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061B1 -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061B1
KR101174061B1 KR1020090017030A KR20090017030A KR101174061B1 KR 101174061 B1 KR101174061 B1 KR 101174061B1 KR 1020090017030 A KR1020090017030 A KR 1020090017030A KR 20090017030 A KR20090017030 A KR 20090017030A KR 101174061 B1 KR101174061 B1 KR 101174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ipant
broadcast
terminal
broadcaster
partic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264A (ko
Inventor
오승훈
박일균
이병탁
김상균
손승철
고석갑
김성창
고재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참여자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망을 경유하여 상기 참여형 방송으로 참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참여형 방송 콘텐츠와 합성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IPTV 기반의 참여형 방송을 실현함으로써, 기존 케이블이나 공중파 방송에서는 시청자 참여를 위해서 고가의 추가 장비 및 인력이 필요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참여형 방송, IMS, IPTV

Description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broadcast service}
본 발명은 IPTV 기반의 방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명 : 광가입자망(FTTH) 서비스 개발 실험 사업]
참여형 방송은 방송 중 시청자가 자신의 목소리 혹은 모습을 방송에 직접 보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일반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형태의 방송이다. 라디오, TV 등 기존 방송 영역에서는 전화, 핸드폰 SMS과 같은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시청자들이 참여할 수 있다.
Web 기반의 인터넷 방송에서는 텍스트 기반 채팅 방법을 이용해서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고, 최근 IPTV에서는 IP 미디어상에서 시청자 영상까지 직접 참여가 가능한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참여형 방송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고 시청자들의 참여를 관리하는 기능들이 각각 상이한 방법으로 구현되고 있어, 통신 사업자 망에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있다.
이외 통신분야에서는 유사한 서비스로 영상 화상 회의 관련 기술이 존재한다. 이는 제한된 참여자들 간의 회의 및 교육에 목적을 둔 통신 솔루션이기 때문에 방송 시스템에 확장 적용하기 위해서는 방송 관련 제어 체계 등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일 예로 IMS 표준 제어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는 통신 사업자 망에 적용이 용이한, 시청자 참여가 가능한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제어 체계를 제공할 수 있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참여자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망(IMS)을 경유하여 상기 참여형 방송으로 참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참여형 방송 콘텐츠와 합성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법은 방송자 단말로부터 참여형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요청에 따라 상기 예약 요청에 따른 참여형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망(IMS)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약 요청에 따라 방송 시작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예약된 참여형 방송 콘텐츠의 방송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 요청에 따른 참여형 방송 콘텐츠에 상기 참여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를 합성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는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망(IMS)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형 방송으로의 참여 요청을 수신하는 참여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참여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참여형 방송 콘텐츠와 합성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를 통해 방송자 단말로부터 참여형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예약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예약 요청에 따라 상기 예약 요청에 따른 참여형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예약 요청에 따른 참여형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망(IMS)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예약 요청 수신부로 수신되는 상기 예약 요청에 따라 방송 시작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예약된 참여형 방송 콘텐츠의 방송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는 세션 설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예약 요청에 따른 참여형 방송 콘텐츠에 상기 참여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를 합성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참여자 단말로부터 방송 참여 요청을 수신하여 참여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새로운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참여자 단말을 상기 참여자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새로운 참여자 단말 정보를 방송자 단말로 전송하는 리스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PTV 기반의 참여형 방송을 실현함으로써, 기존 케이블이나 공중파 방송에서는 시청자 참여를 위해서 고가의 추가 장비 및 인력이 필요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IMS 표준 제어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는 통신 사업자 망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IPTV 시장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들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 미디어 믹서(20), 방송 전달 제어 서버(30), 방송 전달 시스템(40), SA/EPG(Service Aggregator/Electric Program Guide)(50), IMS 서버(60), 방송자 단말(70), 참여자 단말(80), 시청자 단말(90)을 포함한다.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참여자들의 관리, 참여자들의 영상 관리, 미디어 믹서 제어, 방송 컨텐츠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믹서(20)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아 방송 컨텐츠와 참여자들의 영상을 합성(mixing)하여 후술할 방송 전달 시스템(40)으로 전달한다.
방송 전달 제어 서버(30)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방송 전달 시스템(40) 정보를 유지 관리하며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잇어서, 방송 전달 시스템(40) 및 방송 전달 제어 서버(30)는 방송자가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방송 전송할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방송 전달 시스템(40)은 방송 전달 제어 서버(3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미디어 믹서(20)가 전송한 방송 스트림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분산 구조의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멀티캐스트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통신 망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SA/EPG(50)는 방송 채널과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들을 등록, 유지, 관리한다. 후술할 방송자 단말(70)은 방송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SA/EPG에 웹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한다. 그러면 SA/EPG는 등록된 모든 방송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게시하여, 사용자들의 방송 콘텐츠 접근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IMS 서버(60)는 통신 사업자망에 존재하는 장비이다. 참여형 방송을 위한 모든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를 처리하고 적절하게 메시지를 각 장비로 전달한다.
IMS(IP Multimedia Subsystem)는 사업자 망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세션 제어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 구조로서 기본적으로 사업자의 세션 기반 서비스를 보호하는 형태로 개발되었다. IMS는 IP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효율적인 제공을 위해 네트워크 전달 계층(Network Transport Layer)과 연동되며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통신망 사업자가 아닌 제 3의 서비스 업체도 개방형 접속 구조를 이용하여 IMS와 연동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방송자 단말(70), 참여자 단말(80) 및 시청자 단말(90)은 개인 피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실시예에 있어서, 방송자 단말(70)은 참여형 방송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주체이다. 방송자 단말(70)은 방송 시작 및 종료를 결정할 수 있고, 방송의 주된 영상을 제공하며 참여자 단말(80)들의 참여하고 떠나는 것을 결정한다. 참여자 단말(80)은 방송에 참여하기 위해 등록된 주체이다. 참여자 단말(80)은 방송자 단말(70)로부터의 허락에 따라 참여 가능하고 방송에 삽입할 영상을 전송한다. 시청자 단말(90)은 IPTV 서비스를 제공받는 일반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청자 단말(90)은 기존 IPTV 방송을 지원하는 모든 재생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참여자 기능이 탑재된 시청자 단말(90)은 방송 참여가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신부(200), 참여 요청 수신부(210), 예약 요청 수신부(220), 저장부(230) 및 서비스 제공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00)는 IMS 망을 경유하여 방송자 단말, 참여자 단말 및 시청자 단말과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참여 요청 수신부(210)는 통신부를 통해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형 방송으로의 참여 요청을 수신하고, 예약 요청 수신부(220)는 통신부(200)를 통해 방송자 단말로부터 참여형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예약 요청을 수신한다.
저장부(230)는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230)는 예약 요청에 따라 예약 요청 수신부로 수신되는 예약 요청에 따른 참여형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후술할 리스트 관리부(244)에서 관리되기 위한 참여자 리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 제공부(240)는 참여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고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참여형 방송 콘텐츠와 합성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240)는 예약 요청 수신부로 수신되는 예약 요청에 따른 참여형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망(IMS)에 등록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부(240)는 방송에 필요한 방송자 단말과의 필요 정보들을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망(IMS)을 경유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부(240)는 세션 설정부(242), 리스트 관리부(244), 영상 합성부(246)를 포함한다.
세션 설정부(242)는 먼저, 예약 요청 수신부(220)로 수신되는 예약 요청에 따라 특정 방송 시작 시간이 도래하면, 그 특정 방송에 대한 참여형 방송 콘텐츠의 방송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고, 해당 방송이 종료되면 그 방송자 단말과 세션을 종료한다. 또한, 방송자 단말로부터 새로운 참여자 단말의 참여 수락이 수신되면, 새로운 참여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자 단말로부터 참여자 단말에 대한 참여 종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참여 종료 요청에 따른 참여자 단말과 세션을 종료한다.
리스트 관리부(244)는 참여자 단말로부터 방송 참여 요청을 수신하여 참여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새로운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참여자 단말을 저장부(230) 참여자 리스트에 추가한다. 또한, 새로운 참여자 단말 정보를 방송자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참여자 단말 혹은 방송자 단말로부터 해당 참여자의 참여 종료 요청이 수신되면, 참여자 리스트에서 참여 종료 요청에 따른 참여자 정보를 삭제한다.
영상 합성부(246)는 자체가 미디어 믹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미디어 믹서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적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합성부(246)는 방송자 단말로부터의 참여형 방송 콘텐츠와, 참여자 단말로부터의 참여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의 합성을 제어하는 구성을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크게 방송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등록/예약하는 과정, 예약된 시간에 방송을 시작하는 과정, 방송 시청자 가능상태를 변경하는 과정, 시청자가 리스트 및 방송 영상에 참여 하는 과정, 방송 종료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방송자 및 참여자는 참여형 방송 스트림을 녹화할 수 있고, 방송자는 미리 예약 시간을 설정하여 추가 컨텐츠를 방송에 믹싱하여 방송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3 은 방송자가 원하는 예약 방송 시간을 설정하는 절차의 흐름도이다.
먼저, 방송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 관리하는 SA/EPG(50)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방송자 단말(70)들로부터 방송 정보를 받는다(S300). 그리고, 방송자 단말(70)은 로그인 과정을 통해(S302) SA/EPG(50)로부터 인증을 받는다(S304). 이때 SA/EPG는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쿼리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자의 로그인 정보만 인증한다. 그리고 인증 후에 방송자는 SA/EPG(50)로부터 자신의 채널 페이지를 응답받는다(S310).
이 후에 방송자 단말(70)은 방송을 예약하기 위해 방송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320). 이때 예약을 위해 방송에 필요한 정보는 시작 시각과 종료시각을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시간 정보, 방송 프로그램 이름 및 설명, 멀티캐스트 방식으로의 전달 여부에 대한 전송 방법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같은 정보들과 자신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PP's SIP URI)를 함께 전송한다(S325).
이 후에 SA/EPG(50)는 방송자 단말(70)로부터 수신되는 예약 프로그램 정보 들에 기반하여 시청자 단말들이 접근할 채널 URI과, 참여자들이 접근할 제어 URI를 생성한다. 또한, 방송자 단말(70)이 멀티 캐스트 전송방법을 선택한 경우에는 멀티캐스트 IP 주소와 포트 정보를 할당한다. 생성된 채널 URI와 제어 URI, 할당된 IP혹은 포트 정보들은 방송자 단말(70)로 전송된다(S340).
또한, SA/EPG(50)는 생성된 채널 URI와 제어 URI, 할당된 IP혹은 포트 정보들과, 예약 프로그램 정보를 내부 DB에 저장하고,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도 전달하여 그 응답을 수신한다(S350).
이 후에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SA/EPG(50)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들 중 채널 URI와 제어 URI를 IMS 서버(60)에 등록하고, 그 응답을 수신한다(S360)
이에 따라 IMS 서버(60)는 시청자 단말에서 방송 채널을 요청할 경우에 해당 채널을 담당하는 방송 전달 제어 서버로 INVITE 메시지를 전달하여, 참여자 단말이 참여를 요구할 경우에는 참여 방송 제어를 담당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INVITE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작 절차의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멀티캐스트 지원 환경에서의 방송 시작 절차이다.
먼저, 방송 시작은 예약 설정된 방송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설정된 방송 시간이 도래하면(S400) 방송자 단말(70)로 부터 IPTV 방송을 위한 영상을 수신하기 위해 IMS 서버(60)를 경유하여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고(S410, S415), 그 응답을 100TRYING 메시지로 수신한다(S420,425).
이때 세션 설정을 위해 IMS 서버(60)는 방송자 SIP URI로 요청한 모든 SIP 메시지를 방송자 단말(70)이 등록된 위치로 전달할 수 있다. 방송자 단말(70)은 수신 스트림을 방송 전달 시스템을 통해 수신하거나 혹은 멀티캐스트 트래픽 형태로 수신한다.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방송자 단말(70)로부터 183 Session Progress를 수신하여(S430,S435) 세션 생성이 확실하다고 판단되면, 미디어 믹서(20)를 제어하여 방송으로 전송할 미디어를 생성하도록 하고, 방송자 단말(70)과 통신할 통신 세션 즉 아이피 주소, 포트(port)를 열어놓고 수신 준비를 한다.
이 후에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에 따르는 경우에 미디어 믹서(20)로 멀티캐스트 IP 주소값과 포트값을 전달하고, 멀티캐스팅을 시작하도록 명령하고 그 응답을 수신한다(S440). 그리고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방송자 단말(70)로부터 200OK 메시지을 수신하여(S450, S455) 세션이 성공적으로 생성었음이 확인되면, 세션 생성 사실을 방송자 단말로 알린다(S460,465). 이 후에, 방송자 단말(70)은 자신의 영상 스트림을 미디어 믹서(20)로 전송하여 실질적인 방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S470).
또한, 도 5는 멀티캐스트가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서의 방송 시작 절차이다.
즉, 방송자 단말(70)이 방송 정보 설정시에 멀티캐스트 방식을 선택하지 않은경우, 방송자 단말(70)과 미디어 믹서(20) 간에 세션을 생성하는 과정은 멀티캐 스트가 지원되는 도 4에 도시된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특이한 것은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미디어 믹서(20)로 방송 전달 제어 서버(30)로부터 세션 요청이 있을 경우를 준비하도록 명령한다(S500).
즉, 어떤 시청자 단말(90)로부터 특정 채널 시청 요청이 입력되면(S510), 방송 전달 제어 서버와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 간에 세션 생성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 방송 전달 시스템(40)과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간의 세션 절차는 IMS 서버(60)를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방송 전달 시스템(40)과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 간의 세션이 생성됨으로써 미디어 믹서(20)와 방송 전달 시스템(40)간에도 세션 연결이 가능하여, 미디어 믹서(20)의 영상 스트림은 방송 전달 시스템(40)을 경유하여 시청자 단말(90)로 전달될 수 있다(S530, S535).
도 6 은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어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어 방법은 이벤트 패키지(Event Package)로 동작한다.
참여형 방송 시스템에서의 모든 노드들 즉, 방송자 단말(70), 참여자 단말(80)등은 모두 이벤트 패키지에 가입(SUBSCRIBE)해야하고 이벤트 패키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들은 NOTIFY 형태로 수신하게 된다. 또한 참여 방송 제어하기위해, 구체적으로 시청자들이 참여를 요청하거나, 영상을 참여시키거나, 참여자를 배제시키는 것 등은 INFO 메시지를 이용한다. 그 결과는 NOTIFY로 각각에 게 전달된다.
예를 들어 INFO 메소드를 이용하여 방송자와 참여자가 제어하는 이벤트는 방송자에 의해 일반 방송을 참여 방송으로 전환하는 open, 참여자가 참여를 요청하는 join, 참여자가 영상 참여를 요청하는 vjoin, 참여자의 영상 참여를 제거하는 vleave, 참여자를 대기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deny/leave, 방송이 종료되는 close 등이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개시 절차의 흐름도이다.
먼저, 방송 스케쥴(예약) 정보에 의해 시작되는 방송 서비스는 다른 일반 방송 서비스와 같이 시청자의 참여가 불가한 상태이다.
따라서 방송자가 방송 상태를 참여 방송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시청자 참여가 가능하다. 방송을 진행하는 방송자가 참여형 방송으로 변경을 요청하기 위해서, 방송자는 참여 방송 이벤트 패키지에 가입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방송자는 먼저 SUBSCRIBE 메소드를 사용하여 가입을 시도하고(S700, S705)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정상적으로 승인하는 경우에 NOTIFY 메소드를 이용하여 성공 사실을 알린다(S710, S715). 그리고 방송자는 INFO 메소드를 이용하여 open 이벤트 정보를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달하고, 방송 상태를 참여형으로 변경한다(S720, S725).
이 후부터 참여형으로 변경된 방송자의 방송 서비스에 대해서는 시청자의 참 여가 가능해진다. 즉, 참여형으로 변경되기 이전의 방송 서비스로 시청자들이 참여를 시도하면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참여 시도를 거절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참여 절차의 흐름도이다.
참여형 방송 시청중에, 참여형 방송 기능을 탑재한 시청자 단말(90)은 언제라도 방송 참여를 요청할 수 있다. 먼저 참여자 단말(80)은 SUBSCRIBE 메소드를 이용하여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서비스 가입을 위한 등록 요청을 한다(S800, S805).
그리고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정상적으로 승인되면 승인 결과를 NOTIFY로 알린다(S810, S815). 이벤트 가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참여자 단말은 INFO 메소드를 이용하여 참여를 요청하는 join 이벤트를 요청할 수 있다(S820, S825).
이 후에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참여자 단말을 대기 리스트에 등록 시키고 그 결과를 방송자 단말(70)에게 알린다. 이때 NOTIFY 메소드를 이용하여 알린다(S840, S845).
방송자 단말(70)은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참여자 단말(80) 정보를 대기자 리스트에 저장하고, 화면을 통해 그 결과를 출력한다(S850).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단말의 영상 방송 삽입 절차의 흐름도이다.
먼저, 대기 리스트에 등록된 참여자 단말이 실제 프로그램에 영상으로 참여하고자 할 경우에 INFO 메소드를 이용해서 영상 참여를 요청하는 vjoin이벤트를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전송한다(S900, S905).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참여자 단말(80)의 참여가 정당하다고 판단되면 참여자 단말(80)을 영상 참여 리스트에 추가한다(S910).
그리고, 방송자 단말(70)로 그 결과를 통보한다. 이때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참여자 단말(80)의 영상 참여 리스트 추가 결과를 NOTIFY 메소드를 이용하여 vjoin 이벤트로 알릴 수 있다(S920, S925).
그리고 방송자 단말(70)은 NOTIFY 메소드를 수신한 이후에, 해당 참여자 단말(80)이 방송에 영상으로 참여하고자 한다는 사실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참여자 단말(80)의 방송 참여가 수락된 경우에는(S930),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REFER 메소드를 이용하여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해당 참여자 단말(80)과 세션을 맺도록 한다(S940,S945).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REFER 메소드에 의한 요청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전술한 세션 생성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INVITE 트랜젝션을 시도한다(S950, S952, S954, S956). 이때 참여자 단말(80)로부터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의 단방향 세션만 형성한다. 이 후에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미디어 믹서(20)를 제어하여 참여자 단말(8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본 방송 영상에 합성하도록 한다(S960).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NOTIFY 메소드를 통해 세션 연결을 알리고(S970, S975), 이 후에 미디어 믹서(20)에서 합성된 영상(S980)은 방송 전달 시스템을 통해(S982) 방송자 단말(70) 및 참여자 단말(80)을 포함하여 방송 시청자 단말(90)로 제공될 수 있다(S984).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참여자의 영상 참여 종료 절차의 흐름도이다.
먼저, 방송자에 의해 참여자의 영상 참여가 종료되는 경우, 참여자가 직접 영상 참여를 종료하는 경우가 있다.
방송자에 의해 참여자의 영상 참여가 종료되는 경우는, REFER 메소드를 이용하여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bye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참여자와의 세션을 종료시킨다(S100, S105).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REFER를 정상적으로 처리한 후 바로 BYE 메소드를 참여자 단말로 전송하여 참여자 영상 종료 절차를 마무리한다(S110, S115).
세션 종료 절차가 완료되면, 미디어 믹서(20)를 제어 하여 해당 세션을 닫도록 명령하고(S120), 그 결과를 NOTIFY 메소드를 통해 다시 방송자 단말(70)로 알림으로써(S130, S135) 참여자 영상 종료 절차를 완료한다.
한편, 참여자가 직접 영상 참여 절차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참여자가 직접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BYE 메시지를 전송한다.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미디어 믹서(20)로 해당 세션을 닫도록 명령하고, 그 결과 를 NOTIFY 메소드를 통해 방송자 단말(70)로 알림으로써 참여자 영상 종료 절차를 완료한다.
이때,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방송자에 의해 참여자 영상 참여가 종료될 경우에 방송자 단말(70)로 NOTIFY 메소드에 refer에 대한 결과를 통보하는 반면에, 참여자가 영상 참여를 종료할 경우에는 NOTIFY가 vleave 이벤트 결과를 통보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리스트 제거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참여형 방송 서비스에서 참여자의 영상이 제거되더라도, 참여자가 단순 시청자가되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대기 리스트에는 등록되어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대기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참여자를 해제시키기 위해서 방송자가 참여자를 제거하거나, 혹은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정보를 대기 리스트에서 삭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 11은 방송자 측에서 참여자의 정보를 삭제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방송자 단말(70)은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이벤트 페키지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INFO 메소드를 사용하여 deny 이벤트를 알린다(S1110, S1115). 이때 참여자 단말(80)이 스스로 대기 리스트에서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leave 이벤트를 전송한다. 그리고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대기 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를 삭제하고(S1120), 그 결과를 참여자 단말(80)에게 알린다(S1130, S1135). 이때 참여자 단말(80)이 스스로 대기 리스트에서 삭제를 요청한 경우에는 참여자 단말(80)이 아닌 방송자 단말(70)로 대기리스트 삭제 사실을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참여자는 일반 시청자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종료 절차의 흐름도이다.
방송 예약 정보 즉 기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방송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해당 방송 종료 절차를 수행한다(S1210).
즉, 지정된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IMS 서버(60)를 경유하여 참여자 단말(80)로 BYE 메시지를 전달하여 미디어 믹서(20)와 세션을 종료하도록 하고(S1220, S1225) 대기 리스트 정보를 파악한다(S1230). 그리고 미디어 믹서(20)로도 세션 종료를 요청하고 그 응답을 수신한다(S1240).
이 후에 대기 리스트 정보를 삭제하기 위해 방송자 단말(70)로 NOTIFY 메소드를 이용하여 leave 이벤트를 전달한다(S1250, S1255). 그러면 방송자 단말(70)은 대기 참여자 및 영상 참여자 정보를 삭제한다(S1260).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그 결과와 함께 방송이 종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참여자들에게 NOTIFY 메소드를 이용하여 close 이벤트를 전달한다(S1270, S1275). 참여자 단말(80)은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방송이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S1278). 그리고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대기 리스트 정보에서 모든 참여자 정보를 삭제하고(S1280), 방송자 단말(70)과 세션을 종료하기위해 BYE 메소드를 전송한 다(S1290, S1292). 그리고 그 결과를 미디어 믹서(20)로 전송하여 해당 세션을 제거하도록 한다(S1298).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일반 시청자의 접근 절차의 흐름도이다.
먼저 방송자 단말(70)이 SA/EPG(50)에 프로그램 등록을 하여 방송 정보를 예약 하면(S1300), SA/EPG(50)는 정보들을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전달한다(S1305).
이때 SA와 EGP는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논리적으로 각각 동작한다. 즉, 방송자 단말(70)이 프로그램 정보를 SA에 등록하면, EPG가 SA에 등록된 방송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에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시청자 단말(90)은 EPG로부터 보고 싶은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308). 시청자 단말(90)은 EPG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 해당 체널의 전송 기법에 대한 정보와,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의 채널인 경우 IP 주소와 포트 번호 정보를 함께 획득한다.
방송자 단말(70)과 미디어 믹서(20)간에 세션이 설정되는 과정은 이미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에는 방송 시간이 도래하여(S1310),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먼저 INVITE 메소드를 전송하는 경우(S1312, S1314, S1316, S1318)와, 방송자 단말(70)에 추가로 다른 영상이 입력되어 방송자 단말이 먼저 INVITE 메소드를 전송하는 경우(S1332, S1334, S1336, S1338)를 모두 도시하였다.
그리고 시청자 단말(90)은 EPG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그룹에 접속함으로써(S1340), 참여형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1350).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불가 환경에서 일반 시청자의 접근 절차의 흐름도이다.
멀티캐스트가 불가능한 환경에서는 방송자가 방송 전송 방법을 멀티캐스트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선택했을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SA/EPG(50)가 채널 URI를 할당한다. 구체적으로 SA가 자동적으로 URI를 할당하고, SA에 등록된 방송 예약 정보가 EPG를 통해 시청자 단말(90)에 개시된다.
시청자 단말(90)이 해당 채널을 선택하면 전송 방법에 대한 정보와 채널 URI 방송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방송 전달 제어 서버(30)로 INVITE 메소드를 전송함으로써 세션 생성을 요청한다(S1400). 방송 전달 제어 서버(30)는 시청자 단말(90)로부터 세션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시청자 단말(90)이 방송을 담당할 노드(egress node)를 선택하도록한다(S1410). 이때 RTT(Round Trip Time)를 측정하여 그 정보를 제공한다(S1420). 그리고 시청자 단말(90)이 방송을 담당할 노드를 선택하면(S1430), 선택된 노드로 세션 정보를 전송하여(S1440), 선택된 노드와 시청자 단말(90) 간에 세션을 생성하도록 한다(S1445).
그리고, 미디어 믹서(20)가 방송을 전송할 노드(ingress node)를 선택하도록 하고,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S1450, S1455)를 통해 미디어 믹서(20)가 선택한 노드와 미디어 믹서(20)가 세션을 설정하도록 세션 정보를 전송하고(S1460), 세션을 요청한다(S1470).
결국, 시청자 단말(90)과 미디어 믹서(20)는 각각이 선택한 노드 즉, 시청자 단말(90)은 방송 전달 시스템(40)의 egress 노드와 세션이 생성되고, 미디어 믹서(20)는 ingress 노드와 세션이 생성된다(S1480).
시청자 단말(90)에 의해 선택된 egress 노드와 미디어 믹서(20)에 의해 선택된 ingress 노드사이의 연결을 위해 방송 전달 시스템(40)은 최적의 경로를 찾아, 경로상 노드에게 명령하여 해당 세션을 전달하도록 한다. 그러면 방송자 단말(70)에서 전송되는 영상 스트림은 미디어 믹서(20)에서 참여자의 영상과 믹싱되어 방송 전달 시스템(40)에 전달되고, 방송 전달 시스템(40)은 방송을 요청하는 시청자 단말(90)에게 최적으로 분배된 경로를 통해 영상 스트림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컨텐츠 예약 전송 절차의 흐름도이다.
방송자 단말(70)은 추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방송에 믹싱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설정된 예약 시간에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미리 예약 시간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방송 예약 절차시에 부가 정보에 추가적으로 컨텐츠 제공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시간이 도래하면(S1500), 참여형 방송 서비 스 제공 장치(10)는 방송자 단말(70)과 세션 생성 절차를 수행한다(S1510, S1512, S1514, S1516). 그리고 방송자 단말(70)은 설정된 세션을 통해 자신의 영상 이외의 추가 컨텐츠 영상 스트림을 미디어 믹서(20)로 전송할 수 있다(S1540). 그러면 미디어 믹서(20)는 추가 전송된 영상 스트림을 기존의 방송 영상에 혼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방송자는 참여자가 자신의 방송 스트림에 참여한 영상 콘텐츠를 저장하며, 참여자 역시, 자신이 참여한 영상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 매체 등을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의 블록도,
도 3 은 방송자가 원하는 예약 방송 시간을 설정하는 절차의 흐름도,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작 절차의 흐름도,
도 6 은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어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개시 절차의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참여 절차의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단말의 영상 방송 삽입 절차의 흐름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참여자의 영상 참여 종료 절차의 흐름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리스트 제거 절차의 흐름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방송 서비스 종료 절차의 흐름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일반 시청자의 접근 절차의 흐름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불가 환경에서 일반 시청자의 접근 절차의 흐름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컨텐츠 예약 전송 절차의 흐름도이다.

Claims (10)

  1.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방송자 단말로부터 참여형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요청에 따라 SA/EPG에서 생성된 시청자 단말들이 접근할 채널 URI 및 참여자 단말들이 접근할 제어 URI를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망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망을 경유하여 상기 참여형 방송으로 참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참여형 방송 콘텐츠와 합성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요청에 따라 방송 시작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예약된 참여형 방송 콘텐츠의 방송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 요청에 따른 참여형 방송 콘텐츠에 참여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를 합성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참여자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망을 경유하여 방송 참여 요청을 수신하여 참여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새로운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참여자 단말을 상기 참여자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참여자 단말 정보를 방송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자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망을 경유하여 상기 새로운 참여자 단말의 참여 수락이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참여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자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망을 경유하여 상기 참여자 단말에 대한 참여 종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참여 종료 요청에 따른 참여자 단말과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 리스트에서 상기 참여 종료 요청에 따른 참여자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7.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방송자 단말로부터 참여형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예약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예약 요청에 따라 SA/EPG에서 생성된 시청자 단말들이 접근할 채널 URI 및 참여자 단말들이 접근할 제어 URI를 상기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망에 등록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요청에 따라 상기 예약 요청에 따른 참여형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형 방송으로의 참여 요청을 수신하는 참여 요청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참여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참여형 방송 콘텐츠와 합성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예약 요청 수신부로 수신되는 상기 예약 요청에 따라 방송 시작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예약된 참여형 방송 콘텐츠의 방송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는 세션 설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예약 요청에 따른 참여형 방송 콘텐츠에 참여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를 합성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참여자 단말로부터 방송 참여 요청을 수신하여 참여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새로운 참여자 단말로부터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참여자 단말을 상기 참여자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새로운 참여자 단말 정보를 방송자 단말로 전송하는 리스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090017030A 2008-11-28 2009-02-27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74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9797 2008-11-28
KR1020080119797 2008-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264A KR20100061264A (ko) 2010-06-07
KR101174061B1 true KR101174061B1 (ko) 2012-08-16

Family

ID=4236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030A KR101174061B1 (ko) 2008-11-28 2009-02-27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235A (ko) * 2002-11-09 2004-05-17 김한승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04B1 (ko) * 2007-09-19 2008-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청자 참여를 위한 양방향성 iptv 방송 서비스 방법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04B1 (ko) * 2007-09-19 2008-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청자 참여를 위한 양방향성 iptv 방송 서비스 방법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235A (ko) * 2002-11-09 2004-05-17 김한승 고온가열처리된 산골 수가용성 성분 및 생약추출물을함유하는 신경마비성질환 및 통증 치료에 효과적인약학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264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5042B (zh) 一种多人网络直播方法、装置、加入装置、系统、服务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426178B1 (ko) 애드 혹 베뉴-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70177606A1 (en) Multimedia streaming and gaming architecture and services
CA2352207C (en) Announced session description
US96151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imeshift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US2014006869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cquiring comment information when watching a program
JP5709858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スクリーンサービスの通知および対話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2137277B (zh) 实现交互式轮播频道的方法、装置及系统
US20070067818A1 (en) Means and method for mobile television
KR20130007644A (ko) 이벤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EP1131935B1 (en) Announced session control
CN102037703A (zh) Iptv通信网络中传递方法之间的切换
JP2012515484A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関連付けられたセッションの管理
US89088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JP200408831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エッジサーバ及び端末装置
JP2003223407A (ja) コンテンツ共有支援システム、ユーザ端末装置、コンテンツ共有支援サーバ、複数のユーザ間でコンテンツ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WO2010025675A1 (zh) 一种业务内容的播放方法、系统和装置
KR101174061B1 (ko) 참여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262675B2 (ja) 映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ユニキャスト型多地点映像配信方法
KR20090017762A (ko) 방송 신호 재생 중에 커뮤니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7259245A (ja) サーバ、及び、端末装置
CN102014298A (zh) 参与播放终端、支持参与播放的服务器及方法
CN112511884B (zh) 一种音视频流的混流控制方法、系统和存储介质
KR101409932B1 (ko) Iptv sms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0127627A1 (zh) 获取指定用户实时媒体播放信息的方法、系统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