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624A -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624A
KR20020095624A KR1020010033777A KR20010033777A KR20020095624A KR 20020095624 A KR20020095624 A KR 20020095624A KR 1020010033777 A KR1020010033777 A KR 1020010033777A KR 20010033777 A KR20010033777 A KR 20010033777A KR 20020095624 A KR20020095624 A KR 20020095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cheonma
bell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섭
유시용
김성기
허정희
정혜광
정영철
강종성
김관호
서종권
노성환
이영춘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Priority to KR102001003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5624A/ko
Publication of KR2002009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6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경전달물질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함과 동시에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mentia comprising old platycodon extracts}
본 발명은 장생도라지(長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도라지(길경Platycodon grandiflorumA. DC)는 배농, 거담, 기관지염, 천식 등의 호흡기계질환에 사용되어온 생약재로서, 도라지가 배합되어 있는 한방 처방의 수가 동의보감에 273건, 방약합편에 49건에 이를 정도로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도라지의 주요 약리성분은 테르펜계 사포닌이며, 이 약리성분은 동물실험을 통하여 진해, 거담작용, 중추신경억제작용(진정, 진통, 해열효과), 급·만성 염증에 대한 항염증작용, 항궤양 및 위액분비억제작용,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낮추는 항콜린작용, 혈당강하작용,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Chem. Pharm. Bull.,20, 1952(1972),Chem. Pharm. Bull.,23, 2965(1975),J. Chem. Soc., Perkin trans I, 661(1984),Sogoigaku,3, 1(1951),J. Pharm. Soc. Kor., 19, 164(1975)).
이외에도 도라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곰팡이의 아프라톡신을 억제하며, 이눌린 분획은 식균작용과 고형암 및 복수암에 대한 강력한 항종양효능이 있고, 40% 도라지엑기스는 알코올흡수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ycopathologia,66,16(1979),Shoyakugaku Zasshi,40, 367(1986),Shoyakugaku Zasshi, 40, 375(1986), JP60-89427(1985), JP平3-264534(1991)).
이러한 도라지의 다양한 약리작용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재배에 어려움이 있어 개발이 쉽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20년 이상의 도라지를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다량 생산이 가능해졌기에(이성호, "다년생도라지재배법", 대한민국 특허 제 045731호) 이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장생도라지에 관한 연구는 항당뇨효과에 관한 실험(J. Korean Soc. Food Sci. Nutr.,25, 986(1996)), 고지혈증에 관한 실험(J. Nur. Sci. Vitaminol, 41, 485(1995)) 등이 있으며, 항암, 면역활성에 대한 연구 등이 계속되고 있다.
또한 현재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는 도라지가 함유된 30여종의 복합제제가 시판되고 있으며, 오약순기산, 통기환, 순기원 등은 중풍, 관절염 등의 치료제로서, 안심원과 천왕보심단은 고혈압, 뇌질환 등의 치료제로서, 자모연조 엑기스는 기관지염, 폐결핵, 늑막염 등의 치료제로서, 만옥단은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등의 치료제로서 각각 이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도라지를 함유한 한방제제는 천식, 거담, 배농, 진해 등과 같은 기관지 관련 질병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치매란 의식이 청명한 상태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뇌질환으로 보통 만성, 또는 진행성 뇌질환에 의해서 발생되고 기억, 사고 이해, 계산, 학습, 언어 판단 등 다수의 고위대뇌기능에 장애가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이러한 치매는 인간의 사망원인에서 관상동맥질환, 암 다음으로 세계 3위에 해당될 정도로 흔한 질병으로 전 세계적으로는 2천5백만명 정도가 이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1960년에는 전체인구 2,500만명 중 노인인구가 72만명으로 2.9%에 불과하던 것이 1990년에는 약 214만여명(5.0%), 1995년에는 약 250만여명(5.6%)로 증가하였고 2000년 이후에는 전체 인구에 7∼8%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치매 유발 질환에는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 노인성치매, 뇌혈관성치매, Pick병, Creutzfeldt-jakob병 및 Parkinson병 등이 있고, 치료 가능한 경우로는 우울성 가성치매, 갑상선기능저하증, 정상압뇌수종, 당뇨병, 약물중독, 빈혈 그리고 비타민결핍증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치매가 있다. 노인성치매는 구미에서는 성인치매의 50∼60%를 차지하는데, 심한 미만성 뇌위축과 뇌세포의 소실로 인하여 기억력과 지능이 감퇴되고 추상적 사고 판단 및 고등대뇌피질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며 때로는 성격장애, 불면, 망상, 행동장애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병증으로 전반적인 고등정신기능의 장애와 인격의 황폐화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또한 뇌졸중 후나 혹은 뇌동맥경화에 의해 광범위한 뇌병변이 발생함으로 유발되는 뇌혈관성치매는 구미에 비해 동양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발병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경악전서(景岳全書)에서 치애라하여 최초로 치매의 증상에 관하여 언급하였으며, 그 이후 석실비록(石室秘錄), 변증기문(辨證奇聞)등에서 이를 태병이라 칭하고 그 증상 및 치료법에 관하여 비교적 자세하게 기록하였는데 그 이전에는 전광증(癲狂症), 건망증(健忘症), 울증(鬱症), 담습(痰濕), 허로(虛勞)등 치매와 유사한 서로 다른 병증에 포함하여 치매를 파악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치매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몇 가지 추정되는 원인으로는 대뇌 기저부의 콜린(choline)성 신경세포의 손상, 신경전달물질의 감소, 염증 반응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단백질 축적, 산화성 스트레스 등이라는 보고가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원인에 기인한 콜린성 약물 및 여러가지 치료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용체 특이성이 높고 반감기가 길며 투여방법이 간단한 도네페질(donepezil)이 개발되어 유럽과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콜린성 신경세포 외에도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이나 뇌피질위축 등이 보고됨에 따라 한 가지 신경전달 물질이나 뇌의 일부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비특이적인 광범위한 뇌영역과 신경전달물질을 포함시키는 콜린성/세로토닌(serotonine)성, 콜린성/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성 약물의 병합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로부터 가장 바람직한 치매 치료제는 뇌세포의 파괴와 노화를 지연시켜주고, 인지 기능을 회복시키며, 뇌세포를 보호하며 뇌세포의 재생을촉진하는 약물이어야 하지만 모두 충족시켜 주는 약은 현재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퇴행성 뇌질환인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에 안전하고 독성이 없으며 다양한 약리 작용을 하는 장생도라지 추출물이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과다생성을 억제하여 콜린성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함과 동시에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감소를 억제함으로써 인지기능과 학습능력을 높혀줄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인 치매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장생도라지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한 수동회피 학습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는 활성성분으로서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치매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허용가능한 생약재 또는 생약재 추출믈을 추가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생도라지 추출물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장생도라지 추출물은 통상 열수 추출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추출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허용가능한 생약재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생도라지 분말은 수분의 함량이 5% 이하가 되도록 장생도라지를 건조하고 이를 분쇄한 다음, 입자 크기가 0.6㎜ 이하인 것을 선별하여 사용된다. 열수추출물은 장생도라지 분말에 약 5∼10 배의 물을 첨가하고 90∼100℃의 온도에서 4∼6시간동안 2회 추출하여 얻은 여과액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허용가능한 생약재 또는 생약재 추출물을 선택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한다. 유기용매 추출물은 장생도라지 분말에 약3배의 유기용매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회 추출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사용하거나 허용가능한 생약재 또는 생약재 추출물을 선택적으로 첨가한 것을 사용한다. 유기 용매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생약재로는 이 분야에서 사용하는 것은 모두 가능하며, 예를들면, 고본, 천마, 택사, 천궁, 황련, 황금, 복령, 당귀, 작약, 백출, 황백, 치자, 감초, 진피, 반하, 조구등, 시호, 지실, 대황, 도인, 망초, 감초, 인삼, 단상, 생강, 맥문동, 천문동, 원지, 석창포 등이다.
본 발명의 장생도라지 추출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 활성 성분인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활성 성분에 대한 비히클, 부형제 또는 메디움으로 작용하는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의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새세이, 엘릭시르, 현탁제, 유제, 용액제, 시럽제,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주사제, 멸균 분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포유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얄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10 내지 1,00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 체중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건강상태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장생도라지 추출물의 제조
장생도라지 분말 0.2㎏에 증류수 2ℓ를 가하고 90∼95℃에서 5시간동안 2회추출한 후 여과해서 장생도라지 추출물 100 g 얻었다. 또한 이렇게 얻은 장생도라지 추출물에 표 1a, 1b 및 1c와 같이 고본, 천마, 시호, 당귀, 도인, 계지, 대황, 감초, 천궁, 진피 등과 같은 허용가능한 생약재 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생약재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표에서 각 물질의 단위는 g이다.
AL-1 AL-2 AL-3 AL-4 AL-5 AL-6 AL-7 AL-8 AL-9
장길 20 장길 20 장길 20 장길 20 장길 20 장길 20 장길 20 장길 20 장길 20
고본 3 고본 3 고본 3 고본 3 고본 3 고본 3 고본 3 고본 3
천마 3 천마 3 천마 3 천마 3 천마 3 천마 3 천마 3 천마 3
택사 6 황련 5 시호 2 감국 3 도인 5 시호 16 황련 3 계지 3
천궁 6 황금 5 당귀 3 맥문동 3 계지 4 반하 4 황금 3 작약 3
당귀 3 황백 5 창출 4 반하 3 대황 1.5 황금 10 대황 3 복령 3
복령 3 치자 5 복령 4 진피 3 감초 1.5 작약 10 도인 3
백출 3 감초 1.5 복령 3 망초 0.9 대조 2 목단피 3
작약 10 천궁 3 인삼 2 지실 6 단삼 5
조구등 3 조구등 3 생강 1 잇꽃 3
진피 3 생강 1 대황 4
반하 5 감초 1
방풍 2
AL-10 AL-11 AL-12 AL-13 AL-14 AL-15 AL-16 AL-17
장길 20 장길 20 백복신 4 숙지황 12 장길 20 황정 4 장길 20 장길 20
고본 3 고본 3 원지 4 산약 6 백복신 4 산약 4 백복령 20 고본 3
천마 3 천마 3 석창포 4 산수유 6
작약 3 당귀 3 백작약 6 원지 4 연자육 4 석창포 3 천마 3
지황 3 작약 3 천궁 6 석창포 4 용골 4 하수오 6 택사 6
당귀 3 시호 3 당귀 6
천궁 3 백출 3 백복신 5 원지 4 원지 3 천궁 6
복령 3 택사 5 지골피 4 산약 9 당귀 3
박하 1 백출 4 구기자 4 황련 6 복령 3
목단피 2 용안육 4 석창포 4 천마 3 백출 3
치자 2 석창포 4 주충 4 고본 3 작약 10
감초 2 맥문동 4 우슬 4 저령 6 황련 5
생강 1 황기 4 숙지황 4 계피 1.5 산약 4
천문동 4 흑인자 4 구자 5
천마 4 저령 10
백자인 3 황백 5
맥아 3
토사자 6
당귀신 6
파극 6
인삼 6
Al-18 AL-19 AL-20 AL-21 AL-22
장길 20 장길 20 장길 20 장길 20 장길 20
감초 6.7 원지 6 원지 9 황정 4 황정 4
결명자 5.6 천마 4 황련 5 산약 8 산약 8
구기자 5.6 택사 6 산약 10 연자육 4 연자육 4
황기 5.6 천궁 6 구자 5 용골 4 용골 4
지모 7.8 당귀 6 당귀 10 원지 8 원지 10
독활 5.6 복령 3 복령 10 지골피 4 지골피 4
방풍 5.6 백출 3 저령 10 구기자 4 구기자 4
계지 5.6 작약 5 석송자 10 석창포 8 석창포 8
백출 5.6 황련 5 목단피 8 주충 4 주충 4
인진 1.1 산약 5 은행잎 10 우슬 4 우슬 4
두충 5.6 구자 5 숙지황 4 숙지황 4
산약 22 저령 10 흑인자 4 흑인자 4
홍화자 7.2 석송자 10 천마 8 천마 12
삼백초 5 목단피 8 백자인 3 백자인 3
백화사 1.7 은행잎 10 맥아 3 맥아 3
토사자 6 토사자 6
당귀신 6 당귀신 10
파극 6 파극 6
인삼 6 인삼 6
해송 4 해송 8
고본 4 고본 4
실시예 2 : 실시예1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신경전달물질 감소 억제 효과 및 신경세포 손상 억제 효과
1. 실험원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신경전달물질의 감소를 억제시키는지 여부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아세틸콜린의 감소를 억제하는 무스카린과 관련이 있는 무스카린성 수용체 서브타입 1(M1)에 대한 수용체-리간드 상호관계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지의 여부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과다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NMDA와 관련이 있는 NMDA 수용체(글리신 사이트)에 대한수용체-리간드 상호관계를 통해 확인하였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부착된 리간드를 상기 수용체와 반응시킨 후 유리섬유 필터(glass fiber filter)로 여과하는 과정을 거쳐 결합하지 않은 여분의 리간드를 제거한 뒤 세척된 필터 디스크에 잔존하는 동위원소의 양을 측정하여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의 결합반응을 정량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효과를 결정하였다.
2. 수용체
본 실험에 사용하는 수용체는 각 조성물의 여러 서브타입에 대한 상호작용을 제외시키기 위해 CHO(Chinese Hamster Ovary) 세포에서 발현된 인간 재조합 무스카린성 수용체 서브타입 1(M1)을 사용하였으며 NMDA 수용체 중 글리신 결합 사이트로는 쥐의 대뇌에서 분리한 수용체 분획을 사용하였다.
쥐의 대뇌에서 수용체를 분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쥐의 전뇌를 적출하여 잘게 잘라 10배 용량의 차가운 수크로오스 용액(0.32mM)을 가하였다. 그런 다음 테프론-글래스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균질화(5 스트로크)시킨 후 1000g(10분, 4℃, 베크만 J2-21 M/E 원심분리기)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고 얻어진 상등액을 20000g (20분, 4℃)으로 원심분리하여 침전을 얻었다. 얻어진 침전에 20배 용량의 차가운 증류수를 가하여 브링크만 폴리트론 호모게나이저(Brinkman Polytron Homogenizer)로 균질화(세팅 번호 5, 30초동안)시킨 후 4℃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8000g(20분, 4℃)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과 버피 업퍼코트를 얻었다. 그런 다음 39800g (25분, 4℃, 베크만 L8-M 초원심분리기)으로 원심분리하여 침전을 얻고 이를 -70℃에서 18시간 이상 냉동시겼다. 그런 다음, 상온에서 10분간 녹인 다음 20배 용량의 0.04% 트리톤 X-100을 함유한 50mM 트리스-아세테이트 완충액(pH 7.1)에 균질화시키고 이를 37℃에서 20분간 교반하고 39800g(20분, 4℃)으로 원심분리하여침전을 얻었다. 얻어진 침전을 20배 용량의 50mM 트리스-아세테이트 완충액(pH 7.1)로 3번 더 세척(균질화시킨 후 원심분리)한 후 트리스-아세테이트 완충액에 현탁하여 바이오-래드 시약을 이용하여 브랫퍼드(bradford)의 방법에 따라 단백질 농도를 측정한 다음 단백질 농도를 1㎎/㎖로 분주하여 -70℃에서 보관하였다.
3. 실험방법
-70℃에 냉동 보관된 수용체 세포 분획을 각각의 실험을 위한 완충액으로 현탁시키고 단백질 함량을 바이오-래드 DC 단백질 분석 키트로 확인한 후 각 수용체마다 최적의 농도(글리신사이트에 대해서는 5㎍/well 단백질농도, 무스카린성 수용체 서브타입 1(M1)에 대해서는 16㎍/well 단백질농도)로 조정하였다. 모든 샘플은 중복 실험하였으며 실험에 필요한 완충액으로는 50mM 트리스-아세테이트(pH 7.1) 100㎕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하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최종 부피는 0.25㎖로 하였는데 50㎕의 핫-리간드(방사선 표지 리간드)와 10㎕의 시험약물을 포함한다(표 2 및 표 3 참조). 100㎕의 수용체 현탁액을 첨가하고 27℃에서 30 내지 60분간 반응시켰다. 1단계 약효 검색에서는 두 농도(1μM, 10μM)에 대하여 약물의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을 검색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Wallac glass fiber filtermat GF/C(제작사: Wallac, P.O. Boc 10, FIN-20101 Tutku, Finland)를 이용하여 Inotech cell harvester system으로 차가운 트리스 완충액을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반응을 종결시켰다. 그 다음 수용체에 결합된 동위원소를 분리한 후 세척하고 필터매트에 잔류하는 동위원소의 양을 마이크포베타-카운터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4로 나타내었다.
NMDA 수용체 결합 분석(글리신 결합 사이트)
최종 부피 0.25㎖
막 투여량(membrane dose) 50㎕/well
분석 방법 여과(GF/C)
냉-리간드(cold-ligand:방사선표지가 되지 않은 리간드) 1mM 글리신 (50㎕/well)
방사선동위원소 투여량 139,691.7 DPM/well
핫-리간드(hot-ligand) 4nM [3H]MDL 105,519
비히클 50mM 트리스-아세테이트 완충액(pH 7.1) 100㎕
무스카린성 수용체 결합 분석(M1)
최종 부피 0.25㎖
막 투여량(membrane dose) 16㎕/well
분석 방법 여과(GF/C)
냉-리간드 5μM 아트로핀 (50㎕/well)
방사선동위원소 투여랑 24,605 DPM/well
핫-리간드 0.5nM [3H]스코폴아민(50㎕/well)
비히클 50mM 트리스-HCl 완충액(pH 7.4) 100㎕
조성물 글리신IC50(㎎) 무스카린0.5(㎎/㎖), % 조성물 글리신IC50(㎎) 무스카린0.5(㎎), %
AL-1 0.051 <0.0 AL-12 0.055 <0.0
AL-2 0.015 <0.0 AL-13 0.050 <0.0
Al-3 0.052 87.39% AL-14 0.056 <0.0
AL-4 0.024 <0.0 AL-15 0.056 43.0
AL-5 0.051 <0.0 AL-16 0.057 69.4
AL-6 0.031 <0.0 AL-17 0.056 71.2
AL-7 0.041 <0.0 AL-18 0.048 40.9
AL-8 0.033 18.49% AL-19 0.048 52.2
AL-9 0.025 <0.0 AL-20 0.050 25.3
AL-10 0.039 <0.0 AL-21 0.038 39.8
AL-11 0.044 <0.0 AL-22 0.041 40.8
위의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글리신 결합 사이트의 억제 분석 실험에서 15 내지 50㎍의 농도에서 IC50을 나타내었고,스카린 수용체 결합 억제 실험에서는 AL-3, AL-16, AL-17, AL-19는 0.5㎎/㎖의 농도에서 50%이상의 결합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L-15, AL-18, AL-21 및 AL-22 역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글리신 결합사이트와 무스카린 결합사이트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과다 생성으로 인한 뇌신경세포의 파괴를 억제함과 동시에 뇌에서의 콜린성물질의 감소를 억제함으로써 인지기능의 감퇴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실시예 3: 수동회피실험
1. 실험방법
18∼20g의 수컷생쥐를 22±1℃가 유지되는 사육실에서 통풍장치를 가동하면서 12시간을 주기로 명암을 조절하면서 7일간 사육하였다. 사육시에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했으며 3일 이상 순화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트윈(Tween 80(Polyoxyethylenesorbitan monooleate):시그마)에 녹인 후 250㎎/㎏의 용량으로 매일 1회 일주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양성 조절군으로는 타크린(Tacrine(9-amino-1,2,3,4-테트라하이드로아크리딘):시그마) 2.5㎎/㎏ 이용하였고 대조군으로는 5% 트윈을 사용하였다.
수동회피실험은 콜롬부스 인스트루먼트사의 PACS-30 셔틀 박스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박스의 크기는 48㎝×23㎝×27㎝이다. 수동회피실험은 학습(learning)과 실험(testing)으로 나누어 2일 연속(간격: 24시간)으로 동일시간 행하였다.
(1) 학습 시험
마지막 약물 투여 30분 후에 에탄올(50% w/v)을 3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고, 에탄올 투여 1시간 후에 쥐를 조명을 비출 밝은 쪽 구획에 놓고 30초의 탐색시간 후 길로틴문(guillotin door)이 열려 어두운 구획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였다. 이때 길로틴문이 열린 후 120초 이내에 어두운 쪽으로 들어가지 않는 쥐는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길로틴문이 열린 후 쥐가 어두운 쪽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자동적으로 측정하였다. 일단 쥐가 어두운 쪽으로 들어가면 길로틴문이 닫히고 0.4㎃의 스크램블된 충격이 5초동안 그리드 바닥을 통해 흐르게 되고 쥐는 이것을 기억하게 된다.
(2) 실험
학습 시험이 끝난지 24시간 후에 시행하였다. 쥐가 30초의 탐색시간 후 길로틴문이 열리고 어두운 쪽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도달시간(latency time)을 300초까지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도달시간이 길수록 수동회피의 학습과 기억이 좋음을 나타낸다.
<측정조건>
탐구 시간 : 30 초
최대 시험 시간 학습 : 120초
실험: 300초
CS(conditioned stimuli) 광도 (경고음 또는 빛) : 10
UCS(unconditioned stimuli) 그리드 (전기쇼크) : 0.4㎃
UCS 그리드 시간 : 5초
2. 실험 결과
표 5 및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억력 증강 효과가 뚜렷하였다.
실험 물질 도달시간(초)
대조구 20
타크린 31
AL-01 96
AL-02 101
AL-04 236
AL-06 236
AL-14 257
AL-15 200
AL-16 26
AL-17 131
AL-18 31
AL-19 233
AL-20 194
AL-21 13
AL-22 34
상술한 바와 같이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과다 생성으로 인한 뇌신경세포의 파괴를 억제함과 동시에 뇌에서의 콜린성물질의 감소를 억제함으로써 인지기능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퇴행성 뇌질환인 치매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

  1. 장생도라지 추출물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서, 허용가능한 생약재 또는 생약재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10033777A 2001-06-15 2001-06-15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KR20020095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777A KR20020095624A (ko) 2001-06-15 2001-06-15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777A KR20020095624A (ko) 2001-06-15 2001-06-15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624A true KR20020095624A (ko) 2002-12-28

Family

ID=2770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777A KR20020095624A (ko) 2001-06-15 2001-06-15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56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96B1 (ko) * 2009-05-07 2011-05-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96B1 (ko) * 2009-05-07 2011-05-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0104B1 (ko) 노인성 치매증 치료용 조성물 및 치료방법
Moriasi et al. In vivo cognitive-enhancing, ex vivo malondialdehyde-lowering activities and phytochemical profiles of aqueous and methanolic stem bark extracts of Piliostigma thonningii (schum.)
Bafna et al.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the alkaloidal fraction of Cissampelos pareira linn.
Dorsch et al. Antiasthmatic effects of Picrorhiza kurroa: androsin prevents allergen-and PAF-induced bronchial obstruction in guinea pigs
KR100495319B1 (ko)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기억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
CN1899341B (zh) 美洲一枝黄花总黄酮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0456418B1 (ko) 글리신 결합 저해활성을 증진시키는 식품소재, 이를 이용한 치매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소재 및 이를 이용한 식품
JP2007230938A (ja) アルツハイマー型記憶障害の予防・改善剤
Wagner Natural products chemistry and phytomedicine in the 21st century: new developments and challenges
CN105943888B (zh) 一种改善记忆和轻度认知障碍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9990085202A (ko) 치매병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CN102233009B (zh) 一种促进神经再生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aur et al. Anxiolytic potential of methanol extract from Ageratum conyzoides Linn Leaves
KR20020095624A (ko)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약제학적 조성물
CN107773580B (zh) 用于预防或治疗痴呆症或神经退行性疾病的生药组合物
CN106236792B (zh) 苦丁茶提取物的制备及抗阿尔兹海默症用途
KR100538476B1 (ko) 세신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조성물
CN1451384A (zh) 知母总皂苷用于制备防治脑卒中药物的用途
US7083811B2 (en) Herb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mentia
Parameshwari et al. Nootrop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Alangium salvifolium leaves on Scopolamine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Ratsimamanga‐Urverg et al. In vitro antimalarial activity, chloroquine potentiating effect and cytotoxicity of alkaloids of Hernandia voyronii Jum.(Hernandiaceae)
AU2002239113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siasari radix extracts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Douho Djimeli et al. Antisecretory and spasmolytic activities of aqueous and ethanolic stem bark extracts of Nauclea diderrichii in Wistar rats
Chilaka et al. Evaluation of anxiolytic potential of ethanol root extract and fractions of Pterocarpus mildbraedii in mice
Altaf et al. Natural Inhibition of β-secretase in Alzheimer’s Disease by Medicinal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