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272A -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272A
KR20230144272A KR1020220043333A KR20220043333A KR20230144272A KR 20230144272 A KR20230144272 A KR 20230144272A KR 1020220043333 A KR1020220043333 A KR 1020220043333A KR 20220043333 A KR20220043333 A KR 20220043333A KR 20230144272 A KR20230144272 A KR 20230144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thma
extract
composition
preventing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영
전우영
김진희
손은진
방지혜
진성은
정수진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4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272A/ko
Priority to PCT/KR2023/003345 priority patent/WO2023195644A1/ko
Publication of KR2023014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2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털야광나무 추출물은 천식 동물모델에서 염증 세포 수를 감소시키고, 천식 동물모델의 BALF(기관지폐포세척액) 및 혈장에서 IgE 함량을 감소시키고, 천식 동물모델의 BALF 내 IL-13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폐 조직 내 염증 세포들의 침윤 또는 기관지 재형성으로 인한 점액분비 세포의 과형성 및 점액의 양을 감소시키며, 탈과립이 유도된 비만세포의 β-헥소사미니다아제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천식의 치료제, 천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ong or treating asthma comprising Malus baccata var. mandshuric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식이란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로, 때때로 기관지가 좁아져서 숨이 차고 가랑가랑하는 숨소리가 들리면서 기침을 심하게 하는 증상을 나타내는 병을 말하는데,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이다. 이런 증상들은 반복적으로, 발작적으로 나타나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합쳐져서 나타난다. 공기가 흐르는 길인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 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기관지가 막혀서 숨이 차게 된다.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합쳐져서 생기는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인 천식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알레르기 체질과 주위의 천식유발 인자들이 상호 작용을 일으켜 면역체계에 혼란이 생기면서 발생하게 된다. 알레르기란 정상에서 벗어난 과민반응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상인에게는 증상이 유발되지 않지만 알레르기 환자에게는 과민반응으로 여러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천식을 유발하는 원인 물질을 알레르겐(allergen)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알레르겐은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동물 털이나 비듬, 바퀴벌레, 식품, 약물 등이다. 천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악화 요인에는 감기, 담배 연기와 실내오염, 대기오염, 식품첨가제, 운동 등 신체적 활동, 기후 변화, 황사, 스트레스 등이 있다. 유전적 요인 못지않게 성장하면서 접하게 되는 환경적 요인도 중요하므로 알레르기 병력을 가진 부모들은 자녀에게 천식이 생기지 않도록 환경 관리에도 노력하여야 한다.
호흡기계와 관련된 난치성 면역질환으로 알려져 있는 천식은 그 치료를 위한 다양한 방법과 치료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각 치료제의 장단점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천연물 소재를 이용하여 천식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천식과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2072907호에 더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또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2346724호에 바늘꽃 추출물을 이용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해 전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털야광나무 추출물의 항천식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털야광나무 추출물은 천식 동물모델에서 염증 세포 수를 감소시키고, 천식 동물모델의 BALF(기관지폐포세척액) 및 혈장에서 IgE 함량을 감소시키고, 천식 동물모델의 BALF 내 IL-13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폐 조직 내 염증 세포들의 침윤 또는 기관지 재형성으로 인한 점액분비 세포의 과형성 및 점액의 양을 감소시키며, 탈과립이 유도된 비만세포에서의 β-헥소사미니다아제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털야광나무 추출물 투여에 의한 천식 동물모델에서, 각 조직의 무게 변화를 각 개체의 체중에 대한 상대 값(relative units)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NC는 천식을 유도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이고, HDM은 집먼지진드기(HDM, house dust mite)를 투여하여 천식을 유도한 군이고, DEX는 천식 유도 후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이다.
도 2는 천식 동물모델에서 털야광나무 추출물 투여에 의한 염증 세포수의 변화(A) 및 이를 염색한 현미경 사진(B)이다. NC는 천식을 유도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이고, HDM은 집먼지진드기(HDM, house dust mite)를 투여하여 천식을 유도한 군이고, DEX는 천식 유도 후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이다. ##은 NC 대비 HDM 처리군의 염증 세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1이다. *, **은 HDM 단독 처리군 대비 HDM과 DEX, HDM과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함께 처리군의 염증 세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5, **은 p<0.01이다.
도 3은 천식 동물모델의 BALF(기관지폐포세척액) 및 혈장에서 본 발명의 털야광나무 추출물 투여에 의한 IgE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NC는 천식을 유도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이고, HDM은 집먼지진드기(HDM, house dust mite)를 투여하여 천식을 유도한 군이고, DEX는 천식 유도 후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이다. ##은 NC 대비 HDM 처리군의 IgE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1이다. *, **은 HDM 단독 처리군 대비 HDM과 DEX, HDM과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함께 처리군의 IgE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5, **은 p<0.01이다.
도 4는 천식 동물모델의 BALF(기관지폐포세척액) 내 IL-13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NC는 천식을 유도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이고, HDM은 집먼지진드기(HDM, house dust mite)를 투여하여 천식을 유도한 군이고, DEX는 천식 유도 후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이다. ##은 NC 대비 HDM 처리군의 IL-13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1이다. *, **은 HDM 단독 처리군 대비 HDM과 DEX, HDM과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함께 처리군의 IL-13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5, **은 p<0.01이다.
도 5는 폐 조직의 H&E 염색 결과이다. NC는 천식을 유도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이고, HDM은 집먼지진드기(HDM, house dust mite)를 투여하여 천식을 유도한 군이다.
도 6은 폐 조직의 PAS 염색 결과이다. NC는 천식을 유도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이고, HDM은 집먼지진드기(HDM, house dust mite)를 투여하여 천식을 유도한 군이다.
도 7은 털야광나무 추출물 처리에 의한 세포 배양액 내의 β-헥소사미니다아제(hexosaminidase)의 활성을 RBL-2h3(rat basophilic leukemia) 세포에서 확인한 결과로, PMA와 A23187을 처리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유도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털야광나무 추출물의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천식은 집먼지진드기(house dust mite)에 의해 유발된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량의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또는 음료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체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 음료로 사용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텍스트린, 사이클로텐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재료 및 방법]
1. 털야광나무 추출물
본 발명의 시료인 털야광나무 추출물은 한국식물추출물은행(Korea Plant Extract Bank)으로부터 99%(v/v)의 메탄올(HPLC grade)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2. 천식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유효성 검증
1) 실험동물 및 천식 유도
체중이 약 15~18g의 6주령 SPF(specific pathogen free) female BALB/c 마우스를 ㈜오리엔트바이오에서 공급받아, 항온항습 환경의 동물실[실내온도 22 ±3℃, 습도 55 ±15%, 12시간-12시간 (light-dark cycle)]내에서 고형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간 동물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순화 과정), 실험에 사용하였다. 3주 간격으로 25㎍ 집먼지진드기(HDM, house dust mite)를 현탁한 인산완충용액(pH 7.4)과 함께 1mg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 보조제(adjuvant)를 1회/주 복강내로 주입하여 감작시킨 후, 2~3일 간격으로 25㎍ 집먼지진드기를 현탁한 수용액을 총 3회 비강내로 점적하여 노출시켰다. 음성대조군으로 알레르겐을 노출시키지 않은 정상군, 대조군으로 알레르겐을 노출시킨 천식 유도군, 양성대조군으로 덱사메타손(Dex, 1mg/kg) 투여군, 시험군으로서 털야광나무 추출물(KPM036-092, 50 및 100mg/kg) 투여군을 설정하였으며, 7일 동안 항원 투여하기 1시간 전에 경구 투여하여 실험하였다.
2) 장기 무게 변화 측정
실험 종료 후, 각 개체로부터 각각의(폐, 간, 콩팥 및 비장) 장기를 적출하여 조직을 다듬고(trimming), 무게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장기 무게를 해당 개체의 체중에 대한 상대 단위(relative units) 값으로 계산하였다.
3) 염증 세포수 변화
기관지폐포세척액(BALF) 내 염증 세포들의 수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발현을 분석하기 위해, 기관에 카뉼라(cannula) 삽입방법으로 0.6mL씩 2회 흡입하여 BALF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각 실험군의 BALF를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은 ELISA 분석을 위해 냉장 보관하였다. 나머지 BALF 세포는 재현탁한 후 헤모사이토미터(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총 세포수를 계산하였고, 혈구 검사 시약으로 염색하여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4) 기관지폐포세척액(BALF) 또는 혈장에서의 IgE 분석
마취후 기관에 카뉼라(cannula) 삽입방법으로 0.6mL씩 2회 흡입하여 BALF를 수득하였다. 획득한 BALF와 함께 심장으로부터 채혈하여 혈장을 수득하였다. BALF 또는 혈장 내 IgE(total IgE)와 BALF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IL-13) 분석을 위해, 상기 물질에 특정 반응하는 ELISA kit(BioLegend, USA; R&D Systems, US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함량을 측정하였다.
BALF 또는 혈장 내 IgE(total IgE) 분석을 위해, 상기 물질에 특정 반응하는 ELISA kit(BioLegend, US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함량을 측정하였다.
5) 폐 조직에서의 조직병리학적 검경
폐 조직 내 염증 세포들의 침윤 또는 기관지 재형성(remodeling)으로 인한 점액분비 세포의 과형성(goblet cell hyperplasia)을 분석하기 위해, 일부의 폐 조직을 4%(v/v)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24시간 이상 고정한 후 파라핀 포매(embedding)를 실시하였다. 포매 조직은 4μM 두께로 절단하여 절편을 만들고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와이 염색 시약 또는 PAS(Periodic acid-Schiff) 염색 kit로 염색하고, 봉입제로 봉입하였다. 봉입이 끝난 슬라이드는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고,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3. 비만세포(RBL-2h3)에서 β-헥소사미니다아제 활성 확인
비만세포의 일종인 RBL-2h3(rat basophilic leukemia) 세포주를 ATCC로부터 구입한 후, 10% FBS가 포함된 E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48 웰 플레이트에 2X105 세포/웰 로 세포를 분주하고 2시간 배양 후, 다양한 농도의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처리(12.5~100 ug/ml)한 다음 1시간 후 100nM PMA와 칼슘 운반체(calcium ionophore)인 A23187 1uM을 처리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유도하였다.
탈과립 유도 30분 경과 후 세포 배양액을 수거한 다음, MUG(4-methylumbeliferyl N-acetyl-β-D-glucosaminide)를 기질로 사용하여 배양액 내 β-헥소사미니다아제(hexosaminid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털야광나무 추출물 처리에 의한 천식 마우스 모델의 장기 무게 변화
털야광나무 추출물 처리에 의한 천식 마우스 모델의 장기 무게 변화를 확인한 결과,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간 및 신장 조직의 무게는 천식 유발 및 털야광나무 추출물 처리에 의해 거의 변화하지 않았고, 천식 유발 후 비장 및 폐 조직의 무게는 본 발명의 털야광나무 추출물 처리에 의한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2. 털야광나무 추출물 처리에 의한 천식 마우스 모델의 염증 세포수 변화 확인
털야광나무 추출물 처리에 의한 천식 마우스 모델의 염증 세포수 변화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천식 유도군에 비해 염증 세포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털야광나무 추출물 처리에 의한 천식 마우스 모델의 기관지폐포세척액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또는 혈장에서의 IgE 분석
털야광나무 추출물 처리에 의한 천식 마우스 모델의 BALF 및 혈장 내 IgE 함량을 분석한 결과,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천식에 의해 증가된 BALF 및 혈장의 IgE 함량이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ALF 내 IL-13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천식에 의해 증가된 BALF 내 IL-13 함량이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털야광나무 추출물 처리에 의한 천식 마우스 모델 폐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검경
털야광나무 추출물 처리에 의한 천식 마우스 모델 폐 조직 내 염증 세포들의 침윤을 확인하기 위해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와이로 염색한 결과,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천식 유도에 의한 폐 조직 내 염증 세포들의 침윤을 확인하였고, 털야광나무 추출물 투여에 의해 폐 조직 내 염증 세포들의 침윤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폐 조직에서 점액분비 세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PAS 염색을 실시한 결과,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관지 재형성(remodeling)으로 인한 점액분비 세포의 과형성(goblet cell hyperplasia)을 확인하였고, 증가된 점액분비 세포가 털야광나무 추출물 투여에 의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비만세포(RBL-2h3)에서 β-헥소사미니다아제 활성 확인
탈과립이 유도된 비만세포의 β-헥소사미니다아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털야광나무 추출물은 탈과립이 유도된 비만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Claims (7)

  1.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털야광나무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식은 집먼지진드기에 의해 유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KR1020220043333A 2022-04-07 2022-04-07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44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333A KR20230144272A (ko) 2022-04-07 2022-04-07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3/003345 WO2023195644A1 (ko) 2022-04-07 2023-03-13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333A KR20230144272A (ko) 2022-04-07 2022-04-07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272A true KR20230144272A (ko) 2023-10-16

Family

ID=8824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333A KR20230144272A (ko) 2022-04-07 2022-04-07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4272A (ko)
WO (1) WO20231956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256A (ko) * 2004-02-05 2005-08-10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어성초와 복분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21926B1 (ko) * 2005-09-21 2008-04-1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드기 알레르기원 중화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KR101034596B1 (ko) * 2009-05-07 2011-05-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약화, 근위축, 구음장애, 연하장애의 증상을 개선·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5644A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1378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extract, fraction of same or compound separated from same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KR100860080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060125499A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긴산꼬리풀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카탈폴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US8980846B2 (en) Composition containing styraxlignolide A or the aglycone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KR102197445B1 (ko) 생약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성 염증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52268B1 (ko) 배 및 유자를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
KR101735061B1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4373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KR20200021738A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44272A (ko)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06921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51924B1 (ko) 배암차즈기 잎 추출물 및 발효 삼채 뿌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치료용조성물
KR20190001112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US200903185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hikonin derivative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 dor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mellitus and the use thereof
KR20220082396A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373484B (zh) 一种具有消炎作用的蔓越莓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724587B1 (ko)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0790A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천식용 조성물
KR101226881B1 (ko) 기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30149568A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3354B1 (ko) 꼬리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102652888B1 (ko) 시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84370B1 (ko) 아로니아 및 모링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68791A (ko) 천식 또는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