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596B1 -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596B1
KR101034596B1 KR1020090039554A KR20090039554A KR101034596B1 KR 101034596 B1 KR101034596 B1 KR 101034596B1 KR 1020090039554 A KR1020090039554 A KR 1020090039554A KR 20090039554 A KR20090039554 A KR 20090039554A KR 101034596 B1 KR101034596 B1 KR 101034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symptoms
dysphag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751A (ko
Inventor
김성철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9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5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Abstract

본 발명은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초오 0.5 내지 20 중량부, 대계 1 내지 20 중량부, 동과자 1내지 15중량부, 마황 1내지 6중량부, 길경 1내지 10중량부, 산사 1내지 15 중량부, 감초 1 내지 20중량부, 유근백피 1내지 15중량부, 건칠 1내지 10중량부, 유황 1내지 10중량부 및 오공 1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중풍, 노인성 치매, 파킨슨 병, 당뇨, 급만성 통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초오, 대계, 동과자, 마황, 길경, 산사, 감초, 유근백피, 건칠, 유황, 오공,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

Description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A COMPOSITION FOR IMPROVING AND DELAYING SYMPTOMS SUCH AS MUSCULE WEAKNESS, AMYOTROPHY, ARTICULATION DISORDER, DYSPHAGIA}
본 발명은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 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 또는 지연시켜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중풍, 노인성 치매, 파킨슨 병, 당뇨, 급만성 통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이하 ‘ALS’라 한다), 중증 근무력중, 중풍, 노인성 치매, 파킨슨 병, 당뇨, 급만성 통증 질환의 대표적인 징후이다.
특히, 이들 증상을 모두 갖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은 상기 은 중추신경계의 운동신경원세포가 파괴되는 퇴행성 질환으로서, ALS는 전체 환자의 약 10%에서 Cu/Zn superoxide dismutase의 유전적인 결함에 의한 가족성 예가 보고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산재성 예에서는 아직까지 정확한 병태생리학적 기전이 밝혀지지 못한 상태이다. 전압 의존 칼슘 통로를 통한 칼슘의 세포내 유입은 신경 세포에서 시냅스 전달(synaptic transmission), 유전자의 발현, 세포사(cell death) 기전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LS의 발병 가설에서 중요한 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ALS 혈장 성분의 자가 면역기전에 의한 세포독성으로 ALS가 발생한다는 자가면역 가설이다.이러한 ALS의 자가면역기전을 밝히기 위해 환자의 혈청에서 추출한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을 이용하여 신경세포 변성을 규명한 일련의 실험에서, 칼슘의 세포내 유입이 세포 변성의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임상에서 ALS 치료제로 처방되는 약물 중에 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리루졸’이 있다. 리루졸은 운동신경세포를 파괴하는 원인의 하나로 여겨지는 과도한 글루타민산을 억제시키는 약으로 오늘날까지 ALS 생명을 연장시키는 유일한 치료법이다. 그러나 여러 보고에 의하면 4개월 정도 진행을 지연시키는 효능이 있을 뿐, 증상을 호전시키지는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효과 및 안전성 면에서도 아직 여러 논문들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부분이다.
이뿐 아니라 루게릭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추시한 여러 임상시험들에서 리루졸의 효능에 관해 서로 상반되는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 유럽지역에서 루게릭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연구에서는 리루졸이 최소한 4개월 정도의 생명연장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 다른 연구결과를 보면, 리루졸 복용군과 대조군을 비교했을 때 12개월 후 리루졸 복용군에서 4개월의 생존기간 증가가 있었고, 4년 후 생존 가능성이 대조군보다 24% 더 높았다(13%:37%).
그러나 반대되는 연구보고를 보면 리루졸, 경피적 내시경 위루조성술(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비침습적 환기법(non-invasive ventilation, NIV)이 도입됨에도 불구하고 지난 십년간 생존율이 더 단축되거나 또는 그대로 변하지 않은 경향을 지적하면서 리루졸 및 PEG, NIV의 효과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 리루졸에 관한 적절한 치료기간 및 시점에 관한 두 연구에서는 병이 진행된 ALS에서는 리루졸이 비효과적이므로 가능한 한 조기에 리루졸을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병의 말기에는 약을 복용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리루졸에 관한 보고에서도 진단받은 후 12개월까지는 리루졸 복용군이 대조군에 비해 6개월 정도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나 병의 후반기(이 실험에서는 18개월 이상)에서는 대조군과 별 차이가 없었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AAL guidelines에서 발표한 El escorial 진단기준에 따라 probable과 definite으로 확진된 ALS 환자에게만 리루졸을 처방해야 한다는 주장과 완전히 상반된 것이다. 또 리루졸이 어떤 특정군에서 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지 아직 불명확하다는 것이다.
한편, 리루졸의 효능이 연수형에서 사지형보다 더 우수하다는 보고들이 많은데, 그 이유를 연수형인 경우 병의 진행이 빠르므로 첫 증상 발현에서 진단까지의 시간이 짧고 그만큼 조기에 리루졸을 복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또 다른 연구에서는 연수형 환자군과 사지형 환자군 사이에서 유의한 치료 효과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하였다. 연령별 리루졸의 약효 또한 한창 논의가 진행 중인데, 한 임상연구에서는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군에서 리루졸 복용 후 비복용군에 비해 생존기간이 8개월 더 연장되었고, 12개월 후 사망률이 27% 감소하였다는 보고를 하였으나, 또 다른 연구에서는 고령층에서의 이 같은 효과를 입증하지 못하고 있다. 리루졸 복용 후 발생하는 부작용으로는 오심, 무기력, 현훈, 위장장애 및 간수치 상승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 중 간수치 상승은 대조군에 비해 리루졸 복용군이 최대 3배까지 상승했다는 발표가 있다.
이에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특성을 한의학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 지연시키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증상을 지연시켜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중풍, 노인성 치매, 파킨슨 병, 당뇨, 급만성 통증 질환을 치료하는 한약조성물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초오 0.5 내지 20 중량부, 대계 1 내지 20 중량부, 동과자 1내지 15중량부, 마황 1내지 6중량부, 길경 1내지 10중량부, 산사 1내지 15 중량부, 감초 1 내지 20중량부, 유근백피 1내지 15중량부, 건칠 1내지 10중량부, 유황 1내지 10중량부, 오공 1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 의 증상을 개선 및 지연시켜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중풍, 노인성 치매, 파킨슨 병, 당뇨, 급만성 통증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초오 0.5 내지 20 중량부, 대계 1 내지 20 중량부, 동과자 1내지 15중량부, 마황 1내지 6중량부, 길경 1내지 10중량부, 산사 1내지 15 중량부, 감초 1 내지 20중량부, 유근백피 1내지 15중량부, 건칠 1내지 10중량부, 유황 1내지 10중량부, 오공 1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중에서, 초오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놋젓가락나물 및 동속근연식물인 aconitium의 뿌리로서 항염, 강심, 진통, 혈류증가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예로부터 관절통, 급성 복통, 신경통 등의 치료에 민간요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한의서인 신농본초경에는 거풍습, 산한, 지통, 개담, 소종의 효능이 있어 중풍에 효능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아주 소량으로도 독성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데, 조제에 있어서 특별한 규정이 없어 이로 인한 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독성을 없애고 효과를 극대화시켜 치료약으로 재가공하기 위해 감초와 쥐눈이 콩으로 7시간을 초오와 같이 달여서 만든 초오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0.5 내지 최대 20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초오는 중추신경계(뇌, 척수)에 작용하 여 신경 회복을 촉진하는 작용효과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대계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엉겅퀴 및 동속근연식물의 대근전초로 혈을 식히고 지혈하며, 어혈을 제거하고 부종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혈열로 인한 출혈증, 즉 토혈, 뉵혈, 객혈, 붕루, 뇨혈 등의 증을 다스리며, 임상상 단방으로 신선한 것을 도포하여도 효과가 있다. 이 외에 옹종창독의 증에서도 내용 혹은 외용가능하다. 또한,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1 내지 최대 20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 대계는 초오의 독성을 해독하는 작용이 있어 간기능을 보호하는 작용효과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동과자는 박과에 속한 1년생 동아호박의 종자이다. 습열을 제거하고 담을 삭히고 농을 배출하는 효과가 있어 하초의 습열을 제거하는 효가 있다. 그러므로 하초의 습열로 인한 소변백탁이나 백대하 증에 응용한다. 화담과 배농의 작용을 하기 때문에 상으로는 폐열해수, 폐옹 등의 증에 적용하며, 하로는 장옹 등의 증에 적용한다.한서인 천금방의 위경탕에 응용되고, 한서인 금괴요략의 대황목단피탕에 응용가능하다. 또한,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1 내지 최대 15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 동과자는 이뇨작용과 신장기능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고 초오의 독성을 해독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황은 마황과에 속한 다년생 본초와 같은 소관목인 초마황, 목적마황 및 중마황의 지상부 경이다. 발한해표와 선폐평천, 이수의 효능이 있어 감모풍한으로 인한 오한, 발열, 무한 등의 증과 마진의 투농이 시원치 않거나 풍진으로 전신 가려움이 있는 증에 적용한다. 한서인 상한론의 마황탕으로 응용하여 발한해표에 응용한다. 풍한으로 외표가 밀폐되면 폐기가 응축하여 천해가 되는데 본품의 지해 평천작용으로 인후 가려움, 해수, 객담, 흉민, 기천 등의 증에 응용할 수 있다. 본품은 또한 이수작용이 있어 수종을 겸한 표증에 적용할 수 있다. 한서인 상한론의 월비탕으로 응용가능하다. 또한,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1 내지 최대 6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 마황은 호흡기능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어, 호흡곤란증을 완화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길경은 도라지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도라지의 근이다. 폐의 기능을 돕고 담을 제거하고 배농하여 기운을 이롭게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해수담다, 인통실음 등의 증에 적용하고 인후종통 등에 다용한다. 이기소통의 작용으로 흉격비빈, 하리후종 등의 증에도 많이 사용된다. 또한,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1 내지 최대 10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 길경은 호흡기능작용을 촉진하고 가래를 제거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사는 장미과에 속한 낙엽관목인 산사나무(아가위나무) 및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실이다. 음식을 소화시켜 쌓인것을 내리고 체한것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어 소화를 촉진하며 식체를 다스리는 요약이다. 식육적체, 복통, 설사 등의 증을 다스리고 산후 어혈복통, 오로부진 또는 일체어체출혈 등의 증을 다스린다. 또한,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1 내지 최대 15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 산사는 소화기능을 촉진하고 혈액 중 독소를 해독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초는 콩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감초 및 동속 근연식물의 근과 근상경이다. 비위의 기능을 보하고 기운을 도와주는 작용으로 비허, 위약, 혈허 등의 증에 많이 쓰이는데, 한서인 화제국방의 사군자탕은 기허, 비허를 다스리는 요약이다. 또한 청열해독의 작용으로 창양종독에 내복이나 외용의 방법으로 사용하고 폐를 윤택하게 하여 가래와 기침을 없애는 작용으로 해수 또는 천식에 응용이 가능하다. 성미가 감하여 제약을 조화시키는 작용이 있어 약물의 열성을 완화시킨다. 완급의 지통작용도 있어 복중연급통을 다스린다. 또한,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1 내지 최대 20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 감초는 모든 약제의 독성을 해독하고 소화기능을 촉진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근백피는 느릅나무과에 속한 낙엽교목인 느릅나무(비술나무)의 수피 및 근피이다. 본품은 물을 조절하여 임증(症)을 다스리는 효과가 있으므로 소변불통, 제림 및 수종, 또는 임산중의 소변불리 등의 증을 다스린다. 종창을 없애고 해독의 효과로 옹저발배, 단독, 소아백선등의 증상을 다스리는데 내복 또는 외용가능하다. 또한,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1 내지 최대 15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 유근백피는 위장 점막의 손상을 치료하고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한약의 독성으로부터 위장을 보호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건칠은 옻나무과에 속한 낙엽교목인 옻나무의 수지를 말린 것이다. 초하여 연기가 안 날 때까지 수치를 하여야 독을 제거할 수 있다.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을 없애는데 용이 강력하여 경폐, 징가 등의 증을 다스리고 부인의 혈가, 월경불통, 발열수비 등의 증을 다스린다. 살충의 효과가 있어 충병고독의 증상을 다스린다. 한서인 본서방에서는 본풍에 빈랑, 용담 등의 약물을 배합하여 살충해열한다고 하였고 직지방에서는 고독을 다스릴 때는 평위산에 생칠을 배합하여 응용한다고 하였다. 또한,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1 내지 최대 10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 건칠은 인체의 면역작용을 촉진하여 면역력을 높이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황은 유황 광석, 혹은 함유광물을 제련하여 얻은 것이다. 생용 또는 제용하는데 유황 500g당 두부 1000g을 혼합하고 물을 넣어 두부가 흑록색을 띨 때까지 볶은 후 두부를 제거하고 음지에서 건조하여 사용한다. 본품은 허리와 무릎이 차고 힘이 없는 것, 생식기에 힘이 없는 것, 천역, 허한복통 등에 응용하고 외용으로 종기를 제거하고 살충의 작용을 한다. 또한,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1 내지 최대 10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 유황은 항바이러스 작용을 가지고 있고 인체의 혈액내 독소를 해독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공은 왕지네과에 속한 절족동물인 왕지네 및 지네의 전충이다. 두, 족, 미를 제거하여 응용한다. 풍의 사기를 제거하고 진경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급, 만경풍 등으로 인한 경련, 추축, 구금, 각궁반장 등의 증에 적용한다. 해독작용이 현저하여 창양종독, 나력괴란 등의 증을 다스리며 독사교상을 다스린다. 또한,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1 내지 최대 10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 오공은 중추신경계의 보호작용을 가지며 간과 신장을 독소로부터 보호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모과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모과는 낙엽관목인 모과 나무 및 동속 근역식물의 성숙한 과실이다. 본품은 신맛이 있어 간에 작용하여 능히 진액을 생성하여 근육을 부드럽게 하며, 따뜻한 성질로 습을 제거하고 위를 평화롭게 하기 때문에 각기부종, 습비슬통, 요슬무력, 토사곽란, 복통설사 등의 증을 다스린다. 모과를 추가할 경우 그 사용량은 체질과 환자의 체중 상태 및 증상(경도, 중등도, 중증도)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 1 내지 최대 20중량부를 사용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 모과는 가래를 없애고 기침을 가라앉히며 목에 통증을 감소시키는 작용 효과를 갖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초오, 대계, 동과자, 마황, 길경, 산사, 감초, 유근백피, 건칠, 유황, 오공의 11종 성분들을 분말 타입으로 혼합한 다음 물을 사용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혹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이들을 모아 동결 건조시켜 사용하는 것이 투여의 간편성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열수 추출방법은 하기 실시예내 기재된 바와 같이, 분말 혼합물 1재 분량(약 2000g)을 물 6000cc와 함께 고려한약추출기(한국)를 사용하여 120℃에서 5시간동안 추출하면 충분하다.
또한, 이같은 추출액을 포장기(Atomos,한국)에 1pack 당 120ml를 담은 후 투약하게 된다. 이때 투여량은 1일 3회 식후 30분경에 투여하는 것이 흡수 효과 를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하였으며, 1회당 분량은 체중 1kg 당 2ml 정도를 투여하면 충분하다.
이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조성물은 2008년 10월 14일부터 현재까지 약 4주간 ALS으로 진단받고 입원중인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한방치료를 시행하여 하기 실시예에서도 규명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ALSFRS-R(ALS Functional Rating Scale-Revised; 일상생활 수행에 필요한 신체적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인증된 척도)은 입원당일 평균 28.42±7.83에서 30일 경과 후 29.08±7.99으로 총 0.67±1.95 증가하였고, MRC-scale은 입원당일 평균 24.79±8.37에서 30일 경과 후 25.34±8.45으로 총 0.56±1.11 증가하였다.
둘째, ALSFRS-R score와 MRC scale(양측 상하지 원위부 및 근위부 근육군의 Medical Research Council Scale) 모두 연수형에서, 발병연령 50대의 환자군에서, 또 현재까지의 유병기간이 24-48개월 사이인 환자군에서 증가폭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부분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에 따르면,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중풍, 노인성 치매, 파킨슨 병, 당뇨, 급만성 통증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1
초오 12g, 대계 20g, 길경 10g, 감초 15g, 동과자 15g, 산사 10g, 모과 10g, 마황 4g, 오공 4g를 1첩으로 하여 20첩(1재)을 기준으로 열수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열수 추출은 상기 20첩(총 2000g)을 물 6000cc와 함께 고려한약 추출기(한국)에 120℃에서 5시간동안 추출하였으며, 수득된 추출액은 포장기(Atomos, 한국)으로 1pack 당 120ml을 포장하여 투약하였다.
투약은 1일 3회 식후 30분경에 차게 하여 복용시켰으며, 1회 분량은 체중 1kg당 2ml씩 환산하여 투여하였다.
실험대상
2008년 10월 14일부터 현재까지 근위축을 동반한 진행성 위약감을 주소로 원광대 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ALS의 진단기준인 “El Escorial criteria(World Federation of Neurology, 1998)"을 만족시키고 양방의 대학 및 종합병원에서 EMG 및 biopsy를 통해 ALS로 진단받은 환자 1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대상례 모두에서 감각 이상, 자율 신경계 이상, 배뇨계 이상, 전 시신경로 장애, 파킨슨 징후, 인지 기능 장애 등은 관찰되지 않았다.
평가기준
1)신체적 기능상태
치료 시작 시점, 그리고 치료 후 15일 간격으로 ALS Functional Rating Scale-Revised (ALSFRS-R)을 측정하였다. ALSFRS-R는 일상생활 수행에 필요한 신체적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인증된 척도로서, 질병의 상태와 장애 정도가 서로 잘 반영되어 임상 시험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ALSFRS-R은 총 12개 문항으로 구기능, 세밀한 운동기능, 대 운동기능(gross motor function), 호흡 기능 부분의 4가지 주요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상하지 근력 변화
치료 시작 시점, 그리고 치료 후 15일 간격으로 양측 상하지 원위부 및 근위부 근육군의 Medical Research Council (MRC) Scale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RC scale에다가 4단계와 5단계 사이의 근력차이를 더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세 가지 단계(4+.4-,5-)를 더 추가하여 9단계 등급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매 측정시마다 총 8부위 근육의 MRC등급을 총합산하여 상하지 근력 변화를 체크하였다.(MRC 5 = 5.00; MRC 5 = 4.67; MRC 4+ = 4.33; MRC 4 = 4.00; MRC 4 = 3.67; MRC 3 = 3.00; MRC 2 = 2.00; MRC 1 = 1.00; MRC 0 = 0.00; maximum score, 40)
통계처리
수집된 자료는 SPSS PC program version 12.1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특성 및 신체적 기능 상태는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2)대상자의 치료 전과 15일, 30일 경과 후의 ALSFRS-R 및 MRC scale의 변화는 paired t-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대상자의 발병연령, 발병형태, 유병기간에 따른 ALSFRS-R, MRC scale의 변화는 ANOVA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1) 환자군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하기표 1에 정리하였다.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 6례(50%), 여자 6례(50%)였으며, 평균 연령은 50세로 41세에서 50세 이하가 7명, 51세 이상이 5명으로 나타났다. 동반질환에 대한 중복 응답 결과, 다른 질환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가 5례였으며 고혈압이 4례, 수술 경험이 있는 경우가 6례였다. 그 중 목디스크 수술 1례, 대장암 수술 1례도 포함되어 있었다.
Variable Item N % Mean±SD
Gender
Male 6 50.0
Female 6 50.0
Age
40~49y 7 58.3 50.00±5
50~59y 5 41.7
Comorbid disease
(double answer)


Hypertension 4 33.3


Diabetes 0 0
Operation 6 50.0
None 5 41.7
상기 표1내 대상자의 질병 특성을 하기표 2에 정리하였다.
Variable Item N % Mean±SD
Age at symptom
30~39y 2 16.7 47.25±6.34
40~49y 6 50.0
50~59y 4 33.3
Site of symptom onset
Upper limb 5 41.7

Lower limb 4 33.3
Bulbar 3 25.0
Period of
disease(months)
24mo 4 33.3 43.42±35.28

24~48mo 5 41.7
48mo 3 25.0
El Escorial
criteria

Definite 10 83.3


Probable 2 16.7
Possible 0 0
Suspected 0 0
상기표 2에서 보듯이, 대상자에게 증상이 처음 발병한 연령은 평균 47.25세로 31세에서 40세 이하가 2명, 41세에서 50세 이하가 6명, 51세 이상이 4명이었다. 첫 침범부위를 사지형(limb-type)과 연수형(bulbar-type)으로 구분할 경우 사지형은 9명, 연수형은 3명으로 사지형이 3배 많았다. 사지형을 다시 상지와 하지로 구분하면, 상지형이 5명, 하지형이 4명으로 상지형이 하지형, 연수형보다 조금 더 많았다. 첫 증상 이후 현재까지의 유병기간은 평균 43.41개월이고, 발병 후 24개월 이내가 4명, 24-48개월 사이가 5명, 48개월 이상이 3명이었다.
따라서, 세계신경학회에서 제시된 ALS 진단기준인 “El Escorial criteria(Zoccolella S, Beghi E, Palagano G, Fraddosio A, et al. Riluzole and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survival: a population-based study in southern Italy.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007;14(3):262-8)에 따라 분류할 때, ALS 확정군(definite-세 부위 이상에서 상위운동원 징후와 하위운동원 징후가 모두 존재), 유사군(probable-최소 두 부위에서 상위운동원 징후 및 하위운동원 징후가 존재하고 전자가 후자보다 상부에 위치)이 각각 10례, 2례였다.
한편, 사지형 9례 중 입원치료 시작 당시 구음 장애, 연하 장애, 구부근 위축 및 속상수축 등의 구부 증상 및 징후가 관찰되지 않은 순수한 사지형이 3례였으며, 나머지 6례에서는 구부 증상과 사지 증상을 동반했다. 3례의 구부형 환자 중 입원치료 시작 당시 하부 운동 신경원 침범 징후 또는 증상이 구부에 국한된 경우는 없었고, 3례 모두 사지 침범이 동반된 상태였다.
위루조형술을 시술받은 환자는 없었고, 호흡근 마비가 진행되어 인공호흡기를 착용한 경우는 1례였다. 12례 대상자 중 가족 중에 비슷한 증상을 보이거나 ALS로 진단 받은 친척이 있는 경우는 없었다.
또한 입원 전부터 장기복용해 오던 약물 중에는 오가피, 청국장환, 홍삼 등의 민간약과 리루졸, 비타민제 등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입원치료 기간 중에도 약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복용하게 하였다. 대상군 12례 중 리루졸 복용군은 7례였고 모두 ALS를 진단 받은 후부터 장기 복용해온 경우였다.
2) 투여 효과
(1) 치료 전후 ALSFRS-R 및 MRC scale 변화
입원치료 당일, 그리고 입원 15일 후, 30일 후에 각각 ALSFRS-R 및 MRC scale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입원당일 ALSFRS-R score(Max score 48)는 평균 28.42±7.83이었고 15일 경과 후 28.50±7.85, 30일 경과 후에 29.08±7.99으로 총 0.67±1.95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하기표 3 참조). 또한 MRC scale(Max score 40)의 변화는 입원당일 24.79±8.37, 15일 경과 후 24.95±8.49, 30일 경과 후 25.34±8.45으로 총 0.56±1.11 증가하였으나 역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하기표 3 참조).
Before teatment After 15days After 30days change W
ALSFRS-R score 28.42±7.83 28.50±7.85 29.08±7.99 0.67±1.95 0.302
MRC scale 24.79±8.37 24.95±8.49 25.34±8.45 0.56±1.11 0.111
W: p value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2) 치료 기간별 ALSFRS-R 및 MRC scale 변화
치료 기간에 따른 ALSFRS-R의 변화는 입원 15일 경과 후에는 입원 전에 비해 0.08±1.35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입원 30일 경과 후에는 15일 경과 후에 비해 0.58±1.53 증가하였으나 역시 유의성은 없었다(하기표 4 참조). MRC scale의 변화는 입원 15일 경과 후에는 입원 전에 비해 0.17±0.80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입원 30일 경과 후에는 15일 경과 후에 비해 0.39±0.85 유의한(p=0.039) 증가를 나타냈다(하기표 4 참조).
Before teatment
-After 15days
W After 15days
-After 30days
W
ALSFRS-R score -0.08±1.35 0.799 -0.58±1.53 0.210
MRC scale -0.17±0.80 0.414 -0.39±0.85 0.039*
W: p value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 p<0.05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3) 발병형태에 따른 ALSFRS-R score 및 MRC scale 변화
ALSFRS-R score에서 연수형(bulbar-onset)은 치료전후 총 1.83±1.30 증가하였고, 사지형(limb-onset)은 총 0.28±1.80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하기표 5 참조). 또한, MRC scale에서 연수형(bulbar-onset)은 치료전후 총 0.77±1.06 증가하였고, 사지형(limb-onset)은 총 0.48±1.18 증가하였으나 역시 유의성은 없었다(하기표 5 참조).
Measurement onset type (n=12) Change p-value
ALSFRS-R score
bulbar-onset(n=3) 1.83±1.30 0.248
limb-onset(n=9) 0.28±1.80
MRC scale
bulbar-onset(n=3) 0.77±1.06 0.716
limb-onset(n=9) 0.48±1.18
P-value was evaluated using one-way Anova test.
(4) 발병연령에 따른 ALSFRS-R score 및 MRC scale 변화
ALSFRS-R score에서 발병연령이 30대인 그룹은 치료전후 총 0.00±0.71 증가하였고, 40대인 그룹은 총 0.08±2.11, 50대인 그룹은 총 1.86±1.84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하기표 6 참조). 또한, MRC scale에서 발병연령이 30대인 그룹은 치료전후 총 0.34±0.00 증가, 40대인 그룹은 총 0.05±0.68 감소, 50대인 그룹은 총 1.58±1.26 증가로 유의성(p=0.049) 있는 차이를 보였다(하기표 6 참조).
Measurement onset age (n=12) Change p-value
ALSFRS-R score

30~39y(n=2) 0.00±0.71 0.345

40~49y(n=6) 0.08±2.11
50~59y(n=4) 1.86±1.84
MRC scale

30~39y(n=2) 0.34±0.00 0.049*

40~49y(n=6) -0.05±0.68
50~59y(n=4) 1.58±1.26
P-value was evaluated using one-way Anova test.
(5) 유병기간에 따른 ALSFRS-R score 및 MRC scale 변화
ALSFRS-R score에서 유병기간이 24개월 이하인 그룹은 치료전후 총 0.25±1.32 증가하였고, 24~48개월 사이인 그룹은 총 1.80±2.28 증가, 48개월 이상인 그룹은 총 0.67±1.26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표 7 참조). 또한, MRC scale에서 유병기간이 24개월 이하인 그룹은 치료전후 총 0.17±1.15 증가, 24~48개월 사이인 그룹은 총 1.06±1.36 증가, 48개월 이상인 그룹은 총 0.23±0.20 증가를 나타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하기표 7 참조).
Measurement disease duration (n=12) Change p-value
ALSFRS-R score

24mo(n=4) 0.25±1.32 0.202

24~48mo(n=5) 1.80±2.28
48mo(n=3) -0.67±1.26
MRC scale

24mo(n=4) 0.17±1.15 0.450

24~48mo(n=5) 1.06±1.36
48mo(n=3) 0.23±0.20
P-value was evaluated using one-way Anova test.
*: p<0.05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상기 관찰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ALSFRS-R score은 12례 중 7례에서 증가하였고, 5례에서 감소하였다. 호전된 경우 2례에서는 3점, 3례에서는 2점, 2례에서는 0.5점이 각각 향상되었다. MRC-scale은 12례 중 7례에서 호전되었고, 3례에서는 치료전후 동일하였으며, 2례에서는 악화되었다. 가장 호전된 경우는 22에서 25로 3점이 증가한 경우였다. 입원당일 ALSFRS-R score(Max score 48)는 평균 28.42±7.83이었고 30일 경과 후에 29.08±7.99으로 총 0.67±1.95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MRC scale(Max score 40)은 입원당일 평균 24.79±8.37이었고 30일 경과 후 25.34±8.45으로 총 0.56±1.11 증가하였으나 역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ALSFRS-R score와 MRC scale 모두 연수형에서, 발병연령이 50대인 환자군에서, 또 현재까지의 유병기간이 24-48개월 사이인 환자군에서 증가폭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부분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개인별 경과를 살펴보면, 1례에서 입원 3주차말에 양하지 근력이 MRC grade 0에서 MRC grade 3으로 호전되어 부축을 받고 보행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고, 또 1례에서는 입원당시 상지 근력이 MRC grade 1로 수의적인 움직임이 어려운 상태였는데, 입원 1주차말부터 MRC grade 3으로 호전되어 팔을 들어올릴 수 있고 글씨연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다른 1례에서는 연하장애가 다소 호전되어 식사시 유동식에서 보통식으로 교체한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ALS 환자들이 기침, 가래 등으로 많이 고생하는데, 한약 복용 후 기침, 가래가 현저하게 줄어든 경우가 4례에서 있었다. 상지근력이 호전된 경우가 5례였고, 하지근력의 호전은 4례에서 관찰되었다. 구음장애는 1례에서 다소 호전되었고, 연하장애는 2례에서 완화되었다.

Claims (4)

  1. 조성물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초오 0.5 내지 20 중량부, 대계 1 내지 20 중량부, 동과자 1내지 15중량부, 마황 1내지 6중량부, 길경 1내지 10중량부, 산사 1내지 15 중량부, 감초 1 내지 20중량부, 유근백피 1내지 15중량부, 건칠 1내지 10중량부, 유황 1내지 10중량부, 오공 1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를 개선하고 지연시켜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중풍, 노인성 치매, 파킨슨 병, 당뇨, 급만성 통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각 조성을 분말 타입으로 혼합한 다음 120℃에서 5시간동안 열수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각 조성을 분말 타입으로 혼합한 다음 에탄올로 추출하고 동결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은 체중 1kg당 2ml의 함량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90039554A 2009-05-07 2009-05-07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KR101034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54A KR101034596B1 (ko) 2009-05-07 2009-05-07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54A KR101034596B1 (ko) 2009-05-07 2009-05-07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51A KR20100120751A (ko) 2010-11-17
KR101034596B1 true KR101034596B1 (ko) 2011-05-12

Family

ID=4340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554A KR101034596B1 (ko) 2009-05-07 2009-05-07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5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646A (ko) 2014-11-27 2016-06-07 이명지 통증완화를 위한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WO2017003086A1 (ko) * 2015-06-30 2017-01-05 (주)아모레퍼시픽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질환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US20180193396A1 (en) * 2015-05-26 2018-07-12 Newtree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KR101908650B1 (ko) 2017-08-04 2018-10-16 주식회사 엘큐바이오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2453A (ko) 2018-11-26 2020-06-04 영월고소애협동조합 고소애를 포함하는 뼈 성장 및 근섬유 재생 효과를 갖는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285B1 (ko) * 2011-10-12 2013-09-24 심재종 산청목, 오리목, 포공영, 대계, 창이자, 갈화, 지구목 및 갈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37582B1 (ko) * 2013-01-25 2014-09-0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오공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신경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CN108703998A (zh) * 2018-08-29 2018-10-26 楚雄齐苏堂中医门诊部 一种醒脑开窍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122408B1 (ko) * 2018-12-14 2020-06-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44272A (ko) * 2022-04-07 2023-10-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624A (ko) * 2001-06-15 2002-12-28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KR20050021026A (ko) * 2001-06-15 2005-03-07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계의 이상으로부터발생하는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090016883A (ko) * 2007-08-13 2009-02-1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624A (ko) * 2001-06-15 2002-12-28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KR20050021026A (ko) * 2001-06-15 2005-03-07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계의 이상으로부터발생하는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090016883A (ko) * 2007-08-13 2009-02-1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향약 대사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646A (ko) 2014-11-27 2016-06-07 이명지 통증완화를 위한 신명주사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명주사제
US20180193396A1 (en) * 2015-05-26 2018-07-12 Newtree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US10960040B2 (en) * 2015-05-26 2021-03-30 Newtree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WO2017003086A1 (ko) * 2015-06-30 2017-01-05 (주)아모레퍼시픽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질환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US10898535B2 (en) 2015-06-30 2021-01-26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preventing myopathy, containing bean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908650B1 (ko) 2017-08-04 2018-10-16 주식회사 엘큐바이오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2453A (ko) 2018-11-26 2020-06-04 영월고소애협동조합 고소애를 포함하는 뼈 성장 및 근섬유 재생 효과를 갖는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51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596B1 (ko)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Bartram Bartram's encyclopedia of herbal medicine
Singh et al. Phytochemistry, traditional uses and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Amla (Phyllanthus emblica): The Sustainer
Said et al. Maintaining a physiological blood glucose level with ‘glucolevel’, a combination of four anti-diabetes plants used in the traditional Arab herbal medicine
KR20120084723A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Priya et al. Phyllanthus emblica Linn.(Amla)—a natural gift to humans: an overview
CN102613566B (zh) 一种用于润肠通便的保健品及其制备方法
KR20170142756A (ko) 굼벵이를 포함하는 간 및 혈액순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825941B (zh) 一种治疗脚气的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Hoffmann Easy breathing: natural treatments for asthma, colds, flu, coughs, allergies, and sinusitis
CN103263654B (zh) 一种治疗大叶性肺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Rimple et al. Poly pharmacological effects of green blood therapy: An update
CN101249186A (zh) 一种兼治外伤、风湿痛、牙痛的中药油剂及其生产方法
CN110063977B (zh) 一种党参、沙棘复合冲剂及其应用
CN102824590B (zh) 一种治疗呼吸作痛型闭合性骨折的中药洗剂制备方法
CN106563116A (zh) 用于平稳戒烟的药物及方法和装置
CN102793868B (zh) 一种治疗喘促型闭合性骨折的中药洗剂制备方法
CN106377716A (zh) 一种治疗痢疾的中药组合物
CN110420292A (zh) 一种治疗头痛的中药及其制备方法
World Health Organization Traditional herbal remedies for primary health care
CN110090285A (zh) 一种治疗坐骨神经痛的膏药及其制备方法
CN108186912A (zh) 一种治疗胆结石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9248291A (zh) 一种用于解毒调理的中药组合物
Shukla Neem Benefits, Uses and Side Effects
CN100406035C (zh) 一种治疗腰椎间盘突出症的中药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