYEONG INJECTION FOR RELIEVING PAIN AND THE INJECTION MADE BY THE SAME}
본 발명은 통증완화를 위한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소재로 사용된 건조상태의 강황, 천마, 원지, 단삼, 모과, 백작약, 감초, 창출 및 정제부자를 혼합한 것을, 이하 '신명소재'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은 통증완화를 위한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신명소재를 분쇄하고, 유기용매 및 무기용매를 배합하여 추출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균질화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초음파파쇄하는 단계; 상기 신명소재 추출물을 주사용수와 혼합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액을 추출 및 농축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1차 파쇄 및 균질화하는 단계; 및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2차 파쇄 및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증완화를 위한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명소재 추출물을 제조할 시 유기용매와 무기용매를 3:7 ~ 6:4의 조성비로 배합하여 신명소재를 감압추출하고, 신명소재 추출물을 15 ~ 60분 초음파파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신명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명주사제를 제조할 시 신명소재 혼합액을 고속 호모게나이져(homogenizer)를 사용하여 15,000 ~ 19,000 rpm으로 5 ~ 15분 동안 1차 파쇄 및 균질화한 후, 초음파파쇄기(sonicator)를 사용하여 20 ~ 65℃에서 20 ~ 40분 동안 초음파 10 ~ 130 kHz 펄스(pulse)를 7 ~ 11초 주입하고 1 ~ 5초 휴지하는 것을 복수 회 수행하여 2차 파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는 희귀난치성 신경근육질환, 근골격계 통증, 중추성 통증 및 내장성 복통 등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상기 질환들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신경근육 질환은 운동 단위의 이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운동 단위는 척수 전각세포, 말초신경, 신경근접합부 및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말초신경은 뇌나 척추의 중추신경계에서 갈라져 나와 근육이나 피부 등 멀리 떨어진 말단 장기를 중추신경계와 연결시켜 주는 신경 그물망을 의미하며, 중추신경계에서 결정된 명령을 근육 등 말단 장기에 전달하거나 통각 등의 감각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전달한다.
따라서, 말초 신경과 근육에 이상이 생기면 감각이 떨어지며, 이상한 감각을 느끼거나 근육의 힘이 빠지고 위축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목, 어깨, 허리, 상지, 하지에 있는 근육, 건(힘줄), 인대, 힘줄, 추간판, 연골, 뼈, 신경 또는 작은 혈관과 이들 주변의 신체조직에서 발생하는 통증이 근골격계 통증에 해당하며, 이는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오래 있거나, 반복적인 동작 또는 무리하게 힘을 사용하는 경우 등의 복합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근골격계 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근골격계 질환 중의 하나가, 허리 디스크로 알려진 추간판 탈출증이다.
허리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가장 두드러진 증상은, 요통과 함께 다리가 아프고 저린 방사통이다. 탈출된 추간판이 신경근을 자극하게 되어 신경근이 분포하는 다리에 감각 이상이 초래된다.
추간판 탈출증의 원인으로는, 추간판의 노화 또는 무거운 물건의 운반 등이 있으나 이 외에도 복합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중추성 통증 및 내장성 통증은, 근육의 위축에서 오는 통증이라 할 수 있으며, 이들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중추성 통증 및 내장성 통증 역시 상기 통증질환들과 마찬가지로 환자 및 환자 가족들의 삶의 질을 매우 저하시키는 질환이다.
이러한 통증질환에 관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치료 제제들로 인한 간기능 저하, 현기증, 설사, 복통, 구토 및 식욕부진 등의 여러 부작용들이 보고되어 왔다. 또한, 인위적인 화학 성분의 제제들로서, 장기 복용 시 추가적인 부작용의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출원인은 부작용 및 세포독성이 없고, 장기 복용이 용이하며, 통증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능이 뛰어난 천연물 유래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또한, 천연물 유래 조성물의 제공뿐만 아니라 그를 이용한 치료용 제제를 발명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명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일반적으로, 약침은 약과 침의 효능이 동시에 작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강화하고 기혈순환을 촉진하는 새로운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순수한 한약재에서 약액을 추출하는 약침은 체질과 증상에 따라 약액을 경락과 경혈에 주입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약침이 목적 부위에 직접 투여되므로 복용, 도포 등의 기타 약 투여 방식에 비하여 약효가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재로는 강황, 천마, 원지, 단삼, 모과, 백작약, 감초, 창출 및 정제부자가 사용된바, 하기에서 본 소재들의 설명을 간략하게 기재하였다.
강황(姜黃/薑黃, Curcuma longa Rhizoma)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한해살이풀로서, 뿌리줄기를 한약재로 사용한다.
강황에는 커큐민(curcumin), 터메론(turmerone) 및 아터메론(arturmero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맵고 쓴맛이 나는 황색의 약재로, 통증완화와 월경불순에 효능이 있다.
천마(天麻, Gastrodia elata)는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수자해좃·적전(赤箭)이라고도 한다.
천마의 전초는 진정, 진경의 효능이 있고 경락을 이어준다. 적용질환은 두통이나 현기증을 비롯해 팔다리의 근육이 굳어지고 감각이 없어지는 증세, 반신불수, 언어장애, 고혈압, 어린아이의 간질병, 유행성 뇌수막염 등의 질환을 치료하는 데 쓴다.
원지(遠志, Polygala tenuifolia)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한방에서는 뿌리를 원지라고 한다.
원지의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이 따뜻하다. 잘 놀라면서 가슴이 뛸 때, 가래 섞인 기침을 할 때, 건망증 등에 쓰인다. 진정작용, 최면작용, 강심작용, 가래 삭임 작용, 용혈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단삼(丹蔘, Salvia miltiorrhiza)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인삼의 형태를 닮고 빛깔이 붉어서 단삼이라고 한다. 높이는 40∼80㎝이고 꽃은 자주색으로 5∼6월에 피며 층층으로 달린다. 뿌리는 한약재로 쓰인다. 탄신논과 비타민 E가 함유되어 있으며, 동물실험에서는 말초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압을 내리는 작용이 인정되었다.
단삼에는 탄시논 I, II(tanshinone I, II), 디하이드로탄시논(dihydrotanshinone), 크립토탄시논(cryptotanshinone), 메틸탄시논(methyl tanshinone), 메틸렌(methylene), 탄시퀴논(tanshiquinone) 및 베타-시소느테롤(β-sitosterol)이 함유되어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 간염, 부인과 질환, 당뇨 및 만성 신장질환 등에 효능이 있다.
모과(木瓜, Chaenomeles fructus)는 장미과에 속하는 모과나무(Chaenomeles sinensis)의 열매이다.
모과에는 리리오덴드릴(liriodendrin), 사포닌(saponin),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tann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설사, 이질, 복통, 구토, 관절염, 염좌, 아토피성 피부염 등에 효능이 있으며, 식욕증진작용 및 자양강장작용 등을 보유하고 있다.
백작약(白芍藥, Paeonia japonica)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다른 이름으로 금작약(金芍藥), 백작(白芍),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화상(花相)이라고도 한다. 백작약에는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alkaloid), 아스파라긴(asparagine), 살리실산메틸에스테르(Methyl salicylate), 스테롤(sterol), 탄닌(tannin), 알코올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발성 관절염, 고혈압, 뇌염, 백혈병, 위액결핍증, 통풍 및 류마티즘 등에 효능이 있고 진정작용, 진통작용, 진경작용, 해열작용, 소염작용, 지혈작용, 항궤양작용, 강압작용 및 관상혈관확장작용 등을 한다.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감초에는 사포닌(saponin), 글리시리진(glycyrrhizin), 플라보노이드 및 콜로이드(colloid)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생인손, 습진, 식중독, 신경쇠약, 심장병, 십이지장궤양, 위경련, 위궤양, 위통 및 인후통증 등에 효능이 있고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작용, 해독작용, 진해작용, 진통작용, 항경련작용, 항종양작용, 체중증가작용, 근력증강작용, 혈압상승작용, 용혈작용, 억균작용, 항균작용 및 해열작용 등을 한다.
창출(Atractylodes japonika KOIDS)은 국화과에 속하는 삽주(Atractylodes ovata)의 뿌리이다.
창출의 성분으로는 정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아트락틸롤, 비타민 A, 비타민 D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한방에서는 위장과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신장을 따뜻하게 하며, 피로와 갈증을 없애고 땀과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몸속의 독과 통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부자(附子)는 미나리아재비과인 오두(烏頭, Aconitum carmichaeli Debeaux)의 뿌리를 가공하여 만든 것으로, 그 성분은 알칼로이드로서 아코니틴·메사코니틴·히파코니틴 등을 함유한다. 부자는 ≪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에 이미 약으로 쓴 기록이 있으며 전신의 기능허약으로 몸이 차고 맥박이 미약하며, 허리와 무릎이 차고 저리며, 소변의 양이 많고 묽은 변을 보면서 얼굴이 창백하고 입술이 파란 사람에게 많이 쓰인다. 기능쇠약으로 인한 만성신장염과 심장부전으로 전신에 부종이 있을 때에도 응용된다.
한편, 본 발명자는 종래에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중풍, 노인성 치매, 파킨슨 병, 당뇨 또는 급만성 통증 질환에 사용되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596호, 2011.05.04)
그러나, 이는 한방 치료를 통한 경구 투여를 실시함으로써, 급성 통증 질환의 발병 시에 신속한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9607호에는, 백작약과 유사한 효능을 갖는 작약, 창출 및 감초 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요추디스크 허리통증 및 하지방산통 완화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171호에는, 백작약 및 감초 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통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문헌들에 기재된 한약조성물 및 치료용 조성물은 환제, 정제, 캡슐제, 액제, 경피흡수제 또는 건강음료의 형태로 복용하므로 급성 통증 질환의 발병 시, 신속한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급성 통증 질환의 발병 시에도 약효가 신속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질환들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능을 보유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596호 (2011.05.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9607호 (2011.10.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171호 (2011.08.30)
본 발명의 목적은, 희귀난치성 신경근육질환, 근골격계 통증, 중추성 통증 및 내장성 복통 등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상기 질환들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능을 보유한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소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은, 신명소재를 분쇄하고, 유기용매 및 무기용매를 배합하여 추출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균질화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초음파파쇄하는 단계; 상기 신명소재 추출물을 주사용수와 혼합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액을 추출 및 농축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1차 파쇄 및 균질화하는 단계; 및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2차 파쇄 및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는, 천연물을 소재로 하여 독성 및 부작용이 낮은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는, 희귀난치성 신경근육질환, 근골격계 통증, 중추성 통증 및 내장성 복통 등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상기 질환들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명주사제의 독성시험에서 시험물질 투여량에 따른 시험동물의 사망개체수를 나타낸 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명주사제의 독성시험에서 시험물질 투여량에 따른 시험동물 수컷의 임상증상을 나타낸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명주사제의 독성시험에서 시험물질 투여량에 따른 시험동물 암컷의 임상증상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명주사제의 독성시험에서 시험물질 투여량에 따른 시험동물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명주사제의 독성시험에서 시험물질 투여량에 따른 시험동물의 이상 발견을 나타낸 표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험예와 참조예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소재로 사용된 건조상태의 강황, 천마, 원지, 단삼, 모과, 백작약, 감초, 창출 및 정제부자를 혼합한 것은, 이하 '신명소재'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1. 신명주사제의 제조
(1) 신명소재 분쇄하는 단계
건조상태의 강황, 천마, 원지, 단삼, 모과, 백작약, 감초, 창출 및 정제부자를 혼합하여 분쇄한다.
이 때 중량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백작약 3~4 중량부 기준으로, 감초 3~4 중량부, 정제부자 1~2 중량부, 강황, 단삼, 모과, 원지, 감초 및 창출 각 0.5~1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명소재는 체내에 주입되므로, 소재의 분쇄 입자 크기를 되도록 미소하게 하기 위하여 크러셔 내벽에 반발판을 설치하여 타격 반발을 반복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신명소재를 분쇄한다.
필요에 따라 터보밀, 슈퍼미크론밀, 포트밀, 튜브밀, 코니칼밀, 제트분쇄기, 디스크밀, 핀 밀, 스탬프밀, 슈레더, 해머밀, 해머 크러셔, 콘 크러셔, 조 크러셔, 커터밀, 에지런너, 롤러밀, 레이몬드밀 및 터보미크론 밀 또는 제트밀 등을 사용하여 물리적 단위 조작을 사용할 수 있다.
크러셔 하부에 추가적으로 스크린 또는 그리드를 설치하여 분급할 수 있다.
(2) 유기용매 및 무기용매를 사용하여 신명소재 추출하는 단계
유기용매 및 무기용매를 사용하여 신명소재 추출물을 제조한다.
신명소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전후 단계에 세척, 탈수, 건조 또는 살균 등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공정의 순서는 유동적이다. 각 공정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 및 무기용매를 사용하여 신명소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다양한 극성을 보유한 용매를 사용하여 신명소재 내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신명소재의 추출은 유기용매 및 무기용매를 사용한 진공감압추출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조건에 따라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진공추출법, 감압추출법, 마이크로 웨이브 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진공감압추출기의 내부 조건은 60 ~ 70℃ 이하에서 3 ~ 7시간 가수분해 교반되는 것으로 설정되며,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지방유, 글리세린, 마유, 플로필렌글리콜, 에테르, 클로르포름, 석유에테르, 헥산, 벤젠,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추출에 사용되는 무기용매는 물, 액체암모니아, 삼염화안티몬 및 불화수소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기용매 및 무기용매의 배합비는 3:7 ~ 4:6으로 조성되며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분배계수가 다른 2가지 이상의 용매를 동시에 사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2차 이상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시간 역시 달라질 수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2차 이상 추출할 수 있다.
(3) 신명소재 추출물을 균질화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균질화한다.
신명소재 추출물을 균질화할 시 고속 호모게나이져를 사용하며, 조건에 따라 기계적 분산 및 계면 활성제를 가하여 유화 분산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속 호모게나이져의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4) 신명소재 추출물을 초음파파쇄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초음파파쇄한다.
초음파파쇄 시간은 15 ~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초음파파쇄기는 초음파 특유의 공동 효과(cavitation)로 인하여 분자운동을 유발시키며, 상기 분자 운동이 활성화 에너지로 작용하여 추출, 농축 등의 공정 수행시 반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으며, 단백질 생산 공정에도 도입되어 온 기기로써, 초음파파쇄기를 사용하여 시료를 파쇄하면 시료 내에 함유된 단백질의 생성률이 증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초음파파쇄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신명소재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신명소재 추출물의 초음파파쇄를 수행한다.
신명소재 추출물의 파쇄 방법은 조건에 따라, 커터밀, 슈레더, 해머밀, 에지런너, 롤러밀, 레이몬드밀 및 터보미크론 밀 등의 기계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파쇄하는 방법과, 막자 및 막자 사발 등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파쇄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신명소재를 분쇄하는 단계, 유기용매 및 무기용매를 사용하여 신명소재를 추출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균질화하는 단계 및 신명소재 추출물을 초음파 파쇄하는 단계는 복수 회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들을 모두 수행한 후 소금 및/또는 산을 첨가할 수 있다. 산은 인산, 탄산, 아세트산, 구연산 및 붕산 등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소금 및/또는 산의 중량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5) 신명소재 추출물을 주사용수와 혼합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주사용수와 혼합하여 신명소재 혼합액을 제조한다.
이때 신명소재 추출물과 주사용수의 조성비는 1 : 1000로 조정되며, 신명소재 추출물과 주사용수를 혼합한 액 1 중량부에 알코올 7 ~ 9 중량부를 혼합하여 신명소재 추출물 혼합액 내의 알코올 비율이 70 ~ 90%가 되도록 한다.
설계 조건에 따라, 교반기를 사용하여 신명소재 혼합액을 교반할 수 있으며, 교반 시간은 2 ~ 4시간 수행된다. 교반 시간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6) 신명소재 혼합액을 추출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액을 추출한다.
신명소재 혼합액을 추출시 디컴프레셔를 이용한 감압추출이 수행되며, 조건에 따라 용매 추출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진공추출법, 감압추출법, 마이크로 웨이브 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7) 신명소재 혼합액을 농축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액을 농축한다.
신명소재 혼합액을 농축할 시 감압농축법을 사용하며, 조건에 따라 증발 농축, 동결 농축, 건조 농축, 막 농축, 진공 농축 및 감압 농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감압 농축은 2 ~ 5시간 동안 60 ~ 80℃에서 로타리 바큠 이바포레이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또한, 2가지 이상의 농축 방법을 사용하여 2차 이상 농축할 수 있다.
신명소재 혼합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신명소재 추출물을 주사용수와 혼합하는 단계에서 첨가된 알코올이 끓는점의 차이에 의한 추출법으로 증발되고 농축된 신명소재 혼합액이 남게 된다.
(8)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1차 파쇄 및 균질화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1차 파쇄 및 균질화한다.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의 1차 파쇄 및 균질화는,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 내의 신명소재 성분을 효율적으로 수득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1차 파쇄 및 균질화할시 고속 호모게나이져가 사용되며, 호모게나이져의 조건은 15,000 ~ 19,000 rpm으로 5 ~ 15분간 설정할 수 있으며 다양하게 조건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건에 따라, 호모게나이져 외에도 커터밀, 슈레더, 해머밀, 에지런너, 롤러밀, 레이몬드밀 및 터보미크론 밀 등의 기계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파쇄하는 방법과, 막자 및 막자 사발 등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파쇄하는 방법 등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9)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2차 파쇄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의 pH를 조절한 후 2차 파쇄한다.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의 2차 파쇄 역시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2차 파쇄하여 신명소재 성분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2차 파쇄할 시 1N NaOH 및 1N HCl를 용매로 사용하여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의 pH를 6.8 ~ 7.2로 조절한 후, 초음파파쇄기를 사용하여 파쇄한다.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의 pH를 중성으로 조절하여, 체내에 주입하였을 시의 안전성을 위하여 pH를 6.8 ~ 7.2로 조절한다.
또한 초음파파쇄기의 사용 조건을 20 ~ 65℃에서 20 ~ 40분 동안 초음파 10 ~ 130 kHz 펄스(pulse)를 7 ~ 11초간 주입하고 1 ~ 5초간 휴지하는 것을 복수 회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초음파 파쇄기의 조건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건에 따라서, 커터밀, 슈레더, 해머밀, 에지런너, 롤러밀, 레이몬드밀 및 터보미크론 밀 등의 기계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파쇄하는 방법과, 막자 및 막자 사발 등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파쇄하는 방법 등 기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여과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여과한다.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의 여과는 막 직경 8 um 와트만 여과지로 2번 여과한 후, 막 직경 0.4 um 멤브레인 필터, 엔도톡신제거용 필터 및 막 직경 0.2 um 멤브레인 필터를 여과하여 수행되며, 조건에 따라 크로마토크래피, 감압 여과 및 흡인 여과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멸균 또는 살균 등의 과정이 각 단계 수행 전후에 수행될 수 있다. 멸균 또는 살균이 수행되는 횟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 멸균시 100 ~ 140℃, 10 ~ 20lb psi 압력 단위에서 고온고압멸균기를 사용하며, 조건에 따라 저온멸균, UV 멸균, 자외선 멸균 및 화염멸균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1. 신명주사제의 근육투여에 따른 독성시험
1-1. 실험 준비
1) 시험동물
시험동물은 일반 독성시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비교할 기초자료가 풍부한 Sprague-Dawley 계통의 랫드((주)오리엔트바이오)를 사용하였다.
시험동물 반입 시 일반증상 관찰 및 체중측정 후에는 개체식별법을 따랐으며, 10일의 순화기간 중 매일 1회 일반증상을 관찰하였다.
순화기간 종료일에 체중을 측정하고, 일반증상 및 체중변화를 확인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에는 수컷 20마리(9주령, 306.1 - 335.2 g) 및 암컷 20마리(9주령, 227.3 - 255.7 g)를 선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선발된 시험동물은 평균체중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대조군, 저용량군, 중용량군 및 고용량군에 각각 5마리씩 균일하게 분리하였다.
2) 시험물질의 조제
본 실험예의 시험물질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멸균증류수에 용해시키고, 1000:1 (v/v%)로 희석하여 조제하였다.
1-2. 실험 방법
1) 투여방법
투여경로는 임상예정 경로에 따라 근육투여를 실시하였다.
투여액량은 10 mL/kg으로 하고, 개체별 투여량은 당일 체중측정을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일회용 주사기(3 mL, 26 G)를 이용하여 1일 2회(각각 5 mL/kg) 6시간 간격으로 대퇴부에 분할 근육투여를 실시하였다.
2) 일반증상관찰
모든 시험동물에 대하여 부검일까지 매일 1회 이상 일반증상을 관찰하였다.
단, 투여 당일은 1차 및 2차 투여 후 각각 0.5, 1, 2, 4 및 6시간에 일반증상(독성징후의 종류, 발현시기, 회복시기 등)을 관찰하였다.
3) 체중측정
모든 시험동물에 대하여 투여 직전(0일), 투여 후 1, 3, 7 및 14일에 측정하였다.
4) 부검
관찰기간 종료 후, 모든 생존시험동물에 대하여 CO₂마취하에 복대 동맥, 정맥을 절단하여 방혈 치사 후 부검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장기에 대하여 육안검사를 실시하였다.
5) 통계학적 분석
통계학적 분석은 체중에 대하여 SPSS program (SPSS 16.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Levene test를 통하여 등분산성이 인정되면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을 실시하여 대조군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유의수준: 양측 5%).
등분산성이 인정되지 않으면 Kruskal-Wallis's H-test를 실시하여 대조군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유의수준: 양측 5%).
1-3. 실험 결과
도 1 내지 도 5는 신명주사제의 근육투여에 따른 독성시험 결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시험물질 투여량에 따른 시험동물의 사망개체수를 나타낸 표이고, 도 2 및 도 3은 시험물질 투여량에 따른 시험동물의 수컷 및 암컷의 임상증상을 나타낸 표이다.
시험기간 중 모든 시험군에서 사망동물 및 일반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도 4는 시험물질 투여량에 따른 시험동물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표로, 일부 시험동물에서 일시적인 체중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시험물질의 투여 경로가 근육투여인 것을 감안할 때 투여에 의한 스트레스성 체중감소인 것으로 사료된다.
도 5는, 시험물질 투여량에 따른 시험동물의 이상 발견을 나타낸 표이다.
모든 생존동물의 부검 결과 특이한 육안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신명소재은 근육투여 시 체내에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시험물질 신명주사제의 독성은 인정되지 않았고, 개략의 치사량은 암·수 모두 2,000 mg/kg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6)

  1. 신명소재를 분쇄하고, 유기용매 및 무기용매를 배합하여 추출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균질화하는 단계;
    신명소재 추출물을 초음파파쇄하는 단계;
    상기 신명소재 추출물을 주사용수와 혼합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액을 추출 및 농축하는 단계;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1차 파쇄 및 균질화하는 단계; 및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2차 파쇄 및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명소재는, 백작약 3~4 중량부 기준으로, 감초 3~4 중량부, 정제부자 1~2 중량부, 강황, 단삼, 모과, 원지, 감초 및 창출 각 0.5~1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명소재를 분쇄하고, 유기용매 및 무기용매를 배합하여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 방법은 감압추출이고, 유기용매와 무기용매의 조성비는 3:7 ~ 6:4이며,
    상기 신명소재 추출물을 초음파파쇄하는 단계에서 파쇄 시간은 15 ~ 6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1차 파쇄 및 균질화하는 단계는 고속 호모게나이져(homogenizer)를 사용하여 15,000 ~ 19,000 rpm으로 5 ~ 15분 동안 수행되며,
    상기 신명소재 혼합 농축액을 2차 파쇄하는 단계는 초음파파쇄기(sonicator)를 사용하여 20 ~ 65℃에서 20 ~ 40분 동안 초음파 10 ~ 130 kHz 펄스(pulse)를 7 ~ 11초 주입하고 1 ~ 5초 휴지하는 것을 복수 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신명주사제는 희귀난치성 신경근육질환, 근골격계 통증, 중추성 통증 또는 내장성 복통 등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상기 질환들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명주사제.
KR1020140167147A 2014-11-27 2014-11-27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KR10172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147A KR101720325B1 (ko) 2014-11-27 2014-11-27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147A KR101720325B1 (ko) 2014-11-27 2014-11-27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646A true KR20160063646A (ko) 2016-06-07
KR101720325B1 KR101720325B1 (ko) 2017-03-28

Family

ID=5619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147A KR101720325B1 (ko) 2014-11-27 2014-11-27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3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235A (ko) * 2002-11-09 2004-05-17 김한승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KR20070113561A (ko) * 2006-05-25 2007-11-2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단삼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증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00005064A (ko) * 2007-03-05 2010-01-13 허베이 이링 메디슨 리서치 인스티튜트 코오포레이션 리미티드 한약 조성물, 이에 함유된 곤충 추출물 및 그의 제법
KR101034596B1 (ko) 2009-05-07 2011-05-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KR101062171B1 (ko) 2009-01-08 2011-09-05 유상훈 염증 및 통증 치료용 조성물
KR20110109607A (ko) 2010-03-31 2011-10-06 이윤식 요추디스크 허리통증 및 하지방산통 완화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235A (ko) * 2002-11-09 2004-05-17 김한승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KR20070113561A (ko) * 2006-05-25 2007-11-2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단삼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증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00005064A (ko) * 2007-03-05 2010-01-13 허베이 이링 메디슨 리서치 인스티튜트 코오포레이션 리미티드 한약 조성물, 이에 함유된 곤충 추출물 및 그의 제법
KR101062171B1 (ko) 2009-01-08 2011-09-05 유상훈 염증 및 통증 치료용 조성물
KR101034596B1 (ko) 2009-05-07 2011-05-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KR20110109607A (ko) 2010-03-31 2011-10-06 이윤식 요추디스크 허리통증 및 하지방산통 완화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325B1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ams et al. Plants traditionally used in age related brain disorders—A survey of ethnobotanical literature
Samy et al. A compil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Ayurveda
US7569234B2 (en) Herb composition for treating lung canc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3719498A (zh) 一种提高免疫力的黄精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1785828A (zh) 一种保健乌鸡蛋的生产方法及其所用的药物组合物
CN104013929B (zh) 一种治疗风湿性关节炎和类风湿性关节炎的风湿祛痛药物及制备方法
CN108887544A (zh) 一种天然养生饮料
KR101720325B1 (ko)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CN105943619A (zh) 全麻素在制备防治老年痴呆症药物中的应用
CN103142848A (zh) 一种抗衰老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914969B1 (ko)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N100579554C (zh) 一种治疗椎间盘突出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5146649A (zh) 一种具有益脾健胃功效的玫瑰花复方中草药保健饮料
CN110538308B (zh) 一种生发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318180A (zh) 一种治疗跌打损伤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456778A (zh) 一种提升能量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643540A (zh) 一种治疗腰肌劳损的杜仲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10613793A (zh) 一种抗肿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598936B1 (ko) 관능 효과가 개선된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17755B1 (ko) 홍삼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건강음료
KR101540107B1 (ko) 반복적 희석 및 진탕을 이용한 경구용 제제의 제조방법
KR20190041776A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차 조성물 및 건강차
CN110101798B (zh) 一种解酒护肝剂及其制备方法
CN114712470B (zh) 一种治疗男士肾亏的药物及其制备方法
Tripathi Traditional knowledge digital library: The challenges a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